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34590B1 -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590B1
KR102434590B1 KR1020210087381A KR20210087381A KR102434590B1 KR 102434590 B1 KR102434590 B1 KR 102434590B1 KR 1020210087381 A KR1020210087381 A KR 1020210087381A KR 20210087381 A KR20210087381 A KR 20210087381A KR 102434590 B1 KR102434590 B1 KR 102434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ank
air
pipe
water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21008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5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01D19/04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by addition of chemical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30Devices providing a sequential discharge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오수를 집수하고, 집수된 오수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수시키는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고 오수 유입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온 오수를 집수하는 오수 탱크, 오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 오수 보조탱크, 공기를 저장하고 있는 공기 저장탱크, 오수 탱크 내에 설치되고 오수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알림을 통지하는 수위 센서, 공기 저장탱크에 연결된 콤프레셔, 및 수위 센서로부터의 최고 수위 알림을 통지 받으면 오수 유입 경로를 차단하고, 콤프레셔를 동작시켜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공기 공급 경로를 통해 오수 탱크 내로 공급하여, 오수 탱크 내의 오수를 오수 배출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오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제어반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SEWAG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오수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수를 집수하고, 집수된 오수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수시키는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또는 업무 등을 위한 건물에는 건물 사용에 따른 각종 오수가 발생하게 되며, 오수는 집수 탱크(또는 오수 탱크)에 집수되었다가 배수 처리를 통해 집수 탱크에서 배출되어 오수 처리장으로 전달된다.
특히 자연 배수가 어려운 지하층에 집수 탱크가 설치되는 경우 펌프 등을 이용하여 집수 탱크에 집수된 오수를 강제로 배수 처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지하층에 설치된 집수 탱크에 집수된 오수를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 배출하는 방식은 집수 탱크 용량에 비하여 오수 배출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오수의 부폐로 인한 악취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집수 탱크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발생된 악취가 각종 틈새 및 오수 유입 배관을 타고 건물 각 층이나 화장실 등으로 역류하게 됨으로써, 곳곳의 장소가 악취에 의하여 오염되는 등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갖는다.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989-0007916호, 공고일 1989. 11. 10.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에서는 공기압을 이용한 오수 배출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오수 탱크에 오수가 충만하게 유입되었을 경우에는 압축공기를 순간적으로 유입시켜서 오수를 극히 짧은 시간에 배출시키도록 구성하였으며, 또한 오수탱크내로 오수를 유·출입시키는 오수 유출입관의 단부는 오수탱크에 항상 저장상태로 남아 있게 되는 미배출 오수 수위속에 잠겨 있도록 함으로써 오수 배출 작업시 악취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등의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공개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에서는 컴프레셔가 고장시 오수를 배출할 수 없으며, 체크 밸브에 이물질이 끼면서 체크밸브 불량 발생시 유입되는 오수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고, 압축공기의 습기를 통하여 밸브의 고장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수, 및 오수의 배출을 위해 이용된 공기의 이동이 밀폐된 배관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수에 의한 악취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의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에 의해 오수 처리 장치 내부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 탱크 내에 유입되는 거품을 차단하여, 거품에 의해 오수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의도하는 기타의 과제들 또한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는, 오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고 오수 유입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온 오수를 집수하는 오수 탱크, 오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 오수 보조탱크, 공기를 저장하고 있는 공기 저장탱크, 오수 탱크 내에 설치되고 오수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알림을 통지하는 수위 센서, 공기 저장탱크에 연결된 콤프레셔, 및 수위 센서로부터의 최고 수위 알림을 통지 받으면 오수 유입 경로를 차단하고, 콤프레셔를 동작시켜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공기 공급 경로를 통해 오수 탱크 내로 공급하여, 오수 탱크 내의 오수를 오수 배출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오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제어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보조탱크는, 오수 보조탱크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소포제를 분사하는 소포제 분사체, 오수 보조탱크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유화제를 분사하는 유화제 분사체, 오수 보조탱크의 상단에 마련되어 오수 보조탱크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 및 오수 보조탱크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오수 보조탱크 내에 오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반은, 오수 탱크 내의 오수 배출을 완료하면, 오수 유입 경로를 개방시켜 오수 유입 경로를 통해 오수가 오수 탱크로 이동되도록 하고, 오수 탱크 내의 공기를 공기 배출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반은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으면, 오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 나이프 밸브를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공기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부의 삼방 밸브를 제어하여 삼방 밸브의 공기 저장탱크 측의 제1 단과 오수 탱크 측의 제2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반은 오수 탱크 내의 오수 배출을 완료하면, 오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 나이프 밸브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공기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부의 삼방 밸브를 제어하여 삼방 밸브의 오수 탱크 측의 제2 단과 공기 배출관 측의 제3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공기 저장탱크 측의 제1 단을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유입 경로는, 오수 탱크에 설치된 오수 유출입관, 및 오수 유입관과 오수 유출입관 사이에 설치된 오수 유입 연결관을 포함하고, 나이프 밸브는 오수 유입 연결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유입 연결관에 제1 게이트 밸브 및 제1 체크 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유입 연결관은 오수 유출입관과 오수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제1 오수 유입 연결관과, 오수 보조탱크와 오수 유입관을 연결하는 제2 오수 유입 연결관을 포함하고, 제1 오수 유입 연결관은 오수 보조탱크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고, 제2 오수 유입 연결관은 오수 보조탱크의 타측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공급 경로는, 공기 저장탱크와 삼방 밸브의 제1 단 사이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 및 삼방 밸브의 제2 단과 오수 탱크 사이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관을 포함하고, 제어반은 콤프레셔를 동작시켜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공기 공급관, 삼방 밸브의 제1 단 및 제2 단, 및 공기 유출입관을 통해 오수 탱크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배출 경로는, 오수 탱크에 설치된 오수 유출입관, 오수 유출입관과 오수 배출관 사이에 설치된 오수 배출 연결관, 및 오수 배출 연결관에 설치된 제2 게이트 밸브 및 제2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배출 경로는, 오수 탱크와 삼방 밸브의 제2 단 사이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관, 및 삼방 밸브의 제3 단과 공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된 공기 배출 연결관을 포함하고, 오수 탱크 내의 공기는 공기 유출입관, 삼방 밸브의 제2 단 및 제3 단, 및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공급관에는 레귤레이터 세트가 설치되고, 레귤레이터 세트는 공급 저장탱크로부터의 공기를 기 설정된 압력으로 배출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공급 저장탱크로부터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 및 공급 저장탱크로부터의 공기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 제거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반은, 수위 센서로부터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는 경우에 오수 배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반은, 오수 탱크의 오수를 배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한 후부터 카운트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오수 배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처리 장치는 공기 배출관에 설치된 탈취기 및 소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방법은, 오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오수 유입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오수 탱크에 집수되는 단계, 오수 탱크 내의 수위 센서가 오수가 최고 수위에 도달하면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제어반으로 통지하는 단계, 제어반이 콤프레셔를 동작시켜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오수 탱크의 내부로 공급하여 오수 탱크 내의 오수를 오수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제어반이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되면, 오수 탱크에 대한 오수 배출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유입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오수는 오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 오수 보조탱크를 거치면서 소포제에 의해 거품이 제거된 상태로 오수 탱크에 집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를 오수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는, 오수 탱크로 이어지는 오수 유입 경로 상의 나이프 밸브를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오수 탱크로 이어지는 공기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삼방 밸브를 공기 공급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콤프레셔를 동작시켜 공기 저장탱크 내에 압력을 가하여,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공기 공급 경로를 따라 오수 탱크의 내부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삼방 밸브를 공기 공급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삼방 밸브의 공기 저장 탱크와 연결된 제1 단과 오수 탱크와 연결된 제2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 공기 배출관과 연결된 제3 단을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여, 공기 저장탱크로부터의 공기가 삼방 밸브의 제1 단과 제2 단을 통해 오수 탱크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레귤레이터 세트를 통과하여, 수분, 불순물 및 오일이 제거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압력으로 오수 탱크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배출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는, 오수 탱크로 이어지는 오수 유입 경로 상의 나이프 밸브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오수 탱크로 이어지는 공기 배출 경로 상의 삼방 밸브를 공기 배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콤프레셔의 동작을 종료시켜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가 오수 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삼방 밸브를 공기 배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삼방 밸브의 오수 탱크와 연결된 제2 단과 공기 배출관과 연결된 제3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 공기 저장 탱크와 연결된 제1 단을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여, 오수 탱크 내의 공기가 삼방 밸브의 제2 단과 제3 단을 통해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반은 수위 센서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는 경우에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반은 오수 탱크 내의 오수를 배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한 후부터 카운트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의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및 오수의 배출을 위해 이용된 공기의 이동이 밀폐된 배관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수에 의한 악취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압의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에 의해 오수 처리 장치 내부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배출관을 통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공기 배출관에 설치된 소음기를 이용하여 줄일 수 있으므로, 주변 공간이 소음 공해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배출관에 설치된 탈취기를 이용하여,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어, 주변 공간이 악취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품이 오수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거품에 의해 오수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수 처리 장치의 동작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잦은 동작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부품 교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의 내용은 청구범위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범위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례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오수 집배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오수 보조탱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공기 공급 및 배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레귤에이터 세트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오차 범위에 대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후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례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는 하나의 셋(set)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한 셋의 오수 처리 장치는 설치 구역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는 오수 탱크(110), 오수 보조탱크(120), 공기 저장탱크(130), 콤프레셔(140),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 제2 레귤레이터 세트(160), 다수의 배관들, 다수의 밸브들, 및 제어반(19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수 처리 장치의 구성이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오수 처리 장치가 하나의 오수 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예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오수 탱크를 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수 처리 장치가 하나의 오수 보조탱크(120), 하나의 공기 저장탱크(130), 2개의 콤프레셔(140), 하나의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 하나의 제2 레귤레이터 세트(160)를 포함하는 것이 예시되나, 각 구성들의 개수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는 오수 탱크(110)에 설치된 수위 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위 센서(111)는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반(190)으로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센서(111)는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가 최고 수위에 도달하면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제어반(190)으로 통지할 수 있고,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제어반(190)으로 통지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을 제어반(190)으로 통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배관들 및 다수의 밸브들 오수의 유입, 오수의 배출, 공기의 이동을 위해 배치되는 것으로, 배치 목적 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오수 집수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오수 집배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오수 집수에 대해서 설명하면, 오수 탱크(110)는 오수 유입 경로(P_SI)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저장(또는 집수)할 수 있다.
오수 탱크(110)는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 유입관(170a)에 연결되며, 오수 탱크(110)와 오수 유입관(170a) 사이에 오수 유입 경로(P_SI)가 형성될 수 있다.
오수 탱크(110)에는 오수 유출입관(171)이 배치되고, 오수 유출입관(171)과 오수 유입관(170a) 사이에는 오수 유입부(SIP)가 배치될 수 있다.
오수 유입부(SIP)는 오수 유입관(170a)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편, 오수 탱크(110)로부터의 오수가 오수 유입관(170a)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오수가 오수 유입관(170a)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수 유입부(SIP)는 오수 유입 연결관(172), 게이트 밸브(또는 제1 게이트 밸브)(181), 나이프 밸브(182), 및 체크 밸브(또는 제1 체크 밸브)(18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밸브(181), 나이프 밸브(182) 및 제1 체크 밸브(183)는 밸브부(또는 제1 밸브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오수 유입 연결관(172)은 오수 유입관(170a)과 오수 유출입관(171) 사이에 배치되어, 오수 유입관(17a)과 오수 유출입관(171)을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오수 유입 연결관(172)의 일단은 오수 유입관(170a)과 연결되고, 오수 유입 연결관(172)의 타단은 오수 유출입관(17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밸브(181), 나이프 밸브(182), 및 제1 체크 밸브(183)는 오수 유입 연결관(172)에 배치되고, 오수 유입관(170a)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편, 오수 탱크(110)로부터의 오수가 오수 유입관(170a)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밸브(181)가 오수 유입관(170a) 측에 배치되고, 제1 체크 밸브(183)가 오수 유출입관(171) 측에 배치되고, 나이프 밸브(182)가 제1 게이트 밸브(181)와 제1 체크 밸브(18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오수 유입관(170a)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는 오수 유입부(SIP) 및 오수 유출입관(171)을 따라 이동되어 오수 탱크(100)에 집수될 수 있다. 즉, 오수 유입관(170a), 오수 유입부(SIP), 및 오수 유출입관(171)은 오수 유입 경로(P_SI)를 형성할 수 있다.
나이프 밸브(182)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식 밸브로서, 예를 들면, 제어반(19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오수 유입관(170a)으로부터의 오수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편, 오수 탱크(110)로부터의 오수가 오수 유입관(170a)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프 밸브(182)는 제어반(190)의 개방 제어에 따라 열린 상태가 되어 오수 유입관(170a)으로부터의 오수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프 밸브(182)는 제어반(190)의 차단 제어에 따라 닫힌 상태가 되어, 오수 유입관(170a)으로부터의 오수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오수 탱크(110)로부터의 오수가 오수 유입관(170a)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유입 경로(P_SI) 상에 오수 보조탱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수 보조탱크(120)는 오수 유입 연결관(172)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밸브부와 오수 유입관(17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오수 보조탱크(120)는 거품이 많은 오수(ex, 세탁 오수 등)가 유입되는 경우, 거품이 오수 탱크(11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거품이 많은 오수가 그대로 오수 탱크(110)에 유입되면, 오수가 일정 수준까지 도달하지 않았으나 거품이 수위 센서(111)에 의해 감지되어 오수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오수 유입 경로(P_SI) 상에 오수 보조탱크(120)를 배치하면, 오수 보조탱크(120)에서 거품이 여과 또는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오수 탱크(110) 내부로 거품이 유입됨에 따라 오수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수 처리 장치의 동작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잦은 동작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부품 교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오수 보조탱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수 보조탱크(120)는 오수 유입 연결관(17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오수 유입 경로(P_SI) 상의 밸브부와 오수 유입관(17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오수 유입 연결관(172)은 오수 유출입관(171)과 오수 보조탱크(120)를 연결하는 제1 오수 유입 연결관(172a)과, 오수 보조탱크(120)와 오수 유입관(170a)을 연결하는 제2 오수 유입 연결관(172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수 유입 연결관(172a)은 오수 보조탱크(120)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고, 제2 오수 유입 연결관(172b)은 오수 보조탱크(120)의 타측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오수 유입 연결관(172a)과 제2 오수 유입 연결관(172b) 사이에는 높이 차가 발생되기 때문에, 제2 오수 유입 연결관(172b)을 통해 오수 보조탱크(120)에 유입된 오수는 제1 오수 유입 연결관(172a)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오수 보조탱크(120) 내부에는 오수 보조탱크(120) 내부의 거품을 제거하는 소포제를 분사하는 소포제 분사체(121)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포제 분사체(121)는 오수 보조탱크(12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거품이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소포제를 분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오수 보조탱크(120) 내부에는 오수 보조탱크(120) 내에 유화제를 분사하는 유화제 분사체(12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제 분사체(122)는 오수 보조탱크(12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시간마다 유화제를 분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오수 보조탱크(120)의 외부 상단에는 오수 보조탱크(1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구(124)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124)는 공기 배출 분기관(1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수 보조탱크(120)에는 개폐되는 형태의 점검구(12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기 배출 분기관(125)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수 보조탱크(120)에는 오수 보조탱크(120) 내 오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센서(126)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센서(126)는 점검구(213)에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경보 센서(126)는 경보음을 알리거나, 경보 발생 알림을 제어반(190) 또는 단말기(200)로 통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소포제 분사체(121)와 연결되어 소포제 분사체(121)로 소포제를 공급하는 소포제 공급부(210)와, 유화제 분사체(122)와 연결되어 유화제 분사체(122)로 유화제를 공급하는 유화제 공급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오수 배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오수 배수에 대해서 설명하면, 오수 탱크(110)에 집수된 오수는 공기 저장탱크(130)로부터의 공기가 오수 탱크(110) 내로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오수 배출 경로(P_SO)를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수 탱크(110)는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 배출관(170b)에 연결되며, 오수 탱크(110)와 오수 배출관(170b) 사이에 오수 배출 경로(P_SO)가 형성될 수 있다.
오수 탱크(110)에 배치된 오수 유출입관(171)과 오수 배출관(170b) 사이에 오수 배출부(SOP)가 배출될 수 있다. 오수 배출부(SOP)는 오수 유출입관(171)으로부터 이동되어 온 오수를 오수 배출관(170b)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수 배출부(SOP)는 오수 배출 연결관(173), 게이트 밸브(또는 제2 게이트 밸브)(184), 체크 밸브(또는 제2 체크 밸브)(18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게이트 밸브(184) 및 제2 체크 밸브(185)는 밸브부(또는 제2 밸브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오수 배출 연결관(173)은 오수 배출관(170b)과 오수 유출입관(171) 사이에 배치되고, 오수 배출관(170b)과 오수 유출입관(171)을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오수 배출 연결관(173)의 일단은 오수 배출관(170b)과 연결되고, 오수 배출 연결관(173)의 타단은 오수 유출입관(17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밸브(184) 및 제2 체크 밸브(185)는 오수 배출 연결관(173)에 배치되고, 오수 탱크(110)로부터 오수 유출입관(171)을 통해 이동되어 온 오수가 오수 배출관(170b)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게이트 밸브(184)가 오수 배출관(170b) 측에 배치되고, 제2 체크 밸브(185)가 오수 유출입관(171)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오수 탱크(110)에 집수된 오수는 오수 탱크(110)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오수 유출입관(171), 오수 배출 연결관(173), 및 오수 배출관(170b)을 통해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오수 유출입관(171), 오수 배출 연결관(173), 및 오수 배출관(170b)은 오수 배출 경로(P_SO)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 공급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공기 공급 및 배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공기 공급에 대해서 설명하면, 공기 저장탱크(130) 내의 공기는 콤프레셔(140)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공기 공급 경로(P_AI)를 따라 이동되어 오수 탱크(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저장탱크(130)는 공기로 채워져 있으며, 콤프레셔(140)의 동작에 따른 압력이 공기 저장탱크(130) 내부에 가해지면, 공기 저장탱크(130) 내의 공기는 공기 공급 경로(P_AI)를 따라 오수 탱크(110)로 이동되고, 오수 탱크(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압의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해 오수 처리 장치 내부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콤프레셔(140)는 제어반(19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반(190)의 제어에 따라, 하나의 콤프레셔(140)가 동작하거나, 다수의 콤프레셔(140)가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다.
공기 공급 경로(P_AI)는 공기 공급관(170c), 삼방 밸브(186), 공기 유출입관(17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공급관(170c)은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공기 저장탱크(130)의 일측에 설치되며, 공기 공급관(170c)의 일단이 공기 저장탱크(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기 공급관(170c)의 타단이 삼방 밸브(18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공급관(170c)은 삼방 밸브(186)의 제1 단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유출입관(174)은 삼방 밸브(186)와 오수 탱크(110) 사이에 배치되어 삼방 밸브(186)와 오수 탱크(110)를 연결시키며, 삼방 밸브(186)로부터의 공기가 오수 탱크(110)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오수 탱크(110)로부터의 공기가 삼방 밸브(186)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출입관(174)은 삼방 밸브(186)의 제2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저장탱크(130)의 공기는 공기 공급관(170c), 삼방 밸브(186), 및 공기 유출입관(174)을 따라 이동되어 오수 탱크(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삼방 밸브(186)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식 밸브로서, 예를 들면, 제어반(190)의 제어에 따라 삼방 밸브(186)의 제1 단 및 제2 단이 열린 상태가 되어 공기 공급관(170c)으로부터의 공기가 오수 탱크(1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삼방 밸브(186)의 제3 단은 닫힌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 및 제2 레귤레이터 세트(160)가 공기 공급관(170c)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는 공기 저장탱크(130)와 인접하도록 공기 공급관(170c)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레귤에이터 세트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의 구성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는 레귤레이터(151)를 포함하여, 공기 저장탱크(130)로부터의 공기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압력으로 배출함으로써 오수 탱크(110)로 일정한 압력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의 레귤레이터(151)는 공기에 대해 1차적으로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는 오일 제거부(152) 및 필터(15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일 제거부(152)는 공기 저장탱크(130)로부터의 공기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예를 들어, 오일을 거르는 형태, 오일 제거제를 분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153)는 공기 저장탱크(130)로부터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53)가 공기 저장탱크(13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고, 오일 제거부(152) 및 레귤레이터(151)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레귤레이터 세트(160)가 공기 공급관(170c)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레귤레이터 세트(160)는 레귤레이터(161)를 포함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대해 2차적으로 압력을 낮추어 오수 탱크(110)로 일정한 압력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를 이용하여 공기의 압력을 한 번에 많이 낮추는 것보다, 제1 및 제2 레귤레이터 세트(150, 160)를 이용하여 나누어 공기의 압력을 낮추는 것이 기구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으며, 2개의 레귤레이터 세트(150, 160)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레귤레이터 세트가 공기 공급관(170c)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배기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공기 배기에 대해서 설명하면, 오수 탱크(110) 내의 공기는 공기 배출 경로(P_AO)를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공급 경로(P_AI)와 공기 방출 경로(P_AO)는 동일하지 않으며, 공기 공급 경로(P_AI) 상의 구성과 공기 방출 경로(P_AO) 상의 일부 구성은 중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구성이 공기 공급 경로(P_AI) 및 공기 방출 경로(P_AO) 모두에 이용될 수 있다.
오수 탱크(110) 내의 공기는 공기 배출 경로(P_AO)를 따라 이동되어 공기 배출관(170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배출 경로(P_AO)는 공기 유출입관(174), 삼방 밸브(186), 공기 배출 연결관(175), 및 공기 배출관(170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유출입관(174)은 삼방 밸브(186)와 오수 탱크(110) 사이에 배치되어 삼방 밸브(186)와 오수 탱크(110)를 연결시키며, 오수 탱크(110) 내의 공기가 공기 유출입관(174)을 통해 삼방 밸브(186)로 이동될 수 있다.
삼방 밸브(186)의 제2 단은 공기 유출입관(174)에 연결되고, 삼방 밸브(186)의 제3 단은 공기 배출 연결관(175)에 연결되며, 삼방 밸브(186)의 제2 단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삼방 밸브(186)의 제3 단을 통해 공기 배출 연결관(175)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연결관(175)은 삼방 밸브(186)의 제3 단과 공기 배출관(170d) 사이에 배치되어 삼방 밸브(186)와 공기 배출관(170d)을 연결시키며, 삼방 밸브(186)로부터의 공기가 공기 배출관(170d)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오수 탱크(110)로부터의 공기는 공기 유출입관(174), 삼방 밸브(186), 공기 배출 연결관(175), 및 공기 배출관(170d)을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삼방 밸브(186)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식 밸브로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반(190)의 제어에 따라 삼방 밸브(186)의 제2 단 및 제3 단이 열린 상태가 되어 공기 유출입관(174)으로부터의 공기가 공기 배출 연결관(175)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삼방 밸브(186)의 제1 단은 닫힌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유출입관(174) 및 삼방 밸브(186)는 공기 유출입부(AIOP)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 유출입부(AIOP)는 공기 공급관(170c)으로부터의 공기를 오수 탱크(110)로 이동시키거나, 오수 탱크(110)로부터의 공기를 공기 배출 연결관(175)을 통해 공기 배출관(170d)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공기 배출관(170d)에는 탈취기, 소음기 등과 같은 주변 구성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탈취기가 공기 배출관(170d)에 배치되면, 공기 배출관(170d)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어, 주변 공간이 악취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음기가 공기 배출관(170d)에 배치되면, 공기 배출관(170d)을 통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므로, 주변 공간이 소음 공해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수 탱크(110) 내에 설치된 수위 센서(111)는 오수 탱크(110) 내에 집수된 오수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반(190)으로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센서(111)는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가 기 설정된 최고 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반(190)으로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센서(111)는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을 제어반(190)으로 통지할 수 있다.
제어반(190)은 나이프 밸브(182)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오수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반(190)은 나이프 밸브(182a)를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오수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오수가 오수 유입관(170a)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반(190)은 동작 초기,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경우, 또는 오수를 배출시키기 시작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나이프 밸브(182)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경우에 나이프 밸브(182)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반(190)은 삼방 밸브(186)를 공기 공급 상태(또는 제1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공기 저장탱크(130)로부터의 공기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공급 상태(또는 제1 상태)는 삼방 밸브(186)의 제1 단과 제2 단은 열리고, 삼방 밸브(186)의 제3 단은 닫힌 상태이다.
제어반(190)은 삼방 밸브(186)를 공기 배출 상태(또는 제2 상태)가 되도록 하여 오수 탱크(110) 내의 공기가 공기 배출관(170d)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배출 상태(또는 제2 상태)는 삼방 밸브(186)의 제1 단은 닫히고, 삼방 밸브(186)의 제2단과 제3 단은 열린 상태이다.
예를 들어, 제어반(190)은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경우에 공기 공급 상태(또는 제1 상태)가 되도록 삼방 밸브(186)를 제어하고,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경우, 또는 오수를 배출시키기 시작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공기 배출 상태(또는 제2 상태)가 되도록 삼방 밸브(18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반(190)은 콤프레셔(140)를 제어하여 콤프레셔(140)가 공기 저장탱크(130) 내의 공기를 압축시켜, 공기 저장탱크(130) 내의 공기가 공기 공급관(170c)을 통해 이동되어 오수 탱크(11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반(190)은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경우에 콤프레셔(140)를 동작시켜 공기 저장탱크(130) 내의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반(190)은 기 설정된 단말기(200)로 동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정보는 제어반(190)이 제공받은 정보, 일례로 수위 센서(111)로부터 통지된 알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정보는 제어반(190)이 다른 구성을 제어하고 있는 정보, 일례로, 콤프레셔(140)에 대한 제어 정보, 나이프 밸브(182)에 대한 제어 정보, 삼방 밸브(186)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반(190)은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이 통지되지 않는 경우, 오수 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기(20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반(190)은 소정 시간 동안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 지속적으로 통지 받은 경우에, 수위 센서(111)가 오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한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제어반(190)은 경보 센서(126)로부터 경보 발생 알림을 통지 받은 경우 단말기(200)로 경보 발생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제어반(190)은 경보 센서(126)로부터 경보 발생 알림을 통지 받은 경우, 수위 센서(111)가 오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구성, 및 구성별 동작 또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수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오수 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을 위해, 나이프 밸브(182)는 열린 상태이고, 삼방 밸브(186)의 제1 내지 제3 단은 닫힌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오수 유입관(170a)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는 오수 유입 경로(P_SI)를 따라 이동되어 오수 탱크(110)에 집수된다(S700).
단계 S700에서, 오수 유입 경로(P_SI) 상에는 오수 보조탱크(12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수는 오수 보조탱크(120) 내에서 분사되는 소포제에 의해 거품이 제거된 상태로 오수 탱크(1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700에서 오수는 오수 보조탱크(120) 내에서 분사되는 유화제를 포함한 상태로 오수 탱크(1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수 탱크(110) 내에 집수되는 오수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기 설정된 최고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오수 탱크(110) 내의 수위 센서(111)가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제어반(190)으로 통지한다(S710).
단계 S710 이후, 제어반(190)이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한 수위 센서(111)가 설치된 오수 탱크(1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를 오수 배출관(170b)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S720).
단계 S720에서, 제어반(190)은 오수 탱크(110)로 이어지는 오수 유입 경로(P_SI) 상의 나이프 밸브(182)를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S721), 오수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어반(190)은 오수 탱크(110)로 이어지는 공기 유출입부(AIOP)의 삼방 밸브(186)를 공기 공급 상태(또는 제1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S722), 공기가 삼방 밸브(186)를 통해 오수 탱크(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722에서, 제어반(190)은 삼방 밸브(186)의 제1 단 및 제2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삼방 밸브(186)의 제3 단을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반(190)은 콤프레셔(140)를 동작시켜 공기 저장탱크(130) 내에 압력을 가하여, 공기 저장탱크(130) 내의 공기가 삼방 밸브(186)를 포함하는 공기 공급 경로(P_AI)를 따라 오수 탱크(1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S723).
단계 S723에서, 공기는 공기 공급 경로(P_AI) 상에 설치된 제1 레귤레이터 세트(150)를 통과하며, 이에 따라, 수분, 불순물 및 오일이 제거된 상태의 공기가 기 설정된 압력으로 오수 탱크(1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수 탱크(110)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는 오수 배출 경로(P_SO)를 따라 이동되어 오수 배출관(17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반(190)이 단계 S720에 따라 오수 배출 동작을 수행한 후,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이 통지되지 않는 경우, 오수 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기(20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20 이후, 제어반(190)은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를 배출시키고,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되면, 오수 탱크(110)에 대한 오수 배출 동작을 중단한다(S730).
단계 S730에서, 제어반(190)은 오수 탱크(110)로 이어지는 오수 유입 경로(P_SI) 상의 나이프 밸브(182)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S731), 오수가 오수 탱크(1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반(190)은 오수 탱크(110)로 이어지는 공기 유출입부(AIOP)의 삼방 밸브(186)를 공기 배출 상태(또는 제2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S732), 오수 탱크(110) 내의 공기가 삼방 밸브(186)를 통해 공기 배출관(170d)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732에서, 제어반(190)은 삼방 밸브(186)의 제1 단을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고, 삼방 밸브(186)의 제2 단 및 제3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반(190)은 콤프레셔(140)의 동작을 종료시켜 공기 저장탱크(130) 내의 공기가 오수 탱크(110)로 공급하는 것을 중단시킨다(S733).
단계 S730에서, 제어반(190)은 오수 탱크(110) 내의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는 경우에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제어반(190)은 단계 S720에 따라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를 배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한 후부터 카운트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반(190)은 소정 시간 동안 수위 센서(111)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지속적으로 통지 받은 경우, 수위 센서(111)가 오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한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반(190)은 경보 센서(126)로부터 경보 발생 알림을 통지 받은 경우, 수위 센서(111)가 오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오수 탱크(110) 내의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오수 탱크 111: 수위 센서
120: 오수 보조탱크 121: 소포제 분사체
122: 유화제 분사체 123: 점검구
124: 공기 배출구 125: 공기 배출 분기관
126: 경보 센서 130: 공기 저장탱크
140: 콤프레셔 150: 제1 레귤레이터 세트
160: 제2 레귤레이터 세트 170a: 오수 유입관
170b: 오수 배출관 170c: 공기 공급관
170d: 공기 배출관 171: 오수 유출입관
172: 오수 유입 연결관 173: 오수 배출 연결관
174: 공기 유출입관 175: 공기 배출 연결관
181, 184: 게이트 밸브 182: 나이프 밸브
183, 185: 체크 밸브 190: 제어반
200: 단말기 AIOP1, AIOP2: 공기 유출입부
SIP: 오수 유입부 SOP: 오수 배출부

Claims (26)

  1. 오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고 오수 유입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온 오수를 집수하는 오수 탱크;
    상기 오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 오수 보조탱크;
    공기를 저장하고 있는 공기 저장탱크;
    상기 오수 탱크 내에 설치되고 오수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알림을 통지하는 수위 센서;
    상기 공기 저장탱크에 연결된 콤프레셔; 및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의 최고 수위 알림을 통지 받으면 상기 오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 나이프 밸브를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오수 유입 경로를 차단하고, 공기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부의 삼방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삼방 밸브의 상기 공기 저장탱크 측의 제1 단과 상기 오수 탱크 측의 제2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콤프레셔를 동작시켜 상기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공기 공급 경로를 통해 상기 오수 탱크 내로 공급하여, 상기 오수 탱크 내의 오수를 오수 배출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오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제어반을 포함해서 하나의 셋으로 구성되고,
    한 셋의 오수 처리 장치는 설치 구역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 경로는 상기 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삼방 밸브의 제1 단 사이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 및
    상기 삼방 밸브의 제2 단과 상기 오수 탱크 사이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콤프레셔를 동작시켜 상기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관, 상기 삼방 밸브의 상기 제1 단과 제2 단 및 상기 공기 유출입관을 통해 상기 오수 탱크에 공급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에는 레귤레이터 세트가 설치되며,
    상기 레귤레이터 세트는 상기 공기 저장탱크로부터의 공기를 기 설정된 압력으로 배출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저장탱크로부터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공기 저장탱크로부터의 공기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 제거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수 유입 경로에는 오수 보조탱크 내부의 거품을 제거해서 상기 오수 탱크 내부에 거품 유입으로 인한 오수 처리 장치의 동작을 방지하도록, 오수 보조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는 경우에 오수 배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오수 탱크의 오수를 배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한 후부터 카운트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오수 배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오수 탱크 내의 오수 배출을 완료하면, 상기 오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 나이프 밸브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오수 유입 경로를 개방시켜 상기 오수 유입 경로를 통해 오수가 상기 오수 탱크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부의 삼방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삼방 밸브의 상기 오수 탱크 측의 제2 단과 공기 배출관 측의 제3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기 저장탱크 측의 제1 단을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오수 탱크 내의 공기를 공기 배출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며,
    상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아 오수 배출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이 통지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보조탱크는 상기 오수 보조탱크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소포제를 분사하는 소포제 분사체;
    상기 오수 보조탱크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유화제를 분사하는 유화제 분사체;
    상기 오수 보조탱크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오수 보조탱크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 및
    상기 오수 보조탱크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 보조탱크 내에 오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오수 유입 경로는 상기 오수 탱크에 설치된 오수 유출입관;
    상기 오수 유입관과 상기 오수 유출입관 사이에 설치된 오수 유입 연결관; 및
    상기 오수 유입 연결관에 설치된 제1 게이트 밸브 및 제1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나이프 밸브는 상기 오수 유입 연결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 배출 경로는 상기 오수 탱크에 설치된 오수 유출입관;
    상기 오수 유출입관과 상기 오수 배출관 사이에 설치된 오수 배출 연결관; 및
    상기 오수 배출 연결관에 설치된 제2 게이트 밸브 및 제2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유입 연결관은 상기 오수 유출입관과 상기 오수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제1 오수 유입 연결관과, 상기 오수 보조탱크와 상기 오수 유입관을 연결하는 제2 오수 유입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오수 유입 연결관은 상기 오수 보조탱크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오수 유입 연결관은 상기 오수 보조탱크의 타측 상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경로는 상기 오수 탱크와 상기 삼방 밸브의 제2 단 사이에 설치된 공기 유출입관; 및
    상기 삼방 밸브의 제3 단과 상기 공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된 공기 배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오수 탱크 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 유출입관, 상기 삼방 밸브의 상기 제2 단 및 제3 단, 및 상기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관에 설치된 탈취기 및 소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16. 삭제
  17. 오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수 처리 장치가 하나의 셋으로 구성되고, 한 셋의 오수 처리 장치는 설치 구역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 설치된 상태에서 오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오수 유입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오수 탱크에 집수되는 단계;
    상기 오수 탱크 내의 수위 센서가 오수가 최고 수위에 도달하면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제어반으로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반이 콤프레셔를 동작시켜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상기 오수 탱크의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오수 탱크 내의 오수를 오수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반이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오수 탱크에 대한 오수 배출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수 유입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오수는 오수 보조탱크 내부에 거품 유입으로 인한 오수 처리 장치의 동작을 방지하도록, 상기 오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 오수 보조탱크를 거치면서 거품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오수 탱크에 집수되고,
    상기 오수를 오수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오수 탱크로 이어지는 오수 유입 경로 상의 나이프 밸브를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수 탱크로 이어지는 공기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삼방 밸브를 공기 공급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콤프레셔를 동작시켜 상기 공기 저장탱크 내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 경로를 따라 상기 오수 탱크의 내부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삼방 밸브를 공기 공급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삼방 밸브의 상기 공기 저장 탱크와 연결된 제1 단과 상기 오수 탱크와 연결된 제2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 공기 배출관과 연결된 제3 단을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 저장탱크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삼방 밸브의 제1 단과 제2 단을 통해 상기 오수 탱크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레귤레이터 세트를 통과하여, 수분, 불순물 및 오일이 제거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압력으로 상기 오수 탱크로 공급되고,
    상기 오수 배출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는 상기 오수 탱크로 이어지는 오수 유입 경로 상의 나이프 밸브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수 탱크로 이어지는 공기 배출 경로 상의 삼방 밸브를 공기 배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콤프레셔의 동작을 종료시켜 상기 공기 저장탱크 내의 공기가 상기 오수 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삼방 밸브를 공기 배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삼방 밸브의 상기 오수 탱크와 연결된 제2 단과 공기 배출관과 연결된 제3 단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 저장 탱크와 연결된 제1 단을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오수 탱크 내의 공기가 삼방 밸브의 제2 단과 제3 단을 통해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는 경우에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오수 탱크 내의 오수를 배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한 후부터 카운트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오수 배출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아 오수 배출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최고 수위 도달 알림을 통지 받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수위 센서로부터 최저 수위 도달 알림이 통지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210087381A 2021-07-02 2021-07-02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434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381A KR102434590B1 (ko) 2021-07-02 2021-07-02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381A KR102434590B1 (ko) 2021-07-02 2021-07-02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590B1 true KR102434590B1 (ko) 2022-08-22

Family

ID=8310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381A Active KR102434590B1 (ko) 2021-07-02 2021-07-02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5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606A (ko) * 2003-05-30 2004-12-09 소완수 고압증기 생산장치 및 방법
JP2018167165A (ja) * 2017-03-29 2018-11-01 水ing株式会社 有機性廃棄物処理方法及び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2010573B1 (ko) * 2019-03-28 2019-08-13 김대현 오수 배출 촉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오수 배출장치
KR20190115562A (ko)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08769B1 (ko) * 2019-06-27 2020-05-28 김영환 오수 배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606A (ko) * 2003-05-30 2004-12-09 소완수 고압증기 생산장치 및 방법
JP2018167165A (ja) * 2017-03-29 2018-11-01 水ing株式会社 有機性廃棄物処理方法及び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190115562A (ko)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10573B1 (ko) * 2019-03-28 2019-08-13 김대현 오수 배출 촉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오수 배출장치
KR102108769B1 (ko) * 2019-06-27 2020-05-28 김영환 오수 배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65162U (zh) 一种真空收集污水装置
CN110431367B (zh) 积聚和排泄来自制冷和冷却装置的除霜水和冷凝水的装置
KR102108769B1 (ko) 오수 배출 장치 및 방법
JP3690547B2 (ja) 下水管作業用循環排水装置
KR102436761B1 (ko)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34590B1 (ko)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29689A (ko) 폐수 펌핑장치
CN118987776A (zh) 一种用于集成式过滤器的反冲洗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087062B1 (ko) 역세압 변동식 여과시스템
CN207145190U (zh) 空压机排污装置及空压机
KR20240165661A (ko) 자동 역세척 여과 시스템
JP5904360B2 (ja) 下水管迂回排水装置
CN109260904B (zh) 一种干燥机用排水排污装置
CN217449657U (zh) 自动化超滤装置
CN113713486A (zh) 内进流式网板格栅除污机冲洗系统
CN114101240A (zh) 一种真空泵站自动清淤系统及方法
CN221086618U (zh) 一种负压管路冲洗系统
JPH09221814A (ja) 真空式汚水収集設備
CN211665906U (zh) 一种一体化污水提升装置
KR20040001571A (ko) 분뇨 수거 설비 및 그의 자동 운전방법
CN101014806A (zh) 排液装置及排液方法
JP2019190788A (ja) ドレンパン清掃装置およびドレンパン清掃方法
RU2841953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при помощи ионизации
RU20156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вичной обработки молока на доильных установках
KR102243254B1 (ko)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S14-X000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