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1301B1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301B1
KR102491301B1 KR1020217012026A KR20217012026A KR102491301B1 KR 102491301 B1 KR102491301 B1 KR 102491301B1 KR 1020217012026 A KR1020217012026 A KR 1020217012026A KR 20217012026 A KR20217012026 A KR 20217012026A KR 102491301 B1 KR102491301 B1 KR 10249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microporous
microporous membrane
film
polyolefin
membr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091A (ko
Inventor
마미 남부
요시카즈 이쿠타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3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1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05Microfluid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2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01N33/545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2Hydrophil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6Hydrophilic memb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막두께가 1㎛∼400㎛이고, 식(1) 및 식(2)을 만족하는 또는 식(3) 및 식(4)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식(1) : 0.7≤τXZ≤1.5
식(2) : 0.7≤τYZ≤1.5
τX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면을 따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曲路率), τY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면을 따른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 τZ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
식(3) : 0.5≤TX/TZ≤2.0
식(4) : 0.5≤TY/TZ≤2.0
TX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면을 따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TY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면을 따른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TZ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Description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擔體)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두께 1∼350㎛, 공공률 25∼90%, 버블 포인트 1∼10kg/㎠, 투수량이 1000리터/hr·㎡·atm 이상, 표면의 수적 접촉각이 100° 이하인 개질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평균 피브릴 직경이 40∼80㎚, 세공(細孔)의 평균 공경이 15∼50㎚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수증기 투과량이 4000∼10000g/㎡/24hr이고, 내수압이 30kPa 이상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7-24632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0-5324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4-61505호 공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물질의 분리, 정제 또는 검출 등을 목적으로,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등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물질의 분리 또는 정제의 정도(精度) 또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면 방향과 두께 방향에 있어서 다공질 구조의 차이가 작고,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상기 상황 하에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는, 이하의 태양이 포함된다.
[1] 막두께가 1㎛∼400㎛이고, 하기의 식(1) 및 식(2)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식(1) : 0.7≤τXZ≤1.5
식(2) : 0.7≤τYZ≤1.5
τX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曲路率).
τY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르며 또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
τZ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
[2] 막두께가 1㎛∼400㎛이고, 하기의 식(3) 및 식(4)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식(3) : 0.5≤TX/TZ≤2.0
식(4) : 0.5≤TY/TZ≤2.0
TX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TY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르며 또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TZ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3] 버블 포인트압이 0.001MPa 이상 0.1MPa 미만인,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4] 에탄올 유량(mL/(min·㎠·MPa))과 막두께(㎛)를 곱셈한 값이 5만∼50만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5] 단위 두께당의 걸리값이 0.0005초/100mL·㎛∼0.1초/100mL·㎛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6] 공공률이 70%∼95%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7]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고,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90도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8]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막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친수성 재료를 갖는, [7]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9]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막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물리적으로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인, [7] 또는 [8]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10]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포함하는 필터.
[11]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포함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12]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마련된 검출부로서,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된 검출부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제공된다.
도 1은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2a는 실시예 1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X선 CT로부터 얻어진 단면 화상.
도 2b는 실시예 2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X선 CT로부터 얻어진 단면 화상.
도 2c는 실시예 3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X선 CT로부터 얻어진 단면 화상.
도 2d는 비교예 1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X선 CT로부터 얻어진 단면 화상.
도 2e는 비교예 2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X선 CT로부터 얻어진 단면 화상.
도 3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있어서의 흡광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들 설명 및 실시예는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술하는 작용기서는 추정을 포함하고 있고, 그 정부(正否)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할 경우, 당해 실시형태의 구성은 도면에 나타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크기는 개념적인 것이고, 부재 간의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를 사용해서 나타난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개시 중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하나의 수치 범위로 기재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공정」이란 단어는, 독립한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히 구별할 수 없는 경우여도 그 공정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각 성분은 해당하는 물질을 복수 종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양에 대하여 언급할 경우,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종 존재하는 경우에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 종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계 방향」이란, 장척상으로 제조되는 막, 필름 또는 시트에 있어서 장척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이란,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계 방향」을 「MD 방향」이라고도 하며, 「폭 방향」을 「TD 방향」이라고도 한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본 개시는,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란, 피브릴상의 폴리올레핀이 삼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내부에 다수의 미세공을 갖고, 이들 미세공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어, 한쪽의 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면으로 기체 혹은 액체가 통과 가능하게 된 막을 의미한다.
본 개시는,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서,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개시한다.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막두께가 1㎛∼400㎛이고, 하기의 식(1) 및 식(2)을 만족한다.
식(1) : 0.7≤τXZ≤1.5
식(2) : 0.7≤τYZ≤1.5
τX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
τY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르며 또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
τZ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
여기에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이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갖는 두 주면(主面)(예를 들면 한쪽의 면을 표면이라 정의했을 경우, 표면 및 이면이 두 주면에 상당)의 한쪽을 가리킨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른 방향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두께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곡로율(Tortuosity)이란,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최단 거리에 대해서 얼마나 우회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유로가 우회하고 있을수록 곡로율은 크다.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식(1)과 식(2)을 동시에 충족시킴에 의해,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 τXZ 또는 τYZ가 0.7 미만이면, 유로의 우회의 정도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너무 커서, 두께 방향으로 유체가 지나가기 어렵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 τXZ 또는 τYZ가 1.5 초과이면, 유로의 우회의 정도가 면 방향에 있어서 너무 커서, 면 방향으로 유체가 지나가기 어렵다.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식(1') : 0.75≤τXZ≤1.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1'') : 0.8≤τXZ≤1.1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식(2') : 0.75≤τYZ≤1.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2'') : 0.8≤τYZ≤1.1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식(1)과 식(2')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1)과 식(2'')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식(1')과 식(2)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1')과 식(2')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1')과 식(2'')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식(1'')과 식(2)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1'')과 식(2')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1'')과 식(2'')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τX의 값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2∼2.0이 바람직하고, 1.2∼1.8이 보다 바람직하고, 1.4∼1.7이 더 바람직하다.
τY의 값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2∼2.0이 바람직하고, 1.2∼1.8이 보다 바람직하고, 1.4∼1.7이 더 바람직하다.
τZ의 값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3∼2.1이 바람직하고, 1.5∼2.0이 보다 바람직하고, 1.6∼1.9가 더 바람직하다.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막두께가 1㎛∼400㎛이고, 하기의 식(3) 및 식(4)을 만족한다.
식(3) : 0.5≤TX/TZ≤2.0
식(4) : 0.5≤TY/TZ≤2.0
TX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TY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르며 또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TZ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여기에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이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갖는 두 주면(예를 들면 한쪽의 면을 표면이라 정의했을 경우, 표면 및 이면이 두 주면에 상당)의 한쪽을 가리킨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른 방향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두께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투과성 지표(Permeability)란, 유체가 흐르는 유로에 대하여 유체의 흐르기 쉬움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유체가 흐르기 쉬운 유로일수록 투과성 지표가 크다. 본 개시에 있어서 투과성 지표는, 달시·바이스바하의 식으로부터 도출되는 습윤 면적이고, 길이의 2승(㎛2)을 단위로 한다.
달시·바이스바하의 식 : k=QμL/ΔPA
k : 투과성 지표(㎛2)
Q : 단위 시간당의 유출 수량(㎛3/s)
μ : 유체의 점도(Pa·s)
L : 유로의 길이(㎛)
ΔP : 압력차(Pa)
A : 단면적(㎛2)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식(3)과 식(4)을 동시에 충족시킴에 의해,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 TX/TZ 또는 TY/TZ가 0.5 미만이면, 면 방향에 비해서 두께 방향으로 유체가 너무 흘러서, 면 방향으로 유체가 지나가기 어렵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 TX/TZ 또는 TY/TZ가 2.0 초과이면, 두께 방향에 비해서 면 방향으로 유체가 너무 흘러서, 두께 방향으로 유체가 지나가기 어렵다.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식(3') : 0.8≤TX/TZ≤2.0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3'') : 0.9≤TX/TZ≤1.9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식(4') : 0.75≤TY/TZ≤1.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4'') : 0.8≤TY/TZ≤1.1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식(3)과 식(4')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3)과 식(4'')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식(3')과 식(4)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3')과 식(4')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3')과 식(4'')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식(3'')과 식(4)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3'')과 식(4')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3'')과 식(4'')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TX의 값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0.4∼3.0이 바람직하고, 0.5∼2.5가 보다 바람직하고, 1.0∼2.0이 더 바람직하다.
TY의 값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0.2∼2.0이 바람직하고, 0.3∼1.9가 보다 바람직하고, 0.5∼1.8이 더 바람직하다.
TZ의 값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0.2∼2.0이 바람직하고, 0.3∼1.9가 보다 바람직하고, 0.5∼1.8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곡로율 및 투과성 지표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X선 컴퓨터 단층 촬영(X선 CT)에 사용하여, 샘플을 0°∼180° 회전시키면서 X선 투과상의 촬상을 행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로부터 내부 구조의 삼차원상을 컴퓨터로 재구축한다. 재구축한 삼차원상을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ImageJ로 화상 변환하고, 3평면(XY 평면, XZ 평면, YZ 평면) 각각에 대하여 0.26㎛/pixel 피치(pitch)의 단면 시퀀스 데이터를 얻는다. X선 CT의 스캐닝 방향에 따르지만 필요하면, 얻어진 시퀀스 데이터로부터, 삼면도의 Z 방향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시퀀스 데이터의 축 방향을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ImageJ로 변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ImageJ로 삼면도를 제작한다. 삼면도의 X 방향 및 Y 방향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MD 방향 및 TD 방향 또는 TD 방향 및 MD 방향과 각각 일치시킨다.
이어서, 얻어진 시퀀스 데이터로부터, X 방향으로 300㎛ 또한 Y 방향으로 300㎛의 데이터를 취출하고, Z 방향으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에 따른 길이(㎛)의 데이터를 취출한다. 해석 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Z 방향으로 상하 각각 수㎛(예를 들면, 상하 각각 5㎛)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Z 방향의 중앙 부분의 데이터를 취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치수에서 취출한 시퀀스 데이터를,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Avizo에 도입한 후, 0.26㎛/voxel의 삼차원 데이터로 변환하고, 동(同)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공극의 추출을 행한다. 그때, 노이즈의 제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X선 CT를 촬영할 때의 반사 및 산란에 의한 노이즈로서, 50voxel 이하의 체적의 도트를 제거한다). 그리고,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Avizo의 Pore network 해석 기능을 사용해서, X 방향, Y 방향, Z 방향 각각에, 가장 가까운 공극의 중심끼리를 순서대로 이어서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또한 가장 가까운 공극끼리의 접촉 면적을 파라미터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X 방향, Y 방향, Z 방향 각각에, 일정한 단위 시간당의 유출 수량으로 유체를 흘려보내는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네트워크의 복잡함 및 투과성을 해석한다. 취출한 데이터 중, 유체를 흘려보내는 방향의 길이를 유로의 길이, 유체를 흘려보내는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의 면적을 단면적으로 한다. 시뮬레이션의 조건은, 유체의 점도 : 0.001Pa·s, 입구압 : 130MPa, 출구압 : 100MPa이고,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는 30MPa이다.
네트워크의 해석 결과로부터,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 각각의 곡로율인 τX, τY 및 τZ와,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 각각의 투과성 지표인 TX, TY 및 TZ를 얻는다. 곡로율은, 한쪽의 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면으로 이어지는 네트워크의 길이를, 당해 네트워크의 시점과 종점을 잇는 최단 거리로 나눗셈한 값의 평균값이다. 투과성 지표는, 달시·바이스바하의 식으로부터 도출되는 계수이다. 달시·바이스바하의 식에 있어서, Q에 단위 시간당의 유출 수량을, μ에 유체의 점도를, L에 유로의 길이를, ΔP에 압력차를, A에 단면적을 각각 대입하여, 계수 k를 구한다.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공통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총칭해서 설명한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소수성이어도 되고, 친수성이어도 된다. 폴리올레핀은 소수성의 수지이므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그 자체는 소수성이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어도 되고, 친수화 처리에 의해 친수성이 부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어도 된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친수화 처리의 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친수성이라는 것은,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90도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은,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의 곡로율 및 투과성 지표 이외의 그 밖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공통하는 특성에 대해서는, 단순히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기재해서 특성을 설명한다.
[막두께]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는, 1㎛∼400㎛가 적당하고, 당해 범위 내에서 용도에 따라서 선택해도 되며, 예를 들면, 10㎛∼300㎛이고, 20㎛∼250㎛이고, 30㎛∼200㎛이고, 40㎛∼150㎛이다.
[버블 포인트압]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버블 포인트압은, 용도에 따라서 선택해도 되며, 예를 들면, 0.001MPa 이상 0.1MPa 미만이고, 0.005MPa∼0.08MPa이고, 0.007MPa∼0.05MPa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버블 포인트압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에탄올에 침지하고, JIS K3832:1990의 버블 포인트 시험 방법에 따라서, 단, 시험 시의 액온을 24±2℃로 변경하여, 인가 압력을 승압 속도 2kPa/초로 승압하면서 버블 포인트 시험을 행해서 구하는 값이다.
[에탄올 유량]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에탄올 유량은, 용도에 따라서 선택해도 된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에탄올 유량(mL/(min·㎠·MPa))과 막두께(㎛)를 곱셈한 값이, 예를 들면, 5만∼50만이고, 8만∼40만이고, 10만∼30만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에탄올 유량(mL/(min·㎠·MPa)은, 일정한 투액 면적(㎠)을 갖는 투액 셀에 세팅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일정한 차압(kPa)으로 에탄올 100mL를 투과시키고, 에탄올 100mL가 투과하는데 요하는 시간(sec)을 측정하고, 단위 환산해서 구한다.
[걸리값]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단위 두께당의 걸리값(초/100mL·㎛)은, 용도에 따라서 선택해도 되며, 예를 들면, 0.0005∼0.1이고, 0.005∼0.05이고, 0.01∼0.03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걸리값은, JIS P8117:2009에 따라서 측정한 값이다.
[공공률]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은, 용도에 따라서 선택해도 되며, 예를 들면, 70%∼95%이고, 75%∼93%이고, 80%∼92%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은,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한다.
공공률(%)={1-(Wa/xa+Wb/xb+Wc/xc+…+Wn/xn)/t}×100
여기에,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구성 재료가 a, b, c, …, n이고, 상기 구성 재료의 질량이 각각 Wa, Wb, Wc, …, Wn(g/㎠)이고, 상기 구성 재료의 진밀도가 각각 xa, xb, xc, …, xn(g/㎤)이고,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가 t(㎝)이다.
[평균 유량 공경]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평균 유량 공경은, 용도에 따라서 선택해도 되며, 예를 들면, 0.02㎛∼5㎛이고, 0.05㎛∼4㎛이고, 0.1㎛∼3.5㎛이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평균 유량 공경은, PMI사의 펌 포로미터(형식 : CFP-1200-AEXL)를 사용하고, 침액에 PMI사제의 갈윅(표면 장력 15.9dyn/㎝)을 사용해서, ASTM E1294-89로 규정하는 하프드라이법에 의거하여 구한다.
[BET 비표면적]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은, 용도에 따라서 선택해도 되며, 예를 들면, 1㎡/g∼30㎡/g이고, 2㎡/g∼25㎡/g이고, 3㎡/g∼20㎡/g이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은, 마이크로트랙·벨 주식회사의 비표면적 측정 장치(형식 : BELSORP-mini)를 사용하여, 액체 질소 온도 하에 있어서의 질소 가스 흡착법으로, 설정 상대압 : 1.0×10-3∼0.35의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고, BET법으로 해석해서 구한 값이다.
[돌자(突刺) 강도]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단위 두께당의 돌자 강도가, 예를 들면, 0.05g/㎛∼1.5g/㎛이고, 0.07g/㎛∼1.2g/㎛이고, 0.08g/㎛∼1.0g/㎛이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단위 두께당의 돌자 강도는, 침 관통 시험(침 : 선단(先端)의 곡률 반경 0.5㎜, 돌자 속도 : 320㎜/분)을 행해서 최대 돌자 하중(g)을 측정하고, 최대 돌자 하중을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로 나눗셈해서 구한다.
[물의 접촉각]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일 경우,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90도이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일 경우, 양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에 있어서의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은, 용도에 따라서 선택해도 되며, 예를 들면, 1도∼80도이고, 3도∼70도이고, 5도∼60도이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에 대하여,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은, 하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온도 24℃ 또한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에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에 주사기로 1μL의 수적을 떨어뜨리고, 적하 1초 후의 물의 정적 접촉각을, 전자동 접촉각계를 사용해서 θ/2법에 의해 측정한다.
[폴리올레핀]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메틸펜텐,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등이 호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서는, 포함되는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만인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이 호적하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폴리올레핀 조성물(본 개시에 있어서,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의미하고, 포함되는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만인 경우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이라 한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연신 시의 피브릴화에 수반해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을 증가시키는 효용이 있다.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9×105 이상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폴리올레핀의 총량에 대해서, 3질량%∼15질량%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5질량%∼10질량%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8질량%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9×105 이상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2×105∼8×105이고 밀도가 0.92g/㎤∼0.96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질량비 3:97∼15:85(보다 바람직하게는 5:95∼10:90, 더 바람직하게는 5:95∼8:92)로 혼합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전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105∼2×106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o-디클로로벤젠 중에 가열 용해하고,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시스템 : Waters사제 Alliance GPC 2000형, 칼럼 : GMH6-HT 및 GMH6-HTL)에 의해, 칼럼 온도 135℃, 유속 1.0mL/분의 조건에서 측정을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분자량의 교정에는 분자량 단분산 폴리스티렌(도소샤제)을 사용한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조 방법]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예를 들면, 하기의 공정(I)∼(IV)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공정(I) : 폴리올레핀 조성물과 대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210℃ 미만인 휘발성의 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
공정(II) : 상기 용액을 용융 혼련(混練)하여,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고화(固化)해서 제1 겔상 성형물을 얻는 공정.
공정(III) : 상기 제1 겔상 성형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일차 연신)하며 또한 용제의 건조를 행하여 제2 겔상 성형물을 얻는 공정.
공정(IV) : 상기 제2 겔상 성형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이차 연신)하는 공정.
공정(I)∼(IV)의 각 조건을 제어함에 의해, 등방성이 우수한 다공질 구조를 갖고,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공정(I)은, 폴리올레핀 조성물과 대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210℃ 미만인 휘발성의 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이다. 상기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역적 졸겔 용액이고,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용제에 가열 용해시킴에 의해 졸화시켜서, 열가역적 졸겔 용액을 조제한다. 대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210℃ 미만인 휘발성의 용제로서는 폴리올레핀을 충분히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휘발성의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랄린(206℃∼208℃), 에틸렌글리콜(197.3℃), 데칼린(데카히드로나프탈렌, 187℃∼196℃), 톨루엔(110.6℃), 자일렌(138℃∼144℃), 디에틸트리아민(107℃), 에틸렌디아민(116℃), 디메틸설폭시드(189℃), 헥산(69℃) 등을 들 수 있고, 데칼린 또는 자일렌이 바람직하다(괄호 내의 온도는, 대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다). 상기 휘발성의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공정(I)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본 개시에 있어서,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의미하고, 포함되는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만인 경우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이라 한다)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I)에 있어서 조제하는 용액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다공질 구조의 등방성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농도가 10질량%∼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농도가 10질량% 이상이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막 공정에 있어서 절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역학 강도가 높아져서 핸들링성이 향상한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농도가 40질량% 이하이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이 형성되기 쉽다.
공정(II)은, 공정(I)에서 조제한 용액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고화해서 제1 겔상 성형물을 얻는 공정이다. 공정(II)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융점∼융점+65℃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다이로부터 압출해서 압출물을 얻고, 이어서 상기 압출물을 냉각해서 제1 겔상 성형물을 얻는다. 제1 겔상 성형물은 시트상으로 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은, 물 또는 유기 용매에의 침지에 의해서 행해도 되고, 냉각된 금속 롤에의 접촉에 의해서 행해도 되고, 일반적으로는 공정(I)에 사용한 휘발성의 용제에의 침지에 의해서 행해진다.
공정(III)은, 제1 겔상 성형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일차 연신)하며 또한 용제의 건조를 행하여 제2 겔상 성형물을 얻는 공정이다. 공정(III)의 연신 공정은, 이축 연신이 바람직하고, 종연신과 횡연신을 개별적으로 실시하는 축차 이축 연신이어도 되고, 종연신과 횡연신을 동시에 실시하는 동시 이축 연신이어도 된다. 일차 연신의 연신 배율(종연신 배율과 횡연신 배율의 곱)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다공질 구조의 등방성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1.1배∼3배가 바람직하고, 연신 시의 온도는 75℃ 이하가 바람직하다. 공정(III)의 건조 공정은 제2 겔상 성형물이 변형하지 않는 온도이면 특히 제한 없이 실시되지만, 60℃ 이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III)의 연신 공정과 건조 공정은, 동시에 행해도 되고, 단계적으로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예비 건조하면서 일차 연신하고, 이어서 본 건조를 행해도 되고, 예비 건조와 본 건조와의 사이에 일차 연신을 행해도 된다. 일차 연신은, 건조를 제어하여, 용제를 호적한 상태로 잔존시킨 상태에서도 행할 수 있다.
공정(IV)은, 제2 겔상 성형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이차 연신)하는 공정이다. 공정(IV)의 연신 공정은, 이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공정(IV)의 연신 공정은, 종연신과 횡연신을 개별적으로 실시하는 축차 이축 연신; 종연신과 횡연신을 동시에 실시하는 동시 이축 연신; 종방향으로 복수 회 연신한 후에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 종방향으로 연신하고 횡방향으로 복수 회 연신하는 공정; 축차 이축 연신한 후에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1회 또는 복수 회 더 연신하는 공정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차 연신의 연신 배율(종연신 배율과 횡연신 배율의 곱)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다공질 구조의 등방성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배∼25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배∼20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배∼15배이다. 이차 연신의 연신 온도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다공질 구조의 등방성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90℃∼135℃가 바람직하고, 90℃∼125℃가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IV)에 이어서 열고정 처리를 행해도 된다. 열고정 온도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다공질 구조의 등방성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120℃∼150℃가 바람직하고, 125℃∼140℃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고정 처리 후에,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잔존하고 있는 용매의 추출 처리와 어닐 처리를 더 행해도 된다. 잔존 용매의 추출 처리는, 예를 들면, 열고정 처리 후의 시트를 염화메틸렌욕에 침지시켜서, 염화메틸렌에 잔존 용매를 용출시킴에 의해 행한다. 염화메틸렌욕에 침지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염화메틸렌욕으로부터 인상한 후, 염화메틸렌을 건조에 의해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닐 처리는, 잔존 용매의 추출 처리 후에,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예를 들면 100℃∼140℃로 가열한 롤러 상을 반송함으로써 행한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의 곡로율을 식(1) 및 식(2)의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이차 연신의 연신 배율(종연신 배율과 횡연신 배율의 곱)을 2배∼25배의 범위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를 식(3) 및 식(4)의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이차 연신의 연신 배율(종연신 배율과 횡연신 배율의 곱)을 2배∼25배의 범위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포함되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질량 비율이 클수록, TX, TY 및 TZ의 값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친수화 처리]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친수화하는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친수성 재료를 부여하는 방법, 또는,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물리적으로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친수성 재료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또는 친수성 재료의 코팅, 친수성 모노머의 그래프트 중합을 들 수 있다.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친수화하는 계면활성제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兩性) 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고급 아민할로겐산염, 할로겐화알킬피리디늄,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고급 지방산알칼리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설폰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포스폰산염, 알킬황산염, 알킬벤젠황산염, 알킬설폰산염, 알킬아릴설폰산염, 설포숙신산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벤젠설폰산염이 바람직하고, 특히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양성 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베타인계 화합물, 이미다졸린계 화합물, 알킬아민옥사이드, 비스옥시보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코팅하는 친수성 재료로서는,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에 그래프트 중합하는 친수성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알코올, N-비닐-2-피롤리돈, 비닐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소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물리적으로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플라스마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자외선 조사, 전자선 조사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용도>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예를 들면, 유체(즉, 기체 또는 액체)에 분산 또는 용해하고 있는 물질의 분리, 정제, 농축, 분획, 검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개시의 친수성 복합막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기액 분리, 정수, 제균, 해수 담수화, 인공 투석, 의약품 제조, 식품 제조, 의료기기, 체외 진단약, 체외 진단기기 등에 사용하는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 담체는 크로마토그래피의 고정상이다. 크로마토그래피 및 크로마토그래피 담체는 공지이며, 공지의 모든 형태를 적용해서,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포함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담체를 구성해도 된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포함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담체의 보다 구체적인 형태예로서,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immunochromatographic strip)에 포함되는 크로마토그래피 담체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적용한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형태예로서, 하기의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마련된 검출부로서,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된 검출부
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에 있어서, 크로마토그래피 담체(고정상)로서 기능한다.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에 있어서는, 크로마토그래피 담체(즉,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를 액체상의 샘플이 이동하고, 액체상의 샘플에 포함되는 피검출 물질이 검출부에 농축되고, 목시 또는 기기를 사용해서 검출된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피검출 물질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액체상의 샘플을 수용하는 샘플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 물질을 함유하는 컨쥬게이트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된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구비한다.
도 1에,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실시형태예를 나타낸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은, 전개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서, 적하된 샘플을 수용하는 샘플 패드(2), 표지 물질을 함유하는 컨쥬게이트 패드(3), 검출 시약이 고정된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 여분의 샘플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4)가 이 순서로, 수지제의 지지체(5) 상에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는,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당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마련된 검출부(11)를 구비한다. 검출부(11)는,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된 영역이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필름에 의한 뒷면 대기 가공이 행해진 후에,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는,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포함한다.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의 일례에 있어서는,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TD 방향과, 샘플의 전개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이 일치한다.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의 다른 일례에 있어서는,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MD 방향과, 샘플의 전개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이 일치한다.
검출부(11)의 일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전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검출부(11)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원형의 스폿, 숫자, 문자, 기호(예를 들면, +, -)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는, 검출부(11)의 하류에, 표지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컨트롤용 물질을 고정한 영역인 컨트롤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가 검출부(11)의 하류에 컨트롤부를 가질 경우, 샘플이 검출부(11)를 통과한 후에 컨트롤부로 이동하면, 검출부(11)에 포착되지 않는 표지 물질(즉, 피검출 물질이 결합하고 있지 않은 표지 물질)이 컨트롤용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에 의해, 컨트롤부에 표지 물질이 농축된다. 이에 의해, 목시 또는 적당한 기기를 사용해서 컨트롤부까지 샘플이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검사의 완료를 파악할 수 있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은 공지이며, 공지의 모든 형태를 적용해서,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을 구성해도 된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에 포함되는 각 부재의 재료,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의 검사 대상으로 되는 피검출 물질, 피검출 물질을 포함하는 샘플,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에 고정되는 검출 시약 및 컨트롤용 물질, 컨쥬게이트 패드(3)에 포함되는 표지 물질에는, 공지의 모든 형태를 적용해도 된다.
피검출 물질을 포함하는 샘플을 구성하는 매체가 수성 매체일 경우,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이 구비하는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을 구성할 때,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의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90도인 면이, 피검출 물질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액체상의 샘플을 수용하는 측의 면으로 된다.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은 검사 정도가 우수하다. 그 기구(機構)는 하기와 같이 추측된다.
일반적으로 검출부는, 검출 시약을 함유하는 액체 조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 담체에 도포함에 의해 크로마토그래피 담체의 일부에 마련된다. 이때, 종래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는 액체 조성물이 두께 방향에 비해서 면 방향으로 흐르기 쉽고, 그 결과, 검출부의 면적이 넓어지고, 검출부에 포함되는 검출 시약의 농도가 기대값보다도 낮아진다.
한편,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한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는, 검출 시약을 함유하는 액체 조성물이 면 방향과 동정도로 두께 방향으로도 흐르므로, 검출부의 면적의 넓어짐이 억제되고, 검출부에 포함되는 검출 시약의 농도가 기대값에 가까운 농도로 된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형성된 검출부는, 검출 시약의 농도가 기대값에 가까운 농도이므로,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은 검사 정도가 우수하다.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은, 검사 완료에 요하는 시간이 짧다. 그 기구는 하기와 같이 추측된다.
검출부는 크로마토그래피 담체의 두께 방향으로 깊이를 갖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검출부에 포함되는 검출 시약과 피검출 물질과의 특이적 결합이 포화하기 위해서는, 피검출 물질이 크로마토그래피 담체의 두께 방향 전체에 걸쳐서 검출부에 도달하는 것을 요한다.
하지만, 종래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는 이동상이 두께 방향에 비해서 면 방향으로 흐르기 쉬워, 이동상이 두께 방향으로 지나가는데 시간을 요하므로, 피검출 물질이 두께 방향 전체에 걸쳐서 검출부에 도달하는데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종래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는, 검출부에 포함되는 검출 시약과 피검출 물질과의 특이적 결합이 포화하는데 시간을 요하여, 검사 완료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한편, 물질 이동의 등방성이 우수한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는 이동상이 면 방향과 동정도로 두께 방향으로도 흐르므로, 피검출 물질이 두께 방향 전체에 걸쳐서 검출부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는, 검출부에 포함되는 검출 시약과 피검출 물질과의 특이적 결합이 포화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검사 완료에 요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수순 등은,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의(適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작>
[실시예 1]
중량 평균 분자량 460만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하 「UHMWPE」라 한다) 2.5질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56만 또한 밀도 950kg/㎥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이하 「HDPE」라 한다) 22.5질량부를 혼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준비했다. 폴리머 농도가 25질량%로 되도록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데칼린을 혼합하여 폴리에틸렌 용액을 조제했다.
상기한 폴리에틸렌 용액을 온도 147℃에서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이어서 압출물을 수온 20℃의 수욕 중에서 냉각하여, 제1 겔상 시트를 얻었다.
제1 겔상 시트를 70℃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10분간 예비 건조하고, 이어서, MD 방향으로 1.1배로 일차 연신을 하고, 이어서, 본 건조를 57℃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5분간 행해서, 제2 겔상 시트(베이스 테이프)를 얻었다(제2 겔상 시트 중의 용제의 잔류량은 1% 미만으로 했다). 이어서 이차 연신으로서, 제2 겔상 시트(베이스 테이프)를 MD 방향으로 온도 90℃에서 배율 2배로 연신하고, 계속해서 TD 방향으로 온도 130℃에서 배율 5배로 연신하고, 그 후 바로 140℃에서 열처리(열고정)를 행했다.
열고정 처리 후의 시트를, 2조(槽)로 나누어진 염화메틸렌욕에 각각 30초간씩 연속해서 침지시키면서, 시트 중의 데칼린을 추출했다. 시트를 염화메틸렌욕으로부터 반출한 후, 40℃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염화메틸렌을 건조 제거하고, 120℃로 가열한 롤러 상을 반송시키면서 어닐 처리를 했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얻었다.
상기한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양면에, 플라스마 처리(Nordson MARCH사제 AP-300 : 출력 150W, 처리 압력 400mTorr, 가스 유량 160sc㎝, 처리 시간 135초)를 실시했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얻었다.
상기한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편면에, 점착제가 붙은 PET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4, 비교예 1∼2]
폴리에틸렌 용액의 조성 또는 미다공막의 제조 공정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폴리에틸렌 미다공막,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 및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있어서는, 플라스마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측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면에 PET 필름을 첩합했다.
[표 1]
Figure 112021047090221-pct0000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물성의 측정 방법>
실시예 1∼4 또는 비교예 1∼2에 있어서의 플라스마 처리 후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즉,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시료로 해서, 하기의 측정을 행했다. 표 2에 각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물성을 나타낸다.
[막두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는, 접촉식의 막두께계(미쓰토요샤제)로 20점 측정하고, 이를 평균함으로써 구했다. 접촉 단자는 저면이 직경 0.5㎝인 원주상의 단자를 사용했다. 측정압은 0.1N으로 했다.
[곡로율 및 투과성 지표]
양면 테이프 2매를 겹친 것을 스페이서 겸 접착제로서 사용하여, 약 1㎜폭의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고정한 후, 그 위에, MD 방향 약 10㎜×TD 방향 약 1㎜로 잘라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교량의 형태로 고정했다. 이 시료를 X선 CT 장치의 시료대에 왁스를 사용해서 고정하고, 측정에 제공했다. X선 CT의 사양은, 하기와 같았다.
X선 CT 장치 : 리가쿠샤제, 고분해능 3DX선 현미경, 상품명 「nano3DX」
X선원 : Cu, 8.0keV
X선 카메라 : L0270
X선 관전압·관전류 : 40kV-30mA
CT 촬영 범위 : 0°∼180°
X선 CT로부터 얻어진 삼차원상을 기초로 하여, 기술(旣述)의 화상 해석 및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곡로율(τX, τY, τZ) 및 투과성 지표(TX, TY, TZ)를 구하고, τXZ, τYZ, TX/TZ 및 TY/TZ를 산출했다. τZ는 두께 방향의 곡로율이고, τX는 TD 방향의 곡로율로 하고, τY는 MD 방향의 곡로율로 했다. TZ는 두께 방향의 투과성 지표이고, TX는 TD 방향의 투과성 지표로 하고, TY는 MD 방향의 투과성 지표로 했다.
도 2a∼e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X선 CT로부터 얻어진 단면 화상을 나타낸다. 도 2a∼e에 있어서, X는 TD 방향이고, Y는 MD 방향이고, Z는 두께 방향이다. 도 2a∼e의 각 화상 내의 하얀 직선은 스케일바이고, XY 방향의 화상 내의 스케일바는 50㎛를 나타내고, XZ 방향의 화상 내의 스케일바는 20㎛를 나타내고, YZ 방향의 화상 내의 스케일바는 20㎛를 나타낸다.
[버블 포인트압]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직경 48㎜의 원형으로 잘라내고, 에탄올에 침지하고, JIS K3832:1990에 따라서, 단, 시험 시의 액온을 24±2℃로 변경하여, 인가 압력 0MPa로부터 측정을 개시하고, 승압 속도 2kPa/초로 승압하면서 버블 포인트 시험을 행하여, 버블 포인트압을 구했다.
[공공률]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 ε(%)은 하기의 식에 의해 구했다.
ε={1-(Wa/xa+Wb/xb+Wc/xc+…+Wn/xn)/t}×100
여기에, 구성 재료가 a, b, c, …, n이고, 구성 재료의 질량이 각각 Wa, Wb, Wc, …, Wn(g/㎠)이고, 구성 재료의 진밀도가 각각 xa, xb, xc, …, xn(g/㎤)이고, 막두께가 t(㎝)이다.
[걸리값]
JIS P8117:2009에 따라서, 면적 642㎟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기 투과 시간(초/100mL)을 측정하고, 공기 투과 시간을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로 나눗셈해서 두께 1㎛당의 공기 투과 시간(초/100mL·㎛)을 구했다.
[에탄올 유량]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MD 방향 10㎝×TD 방향 10㎝로 잘라내고, 에탄올에 침지하고, 에탄올로부터 인상하고, 실온 하에서 건조했다. 건조 후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투액 면적이 17.34㎠인 스테인리스제의 원형 투액 셀에 세팅했다. 투액 셀 상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소량(약 0.5mL)의 에탄올로 습윤시킨 후, 92kPa∼95kPa의 차압으로 에탄올 100mL를 투과시켜서, 에탄올 100mL가 투과하는데 요하는 시간(sec)을 계측했다. 측정은 실온 24℃의 온도 분위기에서 행했다. 측정 조건 및 측정값을 단위 환산해서 에탄올 유량(mL/(min·㎠·MPa))을 구하고, 당해 에탄올 유량과, 미리 측정해 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를 곱셈했다.
[물의 접촉각]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에 있어서의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을, 교와가이멘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의 전자동 접촉각계 DMo-701FE와 해석 소프트웨어 FAMAS(interFAce Measurement and Analysis System)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대기 중 상압 하, 온도 24℃,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에 있어서, 1μL의 물(이온 교환수)을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적하하고, 적하 1초 후의 정적 접촉각을 측정했다. 수적의 형성에는, SUS(스테인리스강)제의 22G 침을 구비한 시린지를 사용했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대해서는, 플라스마 처리를 행한 측의 면에 있어서 물의 접촉각을 측정했다.
[돌자 강도]
텐시론 만능 재료 시험기(RTE-1210)를 사용해서 침 관통 시험(침 : 선단의 곡률 반경 0.5㎜, 돌자 속도 : 320㎜/분)을 행해서 최대 돌자 하중(g)을 측정하고, 최대 돌자 하중을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로 나눗셈해서 두께 1㎛당의 돌자 하중(g/㎛)을 구했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제작>
실시예 1∼4 또는 비교예 1∼2의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사용해서, 도 1에 나타내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으로서, hCG(인간 융모성 고나도트로핀)를 피검출 물질로 하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을 이하의 수순에 따라서 제작했다.
(1)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의 제작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과 PET 필름과의 적층체를,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MD 방향 및 TD 방향에 따라서, MD 방향 150㎜ 또한 TD 방향 25㎜의 장방형으로 잘라냈다. 0.5mg/mL의 항hCG-α 서브유닛 항체(마우스 모노클로널 항체)를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pH7.2)을, 잘라낸 적층체의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측의 면에, 한쪽의 장변으로부터 8㎜의 위치에 장변에 대해서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도포했다(도포량은 1μL/㎝). 이어서, 온도 50℃의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건조시켜서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에 검출부(11)를 형성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을 얻었다.
(2) 표지 물질 분산액의 제작
입자경 40㎚의 금 콜로이드(표지부)를, 50mM의 KH2PO4 완충액(pH7.0)으로 60μg/mL의 농도로 희석한 분산액 10mL에, 항hCG 항체(마우스 모노클로널 항체)(결합부)를 1mL 더하고, 실온에서 10분간 정치했다. 이어서, 1질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의 수용액 0.5mL를 금 콜로이드 및 항hCG 항체를 포함하는 분산액에 더해서 교반한 후, 10질량%의 BSA(소 혈청 알부민)의 수용액 1mL를 더해서 더 교반했다. 이어서, 원심 가속도 7,000G로 15분간 원심 분리를 행하여, 상청(上淸)을 제거했다. 이어서, 침전물에, PEG(중량 평균 분자량 20,000)를 0.05질량%, NaCl을 0.009질량%, BSA를 1질량% 및 NaN3을 0.095질량% 포함하는 20mM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8.2)을 더하고, 표지 물질(금 콜로이드에 의해서 표지된 항hCG 항체)을 분산시켜서, 표지 물질 분산액을 얻었다.
(3) 컨쥬게이트 패드(3)의 제작
상기에서 제작한 표지 물질 분산액 0.7mL에, PEG(중량 평균 분자량 20,000)를 0.05질량% 및 수크로오스를 3.5질량% 포함하는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8.2)을 2.1mL 더해서 교반하여, 도포액을 얻었다. 도포액을 150㎜×8㎜×400㎛의 글라스 파이버제의 패드(Ahlstrom제)에 균등하게 도포한 후, 진공 건조기로 건조시켜서, 컨쥬게이트 패드(3)을 얻었다.
(4) 샘플 패드(2)의 제작
150㎜×18㎜×340㎛의 셀룰로오스제의 패드(Ahlstrom제)에,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8.2) 0.6mL를 균등하게 도포한 후, 온도 50℃에서 1시간 건조시켜서, 샘플 패드(2)를 얻었다.
(5) 흡수 패드(4)의 준비
흡수 패드(4)로서, 150㎜×20㎜의 여과지(Lohmann제)를 준비했다.
(6)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의 제작
편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지지체(5)(Lohmann제 백킹 시트, 150㎜×60㎜)에,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 컨쥬게이트 패드(3), 샘플 패드(2) 및 흡수 패드(4)를 첩합하여 복합 시트를 얻었다. 그때, 샘플 패드(2)와 컨쥬게이트 패드(3)의 겹침폭은 4㎜, 컨쥬게이트 패드(3)와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의 겹침폭은 2㎜,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와 흡수 패드(4)의 겹침폭은 5㎜로 하고, 크로마토그래피 담체(1)의 검출부(11)가 컨쥬게이트 패드(3)보다도 흡수 패드(4)에 가까워지도록 했다. 복합 시트 전체를 길이 방향으로 5㎜폭마다 절단해서,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전개 방향의 전장 60㎜, 폭 5㎜. 친수성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TD 방향이 샘플의 전개 방향이다)을 얻었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성능 평가>
이하의 성능 평가 시험은, 온도 24℃ 또한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에 있어서 행했다. 표 2에,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포화 시간]
hCG 항원(피검출 물질)을 16.7nkat로 되도록, BSA를 1질량% 및 NaN3을 0.095질량%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에 희석하여, 샘플을 제작했다. 샘플 100μL를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A)의 샘플 패드(2)에 적하해서 전개시키고, 이뮤노크로마토리더(하마마쓰포토닉스샤제, 형식 번호 C10066-10)를 사용해서, 발광 피크 파장이 520㎚ 부근인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서 사용하여, 검출부(11)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경시 측정했다. 샘플을 샘플 패드(2)에 적하한 시점을 기점으로 해서, 검출부(11)의 발색(적색)이 포화할 때까지의 시간(포화 시간이라 한다)을 측정하고, 하기의 3단계로 분류했다. 도 3에,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있어서의 흡광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낸다.
A : 포화 시간이 15분 미만
B : 포화 시간이 15분 이상 30분 미만
C : 포화 시간이 30분 이상
[검출부의 발색의 명료도]
포화 시간의 측정과 동시에, 검출부(11)의 발색(적색)의 명료함을 목시에 의해 판정하고, 하기의 3단계로 분류했다.
A : 검출부에 빨간 선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음
B : 검출부에 빨간 선을 확인할 수 있음
C : 검출부에 빨간 선을 확인할 수 있지만 불명료
[표 2]
Figure 112021047090221-pct00002
2018년 10월 26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번호 제2018-202062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 또한 개별적으로 기재된 경우와 동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도입된다.
A :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X : 전개 방향
1 :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2 : 샘플 패드
3 : 컨쥬게이트 패드
4 : 흡수 패드
5 : 지지체
11 : 검출부

Claims (12)

  1. 막두께가 1㎛∼400㎛이고, 하기의 식(1) 및 식(2)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식(1) : 0.7≤τXZ≤1.5
    식(2) : 0.7≤τYZ≤1.5
    τX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曲路率).
    τY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르며 또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
    τZ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곡로율.
  2. 막두께가 1㎛∼400㎛이고, 하기의 식(3) 및 식(4)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식(3) : 0.5≤TX/TZ≤2.0
    식(4) : 0.5≤TY/TZ≤2.0
    TX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TY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1 면을 따르며 또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TZ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성 지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버블 포인트압이 0.001MPa 이상 0.1MPa 미만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탄올 유량(mL/(min·㎠·MPa))과 막두께(㎛)를 곱셈한 값이 5만∼50만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위 두께당의 걸리값이 0.0005초/100mL·㎛∼0.1초/100mL·㎛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공률이 70%∼95%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고,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90도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막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친수성 재료를 갖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막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물리적으로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포함하는 필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포함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담체(擔體).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마련된 검출부로서,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된 검출부
    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KR1020217012026A 2018-10-26 2019-10-24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Active KR102491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02062 2018-10-26
JP2018202062A JP7103715B2 (ja) 2018-10-26 2018-10-26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フィルター、クロマトグラフィー担体及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ストリップ
PCT/JP2019/041768 WO2020085449A1 (ja) 2018-10-26 2019-10-24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フィルター、クロマトグラフィー担体及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スト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091A KR20210055091A (ko) 2021-05-14
KR102491301B1 true KR102491301B1 (ko) 2023-01-26

Family

ID=7033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026A Active KR102491301B1 (ko) 2018-10-26 2019-10-24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3715B2 (ko)
KR (1) KR102491301B1 (ko)
CN (1) CN112912165B (ko)
WO (1) WO2020085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2859A1 (ja) * 2021-12-13 2023-06-22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キット、及びそれらを用いた免疫測定方法、並びにサンプルの濾過方法
JP2024110683A (ja) * 2023-02-03 2024-08-16 帝人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JP2024110682A (ja) * 2023-02-03 2024-08-16 帝人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026A (ja) 2002-02-28 2003-09-10 Tonen Chem Corp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る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JP2011241361A (ja) 2010-05-21 2011-12-01 Teijin Ltd ポリエチレン微多孔膜
JP2018090821A (ja) 2016-07-25 2018-06-14 帝人株式会社 複合膜用基材
WO2018179983A1 (ja) 2017-03-30 2018-10-04 帝人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血球分離膜及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スト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322A (ja) 1994-03-11 1995-09-26 Mitsubishi Chem Corp 改質ポリオレフィン多孔膜及びそれを用いた濾過フィルター
EP1464477B1 (en) * 1996-01-22 2007-04-04 Pall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a highly porous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
JP4794098B2 (ja) * 2001-09-28 2011-10-12 東レ東燃機能膜合同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
CN101300295A (zh) * 2005-11-01 2008-11-05 东燃化学株式会社 聚烯烃微多孔膜以及使用其的电池用隔离件和电池
KR100961660B1 (ko) 2005-12-21 2010-06-09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반결정고분자 미세다공막 및 그 제조방법
CN102218269B (zh) * 2006-03-02 2013-04-03 真锅征一 非破坏式的平膜检査方法
JP2007252966A (ja) * 2006-03-20 2007-10-04 Toshiba Corp 膜モジュールおよび水処理システム
JP5202816B2 (ja) * 2006-04-07 2013-06-05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53245A (ja) 2008-08-28 2010-03-11 Teijin Ltd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EP2332639A1 (en) * 2008-09-19 2011-06-15 Toray Industries, Inc.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30009941A (ko) * 2010-04-16 2013-01-24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다공성 중공사막, 이형 다공성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이형 다공성 중공사막을 이용한 모듈, 여과 장치 및 수처리 방법
JP5942113B2 (ja) 2011-09-26 2016-06-29 旭化成株式会社 微多孔膜
JP6117503B2 (ja) 2012-09-24 2017-04-19 帝人株式会社 透湿防水膜
CN105051940B (zh) * 2013-03-19 2018-05-04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电池用隔膜及非水系二次电池
WO2014192860A1 (ja) * 2013-05-31 2014-12-04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多層微多孔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192861A1 (ja) * 2013-05-31 2014-12-04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多層微多孔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223147B (zh) * 2014-12-26 2021-02-26 东丽株式会社 聚烯烃微多孔膜、其制造方法以及电池用隔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026A (ja) 2002-02-28 2003-09-10 Tonen Chem Corp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る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JP2011241361A (ja) 2010-05-21 2011-12-01 Teijin Ltd ポリエチレン微多孔膜
JP2018090821A (ja) 2016-07-25 2018-06-14 帝人株式会社 複合膜用基材
WO2018179983A1 (ja) 2017-03-30 2018-10-04 帝人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血球分離膜及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スト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66716A (ja) 2020-04-30
CN112912165B (zh) 2022-12-27
CN112912165A (zh) 2021-06-04
WO2020085449A1 (ja) 2020-04-30
KR20210055091A (ko) 2021-05-14
JP7103715B2 (ja)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301B1 (ko)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KR101453404B1 (ko) 불소 수지 복합체의 제조 방법
US20130092623A1 (en) Porous multi-layer filter
US11808764B2 (en) Membrane carrier for liquid sample test kit, liquid sample test kit,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sample test kit, test method of liquid sample, and membrane carrier
JPWO2016098740A1 (ja) 液体試料検査キット用膜担体、液体試料検査キット、及び液体試料検査キットの作製方法
EP3919908A1 (en) Absorbent pad for immunochromatographic diagnosis kit
KR20200074832A (ko) 마이크로채널내의 생체 시료 속도 및 위치제어를 통한 샘플 농축 및 분리 장치
JP6572404B2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媒体用基材、クロマトグラフィー媒体及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ストリップ
JP5894271B2 (ja) 親水性延伸フルオロポリマーメンブレン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20615108A (zh) 聚烯烃微多孔膜
JP2019081257A (ja) マイクロ流路シート
CN120615109A (zh) 聚烯烃微多孔膜
US20250108340A1 (en) Porous membrane, porous membrane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rous membrane
EP3017860B1 (en) Method for producing a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film
WO2023139869A1 (ja) 多孔質膜及び多孔質膜積層体
JP6542997B2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血球分離膜及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ストリップ
CN113544203B (zh) 亲水性复合多孔质膜
WO2023162368A1 (ja) 多孔質膜積層体
JP7351065B2 (ja) 生物学的粒子の濃縮デバイス、濃縮システム及び濃縮方法並びに生物学的粒子の検出方法
CN102803963B (zh) 展开层和用于制造分析元件-展开层的方法
US20230182085A1 (en) Porous membrane laminate, filter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rous membrane laminate
JP2008275371A (ja) 生化学検査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9117103A1 (ja) 液体試料検査キット用膜担体、液体試料検査キット及び膜担体
JP2016099188A (ja) フィルタ、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検査用カートリッジ
PL206476B1 (pl) Sposób wytwarzania półprzepuszczalnej membrany polimerowej na podłożu włóknistym do szybkich testów chemiczn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