[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2011B1 -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011B1
KR102422011B1 KR1020200038079A KR20200038079A KR102422011B1 KR 102422011 B1 KR102422011 B1 KR 102422011B1 KR 1020200038079 A KR1020200038079 A KR 1020200038079A KR 20200038079 A KR20200038079 A KR 20200038079A KR 102422011 B1 KR102422011 B1 KR 102422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electrode
dielectric
cell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441A (ko
Inventor
남궁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배터리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배터리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배터리월드
Priority to KR102020003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0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0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6Nanostructures, e.g. nanofibres, nanotubes or fulle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6Solid electrolytes, e.g. gels;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68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핀 셀(Cell)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전기 저장장치에 있어서, 유전체 및 금속박막에 코팅된 그래핀 또는 전극에 코팅된 그래핀을 사용한 그래핀 셀(Cell)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 셀(Cell)은 높은 전도성 성질을 유지하면서 3분 이내의 완전 충전 시간,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2.8배의 용량, 5,000회 이상 충방전이 가능한 성능을 가지기 때문에 전기 저장장치로서의 활용성이 높다.

Description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Graphene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그래핀을 이용한 전기 저장장치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핀(Graphene) 이란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의 벌집모양으로 서로 연결되어 2차원 평면 구조를 이루는 고분자 탄소 동소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그래핀의 분체 성형 기술은 레이저 성형, 전리 기술 등으로, 그래핀 분말을 무 접착제 코팅, 솔루션, 매스터배치, 섬유, 잉크, 페이스트, 투명 필름 등으로 제조하는 것인데 그래핀 분말은 1차 가공 없이 다른 소재와 섞이지 않는다. 따라서 그래핀 분말을 여러 가지 형식으로 효과적으로 가공하는 것은 그래핀 산업화에서 매우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
예를 들면, 그래핀 멤브레인(Graphene Membrane)은 특정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는 액체 혹은 고체의 막으로서 필터 역할을 함으로써 오염된 물의 정수, 오·폐수 정화, 바닷물의 담수화 등에 사용되고, 식품·의약품·화학공업·섬유·발전분야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멤브레인 필터는 막상(膜狀)의 필터로 막에 균일한 미세 구멍이 있어서, 이것의 구멍(pore)의 지름보다 큰 입자는 완전히 포집되고, 0.0001 미크론의 중금속과 바이러스 이온성분 미생물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정수처리와 폐수 처리의 핵심부품이다.
그래핀 멤브레인 필터에서 그래핀은 탄소들이 벌집 모양의 육각형 그물처럼 배열된 평면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그래핀 입자들을 모아 규모가 큰 얇은 평면 형태의 그래핀 시트를 제작하면, 그래핀 시트도 그래핀 단일 입자와 같은 물질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 그래핀 시트 평면에 나노 수준의 구멍(nanopore)을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고, 그래핀 포어를 활용하여 분자 단위의 물질을 검출할 수 있으며, 해수담수화 막, 수처리 필터, 분리막 등에 두루 응용될 수 있다. 이외에, 그래핀 센서, 미용 의료, 방열제품, 윤활유, 엔진오일, 그래핀 잉크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래핀은 높은 전도성 성질, 높은 열 전도성 및 뛰어난 가요성을 갖는 물질이고, 최근 들어 이러한 그래핀은 특히 전지 분야에서 수요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그래핀은 큰 비표면적을 갖는 매우 박막 물질이고, 중량 당 그래핀 박편의 수가 크며, 따라서 이것은 배터리용 전극에서 전도성 첨가제로서 높은 잠재력을 갖는다. 그러나 그래핀 표면은 탄소원자의 육각형 고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래핀 박편이 π-π 결합을 통해 독특한 전기적 특성을 보유하게 된다.
그래핀의 구조는 탄소원자가 벌집모양으로 연결된 물질로 2D 결정체이며 벌집구조의 두께는 0.2~0.3nm. 그래핀이 쌓여 적층구조를 이루면 흑연이 되고, 반대로 흑연을 박리하면 그래핀이 된다. 이때 각 탄소 원자는 sp2 혼성 구조이고, 0.142 nm의 원자간 거리를 갖고 3개 이웃 원자에 결합되어 있다.
그래핀의 탄소 결합의 특징은 그래핀을 구성하는 벌집(honeycomb)의 격자구조는 겉으로 동일한 것처럼 보이지만 단위격자구조가 서로 구별된다. 그래핀을 구성하고 있는 탄소의 최외각 전자 4 개 중 3개는 sp² 하이브리드 오비탈을 형성하여 모든 결점에서 공통적으로 강한 공유결합인 σ결합을 이루어 기계적 강도가 매우 높다. 4개의 전자 중 σ공유결합을 이루지 못하고 남은 1 개의 전자는 주변의 다른 탄소와 π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이 π전자는 벌집 구조의 육각형 고리 위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그래핀은 전자 이동도가 매우 높다.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물성 그래핀 비교
전하이동도(cm²/V·sec) 200,000 Si의 100배, Cu의 150배
최대허용 전류밀도(A/cm²) ~5.0×108 Cu의 100배
면저항(Ω/sq) < 50 Cu의 35% 미만
*기존 CNT 필름 : 4~500
*기존 TSP : 50
밴드캡(eV) 0~0.3 Si : 1.11
상기 그래핀의 특징을 이용하여 그래핀 전기 저장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에 앞서 전기 저장장치의 일실시 예에 해당하는 축전기의 구조 및 특징을 살펴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축전기는 절연체를 사이에 두 개의 도체를 서로 마주 보게 만들어 전하 혹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전기 저장장치를 말한다. 축전기의 용량을 확장하려면 기본적으로 마주 보는 전극의 표면적을 늘려야 한다. 축전기와 축전기의 정전용량(capacity)은 도 1과 같이 절연된 도체 간에서 전위를 주었을 때 축전기가 전하를 축적하는 용량(C)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20032818468-pat00001
S : 전극표면적(㎥)
d : 전극간 거리(m)
ε : 유전체의 유전 상수(F/m)
ε0 : 진공에서 유전상수(8.855×10-12 F/m)
εr : 유전체의 상대적 유전상수
그래핀을 이용한 전기 저장장치는 축전기의 내부 전극의 도체로 그래핀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축전기의 성능이 향상되어 고성능 전기 저장장치로 이용이 가능하다. 그래핀을 이용한 전기 저장장치는 축전 용량이 획기적으로 증대된다. 화재나 폭발할 위험이 없다. 충전 시간이 매우 짧다. 방전 효율이 증대된다. 기존 전기 저장장치보다 훨씬 더 많은 횟수의 충전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그래핀을 이용한 전기 저장장치를 제조하고자 노력하던 중, 종래에는 내부전극에 금속이 주재료이고, 그래핀은 부가적인 첨가물에 불과하였으나, 그래핀을 내부 전극의 주재료로 이용하여 충전시간과 용량이 크게 증진된 전기 저장장치가 제조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35970 (공개일자 2016.11.29.)
본 발명의 목적은 그래핀을 사용하여 충전시간의 감소 및 전기 저장용량이 크게 증진된 셀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 셀(Cell)은 극성을 갖는 그래핀 및 상기 그래핀 사이에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금속박막이 추가되고, 그래핀은 금속박막에 코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셀(Cell)은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전극, 상기 전극의 내측 단면에 코팅된 그래핀 및 상기 그래핀 사이에 위치한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유전체 내부에 그래핀 시트가 더 포함된다.
상기에서, 그래핀은 표면적 확장 형상을 갖는다.
상기에서, 표면적 확장 형상은 다공성 스펀지 형상에 해당한다.
상기에서, 표면적 확장 형상은 표면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그래핀 및 그래핀 시트는 표면적 확장 형상을 갖는다.
상기에서, 그래핀 및 그래핀 시트는 800℃ 이상의 진공상태로 20분 이상 열을 가하여 환원처리 및 불순물을 제거한다.
그래핀 또는 그래핀 및 그래핀 시트를 800℃ 이상의 진공상태로 20분 이상 열을 가하여 환원처리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스프레이(Spray) 또는 스탬프(Stamp)의 압착 방식을 통해 상기 그래핀을 금속 박막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박막 사이에 유전체 시트 또는 유전체 시트와 상기 유전체 시트 사이에 적층되는 그래핀 시트를 삽입한 뒤 압착하여 셀(Cell)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그래핀 셀(Cell)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그래핀 또는 그래핀 및 그래핀 시트를 800℃ 이상의 진공상태로 20분 이상 열을 가하여 환원처리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카본블랙 또는 아세틸렌 블랙을 상기 그래핀, 파라핀과 함께 코팅하여 전극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극 시트 사이에 유전체 시트 또는 유전체 시트와 상기 유전체 시트 사이에 적층되는 그래핀 시트를 삽입한 뒤 압착하여 셀(Cell)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셀(Cell)에 열을 가하여 상기 파라핀이 용융되어 상기 전극 시트 외부로 빠져 나간 위치에 공동이 형성되는 다공성 형성 단계로 이루어지는 그래핀 셀(Cell)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 셀은 높은 전도성 성질을 유지하면서 3분 이내의 완전 충전 시간,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2.8배의 용량, 5,000회 이상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성능을 갖기 때문에 전기 저장장치로써의 성능이 매우 높다.
도 1은 그래핀 및 그래핀 사이에 유전체로 이루어진 셀(Cell)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금속박막에 그래핀이 코팅된 셀(Cell) 사이에 유전체가 삽입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그래핀 사이의 유전체에 그래핀 시트가 더 포함된 셀(Cell)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금속박막에 그래핀이 코팅된 셀(Cell) 사이의 유전체 사이에 그래핀 시트가 더 포함된 셀(Cell)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셀(Cell) 제조방법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셀(Cell) 제조방법 순서도,
도 7은 그래핀 셀(Cell)의 전하 배치 및 내부 구조도,
도 8은 그래핀의 전기 저항을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그래핀과 CNT(carbon nanotube)의 그램 부피를 테스트하여 100 사이클 후에 보유정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10은 금속 분말에 그래핀이 결합된 경우에 전기 저장장치의 성능의 유지 정도를 나타낸 사진과 그래프에 해당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실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서술할 셀(Cell)의 개념은 물질의 화학적·물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이들의 변화로 방출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소형 장치로 정의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그래핀 및 그래핀 사이에 유전체로 이루어진 셀(Cell)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는 금속박막에 그래핀이 코팅된 셀(Cell) 사이에 유전체가 삽입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은 그래핀 사이의 유전체에 그래핀 시트가 더 포함된 셀(Cell)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금속박막에 그래핀이 코팅된 셀(Cell) 사이의 유전체 사이에 그래핀 시트가 더 포함된 셀(Cell)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 셀(Cell)의 경우 일반적으로 극성을 갖는 그래핀(100) 및 그래핀(100) 사이에 유전체(200)가 삽입되면서 형성된다. 그래핀(100) 자체가 전극이 될 수 있고, 그래핀(100)의 지지대 역할을 하기 위해 금속박막(110)이 추가되며 그래핀(100)이 금속박막에 코팅되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금속박막(110)의 경우 전기전도성과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매쉬 구조로 형성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그래핀(100) 자체가 전극이 되는 경우 그래핀 또한 상기와 같은 매쉬 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다.
전극(10)은 외부전극과 내부전극으로 구분 지을 수 있으나, 외면과 내면을 분리하여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통합하여 전극(10)으로 표현하며 내부전극의 경우 전극(10)의 내측 단면으로 대체하여 표현한다. 이러한 전극(10)에 도선이 연결되어 전기저장 장치의 역할이 수행되는 것이다.
금속박막의 경우 일반적으로 구리(Cu)박막 또는 알루미늄(Al) 박막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금속 종류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유전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라믹 또는 기타 폴리머가 이용되지만 이 역시 재료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구리(Cu)박막에 그래핀(100)이 코팅되는 경우 코팅되는 그래핀(100)은 분말과 같은 입자 또는 페이퍼와 같은 부드러운 물성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러한 코팅 층은 임의의 적합한 두께로 형성되는데 전형적으로 5 내지 25μm의 두께 또는 10 내지 2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코팅 층을 포함하는 전극은 임의의 적합한 두께로 형성되는데 전형적으로 5 내지 20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그래핀(100)을 본격적으로 셀(Cell)화 시켜보면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진 전극의 내측 단면에 그래핀(100)을 코팅시키고, 그래핀(100) 사이에 유전체(200)가 위치하여 하나의 기본 그래핀 셀(Cell)이 되는 것이다. 양극과 음극 각각에 도선이 연결되어 전기저장 장치의 역할이 수행된다. 이 경우, 유전체(200) 내부에는 그래핀 시트(300)가 더 포함되면서 결과적으로 축전지 사이 거리가 줄어들게 되는 결과를 도출하며 전기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은 그래핀 셀(Cell)이 추후 설명할 스펀지 모양의 다공성 형상을 갖는 것에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이 존재한다.
종합적으로 그래핀 셀(Cell)의 형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다양한 실시예로 나타날 수 있는데, 첫 번째가 그래핀(100) 자체로 전극(10)이 형성되며 상기 그래핀(100) 사이에 유전체(200)가 삽입되는 구조의 그래핀 셀(Cell), 두 번째가 그래핀(100)이 금속박막(110)에 코팅되어 그래핀(100)과 금속박막(100)의 적층체가 전극(10)이 되며 양극과 음극의 전극(10)사이에 유전체(200)가 삽입되는 구조, 세 번째는 상기 첫 번째 구조와 두 번째 구조에 포함된 유전체(200) 사이에 그래핀 시트(300)를 삽입시키면서 유전체-그래핀 시트-유전체 형상의 내부 구조를 갖는 그래핀 셀(Cell)로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 물리학 법칙에 따라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유전체의 유전율이 높고 전극의 면적이 넓고, 전극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커지기 때문에 그래핀 셀(Cell) 또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전기용량 관련 물리학 법칙이 적용된다. 그래핀 시트(300)를 중간에 삽입하면서 전기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외에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그래핀 셀(Cell)의 그래핀(100)은 표면적 확장 형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적 확장 형상의 경우 1)다공성 스펀지 형상 및 2)표면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다공성 스펀지 형상의 경우 그래핀(100) 표면에 공동이 형성되어 스펀지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가지면서 표면적을 넓혀줌과 동시에 전기 전도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그래핀(100)이 금속박막(110)에 코팅되는 경우, 전극(10)의 전체 중량% 중 20중량% 이상을 함유하는 다공성 스펀지 형상을 갖는 경우 셀(Cell)로써의 기능이 우수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전극(10) 전체 중량%의 60중량% 이상일 것을 요한다. 마찬가지로 주름진 형태의 표면 형상 또한 이와 동일한 원리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그래핀 셀(Cell)이 전기 저장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완전 충전 시간은 3분 이내로 단축되며,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2.8배의 확장된 용량을 가지고, 5,000회 이상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내구성까지 슈퍼 전기 저장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그래핀 셀(Cell)의 제조방법에 대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그래핀 셀(Cell)의 제조 공정 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셀(Cell)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우선적으로 그래핀(100) 및 그래핀 시트(300)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래핀(100) 및 그래핀 시트(300)를 800℃ 이상의 소성로에서 진공상태로 20분 이상 열을 가한다. 이를 통해 환원처리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 그래핀(100) 형태를 보존함으로써 전기 전도도가 향상된다.
그 다음으로, 그래핀(100) 고유의 물성을 활용하여 전극(10)에 전하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도록 그래핀(100)을 금속박막(110)에 코팅하되, 표면적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코팅방법을 사용한다. 금속박막(110)의 경우 그래핀(100)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리(Cu)가 유용하게 사용되나, 구리(Cu) 외 알루미늄(Al)의 사용도 가능하며 특별히 금속의 종류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금속박막(110)과 그래핀(100)으로 이루어지는 전극(10)이 형성되며 그래핀(100)의 중량은 전체 전극(10) 중량의 약 60 중량%에 해당하는 것이 실험 결과 상 가장 바람직하다.
코팅 방법은 그래핀(100)을 금속박막(110)에 스프레이(Spray) 형태로 분사시켜서 부착시키는 형태 또는 스탬프(Stamp) 방식으로 금속박막(110)에 그래핀(100)을 찍어내는 방식 중 택일적으로 코팅이 이루어진다.
그 후, 상기 그래핀(100)이 코팅된 금속박막(110)을 상, 하로 위치시킨 후 그 사이에 유전체(200) 시트 또는 유전체(200) 시트와 유전체(200) 시트 사이에 삽입된 그래핀 시트(300)를 삽입한 뒤 상기 3개의 시트를 압착하여 하나의 셀(Cell)을 형성한다. 유전체(200) 시트는 세라믹 또는 기타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별히 물질의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래핀 시트(300)의 경우 전체적으로 셀(Cell) 중심부에 배치되는 그래핀 심의 형태로 전하를 응집하여 저장하고 방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그래핀(100)이 코팅된 금속박막(110)과 유전체(200) 시트 또는 유전체(200)와 유전체 시트 사이에 삽입된 그래핀 시트(300)는 롤(Roll) 형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3개의 시트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말려 있던 시트들이 펼쳐지며 금속박막-유전체 또는 유전체와 그래핀 시트-금속박막의 3층 적층구조를 이루며 압착기로 들어가 하나의 셀(Cell)로 압착된다. 압착되고 난 후에도 평면 형상 또는 롤(Roll) 형태로의 보관이 가능하며 롤(Roll) 형상의 경우 상기 형상 자체가 전기 저장장치로 바로 응용 될 수 있다.
<실시예 2> 그래핀 셀(Cell)의 제조 공정 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셀(Cell) 제조방법 순서도에 해당한다.
우선적으로 그래핀(100) 및 그래핀 시트(300)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래핀(100) 및 그래핀 시트(300)를 800℃ 이상의 소성로에서 진공상태로 20분 이상 열을 가한다. 이를 통해 환원처리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 그래핀(100) 형태를 보존함으로써 전기 전도도가 향상된다.
그 다음, 그래핀(100)의 표면적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품질이 양호한 카본블랙이나 아세틸렌블랙을 그래핀(100) 코팅하고 이를 파라핀으로 굳혀 전극(10) 시트를 완성시킨다.
그 후, 상기 전극(10) 시트를 상, 하로 하여 그 사이에 유전체(200) 시트 또는 유전체(200) 시트와 유전체(200) 시트 사이에 삽입된 그래핀 시트(300)를 삽입한 뒤 압착하여 셀(Cell)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셀(Cell)에 열을 가하여 함께 코팅되었던 접착 역할을 했던 파라핀이 용융되어 셀(Cell)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면, 파라핀이 빠져나간 위치에는 공동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다공성 스펀지 형태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 셀(Cell)이 완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펀지 형태의 구조로 인해 그래핀의 표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전기전도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하기와 같이 기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표를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 셀(Cell)의 응용 및 성능에 대해 설명해 본다.
<실시예 3> 그래핀 셀(Cell)의 전기 저장 성능
그래핀 셀(Cell)의 전하 배치 및 자세한 구조도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표기하였으며, 그래핀 셀(Cell)의 전기 저장장치로서의 성능은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112020032818468-pat00002
그래핀의 전기 저장 성능을 측정한 결과, 그래핀의 경우 리튬이온보다 1.25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그래핀으로 슈퍼 전기 저장장치를 제조하여, 이를 배터리 산업분야에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순수 그래핀 전기 저장장치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그래핀 전도체의 응용 1
그래핀 전도체의 전기 저항은 하기 표 3과 같다.
Figure 112020032818468-pat00003
상기 표 3에 기재된 각 물질의 저항을 도 7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그래핀 전도체의 응용 2
하기 표 4에 그래핀과 CNT(carbon nanotube)의 그램 부피를 테스트하여 100 사이클 후에 보유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이는 도 8에 기재하였다.
또한, 금속 분말에 그래핀이 결합된 경우에 축전기의 성능의 유지 정도를 나타낸 사진과 그래프를 도 9에 기재하였다.
또한, 리튬코발트 산화물(LCO)에 그래핀을 첨가한 경우의 전기 저장장치 성능의 유지를 표 5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20032818468-pat00004
Figure 112020032818468-pat00005
또한, 인산철리튬(LFP)에 그래핀을 첨가한 경우의 전기 저장장치 성능의 유지를 표 6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20032818468-pat00006
테스트 방법: coin cell, 단위 : mAh/g
<실시예 6> 그래핀 셀(Cell)의 성능 테스트
상기 실시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그래핀 셀(Cell)의 충전시간과 용량을 확인한 결과, 완전 충전 시간은 3분 이내,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2.8배의 용량을 가지며, 5,000회 이상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전극
100: 그래핀
110: 금속박막
200: 유전체
300: 그래핀 시트

Claims (14)

  1. 800℃ 이상의 진공상태로 20분 이상 열을 가하여 환원처리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내부 저항을 감소시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킨 그래핀(100)을 매쉬 구조로 형성된 구리(Cu) 박막(110)에 코팅한 후, 파라핀으로 굳혀 표면적 확장 형상의 전극(10)을 형성하되, 상기 그래핀(100)의 중량은 상기 전극(10) 중량의 60중량% 이상으로 하고,
    상기 전극(10) 사이에 유전체(200)를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유전체(200) 사이에 표면적 확장 형상의 비표면적이 넓은 그래핀 시트(300)를 삽입하여, 상기 전극(10), 상기 유전체(200) 및 상기 그래핀 시트(300)를 하나의 셀로 압착하여 롤(Roll) 또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0) 및 상기 그래핀 시트(300)에 형성된 상기 표면적 확장 형상은 다공성 스펀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0) 및 상기 그래핀 시트(300)에 형성된 상기 표면적 확장 형상은 표면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장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800℃ 이상의 진공상태로 20분 이상 열을 가하여 환원처리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내부 저항을 감소시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킨 그래핀(100) 및 그래핀 시트(30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100)을 스프레이(Spray) 또는 스탬프(Stamp)의 압착 방식을 통해 매쉬 구조로 형성된 구리(Cu) 박막(110)에 코팅하되, 상기 그래핀(100)의 중량을 60중량% 이상으로 하여 전극(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10)을 파라핀으로 굳혀 상기 전극(10)을 완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10) 사이에 유전체(200)를 위치시키고, 상기 유전체(200) 사이에 상기 그래핀 시트(300)를 삽입한 후, 상기 전극(10), 상기 유전체(200) 및 상기 그래핀 시트(300)를 하나의 셀로 압착하여 롤(Roll) 또는 평면 형상으로 전기 저장장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저장장치에 열을 가하여 상기 파라핀이 용융되어 상기 전기 저장장치의 외부로 빠져 나간 위치에 공동이 형성되는 다공성 형성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장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00038079A 2020-03-30 2020-03-30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 Active KR102422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79A KR102422011B1 (ko) 2020-03-30 2020-03-30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79A KR102422011B1 (ko) 2020-03-30 2020-03-30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41A KR20210121441A (ko) 2021-10-08
KR102422011B1 true KR102422011B1 (ko) 2022-07-18

Family

ID=7811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079A Active KR102422011B1 (ko) 2020-03-30 2020-03-30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0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9620A (ja) * 2012-07-23 2015-10-08 清▲華▼大学深▲セン▼研究生院 高密度高硬度のグラフェン多孔質炭素材料、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9774A (ko) * 2013-04-30 2014-11-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향상된 리튬이온 도핑속도를 갖는 흑연전극 및 이를 채용한 리튬이온커패시터
KR102217287B1 (ko) 2015-05-19 2021-02-19 삼성전기주식회사 그래핀 내부전극 적층형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CN110574205A (zh) * 2017-01-02 2019-12-13 3D电池有限公司 能量存储装置和系统
AU2018301683B2 (en) * 2017-07-14 2024-04-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imple route to highly conductive porous graphene from carbon nanodots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9620A (ja) * 2012-07-23 2015-10-08 清▲華▼大学深▲セン▼研究生院 高密度高硬度のグラフェン多孔質炭素材料、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 Bonaccorso et al. ‘Graphene photonics and optoelectronics,’NATURE PHOTONICS, Vol. 4, SEPTEMBER 2010 (2010.08.31.) 1부.*
W. Leong et al., ‘Paraffin-enabled graphene transfer,’ NATURE COMMUNICATIONS (2019) 10:867 (2019.02.20.) 1부.*
Y. Song et al., ‘Visibly-Transparent Organic Solar Cells on Flexible Substrates with All-Graphene Electrodes,’ Adv. Energy Mater. 2016, 6, 1600847 (2016.07.2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41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9870B2 (en) Carbon electrode structures for batteries
TWI536649B (zh) 鋰離子電池
CN103187575B (zh) 薄膜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CN105378978B (zh) 电极、电化学电池及形成电极和电化学电池的方法
US10644324B2 (en) Electrode material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CN103187586B (zh) 锂离子电池
CN103187572B (zh) 薄膜锂离子电池
CN103187573B (zh) 锂离子电池电极
CN105097289B (zh) 混合储能器件
JP2013140820A (ja) 充電式電池(2次電池)用シリコン陽極
JPH09506209A (ja) 改良されたスーパー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法
CN102804300A (zh) 包含电活性隔离器的电能储存装置
TWI445234B (zh) 鋰離子電池電極之製備方法
US9786445B2 (en) Supercapacitor configurations with graphene-based electrodes and/or peptide
CN103187591B (zh) 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WO2024221997A1 (zh) 电池、电池包、电子设备及储能系统
TWI464946B (zh) 鋰離子電池電極的製備方法
US20200194793A1 (en)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having carbon additives
KR102422011B1 (ko)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
JP2006032371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40006582A1 (en) Carbon electrode structures for batteries
JP3786551B2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03276B2 (ja) 大容量キャパシタ装置及び二次電池
JPS63194319A (ja) エネルギ−貯蔵装置
JP2002231589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