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288B1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Google Patents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1288B1 KR102461288B1 KR1020200107254A KR20200107254A KR102461288B1 KR 102461288 B1 KR102461288 B1 KR 102461288B1 KR 1020200107254 A KR1020200107254 A KR 1020200107254A KR 20200107254 A KR20200107254 A KR 20200107254A KR 102461288 B1 KR102461288 B1 KR 1024612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block
- fuse box
- block panel
- fu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모듈에 설치되는 부품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 패널의 일측에는 고전압 퓨즈가 장착되는 퓨즈 박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 패널의 타측에는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 장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nd to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reduced assembly man-hours by integrally forming parts installed in a battery module.
Looking at its structure, it includes a block panel detachably coupled to a case of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wherein a fuse box in which a high voltage fuse is mounted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 panel, and a power sourc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lock panel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connector for transmitting the signal can be coup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설치되는 커넥터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퓨즈 박스를 일체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block installed in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type of connector block capable of integrally providing a fuse box.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전원공급장치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is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mobile devices, electric vehicles, electric bicycles, power supplies, and the like.
일례로, 순수 전기차,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의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는 단일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묶은 배터리 팩의 형태로 제공된다.For example, secondary batteries used in electric vehicles such as pure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ttery pack in which single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bundled into one unit.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팩과,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부와, 전원 및 신호 전달을 위한 커넥터와, 과전류(또는/및 과전압)로부터 배터리 팩을 보호하기 위한 고전압 퓨즈를 포함한다.The battery module of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a case, a battery pack accommodated in the case, a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 connector for power and signal transmission, and a battery pack from overcurrent (or/and overvoltage) Includes high voltage fuse for protection.
그런데, 종래에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 제작 시 커넥터, 고전압 퓨즈 등의 부품을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하여 조립하였는바, 부품을 개별적으로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when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of an electric vehicle, parts such as a connector and a high voltage fuse are provided as separate components and assembled, so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assemble the parts individuall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work is increased.
또한, 부품의 조립 시 누수 방지를 위한 방수구조를 추가해야만 하므로 설계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고전압 퓨즈를 도전성 재질의 케이스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절연을 위한 구성을 추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parts, it was difficult to design because a waterproof structure to prevent leakage had to be added. In particular, in order to install the high-voltage fuse in a cas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t is inconvenient to add a configuration for insul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에 설치되는 부품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reduce assembling man-hours by integrally forming parts installed in a battery modul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조립 시 요구되는 절연 구조를 생략할 수 있으며, 방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capable of omitting an insulating structure required when assembling components and simplifying a waterproof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 패널의 일측에는 고전압 퓨즈가 장착되는 퓨즈 박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 패널의 타측에는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 장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lock panel detachably coupled to a case of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one side of the block panel includes a fuse box in which a high voltage fuse is mounted. It is formed integrally, and a connector mounting par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lock panel so that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power and a signal can be coupl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 패널의 일측에는 고전압 퓨즈가 장착되는 퓨즈 박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 패널의 타측에는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panel detachably coupled to a case of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wherein a fuse box in which a high voltage fuse is mounted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 panel,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block panel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power and signals.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를 설치하기 위한 퓨즈 박스를 블록 패널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use box for installing the high-voltage fus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 panel, thereby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and reducing the number of assembling man-hours.
또한, 본 발명은 퓨즈 박스 등의 부품 조립 시 요구되는 절연 구조를 생략하거나 방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설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an insulating structure required when assembling components such as a fuse box or simplify a waterproof structure, design is easy and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easily perform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of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of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lso,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usage state diagram of the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블록(1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Let's take a look a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이하, '커넥터 블록'이라 함)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에 구비되는 부품으로서, 배터리 팩을 과전류(또는/및 과전압)로부터 보호하는 고전압 퓨즈를 포함하는 퓨즈 박스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onent provided in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includes a high voltage fuse that protects the battery pack from overcurrent (or/and overvolt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se box is integrally form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블록(100)은 배터리 모듈(미도시)의 케이스(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패널(11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블록 패널(110)은 커넥터 블록(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이다.The
블록 패널(110)은 금속 재질의 케이스(미도시)로부터 절연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The
케이스(미도시)에 접촉되는 블록 패널(110)의 전면에는 안착홈(112)이 형성되고, 안착홈(112)에는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씰(114)이 삽입된다. 이때, 안착홈(112)은 블록 패널(110)의 전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사각의 링 형상이며, 밀봉씰(114)은 안착홈(112)에 삽입 가능한 사각의 링 형상을 갖는다.A
블록 패널(110)에는 케이스(미도시)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보스(116) 및 인서트 너트(118)가 마련된다. 체결보스(116)와 인서트 너트(118)는 안착홈(112)의 내측에 위치되며 블록 패널(11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다.The
블록 패널(110)의 일측(도면상 우측)에는 고전압 퓨즈(F)의 설치를 위한 퓨즈 박스(120,130)가 구비된다. 퓨즈 박스(120,130)는, 블록 패널(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120)과,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커버(130)로 구성된다.
하우징(120)은 고전압 퓨즈(F)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박스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20)의 전면은 고전압 퓨즈(F)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후면은 밀폐되고 밀폐된 후면에는 한 쌍의 버스바(미도시)가 구비된다.Th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은 블록 패널(1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박스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20)의 둘레에는 커버(13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보스(124) 및 인서트 너트(126)가 마련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한편, 고전압 퓨즈(F)는 과전류(또는/및 과전압)로부터 배터리 팩(미도시)을 보호하기 위한 퓨즈(130)로서, 퓨즈 박스(120,130)의 하우징(120)에 수납되고 한 쌍의 버스바(122)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한 쌍의 버스바(미도시) 중 하나는 커넥터(M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배터리팩(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high voltage fuse F is a
커버(130)는 블록 패널(110)의 전방으로 돌출된 하우징(120)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박스 형상, 즉 전면이 밀폐되고 후면이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커버(130)는 하우징(120)의 개방된 전면을 덮도록 결합되되, 하우징(120)과의 커버(130) 사이에는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씰(132)이 게재된다The
블록 패널(110)의 타측(도면상 좌측)에는 커넥터 장착부(140)가 형성되고, 커넥터 장착부(140)에는 전원 및 신호 전달을 위한 커넥터(MC), 즉 메일 커넥터(MC)가 설치된다.A
커넥터 장착부(140)는 소정 깊이를 가진 사각의 홈 형상이다. 커넥터 장착부(140)에는 메일 커넥터(MC)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보스(미도시) 및 인서트 너트(144)가 마련된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블록(100)의 블록 패널(110)에는 퓨즈 박스(120,130)의 하우징(120)과 커넥터 장착부(140)가 일체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 the
퓨즈 박스(120,130)의 하우징(120)에는 과전류(또는/및 과전압)로부터 배터리 팩(미도시)을 보호하는 고전압 퓨즈(F)가 설치된다. 또한, 커넥터 장착부(140)에는 배터리 팩(미도시)에 전원과 신호를 전달하거나 배터리 팩(미도시)의 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MC,FC)가 결합된다.A high voltage fuse F for protecting a battery pack (not shown) from overcurrent (or/and overvoltage) is installed in the
즉, 커넥터 장착부(140)에는 메일 커넥터(MC)가 결합되고, 메일 커넥터(MC)에는 피메일 커넥터(FC)가 체결되어, 배터리 팩(미도시)에 전원과 신호를 전달하거나 배터리 팩(미도시)의 전원을 전달한다.That is, the male connector MC is coupled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블록(100)은, 퓨즈 박스(120,130)의 하우징(120)이 블록 패널(110)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더불어, 퓨즈 박스(120,130) 등의 부품 조립 시 요구되는 절연 구조를 생략하거나 방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설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블록(200)을 도시한다.4 to 5 show a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블록(200)은 고전압 퓨즈를 포함하는 퓨즈 박스 및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블록(200)은 배터리 모듈(미도시)의 케이스(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패널(210)을 포함하고, 블록 패널(210)의 일측(도면상 우측)에는 고전압 퓨즈(F)의 설치를 위한 퓨즈 박스(220,230)가, 타측(도면상 좌측)에는 피메일 커넥터(FC)의 체결을 위한 메일 커넥터(240)가 마련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블록 패널(21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사출 성형이 가능하며 비전도성 재질인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블록 패널(210)의 전면에는 안착홈(212)이 형성되고, 안착홈(212)에는 밀봉씰(214)이 삽입된다. 또한, 블록 패널(210)에는 케이스(미도시)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보스(216) 및 인서트 너트(218)가 마련된다.The
퓨즈 박스(220,230)는, 블록 패널(2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220)과, 하우징(220)에 결합되는 커버(230)로 구성된다.The
하우징(120)은 중공의 박스 형상이고, 전면은 개방되며 후면은 밀폐되되 밀폐된 후면에는 한 쌍의 버스바(222)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220)의 둘레에는 커버(23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보스(224) 및 인서트 너트(226)가 마련된다.The
커버(230)는 하우징(220)을 감쌀 수 있도록 전면이 밀폐되고 후면이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이다. 이때, 하우징(220)과의 커버(230) 사이에는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씰(232)이 게재된다The
메일 커넥터(240)는 블록 패널(2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커넥터 바디(242)와, 커넥터 바디(242)의 내부에 구비된 터미널(미도시) 및 쉴드쉘(미도시)로 구성된다.The
커넥터 바디(242)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밀폐된 박스 형상이다. 이러한 커넥터 바디(242)는 블록 패널(210) 및 하우징(220)과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The
커넥터 바디(242)의 일측에는 피메일 커넥터(FC)의 체결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24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피메일 커넥터(FC)와의 체결 및 잠금을 위한 잠금수단(246)이 형성된다.A guide means 244 for guiding the fastening of the female connector FC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블록(200)의 블록 패널(210)에는 퓨즈 박스(220,230)의 하우징(220)과 메일 커넥터(240)가 일체로 형성된다.6 , the
하우징(230)에는 고전압 퓨즈(F)가 설치되어 과전류(또는/및 과전압)로부터 배터리 팩(미도시)을 보호한다. 또한, 메일 커넥터(240)에는 피메일 커넥터(FC)가 체결되어 배터리 팩(미도시)에 전원과 신호를 전달하거나 배터리 팩(미도시)의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A high voltage fuse F is install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블록(200)은, 퓨즈 박스(220,230)의 하우징(220)과 메일 커넥터(240)이 블록 패널(210)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일 실시예보다 조립 공수를 더 줄일 수 있으며, 부품 조립 시 요구되는 절연 구조를 생략하거나 방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I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커넥터 블록 110: 블록 패널
120: 하우징 130: 커버
140: 커넥터 장착부100: connector block 110: block panel
120: housing 130: cover
140: connector mounting portion
Claims (7)
상기 커넥터 블록은,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패널과, 상기 블록 패널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장착용 퓨즈 박스와, 상기 블록 패널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원 및 신호 전달용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퓨즈 박스는, 상기 블록 패널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양단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버스바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밀봉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블록 패널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터미널 및 쉴드쉘과, 상기 커넥터 바디에 형성되는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 수단과, 상기 커넥터 바디에 형성되는 상대 커낵터와의 체결 및 잠금을 위한 잠금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A connector block provided in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The connector block includes a block panel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of the battery module, a high voltage fuse mounting fuse box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 panel, and power and signal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lock panel. a connector for transfer;
The fuse box includes a box-shaped hous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 panel and having an open surface, a pair of bus bar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inner ends of the housing, a cover covering th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housing; and a sealing seal provided between the cover,
The connector includes a box-shaped connector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 panel and having an open surface, a terminal and a shield shell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body, and a guide for fastening a mating connector formed on the connector body.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comprising: means; and locking means for fastening and locking the mating connector formed on the connector body.
상기 블록 패널의 일면에는 둘레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밀봉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groove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one surface of the block panel, and a sealing seal is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상기 블록 패널은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lock panel is a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07254A KR102461288B1 (en) | 2020-08-25 | 2020-08-25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07254A KR102461288B1 (en) | 2020-08-25 | 2020-08-25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26348A KR20220026348A (en) | 2022-03-04 |
| KR102461288B1 true KR102461288B1 (en) | 2022-11-01 |
Family
ID=8081416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07254A Active KR102461288B1 (en) | 2020-08-25 | 2020-08-25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6128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103269A (en) * | 2023-12-28 | 2025-07-07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Enclosur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50122696A1 (en) * | 2003-12-03 | 2005-06-09 | Adam Weisz | Sealed electronic input/output modul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10887B1 (en) | 2016-08-01 | 2021-02-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 KR102634405B1 (en) * | 2018-12-10 | 2024-0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Junction connector assembly integrated with fuse |
-
2020
- 2020-08-25 KR KR1020200107254A patent/KR1024612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50122696A1 (en) * | 2003-12-03 | 2005-06-09 | Adam Weisz | Sealed electronic input/output modu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26348A (en) | 2022-03-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224666B2 (en) | Packing and shield connector | |
| KR102033003B1 (en) | Frame assembly | |
| EP2423028B1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 |
| JP6434938B2 (en) | connector | |
| KR101938932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 US7828591B2 (en) | Connector for a device | |
| JP5524105B2 (en) | Battery for power tools | |
| JP6434939B2 (en) | connector | |
| KR102209824B1 (en) | Battery module | |
| US20120064771A1 (en) | Fuse assembly | |
| US10205271B1 (en) | Connector | |
| KR20190118017A (en) | Battery Pack Having Pack Housing | |
| CN105359348B (en) | Connector | |
| US11489272B2 (en) | Connector apparatus for a battery | |
| WO2019026660A1 (en) | Charging inlet | |
| EP4094974A1 (en) |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 |
| KR102461288B1 (en)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
| JP2021034129A (en) | Electric connector | |
| KR102614276B1 (en)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
| KR101720617B1 (en) | Battery pack having interlock pin | |
| KR102750824B1 (en) | Battery pack | |
| KR20200055334A (en) | Terminal cove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 |
| JP7740844B2 (en) | Electrical High Current Connector | |
| KR101872838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 KR102086128B1 (en) |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