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5339B1 - Photoelectric sensors and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s - Google Patents

Photoelectric sensors and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339B1
KR102445339B1 KR1020207024470A KR20207024470A KR102445339B1 KR 102445339 B1 KR102445339 B1 KR 102445339B1 KR 1020207024470 A KR1020207024470 A KR 1020207024470A KR 20207024470 A KR20207024470 A KR 20207024470A KR 102445339 B1 KR102445339 B1 KR 10244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uxiliary output
output terminal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1765A (en
Inventor
후토시 나바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1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33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광전 센서(11)는, 투광하는 투광부(12)와, 수광하는 수광부(13)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외부를 향하여 출력 가능한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와, 투광부 및 수광부를 제어하여, 설정한 출력 정보를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수광부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복수의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3단계 이상으로 나누어진 수광 레벨로 수광량을 환산하여,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수광 레벨을 2진수로 출력한다.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cludes a light projecting unit 12 for projecting light, a light receiving unit 13 for receiving light, a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capable of outputting a high level or low level signal to the outside, a light projecting unit and A control unit 20 that controls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outputs the set output information through an auxiliary output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with a plurality of thresholds, so that the light receiving level is divided into three or more steps. The received light amount is converted and the light received level is output in binary form through a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Description

광전 센서 및 다광축 광전 센서Photoelectric sensors and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s

본 발명은, 광전 센서 및 다광축 광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electric sensor and a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광전 센서의 일종으로서, 복수의 투광 소자 및 복수의 수광 소자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수광 소자가 수광하는 수광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가 기재되어 있다.As one type of photoelectric sensor, a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transmitting elements and a plurality of light-receiving elements is mentioned.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provided with an indicator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일본국 특허공개 2002-124168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24168

이러한 광전 센서는, 예를 들면 공장 내에 복수 설치된다. 이 경우, 각각의 광전 센서의 수광량을 파악하려면, 표시기를 확인하고 순회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광전 센서의 수광량을 파악하려면 시간이 걸린다. 이에 대해, 수광량을 출력하는 구성을 새롭게 설치하면, 광전 센서의 구성이 복잡하게 될 우려가 있다.A plurality of such photoelectric sensors are installed in a factory, for example. In this case, in order to grasp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each photoelectric sensor, it is necessary to check and circulate the indicator. Therefore, it takes time to grasp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photoelectric sensors. On the other hand, if a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is newly provided, there is a fear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electric sensor becomes complicated.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수광량을 파악할 수 있는 광전 센서 및 다광축 광전 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otoelectric sensor and a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capable of grasp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with a simple and easy configuration.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기재한다.Hereinafter, the means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and its effect are described.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광전 센서는, 투광하는 투광부와, 수광하는 수광부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외부를 향하여 출력 가능한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수광부를 제어하여, 설정한 출력 정보를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복수의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3단계 이상으로 나누어진 수광 레벨로 상기 수광량을 환산하여, 복수의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수광 레벨을 2진수로 출력한다.A photoelectric sensor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light projecting unit that emits light,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light, a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capable of outputting a high level or low level signal to the outside, and controlling the light projec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set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received light amount into a light reception level divided into three or more steps by comparing the received light amoun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with a plurality of thresholds, ,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as a binary number through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이 구성에 의하면,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수광 레벨을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서만의 구성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광전 센서에 접속되는 컴퓨터 등의 외부 단말을 통해 수광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수광량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ight reception level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output information.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newly provide a configuration only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By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for example, the light reception level can be grasped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computer connected to the photoelectric sens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with a simple and easy configuration.

상기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 레벨이 출력되는 복수의 상기 보조 출력 단자와, 상기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각 자릿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hotoelectric sens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from which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output and each digit of a binary number indica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와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대응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조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선의 접속처를 틀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and the binary number indica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can be grasp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is wrong.

상기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보조 출력 단자 중, 상기 수광 레벨과는 상이한 상기 출력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기 보조 출력 단자와는 다른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수광 레벨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hotoelectric sensor,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an auxiliary output terminal differen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set to output the outpu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light reception level among a plurality of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s. It is preferable to output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 중, 사용되지 않은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수광 레벨과, 수광 레벨과는 상이한 출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light-receiving level through an unused auxiliary out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Therefore, the light-receiving level and outpu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light-receiving level can be output via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상기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수광 레벨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때, 상기 출력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기 보조 출력 단자의 수가 부족할 경우에, 상기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보조 출력 단자의 수가 부족한 것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hotoelectric sensor, when setting to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when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to which the output information is not set is insufficient,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light reception level It is desirable to inform that the required number of said auxiliary output terminals is insufficient.

이 구성에 의하면,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의 수가 부족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necessary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insufficient.

상기 광전 센서에 있어서는, 상기 투광부를 갖는 투광기와, 상기 수광부를 갖는 수광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기는, 제어 신호를 출력 가능한 출력 단자를 갖고, 상기 보조 출력 단자는, 상기 투광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hotoelectric sensor, a light projector having the light projec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having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provided, wherein the light receiver has an output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nd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is provided to the light projector. desirable.

이 구성에 의하면, 광전 센서를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a photoelectric sensor can be comprised suitably.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는, 투광하는 복수의 투광부와,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역치의 비교에 의거하여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출력 가능한 출력 단자와, 설정된 조건에 의거하여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 가능한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수광부를 제어하여, 설정한 출력 정보를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복수의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3단계 이상으로 나누어진 검출 여유도를 검출하여, 복수의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검출 여유도를 2진수로 출력한다.A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projecting units for projecting light;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for receiving light; An output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In the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having a control unit to output, the control unit detects a detection margin divided into three or more steps by compar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with a plurality of threshold values,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Outputs the detection margin as a binary number through

이 구성에 의하면,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검출 여유도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검출 여유도를 출력하기 위해서만의 구성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광전 센서에 접속되는 컴퓨터 등의 외부 단말을 통해 수광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수광량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etection margin can be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output information. That is, there is no need to newly provide a configuration only for outputting the detection margin. By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for example, the light reception level can be grasped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computer connected to the photoelectric sens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with a simple and easy configuration.

본 발명의 광전 센서에 의하면,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수광량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hotoelectric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with a simple and easy configuration.

도 1은, 광전 센서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광전 센서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수광 레벨과 보조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electric sensor.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photoelectric sensor.
3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 setting scree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show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reception level and a signal output from an auxiliary output terminal.

이하, 광전 센서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photoelectric sensor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전 센서(11)는, 투광하는 투광부(12)와, 수광하는 수광부(13)를 구비한다. 투광부(12)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등의 투광 소자를 갖는다. 수광부(13)는, 예를 들면 포토 트랜지스터 등의 수광 소자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 ,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cludes a light projecting unit 12 for projec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13 for receiving light. The light-transmitting part 12 has a light-transmitting element,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for example. The light-receiving unit 13 includes, for example, a light-receiving element such as a phototransistor.

광전 센서(11)는, 투광부(12)를 갖는 투광기(14)와, 수광부(13)를 갖는 수광기(15)를 구비한다. 투광기(14) 및 수광기(15)는, 기둥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투광기(14)는, 투광부(12)를 복수 갖는다. 복수의 투광부(12)는, 투광기(14)의 길이 방향에 걸쳐 일렬로 늘어서듯이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광기(15)는, 수광부(13)를 복수 갖는다. 복수의 수광부(13)는, 수광기(15)의 길이 방향에 걸쳐 일렬로 늘어서듯이 위치한다.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cludes a light projector 14 having a light projecting unit 12 and a light receiving unit 15 having a light receiving unit 13 . The light emitte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are formed in a columnar shape. The projector 1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projection units 12 . The plurality of light projecting units 12 are positioned so as to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projecting unit 14 . The light receiving unit 15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13 .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13 are locat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5 .

투광기(14) 및 수광기(15)는, 투광부(12) 및 수광부(13)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투광부(12)로부터 수광부(13)를 향하여 연장되는 광축(L)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축(L)은 복수 형성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광전 센서(11)는, 다광축 광전 센서, 이른바 라이트 커튼으로서 구성된다. 광전 센서(11)는, 광축(L)이 물품에 차단됨으로써, 즉 차광됨으로써 물품을 검출한다.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are arranged so that the light projecting part 12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13 face each other. Thereby, the optical axis L extending from the light-transmitting part 12 toward the light-receiving part 13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optical axes L are formed. That is, the photoelectric sensor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as a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a so-called light curtain. The photoelectric sensor 11 detects the article when the optical axis L is blocked by the article, that is, by blocking the light.

광전 센서(11)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의 크기를 수광 레벨로서 표시하는 표시부(16)를 구비한다. 표시부(16)는, 예를 들면 표시등, 액정 화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부(16)는, 수광기(15)에 설치된다. 표시부(16)는, 투광기(14)에 설치되어도 되고, 투광기(14) 및 수광기(15)의 쌍방에 설치되어도 된다. 표시부(16)는, 수광 레벨 외에, 광전 센서(11)의 가동 상태를 표시해도 된다.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cludes a display unit 16 that displays the magnitude o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as a light receiving level. The display unit 16 includes, for example, a display lamp, a liquid crystal screen,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16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light receiver 15 . The display unit 16 may be provided in the light projector 14 , or may be provided in both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 The display unit 16 may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 addition to the light reception level.

광전 센서(11)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을 수광 레벨로 환산한다. 수광 레벨은, 적어도 3단계로 나누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광전 센서(11)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을, 수광 레벨 0, 수광 레벨 1, 수광 레벨 2 및 수광 레벨 3 중 어느 하나로 환산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광 레벨은 4단계로 나누어진다. 수광량이 클수록, 수광 레벨이 커진다. 광축(L)이 차단될 경우,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은 수광 레벨 0이 된다. 수광 레벨 0은, 광전 센서(11)가 차광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수광 레벨 1, 수광 레벨 2 및 수광 레벨 3은, 광전 센서(11)가 입광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The photoelectric sensor 11 converts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nto a light receiving level.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divided into at least three levels. The photoelectric sensor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verts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nto any one of light receiving level 0, light receiving level 1, light receiving level 2, and light receiving level 3.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divided into four steps. The larger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e higher the level of light received. When the optical axis L is blocke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becomes the light receiving level 0 . The light reception level 0 indicates that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in a light-shielded state. Light reception level 1, light reception level 2, and light reception level 3 indicate that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in a light incident state.

표시부(16)는, 환산된 수광 레벨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투광부(12)와 수광부(13) 사이에 물품이 있을 경우, 그 물품에 의해 광축(L)이 차단되기 때문에, 표시부(16)는 수광 레벨 0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6)에 표시되는 수광 레벨을 확인함으로써,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 displays the converted light reception level.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article betwee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3, the optical axis L is blocked by the article, so that the display unit 16 displays the light receiving level 0. The user can grasp the magnitude o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by checking the light receiving lev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

표시부(16)는, 수광 레벨을 대신하여, 검출 여유도를 표시해도 된다. 검출 여유도란, 입광 상태인 광전 센서(11)에 있어서,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의 여유도를 나타낸다. 즉, 검출 여유도란, 수광 레벨 1, 수광 레벨 2 및 수광 레벨 3에 상당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표시부(16)는, 수광부(13)가 수광량에 의거하여, 검출 여유도 1, 검출 여유도 2 및 검출 여유도 3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수광량이 클수록, 검출 여유도가 크다. 이 경우, 표시부(16)는, 검출 여유도와는 별도로, 광전 센서(11)가 입광 상태인지 차광 상태인지를 표시하면 된다.The display unit 16 may display the detection margin instead of the light reception level. The detection margin indicates a margin o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n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 the light incident state. That is, the detection margin corresponds to the light reception level 1, the light reception level 2, and the light reception level 3.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6 displays any one of detection margin 1, detection margin 2, and detection margin 3 based o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 The greater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e greater the detection margin.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 may display whether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in a light incident state or a light shield state, independently of the detection margin.

광전 센서(11)는, 공장 내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공장 내를 떠도는 먼지, 티끌 등이 투광부(12) 및 수광부(13)에 부착되면, 수광 레벨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수광 레벨을 확인함으로써, 적절한 타이밍으로 광전 센서(11)를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수광 레벨이 작아지는 요인으로서, 티끌, 먼지 등의 부착 외에, 투광부(12) 및 수광부(13)의 경년(經年) 열화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수광 레벨을 확인함으로써, 적절한 타이밍으로 광전 센서(11)를 바꿀 수 있다. 사용자는, 수광 레벨을 확인함으로써, 광축(L)의 어긋남을 파악할 수도 있다.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generally used in a factory. Therefore, when dust, dust, or the like floating in the factory adheres to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3, the light receiving level becomes small. For this reason, the user can maintain the photoelectric sensor 11 at appropriate timing by confirm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As a factor for which the light reception level becomes small, there is deterioration over tim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2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13 in addition to adhesion of dust, dust, and the like. In this case, by confirm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the photoelectric sensor 11 can be changed at an appropriate timing. The user can also grasp the shift|offset|difference of the optical axis L by confirm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표시부(16)에 검출 여유도가 표시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는, 검출 여유도를 확인함으로써, 적절한 타이밍으로 광전 센서(11)를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검출 여유도가 클수록, 보다 정밀도 좋게 물품을 검출할 수 있다. 그 이유로서는, 검출 여유도가 작으면, 예를 들면 투광기(14) 및 수광기(15)에 사소한 진동이 미치는 것만으로, 광전 센서(11)가 입광 상태에서 차광 상태로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Even when the detection marg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 the user can maintain the photoelectric sensor 11 at an appropriate timing by checking the detection margin. The greater the detection margin, the more accurately the article can be detect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f the detection margin is small, for example, only a slight vibration affects the light emitte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and the photoelectric sensor 11 changes from the light incident state to the light shielding state.

투광기(14) 및 수광기(15)는, 서로 동기(同期)된다. 투광기(14) 및 수광기(15)는, 케이블에 의해 동기되어도 되고, 광에 의해 동기되어도 된다.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may be synchronized by a cable or may be synchronized by light.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전 센서(11)는, 투광부(12) 및 수광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CPU, 메모리 등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부(20)는, 투광기(14) 및 수광기(15)의 각각에 설치된다. 투광기(14)가 갖는 제어부(20)를 제1 제어부(21)로 칭하고, 수광기(15)가 갖는 제어부(20)를 제2 제어부(22)로 칭한다. 제1 제어부(21)는, 투광기(14)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22)는, 수광기(15)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2 ,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cludes a control unit 20 that controls a light projecting unit 12 and a light receiving unit 13 . The control unit 20 includes, for example, a CPU, a memory,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0 is provided in each of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 The control unit 20 included in the light emitter 14 is referred to as a first control unit 21 , and the control unit 20 included in the light receiver 15 is referred to as a second control unit 22 . The first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light projector 14 . The second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light receiver 15 .

제어부(20)는, 투광기(14) 및 수광기(15)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투광기(14)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투광기(14)에 설치되는 제1 제어부(21)가, 투광기(14) 및 수광기(15)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수광기(15)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수광기(15)에 설치되는 제2 제어부(22)가, 투광기(14) 및 수광기(15)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제1 제어부(21)와 제2 제어부(22)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간단히 제어부(20)로 표기한다.The control unit 20 may be provided only in either one of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may be provided only in the projector 14 .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unit 21 provided in the light projector 14 controls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may be provided only in the light receiver 15 . In this case, the second control unit 22 provided in the light receiver 15 controls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 In this specification, when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first control unit 21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2, it is simply referred to as the control unit 20.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수광량을 수광 레벨로 환산한다. 제어부(20)는, 복수의 역치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제1 역치, 제2 역치 및 제3 역치의 3개의 역치를 기억하고 있다. 제1 역치는, 제2 역치보다 작은 값이다. 제2 역치는, 제3 역치보다 작은 값이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제1 역치, 제2 역치 및 제3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수광량을 수광 레벨로 환산한다. 수광부(13)가 복수 있을 경우, 제어부(20)는, 복수의 수광부(13)로부터 취득한 복수의 수광량 중 가장 작은 수광량과 역치를 비교한다.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received light amount into a light reception level by comparing the received light amoun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with a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20 stores a plurality of threshold values. The control part 20 memorize|stores three threshold values, a 1st threshold value, a 2nd threshold value, and a 3rd threshold value, for example. The first threshold is a value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 second threshold is a value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received light amount into a light reception level by comparing the received light amoun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with the first threshold, the second threshold, and the third threshol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13 , the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smallest light receiving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amount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13 with a threshold value.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제1 역치보다 작을 경우, 그 수광량을 수광 레벨 0으로서 환산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제1 역치보다 크고 제2 역치보다 작을 경우, 그 수광량을 수광 레벨 1로서 환산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제2 역치보다 크고 제3 역치보다 작을 경우, 그 수광량을 수광 레벨 2로서 환산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제3 역치보다 클 경우, 그 수광량을 수광 레벨 3으로서 환산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을 수광 레벨로 환산하는 환산부로서 기능한다.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received amount of light as the light reception level 0 .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received amount as the light reception level 1.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section 13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nd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received amount as light reception level 2 .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greater than the third threshold,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received light amount as the light receiving level 3 .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20 functions as 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nto a light receiving level.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수광 레벨 0이 될 경우, 광전 센서(11)는 차광된 상태가 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제1 역치보다 작아짐으로써, 광축(L)이 차단된 것을 검출한다. 환언하면,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수광 레벨 0이 됨으로써, 투광부(12)와 수광부(13) 사이에 위치하는 물품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투광부(12)와 수광부(13) 사이에 위치하는 물품을 검출하는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검출부로서의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역치의 비교에 의거하여 검출을 행한다.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becomes the light receiving level 0,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in a light-shielded state. The control unit 20 detects that the optical axis L is blocked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become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20 detects an article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projecting unit 1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3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becomes light receiving level 0 .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20 functions a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article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projecting unit 1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3 . The control unit 20 as the detection unit detect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and a threshold value.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복수의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검출 여유도를 검출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역치 및 제3 역치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으로부터 검출 여유도를 검출하기 위한 역치가 된다. 제1 역치는, 광전 센서(11)가 입광 상태인지 차광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역치가 된다.The control unit 20 may detect the detection margin by compar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with a plurality of thresholds. In this case, the second threshold and the third threshold are threshold values for detecting the detection margin from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 The first threshold value serves as a threshold value for detecting whether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in a light incident state or a light shield state.

제어부(20)는, 설정된 검출 조건에 의거하여 물품을 검출한다. 검출 조건이란, 광전 센서(11)가 구비하는 뮤팅 기능, 블랭킹 기능, 인터로크 기능, 외부 디바이스 모니터 기능, 애플리케이션 표시등 기능, 프로텍트 기능 등에 의해 정해지는 조건이다. 예를 들면, 뮤팅 기능이란,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제1 역치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물품을 검출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즉, 뮤팅 기능이란, 차광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물품을 검출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블랭킹 기능이란, 복수의 수광부(13) 중 일부의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제1 역치보다 작을 경우에도, 물품을 검출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즉, 블랭킹 기능이란, 특정의 광축(L)이 차단되어도 물품을 검출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유효, 또는 무효가 설정된다. 제어부(20)는, 블랭킹 기능이 유효하게 되어 있을 경우, 블랭킹 기능에 의한 검출 조건에 의거하여 물품을 검출한다.The control unit 20 detects the article based on the set detection condition. The detection condition is a condition determined by a muting function, a blanking function, an interlock function, an external device monitor function, an application indicator light function, a protection function,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photoelectric sensor 11 . For example, the muting function is a function of temporarily not detecting an article even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become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at is, the muting function is a function to prevent detection of an article even when the light is blocked. For example, the blanking function is a function of not detecting an article even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some of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13 i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at is, the blanking function is a function of not detecting an article even when a specific optical axis L is blocked. For these functions, valid or invalid is set by the user. When the blanking function is enabled, the control unit 20 detects the article based on the detection condition by the blanking function.

광전 센서(11)는, 컨트롤러(24)와 접속된다. 광전 센서(11)는, 컨트롤러(24)를 통해, 외부를 향하여 신호를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거나 한다. 투광기(14) 및 수광기(15)는, 복수의 신호선(25)을 통해 컨트롤러(24)와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의 투광기(14) 및 수광기(15)는, 복수의 신호선(25)을 갖는 12심 케이블에 의해 컨트롤러(24)와 접속된다.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4 . The photoelectric sensor 11 outputs a signal toward the outside or a signal from the outside is input through the controller 24 .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4 via a plurality of signal lines 25 .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4 by a 12-core cable having a plurality of signal lines 25 .

광전 센서(11)는, 신호선(25)이 접속되기 위한 단자를 복수 구비한다. 광전 센서(11)는, 출력 단자(27), 동기 단자(28, 29) 및 보조 출력 단자(30)를 구비한다. 광전 센서(11)는, 전원이 공급되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 단자, 도시하지 않은 테스트용 단자 등을 구비한다.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to which the signal line 25 is connected.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cludes an output terminal 27 , synchronization terminals 28 , 29 , and an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cludes a power supply terminal (not shown) to which power is supplied, a test terminal (not shown), and the like.

출력 단자(27)는, 제어 신호를 외부를 향하여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제1 역치보다 클 경우에, 출력 단자(27)를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제1 역치보다 작을 경우, 즉 물품을 검출할 경우에, 제어 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즉, 제어 신호는, 광전 센서(11)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는 신호이다. 출력 단자(27)는, 검출부(제어부(20))의 검출 결과를 출력 가능하다. 광전 센서(11)는, 예를 들면, 제어 신호의 출력의 정지에 의해, 광전 센서(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 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안전 장치로서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출력 단자(27)는, 수광기(15)에 설치된다. 출력 단자(27)는, 투광기(14)에 설치되어도 된다.The output terminal 27 is a terminal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output terminal 27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e control unit 20 stops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at is, when an article is detected. That is, the control signal is a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hotoelectric sensor 11 . The output terminal 27 can output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part (control part 20).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used as a safety device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hotoelectric sensor 11 by, for example, stopping the output of a control signal. 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terminal 27 is provided in the light receiver 15 . The output terminal 27 may be provided in the light projector 14 .

동기 단자(28)는, 투광기(14)에 설치된다. 동기 단자(29)는, 수광기(15)에 설치된다. 투광기(14) 및 수광기(15)는, 동기 단자(28) 및 동기 단자(29)에 신호선(25)이 접속됨으로써 동기된다. 본 실시 형태의 투광기(14) 및 수광기(15)는, 컨트롤러(24)를 통해 동기된다. 본 실시 형태의 광전 센서(11)는, 동기 단자(28, 29)를 통해 컨트롤러(24)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The synchronization terminal 28 is provided on the light projector 14 . The synchronization terminal 29 is provided on the light receiver 15 . The light emitte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are synchronized by connecting the signal line 25 to the synchronization terminal 28 and the synchronization terminal 29 .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of this embodiment are synchronized via the controller 24 . The photoelectric sensor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24 via the synchronization terminals 28 and 29 .

보조 출력 단자(30)는, 복수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광전 센서(11)는, 보조 출력 단자(30)를 3개 구비한다. 3개의 보조 출력 단자(30)는, 투광기(14)에 설치된다. 보조 출력 단자(30)는, 수광기(15)에 설치되어도 되고, 투광기(14) 및 수광기(15)의 쌍방에 설치되어도 된다. 보조 출력 단자(30)는, 4개 이상 설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각각 제1 보조 출력 단자(31), 제2 보조 출력 단자(32), 제3 보조 출력 단자(33)로 칭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제1 보조 출력 단자(31)와 제2 보조 출력 단자(32)와 제3 보조 출력 단자(33)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간단히 보조 출력 단자(30)로 표기한다.A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are provided. The photoelectric sensor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ree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The three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are provided in the light projector 14 .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may be provided in the light receiver 15 , or may be provided in both the light projector 14 and the light receiver 15 . Four or more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may b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are referred to as a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 a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 and a third auxiliary output terminal 33 , respectively.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and the third auxiliary output terminal 33, it is simply referred to as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보조 출력 단자(30)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외부를 향하여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보조 출력 단자(30)는, 설정한 출력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된다.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정보의 종별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24)로부터의 조작을 통해,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정보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로서 기능한다. 제어부(20)는, 보조 출력 단자(30)마다 출력 정보를 설정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제1 보조 출력 단자(31), 제2 보조 출력 단자(32) 및 제3 보조 출력 단자(33)는, 각각 상이한 출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is a terminal for outputting a high-level or low-level signal to the outside.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can output the set output information. The type of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is determined by the user. The control part 20 sets the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through operation from the controller 24, for example.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20 functions as a setting unit that sets the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e control unit 20 can set output information for each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erefore, the 1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the 2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and the 3rd auxiliary output terminal 33 can output different output information, respectively.

보조 출력 단자(30)는, 출력 단자(27)가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데 반해, 검출 결과 이외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일반적인 광전 센서(11)는, 보조 출력 단자(30)를 갖고 있다. 사용자는, 각각이 필요로 하는 출력 정보를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시킨다.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is used for outputting information other than the detection result, whereas the output terminal 27 outputs the detection result. A general photoelectric sensor 11 has an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e user outputs the output information required by each of them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제어부(20)는,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 가능하게 된다. 1개의 보조 출력 단자(30)가 출력할 수 있는 값의 수는 2개이다. 이에 대해, 수광 레벨은, 적어도 3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20)는,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한다. 제어부(20)는,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수광 레벨을 2진수로 변환한다. 즉, 제어부(20)는, 수광 레벨을 2진수로 변환하는 변환부로서 기능한다.The control unit 20 can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e number of values that on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can output is two. In contrast,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divided into at least three levels. Therefore, 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light-receiving level through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light reception level into a binary number in order to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at is, the control unit 20 functions as 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light reception level into a binary number.

적어도 3단계로 나누어진 수광 레벨은, 제어부(20)에 의해 2자릿수 이상의 2진수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수광 레벨을 2진수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보조 출력 단자(30)가 필요로 된다.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자릿수와,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는, 일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광 레벨은, 수광 레벨 0, 수광 레벨 1, 수광 레벨 2, 수광 레벨 3의 4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그 때문에, 수광 레벨을 2진수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2개의 보조 출력 단자(30)가 필요로 된다.The light reception level divided into at least three steps is converted into a binary number of two or more digits by the control unit 20 . For this reason, in order to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in binary, at least two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are required. The number of binary digits indicating the light-receiving level coincides with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required for outputting the light-receiving leve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receiving level is divided into four stages: light-receiving level 0, light-receiving level 1, light-receiving level 2, and light-receiving level 3. Therefore, in order to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in binary, two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are required.

제어부(20)는,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2진수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M단계(3≤M≤2^N)로 나누어진 수광 레벨을 2진수로 출력한다. 즉, 수광 레벨이 3단계 또는 4단계로 나누어져 있을 경우에는, 2개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한다. 수광 레벨이 5단계에서 8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수로 나누어져 있을 경우에는, 3개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light reception level as a binary number through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light reception level divided into M steps (3≤M≤2^N) in binary form through the N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do. That is, when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divided into 3 or 4 steps,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output through the two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When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divided into any one of steps 5 to 8,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output through the three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제어부(20)는, 수광 레벨을 대신하여,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검출 여유도를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검출 여유도를 2진수로 변환한다. 검출 여유도는, 적어도 3단계로 나누어진다. 제어부(20)는,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검출 여유도를 2진수로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20 may output the detection margin through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instead of the light reception leve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detection margin into a binary number. The detection margin is divided into at least three steps. 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detection margin as a binary number through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24)를 통해 광전 센서(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컴퓨터 등의 외부 단말에 설정 화면(40)을 표시시킨다. 설정 화면(40)은,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사용자는, 이 설정 화면(40)을 조작하여,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정보를 선택한다.As shown in FIG. 3 , the control unit 20 displays the setting screen 40 on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compu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hotoelectric sensor 11 via the controller 24 , for example. The setting screen 40 is a screen for setting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e user operates this setting screen 40 to select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제어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력 정보를 설정한다. 제어부(20)는, 설정된 출력 정보를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출력한다. 설정 화면(40)은, 표시부(16)에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 광전 센서(11)에 커서 키 등의 조작부를 설치하여, 출력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설정 화면(40)은, 출력 정보뿐만 아니라, 뮤팅 기능 등의 검출 조건을 설정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The control unit 20 sets the outpu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set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e setting screen 4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 In this case, an operation unit such as a cursor key may be provided in the photoelectric sensor 11 to set output information. The setting screen 40 may set not only output information but also detection conditions such as a muting function.

설정 화면(40)에는, 제1 선택란(41), 제2 선택란(42) 및 제3 선택란(43)이 표시된다. 제1 선택란(41)은, 제1 보조 출력 단자(31)가 출력하는 출력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란이다. 제2 선택란(42)은, 제2 보조 출력 단자(32)가 출력하는 출력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란이다. 제3 선택란(43)은, 제3 보조 출력 단자(33)가 출력하는 출력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란이다.On the setting screen 40 , a first selection field 41 , a second selection field 42 , and a third selection field 43 are displayed. The first selection field 41 is a field for selecting output information output by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 The second selection field 42 is a field for selecting output information output by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 The third selection field 43 is a field for selecting output information output by the third auxiliary output terminal 33 .

제1 선택란(41), 제2 선택란(42), 제3 선택란(43)의 각각에는, 풀다운 버튼(44)이 설치된다. 풀다운 버튼(44)을 압하하면, 선택 가능한 출력 정보의 항목이 늘어선 표시란(45)이 표시된다. 표시란(45)에는, 예를 들면, 「뮤팅 시 ON」, 「뮤팅 시 OFF」, 「입광 시 ON, 차광 시 OFF」, 「입광 시 OFF, 차광 시 ON」, 「로크 아웃 시 ON」, 「로크 아웃 시 OFF」 등의 출력 정보가 표시된다. 뮤팅 시란, 뮤팅 기능이 유효하게 되어 있는 상태이다. 입광 시란, 수광부(13)에 입광하고 있는 상태, 즉 광전 센서(11)가 물품을 검출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 때문에, 입광 시란, 제어부(20)가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이다. 차광 시란, 수광부(13)가 차광되어 있는 상태, 즉 광전 센서(11)가 물품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 때문에, 차광 시란, 제어부(20)가 제어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로크 아웃 시란, 광전 센서(11)가 이상을 일으키고 있는 상태이다.A pull-down button 44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selection field 41 , the second selection field 42 , and the third selection field 43 . When the pull-down button 44 is pressed down, a display field 45 lined with selectable output information items is displayed. In the display field 45, for example, "ON during muting", "OFF during muting", "ON when light is received, OFF when light is blocked", "OFF when light is received, ON when light is blocked", "ON when locked out", Output information such as “OFF at lockout” is displayed. During muting, the muting function is enabled. When light is received, it is a state in which light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not detecting an article. Therefore, when light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20 is outputting a control signal. When the light is blocked,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blocked from light, that is,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detecting the article. Therefore, when light is blocked, the control unit 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is stopped. At the time of lockout,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a state in which abnormality has arisen.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는, 하이 레벨의 신호 및 로우 레벨의 신호의 2값이 출력된다. 그 때문에, 보조 출력 단자(30)는, 특정의 기능이 ON이 되어 있는지 OFF가 되어 있는지, 광전 센서(11)의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오로지 사용된다. 「뮤팅 시 ON」이 선택되었을 경우, 뮤팅이 기능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된다. 「뮤팅 시 OFF」가 선택되었을 경우, 뮤팅이 기능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있어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같이, 특정의 기능의 ON 및 OFF에 연동하여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광전 센서(11)의 상태를 컨트롤러(24)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보조 출력 단자(30)는, 설정된 조건에 의거하여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 가능하게 된다.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two values of a high level signal and a low level signal are output. Therefore,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is used exclusively to confirm whether a specific function is ON or OFF, whether the state of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s normal or abnormal, and the like. When "ON during muting" is selected, a high 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while muting is functioning. When "OFF during muting" is selected, a high 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while muting is not functioning. In this way, a signal is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in association with ON and OFF of a specific function. Thereby, the user can grasp|ascertain the state of the photoelectric sensor 11 via the controller 24. FIG.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is capable of outputting a high-level or low-level signal based on a set condition.

뮤팅 기능이 유효하게 되어 있지 않을 경우, 표시란(45)에는, 「뮤팅 시 ON」, 「뮤팅 시 OFF」가 표시되지 않는다. 즉, 표시란(45)에 표시되는 출력 정보의 항목은, 설정된 검출 조건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설정 화면(40)은, 뮤팅 기능이 유효하게 되어 있지 않을 경우, 「뮤팅 시 ON」, 「뮤팅 시 OFF」를 선택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도 된다.When the muting function is not enabled, "ON during muting" and "OFF during muting" are not displayed in the display field 45. That is, the item of outpu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display field 45 includes setting information of the set detection condition. The setting screen 40 may be configured so that "ON at muting" and "OFF at muting" cannot be selected when the muting function is not enabled.

보조 출력 단자(30)는, 수광 레벨을 출력 가능하다. 그 때문에, 표시란(45)에는, 「뮤팅 시 ON」, 「로크 아웃 시 ON」 등과 마찬가지로, 「수광 레벨」이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광 레벨을 출력하려면,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가 필요로 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20)는,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 중, 수광 레벨과는 상이한 출력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보조 출력 단자(30)와는 다른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출력 정보가 미설정인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과, 수광 레벨과는 상이한 출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란(45)에는, 「검출 여유도」가 표시되어도 된다.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can output a light reception level. Therefore, in the display field 45, "light reception level" is displayed similarly to "ON at muting", "ON at lockout",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a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are required. Therefore,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differen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set so as to output outpu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light reception level amo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It is preferable to output That is, the light reception level may be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to which output information is not set. In this way, the light-receiving level and outpu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light-receiving level can be output through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In the display field 45, "detection margin" may be displayed.

하나의 보조 출력 단자(30)가 출력하는 출력 정보로서 수광 레벨을 설정했을 경우에, 출력 정보가 미설정인 다른 보조 출력 단자(30)에 대해 수광 레벨을 자동적으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선택란(41) 및 제2 선택란(42)이 미설정, 제3 선택란(43)에 「수광 레벨」과는 상이한 출력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제1 선택란(41)에 「수광 레벨」을 설정하면, 자동적으로 제2 선택란(42)에 「수광 레벨」이 설정되면 된다. 이 경우, 자동적으로 출력 정보가 설정된 제2 선택란(42)은, 출력 정보의 변경이 금지되어도 된다. 하나의 보조 출력 단자(30)가 출력하는 출력 정보로서 검출 여유도를 설정했을 경우에는, 출력 정보가 미설정인 다른 보조 출력 단자(30)에 대해 검출 여유도를 자동적으로 설정해도 된다.When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set as the output information output by on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the light reception level may be automatically set for the other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whose output information is not set.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lection field 41 and the second selection field 42 are not set, and outpu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set in the third selection field 43, the first selection field 41 When "light reception level" is set to , "light reception level" may be automatically set in the second selection field 42 . In this case, the change of the output information may be prohibited in the second selection field 42 in which the output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When the detection margin is set as the output information output by on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the detection margin may be automatically set for the other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whose output information is not set.

제어부(20)는,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때, 출력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할 경우에,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한 것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20)는, 출력 정보로서 수광 레벨을 설정함에 있어서, 출력 정보가 미설정인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할 경우, 그 뜻를 알리면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제1 선택란(41)이 미설정, 제2 선택란(42) 및 제3 선택란(43)에 「수광 레벨」과는 상이한 출력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제1 선택란(41)에 「수광 레벨」을 설정하면,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한 것을 알리면 된다. 제어부(20)는,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검출 여유도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때, 출력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할 경우에,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한 것을 알려도 된다.When the control unit 20 sets to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when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for which output information is not set is insufficient, the auxiliary output necessary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t is desirable to inform that the number of terminals 30 is insufficient.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light reception level as the output information, when the number of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for which the output information is not set is insufficient, the control unit 20 may notify the meaning.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lection field 41 is not set, and outpu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set in the second selection field 42 and the third selection field 43, the control unit 20, When "light reception level" is set in the first selection field 41, it is enough to inform that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required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insufficient. When the control unit 20 sets to output the detection margin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when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for which output information is not set is insufficient, the auxiliary necessary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t may be known that the number of output terminals 30 is insufficient.

제어부(20)는, 수광 레벨을 출력함에 있어서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하다는 메시지를 설정 화면(40) 상에 표시시킴으로써 알려도 된다. 제어부(20)는, 설정 화면(40)이 표시되는 단말을 통해 경고음을 울림으로써 알려도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한 것을 알리는 알림부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하면,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may notify by displaying on the setting screen 40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required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insufficient. The control unit 20 may notify by sounding a warning sound through the terminal on which the setting screen 40 is displayed.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20 functions as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at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required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insufficien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required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insufficient.

제어부(20)는, 수광 레벨을 출력하는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와,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각 자릿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보조 출력 단자(31)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때, 제1 선택란(41)에 「수광 레벨(1)」을 설정하면, 제2 선택란(42)에는 「수광 레벨(2)」이 설정된다. 제어부(20)는, 검출 여유도를 출력할 경우, 검출 여유도를 출력하는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와,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각 자릿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20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and each digit of the binary number indica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For example, when setting to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 if “light reception level 1” is set in the first selection field 41 , the second selection field 42 contains “light reception level” (2)" is set. When 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detection margin, it is preferable to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for outputting the detection margin and each digit of the binary number indica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do.

수광 레벨의 말미에 붙여진 괄호가 적힌 숫자는,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자릿수째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보조 출력 단자(3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수광 레벨을 2진수로 변환한 수치의 1자릿수째의 값을 나타낸다. 제2 보조 출력 단자(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수광 레벨을 2진수로 변환한 수치의 2자릿수째의 값을 나타낸다. 즉, 수광 레벨의 말미에 붙여진 괄호가 적힌 숫자가, 보조 출력 단자(30)와 2진수의 각 자릿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렇게 하면,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2진수의 각 자릿수의 대응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조 출력 단자(30)에 접속되는 신호선(25)의 접속처를 틀릴 우려가 저감된다. 제1 선택란(41)에 「수광 레벨(2)」을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선택란(42)에 「수광 레벨(1)」이 설정된다. 검출 여유도를 출력할 경우에는, 제1 선택란(41)에 「검출 여유도(1)」를 설정하고, 제2 선택란(42)에 「검출 여유도(2)」를 설정해도 된다. 검출 여유도의 말미에 붙여진 괄호가 적힌 숫자는, 검출 여유도를 나타내는 2진수의 자릿수째를 나타낸다.The number in parentheses attached to the end of the light-receiving level indicates the digit of the binary number indicating the light-receiving level. In this case,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represents the value of the first digit of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nto a binary number.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represents the value of the second digit of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nto a binary number. That is, the number in parentheses attached to the end of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and each digit of the binary number. In this way,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and each digit of the binary number can be grasped.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ignal line 25 connected to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is wrong is reduced. You may set "light reception level (2)" in the 1st selection field 41. In this case, "light reception level (1)" is set in the second selection field 42 . When outputting the detection margin, "detection margin (1)" may be set in the first selection field 41 and "detection margin (2)" may be set in the second selection field 42 . The number in parentheses attached to the end of the detection margin indicates the digit of the binary number indicating the detection margin.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광 레벨은,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레벨의 신호와 로우 레벨의 신호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도 4에 있어서, 「H」는 하이 레벨의 신호, 「L」은 로우 레벨의 신호를 나타낸다. 도 4는, 제1 보조 출력 단자(31) 및 제2 보조 출력 단자(32)가 수광 레벨을 출력할 때에, 수광 레벨을 2진수로 나타내는 변환표의 일례이다.As shown in FIG. 4 ,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expressed by a combination of a high-level signal and a low-level signal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In Fig. 4, "H" represents a high-level signal, and "L" represents a low-level signal. Fig. 4 is an example of a conversion table indicating the light-receiving level in binary when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and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output the light-receiving level.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수광 레벨 0일 경우, 제1 보조 출력 단자(31) 및 제2 보조 출력 단자(32)로부터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수광 레벨 1일 경우, 제1 보조 출력 단자(31)로부터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보조 출력 단자(32)로부터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수광 레벨 2일 경우, 제1 보조 출력 단자(31)로부터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보조 출력 단자(32)로부터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수광 레벨 3일 경우, 제1 보조 출력 단자(31) 및 제2 보조 출력 단자(32)로부터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20)는, 수광 레벨을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제1 보조 출력 단자(31) 및 제3 보조 출력 단자(33)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해도 되고, 제2 보조 출력 단자(32) 및 제3 보조 출력 단자(33)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해도 된다.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low-level signal from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and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light reception level 0 .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high level signal from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and a low level signal from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the light reception level 1 . output a signal.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low level signal from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and a high level signal from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light reception level 2 . output a signal.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high-level signal from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and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is the light reception level 3 .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light reception level. The control unit 20 may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and the third auxiliary output terminal 33 , and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and the third auxiliary output terminal 33 . The light reception level may be output through the

검출 여유도를 출력할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으로부터 검출 여유도 1을 검출했을 경우, 제1 보조 출력 단자(31)로부터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보조 출력 단자(32)로부터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으로부터 검출 여유도 2를 검출했을 경우, 제1 보조 출력 단자(31)로부터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보조 출력 단자(32)로부터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으로부터 검출 여유도 3을 검출했을 경우, 제1 보조 출력 단자(31) 및 제2 보조 출력 단자(32)로부터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In the case of outputting the detection margin,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high-level signal from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when detecting the detection margin 1 from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 a low 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 When the detection margin 2 is detected from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low-level signal from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and from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 Outputs a high level signal. When the detection margin 3 is detected from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high-level signal from the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1 and the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

다음으로, 상기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 보조 출력 단자(30)는, 설정된 출력 정보를 출력 가능하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수광량을 수광 레벨로 환산하고,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2진수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광전 센서(11)는,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서만의 구성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광전 센서(11)에 접속되는 컴퓨터 등의 외부 단말을 통해 수광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수광량을 파악할 수 있다.(1)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can output set outpu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light reception amount into a light reception level by comparing the light reception amount received by the light reception unit 13 with a threshold value, and outputs the light reception level as a binary number through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Thereby, the photoelectric sensor 11 can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to the outside via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which outputs output information.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newly provide a configuration only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By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for example, the light reception level can be grasped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computer connected to the photoelectric sensor 1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with a simple and easy configuration.

(2) 제어부(20)는, 수광 레벨이 출력되는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와,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각 자릿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와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대응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조 출력 단자(30)에 접속되는 신호선(25)의 접속처를 틀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2) The control unit 20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from which a light reception level is output and each digit of a binary number indicating a light reception level. Thereby,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and the binary number indica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can be grasped.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ignal line 25 connected to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is wrong can be reduced.

(3) 제어부(20)는,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 중, 수광 레벨과는 상이한 출력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보조 출력 단자(30)와는 다른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 중, 사용되지 않은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과, 수광 레벨과는 상이한 출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3) the control unit 20, amo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an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differen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set to output outpu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light reception level to output Thereby, amo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the light reception level can be output through the unused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erefore, the light-receiving level and outpu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light-receiving level can be output via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4) 제어부(20)는,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수광 레벨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때, 출력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할 경우에,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한 것을 알린다. 이것에 의해,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출력 단자(30)의 수가 부족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4) When the control unit 20 sets to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when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for which output information is not set is insufficient, to output the light reception level It informs that the number of necessary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is insufficient. Thereby,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number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required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insufficient.

(5)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27)는, 수광기(15)에 설치된다.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보조 출력 단자(30)는, 투광기(14)에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광전 센서(11)를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다.(5) An output terminal 27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is provided in the light receiver 15 .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for outputting output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light projector 14 . In this way, the photoelectric sensor 11 can be suitably configured.

(6) 보조 출력 단자(30)는, 설정된 출력 정보를 출력 가능하다. 제어부(20)는, 수광부(13)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3단계 이상으로 나누어진 검출 여유도를 검출하고,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검출 여유도를 2진수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광전 센서(11)는,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검출 여유도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검출 여유도를 출력하기 위해서만의 구성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보조 출력 단자(30)를 통해 검출 여유도를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광전 센서(11)에 접속되는 컴퓨터 등의 외부 단말을 통해 검출 여유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수광량을 파악할 수 있다.(6)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can output set outpu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0 detects the detection margin divided into three or more steps by compar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 and the threshold value, and converts the detection margin into binary numbers through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 print out Thereby, the photoelectric sensor 11 can output the detection margin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which outputs output information. That is, there is no need to newly provide a configuration only for outputting the detection margin. By outputting the detection margin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tection margin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computer connected to the photoelectric sensor 1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with a simple and easy configuration.

본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be changed and implemented as follows.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following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within a range that is not technically contradictory.

·투광기(14), 수광기(15) 및 컨트롤러(24)를 포함하여 광전 센서(11)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24)가 제어부(20)를 구비해도 된다.- It is good also as the photoelectric sensor 11 including the light emitter 14, the light receiver 15, and the controller 24.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4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20 .

·설정 화면(40)은, 외부 단말이 기억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어도 된다.• The setting screen 40 may be display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external terminal.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30)와,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각 자릿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설정 화면(40) 이외에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설정 화면(40)이 외부 단말에 표시될 경우, 보조 출력 단자(30)와 2진수의 각 자릿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표시부(16)에 표시되어도 된다.-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30 and each digit of the binary number indica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may be displayed other than the setting screen 40 .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screen 40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termi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and each digit of the binary numb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

·검출부는, 제어부(20)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The detection un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0 .

·설정부는, 제어부(20)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The setting un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0 .

·환산부는, 제어부(20)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The conversion un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0 .

·변환부는, 제어부(20)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The conversion un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0 .

·표시부(16)에 표시되는 수광 레벨은, 디지털 표시등에 의해 표시되어도 되고, 복수의 램프에 의해 표시되어도 된다.· The light reception lev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may be displayed by a digital indicator or by a plurality of lamps.

·표시부(16)는, 수광 레벨을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보조 출력 단자(30)로부터 수광 레벨이 출력되기 때문에, 표시부(16)가 표시하지 않아도 수광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6 does not need to display the light reception level. Since the light-receiving level is outpu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30 , the light-receiving level can be checked even if the display unit 16 does not display.

·광전 센서(11)는, 표시부(16)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The photoelectric sensor 11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display part 16 .

또한, 본 출원은, 2018년 3월 30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18-066797)에 의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본 출원 중에 참조로서 원용된다.In addition, this application is based on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066797) for which it applied on March 30, 2018, The content is taken in as a reference during this application.

11…광전 센서(다광축 광전 센서), 12…투광부, 13…수광부, 14…투광기, 15…수광기, 20…제어부(검출부), 27…출력 단자, 30…보조 출력 단자, 31…제1 보조 출력 단자, 32…제2 보조 출력 단자, 33…제3 보조 출력 단자.11… Photoelectric sensor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12... Transmitting part, 13... light receiving unit, 14... Floodlight, 15... Receiver, 20... A control unit (detection unit), 27 ... output terminals, 30... Auxiliary output terminals, 31... A first auxiliary output terminal, 32... A second auxiliary output terminal, 33... A third auxiliary output terminal.

Claims (6)

투광하는 투광부와
수광하는 수광부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외부를 향하여 출력 가능한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수광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출력 정보를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복수의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3단계 이상으로 나누어진 수광 레벨로 상기 수광량을 환산하여, 복수의 상기 보조 출력 단자 중, 상기 수광 레벨과는 상이한 상기 출력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기 보조 출력 단자와는 다른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수광 레벨을 2진수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수광 레벨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때, 상기 출력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기 보조 출력 단자의 수가 부족할 경우에, 상기 수광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보조 출력 단자의 수가 부족한 것을 알리는, 광전 센서.
A light-emitting part that emits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ight;
A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capable of outputting high-level or low-level signals to the outsi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to output set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received light amount into a light reception level divided into three or more stages by comparing the light reception amoun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with a plurality of thresholds, and the outpu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light reception level amo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Outputs the light-receiving level as a binary number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differen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which is set to output and when the number of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s for which information is not set is insufficient, notifying that the number of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s necessary for output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insuffici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 레벨이 출력되는 복수의 상기 보조 출력 단자와, 상기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2진수의 각 자릿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광전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electric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s from which the light reception level is output and each digit of a binary number indicating the light reception lev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를 갖는 투광기와, 상기 수광부를 갖는 수광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기는, 제어 신호를 출력 가능한 출력 단자를 갖고,
상기 보조 출력 단자는, 상기 투광기에 설치되는, 광전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light projector having the light projec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including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light receiver has an output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light projector, the photoelectric sensor.
투광하는 복수의 투광부와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역치의 비교에 의거하여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와,
제어 신호를 외부를 향해 출력 가능한 출력 단자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외부를 향해 출력 가능한 복수의 보조 출력 단자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수광부를 제어하여,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설정된 출력 정보를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수광부가 수광하는 수광량과 복수의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3단계 이상으로 나누어진 검출 여유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보조 출력 단자 중, 상기 출력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상기 보조 출력 단자와는 다른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검출 여유도를 2진수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검출 여유도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때, 상기 출력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기 보조 출력 단자의 수가 부족할 경우에, 상기 검출 여유도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보조 출력 단자의 수가 부족한 것을 알리는, 다광축 광전 센서.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units that emit light;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for receiving light;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detection based on a comparison of a threshold value with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 output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capable of outputting high-level or low-level signals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output termi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and outputting set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In the photoelectric sensor,
The detection unit detects a detection margin divided into three or more steps by compar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with a plurality of thresholds, and the control unit, amo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output terminals, the output information is set. outputting the detection margin in binary form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different from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Whe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the detection margin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 when the number of the auxiliary output terminals to which the output information is not set is insufficient, the auxiliary output necessary to output the detection margin A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that signals that the number of terminals is insufficient.
KR1020207024470A 2018-03-30 2019-01-23 Photoelectric sensors and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s Active KR10244533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6797A JP6986477B2 (en) 2018-03-30 2018-03-30 Photoelectric sensor and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JPJP-P-2018-066797 2018-03-30
PCT/JP2019/002136 WO2019187556A1 (en) 2018-03-30 2019-01-23 Photoelectric sensor and multiaxial photoelectric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765A KR20200111765A (en) 2020-09-29
KR102445339B1 true KR102445339B1 (en) 2022-09-20

Family

ID=6806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470A Active KR102445339B1 (en) 2018-03-30 2019-01-23 Photoelectric sensors and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86477B2 (en)
KR (1) KR102445339B1 (en)
WO (1) WO201918755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168A (en) * 2000-08-09 2002-04-26 Omron Corp Multi axis photoelectric sensor
JP2004333173A (en) * 2003-04-30 2004-11-25 Sunx Ltd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1625A (en) * 1994-05-19 1995-12-08 Nippon Signal Co Ltd:The Optical area sensor
JP2010061723A (en) * 2008-09-02 2010-03-18 Toppan Printing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5747582B2 (en) * 2011-03-15 2015-07-15 オムロン株式会社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JP5879917B2 (en) * 2011-10-21 2016-03-08 富士通株式会社 Parts selec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168A (en) * 2000-08-09 2002-04-26 Omron Corp Multi axis photoelectric sensor
JP2004333173A (en) * 2003-04-30 2004-11-25 Sunx Ltd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7556A1 (en) 2019-10-03
KR20200111765A (en) 2020-09-29
JP6986477B2 (en) 2021-12-22
JP2019178883A (en)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9862B2 (en)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US9103931B2 (en) Modular light curtain and optical unit for a light curtain
JP5977564B2 (en)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US8786436B2 (en) Multiple 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JP3986162B2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witch capable of detecting multiple projections
JP2597405B2 (en) Optical detector
US20120278017A1 (en) Safety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safety sensor
KR102445339B1 (en) Photoelectric sensors and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s
JP4869960B2 (en)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EP2224266B1 (en) Light-detecting safety barrier
US8637827B2 (en) Radiation monitor and method for checking operation of the same
JP2008180653A (en) Multiple 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CN111095465B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KR101981144B1 (en) 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and the fault diagnosis module for leak sensor
KR20220049583A (en) Status notif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status notif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014295B2 (en)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KR0131557B1 (en) Operating confirm system for remocon
JP2009070731A (en) Multiple 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photodetector, and floodlight
JP3347199B2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witch
JP2007158475A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witch, basic unit of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witch, and extension unit of multi-optical axis light switch
KR200222937Y1 (en) infrared sensor
KR20210130974A (en) Operating method of mutil optical axis sensor
JP2643565B2 (en) Optical position detector
KR100424572B1 (en) congestion protect circuit of micro-computer
JP2005151320A (en) Light receiving devic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