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73618B1 - Multi-layer fabric - Google Patents

Multi-layer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618B1
KR102473618B1 KR1020200125231A KR20200125231A KR102473618B1 KR 102473618 B1 KR102473618 B1 KR 102473618B1 KR 1020200125231 A KR1020200125231 A KR 1020200125231A KR 20200125231 A KR20200125231 A KR 20200125231A KR 102473618 B1 KR102473618 B1 KR 10247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lain weave
weave
region
tissu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8356A (en
Inventor
허진욱
정일
김기정
김효은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ES20871440T priority Critical patent/ES2994579T3/en
Priority to CN202080067061.3A priority patent/CN114514345B/en
Priority to CA3149662A priority patent/CA3149662A1/en
Priority to PL20871440.2T priority patent/PL4006220T3/en
Priority to EP20871440.2A priority patent/EP4006220B1/en
Priority to MX2022003831A priority patent/MX2022003831A/en
Priority to JP2022514002A priority patent/JP7445747B2/en
Priority to RS20241195A priority patent/RS66107B1/en
Priority to HRP20241470TT priority patent/HRP20241470T1/en
Priority to PCT/KR2020/013176 priority patent/WO2021066439A1/en
Priority to US17/629,808 priority patent/US11920265B2/en
Publication of KR2021003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3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61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직물 및 상기 다중직물로 형성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중직물은 차량의 전복 시 깨진 유리 파편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abric and an airbag formed of the multi-fabric. The multi-fabric can provide an airbag capable of sufficiently protecting a driver or passengers by minimizing damage caused by fragments of broken glass when a vehicle rolls over.

Description

다중직물{MULTI-LAYER FABRIC}Multi-layer fabric {MULTI-LAYER FABRIC}

본 발명은 다중직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fabrics.

최근 자동차 등의 교통기관의 충돌 시의 운전자나 승객의 안전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어 각종 에어백의 장착률이 향상되고 있다. 에어백이란, 교통기관이 정면 충돌이나 측면 충돌 시에 받는 충격을 센서가 감지하여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팽창 가능한 기포에 유입시킴으로써 에어백을 급속히 전개·팽창시켜, 그 팽창한 기포가 가지는 쿠션성에 의해 운전자나 승객이 받을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인체를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improvement in the safety of drivers and passenger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a vehicle or other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installation rate of various airbags is increasing. An airbag is an airbag that rapidly deploys and inflates an airbag by injecting gas from an inflator into an inflatable bubble after a sensor detects an impact received during a frontal or side collision, and the cushioning properties of the inflated bubble ensure that the driver or passenger It means to protect the human body by mitigating the shock to be received.

예전에는 에어백이 운전석, 혹은 운전석과 조수석과 같이 전면부에 장착되어 있어 주로 자동차의 정면 충돌 시에 있어서의 승객의 안면 및 상반신의 보호용으로서 장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측방으로부터의 충돌이나 교통기관의 전복에도 대응할 수 있는 커튼형 에어백도 개발되고 있다.BACKGROUND ART In the past, airbags have been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a driver's seat, or a driver's seat and a front passenger seat, and are mainly used to protect the face and upper body of a passenger in a frontal collision of a vehicle. However, in recent years, curtain-type airbags capable of responding to collisions from the side or overturning of vehicles have also been developed.

이 커튼형 에어백은 차내 측벽의 루프 레일을 따라 프런트 필러측으로부터 리어 필러측까지의 영역에 수납되고, 충돌 시에 측면 창을 따라 팽창, 전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커튼형 에어백은 수납성이 뛰어날 것(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을 것), 그리고 승객 머리와 측면 유리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측면 충돌 시에는 승객 머리와 유리 사이에 순간적으로 비집고 들어가 머리를 지킬 필요가 있어 팽창·전개 속도가 빠를 것이 요구된다. 또한, 교통기관의 전복 시에 전개되고 나서 몇 초 정도는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교통기관의 전복 시에 측면 유리가 깨지지 않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깨진 측면 유리 파편에 의해 에어백이 쉽게 찢어져 승객을 보호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This curtain-type airbag is designed to be housed in a region from the front pillar side to the rear pillar side along the roof rail of the side wall of the vehicle interior, and to inflate and deploy along the side window at the time of a collision. A curtain-type airbag should have excellent storage capacity (it should be able to be folded compactly), and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assenger's head and the side glass is short,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head by momentarily squeezing between the passenger's head and the glass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The development speed is required to be fast.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internal pressure for a few seconds after the vehicle is deployed when the vehicle is overturned. However, it is very rare that the side glass is not broken when the vehicle rolls over, and the airbag is easily torn by the broken side glass fragments, making it difficult to protect passengers.

본 발명은 깨진 유리 파편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한 다중직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abric that minimizes damage caused by broken glass fragment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중직물로 형성된 에어백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irbag formed of the multi-fabric.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다중직물과 이로부터 형성되는 에어백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ulti-fabric fabric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irbag formed therefrom will be described.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서로 분리된 2 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접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1/1 평직을 포함한 2 종 이상의 조직으로 형성된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다중직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xpansion unit having a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joint portion surrounding the expanded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layer of the expanded portion includes a first region formed of two or more types of tissues including 1/1 plain weave.

상기 다중직물은 일체형 직조 방식에 의해 봉제부 없이 제조되는 것으로, 서로 분리된 2 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접결부를 갖는 원 피스 우븐(one piece woven)일 수 있다. The multi-fabric is manufactured without a sewing part by an integral weaving method, and may be a one-piece woven having an expansion part having a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joint part surrounding the expansion part.

다중직물은 기체에 의해 부풀 수 있는 특성을 가져 차량용 에어백이나 구명 조끼 등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용 에어백에 사용되는 다중직물은 차량의 전복 시 운전자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부푼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에어백에 사용되는 다중직물이 차량의 깨진 유리 파편 등에 의해 찢어져 운전자나 승객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Multi-fabric has the property of being inflated by air and is used in vehicle airbags and life jackets. In particular, multi-fabric fabrics used in vehicle airbags need to remain inflated to protect the driver or passengers when the vehicle rolls ov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ulti-fabric fabric used in the airbag is torn by fragments of broken glass of the vehicle and does not sufficiently protect the driver or passengers.

본 발명은 이러한 다중직물에 특정 조직 패턴을 도입하면, 원 피스 우븐의 우수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깨진 유리 파편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완성되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upon discovering that damage caused by broken glass fragments can be minimized while maintaining the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a one-piece woven fabric by introducing a specific tissue pattern into such a multi-fabric fabric.

상기 다중직물의 팽창부는 서로 분리된 2 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2 층의 구조, 3 층의 구조 혹은 4 층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를 구성하는 층은 직물로서, 본 명세서에서 직물층으로 호칭될 수 있다. The expansion part of the multi-fabric has a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may have, for example, a two-layer structure, a three-layer structure, or a four-layer structure. In addition, the layer constituting the expansion part is a fabric, and may be referred to as a fabric layer in this specification.

상기 팽창부는 이를 둘러싸는 접결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상기 팽창부에 기체가 공급될 경우 공급된 기체를 가두어 부풀 수 있다. Since the expansion part is closed by the connecting part surrounding it, when gas is supplied to the expansion part, the supplied gas can be confined and inflated.

상기 다중직물은 일체형 직조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원 피스 우븐(one piece woven)으로서, 상기 접결부는 팽창부를 구성하는 어느 한 직물층의 원사(경사 혹은 위사)와 다른 한 직물층의 원사(위사 혹은 경사)가 교차되어 팽창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조직점(접결점)의 군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결부는 팽창부를 구성하는 어느 한 직물층의 경사가 다른 한 직물층의 위사와 교차되어 팽창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조직점의 군이거나, 혹은 팽창부를 구성하는 어느 한 직물층의 경사 및 위사가 각각 다른 한 직물층의 위사 및 경사와 교차되어 팽창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조직점의 군일 수 있다. 상기 다중직물이 서로 분리된 3 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팽창부를 포함한다면, 가장 최외각에 위치하는 2 개의 직물층들의 원사가 교차되어 팽창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조직점을 형성함으로써 팽창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물론, 팽창부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구 등 해당 기술분야에서 필요한 구성을 도입하기 위한 부분은 폐쇄시키지 않은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The multi-fabric is a one-piece woven fabric manufactured by an integral weaving method, and the joint is a yarn (warp or weft) of one fabric layer constituting the expansion part and a yarn (weft or weft) of another fabric layer. It may refer to a group of tissue points (junction point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expansion part by intersecting slopes. More specifically, the joint is a group of tissue point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expansion part by crossing the warp yarn of one fabric layer constituting the expansion part with the weft yarn of the other textile layer, or a group of tissue points constituting the expansion part. The warp yarns and the weft yarns may be a group of tissue point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expansion part by crossing the weft yarns and the warp yarns of another fabric layer, respectively. If the multi-fabric includes an expanded portion having a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yarns of the outermost two fabric layers are crossed to form a tissue point along the edge of the expanded portion, thereby closing the expanded portion. Of course, a portion for introducing components required in the related art, such as an inlet for supplying gas to the expansion unit, may be manufactured in an unclosed state.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다중직물로서 2 층의 구조를 갖는 이중직물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나, 이러한 내용은 3 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중직물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double fabric having a two-layer structure as the multi-fabric is described in detail, but this information can be applied to a multi-fabric having a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as it is.

상기 다중직물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2 개의 직물층 및 상기 2 개의 직물층의 외주가 접결부에 의해 접결된 구조의 이중직물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ulti-fabric may be a double-fabric structure in which two fabric lay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uter circumferences of the two fabric layers are joined by a joint.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다중직물은 팽창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이 1/1 평직을 포함한 2 종 이상의 조직으로 형성된 제 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ulti-fabric fabr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t least one layer constituting the expansion part may include a first region formed of two or more types of tissues including 1/1 plain weave.

1/1 평직으로 직조된 직물은 실이 조밀하게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강도는 높지만 인열강도는 반대로 낮은 경향이 있다. 직물에서 인열강도는 경사 또는 위사를 이루는 원사가 끊어질 때 요구되는 힘의 강도를 의미하는데, 원사 1 가닥에만 힘이 가해지면 원사는 순간적으로 끊어지게 되나, 2 가닥 이상의 원사에 동일한 힘이 가해지면 원사는 끊어지기보다는 힘에 의해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원사 움직임 효과는 1/1 평직 보다 그 외의 조직에 있어 발생 빈도가 높아 1/1 평직 외의 조직으로 직조된 직물은 1/1 평직으로 직조된 직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인열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1/1 평직 외의 조직으로 직조된 직물은 1/1 평직 보다 인장강도가 매우 낮아 에어백 원단으로 사용되기에 부적합하다. Fabrics woven with 1/1 plain weave tend to have high tensile strength but low tear strength because the yarns are densely packed. In textiles, tear strength refers to the strength of force required when yarns constituting warp or weft yarns break. Ground yarns are pushed out by the force rather than broken. This yarn movement effect occurs more frequently in other tissues than in 1/1 plain weave, so fabrics woven with tissues other than 1/1 plain weave can show relatively higher tear strength than fabrics woven with 1/1 plain weave. . However, fabrics woven with structures other than 1/1 plain weave have very low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1/1 plain weave, making them unsuitable for use as airbag fabrics.

이에,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다중직물은 깨진 유리 파편과 같은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으면서도 인장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팽창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이 1/1 평직을 포함한 2 종 이상의 조직으로 형성된 제 1 영역을 포함한다. Accordingly, in the multi-fabr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t least one layer constituting the expansion part is made of 1/1 plain weave so that it can exhibit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without being easily torn by sharp objects such as broken glass fragments. It includes a first region formed of two or more types of tissues including.

또한, 상기 팽창부를 구성하는 층에서 상기 제 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1/1 평직으로 형성된 제 2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t of the layer constituting the expansion part except for the first region may be composed of a second region formed of 1/1 plain weave.

이로써 상기 다중직물은 1/1 평직 직물 수준의 우수한 인장강도를 나타내면서 1/1 평직 직물 대비 현저하게 향상된 인열강도를 나타내 유리 파편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위치에 수납되는 커튼형 에어백에도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multi-woven fabric exhibits excellent tensile strength at the level of 1/1 plain weave fabric and significantly improved tear strength compared to 1/1 plain weave fabric, so it can be suitably used for curtain-type airbags stored in a position easily torn by glass fragments. have.

특히, 상기 제 1 영역에서 1/1 평직 외의 다른 조직은 1/1 평직 2 내지 15 개마다 삽입되어 상기 다중직물이 1/1 평직 직물 수준의 우수한 인장강도를 나타내면서 1/1 평직 직물 대비 현저하게 향상된 인열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first region, tissues other than 1/1 plain weave are inserted every 2 to 15 1/1 plain weave, so that the multi-weave exhibits excellent tensile strength at the level of 1/1 plain weave fabric and is remarkably superior to 1/1 plain weave fabric. Improved tear strength can be realiz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1/1 평직 외의 다른 조직이 1/1 평직 2 내지 15 개, 2 내지 13 개, 2 내지 11 개, 3 내지 15 개, 5 내지 15 개, 3 내지 13 개, 5 내지 11 개, 2 내지 5 개, 3 내지 5 개 혹은 약 5 개마다 삽입되는 패턴으로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다중직물은 1/1 평직으로만 이루어진 일반 OPW 원단에 비해 매우 향상된 인열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다중직물로부터 제조된 에어백은 전개 후에도 우수한 기밀성(air tightness)을 나타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gion includes 2 to 15, 2 to 13, 2 to 11, 3 to 15, 5 to 15, 3 to 13 1/1 plain weave structures other than the 1/1 plain weave. It may be woven in a pattern that is inserted every 5, 5 to 11, 2 to 5, 3 to 5 or about 5. The multi-fabric fabric including the first region can exhibit significantly improved tear strength compared to a general OPW fabric made of only 1/1 plain weave, and an airbag manufactured from such a multi-fabric fabric can exhibit excellent air tightness even after deployment. can

상기 1/1 평직 외의 다른 조직은 직물층의 경사 방향에 대하여 상술한 1/1 평직 개수 마다 삽입되거나, 위사 방향에 대하여 상술한 1/1 평직 개수 마다 삽입되거나, 혹은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상술한 1/1 평직 개수 마다 삽입될 수 있다. Tissues other than the 1/1 plain weave are inserted every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1/1 plain weave in the warp direction of the fabric layer, or inserted every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1/1 plain weave in the weft direction, or in both the warp and weft directions. It can be inserted every 1/1 plain weave number.

이 중에서도 상기 1/1 평직 외의 다른 조직이 직물층의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상술한 1/1 평직 개수 마다 삽입되는 것이 다중직물의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인열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 Among these, it is advantageous that tissues other than the 1/1 plain weave are inserted for every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1/1 plain weave in both the warp and weft directions of the fabric layer, as it can further improve the tear strength while maintaining the excellent durability of the multi-woven fabric. .

상기 1/1 평직 외의 다른 조직은 상술한 1/1 평직 개수 마다 1 내지 5 개, 1 내지 3 개, 1 내지 2 개 혹은 1 개씩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다중직물의 우수한 제반 특성을 유지하면서 인열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Tissues other than the 1/1 plain weave may be inserted 1 to 5, 1 to 3, 1 to 2, or 1 per number of 1/1 plain weave. With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ear strength while maintaining excellent properties of the multi-woven fabric.

상기 팽창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해당 층의 전체 면적 대비 5 % 내지 50 %의 면적 비율로 제 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충분한 인열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급격한 공기 유입에 의해 상기 팽창부가 급격히 전개될 때에도 우수한 기밀성을 나타낼 수 있다. At least one layer of the expansion part may include the first region at an area ratio of 5% to 50%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of the corresponding layer. Within this range, a sufficient tear strength improvement effect can be exhibited, and excellent airtightness can be exhibited even when the expansion part rapidly expands due to rapid air inflow.

상기 1/1 평직을 포함한 2 종 이상의 조직은, 1/1 평직과, 2/1 능직(twill), 3/1 주자직(satin), 2/2 바스켓직 및 3/3 바스켓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조직일 수 있다. Two or more types of tissues, including the 1/1 plain weave, are a group consisting of 1/1 plain weave, 2/1 twill, 3/1 satin, 2/2 basket weave and 3/3 basket weave It may be one or more organizations selected from.

만일 1/1 평직 외의 다른 조직이 상술한 조직 외의 4/1, 5/1 혹은 4/4 등의 조직일 경우, 인열강도는 상승할 수 있으나 에어백 원단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신율, 기밀성 등의 제반 특성이 저하되어 에어백 등의 용도로 활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If the tissue other than 1/1 plain weave is 4/1, 5/1 or 4/4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tissue, the tear strength may increase, but the elongation, airtightness, etc. It may be difficult to utilize for purposes such as airbags due to deteriora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이 중에서도 상기 1/1 평직을 포함한 2 종 이상의 조직으로 1/1 평직과, 2/1 능직 및 3/1 주자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조직을 채용하는 것이 다중직물의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인열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 특히, 상기 1/1 평직을 포함한 2 종 이상의 조직으로 1/1 평직과 2/1 능직을 채용하여 가장 우수한 인열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다중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Among them, employing at least one tissu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1 plain weave, 2/1 twill weave and 3/1 satin weave as two or more types of tissue including the 1/1 plain weave maintains the excellent durability of the multi-weave while maintaining It is advantageous because it can improve tear strength. In particular, by employing a 1/1 plain weave and a 2/1 twill weave as two or more types of tissues including the 1/1 plain wea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fabric fabric having the best tear strength and durability.

한편, 상기 1/1 평직 외의 다른 조직이 직물층의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삽입되는 경우, 상기 1/1 평직 외의 다른 조직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2/1 능직, 3/1 주자직, 2/2 바스켓직, 3/3 바스켓직 혹은 립-스톱(rip-stop) 등 다른 조직이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issues other than the 1/1 plain weave are inserted in both the warp and weft directions of the fabric layer, 2/1 twill weave, 3/1 satin weave, and 2/1 plain weave are intersected with tissues other than the 1/1 plain weave. Other weaves may be implemented, such as 2 basket weave, 3/3 basket weave or rip-stop.

일 예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1 능직을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일정 개수의 1/1 평직 마다 삽입하는 경우, 2/1 능직이 교차하는 지점에 2/2 바스켓직이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2/1 twill weave is inserted every a certain number of 1/1 plain weave in both the warp and weft directions, a 2/2 basket weave will be implemented at the point where the 2/1 twill weave intersects. can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다중직물의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직물층에 삽입되어 외부의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다중직물이 찢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중직물이 이중직물일 경우, 상기 제 1 영역은 2 층의 직물층 모두에 삽입되며, 다중직물이 3 층 이상의 직물층을 가지는 다중직물일 경우 상기 제 1 영역은 바깥쪽 2 층의 직물층에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reg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most fabric layer of the multi-fabric to effectively prevent the multi-fabric from being torn by an external sharp object. When the multi-woven fabric is a double-woven fabric, the first region is inserted into all of the two fabric layers, and when the multi-woven fabric is a multi-woven fabric having three or more fabric layers, the first reg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two fabric layers. can be inserted.

상기 다중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원사는, 예를 들면, 나일론 66, 나일론 6, 나일론 46,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공중합 또는 혼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마이드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공중합 또는 혼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일 수 있다. Yarns for weaving the multi-fabric include, for example, polyamide fibers obtained by single or copolymerization or mixing of nylon 66, nylon 6, nylon 46, nylon 610, nylon 612, etc.;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or the like, or polyester fibers obtained by copolymerization or mixing thereof.

상기 다중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원사의 섬도는 300 내지 700 dtex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전개 팽창 시에 요구되는 특성을 충족하면서 원하는 형상으로 팽창할 수 있고, 기포가 유연해져서 수납성이 향상되며, 고속 전개가 가능하다. The fineness of the yarn for weaving the multi-fabric may be 300 to 700 dtex. Within this range, it can expand into a desired shape while meeting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during deployment and expansion, and the cell becomes flexible to improve storage properties, and high-speed deployment is possible.

상기 다중직물은 상술한 특유한 패턴으로 직조된 팽창부를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인열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중직물의 제 1 영역은 ISO 13937-2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방향의 인열강도가 300 내지 800 N, 400 내지 750 N, 500 내지 700 N, 550 내지 650 N 혹은 600 내지 650 N이며, 위사방향의 인열강도가 350 내지 900 N, 450 내지 850 N, 500 내지 800 N, 600 내지 800 N, 650 내지 750 N 혹은 700 내지 750 N일 수 있다. The multi-fabric may exhibit excellent tear strength as it includes the expansion part woven in the above-described unique pattern. In particular, the first region of the multi-woven fabric has a tear strength in the warp direction measured in accordance with ISO 13937-2 of 300 to 800 N, 400 to 750 N, 500 to 700 N, 550 to 650 N, or 600 to 650 N And, the tear strength in the weft direction may be 350 to 900 N, 450 to 850 N, 500 to 800 N, 600 to 800 N, 650 to 750 N or 700 to 750 N.

또한, 상기 다중직물은 우수한 인열강도를 나타냄에도 기존의 1/1 평직 직물 수준의 높은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중직물의 제 1 영역은 ISO 13934-1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방향의 인장강도가 3200 내지 3500 N/5cm, 3300 내지 3500 N/5cm 혹은 3400 내지 3500 N/5cm이며, 위사방향의 인장강도가 2800 내지 3300 N/5cm, 3000 내지 3300 N/5cm, 3050 내지 3300 N/5cm 혹은 3100 내지 3300 N/5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직물의 제 1 영역은 ISO 13934-1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방향의 신율이 25 % 내지 45 %, 30 % 내지 45 % 혹은 35 % 내지 45 %이며, 위사방향의 신율이 20 % 내지 40 %, 25 % 내지 40 % 혹은 27 % 내지 40 %일 수 있다. 상기 인열강도, 인장강도 및 신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기재된 사항을 참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fabric may exhibit high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the level of conventional 1/1 plain weave fabrics even though it exhibits excellent tear strength. In particular, the first region of the multi-fabric has a tensile strength of 3200 to 3500 N / 5cm, 3300 to 3500 N / 5cm, or 3400 to 3500 N / 5cm in the warp direction measured according to ISO 13934-1, and in the weft direction Tensile strength may be 2800 to 3300 N/5cm, 3000 to 3300 N/5cm, 3050 to 3300 N/5cm, or 3100 to 3300 N/5cm. In addition, the first region of the multi-woven fabric has an elongation of 25% to 45%, 30% to 45%, or 35% to 45% in the warp direction measured according to ISO 13934-1, and an elongation in the weft direction of 20% to 40%, 25% to 40% or 27% to 40%. The method of measuring the tear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may refer to the details described in the test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다중직물은 차량용 에어백 등에 활용될 경우 직물의 틈새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중직물의 일면 혹은 양면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다중직물은 통상적으로 섬유 코팅에 사용되는 수지로 코팅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실리콘 수지, 우레탄계 수지, 올리핀계 수지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다중직물에는 나이프 코트법, 닥터블레이드법, 분무 코트법 등을 통해 상기 수지가 코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이트 코트법에 의해 상기 수지가 코팅될 수 있다. When the multi-fabric is used for vehicle airbags,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multi-fabric may be coated to prevent air from leaking through gaps in the fabric. The multi-fabric may be coated with a resin commonly used for fiber coating, and may be coated with a silicone resin, a urethane-based resin, an olefin-based resin, or a mixture thereof, as non-limiting examples. The multi-fabric may be coated with the resin through a knife coat method, a doctor blade method, a spray coat method, or the like, and preferably, the resin may be coated by a night coat method.

상기 다중직물을 코팅하는 방법은 2 회 이상 코팅하는 다단계 코팅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다단계 코팅 방식을 이용할 경우,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코팅량에 비하여 원단의 두께를 감소시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oating the multi-fabric may be performed by a multi-step coating method in which coating is performed twice or more. When using such a multi-step coating method, airtightness can be improved and flexibility can be secur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abric compared to the amount of coating.

상기 수지의 코팅량은 약 30 g/m2 내지 150 g/m2, 약 50 g/m2 내지 150 g/m2, 약 60 g/m2 내지 150 g/m2, 혹은 약 70 g/m2 내지 150 g/m2으로 조절하여 표면 끈적거림에 의한 내블로킹의 저하나 원가 상승 등의 문제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공기내압성능 및 수납성을 가지는 경량의 다중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ating amount of the resin is about 30 g/m 2 to 150 g/m 2 , about 50 g/m 2 to 150 g/m 2 , about 60 g/m 2 to 150 g/m 2 , or about 70 g/m 2 . m 2 to 150 g/m 2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weight multi-fabric having excellent air pressure performance and storage capacity without causing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blocking resistance due to surface stickiness or an increase in cost.

만일 상기 수지가 다단계 코팅 방식으로 코팅될 경우, 베이스 코팅층의 코팅량을 60 g/m2 내지 75 g/m2으로 조절하여 상술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If the resin is coated in a multi-step coating method, the above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by adjusting the coating amount of the base coating layer to 60 g/m 2 to 75 g/m 2 .

한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중직물로 형성된 에어백이 제공된다. 상기 다중직물은 상술한 특정 조직 패턴을 통해 원 피스 우븐의 우수한 특성은 물론 현저히 향상된 인열강도를 나타내 깨진 유리 파편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은 성질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다중직물로 형성된 에어백은 차량의 전복 시에도 깨진 유리 파편 등으로부터 운전자나 승객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bag formed of the multi-fabric is provided. The multi-fabric exhibits not only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the one-piece woven through the above-described specific tissue pattern, but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ear strength and is not easily torn by broken glass fragments. Accordingly, the airbag formed of the multi-fabric material can sufficiently protect the driver or passengers from broken glass fragments even when the vehicle rolls ov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중직물은 차량의 전복 시 깨진 유리 파편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ulti-fabri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irbag capable of sufficiently protecting a driver or passengers by minimizing damage caused by broken glass fragments when a vehicle rolls o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중직물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2/1 능직이 1/1 평직에 삽입된 제 1 영역의 조직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이중직물의 조직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1/1 평직을 보여주는 직물의 조직도이다.
도 5은 도 4의 직물의 조직도에 따른 이중직물의 조직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ouble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e diagram of a first region in which 2/1 twill weave is inserted into 1/1 plain wea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double fabric including the first region of FIG. 2;
4 is a structure diagram of a fabric showing a 1/1 plain weave of Comparative Example 1.
5 is a view show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double fabric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hart of the fabric of FIG.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invention, and thereby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in any sense.

실시예 1: 이중직물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double fabric

470 dtex의 폴리아마이드(나일론 66) 원사를 사용하여 자카드직기에서 이중직물을 제조하였다. A double weave was manufactured on a jacquard loom using 470 dtex polyamide (nylon 66) yarn.

상기 이중직물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2 층의 직물층과 상기 2 개의 직물층의 외주가 접결된 구조로, 일체형 직조 방식에 의해 한 번에 직조되었다. As shown in FIG. 1, the double fabric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fabric lay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wo fabric layers are connected, and was woven at once by an integral weaving method.

층분리된 2 개의 직물층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1/1 평직 3 개 마다 2/1 능직이 배치되도록 직조된 제 1 영역이 포함되도록 제조되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two separated fabric layers were prepared to include a first region woven so that 2/1 twill weave was arranged for every three 1/1 plain weave in both warp and weft directions, respectively. .

상기 제조된 이중직물의 양면 각각에 75 g/m2의 실리콘 수지를 나이프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90℃ 내지 150℃까지 점차 승온시켜 1차 경화를 진행한 후, 180℃에서 열처리하여 코팅된 이중직물을 제조하였다. 75 g/m 2 of silicone resin is coated on each side of the double fabric prepared above using a knife, and then the temperature is gradually raised to 90° C. to 150° C. fabric was made.

실시예 2: 이중직물의 제조Example 2: Preparation of double fabric

실시예 1에서 제 1 영역을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1/1 평직 5 개 마다 2/1 능직이 배치되도록 직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된 이중직물을 제조하였다. A coated double fabric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 Example 1, the first region was woven so that 2/1 twill weave was arranged for every 5 1/1 plain weave in both warp and weft directions.

실시예 3: 이중직물의 제조Example 3: Preparation of double fabric

실시예 1에서 제 1 영역을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1/1 평직 11 개 마다 2/1 능직이 배치되도록 직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된 이중직물을 제조하였다. A coated double fabric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 Example 1, the first region was woven so that 2/1 twill weave was arranged for every 11 1/1 plain weave in both warp and weft directions.

실시예 4: 이중직물의 제조Example 4: Preparation of double fabric

실시예 1에서 제 1 영역을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1/1 평직 13 개 마다 2/1 능직이 배치되도록 직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된 이중직물을 제조하였다. A coated double fabric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 Example 1, the first region was woven so that 2/1 twill weave was arranged for every 13 1/1 plain weave in both warp and weft directions.

실시예 5: 이중직물의 제조Example 5: Preparation of double fabric

실시예 2의 제 1 영역에서 2/1 능직 대신 3/1 주자직이 배치되도록 조직 패턴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된 이중직물을 제조하였다. A coated double fabric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weave pattern was changed so that a 3/1 satin weave was placed instead of a 2/1 twill weave in the first region of Example 2.

비교예 1: 이중직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double fabric

실시예 1에서 이중직물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1 평직으로만 직조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된 이중직물을 제조하였다. A coated double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double fabric in Example 1 was woven only with 1/1 plain weave as shown in FIGS. 4 and 5.

시험예: 이중직물의 물성 평가Test Example: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double fabric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이중직물의 제 1 영역에서 각각 5 개씩 샘플을 준비하고,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중직물에서 5 개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준비된 샘플의 물성을 하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Five samples were prepared from each of the first regions of the double fabric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five samples were prepared from the double fabric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samples were evaluat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and the average values were obtained and shown in Table 1.

1. 인열강도1. Tear strength

상기 준비한 샘플의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에서의 인열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열강도는 상기 샘플을 상온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 ISO 13937-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경사 방향에서의 인열강도와 위사 방향에서의 인열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The tear strength of the prepared sample in the warp direction and the weft direction was measured. The tear strength was measured according to ISO 13937-2 after leaving the sample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the tear strength in the warp direction and the tear strength in the weft direction were measured,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2. 신율2. Elongation

상기 준비한 샘플의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에서의 신율을 측정하였다. 신율은 상기 샘플을 상온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 ISO 13934-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경사 방향에서의 신율과 위사 방향에서의 신율을 각각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Elongation of the prepared sample in the warp direction and the weft direction was measured. Elongat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ISO 13934-1 after leaving the sample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elongation in the warp direction and elongation in the weft direction were measured,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3. 인장강도3. Tensile strength

상기 준비한 샘플의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에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는 상기 샘플을 상온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 ISO 13934-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경사 방향에서의 인장강도와 위사 방향에서의 인장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The tensile strength of the prepared sample in the warp direction and the weft direction was measured.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according to ISO 13934-1 after leaving the sample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the tensile strength in the warp direction and the tensile strength in the weft direction were measured,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1/1 평직 외 조직의 삽입 간격Insertion spacing of 1/1 non-plain weave tissue 인열강도 (경사방향, N)Tear strength (warp direction, N) 인열강도 (위사방향, N)Tear strength (weft direction, N) 신율 (경사방향, %)Elongation (warp direction, %) 신율 (위사방향, %)Elongation (weft direction, %) 인장강도
(경사방향, N/5cm)
The tensile strength
(oblique direction, N/5cm)
인장강도
(위사방향, N/5cm)
The tensile strength
(weft direction, N/5cm)
실시예 1Example 1 33 589589 700700 3636 2727 34053405 33093309 실시예 2Example 2 55 614614 708708 3838 2929 34403440 30573057 실시예 3Example 3 1111 410410 458458 3939 3030 33953395 31283128 실시예 4Example 4 1313 307307 366366 4040 3030 34263426 31963196 실시예 5Example 5 55 525525 494494 2828 2525 32013201 2863286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0 256256 305305 4141 3232 34533453 3271327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중직물의 제 1 영역은 1/1 평직을 포함한 2 종 이상의 조직으로 형성되더라도 1/1 평직으로만 형성된 이중직물(비교예 1)과 거의 동등한 수준의 신율과 인장강도를 나타내면서 현저히 향상된 인열강도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다중직물은 파손된 유리편에 의해 손상되지 않거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백을 제공할 수 있음이 확인된다.Referring to Table 1, the first region of the multi-wea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 fabric formed of only 1/1 plain weave (Comparative Example 1) even though it is formed of two or more types of tissues including 1/1 plain weave. It was confirmed that the elongation and tensile strength were exhibited at almost the same level, and the tear strength was remarkably improved. Accordingly, it is confirmed that the multi-fabric fabr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ovide an airbag that is not damaged by broken glass pieces or can minimize damage.

Claims (12)

서로 분리된 2 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접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1/1 평직을 포함한 2 종 이상의 조직으로 형성된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영역은 1/1 평직 외의 조직이 2 내지 15 개의 1/1 평직 마다 삽입되어 형성된 것인, 다중직물.
an expansion unit having a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expansion portion,
At least one layer of the expansion part includes a first region formed of two or more types of tissues including 1/1 plain weave;
The first region is formed by inserting tissues other than 1/1 plain weave every 2 to 15 1/1 plain weave, multi-fabric.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1/1 평직 외의 조직이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2 내지 15 개의 1/1 평직 마다 삽입되어 형성된 것인, 다중직물.
The multi-fabric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gion is formed by inserting tissues other than 1/1 plain weave every 2 to 15 1/1 plain weave in both warp and weft dir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1/1 평직 외의 조직이 2 내지 15 개의 1/1 평직 마다 1 내지 5 개 삽입되어 형성된 것인, 다중직물.
The multi-fabric fabri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gion is formed by inserting 1 to 5 tissues other than 1/1 plain weave for every 2 to 15 1/1 plain wea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해당 층의 전체 면적 대비 5 % 내지 50 %의 면적 비율로 포함되는, 다중직물.
The multi-fabric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gion is included in an area ratio of 5% to 50% relative to the total area of the correspond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1/1 평직과, 2/1 능직, 3/1 주자직, 2/2 바스켓직 및 3/3 바스켓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조직으로 형성된 것인, 다중직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gion is formed of one or more tissu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1 plain weave, 2/1 twill weave, 3/1 satin weave, 2/2 basket weave and 3/3 basket weave. Phosphorus, multi-fab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1/1 평직과, 2/1 능직 및 3/1 주자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조직으로 형성된 것인, 다중직물.
The multi-fabric fabric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gion is formed of at least one tissu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1 plain weave, 2/1 twill weave and 3/1 satin wea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이외의 영역은 1/1 평직으로 형성된 제 2 영역인, 다중직물.
The multi-fabric fabri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ea other than the first area is a second area formed of 1/1 plain wea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ISO 13937-2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방향의 인열강도가 300 내지 800 N이며, 위사방향의 인열강도가 350 내지 900 N인, 다중직물.
The multi-fabric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gion has a tear strength of 300 to 800 N in the warp direction and a tear strength of 350 to 900 N in the weft direction measured according to ISO 13937-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ISO 13934-1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방향의 인장강도가 3200 내지 3500 N/5cm이며, 위사방향의 인장강도가 2800 내지 3300 N/5cm인, 다중직물.
The multi-fabric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gion has a tensile strength of 3200 to 3500 N/5cm in the warp direction and a tensile strength of 2800 to 3300 N/5cm in the weft direction measured according to ISO 13934-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ISO 13934-1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사방향의 신율이 25 % 내지 45 %이며, 위사방향의 신율이 20 % 내지 40 %인, 다중직물.
The multi-fabric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gion has an elongation of 25% to 45% in the warp direction and an elongation of 20% to 40% in the weft direction measured according to ISO 13934-1.
제 1 항의 다중직물로 형성된 에어백.An airbag formed of the multi-fabric of claim 1.
KR1020200125231A 2019-09-30 2020-09-25 Multi-layer fabric Active KR102473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14002A JP7445747B2 (en) 2019-09-30 2020-09-28 multiplex fabric
CA3149662A CA3149662A1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fabric
PL20871440.2T PL4006220T3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TEXTILE MATERIAL
EP20871440.2A EP4006220B1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fabric
MX2022003831A MX2022003831A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fabric.
RS20241195A RS66107B1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fabric
ES20871440T ES2994579T3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fabric
HRP20241470TT HRP20241470T1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FABRIC
CN202080067061.3A CN114514345B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fabric
US17/629,808 US11920265B2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fabric
PCT/KR2020/013176 WO2021066439A1 (en) 2019-09-30 2020-09-28 Multilayer fabr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187 2019-09-30
KR20190121187 2019-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356A KR20210038356A (en) 2021-04-07
KR102473618B1 true KR102473618B1 (en) 2022-12-02

Family

ID=7546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231A Active KR102473618B1 (en) 2019-09-30 2020-09-25 Multi-layer fabr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61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1578A1 (en) * 2003-07-17 2005-01-20 Walsh Robert V. Bias-woven side curtain airbag
KR100853117B1 (en) 2002-11-06 2008-08-21 주식회사 코오롱 Double fabric with pneumatic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902B1 (en) * 2007-12-28 2012-11-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An inflatable fabrics and an air-bag
EP2692920A4 (en) * 2011-03-31 2014-12-10 Kolon Inc Two-layer fabric which can be inflated with ai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117B1 (en) 2002-11-06 2008-08-21 주식회사 코오롱 Double fabric with pneumatic properties
US20050011578A1 (en) * 2003-07-17 2005-01-20 Walsh Robert V. Bias-woven side curtain 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356A (en)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2920A2 (en) Two-layer fabric which can be inflated with ai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5031052A1 (en) High-density hollow weave ground fabric
EP3020607B1 (en) Air-bag
US6488311B2 (en) Integrally woven airbag
JP2017519125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ester fabric for airbag
US7681602B2 (en) Inflatable two-layer fabrics by gas
US11920265B2 (en) Multi-layer fabric
KR102473618B1 (en) Multi-layer fabric
KR20140070444A (en) Fabric for side curtain airbag including laminated layers
KR102349085B1 (en) OPW Side Curtain Airbag
JP3475768B2 (en) Base fabric for airbag and airbag
JP7620103B2 (en) Double-layered fabrics and articles containing same
JP4374871B2 (en) Bag-woven airbag base fabric, airbag and airbag device
EP4166702B1 (en) Airbag patch cloth
KR100546462B1 (en) Fabric for airbags.
KR102584297B1 (en) Two layer fabric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JP2001114051A (en) Foundation cloth for air bag and air bag
JP4769013B2 (en) Weaving method for airbag fabric base fabric
KR20130007267A (en) Aramid fabrics and airbag for a car by using the same
JP2002309462A (en) Base cloth for airbag and airbag
JPH07186856A (en) Base cloth for air bag
JP2003166143A (en) Woven fabric for air bag and air bag
JPH10325038A (en) Substrate for air bag and air bag
JP2003165407A (en) Air bag
JP2001254243A (en) Base fabric for air bag and air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