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849B1 - A tilting chair - Google Patents
A tilting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7849B1 KR102467849B1 KR1020220081979A KR20220081979A KR102467849B1 KR 102467849 B1 KR102467849 B1 KR 102467849B1 KR 1020220081979 A KR1020220081979 A KR 1020220081979A KR 20220081979 A KR20220081979 A KR 20220081979A KR 102467849 B1 KR102467849 B1 KR 102467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ing
- seat
- backrest
- support frame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틸팅부재에 의해 좌석부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과 동시에 등받이가 틸팅될 수 있는 틸팅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ting chair in which a backrest can be tilted simultaneously with a sliding movement of a seat portion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a tilting member having a simple structure.
일반적으로 의자의 기본 구조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띄울 수 있고 좌석을 장착할 수 있는 의자 프레임과 좌석 및 선택적으로 등받이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기본 구조에 여러 가지의 편의를 위한 추가적인 구조를 가진 다양한 의자들로 개발되어 왔다.In general, the basic structure of a chair has a chair frame that can be flo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and has a structure to which a seat can be attached, a seat, and optionally a backrest, and additional structures for various conveniences are added to this basic structure. It has been developed into a variety of chairs with
특히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의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좌석과 등받이에 쿠션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위치를 바꾸기 용이하도록 캐스터 즉 바퀴를 장착하고 있으고,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 및 편하게 뒤로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틸링 기능을 가지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hair used in an office or home, the seat and backrest basically have a cushion function, and casters, or wheels, are installed to make it easy to change the position, and the backrest has a function to adjust the height and a backrest to lean back comfortably. It has a tilting function.
이중 틸팅 기능의 경우 다양하면서도 복잡한 구조의 기술이 적용되어 단순히 기울어지는 것이 아니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결과적으로 이러한 의자의 경우 가격이 고가일 수 밖에 없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double tilting function, various and complex structural technologies are applied so that you can feel comfortable rather than simply tilting.
반면에 회사의 회의실과 학원이나 학교에서 사용하는 의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진 것으로 좌석이나 등받이는 목재나 합성수지로 쿠션의 기능이 없으며 기타 전술한 편의 기능이 없이 단순히 의자 프레임에 좌석과 등받이만 연결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chairs used in company conference rooms, academies, or schools have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the seat or backrest is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and does not have a cushion function. I am using the connected one.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을 때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척추측만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등을 곧추세운 상태를 유지하는 기본 형태 이외에도 뒤로 젖히는 자세변화가 필요하지만 등받이가 고정된 의자에서는 허리가 공중에 뜬 상태가 되어 요통 및 허리디스크 등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scoliosis without straining the back when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a change in posture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basic form in which the user maintains the back upright, but in a chair with a fixed backrest, the back is floating in the air. This can cause back pain and herniated discs.
따라서 주로 저가의 학교나 학원에 구비되는 의자의 종류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등받이가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틸팅 의자를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ilting chair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types of chairs provided in low-cost schools or private institutes so that the backrest can be tilted backward.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자 프레임과 좌석 및 등받이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를 가진 의자구조에서 간단한 틸팅수단을 구비하여 좌석의 전후 이동에 따라 등받이의 틸팅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틸팅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tilting means in a chair structure having a simple structure composed of a chair frame, a seat and a backrest, so that the tilting of the backrest can be stab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at. We want to provide a chair, and that is the purpos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는 등받이부(100)와, 상기 등받이부(100)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좌석부(200)와, 상기 좌석부(200)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되 한 쌍의 팔걸이부(311)는 상기 등받이부(100) 양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좌석부(200)와 이동은 물론,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프레임(300) 및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삽입되어 상기 좌석부(200) 하부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이동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100)는 소정각도로 틸팅시키는 틸팅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좌석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소절길이를 갖도록 천공 형성된 장홈(315)과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장홈(315)은 상기 등받이부(100)의 틸팅각도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til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부에는 상기 팔걸이부(311)가 형성되되 하부에는 이동과 고정이 가능한 바퀴(313)가 다수 구비되며, 외면에는 상기 장홈(315)이 형성된 프레임(310)과, 한 쌍의 상기 프레임(310)이 소정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게 양단이 상기 프레임(310)과 이어지게 형성된 간격유지바(320) 및 상기 간격유지바(320)에 형성되되 외면은 상기 틸팅부재(400)가 삽입되는 연장바(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소지품을 수납하기 위한 선반트레이(3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선반트레이(340)는 메쉬 형상으로 성형되되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형성된 한 쌍의 후크(317)과 연결된 한 쌍의 걸이바(3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틸팅부재(400)는 상기 좌석부(200) 하면에 구비된 가이드핀(211)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레이트(410)와, 일단이 상기 좌석부(200)와 결합하되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410)와 결합하여 전방으로 이동한 이후의 상기 플레이트(410)가 후방으로 탄성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탄성체(420) 및 내측으로 상기 플레이트(410)와 상기 탄성체(420)가 감싸지게 체결수단(P)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410)와 결합하되 외면은 상기 지지프레임(300)과 탈착 가능한 삽입홈(431)이 형성된 틸팅케이스(430)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410)는 상기 가이드핀(211)과 상기 탄성체(420)가 관통할 수 있게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관통공(411)이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ilting
또한, 상기 가이드핀(211)은 상기 좌석부(200)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10)에 상기 플레이트(410)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게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구성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210)의 돌출 높이는 상기 틸팅케이스(430)와 상기 플레이트(410)를 서로 고정시키는 체결수단(P)의 끝단이 상기 좌석부(200) 하면과 면접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좌석부 하부에 구비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틸팅부재에 의해 상기 좌석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에 의해 등받이부가 지지프레임의 장홈에 안내되어 틸팅이 실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a tilting member having a simple structur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at, unlike the prior art, the backrest is guided to the lo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and tilting can be performed. hav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틸팅의자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에 대한 지지프레임의 다른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에 대한 작용관계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l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tilting chair with respect to Figure 1;
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frame for the til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operational relationships for the til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Certain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 terminology described above is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bbreviated or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1)에 대하여 상ㅅ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tilting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1)는 크게 등받이부(100), 좌석부(200), 지지프레임(300) 및 틸팅부재(40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6, the tilting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등받이부(100)는 틸팅의자(1)에 착석하고자 하는 사용자 싱체 중 등(Back)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후에 설명하는 틸팅부재(400)의 동작을 통해 소정각도로 틸팅되어 사용자의 휴식이나 자세의 편안함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More specifically, the
이를 위해, 등받이부(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다수의 절곡부를 갖는 만곡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등부분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하며, 양측은 팔걸이부(3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는 좌석부(2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To this end, as shown, the
여기서, 좌석부(2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등받이부(100) 하부에는 상기 좌석부(200)는 물론, 장홈(315)까지 관통할 수 있는 회전축(110)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10)을 통해 상기 좌석부(200)의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서는 상기 등받이부(100)와 프레임(310) 간의 회전도 가능한 구조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Here, a
그리고, 상기 좌석부(200)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하여 착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되 하부에는 틸팅부재(400)가 구비되며, 후방측은 지지프레임(300)을 구성하는 장홈(315)과 회전은 물론,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좌석부(200) 하면에는 틸팅부재(4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4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핀(211)이 구비된다.To this end, a
이때, 가이드핀(211)은 좌석부(200)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210) 하면에 상기 돌출부(210)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간격을 갖도록 한 쌍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핀(211)이 삽입된 관통공(411)의 이동거리(D1)는 후에 설명하는 장홈(315)의 거리(D2)와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되며, 이를 통해 좌석부(2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movement distance D1 of the through
한편, 돌출부(210)의 돌출 높이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P)에 의해 틸팅케이스(430)와 플레이트(410) 간에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 결합시에 해당 체결수단(P)의 끝단이 좌석부(200) 하면과 면접하지 못할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석부(200)가 정후 방향으로 이동시에 체결수단(P)과의 마찰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술한 좌석부(200)가 지면이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석에 안정감을 더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1)의 이동과 고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레임(310), 간격유지바(320) 및 연장바(3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예컨대 프레임(3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부(200)를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이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프레임(310) 하부에 한 쌍의 바퀴(313)가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10) 하부에는 소정각도를 갖는 보조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여기서, 프레임(310) 및 보조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바퀴(313)는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캐스터(Castor)를 사용한다.Here, the
프레임(310) 외면에는 상술한 등받이부(100)에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110)을 통해 좌석부(200)는 물론, 상기 등받이부(100)까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소정길이를 갖는 장홈(315)이 형성되되 상기 장홈(315)은 길이(D2)는 상술한 가이드핀(211)이 관통공(41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D1)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이때, 장홈(315)은 후에 설명하는 틸팅부재(400)의 동작을 통하여 좌석부(20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등받이부(100)가 소정각도로 회전시에 상기 등받이부(100) 양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팔걸이부(311)가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부(100)의 틸팅각도와 동일한 경사각(A)을 갖도록 사선의 형태로 천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간격유지바(3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310)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사용자가 틸팅의자(1)를 사용시에 안정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단이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프레임(310)과 이어지게 설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the
또한, 연장바(330)는 간격유지바(320) 외면과 이어지게 전방으로 띠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장바(330) 외면에는 틸팅케이스(430)에 형성된 삽입홈(431)이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서의 지지프레임(300)은 부수적으로 틸팅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가방 등과 같은 소지품(B)을 수납하기 위한 선반트레이(340) 또는 상기 선반트레이(340)에 수납된 소지품(B)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컨트롤러(3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부연하면, 선반트레이(3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메쉬 또는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양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걸이바(341)가 구비되어 간격유지바(320) 또는 프레임(3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In other words, as shown, the
이를 위해, 간격유지바(320) 또는 프레임(310)에는 걸이바(341)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후크(317)가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후크(317)는 컨트롤러(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력센서(351)가 구비되어 선반트레이(340)에 수납된 소지품(B)의 무게측정이 가능하게 한다.To this end, a hook 317 for detachably coupl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hanging
여기서, 컨트롤러(35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한 쌍의 팔걸이부(311)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장력센서(351)에서 측정된 소지품(B)의 무게를 데이터로 전송받아 상기 컨트롤러(350)에 저장하여 소지품(B)의 분실여부가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소지품(B)을 선반트레이(340)에 수납하면 해당 소지품(B)의 무게정보는 장력센서(351)에 의해 측정되어 컨트롤러(350)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측정된 소지품(B)에 대한 무게를 확인 후, 상기 컨트롤러(350)에 구비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활성화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belongings (B) of a user seated on the tilting
이 상태에서, 타인에 의해 선반트레이(340)에 수납된 소지품(B)의 탈취(奪取)가 시도되면 장력센서(351)는 상기 선반트레이(340)에 수납된 무게정보를 상실하게 되고 그 정보는 그대로 컨트롤러(350)에 전송되게 된다.In this state, if an attempt is made to steal belongings B stored in the
그러면, 컨트롤러(350)는 최소 소지품(B)에 대한 무게정보가 설정정보 이상으로 차이가 있음을 감지하여 진동소자에 의한 진동이나 스피커를 이용한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353)를 통해 소지품(B)이 선반트레이(340)에서 인출되었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신호를 가하여 소지품(B)에 대한 분실방지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n, the
여기서, 진동소자는 좌석부(200), 등받이부(100) 및 팔걸이부(311) 등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Here, the vibration element is provided in a position where the user's body can directly contact, such as the
그리고, 상기 틸팅부재(400)는 등받이부(100)가 소정의 각도로 틸팅(회전)되어 사용자의 휴식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플레이트(410), 탄성체(420) 및 틸팅케이스(4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ilting
예컨대 플레이트(4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재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외면에는 가이드핀(211)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며, 별개로 탄성체(420)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411)이 소정길이를 갖도록 천공 형성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때, 플레이트(41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411) 중 가이드핀(211)이 관통하는 상기 관통공(411)은 돌출부(210)와 수직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또한, 탄성체(420)는 일단이 좌석부(200) 하면과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되되 타단은 관통공(411)을 관통하여 플레이트(410) 외면과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41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플레이트(410)가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자동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이때, 탄성체(420)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420)는 좌석부(200) 하면과 결합하는 부분이 한 쌍의 돌출부(21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틸팅케이스(430)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부가 개방된 함체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내측으로 탄성체(420), 가이드핀(211)을 포함한 플레이트(4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여져 체결수단(P)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410)와 나사 결합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tilting
이때, 틸팅케이스(430) 외면에는 연장바(330)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431)이 형성되어 좌석부(2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좌석부(200) 하부에 구비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틸팅부재(400)에 의해 상기 좌석부(2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에 의해 등받이부(100)가 지지프레임(300)의 장홈(315)에 안내되어 틸팅이 실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ilt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의자
100: 등받이부
110: 회전축
200: 좌석부
210: 돌출부 211: 가이드핀
300: 지지프레임
310: 프레임 311: 팔걸이부
313: 바퀴 315: 장홈
317: 후크 320: 간격유지바
330: 연장바 340: 선반트레이
341: 걸이바 350: 컨트롤러
351: 장력센서 353: 알람부
400: 틸팅부재
410: 플레이트 411: 관통공
420: 탄성체 430: 틸팅케이스
431: 삽입홈
A: 장홈의 각도
D1: 가이드핀이 관통공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
D2: 장홈의 거리1: til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backrest
110: axis of rotation
200: seat part
210: protrusion 211: guide pin
300: support frame
310: frame 311: armrest
313: wheel 315: long groove
317: hook 320: spacing bar
330: extension bar 340: shelf tray
341: hanging bar 350: controller
351: tension sensor 353: alarm unit
400: tilting member
410: plate 411: through hole
420: elastic body 430: tilting case
431: insertion groove
A: the angle of the groove
D1: Distance the guide pin can travel within the through hole
D2: the distance of the janghom
Claims (6)
상기 등받이부(100)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좌석부(200);
상기 좌석부(200)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되 한 쌍의 팔걸이부(311)는 상기 등받이부(100) 양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좌석부(200)와 이동은 물론,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프레임(300); 및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삽입되어 상기 좌석부(200) 하부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이동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100)를 소정각도로 틸팅시키는 틸팅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좌석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소정길이를 갖도록 천공 형성된 장홈(315)과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장홈(315)은 상기 등받이부(100)의 틸팅각도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재(400)는 상기 좌석부(200) 하면에 구비된 가이드핀(211)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레이트(410)와, 일단이 상기 좌석부(200)와 결합하되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410)와 결합하여 전방으로 이동한 이후의 상기 플레이트(410)가 후방으로 탄성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탄성체(420) 및 내측으로 상기 플레이트(410)와 상기 탄성체(420)가 감싸지게 체결수단(P)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410)와 결합하되 외면은 상기 지지프레임(300)과 탈착 가능한 삽입홈(431)이 형성된 틸팅케이스(430)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410)는 상기 가이드핀(211)과 상기 탄성체(420)가 관통할 수 있게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관통공(411)이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의자.
Backrest portion 100;
a seat portion 200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portion 100;
The seat part 200 is support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but the pair of armrest parts 311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ackrest part 100 and simultaneously move and rotate with the seat part 200. A support frame 300 that can be coupled; and
A tilting member 400 tha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300 and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ower part of the seat 200 an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ilts the backrest part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by movement. ,
The seat part 200 is movab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ng groove 315 formed in the support frame 30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long groove 315 has the same tilting angle as the backrest part 100. It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The tilting member 400 includes a guide pin 21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200 and a plate 410 that is slidably coupl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eat 200, but the other end The elastic body 420 provided so that the plate 410 after moving forward by combining with the plate 410 moves backward by an elastic force, and the plate 410 and the elastic body 420 inwardly It is coupled to the plate 410 by the fastening means P so as to be wrapped, but the outer surface includes a tilting case 430 having an insertion groove 431 detachable from the support frame 300, the plate 410 A tilt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perforated so that the guide pin 211 and the elastic body 420 can pass through.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부에는 상기 팔걸이부(311)가 형성되되 하부에는 이동과 고정이 가능한 바퀴(313)가 다수 구비되며, 외면에는 상기 장홈(315)이 형성된 프레임(310);
한 쌍의 상기 프레임(310)이 소정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게 양단이 상기 프레임(310)과 이어지게 형성된 간격유지바(320); 및
상기 간격유지바(320)에 형성되되 외면은 상기 틸팅부재(400)가 삽입되는 연장바(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frame 300 is
A frame 310 in which the armrest part 311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 plurality of movable and fixed wheels 313 are provided on the lower part, and the janghom 31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 pair of the frame 310 is formed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oth ends of the frame 310 and the gap maintaining bar 320 formed; and
The tilt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tension bar 330 formed on the space maintaining bar 320 and having an outer surface into which the tilting member 400 is inserted.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소지품을 수납하기 위한 선반트레이(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의자.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frame 300 is
A tilting chair further comprising a shelf tray 340 for storing belongings.
상기 선반트레이(340)는 메쉬 형상으로 성형되되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형성된 한 쌍의 후크(317)와 연결된 한 쌍의 걸이바(3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의자.
According to claim 3,
The shelf tray (340) is formed in a mesh shape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a pair of hanging bars (341) connected to a pair of hooks (317) formed on the support frame (300).
상기 가이드핀(211)은
상기 좌석부(200)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10)에 상기 플레이트(410)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게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구성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210)의 돌출 높이는 상기 틸팅케이스(430)와 상기 플레이트(410)를 서로 고정시키는 체결수단(P)의 끝단이 상기 좌석부(200) 하면과 면접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in 211 is
It is fixed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adjacent to each other to control the moving distance of the plate 410 on the protrusion 210 protruding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200,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rotruding part 210 is such that the tip of the fastening means (P) for fixing the tilting case 430 and the plate 410 to each other does not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art 200. Protruded to have a height Tilt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81979A KR102467849B1 (en) | 2022-07-04 | 2022-07-04 | A tilting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81979A KR102467849B1 (en) | 2022-07-04 | 2022-07-04 | A tilting chai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467849B1 true KR102467849B1 (en) | 2022-11-18 |
Family
ID=842347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81979A Active KR102467849B1 (en) | 2022-07-04 | 2022-07-04 | A tilting chai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67849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66112B1 (en) | 2010-03-16 | 2010-06-28 | 주식회사 시디즈 | A tilting chair |
| JP2011062384A (en) * | 2009-09-18 | 2011-03-31 | Kokuyo Co Ltd | Chair with rack |
| KR20110092992A (en) * | 2010-02-11 | 2011-08-18 | (주)피엠제이테크 | Parish chair |
| KR20120042566A (en) * | 2010-10-25 | 2012-05-03 | 주식회사 코아스 | Chair |
| KR102177229B1 (en) | 2018-07-03 | 2020-11-13 | 유용철 | The tilting chair |
-
2022
- 2022-07-04 KR KR1020220081979A patent/KR1024678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062384A (en) * | 2009-09-18 | 2011-03-31 | Kokuyo Co Ltd | Chair with rack |
| KR20110092992A (en) * | 2010-02-11 | 2011-08-18 | (주)피엠제이테크 | Parish chair |
| KR100966112B1 (en) | 2010-03-16 | 2010-06-28 | 주식회사 시디즈 | A tilting chair |
| KR20120042566A (en) * | 2010-10-25 | 2012-05-03 | 주식회사 코아스 | Chair |
| KR102177229B1 (en) | 2018-07-03 | 2020-11-13 | 유용철 | The tilting chai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672669B2 (en) | Swingable chair back with top pivot | |
| JP2758720B2 (en) | Chair configuration | |
| US10258159B2 (en) | Tilt mechanism for a seating furniture and seating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 |
| JPH07503391A (en) | Active dynamic seat device | |
| US20140203608A1 (en) |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 |
| US6595584B1 (en) | Seating for individuals and for groups of individuals with various degrees of accommodation and distraction | |
| KR101538342B1 (en) | The chair | |
| KR102467849B1 (en) | A tilting chair | |
| KR100886181B1 (en) | Chair for the disabled | |
| US745334A (en) | Chair. | |
| US633087A (en) | Chair. | |
| KR101480285B1 (en) | Moving chairs for disabled | |
| CN111315260A (en) | Seat module and tilt mechanism | |
| KR102177974B1 (en) | The tilting and sliding device equipped with a chair | |
| WO2000010429A1 (en) | Adjustable back furniture | |
| US20030080596A1 (en) | Resilient seating structure | |
| KR101062371B1 (en) | Sleeping chair | |
| KR101009488B1 (en) | Chairs with tiltable back | |
| KR102791112B1 (en) | Rocking sofa | |
| US7887127B1 (en) | Couple's chair | |
| KR200377422Y1 (en) | Head supporter for chair | |
| JP5422824B2 (en) | Chair | |
| KR102189736B1 (en) |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 |
| JPH0739439A (en) | Chair for 3 purposes | |
| JP3191441U (en) | Chai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