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529B1 - Communication medium selection method based on ontology for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and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medium selection method based on ontology for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and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4529B1 KR102484529B1 KR1020200187758A KR20200187758A KR102484529B1 KR 102484529 B1 KR102484529 B1 KR 102484529B1 KR 1020200187758 A KR1020200187758 A KR 1020200187758A KR 20200187758 A KR20200187758 A KR 20200187758A KR 102484529 B1 KR102484529 B1 KR 102484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derwater
- communication
- medium
- data
- ontolog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에 기반하여 통신 매체를 선택하는 수중 통신 기기는, 복수의 통신 매체를 포함하는 송수신부, 상기 IoUT의 온톨로지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로컬 지식 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한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medium based on an ontology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transceiv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a and at least one parameter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IoUT. A memory including a local knowledge base for storing, and a control unit obtaining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based on the at least one parameter and attempting to transmit the data using a first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obtained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do.
Description
본 개시(disclosure)의 기술적 사상은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ontology) 기반 통신 매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수중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ontology-based communication medium selection method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nd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same.
수중환경에서의 통신은 해양 데이터 수집, 해저탐사, 재난방지, 해양환경 모니터링, 군사전술 감지, 경로탐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중통신은 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와 ROV(Remotely Operated Vehicle) 등과 같은 장치에 의해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Communication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arine data collection, undersea exploration, disaster prevention,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military tactical detection, and route search. Such underwater communication is being further activated by devices such as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UV) and 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다만, 수중환경은 그 변화가 매우 심하고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중에서의 무선통신은 지상에서의 무선통신에 비해 신뢰성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중에서의 무선통신은 수중환경에 따라 적절한 통신방식을 선택하는 기술이 필수적일 수 있다. 수중에서의 무선통신 시 이용되는 통신방식은 가시광 통신, 음파 통신, 적외선 통신, 저주파 통신, 자기장 통신 등이 존재하고, 각각의 통신방식은 수중환경의 상태별로 장단점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underwater environment is highly variable and difficult to predi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water follows many limitations in reliability compared to wireless communication on the ground. Therefor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water may require a technique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underwater environment. Communication methods used in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ound wave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low frequency communication,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and the like, and each communication method may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each state of the underwater environment.
수중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통신방식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 간의 관계나 연계 등에 대한 정의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수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기들 간의 연결 및 데이터 공유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중 사물 인터넷과 관련하여, 수중환경에 최적화된 온톨로지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기기들 간의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통신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및 활용 방안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underwater environment, it may be necessary to define the relationship or connection between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which provides various services through connection and data sharing between various devices existing in the water, it enable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by establishing an ontology-based framework optimized for the underwater environment. However, it may be necessary to define how to process and utilize data obtained through communic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수중 사물 인터넷과 같은 수중환경에서의 무선 통신에 대한 온톨로지를 제공하고, 제공된 온톨로지에 기초하여 수중 통신 기기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적절한 통신 매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tology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such as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nd to provide a method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medium for smooth communication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provided ontology. is to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aspect)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에 기반하여 통신 매체를 선택하는 수중 통신 기기는, 복수의 통신 매체를 포함하는 송수신부, 상기 IoUT의 온톨로지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로컬 지식 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한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medium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aspec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transceiv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a , a memory including a local knowledge 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parameter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IoUT, and obtaining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based on the at least one parameter, and using a first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obtained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attempting to transmit the data by using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이 정의된 매체 선택 룰에 기초하여, 상기 송수신부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매체 중 적어도 일부의 통신 매체를 포함하는 상기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eligible medium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some communication media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transceiver based on a medium selection rule in which a condition for the at least one parameter is defined. can be obtained.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기기와 상기 수중 통신 기기 사이의 거리, 상기 데이터의 양,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배터리 레벨, 및 수중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t least one paramet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tance between a device to receive the data and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the amount of data, a battery level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and underwater environment data. can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중 통신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일부를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일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로컬 지식 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and the control unit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obtains some of the at least one parameter from the at least one sensor, and transmits some of the acquired parameters. The local knowledge base can be updated using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통신 매체 각각의 PER(packet error rate) 또는 BER(bit error rat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통신 매체 중 상기 PER 또는 BER이 가장 낮은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obtains information on a packet error rate (PER) or bit error rate (BER) of each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and among the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Transmission of the data may be attempted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having the lowest PER or BER.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선택하여 수중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통신 매체 중 상기 PER 또는 BER이 상기 제1 통신 매체 다음으로 낮은 제2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succeeds, the control unit selects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to perform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data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If this fails, transmission of the data may be attempted using a second communication medium having a lower PER or B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among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모든 통신 매체를 이용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매체 선택 룰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update the medium selection rule when transmission of the data using all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eligible medium information fails.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IoUT의 온톨로지는 복수의 클래스들 및 상기 복수의 클래스들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래스들은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위치와 관련된 클래스,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와 관련된 클래스, 및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통신 매체와 관련된 클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지식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클래스들 각각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ntology of the IoUT includes a plurality of classes and information about a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classes, and the plurality of classes include a clas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class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A class related to data obtained through a sensor and a class related to a communication medium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cluded, and the local knowledge base may store data obtained ba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lasses.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는 음파 트랜스듀서, 가시광 송수신기, 적외선 송수신기, 저주파 안테나, 및 자기장 송수신기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a may include two or more of a sound wave transducer, a visible light transceiver, an infrared transceiver, a low frequency antenna, and a magnetic field transceiver.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IoUT)의 온톨로지에 기반한 수중 통신 기기의 통신 매체 선택 방법은, 전송할 데이터의 제공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한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선택하여 수중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제2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IoUT의 온톨로지에 기반한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로컬 지식 베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A method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medium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n ontology of the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IoU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response to providing data to be transmitted, obtains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parameter doing; attempting to transmit the data using a first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obtained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performing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by selec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is successful; and attempting to transmit the data using a second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fails, wherein at least some of the at least one parameter is based on the IoUT ontology. It may be obtained from a local knowledge base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기존의 사물 인터넷과 그 특성이 상이한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가 제공되고, 상기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 및 수중 환경 등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의 통신 매체의 선택이 가능해지므로, 수중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통신 안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ontology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ternet of Things is provided, and an optimal communication medium can be selected using the ontology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nd various data related to the underwater environment. Therefore, communication stability in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can be maximized.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본 개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수중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수중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중 사물 인터넷의 프레임워크의 논리 계층(logical layers)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프레임워크에 포함되는 컴포넌트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맨틱 지식 베이스에 포함되는 온톨로지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전체적인 온톨로지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채널 선택 온톨로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에 기반하여 통신 매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9의 방법을 수행하는 수중 통신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방법에 기초하여 수중 통신 기기들이 연결되는 양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A brief description of each figure is provided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figures cited in this disclos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pplied.
2 shows an embodiment of logical layers of the framework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included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included in a framework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ontologies included in the semantic knowledge base shown in FIG. 3 .
5 shows the overall ontology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device ontology shown in FIG. 4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underwater context ontology shown in FIG. 4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hannel selection ontology shown in FIG. 4 .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communication medium based on an ontology of an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the method of FIG. 9 .
1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aspect in which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are connected based on the method of FIG. 9 .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아래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odified in various forms. It may b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개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다른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is disclosure to describe various members, regions, layers, regions and/or componen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regions and/or components do not refer to these terms. It is self-evident that i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do not imply any particular order, top or bottom, or superiority or inferiority,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region, region, or component from another member, region, region, or component. Accordingly, a first member, region, region, or component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region, region, or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개시의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 In addition, commonly used terms a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what they mean in the context of the technology to which they relate, and in an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will not be interpreted.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과정의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과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When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the order of specific processes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order described.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reverse to the order described.
여기에서 사용된 '및/또는' 용어는 언급된 부재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수중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수중 통신 시스템은 지상의 관리 센터(또는 서버)(1), 수중에 존재하는 복수의 수중 통신 기기(또는 노드)(11a, 11b, 12a, 12b, 13, 14a, 14b; 이하 포괄하여 '10'으로 표기함), 및 관리 센터(1)와 수중 통신 기기 사이에 존재하는 수면의 게이트웨이(20a, 20b)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ground management center (or server) 1, a plurality of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or nodes) 11a, 11b, 12a, 12b, 13, 14a, 14b;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10'), and
관리 센터(1)는 지상의 기지국 안테나 또는 위성(2)을 통해 게이트웨이(20a, 20b) 및 수중 통신 기기들(10)과 연결될 수 있다. 관리 센터(1)는 수중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자원, 및 기기들(10, 20a, 20b)의 관리와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센터(1)는 수중 통신 기기들(1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센터(1)는 수중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10, 20a, 20b)과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제공되어, 기기들(10, 20a, 20b)과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센터(1)는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게이트웨이(20a, 20b)는 관리 센터(1)와 수중 통신 기기들 사이에 연결되어, 관리 센터(1)와 수중 통신 기기들(1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20a, 20b)는 관리 센터(1)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LTE, 5G 등의 이동통신 방식, 위성통신 방식 등)을 지원할 수 있고, 수중 통신 기기들(10)과의 수중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isual light communication (VLC)), 적외선 통신, 저주파 통신, 자기장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수중 통신 기기들(10)은 수중에 존재하거나 수중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들 각각은 수중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수중 통신 기기들(10)은 수중 환경을 측정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들(11a, 11b), 수중 운송 수단(12a, 12b), 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13), 및/또는 다이버 장비에 장착되거나 다이버에 의해 소지되는 수중 통신 기기(14a, 14b)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include various devices that exist or are used underwater, and each of the devices may support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include a plurality of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중 통신 기기들(10)은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수중 통신 시스템에는 수중 통신 기기들(10)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는 수중 사물 인터넷(IoUT)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may form a network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an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IoUT)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to each other may be implemented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수중 통신 기기들(10)은 수중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 등 기기의 동작과 관련하여 획득되는 각종 데이터를 게이트웨이(20a, 20b)를 통해 관리 센터(1)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중 통신 기기들(10)은 수중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면에 존재하는 선박(30a, 30b)으로 제공함으로써, 선박(30a, 30b)의 항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may transmit various data obtain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uch as data related to the underwater environment, to the
한편, 수중 통신 기기들(10)이 존재하는 수중 환경은, 지상 환경에 비해 통신 조건이 열악하고, 환경 변화의 정도가 클 수 있다. 또한, 수중 통신 기기들(10)의 경우 전력 공급 및 성능이 제한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중 통신 기기들(10) 간의 끊김없는(seamless) 통신 연결을 위해서는, 수중 환경이나 기기의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최적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nderwater environment in which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exist may have inferior communication conditions and a greater degree of environmental change tha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In addition, power supply and performance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may be limited. Accordingly, in order to establish a seam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 underwater environment or the state of the device, select the optimal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nd perform communication. can
또한, 수중 통신 기기들(10)의 경우 전력 공급이나 부하의 한계가 존재하고, 수중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기기의 종류 및 수가 지상에 비해 적은 바, 수중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수중 사물 인터넷(IoUT) 및 수중 통신 기기들(10)에 적합한 형태의 경량화된 IoUT 온톨로지 프레임워크의 정의가 요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there is a limit in power supply or load, and since the types and number of devices constituting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re smaller than those on the ground,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 the definition of a lightweight IoUT ontology framework suitable for the Internet of Things Underwater (IoUT) and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10 may be required.
도 2는 본 개시의 수중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중 사물 인터넷의 프레임워크의 논리 계층(logical layers)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2 shows an embodiment of logical layers of the framework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included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수중 사물 인터넷(IoUT)의 응용 도메인은 지진 모니터링, 수질 오염 모니터링, 재난 예방(해일, 적조 등), 해양 생물의 추적, 군사 용도, 수중 파이프라인의 모니터링 등의 다양한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수중 사물 인터넷의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응용 도메인들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 domain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IoUT) covers various fields such as earthquake monitoring, water pollution monitoring, disaster prevention (tsunami, red tide, etc.), tracking of marine life, military use, and monitoring of underwater pipelines. can include The framework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can be designed to accommodate various scenarios according to these application domains.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프레임워크는 데이터 수집 계층(data acquisition layer), 시맨틱 데이터 계층(semantic data layer), 결정 계층(decision making layer), 및 서비스 추상화 계층(service abstraction layer)의 네 개의 서로 다른 협업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ramework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ata acquisition layer, a semantic data layer, a decision making layer, and a service abstraction layer. It may consist of four different collaboration lay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데이터 수집 계층은 수중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들을 갖는 수중 통신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들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 외에, 수중 통신 기기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 및 통신 매체와 관련된 데이터 또한 데이터 수집 계층에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 계층은 데이터의 교환에 필요한 다양한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도 보유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layer may consist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ensors that acquire data related to the underwater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ors, data related to the state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medium may also be acquired in the data collection layer. In addition, the data collection layer may have various communication mechanisms required for exchanging data.
시맨틱 데이터 계층은 프레임워크의 데이터 모델에 해당하는 시맨틱 지식 베이스(semantic knowledge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모델은 웹 온톨로지 언어(web ontology languages (OWL))와, 기기의 상태, 통신 매체의 상태, 및 컨텍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온톨로지들의 세트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수집 계층으로부터 추출되는 데이터는 상기 시맨틱 지식 베이스에 적합한 형태(예컨대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데이터 등)로 변환될 수 있다.The semantic data layer may include a semantic knowledge base corresponding to the data model of the framework. For example, the data model may correspond to web ontology languages (OWL) and a set of ontologies representing device status, communication medium status, and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data extra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layer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semantic knowledge base (eg,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data, etc.).
결정 계층은 의사 결정을 위한 추론 엔진 및 추론 규칙을 보유할 수 있고, 지식 베이스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응용 도메인과 관련된 새로운 지식을 추론할 수 있다. 서비스 추상화 계층은 프레임워크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식별될 수 있고, 수중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기기(노드)에 공통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ecision layer may have an inference engine and inference rules for decision making, and may infer new knowledge related to the application domain based on data existing in the knowledge base. The service abstraction layer can be identified as a cloud platform that enables the extension of the framework, and can provide common service functions to devices (nodes) constituting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프레임워크의 아키텍쳐 컴포넌트(architecture components)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rchitecture components of a framework for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워크의 아키텍쳐 컴포넌트(300)는 네트워크 연결, 데이터 저장, 시맨틱 웹 관리 등 수중 사물 인터넷의 구현, 유지, 관리와 관련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들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예컨대, 최하 계층에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할당 또는 할당 해제하기 위한 추상화 기능을 제공하는 운영 체제 컴포넌트(310)와 결합된 기본 하드웨어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는 데이터의 지속성을 위한 스토리지, 수중 환경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 또는 수중 통신 기기(100) 각각의 고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에 해당할 수 있다. 활용 컴포넌트(320)는 시맨틱 데이터의 지속적인 활용을 보장하고,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 등의 스토리지에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메시징 및 연결 컴포넌트(330)는 수중 사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통신 매체들의 핸들링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TCP, UDP 등)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t the lowest layer there may be underlying hardware coupled with an
리소스 및 시맨틱 기능 컴포넌트(340)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통신 매체 선택 방법과 관련된 컴포넌트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소스 및 시맨틱 기능 컴포넌트(340)는 수중환경 또는 통신환경과 관련되어 센싱되는 데이터 및 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중 무선 통신에 적합한 통신 매체를 추론하기 위한 메커니즘 및 라이브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리소스 및 시맨틱 기능 컴포넌트(340)는 SPARQL endpoint(341), 추론 엔진(342), 동적 규칙 엔진(343), RDF parser/serializer(344), 리소스 인터페이스(345), 및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source and
SPARQL endpoint(341)에는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의 RDF 형태의 구조화된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프로토콜(예컨대 SPARQL 프로토콜 등)이 구현될 수 있다. 추론 엔진(342)은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추론하고, 기존 지식에 추론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동적 규칙 엔진(343)은 통신 매체의 선택 규칙의 업데이트와 관련되고, RDF parser/serializer(344)는 외부 포맷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를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를 위한 RDF 형태로 변환하거나, RDF 형태의 데이터를 외부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리소스 인터페이스(345)는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의 데이터를 외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로 제공하거나, 다른 소스로부터 수집되는 시맨틱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A protocol (eg, a SPARQL protocol, etc.) for accessing RDF structured data of the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통신 매체 선택 방법의 수행과 관련된 온톨로지(ontology)를 포함할 수 있다. 온톨로지란, 특정한 범위 내의 정보를 개념화하여 논리적인 구조로 개념들을 분류하거나 정의하여 계층구조 형식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에 포함되는 온톨로지는 RDFS(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Schema),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OWL(Ontology Web Language)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후술할 수중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수중 통신 기기는,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에 포함된 온톨로지에 기반한 로컬 지식 베이스에 존재하는 데이터 및 파라미터에 따라, 최적의 통신 매체의 선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에 포함되는 온톨로지들 및 상기 온톨로지들의 조합에 따라 설계되는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와 관련하여,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constituting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perform an operation for selecting an optimal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data and parameters existing in a local knowledge base based on an ontology included in th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맨틱 지식 베이스에 포함되는 온톨로지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전체적인 온톨로지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채널 선택 온톨로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ontologies included in the semantic knowledge base shown in FIG. 3 . 5 shows the overall ontology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device ontology shown in FIG. 4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underwater context ontology shown in FIG. 4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hannel selection ontology shown in FIG. 4 .
도 4를 참조하면,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는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352),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354), 및 채널(매체) 선택 온톨로지(35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352)는 수중 사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기기들 및 기기들의 특성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354)는 시스템이 작동 중인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채널(매체) 선택 온톨로지(356)는 수중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들(통신 매체들)에 대한 모델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underwater Internet of
도 5에는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의 일 구성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는 수중 통신 기기가 수중 환경에 따라 적절한 채널(통신 매체)을 선택하기 위해 모델링된 온톨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는 상기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352),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354), 및 채널 선택 온톨로지(356)의 조합으로 구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는 복수의 모듈들(510 내지 570)을 포함할 수 있고, 모듈들(510 내지 570)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클래스들 및 클래스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5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ntology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The ontology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may correspond to an ontology modeled so that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selects an appropriate channel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an underwater environment. The ontology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may be constructed as a combination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600)는 수중 통신 기기의 기기 특성과 관련된 개념에 대한 클래스들을 생성하고, 클래스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계층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도 6의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600)는 도 4의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352)의 일 구현 예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ogether, the underwater
도 6의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600)와 관련된 모듈, 일부 클래스 및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600)는 기기 모듈(5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기 모듈(540)의 최상위 클래스는 기기(Device)로 지정되고, 기기의 움직임 특성과 관련된 이동 클래스(Moving) 및 고정 클래스(Fixed)는 기기 클래스(Device)와 "hasdevicemoment"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기능 클래스(Function)는 기기 클래스(Device)와 "hasfunctionality"의 관계를 가지고, 구체적인 기능들의 예인 센싱 클래스(Sensing functionality), 태그 클래스(tag functionality), 및 액츄에이터 클래스(actuating)는 기능 클래스(Function)의 하위 클래스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modules, some classes, and relationships related to the underwater Internet of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700)는 시스템이 작동 중인 상황을 인식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에 대한 클래스들을 생성하고, 클래스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계층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도 7의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700)는 도 4에서 상술한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354)의 일 구현 예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7 , the
도 7의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700)의 모듈, 일부 클래스, 및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700)는 시스템 모듈(510), 위치 모듈(520), 센서 모듈(530), 및 액티비티 모듈(57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클래스(System)와 위치 클래스(Location)는 "isLocatedin"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표면 클래스(Surface), 얇음 클래스(Shallow), 및 깊음 클래스(Deep)는 위치 클래스(Location)의 하위 클래스에 해당할 수 있다. Describing the modules, some classes, and relationships of the
도 5와 도 8을 참조하면, 채널 선택 온톨로지(800)는 수중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들(통신 매체들)을 사용하여 데이터(패킷)를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에 대한 클래스들을 생성하고, 클래스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계층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도 8의 채널 선택 온톨로지(800)는 도 4에서 상술한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354)의 일 구현 예에 해당할 수 있다.5 and 8, the
도 8의 채널 선택 온톨로지(800)의 모듈, 일부 클래스, 및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채널 선택 온톨로지(800)는 시스템 모듈(510), 위치 모듈(520), 전송 모듈(550), 및 채널 모듈(5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모듈(550)의 전송 클래스(Transmission)와 채널 모듈(560)의 채널 타입 클래스(Channel type)는 "Uses"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채널들의 예를 나타내는 가시광 통신 클래스(VLC), 적외선/자기장 통신 클래스(IR/magnetic), 저주파 통신 클래스(RF), 및 음파 통신 클래스(Acoustic)는 채널 타입 클래스(Channel type)의 하위 클래스에 해당할 수 있다.Describing the modules, some classes, and relationships of the
도 5 내지 도 8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가 구현된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에 기반하여, 수중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수중 통신 기기(또는 노드)는 원활한 수중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매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매체는 상술한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에 기반한 수중 통신 기기의 통신 매체 선택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ased on the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에 기반하여 통신 매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communication medium based on an ontology of an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를 참조하면, 수중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노드(수중 통신 기기)는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의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와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를 선택하여 수중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 nod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constituting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us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a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of the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노드는 다른 노드로 전송할 데이터의 제공에 응답하여(S900), 노드의 파라미터에 기초한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10).More specifically, the node may obtain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based on the parameters of the node in response to provid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another node (S900).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노드와 상기 다른 노드 사이의 거리, 데이터의 양, 노드의 배터리 레벨, 및/또는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각종 수중환경 데이터(탁도, 온도, pH 농도, 유속, 염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 중 일부는 상기 노드의 로컬 지식 베이스에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상기 노드는 상기 로컬 지식 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일부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지식 베이스는 도 3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시맨틱 지식 베이스(350)의 온톨로지에 기반한 각종 정보, 데이터,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ameter may include the distance between the node and the other node, the amount of data, the battery level of the node, and/or various aquatic environment data (turbidity,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flow rate, salinity, etc.) obtained from a sensor. there is. Some of the parameters may be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updated in the node's local knowledge base, and the node may obtain the some parameters by referring to the local knowledge base. The local knowledge bas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data, and parameters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상기 노드는 복수의 통신 매체 중 상기 파라미터에 따른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매체를 포함하는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노드는 도 3에서 상술한 추론 엔진(342)을 호출하고, 매체 선택 룰에 따라 상기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매체 선택 룰은 데이터의 전송에 적합한 매체를 고려하는 데에 요구되는 조건들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조건들은 상기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할 수 있다.The node may obtain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dium that satisfies a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parameter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ums. The node may call the
상기 노드는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매체 중, PER(packet error rate)이 최소인 통신 매체를 선택하고(S920), 선택된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The node may select a communication medium having a minimum packet error rate (PER) from amo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S920), and may attempt to transmit data using the selected communication medium.
예컨대, 상기 노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매체 각각의 PER(또는 BER(bit error rate) 등)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따라 가장 낮은 PER을 갖는 통신 매체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매체 각각의 PER은 상기 노드의 로컬 지식 베이스에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노드는 상기 로컬 지식 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매체 각각의 PER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node may calculate the PER (or bit error rate (BER), etc.)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dium, and select the communication medium having the lowest PER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ER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dium is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updated in a local knowledge base of the node, and the node obtains information on the PER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dium from the local knowledge base. You may.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S930의 YES), 상기 노드는 현재 선택된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다른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새로운 전송 데이터를 대기할 수 있다(S940).If data transmission is successful (YES in S930), the node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other node using the currently selected communication medium and wait for new transmission data (S940).
반면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S930의 NO), 상기 노드는 선택된 통신 매체를 배제하고,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다른 통신 매체를 선택할 수 있다(S950).On the other hand, if data transmission fails (NO in S930), the node may exclude the selected communication medium and select another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S950).
예컨대, 상기 노드는 PER이 낮은 순으로 통신 매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de may attempt to transmit data while sequentially selecting communication media in descending order of PER.
선택된 통신 매체를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S960의 YES), 상기 노드는 선택된 통신 매체를 유지한 상태로 새로운 전송 데이터를 대기할 수 있다(S940).If data transmission using the selected communication medium is successful (YES in S960), the node may wait for new transmission data while maintaining the selected communication medium (S940).
반면, 선택된 통신 매체를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S960의 NO), 상기 노드는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다른 통신 매체의 존재 시 해당 통신 매체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재시도할 수 있다(S970의 YES). 그러나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다른 통신 매체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S970의 NO), 상기 노드는 상기 매체 선택 룰을 업데이트함으로써(S980), 추후 동일한 조건에서 다른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data transmission using the selected communication medium fails (NO in S960), the node may retry data transmission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dium when there is another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 YES for S970). However, if another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no longer exists (NO in S970), the node updates the medium selection rule (S980), thereby obtaining other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later. let it be
도 10은 도 9의 방법을 수행하는 수중 통신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the method of FIG. 9 .
도 10을 참조하면, 수중 통신 기기는 수중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기기들(노드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수중 통신 기기는 송수신부(110), 수중복합센서부(120), 제어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통신 기기의 구성들이 도 10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바, 상기 수중 통신 기기는 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devices (nodes) constituting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Such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transmission/
송수신부(110)는 다양한 수중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패킷, 신호 등을 송수신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음파 트랜스듀서, 가시광 송수신기, 적외선 송수신기, 저주파 안테나, 자기장 송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일례에 불과하며 수중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매체의 송수신 모듈이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일례로 이러한 수중 무선 통신 매체는 가시광, 적외선, 음파, 자기장, 극저주파 무선통신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수중 무선 통신 매체는, 상술한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에 정의된 채널 타입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들에 대응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다양한 특징으로 통신매체의 신호 또는 파형 등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매체 ADC를 포함할 수 있다.The
수중복합센서부(120)는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에 정의된 센서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들에 대응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중복합센서부(120)는 다수의 수중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수중에서의 온도, 염도, 탁도, 유속, pH농도 등을 검출할 수 있는 각종 센서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수집된 데이터는 이후에 패킷 또는 신호로 변환되어 내부 저장장치 또는 상술한 로컬 지식 베이스에 저장되거나, 다른 외부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The underwater
제어부(130)는 수중 통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10) 및/또는 수중복합센서부(120)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파라미터),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로컬 지식 베이스에 포함된 각종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건과 상황에 최적화된 통신 매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상기 통신 매체의 선택을 위해, 도 3에서 상술한 아키텍쳐 컴포넌트(300)의 구성들을 실행 또는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CPU, AP, ASIC, FPGA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메모리(140)는 수중 통신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 명령어,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도 3의 아키텍쳐 컴포넌트(300)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도 4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에 기반한 각종 파라미터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로컬 지식 베이스(local knowledge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11은 도 9의 방법에 기초하여 수중 통신 기기들이 연결되는 양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aspect in which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are connected based on the method of FIG. 9 .
도 11에서는, 수중 통신 기기(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할 다른 수중 통신 기기(노드)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통신 매체를 선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나, 도 9 등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매체의 선택과 관련된 조건(파라미터)은 다양할 수 있다.In FIG. 11, an embodiment in which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node) selects a communication medium based on a distance to another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node) to transmit data is described, but as described above in FIG. Conditions (parameters) can vary.
예컨대, 제1 노드(1100)는 제1 기준 거리(예컨대 10m) 이상 이격된 노드(1110)와 음파 통신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노드(1120)와는 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 및/또는 자기장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1130)는 제2 기준 거리(예컨대 3m)에 위치하는 노드(1140)와 가시광 통신 및/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node 1100 may transmit/receive data us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a node 1110 spaced apart from a first reference distance (eg, 10 m) or more, and may transmit/receive data us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a node 1120 existing within the first reference distance. Data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or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econd node 1130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the node 1140 located at a second reference distance (eg, 3 m) through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or infrared communication.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중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수중 통신 기기들은 수중 사물 인터넷의 온톨로지 및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통신 매체를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중 통신 기기들 간의 원활한 수중 무선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고, 수중환경의 변화에 대한 보다 민첩한 대처를 통해 수중 무선 통신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9 to 11,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constituting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can be implemented to select the optimal communication medium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or data obtained through the ontology and sensors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there is. Accordingly, smooth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possible, and quality degradation of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minimized through more agile response to changes in the underwater environment.
상기한 실시 예들의 설명은 본 개시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들에 불과하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The descriptions of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개시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15)
복수의 통신 매체를 포함하는 송수신부;
상기 IoUT의 온톨로지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로컬 지식 베이스(local knowledge base)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한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IoUT의 온톨로지는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 및 채널 선택 온톨로지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는 수중 사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기기들 및 기기들의 특성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는 시스템이 작동 중인 상황을 인식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채널 선택 온톨로지는 수중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들에 대한 모델링을 위해 사용되는,
수중 통신 기기.In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that selects a communication medium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IoU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s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a;
a memory including a local knowledge 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parameter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IoUT; and
obtain qualified media information based on the at least one parameter;
A control unit attempting to transmit data using a first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obtained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The ontology of the IoU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n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device ontology, an underwater context ontology, and a channel selection ontology,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device ontology is used to model devices used in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underwater context ontology provides a means for recognizing the context in which the system is operating,
The channel selection ontology is used for modeling channels for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이 정의된 매체 선택 룰에 기초하여, 상기 송수신부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매체 중 적어도 일부의 통신 매체를 포함하는 상기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하는,
수중 통신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btaining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some communication media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transceiver unit based on a medium selection rule in which a condition for the at least one parameter is defined.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기기와 상기 수중 통신 기기 사이의 거리, 상기 데이터의 양,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배터리 레벨, 및 수중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중 통신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parameter i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to receive the data and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the amount of data, the battery level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and underwater environment data,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일부를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일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로컬 지식 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수중 통신 기기.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nsor;
The control unit,
obtaining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some of the at least one parameter from the at least one sensor;
Updating the local knowledge base using some of the acquired parameters;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통신 매체 각각의 PER(packet error rate) 또는 BER(bit error rat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통신 매체 중 상기 PER 또는 BER이 가장 낮은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수중 통신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btaining information on a packet error rate (PER) or bit error rate (BER) of each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Attempting to transmit the data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having the lowest PER or BER among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eligible medium informatio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선택하여 수중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통신 매체 중 상기 PER 또는 BER이 상기 제1 통신 매체 다음으로 낮은 제2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수중 통신 기기.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is successful, selec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to perform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ransmission of the data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fails, transmission of the data is performed using a second communication medium having a lower PER or B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among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to try,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모든 통신 매체를 이용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이 정의된 매체 선택 룰을 업데이트하는,
수중 통신 기기.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Updating a medium selection rule in which conditions for the at least one parameter are defined when transmission of the data using all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eligible medium information fails.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IoUT의 온톨로지는 복수의 클래스들 및 상기 복수의 클래스들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래스들은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위치와 관련된 클래스,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와 관련된 클래스, 및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통신 매체와 관련된 클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지식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클래스들 각각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중 통신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IoUT ontology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class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plurality of classes,
The plurality of classes include a clas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a class related to data obtained through a sensor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clas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medium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The local knowledge base stores data obtained ba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lasses.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는,
음파 트랜스듀서, 가시광 송수신기, 적외선 송수신기, 저주파 안테나, 및 자기장 송수신기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수중 통신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a,
Including two or more of an acoustic transducer, a visible light transceiver, an infrared transceiver, a low frequency antenna, and a magnetic field transceiver,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전송할 데이터의 제공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한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선택하여 수중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제2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IoUT의 온톨로지에 기반한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로컬 지식 베이스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IoUT의 온톨로지는 상기 IoUT의 온톨로지는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 및 채널 선택 온톨로지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중 사물 인터넷 기기 온톨로지는 수중 사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기기들 및 기기들의 특성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수중 컨텍스트 온톨로지는 시스템이 작동 중인 상황을 인식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채널 선택 온톨로지는 수중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들에 대한 모델링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 매체 선택 방법.In the communication medium selection method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IoUT),
in response to providing data to transmit, obtaining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parameter;
attempting to transmit the data using a first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obtained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performing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by selec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is successful; and
When transmission of the data fails, attempting to transmit the data using a second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At least some of the at least one parameter is obtained from a local knowledge base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IoUT,
The ontology of the IoU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n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device ontology, an underwater context ontology, and a channel selection ontology,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device ontology is used to model devices used in the 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underwater context ontology provides a means for recognizing the context in which the system is operating,
The channel selection ontology is used for modeling channels for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How to choose a communication medium.
상기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이 정의된 매체 선택 룰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통신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통신 매체를 포함하는 상기 적격 매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선택 방법.According to claim 10,
Obtaining the qualified media information,
Based on a medium selection rule in which a condition for the at least one parameter is defined, obtaining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some communication media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dia provided by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doing,
How to choose a communication medium.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기기와 상기 수중 통신 기기 사이의 거리, 상기 데이터의 양, 상기 수중 통신 기기의 배터리 레벨, 및 수중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선택 방법.According to claim 10,
The at least one parameter i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to receive the data and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the amount of data, the battery level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and underwater environment data,
How to choose a communication medium.
상기 통신 매체 선택 방법은,
상기 수중 통신 기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일부를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일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로컬 지식 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매체 선택 방법.According to claim 12,
The communication medium selection method,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obtaining some of the at least one parameter from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updating the local knowledge base using some of the acquired parameters.
How to choose a communication medium.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통신 매체 각각의 PER(packet error rate) 또는 BER(bit error rat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통신 매체 중 상기 PER 또는 BER이 가장 낮은 상기 제1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매체는 상기 제1 통신 매체 다음으로 상기 PER 또는 BER이 낮은 통신 매체인,
통신 매체 선택 방법.According to claim 10,
Attempting to transmit the data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comprises:
obtaining information on a packet error rate (PER) or bit error rate (BER) of each communication medium included in the qualified medium information; and
Attempting to transmit the data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having the lowest PER or BER among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eligible medium inform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medium is a communication medium having the lowest PER or BER next to the first communication medium,
How to choose a communication medium.
상기 적격 매체 정보에 포함된 모든 통신 매체를 이용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이 정의된 매체 선택 룰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매체 선택 방법.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updating a medium selection rule in which a condition for the at least one parameter is defined when transmission of the data using all communication media included in the eligible medium information fails.
How to choose a communication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90178034 | 2019-12-30 | ||
| KR1020190178034 | 2019-12-30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86549A KR20210086549A (en) | 2021-07-08 |
| KR102484529B1 true KR102484529B1 (en) | 2023-01-05 |
Family
ID=7689431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87758A Active KR102484529B1 (en) | 2019-12-30 | 2020-12-30 | Communication medium selection method based on ontology for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and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8452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253477A1 (en) * | 2023-06-09 | 2024-12-12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49261B1 (en) * | 2011-11-21 | 2017-06-20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Hybrid networking system with seamless path switching of streams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72639B1 (en) | 2007-07-23 | 2010-07-27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Underwater and ground-connected multi-communication system |
| KR102041432B1 (en) * | 2017-11-29 | 2019-11-27 |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Hybrid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2020
- 2020-12-30 KR KR1020200187758A patent/KR1024845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49261B1 (en) * | 2011-11-21 | 2017-06-20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Hybrid networking system with seamless path switching of streams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유동선, 김창화, "통합 MAC을 이용하는 다중 매체 기반 수중 통신 구현을 위한 설계 및 모듈화 접근방법,"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pp.1259-1268, 2019.11.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86549A (en)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Bukhari et al. | An Intelligent Proposed Model for Task Offloading in Fog‐Cloud Collaboration Using Logistics Regression | |
| Heidemann et al. | Underwater sensor networks: applications, advances and challenges | |
| Benjamin et al. | Nested autonomy for unmanned marine vehicles with MOOS‐IvP | |
| Yum et al. | Underwater network management system in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open challenges, benefits, and feasible solution | |
| Victor et al. | Federated learning for IoUT: Concepts, applicatio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
| Seo et al. | Toward semantic communication protocols: A probabilistic logic perspective | |
| Qin et al. | A hierarc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for AUV assisted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 |
| Schneider et al. | Unified command and control for heterogeneous marine sensing networks | |
| Ma et al. | Cooperative communication framework design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s-unmanned surface vehicles formation | |
| Luo et al. | A software-defined multi-mod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ocean monitoring | |
| Kebkal et al. | Solutions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network development | |
| US20230222323A1 (en)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graph-conditioned autoencoder (gcae) using topology-friendly representations | |
| KR102484529B1 (en) | Communication medium selection method based on ontology for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and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 |
| US20230049550A1 (en) | Making an Enabled Capability | |
| Victor et al. | Federated learning for iout: Concepts, application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 |
| Wigness et al. | Internet of battlefield things: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emerging directions | |
| Persis | A novel routing protocol for underwater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pareto uninformed and heuristic search techniques | |
| Quattrini Li et al. | Communication for underwater robots: Recent trends | |
| Zhu et al. | Software-defined maritime fog computing: architecture, advantages, and feasibility | |
| Ullah et al. | Optimizing underwater connectivity through multi-attribute decision-making for underwater IoT deployments using remote sensing technologies | |
| Milovanovic et al. | 5G-AIoT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opportunity and challenges | |
| Shafik | Machine Learning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hallenges, Problems, and Open Research Questions | |
| Muhammad et al. | Exploration of contemporary modernization in UWSNs in the context of localization including opportunities for future research in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 |
| K. M et al. | Underwater network management system in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open challenges, benefits, and feasible solution | |
| CN110933641A (en) | Heterogeneous node cooperative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offshore self-organizing networ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