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2840B1 -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840B1
KR102492840B1 KR1020210097166A KR20210097166A KR102492840B1 KR 102492840 B1 KR102492840 B1 KR 102492840B1 KR 1020210097166 A KR1020210097166 A KR 1020210097166A KR 20210097166 A KR20210097166 A KR 20210097166A KR 102492840 B1 KR102492840 B1 KR 10249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parking
presen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718A (ko
Inventor
김민구
홍승우
서일홍
Original Assignee
김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구 filed Critical 김민구
Priority to KR102021009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8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8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은 출입게이트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장치로부터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의 제1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영상데이터를 파싱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 각각의 제1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특성정보생성부; 상기 제1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차량현황에 대한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현황정보생성부; 주차섹터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장치로부터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2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섹터의 주차차량에 대한 제2특성정보를 인식하는 정보인식부; 및 상기 현황정보와 제2특성정보의 상호 대비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현황정보에 연계시킨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SYSTEM FOR SYNCHRONIZING VEHICLE INFORMATION WITH USER ORIENTATION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주차장 등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유지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이원화된 리소스 기반의 영상데이터 각각을 대상으로 차량특성정보를 생성하고 이들의 상호 대응 관계를 다중적으로 대비함으로써, 주차된 차량 정보의 미인식 또는 오인식 가능성을 최소화시켜 더욱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차량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단위 아파트 단지, 지식산업센터, 스마트 산업단지 또는 대단위 공장형 사무건물 등의 경우, 주차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 개 동의 지하 부분을 전체적으로 아우르며 연결시키는 구조로 주차공간 내지 시설이 구현되고 있다.
이 경우, 주차공간이 더욱 확장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간적 활용도는 높아질 수 있으나, 주차공간이 비대해짐에 따라 그 만큼 주차 가능한 섹터(공간, 영역 등)를 육안 등으로 시인성 있게 확인하는 것은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 차량 출입 게이트에 층별 주차 가능 대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주차 섹터의 상부 등에 색상 변화 등을 이용하여 차량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수단 또는 주차 영역 내 교차로 부분에 방향 지시등과 해당 방향에 따른 주차 가능 대수를 표기하는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단순한 편의성의 향상을 위하여 범용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해당 건물이나 시설을 이용하는 유저(user)들의 이용 목적이나 특성 등을 전혀 반영할 수 없다는 본질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종래 방법의 경우, 주차 가능한 대수 정보 등과 같이 일반적인 정보만이 제공되므로 예를 들어, 대단위 아파트와 같이 자신의 거주지에 해당하는 출입구 주변에 현재 주차가 가능한 주차공간이 존재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는 실제 해당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는 확인하기가 어렵다.
나아가 백화점, 쇼핑몰, 영화관, 전시관 등과 같은 다목적 시설물들이 집합된 대단위 종합 건물(complex 등)의 경우, 벽부 등에 특정 시설물 등에 대한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 또는 안내문 등만이 표시되어 있을 뿐이므로 해당 건물의 위치 또는 경로 등에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들이 특정 시설물 등을 쉽고 빠르게 그리고 정확하게 찾아가는 데에 실효성 높은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종래 방법이나 시스템 등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측면이 있기는 하나 사용자에게 일방적이고 일방향적인 정보만 제공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목적이나 의사 등이 유기적으로 반영되는 양 방향성 정보가 제공될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주차장 내 도난, 사고 등에 대한 예방과 증거 확보 등은 물론, 주차된 차량의 위치 확인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주차장 내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주차장 내 주차된 차량을 촬영하고 이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번호판(차량번호정보)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장 내 설치되는 카메라장치는 범용적 목적을 위한 CCTV용 카메라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근거리 영상이 촬영되기 보다는 원거리 영상이 주로 촬영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장치 내지 시스템에 탑재되며 OCR 기능 등이 구현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통하여 차량번호정보를 인식하고 있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이와 같이 원거리 영상이 영상처리의 로데이터(raw data)가 되므로 차량번호정보에 대한 분해능이나 처리 효율성이 고도화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내 조명 환경 등이 일률적이지 못하므로 해상도가 낮은 경우 차량번호정보 인식 효율성이 낮아지게 되며, 이동하는 차량 또는 주차 내지 정차된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한 역광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신뢰성 있는 영상데이터가 생성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동하는 사람, 차량 그리고 적재된 물품이나 카트 등에 의하여 주차된 차량의 번호판이 물리적으로 차단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차량번호 전체 또는 일부의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도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조명 환경에 따른 영상 저하 현상의 경우, 노이즈 제거, 보정 등과 같은 영상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처리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환경 저하 현상은 동일한 조건으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설정을 매 이벤트마다 변환시켜야 하므로 범용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우며 나아가 연산 처리에 따른 효율성도 낮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원화된 리소스를 기반으로 복수 개 요소를 가지는 다중적 차량특성정보를 생성하고 이들 상호간의 유사성 관계가 대비되도록 적용함으로써, 주차장 내 존재하는 차량과 해당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다양한 정보 체계의 관리와 운용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은 출입게이트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장치로부터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의 제1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영상데이터를 파싱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 각각의 제1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특성정보생성부; 상기 제1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차량현황에 대한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현황정보생성부; 주차섹터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장치로부터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2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섹터의 주차차량에 대한 제2특성정보를 인식하는 정보인식부; 및 상기 현황정보와 제2특성정보의 상호 대비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현황정보에 연계시킨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동기화제어부는 상기 정보인식부에서 상기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차량번호정보를 상기 현황정보와 대비하는 대비판단부; 및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정보가 상기 현황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주차섹터의 식별정보를 해당하는 상기 현황정보에 연계시켜 상기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제1특성정보는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며, 차량의 특성을 특정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요소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특성정보는 차량의 특성을 특정하는 m(m은 2이상 n이하의 자연수)개 요소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동기화제어부는 각 차량별 상기 n개 요소의 제1특성정보와 상기 m개 요소의 제2특성정보를 대상으로 상호 유사도 기반의 대비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대비판단부; 및 상기 대비 프로세싱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섹터에 주차된 주차차량을 특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처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대비판단부는 상기 정보인식부에서 상기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차량번호정보를 제외한 각 차량별 n-1개 요소의 제1특성정보와 상기 제2특성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대비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동기화제어부는 상기 제1특성정보를 이루는 n개 요소마다 부여된 유사도가중치정보가 저장되는 가중치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동기화처리부는 상기 유사도가중치정보와 상기 대비 프로세싱 결과를 함께 이용하여 해당 주차섹터에 주차된 주차차량을 특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동기화상태정보 중 상기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저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주차정보 제공시스템은 주차섹터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섹터의 차량 파킹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정보생성부; 상기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주차섹터 중 주차 가능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인 파킹가능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파킹가능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에 대한 안내정보인 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타겟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회원정보 및 등록차량정보가 포함된 기초정보가 저장되는 기초정보저장부; 및 차량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는 차량식별장치로부터 차량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차량식별정보가 상기 기초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파킹가능정보 중 현재 위치, 건물 출입구 또는 회원정보에 포함된 회원의 거소지 중 하나 이상과의 거리정보를 기준으로 근접거리에 해당하는 파킹가능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파킹가능정보를 상기 주차타겟정보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등록차량정보가 포함된 기초정보가 저장되는 기초정보저장부; 회원의 주차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회원의 선호주차정보를 생성하는 선호정보생성부; 및 차량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는 차량식별장치로부터 차량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차량식별정보가 상기 기초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파킹가능정보 중 상기 선호주차정보에 해당하는 파킹가능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파킹가능정보를 상기 주차타겟정보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초정보저장부는 회원의 휴대단말정보가 더 연계된 기초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차량식별정보가 상기 기초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회원의 휴대단말로 상기 주차타겟정보를 전송하는 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상태정보생성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섹터에 주차된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차타겟정보가 해당 회원의 휴대단말로 전송된 후, 상기 주차타겟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섹터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는지 여부를 상기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주차타겟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섹터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 후순위 거리정보 또는 후순위 선호주차정보를 이용하여 제2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의 상기 정보공유부는 상기 제2주차타겟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정보공유부는 상기 주차타겟정보가 해당 회원의 휴대단말로 전송된 후, 상기 주차타겟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섹터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안내정보를 해당 회원의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주차 위치에 대한 대상정보 및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요청정보수신부; 및 차량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는 차량식별장치로부터 차량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차량식별정보가 상기 리퀘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파킹가능정보 중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 파킹가능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파킹가능정보를 상기 주차타겟정보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이원화된 영상데이터 리소스에 의하여 차량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다중요소 기반의 제1 및 제2특성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이들의 상호 유사도에 기반하는 대응 관계를 다중적으로 대비하는 프로세싱을 적용함으로써 실제 주차장에 주차된 주차차량 등에 대하여 누락된 정보, 오인식된 정보 등을 정확하게 보정 내지 교정할 수 있음은 물론, 신뢰성과 정확성이 향상된 정보 체계를 시계열적으로 갱신 및 유지함으로써, 주차장 내 차량에 대한 정보 활용의 효율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성이 향상된 차량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주차된 위치 내지 주차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는 물론, 차량을 특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시계열적으로 갱신 및 유지하게 되므로 다양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 차량 검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신뢰성이 향상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 관제에 대한 효용성을 더욱 다각화로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주차장 이용자 등에게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 등을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사용자를 구분하지 않는 범용적인 주차관련 정보만을 제공하는 종래시스템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사용자의 선호도, 경향 또는 니즈에 부합되는 최적화된 맞춤형 주차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일회성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안내된 주차 섹터의 주차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그 결과에 유기적으로 부합되는 동적(動的)정보를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주차가 실제 완료되는 전체 과정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최적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단말과의 양방향 통신을 기반한 인터페이싱을 통하여 사용자의 니즈 등에 부합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특히 대단위 주차공간에서의 주차 관련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현황정보가 생성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동기화상태정보가 생성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 내지 도 7 각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황정보, 제2특성정보 및 동기화상태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사용자의 경향성 또는 선호도를 반영하여 선호주차정보 등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주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사용자 휴대단말로 제공되는 주차관련 정보에 대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주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이하 '동기화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0)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기화시스템(1000)은 제1카메라장치(2000), 제2카메라장치(3000) 및 사용자 단말(4000)과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개별 주차공간은 물론, 주차장의 전체적인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며 해당 건물이나 주차장을 기준으로 유입되는 차량 또는 유출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 및 주차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생성, 제공, 유지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제2카메라장치(3000-1, 3000-2, … 3000-n)는 주차장에 설치되는 영상 촬영 장치로서, 카메라의 화각, PTZ(Pan, Tilt, Zoom) 특성정보, 카메라의 커버러지(coverage)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카메라장치(3000)는 주차섹터 및 주차차량(B)의 차량번호정보(P)를 포함하며 차량의 특성을 특정할 수 있는 차량의 전체 또는 부분을 촬영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영역으로 구획되며,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공간을 표상하는 단일 유닛(single unit)을 '주차섹터'(parking sector)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제2카메라장치(3000)가 촬영하는 영상데이터를 로-데이터(raw data)로 해당 주차섹터에 차량이 주차(parking)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및 주차된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정보 등을 영상 매칭에 의한 분석기법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parsing) 그 결과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차량번호정보 등을 생성하는 이러한 구성은 실시형태에 따라서 하드웨어 리소스의 분산적 처리를 위하여 제2카메라장치(3000)에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 시스템 인프라(system infra)의 통합적 관리 및 제어 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기화시스템(1000)의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동기화시스템(1000)은 건물의 출입구 또는 차량 진출입 게이트 등에 주로 설치되는 차량식별장치 내지 제1카메라장치(20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러한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활용하여 차량에 대한 다양한 특성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1카메라장치(2000)는 유입되는 차량을 위한 입구카메라유닛 및 유출되는 차량을 위한 출구카메라유닛 등으로 이원화될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입구카메라유닛 및 출구카메라유닛은 각각 복수 개의 카메라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이 출입 게이트를 기준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경우 해당 차량은 정해진 위치인 게이트 방향으로 근접하게 되고 서행 내지 정지하게 되므로 차량의 영상 촬영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이나 렌즈의 광학적 스펙(specification) 등이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전제하는 경우,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장치(2000)는 차량의 차량번호정보는 물론, 차량의 특성을 특정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최적의 환경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분석의 대상이 되는 영상데이터(raw data)가 최적의 환경에서 생성되므로 앞서 기술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경우 차량의 특성정보, 예를 들어 차량번호정보, 차종, 모델명, 색상, 연식, 형태 등과 같은 차량의 특성정보를 가장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장치(2000)로부터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는 '제1영상데이터'로, 제1영상데이터에서 추출되는 차량의 특성정보는 '제1특성정보'라 지칭한다.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주차장 내에 설치되는 제2카메라장치(3000)가 촬영하는 영상데이터는 '제2영상데이터'로, 제2영상데이터에서 추출되는 차량의 특성정보는 '제2특성정보'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이원화된 리소스에 의하여 생성되는 각 영상데이터와 이들 각각의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이원화된 특성정보로서, 복수 개 개별요소로 이루어지는 제1특성정보와 제2특성정보의 상호 유사도에 기반하는 대응 관계를 다중적으로 대비하는 프로세싱을 적용함으로써 실제 주차장에 주차된 주차차량 등에 대하여 누락된 정보, 오인식된 정보 등을 정확하게 보정 내지 교정할 수 있음은 물론, 신뢰성과 정확성이 향상된 정보 체계를 시계열적으로 갱신 및 유지함으로써, 주차장 내 차량에 대한 정보 활용의 효율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따라서 특정 차량의 주차된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특정 특성을 가지는 차량(예를 들어, 흰색 계열 소나타 또는 검은색 계열 RV 차량 등)의 위치정보 등을 주차장 이용자 또는 경찰과 같은 유관기관 오피서(officer) 등의 사용자 단말(40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예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동기화시스템(1000)은 관리자 등의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 장치 등의 오동작 등이 감지되는 경우 즉각적인 후속 조치가 유도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관리자 단말로 알람 정보 또는 안내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기화시스템(1000)의 상세 구성 및 구체적인 프로세싱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기화시스템(1000)은 제1수신부(1100), 특성정보생성부(1200), 현황정보생성부(1300), 제2수신부(1400), 정보인식부(1500), 동기화제어부(1600) 및 정보전송부(1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동기화시스템(10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현황정보가 생성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 현황정보는 출입게이트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장치(2000)에 의하여 촬영되는 제1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계열적으로 생성되는 정보로서, 주차장으로 유입되거나 출입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본 발명의 특성정보생성부(1200)는 출입게이트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장치(2000)로부터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의 제1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S3000).
제1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특성정보생성부(1200)는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대상으로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영상 매칭에 의한 분석기법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 객체를 분석하고(parsing)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 각각의 제1특성정보를 생성한다(S3200).
제1특성정보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며, 차종정보, 모델명정보, 제조사정보, 색상정보, 연식정보 등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특성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현황정보생성부(1300)는 이 제1특성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 또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건물 또는 주차장 시설 내 차량에 대한 현황정보를 생성 및 갱신(update)한다(S3400).
구체적으로 제1영상데이터가 유입차량에 대한 영상데이터인 경우, 유입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제1특성정보를 현황정보에 추가하는 업데이트를 통하여 현황정보를 생성/갱신한다(S3410).
만약 제1영상데이터가 출고 내지 유출되는 차량에 대한 영상데이터인 경우, 유출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제2특성정보를 현황정보에서 삭제하는 업데이트를 통하여 현황정보를 생성/갱신한다(S3420).
상술된 프로세싱은 특정 종료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S3500) 순환적으로 적용되므로 출입게이트를 통하여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차량에 대한 현황정보는 지속적으로 유지/갱신된다.
도 5는 이와 같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에 대한 제1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현황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동기화상태정보가 생성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동기화상태정보'는 상기 현황정보 및 해당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가 함께 연계되어 있는 상태정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2수신부(1400)는 주차섹터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장치(3000)로부터 해당 주차섹터 영역을 피사체로 하는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S4000).
제2카메라장치(3000)는 주차섹터 마다 독립된 개별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CCTV와 같은 다목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실시형태에 따라서 카메라장치의 화각, 초점 거리, 해상도 등과 같은 스펙을 고려하여 단일(single)의 카메라 장치가 복수 개 주차섹터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정보인식부(1500)는 제2영상데이터를 파싱하여(S4100) 해당 주차섹터에 주차된 주차차량에 대한 특성을 특정할 수 있는 제2특성정보를 인식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4300).
제2영상데이터의 파싱 과정에서 차량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S4200), 즉, 해당 주차섹터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면 해당 주차섹터를 빈-공간(vacant)으로 처리할(S4250)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이와 연계된 제2카메라장치(3000)의 식별정보 등을 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제2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배경이나 구도 등에 이미지 분석 등을 통하여 제2영상데이터 각각은 특정 주차섹터를 기준으로 개별화될 수 있다.
도 6은 이와 같이 제2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2특성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제2특성정보가 각 주차섹터마다 생성되면, 본 발명의 동기화제어부(1600)는 상기 제1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현황정보와 주차섹터마다 생성되는 제2특성정보의 상호 대비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현황정보에 연계시킨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한다(S4800).
도 7은 현황정보와 제2특성정보의 상호 대비 프로세싱 등을 통하여 생성되는 본 발명의 동기화상태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동기화제어부(1600)는 대비판단부(1610), 동기화처리부(1620) 및 가중치정보저장부(1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동기화제어부(1600)의 일 구성인 대비판단부(1610)는 상기 정보인식부(1500)에서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정보가 인식되면(S4400) 상기 현황정보를 조회하여(S4500) 인식된 차량번호정보와 일치되는 차량번호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600).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출입게이트에서 인식된 정보와 주차섹터에서 인식된 정보가 상호 대응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술된 바와 현황정보에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통합한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한다(S4800).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1특성정보는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여 차량의 특성을 특정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요소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특성정보는 제1특성정보와 유사하게 차량의 특성을 특정하는 m(m은 2이상 n이하의 자연수)개 요소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특성정보는 제1특성정보를 이루는 동일한 개수의 식별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나, 제2카메라장치(3000)는 제1카메라장치(2000)와 동등한 수준의 규정화된 촬영 환경과 광학적 스펙이 구비되기 곤란한 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제1특성정보를 구성하는 요소보다 일부 적은 개수의 식별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번호판 영역 전체 또는 일부가 물리적으로 차단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빈번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제2특성정보에는 차량번호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특성정보와 대비하여 제2특성정보를 이루는 식별요소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특성정보는 차량번호정보, 차종정보, 모델명정보, 제조사정보, 색상정보, 연식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특성정보가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대비판단부(1610)는 각 차량별 상기 n개 요소의 제1특성정보와 상기 m개 요소의 제2특성정보를 대상으로 상호 유사도 기반의 대비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그 후 본 발명의 동기화처리부(1620)는 대비 프로세싱의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섹터에 주차된 주차차량을 특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주차섹터에 대한 제2영상데이터에서 차량번호정보 등이 인식되지 않거나 또는 오인식되는 경우의 프로세싱 처리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정보인식부(1500)에서 m개 요소의 제2특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요소에 대한 특성정보가 인식되었으나, 물리적 장애물, 조명 환경 등과 같은 이유로 차량번호정보가 인식되지 않거나(S4400) 또는 차량번호정보가 인식되기는 하였으나, 현황정보에 제2영상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4600)가 미인식 또는 오인식 이벤트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미인식 또는 오인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대비판단부(1610)는 보정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4700). 구체적으로 대비판단부(1610)는 정보인식부(1500)에서 다른 특성정보는 인식되었으나,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S4400) 각 차량별 제1특성정보 중 차량번호정보를 제외한 n-1개 요소의 제1특성정보와 상기 제2특성정보를 대상으로 상호 유사도 기반의 대비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섹터 B1-57”에 대한 제2영상데이터에서 차량번호정보의 인식이 불가한 경우, 제2영상데이터를 대상으로 생성된 다른 제2특성정보 즉, 차종, 모델명, 제조사, 색상 및 연식 중 하나 이상의 제2특성정보와 현황정보를 대비한다.
현황정보에 수록된 정보들 중 “승용, 제네시스, 현대, silver, 2018년식 중 하나 이상의 정보”와 매칭되거나 대응되는 정보가 현황정보 중 n번째 정보임이 확인되면, “주차섹터 B1-57”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정보는 제2영상데이터로는 확인이 불가하나, 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이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정보가 61바8597임을 높은 신뢰도로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차섹터 B2-11”에 대한 제2영상데이터를 대상으로 생성된 제2특성정보 “76라5342, 승용, 520, BMW, blue, 2020년식” 중 차량번호정보와 일치되는 현황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번호정보 이외의 다른 특성정보의 대응여부를 기준으로 대비하면 현황정보 중 “차량번호12가1111에 해당하는 #1정보” 및 “차량번호 78다5342에 해당하는 #4정보”를 후보군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주차섹터에 대하여 생성된 제2특성정보를 함께 이용하면 차량번호 “12가1111” 차량은 “주차섹터 B1-43”에 주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주차섹터 B2-11”의 주차차량은 차량번호가 “78다5342”임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는 차량번호정보를 우선적 기준으로 하여 제2특성정보와 현황정보를 대비한 실시예에 해당하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색상, 모델명 등의 다른 하나 이상의 요소를 기준으로 한 제2특성정보를 대상으로 유사도 기반의 대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특성정보와 제2특성정보는 차량을 특정할 수 있는 복수 개 종류의 요소 내지 파라미터로 구성되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각 요소별 정보가 정확히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n개 요소의 제1특성정보와 대비하여 m개 요소의 제2특성정보 중 하나만 일치되지 않는 경우는, 두 개 또는 세 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정보 근접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일치되지 않는 요소들의 개수가 많고 적음을 기준으로 제1특성정보 중 대응되는 특성정보를 특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주차차량을 특정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흰색을 은색으로 오인하는 경우와 흰색을 검정색으로 오인하는 경우, 차량번호정보 중 일치되지 않는 숫자가 하나인 경우와 복수 개인 경우, 차량번호정보 중 숫자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와 한글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등은 모두 전자가 후자보다 높은 확률적 가능성을 가진다.
이러한 환경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가중치정보저장부(1630)에 제1특성정보를 이루는 n개 요소마다 부여된 유사도가중치가 저장되도록 하고, 동기화처리부(1620)에서 대비 프로세싱을 수행할 때, 상기 유사도가중치 정보를 함께 이용하는 경우, 대응되는 차량을 특정하는 프로세싱의 정확도와 소요 시간 등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전송부(1700)는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동기화상태정보 중 상기 요청신호에 수록된 차량번호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유저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주차정보 제공시스템(100)(이하 '제공시스템'이라 지칭한다)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공시스템(100)은 카메라장치(200), 차량식별장치(300) 및 휴대단말(400)과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개별 주차공간은 물론, 주차장의 전체적인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며 주차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카메라장치(200-1, 200-2, … 200-n)는 주차장에 설치되는 영상 촬영 장치로서, 카메라의 화각, PTZ(Pan, Tilt, Zoom) 특성정보, 카메라의 커버러지(coverage)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주차섹터, 해당 주차섹터에 주차되는 차량(B) 및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정보(P)를 촬영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공시스템(100)은 건물의 출입구 또는 차량 진출입 게이트 등에 주로 설치되는 차량식별장치(3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이러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 지향적인 주차관련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공시스템(100)의 상세 구성 및 구체적인 프로세싱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공시스템(100)은 데이터수신부(110), 상태정보생성부(120), 데이터처리부(130), 메인제어부(140), 기초정보저장부(150), 식별정보수신부(160), 선호정보생성부(170), 정보공유부(180), 모니터링부(190) 및 요청정보수신부(19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공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세싱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우선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초정보저장부(150)는 인적정보, 거소지(주소), 성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 그리고 차량번호, 사회적 약자(장애인 등) 등록차량인지 여부 등에 대한 등록차량정보 및 회원의 휴대단말정보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된 정보(이하 '기초정보'라 지칭한다)를 저장한다(S300. 도 10참조).
상기 기초정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회원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여 주차하는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인 선호주자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수신부(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장치(200)로부터 해당 카메라장치(200)가 촬영한 영상데이터 및 해당 카메라장치(200)를 구분하는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310. 도 10 참조).
이와 같이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상태정보생성부(120)는 이 영상데이터를 로데이터로 파싱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해당 주차섹터에 주차된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및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한다(S320). 이 상태정보는 정보가 생성된 시간, 일자 정보와 함께 연계되어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선호정보생성부(170)는 상기 상태정보에 수록된 차량번호정보가 상기 기초정보에 저장된 회원의 등록차량인 경우(S330), 해당 회원 또는 등록차량정보를 기준으로 한 선호주차정보를 갱신 저장한다(S340).
이와 같이 해당 주체섹터에 주차되는 차량이 인식되면, 주차된 차량정보 및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호 연계시킬 수 있으므로 그 이력을 지속적으로 갱신시키면 해당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섹터에 대한 통계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통계적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회원이 주로 이용하는 주차섹터에 대한 선호주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130)는 각 주차섹터에 주차된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 특정 주차섹터에 어떤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주차장 공간에 대한 주차 현황DB를 생성 및 갱신하며, 현재 주차가 가능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인 주차가능정보(파킹가능정보)를 생성한다(S350).
이러한 주차현황DB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한 시계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이터객체로서, 전체 n(n은 1이상의 자연수)개의 주차섹터 중 현재 m(m은 n이하의 자연수)개의 주차섹터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다는 현황을 표상하는 정보 및 특정 주차섹터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정보 등이 통합적으로 집합된 DB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주차현황DB는 GUI 환경의 구현을 위하여, 구획된 주차섹터를 표상하는 POI와 해당 POI에 차량등록번호가 표출되는 형태 등이 포함된 맵(map)데이터 형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선호주차정보, 주차현황DB 및 주차가능정보 등의 생성, 갱신, 저장 등의 프로세싱은 전원 차단, 하드웨어 교체, 펌웨어 갱신 등과 같은 특정 종료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면(S360) 순환적으로 지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등을 참조하여 사용자 기반의 주차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기초정보저장부(150)에서 이루어지는 기초정보 저장 단계(S410), 주차이력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는 선호주차정보의 갱신 저장 단계(S420)는 앞서 설명된 내용과 상응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술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수신부(110)가 주차섹터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으면(S430), 본 발명의 상태정보생성부(12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를 파싱하여 해당 주차섹터의 차량 파킹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주차된 차량이 존재한다면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한다(S440).
이와 같이 상태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130)는 상기 상태정보와 전체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 각 주차섹터의 위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전체 주차섹터 중 주차 가능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인 '파킹가능정보'를 생성한다(S450).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데이터처리부(130)에서 생성된 파킹가능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에 대한 안내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싱되는 정보 객체인 '주차타켓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차타켓정보를 제공한다(S490, 495).
주차타겟정보는 소정의 가공 프로세싱을 통하여 텍스트 기반, 오디오 기반, 이미지 기반 등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차량 출입 게이트 주변에 설치되는 정보표출수단(50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정보표출수단(500)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시각적 매체 및 스피커와 같은 청각적 매체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주차타켓정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공유부(180)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알고리즘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된 휴대단말(400)로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공시스템(100)은 차량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는 차량식별장치(300)로부터 차량식별정보를 수신하는(S460) 식별정보수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식별장치(300)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영상모듈 및 OCR 등 텍스트 인식 알고리즘이 탑재된 펌웨어 등을 포함하며 게이트(gate)를 통하여 들어오거나 나가는 차량의 차량번호정보 인식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정해진 프로세싱(출입문 개폐, 회원 확인, 과금 등)이 구동되도록 설계된 장치에 해당한다.
차량식별장치(300)로부터 차량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기초정보저장부(150)에 저장된 기초정보를 독출(access and read)하여 수신된 차량식별정보가 기초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70).
현재 게이트를 통하여 진입한 차량이 등록된 차량이 아닌 경우(S470)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파킹가능정보(전체 주차섹터 중 주차 가능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한다(S495). 이 경우 일반적인 근접 거리 또는 선호도에 기초하여 선별된 파킹가능정보를 주차타겟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게이트를 통하여 진입한 차량이 등록된 차량인 경우(S470) 상기 파킹가능정보 중 현재 위치, 건물의 출입구, 회원정보에 포함된 회원의 거소지 정보, 여성우대 주차섹터, 장애우 주차섹터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근접거리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파킹가능정보를 선별한다(S480).
이와 같이 파킹가능정보가 선별되면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선별된 파킹가능정보를 이용하여 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한다(S490).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해당 차량이 회원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해당 회원 또는 해당 회원차량의 선호주차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회원이 자주 이용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파킹가능정보를 선별하고(S480) 이 선별된 파킹가능정보를 주차타겟정보로 생성하고 제공한다(S490).
즉, 상기 주차타겟정보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주차 가능한 주차섹터 중 물리적 근접거리 또는 해당 회원의 주차 이력 내지 선호도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로 진입한 차량이 회원등록차량인 경우 즉, 차량식별장치(300)에서 전송된 차량식별정보가 기초정보저장부(150)에 저장된 기초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정보공유부(180)는 상기 주차타겟정보를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회원의 휴대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주차 가능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는 우선순위, 근접 거리 순 등에 따라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크기나 색상 등이 구분되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휴대단말(400)에서 표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주차섹터의 위치에 이르는 경로 맵데이터(map data)도 함께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차타겟정보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병행적으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정보표출수단(500)으로 표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주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거리정보 또는 주차선호정보 등에 해당하는 파킹가능정보를 선별한 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한다(S600).
생성된 주차타겟정보는 본 발명의 정보공유부(180)에 의하여 무선 통신을 통하여 회원의 휴대단말(400)로 전송되며(S610) 전송된 주차타겟정보는 휴대단말(4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소정의 GUI환경 등으로 휴대단말(400)에서 표출된다(S620).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태정보생성부(120)는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파싱 등을 통하여 해당 주차섹터의 주차 여부 및 주차된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한다(S630).
본 발명의 모니터링부(190)는 상술된 바와 같은 프로세싱에 의하여 주차타겟정보가 해당 회원의 휴대단말(400)로 전송된 후, 해당 주차섹터에 차량이 주차되는지 여부 및 주차된 차량이 주차타겟정보가 전송된 해당 차량인지 여부를 상기 상태정보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다(S640, S650).
해당 주차섹터에 차량이 주차되는 것이 확인되고(S640) 주차된 차량이 주차타겟정보가 안내된 해당 차량인 경우 의도된 목적이 달성되었으므로 후속 프로세싱은 더 이상 진행하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다.
그러나 주차된 차량이 주차타겟정보가 안내된 해당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S650)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후순위 거리정보 또는 후순위 선호주차정보를 이용하여 제2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한다(S660).
이와 같이 제2주차타겟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정보공유부(180)는 상기 제2주차타겟정보를 상기 해당 회원의 휴대단말(400)로 전송하며, 전송된 제2주차타겟정보는 휴대단말(400)에서 소정의 GUI 환경 등으로 표출된다(S68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n번째(n은 1이상의 자연수) 주차타겟정보가 안내된 차량이 의도된 목적 위치인 주차섹터까지 실제 도착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안내된 차량이 해당 위치에 실제 도착하기 전, 다른 차량에 의하여 목적 위치에 해당하는 주차섹터가 주차가 불가능한 섹터로 변경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다음 순위에 해당하는 n+1번째 주차타겟정보 및 이에 대한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완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4는 주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해당하는 최적의 주차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14에 도시된 700단계, 710단계 및 720단계는 앞서 설명된 내용과 대응되는 내용으로서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상태정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파킹가능정보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요청정보수신부(195)는 사용자의 휴대단말(600)로부터 주차 위치에 대한 대상정보 및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한다(S730, S740).
상기 대상정보는 주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정보로서, 호텔, 백화점, 영화관, 전시관 등과 같은 개별시설이 복합된 종합건물인 경우, 해당 개별시설에 대한 정보가 이에 대한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공장형 건물 등의 경우, 입주한 회사의 명칭정보, 대단위 아파트의 경우 동호수정보 등과 같이 방문 내지 주차의 목적에 해당하는 객체 정보가 대상정보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전제하는 사용자 휴대단말(600)은 본 발명에 의한 제공시스템(1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말로서,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면 모바일 단말은 물론, PC 기반의 단말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각 사용자에 해당하는 리퀘스트 정보가 저장된 후, 차량식별장치(300)로부터 차량식별정보가 전송되면(S750)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차량식별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차량식별정보가 저장된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60).
상기 차량식별정보가 리퀘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40)는 파킹가능정보 중 리퀘스트 정보에 수록된 대상정보에 해당하는 파킹가능정보를 선별하여 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한다(S770).
이와 같이 주차타겟정보가 생성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보표출수단(500)을 통하여 상기 주차타겟정보를 표출하거나(S795) 또는 리퀘스트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휴대단말(600)로 해당 주차타겟정보를 전송한다(S790).
차량식별정보가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기준에 기초하여 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8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익숙하지 않은 종합건물 등에서 자신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주차섹터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받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동기화시스템
1100 : 제1수신부 1200 : 특성정보생성부
1300 : 현황정보생성부 1400 : 제2수신부
1500 : 정보인식부 1600 : 동기화제어부
1610 : 대비판단부 1620 : 동기화처리부
1630 : 가중치정보저장부
2000 : 제1카메라장치 3000 : 제2카메라장치
4000 : 사용자 단말 50 : 통신 네트워크
10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공시스템
110 : 데이터수신부 120 : 상태정보생성부
130 : 데이터처리부 140 : 메인제어부
150 : 기초정보저장부 160 : 식별정보수신부
170 : 선호정보생성부 180 : 정보공유부
190 : 모니터링부 195 : 요청정보수신부
200 : 카메라장치 300 : 차량식별장치
400 : 회원의 휴대단말 500 : 정보표출수단
600 : 사용자의 휴대단말

Claims (2)

  1. 출입게이트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장치로부터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의 제1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영상데이터를 파싱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차량 각각의 제1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특성정보생성부;
    상기 제1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차량현황에 대한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현황정보생성부;
    주차섹터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장치로부터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2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섹터의 주차차량에 대한 제2특성정보를 인식하는 정보인식부;
    상기 현황정보와 제2특성정보의 상호 대비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현황정보에 연계시킨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제어부;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섹터의 차량 파킹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정보생성부;
    상기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주차섹터 중 주차 가능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인 파킹가능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
    회원정보와 등록차량정보가 포함된 기초정보가 저장되는 기초정보저장부;
    차량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는 차량식별장치로부터 차량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부;
    사용자의 휴대단말로부터, 개별시설이 복합된 종합건물 중 특정 개별시설에 대한 정보, 공장형 건물 내 입주 회사의 명칭정보 또는 대단위 아파트 건물 내 동호수정보 중 하나인 대상정보 및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요청정보수신부; 및
    상기 차량식별정보가 상기 기초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파킹가능정보 중 현재 위치, 건물 출입구 또는 회원정보에 포함된 회원의 거소지 중 하나 이상과의 거리정보를 기준으로 근접거리에 해당하는 파킹가능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파킹가능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에 대한 안내정보인 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차량식별정보가 상기 리퀘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파킹가능정보 중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수록된 대상정보에 해당하는 파킹가능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파킹가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타겟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제어부는,
    상기 정보인식부에서 상기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차량번호정보를 상기 현황정보와 대비하는 대비판단부; 및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정보가 상기 현황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주차섹터의 식별정보를 해당하는 상기 현황정보에 연계시켜 상기 동기화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동기화상태정보 중 상기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주차섹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KR1020210097166A 2020-12-10 2021-07-23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Active KR10249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166A KR102492840B1 (ko) 2020-12-10 2021-07-23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79A KR102283489B1 (ko) 2020-12-10 2020-12-10 다중 특성정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한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KR1020210097166A KR102492840B1 (ko) 2020-12-10 2021-07-23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79A Division KR102283489B1 (ko) 2020-12-10 2020-12-10 다중 특성정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한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718A KR20220082718A (ko) 2022-06-17
KR102492840B1 true KR102492840B1 (ko) 2023-01-26

Family

ID=771276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79A Active KR102283489B1 (ko) 2020-12-10 2020-12-10 다중 특성정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한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KR1020210097166A Active KR102492840B1 (ko) 2020-12-10 2021-07-23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79A Active KR102283489B1 (ko) 2020-12-10 2020-12-10 다중 특성정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한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34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39B1 (ko) 2013-02-20 2013-06-25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9295B1 (ko) 2013-06-04 2014-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구획 추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686A (ko) * 2008-07-29 2010-02-08 정광(주) 통합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171909B1 (ko) * 2010-08-26 2012-08-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차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37833B1 (ko) * 2016-08-09 2019-01-14 주식회사 싸인랩 영상처리 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5079A (ko) * 2017-04-12 2018-10-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율적 주차관제를 위한 차량인식시스템 및 차량인식방법
KR101988540B1 (ko) * 2017-05-12 2019-06-12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39B1 (ko) 2013-02-20 2013-06-25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9295B1 (ko) 2013-06-04 2014-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구획 추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718A (ko) 2022-06-17
KR102283489B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572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US10848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te monitoring during departure or arrival of an autonomous vehicle
US10997430B1 (en) Dangerous driver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JP6503218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KR100383870B1 (ko)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리 방법
CN100595810C (zh) 停车控制系统和方法
KR101191776B1 (ko)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주차관리방법
KR101525364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사용하는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KR102039277B1 (ko) 보행자 얼굴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9670B1 (ko) 차량 정보 서비스를 위한 차량 시스템 및 방법
KR100567725B1 (ko)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81355B1 (ko) 인공지능 기반 차량 검색 시스템
KR101936824B1 (ko) 스마트 원패스 시스템
KR100970278B1 (ko) 주차위치 안내 및 방범기능을 갖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20220121961A (ko) Cctv 시스템 기반의 주차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368757B1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227288B1 (ko)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KR102492840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차량정보 동기화시스템
KR101686851B1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KR101737609B1 (ko) 차량 번호판 인식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KR102030352B1 (ko) 차량번호 인식에 기반한 실시간 차량 추적 시스템
KR20010088909A (ko)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KR102249328B1 (ko) 유저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주차정보 제공시스템
KR20220082401A (ko) 이원화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향상된 차량정보 인식률을 제공하는 동기화시스템
Sunmathi et al. Smart car parking using image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7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0121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0017227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