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242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9242B1 KR102479242B1 KR1020180023492A KR20180023492A KR102479242B1 KR 102479242 B1 KR102479242 B1 KR 102479242B1 KR 1020180023492 A KR1020180023492 A KR 1020180023492A KR 20180023492 A KR20180023492 A KR 20180023492A KR 102479242 B1 KR102479242 B1 KR 1024792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guide plate
- light guide
- display device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되는데, 이것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모듈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광안내판,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 반사체 및 제1 패턴을 포함한다. 광안내판은 중심 영역 및 외곽 영역을 가지고, 외곽 영역은 중심 영역 주위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은 광안내판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반사체의 적어도 일 부분은 광안내판의 바닥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1 패턴은 외곽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반사체와 광안내판은 제1 패턴을 통해 부착된다. A display device is disclosed, which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backlight module. The backlight module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nel and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a reflector, and a first pattern. The light guide plate has a central area and an outer area, and the outer area is disposed around the central area.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ight guide pl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flector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first pattern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area, and the reflector and the light guide plate are attached through the first pattern.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7년 7월 3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710530783.8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데, 그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반영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priority from Chi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0530783.8, filed on July 3, 2017,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이 출원은 35 USC §119(e)(1) 하에서, 2017년 3월 30일에 출원된, US 가출원 제 62/478,680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한다. 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the filing date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Serial No. 62/478,680, filed March 30, 2017, under 35 USC §119(e)(1).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안내판 및 반사체가 제1 패턴을 통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to which a light guide plate and a reflector are attached through a first pattern.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들 및 휴대폰들, 태블릿들, 또는 웨어러블 장치들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구비된 다른 전자 장치들이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후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모듈에 있어서, 백라이트 모듈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종래의 CCFLs(cold cathod fluorescent lamps)은 발광 다이오드들(LEDs)로 대체된다. 하지만, 백라이트 모듈에 있어서 백라이트 모듈의 전체 부피가 감소될 수 없도록 야기시킬 수 있는, 다른 요소들이 여전히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백라이트 모듈의 가벼움 또는 두께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백라이트 모듈을 변형시키는 방법에 대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Recentl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s, or wearabl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Therefore, in a backlight module for providing a backlight, conventiona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CCFLs) are replaced with light emitting diodes (LED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acklight module. However, there are still other factors in the backlight module that can cause the overall volume of the backlight module to be unable to be reduced.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constantly working on ways to modify the backlight module to further reduce the lightness or thickness of the backlight module.
본 개시의 목적은 광안내판과 반사체를 고정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데, 이때 광안내판과 반사체는 제1 패턴을 통해 부착된다. 그러므로, 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얇거나 가벼울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o achieve the purpose of fix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reflector,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reflector are attached through a first pattern. Therefore, this display device can be thin or light.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는데, 이것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모듈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광안내판,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 반사체 및 제1 패턴을 포함한다. 광안내판은 중심 영역 및 외곽 영역을 가지고, 외곽 영역은 중심 영역 주위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은 광안내판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반사체의 적어도 일 부분은 광안내판의 바닥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1 패턴은 외곽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반사체와 광안내판은 제1 패턴을 통해 부착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es a display device, which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backlight module. The backlight module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nel and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a reflector, and a first pattern. The light guide plate has a central area and an outer area, and the outer area is disposed around the central area.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ight guide pl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flector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first pattern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area, and the reflector and the light guide plate are attached through the first pattern.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 1에 따른 도트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 1에 따른 도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트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 4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 5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 6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 7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 8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top view of a dot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t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5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당업자가 본 개시를 이해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혀질 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내용들 및 노력들을 명백하게 보여줄 것이다. 본 개시는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이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는" 및/또는 "가지는"은 특징(들), 영역(들), 단계(들), 작동(들) 및/또는 유닛(들)의 존재를 지칭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 영역(들), 단계(들), 작동(들) 및/또는 유닛(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나아가, 층 또는 영역과 같은 하나의 유닛이 다른 유닛(또는 그 변형) "상에" 있거나 또는 연장되는 것으로 정의될 때, 이 유닛은 다른 유닛 상에 직접 있거나 또는 직접 있기 위해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유닛에 삽입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의 유닛이 다른 유닛(또는 그 변형) "상에" "직접" 있거나 또는 있기 위해 "직접" 연장되는 것으로 정의될 때, 이 유닛은 다른 유닛에 삽입될 수 없다. 하나의 유닛이 다른 유닛(그 변형)에 "결합되어" 있을 때, 이 유닛은 다른 유닛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유닛들을 통해(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 다른 유닛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In order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clearly show technical details and efforts to achieve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ing" and/or "having" 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region(s), step(s), operation(s) and/or unit(s). Although referr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region(s), step(s), operation(s) and/or unit(s). Further, when one unit, such as a layer or region, is defined as being “on” or extending “on” another unit (or a variant thereof), the unit may be directly on or extend to be directly on the other unit or otherwise.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unit. When a unit is defined as being "directly on" or extending "directly" to be "on" another unit (or variant thereof), the unit cannot be inserted into the other unit. When a unit is "coupled" to another unit (a variant thereof), it is eithe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unit or indirectly to the other unit through one or more other units (e.g., electrical conne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can be connect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 몇몇의 요소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적인 특징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백라이트 모듈(101)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모듈(101)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광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전기습윤(electro-wetting)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다른 적절한 자체발광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유연한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만곡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모듈(101)은 광안내판(30),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40), 반사체(10) 및 제1 패턴(2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백라이트 모듈(101)은 제2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안내판(30)은 중심 영역(A1) 및 외곽 영역(A2)을 가지고, 외곽 영역(A2)은 중심 영역(A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곽 영역(A2)은 중심 영역(A1) 주위에 배치된다. 제1 패턴(22)은 외곽 영역(A2)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반사체(10) 및 광안내판(30)은 제1 패턴(22)을 통해 부착된다. 외곽 영역(A2)은 제1 패턴(22)이 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영역이고, 중심 영역(A1)은 제2 패턴(21)이 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영역이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심 영역(A1)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략적으로 대응하고, 외곽 영역(A2)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경계 영역에 대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제3 방향(D3)을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거나, 제2 패턴(21)은 제3 방향(D3)을 따라 경계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방향(D3)은 광안내판(30)의 상부면(S3)의 법선 방향, 또는 광안내판(30)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외곽 영역(A2)과 중심 영역(A1) 사이의 경계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점선들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패턴(21)에 근접한 제1 패턴(22)의 모서리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광안내판(30)은 (예를 들어, PMMA(poly(methyl methacrylate))에 의해 형성되는) 고분자 광안내판, 유리 광안내판, 또는 다른 물질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른 광안내판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안내판(30)의 형태는 디자인 요구조건들에 기초하여 규칙적, 불규칙적, 또는 비대칭일 수 있다. 발광 유닛(40)은 광안내판(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유닛(40)은 광안내판(30)의 측면(S1)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유닛(40)은 광안내판(30)의 바닥면(S2)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 유닛(40)은 발광 다이오드들(LEDs), 양자 점들(QDs), 형광 물질들, 인광 물질들,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들(micro LEDs), 미니 발광 다이오드들(mini LEDs) 또는 다른 적절한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LED의 칩 크기는 대략 300 ㎛ 내지 10 mm이고, 미니 LED의 칩 크기는 대략 100 ㎛ 내지 300 ㎛이고, 마이크로 LED의 칩 크기는 대략 1 ㎛ 내지 100 ㎛이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체(10)는 발광 유닛(4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반사체(1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광안내판(30)의 바닥면(S2)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체(10)는 하나의 층으로 된 반사체와 같은 단일 층 구조, 또는 서로 다른 물질들의 층들에 의해 적층된 복수-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패턴(21)은 복수의 도트들(21S)을 포함하고, 도트들(21S)은 반사체(10)와 광안내판(30) 사이에 배치되고, 도트들(21S)은 중심 영역(A1)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제1 패턴(22)은 반사체(10)와 광안내판(3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패턴(22)은 외곽 영역(A2)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반사체(10)와 광안내판(30)을 붙이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제1 패턴(22)은 반사체(10)와 광안내판(30)과 접촉한다. 제1 패턴(22)은 광안내판(3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광안내판(30)의 4 개의 측면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패턴(22)은 복수의 도트들(21S)을 둘러쌀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들(21S)은 제1 방향(D1) 또는/및 제2 방향(D2)에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방향(D1)은 광안내판(30)의 측면(S1)의 법선 방향일 수 있거나, 제1 방향(D1)은 제3 방향(D3)에 수직일 수 있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 및 제3 방향(D3)에 수직하다. 도트들(21S)은 광안내판(30)의 바닥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경로 및 반사체(1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도트들(21S)의 형태들, 크기들 및 배치는 광학적 효과들을 위한 요구조건들에 기초하여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들(21S)은 서로 다른 크기들을 가질 수 있고(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상황); 즉, 도트들(21S) 중 적어도 2 개는 서로 다른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유닛(40)에 근접한 도트들(21S)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고, 발광 유닛(4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도트들(21S)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상황), 도트들(21S)의 크기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도트들(21S)은 엇갈린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상황), 도트들(21S)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서로 다른 크기들을 가질 수 있고, 도트들(21S)은 무작위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들(21S)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들(G)이 도트들(21S) 사이에 존재하고, 간격들(G) 역시 도트들(21S)과 제1 패턴(22) 사이에 존재한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들(21S)의 일 부분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패턴(22)은 도트들(21S)의 일 부분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간격들(G)은 공기 간격 또는 다른 물질들로 채워진 간격일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S. 1 to 6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5 is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nd FIG. 6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noted that some elements in FIGS. 3 to 6 are not shown to clearly explain the technical features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반사체(10)와 광안내판(30)을 붙이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접착제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아크릴릭, 실리콘, UV 세팅 접착제, 열세팅 접착제, OCR(optical clear resin) 또는 다른 적절한 접착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반고체 접착제 또는 높은 점도를 가지는 접착제일 수 있어, 제1 패턴(22)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한 모서리들을 가질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액체형 접착제 또는 낮은 점도를 가지는 접착제일 수 있어, 제1 패턴(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한 모서리들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패턴(22)이 불규칙한 모서리들을 가질 때, 외곽 영역(A2)과 중심 영역(A1) 사이의 경계는 (도 6에 도시된 점선들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패턴(21)에 근접한 제1 패턴(22)의 모서리의 돌출부들의 상부 지점들의 연결선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이에 더하여, 예를 들어, 경계는 코너 또는 다른 영역에서 굽어질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부분적으로 원활한 모서리들 및 부분적으로 불규칙한 모서리들을 가지는 제1 패턴(22)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특성들을 가지는 접착제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들(21S) 중 적어도 하나는 광안내판(30)과 반사체(10) 모두와 접촉할 수 있고, 광안내판(30)과 반사체(10)는 도트들(21S)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합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들(21S) 중 적어도 하나는 광안내판(30) 또는 반사체(10)에만 접촉할 수 있다. 나아가, 도트들(21S)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아크릴릭, 실리콘, UV 세팅 접착제, 열세팅 접착제, OCR(optical clear resin) 또는 다른 적절한 접착제들과 같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패턴(22) 및 도트들(21S)의 물질들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턴(22)과 도트들(21S)은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키기 위해 스크린 인쇄 프로세스와 같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들(21S)의 물질은 제1 패턴(22)의 물질과 다를 수 있다. 제1 패턴(22)은 더 나은 보호 능력(예를 들어, 방수, 방습, 및 항산화)을 가질 것을 필요로 하고, 도트들(21S)은 원하는 광학적 특성을 가질 것을 필요로 한다. 제1 패턴(22)과 도트들(21S) 모두가 접착제들을 포함할지라도, 제1 패턴(22)의 물질은 도트들(21S)의 물질과 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들(21S)은 끈적거리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끈적거릴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들(21S)이 끈적거리지 않을 때, 백라이트 모듈(101)은 제3 패턴(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 패턴은 중심 영역(A1)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패턴은 외곽 영역(A2)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중심 영역(A1) 및 외곽 영역(A2) 모두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패턴의 면적은 광안내판(30)의 25%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패턴은 광안내판(30)과 반사체(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패턴의 물질은 제1 패턴(22)의 물질과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도 7 내지 도 10 및 도 2를 참조하자.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21S)의 상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21S)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트(21S)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트(21S)의 단면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21S)는 제1 방향(D1)으로 제1 길이(R1), 제2 방향(D2)으로 제2 길이(R2)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제1 길이(R1)는 제2 길이(R2)와 같을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트(21S)의 제1 길이(R1)는 그 제2 길이(R2)와 다를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복수의 도트들(21S)의 적어도 하나의 도트(21S)은 접착풀(21A); 및 접착풀(21A)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자들(21B)을 포함할 수 있다. 입자들(21B)은 접착풀(21A) 내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도트(21S) 내의 입자들(21B)은 광안내판(30)과 반사체(1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기 위해 도트(21S)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입자들(21B)은 반사 입자들일 수 있다. 백라이트 모듈(101)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광 경로는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입자들(21B)을 이용해 조정될 수 있다. 또는,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입자들(21B)은 산란 입자들일 수 있다. 입자들(21B)과 접착풀(21A)의 굴절계수들 사이의 차이는 백라이트 모듈(101)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광경로를 조정하기 위해 도트(21S)의 산란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입자들(21B)은 요구조건들에 기초하여 구들 또는 다른 적절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자들(21B)은 요구조건들에 기초하여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또는 염색된 입자들일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입자들(21B)의 지름은 0.1 ㎛ 내지 10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입자들(21B)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복수의 입자들(21B) 중 적어도 2 개는 서로 다른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상황).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안내판(30) 또는 반사체(10)에 접촉하지 않는 도트(21S)의 측면은 불규칙한 형태(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상황), 또는 만곡된 형태(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상황)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자들(21B)은 유기물(예를 들어, 아크릴 고분자,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무기물(예를 들어, SiO2 또는 TiO2)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트들(21B)은 염료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염료들의 지름은 0.1 ㎛ 내지 10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염료들은 광학적 특질을 염색 또는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ee FIGS. 7 to 10 and FIG. 2 . 7 is a top view of 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패턴(21)은 끈적일 수 있지만, 도트들(21S)의 적어도 일 부분은 광안내판(30)과 반사체(10)를 결합할 수 있다. 제1 패턴(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패턴일 수 있고 제2 패턴(21)을 둘러싼다. 제1 패턴(22), 광안내판(30) 및 반사체(10)는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게 연결되어, 외부 환경 물질들(예를 들어, 습기 또는 산소)이 막힐 수 있고 폐쇄된 공간으로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폐쇄된 공간 내의 제2 패턴(21)은 악화되지 않을 것이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도는 더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트들(21S)의 적어도 일 부분이 광안내판(30)과 반사체(10)를 결합시키는 데 사용될 때, 외부에 위치되는 제1 패턴(22)은 반사체(10)와 광안내판(30) 사이의 접착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백라이트 모듈(101)의 발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사체(10)의 흔들림의 문제는 개선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 in some embodiments,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백라이트 모듈(101)은 제3 방향(D3)에서 광안내판(3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필름들(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름들(50)은 발광을 위한 요구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배치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들(50)은 바닥 확산 필름(51), 바닥 휘도 강화 필름(52), 상부 휘도 강화 필름(53) 및 상부 확산 필름(54)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확산 필름(54)은 바닥 확산 필름(51) 상에 배치되고(예를 들어, 제3 방향(D3)에서), 바닥 휘도 강화 필름(52)은 바닥 확산 필름(51)과 상부 확산 필름(54)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휘도 강화 필름(53)은 바닥 휘도 강화 필름(52)과 상부 확산 필름(54) 사이에 배치된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자와 같은, 다른 광학 필름들은 광안내판(30)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2 ), the
반사체(10)는 제1 패턴(22)을 통해 광안내판(30)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 얇고 더 가벼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의 베젤이 반사체(10)와 광안내판(30)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데 사용될 필요가 없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백라이트 모듈(101)의 두께는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패턴(22)은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제1 패턴(22)이 제2 패턴(21)을 둘러쌀 때 외부 습도 또는 산소는 막힐 수 있어, 제2 패턴(21)의 품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패턴(21)은 끈적거림이 없거나 또는 부분적인 끈적거림을 가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베젤이 있거나 또는 없을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본 개시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이 이하에 도시되어 있다. 단순한 설명을 위해,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부분들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고, 동일한 부분들을 위한 설명들은 반복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같은 요소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들 사이의 쉬운 비교들을 위해 동일한 참조부호들에 의해 표시된다.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shown below.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different parts in each embodiment are shown in detail, and descriptions for the same parts are not repeated. In addition, like elements in all embodiments of this disclosure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for easy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embodiments.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자.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몇몇의 요소들은 본 실시예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되지 않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1 사이의 차이는 제1 패턴(22)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2H)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2H)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4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광안내판(30)의 3 개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광 유닛(40)에 대응하는 광안내판(30)의 측면에서) 개구부(22H)를 가질 수 있고, 발광 유닛(40)은 개구부(22H)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복수의 개구부들(22H)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개구부들(22H)은 발광 유닛(40)에 대응하여 광안내판(30)의 일 측면에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발광 유닛(40)은 개구부들(22H)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2H)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 유닛(4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부(22H)의 배열은 발광 유닛(4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제1 패턴(22)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개구부(22H)의 수는 발광 유닛(40)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모듈(102)이 4 개의 발광 유닛들(40)을 포함할 때, 제1 패턴(22)은 4 개의 개구부들(22H)을 가질 수 있고, 개구부들(22h) 각각은 발광 유닛(40) 각각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더하여, 제1 패턴(22)의 개구부들(22H) 및발광 유닛들(40)은 백라이트 모듈(102)의 일 측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광 유닛들(40)은 백라이트 모듈(102)의 2 개의 대향하는 측면들 또는 3 또는 4 개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고, 발광 유닛들(40)에 대응하는 개구부들(22H)은 또한 백라이트 모듈(102)의 2 개의 대향하는 측면들 또는 3 또는 4 개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부들(22H)이 광안내판(30)의 일 측에 배치될 때, 외곽 영역(A2)과 중심 영역(A1) 사이의 경계는 제2 패턴(21)에 근접하는 제1 패턴(22)의 모서리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단지 하나의 개구부(22H)가 발광 유닛(40)에 대응하여 광안내판(30)의 일 측에 배치될 때, (도 11에 도시된 점선들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외곽 영역(A2)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경계 영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추가적인 접착제(또는 다른 접착풀)가 개구부(22H)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제2 패턴(21)의 특성에 습도 또는 산소의 영향을 더 감소시키기 위해 반사체(10) 또는 광안내판(30)과 발광 유닛(40)을 결합시키기 위해 발광 경로에 배치되지 않는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ee Figures 2 and 11. 11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ome elements are not shown in FIG. 11 to clearly describe the features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difference between this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자.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몇몇의 요소들은 본 실시예의 특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와 실시예 1 사이의 차이는 본 실시예의 반사체(10)가 제1 부분(10A) 및 제2 부분(10B)을 더 포함하고, 제1 부분(10A)이 광안내판(30)의 바닥면(S2)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2 부분(10B)은 제1 부분(10A)에 연결되고, 제2 부분(10B)은 광안내판(30)의 적어도 일 측(예를 들어 측면(S1))에 대응하여 배치된다는 것이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부분(10B)은 광안내판(30)을 둘러쌀 수 있고 상부면(S3) 및 바닥면(S2)이 아닌 광안내판(30)의 측면들에 대응한다. 광안내판(3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형태 또는 불규칙한 형태일 수 있다. 반사체(10)가 측면(S1)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부분(10B)을 가질 때, 발광 유닛(40) 또는 반사체(10)의 고정이 개선될 수 있거나, 광안내판(30)의 발광 효율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백라이트 모듈(103)은 캐리어(4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발광 유닛(40)은 캐리어(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41)는 발광 유닛(40)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해 발광 유닛(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41) 및 발광 유닛(40)은 함께 라이트 바(light bar)를 형성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ee Figures 12 and 13.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top view of the backlight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ome elements are not shown in order to clearly characteriz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is embodiment and Embodiment 1 is that the
도 14를 참조하자.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 4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3 사이의 차이는 제1 패턴(22)이 복수의 제1 서브패턴들(22A) 및 복수의 제2 서브패턴들(22B)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1 서브패턴들(22A)은 광안내판(30)의 코너들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제2 서브패턴들(22B)은 광안내판(30)의 측면들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22)은 광안내판(30)의 4 개의 코너들에 각각 배치되는 4 개의 제1 서브패턴들(22A)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서브패턴들(22A)은 대문자 L 자형들을 각각 가질 수 있고; 제2 서브패턴들(22B)은 대문자 I 자형들을 각각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턴(22)은 상기에서 언급된 제1 서브패턴들(22A)만 포함할 수 있지만 광안내판(30)의 측면들에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들(22B)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제1 서브패턴들(22A) 및 제2 서브패턴들(22B)은 디자인 요구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See Figure 14. 14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 14,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is that the
도 15를 참조하자.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 5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4 사이의 차이는 반사체(10)의 제2 부분(10B)이 백라이트 모듈(105)의 먼 광 측(발광 유닛들(40)로부터 먼) 및 (발광 유닛들(40)에 인접한) 입사 측에만 배치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입사 측 및 먼 광 측을 연결하는 광안내판(30)의 2 개의 측면들에는 반사체(10)의 제2 부분(10B)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제1 패턴(2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서브패턴(22A)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2 개의 제2 서브패턴들(22B)은 반사체(10)의 제2 부분(10B)의 배열에 따르기 위해 입사 측 및 먼 광 측을 연결하는 광안내판(30)의 2 개의 측면들에 각각 배치된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ee Figure 15. 15 is a top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 15, the difference between this embodiment and Embodiment 4 is that the
도 16을 참조하자.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 6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3 사이의 차이는 본 실시예의 반사체(10)가 광안내판(30)의 상부면(S3)의 일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3 부분(1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3 부분(10C)은 제2 부분(10B)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반사체(10)의 고정은 더 개선될 수 있다. See Figure 16.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 16, the difference between this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is that the
도 17을 참조하자.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 7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모듈(107)에 있어서, 반사체는 복수층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매트릭스 층(11) 및 반사 층(12)을 포함한다. 매트릭스 층(11)은 반사 층(12)과 제2 패턴(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매트릭스 층(11)은 투명 매트릭스, 반사 층(12)의 광학적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는 다른 매트릭스, 또는 반사 층(12)의 광학적 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른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 층(12)은 반사판, 또는 반사 특성을 가지는 다른 필름 또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트릭스 층(11) 및 반사 층(12)은 디자인 요구조건들에 따라서 서로 부착되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매트릭스 층(11) 및 반사 층(12) 모두는 필름들일 수 있고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매트릭스 층(11) 및 반사 층(12) 중 하나는 필름이고 다른 하나는 필름 상에 적용되는 코팅 층이다. 이에 더하여, 매트릭스 층(11)은 투명 매트릭스일 때, 투명 매트릭스의 특성은 광안내판(30)의 특성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안내판(30)이 유리 광안내판일 때, 매트릭스 층(11)은 유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광안내판(30)이 (아크릴 또는 PMMA와 같은) 고분자일 때, 매트릭스 층(11)은 PMMA와 같은 고분자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다른 고분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복수-층 구조를 가지는 반사체(10)는 또한 본 개시의 앞서 언급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ee Figure 17.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 17 , in the
도 18을 참조하자.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 8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몇몇의 요소들은 본 실시예의 특징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8에 도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모듈(108)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안내판(30)의 상부면의 법선 방향을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에 있어서, 광안내판(30)의 폭(L1)은 반사체(10)의 폭(L2)보다 더 클 수 있다. 도트들(21S)은 끈적거리지 않을 수 있고, 도트들(21S)은 광안내판(30)의 바닥면(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모듈(108)은 제3 패턴(2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 패턴(23)은 광안내판(30)과 반사체(10) 사이에 배치되고, 제3 패턴(23)은 제1 패턴(22)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3 패턴(23)은 광흡수 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흡수 물질의 흡수율은 20%보다 클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3 패턴(23)은 제1 패턴(22)과 반사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거나, 제3 패턴(23)은 광안내판(30)과 제1 패턴(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 패턴(23)을 구비하지 않고; 제1 패턴(22)은 단일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끈적거리고 광흡수 물질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제1 패턴(22)은 복수-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복수층들 중 하나는 광흡수 물질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된 서로 다른 실시예들은 결합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 차폐 패턴(24)(블랙 매트릭스, BM)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경계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턴(22) 및 제3 패턴(23)은 광 차폐 패턴(24)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안내판(30)의 상부면의 법선 방향을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턴(22)의 폭(L3)은 광 차폐 패턴(24)의 폭(L5)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고, 제3 패턴(23)의 폭(L4)은 광 차폐 패턴(24)의 폭(L5)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패턴(22)의 폭(L3)과 제3 패턴(23)의 폭(L4) 사이의 관계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패턴(22)이 광을 흡수할 때 또는 광흡수 물질이 제1 패턴(22)에 대응하여 배치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광 누설은 감소될 수 있다. See Figure 18.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modu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ome elements are not shown in FIG. 18 to clearly explain the features of this embodiment. In the
결론적으로, 제1 패턴은 광안내판 상에 반사체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광안내판과 반사체를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패턴은 제2 패턴의 물질을 악화시킬 수 있는 외부 환경(예를 들어, 습기 또는 산소)으로부터의 영향을 막을 수 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도는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젤이 구비될 필요가 없고, 반사체는 접착 패턴을 통해 광안내판에 접착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두께를 감소시킬 목적은 달성될 수 있다. Consequently, the first pattern can be used to couple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reflector to immobilize the reflector on the light guide plate. In addition to this, the first pattern can prevent influenc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eg, moisture or oxygen) that can deteriorate the material of the second pattern; As a result, reli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improved.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bezel, and the reflector is adhered to the light guide plate through an adhesive pattern; Thus, the object of reducing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achieved.
상기의 개시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일 뿐, 본 개시를 한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을 줄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행해진 변형들, 대체들, 또는 개선들은 본 개시의 청구된 범위 내에 포함된다. The above disclosures are mere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disclosure. Modifications, substitutions, or improvements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fall within the claime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2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백라이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모듈은,
중심 영역 및 외곽 영역을 가지는 광안내판으로, 상기 외곽 영역은 상기 중심 영역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안내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
반사체로, 상기 반사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광안내판의 바닥면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곽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체와 상기 광안내판은 상기 제1 패턴을 통해 부착되고; 및
제2 패턴으로, 상기 제2 패턴은 복수의 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트들은 상기 반사체와 상기 광안내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트들은 상기 중심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panel; and
A backlight modul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nel;
The backlight module,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central area and an outer area, wherein the outer area is disposed around the central area;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light guide plate;
a reflecto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flector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 first pattern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region,
the reflector and the light guide plate are attached through the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wherein the second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dots, the dots are disposed between the reflector and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dots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entral region.
상기 광안내판의 상기 바닥면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광안내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lector,
a first part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art;
The second part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접착풀; 및
상기 접착풀 안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ots is
adhesive glue;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particles disposed in the adhesive p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201762478680P | 2017-03-30 | 2017-03-30 | |
| US62/478,680 | 2017-03-30 | ||
| CN201710530783.8 | 2017-07-03 | ||
| CN201710530783.8A CN108663857A (en) | 2017-03-30 | 2017-07-03 |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11515A KR20180111515A (en) | 2018-10-11 |
| KR102479242B1 true KR102479242B1 (en) | 2022-12-19 |
Family
ID=6378469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23492A Active KR102479242B1 (en) | 2017-03-30 | 2018-02-27 |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79242B1 (en) |
| CN (1) | CN108663857A (en) |
| MY (1) | MY202726A (en) |
| PH (1) | PH1201800007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812766A (en) * | 2019-04-11 | 2020-10-23 | 立景光电股份有限公司 | front light display |
| US11231538B1 (en) | 2020-10-16 | 2022-01-25 | Mark Kuo | Backlight module with reflection-reducing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CN114660697A (en) * | 2020-12-23 | 2022-06-24 | 郭家豪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70081361A1 (en) * | 2005-10-12 | 2007-04-12 | Donald Clary |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s |
| US20080232135A1 (en) * | 2006-05-31 | 2008-09-2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Light guide |
Family Cites Families (1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303245B2 (en) * | 1992-12-11 | 2002-07-15 |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 Surface emitting device |
| KR0139881Y1 (en) * | 1993-02-04 | 1999-05-01 | 박경팔 | Plane type back light device |
| AU686481B2 (en) * | 1994-12-16 | 1998-02-05 | Canon Kabushiki Kaisha |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
| JP2830972B2 (en) * | 1995-03-06 | 1998-12-0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Liquid crystal display |
| JPH09147618A (en) * | 1995-11-20 | 1997-06-06 | Sharp Corp | Lighting system |
| JP2006171585A (en) * | 2004-12-17 | 2006-06-29 | Enplas Corp | Reflection membe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
| CN1881023B (en) * | 2005-06-16 | 2011-11-23 | 清华大学 | Backlight module |
| JP2010146784A (en) * | 2008-12-17 | 2010-07-01 | Sony Corp | Planar light-emitting device |
| TW201341894A (en) * | 2012-04-06 | 2013-10-16 | Au Optronics Corp | Display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 CN203223817U (en) * | 2013-05-03 | 2013-10-02 | 奇菱光电股份有限公司 | Anti-scratch backlight module |
| CN106796368B (en) * | 2014-10-06 | 2020-10-30 |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 Light guide unit,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
| KR102143087B1 (en) * | 2015-09-23 | 2020-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ratus having the same |
| WO2017086005A1 (en) * | 2015-11-19 | 2017-05-26 | ソニー株式会社 | Lighting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
| CN105739009A (en) * | 2016-05-13 | 2016-07-0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as well as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with same |
-
2017
- 2017-07-03 CN CN201710530783.8A patent/CN108663857A/en active Pending
-
2018
- 2018-02-20 MY MYPI2018700642A patent/MY202726A/en unknown
- 2018-02-27 KR KR1020180023492A patent/KR102479242B1/en active Active
- 2018-03-05 PH PH12018000070A patent/PH12018000070B1/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70081361A1 (en) * | 2005-10-12 | 2007-04-12 | Donald Clary |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s |
| US20080232135A1 (en) * | 2006-05-31 | 2008-09-2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Light guid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MY202726A (en) | 2024-05-16 |
| KR20180111515A (en) | 2018-10-11 |
| CN108663857A (en) | 2018-10-16 |
| PH12018000070B1 (en) | 2022-01-14 |
| PH12018000070A1 (en) | 2019-02-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429569B2 (en) | Display device | |
| CN103629627B (en) | Nanophosphor sheet and back lighting device | |
| JP6636927B2 (en) |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 |
| CN103732975B (en) | Illumina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 |
| US10795192B2 (en) | Display device | |
| KR102735178B1 (en) | Display apparatus and tile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 TWI674461B (en)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JP7638341B2 (en) |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 |
| JP2023512767A (en) | Backlight with pattern reflector | |
| KR102479242B1 (en) | Display device | |
| CN114460776B (en) |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 |
| KR101441306B1 (en) |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JP6929725B2 (en) |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is | |
| KR101823675B1 (en) | Back light umit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method of manufacuring the same and LCD using the same | |
| JP2022152904A (en) | Luminaire and display device | |
| KR102594498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 KR102392698B1 (en) | Light-Emitt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Emitting Module | |
| KR102328886B1 (en) | Display Device | |
| JP2017157467A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101737799B1 (en) | Light shielding tape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
| KR102533254B1 (en) | Backlight device for display | |
| EP4075500A1 (en) | Display device and splicing display device | |
| KR102611355B1 (en) | Quantum dot sheet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KR20060104795A (en) | Backlight Unit of Flat Panel Display | |
| KR101260988B1 (en) | Reflector sheet for back light uint and back light uint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