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281B1 - Tongue Immobilization Apparatus to be capable laminated coupling - Google Patents
Tongue Immobilization Apparatus to be capable laminated coup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4281B1 KR102484281B1 KR1020200150082A KR20200150082A KR102484281B1 KR 102484281 B1 KR102484281 B1 KR 102484281B1 KR 1020200150082 A KR1020200150082 A KR 1020200150082A KR 20200150082 A KR20200150082 A KR 20200150082A KR 102484281 B1 KR102484281 B1 KR 1024842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ue
- concave
- convex
- fixing device
- convex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14—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14—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 A61N2005/1018—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with multiple channels for guiding radioactive sour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4—Shielding, protecting agains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7—Means for immobilizing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부(110), 중앙부(110)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어 구강내에 삽입되어 혀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내측부(120) 및 중앙부(110)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된 외측부(130)를 갖는 몸체부(100); 상기 중앙부(11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복수의 요부(201) 및 철부(202)가 형성된 상면 요철부(210) 및 하면 요철부(220)를 갖는 요철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300)를 포함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ntral portion 110, an inner portion 12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110 a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press and fix the tongue, and a body portion having an outer portion 130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110 ( 100); a concave-convex portion 200 having an upper concave-convex portion 210 and a lower concave-convex portion 220 having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201 and convex portions 202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ntral portion 110, respectively; and a through portion 300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ue retaining devic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tongue fixing device capable of laminated bonding.
방사선 치료란, 파장이 매우 짧고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치료하는 임상의학의 한 방법으로 수술, 항암 화학 요법과 더불어 3대 암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주로 암이라고 불리는 악성 종양을 치료하지만, 양성 종양이나 일부 양성질환도 치료한다.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 조사기의 위치에 따라서 외부 방사선치료와 근접치료로 나눌 수 있다.Radiation therapy is a clinical medicine method of treating a user using radiation having a very short wavelength and high energy, and is one of the three major cancer treatment methods along with surgery and chemotherapy. It mainly treats malignant tumors called cancer, but also treats benign tumors and some benign diseases. Radiation therapy can be divided into external radiation therapy and brachytherap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irradiator.
방사선 치료를 진행할 때, 표적 부위에만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방사선이 표적 부위에 인접한 부위로 조사될 수도 있다. 특히, 구강 내의 표적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 건강한 조직인 혀나 구강 점막에도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어 혀나 구강 점막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체형 변동이나 치료기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의해 계획된 비정보다 더 멀리 방사선이 조사될 경우 혀나 주변 정상장기에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로 인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radiation therapy,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radiation only to a target area, but in reality, radiation may be irradiated to an area adjacent to the target area. In particular, when radiation treatment is performed on a target site in the oral cavity, radiation may be irradiated to a healthy tissue such as the tongue or oral mucosa, which may damage the tongue or oral mucosa. In addition, if radiation is irradiated farther than the planned range due to uncertainty in the user's body shape or the treatment device, unnecessary radiation may cause damage to the tongue or surrounding normal organs.
이에, 사용자의 혀를 고정시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용도로 혀 고정장치가 종래기술로서 있었다.Thus, there was a tongue fixing device as a prior art for the purpose of fixing the user's tongue and preventing damage caused by radiation.
하지만,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구강크기를 고려하지 못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 별로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강크기 대비 혀 고정장치의 높이가 적합하지 않거나, 혀 길이에 맞추어 지지 않아서 혀 고정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consider the user's mouth size, there was a problem that each user feels uncomfortabl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ngue fixing effect is reduced because the height of the tongue fixing device is not suitable for the oral size or is not adjusted to the length of the tongue.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The tongue fixing device capable of stacking bo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사용자가 혀 고정장치를 쉽게 물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First,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bite the tongue retainer is proposed.
둘째, 사용자의 구강 높이에 따라, 혀 고정장치의 높이가 변동가능한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Second,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of the tongue fixing devic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oral cavity is proposed.
셋째, 사용자의 구강 깊이에 따라, 혀 고정장치의 길이가 변동가능한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Thir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oral cavity,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of the tongue fixing device is variable is proposed.
넷째, 사용자가 혀 고정장치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호흡을 원활하게 하도록 한다.Fourth, it allows the user to breathe smoothly while biting the tongue fixing device.
다섯째, 적층결합된 혀 고정장치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Fifth, make sure that the laminated tongue fixing device is not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은 중앙부, 중앙부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어 구강내에 삽입되어 혀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내측부 및 중앙부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된 외측부를 갖는 몸체부; 상기 중앙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복수의 요부 및 철부가 형성된 상면 요철부 및 하면 요철부를 갖는 요철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ortion having a central portion, an inn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press and fix the tongue, and an ou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a concave-convex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and a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ntral portion, respectively; A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tongue fixing device capable of stacking coupling including a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은 적층 결합이 가능한 복수의 혀 고정장치로서, 각 혀 고정장치는 중앙부, 중앙부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어 구강내에 삽입되어 혀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내측부 및 중앙부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된 외측부를 갖는 몸체부; 상기 중앙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복수의 요부 및 철부가 형성된 상면 요철부 및 하면 요철부를 갖는 요철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며, 일 혀 고정장치의 상면 요철부와 타 혀 고정장치의 하면 요철부가 요철 결합되면서 적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tongue fixing devices capable of stacking and coupling, each tongue fixing device having a central portion, an inn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press and fix the tongue, and a body portion having an ou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 a concave-convex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and a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ntral portion, respectively; And a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one tongue fixing device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tongue fixing device may be stacked while being concave-convex.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한 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면 요철부의 요부에 대향되는 하면 요철부에는 요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tongue fixing device, the concave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concave-convex portion opposite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upper concave-convex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한 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면 요철부의 요부에 대향되는 하면 요철부에는 철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tongue fixing device, the concave-convex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opposite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upper concave-convex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편평부 및 편평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구조로 구비된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ortion may have a flat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provided with an inclined structure toward an end portion from the flat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각 혀 고정장치의 경사부는 동일한 경사를 가지며, 각 혀 고정장치가 적층결합되면, 각 경사부가 상호 연결되어 동일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of each tongue fixing device has the same inclination, and when each tongue fixing device is laminated, each inclined por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ame inclined surfa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단부는 상기 경사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penet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inclined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의 편평부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부의 하면에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a flat portion of the inner portion, and a groove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치아가 상면 요철부의 요부 및 하면 요철부의 요부에 삽입되면, 상기 몸체부의 내측부 하면은 사용자의 혀를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teeth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user's tongue.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크기에 따라, 적층 결합되는 혀 고정장치의 개수를 증감시켜 혀 고정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tongue fixing device may be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stacked tongue fixing devic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mouth.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깊이에 따라, 적층 결합되는 혀 고정장치의 요철 결합 위치를 변경시켜 혀 고정장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tongue fixing device may be adjusted by changing the concave-convex coupling position of the stacked tongu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oral cavity.
본 발명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구강 깊이에 따라, 적층 결합되는 혀 고정장치의 요철 결합 위치를 변경시켜 혀 고정장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user's oral cavity, the length of the tongue fixing device may be adjusted by changing the concavo-convex coupling position of the stacked tongue fix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tongue fixing device capable of stacking bo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혀 고정장치의 상면 및 하면에 요철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치아를 이용하여 혀 고정장치를 쉽게 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ongue fixing device are provided with concavo-convex portion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bite the tongue fixing device using teeth.
둘째, 복수의 혀 고정장치를 요철결합으로 적층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높이에 따라, 혀 고정장치의 높이가 변동가능한 효과가 있다.Secon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ongue fixing devices in a concave-convex combin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eight of the tongue fixing devic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oral cavity.
셋째, 복수의 혀 고정장치의 요철결합 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깊이에 따라, 혀 고정장치의 길이가 변동가능한 효과가 있다.Third, by adjusting the concave-convex coupling part of the plurality of tongue fixing devices, the length of the tongue fixing devic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oral cavity.
넷째, 혀 고정장치의 내부에 관통부를 형성시켜, 사용자가 혀 고정장치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by forming a penetrating portion inside the tongue fixing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breathing while the user is biting the tongue fixing device.
다섯째, 홈, 돌기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적층결합된 혀 고정장치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Fifth, by using the groove and protrusion coupling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acked tongue fixing device is not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혀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의 정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혀 고정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혀 고정장치를 적층 결합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혀 고정장치를 적층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상면 요철부의 요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하면 요철부의 철부가 구비되는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혀 고정장치를 적층 결합한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상면 요철부의 요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하면 요철부의 요부가 구비되는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혀 고정장치를 적층 결합한 것을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혀 고정장치에서 경사부의 경사도가 일치되는 실시예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사용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치아가 요철부의 요부에 삽입되고, 혀 고정장치가 혀를 누르면서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다.1 is an embodiment of a tongu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 .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tongue retainer of FIG. 1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stacking the tongue fixing device.
6 is another embodiment of stacking and bonding the tongue fixing device.
Figure 7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vex part of the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art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cave part of the concave-convex part on the upper surface, and Figure 8 shows the tongue fixing device of FIG.
9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concave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are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FIG. 10 shows the tongue fixing device of FIG.
11 and 12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portion is matched in the tongu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show an example of the use of FIG. 12 in which the user's teeth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tongue fixing device presses and fixes the tongu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As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possible, identical or similar parts are indica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for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particular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components.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group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currently disclosed conten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 unless defined.
본 발명은 방사선 치료 시 혀의 움직임을 막아 방사선이 혀에 들어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두경부암의 방사선치료에서 방사선치료용적에 포함될 수 있는 혀를 치료 부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혀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방사선치료 중 혀에 불필요하게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used to prevent radiation from entering the tongue by blocking movement of the tongue during radiation therapy.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fixing the tongue while moving the tongu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radiation treatment volum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eatment area in radiation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 During radiotherapy, unnecessary radiation dose to the tongue can be minimized.
두경부암의 방사선치료에서 혀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다양한 부작용(구감염, 구강건조증, 미각 상실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불필요하게 혀에 조사되는 방사선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혀를 방사선 치료부위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In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the amount of radiation irradiated to the tongue can cause various side effects (mouth infection, dry mouth, loss of taste, etc.). In order to minimize radiation unnecessarily irradiated to the tongu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tongue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radiation treatment site.
방사선치료는 여러 차례에 걸쳐 치료하게 되므로 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혀의 위치 재현성을 유지하는 것이 방사선치료의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Since radiation therapy is treated several times,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stability of radiation therapy to maintain reproducibility of the position of the tongue as well as stab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치료 중에 혀의 위치가 안전한 위치에서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To achieve this goal, the position of the tongue should be fixed in a safe position during radiation therap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요소를 생략하거나, 일부 요소를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some elements may be omitted or some element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xpl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terpret in light of the whole purpose of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은 하나의 혀 고정장치인 실시예 및 복수개의 혀 고정장치가 적층결합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n embodiment of a single tongue fixing device and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tongue fixing devices are laminated.
양 실시예에 적용되는 혀 고정장치는 공통되므로,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를 먼저 설명하고, 그 후 공통되는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tongue fixing device applied to both embodiments is common,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and then the common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하나의 혀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First, an embodiment of one tongue retainer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혀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의 정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혀 고정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n embodiment of a tongu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 .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tongue retainer of FIG. 1 from different angles.
본 실시예에 따른 혀 고정 장치는 몸체부(100), 요철부(200) 및 관통부(300)를 포함한다.The tongu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100, a concave-convex portion 200 and a penetrating
본 발명에 따른 혀 고정장치는 중앙부(110), 중앙부(110)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어 구강내에 삽입되어 혀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내측부(120) 및 중앙부(110)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된 외측부(130)를 갖는 몸체부(100); 상기 중앙부(11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복수의 요부(201) 및 철부(202)가 형성된 상면 요철부(210) 및 하면 요철부(220)를 갖는 요철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300)를 포함한다.The tongu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다음으로, 복수개의 혀 고정장치가 적층 결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Next,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tongue fixing devices are stacked and coupled will be described.
도 5는 혀 고정장치를 적층 결합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혀 고정장치를 적층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이다.Figure 5 is an embodiment of stacking the tongue fixing device. 6 is another embodiment of stacking and bonding the tongue fixing device.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결합이 가능한 복수의 혀 고정장치는 전술한 각 혀 고정장치가 복수개가 구비되는 실시예이며, 일 혀 고정장치(1)의 상면 요철부(210)와 타 혀 고정장치의 하면 요철부(220)가 요철 결합되면서 적층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ongue fixing devices capable of stacking and coupl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tongue fixing devices is provided, and the concave-
다음으로, 양 실시예에 공통되는 구성으로서, 요철부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Next, as a configuration common to both embodiments, the concavo-convex por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혀 고정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면 요철부(210)의 요부(201)에 대향되는 하면 요철부(220)에는 철부(202)가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구성은 동일한 1개의 혀 고정장치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한 설명이다.In the tongu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tongue fixing device, the concave-
이 경우, 혀 고정장치를 적층 결합하기 위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일 혀 고정장치의 상면 요철부(210)의 요부(201)에 상측에 배치되는 타 혀 고정장치의 하면 요철부(210)의 철부(202)가 삽입되면서 적층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stack and combine the tongue fixing device, the
본 발명에 따른 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면 요철부(210)의 요부(201)에 대향되는 하면 요철부(220)에는 요부(201)가 구비될 수 있다(도 9 참조). 이러한 구성은 동일한 1개의 혀 고정장치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한 설명이다.In the tongu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ncave-
이 경우, 혀 고정장치를 적층 결합하기 위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일 혀 고정장치의 상면 요철부(210)의 요부(201)에 상측에 배치되는 타 혀 고정장치의 하면 요철부(210)의 철부(202)가 삽입되면서 적층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laminate and combine the tongue fixing device, the
이와 같이 적층 결합될 때, 각 혀 고정장치의 내측부(120)의 단부는 동일 위치에 놓이게 조합될 수도 있고(도 8 참조), 각 혀 고정장치의 내측부(120)의 단부는 경사지도록 놓이게 조합될 수도 있다(도 9 참조).When stacked and combined in this way, the ends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측부(120)는 편평부(121) 및 편평부(121)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구조로 구비된 경사부(122)가 가능하다. 이러한 경사부 구조를 통해 구강 내부에 배치되는 부피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느낌을 편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혀를 누르는 내측부 하면(130)의 면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 있어서, 관통부(300)의 단부는 경사부(12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122)는 구강 내부 깊숙이 배치될 수 있는데, 관통부(300) 또한 구강 내부에 배치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penetrating
이하에서는, 적층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strengthening the stacking bonding will be described.
요철부의 요부와 철부의 삽입결합에 의해, 결합된 각 혀 고정장치는 길이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고,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By inserting and coupling the concave and concave portions of the concave and concave portions, each tongue fixing device that is coupled can be integrally coupled without being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다만, 요부와 철부에 삽입되어도 좌우방향의 움직임에는 취약하여, 결합이 해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However, even if it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and the convex part, it is vulnerable to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coupling may be relea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부(120)의 편평부(121)에는 돌기(140)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부(120)의 하면(123)에는 홈(150)이 구비되어, 상호 홈-돌기 결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돌기 결합에 의해 좌우 방향의 이탈도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될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혀 고정장치에서 경사부의 경사도가 일치되는 실시예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사용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치아가 요철부의 요부에 삽입되고, 혀 고정장치가 혀를 누르면서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다.11 and 12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portion is matched in the tongu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show an example of the use of FIG. 12 in which the user's teeth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tongue fixing device presses and fixes the tongue.
본 발명에 있어서, 각 혀 고정장치의 경사부는 동일한 경사를 가지며, 각 혀 고정장치가 적층결합되면, 각 경사부가 상호 연결되어 동일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12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of each tongue fixing device has the same inclination, and when each tongue fixing device is laminated, each inclined por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ame inclined surface (see FIG. 12).
사용자의 치아(20)가 상면 요철부(210)의 요부(201) 및 하면 요철부(220)의 요부(201)에 삽입되면, 상기 몸체부의 내측부 하면(123)은 구강 내부에서 사용자의 혀(20)를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s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와 같이, 치아(20)가 삽입되는 요부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혀를 누르는 면적을 변경시킬 수 있고, 또한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도 변경시킬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13 and 14,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part where the
사용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구강 크기 내지 높이에 따라, 적층 결합되는 혀 고정장치의 개수를 증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크기가 큰 경우, 혀 고정장치의 개수를 증가시켜, 혀 고정장치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견고한 혀 고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As an example of use, the number of stacked tongue fixing devices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ize or height of the mouth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mouth size is large, increasing the total height of the tongue retainer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ongue retainers can achieve firm tongue fixation.
다른 사용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구강 깊이에 따라, 각 혀 고정장치의 상호 결합되는 요철 결합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혀 고정장치 조합체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of use, the overall length of the tongue holder combination may be adjus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cavo-convex coupling of each tongue holder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oral cavity.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ll modified examples and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혀 20 : 치아
100 : 몸체부 110 : 중앙부
120 : 내측부 121 : 편평부
122 : 경사부 123 : 내측부 하면
130 : 외측부 131 : 외측부 상면
132 : 외측부 하면
140 : 돌기 150 : 홈
200 : 요철부 201 : 요부
202 : 철부 210 : 상면 요철부
220 : 하면 요철부 300 : 관통부10: tongue 20: teeth
100: body part 110: center part
120: inner part 121: flat part
122: inclined portion 123: inner lower surface
130: outer part 131: upper surface of outer part
132: lower surface of the outer part
140: protrusion 150: groove
200: uneven part 201: recessed part
202: convex part 210: upper surface concavo-convex part
220: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300: penetrating portion
Claims (12)
상기 중앙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복수의 요부 및 철부가 형성된 상면 요철부 및 하면 요철부를 갖는 요철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는 편평부 및 편평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구조로 구비된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a body portion having a central portion, an inn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press and fix the tongue, and an ou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a concave-convex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and a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ntral portion, respectively; And a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portion has a flat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provided with an inclined structure toward the end from the flat portion.
각 혀 고정장치는
중앙부, 중앙부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어 구강내에 삽입되어 혀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내측부 및 중앙부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된 외측부를 갖는 몸체부;
상기 중앙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복수의 요부 및 철부가 형성된 상면 요철부 및 하면 요철부를 갖는 요철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며,
일 혀 고정장치의 상면 요철부와 타 혀 고정장치의 하면 요철부가 요철 결합되면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As a plurality of tongue retainers capable of stacking,
Each tongue retainer is
a body portion having a central portion, an inn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press and fix the tongue, and an ou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a concave-convex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and a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ntral portion, respectively; and
A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tongue fixing device capable of stacking comb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one tongue fixing device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tongue fixing device are laminated while being concave-convex.
동일한 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면 요철부의 요부에 대향되는 하면 요철부에는 요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In the same tongue holding device, a tongue holding device capable of stacking and combining,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por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opposite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upper concave-convex portion.
동일한 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면 요철부의 요부에 대향되는 하면 요철부에는 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In the same tongue holding device, a tongue holding device capable of stacking and combining, characterized in that a convex por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opposite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upper concave-convex portion.
상기 내측부는 편평부 및 편평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구조로 구비된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portion has a flat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provided with an inclined structure toward the end from the flat portion.
각 혀 고정장치의 경사부는 동일한 경사를 가지며,
각 혀 고정장치가 적층결합되면, 각 경사부가 상호 연결되어 동일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in claim 5
The inclined portion of each tongue retainer has the same slope,
When each tongue holding device is laminated, each inclined por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ame inclined surface.
상기 관통부의 단부는 상기 경사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tongue fixing device capable of stacking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penetra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inclined portion.
상기 내측부의 편평부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부의 하면에는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5,
A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flat portion of the inner portion,
A tongue fixing device capable of stacking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사용자의 치아가 상면 요철부의 요부 및 하면 요철부의 요부에 삽입되면, 상기 몸체부의 내측부 하면은 사용자의 혀를 눌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n the user's teeth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presses and fixes the user's tongue.
사용자의 구강 크기에 따라, 적층 결합되는 혀 고정장치의 개수를 증감시켜 혀 고정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oral cavity, the number of tongue retainers to be laminated increases or decreas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ngue retainer.
사용자의 구강 깊이에 따라, 적층 결합되는 혀 고정장치의 요철 결합 위치를 변경시켜 혀 고정장치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2,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oral cavity, a tongue fixing device capable of stacking and combi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tongue fixing device is adjusted by changing the concave-convex coupling position of the tongue fixing device to be lamina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50082A KR102484281B1 (en) | 2020-11-11 | 2020-11-11 | Tongue Immobilization Apparatus to be capable laminated coup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50082A KR102484281B1 (en) | 2020-11-11 | 2020-11-11 | Tongue Immobilization Apparatus to be capable laminated coupling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64027A KR20220064027A (en) | 2022-05-18 |
| KR102484281B1 true KR102484281B1 (en) | 2023-01-02 |
Family
ID=8180065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50082A Active KR102484281B1 (en) | 2020-11-11 | 2020-11-11 | Tongue Immobilization Apparatus to be capable laminated coupl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84281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40033468A1 (en) * | 2002-08-13 | 2004-02-19 | Fischer Dan E. | Anatomical tongue guards and bite block systems incorporating anatomical tongue guards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83786B1 (en) | 2017-04-26 | 2019-05-29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Tongue displacement apparatus |
-
2020
- 2020-11-11 KR KR1020200150082A patent/KR1024842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40033468A1 (en) * | 2002-08-13 | 2004-02-19 | Fischer Dan E. | Anatomical tongue guards and bite block systems incorporating anatomical tongue guard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64027A (en) | 2022-05-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1032152B (en) | Light-based therapeutic device | |
| US12233283B2 (en) | Intraoral positioning device | |
| WO2004112890A3 (en) | Method for intraoperative radiation treatment of breast cancer | |
| Šmucler et al. | Comparative study of aminolevulic acid photodynamic therapy plus pulsed dye laser versus pulsed dye laser alone in treatment of viral warts | |
| US9649504B2 (en) | Implantable CLIPT illumination system | |
| EP3666338A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using brachytherapy | |
| US7976571B2 (en) | Photodynamic therapy irradiation system for the treatment of superficial hyperproliferative tissue growth | |
| KR102484281B1 (en) | Tongue Immobilization Apparatus to be capable laminated coupling | |
| Wang | Radiotherapeutic management and results of T1N0, T2N0 carcinoma of the oral tongue: evaluation of boost techniques | |
| US20190175953A1 (en) | Care protocol for reducing long and short-term adverse effects caused by radiotherapy or radiosurgery treatment | |
| KR101983786B1 (en) | Tongue displacement apparatus | |
| WO2019113929A1 (en) | Catheter device and brachytherapy system | |
| US11464598B2 (en) | Oral fixation device and method for radiation therapy of lip cancer | |
| KR101828053B1 (en) | Tongue displacement apparatus | |
| CN214018951U (en) | An adjustable multi-channel arc rear-mounted applicator in rectal cavity | |
| US8496008B2 (en) | Oral device for radiotherapy | |
| KR102090190B1 (en) | Divice for oral fixation for radiotherapy and method for oral fixation for oral cancer treatment | |
| US10335610B2 (en) | Catheter apparatus, brachytherap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
| TWI607773B (en) | A catheter apparatus and system for brachytherapy | |
| CN221867144U (en) | A tail multi-hole implant needle fixer | |
| VAN HERIK et al. | A radium applicator for treating carcinoma of the nasopharynx | |
| CN221815166U (en) | An oblique implant needle fixator | |
| CN208905911U (en) | Accurate goal-oriented ear canal cancer radiotherapy applicating device for curing | |
| Syed et al. | Interstitial-intracavitary (Syed-neblett) applicator in the management of carcinoma of the vagina | |
| Stephens | Brachytherapy Proves Effective in Treating Skin Canc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