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727B1 - Thrust measuring device - Google Patents
Thrust measur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3727B1 KR102433727B1 KR1020210070393A KR20210070393A KR102433727B1 KR 102433727 B1 KR102433727 B1 KR 102433727B1 KR 1020210070393 A KR1020210070393 A KR 1020210070393A KR 20210070393 A KR20210070393 A KR 20210070393A KR 102433727 B1 KR102433727 B1 KR 1024337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upling
- hinge
- thrust
- measur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axial thrust in a rotary shaft, e.g. of propulsion pl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추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시트 내에서 탑승자의 요추를 받쳐줄 수 있는 럼버서포트의 추력을 측정할 수 있는 추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ust measu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thrust of a lumbar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the lumbar spine of an occupant in a seat.
차량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탑승자의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A seat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so that an occupant can be seated, and the seat includes a seat cushion that supports the occupant's buttocks, a seatback that supports the back, an armrest that can put the occupant's arm, and a head that supports the head. made of rest
그 중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시트백을 자세히 살펴보면 시트백의 내부에는 시트백의 내부에 시트백의 뼈대가 되는 시트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럼버서포트와 럼버서포트를 지지하는 수개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Among them, if we take a closer look at the seatback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of the seatback includes a seat frame that serves as a skeleton of the seatback, a lumbar support fixed to the seat frame to support the back of the occupant, and several elastic supports that support the lumbar support made of absence
이러한 시트백은 차량운행중 탑승자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탑승자의 등의 형상에 맞출 수 있도록 가변형 럼버서포트 구조를 가지고 있다.Such a seatback has a variable lumbar support structure to fit the shape of the occupant's back in order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occupant during vehicle oper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37943호에는 종래의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0037943 discloses a conventional lumber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s.
럼버서포트는 개발에 있어서 요추를 지지할 수 있는 힘을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한다.In the development of lumbar support, the most important item is the strength to support the lumbar spine.
따라서 럼버서포트의 개발 과정에서 럼버서포트의 추력을 측정하여 적정한 추력을 갖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lumber support, it was necessary to measure the thrust of the lumber support and adjust it to have an appropriate thrust.
하지만 자동차 시트는 일반적으로 가죽이나 직물 시트를 씌워서 운영하는데, 이러한 경우 시트의 전(前)면(운전자 방향)에서의 추력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utomobile seats are generally operated by covering leather or fabric seats.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시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전(前)면 및 후(後)면에서 추력 측정을 할 수 있는 추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r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rust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seat is mount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게 연장되고, 상기 시트에 설치된 럼버서포트의 일측부에 접촉하여 추력을 측정하는 제1 로드셀이 마련된 후측 측정부 및 상기 받침부의 타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게 연장되고, 상기 럼버서포트의 타측부에 접촉하여 추력을 측정하는 제2 로드셀이 마련된 전측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a seat on which an occupant can sit, extending upright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and contacting one side of a lumbar support installed on the seat for thrust It comprises a rear measuring part provided with a first load cell for measuring , and a front measuring part provided with a second load cell extending upright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and contacting the other side of the lumber support to measure thrust. do it with
상기 받침부는 하부로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에 상기 시트를 받치는 프레임(frame) 형상일 수 있다.The support part may be in the shape of a frame supporting the floor at a lower portion and supporting the sheet at an upper portion.
상기 받침부는 상부에 상기 시트를 볼트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heet with a bolt on the upper portion.
상기 제1 로드셀은 상기 후측 측정부의 기립된 부위 중에 상기 시트 측으로 연장되는 브래킷부에 부착될 수 있다.The first load cell may be attached to a bracket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eat among the standing portions of the rear measurement portion.
상기 전측 측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기 타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게 연장된 전측 기둥부와 상기 전측 기둥부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시트 측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단부에 힌지 결합된 엔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measuring part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pillar and the front pillar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and the end is hinged to the end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eat. may include wealth.
상기 전측 기둥부는 상단부의 양측부에 기립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는 상기 지지부와 힌지 결합하기 위해 천공된 제1 힌지홀과, 상기 제1 힌지홀과 상기 지지부를 함께 관통하는 제1 힌지핀과,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에서 상기 제1 힌지홀과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의 선회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게 천공된 제1 장홀과 상기 지지부의 선회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1 장홀과 상기 지지부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pillar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coupling wing portions extending to stan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portion, the pair of first coupling wing portions a first hinge hole perforated for hinge coupling with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A first hinge pin passing through one hinge hole and the support part together, and a first long hol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inge hole in the pair of first coupling wing parts and perforated to form a curve in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It may include a first fixing pin for passing through and fixing the first long hole and the support together at the pivotal movement position of the support.
상기 지지부는 하부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핀은 상기 제1 힌지홀과 상기 복수 개의 제1 결합홀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제1 장홀과 상기 복수 개의 제1 결합홀 중 다른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nd the first hinge pin passes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hinge hole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to be hinged together. And, the first fixing pin may be fixedly coupled by penetrating the other one of the first long hole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together.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부의 양측부에 기립되게 연장된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는 상기 엔드부와 힌지 결합하기 위해 천공된 제2 힌지홀과, 상기 제2 힌지홀과 상기 엔드부를 함께 관통하는 제2 힌지핀과,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에서 상기 제2 힌지홀과 이격되고 상기 엔드부의 선회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게 천공된 제2 장홀과, 상기 엔드부의 선회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2 장홀과 상기 엔드부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ortions extending to stand on both sides of the end portion, and a second hinge hole perforated for the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ortions to be hingedly coupled to the end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wing portion. 2 A second hinge pin passing through the hinge hole and the end portion together, and a second long hol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inge hole in the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ortions and perforated to form a curve in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end portion; , It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in that passes through and fixes the second long hole and the end portion together at the pivotal movement position of the end portion.
상기 엔드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와의 결합부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2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핀은 상기 제2 힌지홀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결합홀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핀은 상기 제2 장홀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결합홀 중 다른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다.The en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holes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ortions, and the second hinge pin includes the second hinge hol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holes. It may be hinge-coupled through any one of the coupling holes, and the second fixing pin may be fixedly coupled by passing through the second long hole and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holes.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는 럼버서포트가 장착된 시트에 가죽이나 직물 시트를 씌운 상태로 추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easuring the thrust in a state in which a leather or fabric seat is covered on a seat equipped with a lumber support.
본 발명에 따르면, 럼버서버트의 전(前)면과 후(後)면에서 추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hrust can be measured on the front (front) and rear (back) surfaces of the lumber 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에 시트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에서 전측 기둥부와 지지부의 연결부를 확대하고 제1 힌지핀과 제1 고정핀을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에서 지지부와 엔드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럼버서포트의 추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FIG. 1 from another angle.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combining the sheet to the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connection part of a front pillar and a support part and disassembled a first hinge pin and a first fixing pin in the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connection of a support portion and an end portion in the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thrust of a lumber support using a thr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에 시트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에서 전측 기둥부와 지지부의 연결부를 확대하고 제1 힌지핀과 제1 고정핀을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지지부와 엔드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G. 1 from another angle, and FIG. 3 is a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seat is coupled to, and FIG. 4 is an enlarged connection part of the front pillar part and the support part in the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hinge pin and the first fixing pin are disassembled. It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part of the support part and the end part in FIG. 3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는 받침부(100), 후측 측정부(200) 및 전측 측정부(300)를 포함한다.1 to 3 , the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받침부(100)는 하부로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로 시트(S)를 받치는 장방형의 중공된 프레임(frame) 형상일 수 있다.The
받침부(100)는 4개의 모퉁이 각각의 상부에 시트 결합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The
시트 결합부(110)는 상측에 시트(S)를 올려놓고 시트(S)의 하부와 시트 결합부(110)를 시트 결합 볼트(111)로 함께 관통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다.The
후측 측정부(200)는 후측 연장부(210)와 후측 기둥부(230)와 브래킷부(250)와 제1 로드셀(2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후측 연장부(210)는 받침부(100)와 후측 기둥부(230)를 연결할 수 있다.The
후측 연장부(210)는 받침부(100)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후측 기둥부(230)는 후측 연장부(210)와 연결되고, 상측으로 기립하여 제1 로드셀(270)이 시트(S)의 럼버서포트(L) 인근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S)에서 럼버서포트(L)는 탑승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seat (S) on which the occupant can sit, the lumber support (L) may be installed on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occupant's back.
후측 기둥부(230)는 후측 연장부(210)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게 연장될 수 있다.The
브래킷부(250)는 제1 로드셀(270)을 시트(S)의 럼버서포트(L)에 접촉하도록 후측 기둥부(230)에 연결할 수 있다.The
브래킷부(250)는 상측으로 기립된 후측 기둥부(230)의 몸체에서 전측 측정부(300)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로드셀(270)은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이고, 받침부(100)에 고정 결합된 시트(S)의 럼버서포트(L) 후(後)측에서 럼버서포트(L)와 접촉하여 추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제1 로드셀(270)은 브래킷부(250)에서 시트(S)와 마주보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전측 측정부(300)는 전측 연장부(310)와 전측 기둥부(330)와 지지부(350)와 엔드부(370)와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380)와 제2 로드셀(39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전측 연장부(310)는 받침부(100)와 전측 기둥부(330)를 연결할 수 있다.The
전측 연장부(310)는 받침부(100)의 타측 중앙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받침부(100)의 타측은 후측 연장부(310)가 연장된 일측의 반대측일 수 있다.The
전측 기둥부(330)는 전측 연장부(310)와 지지부(350)를 연결하고, 지지부(350)가 시트(S)의 럼버서포트(L) 높이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부(350)를 지지할 수 있다.The
전측 기둥부(330)는 전측 연장부(310)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게 연장될 수 있다.The
제2 로드셀(390)은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이고, 받침부(100)에 고정 결합된 시트(S)에 설치된 럼버서포트(L)의 전(前)측에서 럼버서포트(L)에 접촉하여 추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제2 로드셀(390)은 지지부(350)의 단부에 결합된 엔드부(370)에서 시트(S)와 마주보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380)는 전측 기둥부(330)에 지지부(360)를 결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pair of first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380)는 전측 기둥부(330)의 상단부 양측부에 기립되게 연장될 수 있다.The pair of first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380)는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380)의 사이에 지지부(350)를 끼워 넣고 지지부(350)의 좌우 양측 외측에 제1 결합날개부(380)를 각각 맞닿게 할 수 있다.A pair of first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380)는 제1 결합날개(382), 제1 힌지홀(381), 제1 힌지핀(383), 제1 장홀(385) 및 제1 고정핀(387)을 포함할 수 있다.A pair of first
제1 결합날개(382)는 지지부(360)와 결합하기 위한 것 일 수 있다.The
제1 결합날개(382)는 전측 기둥부(330)의 상단부 양측부에 각각 기립되게 연장된 판체일 수 있다.The
제1 힌지홀(381)은 지지부(350)를 제1 결합날개부(380)와 힌지 결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제1 힌지홀(381)은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380)에 각각 천공될 수 있다. The
제1 힌지핀(383)은 제1 힌지홀(381)과 지지부(350)를 함께 관통하여 지지부(350)를 전측 기둥부(330)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제1 장홀(385)은 지지부(350)를 선회 이동시킨 상태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first
제1 장홀(385)은 제1 힌지홀(381)과 이격되고 지지부(350)의 선회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게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380)에 각각 천공될 수 있다.The first
제1 고정핀(387)은 지지부(350)의 선회 이동 위치에서 제1 장홀(385)과 지지부(350)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지지부(350)는 전측 기둥부(330)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단부에 결합된 엔드부(370)가 시트(S)에 설치된 럼버서포트(L) 방향을 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지지부(350)는 지지부 상부(350a)와 지지부 하부(350b)와 지지부 관통홀(350c)과 제1 결합홀(350d)을 포함할 수 있다.The
지지부 하부(350b)는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350d)와 결합될 수 있다.The
지지부 하부(350b)는 지지부 상부(350a)의 하부에 양측부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지지부 상부(350a)는 단부에 엔드부(370)를 결합할 수 있다.The
지지부 상부(350a)는 지지부 하부(350b)의 상부에서 단부를 시트(S) 방향으로 연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지지부 관통홀(350c)은 지지부(350)의 전체 무게를 줄이고 자재를 절감하게 하여 원가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The support part through-
지지부 관통홀(350c)은 지지부 하부(350b)에서 지지부 하부(350b)가 지지부 상부(350a)와 맞닿는 부분의 중앙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through-
제1 결합홀(350d)은 제1 힌지핀(383)과 결합하여 지지부(350)를 전측 기둥부(330)에 힌지 결합하게 하고, 제1 고정핀(387)과 결합하여 지지부(350)를 선회 이동한 위치에서 전측 기둥부(330)에 고정 결합하게 할 수 있다.The
제1 결합홀(350d)은 지지부 하부(355)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복수 개로 배열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즉 제1 힌지핀(383)은 제1 힌지홀(381)과 복수 개의 제1 결합홀(350d)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지지부(350)를 전측 기둥부(330)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핀(383)이 복수 개의 제1 결합홀(350d) 중 어느 위치의 제1 결합홀(350d)에 결합됨에 따라 지지부(350)가 시트(S) 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핀(387)은 복수 개의 제1 결합홀(350d) 중 제1 힌지핀(383)이 결합되지 않은 제1 결합홀(350d)의 다른 하나와 제1 장홀(385)을 함께 관통하여 고정 결합하면 지지부(350)가 제1 힌지핀(383)을 축으로 선회한 상태에서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That is, the
제1 힌지핀(383) 및 제1 고정핀(387)은 나사 볼트 등일 수 있다.Th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50)는 지지부 상부(350a)의 단부에 엔드부(370)를 결합할 수 있다.3 to 5 , the
지지부 상부(350a)는 단부에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352a)와 제2 힌지홀(353a)과 제2 힌지핀(354a)과 제2 장홀(355a)과 제2 고정핀(356a)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350a) has a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arts (352a), a second hinge hole (353a), a second hinge pin (354a), a second long hole (355a) and a second fixing pin (356a) at the ends. may include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352a)는 지지부 상부(350a)의 단부에 엔드부(370)를 결합할 수 있다.The pair of second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352a)는 지지부 상부(350a) 단부의 양측부에 각각 기립되게 연장될 수 있다.A pair of second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352a)는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352a)의 사이에 엔드부(370)를 끼워 넣고 엔드부(370)의 좌우 양측 외측에 제2 결합날개부(352a)를 각각 맞닿게 할 수 있다.A pair of second
제2 힌지홀(353a)은 엔드부(370)를 제2 결합날개부(352a)와 힌지 결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제2 힌지홀(353a)은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352a)에 각각 천공될 수 있다. The
제2 힌지핀(354a)은 제2 힌지홀(353a)과 엔드부(370)를 함께 관통하여 엔드부(370)를 지지부(350)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제2 장홀(355a)은 엔드부(370)를 선회 이동시킨 상태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second
제2 장홀(355a)은 제2 힌지홀(353a)과 이격되고 엔드부(370)의 선회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게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352a)에 각각 천공될 수 있다.The second long hole (355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inge hole (353a) and perforated in each of the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arts (352a) to form a curve in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end part (370).
제2 고정핀(356a)은 엔드부(370)의 선회 이동 위치에서 제2 장홀(355a)과 엔드부(370)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엔드부(370)는 지지부(350)와 제2 로드셀(390)을 연결할 수 있다.The
엔드부(370)는 지지부(350)의 지지부 상부(350a)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엔드부(370)는 엔드부 상부(370a)와 엔드부 하부(370b)와 엔드부 관통홀(370c)과 제2 결합홀(370d)을 포함할 수 있다.The
엔드부 하부(370b)는 제2 결합날개부(352a)와 결합할 수 있다.The
엔드부 하부(370b)는 엔드부 상부(370a)에서 지지부(350) 방향으로 양측부가 연장되고, 연장된 양측부가 제2 결합날개부(352a)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제2 결합날개부(352a)의 내측부에 엔드부 하부(370b)의 외측부를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다.The
엔드부 상부(370a)는 제2 로드셀(390)을 결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엔드부 상부(370a)는 엔드부 하부(370b)의 상측에서 시트(S)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The
엔드부 관통홀(370c)은 엔드부(370)의 전체 무게를 줄이고 자재를 절감하게 하여 원가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The end part through-
엔드부 관통홀(370c)은 엔드부 하부(370b)에서 엔드부 하부(370b)와 엔드부 상부(370a)가 맞닿는 부분의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end part through-
제2 결합홀(370d)은 엔드부(370)를 지지부 상부(350a)의 단부에 결합하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제2 결합홀(370d)은 엔드부 하부(370b)의 연장된 양측부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The
제2 결합홀(370d)은 제2 힌지핀(354a)과 결합하여 엔드부(370)를 지지부 상부(350a)의 단부에 힌지 결합할 수 있고, 제2 고정핀(356a)과 결합하여 엔드부(370)를 선회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The
즉 제2 힌지핀(354a)은 제2 힌지홀(353a)과 복수 개의 제2 결합홀(370d)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엔드부(370)를 지지부 상부(350a)의 단부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 힌지핀(354a)이 복수 개의 제2 결합홀(370d) 중 어느 위치의 제2 결합홀(370d)에 결합됨에 따라 지지부 상부(350a)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엔드부(3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핀(356a)은 복수 개의 제2 결합홀(370d) 중 제2 힌지핀(354a)이 결합되지 않은 제2 결합홀(370d)의 다른 하나와 제2 장홀(355a)을 함께 관통하여 고정 결합하면 엔드부(370)가 제2 힌지핀(354a)을 축으로 선회한 상태에서 고정 결합되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럼버서포트의 추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A method of measuring the thrust of the lumbar support using the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럼버서포트의 추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thrust of a lumber support using a thr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럼버서포트의 추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시트 고정 단계(S1), 지지부 위치 조절 단계(S2), 엔드부 위치 조절 단계(S3) 및 추력 측정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method of measuring the thrust of the lumber support using the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fixing step (S1), a support portion position adjustment step (S2), an end portion position adjustment. It may include a step (S3) and a thrust measurement step (S4).
시트 고정 단계(S1)는 받침부(100)의 시트 결합부(110) 상측에 시트(S)를 올려놓고 시트(S)의 하부와 시트 결합부(110)를 시트 결합 볼트(111)로 함께 관통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heet fixing step (S1) is to put the sheet (S) on the upper side of the
시트 고정 단계(S1)에서 시트(S)의 내부에 설치된 럼버서포트(L)가 제1 로드셀(270)과 접촉할 수 있도록 시트(S)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seat fixing step (S1), the fixing position of the seat (S) may be adjusted so that the lumber support (L) installed inside the seat (S) may contact the first load cell (270).
지지부 위치 조절 단계(S2)는 제2 로드셀(390)을 시트(S)의 럼버서포트(L) 인근에 위치하도록 지지부(350)의 각도와 연장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 S2 ) may be a step of adjusting the angle and the extension length of the
엔드부 위치 조절 단계(S3)는 제2 로드셀(390)을 시트(S)의 럼버서포트(L)와 접촉하도록 엔드부(370)의 각도와 상하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end portion position adjustment step (S3) may be a step of adjusting the angle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추력 측정 단계(S4)는 제1 로드셀(270)과 제2 로드셀(390)을 시트(S)의 럼버서포트(L)와 접촉하게 한 상태에서 럼버 서포트에 제어 장치(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럼버 서포트를 가동하여 추력을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thrust measuring step (S4), a control device (not show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umber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추력 측정 단계(S4)는 럼버서포트(L)에 연결된 제어 장치에 의해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전류를 제어함에 따라 럼버서포트(L)의 전진/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럼버서포트(L)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가동속도 별 추력에 대한 연구 개발도 가능할 수 있다.In the thrust measurement step (S4), the forward/reverse of the lumbar support L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current using a variable resistor by th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lumbar support L. In addition, the speed of the lumbar support (L) can be adjuste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rust for each operating speed may be possible.
럼버서포트(L)는 전기 모터 및 전기 모터와 기어 결합한 복수 개의 기어 조립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umber support L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motor and a plurality of gear assemblies coupled with the electric motor.
다른 실시예로 시트(S)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럼버서포트(L)의 추력을 측정할 시에는 제2 로드셀(390)은 시트(S)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지지부(350)를 조절히거 제1 로드셀(270)로만 럼버서포트(L)의 추력을 측정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measuring the thrust of the lumbar support (L) while the passenger is on the seat (S), the
즉 시트(S)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럼버서포트(L)의 추력을 측정할 시에는 엔드부(370)를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지지부(350)의 각도를 조절하고, 지지부(350)를 시트(S)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도록 지지부(3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when measuring the thrust of the lumber support L while the passenger is on the seat S, the angl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는 럼버서포트가 장착된 시트에 가죽이나 직물 시트를 씌운 상태로 추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easuring the thrust in a state in which a leather or fabric seat is covered on a seat equipped with a lumbar support.
본 발명에 따르면, 럼버서버트의 전(前)면과 후(後)면에서 추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hrust can be measured on the front (front) and rear (back) surfaces of the lumber serv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력 측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hr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the knowledge of
100: 받침부
110: 시트 결합부
111: 시트 결합 볼트
200: 후측 측정부
210: 후측 연장부
230: 후측 기둥부
250: 브래킷부
270: 제1 로드셀
300: 전측 측정부
310: 전측 연장부
330: 전측 기둥부
350: 지지부
350a: 지지부 상부
350b: 지지부 하부
350c: 지지부 관통홀
350d: 제1 결합홀
352a: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
353a: 제2 힌지홀
354a: 제2 힌지핀
355a: 제2 장홀
356a: 제2 고정핀
370: 엔드부
370a: 엔드부 상부
370b: 엔드부 하부
370c: 엔드부 관통홀
370d: 제2 결합홀
380: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
381: 제1 힌지홀
382: 제1 결합날개
383: 제1 힌지핀
385: 제1 장홀
387: 제1 고정핀
390: 제2 로드셀
S: 시트
L: 럼버서포트100: support
110: sheet coupling part
111: seat coupling bolt
200: rear measurement unit
210: rear extension
230: rear pillar part
250: bracket part
270: first load cell
300: anterior measurement unit
310: anterior extension
330: front pillar portion
350: support
350a: upper support
350b: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350c: support through hole
350d: first coupling hole
352a: a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ortions
353a: second hinge hole
354a: second hinge pin
355a: Chapter 2 Hall
356a: second fixing pin
370: end portion
370a: upper end portion
370b: lower end portion
370c: end part through hole
370d: second coupling hole
380: a pair of first coupling wing portions
381: first hinge hole
382: first coupling wing
383: first hinge pin
385: Chapter 1 Hall
387: first fixing pin
390: second load cell
S: sheet
L: Lumber support
Claims (9)
상기 받침부의 일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게 연장되고, 상기 시트에 설치된 럼버서포트의 일측부에 접촉하여 추력을 측정하는 제1 로드셀이 마련된 후측 측정부; 및
상기 받침부의 타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게 연장되고, 상기 럼버서포트의 타측부에 접촉하여 추력을 측정하는 제2 로드셀이 마련된 전측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측정 장치.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a seat on which an occupant can sit;
a rear measuring unit extending upright from one side of the supporting unit and provided with a first load cell for measuring thrust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umber support installed on the seat; and
a front side measuring unit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unit and provided with a second load cell for measuring thrust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umber support; Thrust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받침부는 하부로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에 상기 시트를 받치는 프레임(fram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측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r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floor in the lower portion, and has a frame shape for supporting the sheet on the upper portion.
상기 받침부는 상부에 상기 시트를 볼트로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측정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r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with a bolt.
상기 제1 로드셀은 상기 후측 측정부의 기립된 부위 중에 상기 시트 측으로 연장되는 브래킷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측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oad cell is a thr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bracket extending toward the seat side of the standing portion of the rear measurement unit.
상기 전측 측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기 타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게 연장된 전측 기둥부와
상기 전측 기둥부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시트 측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단부에 힌지 결합된 엔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측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measurement unit,
a front pillar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 support part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column part, and the end extending toward the seat;
Thr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nd portion hing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전측 기둥부는 상단부의 양측부에 기립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는 상기 지지부와 힌지 결합하기 위해 천공된 제1 힌지홀과,
상기 제1 힌지홀과 상기 지지부를 함께 관통하는 제1 힌지핀과,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날개부에서 상기 제1 힌지홀과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의 선회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게 천공된 제1 장홀과
상기 지지부의 선회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1 장홀과 상기 지지부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측정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front pillar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coupling wing portions extending to stan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portion,
The pair of first coupling wing portions and a first hinge hole perforated for hinge coupling with the support portion,
a first hinge pin passing through the first hinge hole and the support part together;
A first long hol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inge hole in the pair of first coupling wing parts and perforated to form a curve in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Thr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fixing pin for fixing through the first long hole and the support portion together at the pivotal movement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는 하부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핀은 상기 제1 힌지홀과 상기 복수 개의 제1 결합홀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제1 장홀과 상기 복수 개의 제1 결합홀 중 다른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측정 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The first hinge pin passes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hinge hole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and is hinge-coupled, and the first fixing pin is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first long hole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Thr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coupling through one together.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부의 양측부에 기립되게 연장된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는 상기 엔드부와 힌지 결합하기 위해 천공된 제2 힌지홀과,
상기 제2 힌지홀과 상기 엔드부를 함께 관통하는 제2 힌지핀과,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에서 상기 제2 힌지홀과 이격되고 상기 엔드부의 선회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게 천공된 제2 장홀과,
상기 엔드부의 선회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2 장홀과 상기 엔드부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측정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ortions extending to stand on both sides of the end portion,
The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ortions and a second hinge hole perforated for hinge coupling with the end portion,
a second hinge pin passing through the second hinge hole and the end portion together;
a second long hol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inge hole in the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arts and perforated to form a curve in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end part;
Thrust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fixing pin for penetrating and fixing the second long hole and the end portion together at the pivotal movement position of the end portion.
상기 엔드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날개부와의 결합부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2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핀은 상기 제2 힌지홀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결합홀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핀은 상기 제2 장홀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결합홀 중 다른 하나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측정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n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holes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pair of second coupling wing portions,
The second hinge pin passes through any one of the second hinge hol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holes and is hinge-coupled, and the second fixing pin includes the second long hole and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holes. Thr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coupling through one togeth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0393A KR102433727B1 (en) | 2021-05-31 | 2021-05-31 | Thrust measu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0393A KR102433727B1 (en) | 2021-05-31 | 2021-05-31 | Thrust measuring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433727B1 true KR102433727B1 (en) | 2022-08-18 |
Family
ID=831121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70393A Active KR102433727B1 (en) | 2021-05-31 | 2021-05-31 | Thrust measur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33727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389A (en) * | 1994-06-24 | 1996-01-09 | Ikeda Bussan Co Ltd | Undercover mounting structure for headrest |
| US20030056997A1 (en) * | 1995-06-07 | 2003-03-27 | Breed David S.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weight of an occupying item of a seat |
| KR101883653B1 (en) * | 2017-04-03 | 2018-07-31 |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 Multiangle static load measuring device |
-
2021
- 2021-05-31 KR KR1020210070393A patent/KR1024337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389A (en) * | 1994-06-24 | 1996-01-09 | Ikeda Bussan Co Ltd | Undercover mounting structure for headrest |
| US20030056997A1 (en) * | 1995-06-07 | 2003-03-27 | Breed David S.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weight of an occupying item of a seat |
| KR101883653B1 (en) * | 2017-04-03 | 2018-07-31 |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 Multiangle static load measur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8621873B (en) | Seat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vehicle | |
| US11634048B2 (en) | Vehicle seat | |
| US6742841B1 (en) | Vehicle seat with auto-fold leg | |
| JP4163724B2 (en) | Vehicle seat device | |
| JP4352971B2 (en) | Footres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eat with ottoman device | |
| US12427898B2 (en) | Vehicle seat | |
| US3620568A (en) | Aircraft crewseat | |
| CN110494323A (en) | Vehicle seat bracket, vehicle seat and vehicle | |
| KR102433727B1 (en) | Thrust measuring device | |
| JPH0699767A (en) | Cushion supporting device | |
| US20230191974A1 (en) | Automatic pop-up device for vehicle legrest | |
| CN109625075A (en) | Transfer | |
| US11820257B2 (en) | Vehicle seat arrangement | |
| JP3303406B2 (en) | Vehicle seat control device | |
| JPS5836732A (en) | Vehicle's seat | |
| JPH07257242A (en) | Vehicle seat | |
| JP2019001315A (en) | Vehicle seat | |
| CN114040861A (en) | vehicle seat unit | |
| JP2009514738A (en) | Vehicle seat | |
| CN115703387A (en) | Neck pillow for vehicle seat | |
| KR102767173B1 (en) | Variable seating buck | |
| KR102611651B1 (en) | Control armrest apparatus for a vehicle | |
| JPH067229A (en) | Adjustable seat back rest | |
| JP2992805B2 (en) | Vehicle seat | |
| KR19980022353U (en) | Car Seat Automatic Contro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