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216B1 - Composite adhesiv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Google Patents
Composite adhesiv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7216B1 KR102467216B1 KR1020150191564A KR20150191564A KR102467216B1 KR 102467216 B1 KR102467216 B1 KR 102467216B1 KR 1020150191564 A KR1020150191564 A KR 1020150191564A KR 20150191564 A KR20150191564 A KR 20150191564A KR 102467216 B1 KR102467216 B1 KR 1024672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d resin
- acrylate
- siloxane
- meth
- display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과,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접착제는 모듈러스가 상이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가 다른 영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낮은 모듈러스와, 실록산계 수지의 높은 모듈러스를 각각 이용하여 접착 특성, 내-충격성 등 물성이 극대화된 접착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접착제를 예를 들어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를 접착시킬 수 있는 광학 투명 접착제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adhesive including a first region where a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and a second region where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In the composit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th)acrylate-based resin and the siloxane-based resin having different moduli are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the low modulus of the (meth)acrylate-based resin and the high modulus of the siloxane-based resin are respectively used for adhesion. It is an adhesive with maximiz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properties and impact resistance. Therefore, the composit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for example, an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capable of bonding a display panel and a cover window.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 신뢰성 및 내-충격 특성이 개선된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dhesive having improved adhesion reliability and impact-resistan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OLED)와 같은 표시장치가 컴퓨터 모니터, TV, 핸드폰 및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있는데, 표시 패널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는 커버 윈도우가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전면을 감싸고 있다. As display technology develops,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OLED) are applied to computer monitors, TVs, displays of mobile phones and smart devices. . These display devices largely include a display panel that implements an image. In order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pressure, a cover window made of tempered glass or plastic material surrounds one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have.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합착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직접 본딩(direct bonding)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직접 본딩 방식은 광학 투명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 또는 광학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Adhesive, OCA)를 이용하여 OCR 등을 경화시켜 커버 글라스와 표시 패널을 합착한다. Among methods for attaching a cover window and a display panel, direct bonding is generally used. In the direct bonding method, an optically clear resin (OCR) or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is used to harden OCR to bond the cover glass and the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직접 본딩(direct bonding) 방식을 적용하여 표시 패널에 커버 윈도우가 부착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는 표시 패널(10)과, 상기 표시 패널(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 글라스(30)와, 상기 표시 패널(10)과 상기 커버 글라스(20) 사이에 도포, 경화되는 접착층(20)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20)은 통상적으로 광학 투명 접착제(OCA)로서, 광학 투명 수지(OCR)가 사용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cover window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by applying a direct bon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 the
표시 패널(10)과 커버 윈도우(30) 사이에 위치하는 광학 투명 수지로 제조되는 접착층(20)은 표시장치(1)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의 충격에서 완충제(buffer) 역할을 수행하며, 내-충격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종래 표시 패널(10)과 커버 윈도우(30) 사이에 개재되는 광학 투명 접착층(20)은 주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같은 광학 투명 수지(OCR)가 사용된다. 표시 패널(10)과 커버 윈도우(30) 사이에 도포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 경화, 수축되어 접착층(20)을 형성하여, 표시 패널(10)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낮은 탄성 모듈러스(modulus)를 가지고 있어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최근에는 터치를 구현하는 동시에 플렉서블(flexible)하고, 굽힘(bending), 신장(stretching)이 가능한 표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강화 글라스를 주재로 사용하였던 커버 윈도우(30) 역시 플렉서블 소재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있다. 글라스에 비하여 플라스틱 재질은 연질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체적으로 휘어진다. 특히 플라스틱 재질은 열에 취약하며 고온 또는 고온고습 환경에서 열 변형이 일어나 표면에서 비-평탄화(unevenness) 현상이 발생한다. Recently,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touch and at the same time being flexible, bending, and stretching has been demanded. The
또한, 현재 표시 패널(10)과 커버 윈도우(30) 사이에 도포되는 광학 투명 수지로 주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사용되는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경화 수축율이 3% 가량으로 높다. 따라서 경화 과정에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과도하게 경화, 수축하는 경우, 또는 고온이나 고온고습 조건에 놓이는 경우, 커버 윈도우(30)가 휘어져서 평탄도가 저하된다. 특히,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탄성 모듈러스(modulus)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경도(hardness)가 저하되어 접착력이 저하된다. In addition, currently, an acrylate-based resin is mainly used as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applied between the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온 또는 고온고습 조건에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제조되는 접착층(20)이 커버 윈도우(30)로부터 인가되는 응력을 완화시키지 못하여, 표시 패널(10)의 에지(edge)에서 접착층(20)의 박리(delamination)가 발생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2 ,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고습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변형이 없어서 우수한 평탄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that can have excellent flatness characteristics without deformation even in harsh environment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충격 특성 및 접착력이 향상된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adhesive strength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를 복합재(composite) 형태로 구성하고, 제 1 영역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집중되고, 제 1 영역의 반대 영역인 제 2 영역으로 실록산계 수지가 집중되어 있는 복합 접착제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 acrylate-based resin and the siloxane-based resin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configured in a composite form, and the (meth) acrylate-based resin is concentrated in the first region , A composite adhesive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concentrated in a second region opposite to the first region is provided.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경화 특성을 이용하여,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각각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가 집중되게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Using the curing characteristics of the (meth)acrylate-based resin and the siloxane-based resin, the (meth)acrylate-based resin and the siloxane-based resin may be concentrat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respectively.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가지는 소프트 특성(낮은 탄성 모듈러스)을 이용하여 외부 충격을 감소시키는 버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커버 윈도우에 가해지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mpact resistance applied to the cover window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a role as a buffer that reduces external impact by using the soft property (low elastic modulus) of the (meth)acrylate-based resin.
또한, 실록산계 수지의 낮은 경화 수축율, 양호한 내열 특성, 우수한 탄성 모듈러스를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iloxane-based resin has a low curing shrinkage rate, good heat resistance, and excellent elastic modul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ver window from bending and to improve adhesion reliabilit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 사이에 전술한 접착제가 위치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forementioned adhesive is positioned between a display panel and a cover window is provided.
이때,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은 표시 패널에 인접하고,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은 커버 윈도우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area where the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may be adjacent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area where the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cover window.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가 분리된 영역(domain)에 분포되어 있는 복합재 형태의 접착제를 제안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in the form of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distributed in separate domains is proposed.
실록산계 수지는 낮은 경화 수축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경화 과정에서 커버 윈도우에 가해지는 응력은 매우 낮기 때문에 경화에 의하여 커버 윈도우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착제에서 실록산계 수지가 분포된 영역은 높은 탄성 모듈러스(우수한 탄성 특성)를 가지고 있으므로, 커버 윈도우의 계면을 잡아주어 커버 윈도우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 윈도우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Since the siloxane-based resin has a low curing shrinkage rate, the stress applied to the cover window during curing is very low,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ver window from being bent due to curing. In addition, since the region where the siloxane-based resin is distributed in the composite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elastic modulus (excellent elastic property), it holds the interface of the cover window to prevent the cover window from bending and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cover window. can
실록산계 수지는 내열 특성이 우수하므로, 고온이나 고온고습 조건에서 실록산계 수지는 변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탄성 모듈러스를 유지한다. 따라서 고온이나 고온고습 조건에서도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유지되므로, 고온이나 고온고습 조건에서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siloxane-based resin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the siloxane-based resin not only does not deform under high temperature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but also maintains high elastic modulus. Therefore, sinc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display panel is maintained even under high temperature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adhesion reliability may be improved under high temperature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소프트 특성(낮은 탄성 모듈러스)을 가지고 있으므로, 외부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재(buffer) 역할을 하여, 커버 윈도우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meth)acrylate-based resin has a soft property (low modulus of elasticity), it can serve as a buffer to reduce external impact and improve impact resistance of the cover window.
특히, 본 발명의 접착제는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영역으로부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점진적으로 탄성 모듈러스가 감소한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탄성 모듈러스가 낮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서 응력을 충분히 완화시킬 수 있다. 우수한 접착력 유지와, 응력 완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elastic modulus of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region where the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to the region where the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Therefore,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stress can be sufficiently relieved in the (meth)acrylate-based resin having a low elastic modulus. Since it maintains excellent adhesion and has excellent stress relaxation effect, it is possible to improve impact resistan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직접 본딩(direct bonding) 방식을 적용하여 표시 패널에 커버 윈도우가 부착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에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를 도포하였을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 사이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가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접착제가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포 단계, 도 3b는 열경화 단계, 도 3c는 UV 경화 단계를 나타내며, 각각의 단계에서 접착제를 구성하는 성분들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 사이에 본 발명의 복합재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가 직접 접착되어 있는 표시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는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 사이에 터치 패널이 개재되어 있는 표시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로서, 액정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복합재 접착제에 대한 Py-GC/MS 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및 해석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실리콘 성분에 대한 Py-GC/MS 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및 해석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아크릴레이트 성분에 대한 Py-GC/MS 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및 해석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온고습 환경에서 패널의 평탄도 변화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7a는 고온고습 환경에 놓기 이전의 패널의 평탄도를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복합재 접착제가 적용된 패널을 고온고습 환경에서 테스트한 뒤 평탄도를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7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아크릴레이트 접착제가 적용된 패널을 고온고습 환경에서 테스트한 뒤 평탄도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복합재 접착제의 종단면을 따라 nano indentation 분석을 이용한 경도(hardness)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비교예로서,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와 실록산계 접착제의 2중층(double layer)으로 구성된 접착제의 종단면을 따라 분석한 경도 측정 결과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cover window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by applying a direct bon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problems that occur when an acrylate-based adhesive is applied to a cover window and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3A to 3C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n adhesiv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between a display panel and a cover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shows an application step, FIG. 3B shows a thermal curing step, and FIG. 3C shows a UV curing step, and schematically shows changes 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in each step.
4A and 4B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composit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etween a display panel and a cover windo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4A illustrates a display device in which a display panel and a cover window are directly attached, and FIG. 4B illustrates a display device in which a touch panel is inter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a cover window.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panel as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show graphs and analysis results of Py-GC/MS analysis results for composite adhesives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shows a graph and analysis results showing the Py-GC / MS analysis results for the silicon component. Figure 7b shows a graph and analysis results showing the Py-GC / MS analysis results for the acrylate component.
7A to 7C are images of changes in flatness of a panel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n image of the flatness of the panel before placing it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Figure 7b is an image of the flatness after testing the panel to which the composit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Figure 7c is This is an image taken for flatness after testing a panel to which an acrylate adhesi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pplied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8 is a graph showing hardness (hardness) measurement results using nano indentation analysis along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mposite adhesive synthesiz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mparative example, hardness measurement results analyzed along the longitudinal section of an adhesive composed of a double layer of an acrylate-based adhesive and a siloxane-based adhesive are also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domain)과;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접착제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 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in the first domain (domain) and; An adhesiv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including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is provided.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실록산계 수지의 공중합체가 위치하는 제 3 영역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a third region in which a copolymer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 영역의 두께보다 2 ~ 8배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is preferably 2 to 8 ti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예를 들어,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지방족 작용기로 적어도 1개 치환되어 있는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실록산계 화합물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siloxane-based resin may be obtained by curing a siloxane-based compound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t least one C 1 -C 20 aliphatic functional group.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알킬기 또는 C1-C20 알콕시기로 치환된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사이클로실록산(cyclosiloxane) 화합물의 경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iloxane-based resin may be obtained by curing a cyclosiloxane compound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kyl group or a C 1 -C 20 alkoxy group.
예를 들어,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광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며,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열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meth)acrylate-based resin may be obtained by curing a light-reactive component, and the siloxane-based resin may be obtained by curing a heat-reactive componen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domain)과;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cover window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panel; an adhesive layer appli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wherein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first domain where a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A display devic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including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is provided.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커버 윈도우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area may be adjacent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area may be adjacent to the cover window.
이하, 필요한 경우에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necessary.
본 발명의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를 복합재 형태로 구성하되, 2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가 각각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통칭한다.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in the form of a composite material, and is designed so that the (meth)acrylate-based resin and the siloxane-based resin are located in two separate areas, respectively. Unless otherwise stated herein, the term (meth)acrylate refers to acrylate and (meth)acrylate collectively.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착제의 구성 및 합성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200)과 커버 윈도우(400) 사이에 본 발명의 접착제(300)가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rst, the composition and synthesis process of the composite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3A to 3C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n adhesiv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a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가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접착제(300, 도 3c 참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들 수지로 경화될 수 있는 반응성 성분이 배합된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을 커버 윈도우(400)에 코팅하고, 접착제 조성물(300a)이 코팅된 커버 윈도우(400)와 표시 패널(200)을 합착한다.As shown in FIG. 3A, in order to form an adhesive (300, see FIG. 3C) composed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in the form of a composite material, a reactive component that can be cured with these resins is mixed. The
커버 윈도우(400)는 후술하는 표시 패널(200)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측의 바깥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200)의 이미지를 그대로 투과하는 동시에 외부 충격이나 응력으로부터 표시 패널(200)을 보호한다. 커버 윈도우(400)는 강화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부터 예를 들어 인 몰드 라미네이션(in mold lamination) 방법이나 공-압출 방식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플렉서블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커버 윈도우(4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The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은 다양한 코팅 방식을 통해 커버 윈도우(400)의 일면에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은 롤-코팅(roll coating),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eep coating), 플로우-코팅(flow coating) 및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방식을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400)에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 코팅이나 플로우 코팅을 이용하여 대략 100 ~ 200 ㎛의 두께로 코팅되어 액상 접착층(300a)을 형성한다. 본 단계에서 아직 경화 반응이 진행되지 않았으므로,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 중에서 경화될 수 있는 반응성 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나,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표시 패널(200)과의 계면(302)과 커버 윈도우(400)와의 계면(302) 사이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The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 및/또는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예를 들어 UV와 같은 광원의 조사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는 광 반응성 성분이나 열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열 반응성 성분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광 반응성 성분일 수 있으며,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열 반응성 성분일 수 있다. 이 경우, 경화 메커니즘의 차이나 경화 단계의 적용에 따라, 후술하는 열경화 단계에서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이 우선 경화되어 특정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음의 UV 경화 단계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경화성 성분이 다음에 경화되어,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의 반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and/or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a light-reactive component curable by irradiation of a light source such as UV or a heat-reactive component curable by heat.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may be a photoreactive component, and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may be a heat reactive component.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curing mechanism or the application of the curing step,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may be first cured and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in the thermal curing step described later, and the (meth)acrylate-based curable component in the subsequent UV curing step It can then be cured and placed in a region opposite to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따라서, 접착제의 탄성 모듈러스가 접착제의 종단면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기 때문에, 외부 압력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가 특정 영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록산계 수지가 가지는 우수한 내열 특성, 낮은 경화 수축 특성, 우수한 경도 특성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가지는 소프트 특성이 최대로 발휘된다. Therefore, since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adhesive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along the longitudinal plane of the adhesive, impact due to external pressure can be alleviated, and thus impact resistan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meth) acrylate-based resin and siloxane-based resin can be induced to be intensively distributed in a specific area. Accordingly, excellent heat resistance characteristics, low curing shrinkage characteristics, excellent hardness characteristics, and soft characteristics of (meth)acrylate-based resins of siloxane-based resins are exhibited to the maximum.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아크릴 관능기가 2개 이하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3개 이상의 아크릴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경화 과정에서 수축율이 지나치게 커서 yellow mura와 같은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may include a monomer or oligomer having an ethylenic double bond. In one exemplary embodiment, a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having two or less acrylic functional groups may be used as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In the case of using a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having three or more acrylic functional groups, the shrinkage rate during the curing process is excessively large, which may cause defects such as yellow mura.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C1~C20 알킬기, C2~C20 알케닐기, C2~C20 알키닐기, C1~C20 알콕시기, C1~C20 알콕시알킬기, C1~C20 알콕시알릴기, 에폭시기 등으로 치환된 지방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 치환되지 않거나 C1-C10 알킬기, C2-C10 알케닐기, C2-C10의 알키닐기, 또는 C1-C10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는 C5-C8의 사이클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 치환되지 않거나 C1-C10 알킬기, C2-C10 알케닐기, C2-C10의 알키닐기, 또는 C1-C10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는 C5~C20의 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 C1~C20 알콕시기를 갖는 알릴알콕시레이트계(allyl alkoxylate) 반응성 성분;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C1~C10 알킬기, C2~C10 알케닐기, C1~C20 알콕시기, C1~C10 알콕시알킬기 또는 C1~C10 알콕시알릴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 및/또는 C1~C10 알콕시기를 갖는 알릴알콕시레이트계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is a C 1 ~C 20 alkyl group, a C 2 ~C 20 alkenyl group, a C 2 ~C 20 alkynyl group, a C 1 ~C 20 alkoxy group, a C 1 an aliphatic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substituted with a ~C 20 alkoxyalkyl group, a C 1 ~C 20 alkoxyallyl group, an epoxy group, or the like; C 5 -C 8 cycloalkyl (meth)acrylic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a C 1 -C 10 alkyl group, C 2 -C 10 alkenyl group, C 2 -C 10 alkynyl group, or C 1 -C 10 alkoxy group rate-based reactive components; C 5 to C 20 aryl (meth)acrylates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a C 1 -C 10 alkyl group, C 2 -C 10 alkenyl group, C 2 -C 10 alkynyl group, or C 1 -C 10 alkoxy group based reactive components; an allyl alkox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having a C 1 to C 20 alkoxy group; And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binations thereof. For example,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is a C 1 ~ C 10 alkyl group, a C 2 ~ C 10 alkenyl group, a C 1 ~ C 20 alkoxy group, a C 1 ~ C 10 alkoxyalkyl group, or a C 1 ~ C 10 alkoxy group. (meth)acrylate-based monomers and/or oligomers having an allyl group, and/or allylalkoxylate-based monomers and/or oligomers having a C 1 to C 10 alkoxy group.
예를 들어, C1~C20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반응성 성분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iso-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so-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iso-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iso-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iso-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iso-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C 1 ~C 20 alkyl (meth)acrylate reactive component is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tert-but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heptyl (meth)acrylate, 2- Ethylhexyl (meth)acrylate, n-oct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n-nonyl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n-decyl (meth)acrylate )Acrylate, iso-decyl (meth)acrylate, n-dodecyl (meth)acrylate, iso-dodec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amyl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ates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2~C20의 알케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옥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디엔(메타)디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 2 ~C 20 alkenyl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ctadiene (meth)acrylate, octadiene (meth)di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Not limited to this.
C1~C20 알콕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반응성 성분은 부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페닐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 1 ~C 20 alkoxy (meth)acrylate reactive component is butadiene (meth)acrylate, hexadiene (meth)acrylate; 1,4-butanedioldi(meth)acrylate, 1,6-hexanediol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phenyl ether (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ethyl ether (meth)acrylate, 1,3-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1~C20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반응성 성분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 1 ~C 20 alkoxyalkyl (meth)acrylate reactive component is 2-hydroxy-ethyl (meth)acrylate, 2-eth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2-butoxyethyl (meth) acrylate, trimethoxybutyl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Epoxy (meth) 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s include epoxy (meth) acrylate, epoxycyclohexylmethyl (meth) acrylate, glycidyl (meth) acrylate, methyl glycidyl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5-C8의 사이클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 5 -C 8 cycloalkyl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hexyl (meth)acrylate,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selec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5~C20의 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 5 ~ C 20 aryl (meth) 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s are benzyl (meth) acrylate, phen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3-phenoxypropyl (meth) acrylate and these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binat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알릴알콕시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알릴프로폭시레이트, 알릴모노프로폭시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llyl alkox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lyl propoxylate, allyl monopropox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반응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게 수지의 softness와 같은 물성을 제어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성분으로서 분자량이 상이한 2가지 이상의 올리고머 성분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자량이 500 ~ 900인 제 1 올리고머와, 분자량이 1000 ~ 10000, 바람직하게는 1000 ~ 5000 범위인 제 2 올리고머를 병용하여 물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자량이 500 ~ 3000인 제 1 올리고머와, 분자량이 4000 ~ 50000인 제 2 올리고머를 병용할 수도 있다. The (meth)acrylate-based oligomer that can be used as the reactive component control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oftness of the (meth)acrylate resin. As the (meth)acrylate-based oligomer component, two or more oligomer components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For example, physical properties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using a first olig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500 to 900 and a second olig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to 10000, preferably 1000 to 5000, in combination. Optionally, a first olig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500 to 3000 and a second olig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4000 to 50000 may be used in combination.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 중에 30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부는 배합되는 성분 사이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 중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점도 감소로 인하여 후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이 증가되어 물성을 제어하기 곤란하다. 반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경화 반응 속도 및 점도 조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acrylate-based oligo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0 to 70 parts by weight, preferably 40 to 60 parts by weight, in the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반응성 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반응 속도 및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광 반응성 성분으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 중에 5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을 커버 윈도우(400)에 코팅할 때 균일한 코팅이 곤란하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 반응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한편, 본 발명의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은 전술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 이외에,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열 반응성 성분일 수 있다. 경화 반응에 의하여 실록산계 수지로 경화될 수 있는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실록산계 수지의 단위 유닛을 구성하는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이다. Meanwhile, the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C1-C20 지방족 사슬로 적어도 1개 치환되어 있는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실록산계 화합물이다. 실리콘 원자에 치환될 수 있는 C1-C20 지방족 작용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C1-C20 알킬기, C2-C20 알케닐기, C2-C20 알키닐기, C3-C20 알릴기, C1-C20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C1-C20 알킬기 또는 C1-C20 알콕시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C1-C20 알킬기 또는 C1-C20 알콕시기로 치환된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사이클로실록산(cyclosiloxane) 화합물이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is a siloxane-based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iphatic chain.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 1 -C 20 aliphatic functional group that may be substituted on the silicon atom include a C 1 -C 20 alkyl group, a C 2 -C 20 alkenyl group, a C 2 -C 20 alkynyl group, and a C 3 -C 20 allyl group. , C 1 -C 20 alkoxy group. Preferably, it is a C 1 -C 20 alkyl group or a C 1 -C 20 alkoxy group. More specifically,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is a cyclosiloxane compound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kyl group or a C 1 -C 20 alkoxy group.
이들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과의 상용성이나 친화력이 약하다. 따라서 이들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이 경화될 때,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과 일종의 상분리에 의하여 특정 영역(domain)으로 집중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실록산계 수지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구분되어 별도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Thes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s have poor compatibility or affinity with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s. Therefore, when thes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s are cured, they a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domain by a kind of phase separation from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s. Accordingly, the siloxane-based resin may be separated from the (meth)acrylate-based resin and located in a separate area.
C1-C20 알킬기 또는 C1-C20 알콕시기로 치환된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사이클로실록산(cyclosiloxane) 화합물 중에서도 적어도 1개의 C1-C10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C5 알킬기가 실리콘 원자에 치환되어 있는 사이클로실록산(cyclosiloxane)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의 C1-C10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C5 알킬기가 실리콘 원자에 치환되어 있는 폴리알킬사이클로실록산 화합물이다. Among cyclosiloxane compounds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kyl group or a C 1 -C 20 alkoxy group, at least one C 1 -C 10 alkyl group, preferably a C 1 -C 5 alkyl group, is attached to the silicon atom. Substituted cyclosiloxane compounds are preferred. More preferably, it is a polyalkylcyclosiloxane compound in which two C 1 -C 10 alkyl groups, preferably C 1 -C 5 alkyl groups, are substituted on silicon atoms.
폴리알킬사이클로실록산 화합물은 고리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자 각각에 2개의 메틸기가 치환되어 있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PDMS) 계열의 사이클로실록산을 포함한다. PDMS 계열의 사이클로실록산 화합물은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hexamethylcyclosiloxane), 옥타메틸테트라실록산(octamethyltetrasiloxane),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테트라데카메틸사이클로헵타실록산(tetradecamethylcycloheptasiloxane), 헥사데카메틸사이클로옥타실록산(hexadecamethylcyclooctasiloxa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polyalkylcyclosiloxane compound includes a polydimethylsiloxane (PDMS)-based cyclosiloxane in which two methyl groups are substituted for each silicon atom constituting a ring. Cyclosiloxane compounds of the PDMS series include hexamethylcyclosiloxane, octamethyltetrasiloxane,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tetradecamethylcycloheptasiloxane ( tetradecamethylcycloheptasiloxane), hexadecamethylcyclooctasiloxane,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 중에 상기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10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실록산계 수지의 형성이 지나치게 적어져서 내열 특성이나 탄성 모듈러스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반면,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접착제(300, 도 3c 참조)의 탄성 모듈러스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20 parts by weight in the
또한, 예를 들어 광 반응성 성분일 수 있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의 광중합 반응을 유도할 수 있도록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에 광개시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광개시제는 UV와 같은 적절한 광원의 조사에 의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의 광중합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임의의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rgacure 184, Irgacure 819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상업적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광개시제가 이들 제품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In addition, a photoinitiator is included in the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광개시제로서 1)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계 광개시제, 2) 벤조페논, 4,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3,3'-디메틸-2-메톡시벤조페논, 4-페닐 벤조페논, 히드록시 벤조페논, 아크릴화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 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 아미노) 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광개시제, 3) 티오크산톤, 2-크롤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바졸-3-3-일]-1-(O-아세틸옥심), 2,4-디에틸 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클로로 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계 광개시제, 4)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계 광개시제, 5) 4,6-트리클로로-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비스(트리클로로메틸)-6-스티릴-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 메틸(피페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2-(3',4'-디메톡시 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 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피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광개시제를 들 수 있다. For example, as usable photoinitiators, 1) 2,2'-diethoxyacetophenone, 2,2'-dibutoxyacetophenone, 2-hydroxy-2-methylpropiophenone, p-t-butyltrichloroacetophenone, p-t -Acetophenone-based photoinitiators such as butyldichloroacetophenone, 4-chloroacetophenone, 2,2'-dichloro-4-phenoxyacetophenone, 2) benzophenone, 4,4'-dimethylaminobenzophenone, 4,4 '-dichlorobenzophenone, 3,3'-dimethyl-2-methoxybenzophenone, 4-phenyl benzophenone, hydroxy benzophenone, acrylated benzophenone, 4,4'-bis(dimethylamino)benzophenone, 4, Benzophenone-based photoinitiators such as 4'-bis(diethylamino)benzophenone, 3) thioxanthone, 2-chlorothioxanthone, 2-methylthioxanthone, isopropyl thioxanthone, 1-[9-ethyl -6-(2-methylbenzoyl)-9H-carbazol-3-3-yl]-1-(O-acetyloxime), 2,4-diethyl thioxanthone, 2,4-diisopropyl thioxine Thioxanthone-based photoinitiators such as xanthon and 2-chlorothioxanthone, 4) Benzoin-based such as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and benzyldimethyl ketal Photoinitiator, 5) 4,6-trichloro-s-triazine, 2-phenyl-4,6-bis(trichloromethyl)-s-triazine, bis(trichloromethyl)-6-styryl-s- Triazine, 2-4-trichloromethyl (piperonyl) -6-triazine, 2-4-trichloromethyl (4'-methoxystyryl) -6-triazine, 2- (3', 4 '-dimethoxy styryl) -4,6-bis (trichloromethyl) -s-triazine, 2- (4'-methoxy naphthyl) -4,6-bis (trichloromethyl) -s-tri Azine, 2-(p-methoxyphenyl)-4,6-bis(trichloromethyl)-s-triazine, 2-piphenyl-4,6-bis(trichloromethyl)-s-triazine, etc. of triazine-based photoinitiators.
광개시제는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 중에 0.01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광개시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의 경화 반응 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지거나 개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여 경화 효율이 떨어진다. 광개시제의 함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에 참여하지 못한 광개시제의 고리(ring) 구조 특성으로 인하여 황변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The photoinitiato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10.0 parts by weight in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은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의 열경화를 촉진할 수 있는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촉매는 백금계 촉매이며, 예를 들어, 디비닐테트라메틸 디실록산 백금(divinyltetramethyl disiloxane Pt)이다. 촉매는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 중에 대략 0.1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atalyst capable of accelerating thermal curing of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may be used in the
액상 접착제 조성물(300a)이 일면에 코팅된 커버 윈도우(400)와 표시 패널(400)을 합착하고(도 3a 참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400)를 아래쪽에 배치하고 표시 패널(200)을 위쪽에 배치한 상태의 합착 패널을 핫-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열경화를 진행한다. 열경화는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 내지 20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The
전술한 것과 같이,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열 반응성 성분이므로, 열경화에 의하여 네트워크 구조의 실록산계 수지를 형성한다. 반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광 반응성 성분이므로 열경화에 의해서는 거의 경화되지 못한다. 경화 반응에 의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이루는 실록산계 수지의 비중은, 경화되지 못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의 비중에 비하여 크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is a heat-reactive component, a siloxane-based resin having a network structure is formed by thermal curing.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is a photoreactive component, it is hardly cured by thermal cur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iloxane-based resin forming the network structure by the curing reac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uncured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따라서 열경화가 진행됨에 따라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은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400)와의 계면(304)에 인접한 영역에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실록산계 수지를 형성한다. 반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열경화에 의해서 경화되지 않기 때문에, 실록산계 수지에 비하여 비중이 작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 및 이로부터 경화되는 실록산계 수지와 상용성이 좋지 않으므로, 실록산계 수지가 점유하고 있는 커버 윈도우(400)와의 계면(304)의 반대쪽인 표시 패널(200)과의 계면(302)으로 이동한다. 한편, 실록산계 수지가 점유하는 영역과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 점유한 영역 사이에는 경화되지 않은 미-반응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과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 공존하는 상태이다. Accordingly, as the thermal curing proceeds,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 having a relatively high specific gravity forms a network structure in a region adjacent to the
실록산계 수지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 각각 커버 윈도우(400)와의 계면(304) 영역과, 표시 패널(200)의 계면 영역(302)에 집중 배치되는 현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경화 반응 초기 단계에서 실록산계 수지의 네트워크 구조가 상대적으로 헐겁기 때문에, 실록산계 수지의 네트워크 구조 사이에 일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 네트워크 구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 phenomenon in which the siloxane-based resin and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are concentrated in the
이때,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 실록산계 수지가 형성하는 모든 네트워크 구조 사이에 위치할 수는 없고, 실록산계 수지가 형성하는 네트워크 구조 사이가 비어 있는 이른바 free volume이 존재한다. 이러한 free volume은 열경화에 의해 경화되는 실록산계 수지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의 상용성 차이로 인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 실록산계 수지가 형성하는 모든 네트워크 구조를 점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cannot be located between all network structures formed by the siloxane-based resin, and a so-called free volume exists between the network structures formed by the siloxane-based resin. Due to the difference in compatibility between the siloxane-based resin cured by thermal curing and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does not occupy all the network structures formed by the siloxane-based resin. because it can't
하지만, 열경화가 계속 진행되면, 실록산계 반응성 성분 사이의 가교결합이 보다 치밀하게 형성되어, 실록산계 수지가 치밀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다. 치밀해진 실록산계 수지가 형성하는 네트워크 구조 사이에 상용성이 좋지 않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 위치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열경화가 진행될수록 실록산계 수지가 형성하는 네트워크 구조 사이의 free volume이 작아져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free volume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경화되지 못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의 비중은 열경화에 의해 형성된 실록산계 수지의 비중보다 낮다. However, when thermal curing continues, crosslinking between the siloxane-based reactive components is more densely formed, and the siloxane-based resin forms a dense network structure. A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with poor compatibility cannot be positioned between the network structures formed by the dense siloxane-based resin. In other words, as the heat curing proceeds, the free volume between the network structures formed by the siloxane-based resin decreases, so that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free volum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uncured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is lower than that of the siloxane-based resin formed by thermal curing.
따라서, 열경화 공정이 진행되어, 실록산계 수지의 네트워크 가교결합이 치밀하게 형성됨에 따라,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은 상단의 제 1 영역, 즉, 표시 패널(200)과의 계면(302) 영역에 배열되고, 실록산계 수지는 하단의 제 2 영역, 즉 커버 윈도우(400)와의 계면(304) 영역에 배열된다. Therefore, as the thermal curing process proceeds and the network crosslinking of the siloxane-based resin is densely formed, the (meth)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is formed in the upper first region, that is, the
열경화가 완료되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00)을 아래쪽에 배치하고, 커버 윈도우(400)를 위쪽에 배치한 상태에서 적절한 광원을 이용하여 광경화를 수행한다. 광경화를 위해서 적절한 광원(예를 들어 UV 또는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 반응성 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이 경화된다. 예를 들어 광경화는 대략 3000 ~ 5000 J/㎠ 강도의 광을 조사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수초간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thermal curing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3C , photocuring is performed using an appropriate light source while the
광경화에 의하여 표시 패널(400)과의 계면(302)에 인접한 제 1 영역에 배열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성분은 경화되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얻어진다. 한편, 열경화에 의하여 형성된 실록산계 수지는 커버 윈도우(400)와의 계면(304)에 인접한 제 2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경화가 진행되고 광경화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에는 경화되지 않은 실록산계 성분과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성분이 공존한다. 광경화에 의해서 제 3 영역에서는 실록산계 성분과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성분이 경화되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실록산계 수지의 공중합체가 형성된다. By photocuring, the (meth)acrylate-based component arranged in the first region adjacent to the
따라서 본 발명의 경화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접착제(300)는, 탄성 모듈러스가 낮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표시 패널(200)과의 계면(302)에 인접한 제 1 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탄성 모듈러스가 높은 실록산계 수지는 커버 윈도우(400)와의 계면(304)에 인접한 제 2 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열된다.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가 공중합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탄성 모듈러스 값을 가지게 된다. Therefore, in the adhesive 300 manufactured using the c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acrylate-based resin having a low elastic modulus is intensively arranged in the first region adjacent to the
커버 윈도우(400) 쪽에 집중 배치되어 있는 실록산계 수지의 우수한 내열 특성, 양호한 모듈러스 특성으로 인하여 커버 윈도우(400)의 변형을 방지하고,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시 패널(200) 쪽에 집중 배치되어 있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양호한 소프트(soft) 특성을 이용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가 적용된 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Due to the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good modulus characteristics of the siloxane-based resin concentrated on the
도 4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접착제가 적용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는 크게 표시 패널(200)과, 표시 패널(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400)와, 표시 패널(200) 및 커버 윈도우(400)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30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00)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채택된 유기발광 표시 패널 등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4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to which a composite adhesi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4A , the
한편, 커버 윈도우(400)는 중앙의 기재(410)와, 상기 기재(410)를 보강하기 위한 하드 코팅층(412, 41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410)는 강화 글라스로 제작할 수 있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기재(41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C-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카보네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PC-PMMA)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고분자 소재를 (공)압출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일반적으로 커버 윈도우(400)는 표시장치(100)의 가장 외곽에 위치하므로, 손톱이나 터치펜을 비롯한 외부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마모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커버 윈도우(400)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충격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플라스틱 기재(4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경도 구현이 가능한 경질 타입의 제 1 하드 코팅층(412)과 제 2 하드 코팅층(414)을 형성한다. In general, since the
플라스틱 기재(410)의 한쪽 면에만 코팅하였을 때에는 플라스틱 기재(410)에 휨이 발생하여 반대쪽 면에도 동일한 두께의 하드 코팅층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드 코팅층(412, 414)는 우레탄 아크릴 수지, 메타아크릴수지, 실세스퀴옥산 화합물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롤-코팅, 스핀-코팅, 딥-코팅, 플로우-코팅 및 스프레이-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기재(410)에 코팅될 수 있다. 이를 화합물을 기재(410)에 코팅한 뒤에, UV 등으로 경화하여 하드 코팅층(412, 41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400)의 전체 두께는 대략 0.5 ~ 1.0 ㎜, 하드 코팅층(412, 414)은 각각 5 ~ 40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When only one side of the
표시 패널(200)과 커버 윈도우(400)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300)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집중, 배치되는 제 1 영역(310)과, 실록산계 수지가 집중, 배치되는 제 2 영역(320)과, 제 1 영역(310)과 제 2 영역(32) 사이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실록산계 수지가 배치되는 제 3 영역(3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310)은 표시 패널(200)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 2 영역(320)은 커버 윈도우(400)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The
커버 윈도우(400)에 인접한 제 2 영역(320)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실록산계 수지는 경화 수축율이 낮다. 따라서 실록산계 수지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커버 윈도우(400)에 가해지는 응력은 매우 낮기 때문에 경화에 의하여 커버 윈도우(400)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2 영역(320)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실록산계 수지는 높은 탄성 모듈러스(우수한 탄성 특성)를 가지고 있으므로, 커버 윈도우(400)와의 계면(304, 도 3c 참조)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어서, 커버 윈도우(400)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 윈도우(400)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e siloxane-based resin intensively disposed in the
실록산계 화합물의 Si-O 결합 에너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에 포함된 C-C 및 C-O 결합에너지에 비하여 크다. 이로 인하여 실록산계 화합물은 결합 안정성이 크기 때문에, 우수한 내열 안정성을 갖는다. 특히, 실록산계 화합물의 탄성 모듈러스는 온도 의존성이 크지 않다는 장점을 갖는다. The Si-O binding energy of the siloxane-based compound is greater than the C-C and C-O binding energies included in the (meth)acrylate-based compound. Due to this, since the siloxane-based compound has high bonding stability, it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stability. In particular, the elastic modulus of the siloxane-based compound has an advantage of not having a large temperature dependence.
즉, 제 2 영역(320)에 배치되는 실록산계 수지는 내열 특성이 우수하므로, 고온이나 고온고습 조건에서 실록산계 수지는 변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탄성 모듈러스를 유지한다. 따라서 고온이나 고온고습 조건에서도 커버 윈도우(400)와 표시 패널(20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300)의 접착력이 유지되므로, 고온이나 고온고습 조건에서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siloxane-based resin disposed in the
한편, 표시 패널(200)에 인접한 제 1 영역(310)에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소프트 특성(낮은 탄성 모듈러스)을 가지고 있으므로, 외부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재(buffer) 역할을 하여, 커버 윈도우(400)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meth)acrylate-based resin intensively arranged in the
특히, 본 발명의 접착층(300)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집중 배치되는 제 1 영역의 탄성 모듈러스가 가장 낮고, 실록산계 수지가 집중 배치되는 제 2 영역(320)의 탄성 모듈러스가 가장 높으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실록산계 수지의 공중합체가 집중 배치되는 제 3 영역(330)은 그 중간 정도의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접착층(300)은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320)으로부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310)으로 점진적으로 탄성 모듈러스가 감소한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탄성 모듈러스가 낮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서 응력을 충분히 완화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결과적으로, 실록산계 수지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복합재 형태로 구성하고, 독립된 영역으로 실록산계 수지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배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우수한 접착력 유지와, 응력 완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by configuring the siloxane-based resin and the (meth)acrylate-based resin in the form of a composite material and arranging the siloxane-based resin and the (meth)acrylate-based resin in independent regions, excellent adhesive strength maintenance and stress relaxation effects are achieved. Since it is excell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impact resistance.
이때,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제 1 영역(310)의 두께(t1)는 실록산계 수지가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제 2 영역(320)의 두께(t2)에 비하여 2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배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310)의 두께(t1)가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320)의 두께(t1)에 비하여 2 내지 8배 정도 두꺼울 경우에 외부에서 인가된 외압이 제 1 영역(310)에서 충분히 완화되어 응력을 해소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ickness t1 of the
예를 들어, 제 1 영역(310)의 두께(t1)가 제 2 영역(320)의 두께(t2)보다 2배 미만인 경우에는 외부 압력으로 인한 응력 해소에 미흡하고/미흡하거나, 전체 접착층(300)의 탄성 모듈러스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yellow mura와 같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제 1 영역(310)의 두께(t1)가 제 2 영역(320)의 두께(t2)보다 8배를 초과하여 두꺼운 경우에는 실록산계 수지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어지게 되어, 실록산계 수지의 높은 탄성 모듈러스 특성이나 내열 특성으로 인한 커버 윈도우(400)의 변형 방지 효과나 접착 신뢰성 향상을 기대하기 곤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t1 of the
한편,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터치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도 4b는 표시 패널(200)과, 접착층(300) 사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라고도 일컬어지는 터치 패널(290)이 위치한 표시장치(100')를 보여준다. 도 4b에서는 터치 패널(290)은 표시 패널(200) 상부에 위치하는 온-셀 타입(on cell type)을 예시하였으나, 터치 패널(290)은 표시 패널(200) 내부에 위치하는 인-셀 타입(in-cell type)일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ouch function, and FIG. 4B shows a display device 100' in which a
전술한 것과 같이, 표시 패널(200)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도 5는 예를 들어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패널로 이루어진 표시 패널(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00)은 제 1 기판(201)과 제 2 기판(202)이 대향적으로 마주하고 있으며, 이들 기판(201, 202) 사이에 액정층(230)이 개재되어 있다. 제 1 기판(201)과 제 2 기판(202)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 1 기판(201)의 상부에 다수의 전극 및 배선이 적층된다. As shown in FIG. 5, in the
제 1 기판(201)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의 전극 및 배선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 기판(201)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다수의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P)을 정의하며 제 2 방향으로 다수의 데이터 배선(27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배선(미도시)의 일단에 연결되어 비-표시영역에 게이트패드(미도시)가 형성되고, 데이터 배선(270)의 일단에 연결되어 비-표시영역에 데이터패드(미도시)가 형성된다. Looking more specifically at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wires stacked on the top of the first substrate 201, a plurality of gate wires (not shown) extend in one direction on the top of the first substrate 201, and these A plurality of data lines 270 are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define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P by crossing a gate line (not shown). A gate pad (not shown) is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by being connected to one end of a gate line (not shown), and a data pad (not shown) is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by being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ata line 270. .
다수의 화소영역(P)에는 게이트 전극(262)과, 게이트 절연막(263)과, 액티브층(266a)과 오믹콘택층(266b)을 포함하는 반도체층(266)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272, 274)으로 이루어지는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262)은 게이트 배선(미도시)에 연결되며, 제 1 기판(201) 상에 형성된다.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게이트 전극(262) 상에, 무기 절연물질, 예를 들어 산화실리콘(SiOx) 또는 질화실리콘(SiNx)일 수 있는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절연막(263)이 형성된다. In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P, the semiconductor layer 266 including the gate electrode 262, the gate insulating layer 263, the active layer 266a and the ohmic contact layer 266b, and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272 , 274) is formed. The gate electrode 262 is connected to a gate wire (not shown) and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201 . A gate insulating film 263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which may be, for example,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is formed on the gate wiring (not shown) and the gate electrode 262 .
게이트 절연막(263) 상에는 순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266a)과, 액티브층(266a) 상에 형성되며 액티브층(266a)의 중앙을 노출시키고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콘택층(266b)이 형성되어 있다. 액티브층(266a)과 오믹콘택층(266b)은 반도체층(266)을 이룬다.An active layer 266a made of pure amorphous silicon and an ohmic contact layer 266b formed on the active layer 266a and exposing the center of the active layer 266a and made of impurity amorphous silicon ar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263. has been The active layer 266a and the ohmic contact layer 266b form the semiconductor layer 266 .
반도체층(266) 상에는 서로 이격하여 액티브층(266a)의 중앙을 노출시키는 소스 전극(272)과 드레인 전극(274)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272)은 반도체층(266) 상에 위치하며 데이터 배선(270)에서 연장되며, 드레인 전극(274)은 반도체층(266) 상에서 소스 전극(272)과 이격하여 위치한다. 박막트랜지스터(Tr)는 스위칭 영역(TrA)에 위치하고 있다.A source electrode 272 and a drain electrode 274 a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266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expose the center of the active layer 266a. The source electrode 272 is position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266 and extends from the data line 270 , and the drain electrode 274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source electrode 272 on the semiconductor layer 266 . The thin film transistor Tr is located in the switching region TrA.
또한, 게이트 절연막(263) 상에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270)이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형성되고 있다. 데이터 배선(270)은 화소영역(P)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272)으로부터 연장된다. 한편, 도면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게이트 절연막(263) 상에는 공통배선(미도시)이 데이터 배선(270)에 평행한 제 2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교차하고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공통배선(미도시)은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평행하게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동일층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 the gate insulating film 263, a data line 270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is formed crossing the gate line (not shown). The data line 270 extends from the source electrode 272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positioned in the pixel region P.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one exemplary embodiment, a common wiring (not shown) is formed along a second direction parallel to the data wiring 270 on the gate insulating film 263, and the gate wiring (not shown) ) intersects with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mmon wiring (not shown)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gate wiring (not shown) on the same layer as the gate wiring (not shown).
한편, 데이터 배선(270), 소스 전극(272), 드레인 전극(274) 및 공통배선(미도시)을 덮는 제 1 보호층(264)이 형성된다. 이 제 1 보호층(264)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274)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27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보호층(264)은 산화실리콘(SiOx)나 질화실리콘(SiNx)로 제조되는 무기 절연막 또는 포토아크릴로 제조되는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제 1 보호층(264)은 화소전극(276)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오믹콘택층(266b)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Meanwhile, a first protective layer 264 is formed to cover the data wire 270, the source electrode 272, the drain electrode 274, and the common wire (not shown). A drain contact hole 275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274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is formed in the first protective layer 264 . The first protective layer 264 may be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made of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or an organic insulating film made of photoacrylic. The first protective layer 264 prevents the ohmic contact layer 266b from being damag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ixel electrode 276 .
또한, 각각의 화소영역(P)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274)과 드레인 콘택홀(275)을 통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으로서의 화소전극(276)이 제 1 보호층(264) 상에 형성되어 있다. 화소전극(276)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화소영역(P) 내에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일 수 있다. Further, in each pixel region P, a pixel electrode 276 serving as a first electrode contact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274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275 is provided as a first protective layer. (264). The pixel electrode 276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may have a plate shape within each pixel region P. For example,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dium-tin-oxide (ITO) or indium-zinc-oxide (IZO).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1 보호층(264)의 상부의 비-표시영역에는 화소전극(276)과 동일한 투명 도전성 소재로 제조되는 게이트 패드 전극 및 데이터 패드 전극이 형성되는데, 게이트패드 전극은 게이트패드 콘택홀(미도시)을 통하여 게이트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데이터패드 전극은 데이터패드 콘택홀(미도시)을 통하여 데이터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lthough not shown, a gate pad electrode and a data pad electrode made of the sam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s the pixel electrode 276 are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above the first protective layer 264. The gate pad electrode is a gat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pad through a pad contact hole (not shown), and the data pa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pad through a data pad contact hole (not shown).
화소전극(276) 상부에는 제 2 층간 절연막인 제 2 보호층(2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보호층(280)은 무기 절연막 또는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A second passivation layer 280 as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is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276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80 may be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or an organic insulating layer.
한편, 상기 제 2 보호층(280) 상에는 상기 판 형태의 화소전극(276)과 중첩하며 다수의 슬릿 형태의 홀(개구부, 292)을 갖는 공통전극(290)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전극(276)과 마찬가지로 제 2 전극으로서의 공통전극(290)은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공통전극(290)은 다수의 화소영역(P)이 형성된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다. 판 형태의 제 1 전극일 수 있는 화소전극(276)과 개구부(292)를 갖는 제 2 전극일 수 있는 공통전극(290)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프린지 필드(fringe field)가 형성되어 액정이 구동됨으로써, 투과 효율이 향상되고 고품질의 영상이 표시된다. Meanwhile, a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컬러 필터 기판일 수 있는 제 2 기판(202)의 하부에는 각각의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는 차광부재인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고, 블랙매트릭스의 하부와 블랙매트릭스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된 제 2 기판(202)의 하부에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된다. 컬러필터층(미도시)은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적, 녹, 청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컬러필터층(미도시)과 액정층(230) 사이에는 컬러필터층(미도시)의 보호 및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의 오버코트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black matrix, a light blocking member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each pixel region P,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ubstrate 202, which may be a color filter substrate, and the lower part of the black matrix and the black matrix are formed. A color filter layer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202 exposed through the opening. The color filter layer (not shown) includes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s corresponding to the pixel region P. In addition, between the color filter layer (not shown)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230, an overcoat layer (not shown) of a material such as polyimide, polyacrylate, polyurethane, or the like is formed to protect the color filter layer (not shown) and flatten the surface. more can be formed.
한편, 제 2 기판(202)의 외측에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편광판(210)이 부착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기판(201)의 외측에도 편광판(미도시)가 부착된다. 아울러 횡전계형 액정 표시 패널(200)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기판(202)의 외측에 부착된 편광판(210)과 커버 윈도우(400, 도 4a 참조)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300, 도 4a 참조)을 통하여 커버 윈도우(400)와 표시 패널(200)은 합착된다. Meanwhile, a polarizer 210 selectively transmitting only specific light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ubstrate 202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olarizer (not shown) is also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bstrate 201 . In addition, a backlight unit may be provided to supply light from a rear surface of the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발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by no means limited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복합재 형태의 접착제가 형성된 표시장치 제조Example 1: Manufacture of a display device formed with an adhesive in the form of a composite material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광 반응성 올리고머 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가 혼합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광 반응성 모노머 25 중량부,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사이클로헵타실록산, 헥사데카메틸사이클로옥타실록산이 조합된 PDMS 계열의 실록산계 열 반응성 모노머 15 중량부, UV 개시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9 중량부, 및 백금 촉매인 divinlytetramethyl disolaxne Pt 1 중량부를 혼합한 액상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Meth) acrylate-based photoreactive
플라스틱 기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우레탄 아크릴 수지를 플로우-코팅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커버 윈도우 상에 액상 접착제 조성물을 300 ㎛의 두께로 도포하고, 표시 패널과 합착하였다. 커버 윈도우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뒤, 핫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80℃에서 20분 동안 열경화 공정을 진행하였다. 표시 패널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조정하고, 4000 mJ/㎠ 강도의 UV를 조사하여 접착제를 완전히 경화시켰다.A cover window was fabricated by flow-coating a urethane acrylic resin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plastic substrate, respectively. The liquid adhesive composition was applied to a thickness of 300 μm on the prepared cover window and bonded to the display panel. After adjusting the cover window to be positioned at the bottom, a heat curing process was performed at 80° C. for 20 minutes using a hot plate. The adhesive was completely cured by adjusting the display panel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and irradiating with UV light having an intensity of 4000 mJ/
비교예 1: 복합재 형태의 접착제가 형성된 표시장치 제조Comparative Example 1: Manufacture of a display device formed with an adhesive in the form of a composite material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성분만으로 경화시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만으로 구성되는 접착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A display device was manufactured by repeating the procedure of Example 1 except for using an adhesive composed only of an acrylate-based resin by curing only the acrylate-based reactive component.
비교예 2: 이중층(double layer) 구조의 접착제가 형성된 표시장치 제조Comparative Example 2: Manufacture of a display device formed with a double layer structure adhesive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만으로 구성된 접착층과, 실록산계 수지만으로 구성된 접착층의 이중층 구조의 접착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A display device was manufactured by repeating the procedure of Example 1 except for using an adhesive having a double-layer structure of an adhesive layer composed only of an acrylate-based resin and an adhesive layer composed only of a siloxane-based resin.
실시예 2: 접착제 성분 분석Example 2: Analysis of adhesive components
제조된 접착제 성분에 대하여 Py-GC/MS 분석을 수행하여, 경화 후 실리콘 성분과 잔류 아크릴레이트계 성분을 확인하였다. 도 6a는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접착제 영역의 Py-GC/MS 분석에 따른 측정 결과 및 결과 해석을 보여준다. PDMS 성분에 의해 분해된 디메톡시디메틸실란 성분과, 실시예 1에서 실록산계 성분으로 사용하였던 PDMS 성분이 검출되었다. Py-GC/MS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prepared adhesive component to confirm the silicone component and residual acrylate-based component after curing. Figure 6a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Py-GC / MS analysis of the adhesive region where the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A dimethoxydimethylsilane component decomposed by the PDMS component and a PDMS component used as a siloxane-based component in Example 1 were detected.
도 6b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접착제 영역의 Py-GC/MS 분석에 따른 측정 결과 및 결과 해석을 보여준다. (메타)아크릴레이트 성분의 분해에 의해서 잔류하는 아크릴레이트계 성분과, 광개시제 성분이 일부 잔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시예 1에 의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가 복합재 형태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6b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Py-GC / MS analysis of the adhesive region where the (meth) 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An acrylate-based component and a photoinitiator component remaining due to the decomposition of the (meth)acrylate component remain partiall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acrylate-based resin and the siloxane-based resin constituted a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Example 1.
실시예 3: 접착 신뢰성 평가Example 3: Evaluation of adhesion reliability
실시예 1에서 제작된 표시장치를 고온고습 조건(60℃/상대습도 90%)에 놓고, 평탄도 변화, 및 접착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한편,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접착제의 접착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단 강도와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The display device fabricated in Example 1 was placed under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conditions (60° C./90% relative humidity), and changes in flatness and adhesive strength were measured. On the other hand, shear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were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s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respectively.
도 7a는 고온고습 환경에 놓기 이전의 패널의 평탄도를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복합재 접착제가 적용된 패널을 고온고습 환경에서 테스트한 뒤 평탄도를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7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아크릴레이트 접착제가 적용된 패널을 고온고습 환경에서 테스트한 뒤 평탄도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한편, 평탄도 변화량과 전단 강도 및 인단 강도 측정 결과는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복합 접착제를 사용하여, 평탄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력도 크게 향상되어 접착 신뢰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7a is an image of the flatness of the panel before placing it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Figure 7b is an image of the flatness after testing the panel to which the composit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Figure 7c is This is an image taken for flatness after testing a panel to which an acrylate adhesi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pplied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he flatness change amount, shear strength, and shear strength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Using the composite adhesive of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flatness could be prevented and the adhesive strength was greatly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adhesive reliability.
(4.4배 증가)0.048 ↑
(4.4 times increase)
(10.8배 증가)0.138 ↑
(10.8 times increase)
실시예 4: 접착제의 경도 측정Example 4: Hardness measurement of adhesive
접착제의 탄성 모듈러스와 관련이 있는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접착제와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이중층 접착제의 단면을 따라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집중되어 있는 표시 패널 인접 영역에서 시작하여, 경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실록산계 수지가 집중되어 있는 커버 윈도우 인접 영역까지 종단면을 따라 nano indentation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도 측정 결과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In order to measure the hardness related to the elastic modulus of the adhesive, the hardness was measured along the cross section of the composite adhesive prepared in Example 1 and the double-layer adhesiv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Nano indent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section, starting from the area adjacent to the display panel where (meth)acrylate-based resin, which is expected to have low hardness, is concentrated, to the area adjacent to the cover window, where siloxane-based resin, which is expected to have high hardness, is concentrated. measured through The hardness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hown in FIG. 8 .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비교예 2에서 이중층으로 코팅된 접착제는 각각의 접착층 특유의 경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중층 계면에서 경도가 급속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실시예 1에서 복합재 형태로 제조된 접착제의 경우, 경도 구배(hardness gradient)가 일어나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집중된 영역에서는 낮은 모듈러스를 보여주었으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중간 영역에서부터 점진적으로 경도가 상승하였으며, 실록산계 수지가 집중된 영역에서 가장 높은 경도를 보여주었다. As shown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ve coated with the double layer in Comparative Example 2 has a unique hardness of each adhesive layer, and the hardness rapidly increased at the interface of the double lay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dhesive prepared in the form of a composite material in Example 1, a hardness gradient occurred, showing low modulus in the area where the (meth)acrylate-based resin was concentrated, but the (meth)acrylate-based resin and The hardnes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middle region of the siloxane-based resin, and the highest hardness was shown in the region where the siloxane-based resin was concentra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토대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exemplary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examples.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fact that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appended claims.
100, 100': 표시장치 200: 표시패널
290: 터치패널 300: 접착제
310: 제 1 영역 320: 제 2 영역
330: 제 3 영역 400: 커버 윈도우
410: 기재 420, 430: 하드 코팅층100, 100': display device 200: display panel
290: touch panel 300: adhesive
310: first area 320: second area
330: third area 400: cover window
410: substrate 420, 430: hard coating layer
Claims (22)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실록산계 수지의 공중합체가 위치하는 제 3 영역
을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접착제.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A third region in which a copolymer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 adhesive comprising a (meth) 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in the form of a composite.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 영역의 두께보다 2 내지 8배 두꺼운 접착제.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is 2 to 8 ti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지방족 작용기로 적어도 1개 치환되어 있는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실록산계 화합물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는 접착제.
According to claim 1,
The siloxane-based resin is an adhesive obtained by curing a siloxane-based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iphatic functional group.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알킬기 또는 C1-C20 알콕시기로 치환된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사이클로실록산(cyclosiloxane) 화합물의 경화에 의해 얻어지는 접착제.
According to claim 1,
The siloxane-based resin is an adhesive obtained by curing a cyclosiloxane compound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kyl group or a C 1 -C 20 alkoxy group.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광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며,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열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는 접착제.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acrylate-based resin is obtained by curing a light-reactive component, and the siloxane-based resin is obtained by curing a heat-reactive component.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domain)과;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실록산계 수지의 공중합체가 위치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a cover window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panel;
an adhesive layer appli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including a third region in which a copolymer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display device.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 영역의 두께보다 2 내지 8배 두꺼운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is 2 to 8 times thicker than a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지방족 작용기로 적어도 1개 치환되어 있는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실록산계 화합물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iloxane-based resin is a display device obtained by curing a siloxane-based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iphatic functional group.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알킬기 또는 C1-C20 알콕시기로 치환된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사이클로실록산(cyclosiloxane) 화합물의 경화에 의해 얻어지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iloxane-based resin is a display device obtained by curing a cyclosiloxane compound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kyl group or a C 1 -C 20 alkoxy group.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광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며,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열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meth)acrylate-based resin is obtained by curing a light-reactive component, and the siloxane-based resin is obtained by curing a heat-reactive component.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커버 윈도우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area is adjacent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area is adjacent to the cover window.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 영역의 두께보다 2 내지 8배 두꺼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접착제.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It includes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is 2 to 8 ti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and is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고,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지방족 작용기로 적어도 1개 치환되어 있는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실록산계 화합물의 경화에 의해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접착제.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It includes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The siloxane-based resin is composed of a composite form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obtained by curing a siloxane-based compound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t least one C 1 -C 20 aliphatic functional group Adhesive.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고,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알킬기 또는 C1-C20 알콕시기로 치환된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사이클로실록산(cyclosiloxane) 화합물의 경화에 의해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접착제.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It includes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The siloxane-based resin is a composite form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obtained by curing a cyclosiloxane compound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kyl group or a C 1 -C 20 alkoxy group. An adhesive composed of.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광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며,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열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접착제.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It includes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The (meth)acrylate-based resin is obtained by curing a light-reactive component, and the siloxane-based resin is an adhesiv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obtained by curing a heat-reactive component and a siloxane-based resin. .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domain)과;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 영역의 두께보다 2 내지 8배 두꺼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a cover window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panel;
an adhesive layer appli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It includes a second domain where the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main is 2 to 8 ti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omain in the form of a composite of (meth)acrylate-based resin and siloxane-based resin. configured display device.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domain)과;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고,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지방족 작용기로 적어도 1개 치환되어 있는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실록산계 화합물의 경화에 의해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a cover window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panel;
an adhesive layer appli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A (meta) siloxane-based resin is obtained by curing a siloxane-based compound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t least one C 1 -C 20 aliphatic functional group and including a second domain where the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A display devic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crylate-based resin and siloxane-based resin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domain)과;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고,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C1-C20 알킬기 또는 C1-C20 알콕시기로 치환된 실리콘 원자를 가지는 사이클로실록산(cyclosiloxane) 화합물의 경화에 의해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a cover window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panel;
an adhesive layer appli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It includes a second domain where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and the siloxane-based resin is used for curing a cyclosiloxane compound having a silicon atom substituted with a C 1 -C 20 alkyl group or a C 1 -C 20 alkoxy group. A display devic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 (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siloxane-based resin obtained by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domain)과;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광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며, 상기 실록산계 수지는 열 반응성 성분의 경화에 의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접착제.
a display panel;
a cover window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panel;
an adhesive layer appli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It includes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located, the (meth)acrylate-based resin is obtained by curing a light-reactive component, and the siloxane-based resin is obtained by curing a heat-reactive component (meta) ) An adhesiv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crylate-based resin and siloxane-based resin.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1 영역(domain)과; 실록산계 수지가 위치하는 제 2 영역(domain)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커버 윈도우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실록산계 수지의 복합재 형태로 구성되는 표시장치.a display panel;
a cover window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panel;
an adhesive layer appli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first domain in which (meth)acrylate-based resin is located; It includes a second domain in which a siloxane-based resin is positioned, the first domain is adjacent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domain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cover window. A display devic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acid-based resi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91564A KR102467216B1 (en) | 2015-12-31 | 2015-12-31 | Composite adhesiv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91564A KR102467216B1 (en) | 2015-12-31 | 2015-12-31 | Composite adhesiv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80245A KR20170080245A (en) | 2017-07-10 |
| KR102467216B1 true KR102467216B1 (en) | 2022-11-14 |
Family
ID=5935607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91564A Active KR102467216B1 (en) | 2015-12-31 | 2015-12-31 | Composite adhesiv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6721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80891B1 (en) | 2018-07-30 | 2021-07-23 | 배광혁 | LED Display For Digital Signage Improved Workability And Heat Radiation |
| KR20210080680A (en) | 2019-12-20 | 2021-07-0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including bonding member |
| KR20210148457A (en) | 2020-05-28 | 2021-12-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102478375B1 (en) * | 2021-05-06 | 2022-12-16 | (주)유티아이 | Flexible Cover Window |
| CN118135891A (en) * | 2022-12-02 | 2024-06-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Optical adhesive lay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lexibl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9126372A1 (en) | 2008-04-08 | 2009-10-15 | Exxonmobil Oil Corporation | Multi-layer slip film for printing and lamination processes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290531A (en) * | 1995-02-07 | 1996-11-05 | Teijin Ltd | Plastic molded body with protected surface and manufacture |
| US8334037B2 (en) * | 2007-05-11 | 2012-12-1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ulti-layer assembly, multi-layer stretch relea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US20090110861A1 (en) * | 2007-10-29 | 2009-04-30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rticle |
| KR101773202B1 (en) * | 2011-06-22 | 2017-08-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dhesive,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2015
- 2015-12-31 KR KR1020150191564A patent/KR10246721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9126372A1 (en) | 2008-04-08 | 2009-10-15 | Exxonmobil Oil Corporation | Multi-layer slip film for printing and lamination process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80245A (en) | 2017-07-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467216B1 (en) | Composite adhesiv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
| CN107886847B (en) |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2596946B1 (en) | Display apparatus | |
| US9688051B2 (en) | Window memb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 KR101368386B1 (en) | Reflective touch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 KR102018356B1 (en) | Window film,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 US10725501B2 (en) | Protective co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CN113366556A (en) | Flexible cover plate, flexible display screen and display panel | |
| TWI838346B (en) |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 |
| JP2008158251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 |
| CN103970349A (en) | Touch control device and attaching type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
| KR102469311B1 (en) | Fabrication Method for Flexible Display Device | |
| CN104216553A (en) | Composite touch control covering plate | |
| CN108192518B (en) | A privacy film | |
| CN112820200A (en) | Cover plate and display device | |
| US20150211711A1 (en) | Multi-sheet for back light unit and method thereof | |
| KR101819788B1 (en) | Transparent resin laminate and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the same | |
| CN109324437A (en) | display device | |
| TWI703479B (en) | Touch modu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20210083546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 JP2019066532A (en) | Optical shutter for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US20140295157A1 (en) |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 |
| KR102482209B1 (en) | Organic nano particle, adhesive film and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organic nano partilce | |
| TW202127064A (en) | Display panel | |
| KR102222430B1 (en) | Adhesive applied to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dhesive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panel using the adhesiv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