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369B1 -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 Google Patents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3369B1 KR102453369B1 KR1020200067467A KR20200067467A KR102453369B1 KR 102453369 B1 KR102453369 B1 KR 102453369B1 KR 1020200067467 A KR1020200067467 A KR 1020200067467A KR 20200067467 A KR20200067467 A KR 20200067467A KR 102453369 B1 KR102453369 B1 KR 1024533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neumatic
- lens
- camera
- blanket
- clea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 H04N5/2254—
-
- H04N5/225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로봇 등에 장착된 촬영 수단으로서 조명 부재의 내측에 마련된 카메라의 렌즈를 주기적으로 또한 자동으로 세척하는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내에서 상기 카메라를 유지시키는 블랭킷, 상기 블랭킷의 외주변에 마련된 조명 부재 및 상기 블랭킷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모듈은 상기 블랭킷에 마련된 공압 배출부, 상기 공압 배출부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 공급 부재, 상기 공압 공급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배출부는 상기 렌즈의 화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블랭킷과 단차를 두고 마련되고, 상기 공압 배출부에는 다수의 공압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공압 배출구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공압을 배출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렌즈 및 조명 부재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relates to a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periodically and automatically cleaning a camera lens provided inside a lighting member as a photographing means mounted on a robot, etc., comprising: a blanket for holding the camera in a housing;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anket a lighting member and a cleaning module mounted on the blanket and automatically cleaning the lens, wherein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pneumatic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blanket, a pneumatic supply member for supplying air pressure to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and the pneumatic supply memb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wherein the pneumatic outlet is provided with a step difference from the blanket to maintain the angle of view of the lens, and a plurality of pneumatic outlets are provided in the pneumatic outlet, and in the plurality of pneumatic outlets, a predetermined By providing a structure including a structure for discharging air pressure at time interv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the lens and the lighting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봇의 촬영 또는 감시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의 렌즈 부분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블랭킷(blanket)을 이용하여 로봇 등에 장착된 촬영 수단으로서 조명 부재의 내측에 마련된 카메라의 렌즈를 주기적으로 또한 자동으로 세척하는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lens part of a camera mounted on a photographing or monitoring device of a robot, and in particular, as a photographing means mounted on a robot, etc. using an air blanket, the inside of a lighting member It relates to a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periodically and automatically cleaning the lens of the camera provided in the.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장착된 렌즈를 세척하기 위해서 세척용 헝겊을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했고, 세척용 헝겊 외의 다른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렌즈에 흠집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In general, in order to wash the lens mounted on the camera, it is necessary to always carry a cleaning cloth, and if you use anything other than the cleaning cloth, there is a fear that the lens may be scratched.
또 로봇 등에는 작업 정보(시점 정보, 종점 정보 등)를 얻기 위해 위치인식 카메라, 예를 들어 용접용 캔트리 로봇 시스템에서 비전 카메라가 마련되며, 비전 카메라에는 용접 작업시 주변의 흄, 분진,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비전 카메라 앵글이 오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촬상 된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work information (start point information, end point information, etc.) for robots, a position recognition camera, for example, a vision camera from a cantry robot system for welding is provided. A cover is provi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aptured image by blocking the inflow of the back and preventing the vision camera angle from being contaminated.
이러한 비전 카메라에는 렌즈 부분을 청소할 수 없고, 단지 에어 실린더에 의해 커버가 병진 운동하도록만 구성되어 있어, 에어 실린더 구동을 위한 공압 라인 외에도 복잡한 전기 라인을 함께 갖추고 있기 때문에 기구부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카메라 부분을 소제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such a vision camera, the lens part cannot be cleaned, and the cover is only configured to move in translation by the air cylind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manage. That 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had to periodically clean the camera part.
한편, 건물의 천장 또는 벽의 상부 등에 장착된 CCTV 등의 카메라 부분에서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손잡이가 마련된 거치봉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move contaminants from a camera part, such as a CCTV mounted on the ceiling or upper part of a wall of a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has to use a holding rod provided with a handl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solving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Documents 1 to 3, etc.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후방 감시용 카메라의 렌즈를 세척하는 렌즈 세척부를 자동차 카메라 렌즈 전방에 설치하고, 자동차 후방 감시용 카메라의 렌즈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워셔액 분사부를 카메라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워셔액을 건조시키는 송풍 팬을 설치하여, 자동차의 점화 스위치가 온 되고 후방 감지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세척 스위치를 온시키면, 상기 렌즈 세척부가 카메라 렌즈를 세척하고 워셔액 분사부로부터 워셔액이 카메라 렌즈로 분사되며 다음에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바람이 카메라 렌즈로 송풍되어 상기 워셔액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먼지를 날려보내 상기 후방 감시용 카메라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자동차 후방 감시 카메라 세척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below, a lens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lens of the rear monitoring camera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camera lens, and a washer liquid injection unit for spraying the washer liquid to the lens of the vehicle rear monitoring camera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mera, By installing a blower fan that dries the washer fluid, when the car ignition switch is turned on and the washing switch is turned on while the rear detection switch is on, the lens cleaning unit cleans the camera lens and the washer fluid is sprayed from the washer fluid injection unit to the camera lens Then, wind is blown from the blowing fan to the camera lens to dry the washer fluid and at the same time blow away dust to automatically clean the rear monitoring camera.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전면 유리창이 부착된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카메라를 장착하며, 카메라 하우징을 내벽과 외벽으로 된 이중 벽으로 형성하여 내 외벽 사이에 공기 공급로가 구성되도록 형성하고, 공기공급로의 선후 양단부에 내측에 필터를 장착한 공기 공급구와 유리창의 표면부에 도입된 공기 분사구를 각각 형성하며, 공기 공급구에 타이머와 연결시킨 송풍 팬을 설치하여 된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의 먼지 제거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below, a camera is mounted inside a camera housing with a front glass window, and the camera housing is formed as a double wall composed of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to form an air supply path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and the air supply path An air supply port equipped with a filter inside and an air injection port introduced to the surface of the glass window ar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and a blower fan connected with a timer is installed in the air supply port for the dust removal device of the camera housing using airflow has been disclosed for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가지는 탱크로서, 액체 및, 처리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들을 담는 내부를 형성하는 탱크, 초음파 에너지를 탱크의 내부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서로 평행한 제1 면 패널 및 제2 면 패널을 구비한 공기 블랭킷 반사기(air blanket reflector)로서, 상기 제1 면 패널 및 상기 제2 면 패널은 상기 탱크의 벽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면 패널 및 상기 제2 면 패널은 공기를 포함하는 공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면 패널 전체는 상기 탱크의 벽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1 면 패널의 두께는 상기 탱크의 벽 두께보다 작고, 상기 공기 블랭킷 반사기는 상기 탱크 안의 액체 표면의 위로 상방향 연장되고 상기 공동의 상부에 배기(venting)를 구비하는, 공기 블랭킷 반사기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Patent Document 3 below, as a tank having at least one wall, a tank forming an interior containing a liquid and one or more parts to be treated, one or more ultrasonic transducers providing ultrasonic energy to the inside of the tank,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 air blanket reflector having a first face panel and a second face panel, wherein the first face panel and the second face panel are parallel to the walls of the tank, the first face panel and the the second face panel defines a cavity containing air, the entire second face panel is positioned adjacent a wall of the tank, the thickness of the first face panel is less than a wall thickness of the tank, the air blanket A reflector is disclosed for a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air blanket reflector extending upwardly above the surface of the liquid in the tank and having a venting at the top of the cavity.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워셔액을 분사하는 워셔액 분사부를 적용하지만, 예를 들어 로봇의 촬영 수단으로 마련된 카메라 등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a washer liquid spraying unit for spraying a washer liquid is appli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for example, a camera provided as a photographing means of a robot.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CCTV 카메라용 먼지 제거 장치에서는 카메라 하우징의 내부에 송풍 팬 및 공기 공급로를 각각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증가되며, 카메라 렌즈 부분을 직접 세척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n the dust removal device for a CCTV camera, a blower fan and an air supply path must be installed inside the camera housing, respectively, so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mera lens part cannot be washed directly. there was.
한편,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공기 블랭킷 반사기는 정제기(refineries)의 열교환기 세정, 낙농 장비의 세정, 펄프 공정 장비 세정과 같은 초음파 적용 예들에서 유용하지만, 카메라의 렌즈 부분을 직접 세척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blanket reflect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s useful in ultrasonic applications such as heat exchanger cleaning of refineries, cleaning of dairy equipment, and cleaning of pulp processing equipment, but the problem that the lens part of the camera cannot be directly cleaned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로봇의 촬영 수단으로서 조명 부재의 내측에 마련된 카메라의 렌즈 부분을 자동으로 또한 주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nd periodically cleaning a lens part of a camera provided inside a lighting member as a photographing means of a robot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의 렌즈 부분 및 조명 부재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a lens portion and a lighting member of a camer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는 촬영 또는 감시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의 렌즈 부분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장치로서, 하우징 내에서 상기 카메라를 유지시키는 블랭킷, 상기 블랭킷의 외주변에 마련된 조명 부재 및 상기 블랭킷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모듈은 상기 블랭킷에 마련된 공압 배출부, 상기 공압 배출부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 공급 부재, 상기 공압 공급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배출부는 상기 렌즈의 화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블랭킷과 단차를 두고 마련되고, 상기 공압 배출부에는 다수의 공압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공압 배출구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공압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camera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lens part of a camera mounted on a photographing or monitoring device, a blanket for holding the camera in a housing,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blanket and a cleaning module mounted on the blanket and mounted on the blanket, wherein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pneumatic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blanket, a pneumatic supply member for supplying air pressure to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the pneumatic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member, wherein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is provided with a step difference from the blanket to maintain the angle of view of the lens,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neumatic outlets, and in the plurality of pneumatic outle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neumatic pressure is discharg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서, 상기 조명 부재는 상기 렌즈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LED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s to surround the lens.
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서, 상기 공압 공급 부재는 공압 상태를 유지하는 공압 탱크, 상기 공압 배출부에 연결된 공압관, 상기 공압 탱크에서 상기 공압관으로 공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supply member includes a pneumatic tank maintaining a pneumatic state, a pneumatic pipe connected to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and a solenoid valve for supplying or blocking pneumatic pressure from the pneumatic tank to the pneumatic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공압 배출구는 상기 렌즈를 향해 공압을 배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the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pneumatic outlets are provided to discharge air pressure toward the lens.
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공압 배출구는 상기 렌즈의 주변을 향해 공압을 배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pneumatic outlets ar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discharge the pneumatic pressure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e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 의하면, 로봇의 촬영 수단에 공압을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가 공압 배출부에 마련되고,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 공급 부재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렌즈의 손상 없이 렌즈를 주기적으로 또한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air pressure to the photographing means of the robot are provided in the pneumatic outlet, and the lens by controlling the pneumatic supply member for supplying air pressure The effect is obtained that the lens can be cleaned periodically and automatically without damage to the lens.
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 의하면, 렌즈의 주변을 향해 공압을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렌즈 및 조명 부재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air pressure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en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the lens and the light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가 적용되는 카메라 하우징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랭킷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압 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압 배출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압 배출부의 배치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front view of a camera housing to which an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blanket shown in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shown in FIG. 4;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shown in FIG.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공압"은 렌즈를 향해 배출되는 압축된 공기를 의미하고, "렌즈의 세척"은 예를 들어 카메라가 부착된 로봇에서의 작업 도중 이물질 등이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제거 또는 방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화각"은 카메라의 렌즈로 포착할 수 있는 장면의 시야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pneumatic” means compressed air discharged toward the lens, and “cleaning of the lens” means removing 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lens, for example, during operation in a robot equipped with a camera. "angle of view" means the field of view of a scene that can be captured by the lens of the camer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가 적용되는 카메라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camera housing to which an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로봇 등에 장착되는 비전 카메라의 하우징(100)에 마련된 블랭킷(30)에 카메라(20)의 렌즈(10)가 장착되며, 상기 렌즈(10)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 모듈을 마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for example, the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는 촬영 또는 감시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의 렌즈(10) 부분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0) 내에서 카메라(20)를 유지시키는 블랭킷(30), 상기 블랭킷(30)의 외주변에 마련된 조명 부재(200) 및 상기 블랭킷(30)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20)에 마련된 렌즈(10)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 모듈을 포함한다.That is, the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the
상기 세척 모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랭킷(30) 내에 마련된 공압 배출부(40), 상기 공압 배출부(40)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 공급 부재, 상기 공압 공급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공급 부재는 공압 상태를 유지하는 공압 탱크(70), 상기 공압 배출부(40)에 연결된 공압관(50), 상기 공압 탱크(70)에서 상기 공압관(50)으로 공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washing module includes a
상기 공압 배출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0)의 화각(A)을 유지하기 위해 블랭킷(30)과 단차를 두고 마련된다. 이와 같은 단차의 크기는 렌즈의 화각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렌즈의 화각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고 특정 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2 , the
상기 공압 배출부(40)에는 에는 다수의 공압 배출구(41)가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공압 배출구(41)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공압을 배출한다. 즉, 상기 공압 배출부(40)는 다수의 공압 배출구(41)로 공압을 안내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렌즈(10)의 화각의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대략 원형으로 마련되어 카메라(20)의 촬영 또는 감시 영역에 지장을 주지 않게 블랭킷(30)에 장착된다.A plurality of
상기 제어부(80)는 미리 정해진 조건, 즉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렌즈(10)를 향해 공압을 배출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60)를 제어하며, 공압 탱크(70) 내의 압력 상태 및 공압 상태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8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밸브(60) 및 제어부(80)에는 전원부(미 도시)에 의해 필요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서는 카메라(20)의 작동 상태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예를 들어 제어부(80)에 의해 1분 간격으로 솔레노이드밸브(60)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20)의 렌즈(10)에 이물질이 묻지 않는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로봇의 작업 조건에 따른 촬영 또는 감시 상태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상기 조명 부재(200)는 카메라(20)에 의한 촬영 작업시 작업의 대상이 되는 물체(피사체)를 최적의 조도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0)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LED로 마련된다. 도 1에서는 LED가 대략 사각형의 하우징(100)의 둘레에 따라 12개가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LED의 조도, 하우징(100)의 크기 등에 따라 가변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에 적용되는 공압 배출부(40)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랭킷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압 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압 배출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blanket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pneumatic discharge shown in Figure 4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positioning state of a part.
본 발명에 따른 공압 배출부(4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킷(30)의 내부에서 렌즈(10)를 향한 공압을 배출하는 다수의 공압 배출구(41)가 마련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8개의 배출구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어 90도 간격으로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60도 간격 또는 120도 간격 등으로 공압 배출구(41)가 마련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즉, 상기 공압 배출부(4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0)를 향해 공압을 배출하는 다수의 공압 배출구(41)가 마련된다. 따라서, 다수의 공압 배출구(41)에서 배출되는 공압은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10)를 향해 배출되므로, 렌즈(1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 the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압 배출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압 배출부의 배치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In addition,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as shown in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shown in FIG.
즉, 본 발명에 따른 공압 배출부(4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0)의 주변을 향해 공압을 배출하는 다수의 공압 배출구(41)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 배출구(41)가 렌즈(10)의 주변을 향해 공압을 배출하도록 마련하므로, 예를 들어 로봇의 작업 도중에 이물질이 렌즈(10)를 향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공압 배출구(41)가 렌즈(10)의 주변을 향해 마련되므로, 하우징(100)에 마련된 조명 부재(20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렌즈(10)는 카메라(20)가 마련된 초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0)를 향해 배출되는 구조에서 공압에 의한 렌즈(1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공압 배출부(40)에 90도 간격으로 다수의 공압 배출구(41)가 마련된 구조에 대해 설명을 하였지만, 상기 공압 배출부(40)에 상기 렌즈(10)를 향해 공압을 배출하는 하나의 공압 배출구를 마련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공압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압을 배기하는 배기구를 마련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S. 5 and 6 ,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즉, 공압 배출부(40)에 마련된 공압 배출구가 예를 들어, 블랭킷(30)의 내주에 따라 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10)의 상부의 원호 방향으로 공압이 배출되므로, 이물질의 제거가 렌즈(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루어지고, 제거된 이물질은 하우징(100)의 상부에 마련된 배기구로 배출되어 하우징(100) 내의 이물질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배기구는 하우징(100)의 측면 또는 바닥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pneumatic outlet provided in th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렌즈 및 조명 부재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using the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the lens and the lighting member.
10 : 렌즈
20 : 카메라
30 : 블랭킷
40 : 공기 배출부10: lens
20 : camera
30: blanket
40: air outlet
Claims (5)
하우징 내에서 상기 카메라를 유지시키는 블랭킷,
상기 블랭킷의 외주변에 마련된 조명 부재 및
상기 블랭킷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 및 조명 부재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부재는 상기 렌즈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LED로 마련되고,
상기 세척 모듈은 상기 블랭킷에 마련된 공압 배출부, 상기 공압 배출부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 공급 부재, 상기 공압 공급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배출부는 상기 렌즈의 화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블랭킷과 단차를 두고 마련되고, 상기 렌즈 및 다수의 LED를 향해 공압을 배출하며,
상기 공압 배출부에는 8개의 공압 배출구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어 90도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공압 배출구에서는 로봇의 작업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공압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A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the lens and lighting part of a camera mounted on a photographing device during work on a robot with a camera attached thereto,
a blanket that holds the camera within the housing;
a lighting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anket; and
a cleaning module mounted on the blanket and automatically cleaning the lens and the lighting member;
The ligh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s to surround the lens,
The washing module includes a pneumatic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blanket, a pneumatic supply member for supplying air pressure to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neumatic supply member,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is provided with a step difference from the blanket to maintain the angle of view of the lens, and discharges air pressure toward the lens and a plurality of LEDs,
In the pneumatic outlet, eight pneumatic outlets are formed as a pair,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The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neumatic discharge is discharg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robot from the plurality of pneumatic outlets.
상기 공압 공급 부재는 공압 상태를 유지하는 공압 탱크, 상기 공압 배출부에 연결된 공압관, 상기 공압 탱크에서 상기 공압관으로 공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In claim 1,
The pneumatic supply member includes a pneumatic tank maintaining a pneumatic state, a pneumatic pipe connected to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and a solenoid valve for supplying or blocking air pressure from the pneumatic tank to the pneumatic pipe. .
상기 다수의 공압 배출구는 상기 렌즈의 주변을 향해 공압을 배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자동 세척 장치.
In claim 3,
The plurality of pneumatic outlets are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discharge air pressure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en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67467A KR102453369B1 (en) | 2020-06-04 | 2020-06-04 |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67467A KR102453369B1 (en) | 2020-06-04 | 2020-06-04 |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50702A KR20210150702A (en) | 2021-12-13 |
| KR102453369B1 true KR102453369B1 (en) | 2022-10-07 |
Family
ID=788321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67467A Active KR102453369B1 (en) | 2020-06-04 | 2020-06-04 |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5336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77603B1 (en) * | 2023-03-03 | 2024-07-25 | 최민혁 | Medical service monitoring system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4019403A (en) * | 2012-07-23 | 2014-02-03 | Denso Corp | Washing equipment for on-vehicle optical sensor |
| US20140060582A1 (en) | 2011-03-10 | 2014-03-06 | Evan Hartranft | Integrated automotive system, nozzle assembly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sensor's exterior or objective lens surface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57846A (en) | 1995-12-30 | 1997-07-31 | 전성원 | Car rear security camera washer |
| KR100189288B1 (en) | 1996-02-15 | 1999-06-01 | 윤종용 | Dust removal device of camera housing using airflow |
| KR101833948B1 (en) | 2011-05-03 | 2018-03-02 | 크레스트 오일 앤드 가스, 아이엔씨. | Ultrasonic air blanket reflector |
| KR101751664B1 (en) * | 2014-02-14 | 2017-06-27 |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 Air and fluid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vehicle vision devices |
| FR3027007B1 (en) * | 2014-10-10 | 2017-12-08 | Valeo Systemes Dessuyage | DEVICE FOR CLEANING A DRIVING CAMERA FOR DRIVING A MOTOR VEHICLE |
| DE102017223393A1 (en) * | 2017-04-11 | 2018-10-11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transparent cover of an optical or optoelectronic device |
-
2020
- 2020-06-04 KR KR1020200067467A patent/KR1024533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40060582A1 (en) | 2011-03-10 | 2014-03-06 | Evan Hartranft | Integrated automotive system, nozzle assembly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sensor's exterior or objective lens surface |
| JP2014019403A (en) * | 2012-07-23 | 2014-02-03 | Denso Corp | Washing equipment for on-vehicle optical sens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50702A (en) | 2021-12-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2006007012A (en) | Charge removal/dedusting apparatus | |
| CN110000159A (en) | Surface optical device cleaning device and scanography system | |
| KR102190016B1 (en) | An Auto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optical lens mold | |
| JP2006064227A (en) | Washing device for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 |
| KR20210121871A (en) |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 |
| JP2009081765A (en) | Camera cleaning device | |
| KR102453369B1 (en) | Camera lens automatic cleaning device | |
| WO2018082410A1 (en) | Water tank component and constant humidity machine | |
| KR970064237A (en) | Dust removal device for camera housing using airflow | |
| KR200493825Y1 (en) |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washing and drying object | |
| CN111014189A (en) | A kind of laser cleaning protective device and its protective method | |
| JP2005040744A (en) | Air blow cleaning device | |
| WO2024048469A1 (en) | Collection device for laser processing, laser processing system, and laser processing method | |
| TWI746751B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dust removing method thereof | |
| CN114514736A (en) | System for cleaning the front window of a camera housing of at least one monitoring camera unit | |
| CN210023081U (en) | Optical device surface cleaning device and scanning inspection system | |
| KR101804302B1 (en) | Industrial frame cover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d | |
| US638437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dust and fume removal in laser marking machines | |
| JP2024506003A (en) | Cleaning device and environment recognition device for vehicle environment recognition device | |
| JPH05192782A (en) | Laser beam machine | |
| JPH0366490A (en) | laser equipment | |
| JP2008155732A (en) | Washing device and washing method of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 |
| JP2006133269A (en) | Imaging device | |
| KR20150074715A (en) | Filter washimg Device for electric Train | |
| CN211841518U (en) | A protective cover for grinding robot wor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