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543B1 -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0543B1 KR102460543B1 KR1020160097739A KR20160097739A KR102460543B1 KR 102460543 B1 KR102460543 B1 KR 102460543B1 KR 1020160097739 A KR1020160097739 A KR 1020160097739A KR 20160097739 A KR20160097739 A KR 20160097739A KR 102460543 B1 KR102460543 B1 KR 1024605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n
- electronic device
- electronic pen
- electronic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for 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전자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의 배치 위치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의 삽입 여부 검출을 위한 검출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주변의 자성체를 검출하기 위한 자력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을 서로 다른 공진 환경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서로 다른 송신 주파수 범위내에 공차(tolerance)를 갖는 전자 펜의 공진 주파수가 포함되는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값(threshold value)에 따라 전자 펜의 삽입 및 분리의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의 삽입 여부 검출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602: 디스플레이 모듈 603: EMR 센서 패드
604: 하우징 610: 검출 부재
620: 전자 펜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하우징의 제2면 사이에 배치되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센서 패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격리되도록 배치되어 전자 펜을 수용하기 위한 펜 장착 공간;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펜 장착 공간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코일체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검출 부재;
상기 펜 장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전자 펜에 구비된 상기 코일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차폐 부재; 및
상기 검출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2 차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펜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EMR 센서 패드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검출 부재는 주기적으로 상기 전자 펜을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는 스파이럴 방식 또는 솔레노이드 방식으로 다수번 권선된 루프 형태의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체와 중첩되는 영역은 비 도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는 상기 펜 장착 공간에 배치되는 코일체를 위한 공진 환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주파수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환경은 상기 코일체 주변에 배치되는 도전체 또는 자성체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주파수는 상기 펜 장착 공간내의 공진 환경에 따른 코일체의 대응 공진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도록 두 개의 서로 다른 대역을 갖는 송신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는 상기 펜 장착 공간내 또는 상기 펜 장착 공간과 이격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체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차폐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차폐 부재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조절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조절용 부재는 상기 펜 장착 공간내에 배치되는 코일체의 왜곡된 공진 환경을 보정하기 위한 주파수 조절용 연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차폐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도전체에 의한 간섭을 차폐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 외부에 배치되는 도전체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검출 부재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전자 펜의 삽입 인식을 위한 피드팩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EMR 센서 패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전자 펜의 입력용 피드백 신호를 함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에 의한 전자 펜의 스캐닝 주기는 상기 EMR 센서 패드에 의한 전자 펜의 스캐닝 주기보다 낮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펜 장착 공간에 삽입되는 전자 펜의 코일체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인출되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가요성 인쇄회로(FP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전자 펜의 내부에 구비된 코일체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자 펜 삽입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자 펜의 데이터 입력 중 전자 펜의 사용이 중지되었는지 검출하는 동작;
상기 전자 펜의 사용이 중지되었을 경우, 검출 부재를 구동시키는 동작;
상기 검출 부재에 의해 전자 펜의 삽입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전자 펜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입력을 검출하는 EMR 센서 패드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검출 부재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기 전자 펜을 스캐닝하는 동작;
상기 전자 펜이 취출되었는지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펜이 취출되었을 때, 상기 EMR 센서 패드를 다시 구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는,
펜 장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상기 코일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차폐 부재; 및
상기 검출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2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패드를 통하여 상기 전자 펜에 의해 데이터 입력을 검출할 경우, 상기 검출 부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는 상기 펜 장착 공간에 배치되는 코일체를 위한 공진 환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주파수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주파수는 상기 펜 장착 공간내의 공진 환경에 따른 코일체의 대응 공진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도록 두 개의 서로 다른 대역을 갖는 송신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전자 펜의 삽입 인식을 위한 피드팩 신호와, 상기 EMR 센서 패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전자 펜의 입력용 피드백 신호는 하나의 제어 회로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97739A KR102460543B1 (ko) | 2016-08-01 | 2016-08-01 |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
| PCT/KR2017/008304 WO2018026174A1 (en) | 2016-08-01 | 2017-08-01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recognizing insertion of the electronic pen therein |
| EP17837225.6A EP3472690B1 (en) | 2016-08-01 | 2017-08-01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recognizing insertion of the electronic pen therein |
| US15/665,650 US10198092B2 (en) | 2016-08-01 | 2017-08-01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recognizing insertion of the electronic pen there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97739A KR102460543B1 (ko) | 2016-08-01 | 2016-08-01 |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14461A KR20180014461A (ko) | 2018-02-09 |
| KR102460543B1 true KR102460543B1 (ko) | 2022-10-31 |
Family
ID=6101184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97739A Active KR102460543B1 (ko) | 2016-08-01 | 2016-08-01 |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US (1) | US10198092B2 (ko) |
| EP (1) | EP3472690B1 (ko) |
| KR (1) | KR102460543B1 (ko) |
| WO (1) | WO201802617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996713B2 (en) * | 2017-08-07 | 2021-05-04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WO2019226958A1 (en) | 2018-05-24 | 2019-11-28 |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Capacitive sensor |
| KR102518970B1 (ko) * | 2018-06-08 | 2023-04-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마이크로 폰의 제어 방법 |
| CN109032387B (zh) * | 2018-07-18 | 2021-07-06 | 华讯智控(厦门)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通过超声波跟电磁定位双传感器检测笔身姿态的方法 |
| KR102555213B1 (ko) * | 2018-08-06 | 2023-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 KR102498813B1 (ko) * | 2018-09-28 | 2023-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 KR102724467B1 (ko) * | 2019-07-26 | 2024-11-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펜의 상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디지타이저 패널 제어 방법 |
| KR102739763B1 (ko) * | 2019-07-30 | 2024-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102734609B1 (ko) * | 2019-08-06 | 2024-1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 및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WO2021117250A1 (ja) | 2019-12-13 | 2021-06-17 | 株式会社ワコム | 電子ペンに含まれた共振回路の共振周波数を調整する方法、電子ペン、及び電子ペンを生産する方法 |
| CN211956414U (zh) * | 2020-04-09 | 2020-11-17 |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 触控反馈装置及电子设备 |
| KR20220033656A (ko) | 2020-09-09 | 2022-03-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 CN115079842B (zh) * | 2021-03-15 | 2025-03-14 | 北京科加触控技术有限公司 | 一种笔头及电子笔 |
| CN116929188A (zh) | 2022-04-06 | 2023-10-24 | 荣耀终端有限公司 | 配件在位检测系统 |
| CN114690250B (zh) * | 2022-06-01 | 2022-08-12 | 广州市保伦电子有限公司 | 一种基于纯磁感应式的提放笔的检测方法 |
| WO2024034834A1 (ko) * | 2022-08-12 | 2024-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펜이 배치되는 전자 장치 |
| US12026325B2 (en) * | 2022-08-17 | 2024-07-02 | Apple Inc. | Handheld input devices with sleeves |
Family Cites Familie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86577A (ja) | 2001-12-14 | 2003-07-04 | Exit Inc | 携帯情報端末 |
| KR20040034197A (ko) | 2002-10-21 | 2004-04-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컴퓨터의 스타일러스 착탈장치 |
| KR20110006926A (ko) * | 2009-07-15 | 2011-0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JP2013025665A (ja) | 2011-07-25 | 2013-02-04 | Denso Wave Inc | 携帯端末 |
| KR101975596B1 (ko) * | 2012-08-29 | 2019-05-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입력 감지 신호 왜곡 보상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 장치 |
| KR101987461B1 (ko) | 2012-11-21 | 2019-06-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US9823758B2 (en) | 2013-04-10 | 2017-11-21 | Nvidia Corporation | Automatic performance of touch screen related functionality in response to detected stylus position |
| FR3021134B1 (fr) * | 2014-05-14 | 2023-01-06 | Lg Electronics Inc | Terminal mobile |
| KR20160046668A (ko) * | 2014-10-21 | 2016-04-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장치 |
-
2016
- 2016-08-01 KR KR1020160097739A patent/KR102460543B1/ko active Active
-
2017
- 2017-08-01 EP EP17837225.6A patent/EP3472690B1/en active Active
- 2017-08-01 WO PCT/KR2017/008304 patent/WO2018026174A1/en not_active Ceased
- 2017-08-01 US US15/665,650 patent/US1019809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14461A (ko) | 2018-02-09 |
| EP3472690A1 (en) | 2019-04-24 |
| US20180032163A1 (en) | 2018-02-01 |
| EP3472690A4 (en) | 2019-07-31 |
| US10198092B2 (en) | 2019-02-05 |
| WO2018026174A1 (en) | 2018-02-08 |
| EP3472690B1 (en) | 2022-09-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460543B1 (ko) |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 |
| KR102495239B1 (ko) |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 |
| CN108736586B (zh) | 包括多个线圈的电子设备 | |
| KR102552098B1 (ko)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 KR102572543B1 (ko) |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 KR102588423B1 (ko) |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통한 부품 실장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 |
| KR102410549B1 (ko) | 베젤리스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 | |
| KR102481691B1 (ko) |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 KR102396339B1 (ko) |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 KR102399821B1 (ko) | 커넥터 및 서로 다른 전위의 그라운드들을 포함하는 pcb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 KR102408870B1 (ko) |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 KR102411371B1 (ko) | 기판 고정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전자 장치 | |
| KR102359786B1 (ko) | 안테나 및 안테나가 구비된 전자 장치 | |
| KR102441750B1 (ko) |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 EP3504867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 |
| KR102469281B1 (ko) |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 CN108292797B (zh) | 天线设备和包括其的电子设备 | |
| KR102242262B1 (ko) | 커플링을 이용하는 안테나 및 전자 장치 | |
| KR102330999B1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 KR102496410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소리 출력 방법 | |
| KR102507744B1 (ko) |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 KR102350491B1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 KR102533473B1 (ko) | 복수의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전자 장치 | |
| KR102320172B1 (ko) | 커넥터의 도전성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 KR102394140B1 (ko) | 루프 안테나를 갖는 전자 장치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8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