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823B1 - A nude socks having preventing come off device of band type - Google Patents
A nude socks having preventing come off device of band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4823B1 KR102504823B1 KR1020200087461A KR20200087461A KR102504823B1 KR 102504823 B1 KR102504823 B1 KR 102504823B1 KR 1020200087461 A KR1020200087461 A KR 1020200087461A KR 20200087461 A KR20200087461 A KR 20200087461A KR 102504823 B1 KR102504823 B1 KR 102504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instep
- foot
- overshoe
- h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덧신형 양말은 바닥부, 발등부, 측면부가 봉제되어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덧신에서 발등부 및 측면부의 내면 중 발의 수용구(입구)를 따라 일정 폭을 가지도록 밴드부 및 측면부와 접하는 면에 밴드부가 부착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착용 후 과격한 움직임에도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성 및 고정력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발의 뒤꿈치 부분에 형성되는 밴드부의 폭을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함으로써 발의 뒤꿈치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동시에 신발과의 마찰에 따른 피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여기에 실리콘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마찰력과 완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Overshoe s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nd part to have a certain width along the receiving port (entrance) of the foot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in the overshoe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oot is formed by sewing the bottom part,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And since the band por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eling even after a violent movement after wearing, and to express elasticity and fixing power.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band part formed on the heel part of the foot as needed compared to other parts,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heel of the foot and at the same time suppress damage to the skin due to friction with the shoe. By further forming, frictional force and cushioning properties can be further increa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닥부, 발등부, 측면부가 봉제되어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덧신에서 발등부 및 측면부의 내면 중 발의 수용구(입구)를 따라 일정 폭을 가지도록 밴드부 및 측면부와 접하는 면에 밴드부가 부착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착용 후 과격한 움직임에도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성 및 고정력을 발현할 수 있는 덧신형 양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hoe-type sock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and in detail, in an overshoe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a foot is formed by sewing a bottom part, an instep part, and a side part, the number of feet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part attached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nd part and the side part so as to have a certain width along the tool (entrance), so that it can prevent peeling even after extreme movement after wearing, and can express elasticity and fixation. it's about
발은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체중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신체 부위로 수많은 혈관과 신경이 지나는 곳으로 원활한 혈액의 순환을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을 보호 및 보온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말이나 스타킹 또는 덧신 등이 사용되고 있다.The foot is a part of the body that maintains the balance of the human body and absorbs shock by supporting body weight. It is a place where numerous blood vessels and nerves pass. It is desira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smooth blood circulation. Socks, stockings, or overshoes are used as means for protecting and keeping the feet warm.
양말이나 스타킹이 발목 위로 올려 신어야 해서 신발 밖으로 나올 수밖에 없는 것과 달리, 덧신양말은, 발입구가 발등과 발뒤꿈치 바로 위에 위치하여 신발 밖으로 나오지 않으므로, 근래 들어 스포츠 활동이나 일반 외출 시 패션이나 옷맵시 또는 개성을 살릴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Unlike socks or stockings, which have to be worn above the ankle and therefore have to come out of the shoe, overshoe socks have the foot entrance located just above the instep and heel and do not come out of the shoe, so recently they have been used for fashion or dressing up during sports activities or general outings. It is often used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individuality.
일반적인 덧신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측단이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발가락 전부와 발등 및 뒷꿈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덧신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 등으로 구성된다.General overshoes have a bottom part and a side end of the bottom part extending to form an entrance into which the wearer's foot can be inserted, and a side part and a part of the side part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ll of the wearer's toes and a part of the instep and heel It is formed in and consists of a band portion that prevents the overshoes from flowing down.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덧신은 밴드부가 구비되어 있기는 하지만 피부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잘 벗겨지기 때문에 상부 개방부를 대면적으로 시원하게 개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although these overshoes of the prior art are provided with a band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olly open the upper opening portion to a large area because it slides off the skin and is easily peeled off.
또한 발을 삽입하는 입구의 테두리를 따라 미끄럼 방지 실리콘을 부착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입구 테두리가 말리면서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실리콘을 쉽게 부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ttempts have been made to attach non-slip silicone along the rim of the entrance where the foot is inserted,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non-slip silicone could not be easily attached because the rim of the entrance was rolled and the shape could not be maintained well.
여기에 편직과정의 마지막 실 끝이 발의 앞부분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실 끝이 노출되면서 잘 풀리기 때문에 봉조라인을 만들 수밖에 없고 봉조라인을 따라 별도의 봉조기로 재봉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Here, when the end of the last thread in the knitting process is located at the front part of the foot, the end of the thread is exposed and unraveled, so there is no choice but to make a sewing lin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of having to sew with a separate sewing machine along the sewing line.
본 발명은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닥부, 발등부, 측면부가 봉제되어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덧신에서 발등부 및 측면부의 내면 중 발의 수용구(입구)를 따라 일정 폭을 가지도록 밴드부 및 측면부와 접하는 면에 밴드부가 부착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착용 후 과격한 움직임에도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성 및 고정력을 발현할 수 있는 덧신형 양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hoe-type sock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and in detail, in an overshoe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a foot is formed by sewing a bottom part, an instep part, and a side part, the number of feet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part attached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nd part and the side part so as to have a certain width along the tool (entrance), so that it can prevent peeling even after extreme movement after wearing, and can express elasticity and fixation. it's about
본 발명은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hoe type sock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본 발명의 일 양태는,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착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되어 상기 발바닥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닥부;a bottom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sole and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sole;
상기 바닥부의 상단과 봉제되며, 착용자의 발가락 전부와 발등 및 발날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발등부;an instep portion that is sewn with the upper end of the bottom portion and forms a space accommodating all of the wearer's toes, instep, and a portion of the instep;
상기 바닥부의 측단 및 하단, 상기 발등부의 측단과 봉제되어 착용자의 발날 일부 및 뒷꿈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Side ends and lower ends of the bottom portion and side ends of the instep portion are sewn together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a wearer's toenail and a portion of a heel; and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신축성을 부여하는 밴드부;a band portion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to impart elasticity;
를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밴드부는 상기 발등부와 측면부의 내면 중 상기 바닥부, 발등부 및 측면부가 봉제되어 형성한 입구를 따라 일정 크기의 폭을 갖는 테이프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에 관한 것이다.The band part is attached in the form of a tape having a width of a certain size along the entrance formed by sewing the bottom part,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Overshoes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It's about brother socks.
이때 상기 밴드부의 내면 중 발의 뒤꿈치와 접하는 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호형 또는 직선형의 실리콘층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부는 발의 뒤꿈치와 접하는 부분의 폭이 발의 다른 부위와 접하는 부분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one or a plurality of arc-shaped or linear silicone layers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in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foot, and the width 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foot of the band part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part in contact with other parts of the foot. characterized by a large
상기 바닥부, 발등부, 측면부 및 밴드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면섬유에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에테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메틸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합성섬유가 합사된 섬유를 제직 또는 편직하여 형성할 수 있다.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bottom part, instep part, side part and band part is polyurethane, polyester-ethe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ethylene-olefin copolymer and polyoxymethylene in cotton fiber It may be formed by weaving or knitting a fiber in which any one or a plurality of selected synthetic fibers are plied.
또한 상기 합사된 섬유의 섬도는 10 내지 200 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eness of the plied fibers is characterized in that 10 to 200 denier (denier).
여기에 상기 발등부는 내면에 상기 바닥부와의 봉제선 중 일부와 접하도록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reinforcing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seam line with the bottom par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art.
본 발명에 따른 덧신형 양말은 바닥부, 발등부, 측면부가 봉제되어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덧신에서 발등부 및 측면부의 내면 중 발의 수용구(입구)를 따라 일정 폭을 가지도록 밴드부 및 측면부와 접하는 면에 밴드부가 부착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착용 후 과격한 움직임에도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성 및 고정력을 발현할 수 있다.Overshoe s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nd part to have a certain width along the receiving port (entrance) of the foot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in the overshoe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oot is formed by sewing the bottom part,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And since the band por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eling even after a violent movement after wearing, and to express elasticity and fixing power.
또한 필요에 따라 발의 뒤꿈치 부분에 형성되는 밴드부의 폭을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함으로써 발의 뒤꿈치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동시에 신발과의 마찰에 따른 피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여기에 실리콘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마찰력과 완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band part formed on the heel part of the foot as needed compared to other parts,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heel of the foot and at the same time suppress damage to the skin due to friction with the shoe. By further forming, frictional force and cushioning properties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의 밴드부와 실리콘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의 측면부의 뒤꿈치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의 내면을 도시한 사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vershoe-type sock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band portion and a silicone layer of an overshoe-type sock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a heel of a side portion of an overshoe-type sock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an overshoe-type sock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overshoe socks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specific example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xamples presented below, and the specific examples presented below are only described to clarif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if there is no 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will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possible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are omitted.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Also, the singular fo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appended claims may b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dictates otherwise.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may be exaggerated to clarif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Also, the singular fo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appended claims may b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is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에서 내면과 외면을 구분하는 기준은 착용자가 양말형 덧신을 착용하였을 때, 각 구성을 불문하고 착용자의 발과 직접 접하는 면을 ‘내면’, 내면의 반대면을 ‘외면’으로 통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er wears a sock-type overshoe, the surfa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foot is referred to as 'inner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as 'outer surface'.
또한 상단과 하단을 구분하는 기준은 착용자가 양말형 덧신을 착용하였을 때 길이 방향으로 발가락과 가까운 끝단을 ‘상단’, 멀리 형성된 끝단을 ‘하단’으로 통칭하며, 상기 상단과 하단을 잇는 끝단을 측단으로 통칭한다.In addition, when the wearer wears socks-type overshoes, the end closest to the to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alled the 'top' and the far end is called the 'bottom', and the end connecting the top and bottom is called the lateral end referred to as
도 1 내지 4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벗겨짐 방지 기능을 갖는 덧신형 양말은 착용 시 발바닥, 발가락, 발날, 발뒤꿈치, 발등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되어 상기 발바닥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의 상단과 봉제되며, 착용자의 발가락 전부와 발등 및 발날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발등부(200); 상기 바닥부의 측단 및 하단, 상기 발등부의 측단과 봉제되어 착용자의 발날 일부 및 뒷꿈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300); 및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신축성을 부여하는 밴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vershoe socks having a peel-off preve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form that covers some or all of the sole, toe, foot blade, heel, instep, etc. when worn , Specifically,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100)는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는 것으로, 발등, 발날, 발가락 등을 덮는 발등부 및 측면부와 재봉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부는 발바닥을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발 모양의 형태를 갖되, 측단이 다른 천과 재봉되거나 환편 등의 방법으로 하나로 편직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측면부와 결합하여 발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바닥부는 지면의 충격이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부분이므로 발등부나 측면부보다 섬유의 섬도를 크게 하거나, 파일사와 같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요소를 더 추가하여도 좋다.Since the bottom part transmits the impact of the ground to the wearer, the fineness of the fiber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instep part or the side part, or an element capable of buffering action such as pile yarn may be further added.
예를 들어 상기 바닥부의 제직 또는 편직 시 파일사를 더 투입하고 다른 위사, 경사 등과의 교락을 적게 주어 표면에 다수의 루프를 형성하는 식으로 돌출시키면, 상기 루프가 보행자의 하중 여부, 지면의 형태 등에 따라 펼쳐지거나 복원되면서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weaving or knitting the bottom part, more pile yarn is added and less interlacing with other weft yarns, warp yarns, etc., so that a plurality of loops are formed on the surface so as to protrude. It can have a buffering effect while being unfolded or restored according to the back.
상기 발등부(200)는 착용자의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의 상단과 측단 일부와 재봉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등부는 발가락의 보호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발등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는 박음질되어 봉제선이 형성되고, 내면 중 상기 바닥부와의 봉제선 중 일부와 접하도록 보강부(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보강부(210)는 상기 발등부의 일부면, 특히 발가락과 직접 접하는 부분의 두께를 측면부 또는 바닥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발가락, 특히 발톱과의 마찰로 인해 해지거나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 시 발가락이 외부로 비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이를 위해 상기 보강부는 도 4와 같이 상기 발등부와 상기 바닥부의 봉제선을 따라 일정 폭으로 연장되어 발가락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보강부와 발등부를 서로 겹치도록 적층한 후, 상기 바닥부와 한꺼번에 봉제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와 발등부 및 바닥부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고 상기 봉제선이 쉽게 터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inforcing part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toe by extending a certain width along the seam line of the instep and the bottom, as shown in FIG. 4 . In addition, if necessary, after laminating the reinforcing part and the instep part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n sewing the bottom part together, the bonding strength of the reinforcing part, instep part, and bottom part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seam line can be prevented from easily bursting.
상기 측면부(300)는 상기 바닥부의 측단 및 상기 발등부의 하단과 봉제 등에 의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발등이나 발날, 발뒤꿈치 등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즉, 도 4와 같이 상기 양말형 덧신을 뒤집어 내면이 외면으로, 외면이 내면이 되도록 하면, 상기 바닥부는 상기 측면부 및 발등부와 결합하기 위한 재봉선이 발 모양으로 형성되어 발바닥과 발날, 발가락 등을 완전히 덮으며, 발등과 발뒤꿈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ock-type overshoe is turned over so that the inner surface becomes the out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becomes the inner surface as shown in FIG. 4, the bottom par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oot to combine the side part and the instep part, so that the sole, toe, and toe are formed. It covers completely and can be formed to cover the top of the foot and part of the heel.
또한 상기와 같이 재봉선이 덧신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미관을 해치지 않음과 동시에 재봉선이 신발과의 마찰에 의해 파열되거나 구멍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eam line is formed inside the oversho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aesthetics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eam line from being ruptured or a hole generated by friction with the shoe.
본 발명에서 상기 밴드부(400)는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외력에 따라 양말의 신축성을 제어하고, 착용 시 벗겨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발등부 및 측면부의 내면 중 발등부 및 측면부가 서로 봉제되어 형성된 입구를 따라 일정 크기의 폭을 갖는 테이프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상기 밴드부는 도 1 내지 3과 같이 발등부 및 측면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발등, 발날, 발뒤꿈치 등으로 이어지는 입구 라인을 조여 주게 되며, 외력에 의해 양말이 지나치게 신장되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일정 이상 신장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봉제선의 파열이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band portion is formed on the instep and the side por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1 to 3, thereby tightening the inlet line leading to the instep, toe blade, heel, etc., and to suppress excessive elongation of the sock due to external force and at the same time as needed. Since it has a characteristic of elongation over a certain amount along the line, rupture or tearing of the seam can be prevented.
또한 밴드부를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경우, 사람에 따라 피부에 발적, 가려움, 물집, 부기 등과 같은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밴드부는 실리콘의 사용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알레르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nd part is formed of silicone, allergies such as redness, itching, blisters, swelling, etc. may occur on the skin depending on the person, but the band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allergies by minimizing the range of use of silicone. can
상기 밴드부는 폭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0.1 내지 3㎝ 범위 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양말과 사용자 발등, 발날 등과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양말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밴드부의 과도한 밀착에 의한 착용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The band portion is not limited in width, but is preferably formed within the range of 0.1 to 3 cm.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cks from coming off by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ocks and the user's instep or toenail, and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wearing comfort due to excessive adhesion of the band part.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부의 폭이 상기 범위 미만 형성되는 경우 테이프와 발과의 밀착 면적이 저하되어 양말이 쉽게 벗겨지게 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밴드부에 의한 발의 압박이 강해져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게 되며, 착용감이 하락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width of the band part is formed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ape and the foot is reduced, so socks are easily peeled off. , the wearing comfort may decrease.
여기에 상기 밴드부는 도 2와 같이 발뒤꿈치의 일정 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로 인한 착용자의 피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2, the band portion is provided to cover a certain portion of the heel, so that the wearer's skin damage due to friction with the shoe can be suppressed.
일반적으로 새로 구입한 구두의 경우, 구두의 뒤꿈치가 딱딱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뒤꿈치에 상처가 생기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새 구두를 신는 경우 뒤꿈치의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두의 뒤꿈치 내면에 패드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in the case of newly purchased shoes, since the heel of the shoe is hard, the heel of the wearer is often scratched. Therefore, when wearing new shoes, in many cases, a pad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el of the shoe to reduce heel pain.
그러나 이러한 뒤꿈치 패드는 통상적으로 패드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착용 시 이물감이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접착 효과가 떨어져 패드가 말려 올라가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heel pad is typically coated with an adhesive on one side of the pad, and a foreign body sensation may be transmitted when worn, and the adhesive effect decreases with use, causing the pad to roll u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밴드부는 발과 발목의 연결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며, 특히 발의 뒤꿈치와 접하는 부분의 폭이 발의 다른 부위와 접하는 부분의 폭보다 더 크도록 구비됨으로써 착용 시 발의 다른 부분보다 더 폭넓게 감싸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and part is provided to cover the connection part of the foot and the ankle as a whole, and 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foot is provided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part in contact with other parts of the foot, so that it is worn. It can cover a wider area than other parts of the foot.
즉, 상기 밴드부는 도 2와 같이 발뒤꿈치에 형성되는 부분의 폭이 다른 측면부 또는 발등부에 형성되는 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일차적으로 발뒤꿈치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벗겨짐에 대한 저항성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밴드부가 측면부에 접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양말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를 증가시키게 되어 마찰에 의한 파열, 찢어짐 가능성을 낮춰줄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밴드부가 발뒤꿈치에 밀착됨으로써 뒤꿈치 패드와 동일하게 구두의 딱딱한 뒤꿈치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여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보호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band portion is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portion or instep portion formed on the heel, thereby primarily improving adhesion to the heel and increasing resistance to peeling. At the same time, since the band portion is formed by being adhered to the side portion, the thickness is increased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sock,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rupture or tearing due to friction. Here, as the band part adheres to the heel, it protects the wearer's heel by buffering the hard heel of the shoe in the same way as the heel pad.
도 3은 도 4의 밴드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도 3과 같이 상기 밴드부는 발뒤꿈치에 형성되는 부분이 발목을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호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뒤꿈치와 발목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벗겨짐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으며, 뒤꿈치와 신발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FIG. 3 is a side view of the band portion of FIG. 4 . As shown in FIG. 3 , the ban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arc of a certain size so that a portion formed on the heel completely covers the ankle. Through this, adhesion to the heel and ankle can be improved, resistance to peeling can be increased, and direct friction between the heel and the sho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덧신형 양말에서 상기 바닥부, 발등부, 밴드부 또는 측면부를 구성하는 실은 땀 흡수를 위해 셀룰로스계 섬유를 베이스로 하되, 상기 셀룰로스계 섬유의 단점인 낮은 강도, 신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필라멘트 형태의 합성섬유를 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vershoe-type s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constituting the bottom part, the instep part, the band part, or the side part is made of cellulose-based fibers as a base for sweat absorption, bu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low strength and elongation, which are disadvantages of the cellulose-based fibers It is preferable to ply synthetic fibers in the form of one or a plurality of filaments to compensate.
본 발명에서 상기 셀룰로스계 섬유의 예를 들면, 면섬유, 마섬유 등의 일반 셀룰로스계 섬유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면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피부와의 친화력이 우수하며, 높은 흡수력, 부드러운 촉감, 적절한 강도와 신도 등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ellulosic fibers may include general cellulosic fibers such as cotton fibers and hemp fibers, or semi-synthetic fibers such as rayon, and among them, cotton fibers have excellent skin affinity and high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possible to secure absorbency, soft touch, appropriate strength and elong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상기 필라멘트 형태의 합성섬유는 주로 면섬유의 기계적 물성, 특히 부족한 강도와 신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면섬유와 합사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외력에 따라 쉽게 신장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원래 형태로 회복될 수 있는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tic fiber in the form of a filament is mainly intended to be plied with the cotton fiber in order to secur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tton fiber, especially insufficient strength and elongation, and is easily elongated according to the wearer's movement or external force, and is originall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elastic fibers that can be recovered to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섬유는 특정한 구조 또는 개질된 고분자를 방사하여 얻어진 탄성과 회복력을 가진 섬유를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나 섬유의 형태 등에 따라 신장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fibers collectively refer to fibers having elasticity and resilience obtained by spinning a specific structure or modified polymer, and the degree of elong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olymer material or fiber used.
전통적인 탄성섬유는 스판덱스(spandex)나 엘라스탄(elastane)이란 상품명으로 오래 전부터 상업화되고 있으며, 대부분 200 내지 800% 정도의 절단신도를 가지고, 변형응력을 제거하면 거의 완벽하게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섬유를 통칭한다.Traditional elastic fibers have been commercialized for a long time under the trade names of spandex or elastane, and most of them have a breaking elongation of about 200 to 800%, and fibers that return to their original length almost perfectly when the deformation stress is removed. collectively
상기 탄성섬유의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에테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메틸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혼합사여도 무방하다.Examples of the elastic fibers include polyurethane, polyester-ethe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ethylene-olefin copolymer, and polyoxymethylene, which a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t is free to buy.
상기 탄성섬유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는 방사방법이 다양하고 원료가 저렴하며, 일반 천연 고무섬유에 비해 강도, 모듈러스가 높고 경시변화, 염색성 등에서 우수하다.As the elastic fiber, polyurethane may be more preferably used. The polyurethane elastic fibers have various spinning methods, inexpensive raw materials, and have high strength and modulus compared to general natural rubber fibers, and are excellent in change over time and dyeability.
상기 면섬유와 탄성섬유는 합사 시 그 비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면섬유 및 탄성섬유가 각각 5 내지 9 : 1 내지 5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외력에 따라 양말이 신축될 수 있어 착용감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양말의 원래 목적인 보온성이나 땀 흡수 등의 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The cotton fiber and the elastic fiber are not limited to the ratio when plying, but the cotton fiber and the elastic fiber are preferably mixed in a weight ratio of 5 to 9: 1 to 5, respectively. Within the above range, the socks can be stretched according to the wearer's movement or external force, so the wearing comfort can be secured, and at the same tim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ocks, such as heat retention or sweat absorption, can be expressed.
또한 상기 섬유 합사 시 각 부분별로 면섬유와 탄성섬유의 합사 비율을 다르게 하거나 상기 탄성섬유와는 별개로 다른 섬유를 더 추가하여 물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는 땀과 습기에 의한 세균 증식이 활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억제하기 위해 탄성섬유 제조 시 항균물질을 더 혼합하여 방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bers are plied, the plying ratio of cotton fibers and elastic fibers may be different for each part or other fibers may be additionally added separately from the elastic fibers to reinforce physical properties. Specifically, since bacterial growth may be active in the bottom part due to sweat and moisture, in order to suppress this, an antibacterial material may be further mixed and spun when manufacturing the elastic fiber.
상기 항균물질은 섬유 표면에 양전하를 띄게 하여 음전하를 가지는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수분 또는 습기의 존재 하에서 섬유 표면에 양이온을 형성하고, 그 양이온이 미생물 세포 표면에 형성되는 음이온을 전기적으로 당겨서 인력에 의한 세포막을 파괴하는 방식으로 작용하게 된다.The antibacterial substance is intended to give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bacteria having a negative charge by imparting a positive charge to the surface of the fiber, and forms positive ions on the surface of the fiber in the presence of moisture or moisture, and the positive ions are electrically charged with negative ions formed on the surface of microbial cells. It works by pulling it down and destroying the cell membrane by attraction.
상기 항균물질은 고열에도 섬유 고분자와 반응, 중합되지 않으면서도 인체에 독성을 가하지 않는 물질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향균물질의 예를 들면,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 pyridinium chloride), 1,1-헥사메틸렌비스(5-(4-클로로페닐)비구아나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1,1-Hexamethylene bis(5-(4-chlorophenyl) biguanide)hydrochloride),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나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hexamethylene biguanide hydrochloride), 1-메틸-2-니트로-3-[(3-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구아니딘(1-methyl-2-nitro-3((3-tetrahydrofuryl)methyl) guanidine), 폴리테트라메틸렌구아니디늄(polytetramethyleneguanidinium),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디늄(polyhexamethyleneguanidinium),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 포스페이트(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osphate)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antibacterial substance is not limited to the type as long as it does not react with the fiber polymer even at high heat and does not polymerize, but does not add toxicity to the human body. For example, cetylpyridinium chloride, 1,1-hexamethylene bis (5- (4-chlorophenyl) biguanide hydrochloride (1,1-Hexamethylene bis (5- (4 -chlorophenyl) biguanide) hydrochloride), polyhexamethylene biguanide hydrochloride, 1-methyl-2-nitro-3-[(3-tetrahydrofuryl) methyl] guanidine (1-methyl-2-nitro -3((3-tetrahydrofuryl)methyl) guanidine), polytetramethyleneguanidinium, polyhexamethyleneguanidinium,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osphate, etc. Or two or more may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항균물질은 상기 탄성섬유를 구성하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항균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탄성섬유의 물성을 해치게 되어 양말의 신축성이나 회복력이 저하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material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constituting the elastic fiber. When added below the above range, the above antibacterial effect is not properly expressed, and when added above the above r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elastic fibers may be deteriorat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elasticity or recovery of socks.
여기에 상기 바닥부는 상기 항균물질이 함유된 탄성섬유와는 별개로 상기 탄성섬유와의 상호작용으로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탄성섬유를 통해 제거되지 못하는 양성지정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유산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ottom portion can increase mechanical properties by interacting with the elastic fibers separately from the elastic fibers containing the antibacterial material, and to increase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positively designated bacteria that cannot be removed through the elastic fibers. Polylactic acid fibers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폴리유산(락틱산) 섬유는 바이오 베이스 폴리머로 선형의 지방족 폴리에스터이다. 주로 옥수수 및 감자에서 얻어지는 전분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락틱산의 화학적 전환에 의해 얻어지는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되는 소재이다.The polylactic acid (lactic acid) fiber is a bio-based polymer and is a linear aliphatic polyester. It is a material produced by polymerizing monomers obtained by chemical conversion of lactic acid produced by starch fermentation mainly obtained from corn and potatoes.
상기 폴리유산(락트산) 섬유의 원료인 락트산(lactic acid)은 광학 활성을 나타내는 탄소 원자배열을 분자 중에 가지고 있으므로, L-락트산, D-락트산의 광학이성체를 가진다. 나아가, 폴리 L-락트산(이하, “PLLA”라 한다)과 폴리 D-락트산(이하, “PDLA”라 한다)으로 존재한다.Since lactic acid, which is a raw material of the polylactic acid (lactic acid) fiber, has an optically active carbon atom arrangement in its molecule, it has optical isomers of L-lactic acid and D-lactic acid. Furthermore, it exists as poly L-lactic ac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LA”) and poly D-lactic ac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LA”).
본 발명에서 결정성 폴리락트산이라 함은 폴리락트산 중에서 PLLA 중의 L-락트산, PDLA 중의 D-락트산의 비율이 높은 것 즉, 광학순도가 높은 경우로서, 결정성이 높고, 내열성이나 역학 특성이 우수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crystalline polylactic acid refers to a polylactic acid having a high ratio of L-lactic acid in PLLA and D-lactic acid in PDLA, that is, a case with high optical purity, high crystallinity,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결정성 폴리락트산 50 내지 90 중량% 및 비결정성 폴리락트산 10 내지 5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비를 가짐에 따라 결정성 폴리락트산이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발휘하는 동시에, 비결정성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에 의해 유연성이 부여되어 물성이 향상된다. 특히, 비결정성 폴리락트산의 함량이 결정성 폴리락트산에 비해 적게 혼합됨으로써, 일정 이상의 유연성이 발현되면서도 섬유 자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세탁이나 외력에 의한 형태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another polylactic acid-based poly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50 to 90% by weight of the crystalline polylactic acid and 10 to 50% by weight of the amorphous polylactic acid. By having the above composition ratio, the crystalline polylactic acid exhibits impac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nd at the same time, flexibility is imparted by the amorphous polylactic acid-based polymer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since the content of amorphous polylactic acid is less than that of crystalline polylactic acid, it is possible to secure strength of the fiber itself while exhibiting a certain level of flexibility, and minimize change in shape due to washing or external force.
상기 폴리유산 섬유는 주쇄에 카르복실기나 알데히드기를 가짐에 따라 표면에 음전하를 띄게 된다. 이러한 음전하는 상기와 같이 표면에 양전하를 띄는 부직포층이나 필라멘트에서 여과하지 못하는 양전하를 띄는 미립자나 세균류를 제거할 수 있어 항균성을 더욱 높이게 되며, 전분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특성 상 피부에 친화적이고 저자극성을 가진다.As the polylactic acid fiber has a carboxyl group or an aldehyde group in its main chain, its surface is negatively charged. Such negative charge can remove positively charged microparticles or bacteria that cannot be filtered from the nonwoven fabric layer or filament having a positive charge on the surface as described above, further enhancing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is skin-friendly and hypoallergeni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from starch, etc. .
상기 폴리유산 섬유는 면섬유 및 탄성섬유와 합사 시 면섬유 : 탄성섬유 : 폴리유산 섬유가 각각 50 내지 80 중량%, 10 내지 40 중량% 및 5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원하는 항균성을 확보하기 어렵거나 양말의 유연성을 해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Preferably, the polylactic acid fibers include 50 to 80% by weight, 10 to 40% by weight, and 5 to 10% by weight of cotton fibers: elastic fibers: polylactic acid fibers, respectively, when combined with cotton fibers and elastic fibers.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des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flexibility of socks is impaired.
본 발명에서 상기 면섬유와 탄성섬유는 합사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적공정을 통해 일정 섬도를 갖는 면섬유를 생산한 후, 상기 면섬유의 표면을 탄성섬유가 감는 형태(covering yarn)를 갖거나, 그 반대로 필라멘트 다발의 탄성섬유 표면을 면섬유가 감는 구조로 합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면섬유와 상기 탄성섬유를 서로 교락하거나 일부 섬유를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벌키(bulky)한 특성을 갖는 양말이 되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tton fiber and the elastic fiber are not limited to the plying method. For example, after producing cotton fibers having a certain fineness through a spinning process, the surface of the cotton fibers is plied to have a covering yarn or, conversely, to a structure in which cotton fibers are wrapped around the surface of the elastic fibers of a filament bundle. It can be. Alternatively, socks having bulky properties may be manufactured by intertwining the cotton fibers and the elastic fibers or forming loops with some fibers.
상기와 같이 합사된 섬유는 섬도를 한정하지 않으나, 10 내지 200 데니어(denier),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땀 흡수가 잘되며, 동시에 마찰, 신장 등에 대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fineness of the fibers plied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to 200 denier, more preferably 80 to 150 denier. Within this range, sweat absorption is well achieved, and at the same time, mechanical properties for friction, elongation, etc. can be secured.
다만 상기 밴드부의 경우 덧신형 양말을 구성하는 다른 부분과는 달리 착용 시 피부와 더욱 밀착하게 되며, 특히 발뒤꿈치를 감싸는 밴드부는 신발과의 마찰로 인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한 양말 전체의 신축을 제어하고, 벗겨짐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다른 부분과 섬유의 섬도나 합사 시 조성, 제직 또는 편직밀도 등을 다르게 가져가야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band part, unlike other parts constituting the overshoe type socks, it is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skin when worn, and in particular, the band part covering the heel should prevent skin damage due to friction with shoes.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ntire sock and prevent peeling, the fiber fineness or composition, weaving or knitting density, etc. should be different from other parts.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부는 합사 시 섬유의 섬도가 다른 부분보다 작은 것이 좋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10 내지 3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의 경우 섬도가 작을수록 촉감이 부드러워지며, 피부에 대한 자극이 줄어들기 때문에 밴드부와 같이 피부에 밀접하는 부분은 상기와 같이 섬유의 섬도를 최대한 작게 하는 것이 좋다.Specifically, the band portion preferably has a smaller fiber fineness than other portions when plying, and more specifically, 10 to 30 denier. In the case of fibers, the smaller the fineness, the softer the touch, and since irritation to the skin is reduced, it is good to make the fineness of the fibers as small as possible for the parts that are close to the skin, such as the band part.
또한 상기와 같이 섬유의 섬도를 작게 하는 경우, 직물의 밀도를 다른 부분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직물의 밀도는 제조방법에 따라 다르나, 양말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직보다는 편직(knitted fabric)으로 제조하는데, 이때 게이지(gauge)를 조절함으로써 직물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neness of the fiber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the density of the fabric can be higher than that of other parts. The density of the fabric vari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method, but in the case of hosiery, it is generally made of a knitted fabric rather than a weave to secure flexibility. At this time, the density of the fabric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a gauge.
상기 게이지는 1인치 안에 들어가는 바늘의 침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편직하는 방법에 따라 바늘이 20개 이하인 로우 게이지(low gauge), 26개 이상인 하이 게이지(high gauge) 및 그 중간값인 미들 게이지(middle gauge)로 나눌 수 있다.The gauge indicates the number of needles entering within 1 inch, and depending on the knitting method, a low gauge with 20 or less needles, a high gauge with 26 or more needles, and a middle gauge that is the middle gauge ) can be divided into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은 각 부분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직물의 밀도를 다르게 가져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 발등부 및 측면부와 같이 유연성과 통기성 또한 확보해야 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밀도를 낮추도록 미들 게이지나 로우 게이지로 형성하며, 상술한 보강부나 밴드부의 경우, 피부와 직접 접하여야 하며, 다른 부분에 비해 압력이나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므로 직물의 기계적 물성을 높이기 위해 하이 게이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take different densities of the fabric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ach part. Specifically, when flexibility and air permeability must also be secured, such as the bottom, instep, and side surfaces, it is formed in a middle gauge or low gauge to relatively lower the density, and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reinforcement or band portion, it must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Since pressure or friction is severe compared to other parts, it is desirable to manufacture it with a high gauge to increas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abric.
일예로 상기 바닥부, 발등부 및 측면부는 15 내지 25 게이지로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보강부나 밴드부는 26 내지 35 게이지로 제조하여 편물밀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ottom part,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are preferably 15 to 25 gauge, and the reinforcing part or band part is manufactured with 26 to 35 gauge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knitted fabric, thereby increasing mechanical strength compared to other parts.
또한 상기 밴드부는 면섬유 및 탄성섬유가 각각 5 내지 6 : 4 내지 5 중량비로 하여 복원력을 높이고 양말과 발 간의 밀착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 part has cotton fibers and elastic fibers in a weight ratio of 5 to 6: 4 to 5, respectively, to increase restoring force and increase adhesion between socks and feet.
상기 밴드부는 접합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보강부와 유사하게 상기 발등부와 측면부를 재봉하여 접합할 때, 접합 전 길이 방향의 끝단을 상기 발등부와 측면부의 내면 중 입구를 형성하는 끝단과 일치시키도록 적층한 후, 이를 재봉함으로써 접합할 수 있다.The band portion does not limit the bonding method. For example, when bonding the instep and side parts by sewing similarly to the reinforcement part, th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fore joining is laminated to match the end forming the entrance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instep and the side part, and then sewing it. You can connect by doing this.
다만 이 경우 재봉이 되지 않는 부분들은 상기 발등부나 측면부와 완전히 접합된 상태는 아니므로 이를 완전히 접합하기 위해 상기 밴드부는 발등부나 측면부와 접하는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재봉 후 열이나 압력 등을 가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is case, the parts that are not sewn are not completely joined to the instep or side part, so in order to completely join them,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step or side part of the band part, and after sewing, heat or pressure is applied to join it is desirabl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층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한정하지 않으나,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고체상의 물질로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지 않고 100% 고형분만을 열에 의해 용해, 도포한 후 피착체나 주위에 열을 발산함으로써 냉각, 고화 되는 과정을 통해 짧은 시간에 접착을 나타내는 접착제이다. 이러한 접착제는 타 용제형 접착제나 수분산형 접착제 등에 비해 건조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공간이 작고, 접착속도가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are not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hot melt type adhesive. The hot-melt adhesive is a solid material at room temperature using a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not dissolved or dispersed in a solvent, and only 100% solid content is dissolved and applied by heat, and then cooled and solidified by dissipating heat to the adherend or surroundings. It is an adhesive that exhibits adhesion in a short time through. These adhesives do not require a drying process compared to other solvent-type adhesives or water-dispersion type adhesives, so they have a small working space and a fast adhesion speed.
본 발명에서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당업계에서 피혁, 필름, 시트 등에 접착의 용도로 통상 사용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의 재질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폴리우레탄 핫멜트, 폴리올레핀 핫멜트, 폴리스티렌 핫멜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핫멜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주성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melt type adhesive is not limited to a type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bonding leather, film, sheet, etc. The material of the hot melt type adhesive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ny one selected from polyamide hot melt, polyester hot melt, polyurethane hot melt, polyolefin hot melt, polystyrene hot melt, ethylene-acrylic copolymer hot melt and ethylene vinyl acetate hot melt The above polyolefin type resin can use what is a main component.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용융온도를 한정하지 않으나, 150℃ 이하인 것이 작업의 용이성 및 공정 조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지수(melt index)는 5 내지 500 ㎤/10min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에서 밴드부와 발등부 또는 측면부와의 접착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착용 시 땀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hot-melt adhesive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150° C. or less in terms of ease of operation and process conditions. In addition, the melt index is preferably 5 to 500 cm 3 / 10 min. Within the above range, sweat and the like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when worn without reducing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band portion and the instep portion or the side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도포 시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유연성 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0.01 내지 0.1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상기 접착층에 의해 투습효과를 하락시키지 않도록 다양한 패턴을 갖는 것이 좋은데, 이때 패턴의 형태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접착층에 의한 피복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트형을 갖는 것이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is not limited in thickness during application, but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01 to 0.1 mm so as not to affect flexibility or the like. Here, it is good to have various patterns so as not to decrease the moisture permeability effect by the adhesive layer.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pattern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good to have a dot shape to minimize the area covered by the adhesive layer.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층(410)은 상기 밴드부의 내면 중 발의 뒤꿈치와 접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발과의 접촉성이 양말의 다른 부분에 비해 밀착성이 높아 양말의 벗겨짐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실리콘층은 도 2와 같이 발의 뒤꿈치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 밴드부의 내면에 형성되되, 기본적으로 상기 밴드부의 폭보다 작은 일정 크기의 폭을 갖는 선형을 가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양말이 발의 삽입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벗겨짐이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여 발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만곡된 호형 또는 아치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licone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form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foot, as shown in FIG. 2, and may basically have a line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and par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peeling occur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oot, it is preferable to form an arc or arch shape curved at a certain angl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oot.
상기 실리콘층은 단독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둘 이상의 복수로 구비되어 발뒤꿈치와의 마찰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층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해당 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도 좋으며, 삽입 방향과 수직하게, 즉 상기 밴드부의 내면을 따라 양말의 입구 쪽에 복수 개가 배열됨으로써 발과 실리콘층과의 접촉 면적을 더욱 넓히고 착용 시 형태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The silicon layer may be provided singly, but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wo or more to further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heel. At this time, when the silicon layer is provided in plurality, it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oot to increase resistance to external force transmit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at i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toward the entrance of the sock.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hem,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oot and the silicon layer can be further widened and form stability can be secured when worn.
상기 실리콘부는 상기와 같이 밴드부의 내면에 선형의 형태로 코팅 가능한 물질이라면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액상 실리콘 고무와 같이 높은 마찰견뢰도를 가지면서도 내후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silicone par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in a linear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having high friction fastness and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such as liquid silicone rubber.
상기 액상 실리콘 고무 탄성체는 고중합도의 곧은 사슬 모양의 디오가노폴리실록산에 미분, 실리카 등을 보강재로 혼화하고 가교시킨 액상고무 탄성체로서, 내후성이 우수하여 세탁이나 외력 등에도 그 형태를 유지하며, 단순히 액상의 조성물을 상기 밴드부에 도포하고 경화하기만 하여도 생성되므로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liquid silicone rubber elastomer is a liquid rubber elastomer obtained by mixing and crosslinking fine powder, silica, etc. with a straight chain diorganopolysiloxane having a high degree of polymerization as a reinforcing material. Since it is created by simply applying and curing the composition of the band, there is an advantage of excellent workability.
특히 일반적으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은 주쇄가 탄소와 탄소의 결합(C-C)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탈수소화되어 에틸렌 결합(비닐 결합, -CH=CH-)으로 분해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액상 실리콘 고무 탄성체는 주쇄가 Si-C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시간이 경과해도 Si=C 결합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In particular, polyurethane, which is generally used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has a main chain composed of carbon and carbon bonds (C-C), but over time, it is dehydrogenated and decomposed into ethylene bonds (vinyl bonds, -CH=CH-). It happens. However, the liquid silicone rubber elastomer as described above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as the main chain is formed of Si=C bonds even over time.
상기 액상 실리콘 고무 탄성체는 실리콘 오일보다 분자량이 큰 것으로, 분자량 등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분자량은 수십만 정도이고, 비중 0.98, 굴절률 1.40이며, 점도 범위는 1 내지 10 Pa·s이다.The liquid silicone rubber elastomer has a higher molecular weight than silicone oil, and although the molecular weight is not limited, the molecular weight is about hundreds of thousands, the specific gravity is 0.98, the refractive index is 1.40, and the viscosity range is 1 to 10 Pa·s.
상기 실리콘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액상의 실리콘 고무 탄성체를 밴드부의 내면 중 폭이 넓은 부분(발의 뒤꿈치와 접하는 부분)에 일정 크기로 도포한 후,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층은 용매의 증발이나 형태의 안정을 촉진하기 위해 도포 후 상온(20℃ 내외)에 일정 시간 방치하고, 추후 수세함으로써 미고착된 실리콘 탄성체나 기타 잔존하는 용매 등을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licone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liquid silicone rubber elastic body to a wid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foot) in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drying it. At this time, the silicone layer may be left at room temperature (around 20 ° 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application to promote solvent evaporation or shape stability, and then washed with water to remove unadhered silicone elastic bodies or other remaining solvents.
본 발명에 따른 덧신형 양말은 바닥부, 발등부, 측면부가 봉제되어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덧신에서 발등부 및 측면부의 내면 중 발의 수용구(입구)를 따라 일정 폭을 가지도록 밴드부 및 측면부와 접하는 면에 밴드부가 부착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착용 후 과격한 움직임에도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성 및 고정력을 발현할 수 있다.Overshoe s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nd part to have a certain width along the receiving port (entrance) of the foot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in the overshoe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oot is formed by sewing the bottom part, the instep part, and the side part And since the band por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eling even after a violent movement after wearing, and to express elasticity and fixing power.
또한 필요에 따라 발의 뒤꿈치 부분에 형성되는 밴드부의 폭을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함으로써 발의 뒤꿈치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동시에 신발과의 마찰에 따른 피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여기에 실리콘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마찰력과 완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band part formed on the heel part of the foot as needed compared to other parts,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heel of the foot and at the same time suppress damage to the skin due to friction with the shoe. By further forming, frictional force and cushioning properties can be further increased.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only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하기 실시예 등을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s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were measured as follows.
(항균성)(antibacterial)
하기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 30×30㎜을 채취하여 이의 살균감소율과 정균감소율을 한국공업규격 KS J 4206의 항균도 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균주로 양성지정 세균인 스테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 ATCC 6538)와, 음성지정 세균인 클레브지엘라 뉴모니애(음성균, Klwbsiella pneumoniae : ATCC 4352) 시험균으로 하고, 상기 필라멘트에 접종하여 초기 균수(포도상구균 : 1.4 × 105/㎖, 폐렴간균 :1.8 × 105/㎖)와 배양 후 18 시간의 균수를 측정하여 다음 식 2 및 식 3에 대입하여 측정하였다.A specimen of 30 × 30 mm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was taken and its sterilization reduction rate and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were measured by the antibacterial activity measurement method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J 4206. Specifically, as test strains, Staphylococcus aureus (positive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and negatively designated bacteria Klwbsiella pneumoniae (negative bacteria, Klwbsiella pneumoniae: ATCC 4352) were used as test strains. , After inoculating the filament, the initial number of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1.4 × 10 5 /mL, Klebsiella pneumoniae: 1.8 × 10 5 /mL) and the number of bacteria 18 hours after incubation were measured and measured by substituting into the following equations 2 and 3 .
[식 1][Equation 1]
[식 2][Equation 2]
(여기서 Ma : 항균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시험편의 접종 직후의 생균수(Where M a : The number of viable cells immediately after inoculation of the test piece to which no antimicrobial substance was added
Mb : 항균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시험편의 18시간 배양후의 생균수M b : The number of viable cells after 18 hours of incubation of the test piece without the addi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Mc : 항균물질을 첨가한 시험편의 18시간 배양후의 생균수)M c : The number of viable cells after 18 hours of incubation of the test piece to which the antibacterial substance was added)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하기 실시예 등을 통해 제조된 시편을 가로 5 ㎝, 세로 10 ㎝ 크기로 제단한 후, 인장강도 측정기(Instron 4443, Instron corporation)의 로드셀 클립에 시편을 물리고 크로스헤드 속도(Crosshead speed)를 50 ㎜/min로 하고 로드셀(Load Cell)을 100 kgf로 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After cutting the specimen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to a size of 5 cm in width and 10 cm in length, clamp the specimen in the load cell clip of the tensile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 (Instron 4443, Instron corporation) and set the crosshead speed to 50 mm /min, and the load cell was measured at 100 kgf to measure the tensile strength.
(실시예 1 내지 3)(Examples 1 to 3)
바닥부 제조를 위해 편직물(섬도 50수, CM26S/2 100) 형태로 제조하되, 상기 편직물 제조 시 섬유로 면섬유와 탄성섬유(폴리우레탄)가 각각 80 중량%, 20 중량%로 혼합된 합사(실시예 1)와, 면섬유 및 탄성섬유로 폴리우레탄 방사 시 방사용액 100 중량부에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디늄을 2 중량부 첨가한 탄성섬유를 각각 80 중량%, 20 중량%로 혼합된 합사(실시예 2) 및 면섬유, 실시예 2의 탄성섬유와 폴리유산섬유가 각각 75 중량%, 18 중량%, 7 중량% 혼합된 합사(실시예 3)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바닥부의 기계적 물성과 항균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It is prepared in the form of a knitted fabric (fineness 50, CM26S / 2 100) for the manufacture of the bottom, but when manufacturing the knitted fabric, cotton fiber and elastic fiber (polyurethane) are mixed with 80% by weight and 20% by weight, respectively. Example 1) and cotton fibers and elastic fibers, when spinning polyurethane, 80% by weight and 20% by weight of elastic fibers obtained by adding 2 parts by weight of polyhexamethyleneguanidinium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pinning solution, respectively (Example 2) and cotton fiber, the elastic fiber and polylactic acid fiber of Example 2 were used, respectively, 75% by weight, 18% by weight, 7% by weight of plied yarn (Example 3).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bottom por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ere measured and listed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양말은 항균성이 우수하며, 동시에 일정 이상의 인장강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면섬유와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사용한 실시예 1에 비해 항균성분을 첨가한 탄성섬유를 사용한 실시예 2는 인장강도에 큰 변화가 없으면서도 정균감소율이 비약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폴리유산 섬유를 더 합사한 실시예 3은 가장 우수한 정균감소율을 보이며, 동시에 인장강도 또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폴리유산 섬유의 표면에 형성된 음전하로 인해 정균감소에 대한 효율 증가하였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표면에 형성된 양전하와 정전기적 결합이 발생하여 인장강도 또한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sock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at the same time secure a certain tensile strength. Specifically, compared to Example 1 using general cotton fiber and polyurethane elastic fiber, Example 2 using the elastic fiber with an antibacterial component add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without a significant change in tensile strength. It can be seen that Example 3, in which lactic acid fibers were further plied, showed the best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and at the same time, the tensile strength also increased. It seems that the efficiency of bacteriostatic reduction was increased due to the negative char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ylactic acid fiber, and the tensile strength also increased due to the occurrence of electrostatic bonding with the positive char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yurethane elastic fiber.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se claims.
100 : 바닥부
200 : 발등부
210 : 보강부
300 : 측면부
400 : 밴드부
410 : 실리콘층100: bottom
200: instep
210: reinforcement part
300: side part
400: band part
410: silicon layer
Claims (6)
상기 바닥부의 상단과 봉제되며, 착용자의 발가락 전부와 발등 및 발날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발등부;
상기 바닥부의 측단 및 하단, 상기 발등부의 측단과 봉제되어 착용자의 발날 일부 및 뒷꿈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발등부 및 측면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신축성을 부여하는 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는 상기 발등부와 측면부의 내면 중 상기 바닥부, 발등부 및 측면부가 형성한 입구를 따라 일정 크기의 폭을 갖는 테이프 형태로 부착되며,
상기 바닥부, 발등부, 측면부 및 밴드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면섬유 50 내지 80 중량%에 폴리우레탄 섬유 10 내지 40 중량% 및 폴리유산 섬유 5 내지 10 중량%가 합사된 섬유를 편직하여 형성하며,
상기 폴리유산 섬유는 결정성 폴리락트산 50 내지 90 중량% 및 비결정성 폴리락트산 10 내지 50 중량%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섬유를 구성하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 pyridinium chloride), 1,1-헥사메틸렌비스(5-(4-클로로페닐)비구아나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1,1-Hexamethylene bis(5-(4-chlorophenyl) biguanide)hydrochloride),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나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hexamethylene biguanide hydrochloride), 1-메틸-2-니트로-3-[(3-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구아니딘(1-methyl-2-nitro-3((3-tetrahydrofuryl)methyl) guanidine), 폴리테트라메틸렌구아니디늄(polytetramethyleneguanidinium),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디늄(polyhexamethyleneguanidinium) 및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 포스페이트(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osphat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항균물질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는 편직 시 파일사를 더 합사하여 표면에 다수의 루프를 형성하여 돌출시키며,
상기 바닥부, 발등부 및 측면부는 편직 시 15 내지 25 게이지, 보강부와 밴드부는 26 내지 35 게이지로 편직하여 편물밀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
a bottom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sole and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sole;
an instep portion that is sewn with the upper end of the bottom portion and forms a space accommodating all of the wearer's toes, instep, and a portion of the instep;
Side ends and lower ends of the bottom portion and side ends of the instep portion are sewn together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a wearer's toenail and a portion of a heel; and
A band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to impart elasticity;
Including,
The band portion is attached in the form of a t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inlet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the instep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ny one or plurality selected from the bottom part, the instep part, the side part and the band part,
It is formed by knitting a fiber in which 50 to 80% by weight of cotton fiber, 10 to 40% by weight of polyurethane fiber and 5 to 1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fiber are plied,
The polylactic acid fiber includes 50 to 90% by weight of crystalline polylactic acid and 10 to 50% by weight of amorphous polylactic acid,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constituting the polyurethane fiber, cetylpyridinium chloride, 1,1-hexamethylenebis (5- (4-chlorophenyl) biguanide hydrochloride (1,1-Hexamethylene bis (5-(4-chlorophenyl) biguanide)hydrochloride), Polyhexamethylene biguanide hydrochloride, 1-methyl-2-nitro-3-[(3-tetrahydrofuryl)methyl]guanidine(1- Choose from methyl-2-nitro-3((3-tetrahydrofuryl)methyl) guanidine), polytetramethyleneguanidinium, polyhexamethyleneguanidinium and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osphate Further comprising 0.1 to 5 parts by weight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antibacterial substances,
The bottom portion is further plied with pile yarn during knitting to form a plurality of loops on the surface to protrude,
Overshoe socks with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instep and side parts are knitted with 15 to 25 gauge, and the reinforcing part and the band part are knitted with 26 to 35 gauge to adjust the knitting density.
상기 밴드부의 내면 중 발의 뒤꿈치와 접하는 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호형 또는 직선형의 실리콘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
According to claim 1,
Overshoe socks with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a plurality of arc-shaped or straight-shaped silicone layers ar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foot.
상기 밴드부는 발의 뒤꿈치와 접하는 부분의 폭이 발의 다른 부위와 접하는 부분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
According to claim 2,
The band portion overshoe socks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foot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art in contact with other parts of the foot.
상기 합사된 섬유의 섬도는 10 내지 200 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
According to claim 1,
Overshoe socks having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ness of the plied fibers is 10 to 200 denier.
상기 발등부는 내면에 상기 바닥부와의 봉제선 일부와 접하도록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벗겨짐 방지 수단을 갖는 덧신형 양말.
According to claim 1,
Overshoe socks with a band-type peeling preven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art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ep portion to contact a portion of the seam line with the bottom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87461A KR102504823B1 (en) | 2020-07-15 | 2020-07-15 | A nude socks having preventing come off device of band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87461A KR102504823B1 (en) | 2020-07-15 | 2020-07-15 | A nude socks having preventing come off device of band typ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09131A KR20220009131A (en) | 2022-01-24 |
| KR102504823B1 true KR102504823B1 (en) | 2023-02-28 |
Family
ID=8005007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87461A Active KR102504823B1 (en) | 2020-07-15 | 2020-07-15 | A nude socks having preventing come off device of band typ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0482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87119B1 (en) | 2022-06-02 | 2023-01-11 | 배연구 | Socks with reinforced front nose and heel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9173224A (en) * | 2018-03-29 | 2019-10-10 |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socks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07810U (en) * | 2009-01-28 | 2010-08-05 | 이경권 | socks |
| KR101387709B1 (en) * | 2012-05-16 | 2014-04-21 | 이태성 | Socks and stocking using polylactic acid fiber and method thereof |
| KR200481161Y1 (en) | 2016-02-26 | 2016-08-23 | 신영임 | Outer socks |
| CN110234673B (en) * | 2017-01-30 | 2021-12-14 | 路博润先进材料公司 | Antimicrobial thermoplastic polyurethane |
| KR20180096928A (en) * | 2017-02-22 | 2018-08-30 | 고미화 | Manufacturing method of outer socks for diet |
| JP3221302U (en) * | 2019-02-28 | 2019-05-16 | グンゼ株式会社 | Foot covering |
-
2020
- 2020-07-15 KR KR1020200087461A patent/KR10250482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9173224A (en) * | 2018-03-29 | 2019-10-10 |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sock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09131A (en) | 2022-01-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506776B1 (en) | Shoes including w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pper for shoes | |
| US12202244B2 (en) | Article of apparel | |
| KR200486312Y1 (en) | High Stretchable socks with anti-peeling function | |
| US11970793B2 (en) | Composite yarn, fabric thereof and brassiere | |
| ES2236213T3 (en) | BANDAGE. | |
| KR102504823B1 (en) | A nude socks having preventing come off device of band type | |
| TW202035814A (en) | Sticky fabarics and garment made of the same | |
| JP5543829B2 (en) | Knitted fabric for skin adhesive tape, skin adhesive tap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knitted fabric for skin adhesive tape | |
| US20030000004A1 (en) | Trousers for cyclist and method of making same | |
| AU2003304315B2 (en) | Weft-inserted elastic adhesive bandage and method | |
| AU2001250509A1 (en) | Bandage | |
| KR20130027127A (en) | Socks for diabetic patients | |
| US20030194935A1 (en) | Textile product for use in orthopedic technology | |
| JP2002227002A (en) | Stocking | |
| CA2972645A1 (en) | A protective sock | |
| KR100622150B1 (en) | A double covered core yarn | |
| JP5651102B2 (en) | Elastic warp knitted fabric with stretch stop function | |
| CN222264519U (en) | A shoe body structure with slightly elastic instep | |
| CN213188096U (en) | Ventilative type ankle socks | |
| CN210353201U (en) | Health-care socks for diabetic foot | |
| CN213962094U (en) | Weaving integral full-formed vamp | |
| CN214317066U (en) | Sports ankle guard | |
| JP3228197U (en) | Composite waterproof breathable socks | |
| US20210085029A1 (en) | Shoe upp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shoe | |
| JP2021155872A (en) | Leg wea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