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900B1 - A mold assembly having a pair of forming punch - Google Patents
A mold assembly having a pair of forming pun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5900B1 KR102485900B1 KR1020210092677A KR20210092677A KR102485900B1 KR 102485900 B1 KR102485900 B1 KR 102485900B1 KR 1020210092677 A KR1020210092677 A KR 1020210092677A KR 20210092677 A KR20210092677 A KR 20210092677A KR 102485900 B1 KR102485900 B1 KR 1024859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nch
- pair
- wedge
- base materials
- di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3—Simultaneous forming, e.g. making more than one part per stro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10—Combined ejecting and stripping-off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 쌍의 쉬트를 프레스 가공할 수 있는 펀치를 구비하는 프레스 금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장의 쉬트에 한 쌍의 성형부분을 만들 때, 각 성형부분을 순차적으로 성형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가공하여 동일한 방향의 버어가 생성됨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스 금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 mold assembly having a punch capable of press-processing a pair of sheets. It relates to a press mold assembly configured to be processed in the same direction to generate burrs in the same direction and to improve productivity.
도 1에 도시한 형태의 가공대상물을 살펴보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쉬트를 펀치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은 실질적으로 철재로 만들어지는 랙의 가로 프레임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공대상물은 실질적으로 평판상의 쉬트에서 동일한 측면에 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쐐기편(A,B)을 가지는 성형부분이 가공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 the form shown in Figure 1, it can be seen that a sheet having a certain length is press-processed using a punch. The produ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verse frame of a rack substantially made of steel.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such an object to be processed is a molded part having wedge pieces A and B having symmetrical shapes on the same side in a substantially flat sheet.
이러한 성형부분은 세로프레임에 성형되는 테이퍼 형태의 슬롯에 끼워지는 쐐기편으로, 금속재 랙을 조립하기 위한 필수적인 돌출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쐐기편(A,B)은 그것의 가로 부분 대향부분에 성형되는 모따기부분(m,n)과 같이 펀치에 의하여 동시에 성형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쐐기편(A,B)의 성형을 주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따리 부분(m,n)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is molding part is a wedge piece inserted into a tapered slot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and can be said to be an essential protruding piece for assembling a metal rack. Such wedge pieces (A, B) can be said to be parts that are formed simultaneously by a punch, like the chamfer parts (m, n) formed on the opposite parts of their transverse parts. However, since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olding of the wedge pieces A and B,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hamfer portions m and n will be omitted.
여기서 쐐기편(A,B)은 동일한 방향으로 버어가 성형되어야, 세로프레임의 슬롯에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하면, 양측의 쐐기편(A,B)은 모두 하방으로 동작하는 펀치에 의하여 성형되어야 동일한 방향의 버어가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쐐기편(A,B)은 금속재 랙을 만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측면에 성형되어야 한다. 양측의 쐐기편(A,B)은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실시례를 도시하고 있다.Here, the wedge pieces A and B must be formed with burrs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y can be accurately assembled into the slots of the vertical frame. That is, with reference to FIG. 1 , it can be said that the wedge pieces A and B on both sides are formed by downward-moving punches to produce burrs in the same direction. And since the wedge pieces A and B are for making a metal rack, they must be molded on the same side. The wedge pieces A and B on both sides show an embodiment having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이와 같이 동일한 방향의 버어를 가지록 한 쌍의 쐐기편(A,B)을 한 장의 금속 쉬트에 성형하기 위해서는 다른 금형을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별도의 금형을 준비한다는 것은 실제로 금형장치가 전체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품을 성형하는 과정도 더욱 번거롭게 될 수밖에 없다. In this way, in order to mold a pair of wedge pieces A and B to have burrs in the same direction on a single metal sheet, different molds are generally required. Preparing a separate mold in this way actually makes the mold device have a large overall volume, and accordingly, the process of molding the product as described above using it is inevitably more cumbersome.
본 발명은 쉬트 형상을 가지고 일측면에 동일한 방향으로 만들어지는 버어를 가지는 2개의 돌출부분을 순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금형 어셈블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old assembly capable of sequentially processing two protrusions having a sheet shape and having burr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on one side.
본 발명에 의한 금형 어셈블리는, 펀치가 그 하부에 설치되고, 상하 운동하는 상부홀더와, 상부에 다이를 구비하고 고정된 하부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판상 모재를 나란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다이의 상부에는 가이드를 설치하여 한 쌍의 피딩부가 만들어진다. 여기서 모재의 일측면에 한 쌍의 쐐기편을 성형하기 위하여, 펀치의 쐐기가공부를 한 쌍의 모재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방향에 배치하여 제1펀지부와 제2펀치부로 구분한다. 상술한 제1펀치부에서 하나의 쐐기편이 성형된 반제품은 제2펀치부에 투입되어 같은 측면에 다른 하나의 쐐기편을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쐐기편은 동일한 방향으로 버어가 생성되면서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The mol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lder on which a punch is installed and moving up and down, and a lower holder having a die on the upper portion and being fixed. In addition, a pair of feeding parts are created by installing a guide at the top of the die so that a pair of plate-shaped base materials can be input side by side. Here, in order to form a pair of wedge pieces on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the wedge processing parts of the punch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based on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pair of base materials to divide the first punch part and the second punch part. The semi-finished product in which one wedge piece is molded in the first punch unit described above is put into the second punch unit to form another wedge piece on the same side, so that the pair of wedge pieces are made with burrs in the same direction. do.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3개의 가이드에 의하여 한 쌍의 모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피딩부를 형성함과 같이, 펀치의 쐐기가공부를 공급되는 한 쌍의 모재(또는 반제품)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1차 가공에 의하여 하나의 쐐기편이 만들어진 반제품을 다른 측의 피딩부에 넣고 다른 측의 쐐기 가공부를 통하여 가공함으로써, 동일한 방향의 버어를 가질 수 있는 완제품이 만들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pair of base materials (or semi-products ) are arranged on opposite sides (outside or inside) of each other. Therefore, a semi-finished product having one wedge piece formed through primary processing is put into the feeding part on the other side and processed through the wedge processing part on the other side, thereby making a finished product that can have burrs in the same direction.
도 1은 생산되는 제품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금형 어셈블리를 앞에서 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금형 어셈블리를 위에서 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토퍼 주변 구성을 보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duct to be produced.
Figure 2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mol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Figure 3 is an explanatory view as seen from above the mol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제품을 프레스 가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형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금형은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한 완성품을 만들기 위한 것이어서, 최종 완제품은 도 1을 참고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펀치를 포함하는 전형적인 프레스 및 금형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Next,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mol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ess-working the produc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such, the mol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for making the finished product shown in FIG. 1, so reference is made to FIG. 1 for the final finished produc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typical presses and molds including punches will be omitted, and only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 금형 어셈블리는, 프레스장치에 지지되어 승하강하는 상부홀더(1)와, 장치에 고정되는 하부홀더(6)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상부홀더(1)와 하부홀더(6)에는 각각 프레스 가공을 위한 부품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다양한 부품은 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렇게 공지된 부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언급하는 정도로 설명한다. The mol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공지된 구성이지만 간단하게 살펴보면, 상부홀더(1)에는 펀치가 설치되어 승하강에 의하여 쉬트상의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게 되고, 하부홀더(6) 상부에는 가공대상물이 올져지고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이(5)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홀더(1)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펀치를 고정하기 위한 펀치고정판(3)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가동스트리퍼(4)가 스트리퍼 지지볼트(16)에 의하여 상부홀더(1)에 지지되고 있다. Although it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looking briefly, a punch is installed in the
여기서 제품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부홀더(1)에 의하어 지지되고, 상하 운동하는 펀치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고정된 상태의 하부홀더(6) 상에는 다이(5)가 지지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이(5) 상으로 판상의 모재(Ma,Mb)가 이송된다. 상부홀더(1)의 하부에는 가이드핀(9)이 직립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가이드핀(9)을 수납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시(10)가 다이(5)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부홀더(1)에는 펀치가 설치되어 모재(Ma,Mb)를 가공하게 된다. Here, a punch that is supported by the
본 발명에서는 다이(5) 상에는 한 쌍의 모재(Ma,Mb)를 동시에 병렬로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장치가 설치되는데, 도시한 실시례에서 가이드장치는 3개의 가이드(12a,12b.12c)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3개의 가이드(12a,12b,12c)에 의하여, 좌우 한 쌍의 모재(Ma,Mb)가 나란하게 다이(5) 상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즉, 3개의 가이드(12a,12b,12c)에 의하여, 2개의 피딩부(Fa,Fb)가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재(Ma,Mb)를 그 사이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 쌍의 모재를 동시에 나란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인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모재(Ma,Mb)를 같이 피딩하여 펀칭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후술하는 펀치의 구조와 같이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모재(Ma,Mb)는 판상의 것인데, 쉬트 상태로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고 1차 가공시에는 롤상태로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롤상태의 모재가 공급되는 경우, 일정한 양의 피딩 후, 후술하는 스토퍼에 의하여 멈추고, 펀치에 의하여 가공된다. 그리고 별도의 금형에 의하여 절단된 후, 쉬트 상태로 배출되어, 2차 가공시에는 쉬트 상태로 공급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모재의 피딩 및 절단(파팅)은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진행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guiding a pair of base materials Ma and Mb in parallel is installed on the die 5.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uide device consists of thre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wo feeding parts Fa and Fb are formed by the three
And,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invention, being able to perform punching by feeding a pair of base materials (Ma and Mb) together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like the structure of a punch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aterial (Ma, Mb) is plate-shaped, but it is possible to supply it in a sheet state, and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it in a roll state during the primary processing.
For example, when a base material in a roll state is supplied, after a certain amount of feeding, it is stopped by a stopper to be described later and processed by a punch. And after being cut by a separate mold, it is discharged in a sheet state and supplied in a sheet state during secondary processing. Here, the feeding and cutting (parting) of the base material will be performed by a separate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 제품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측면에 성형되는 한 쌍의 쐐기편(A,B)을 가지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펀치(17,18,19,20)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금속재 랙의 세로 프레임에 가공된 슬릿에 끼워지는 쐐기편(A,B)을 가공하기 위한 쐐기가공부(18,20)를 구비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wedge pieces A and B molded on the same side surface as described in FIG. 1 . And, as shown in 3, the
그리고 본 발명의 펀치(17,18,19,20)는, 쐐기가공부(18,20)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모재의 모서리를 따기 위한 모따기부(17,19)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쐐기가공부(18,20)와 모따기부(17,19)를 구비하고 있는 펀치는 전체적으로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의 쐐기가공부(17)와 모따기부(20)를 제1펀치부(Pa)라고 칭하고, 우측의 쐐기가공부(18) 및 모따기부(19)를 제2펀치부(Pb)라고 칭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쐐기가공부(18,20)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쐐기편(A,B)은 동일한 측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성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쐐기편(A,B)의 가공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쐐기가공부(18,20)를 서로 반대측에 배치하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모재(Ma)의 쐐기가공부(18)는 중심에서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고, 제2모재(Mb)의 쇄기가공부(20)는 중심에서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The wedge pieces A and B made by the
즉, 본 발명의 펀치에서 쐐기가공부(18,20)은 모재의 피딩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모두 외측에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모따기부(17,19)는 서로 근접한 내측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모따기부(18,20)의 위치도, 모재(Ma,Mb)의 피딩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in the punch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본 발명에서는 모재(Ma,Mb)가 다이(5) 상으로 피딩될 때, 모재의 선단부가 접촉함으로써 모재(Ma,Mb)가 멈추는 스토퍼(30)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스토퍼(Sa,Sb)는 실질적으로 피딩되는 모재(Ma,Mb)의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0)가 다이(5) 위로 돌출하게 되면, 이송되는 모재가 접촉하여 이송을 멈추게 하고 펀칭 작업이 수행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se materials Ma and Mb are fed onto the
도 4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스토퍼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스토퍼(30)는 스프링(32)에 의하여 항상 하방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30)의 확장된 하부(30a)와 스토퍼공(31)의 걸림턱(33)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러한 스프링(32)의 탄성력이 스토퍼(3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pper will be described. The
그리고 스토퍼(30)의 하부(30a)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더(8)의 수납홈(8a)에 들어가면, 스토퍼(30)의 상단부는 다이(5)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공압실린더(7)에 의하여 슬라이더(8)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토퍼(30)의 하부(30a)가 슬라이더(8)의 상면(8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스토퍼(30)의 상단부는 다이(5)보다 돌출하게 된다. And, when th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30)가 다이(5)의 상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판상의 모재(Ma,Mb)(롤 형상의 모재라도 가능)가 이송되면, 이러한 모재(Ma,Mb)의 선단부는 상술한 스토퍼(30)에 접촉하여 멈추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강하는 펀치(17,18,19,20)가 모재(Ma,Mb)를 1차 가공한다. 여기서 1차 가공은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재(Ma,Mb)의 일측면에 하나의 쐐기편(B)을 성형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when plate-shaped base materials Ma and Mb (possibly roll-shaped base materials) are transferred in a state where the
이와 같은 1차 가공시, 제1펀치부(Pa) 및 제2펀치부(Pb)에 의하여, 모재(Ma,Mb)의 일측에는 각각 하나의 쐐기편(B)이 성형된다. 여기서 제1펀치부(Pa)의 쐐기가공부(17) 및 제2펀치부(Pb)의 쐐기가공부(18)는 모재(Ma,Mb)의 서로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1차 가공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쐐기편(B)도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모재(Ma,Mb)의 반대 측면에 성형된다. During this primary processing, one wedge piece (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s (Ma, Mb) by the first punch portion (Pa) and the second punch portion (Pb), respectively. Here, since the
이와 같은 1차 가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2차 가공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2차가공은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쐐기편(B)이 성형된 모재(Ma,Mb)의 같은 측면에 또 하나의 쐐기편(A)을 성형하는 것이다. 이때 제1쐐기편(B)과 제2쐐기편(A)은 동일한 방향의 버어를 가지도록 성형되어야 하는데, 이는 쐐기편(A)과 쐐기편(B)는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펀치에 의하여 성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fter the primary processing is completed, the secondary processing should be performed. As shown in (b) of FIG. To form another wedge piece (A). At this time, the first wedge piece (B) and the second wedge piece (A) should be formed to have burrs in the same direction, which means that the wedge piece (A) and the wedge piece (B) are molded by a punch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means it should be
이를 위하여 1차 가공이 완료된 모재(Ma,Mb)를 다시 다이(5) 상으로 올려서 제2가공(펀칭)을 수행한다. 이때, 제1펀치부(Pa)에서 가공된 반제품[도 1의 (a) 참조]은 제2펀치부(Pb)에 넣고, 제2펀지부(Pb)에서 가공된 반제품은 제1펀치부(Pa)로 투입한다. 여기서 반제품의 투입 방향은, 제1쐐기편(B)과 동일한 측면에 제2쐐기편(A)이 성형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펀치의 쐐기가공부(18,20)의 위치에 따라 투입해야 한다.To this end, the base material (Ma, Mb) for which the primary processing has been completed is put on the
이러한 2차펀칭이 수행되면,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쐐기편(A)이 제1쐐기편(B)과 동일한 측면에 성형됨과 동시에, 제2쐐기편(B)과 제2쐐기편(A)은 실제로 동일한 방향의 버어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여기서 제1펀치부(Pa)에 의하여 1차가공이 완료되어 하나의 쐐기편(B)이 성형된 반재품(Ma)을 또 동일한 제1펀치부(Pa)에 투입하면, 한 쌍의 쐐기편(A,B)은 서로 반대 방향의 버어가 생성된다. When this secondary punching is performed, the second wedge piece (A) as shown in FIG. 1 (b) is formed on the same side as the first wedge piece (B), and the second wedge piece (B) The second wedge piece A is molded to have burrs in the same direction in practice. Here, when the primary processing is completed by the first punch part (Pa) and the semi-finished product (Ma) in which one wedge piece (B) is formed is put into the same first punch part (Pa), a pair of wedge pieces In (A, B), burrs are created in opposite directions.
이와 같이 모재의 같은 측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한 쌍의 쐐기편(A,B)을 가공하면서, 동일한 방향의 버어를 가질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은, 다이(5) 상에 한 쌍의 모재(Ma.Mb)가 동시에 병렬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각 모재에서 인접한 내측이 아닌 외측에 쐐기편이 성형될 수 있도록 펀치의 쐐기가공부(18,20)를 배치하는데 기초하고 있다.In this way, while processing a pair of wedge pieces A and B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ame side of the base material, processing to have burrs in the same direction is a pair of base materials on the die 5 ( It is based on arranging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금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상술한 제품을 가공할 때, 1차 가공을 다수 수행한 후, 2차 가공을 다수 진행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When processing the above-described product using the mol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productiv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substantially by performing a plurality of primary processing and then performing a plurality of secondary processing.
A, B ..... 쐐기편
Ma, Mb ..... 모재
1 ..... 상부홀더
3 ..... 펀치고정판
4 ..... 가동스트리퍼
5 ..... 다이
6 ..... 하부홀더
7 ..... 공압실린더
8 ..... 슬라이더
17, 18 ..... 펀치의 쐐기가공부
19, 20 ..... 펀치의 모따기부
30 ..... 스토퍼
32 ..... 스프링A, B ..... Wedges
Ma, Mb ..... base material
1 ..... Upper holder
3 ..... punch fixing plate
4 ..... movable stripper
5 ..... die
6 ..... Lower holder
7 ..... Pneumatic cylinder
8 ..... Slider
17, 18 ..... Punch wedge work
19, 20 ..... Chamfer of punch
30 ..... stopper
32 ..... spring
Claims (1)
한 쌍의 판상 모재를 나란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다이(5)의 상부에는 3개의 가이드(12a,12b,12c)를 설치하여, 한 쌍의 모재(Ma.Mb)가 동시에 병렬로 투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피딩부(Fa,Fb)를 형성하고;
각 모재의 일측면에 한 쌍의 쐐기편을 성형하기 위한 펀치의 쐐기가공부(18,20)를 한 쌍의 모재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방향에 구비하고, 각 모재의 타측면 모서리를 따기 위한 모따기부(17,19)를 각각 구비하는 제1펀치부(Pa)와 제2펀치부(Pb)로 구분하고;
모재(Ma,Mb)가 다이(5)의 피딩부(Fa,Fb)로 피딩될 때, 모재의 선단부가 접촉함으로써 모재(Ma,Mb)가 멈추는 스토퍼(30)를 설치하며;
제1피딩부(Fa)에서 제1펀치부(Pa)에 의하여 하나의 쐐기편이 성형된 반제품은 다른 제2피딩부(Fb)의 제2펀치부(Pb)에 투입되고, 제2피딩부(Fb)의 제2펀치부(Pb)에서 하나의 쐐기편이 성형된 반제품은 제1피딩부(Fa)의 제1펀치부(Pa)에 투입되어, 모재의 같은 측면에 다른 하나의 쐐기편을 더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쐐기편은 동일한 방향으로 버어가 생성되면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어셈블리.
In a press mold assembly having an upper holder (1) in which a punch is installed and moving up and down, and a lower holder (6) having a die (5) fixed thereon;
Three guides 12a, 12b, and 12c ar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ie 5 so that a pair of plate-shaped base materials can be injected side by side, so that a pair of base materials (Ma.Mb) can be simultaneously and parallelly injected. forming a pair of feeding parts Fa and Fb;
The wedge processing parts (18, 20) of the punch for forming a pair of wedge pieces on one side of each base material are provided in different directions based on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pair of base materials, and the edge of the other side of each base material Divided into a first punch portion (Pa) and a second punch portion (Pb) each having chamfer portions 17 and 19 for picking;
When the base materials (Ma, Mb) are fed to the feeding parts (Fa, Fb) of the die (5), a stopper (30) is installed to stop the base materials (Ma, Mb) by contacting the front ends of the base materials;
In the first feeding unit (Fa), the semi-finished product in which one wedge piece is formed by the first punch unit (Pa) is put into the second punch unit (Pb) of the other second feeding unit (Fb), and the second feeding unit ( The semi-finished product in which one wedge piece is molded in the second punch part (Pb) of Fb) is put into the first punch part (Pa) of the first feeding part (Fa), and another wedge piece is further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base material. By forming, the pair of wedge pieces are made while burrs are created in the same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92677A KR102485900B1 (en) | 2021-07-15 | 2021-07-15 | A mold assembly having a pair of forming pun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92677A KR102485900B1 (en) | 2021-07-15 | 2021-07-15 | A mold assembly having a pair of forming punch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485900B1 true KR102485900B1 (en) | 2023-01-06 |
Family
ID=849239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92677A Active KR102485900B1 (en) | 2021-07-15 | 2021-07-15 | A mold assembly having a pair of forming punch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85900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0700B1 (en) * | 2007-02-28 | 2008-05-1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arrier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wo Row Progressive Mold |
| KR20100061594A (en) * | 2008-11-29 | 2010-06-08 | 주식회사 신영 | Distant mote pro yes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system of the product which uses a sheave press |
-
2021
- 2021-07-15 KR KR1020210092677A patent/KR1024859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0700B1 (en) * | 2007-02-28 | 2008-05-1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arrier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wo Row Progressive Mold |
| KR20100061594A (en) * | 2008-11-29 | 2010-06-08 | 주식회사 신영 | Distant mote pro yes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system of the product which uses a sheave pres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0711839B (en) | A multi-station stamping progressive die for automated production of bent chain plates | |
| CN206882527U (en) | A stamping die for multi-shaped sheet | |
| CN105921613B (en) | U-shaped piece upgrades stamping forming mould | |
| CN211191667U (en) | Device for cutting and bending support | |
| JP2000343144A (en) | Manufacture of press molding | |
| KR20160110009A (en) | Processing station for processing of endless metal profiles | |
| KR102485900B1 (en) | A mold assembly having a pair of forming punch | |
| CN210877059U (en) | Link plate assembling die | |
| CN111014451B (en) | Progressive stamping die of radiator support | |
| JP2000042794A (en) | Press line | |
| CN214517098U (en) | A multi-sub-sheet forming progressive die for integral corrugated sheet | |
| CN105312429A (en) | Continuous processing mould | |
| CN211464509U (en) | High-precision progressive die | |
| JPH1094832A (en) | Metallic sheet press-form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e | |
| CN210907955U (en) | A multi-station stamping progressive die for automatic production of curved chain plates | |
| CN212884461U (en) | Progressive die | |
| JPH10277673A (en) | Parts processing equipment with transport mechanism | |
| JP2000317544A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ss working | |
| CN114871333A (en) | Temperature sensor production device | |
| JP2002336998A (en) | Progressive die for press machine | |
| CN111001706A (en) | Continuous die without waste material scrap | |
| JPH0515381Y2 (en) | ||
| CN105537378A (en) | Continuous punching die for automobile supporting frame | |
| CN216540469U (en) | Stamping progressive die | |
| CN213469262U (en) | Tray production froc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7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2022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11125 |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203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10927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2204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21123 Appeal identifier: 2022101000894 Request date: 20220419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8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419 Effective date: 20221123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211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20419 Decision date: 20221123 Appeal identifier: 2022101000894 |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22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4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