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791B1 -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 Google Patents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6791B1 KR102446791B1 KR1020200140098A KR20200140098A KR102446791B1 KR 102446791 B1 KR102446791 B1 KR 102446791B1 KR 1020200140098 A KR1020200140098 A KR 1020200140098A KR 20200140098 A KR20200140098 A KR 20200140098A KR 102446791 B1 KR102446791 B1 KR 102446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
- toneback
- connection
- hole
- bas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65D88/1687—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the forks of a forkli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33—Lift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를 통한 톤백의 이송 및 적재 작업 시, 지게차 블레이드가 쉽게 삽입되고 톤백의 이송 및 적재를 간편하게 해주는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는 크게 톤백의 상단에서 톤백과 결합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에 결합되어 지게차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며 변형 및 복원이 용이한 탄성리프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back connection lift device that allows forklift blades to be easily inserted and to simplify the transport and loading of the tonebag during transport and loading of the tonebag through a forklift. It includes a base plate coupled to the tone back, an elastic lift coupled to the base plate to form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orklift blade is inserted, and an elastic lift that is easy to deform and restor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톤백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게차를 통한 이송 및 적재를 용이하게 해주는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oneback to facilitate transport and loading through a forklift.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톤백은 상단이 사각형형태의 입구로 각 꼭짓점에 고리형태의 톤백 손잡이가 구비된다. 지게차를 통한 톤백의 이송 작업 시 톤백 손잡이를 각각 사람이 직접 지게차의 블레이드에 걸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이송 및 적재작업을 할 때마다 사람의 손으로 직접 지게차 블레이드에 톤백 손잡이를 걸고 해체해야하기 때문에 지게차 운행이외에 추가적인 인력이 따라다니는 것이 불가피해진다. 또한, 1톤 가까이 되는 톤백의 이송 및 적재작업에 사람이 직접 붙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생긴다.In general, the most widely used tone bag has a square-shaped entrance at the top, and a ring-shaped tone bag handle is provided at each vertex. When transferring the tone bag through a forklift, it is common for a person to directly hang the tone bag handle on the blade of the forklift.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forklift, it becomes inevitable that additional personnel will follow.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because a person is directly attached to the transport and loading operation of the ton bag, which is close to 1 ton.
종래에는 이와 같은 인력낭비 및 안전사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된 리프트장치를 사용하거나 톤백 자체의 설계를 바꾸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금속으로 된 리프트장치는 적재중량이 가중되어 톤백이 결합된 상태로 적재할 수 없어 결국 사람의 손을 거쳐야하는 문제점이 있고, 톤백 자체의 설계를 바꾸는 방법은 기존 톤백을 대체하는 비용이 발생하고 지게차를 통한 이송 작업 이외의 곳에 사용하는데 제한사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manpower waste and safety accidents, a method of using a metal lift device or changing the design of the toneback itself was used. However, the lift device made of metal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loaded in a state where the tone bag is combined due to the increased load weight, and in the end, it has to go through a human h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using it in places other than the transfer work through a forklif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벼운 재질의 베이스판에 변형 및 복원이 쉬운 재질의 탄성리프트를 결합하고 시중에 사용되던 톤백에 적용하여, 지게차를 통한 이송 및 적재를 추가적인 인력소모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주어 인건비를 줄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an elastic lift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y to deform and restore to a light base plate and apply it to a tone bag used in the market, and transport it through a forklift and to provide a toneback connection lift device that helps to reduce labor costs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by enabling loading to be facilitated without additional man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톤백의 이송 및 적재를 용이하게 해주는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톤백의 입구와 유사한 크기의 사각형 형상가지고, 네 꼭짓점 부근에 톤백 손잡이가 통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가진 코너홀을 포함하며, 한 변에 평행하고 서로 평행하며,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내측 리프트홀 및 한 쌍의 외측 리프트홀을 포함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내측 리프트홀 및 상기 외측 리프트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리프트절개부 및 양 끝단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 연결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기 내측 리프트홀의 상단에서 삽입된 후, 상기 베이스판의 상기 외측 리프트홀의 하단으로 삽입되고, 상기 리프트절개부를 통과하여 중심부에서 연결되어 삽입구를 형성하는 탄성리프트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back connection lift device that facilitates transport and loading of a tonebag, has a rectangular shape similar to the entrance of the tonebag, and includes a corner hole having a minimum size through which the tonebag handle can pass near the four vertices. and a base plate including a pair of inner lift holes and a pair of outer lift holes that are parallel to one side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lift hole and the outer lift hole. and a pair of lift cutout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rt at both ends, wherein the two connection parts are inser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lift hole of the base plate, and then the base plate It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lift hole, and includes an elastic lift that is connected at the center through the lift incision to form an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베이스판의 상기 내측 리프트홀 및 상기 외측 리프트홀은 각각 양 끝단에 필렛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lift hole and the outer lift hole of the base plate may form a fillet portion at both ends, respectively.
또한, 상기 탄성리프트는 변형 및 복원이 쉬운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lift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easy to deform and restore.
또한, 상기 탄성리프트의 상기 리프트절개부는 양 끝단에 필렛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 cutout portion of the elastic lift may form a fillet portion at both ends.
또한, 상기 탄성리프트의 상기 연결부에 장력을 견디기 위한 보강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aterial to withstand the tension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lastic lift.
또한, 상기 베이스판의 상기 내측 리프트홀, 상기 외측 리프트홀 및 상기 코너홀은 모서리에 마찰을 감소시키는 보강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lift hole, the outer lift hole and the corner hole of the bas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aterial for reducing friction at the corners.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코너홀 주변에 각각 원기둥 형태의 톤백 걸이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may be provided with each of the cylindrical tone bag hangers around the corner hole.
또한, 상기 복수의 톤백 걸이는 상단에 톤백 손잡이가 이탈하지 않도록 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oneback hangers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at the top so that the toneback handle does not come off.
본 발명의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는 시중에 사용되는 톤백에 적용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toneback connection li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oneback used in the market, so i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at low cost.
또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는 상기 탄성리프트를 통해 지게차 블레이드가 쉽게 삽입되는 상태가 되어 인력낭비 없이 이송 작업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the toneback connection lift device is in a state in which the forklift blade is easily inserted through the elastic lift, thereby facilitating the transfer operation without wasting manpower.
또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는 상기 탄성리프트가 변형 및 복원이 쉬워 톤백의 다중 적재 작업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in the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the elastic lift is easy to deform and restore, thereby facilitating multi-loading of the toneback.
또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는 톤백의 이송 작업에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can minimize the manpower for transferring the toneback,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의 베이스판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의 탄성리프트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의 작업에 따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의 부분 확대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base plate of the toneback connection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lastic lift development view of the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석 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defin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지게차를 이용한 톤백 이송 작업 시, 기존에는 지게차의 블레이드에 톤백 손잡이를 사람의 손으로 직접 걸고, 해체하는 작업이 불가피하여 지게차 운행 이외에 추가적인 인력낭비가 발생하고 그에 따른 인건비 및 시간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이 직접 톤백에 붙어서 보조해야 했기 때문에 톤백을 걸고 해체하는 작업 간 안정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는 톤백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게차의 블레이드가 사람의 도움 없이 삽입되기 용이한 형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톤백의 다중 적재 시,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에 의해 적재가 용이한 형태로 변형되는 장점이 있다.When transferring the tone bag using a forklift, in the past, it was unavoidable to manually hang the tone bag handle on the blade of the forklift and dismantle it. there was. In addition, since a person had to directly attach to the tone bag to assist, there was also a problem in stability between hanging and disassembling the tone bag. The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problem because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toneback, and the forklift blade is easily inserted without human assistanc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transformed into an easy-to-load form by the tone-back connection lift device during multiple loading of the tone bag.
본 발명의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는 톤백의 이송 및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게 베이스판(100) 및 탄성리프트(200)로 형성된다.The toneback
[1] 제1실시예[1] Embodiment 1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는 톤백의 상단에 위치하여 결합된다.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에 구비된 코너홀(110)을 통해 톤백 손잡이가 각각 통과하여 한 쌍씩 결합되어 톤백이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를 이탈하지 않게 한다.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는 한 변에 평행하고 중심에 의해 한 쌍씩 대칭되는 총4개의 리프트홀을 구비하여, 탄성리프트(200)가 통과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리프트(200)는 삽입구(201)를 형성하게 되고, 지게차 블레이드가 삽입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는 종래에 사람의 손으로 톤백 손잡이를 직접 지게차 블레이드에 거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인건비 절약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toneback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는 코너홀(110)을 구비하여, 톤백 손잡이가 각각 상기 코너홀(110)의 하단에서부터 통과되고, 톤백 손잡이가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 쌍씩 손잡이링크(300)를 통해 결합 될 수 있다. 톤백 손잡이가 결합된 상기 손잡이링크(300)는 지게차를 통해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결합된 톤백을 이송할 때 장력으로 인해 상기 베이스판(100)에 밀착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리프트(200)보다 위쪽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손잡이링크(300)는 상기 베이스판(100)과 상기 탄성리프트(200)사이에 위치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toneback
상기 손잡이링크(300)는 상기 톤백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톤백 손잡이의 장력을 버틸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손잡이링크(300)는 체인 또는 클립형태의 금속 재질 또는 여러 겹의 가죽 재질일 수 도 있다.The
도 3은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의 상기 베이스판(100)을 나타낸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의 상기 베이스판(100)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결합되는 톤백의 상단 입구의 크기보다 큰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각 꼭짓점에 각각 복수의 코너홀(110)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코너홀(110)은 톤백 손잡이가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가지며, 톤백의 상단에서 톤백 손잡이가 위치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한 변과 평행하고 중심에 의해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내측 리프트홀(120) 및 한 쌍의 외측 리프트홀(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리프트홀(120) 및 외측 리프트홀(130)은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모서리와의 마찰을 고려하여 필렛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또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코너홀(110) 및 상기 복수의 리프트홀의 모서리는 상기 탄성리프트(200)와의 마찰을 고려하여 모따기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은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결합된 톤백의 총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는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의 상기 탄성리프트(200)를 나타낸 전개도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의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너비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기 외측 리프트홀(130) 및 상기 내측 리프트홀(120)의 너비 이하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양 끝단에는 각각 연결부(220)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판(100)과 결합될 때, 중심부에서 상기 연결부(220)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리프트(200)는 상기 연결부(220)가 중심부에서 연결되기 전 삽입되는 리프트절개부(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절개부(210)는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어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연결부(220)가 통과하여 결합될 때 발생하는 마찰을 고려하여 양 끝단에 각각 리프트필렛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필렛부(211)는 상기 리프트절개부(210)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상기 탄성리프트(200)가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완전히 절단되어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또한, 상기 탄성리프트(200)는 변형 및 복원이 용이하고 유연한 재질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의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리프트(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리프트홀을 통해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양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220)가 각각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 리프트홀(120)의 상단에서 삽입되고 상기 내측 리프트홀(120)의 하단으로 나와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측 리프트홀(130)의 하단에서 삽입되어 상기 외측 리프트홀(130)의 상단으로 나온 후, 상기 탄성리프트(200)에 구비된 리프트절개부(210)를 통해 삽입되어 중앙에서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상기 연결부(220)가 리프트링크(221)에 의해 연결 및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측 리프트홀(120) 사이의 직선거리와 상기 내측 리프트홀(120) 상단으로 나온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길이 차이로 인해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결합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는 상기 탄성리프트(2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인 삽입구(201)를 형성하게 되고, 지게차 블레이드가 삽입되기 용이한 형태가 되어, 최초 톤백에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를 결합하는 작업 이후에는 종래에 이송 및 적재작업을 반복할 때마다 톤백 손잡이를 지게차 블레이드에 걸고 해체가 불가피하여 발생하는 인력낭비를 없앨 수 있게 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rein the
상술한 방법으로 상기 베이스판(100)에 결합된 상기 탄성리프트(200)는 양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상기 연결부(220)가 중심부에서 상기 리프트링크(221)로 서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결합된 톤백을 지게차를 통해 이송 작업을 할 때, 상기 리프트링크(221)가 상기 연결부(220)에 가하는 인장력으로 인한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하여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리프트링크(220)가 닿는 부분에 보강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도 6은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결합된 톤백을 이송 및 적재작업을 할 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의 상기 탄성리프트(200)의 형상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탄성리프트(200)로 인해 지게차 블레이드가 삽입되기 용이한 삽입구(201)가 생기거나 상하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결합된 톤백을 적재 시 안정성이 확보되어 기존에 톤백 손잡이를 사람의 손으로 직접 지게차 블레이드에 걸던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력낭비 및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다.6 shows a change in shape of the
좀 더 상세 하게 설명하자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결합된 톤백을 이송 작업을 할 때,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의 상기 탄성리프트(200)가 삽입구(201)를 형성하여 지게차 블레이드를 미세조정 없이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여, 지게차를 통한 이송 작업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6(a), when the toneback
또한, 도 6(b)는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결합된 톤백을 적재할 때를 나타낸 모습으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결합된 톤백 위에 다른 톤백이 적재되면,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의 상기 탄성리프트(200)가 변형되어 납작한 형태가 되고, 상기 톤백을 안정적으로 다중 적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종래에 톤백 위에 톤백을 적재하면 톤백 내부 내용물 상단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작업 간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었지만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톤백의 상단을 평평하게 해주기 때문에 적재된 톤백이 쓰러지거나 떨어지는 일이 줄어들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Also, FIG. 6(b) is a view showing when the toneback to which the toneback
이후, 톤백을 다시 이송할 시, 도 6(a)에 나타난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와 같이 상기 탄성리프트(200)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다시 지게차 블레이드가 삽입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Thereafter, when the tone bag is transferred again, the
[2] 제2실시예[2] Secon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에 관한 것으로,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기 내측 리프트홀(120), 상기 외측 리프트홀(130) 및 상기 코너홀(110)의 모서리 즉, 상기 탄성리프트(200)와 톤백 손잡이가 상기 베이스판(100)에 결합될 때 닿는 부분에 보강재(140)를 더 구비 할 수 있다. 7 is a toneback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지게차를 통해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가 결합된 톤백을 이송하거나 적재할 때, 상기 탄성리프트(200)가 인장력을 받거나 형상 변형이 생기는데, 이때 상기 탄성리프트(200)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리프트홀에 지속적으로 마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기 코너홀(110)로 통과된 톤백 손잡이가 톤백의 이송 작업 중 장력으로 인해 상기 코너홀(110)의 모서리와 지속적으로 마찰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리프트(200) 또는 톤백 손잡이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여 상기 보강재(140)가 덧대어질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tone bag to which the tone bag
상기 보강재(140)는 마찰력을 최소화 시키는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이 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3] 제3실시예[3] Third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에 관한 것으로,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톤백 손잡이가 나오는 상기 코너홀(110) 주변에 원기둥 형태의 손잡이걸이(400)를 더 구비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걸이(400)는 도 2에 도시되어있는 톤백 손잡이가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톤백 손잡이를 서로 연결 및 결합해주는 상기 손잡이링크(300)가 없어도 상기 베이스판(100)에 직접 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걸이(400) 상단에 돌출부(410)를 더 구비하여, 톤백 손잡이가 상기 손잡이걸이(400)에 걸려 자중으로 인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is a toneback
상기 손잡이걸이(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을 제작할 때 일체로 제작 될 수 있거나, 제1실시예에 나타난 상기 베이스판(100)에 나사체결을 통해 추가적인 부재로 결합 될 수 있다.The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비교하였을 때,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는 상기 손잡이링크(300)로 인해 좀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톤백과 결합이 가능하고,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는 상기 손잡이걸이(400)로 인해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1000) 보다 용이하게 톤백 손잡이를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are compared, the toneback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각 실시예로 구별되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oneback connection lif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mbin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each other. Since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it is not limited to being distinguished by each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 톤백 11: 톤백 손잡이
1000: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
100: 베이스판
110: 코너홀
120: 내측 리프트홀 121: 제1필렛부
130: 외측 리프트홀 131: 제2필렛부
140: 보강재
200: 탄성리프트 201: 삽입구
210: 리프트절개부 211: 리프트필렛부
220: 연결부 221: 리프트링크
300: 손잡이링크
400: 손잡이걸이 410: 돌출부 10: tone bag 11: tone bag handle
1000: tone back connection lift device
100: base plate
110: corner hole
120: inner lift hole 121: first fillet portion
130: outer lift hole 131: second fillet portion
140: stiffener
200: elastic lift 201: insertion hole
210: lift incision 211: lift fillet portion
220: connection 221: lift link
300: handle link
400: handle 410: protrusion
Claims (8)
톤백의 입구보다 큰 크기의 사각형 형상가지고, 네 꼭짓점 부근에 톤백 손잡이가 통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가진 코너홀을 포함하며, 한 변에 평행하고 서로 평행하며,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내측 리프트홀 및 한 쌍의 외측 리프트홀을 포함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내측 리프트홀 및 상기 외측 리프트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리프트절개부 및 양 끝단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 연결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기 내측 리프트홀의 상단에서 삽입된 후, 상기 베이스판의 상기 외측 리프트홀의 하단으로 삽입되고, 상기 리프트절개부를 통과하여 중심부에서 연결되어 삽입구를 형성하는 탄성리프트;
를 포함하는 톤백 커넥션 리프트장치.
In the tone bag connection lift device that facilitates the transport and loading of the tone bag,
As long as it has a rectangular shape larger than the entrance of the tone bag, includes a corner hole with the minimum size that the tone bag handle can pass through near the four vertices, is parallel to one side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a base plate including a pair of inner lift holes and a pair of outer lift holes; and
It has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lift hole and the outer lift hole, and includes a pair of lift cutout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at both ends, wherein the two connecting portions are of the base plate. an elastic lift that is inser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lift hole and then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lift hole of the base plate and connected at the center through the lift cutout to form an insertion hole;
Toneback connection lift device comprising a.
The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lift hole and the outer lift hole of the base plate form fillet portions at both ends, respectively.
The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lift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and restored.
[2] The toneback connection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 cutout of the elastic lift forms fillet portions at both ends.
[2] The toneback connection lif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material for resisting tension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astic lift.
[2] The toneback connection lif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lift hole, the outer lift hole and the corner hole of the base plate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aterial for reducing friction at corners.
[2] The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late has cylindrical handle hangers, respectively, around corner hol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40098A KR102446791B1 (en) | 2020-10-27 | 2020-10-27 |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40098A KR102446791B1 (en) | 2020-10-27 | 2020-10-27 |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55714A KR20220055714A (en) | 2022-05-04 |
| KR102446791B1 true KR102446791B1 (en) | 2022-09-23 |
Family
ID=815840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40098A Active KR102446791B1 (en) | 2020-10-27 | 2020-10-27 |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4679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63423A (en) | 2023-05-10 | 2024-11-19 | 박만기 | Preventing the tonbag from escaping and seaweed ton bag mov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seaweed water and seawate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40390A (en) | 2001-07-30 | 2003-02-13 |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 Rainproof cover for flexible container bag |
| US20070140598A1 (en) | 2005-12-15 | 2007-06-21 | Mcgillick Jon Sr | Shoreline erosion and flood control system and method |
| JP5830621B1 (en) | 2015-05-25 | 2015-12-09 |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 Flexible container bag string inverted tool |
| JP2018154368A (en) | 2017-03-17 | 2018-10-04 | 株式会社ヨウコー | Bag body aids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830621B2 (en) * | 1977-07-08 | 1983-06-30 | 富士通株式会社 | Intersection detection method |
| KR101458146B1 (en) | 2013-11-19 | 2014-11-05 | 박은숙 | Ton-Bag having tunnel |
-
2020
- 2020-10-27 KR KR1020200140098A patent/KR1024467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40390A (en) | 2001-07-30 | 2003-02-13 |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 Rainproof cover for flexible container bag |
| US20070140598A1 (en) | 2005-12-15 | 2007-06-21 | Mcgillick Jon Sr | Shoreline erosion and flood control system and method |
| JP5830621B1 (en) | 2015-05-25 | 2015-12-09 |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 Flexible container bag string inverted tool |
| JP2018154368A (en) | 2017-03-17 | 2018-10-04 | 株式会社ヨウコー | Bag body aid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63423A (en) | 2023-05-10 | 2024-11-19 | 박만기 | Preventing the tonbag from escaping and seaweed ton bag mov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seaweed water and seawat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55714A (en) | 2022-05-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3701558A (en) | Detachable handle for receptacle | |
| KR102446791B1 (en) | Toneback Connection Lifting Device | |
| US3583750A (en) | Hoist line sling for lifting heavy loads | |
| WO2008082447A1 (en) | Edge protector for use with a sling | |
| JP2006508001A (en) | Apparatus for shipping and storing elongated members | |
| US8459710B1 (en) | Mattress carrier | |
| US6360383B1 (en) | Hammock | |
| CN204569154U (en) | Large space of a whole page glass suspender | |
| US20140154045A1 (en) | Flexible freight bag and method of transferring cargo using the same | |
| US3292773A (en) | Support for conveyor belt | |
| JP5563517B2 (en) | Suspension belt for roll bale | |
| MXPA03006022A (en) | Non-elevating handle for center lift carrier. | |
| KR20130006716U (en) | Jig for big pipe transporting | |
| US20200062557A1 (en) | Stacking block for lattice boom crane | |
| CN105834370A (en) | A 3D printing sand handle suitable for the whole process | |
| CN105722486B (en) | Transport device with flexible substrate | |
| JP6948058B2 (en) | Tent and how to set up a tent | |
| JPH0745511Y2 (en) | Wire rope stopper | |
| US2241099A (en) | Attachment for coat hangers | |
| JP7410545B2 (en) | Futon bed plate device | |
| JP2017132551A (en) | Transport tool | |
| JP3184637U (en) | Veterinary stretcher | |
| CN209236613U (en) | Submarine rescues special stretcher | |
| JP4217328B2 (en) | Carrying pallet | |
| JP2545064Y2 (en) | Conveyor belt for inclined convey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