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453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6453B1 KR102466453B1 KR1020170173236A KR20170173236A KR102466453B1 KR 102466453 B1 KR102466453 B1 KR 102466453B1 KR 1020170173236 A KR1020170173236 A KR 1020170173236A KR 20170173236 A KR20170173236 A KR 20170173236A KR 102466453 B1 KR102466453 B1 KR 1024664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k layer
- white
- layer
- printed
- pri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화이트층 중 제3화이트층의 인쇄 시작점이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보다 외측에서부터 인쇄하여 이색 불량을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는 정도의 간격 조정으로 베젤 영역이 증가하지 않는 범위에서 잉크층들을 인쇄할 수 있고, 또한 컬러 또는 디자인 패턴이 적용된 베젤 영역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start point of the third white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white layers is printed from the outside of the printing end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so that the ink layer does not increase in the bezel area by adjusting the spacing to the extent that the different color defects cannot be distinguished with the naked ey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inting data and realizing a bezel area to which a color or a design pattern is applied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버 글라스의 베젤 영역을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bezel area of a cover glass in various colors.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또는,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In the recent information society, the importance of a display (or a display device) as a visual information delivery medium is further emphasized. have to do
디스플레이는 자체가 빛을 내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EL),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발광형과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이 자체가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형으로 나눌 수 있다.Display is a cathode ray tube (CRT) that emits light by itself, electro luminescence (EL), light emitting diode (LED),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field emission A display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such as a light-emitting typ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can be divided into a non-emission type that does not emit light itself.
이렇게 다양한 디스플레이들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브라운관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브라운관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방열량도 작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Among these various displays,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a device that expresses an image by using the optical anisotropy of liquid crystal, and has excellent visibility compared to conventional CRTs, and has smaller average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CRTs with the same screen size as well as low heat dissipation. It is in the spotlight as a display device.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의 하부에 광원을 두고,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액정의 배열을 제어함으로써 광원에서 발생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액정 표시장치와, 자체 발광하는 OLED 패널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이 적용되고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다양한 전자 장비에 적용된다.Such a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implements an image by controlling the transmittance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by placing a light source under the liquid crystal and applying an electric field to the liquid crystal to control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and an OLED panel that emits light A lot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using this are applied, and it is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그런데 이런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용 기기나 또는 충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가해지는 터치 패널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충격으로부터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 글라스가 상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커버 글라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상이나 디자인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을 적용할 수 있는데,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잉크층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른 조립 불량이나 기포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or a display panel to which a touch panel to whic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impact is applied, a cover glass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such a display device to protect it from impact. In addition, various colors can be applied to the cover glass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or design of the display device. In order to realize various colors, assembly defects or bubble defects may occur due to the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ink layer, and also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The problem of thickening has been raised.
이렇게 잉크층의 수직 적층에 따라 기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개량된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잉크층을 계단 형상으로 적층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킨 바 있다.In FIG. 1, which has been improved to improve the occurrence of mark defects due to the vertical stacking of ink layers, the occurrence of bubbles is reduc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ink layers in a step shape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글라스(1) 배면에 블랙 잉크층(11)이 인쇄되고, 그 위에 복수의 화이트 잉크층(21)이 인쇄되며, 화이트 잉크층(21) 위에 차폐 잉크층(31)이 인쇄된다. 이때 최종 차폐 잉크층(31)의 형상은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학용 점착제가 부착되는 과정에서 기포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
그러나 이러한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에서 화이트 잉크층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일부 영역(A1)에서 이색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색 불량을 방지하고자 블랙 잉크층의 폭을 증대시키면 종래 문제점의 최대 이슈인 베젤 영역이 다시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a dichroic defect occurs in a partial area A1 from the printing end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toward the outside of the white ink layer. In addition, if the width of the black ink layer is increased to prevent such dichroism defects, the bezel area, which is the biggest issue in the prior art, increases agai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복수의 층으로 인쇄되는 잉크층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여 베젤의 증가를 방지함과 아울러 이색 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more specifically,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nk layer printed in a plurality of layers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glas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bezel and improve the color def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화이트 잉크층의 일부 층의 인쇄 간격을 조정하여 육안으로는 이색 불량을 확인할 수 없도록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is improved so that a dichroic defect cannot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by adjusting the printing interval of some layers of the white ink lay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화이트층 중 제3화이트층의 인쇄 시작점이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보다 외측에서부터 인쇄하여 이색 불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printing start point of the third white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white layers is printed from the outside of the printing end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so that the dichroic defect cannot be visually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은 인쇄라인으로부터 화이트 잉크층이 설정 간격만큼 이격시키되 육안으로 구분이 되지 않는 정도의 간격 조정으로 베젤 영역이 증가하지 않는 범위에서 잉크층들을 인쇄할 수 있고, 또한 컬러 또는 디자인 패턴이 적용된 베젤 영역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int the ink layers in a range in which the bezel area does not increase by spacing the white ink layer from the printing line by a set interval, but adjusting the interval to a degree that is indistinguishable to the naked eye, and also applies a color or design pattern.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bezel area is provided.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블랙 잉크층, 화이트 잉크층, 차폐 잉크층의 높이나 폭을 늘이지 않는 범위에서 간격을 조정하여 이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기포 불량을 최소화하여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잉크층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여 컬러 또는 디자인 패턴이 적용된 베젤 영역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ichroic defects by adjusting the spacing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crease the height or width of the black ink layer, the white ink layer, and the shielding ink lay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ect rate by minimizing the bubble defect. ,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ezel area to which a color or design pattern is applied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nk layer.
도 1은 종래 계단 형상의 잉크층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글라스 배면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글라스 배면에 잉크층이 인쇄된 순서를 차례대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커버 글라스 배면에 인쇄된 잉크층들이 인쇄라인으로부터 떨어진 설정 간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참고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to which a conventional step-shaped ink layer is applie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isolation.
Fig. 3 is a rear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glass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
FIG. 4 is a reference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order in which ink layers are pri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glass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 .
FIG. 5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ink layers pri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glass shown in FIG. 4 so that a set interval away from the printing line can be confirm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ference numbers indicated on th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use the same referenc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when indicating the same components in other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a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certain features presented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ese detail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isol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버 글라스(110)와, 액정패널(120)과, 가이드 패널(130)과, 백라이트 유닛(140)과, 연성인쇄회로기판(150)과, 커버바텀(16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액적표시장치(LCD)에 적용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유기발광표시장치(OLED)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2 , a
먼저 커버 글라스(110)는 상면에 보호필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라스(110)는 터치패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 줄을 촘촘하게 설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위치를 좌표로 알아내는 감압식과, 커버 글라스(110) 표면에 전하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들을 설치한 후 접촉 시에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는 정전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First, the
액정패널(120)은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영상을 출력하며,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121)과, 어레이 기판(122) 및 컬러필터 기판(121)과 어레이 기판(122) 사이의 셀 갭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물론 컬러필터 기판(121)과 어레이 기판(122)이 합착된 액정패널(120)에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며, 공통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제어하게 되면, 액정층의 액정은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의 전계에 따라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화소별로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The liquid crystal panel 120 includes a
이때,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화소별로 제어하기 위해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같은 스위칭소자가 화소들에 개별적으로 구비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control the voltage of the data signal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for each pixel, a switching element such as a thin film transistor (TFT) is individually provided in the pixels.
즉, 어레이 기판(122)에는 종횡으로 배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는 스위칭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array substrate 122 has gate lines and data lines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define a pixel region, and a thin film transistor, which is a switching element, is formed in an intersection region of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전극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소오스전극 및 화소전극에 연결된 드레인전극으로 구성된다.The thin film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gate line,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a data line,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a pixel electrode.
컬러필터 기판(121)은 적과, 녹 및 청(RGB)의 색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컬러필터로 구성된 컬러필터와, 서브-컬러필터 사이를 구분하고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 그리고 컬러필터와 블랙매트릭스 위에 형성된 오버코트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컬러필터 기판(121)과 어레이 기판(122)의 외측에는 각각 편광판이 부착되며, 이때 하부 편광판은 백라이트 유닛(140)을 경유한 빛을 어레이 기판(122) 방향으로 편광 시키며, 상부 편광판은 액정패널(120)을 경유한 빛을 편광 시킨다.A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그리고 커버 글라스(110)와 액정패널(120) 사이에는 휘도를 증대시켜주는 광학용 점착제(10)가 구비된다. 또한 액정패널(120)의 하부 가장자리는 가이드 패널(130)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 패널(130)의 내부에는 백라이트 유닛(140)이 수납된다.And between the
또한 백라이트 유닛(140)은 액정패널(120) 하부에 배치되는 도광판(141)과, 도광판(141) 일 측에 배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광원이 구비된 엘이디 모듈(142)과, 도광판(141)의 배면에 구비된 반사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140)의 엘이디 모듈(142)은 도광판(141)의 일 측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도광판(141)의 상면에는 도광판(14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켜 액정패널(120)에 조사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144)이 구비된다. 물론 본 발명이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140)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140)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도광판(141)은 광원으로부터 빛을 제공받고, 이 빛을 액정패널(120) 방향으로 안내한다. 도광판(141)은 PMMA나 PC의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반사판은 커버바텀(160)과 도광판(141)의 배면 사이에 위치한다. 반사판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및 도광판(141)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액정패널(120) 방향으로 반사한다. 광원에서 출사된 빛은 투명한 재질의 도광판(141) 측면으로 입사되고, 도광판(141)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판은 도광판(141)의 배면으로 투과되는 빛을 도광판(141) 상면의 광학시트들(144) 방향으로 반사시켜 빛의 손실을 줄이고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킨다.The reflective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이때, 광학시트들(144)은 확산시트(145)와 프리즘시트(146)를 포함하며, DBEF와 같은 휘도 강화 필름(147) 및 보호시트(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광학시트들(144)은 도광판(141)의 상면과 액정패널(120)의 배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140)은 커버바텀(160)의 내부에 수납된다.In this case, the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글라스 배면을 도시하는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글라스 배면에 잉크층이 인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커버 글라스 배면에 인쇄된 잉크층들이 인쇄라인으로부터 떨어진 설정 간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참고도이다.FIG. 3 is a rear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glass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 , FIG. 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k layer is pri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glass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 , and FIG. 5 is It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ink layers pri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glass shown in FIG. 4 so that a set interval away from the printing line can be confirm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버 글라스(110)의 배면에서 액티브 영역(A/A)과 액티브 영역(A/A)의 외곽에 배치된 베젤 영역(B/A) 사이에 인쇄라인(111)을 시작점으로 하여 인쇄라인 (111)의 외측방향으로 인쇄되는 블랙 잉크층(1111)과, 블랙 잉크층(1111) 상에 인쇄되는 화이트 잉크층(1121)과, 화이트 잉크층(1121) 상에 인쇄되는 차폐 잉크층(1131)과, 커버 글라스(110) 배면과 함께 차폐 잉크층(1131) 상에 일부 오버랩 되도록 부착되는 광학용 점착제(10)를 포함한다.3 to 5 , the
여기서 액티브 영역(A/A)은 영상 표시영역에 해당하고, 베젤 영역(B/A)은 비표시 영역이자 베젤의 색상을 구현하는 잉크층이 인쇄되는 인쇄 영역에 해당된다. 물론 인쇄 영역으로 구분하면 액티브 영역(A/A)은 미인쇄 영역에 해당한다.Here, the active area A/A corresponds to an image display area, and the bezel area B/A corresponds to a non-display area and a printing area on which an ink layer implementing the color of the bezel is printed. Of course, when divided into print areas, the active area (A/A) corresponds to an unprinted area.
먼저 커버 글라스(110)의 배면에는 인쇄라인(111)을 따라서 외측 방향으로 블랙 잉크층(1111)이 인쇄된다. 블랙 잉크층(1111)의 시작점은 베젤 영역(B/A)의 시작점이고, 그 시작이 인쇄라인(111)으로부터 시작된다. 물론 인쇄라인(111)은 액티브 영역(A/A)과 베젤 영역(B/A)을 구분 짓는 기준점에 해당된다.First, the
또한 블랙 잉크층(1111)은 특성상 점성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인쇄라인(111)의 시작점에는 블랙 색상의 잉크가 적용된다. 따라서 보다 균일하고 직진도가 높은 인쇄라인(111)을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여기서 직진도는 액티브 영역(A/A)이 사각형과 같은 형상의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 때문에 적용되며, 액티브 영역(A/A)이 원형(미도시)과 같은 형상의 경우에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블랙 잉크층(1111)이 인쇄될 수도 있다.Here, the straightness is applied because the case where the active area A/A has a rectangular shape is described as an example, and in the case of the active area A/A has a circular shape (not shown), it has a certain curvature. A
블랙 잉크층(1111) 상에는 복수의 화이트 잉크층(1121)이 배치된다. 화이트 잉크층(1121)은 차례대로 제1화이트층(1122)으로부터 제3화이트층(1124)까지 적층된다.A plurality of
먼저 제1화이트층(1122)은 블랙 잉크층(1111)의 약 중심 부분부터 중첩되고, 커버 글라스(110)의 외곽 부분까지 인쇄된다. 여기서 제1화이트층(1122)은 블랙 잉크층(1111)과의 색상 대비를 표현하기 위해 명명된 것으로 다른 색상으로 인쇄될 수도 있다.First, the first
제1화이트층(1122)의 높이는 블랙 잉크층(1111)과 높이와 동일한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제1화이트층(1122)의 높이가 높아지면 커버 글라스(110)의 상면으로 나타나는 색상이 또렷하게 또는 진하게 표현되나, 높이가 높아질수록 상부에 부착되는 광학용 점착제(10)와의 사이에서 공간이 커지기 때문에 기포가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정 높이를 갖도록 복수번에 걸쳐서 화이트 잉크층(1121)을 인쇄한다. 또한 기포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화이트 잉크층(1121)은 제1화이트층(1122)과 제2화이트층(1123)이 서로 층이 이루어지도록 인쇄된다. 따라서 제1화이트층(1122)은 블랙 잉크층(1111)의 약 절반이 중첩되도록 인쇄되고, 제2화이트층(1123)은 제1화이트층(1122)에 비하여 더 적은 부분이 중첩되도록 인쇄된다. 여기서 제2화이트층(1123)이 블랙 잉크층(1111)과 중첩되는 부분은 예시적으로 설명되며, 더 적게 중첩되거나 전혀 중첩되지 않도록 인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화이트층(1122)은 인쇄라인(111)으로부터 제1설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The height of the first
제2화이트층(1123)은 인쇄라인(111)으로부터 제2설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2설정 간격은 제1설정 간격보다 크다. 따라서 제2화이트층(1123)은 제1화이트층(1122) 상에서 더 외측 방향에서 인쇄되기 때문에 블랙 잉크층(1111)과 중첩되는 영역이 제1화이트층(1122)에 비해서 적어도 적게 형성되거나 없을 수도 있다.The second
제3화이트층(1124)은 블랙 잉크층(1111)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2화이트층(1123) 보다 더 외곽 방향으로 인쇄된다. 여기서 제3화이트층(1124)은 인쇄라인(111)으로부터 제3설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인쇄되며, 제3설정 간격은 제2설정 간격보다 크다. 물론 제3화이트층(1124)이 블랙 잉크층(1111)과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제3설정 간격이 블랙 잉크층(1111)의 폭 보다 크다. 다시 말해 제3화이트층(1124)은 블랙 잉크층(1111)의 인쇄 종료점보다 외측에서부터 인쇄된다.The third
제3화이트층(1124)은 화이트 잉크층(1121) 상에서 색상의 표현 정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4화이트층(미도시)이 인쇄될 수 있으며, 색상의 표현이 부족한 경우 추가적으로 제5화이트층(미도시) 이상의 잉크층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A fourth white layer (not shown) may be selectively printed on the third
그리고 마지막으로 차폐 잉크층(1131)은 인쇄라인(111)으로부터 제4설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외측방향으로 인쇄된다. 이때 제4설정 간격은 제1설정 간격보다 크고 제2설정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And finally, the shielding
차폐 잉크층(1131)은 화이트 잉크층(1121)으로 빛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이트 잉크층(1121)이 가지는 색상의 발현을 돕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차폐 잉크층(1131)은 블랙 잉크층(1111)과 동일 도료로 인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화이트 잉크층(1121)으로 빛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어두운 계열의 색상으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ielding
커버 글라스(110)의 배면과 제1화이트층(1122) 사이에서 블랙 잉크층(1111)의 외측에는 추가 잉크층(1125)이 구비된다. 추가 잉크층(1125)은 블랙 잉크층(1111)의 인쇄가 종료된 부분으로부터 설정된 옵셋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추가 잉크층(1125)에는 다양한 색상의 컬러 패턴이나 또는 디자인 패턴이 적용된다. 물론 추가 잉크층(1125)은 화이트 잉크층(1121)과 동일한 화이트 색상으로 인쇄될 수도 있다. 이렇게 추가 잉크층(1125)이 적용되면 커버 글라스(110)의 베젤 영역(B/A)이 다양한 색상이나 디자인이 적용되어 다양한 사용자 취향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특이하거나 독특한 개성을 가진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
광학용 점착제(10)는 직접 부착(Direct Bonding) 방식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광학용 점착제(10)는 OCA, OCR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진공 상태에서 부착이 이루어지고, 부착이 완료된 후 탈포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탈포공정이 추가 진행되면 각 잉크층들과 광학용 점착제(10) 사이에 존재하던 기포가 진공이 해제되면서 빠져나가 기포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 잉크층(1121)은 서로 다른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5 , the
간격이 작은 순서에 따라 나열하면 가장 작은 제1설정 간격부터 제4설정 간격, 제2설정 간격, 제3설정 간격 순이다. 물론 옵셋 간격까지 포함하면 옵셋 간격이 가장 작은 간격에 해당한다.When the interval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smallest, the smallest first set interval, the fourth set interval, the second set interval, and the third set interval are in order. Of course, if the offset interval is included, the offset interval corresponds to the smallest interval.
이렇게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하되, 제3화이트층(1124)은 블랙 잉크층(1111)의 인쇄 종료점으로부터 약 0.05~0.15mm 범위만큼 이격되어 외측방향으로 인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mm 정도 이격되도록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많은 반복 실험을 통하여 블랙 잉크층(1111)이 약 0.05~0.15mm 범위만큼 외측으로 이격 되더라도 그 이격된 간격의 크기가 미미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는 판별되지 않으며, 이색 구분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착안하여 베젤 영역(B/A)의 크기를 늘이지 않고도 이색 불량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3화이트층(1124)의 제3설정 간격은 0.5~0.6mm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3설정 간격에 따라서 제3화이트층(1124)의 시작점은 옵셋 간격 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Although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in this way, the third
또한 화이트 잉크층(1121)은 각 화이트층들이 계단 형상으로 인쇄 적층되기 때문에 기포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탈포공정을 통해 남아있는 기포를 진공 해제와 동시에 배출할 수 있어 기포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블랙 잉크층, 화이트 잉크층, 차폐 잉크층의 높이나 폭을 늘이지 않는 범위에서 간격을 조정하여 이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기포 불량을 최소화하여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잉크층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여 컬러 또는 디자인 패턴이 적용된 베젤 영역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ichroic defects by adjusting the spacing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crease the height or width of the black ink layer, the white ink layer, and the shielding ink lay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ect rate by minimizing the bubble defec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ezel area to which a color or design pattern is applied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nk lay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s as the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ed exampl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rried out within the limit that does not deviate from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커버 글라스
1111 : 블랙 잉크층
1121 : 화이트 잉크층
1131 : 차폐 잉크층
10 : 광학용 점착제100: display device
110: cover glass
1111: black ink layer
1121: white ink layer
1131: shielding ink layer
10: optical adhesive
Claims (7)
상기 커버 글라스 배면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과 베젤 영역 사이의 인쇄라인을 시작점으로 하여 외측방향을 따라 설정된 폭으로 인쇄되는 블랙 잉크층;
상기 베젤 영역 배면에서 상기 블랙 잉크층과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설정된 폭을 따라서 상기 인쇄라인으로부터 제1설정 간격만큼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인쇄되는 제1화이트층과, 상기 제1화이트층 상에서 상기 인쇄라인으로부터 제2설정 간격만큼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인쇄되는 제2화이트층과, 상기 제2화이트층 상에서 상기 인쇄라인으로부터 제3설정 간격만큼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인쇄되며 상기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보다 외측에서부터 인쇄되는 제3화이트층을 구비하는 화이트 잉크층;
상기 인쇄라인으로부터 제4설정 간격만큼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인쇄되고, 상기 제4설정 간격은 상기 제1설정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2설정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블랙 잉크층과 동일 도료로 인쇄된 차폐 잉크층; 및
상기 커버 글라스의 배면과 상기 제1화이트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으로부터 설정된 옵셋 간격만큼 이격되어 외측방향으로 인쇄되며 상기 화이트 잉크층과 다른 색상을 포함하는 추가 잉크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화이트층의 높이는 상기 블랙 잉크층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3 화이트층의 시작점은 상기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과 상기 추가 잉크층의 인쇄 시작점 사이의 상기 옵셋 간격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cover glass on which a bezel area is disposed along an outer edge of the active area;
a black ink layer printed with a width set in an outward direction using a printing line between the active area and the bezel area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glass as a starting point;
a first white layer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from the print line by a first set interval along the set width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black ink lay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bezel area, and from the print line on the first white layer A second white layer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by a second set interval, and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line by a third set interval on the second white layer, from outside the printing end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a white ink layer having a third white layer to be printed;
Shielding ink is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line by a fourth set interval, the fourth set interval is larger than the first set interval and smaller than the second set interval, and is printed with the same paint as the black ink layer floor; and
an additional ink layer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glass and the first white layer,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by a set offset interval from the printing end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and having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white ink layer but,
The height of the first white layer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black ink layer,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rd white layer is located within the offset interval between the printing ending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and the printing starting point of the additional ink layer. .
상기 커버 글라스 배면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과 베젤 영역 사이의 인쇄라인을 시작점으로 하여 외측방향을 따라 설정된 폭으로 인쇄되는 블랙 잉크층;
상기 베젤 영역 배면에서 상기 블랙 잉크층과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설정된 폭을 따라서 상기 인쇄라인으로부터 제1설정 간격만큼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인쇄되는 제1화이트층과, 상기 제1화이트층 상에서 상기 인쇄라인으로부터 제2설정 간격만큼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인쇄되는 제2화이트층과, 상기 제2화이트층 상에서 상기 인쇄라인으로부터 제3설정 간격만큼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인쇄되며 상기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보다 외측에서부터 인쇄되는 제3화이트층을 구비하는 화이트 잉크층;
상기 화이트 잉크층을 일부 커버하도록 인쇄되는 차폐 잉크층; 및
상기 커버 글라스의 배면과 상기 제1화이트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으로부터 설정된 옵셋 간격만큼 이격되어 외측방향으로 인쇄되며 상기 화이트 잉크층과 다른 색상을 포함하는 추가 잉크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3화이트층은 상기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으로부터 0.05~0.15mm 범위만큼 이격되어 외측방향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3 화이트층의 시작점은 상기 블랙 잉크층의 인쇄 종료점과 상기 추가 잉크층의 인쇄 시작점 사이의 상기 옵셋 간격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cover glass on which a bezel area is disposed along an outer edge of the active area;
a black ink layer printed with a width set in an outward direction using a printing line between the active area and the bezel area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glass as a starting point;
a first white layer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from the print line by a first set interval along the set width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black ink lay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bezel area, and from the print line on the first white layer A second white layer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by a second set interval, and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line by a third set interval on the second white layer, from outside the printing end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a white ink layer having a third white layer to be printed;
a shielding ink layer printed to partially cover the white ink layer; and
an additional ink layer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glass and the first white layer,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by a set offset interval from the printing end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and having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white ink layer but,
The third white layer is printed outwardly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end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by 0.05 to 0.15 mm,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rd white layer is located within the offset interval between the printing ending point of the black ink layer and the printing starting point of the additional ink layer.
상기 추가 잉크층은,
상기 제3화이트층의 인쇄 시작점보다 외측에서부터 컬러 또는 디자인 패턴이 인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ditional ink layer,
A display device in which a color or a design pattern is printed from an outside of the printing starting point of the third white layer.
상기 화이트 잉크층 내에서 상기 제1 화이트층 내지 제3 화이트층의 상기 인쇄라인으로부터의 설정 간격은 상기 제1 설정 간격이 가장 작고, 상기 제2 설정 간격 및 제3 설정 간격 순서로 커지며,
상기 옵셋 간격은 상기 제1 설정 간격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4. The method of claim 1 or 3,
In the white ink layer, the set interval of the first white layer to the third white layer from the print line is the smallest set interval, and increases in the order of the second set interval and the third set interval,
The offset interval has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set interva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73236A KR102466453B1 (en) | 2017-12-15 | 2017-12-15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73236A KR102466453B1 (en) | 2017-12-15 | 2017-12-15 |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72134A KR20190072134A (en) | 2019-06-25 |
| KR102466453B1 true KR102466453B1 (en) | 2022-11-10 |
Family
ID=6706554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73236A Active KR102466453B1 (en) | 2017-12-15 | 2017-12-15 |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6645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137038A (en) * | 2020-01-21 | 2020-05-12 | 上海经世电子有限公司 | Glass full-invisible effect structure |
| JP7720868B2 (en) | 2020-10-22 | 2025-08-08 |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displays |
| KR102863918B1 (en) | 2021-12-30 | 2025-09-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 display panel and a produting method thereof |
| US12408283B2 (en) | 2023-05-23 | 2025-09-02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 Cover plate and display screen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69972B1 (en) * | 2014-10-30 | 2021-06-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7
- 2017-12-15 KR KR1020170173236A patent/KR10246645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72134A (en) | 2019-06-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852909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TWI536081B (en) |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
| KR102466453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414595B1 (en) | Display Unit | |
| US20210326555A1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 KR102576694B1 (en) | Display device | |
| GB2559856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 KR102098184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510570B1 (en) | Display Device | |
| CN102053407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 |
| KR102495202B1 (en) | LED Module and backlight Module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 KR102367486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438261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408905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468859B1 (en) |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 |
| KR20190075435A (en) | Display Device | |
| KR102466401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390480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465447B1 (en) | LED FPCB Tape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 US11402694B2 (en) | Light-emitting component and display apparatus | |
| KR2012002107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 KR102483700B1 (en) | Display Device | |
| KR20140008600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2068958B1 (en) | Liquid Display Apparatus | |
| KR102855124B1 (en) | Printing jig for cover glas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