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638B1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5638B1 KR102475638B1 KR1020207029209A KR20207029209A KR102475638B1 KR 102475638 B1 KR102475638 B1 KR 102475638B1 KR 1020207029209 A KR1020207029209 A KR 1020207029209A KR 20207029209 A KR20207029209 A KR 20207029209A KR 102475638 B1 KR102475638 B1 KR 1024756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sorbent article
- region
- backsheet
- adhesive
- superabsorbent polym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7519 Bivalv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39 cl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3 superabsorbent polymers (SA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2013/5147—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the outer layer being adhesive itsel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quantity or ratio of superabsorbent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키면서,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함으로써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및 폭방향(W)과,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0)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적어도 펄프(31)와 고흡수성 폴리머(32)를 갖는 흡수체(30)와,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50)를 갖는다. 흡수체의 외연은, 흡수성 물품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흡수체의 외연과 흡수성 물품의 외연 사이의 외측 영역(RO)에는, 고흡수성 폴리머와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P1)가 마련되어 있다.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suppressing leakage of bodily fluid by continuously wearing it in an appropria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while reducing dampness and improving wearing comfort is provided. The absorbent article 1 includes a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 width direction (W) orthogonal to each other, a liquid-permeable topsheet 10, an air permeable and liquid-impermeable backsheet 20, and at least pulp 31. and a superabsorbent polymer 32, and an adhesive portion 50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sheet.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r is locat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outer region RO between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r and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n overlapping portion P1 is provided in which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adhesive portion overlap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팬티라이너, 경실금 패드 등, 속옷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such as panty liners and light incontinence pads that are attached to underwear and used.
종래부터, 속옷에 장착하여, 대하, 땀, 뇨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이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를 갖는다. 특허문헌 1의 이면 시트는, 비통기성 또는 통기성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단락 0019).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n absorbent article that is attached to underwear and absorbs bodily fluids such as clams, sweat, and urine has been used. The absorbent article of
특허문헌 1에는, 통기성의 필름에 의해 이면 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습기참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점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통기성의 이면 시트를 통해 습기가 점착부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부에 습기가 도달하면, 점착부의 점착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의도치 않게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대하여 틀어져,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할 수 없어, 체액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키면서,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함으로써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suppressing leakage of body fluid by continuously wearing the absorbent article at an appropria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while reducing dampness and improving wearing comfort.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방향과,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외연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흡수체의 외연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 사이의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와 상기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가 마련되어 있다.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 liquid-permeable topsheet, an air permeable and liquid-impervious backsheet, and dispos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wherein at least pulp and solid material are present.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body having an absorbent polymer and an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a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sheet, wherein an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is locat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and the absorbent article An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adhesive portion overlap each other in a thickness direction is provided in an outer region between outer edges of the outer portion.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A-A 단면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B-B 단면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en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shown in FIG. 1 seen from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AA s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shown in Fig. 1;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BB s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shown in Fig. 1;
(1) 실시형태의 개요 (1) Outline of Embodiment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become clear.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방향과,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외연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흡수체의 외연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 사이의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와 상기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가 마련되어 있다.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 liquid-permeable topsheet, an air permeable and liquid-impervious backsheet, and dispos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wherein at least pulp and solid material are present.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body having an absorbent polymer and an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a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sheet, wherein an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is locat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and the absorbent article An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adhesive portion overlap each other in a thickness direction is provided in an outer region between outer edges of the outer portion.
본 양태에 의하면, 고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체가 배치된 영역과, 외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체를 넘어 뇨가 배출된 경우에도, 외측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뇨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가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뇨나 땀의 흡수시에 이면 시트를 통해 습기를 흡수성 물품 밖으로 배출하기 쉽다. 따라서,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측 영역에는, 고흡수성 폴리머와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된 중첩부가 마련되어 있다. 중첩부에 체액이 도달하면,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체액을 유지하여, 상기 체액이 이면 시트에 도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중첩부에서의 점착부는, 이면 시트측으로부터의 습기가 도달하기 어려워,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할 수 있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disposed in the region where the absorber is disposed and in the outer region. Therefore, even when urine is discharged beyond the absorber, urine and the like can be retain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 the outer region. In addition, since the backsheet has air permeability, it is easy to discharge moisture out of the absorbent article through the backsheet when absorbing urine or swea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isture content and improve the wearing feeling. An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adhesive portion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outer region. When bodily fluid reaches the overlapping portion, it is difficult for the bodily fluid to reach the backsheet because the superabsorbent polymer holds the bodily fluid.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moisture from the backsheet side to reach the adhesive portion in the overlapping portion, and the adhesive force can be maintained. It can be continuously worn at an appropria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and leakage of bodily fluid can be suppress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및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배치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a non-displacement portion in which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adhesive portion are not disposed may be provided in the outer region.
본 양태에 의하면, 비배치부는, 고흡수성 폴리머 및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된 부분 및 점착부가 배치된 부분과 비교하여 높은 통기성을 갖는다. 상기 비배치부에 의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습기참을 보다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adhesive portion are not disposed in the non-displacement portion, it has high air permeability compared to the portion where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disposed and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portion is disposed. Air permeability can be ensured by the said non-disposition part. Moisture content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wearing feeling can be improved.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상기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폴리머 배치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I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polymer placement portion in which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disposed and the adhesive portion is not disposed may be provided in the outer region.
본 양태에 의하면, 폴리머 배치부는, 점착부를 갖지 않으며, 속옷에 대하여 이동하기 쉬운 부분이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변형(팽윤)되기 쉽다. 상기 폴리머 배치부에 배치된 고흡수성 폴리머는, 중첩부에 배치된 고흡수성 폴리머와 비교하여 팽윤하기 쉬워 체액의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polymer placement portion does not have an adhesive portion and is a portion that easily moves relative to the underwear,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easily deformed (swelled). The superabsorbent polymer disposed in the polymer placement portion is more likely to swell than the superabsorbent polymer disposed in the overlapping portion, so that body fluid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secur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는,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점착 배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점착 배치부와 상기 폴리머 배치부는, 평면시(平面視)에서 인접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outer region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disposed and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not disposed, and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polymer portion are provided in a planar view. may be adjacent.
본 양태에 의하면, 폴리머 배치부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상기 폴리머 배치부에 도달한 체액뿐만 아니라, 주변의 습기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 배치부에 인접한 점착 배치부의 습기를 저감할 수 있다. 점착 배치부에서는, 습기를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를 투과시킬 수 있어, 점착부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not only bodily fluid reaching the polymer placement part but also surrounding moisture can be absorb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of the polymer placement p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moisture in the adhesive placement portion adjacent to the polymer placement portion. In the adhesively placed portion, air can be transmitted without moisture passing through, so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portion can be maintain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은, 상기 흡수체측의 제1 영역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측의 제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outer region has a first region on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a second region on the outer edg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density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 the first reg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gion. It may be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of the region.
본 양태에 의하면, 제1 영역은,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아, 흡수체가 다 유지할 수 없는 체액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배설부로부터 떨어진 땀을 흘리기 쉬운 영역에 접촉한다. 제2 영역에 의해 배설물보다 수분 배출량이 적은 땀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창했을 때의 요철에 의한 피부에 대한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first region has a high density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can retain body fluid that the absorber cannot retain. The second region is in contact with a region prone to sweat away from the excretory unit. The second area can reliably absorb sweat, which is less water than excretion. In addition, since the density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 the second region is low, it is possible to reduce discomfort to the skin due to unevenness when the superabsorbent polymer expands.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측 영역을 각지며,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는, 상기 표면측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absorber has a central reg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absor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urface-side region locat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high The density of the water absorbent polymer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 the surface side region.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친수도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친수도보다 높아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hydrophilicity on the side of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absorber may be higher than the hydrophilicity on the side of the non-skin-facing surface of the absorber.
본 양태에 의하면,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친수도가 높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배설된 체액을 신속하게 인입하고, 흡수체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체액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친수도가 낮기 때문에, 흡수체 내의 체액이 이면 시트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점착부에 체액의 수분이 도달하기 어려워지고, 수분의 도달에 의한 점착력의 저하를 억제하여, 흡수성 물품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absorber has high hydrophilicity on the skin-facing surface, body fluids excreted on the topsheet can be quickly drawn in, and the body fluids can be retain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 the absorber. Further, since the absorber has a low hydrophilicity on the non-skin facing side, it is difficult for body fluids in the absorber to reach the backsheet. Accordingly, it is difficult for moisture in the body fluid to reach the adhesive portion, suppressing a decrease in adhesive force due to the arrival of moisture, and suppressing twisting of the absorbent article.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영역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아, 체액의 흡수시에 중앙 영역이 팽창하기 쉽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영역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낮아, 체액의 흡수시에 표면측 영역이 팽윤하기 어렵다. 표면측 영역에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팽윤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나 이면 시트에 흡수체의 요철이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표면 시트나 이면 시트로 요철이 전달되는 것에 의한 장착시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density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 the central region is high, so that the central region easily swells when body fluid is absorbed. Therefore, the capacity for absorbing body fluids can be secured. In addition, since the density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 the surface-side region is low, the surface-side region is less likely to swell when bodily fluid is absorbed. Since unevenness due to swelling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difficult to form in the surface-side region, it is difficult for the unevenness of the absorbent body to be transmitted to the topsheet or backsheet located outside the absor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discomfort at the time of wearing due to transmission of the unevenness to the top sheet or the back sheet.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는,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을 따라 배치되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a crimping portion for compressing at least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outer region, and the crimping portion may b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본 양태에 의하면, 압착부에 체액이 도달하더라도, 밀도가 높은 압착부 내에서 체액이 확산되어, 압착부보다 외측에 체액이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According to this aspect, even if bodily fluid reaches the crimping part, the bodily fluid diffuses in the crimping part having a high density, and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bodily fluid to reach the outside of the crimping part.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압착부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이면 시트 및 상기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in the compression portion, the topsheet, the backsheet, and the adhesive portion may be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본 양태에 의하면, 이면 시트, 표면 시트 및 점착부가 함께 압축됨으로써, 이면 시트와 점착부가 모두 압착부에 의한 오목부에 들어가기 때문에, 가령 습기가 점착부에 도달하여 점착성이 저하되더라도 점착부와 이면 시트가 박리되기 어렵다. 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backsheet, the topsheet, and the adhesive portion are compressed together, both the backsheet and the adhesive portion enter the concave portion by the crimping portion, so even if moisture reaches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adhesiveness is lowered,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backsheet is difficult to peel off.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는 상기 표면 시트의 신장 강도보다 낮아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may be low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opsheet.
본 양태에 의하면, 압착부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가 신장되기 어려워, 이면 시트가 얇아지기 어렵다. 따라서, 압착부를 통해 습기가 투과하기 어려워, 습기의 도달에 의한 점착부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가 낮기 때문에, 이면 시트측에서의 압착부에 의한 요철의 높이가 표면 시트측에서의 압착부에 의한 요철의 높이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속옷과 이면 시트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forming the crimping portion, the backsheet is unlikely to stretch and the backsheet is unlikely to become thin.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moisture to permeate through the crimping portion, and the decrease in strength of the adhesive portion due to the arrival of moisture can be suppressed. Further, sinc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s low, the height of the unevenness by the crimping part on the backsheet side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nevenness by the crimping part on the topsheet side.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undergarment and the backsheet can be made small, and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stably fixed to the undergarment.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에 대한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비율은 0.7 이상 1.3 이하이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0.7 or more and 1.3 or less.
본 양태에 의하면,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와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편차가 적어, 압착부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속옷과 이면 시트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ongation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longation str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cksheet is small, and the backsheet is less likely to sink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forming the crimping portion.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undergarment and the backsheet can be made small, and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stably fixed to the undergarment.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신장 강도는, 모두 2.0 N/25 mm 이상이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both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2.0 N/25 mm or more.
본 양태에 의하면,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 및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신장 강도가 속옷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박리할 때에 이면 시트에 가해지는 힘보다 강하여, 이면 시트가 의도치 않게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n the width direction are greater than the force applied to the backsheet when peeling the absorbent article from the underwear, so that the backsheet is suppress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torn. can do.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 영역과, 상기 제3 영역보다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4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폭방향의 최대폭은,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폭방향의 최대폭보다 길고,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3 영역에서의 상기 압착부보다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긴 광폭부를 갖고 있고, 상기 광폭부는,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최대폭의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absorbent article has a third region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ourth region located outside the third reg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ourth region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maximum width of is lon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third reg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crimping portion of the fourth region has a wide portion longer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crimping portion in the third region, and the wide width The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maximum width of the fourth region.
제4 영역의 최대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외연은, 다리의 힘 등의 외력이 가해지기 쉽다. 상기 최대폭의 위치에 광폭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부의 광폭부에 의해 최대폭의 위치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t the maximum width of the fourth region is easily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leg force. Since the wide part i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maximum width, the rigidity of the position of the maximum width can be increased by the wide part of the crimping part, and the problem that the absorbent article is twisted or twisted from the underwear due to external force can be suppress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부는,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광폭부와 중복되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adhesive portion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is provided in plurality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wide width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may overlap with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는, 신체나 속옷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르는 힘을 받기 쉽다. 상기 점착부가 폭방향에서 광폭부에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부의 광폭부에 의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The adhesive portion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ikely to receive for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dy or underwear. Since the adhesive portion overlaps the wide width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rigidity of the outermost adhesive portion can be increased by the wide width portion of the crimping portion, thereby suppressing the problem of the absorbent article being twisted or distorted from the underwear due to external force. can do.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광폭부와 중복되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adhesive portion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reach the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may overlap the wide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본 양태에 의하면, 압착부의 광폭부에 의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rigidity of the outermost adhesive por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by the wide width portion of the crimping portion, and problems such as twisting of the absorbent article or twisting from the underwear due to external force can be suppress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서,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에는, 상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in the outer region, the 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sheet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portion coated with an adhesive for adhering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본 양태에 의하면, 이면 시트측의 접착부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이면 시트에 접착된다. 이면 시트에 마련된 점착부에 체액이 도달하기 직전에 체액을 유지할 수 있어, 점착부의 점착력을 보다 유지하기 쉽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와 표면 시트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는 공간이 표면 시트측에 형성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기 쉬워진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adhered to the backsheet by the adhesive portion on the backsheet side. The body fluid can be held immediately before the body fluid reaches the adhesive portion provided on the back sheet,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portion is more easily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topsheet are not bonded, a space where the superabsorbent polymer swells is easily formed on the topsheet side, and the superabsorbent polymer easily swells.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 the outer region, an adhesive portion coated with an adhesive for adhering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may be provide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topsheet.
본 양태에 의하면, 표면 시트측의 접착부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표면 시트에 접착된다. 따라서, 표면 시트로부터 투과한 체액을 표면 시트측에서 즉시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와 이면 시트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는 공간이 이면 시트측에 형성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기 쉬워진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adhered to the topsheet by the adhesive portion on the topsheet side. Therefore, the body fluid permeating through the topsheet can be immediately absorbed from the topsheet side. In addition, since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backsheet are not bonded, a space where the superabsorbent polymer swells is easily formed on the backsheet side, and the superabsorbent polymer easily swells.
(2) 흡수성 물품의 전체 개략 구성 (2) Overall outline of the absorbent artic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or similar par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the ratio of each dimension is different from reality. Therefore, specific dimensions and the like must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even between the drawings, parts having different dimensional relationships or ratios may be included.
흡수성 물품은 팬티라이너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속옷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이면 되며, 예컨대 경실금 패드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A-A 단면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B-B 단면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The absorbent article is a pantyliner. Further,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bsorbent article used by being attached to underwear, and may be, for example, a light incontinence pad. Fig. 1 is a plan view of the
흡수성 물품(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및 폭방향(W)을 갖는다. 길이 방향(L)은, 신체 전측과 신체 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바꿔 말하면, 길이 방향(L)은, 전개된 흡수성 물품(1)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과 폭방향(W)의 양방이 직교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 두께 방향(T)은, 착용자측으로 향하는 피부 대향면측(T1)과, 피부 대향면측과 반대측의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된다. The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와, 흡수체(30)를 적어도 갖는다. 표면 시트(10)는, 예컨대 부직포나 개공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액투과성의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10)는, 복수의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어도 좋고, 세컨드 시트를 가져도 좋다. 예컨대,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코튼 시트와, 레이온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시트의 적층에 의한 피부면측 시트에 의해 표면 시트(10)를 구성해도 좋고, 상기 피부면측 시트와,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한 세컨드 시트에 의해 표면 시트(10)를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0)는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시트(10)의 흡수체측의 면은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섬유 사이의 공극이 비교적 커서, 후술하는 흡수체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균일하게 배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 전체에 걸쳐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기 쉬워져,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이면 시트(20)는, 예컨대,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면 시트(20)가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뇨나 땀의 흡수시에 이면 시트(20)를 통해 습기를 흡수성 물품 밖으로 배출하기 쉽다. 따라서,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는, 흡수성 물품의 외측연까지 도달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외측연은 폭방향(W)의 외측 단부이고, 전단연은 전측의 가장자리이고, 후단연은 후측의 가장자리이다. 또한, 외연은, 외측연, 전단연 및 후단연을 포함하는 외주 전체의 가장자리이다. The
이면 시트(20)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장착하기 위한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다. 점착부(50)는, 폭방향(W)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점착부(50)는,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에 도달해도 좋다. 점착부(50)는, 길이 방향(L)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를 갖는다. 길이 방향(L)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는, 흡수성 물품(1)의 최대폭(PM)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이 흡수성 물품의 최대폭(PM)은 후술하는 제4 영역의 최대폭이다. 또, 변형예에서, 점착부(50)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도 좋다.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체(30)는, 적어도 펄프(31)와 고흡수성 폴리머(SAP)(32) 등의 흡수 재료를 갖는다. 흡수체가 펄프를 갖고 있고, 상기 펄프에 의해 대하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가 고흡수성 폴리머(32)를 갖고 있고,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뇨나 땀을 흡수할 수 있다. 흡수체(30)는, 시트형의 흡수체이어도 좋다. 흡수체(30)는, 흡수 재료를 둘러싸는 코어랩을 가져도 좋다. 흡수체(3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RC)과, 중앙 영역(RC)보다 두께 방향(T)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측 영역(RS)을 갖는다. 표면측 영역(RS)은, 중앙 영역(RC)의 피부 대향면측(T1)과 피부 비대향면측(T2)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표면측 영역(RS)과 중앙 영역(RC)의 경계는,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삼등분하는 경계이다. The
흡수체(30)의 외연(30E)은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즉, 흡수체(30)의 전단연(30F)은 흡수성 물품(1)의 전단연(1F)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흡수체(30)의 후단연(30R)은 흡수성 물품(1)의 후단연(1R)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흡수체(30)의 외측연(30S)은 흡수성 물품(1)의 외측연(1S)보다 폭방향(W)의 내측에 위치한다. 흡수체(30)의 외연(30E)과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 사이에는 외측 영역(RO)이 마련되어 있다. 외측 영역(RO)은, 도 1에서 사선을 부여한 영역이다. 외측 영역(RO)에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가 배치되어 있다. 외측 영역(RO)에는, 펄프(31)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되어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32)는, 흡수체가 배치된 영역과, 외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체를 넘어 뇨가 배출된 경우에도,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뇨 등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수분에 용해된 암모니아 성분이나 기체 암모니아를 흡착할 수 있어, 냄새도 저감할 수 있다. The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팬티라이너로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는 것이다. 펄프에 의해 대하나 땀 등의 체액을 흡수함과 더불어,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경실금에 의한 체액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대하뿐만 아니라 뇨를 흡수하더라도, 통기성의 이면 시트(20)에 의해 습기를 밖으로 밀어내어, 보송보송한 장착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is used as a panty liner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o absorbing body fluids such as clams and sweat by the pulp, body fluids caused by light incontinence can also be absorbed by the
도 4는, 외측 영역(RO)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외측 영역(RO)에는, 고흡수성 폴리머(32)와 점착부(50)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P1)가 마련되어 있다. 중첩부(P1)에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표면 시트(10), 고흡수성 폴리머(32), 이면 시트(20) 및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다. 중첩부(P1)에 체액이 도달하면,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체액을 유지하여, 상기 체액이 이면 시트(20)에 도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중첩부(P1)에서의 점착부(50)는, 이면 시트(20)측으로부터의 습기가 도달하고 어려워,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중첩부(P1)에서 점착부(50)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어, 의도치 않게 흡수성 물품(1)이 속옷에 대하여 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할 수 있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키면서,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함으로써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outer region RO. In the outer region RO, an overlapping portion P1 is provided in which the
외측 영역(RO)에는, 고흡수성 폴리머(32) 및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배치부(P2)가 마련되어도 좋다. 비배치부(P2)에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가 배치되어 있다. 비배치부(P2)는, 고흡수성 폴리머(32) 및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된 부분 및 점착부(50)가 배치된 부분과 비교하여 높은 통기성을 갖는다. 상기 비배치부(P2)에 의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습기참을 더욱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outer region RO, a non-displacement portion P2 in which the
외측 영역(RO)에는,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되고, 또한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폴리머 배치부(P3)가 마련되어도 좋다. 폴리머 배치부(P3)에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가 배치되어 있다. 폴리머 배치부(P3)는,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속옷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고 비교적 이동하기 쉬운 부분이며,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변형(팽윤)되기 쉽다. 상기 폴리머 배치부에 배치된 고흡수성 폴리머(32)는, 중첩부에 배치된 고흡수성 폴리머(32)와 비교하여 팽윤하기 쉬워, 체액의 흡수 성능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In the outer region RO, a polymer placement portion P3 in which the
외측 영역(RO)에는, 점착부(50)가 배치되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점착 배치부(P4)가 마련되어도 좋다. 점착 배치부(P4)에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표면 시트(10), 이면 시트(20) 및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다. 폴리머 배치부(P3)는, 점착 배치부(P4)와 비배치부(P2) 중 적어도 한쪽과 평면시에서 인접해도 좋다. 폴리머 배치부(P3)의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상기 폴리머 배치부(P3)에 도달한 체액뿐만 아니라, 주변의 습기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 배치부(P3)에 인접한 점착 배치부(P4)나 비배치부(P2)의 습기를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점착 배치부(P4)에서는, 습기를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를 투과시킬 수 있어, 점착부(50)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In the outer region RO, an adhesive arranging portion P4 in which the
외측 영역(RO)에는,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를 두께 방향(T)으로 압축한 압착부(60)가 마련되어도 좋다. 압착부(60)는,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을 따라 마련되어도 좋다. 압착부(60)는,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보다 내측에서 복수 마련되며, 간격을 두고 외연(1E)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압착부(60)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외측 영역(RO)의 압착부(60)에 체액이 도달하더라도, 밀도가 높은 압착부(60) 내에서 체액이 확산되기 때문에, 압착부(60)보다 외측에 체액이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외측 영역(RO)의 비배치부 및 점착 배치부는,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압착부(60)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 등이 찢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속옷에 대한 점착성을 확보하거나, 시트의 찢어짐에 의한 체액의 누설을 억제하거나 할 수 있다. A crimping
압착부(60)에서는, 표면 시트(10), 이면 시트(20) 및 점착부(50)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도 좋다. 이면 시트(20), 표면 시트(10) 및 점착부(50)가 함께 압축됨으로써, 이면 시트(20)와 함께 점착부(50)가 형성된 오목부에 들어가기 때문에, 가령 습기가 점착부(50)에 도달하여 점착성이 저하되더라도, 점착부(50)와 이면 시트(20)가 박리되기 어렵다. In the crimping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는, 표면 시트(10)의 신장 강도보다 높아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는,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다른 자재(표면 시트, 흡수체 등)의 신장 강도보다 높아도 좋다. 여기서, 신장 강도는, 평면 방향의 시트의 신장 어려움을 지표하는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다음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1) 인장 시험기 및 (2) 펀칭 틀(장방형 틀 길이 44 mmХ폭 25 mm)을 이용하여 행한다. 순서로는, 우선 시험편을 준비한다. 시험편은, 흡수성 물품을 톨루엔에 침지하여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로 나누고, 측정 대상인 시트를 45 mmХ25 mm의 치수로 펀칭 틀로 펀칭하여 작성한다. 시험편의 중앙에 척 간격 30 mm가 취해지도록, 시험편의 길이 방향(45 mm)의 양끝으로부터 7 mm까지의 길이의 부분에 각각 손잡이부를 마련한다. 손잡이부는, 길이 50 mm, 폭 30 mm의 알루미늄 테이프로 시험편을 양면 사이에 끼워 작성한다. 이어서, 척 간격 : 30 mm, 인장 속도 : 500 mm/min로 측정한다.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각각의 5% 신도일 때의 강도(N/25 mm)와 최대 신장 강도(N/25 mm)를 계측한다. The tensile strength of the
본 발명에서의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높고, 또한,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표면 시트(10)의 신장 강도가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보다 높은 것으로 한다. 한편,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높고, 또한,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낮은 경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낮고, 또한,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낮은 경우, 및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낮고, 또한,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높은 경우는, 모두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가 표면 시트(10)의 신장 강도보다 높은 것으로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op sheet and the back shee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follows. The 5% elongation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sheet is higher than the 5% elongation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sheet, and the 5% elongation str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sheet is 5% elong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cksheet. If it is higher than the strength, it is assumed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는 표면 시트(10)의 신장 강도보다 높기 때문에, 압착부(60)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20)가 신장되기 어려워, 이면 시트(20)가 얇아지기 어렵다. 따라서, 압착부(60)를 통해 습기가 투과하기 어려워, 습기의 도달에 의한 점착부(50)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가 높아, 이면 시트가 신장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면 시트(20)측에서의 압착부에 의한 요철의 높이가 표면 시트(10)측에서의 압착부에 의한 요철의 높이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속옷과 이면 시트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는, 길이 방향 또는 폭방향의 한쪽으로만 연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면 시트는,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연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양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것에 의해 신장 강도가 낮아지기 쉽다. Sinc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에 대한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비율은, 0.7 이상 1.3 이하이어도 좋다. 보다 적합하게는, 상기 비율은 0.9 이상 1.1 이하이어도 좋다.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에 대한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비율은, 0.7 이상 1.3 이하인 것에 의해,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와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편차가 적어, 압착부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속옷과 이면 시트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cksheet to the tensile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sheet may be 0.7 or more and 1.3 or less. More suitably, the said ratio may be 0.9 or more and 1.1 or less. When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tensile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sheet is 0.7 or more and 1.3 or l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nsile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ensile str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cksheet is small, and the crimping portion During formation, the back sheet becomes difficult to sink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undergarment and the backsheet can be made small, and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stably fixed to the undergarment.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 및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신장 강도는, 모두 2.0 N/25 mm 이상이어도 좋고, 보다 적합하게는 5.0 N/25 mm 이상이어도 좋다.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가 2.0 N/25 mm 이상인 것에 의해, 속옷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박리할 때에 이면 시트에 가해지는 힘보다 강하여, 이면 시트가 의도치 않게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acksheet in the width direction may both be 2.0 N/25 mm or more, more preferably 5.0 N/25 mm or more. When the backsheet has a tensile strength of 2.0 N/25 mm or more, it is stronger than the force applied to the backsheet when peeling the absorbent article from the undergarment, and unintentional tearing of the backsheet can be suppressed.
외측 영역(RO)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0)측의 제1 영역(R1)과,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측의 제2 영역(R2)을 갖는다.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의 경계는,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과 흡수체(30)의 외연(30E)의 중심이다. 제1 영역(R1)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는, 제2 영역(R2)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제1 영역(R1)은,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가 높아, 흡수체(30)가 다 유지할 수 없는 체액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영역(R2)은, 배설부로부터 떨어진 땀을 흘리기 쉬운 영역에 접촉한다. 제2 영역(R2)에 의해 배설물보다 수분 배출량이 적은 땀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R2)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창했을 때의 요철에 의한 피부에 대한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밀도의 측정 방법으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각각에서 동일한 면적의 시험편을 절취하고, 그 시험편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취출하여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outer region RO has a first region R1 on the
흡수체(30)보다 폭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RO)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는, 흡수체(30)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RO) 제2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흡수체(30)보다 폭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RO)은, 착용자의 다리 밑동에 닿기 쉽다. 비교적 땀을 흘리기 쉬운 다리 밑동에 닿는 영역에서, 땀 등에 의한 습기를 흡수할 수 있다. 또, 상기 밀도의 측정 방법으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영역에서 동일한 면적의 시험편을 절취하고, 그 시험편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취출하여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The density of the
흡수체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는, 일정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중앙 영역(RC)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는, 흡수체(30)의 표면측 영역(RS)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중앙 영역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체액의 흡수시에 중앙 영역(RC)이 팽창하기 쉽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영역(RS)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가 낮아, 체액의 흡수시에 표면측 영역(RS)이 팽윤하기 어렵다. 표면측 영역(RS)에는, 고흡수성 폴리머(32)의 팽윤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10)나 이면 시트(20)에 흡수체의 요철이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표면 시트(10)나 이면 시트(20)에 요철이 전달되는 것에 의한 장착시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밀도의 측정 방법으로는, 흡수성 물품을 두께 방향을 따르는 단면으로 절단하고, 상기 단면을 전자 사진으로 촬영하고, 각 영역에서 동일한 면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갯수를 계측하여, 갯수가 많을수록 밀도가 높아지는 것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The density of the
흡수체(30)의 피부 대향면측(T1)의 친수도는, 흡수체(3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친수도보다 높아도 좋다. 여기서, 친수도란, 흡수체가 물을 끌어당기는 강도를 의미하며, 친수도가 높은 측에서는 친수도가 낮은 측에 비하여 액을 흡수하는 힘이 강해진다. 흡수체(30)의 피부 대향면측(T1)의 친수도가 높기 때문에, 표면 시트(10)에 배설된 체액을 신속하게 인입하고, 흡수체(30)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체액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3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친수도가 낮기 때문에, 흡수체(30) 내의 체액이 이면 시트(20)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점착부(50)에 체액의 수분이 도달하기 어려워지고, 수분의 도달에 의한 점착력의 저하를 억제하여, 흡수성 물품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The hydrophilicity of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흡수체의 친수도를 두께 방향으로 상이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흡수체를 피부 대향면측의 상층과, 피부 비대향면측의 하층의 2층으로 구성하고, 흡수 재료를 굳히기 위한 바인더의 친수도를 상층과 하층에 의해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상층의 바인더로서 친수제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고, 하층의 바인더로서 친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이용한다. As a method of varying the hydrophilicity of the absor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for example, the absorber is composed of two layers, an upper layer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a lower layer on the skin-non-facing surface side, and the hydrophilicity of a binder for hardening the absorbent material is set to the upper layer. and can be made different by the lower layer. A binder containing a hydrophilic agent is used as an upper binder, and a binder containing no hydrophilic agent is used as a lower binder.
또한, 친수도는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1) 여과지를 5장 겹쳐 수평으로 놓고, 여과지의 위에 측정 대상인 시험편을 얹는다. (2)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각각에서 2 cm 간격으로 시험편에 표시를 한다. 피펫으로 인공뇨 1방울(약 0.05 g)을 20개소에 적하한다. 인공뇨의 적하는 1분 10초간 20곳에 행한다. (3) 20개소 적하 종료로부터 30초 방치한 후, 시험편에 흡수되어 있는 개소를 센다. 시험편의 흡수 개소가 많을수록 친수도가 높은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hydrophilicity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1) Five filter papers are overlapped and placed horizontally, and the test piece to be measured is placed on top of the filter paper. (2) Mark the test piece at 2 cm intervals in each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1 drop (about 0.05 g) of artificial urine is dripped at 20 locations with a pipette. Artificial urine is dripped at 20 locations for 1 minute and 10 seconds. (3) After leaving 20 places to stand for 30 seconds from the end of dropping, count the places absorbed by the test piece. The more absorption sites of the test piece, the higher the hydrophilicity.
외측 영역(RO)에서, 이면 시트(20)의 피부 대향면에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70)가 마련되어도 좋다. 접착제로는, 예컨대 핫멜트형 접착제를 예시할 수 있다. 이면 시트측의 접착부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32)가 이면 시트(20)에 접착된다. 이면 시트(20)에 마련된 점착부(50)에 체액이 도달하기 직전에 체액을 유지할 수 있어, 점착부(50)의 점착력을 보다 유지하기 쉽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32)와 표면 시트(10)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윤하는 공간이 표면 시트(10)측에 형성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윤하기 쉬워진다. In the outer region RO, on the surface facing the skin of th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 영역(R3)과, 제3 영역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4 영역(R4)을 갖는다. 제3 영역(R3)과 제4 영역(R4)의 경계는, 흡수성 물품을 길이 방향(L)으로 삼등분하는 경계이다. 제4 영역의 폭방향(W)의 최대폭은 제3 영역의 폭방향(W)의 최대폭보다 길다. As shown in FIG. 1, the
압착부(60)는, 제3 영역(R3)과 제4 영역(R4)에 걸쳐 마련되어도 좋다. 제4 영역(R4)의 압착부(60)는, 제3 영역(R3)에서의 압착부(60)보다 폭방향(W)의 길이가 긴 광폭부(61)를 갖고 있다. 광폭부(61)는, 도 2에서 사선을 부여한 영역이다. 제3 영역(R3)의 압착부(60) 및 제4 영역(R4)에서 광폭부(61)보다 길이 방향(L)의 내측에 위치하는 압착부(60)는, 복수의 원호가 이어진 선형의 압착부(65)와, 상기 선형의 압착부(65)보다 내측이자 상기 선형의 압착부(60)를 따라 배치된 점형의 압착부(6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2열의 압착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광폭부(61)에서는, 복수의 원호가 이어진 선형의 압착부(65)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상기 선형의 압착부(65)를 따라 배치된 점형의 압착부(66)가 마련되어 있다. 즉, 3열의 압착부가 배치되어 있다. 광폭부(61)는, 제4 영역의 최대폭(PM)의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제4 영역의 최대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외연은, 다리의 힘 등의 외력이 가해지기 쉽다. 상기 최대폭의 위치에 광폭부(6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부(60)의 광폭부(61)에 의해 최대폭의 위치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The crimping
또한, 광폭부(61)는, 길이 방향(L)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와 폭방향(W)에서 중복되어도 좋다. 폭방향(W)으로 중복된 상태란, 광폭부(61)의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상에 점착부(51)가 배치된 상태이다.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는, 신체나 속옷으로부터 길이 방향(L)을 따르는 힘을 받기 쉽다. 상기 점착부(51)가 폭방향(W)에서 광폭부(61)에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부(60)의 광폭부(61)에 의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the
보다 적합하게는, 길이 방향(L)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는, 흡수성 물품의 외연(1E)에 도달하고, 또한 두께 방향(T)에서 광폭부(61)와 중복되어도 좋다. 압착부(60)의 광폭부(61)에 의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0)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monstra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claims. Therefore, the description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ve explanation, and does not have any limiting meaning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변형예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외측 영역(RO)에서, 표면 시트(10)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10)측의 접착부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표면 시트(10)에 접착된다. 따라서, 표면 시트(10)로부터 투과한 체액을 표면 시트(10)측에서 즉시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32)와 이면 시트(20)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윤하는 공간이 이면 시트(20)측에 형성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윤하기 쉬워진다. 또한, 표면 시트(10)의 피부 비대향면이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섬유 사이의 공극이 큰 부직포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들어가기 쉽다. 따라서, 고흡수성 폴리머(32)의 이면 시트(20)측에 팽윤하기 위한 공간이 보다 생기기 쉬워져,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an adhesive for adhering the
2018년 3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052339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All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052339 filed on March 20, 2018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에 의하면,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키면서,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함으로써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suppressing leakage of bodily fluid by continuously wearing it in an appropria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while reducing dampness and improving wearing comfort.
1 : 흡수성 물품
10 : 표면 시트
20 : 이면 시트
30 : 흡수체
31 : 펄프
32 : 고흡수성 폴리머
50 : 점착부
51 :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
60 : 압착부
61 : 광폭부
70 : 접착부
RO : 외측 영역
R1 : 제1 영역
R2 : 제2 영역
R3 : 제3 영역
R4 : 제4 영역
RC : 중앙 영역
RS : 표면측 영역
P1 : 중첩부
P2 : 비배치부
P3 : 폴리머 배치부
P4 : 점착 배치부
PM : 최대폭 1: absorbent article
10: surface sheet
20: back sheet
30: absorber
31: Pulp
32: super absorbent polymer
50: adhesive part
51: adhesive part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60: compression part
61: wide part
70: adhesive part
RO: outer region
R1: first area
R2: Second area
R3: Third area
R4: 4th area
RC: central region
RS: surface side area
P1: overlapping part
P2: non-placement unit
P3: polymer placement unit
P4: adhesive placement unit
PM: maximum width
Claims (17)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외연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흡수체의 외연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 사이의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와 상기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와,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폴리머 배치부와,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점착 배치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점착 배치부와 상기 폴리머 배치부는, 평면시(平面視)에서 인접해 있는 흡수성 물품.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 liquid-permeable surface sheet;
A breathable and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an absorbent body disposed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back sheet and having at least pulp and a superabsorbent polymer;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 sheet,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r is locat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outer region between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and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n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adhesive portion overlap each other in a thickness direction;
a polymer placement portion in which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disposed and the adhesive portion is not disposed;
an adhesive placement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disposed and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not disposed;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adhesive placement portion and the polymer placement por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planar view.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외연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흡수체의 외연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 사이의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와 상기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와,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착부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이면 시트 및 상기 점착부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 liquid-permeable surface sheet;
A breathable and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an absorbent body disposed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back sheet and having at least pulp and a superabsorbent polymer;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dhesive portion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 sheet,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r is locat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outer region between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and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n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adhesive portion overlap each other in a thickness direction;
a crimping portion for compressing at least the top sheet and the back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compression unit is dispose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in the compression portion, the top sheet, the back sheet, and the adhesive portion are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폭방향의 최대폭은,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폭방향의 최대폭보다 길고,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3 영역에서의 상기 압착부보다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긴 광폭부를 갖고 있고,
상기 광폭부는,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최대폭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has a third region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ourth region located outside the third reg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maximum width of the fourth reg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third reg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mpression portion of the fourth region has a wide width portion that is longer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compression portion of the third regio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wide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maximum width in the fourth region.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부는,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광폭부와 중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is provided in plurality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verlaps the wid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The outer reg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outer region has a first region on the side of the absorbent body and a second region on the outer edg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density of the super absorbent polymer in the first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uper absorbent polymer in the second region.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는, 상기 표면측 영역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The absor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absorber has a central region including a center of the absor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urface region locat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 wherein a density of the super absorbent polymer in the central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uper absorbent polymer in the surface side reg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18-052339 | 2018-03-20 | ||
| JP2018052339A JP6356369B1 (en) | 2018-03-20 | 2018-03-20 | Absorbent articles |
| PCT/JP2018/011079 WO2019180827A1 (en) | 2018-03-20 | 2018-03-20 | Absorbent art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30725A KR20200130725A (en) | 2020-11-19 |
| KR102475638B1 true KR102475638B1 (en) | 2022-12-08 |
Family
ID=628437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7029209A Active KR102475638B1 (en) | 2018-03-20 | 2018-03-20 | absorbent article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JP (1) | JP6356369B1 (en) |
| KR (1) | KR102475638B1 (en) |
| CN (1) | CN111867536B (en) |
| TW (1) | TWI798389B (en) |
| WO (1) | WO2019180827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4082499A4 (en) * | 2019-12-23 | 2023-08-16 | Kao Corporation | ABSORBENT AND ABSORBENT ARTICLE |
| JP6832024B1 (en) * | 2020-01-10 | 2021-02-24 | Dsgジャパン株式会社 | Absorbents and disposable diapers |
| JP7344145B2 (en) * | 2020-01-29 | 2023-09-13 |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JP2022016823A (en) * | 2020-07-13 | 2022-01-2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 CN114522026B (en) * | 2020-12-28 | 2023-09-19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Absorbent article |
| JP7353528B1 (en) | 2022-07-28 | 2023-09-2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526088A (en) | 1997-12-20 | 2001-12-18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Absorber with structural adhesive applied to different adhesive areas |
| JP2003144489A (en) * | 2001-11-09 | 2003-05-20 | Uni Charm Corp | Throwaway diaper |
| WO2006017721A1 (en) * | 2004-08-05 | 2006-02-16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improved edge barriers comprising a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
| KR100810830B1 (en) | 2004-03-23 | 2008-03-06 |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 Absorbent article with an edge barrier comprising a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
| JP2008526088A (en) | 2004-12-23 | 2008-07-17 | ケィティ、コーポレーション | An alternative method for mobile router in mobile Internet service system using multiple mobile routers |
Family Cites Families (1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097121U (en) * | 1983-12-10 | 1985-07-02 | ライオン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JPS63182729U (en) * | 1987-05-15 | 1988-11-25 | ||
| JP2585130Y2 (en) * | 1992-01-16 | 1998-11-11 | 花王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JP3851737B2 (en) * | 1999-01-21 | 2006-11-2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for body fluid treatment |
| JP5134299B2 (en) * | 2007-07-25 | 2013-01-3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JP2012010980A (en) * | 2010-06-30 | 2012-01-19 | Unicharm Corp | Thin absorbent article |
| JP5693118B2 (en) * | 2010-09-29 | 2015-04-0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
| JP5868110B2 (en) * | 2010-10-18 | 2016-02-24 | 花王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JP6067340B2 (en) * | 2012-11-15 | 2017-01-25 | 花王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WO2014208729A1 (en) * | 2013-06-28 | 2014-12-31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product |
| CN203634378U (en) * | 2013-12-30 | 2014-06-11 | 杭州豪悦实业有限公司 | Baby paper diaper |
| JP6353237B2 (en) * | 2014-02-10 | 2018-07-04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Absorbent articles |
| JP2015154881A (en) | 2014-02-21 | 2015-08-27 |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 JP5931119B2 (en) * | 2014-05-07 | 2016-06-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CN105796247A (en) * | 2016-04-14 | 2016-07-27 | 徐远洋 | Refreshing and breathable sanitary towel |
| JP2017217465A (en) * | 2016-06-03 | 2017-12-14 | 花王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 JP3213232U (en) * | 2017-08-14 | 2017-10-2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JP3215313U (en) * | 2017-12-28 | 2018-03-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2018
- 2018-03-20 CN CN201880091433.9A patent/CN111867536B/en active Active
- 2018-03-20 KR KR1020207029209A patent/KR102475638B1/en active Active
- 2018-03-20 JP JP2018052339A patent/JP6356369B1/en active Active
- 2018-03-20 WO PCT/JP2018/011079 patent/WO2019180827A1/en not_active Ceased
-
2019
- 2019-03-19 TW TW108109245A patent/TWI798389B/en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526088A (en) | 1997-12-20 | 2001-12-18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Absorber with structural adhesive applied to different adhesive areas |
| JP2003144489A (en) * | 2001-11-09 | 2003-05-20 | Uni Charm Corp | Throwaway diaper |
| KR100810830B1 (en) | 2004-03-23 | 2008-03-06 |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 Absorbent article with an edge barrier comprising a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
| WO2006017721A1 (en) * | 2004-08-05 | 2006-02-16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improved edge barriers comprising a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
| JP2008526088A (en) | 2004-12-23 | 2008-07-17 | ケィティ、コーポレーション | An alternative method for mobile router in mobile Internet service system using multiple mobile router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9180827A1 (en) | 2019-09-26 |
| JP6356369B1 (en) | 2018-07-11 |
| TW201940144A (en) | 2019-10-16 |
| CN111867536A (en) | 2020-10-30 |
| JP2019162298A (en) | 2019-09-26 |
| KR20200130725A (en) | 2020-11-19 |
| CN111867536B (en) | 2022-04-08 |
| TWI798389B (en) | 2023-04-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475638B1 (en) | absorbent article | |
| KR101663848B1 (en) | Article with fluid-activated barriers | |
| JP5010479B2 (en) | Absorbent articles | |
| JP6399306B2 (en) | Absorbent articles | |
| KR20120112419A (en) | Absorbent article | |
| US9149395B2 (en) | Liner for incontinence | |
| JP4746833B2 (en) | Women's incontinence pad | |
| JP7170622B2 (en) | absorbent article | |
| KR20220030220A (en) | absorbent article | |
| JP5711491B2 (en) | Absorbent articles | |
| JP2008289640A (en) | Absorbent articles | |
| JP2014100201A (en) | Absorbent article | |
| CN212166011U (en) | Pants-type diaper | |
| JP6575656B2 (en) | Absorbent articles | |
| JP2021083694A (en) | Underpants type absorbent article | |
| JP6631731B1 (en) | Absorbent body and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same | |
| JP4953346B2 (en) | Absorbent articles | |
| JP7079658B2 (en) | Absorbent article | |
| JP2005087655A (en) | Incontinence pad for women | |
| JP5540381B2 (en) |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6938822B2 (en) | Absorbent auxiliary pad | |
| JP2017042419A (en) | Absorbent article | |
| JP2022089470A (en) | Absorbent article | |
| JP2022089469A (en) | Absorbent article | |
| JP2022089468A (en) | Absorbent art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0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