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647B1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Google Patents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9647B1 KR102449647B1 KR1020220040689A KR20220040689A KR102449647B1 KR 102449647 B1 KR102449647 B1 KR 102449647B1 KR 1020220040689 A KR1020220040689 A KR 1020220040689A KR 20220040689 A KR20220040689 A KR 20220040689A KR 102449647 B1 KR102449647 B1 KR 102449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nsion
- support
- dental implant
- abutment
- insertion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전체 높이를 줄이는 동시에 간편시술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은 치조골에 삽입되는 고정체에 결합되거나 치조골에 직접 삽입되고,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연장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구비한 지대주; 상기 삽입홈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통과홀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을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구조체; 상기 관통공의 내부와 상기 확장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 및 상기 지대주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지대주에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지지체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홈이 형성된 인공치아;를 포함하되,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삽입홈 내부로 도입되는 확장나사에 의해 상기 확장부가 상기 관통공 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지지체가 상기 지대주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Disclosed are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capable of reducing the overall height and a simple operation, and a dental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The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fixture to b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or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or more through-hol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butment with A support part installed on a step form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ereof, one or more extension parts positioned to face the through hol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one or more connecting parts connecting the support part and the extension part A fixing structure comprising; one or more supports located inside the through hole and outside the extension; and artificial teeth coupled to the abutment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and having a support coupl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o which the support is coupled; The extension may be deformed toward the through-hole so that the support may protrude out of the abut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높이를 줄이는 동시에 간편시술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 dental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capable of reducing an overall height and performing a simple operation at the same time, and a dental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치과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고정체(fixture), 고정체에 연결되어 인공치아(crown)을 지지하는 지대주(abutment), 지대주와 인공치아 사이에서 프레임 역할을 하는 내관(coping) 그리고 인공치아(crown)로 구성된다.In general, dental implants include a fixtur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connected to the fixture to support an artificial tooth, a coping that serves as a frame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artificial tooth, and an artificial tooth. (crown)
임플란트 보철과정에서는 지대주, 내관 및 인공치아를 필요로 하고, 내관과 인공치아는 한 몸체로 만들어진다. 이를 통상적으로 상부보철물이라 칭하고, 고정체와 상부보철물을 지대주가 연결하게 된다.The implant prosthetic process requires an abutment, an inner tube, and an artificial tooth, and the inner tube and the artificial tooth are made as one body. This is commonly referred to as an upper prosthesis, and the abutment connects the fixture and the upper prosthesis.
종래의 임플란트 보철물의 유지구조는 상부보철물과 지대주의 유지구조에 따라 나사 유지형(Screw retained type), 시멘트 유지형(Cement retained type) 및 나사-시멘트 복합형(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retentio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implant prosthesis can be divided into screw retained type, cement retained type, and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type depending on the retention structure of the upper prosthesis and abutment. have.
하지만, 나사 유지형 보철물의 경우 교합면 나사 구멍(screw hole) 존재로 기능 및 심미성이 저하되고, 나사의 잦은 풀림과 파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경우 탈부착이 어려워 보철물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수리가 어렵고, 잇몸 속에 존재하는 잔류 시멘트에 의한 감염 및 골흡수로 인한 임플란트 시술이 실패하는 문제가 있으며, 나사-시멘트 복합형 보철물의 경우 접각도가 서로 다른 내부연결형 고정체에서는 적용이 어렵고, 나사 접근 구멍(screw access hole)으로 인해 심미성이 떨어지고 교합면 형성이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screw-retained prostheses, the function and aesthetics are deteriorated due to the presence of screw holes in the occlusal surface, and frequent loosening and fracture of screws occur. In the case of a screw-cement composite prosthesis,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n internally connected fixture with different contact angl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sthetic is poor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n occlusal surface due to the screw access hole.
한편, 전통적인 보철물 제작 방법은 구강 내 인상채득부터 최종 보철물 제작까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복잡한 작업과정과 개인의 역량에 따라 보철물의 질적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동일인이 제작하더라도 작업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힘든 점과 제작과정에 투입되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큰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radition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it is common that the operator manually proceeds from taking an impression in the oral cavity to manufacturing the final prosthesis. The quality of the prosthesi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licated work process and the individual's capabilities, and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consistency of the work even if the same person manufactures it, and there are major disadvantages in the waste of manpower and time inves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산업용으로 활용되어 왔던 CAD/CAM(Computer Aieded Design/Manufacturing) 시스템이 치과 영역에 도입되고, 환자의 구강 정보를 3차원의 형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구강스캐너와 티타늄, 세라믹, 지르코니아를 가공할 수 있는 밀링 장비 등 치과용 디지털 장비의 보급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발전은 디지털 덴티스트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었으며, 보철물 제작에 있어서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작업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보다 정확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The CAD/CAM (Computer Aieded Design/Manufacturing) system, which has been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dental field, and an oral scanner that can acquire the patient's oral information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a titanium, ceramic, and zirconia Dental digital equipment such as milling equipment has been disseminated. This development created a new paradigm called digital dentistry, and b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in prosthesis production, it became possible to manufacture more accurate prostheses while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working time.
한편, 최근에는 기존의 임플란트 보철물(나사 유지형, 시멘트 유지형, 나사-시멘트 복합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임플란트 구조가 제안되어 왔다. 링크와 나사에 의한 유지구조는 상부보철물과 지대주 간 링크와 나사를 이용한 이중 유지구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기존 임플란트 보철물의 단점인 수직압과 측방압 발생 시 나사 풀림, 파절 및 싱크 다운(sink down)의 발생을 막고 기능 운동 시 지대주에 의해 교합력이 분산될 수 있어서, 교합력 집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링크에 맞는 상부 보철물의 제작은 전문적인 기공소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보철물이 제작이 어렵고, 임플란트 식립각도에 따라 보철물 적용에 제한이 있으며, 상부보철물과 링크 간 가공 오차에 의한 나사풀림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new implant structure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existing implant prostheses (screw-retained type, cement-retained type, screw-cement composite type). The retaining structure by link and screw uses a double retaining structure using a link and a screw between the upper prosthesis and the abutment. ), and the occlusal force can be dispersed by the abutment during functional exercise,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complications due to occlusal force concentration. However, the prosthesis is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it is possible only in specialized laboratories to manufacture the upper prosthesis that fits the link,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osthesis is limited depending on the implant placement angle. Disadvantages exist.
에어(air)의 팽창과 지대주의 수직각도(마찰력)에 의한 유지구조는 상부보철물 내면에 소정의 공간(sac)이 형성되도록 제작하고, 에어의 팽창과 지대주의 수직각도(마찰력)를 이용한다. 기능 운동 시 작용, 반작용에 의해 교합력을 분산시켜 고정체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지대주와 상부보철물 사이에 에어 공간(air sac)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공소에서만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철물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수리나 위생을 목적으로 상부보철물과 지대주를 분리할 때 냉각제가 필요하고, 이 때 부가적인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번거로운 단점이 존재한다.The holding structure by the expansion of air and the vertical angle (friction force) of the abutment is manufactured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sac)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rosthesis, and the expansion of the air and the vertical angle (friction force) of the abutment are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load on the fixture by dispersing the occlusal force by action and reaction during functional movement. However, in order to form an air sac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upper prosthesis,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prosthesis because it can only be manufactured in a specialized laboratory. It is necessary, and in this case, additional costs are requir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cumbersome for the patient.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된 슬리브(sleeve)의 언더컷(undercut)에 의한 유지구조는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이용하여 슬리브가 지대주와 내관의 언더컷에 잠기고 풀림으로써 상부보철물과 지대주의 착탈이 가능한 구조이다. 하지만, 수리나 위생을 목적으로 상부보철물과 지대주를 분리할 때 내관에 저항적 열생산(resitive heating)이 반드시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전용의 장비(activator probe)가 필요하다. 또한, 저항적 열생산을 위해서는 보철물 설측에 두 개의 큰 구멍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는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The retaining structure by the undercut of the sleeve made of shape memory alloy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rosthesis and the abutment are detachabl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memory alloy to lock and release the sleeve in the undercut of the abutment and the inner tube. However, when the upper prosthesis and the abutment are separated for the purpose of repair or hygiene, resistive heating of the inner tube is absolutely required, and an activator probe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in order to resist heat production, two large holes must be formed on the lingual side of the prosthesis,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patient.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33258호는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에 관한 것이나, 크라운이 부착되는 크라운부착부의 존재로 인해, 임플란트 구조물 높이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는 악간 거리가 좁은 환자에게 적용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크라운이 크라운부착부에 부착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크라운-지대주 간 유지력이 견고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The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633258 relates to an implant-coupled prosthesis that is easy to operate and correct, but due to the existence of the crown attachment part to which the crown is attached,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height of the implant structure cannot but be increased, which is the intermaxillary distance. It was difficult to apply to narrow patients. In addition, by adopting a method in which the crown is attached to the crown attachment portion using an adhesive in the prior ar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holding force between the crown-abutment is not strong.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 구조물의 높이를 줄여 악간 거리가 짧은 환자에게도 대응할 수 있고 제작과 시술이 매우 간편한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ed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that can respond to a patient with a short intermaxillary distance by reducing the height of the implant structure and is very easy to manufacture and operate, and a dental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은, 치조골에 삽입되는 고정체에 결합되거나 치조골에 직접 삽입되고,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연장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구비한 지대주; 상기 삽입홈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통과홀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을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구조체; 상기 관통공의 내부와 상기 확장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 및 상기 지대주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지대주에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지지체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홈이 형성된 인공치아;를 포함하되,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삽입홈 내부로 도입되는 확장나사에 의해 상기 확장부가 상기 관통공 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지지체가 상기 지대주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fixture to b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or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s radial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 abutment having one or more through-holes; A support part installed on a step form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ereof, one or more extension parts positioned to face the through hol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one or more connecting parts connecting the support part and the extension part A fixing structure comprising; one or more supports located inside the through hole and outside the extension; and artificial teeth coupled to the abutment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and having a support coupl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o which the support is coupled; The extension may be deformed toward the through-hole so that the support may protrude out of the abutment.
이때, 상기 확장부는 그 내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확장나사가 상기 삽입홈 내부로 도입됨을 안내하면서 상기 확장부가 상기 확장나사에 의해 안정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part is provided to be inclined in a form whose inner surf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extension part can be stably deformed by the extension screw while guiding the introduction of the extension screw into the insertion groove.
이때, 상기 확장부는 상기 삽입홈 내주면 일부 또는 거의 전부에 대응되는 소정의 두께의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ension part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most all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부분을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리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b that connects a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to the support part.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단부 또는 중심부를 상기 지지부에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may connect one end or a central part of the extension part to the support part.
이때, 상기 확장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인접 영역에는 상기 지지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part to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body.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의 내주 형상에 대응되는 슬리브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단턱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leev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step, and may b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may be press-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는, 치조골에 삽입되는 고정체에 결합되거나 치조골에 직접 삽입되는 지대주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에 설치되며, 상기 지대주의 반경 방향을 향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통해 하나 이상의 지지체를 상기 지대주 외부로 돌출시키는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통과홀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을 대면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삽입홈 내부로 도입되는 확장나사에 의해 상기 관통공 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지지체를 상기 지대주 외부로 돌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insertion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an abutment that is coupled to a fixture to b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or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butment. A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s for protruding one or more supports to the outside of the abutment through one or more through-holes formed toward, the support portion being installed on the step form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one or more extension parts positioned to face the through hol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deformed toward the through hole by an expansion screw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the through hole to protrude the support to the outside of the abutment; and one or more connecting parts connecting the support part and the extension part.
이때, 상기 확장부는 그 내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확장나사가 상기 삽입홈 내부로 도입됨을 안내하면서 상기 확장부가 상기 확장나사에 의해 안정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part is provided to be inclined in a form whose inner surf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extension part can be stably deformed by the extension screw while guiding the introduction of the extension screw into the insertion groove.
이때, 상기 확장부는 상기 삽입홈 내주면 일부 또는 거의 전부에 대응되는 소정의 두께의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ension part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most all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부분을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리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b that connects a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to the support part.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단부 또는 중심부를 상기 지지부에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may connect one end or a central part of the extension part to the support part.
이때, 상기 확장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인접 영역에는 상기 지지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part to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body.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의 내주 형상에 대응되는 슬리브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단턱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leev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step, and may b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may be press-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은 지대주가 치조골에 삽입된 상태에서 확장나사를 한번 체결 시술함으로써 임플란트의 조립이 완성됨으로 시술성이 매우 뛰어나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ntal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y excellent in operation because the assembly of the implant is completed by fastening the expansion screw once while the abutment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은 지대주 상부에 어버트먼트에 해당하는 부분의 높이를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임플란트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악간 거리가 짧은 환자에게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다.Since the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ntal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can form a small height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butment on the upper abutment, by reduc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implant, the intermaxillary distance is short even for patients. It can be operated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일부 구성요소인 고정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3 .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structure that is a component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nfiguration may be replaced by various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The presence of an element "in front", "behind", "above" or "below" of another element means tha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element, such as "front", "behind", "above" or "below". It includes not only those disposed under the “lower part” but also cases in which another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middle.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to each oth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지대주(100), 고정구조체(200), 지지체(400), 확장나사(300) 그리고 인공치아(10)를 포함할 수 있다.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an
상기 지대주(1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치조골에 삽입되는 고정체에 결합되거나 치조골에 직접 삽입되고,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01)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연장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102)을 구비할 수 있다.1 to 5, the
이때, 상기 지대주(100)는 여기서는 직접 치조골에 삽입되는 형태의 실시예로 표현되어 있다. 즉 상기 지대주(100)가 치조골에 직접 삽입되어 있으므로 지대주(100)를 삽입한 상태에서 확장나사(300)를 체결함으로써 시술이 완료되기 때문에 시술이 간편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지대주(100)는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 외면에는 치조골 결합을 위한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지대주(100)는 소위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일체로 형성된 예이다. 따라서 상기 지대주(100)는 픽스츄어에 해당하는 하부 몸체(110)와 어버트먼트에 해당하는 상부 몸체(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지대주(100)의 중앙에는, 도 3을 참고하면, 확장나사(300)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101a)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홈(101a)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in the center of the
이때, 상기 지대주(100)의 체결홈(101a)의 입구에는 삽입홈(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01)에 상기 고정구조체(200)가 삽입되어 안착 고정되고, 고정구조체(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그 내측에 확장나사(300)의 머리가 체결 후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an
이때, 상기 지대주(100)의 삽입홈(101)은 체결홈(101a)과 연통되는 형태이고, 상기 삽입홈(101)에 확장나사(300)의 머리와 고정구조체(200)가 위치하게 되므로 체결홈(101a)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시, 상기 삽입홈(101)과 체결홈(101a) 사이에는 단턱(101b)이 형성되어 있고, 그 단턱(101b)에 고정구조체(200)가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고정구조체(200)가 삽입홈(101)에 안착 고정되고, 압입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시술에 제공되므로 조립 및 고정은 그 전에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지대주(100)의 상부 몸체(120)에는 인공치아(10)가 조립될 수 있도록 경사면(12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경사면(120a)의 내측이 삽입홈(101)이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지대주(100)의 경사면(120a)을 관통하여 지지체(400)가 설치되는 관통공(10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400)는 관통공(102)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a through
상기 고정구조체(2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홈(101)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101b)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통과홀이 형성된 지지부(210)와, 상기 삽입홈(101)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102)을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220)와,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확장부(2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fixing
이때, 상기 고정구조체(200)는 상기 지지부(210), 확장부(220), 그리고 연결부(2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는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fixing
이때, 상기 확장부(220)는 그 내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라운드형 경사면(220a)으로 형성되어, 상기 확장나사(300)가 상기 삽입홈(101) 내부로 도입됨을 안내하면서 상기 확장부(220)가 상기 확장나사(300)에 의해 안정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삽입홈(101) 내주면 일부 또는 거의 전부에 대응되는 소정의 두께의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230)를 통해 상기 지지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연결부(210)는 상기 확장부(220)의 일부분을 상기 지지부(210)에 연결하는 리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확장부(220)의 일단부 또는 중심부를 상기 지지부(210)에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연결부(230)가 연결되는 부분의 인접 영역에는 상기 지지체(400)와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접 영역에서 지지체(400)와 접촉하게 되면 그 부분은 영구 변형이 확실한 양만큼 일어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단턱(101b)의 내주 형상에 대응되는 슬리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중앙으로 확장나사(300)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슬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단턱(101b)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체(200) 자체가 삽입홈(101)에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고, 안착 후 입구부에 위치하게 되는 확장부(220)는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지지부(210)가 삽입홈(101)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 등의 방식은 불가능하므로 압입 고정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나 재료를 매개로 고정구조체(200)를 삽입홈(101)에 고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즉, 고정구조체(200)와 지지체(400)가 지대주(100)에 조립되고 인공치아(10)도 조립된 상태에서 확장나사(300)가 지주대(100)에 조립되면, 고정구조체(200)의 확장부(220)가 지지체(400)를 관통공(102) 외측으로 밀게 되고 지지체(400)의 일부가 인공치아(10)의 지지체 결합홈(10a)에 안착되어 인공치아(10)가 고정될 수 있다(도 3 참고). 이때 고정구조체(200)의 확장부(220)가 확장나사(300)에 의해 밀리게 되므로 확장부(220)에 영구변형이 가해진다. 반대로 확장나사(300)를 분리하게 되면 확장부(220)를 지지하는 부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확장부(220)는 내측으로 영구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 인공치아(10)를 당겨 제거하게 되면 지지체(400)가 확장부(220)를 삽입홈(101) 내측으로 밀게 되어 역시 영구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다시 동일한 방식으로 인공치아(10)의 조립이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상기 지지체(4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관통공(102)의 내부와 상기 확장부(220)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체(400)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복수개로 설치하는 것이 고정력 확보에 유리할 수 있다.1 to 5 , the
이때, 상기 지지체(400)는 구형의 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400)는 볼 형태뿐만 아니라 타원, 원기둥, 또는 외면이 다면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관통공(102)을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이 서로 다른 형태, 전술한 형태의 조합을 적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인공치아(1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지대주(1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지대주(100)에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지지체(400)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홈이 지지체(4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1 to 5, the
이때, 상기 지지부(210)의 통과홀을 통해 상기 삽입홈(101) 내부로 도입되는 확장나사(300)에 의해 상기 확장부(300)가 상기 관통공(102) 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지지체(400)가 상기 지대주(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나사(300)는 지대주(100)에 나사(320) 결합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고정구조체(200)의 확장부(220)를 외측으로 밀어 지지체(400)를 확장나사(300)의 지지체 결합홈(10a)에 안착시키는 2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확장나사(3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부에는 툴을 삽입하기 위한 툴 삽입용 홀(310)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는 경사면(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지대주(100)의 체결홈(101a)에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320)가 형성되어 있다.1 to 5 , the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임플란트가 시술 완료되어 인공치아(10)가 결합된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하부의 지대주(100)는 치초골에 직접 삽입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고, 지대주(100)의 상부 몸체(120)에 인공치아(10)가 복수개의 지지체(4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지지체(400)는 관통공(102)을 통과하여 일부가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된 부분은 인공치아(10)의 지지체 결합홈(10a)에 안착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인공치아(10)는 지대주(1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되어 있게 되고, 지대주(100)의 상단부에는 확장나사(300)가 고정구조체(200)의 통과홀을 관통하여 체결홈(101a)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인공치아(10)를 지대주(100)에 지지체(400)를 매개로 고정하고 있다.Referring to Figure 1,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implant is completed and the structure to which the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대주(100)는 일체형으로 치조골에 삽입 시술될 것이다. 지대주(100)의 내측에는 상부로부터 삽입홈(101)과 체결홈(10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홈(101)에 복수개의 지지체(400)와 고정구조체(200)가 삽입되어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구조체(200)는 삽입홈의 단턱(101b)에 안착 후, 압입으로 지대주(100)의 삽입홈(101)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구조체(200)의 확장부(220)가 지지체(400)를 관통공(102) 쪽으로 밀고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체(400)는 관통공(102)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공치아(10)를 지대주(100)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확장나사(300)를 체결하면 조립이 단 한 번의 시술로 완성될 수 있다. 즉 인공치아(10)의 지지체 결함홈(10a)을 각 관통공(102)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확장나사(300)를 지대주(100)의 체결홈(101a)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시키면 조립 및 시술이 완성된다. 확장나사(300)가 체결되기 시작하면 확장나사(300)의 머리 부분의 경사면(330)이 확장부(220) 내측의 경사면(220a)을 외측방향으로 밀게 되어 영구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확장부(220)에 접촉하고 있는 지지체(400)는 확장부(220)에 의해 밀려 관통공(102) 외측으로 일부가 밀려나 돌출되고, 그 돌출된 부분이 인공치아(10)의 지지체 결합홈(10a)에 안착되어 인공치아(10)가 빠지지 않도록 지대주(100)에 조립 완성된다.2, an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확장나사(300)를 체결하여 인공치아(10)의 시술이 완성된 상태이다. 지지체(400)는 관통공(102)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된 부분은 인공치아(10)의 지지체 결합홈(10a)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인공치아(10)는 복수개의 지지체(400)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하게 안착 및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재시술의 경우나 교환과 같은 경우, 확장나사(300)를 시술용 홀(10b)에 툴을 넣어 지주대(100)로부터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도 지지체(400)가 인공치아(10)를 고정하고 있게 되지만 확장나사(300)가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힘을 가하여 인공치아(10)를 지대주(100) 반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일차적으로 지지체(400)가 내측으로 힘을 받아 미세 이동하게 되고 지지체(400)들이 확장부(220)를 내측으로 밀면서 확장부(220)가 내측으로 영구 변형된다. 그에 따라 인공치아(10)는 지주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새 인공치아나 기존 인공치아를 첫 시술 때처럼 배치한 다음 확장나사(300)를 체결하면 단 한 번의 체결로 재시술이 가능하게 된다.3 and 4,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 The operation of the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일부 구성요소인 고정구조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구조체(220)는 상부로부터 확장부, 연결부, 그리고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지고, 1개의 연결부(230)가 확장부(220)와 지지부(210)를 연결하고 있다. 확장부(220)는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지나 완전히 절개된 절개부(220b)가 형성됨으로써 외경이 변형에 따라 증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부(220)의 절개부(220b) 일단에는 연결부(230)가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부(230)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확장부(220)가 복수개의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각 확장부(220)는 각 연결부(230)에 의해 지지부(210)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져 절개부(220b)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지지부(210)의 외경이 확장부(2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삽입홈(101)에 조립 시에 유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연결부(230)의 외경 또한 지지부(21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220)는 재질 탄성이 전혀 없을 수는 없으나 대체로 소성 재질로 이루어져 영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220)가 내측 외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영구 변형됨으로써 지지체(400)가 인공치아(10)를 구속 및 해제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re is shown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structure that is a component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번 실시예는 전번 실시예와 달리 지대주가 일체형이 아닌 픽스츄어(20)와 어버트먼트(100)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여준다. 픽스츄어(20)가 먼저 치조골이 식립되고, 그 상태에서 어버트먼트(100)와 그 외 구성요소를 배치하고 확장나사(300)를 픽스츄어(100)에 체결함으로써 역시 단 한 번의 체결로 시술이 완료된다. 확장나사(300)는 픽스츄어(20)와 나사 체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길이가 더 긴 형태를 가진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re is shown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ntal implan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is embodiment shows a case in which the abutment is made of the
한편, 도 6에서는 하나의 확장나사를 사용하여 나사 체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먼저 체결하고, 그 다음 도 3과 같이 고정구조체를 배치한 다음 확장나사를 어버트먼트에 체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FIG. 6 shows that the screw is fastened using one expansion screw,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are first fastened using the fastening screw as in the general case, and then the fixing structure is arranged as shown in FIG. 3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asten the expansion screw to the abut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인공치아
10a : 지지체 결합홈 20 : 픽스츄어
100 : 지대주 102 : 관통공
200 : 고정구조체 210 : 지지부
220 : 확장부 230 : 연결부
300 : 확장나사 400 : 지지체10: artificial teeth
10a: support coupling groove 20: fixture
100: abutment 102: through hole
200: fixed structure 210: support
220: extension 230: connection part
300: expansion screw 400: support
Claims (16)
상기 삽입홈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통과홀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을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구조체;
상기 관통공의 내부와 상기 확장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 및
상기 지대주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지대주에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지지체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홈이 형성된 인공치아;를 포함하되,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삽입홈 내부로 도입되는 확장나사에 의해 상기 확장부가 상기 관통공 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지지체가 상기 지대주 외부로 돌출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An abutment having one or more through-holes coupled to a fixture to b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or directly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adially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 support part installed on a step form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ereof, one or more extension parts positioned to face the through hol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one or more connecting parts connecting the support part and the extension part A fixing structure comprising;
one or more supports located inside the through hole and outside the extension; and
It is coupled to the abutment so a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and an artificial tooth having a support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including;
The extension portion is deformed toward the through hole by the extension screw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suppor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abutment, a dental implant structure.
상기 확장부는 그 내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확장나사가 상기 삽입홈 내부로 도입됨을 안내하면서 상기 확장부가 상기 확장나사에 의해 안정적으로 변형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ner surface that is inclined in a form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stably deformed by the extension screw while guiding the introduction of the extension screw into the insertion groove, a dental implant structure.
상기 확장부는 상기 삽입홈 내주면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의 두께의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a dental implant structure.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부분을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리브 형태로 구비된,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ib for connecting a portion of the extension to the support, a dental implant structure.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단부 또는 중심부를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one end 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extension to the support, a dental implant structure.
상기 확장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인접 영역에는 상기 지지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4. The method of claim 3,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a dental implant structure.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의 내주 형상에 대응되는 슬리브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단턱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leev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step, and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 a dental implant structure.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portion is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ped, dental implant structure.
상기 삽입홈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통과홀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을 대면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삽입홈 내부로 도입되는 확장나사에 의해 상기 관통공 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지지체를 상기 지대주 외부로 돌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It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abutment that is coupled to the fixture to b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or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one or more supports through one or more through-hole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butment outside the abutment As a fixed structure for dental implants that protrude with
a support part installed on a step form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ne or more extension parts positioned to face the through hol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deformed toward the through hole by an expansion screw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the through hole to protrude the support to the outside of the abutment; and
Containing, a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s;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 and the extension.
상기 확장부는 그 내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확장나사가 상기 삽입홈 내부로 도입됨을 안내하면서 상기 확장부가 상기 확장나사에 의해 안정적으로 변형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to be inclined in a form whose inner surf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stably deformed by the extension screw while guiding the introduction of the extension screw into the insertion groove,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상기 확장부는 상기 삽입홈 내주면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의 두께의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부분을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리브 형태로 구비된,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ib for connecting a portion of the extension to the support,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단부 또는 중심부를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one end 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to the support portion,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상기 확장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인접 영역에는 상기 지지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 구조체.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의 내주 형상에 대응되는 슬리브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단턱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4,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leev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step,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upport portion is press-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 a fixing 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40689A KR102449647B1 (en) | 2022-03-31 | 2022-03-31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 PCT/KR2023/004038 WO2023191419A1 (en) | 2022-03-31 | 2023-03-27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40689A KR102449647B1 (en) | 2022-03-31 | 2022-03-31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449647B1 true KR102449647B1 (en) | 2022-09-30 |
Family
ID=834516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40689A Active KR102449647B1 (en) | 2022-03-31 | 2022-03-31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4964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3191419A1 (en) * | 2022-03-31 | 2023-10-05 |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40101806A1 (en) * | 2002-09-12 | 2004-05-27 | Ajay Kumar | Dental impression coping with retention |
| KR101633259B1 (en) * | 2016-02-25 | 2016-06-24 | 채희진 | Removable implant-bonded prosthesis |
| US20160250003A1 (en) * | 2013-10-15 | 2016-09-01 | Zl Microdent-Attachment Gmbh & Co. Kg | Retention die and dental implant system |
| KR20190108699A (en) * | 2018-03-15 | 2019-09-25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Removable implant structure for abutment sinking prevention |
| KR20200137246A (en) * | 2019-05-29 | 2020-12-09 | (주) 코웰메디 | Dual bushing type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
-
2022
- 2022-03-31 KR KR1020220040689A patent/KR1024496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40101806A1 (en) * | 2002-09-12 | 2004-05-27 | Ajay Kumar | Dental impression coping with retention |
| US20160250003A1 (en) * | 2013-10-15 | 2016-09-01 | Zl Microdent-Attachment Gmbh & Co. Kg | Retention die and dental implant system |
| KR101633259B1 (en) * | 2016-02-25 | 2016-06-24 | 채희진 | Removable implant-bonded prosthesis |
| KR20190108699A (en) * | 2018-03-15 | 2019-09-25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Removable implant structure for abutment sinking prevention |
| KR20200137246A (en) * | 2019-05-29 | 2020-12-09 | (주) 코웰메디 | Dual bushing type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3191419A1 (en) * | 2022-03-31 | 2023-10-05 |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890150B2 (en) | Method of install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 |
| US20220296342A1 (en) |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 |
| US11116613B2 (en) | Molds for custom dental implant abutments and impression posts | |
| US9498307B2 (en) | Method of install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 |
| US7806691B2 (en) | Method and system for fixing removable dentures | |
| KR100677870B1 (en) | Healing abutments and dental implants with them | |
| KR102551331B1 (en) | Abutment assembly | |
| EP1362560B1 (en) | Latch for dental abutment | |
| US20180092721A1 (en) | Accurate Analogs For Prosthesis Using Computer Generated Anatomical Models | |
| KR102173435B1 (en) | Dental prosthesis system | |
| US9308059B2 (en) | Implant bite registration jig and bite impression fabrication method using the jig | |
| US20060188844A1 (en) | Method and kit for preparing a dental abutment | |
| JPH11503655A (en) | Impression system for implant end protruding from human anatomy | |
| JP2004521671A (en) | Positioning device for providing an implant-supported denture | |
| KR102449647B1 (en)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
| US20200397540A1 (en) | Dentur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ure | |
| EP2906141B1 (en) | A cradle for position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a system incorporating the cradle | |
| KR102435786B1 (en)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
| KR100473142B1 (en) | Implant system | |
| KR20200014558A (en) | Abutment assembly | |
| KR20220140286A (en) | Washer of the abutment assembly | |
| KR200286847Y1 (en) | Structure of dental implant | |
| KR102264155B1 (en) | holder apparatus for digital overdenture | |
| KR102604677B1 (en) | Dental Implant Structure with Dual Retention Structure and Digital Prosthetic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Structure | |
| KR20240025289A (en) | Fixing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comprising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