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486B1 - Suspens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Google Patents
Suspens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4486B1 KR102464486B1 KR1020150188181A KR20150188181A KR102464486B1 KR 102464486 B1 KR102464486 B1 KR 102464486B1 KR 1020150188181 A KR1020150188181 A KR 1020150188181A KR 20150188181 A KR20150188181 A KR 20150188181A KR 102464486 B1 KR102464486 B1 KR 1024644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vehicle
- elastically deformable
- extension
- lower ar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mechanical damper or dynamic dam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로워패드의 강건화를 통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로워암과, 상기 로워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로워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패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한다.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improving riding comfort by strengthening the lower pad is provided.
To this end, the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ring supporting a load of a vehicle body, a lower arm disposed below the spring to support the spring, and an upper side of the lower arm. , a lower pad on which the spring is seated, wherein the lower pad includes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deformab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a base disposed inside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and formed to be harder than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ncludes wealth.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륜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서스펜션은 액슬(axle)과 차체(chassis)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노면으로부터 자동차의 바퀴로 전달된 진동 또는 충격이 상기 액슬을 통해 상기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suspension of a vehicle connects an axle and a chassis to prevent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a road surface to the wheels of the vehicle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axl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t is a device that prevents damage to the vehicle body or load and improves riding comfort.
이러한 서스펜션은 크게 프런트 서스펜션(Front suspension)과, 리어 서스펜션(Rear suspension)로 분류되며, 그 중 상기 리어 서스펜션에는 차종에 따라 3 내지 5개의 링크가 설치된 멀티링크 리어 서스펜션이 적용되기도 한다.Such a suspension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front suspension and a rear suspension, and among them, a multi-link rear suspension in which 3 to 5 links are installed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is applied to the rear suspension.
상기 멀티링크 리어 서스펜션은 상기 링크와 연결된 로워암과, 상기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로워암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워암에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로워암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진동 흡수 및 상기 스프링의 안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로워패드가 설치된다.The multi-link rear suspension includes a lower arm connected to the link, and a spring supporting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and supported by the lower arm. In addition, a rubber lower pad is installed on the lower arm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spring and the lower arm, to absorb vibration, an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pring.
그런데, 상기 로워패드는 고무재질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차체의 반복적인 상하 운동에 의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워암으로부터 들뜨면서 상기 로워암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찢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lower pad is made of only a rubber material, it is separated from or torn from the lower arm while being lifted from the lower arm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due to the repeated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do.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로워패드의 강건화를 통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improving riding comfort through strengthening of a lower pad.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로워암과, 상기 로워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로워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패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ring supporting a load of a vehicle body, a lower arm disposed below the spring to support the spring, and the lower arm. and a lower pa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n which the spring is seated, wherein the lower pad includes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deformab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disposed inside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and greater than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t includes a base portion formed of a rigid.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로워패드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변형부를 통해 상기 스프링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상기 탄성변형부를 강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vehicl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n which a lower pad is formed of a material deformable by the elastic force of a spring, and a base portion disposed inside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and formed to be harder than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Thus, there is an effect of strengthening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through the base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absorbing the vibration of the spring through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암이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er arm of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hicl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ring is installed on a lower arm of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ad of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ad of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se portion shown in FIG. 4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allow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암이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er arm of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에는, 후방에 크로스멤버(1)가 설치된다. 크로스멤버(1)는 좌우로 길게 배치되어, 로워암(2,3) 및 링크부재(4,5)를 통해 액슬(6,7)과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 a
액슬(6,7)은 좌측 차륜에 배치되는 좌측 액슬(6)과, 우측 차륜에 배치되는 우측 액슬(7)을 포함한다. 링크부재(4,5)는 좌측 액슬(6)에 연결되는 좌측 링크부재(4)와, 우측 액슬(7)에 연결되는 우측 링크부재(5)를 포함한다. 좌측 링크부재(4) 및 우측 링크부재(5)는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로워암(2,3)은 크로스 멤버(1) 및 좌측 링크부재(4)에 결합되는 좌측 로워암(2)과, 크로스 멤버(1) 및 우측 링크부재(5)에 결합되는 우측 로워암(3)을 포함한다. 좌측 로워암(2)은 일단이 크로스멤버(1)의 좌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측 링크부재(4)에 결합된다. 우측 로워암(3)은 일단이 크로스멤버(1)의 우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측 링크부재(5)에 결합된다.The
좌측 로워암(2)에는 차체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고, 우측 로워암(3)도 동일하게 스프링이 설치된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좌측 로워암(2)만을 예로 들어 로워암(2)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 spring for absorbing vibrations of the vehicle body is installed in the lef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pring is installed on a lower arm of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로워암(2) 내부가 빈 대략 사각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로워암(2)의 일단에는 크로스멤버(1)와 볼트 체결되는 체결홀(2a)이 형성되고, 로워암(2)의 타단에는 링크부재(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2b)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로워암(2)의 상측에는 상기 스프링(10)이 설치된다. 즉, 로워암(2)은 스프링(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프링(10)을 지지한다. 스프링(10)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서, 차체의 하중을 지지한다. 스프링(10)은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압착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진동이 상기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The
스프링(10)의 상단에는 상기 차체와 연결되는 어퍼패드(20)가 결합된다. 그리고, 로워암(2)의 상측에는 스프링(10)의 하단이 안착되는 로워패드(30)가 결합된다.An
로워패드(30)는 아래의 두가지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The
첫 번째로, 로워패드(30)는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First, the
두 번째로, 로워패드(30)는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로워암(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Second,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2)는 상술한 두가지 기능을 모두 갖추기 위해 두가지 재질로 형성된다. 즉, 로워패드(2)는 일부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로워암(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ad of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ad of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part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로워패드(30)는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32)와, 탄성변형부(32)의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변형부(32)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변형부(32)는 고무로 형성되고, 베이스부(34)는 상기 고무보다 경질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3 to 5 , the
탄성변형부(32) 및 베이스부(34)는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부(34)를 먼저 성형한 후, 성형이 완료된 베이스부(34)를 금형 내에 삽입하고, 탄성변형부(34)가 될 고무용액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하여서, 탄성변형부(32) 및 베이스부(34)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상기 금형 내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ally
탄성변형부(32)는, 스프링(10)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32a)와, 스프링 안착부(32a)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10)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32b)와, 스프링 안착부(32a)의 하측에서 돌출되고 로워암(2)에 결합되는 제1 조립돌기부(32c)를 포함한다.The
스프링 안착부(32a)에는 스프링(10)의 하단에 접촉되어 스프링(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돌기(32f)와, 스프링(10)의 측면에 접촉되어 스프링(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32g)가 형성된다. 즉, 스프링(10)은 차체의 상하운동에 의해 압착될 때, 회전방지 돌기(32f)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압착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 돌기(32g)에 의해 스프링 안착부(32a)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
회전방지 돌기(32f)는 스프링 안착부(32a)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스프링 삽입부(32b)에서 연장되고, 이탈방지 돌기(32g)는 스프링 안착부(32a)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스프링 안착부(32a)의 외측 둘레면에서 연장된다.The
스프링 삽입부(32b)는 둘레면(32d)이 스프링 안착부(32a) 내측에서 상측으로 곧게 연장되고, 상측면(32e)은 둘레면(32d)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둘레면(32d)과 직교되고 평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 삽입부(32b)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The
스프링 안착부(32a)는 로워암(2)에 접촉되는 하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부(32h)가 형성된다. 홈부(32h)는 반드시 복수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홈부(32h)는 스프링 안착부(32a)의 하측면에 상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탄성변형부(32)는 복수의 홈부(32h)로 인해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면서 상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제1 조립돌기부(32c)는 스프링 안착부(32a)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된다. 제1 조립돌기부(32c)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Three
제1 조립돌기부(32c)는 로워암(2)의 상측면에 형성된 홀(미도시)로 삽입되어 로워암(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립돌기부(32c)는, 스프링 안착부(32a)에서 연장되고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제1 연장부(32i)와, 제1 연장부(32i)에서 연장되고 상단은 제1 연장부(32i)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원추부(32j)를 포함한다. 제1 조립돌기부(32c)가 로워암(2)에 결합된 상태일 때, 제1 연장부(32i)는 로워암(2)의 상측면에 형성된 상기 홀에 위치하고, 제1 원추부(32j)는 상기 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이 로워암(2)에 접촉되어 걸림된다.The
베이스부(34)는, 탄성변형부(32)의 스프링 안착부(32a)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부(34a)와, 몸체부(34a)의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 조립돌기(32c)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조립돌기부(34c)를 포함한다. 몸체부(34a)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2 조립돌기부(34c)는 몸체부(34a)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된다. 제2 조립돌기부(34c)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조립돌기부(32c)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The
제2 조립돌기부(34c)는, 몸체부(34a)에서 연장되어 몸체부(34a)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연장부(34i)와, 제2 연장부(34i)에서 연장되어 제2 연장부(34i)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원추부(34j)를 포함한다.The
제2 연장부(34i)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2 원추부(34d)는 상단이 제2 연장부(34i)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진다.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로워패드(30)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32)와, 탄성변형부(32)의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변형부(32)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탄성변형부(32)를 통해 스프링(10)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베이스부(34)를 통해 탄성변형부(32)를 강건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2: 로워암 10: 스프링
30: 로워패드 32: 탄성변형부
32a: 스프링 안착부 32b: 스프링 삽입부
32c: 제1 조립돌기부 32i: 제1 연장부
32j: 제1 원추부 32f: 회전방지 돌기
32g: 이탈방지 돌기 34: 베이스부
34a: 몸체부 34c: 제2 조립돌기부
34i: 제2 연장부 34j: 제2 원추부2: lower arm 10: spring
30: lower pad 32: elastic deformation part
32a:
32c:
32j: first
32g: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34: base part
34a:
34i:
Claims (10)
상기 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로워암; 및
상기 로워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로워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패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와,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와,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하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로워암에 결합되는 제1 조립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립돌기부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은 상기 제1 연장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원추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조립돌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조립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립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은 상기 제2 연장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2 원추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a spring supporting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a lower arm disposed under the spring to support the spring; and
and a lower pa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arm, on which the spring is seated;
The lower pad includes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deformab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a base portion disposed inside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and formed to be harder than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a spring seating part on which the spring is mounted;
a spring insertion part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spring seat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spring;
and a first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spring seating part and coupled to the lower arm,
The first assembly protrus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pring seat portion and formed with a constant diameter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the upper end includes a first cone that is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extension,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The base part,
a body part disposed inside the spring seat part;
and a second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assembly projection,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body and having a constant diameter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the upper end includes a second con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extension and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end,
The body portion of the vehicle suspens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하단에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돌기와, 상기 스프링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rotation preventing protrusion in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spring to prevent rotation of the spring, and a departure preventing protrusion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spring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pring, are formed in the spring seat portion.
상기 회전방지 돌기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 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이탈방지 돌기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외측 둘레면에서 연장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anti-rotation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ide of the spring seating part, and extends from the spring insertion part,
The anti-separation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above the spring seating part, and extends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ring seating part.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는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at least one groove portion i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spring seat portion.
상기 탄성변형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8181A KR102464486B1 (en) | 2015-12-29 | 2015-12-29 | Suspens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8181A KR102464486B1 (en) | 2015-12-29 | 2015-12-29 | Suspens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8059A KR20170078059A (en) | 2017-07-07 |
| KR102464486B1 true KR102464486B1 (en) | 2022-11-07 |
Family
ID=5935354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88181A Active KR102464486B1 (en) | 2015-12-29 | 2015-12-29 | Suspens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6448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16542B1 (en) * | 2019-09-26 | 2023-12-2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Vehicle suspension |
| KR102745131B1 (en) * | 2020-05-07 | 2024-12-2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007772A (en) * | 2008-06-27 | 2010-01-14 | Tokai Rubber Ind Ltd | Spring seat |
| JP2010228732A (en) * | 2009-03-30 | 2010-10-14 | Suzuki Motor Corp | Spring seat, and attaching structure therefor |
| JP2012240458A (en) | 2011-05-16 | 2012-12-10 | Nissan Motor Co Ltd | Suspension assembling structure, spring seat, and suspension assembling method |
| JP2014199134A (en) | 2013-03-12 | 2014-10-23 | 株式会社ショーワ | Elastic sheet and suspens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135492A (en) * | 2012-06-01 | 2013-12-11 | 주식회사 만도 |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and lower spring seat used for the apparatus |
-
2015
- 2015-12-29 KR KR1020150188181A patent/KR1024644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007772A (en) * | 2008-06-27 | 2010-01-14 | Tokai Rubber Ind Ltd | Spring seat |
| JP2010228732A (en) * | 2009-03-30 | 2010-10-14 | Suzuki Motor Corp | Spring seat, and attaching structure therefor |
| JP2012240458A (en) | 2011-05-16 | 2012-12-10 | Nissan Motor Co Ltd | Suspension assembling structure, spring seat, and suspension assembling method |
| JP2014199134A (en) | 2013-03-12 | 2014-10-23 | 株式会社ショーワ | Elastic sheet and suspens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8059A (en) | 2017-07-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205112904U (en) |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 |
| US10442262B2 (en) |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 CN102019830A (en) | Elastic supporting component | |
| US8931768B2 (en) | Mount assembly for suspension damper | |
| KR101072325B1 (en) | Lower arm mounting unit for multi-link type suspension system | |
| KR101887391B1 (en) | The plastic reinforc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pring pad | |
| KR20140120452A (en) | Suspension bearing modules | |
| KR102464486B1 (en) | Suspens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
| KR102617707B1 (en) | Coil spring fixing device for vehicle | |
| KR101758893B1 (en) | Spring pad for vehicle suspension | |
| KR101639787B1 (en) | air-spring installation structure for vehicle | |
| KR101766067B1 (en) | Spring pad of suspension in vehicle | |
| KR20140044654A (en) | Structure for mounting suspension apparatus on vehicle body | |
| CN209683370U (en) | car control arm | |
| KR101162309B1 (en) | Dust cover for shock absorber | |
| KR102529387B1 (en) | Insulator assembly | |
| KR102546369B1 (en) | Lower arm assembly | |
| KR102418628B1 (en) | Rear suspens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
| KR200438361Y1 (en) | Shock Absorbers for Vehicle Coil Springs | |
| KR101724457B1 (en) | Structure for mounting rear shock absorber of vehicle | |
| KR20080051720A (en) | Automotive Strut Assembly | |
| CN209852010U (en) | Novel go up spring pad structure | |
| JP4941114B2 (en) | Upper support | |
| KR20100051420A (en) | Insulator unit for suspension system | |
| KR20170089706A (en) | Upper-cup Integrated Type Insula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