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418B1 - Apparatus for reducing offset of hall sensor and apparatus for control lens modu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ducing offset of hall sensor and apparatus for control lens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0418B1 KR102500418B1 KR1020200126804A KR20200126804A KR102500418B1 KR 102500418 B1 KR102500418 B1 KR 102500418B1 KR 1020200126804 A KR1020200126804 A KR 1020200126804A KR 20200126804 A KR20200126804 A KR 20200126804A KR 102500418 B1 KR102500418 B1 KR 1025004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ll sensor
- offset
- amplifier
- resistance value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02100036284 Hepcid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001021253 Homo sapiens Hepcid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00232386 Arabidopsis thaliana IBL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041621 Arabidopsis thaliana SAC6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23—Electronic aspects, e.g. circuits for stimulation, evaluation, control; Treating the measured signals; calibration
- G01R33/0029—Treating the measured signals, e.g. removing offset or nois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5—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magneto-resistance devices, e.g. field pla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17—Means for compensating offset magnetic fields or the magnetic flux to be measured; Means for generating calibration magnetic fiel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01R33/072—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all/Mr Element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는, 홀 센서(hall sensor)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제1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이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1 스위치와,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이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2 스위치와,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또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우회하여 전달된 전압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오프셋(offset)을 줄이도록 가변하는 저항값을 가지는 오프셋 저감기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reducing Hall sensor off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mplifier that amplifies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of a hall sensor, and a voltage of the first Hall sensor output terminal is reduced by an amplifi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switch configured to selectively bypass and transfer voltage of the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 a second switch configured to transfer voltage by selectively bypassing the amplifier, and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An offset reducer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may be included to reduce voltage offsets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based on the voltage bypassed by the first or second switch.
Description
본 발명은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및 렌즈 모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nd a lens module control device.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받는 힘에 따라 렌즈 모듈이 움직일 때, 상기 렌즈 모듈의 외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when a lens module moves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 technique for fix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ens module to the outside is widely used.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부터 힘을 받더라도 내부의 렌즈 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device that fixes the position of an internal lens module even when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홀 센서는 렌즈 모듈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홀 센서는 렌즈 모듈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광학식 손떨림 보정 정확도는 홀 센서의 출력전압과 렌즈 모듈의 위치 정보 간의 대응관계 정확도가 높을수록 높아질 수 있다.The Hall sensor may be used to measu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ens module, and the Hall sensor may output a voltag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ns module. The accuracy of the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ay increase as the accuracy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output voltage of the hall sensor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lens module increases.
홀 센서의 오프셋(offset)은 홀 센서의 출력전압과 렌즈 모듈의 위치 정보 간의 대응관계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The offset of the Hall sensor may degrade the accuracy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output voltage of the Hall sensor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lens module.
본 발명은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및 렌즈 모듈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nd a lens modul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는, 홀 센서(hall sensor)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제1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이 상기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1 스위치; 상기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이 상기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우회하여 전달된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오프셋(offset)을 줄이도록 가변하는 저항값을 가지는 오프셋 저감기; 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reducing Hall sensor off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mplifier that amplifies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of a Hall sensor; a first switch configured to transfer the voltage of the first hall sensor output terminal to selectively bypass the amplifier; a second switch configured to transfer the voltage of the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 to selectively bypass the amplifier; and a voltage offset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based on a voltag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and bypassed by the first or second switch. an offset reducer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to reduce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 제어 장치는, 상기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에 기반하여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구동기; 상기 구동 전류를 전달받는 구동 코일; 상기 구동 코일에 흐르는 구동 전류에 기반하여 움직이도록 배치된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가 결정되도록 배치된 상기 홀 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all sensor offset reducing apparatus; a driver outputting a driving current based on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a driving coil receiving the driving current; a lens module disposed to move based on a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coil; and the Hall sensor disposed such that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ens module.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및 렌즈 모듈 제어 장치는, 홀 센서의 오프셋 레벨이나 증폭기의 이득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고도 홀 센서의 오프셋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작고 간소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nd the lens modu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reduce the offset of the hall sensor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offset level of the hall sensor or the gain of the amplifier, and relatively power consuming. may have a small and simplified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제1, 제2 및 제3 모드에서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 결정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스위치 및 오프셋 저감기에 대한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스위치 주변의 변형적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가변 저항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가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하기 전의 전압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가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한 이후의 전압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바이어스 전류에 따른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diagrams illustrating equivalent circuits in first, second, and third modes of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resistance value of an offset reducer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an offset of a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rol of a switch and an offset reducer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an offset of a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eformable structure around a switch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an offset of a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resistor of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graph illustrating a voltage before the Hall sensor offset reducing device control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graph illustrating a voltage after the Hall sensor offset reducing device control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graphs illustra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according to bias current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Hall sensor off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ns modu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llow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equivalents as claimed by thos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는, 증폭기(110), 스위치부(140) 및 오프셋 저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hall sensor
예를 들어,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는 IC(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으며, 기판을 통해 홀 센서(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와 홀 센서(300)는 단일 IC로 통합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Hall sensor
홀 센서(400)의 등가회로는 제1, 제2, 제3 및 제4 홀 센서 저항(HR1, HR2, HR3, HR4)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류(IB)는 제1, 제2, 제3 및 제4 홀 센서 저항(HR1, HR2, HR3, HR4)을 흐를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홀 센서 저항(HR1, HR2, HR3, HR4)의 구체적 구조는 등가회로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An equivalent circuit of the
홀 센서(400)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magnetic flux)을 감지할 수 있다. 홀 센서(400)에 자속이 통과할 경우, 홀 센서(400)는 바이어스 전류(IB)와 상기 자속에 수직인 방향으로 홀 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는 상기 홀 전압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는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에 대한 측정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을 형성하는 자성 구조(예: 렌즈 모듈에 배치된 자석)의 위치가 홀 센서(400)에 가까울수록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값은 상기 자성 구조의 움직인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oser the location of a magnetic structure (eg, a magnet disposed on a lens module) that forms 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기준 자속이 정의되고 기준 자속에 대응되는 상기 자성 구조의 위치가 정의될 경우,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과 기준 자속 간의 차이값은 상기 자성 구조의 절대적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When the reference magnetic flux is defined and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magnetic flux is defined,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예를 들어, 기준 자속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의 기준은 0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자성 구조의 위치는 중심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riterion for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HP and H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magnetic flux may be set to 0, and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structure may be defined as a center position.
그러나, 상기 자성 구조의 배치/조립 과정에서의 오차나 홀 센서(400)의 저항값 오차나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가 배치된 전자기기의 타 구조(예: 무선전력전송기) 등으로 인해, 상기 자성 구조의 실제 위치는 정의된 자성 구조의 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상기 자성 구조의 실제 위치와 정의된 자성 구조의 위치 간의 차이는 오프셋(offset)으로 정의될 수 있다.However, due to an error in the arrangement/assembly process of the magnetic structure, an error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또한, 오프셋은 자성 구조의 실제 위치가 정의된 자성 구조의 위치일 때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와 기준 전압(예: 0) 간의 차이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의 기준이 0으로 정의될 경우, 자성 구조의 실제 위치가 정의된 자성 구조의 위치일 때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는 0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offset may be defined as a difference between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HP and HN and a reference voltage (eg, 0) when the actual position of the magnetic structure is defined. there is. For example, when the criterion for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HP and HN is defined as 0, the first and second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positions when the actual position of the magnetic structure is the position of the defined magnetic structure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HP and HN may be greater than or less than zero.
증폭기(110)는 홀 센서(400)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를 증폭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증폭기(110)는 연산 증폭기와 복수의 저항이 조합된 (비)반전 증폭기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에 비례하는 증폭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증폭기(110)에 의해 증폭된 전압은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에 비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증폭기(110)의 이득(gain)은 상기 복수의 저항의 저항값 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낮은 이득을 가지는 증폭기(110)는 홀 센서(400)의 자속 감지 범위가 넓게 요구될 경우에 유리할 수 있으며, 높은 이득을 가지는 증폭기(110)는 홀 센서(400)의 자속 감지 해상도(resolution)가 높게 요구될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A gain of the
만약 홀 센서(400)에 오프셋이 있을 경우, 자성 구조의 실제 위치가 정의된 자성 구조의 위치일 때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는 오프셋에 대응될 수 있으며, 증폭기(110)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즉, 증폭기(110)는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에 대응되는 전압과 홀 센서(400)의 오프셋에 대응되는 전압을 함께 증폭할 수 있다.If there is an offset in the
증폭기(110)의 출력전압범위가 무한하지 않으므로, 증폭기(110)의 출력 전압은 오프셋에 의해 출력전압범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증폭기(110)의 출력 전압은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에 상관없이 항상 출력전압범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증폭기(110)의 입력 전압 차이 범위는 증폭기(110)의 출력 전압이 출력전압범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걸리는 범위만큼 컷-아웃(cut-out)될 수 있다.Since the output voltage range of the
증폭기(110)의 출력 전압이 오프셋에 의해 출력전압범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걸릴 경우, 홀 센서(400)의 오프셋 레벨은 증폭기(110)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파악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증폭기(110)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는 증폭기(110)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홀 센서(400)의 오프셋 레벨을 검출하기 어려울 수 있다.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스위치부(140)는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 각각은 게이트 단자를 통해 제어 전압을 입력 받고 제어 전압에 기반하여 드레인/소스 단자 사이의 등가저항값이 변하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 각각은 입력된 제어 전압이 높을 경우에 온 상태로 동작하고 입력된 제어 전압이 낮은 경우에 오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 각각은 온 상태에서 드레인/소스 단자 중 하나의 전압을 다른 하나로 전달할 수 있으며, 오프 상태에서 드레인/소스 단자 사이의 전압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The
제1 스위치(141)는 제1 홀 센서 출력단자(HP)의 전압이 증폭기(110)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142)는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N)의 전압이 증폭기(110)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증폭기(110)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된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은 증폭기(110)의 출력 전압이 출력전압범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걸리는 범위만큼 컷-아웃되는 현상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증폭기(110)에 의해 증폭되기 전의 상태에서 홀 센서(400)의 오프셋 레벨의 파악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HP and HN transmitted by selectively bypassing the
오프셋 저감기(120)는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또는 제2 스위치(141, 142)에 의해 우회하여 전달된 전압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오프셋을 줄이도록 가변하는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The offset
오프셋 저감기(120)의 저항값이 변경될 경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은 변경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는 오프셋 저감기(120)의 저항값 변경을 통해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기준에 가까워지고 상기 기준과 동일해질 수 있다.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는 증폭기(110)의 출력 전압이 출력전압범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걸리는 범위만큼 컷-아웃되는 현상에도 불구하고 홀 센서(400)의 오프셋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는 홀 센서(400)의 오프셋 레벨이나 증폭기(110)의 이득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고도 홀 센서(400)의 오프셋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Hall sensor offset
또한, 스위치부(140)와 오프셋 저감기(120)는 능동소자에 비해 전력소모가 작고 간소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홀 센서(400)의 오프셋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는, 바이어스 제공기(160), AD변환기(130a) 및 멀티플렉서(1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hall sensor offset
바이어스 제공기(160)는 홀 센서(300)의 입력단자(HB)로 바이어스 전류(IB)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제공기(160)는 밴드갭 레퍼런스(bandgap reference) 회로와 같이 외부 환경이나 공정편차에 대해 강건하게 바이어스 전류(IB)를 생성하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는 전압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단자 사이로 바이어스 전류(IB)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제공기(160)는 디지털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디지털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 전압을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나 밴드갭 레퍼런스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에 인가할 수 있다.The
오프셋 저감기(120)는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와 바이어스 제공기(160)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바이어스 제공기(160)에서 생성되는 전류는 바이어스 전류(IB)와 오프셋 저감기(120)를 흐르는 전류의 합일 수 있다.The offset
오프셋 저감기(12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오프셋 저감기(120)를 흐르는 전류와 오프셋 저감기(120)의 저항값의 곱일 수 있다. 오프셋 저감기(120)의 일단의 전압은 바이어스 제공기(160)의 출력전압에 대응될 수 있으며, 바이어스 제공기(160)의 출력전압은 바이어스 제공기(160)의 특성상 안정적일 수 있다. 따라서, 오프셋 저감기(120)의 타단인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은 오프셋 저감기(120)의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안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는 홀 센서(400)의 오프셋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The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 offset
오프셋 저감기(120)는 제1 가변 저항기(121a) 및 제2 가변 저항기(12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offset
제1 가변 저항기(121a)는 바이어스 제공기(160)와 제1 홀 센서 출력단자(HP)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스위치(141)에 의해 우회하여 전달된 전압에 기반하여 가변적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제2 가변 저항기(122a)는 바이어스 제공기(160)와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N)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스위치(142)에 의해 우회하여 전달된 전압에 기반하여 가변적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제1 가변 저항기(121a)의 저항값과 제2 가변 저항기(122a)의 저항값이 다를 경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는 제1 및 제2 가변 저항기(121a, 122a)가 없는 경우의 그것과 다를 수 있다.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예를 들어, 제1 가변 저항기(121a)의 저항값이 제2 가변 저항기(122a)의 저항값보다 더 큰 경우, 제1 홀 센서 출력단자(HP)의 전압은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N)의 전압에 비해 더 큰 전압강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홀 센서 출력단자(HP)의 전압은 제1 가변 저항기(121a)가 없을 경우의 그것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AD변환기(130a)는 증폭기(110)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D변환기(130a)에서 출력된 디지털 값은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을 형성하는 자성 구조(예: 렌즈 모듈에 배치된 자석)의 위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AD변환기(130a)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값의 최소값부터 최대값까지의 총 개수는 증폭기(110)의 출력전압범위의 최대값과 최소값에 가깝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D변환기(130a)는 홀 센서(400)의 자속 감지 범위를 넓게 커버하거나 홀 센서(400)의 자속 감지 해상도(resolution)가 높도록 자속 감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AD변환기(130a)의 출력값도 홀 센서(400)의 오프셋으로 인해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걸릴 수 있다.The total number of digital values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output from the
증폭기(110)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된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은 AD변환기(130a)의 출력값이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걸리는 범위만큼 컷-아웃되는 현상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AD변환기(130a)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값은 오프셋 저감기(120)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제어기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HP and HN, which are transferred by selectively bypassing the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는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이 증폭기(110)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AD변환기(130a)로 전달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nd
멀티플렉서(150)는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와 AD변환기(130a)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150)는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와 증폭기(110) 중 하나를 AD변환기(130a)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나머지를 AD변환기(130a)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AD변환기(130a)는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에 대응되는 디지털 값과,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 각각의 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값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제1, 제2 및 제3 모드에서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2A to 2C are diagrams illustrating equivalent circuits in first, second, and third modes of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모드로 동작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1)는, 제1 스위치(141)가 온 상태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홀 센서 출력단자(HP)의 전압에 기반하여 제1 가변 저항기(121a)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 the hall sensor offset
도 2b를 참조하면, 제2 모드로 동작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2)는, 제2 스위치(142)가 온 상태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N)의 전압에 기반하여 제2 가변 저항기(122a)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 the hall sensor offset
도 2c를 참조하면, 제3 모드로 동작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a-3)는, 저항값이 고정된 제1 가변 저항기(121a_F)와 저항값이 고정된 제2 가변 저항기(122a_F)에 의해 오프셋이 감소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을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에 대한 측정값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C , the Hall sensor offse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 결정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resistance value of an offset reducer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an offset of a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모드로 동작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는, 렌즈(홀 센서를 통과하는 자속을 형성하는 자성 구조가 배치되는 대상)가 중심에 위치하도록 렌즈의 위치를 제어(S110)하고, 바이어스 전류를 홀 센서로 출력(S120)하고, 제1 홀 센서 출력단자와 AD변환기(ADC)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S130)시키고, 제1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S140)하고, AD변환기(ADC)의 출력이 목표값 범위 내에 속할 때까지 제1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반복적으로 제어(S15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operating in the first mode controls the lens position so that the lens (an object on which a magnetic structure that forms 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hall sensor is disposed) is located at the center (S110). and outputs the bias current to the Hall sensor (S12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Hall sensor output terminal and the AD converter (ADC) (S130), control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S140),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may be repeatedly controlled until the output of the AD converter ADC falls within the target value range (S150).
도 3을 참조하면, 제2 모드로 동작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는,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와 AD변환기(ADC)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S160)시키고, 제2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S170)하고, AD변환기(ADC)의 출력이 목표값 범위 내에 속할 때까지 제2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반복적으로 제어(S18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 and the AD converter (ADC) (S160), and control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S170),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may be repeatedly controlled (S180) until the output of the AD converter (ADC) falls within the target value rang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는 제1 모드에서 제1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결정하고, 제2 모드에서 제1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고정시키고 제2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결정하도록 제1 및 제2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n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is determined in the first mod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is fixed in the second mode,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is determined.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resistors may be controlled to determine the resistance values.
이에 따라,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는 홀 센서의 오프셋을 저감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의 공통모드 전압에 주는 영향을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하게 오프셋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Hall sensor offset reducing device can further reduce the effect of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on the common mode voltage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offset of the Hall sensor, thereby reducing the offset more accurately.
도 3을 참조하면, 제3 모드로 동작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는, 오프셋 저감이 완료(S190)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을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에 대한 측정값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operating in the third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offset reduction is completed (S190),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are applied to the 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스위치 및 오프셋 저감기에 대한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rol of a switch and an offset reducer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an offset of a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b)는,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오프셋 저감기(120)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제어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 the hall sensor offset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프로세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디지털 제어 신호를 직접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나 오프셋 저감기(120)로 전달하거나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나 오프셋 저감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어기(170)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설계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제어기(170)는 제1 모드에서 제1 스위치(141)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1 가변 저항기(121a)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스위치(142)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2 가변 저항기(122a)의 저항값을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제어기(170)는 오프셋 저감기(120)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동안에 바이어스 제공기(160)가 홀 센서(400)로 소정의 전류를 제공하도록 바이어스 제공기(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전류는 바이어스 전류(IB)와 동일할 수 있고, 바이어스 전류(IB)와 상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어기(170)는 오프셋 저감기(120)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동안에 증폭기(110)가 비활성화되고 오프셋 저감기(120)의 저항값을 제어한 이후에 증폭기(110)가 활성화되도록 증폭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b)의 총 전력소모는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c)는, 외부의 프로세서(예: 도 9에 도시된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제어 신호는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 오프셋 저감기(120), 바이어스 제공기(160), 증폭기(110) 및 AD변환기(130a) 중 적어도 일부로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 the hall sensor offset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스위치 주변의 변형적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eformable structure around a switch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an offset of a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d)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플렉서가 생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the Hall sensor offset
예를 들어, AD변환기(130b)는 서로 독립적인 복수의 AD변환 채널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AD변환 채널 중 하나는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의 전압 차이에 대응되는 디지털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AD변환 채널 중 나머지는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HP, HN) 각각의 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상기 복수의 AD변환 채널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e)는, 제1 버퍼(143) 및 제2 버퍼(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the Hall sensor offset
증폭기(110)는 증폭기(110)의 특성상 출력 임피던스보다 높은 입력 임피던스(예: 무한대)를 가지도록 설계되기 쉬우나, 온 상태일 경우의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는 스위치의 특성상 출력 임피던스보다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기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증폭기(110)의 입력 임피던스와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의 입력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증폭기(110)에서 증폭되는 전압과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를 통해 전달되는 전압은 약간 달라질 수 있다.The
제1 버퍼(143)는 증폭기(110)를 우회하는 제1 스위치(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출력 임피던스보다 더 큰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제2 버퍼(144)는 증폭기(110)를 우회하는 제2 스위치(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출력 임피던스보다 더 큰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증폭기(110)의 입력 임피던스와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의 입력 임피던스가 유사하거나 동일해질 수 있으므로, 증폭기(110)에서 증폭되는 전압과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2)를 통해 전달되는 전압은 동일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e)는 오프셋을 더욱 정확하게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input impedance of the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버퍼(143, 144)는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제2 입력단이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1 입력단을 통해 전압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버퍼(143, 144)의 입력 임피던스는 이상적으로 무한대에 가까울 수 있고, 출력 임피던스는 이상적으로 0에 가까울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f)는, 제1 우회 증폭기(145) 및 제2 우회 증폭기(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 the hall sensor offset
제1 우회 증폭기(145)는 증폭기(110)를 우회하는 제1 스위치(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입력된 전압을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제2 우회 증폭기(146)는 증폭기(110)를 우회하는 제2 스위치(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입력된 전압을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우회 증폭기(145, 146) 각각은 증폭기(110)의 이득보다 더 낮은 이득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우회 증폭기(145, 146) 각각은 증폭기의 특성상 큰 임피던스를 가지기 쉽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f)는 오프셋을 더욱 정확하게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가변 저항기를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resistor of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변 저항기(121b)는 복수의 제1 저항기(121-1, 121-2, 121-3, 121-4), 복수의 제1 저항 스위치(121-5, 121-6, 121-7) 및 저항값 제어기(12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복수의 제1 저항기(121-1, 121-2, 121-3, 121-4)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나, 설계에 따라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이 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resistors 121-1, 121-2, 121-3, and 121-4 may be connected in series, but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ccording to design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eries connection and a parallel connection are combined. .
저항값 제어기(121-0)는 제어기나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저항값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복수의 제1 저항 스위치(121-5, 121-6, 121-7)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The resistance value controller 121-0 may control the on-off state of the plurality of first resistance switches 121-5, 121-6, and 121-7 based on the resistance valu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or processor. there is.
복수의 제1 저항 스위치(121-5, 121-6, 121-7)는 복수의 제1 저항기(121-1, 121-2, 121-3, 121-4)의 총 저항값이 복수의 제1 저항 스위치(121-5, 121-6, 121-7)의 온-오프 상태 조합에 따라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저항 스위치(121-5, 121-6, 121-7)는 복수의 제1 저항기(121-1, 121-2, 121-3, 121-4)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resistance switches 121-5, 121-6, and 121-7 have a total resistance value of the plurality of first resistors 121-1, 121-2, 121-3, and 121-4. It may be configured to vary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on-off states of the one-resistance switches 121-5, 121-6, and 121-7. The plurality of first resistance switches 121-5, 121-6, and 121-7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first resistors 121-1, 121-2, 121-3, and 121-4.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가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하기 전의 전압을 예시한 그래프이다.7A is a graph illustrating a voltage before the Hall sensor offset reducing device control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Hall-diff output)는 렌즈의 위치(position)가 중심(center)에 있을 때 0보다 큰 오프셋 전압(offset)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voltage difference (Hall-diff outpu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may be an offset voltage greater than 0 when the position of the lens is at the center. .
증폭기의 이득과 오프셋 전압(offset)의 곱은 증폭기의 출력전압범위의 최대값(예: 2.8V)보다 클 수 있으므로, 증폭기의 출력전압(HAMP output)은 렌즈의 위치(position)에 상관없이 최대값(예: 2.8V)에 걸릴 수 있다.Since the product of the amplifier's gain and the offset voltage can be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amplifier's output voltage range (eg 2.8V), the amplifier's output voltage (HAMP output) is the maximum regardless of the lens position. (e.g. 2.8V).
AD변환기의 출력값(ADC output)은 증폭기의 출력전압(HAMP output)에 대응하여 최대값(예: 4095code)에 걸릴 수 있다.The output value (ADC output) of the AD converter may take a maximum value (eg 4095cod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HAMP output) of the amplifier.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가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한 이후의 전압을 예시한 그래프이다.7B is a graph illustrating a voltage after the Hall sensor offset reducing device control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Hall-diff output)는 렌즈의 위치(position)가 중심(center)에 있을 때 0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 a voltage difference (Hall-diff outpu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may be 0 when the position of the lens is at the center.
따라서, 증폭기의 출력전압(HAMP output)은 최대값(예: 2.8V)보다 낮을 수 있으며, AD변환기의 출력값(ADC output)은 최대값(예: 4095code)보다 낮을 수 있다.Therefore, the output voltage (HAMP output) of the amplifier may be lower than the maximum value (eg, 2.8V), and the output value (ADC output) of the AD converter may be lower than the maximum value (eg, 4095code).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의 바이어스 전류에 따른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를 예시한 그래프이다.8A and 8B are graphs illustra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according to a bias current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Hall sensor off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를 참조하면, 홀 센서의 오프셋이 있고 바이어스 전류가 클 때(IBL1)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Hall-diff output)는 렌즈의 위치(position)의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변할 수 있으며, 홀 센서의 오프셋이 있고 바이어스 전류가 작을 때(IBS1)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Hall-diff output)는 렌즈의 위치(position)의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the voltage difference (Hall-diff outpu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when there is an offset of the Hall sensor and a large bias current (IBL1) depends on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lens. The voltage difference (Hall-diff outpu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when the offset of the Hall sensor is present and the bias current is small (IBS1) can be relatively large. Depending on the change, it can change in a relatively small width.
홀 센서의 오프셋은 렌즈의 위치(position)가 중심(center)에 있을 때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Hall-diff output)가 바이어스 전류에 종속적이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홀 센서의 오프셋은 바이어스 전류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The offset of the Hall sensor may make the voltage difference (Hall-diff output)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dependent on the bias current when the position of the lens is at the center. Thus, the offset of the Hall sensor may limit the range of the bias current.
도 8b를 참조하면, 홀 센서의 오프셋이 제거되고 바이어스 전류가 클 때(IBL2)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Hall-diff output)는 렌즈의 위치(position)의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변할 수 있으며, 홀 센서의 오프셋이 제거되고 전류가 작을 때(IBS2)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Hall-diff output)는 렌즈의 위치(position)의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when the offset of the Hall sensor is removed and the bias current is large (IBL2), the voltage difference (Hall-diff outpu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is dependent on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lens. The voltage difference (Hall-diff outpu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when the offset of the Hall sensor is removed and the current is small (IBS2) is the position of the lens. It can change in a relatively small width according to the change of .
홀 센서의 오프셋이 제거되고 렌즈의 위치(position)가 중심(center)에 있을 때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Hall-diff output)는 바이어스 전류에 실질적으로 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는 오프셋을 저감함으로써 바이어스 전류의 범위를 보다 넓힐 수 있다.When the offset of the Hall sensor is removed and the position of the lens is centered,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Hall-diff output) may be substantially independent of the bias current. . Accordingly,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roaden the bias current range by reducing the offset.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ns modu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 제어 장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c), 구동기(220), 구동 코일(230), 렌즈 모듈(210) 및 홀 센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ll sensor offset
구동기(220)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c)의 AD변환기의 출력값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홀 센서(400)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상기 출력값에 대응됨)에 기반하여 구동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구동기(220)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제어 구조나 AF(Auto Focus) 제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어 구조의 출력값에 기반하여 구동 전류를 생성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상기 제어 구조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c)에 포함될 수 있으며,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c)와 구동기(220)는 단일 IC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구동 코일(230)은 구동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코일(230)은 렌즈 모듈(210)의 자성 구조(211)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렌즈 모듈(210)은 구동 코일(230)에 흐르는 구동 전류에 기반하여 움직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렌즈 모듈(210)은 구동 코일(230)의 자속에 반응하여 자성 구조(211)가 받는 힘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렌즈 모듈(210)은 홀 센서(400)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자속이 변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모듈(210)의 절대적 위치는 실질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렌즈 모듈(210)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는 안정적일 수 있다.The
홀 센서(400)는 렌즈 모듈(210)의 위치에 기반하여 홀 센서(400)의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가 결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홀 센서(400), 구동기(220),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c) 및 구동 코일(2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기판(240)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 제어 장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100c)의 제1 및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lens modu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n-off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of the Hall sensor offset reducing
프로세서(270)는 제1 모드에서 제1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1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2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ISP(Image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지지 부재(261) 상의 이미지 센서(262)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처리한 정보를 구동기(220)로 제공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상기 ISP로부터 분리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렌즈 모듈(210)은 제2 지지 부재(213) 상의 복수의 가이드 볼(212)의 회전에 따라 1차원 또는 2차원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하우징(25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can make various variations.
100a, 100c: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110: 증폭기
120: 오프셋 저감기
121a: 제1 가변 저항기
122a: 제2 가변 저항기
130a: AD(Analog-Digital)변환기
140: 스위치부
141: 제1 스위치
142: 제2 스위치
143: 제1 버퍼
144: 제2 버퍼
145: 제1 우회 증폭기
146: 제2 우회 증폭기
150: 멀티플렉서
160: 바이어스(bias) 제공기
170: 제어기
210: 렌즈 모듈(lens module)
220: 구동기
270: 프로세서
400: 홀 센서(hall sensor)100a, 100c: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110: amplifier
120: offset reducer
121a: first variable resistor
122a: second variable resistor
130a: AD (Analog-Digital) converter
140: switch unit
141: first switch
142: second switch
143: first buffer
144: second buffer
145: first bypass amplifier
146: second bypass amplifier
150: multiplexer
160: bias provider
170: controller
210: lens module
220: actuator
270: processor
400: hall sensor
Claims (16)
상기 제1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이 상기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1 스위치;
상기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이 상기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우회하여 전달된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오프셋(offset)을 줄이도록 가변하는 저항값을 가지는 오프셋 저감기; 를 포함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n amplifier amplify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of a hall sensor;
a first switch configured to transfer the voltage of the first hall sensor output terminal to selectively bypass the amplifier;
a second switch configured to transfer the voltage of the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 to selectively bypass the amplifier; and
Voltage offsets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based on the voltage bypassed and transferred by the first or second switch. an offset reducer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to reduc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comprising a.
상기 홀 센서로 바이어스(bias) 전류를 제공하는 바이어스 제공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저감기는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와 상기 바이어스 제공기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ias provider providing a bias current to the Hall sensor;
The offset reducer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and the bias provider.
상기 바이어스 제공기와 상기 제1 홀 센서 출력단자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에 의해 우회하여 전달된 전압에 기반하여 가변적인 저항값을 가지는 제1 가변 저항기; 및
상기 바이어스 제공기와 상기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우회하여 전달된 전압에 기반하여 가변적인 저항값을 가지는 제2 가변 저항기; 를 포함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ffset reducer,
a first variable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ias provider and the first hall sensor output terminal and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based on a voltage bypassed by the first switch; and
a second variable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ias provider and the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 and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based on the voltage bypassed by the second switch;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comprising a.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AD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이 상기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우회하여 상기 AD변환기로 전달되도록 연결된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 conver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and configured to convert analog values into digital values;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re connected such that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selectively bypass the amplifier and are transmitted to the AD converter.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와 상기 AD변환기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더 포함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multiplexe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nd the AD converter.
상기 증폭기를 우회하는 상기 제1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출력 임피던스보다 더 큰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구성된 제1 버퍼; 및
상기 증폭기를 우회하는 상기 제2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출력 임피던스보다 더 큰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구성된 제2 버퍼; 를 더 포함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uffer disposed on a pat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bypassing the amplifier and configured to have an input impedance greater than an output impedance; and
a second buffer disposed on a pat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bypassing the amplifier and configured to have an input impedance greater than an output impedanc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증폭기를 우회하는 상기 제1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입력된 전압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제1 우회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를 우회하는 상기 제2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입력된 전압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제2 우회 증폭기; 를 더 포함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ypass amplifier disposed on a pat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bypassing the amplifier and configured to amplify an input voltage; and
a second bypass amplifier disposed on a pat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bypassing the amplifier and configured to amplify an input voltag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all sensor offset reduc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controlling on-off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nd controlling a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reducer.
상기 제1 홀 센서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변적인 저항값을 가지는 제1 가변 저항기; 및
상기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변적인 저항값을 가지는 제2 가변 저항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2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ffset reducer,
a first variable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all sensor output terminal and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and
a second variable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 and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including,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witch to be in an on state in a first mode and control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 to be in an on state in a second mode and controls the resistance of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to control the value.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2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결정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in the first mode, and fix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and determin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in the second mode. and a Hall sensor offset reducing device controlling a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상기 홀 센서로 바이어스(bias) 전류를 제공하는 바이어스 제공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동안에 상기 바이어스 제공기가 상기 홀 센서로 소정의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제공기를 제어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bias provider providing a bias current to the Hall senso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ias provider so that the bias provider provides a predetermined current to the Hall sensor while controll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reducer.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동안에 상기 증폭기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한 이후에 상기 증폭기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증폭기를 제어하는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mplifier so that the amplifier is deactivated while controll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reducer and the amplifier is activated after controll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reducer.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에 기반하여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구동기;
상기 구동 전류를 전달받는 구동 코일;
상기 구동 코일에 흐르는 구동 전류에 기반하여 움직이도록 배치된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전압 차이가 결정되도록 배치된 상기 홀 센서; 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제어 장치.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of claim 1;
a driver outputting a driving current based on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a driving coil receiving the driving current;
a lens module disposed to move based on a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coil; and
the hall sensor disposed such that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s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ens module; Lens modu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오프셋 저감기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렌즈 모듈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lens modul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on-off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nd to control a resistance value of the offset reducer.
상기 제1 홀 센서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변적인 저항값을 가지는 제1 가변 저항기; 및
상기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변적인 저항값을 가지는 제2 가변 저항기;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2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렌즈 모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ffset reducer,
a first variable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all sensor output terminal and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and
a second variable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 and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including,
The processor controls the first switch to be turned on in a first mode and controls the resistance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and in a second mode, controls the second switch to be turned on and controls the resistance of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Lens modul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value.
상기 홀 센서 오프셋 저감 장치는 상기 홀 센서로 바이어스(bias) 전류를 제공하는 바이어스 제공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 저항기는 상기 바이어스 제공기와 상기 제1 홀 센서 출력단자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변 저항기는 상기 바이어스 제공기와 상기 제2 홀 센서 출력단자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 모듈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5,
The Hall sensor offset redu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bias provider providing a bias current to the Hall sensor,
The first variable re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ias provider and the first Hall sensor output terminal;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ias provider and the second hall sensor output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26804A KR102500418B1 (en) | 2020-09-29 | 2020-09-29 | Apparatus for reducing offset of hall sensor and apparatus for control lens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26804A KR102500418B1 (en) | 2020-09-29 | 2020-09-29 | Apparatus for reducing offset of hall sensor and apparatus for control lens modu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43425A KR20220043425A (en) | 2022-04-05 |
| KR102500418B1 true KR102500418B1 (en) | 2023-02-16 |
Family
ID=8118190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26804A Active KR102500418B1 (en) | 2020-09-29 | 2020-09-29 | Apparatus for reducing offset of hall sensor and apparatus for control lens modu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00418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18632A1 (en) * | 2023-07-14 | 2025-01-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037369A (en) * | 2003-06-27 | 2005-02-10 | Victor Co Of Japan Ltd | Current sensor |
| JP2013210420A (en) * | 2012-03-30 | 2013-10-10 | Nidec Sankyo Corp | Lens driv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6158682B2 (en) | 2013-10-25 | 2017-07-05 |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 Magnetic sensor circuit |
| KR20170107819A (en) * | 2016-03-16 | 2017-09-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Hall sensor offset correction circu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reof |
-
2020
- 2020-09-29 KR KR1020200126804A patent/KR10250041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037369A (en) * | 2003-06-27 | 2005-02-10 | Victor Co Of Japan Ltd | Current sensor |
| JP2013210420A (en) * | 2012-03-30 | 2013-10-10 | Nidec Sankyo Corp | Lens driving devic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18632A1 (en) * | 2023-07-14 | 2025-01-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43425A (en) | 2022-04-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599810B2 (en) | Position detecting circui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 US8190014B2 (en) | Focus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the focus by moving a lens | |
| JP5363075B2 (en) | Sensor circuit | |
| KR101243473B1 (en) | Voltage divider circuit and magnetic sensor circuit | |
| KR102439909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common mode voltage of hall sensor and apparatus for control lens module | |
| US11249146B2 (en) | Circuit for monitoring voltage of output terminal of hall sensor and circuit for supporting lens module actuating controller | |
| KR20080019196A (en) | Current voltage conversion circuit, power consumption de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 US20070229120A1 (en) | Temperature characteristic correction method and sensor amplification circuit | |
| KR20180115959A (en) | A device for detecting lens position by correcting output voltage of a hall sensor | |
| KR102500418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offset of hall sensor and apparatus for control lens module | |
| KR102827655B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bias current to hall sensor | |
| KR102793241B1 (en) | Temperature control for hall bar sensor correction | |
| JP5144168B2 (en) | Sensor circuit | |
| US7759978B2 (en) | Current driver circuit | |
| US11977240B2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lens module and reducing offset of Hall sensor | |
| KR102516774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output of hall sensors and apparatus for control lens module | |
| KR102380308B1 (en) | Sensing apparatus to current driving circuit and Apparatus for driving voice coil motor | |
| KR102473418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offset of hall sensor and apparatus for control lens module | |
| JP2014095656A (en) | Magnetic sensor device | |
| KR102179960B1 (en) | Method for measuring resistance of a coil of a voice coil motor actuator and VCM driver IC for the same | |
| JP2005055323A (en) | Noncontact temperature detecting apparatus | |
| JP2006319427A (en) | Optical receiver | |
| JP2019174436A (en) | Magnetic sensor | |
| JP2002366236A (en) | Current regulation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