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430B1 - 남극 지의류 아만디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아만디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남극 지의류 아만디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아만디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9430B1 KR102509430B1 KR1020200150065A KR20200150065A KR102509430B1 KR 102509430 B1 KR102509430 B1 KR 102509430B1 KR 1020200150065 A KR1020200150065 A KR 1020200150065A KR 20200150065 A KR20200150065 A KR 20200150065A KR 102509430 B1 KR102509430 B1 KR 1025094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amandinea
- inhibition
- expression
- inflammato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9—Lich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아만디네아(Amandinea sp.) 추출물은 시험관 내 RAW264.7 세포 및 생체 내 제브라피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염증성 매개체의 생성을 억제하고 NF-κB 경로를 불활성화 시키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ELISA 및 qPCR을 사용하여 LPS-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의 염증성 유전자 발현의 측정을 도시한다. IL-6 (A) 및 TNF-α (C)의 단백질 수준을 도시하며, IL-6 (B) 및 TNF-α (D)의 상대적인 mRNA발현을 도시한다. 이들 데이터는 3회 반복의 평균±SEM을 나타낸다. LPS 자극군(#)에 대하여, *p < 0.05, **p < 0.01, 및 ***p < 0.001 이다.
도 3은 qPCR 및 웨스턴 블롯팅을 사용하여 LPS-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의 염증성 유전자 발현의 측정을 도시한다. iNOS(A) 및 COX-2(C)의 상대적인 mRNA발현을 도시하며, iNOS (B) 및 COX-2 (D)의 단백질 수준을 도시한다. 이들 데이터는 3회 반복의 평균±SEM을 나타낸다. LPS 자극군(#)에 대하여, NS, p>0.05; *, p < 0.05; **, p < 0.01; 및 ***, p < 0.001 이다.
도 4는 웨스턴 블롯팅을 사용하여 LPS-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NF-κB 신호전달 경로에서의 단백질 p-lB-α (A) 및 p65 (B) 발현의 측정을 도시한다. 이들 데이터는 3회 반복의 평균±SEM을 나타낸다. LPS 자극군(#)에 대하여, NS, p>0.05; *, p < 0.05; **, p < 0.01; 및 ***, p < 0.001 이다.
도 5는 생존율(A), 형태학적 변화(B), 심장 박동수(C), 및 제브라피쉬 배아의 신체 길이(D)에 대한 아만디네아 추출물의 효과를 도시한다. *p < 0.05, **p < 0.01, 및 ***p < 0.001.
도 6은 DCF-DA를 사용하여 LPS-자극된 제브라피쉬 유충에서 ROS 축적의 측정을 도시한다. 도 6A는 형광 현미경에 의해 측정된 ROS 생성의 수준을 도시하고, 도 6B는 이미지 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량화된 각각의 제브라피쉬에서의 ROS 수준의 형광 강도를 도시한다. *p < 0.05, **p < 0.01, 및 ***p < 0.001.
도 7은 qPCR을 사용하여 꼬리 절단 후 제브라피쉬 유충에서 염증성 유전자인 IL-6 (A), IL-1 (B), IL-10 (C), TNF-α (D), iNOS (E), 및 COX-2 (F)의 상대적인 발현의 측정을 도시한다. 꼬리 절단군(#)에 대하여, NS, p>0.05; *, p < 0.05; **, p < 0.01; 및 ***, p < 0.001 이다.
| 샘플 No. | 종 | 지역 명칭 | GPS 위치 |
| 2017-Ant-064 | Amandinea sp. | Ardley island, Antarctica | 62°12'57.82"S, 58°56'01.87"W |
| 표적 | 유전자 | 프라이머 배향 | 서열 | Size(bp) | 서열번호 |
| Raw264.7 | IL-6 | forward | 5'- CTCTGGGAAATCGTGGAAAT -3' | 134 | 1 |
| reverse | 5'-CCAGTTTGGTAGCATCCATC -3' | 2 | |||
| TNF-α | forward | 5'- CATCTTCTCAAAATTCGAGTGACAA -3' | 175 | 3 | |
| reverse | 5'- TGGGAGTAGACAAGGTACAACCC -3' | 4 | |||
| iNOS | forward | 5'- GGAGCCTTTAGACCTCAACAGA -3' | 123 | 5 | |
| reverse | 5'- TGAACGAGGAGGGTGGTG -3' | 6 | |||
| COX-2 | forward | 5'- GAAGTCTTTGGTCTGGTGCGTG -3' | 133 | 7 | |
| reverse | 5'- GTCTGCTGGTTTGGAATAGTTGC -3' | 8 | |||
| β-actin | forward | 5'- TGTTTGAGACCTTCAACACC -3' | 195 | 9 | |
| reverse | 5'- AGTCTGTCAGGTCCCGGCC -3' | 10 | |||
| Zebrafish | IL-6 | forward | 5'- TGAAGGGGTCAGGATCAGCA -3' | 108 | 11 |
| reverse | 5'- CACGTCAGGACGCTGTAGATT -3' | 12 | |||
| IL-1β | forward | 5'- GCACGGCTATTCAGAGATGGT -3' | 133 | 13 | |
| reverse | 5'- CCAAGAATAAGCAGCACTTGGG -3' | 14 | |||
| IL-10 | forward | 5'- TAGGATGTTGCTGGGTTGGAC -3' | 148 | 15 | |
| reverse | 5'- TAGTGTGATGGATGGACGGG -3' | 16 | |||
| TNF-α | forward | 5'- TCTCAGGGCAAGAAATTCGAC -3' | 90 | 17 | |
| reverse | 5'- TCTCACTGCATCGGCTTTGT -3' | 18 | |||
| iNOS | forward | 5'- CTGCGGTGGAATGAACATGG -3' | 93 | 19 | |
| reverse | 5'- TCTCCAGCTTCTACCTCGCTC -3' | 20 | |||
| COX-2 | forward | 5' -GCTGCTTTGGTGGACTTACAG -3' | 100 | 21 | |
| reverse | 5'- TCAGAGGAGGGCTATTGTCAG -3' | 22 | |||
| rpp0 | forward | 5'- CTGAACATCTCGCCCTTCTC -3' | 161 | 23 | |
| reverse | 5'- TAGCCGATCTGCAGACACAC -3' | 24 |
Claims (12)
- 아만디네아 종(Amandinea sp.)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염증질환은 관절염, 비염, 간염, 각막염, 위염, 장염, 신장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췌장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화상 염증, 피부염, 치주염 및 치은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만디네아 종(Amandinea sp.) 추출물은
(a) 아만디네아 종 샘플을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
(b) 상기 분말화된 아만디네아를 극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된 추출액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아만디네아 종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극성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기 특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 산화질소(NO)의 생성 억제;
2) IL-6, IL-1β, IL-10 및 TNF-α의 발현 억제;
3) 유도성 산화질소 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의 발현 억제;
4) NF-κB(nuclear factor kappa B)의 불활성화;
5) 세포질(cytosolic) p-IκB-α 및 핵 인자 p65의 발현 억제; 및
6)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 억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10μg/mL 내지 80μg/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아만디네아 종(Amandinea sp.)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으로서, 상기 염증질환은 관절염, 비염, 간염, 각막염, 위염, 장염, 신장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췌장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화상 염증, 피부염, 치주염 및 치은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기 특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 산화질소(NO)의 생성 억제;
2) IL-6, IL-1β, IL-10 및 TNF-α의 발현 억제;
3) 유도성 산화질소 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의 발현 억제;
4) NF-κB(nuclear factor kappa B)의 불활성화;
5) 세포질(cytosolic) p-IκB-α 및 핵 인자 p65의 발현 억제; 및
6)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 억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10μg/mL 내지 80μg/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50065A KR102509430B1 (ko) | 2020-11-11 | 2020-11-11 | 남극 지의류 아만디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아만디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PCT/KR2021/014012 WO2022102988A1 (ko) | 2020-11-11 | 2021-10-12 | 남극 지의류 아만디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아만디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50065A KR102509430B1 (ko) | 2020-11-11 | 2020-11-11 | 남극 지의류 아만디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아만디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64019A KR20220064019A (ko) | 2022-05-18 |
| KR102509430B1 true KR102509430B1 (ko) | 2023-03-13 |
Family
ID=8160147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50065A Active KR102509430B1 (ko) | 2020-11-11 | 2020-11-11 | 남극 지의류 아만디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아만디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09430B1 (ko) |
| WO (1) | WO2022102988A1 (ko)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90358327A1 (en) * | 2016-12-23 | 2019-11-28 | Klox Technologies Inc. | Biophotonic compositions comprising lichen extract and their use to treat skin disorders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90745B1 (ko) * | 2010-06-03 | 2013-07-29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라말린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US20200029575A1 (en) * | 2018-07-24 | 2020-01-30 | Frances Trail | Lichen compounds that inhibit mycotoxin production |
| KR102139600B1 (ko) * | 2018-10-26 | 2020-07-30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의류 유래의 추출 성분을 포함하는 항 염증 조성물 |
-
2020
- 2020-11-11 KR KR1020200150065A patent/KR102509430B1/ko active Active
-
2021
- 2021-10-12 WO PCT/KR2021/014012 patent/WO2022102988A1/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90358327A1 (en) * | 2016-12-23 | 2019-11-28 | Klox Technologies Inc. | Biophotonic compositions comprising lichen extract and their use to treat skin disorder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64019A (ko) | 2022-05-18 |
| WO2022102988A1 (ko) | 2022-05-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24125B1 (ko) | 갈색거저리 유충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 |
| Kim et al.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Antarctic lichen, Amandinea sp.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and zebrafish | |
| EP1254658B1 (en) | Remedies for the treatment of nerve diorders | |
| US10286021B2 (en) |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 |
| KR20210122125A (ko) |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질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 KR20160041110A (ko) | 갈색거저리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 KR102379612B1 (ko) |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 KR102509430B1 (ko) | 남극 지의류 아만디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아만디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 KR20120137086A (ko) | 미세조류 유래 색소를 추출하는 방법 및 추출된 비올라크산틴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
| JP2005225872A (ja) |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増進剤 | |
| EP4084787A1 (en) |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ognitive disorders | |
| KR20050053731A (ko) | 치료제 | |
| KR101247802B1 (ko) |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 KR101733578B1 (ko) |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 KR20250002480A (ko) | eNAMPT 증가제, 시르투인 활성화 또는 발현 증강제, NAD+ 증가제, 및 노화 세포 억제제 | |
| US10420808B2 (en) | Seaweed extract and composition useful against cancer cells | |
| KR20060120096A (ko) | 식물 종자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 KR20210091080A (ko) |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 KR20160143628A (ko) |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 Abdel-Latif et al. | Hepatoprotective effect of coumarin and chlorophyll against aflatoxicosis in rat | |
| US9968576B2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Ramalin | |
| KR102658030B1 (ko) | 탈염 함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 WO2018062895A1 (ko) | 오스문드아세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 KR101550390B1 (ko) | 유홍초속에서 분리한 신규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 KR20060121273A (ko) | 치료제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