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322B1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8322B1 KR102468322B1 KR1020180008708A KR20180008708A KR102468322B1 KR 102468322 B1 KR102468322 B1 KR 102468322B1 KR 1020180008708 A KR1020180008708 A KR 1020180008708A KR 20180008708 A KR20180008708 A KR 20180008708A KR 102468322 B1 KR102468322 B1 KR 102468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ght emitting
- pattern
- light guide
- emitting di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2544 Cicatrix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41 scar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87 scar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개시된 조명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입사면에 배치된 광 가이드부; 상기 광 가이드부는, 하면에 복수개가 제1방향으로 배열되며 제2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1패턴을 포함하는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 및 상기 하면에 볼록한 곡면을 갖는 제2패턴을 포함하는 제1반사 영역과, 평탄부를 갖는 제2반사 영역을 포함하는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module disclosed in the embodiment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guide unit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on an incident surface. The light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including a first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piece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and having a long length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3D image reflector including a first reflection area including a second pattern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and a second reflection area including a flat portion.
Description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lighting module having light emitting diodes.
실시 예는 복수의 입체 이미지 반사부를 갖는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lighting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reflectors.
실시 예는 서로 다른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는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lighting modules providing different three-dimensional images.
실시 예는 조명 모듈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또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backlight unit having a lighting module,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 vehicle lamp.
통상적인 조명 응용은 차량용 조명(light)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및 간판용 백라이트를 포함한다. Typical lighting applications include backlights for displays and signage as well as automotive lights.
발광 다이오드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각종 표시 장치, 실내등 또는 실외등과 같은 각종 조명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Light emitting diodes, for example, light emitting diodes (LEDs) have advantages over existing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ights and incandescent light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semi-permanent lifespan, fast response speed, safe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Such light emitting diodes are applied to various lighting devices such as various display devices and indoor or outdoor lights.
최근에는 차량용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는 램프가 제안되고 있다. 백열등과 비교하면, 발광 다이오드는 소비 전력이 작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이 작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를 차량용 램프로 사용할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램프의 발광 면적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요구가 있다. Recently, a lamp employing a light emitting diode has been proposed as a light source for vehicles. Compared with incandescent lamps, light emitting diodes are advantageous in that power consumption is small. However, since the emission angl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is small,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 is used as a vehicle lamp, there is a demand for increasing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lamp using the 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는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수 있고 반 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있다.Since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small, it can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design of the lamp, and it is also economical due to its semi-permanent lifespan.
발명의 실시 예는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의 입체 이미지를 갖는 조명 모듈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ighting modules having three-dimensional images of different types or shapes.
발명의 실시 예는 서로 다른 패턴 형상에 의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입체효과를 줄 수 있는 광가이드부를 갖는 조명 모듈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ing module having a light guide unit capable of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having different shapes by different pattern shapes.
발명의 실시 예는 일면에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1입체이미지 반사부와,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2입체이미지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가이드부를 갖는 조명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ighting module having a light guide including a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providing a 3D image and a second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providing a 2D image on one surface.
발명의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을 제1입체이미지 반사부로 제1입체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2입체이미지 반사부로 제2입체이미지로 제공하는 광가이드부를 갖는 조명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ighting module having a light guide unit for providing a first stereoscopic image to a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and providing a second stereoscopic image to a second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using light emitted from a light emitting diode. .
발명의 실시 예는 제1입체이미지 반사부와 상기 제2입체이미지 반사부가 광가이드부의 제1면에 제공되어, 반대측 제2면을 통해 제1 및 제2입체 이미지를 제공하는 조명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lighting module in which the first stereo image reflector and the second stereo image reflector are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and provide first and second stereo images through the opposite second surface. can
발명의 실시 예는 선 광원과 소정 형상을 갖는 이미지 광원을 조사하는 조명 모듈 및 이를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ing module for irradiating a line light source and an image light sourc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발명의 실시 예는 조명 모듈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또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backlight unit having a lighting modu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 vehicle lamp.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입사면에 배치된 광 가이드부; 상기 광 가이드부는, 하면에 복수개가 제1방향으로 배열되며 제2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1패턴을 포함하는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 및 상기 하면에 볼록한 곡면을 갖는 제2패턴을 포함하는 제1반사 영역과, 평탄부를 갖는 제2반사 영역을 포함하는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A ligh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guide unit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on an incident surface. The light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including a first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piece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and having a long length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3D image reflector including a first reflection area including a second pattern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and a second reflection area including a flat portion.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의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second stereo image reflectors may be disposed within an area of the first stereo image reflector.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반사 영역에는 반구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패턴이 배열되며, 상기 평탄부에는 상기 제1,2패턴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re arranged in the first reflection area, and the flat portion may be an area without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패턴의 측 단면은 삼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2패턴의 측 단면 형상은 반구형 형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first pattern may have a triangular shape, and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second pattern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상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3차원 선 광원을 제공하며,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상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의 이미지와 다른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reflects the incident light to provide a 3D line light source, and the second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reflects the incident light to form the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A two-dimensional image different from the image may be provided.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광 가이드부의 적어도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아래에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r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unit, and a circuit board may be included under the light emitting diode.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입사면에 배치된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가이드부는,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제1입체 이미지를 조사하는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와, 상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제2입체 이미지를 조사하는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제1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복수의 볼록부가 배치된 제2패턴을 갖는 제1반사 영역과, 평탄한 평탄부를 갖는 제2반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반사 영역은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 내에서 광의 반사 정도에 따라 조명과 음역으로 출사될 수 있다.A ligh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guide part on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on an incident surface, wherein the light guide part includes: a first stereo image reflector configured to emit a first stereo image by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a second stereo image reflector that reflects the second stereo image and emits a second stereo image, wherein the first stereo image reflector includes a first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reflects the second stereo image. The portion includes a first reflection region having a second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are disposed, and a second reflection region having a flat flat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on regions being the second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Depending on the degree of reflection of light within, it can be emitted into illumination and sound.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3차원 이미지와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하여, 조명에서의 입체감과 공간감을 강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image and a 2D image may be provided to emphasiz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 sense of space in lighting.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동적 이미지와 정적 이미지를 제공하여, 조명에서의 다양한 형상의 복합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dynamic image and a static im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lex image of various shapes in lighting.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광가이드부의 일면에 제1입체이미지 반사부와 상기 제2입체이미지 반사부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제조 공정이 용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facilitated by forming the first stereo image reflector and the second stereo image reflector on one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 및 이를 갖는 조명 장치의 광학적인 신뢰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Optical reliability of a lighting module and a lighting device having the ligh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roved.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갖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Reliability of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ligh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roved.
실시 예는 조명 모듈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각 종 표시장치, 면 광원 조명 장치, 또는 차량용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Th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 backlight unit having a lighting module,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a surface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or a vehicle lamp.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조명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조명 모듈의 부분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명 모듈에서 광가이드부의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의 제2패턴의 예이다.
도 6은 도 3의 조명 모듈의 광가이드부의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의 제1패턴의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4의 조명 모듈에 의한 제1 및 제2입체 이미지의 예이다.
도 8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의 관찰자의 관찰 각도에 따른 이미지의 예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lighting module in FIG. 1 .
FIG. 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ing module in FIG. 2 .
FIG. 4 is a view for showing a second stereo image reflection part of the light guide part in the lighting module of FIG. 2 .
FIG. 5 is an example of a second pattern of the second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of FIG. 4 .
FIG. 6 is another example of a first pattern of a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of the light guide unit of the lighting module of FIG. 3 .
FIG. 7 is an example of first and second stereoscopic images by the lighting module of FIG. 4 .
8 is an example of an image according to an observer's observation angle of a ligh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In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aning of each term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램프장치, 이를테면 차량용 램프, 가정용 조명장치, 산업용 조명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경우, 헤드 램프, 차폭등, 사이드 미러등, 안개등, 테일등(Tail lamp), 제동등, 주간 주행등, 차량 실내 조명, 도어 스카프(door scar),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백업 램프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실내, 실외의 광고장치, 표시 장치, 및 각 종 전동차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조명관련 분야나 광고관련 분야 등에 적용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lamp devices requiring lighting, such as vehicle lamps, household lighting devices, and industrial lighting devices. For example, when applied to vehicle lamps, head lamps, side lights, side mirror lights, fog lights, tail lights, brake lights, daytime running lights, vehicle interior lights, door scars, rear combination lamps, backup lamps etc. can be applied.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indoor and outdoor advertising devices, display devices, and various electric vehicle fields, and can be applied to all lighting-related fields or advertising-related fields that are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or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 will say that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clearly reveale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formed "on" or "under" the substrate, each layer (film), region, pad or pattern. In the case of being described as, "on" and "under" include both "directly" or "indirectly" formed through another layer. In addition, the criterion for the top or bottom of each floo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조명 모듈><Light module>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조명 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조명 모듈의 부분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조명 모듈에서 광가이드부의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제1패턴의 다른 예이며, 도 6은 도 4의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의 제2패턴의 예이며, 도 7은 도 2의 조명 모듈에 의한 제1 및 제2입체 이미지의 예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lighting module in FIG. 1, FIG. 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ing module in FIG. 2, and FIG. 4 is the lighting module of FIG. 2 , FIG. 5 is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pattern of FIG. 3 , FIG. 6 is an example of the second pattern of the second stereo image reflector of FIG. 4 , and FIG. 7 is an example of first and second stereoscopic images by the lighting module of FIG. 2 .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는 조명 모듈(100) 및 상기 조명 모듈(100) 상에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0)는 내부가 개방된 개구부(55)를 가지며, 외측 둘레에 상기 조명 모듈(100)의 외측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50)의 개구부(55)는 조명 모듈(100)의 상면 중에서 이미지가 제공되는 내부 영역을 개방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커버(50)는 수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7 , the lighting device may include a
상기 조명 모듈(100)은 하나 또는 복수로 제공되어, 조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램프장치, 이를테면 차량용 램프, 가정용 조명장치, 산업용 조명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조명 모듈의 경우, 헤드 램프, 차폭등, 사이드 미러등, 안개등, 테일등(Tail lamp),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 후진등(back up lamp), 제동등(stop lamp),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right), 차량 실내 조명, 도어 스카프(door scarf),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에 적용 가능하다.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 모듈(400)은 광가이드부(30)과,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적어도 한 측면 또는 적어도 두 측면에 배치된 발광모듈(10A,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10A,20A)은 상기 광가이드부(30)의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서로 반대 방향의 양 측면에 배치되거나, 서로 인접한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발광 모듈(10A,20A)은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서로 반대측 방향에 각각 배치된 구성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광가이드부(30)는 적어도 한 측면으로 입사된 광을 출사측 방향으로 반사하게 된다. 상기 광가이드부(30)로부터 출사측 방향으로 출사된 광은 입체 이미지를 갖는 광으로 제공될 수 있다.1 and 2, the lighting module 400 includes a
<발광모듈><light emitting module>
상기 발광모듈(10A,20A)은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제1입사면(S2)에 배치된 제1발광 모듈(10A)과,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제2입사면(S3)에 배치된 제2발광 모듈(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입사면(S2,S3)은 서로 반대측 면일 수 있다. The
상기 제1발광 모듈(10A)은 제1회로 기판(10)과 상기 제1회로 기판(10) 상에 배치된 제1발광 다이오드(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 모듈(20A)은 제2회로 기판(20)과 상기 제2회로 기판(20) 상에 제2발광 다이오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1발광 모듈(10A)의 제1회로 기판(10)은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제1입사면(S2)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11)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제2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제1입사면(S2)과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2발광 모듈(20A)의 제2회로 기판(20)은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제2입사면(S3)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21)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제2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제2입사면(S3)과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회로기판(10,2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수지 계열의 인쇄회로기판(PCB),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비 연성 PCB, 세라믹 PCB, 또는 FR-4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20)은 회로 패턴을 갖는 층이 1개 또는 2개 이상일 수 있으며, 단면 PCB 또는 양면 PC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 및 제2발광 다이오드(11,21)는 사이드 뷰 타입의 패키지로 각 회로 기판(10,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11)는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제1입사면(S2)과 대면하는 광 출사면(S1)을 포함할 수 있다. 3 or 5 , the first
상기 회로기판(10,20)의 X 방향의 길이와 Y 방향의 길이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20)의 두께는 1mm 이하 예컨대, 0.3mm 내지 1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조명 모듈(100)의 두께는 상기 회로기판(10,20)의 하면에서 5.5mm 이하 예컨대, 4.5mm 내지 5.5mm의 범위 또는 4.5mm 내지 5mm의 범위일 수 있다. The lengths of the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는 상기 회로기판(10,20) 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10,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는 각 회로 기판(10,20) 상에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11)와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21)는 서로 대면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어, 광가이드부(30)의 전 영역으로 광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11) 간의 간격은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21) 간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발광 다이오드(11,21)를 회로기판(10,20) 상에 지그 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전 영역의 광도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Since the first
도 3과 같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는 광이 출사되는 광 출사면(S1)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광 출사면(S1)은 예컨대, 상기 회로기판(10,20)에 수평한 평면에 대해 Z축 방향으로 수직할 수 있다. 상기 광 출사면(S1)은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제1입사면(S2)와 대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의 두께는 예컨대, 2mm 이하 예컨대, 1mm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의 X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의 두께의 1.5배 이상일 수 있으며, Y축 방향의 너비는 X축 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11,21)의 지향각 분포를 보면, 수평한 직선(Y0)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의 광 지향각보다 ±X축 방향의 광 지향각이 넓을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의 ±X축 방향의 광 지향각은 110도 이상 예컨대, 120도 내지 160도 또는 140도 이상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의 ±Z축 방향의 광 지향각은 110도 이상 예컨대, 110도 내지 16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는 상기 회로기판(10,20) 상에서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는 발광 칩(15)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 칩(이하, 발광 칩이라 함)을 갖는 소자로서, 발광 칩이 패키징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5)은 청색, 적색, 녹색, 자외선(UV),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는 백색, 청색, 적색, 녹색,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는 상기 회로기판(10,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뷰 타입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는 발광 칩이 예컨대, COB(chip on board)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광가이드부(30)><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광가이드부(30)는 제1방향(Y)의 길이와 제2방향(X)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30)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에 패턴을 포함하여, 광 추출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30)의 하면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30)의 하면에는 서로 다른 이미지로 구현하는 패턴, 반사 패턴 또는 이미지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30)의 하면에는 3차원 이미지의 효과를 제공하는 패턴과 2차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length of the
광가이드부(30)는 투명한 재질의 플레이트 또는 필름 구조를 갖고 발광 모듈(10A,20A)로부터 공급되는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고 내부 반사를 통해 출사되도록 한다. 상기 광가이드부(30)의 재료는 레진이나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30)가 레진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레진층은 열가소성 고분자 또는 광경화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30)가 레진층의 경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광가이드부(30)의 두께는 약 0.1㎜ 이상, 약 10.0㎜ 이하이다. 광가이드부(30)의 두께가 약 0.1㎜보다 작으면,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할 때, 발광 다이오드(11,21)의 광 출사면의 높이를 약 100㎛보다 작게 제조 해야 하므로 제조가 어렵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광가이드부(30)의 두께가 약 10.0㎜보다 크면, 조명 장치의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하고 재료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광가이드부(30)의 두께는 약 100㎛ 이상, 약 250㎛ 이하일 수 있다. 그 경우, 광가이드부(30)는 롤(roll) 장치 등에 적절하게 감기는 정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광가이드부(30)의 두께는 약 250㎛ 이상, 약 10.0㎜ 이하일 수 있다. 그 경우, 광가이드부(30)는 롤(roll) 장치에 감기 어려우므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응용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30)는 제1입사면(S2)의 두께 또는 높이와, 반대측 제2입사면(S3)의 두께 또는 높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상기 광가이드부(30)의 하면인 제1면에는 서로 다른 입체 이미지 반사부(3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 이미지 반사부(32,35)는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2)와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Different three-dimensional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2)는 제1면에 배치된 제1패턴(P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P1)은 광가이드부(30)의 제1면의 일부를 제거한 형상으로서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가 배열되는 방향은 광이 출사되는 방향 또는 제1방향(Y)이거나,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1)이 배열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일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1패턴(P1)에서 볼록부는 광가이드부(30)의 제1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서 오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P1)의 볼록부와 오목부는 제2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패턴(P1)의 볼록부와 오목부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익 제1패턴(P1)의 볼록부는 측 단면 형상이 반구형, 또는 삼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P1)의 볼록부 각각의 탑뷰 형상은 다각형 예컨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패턴(P1)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한쌍은 단위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제2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선(Line) 형상 또는 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패턴(P1)이 배열되는 방향이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패턴(P1)의 연장방향일 수 있다. In the first pattern P1, the convex par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패턴(P1)은 인접한 볼록부 들간의 폭 대 높이(또는 깊이)를 소정 비율로 한정할 수 있다. 상기 폭은 제1패턴(P1)의 피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효과광의 입체감이 강조되도록 광가이드부(30)의 제1패턴(P1)을 설계하는 경우, 상기 폭은 높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는 입체 이미지의 광에서 상대적으로 긴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는 경우, 제1패턴(P1)의 폭은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폭은 10㎛ 내지 500㎛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폭은 제1방향(Y)에서 서로 인접한 제1패턴(P1)들 사이의 평균 간격일 수 있으며, 제1패턴(P1) 설계나 배열 구조 혹은 원하는 광 이미지 형상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제1패턴(P1)이 렌티귤러(lenticular) 모양을 가지는 경우, 선형광의 구현을 위해 제1패턴(P1)의 폭 대 높이의 비율은 약 1/2 이하이거나 그 경사면의 경사각이 약 60°이하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제1패턴(P1)의 폭 대 높이의 비율이 1보다 작도록 설계하면, 제1패턴(P1)의 폭 대 높이의 비율은 1 이상인 것에 비해 패턴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pattern P1 may limit the width to height (or depth)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at a predetermined ratio. The width may be the pitch of the first pattern P1. For example, when the first pattern P1 of the
여기서, 도 3과 같이, 볼록부를 갖는 제1패턴(P1)이 소정 간격을 갖고 배열되거나, 도 5와 같이, 볼록부를 갖는 제1패턴(P1)이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의 오목부는 볼록부 사이에 평탄한 상면을 갖는 구성이며, 도 5의 오목부는 볼록부 사이에 평탄한 상면 없이 경사진 면을 갖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1패턴(P1)은 도 3 또는 도 5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3 , first patterns P1 having convex portions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r as shown in FIG. 5 , first patterns P1 having convex portions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The concave portion of FIG. 3 may have a flat upper surface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nd the concave portion of FIG. 5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without a flat upper surface between the convex portions. The first pattern P1 may have the structure of FIG. 3 or FIG. 5 .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제1패턴(P1)의 볼록부는 제1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은 5도 내지 85도의 범위일 수 있어, 입사된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출사면 방향으로 광(L0)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진 면은 입사된 광을 굴절 및 반사시켜,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 방향으로 유도하여 제1패턴(P1)의 각 패턴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제1광경로 상에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갖는 선형광(line shaped beam)을 생성한다. 이러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갖는 선형광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선형광의 이미지는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2)에 의해 구현되는 제1입체 이미지 형상일 수 있다. 제1입체 이미지 형상은 3차원 입체 이미지를 갖는 선형 광일 수 있다. 상기 선형광은 상기 볼록부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선형광을 갖는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형광의 선폭은 상기 볼록부의 폭과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선형광 사이의 간격은 상기 오목부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5 ,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pattern P1 may have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in the range of 5 degrees to 85 degrees, so that incident light may be reflected or refracted to radiate light L0 toward the emission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refracts and reflects the incident light and guides i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reby crea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or depth on the first optical path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each pattern of the first pattern P1. Generates a line shaped beam with a sense. Linear light having such a three-dimensional effect or a sense of depth may appear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image of the linear light may have a first stereo image shape implemented by the firs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가이드부(30)는 하면에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2)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2)와 다른 패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4 , the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제2패턴(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패턴(P2)은 하면 방향으로 볼록한 렌즈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패턴(P2)은 곡면을 갖는 형상이거나, 반구형 형상 또는 반 타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패턴(P2)은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 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상기 광 가이드부(30)의 하면에 하나로 구현한 예로 설명하였으나,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서로 동일한 형상이거나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The second
도 4와 같이,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상기 제2패턴(P2)을 갖는 제1반사 영역(Ra,Rb)과, 상기 제2패턴(P2)이 없이 평탄부(P0)를 갖는 제2반사 영역(Rc,R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5) 내에서 제1반사 영역(Ra,Rb)은 광을 반사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stereoscopic
상기 복수의 제1반사 영역(Ra,Rb)는 서로 이격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5) 내에서 제2반사 영역(Rc,Rd)은 광을 반사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반사 영역(Rc,Rd)는 서로 이격되거나 서로 인접하거나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소정 형상을 갖는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조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제1반사 영역(Ra,Rb)과, 음영을 갖는 제2반사 영역(Rc,Rd)을 구분하여, 각 구분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영역(Ra,Rb)과 상기 제2반사 영역(Rc,Rd)는 미리 정해진 이미지 내에서 서로 혼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반사 영역(Ra,R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11)에 제2반사 영역(Rc,Rd)보다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반사 영역(Rc,Rd)은 상기 제1반사 영역(Ra,Rb) 중 어느 한 영역 보다 광이 입사되는 방향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이 반사되는 조명 영역과 음영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reflection regions Ra and R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reflection regions Rc and Rd in the first
상기 제1반사 영역(Ra,Rb)에는 복수의 제2패턴(P2)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 영역(Ra,Rb)과 상기 제2반사 영역(Rc,Rd)은 미리 정해진 이미지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제1반사 영역(Ra,Rb)과 상기 제2반사 영역(Rc,Rd)에 의한 2차원 입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P2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rst reflection regions Ra and Rb. The first reflective regions Ra and Rb and the second reflective regions Rc and Rd ar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image area, and the first reflective regions Ra and Rb and the second reflective regions Rc and Rd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wo-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상기 제1반사 영역(Ra,Rb)은 상기 제2패턴(P2)에 의해 입사된 광(L1)을 제2면 방향으로 반사하게 되며, 상기 제2반사 영역(Rc,Rd)은 상기 입사된 광을 제2면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굴절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제2패턴(P2)는 입사된 광을 전 반사하여 출사측 방향으로 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패턴(P2)의 임의의 지점과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11)를 연결한 직선은 수직한 광(L0)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60도의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패턴(P2)는 입사되는 광(L1)을 출사측 방향으로 전 반사하게 되며, 상기 전반사된 광(L2)은 미리 정해진 이미지의 조명 영역일 수 있다. The first reflection regions Ra and Rb reflect the light L1 incident by the second pattern P2 toward the second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on regions Rc and Rd reflect the incident light L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Light may be refrac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The second pattern P2 totally reflects the incident light and sends it to the emission side. In this case, a straight line connecting an arbitrary point of the second pattern P2 and the first
상기 제1반사 영역(Ra,Rb)과 상기 제2반사 영역(Rc,Rd)은 입사된 광의 굴절 또는 반사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입체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광가이드부(30) 상에서 볼 때, 상기 제2반사 영역(Rc,Rd)에 의해 반사된 광이 조사된 영역은 조명 영역이 되며, 상기 제2반사 영역(Rc,Rd)을 통해 출사된 영역에서는 음영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에 의해 반사된 광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2)의 영역 내에서 다른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Since the angles of refraction or reflection of incident light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reflection regions Ra and Rb and the second reflection regions Rc and Rd, a stereoscopic image may be provided.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패턴(P2)은 볼록한 곡면을 갖는 렌즈 형상으로 제공되며, 탑뷰 형상이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패턴(P2)의 폭(w)은 10㎛ 내지 500㎛의 범위일 수 있으며, 깊이(h)는 상기 폭(w)과 동일하거나 1/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렌즈 패턴은 2차원 곡률을 갖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econd pattern P2 is provided in a lens shape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and may have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in a top view. The width (w) of the second pattern (P2) may be in the range of 10 μm to 500 μm, and the depth (h)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1/2 of the width (w). The lens pattern may include a rotating body having a two-dimensional curvature.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가이드부(30)는 제1 및 제2발광모듈(10A,20A)의 제1 및 제2발광 다이오드(11,21)로부터 방출된 광이 입사되면,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32)는 상기 제1패턴(P1)에 의해 선 광원을 갖는 3차원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는 상기 제2패턴(P2)와 평탄부(P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이미지 형상을 갖는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도 8을 참조하면, HV는 광가이드부(30)를 정면에서 볼 때의 제1,2입체 이미지이며, R30은 오른쪽 30도 방향에서 볼 때 제1,2입체 이미지이며, L30은 왼쪽 30도 방향에서 볼 때 제1,2입체 이미지이며, U20은 위쪽 20도 방향에서 볼 때 제1,2입체 이미지이며, D20은 아래 쪽 20도 방향에서 볼 때 제1,2입체이미지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위치에서 볼 때, 제1입체 이미지의 선 형광 위치는 변화되며, 제2입체 이미지의 형상은 변화 없이 고정된 위치에서 보여질 수 있다. 즉, 제1입체 이미지는 동적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입체 이미지는 정적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입체 이미지는 3차원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입체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HV is the first and second stereoscopic images when the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체이미지 반사부의 제1패턴(P1)과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35)의 제2패턴(P2)의 설계를 통해 헤드라이트, 후방 라이트, 차량 실내 조명, 안개등, 도어스카프 등의 차량용 조명 장치에 적용하기 용이하며 새로운 광이미지의 구현이 용이하고 저렴한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 차량 램프에 비해 부피, 두께, 무게, 가격, 수명, 안정성, 설계 자유도, 설치 용이성 면에서 유리한 새로운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rough the design of the first pattern (P1) of the stereoscopic image reflec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P2) of the second stereoscopic image reflecting unit (35), headlights, rear lights, vehicle interior lighting, fog lights, It is easy to apply to a vehicle lighting device such as a door scarf,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that is easy to implement a new optical image and inexpensive.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w lighting device tha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volume, thickness, weight, price, lifespan, stability, design freedom, and ease of installation compared to existing vehicle lamps.
한편, 발명의 실시예의 조명 장치는 차량용 조명 장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름 형태의 유연한 조명 장치로서 건물, 설비, 가구 등의 조명 설치 대상의 내외측 곡면부나 굴곡부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 경우, 아우터 렌즈는 광가이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vehicle lighting device, and as a flexible lighting device in the form of a film, it can be easily applied to internal and external curved parts or bent parts of lighting installation objects such as buildings, facilities, and furniture. In that case, the outer lens may be disposed on the light guide unit.
또한 상기 광가이드부 상에는 이너 렌즈 또는/및 아우터 렌즈가 배치되어, 광의 지향 분포나 조사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 상에는 형광체층 또는/및 확산층과 같은 광학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황색 형광체를 갖는 수지층이며, 상기 확산층은 광을 확산하는 확산제를 갖는 수지층일 수 있다.In addition, an inner lens and/or an outer lens are disposed on the light guide unit, so that the direct distribution of light or the irradiation direction can be adjusted. An optical member such as a phosphor layer and/or a diffusion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light guide unit. The phosphor layer may be a resin layer having a red, green, blue or yellow phosphor, and the diffusion layer may be a resin layer having a diffusion agent for diffusing light.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and effects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vari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embodiments, these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xemplify the above to the extent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seen that various variations and applications that have not been mad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20: 회로 기판
10A,201: 발광 모듈
11,21: 발광 다이오드
30: 광 가이드부
32: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
35: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
P1: 제1패턴
P2: 제2패턴
P0: 평탄부10,20: circuit board
10A, 201: light emitting module
11,21: light emitting diode
30: light guide unit
32: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35: second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P1: first pattern
P2: second pattern
P0: flat part
Claims (7)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입사면에 배치된 광 가이드부;
상기 광 가이드부는,
하면에 복수개가 제1방향으로 배열되며 제2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1패턴을 포함하는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 및
상기 하면에 볼록한 곡면을 갖는 제2패턴을 포함하는 제1반사 영역과, 평탄부를 갖는 제2반사 영역을 포함하는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guide unit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on an incident surface;
The light guide part,
a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including a first pattern on a lower surface of which a plurality of patterns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have a long length in a second direction; and
A lighting module comprising: a first reflective region including a second pattern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and a second 3D image reflector including a second reflective region having a flat portion.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의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되는 조명 모듈.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second stereo image reflectors are disposed within an area of the first stereo image reflector.
상기 제1반사 영역에는 반구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패턴이 배열되며,
상기 평탄부에는 상기 제1,2패턴이 없는 영역인 조명 모듈.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re arranged in the first reflection area;
The lighting module is a reg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are not present in the flat portion.
상기 제1패턴의 측 단면은 삼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2패턴의 측 단면 형상은 반구형 형상인 조명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cross section of the first pattern has a triangular shape,
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 pattern is a hemispherical lighting module.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상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3차원 선 광원을 제공하며,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상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의 이미지와 다른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조명 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reflects the incident light to provide a 3D line light source;
The second stereo image reflector reflects the incident light to provide a two-dimensional image different from the image of the first stereo image reflector.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광 가이드부의 적어도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아래에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r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part,
A lighting module comprising a circuit board under th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입사면에 배치된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제1입체 이미지를 조사하는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와, 상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제2입체 이미지를 조사하는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제1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복수의 볼록부가 배치된 제2패턴을 갖는 제1반사 영역과, 평탄한 평탄부를 갖는 제2반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반사 영역은 상기 제2입체 이미지 반사부 내에서 광의 반사 정도에 따라 조명과 음역으로 출사되는 조명 모듈.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 light guide part disposed on an incident surface,
The light guide part,
a first stereo image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to emit a first stereo image; and a second stereo image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incident light to emit a second stereo image;
The first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includes a first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The second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includes a first reflection region having a second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are disposed, and a second reflection region having a flat flat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on areas emit light and sou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lection of light in the second stereoscopic image refl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08708A KR102468322B1 (en) | 2018-01-24 | 2018-01-24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08708A KR102468322B1 (en) | 2018-01-24 | 2018-01-24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90178A KR20190090178A (en) | 2019-08-01 |
| KR102468322B1 true KR102468322B1 (en) | 2022-11-17 |
Family
ID=6761581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08708A Active KR102468322B1 (en) | 2018-01-24 | 2018-01-24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68322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60881Y1 (en) | 2001-10-31 | 2002-01-17 | 이계선 | The traffic sign board utilizing led |
| KR101863646B1 (en) | 2017-02-06 | 2018-06-04 | 김광원 | lighting module |
| KR102271617B1 (en) | 2013-12-19 | 2021-07-02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Textured surfaces for display applications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75877B1 (en) * | 2008-06-19 | 2015-12-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 light guide plate and a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
| KR101317192B1 (en) * | 2011-12-28 | 2013-10-15 | 주식회사 포스코 | Planar illumination device |
| KR20130095092A (en) * | 2012-02-17 | 2013-08-27 | 희성전자 주식회사 |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unit |
| KR102080610B1 (en) * | 2012-11-14 | 2020-02-2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amp and vehicle lamp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
-
2018
- 2018-01-24 KR KR1020180008708A patent/KR1024683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60881Y1 (en) | 2001-10-31 | 2002-01-17 | 이계선 | The traffic sign board utilizing led |
| KR102271617B1 (en) | 2013-12-19 | 2021-07-02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Textured surfaces for display applications |
| KR101863646B1 (en) | 2017-02-06 | 2018-06-04 | 김광원 | lighting modu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90178A (en) | 2019-08-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5940261B (en) | Lighting devic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ame | |
| WO2012063759A1 (en) | Led lighting device | |
| US10317607B2 (en) | Optical member having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ortion and multiple effect forming portion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 |
| US9952376B2 (en) | Lighting device using line shaped beam | |
| KR20150076552A (en) | Optical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same | |
| US12203627B2 (en)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 |
| US10767837B2 (en) | Optical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 |
| KR20150092653A (en) | Optical device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 |
| US10197238B2 (en) | Lighting apparatus | |
| CN113646577B (en)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with same | |
| JP2013183078A (en) | Led apparatus with lens and multidirectional illumination apparatus | |
| US10746355B2 (en) | Lighting device | |
| JP2022528041A (en)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equipment equipped with it | |
| KR102468322B1 (en)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 |
| KR20180050017A (en) | Lighting device | |
| US12410901B2 (en) | Lighting device | |
| CN109906338B (en) | Lighting device | |
| KR20230143099A (en) |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