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0874B1 -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874B1
KR102500874B1 KR1020200079916A KR20200079916A KR102500874B1 KR 102500874 B1 KR102500874 B1 KR 102500874B1 KR 1020200079916 A KR1020200079916 A KR 1020200079916A KR 20200079916 A KR20200079916 A KR 20200079916A KR 102500874 B1 KR102500874 B1 KR 102500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rail
cup dispenser
container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1656A (en
Inventor
추선경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874B1/en
Publication of KR2022000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6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87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양한 컵을 모두 수용 및 홀딩하고 쉽게 취출할 수 있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링(ring)의 형상을 갖고, 외곽의 복수 위치에 소정 길이만큼 제1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 가능한 레일; 상기 제1 톱니 구간과 맞물려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원통형 기어; 및 일 측면에 제2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톱니 구간이 상기 원통형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용기를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 모듈을 포함하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holding various cup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easily taking them out, and a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of a ring (ring), the first sawtooth section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outer surface, rotatable rail; a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respectively,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tooth section and rotate in place; And a second tooth section is formed on one side, the second tooth sec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so that the second tooth section meshes with the cylindrical gear, and holding a container located inside the rail Provided is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for a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Description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컵을 홀딩하고 이를 취출할 수 있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nd a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holding and taking out cups of various sizes and a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 및 치료는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수진자가 누운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dental examination and treatment are performed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while the examinee is lying on a unit chair.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구강 내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 각종치료 도구가 구비된 닥터 테이블(doctor table), 구강 내부를 보여주거나 CT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TV 시청 등을 위한 모니터를 설치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급수 장치, 환자 편의를 위한 테이블 등이 설치될 수 있다.The dental unit chair includes a lighting device to illuminate the oral cavity, a doctor table equipped with various treatment tools, and a unit chair monitor arm that displays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displays CT image information, or installs a monitor for watching TV. , a water supply device, and a table for patient convenience may be installed.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는 상기 여러 가지 장치나 기구들은 환자나 시술자의 동선과 편의 및 시술시 충분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효율이 좋은 동선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동작이 편리하도록 구비된다.The various devices or instruments installed in the unit chair are installed to have efficient circulation and provide convenient oper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patient's or operator's circulation, convenience, and sufficient functions during the procedure.

특히,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환자가 입을 헹구기 위해 컵을 취출할 수 있는 컵 디스펜서가 일반적으로 구비된다.In particular, a dental unit chair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cup dispenser from which a patient can take out a cup to rinse his or her mouth.

그러나, 종래의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구비된 컵 디스펜서는 일정 크기의 컵만 사용할 수 있고 컵의 크기(컵이 형성하는 원둘레 또는 직경)가 달라지면,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up dispenser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dental unit chair can only use a cup of a certain size and cannot be used if the cup size (circumference or diameter formed by the cup) changes.

특히, 국가마다 치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컵의 크기가 달라 국가마다 서로 다른 컵을 수용할 수 있는 컵 디스펜서가 설치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sizes of cups commonly used in dentistry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cup dispenser that can accommodate different cups must be installed in each country.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3195호(2008년08월08일), 디스펜스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8-0003195 (August 8, 2008), Dispensing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6131호(2015년07월27일), 유니트 체어용 편의 테이블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86131 (July 27, 2015), convenience table for unit chairs

본 발명의 과제는, 크기가 다양한 여러 종류의 컵과 같은 용기를 홀딩할 수 있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holding containers such as cups of various sizes and a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다양한 크기의 컵을 쉽게 취출할 수 있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easily taking out cups of various sizes and a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크기가 서로 다른 컵을 사용하는 다양한 국가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countries using cups of different sizes and a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는, 용기를 홀딩하기 위한 용기 홀딩 조립 구조에 있어서, 링(ring)의 형상을 갖고, 외곽의 복수 위치에 소정 길이만큼 제1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 가능한 레일; 상기 제1 톱니 구간과 맞물려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원통형 기어; 및 일 측면에 제2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톱니 구간이 상기 원통형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용기를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상기 레일이 형성하는 원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a container, has a ring shape, and has a first sawtooth section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outer edge by a predetermined length, , rotatable rails; a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respectively,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tooth section and rotate in place; And a second tooth section is formed on one side, the second tooth sec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so that the second tooth section meshes with the cylindrical gear, and holding a container located inside the rail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ail,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rotate,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dv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circle formed by the rail,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backward toward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홀딩 모듈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홀딩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include a lev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lding module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odule, and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to rotate the lever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in contact with one si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용기의 존재 여부 및 용기의 취출 여부에 따라 좌우 회전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lever may be changed by the elastic member depending on whether a container is present or not and whether the container is taken out.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치과용 컵 디스펜서는, 링(ring) 형상의 제1 홈과, 복수의 제2 홈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링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외곽의 복수 위치에 소정 길이만큼 제1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홈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홈에 안착되는 레일;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제1 톱니 구간과 맞물려 상기 제2 홈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원통형 기어; 및 일 측면에 제2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톱니 구간이 상기 원통형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컵을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상기 레일이 형성하는 원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A dental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se having a ring-shaped first groove and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a rail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ng shape, having first sawtooth sections formed at a plurality of outer positions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seated in the first groove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first groove; a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and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second groov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toothed section; And a second tooth section is formed on one side, the second tooth sec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so that the second tooth section meshes with the cylindrical gear, a plurality of for holding the cup located inside It includes a holding module, and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ail, and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dv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circle formed by the rail or toward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It is characterized by backward move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치과용 컵 디스펜서는, 상기 제1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레일,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 및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al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and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case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치과용 컵 디스펜서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치과용 컵 디스펜서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ase may constitute a lower portion of the dental cup dispenser, and the second case may constitute an upper portion of the dental cup dispen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치과용 컵 디스펜서는,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al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ase, supports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movement path of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It may further include a plat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의 위치를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위치 고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s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so that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can rotate in place. Means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은 각각, 상기 홀딩 모듈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홀딩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includes a lev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lding module so as to be left and right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odule, and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to contact one side of the lever.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do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컵의 존재 여부 및 컵의 취출 여부에 따라 좌우 회전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lever may be changed by the elastic member depending on whether a cup is present and whether the cup is taken o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측 하단에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컵이 취출될 때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홀딩 모듈의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lev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lding module when the cup is taken o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측 상단에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lev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레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일정 구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s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rail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rai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치과용 컵 디스펜서는, 상기 레일, 상기 원통형 기어 및 상기 홀딩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al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 temporarily limiting the movement of any one of the rail, the cylindrical gear, and the holding module. can be made includ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일 하부의 일정 영역에 마련된 돌기 구간에 포함되는 특정 홈과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가능한 탄성부재로서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ase as an elastic member capable of engaging and disengaging from a specific groove included in a protruding section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under the rail.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nd the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에 의하면, 한 개의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로 다양한 크기의 컵을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holding cups of various sizes with on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or cup dispens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양한 크기의 컵을 쉽게 취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cups of various siz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컵을 사용하는 다양한 국가에서 한 개의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가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singl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or cup dispenser can be applied in various countries using cups of different sizes.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ffects.

도 1은 일 예에 의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디스펜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디스펜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레일(31)이 제1 수용부(41)에 안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동작 원리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를 조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스토퍼(stopper)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의 내부에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의 내부에 용기가 홀딩되어 있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에서 용기 또는 컵이 취출되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ental unit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xample is applied.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ail 31 is se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1 .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hol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and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manipulates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topper that can be applied to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container does not exist inside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or a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1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is held inside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or a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to 24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or cup is taken out from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or a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al effects includ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the above object of the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a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nvent various devices that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all with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stood, and not limited to such specifically lis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It should be.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s reciting specific embodiments, as well as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encompass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these matters.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is,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아울러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For example, the size of so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other component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may indicate like element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ut do not necessarily, indicate similar elements.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claims herein, combines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various enumerated means and is combined in the manner required by the claims, so that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such functions is not conceived from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equivalent.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예에 의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ental unit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xample is applied.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Unit Chair, 10)는, 대표적으로 치과에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edical unit chair 1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representatively used in dentist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진자의 다리가 거치되는 시트, 수진자의 등이 기대어지는 등받이 및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dental unit chair 10 may basically include a seat on which the examinee's legs are placed, a backrest on which the examinee's back leans, and a headrest supporting the examinee's head.

상기 등받이 및 상기 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수진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가 형성될 수 있다.An armrest on which an examinee's arm is placed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backrest and the seat.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등받이 및 상기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10 may include a base supporting the seat, a driving unit driving at least one of the backrest and the sea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상기 수진자를 비추기 위한 조명 유닛, 수진자의 입을 행구기 위한 가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닛, 콘트롤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풋 컨트롤 유닛(20, Foot Control Unit),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10 includes a lighting unit for illuminating the examine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gargling water for rinsing the examinee's mouth, a control unit, a display unit, and a foot control unit (20, Foot Control Unit)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작업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10 may include a work table.

상기 작업 테이블의 대표적인 예는, 치과에서 진료 및 치료를 위한 각종 기구류들을 거치하기 위한 닥터 테이블(doctor table)이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work table is a doctor table for mounting various instruments for examination and treatment in a dental office.

예를 들어, 상기 작업 테이블은, 치과에 방문한 수진자의 진료를 위한 시술 기구, 진료 차트 등을 거치하거나, 기구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ork table may hold a surgical instrument, a medical chart, or the like for treatment of a dental examinee visiting a dentist, or may have an interface for manipulating instruments.

상기 작업 테이블에는 시술 기구의 동작에 사용될 전기, 공압 및 유압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된 전기로 시술 기구 중 하나인 구강용 라이트가 점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electricity, pneumatic pressure, and hydraulic pressure to be used for operation of the surgical instrument may be supplied to the work table. For example, an oral light, which is one of the surgical instruments, may be turned on with the supplied electricity.

또한, 상기 작업 테이블은,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시술자의 위치를 고려할 때 상기 작업 테이블은 시술자가 손을 뻗어 쉽게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table may include various switches.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the work table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where the operator can easily reach by stretching out his/her hand.

따라서, 상기 작업 테이블에는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각부를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Therefore, various switches capable of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dental unit chair 10 may be located on the work table.

한편, 수진자는 상기 급수 유닛을 이용하여 입을 헹구기 위해 컵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수진자가 컵을 취출할 수 있도록 컵 디스펜서(Cup Dispenser, 20)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examinee needs to use a cup to rinse his mouth using the water supply unit, the dental unit chair 10 may include a cup dispenser 20 so that the examinee can take out the cup. .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 디스펜서(20)는,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폴(pole, 11)에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cup dispenser 20 may be provided on a pole 11 of the dental unit chair 1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디스펜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디스펜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컵 디스펜서(20)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폴(11)에 장착하기 위해 제1 홀(hole, 15)를 구비할 수 있다.2 and 3, the dental cup dispens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nd the dental A first hole 15 may be provided for mounting on the pole 11 of the unit chair 10 .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가 상기 컵 디스펜서(20)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cup dispenser 20 .

즉, 상기 컵 디스펜서(20)는, 상기 폴(11)이 상기 제1 홀(15)을 관통하되 단단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폴(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컵 디스펜서(20)가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에 장착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at is, the cup dispenser 20 may be mounted on the pole 11 in such a way that the pole 11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15 but is firmly inserted. However, the manner in which the cup dispenser 20 is mounted on the dental unit chair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도 2의 참조번호 22는,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상부를 덮거나 보호하기 위한 덮개 또는 마개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22 in FIG. 2 denotes a cover or stopper for covering or prot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를 먼저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2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dental cup dispenser 20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분해도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회전 가능한 레일(31), 복수의 원통형 기어(33) 및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와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홀딩 모듈(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able rail 31, a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 and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correspond to each oth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disposed thereon.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제1 케이스(40),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플레이트(42) 및 제2 케이스(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case 40 and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It may further include a plate 42 and a second case 44 .

예를 들어, 상기 제1 케이스(40)는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케이스(44)는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first case 40 may constitute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nd the second case 44 may constitute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It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제2 케이스(44)는 상기 제1 케이스(40)와 결합하며, 상기 제1 케이스(40)와 상기 제2 케이스(44) 사이에, 상기 레일(31),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 상기 플레이트(42) 및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이 위치하게 된다.The second case 44 is coupled to the first case 40, and between the first case 40 and the second case 44, the rail 31 and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 ), the plate 42 and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are located.

상기 레일(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ring)의 형상을 갖고, 외곽의 복수 위치에 소정 길이만큼 제1 톱니 구간(32, 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rail 31 has a ring shape, and first sawtooth sections 32 (shown in FIG. 6)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outer edg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rotation possible.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40)는 상기 레일(3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31)이 갖는 링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수용부(4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41)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case 40 has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ng shape of the rail 31 so as to accommodate the rail 31 ( 41) can hav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1 may have a shape of a groove.

상기 레일(31)은, 상기 제1 수용부(41)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수용부(41)에 안착될 수 있다.The rail 31 may be seated 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1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1 .

도 6은 레일(31)이 제1 수용부(41)에 안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ail 31 is se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1 .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톱니 구간(32)과 맞물려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31)에서 상기 제1 톱니 구간(32)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a, 33b, 33c, and 33d mesh with the first toothed section 32 to be rotatable in place, and the first teeth on the rail 31 The sections 32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40) 및 상기 제2 케이스(44)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의 위치를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위치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40 and the second case 44 so that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 can rotate in place.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a, 33b, 33c, and 33d to one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기어(33)는 제1 고정핀(43)을 이용하여 위치 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4 , the cylindrical gear 33 may be rotated in place without position movement using the first fixing pin 43 .

예를 들어, 상기 원통형 기어(33)는 중앙에 상기 원통형 기어(3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핀(43)이 상기 형성된 원통형 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케이스(40)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ylindrical gear 33, a cylindrical spac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gear 33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irst fixing pin 43 penetrates the formed cylindrical space to I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ase 40 .

따라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기어(33)는 상기 제1 케이스(4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1 고정핀(4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Therefore, referring to FIG. 14 , the cylindrical gear 33 may rotate with the first fixing pin 43 coupled to and fixed to the first case 40 as a central axis.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가 서로 동일한 거리 또는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four cylindrical gears 33a, 33b, 33c, and 33d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or the same angle.

그러나,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의 개수가 반드시 4개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However,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 is not necessarily four.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컵과 같은 용기를 홀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may perform a function of holding containers such as cup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다양한 용기를 홀딩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컵(예를 들어, 종이컵)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old various containers, but in this specification, cups (eg, paper cups) will be mainly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35c, 35d)은, 일 측면에 제2 톱니 구간(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톱니 구간(53)이 상기 원통형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a, 35b, 35c, 35d) has a second toothed section 53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second toothed section 53 meshes with the cylindrical gear. Gears 33a, 33b, 33c, and 33d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hol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서, 참조번호 53이 상기 제2 톱니 구간(53)을 나타낸다.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7 and 8 , reference numeral 53 denotes the second sawtooth section 53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will be described later.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동작 원리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9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and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31),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 및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의 기구적 배치의 예는 다음과 같다.6 and 9, examples of mechanical arrangements of the rail 31,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 and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are as follows.

즉,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31) 및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는, 상기 레일(31)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 톱니 구간(32)이 각각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6 and 9, the rail 31 and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a, 33b, 33c, and 33d are formed on the rail 31, and the plurality of first tooth sections ( 32) may be arranged to mesh with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a, 33b, 33c, and 33d, respectively.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35c, 35d)은, 각각의 제2 톱니 구간(53)이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a, 35b, 35c, and 35d, each second tooth section 53 meshes with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a, 33b, 33c, and 33d. placed so as to

상기 레일(31),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 및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레일(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가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이 움직일 수 있다.Since the rail 31,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 and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ar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ail 31.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can move.

여기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 각각에 형성된 상기 제2 톱니 구간(53)은,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 모듈(35)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sawtooth section 53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35 as shown in FIGS. 7 to 12 .

상기 홀딩 모듈(35)은, 대응되는 상기 원통형 기어(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일(31)이 형성하는 원의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하도록, 그 측면에 상기 제2 톱니 구간(53)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lding module 35 advances toward the inside of the circle formed by the rail 31 or moves backward toward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rotation of the cylindrical gear 33, the second toothed section on its side surface. (53) can be formed.

예를 들면, 상기 홀딩 모듈(35)의 측면은,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이 0인 면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홀딩 모듈(35)의 측면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side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35 may be a surface having a curvature of 0, as shown in FIGS. 7 to 12 . However, the shape of the side of the holding module 35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면, 도 9에서 상기 레일(31)이 상기 제1 수용부(41)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9에서 “A1”)하면,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는 모두 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도 9에서 “B1”)하게 된다.Also, for example, in FIG. 9, when the rail 31 rotates counterclockwise alo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 (“A1” in FIG. 9),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a, 33b, and 33c , 33d) rotate clockwise simultaneously (“B1” in FIG. 9).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가 시계 방향(B1)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35c, 35d)은 모두 상기 레일(31)의 내부, 즉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내부를 향해 동시에 전진 이동한다(도 9에서 “C1”)As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a, 33b, 33c, and 33d rotate clockwise B1,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a, 35b, 35c, and 35d all move inside the rail 31, that is, Simultaneously moves for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C1” in FIG. 9)

도 10은, 도 9에서 상기 레일(3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35c, 35d)이 상기 레일(31)의 내부로 전진 이동한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FIG. 10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a, 35b, 35c, and 35d move forward into the rail 31 as the rail 31 rotates counterclockwise in FIG. 9. indicate

또한 예를 들면, 도 11에서 상기 레일(31)이 상기 제1 수용부(41)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11에서 “A2”)하면,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는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도 11에서 “B2”)하게 된다.Also, for example, in FIG. 11, when the rail 31 rotates clockwise alo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 (“A2” in FIG. 11),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a, 33b, 33c, 33d) rotates simultaneously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2” in FIG. 11).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33a, 33b, 33c, 33d)가 반시계 방향(B2)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35c, 35d)은 모두 상기 레일(31)의 외부, 즉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외부를 향해 동시에 후진 이동한다(도 11에서 “C2”)As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33a, 33b, 33c, and 33d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2,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a, 35b, 35c, and 35d are all outside the rail 31, That is, it simultaneously moves back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C2” in FIG. 11).

도 12는, 도 11에서 상기 레일(3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35c, 35d)이 상기 레일(31)의 외부로 후진 이동한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FIG. 12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a, 35b, 35c, and 35d move backward to the outside of the rail 31 as the rail 31 rotates clockwise in FIG. 11 . .

한편, 도 5 및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35c, 35d)은 상기 플레이트(42)에 마련된 홈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42)의 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and 9 to 12 ,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a, 35b, 35c, and 35d may move on top of the plate 42 along grooves provided in the plate 42. .

즉, 상기 플레이트(42)는,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35c, 35d)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35c, 35d)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plate 42 may support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a, 35b, 35c, and 35d and provide a moving path for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a, 35b, 35c, and 35d. .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이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 in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are inside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It can move towards or outwar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에 의하면, 직경이 다양한 컵을 홀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old cups of various diameters.

예를 들면, 사용자는, 직경이 작은 컵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레일(3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이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의 끝단이 형성하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using a cup with a small diameter, the user rotates the rail 31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move toward the inside so that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The space formed by the end of can be reduced.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는, 직경이 큰 컵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레일(3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이 외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의 끝단이 형성하는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when using a cup with a large diameter, the user rotates the rail 31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move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The space formed by the end of can be enlarged.

도 13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를 조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manipulates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사용자가 상기 레일(3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31)의 일정 구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40)가 구성될 수 있다.In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se 40 so that a certain section of the rail 31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rail 31. can be configured.

예를 들어,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케이스(40)는 내측의 일정 영역(D1)이 뚫려 있고, 영역 “D1”에 대응되는 상기 레일(31)의 내측 영역에 복수의 돌기를 갖는 영역(이하 “손잡이용 돌기”라고 함)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and 13 , the first case 40 has an inner area D1 pierced, and the inner area of the rail 31 corresponding to the area “D1” has a plurality of holes. A region having protrus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trusions for handles") may be formed.

사용자는 상기 레일(31)의 내측의 일정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용 돌기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31)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user can rotate the rail 31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using the knob protrusion formed in a certain area inside the rail 31 .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스토퍼(stopper)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4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topper that can be applied to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일(31), 상기 원통형 기어(33) 및 상기 홀딩 모듈(35)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topper may perform a function of temporarily limiting the movement of any one of the rail 31 , the cylindrical gear 33 , and the holding module 35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31), 상기 원통형 기어(33) 및 상기 홀딩 모듈(35)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레일(31), 상기 원통형 기어(33) 및 상기 홀딩 모듈(35)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이 제한되면, 나머지 두 개도 움직임이 제한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ail 31, the cylindrical gear 33 and the holding module 35 are arrange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ail 31, the cylindrical gear 33 ) and the holding module 35, if the movement of any one is restricted, the other two are also restricted.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31) 하부의 일정 영역에 복수의 돌기를 갖는 돌기 구간(70)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4 to 16 , a protrusion section 70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under the rail 31 .

또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케이스(40)는, 상기 돌기 구간(70)에 포함되는 특정 홈과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가능한 제2 탄성부재(72)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5 and 16 , the first case 40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72 capable of engaging and releasing a specific groove included in the protrusion section 70. there is.

상기 탄성부재(72)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구간(70)의 특정 홈에 끼워지면, 상기 레일(31)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제한된다.As shown in FIG. 15 , when the elastic member 72 is inserted into a specific groove of the protrusion section 70, the movement of the rail 31 is temporarily limited.

또한, 상기 제2 탄성부재(72)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구간(70)으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레일(31)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아 상기 레일(31)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 when the second elastic member 72 deviates from the protruding section 70, the movement of the rail 31 is not restricted so that the rail 31 can rotate. be in a state of being

사용자가 상기 레일(31)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 탄성부재(72)는 탄성에 의해 뒤로 밀리게 되어 상기 돌기 구간(70)에서 다음에 돌아오는 홈에 들어가게 되고 상기 레일(31)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제한된다.When the user rotates the rail 31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second elastic member 72 is pushed backward by elasticity and enters the next groove in the protruding section 70, and the Movement of the rail 31 is temporarily limited.

상기 제2 탄성부재(72)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72 may be implemented with plastic having elastic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컵 디스펜서(20)는,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이 컵과 같은 용기에 접촉하여 상기 용기를 홀딩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or the cup dispens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contact a container such as a cup to hold the container.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 중 적어도 두 개의 홀딩 모듈은, 상기 홀딩 모듈에 대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55)와, 상기 홀딩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1 탄성 부재(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7 and 8, at least two holding modules among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35 include a lever 55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lding module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odule; It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58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lever.

상기 제1 탄성 부재(58)의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the first elastic member 58 may be a coil spring.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55)는, 제2 고정핀(56)이 홀딩 모듈(35)에 형성되는 제2 홀(61), 레버(55)에 형성되는 레버 홀(57) 및 홀딩 모듈(35)에 형성되는 제3 홀(62)를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홀딩 모듈(35)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35)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lever 55 includes a second hole 61 in which the second fixing pin 56 is formed in the holding module 35, a lever hole 57 formed in the lever 55, and a holding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third holes 62 formed in the module 35, it can be coupled to the holding module 35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odule 35.

한편, 상기 레버(55)는, 상기 제1 탄성 부재(58)에 의해, 용기의 존재 여부 및 용기의 취출 여부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정도, 즉 회전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lever 55 to the left or right, that is, the rotation angle, may be chang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58 depending on whether a container is present or not and whether the container is taken out.

예를 들면, 상기 레버(55)는 상기 제2 고정핀(5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및 컵 디스펜서(20)의 내부에 용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55)가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몸체와 이루는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ver 55 rotates around the second fixing pin 56,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nd the cup dispens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gle between the lever 55 and the body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may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 lever 55 is present or not.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및 컵 디스펜서(20)로부터 용기가 취출됨에 따라 상기 레버(55)가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몸체와 이루는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as the container is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nd the cup dispens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55 forms a body of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ngle can chang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및 컵 디스펜서(20)를 상기 레버(55)의 동작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and the cup dispens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5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의 내부에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17 and 1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container does not exist inside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or a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컵 디스펜서(20)의 내부에 컵과 같은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레버(55)는 상기 제1 탄성 부재(58)로 인하여 상기 제1 탄성 부재(58)와 접촉하는 일측이 상기 제1 탄성 부재(58)와 접촉하지 않는 타측보다 밀려 나와 있다(도 18에서 “E1”).17 and 18, when there is no container such as a cup inside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or the cup dispens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55 Due to the first elastic member 58,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astic member 58 is pushed out more than the other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elastic member 58 (“E1” in FIG. 18).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의 내부에 용기가 홀딩되어 있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9 to 21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is held inside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or a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상기 컵 디스펜서(20)의 내부에 컵(80, 81)과 같은 용기가 삽입되면, 상기 레버(55)의 우측이 상기 삽입된 용기(80, 81)에 의해 상기 홀딩 모듈(35)을 향해 밀리게 된다.19 and 20, when containers such as cups 80 and 81 ar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or the cup dispenser 20, the right side of the lever 55 is inserted It is pushed toward the holding module 35 by the containers 80 and 81.

이때, 상기 레버(55)는 도 18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핀(5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ever 55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second fixing pin 56 in the state shown in FIG. 18 .

상기 레버(55)는 상기 삽입된 용기(80, 81)에 의해 상기 홀딩 모듈(35)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58)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lever 55 may be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r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8 while being pushed by the holding module 35 by the inserted containers 80 and 81 .

한편, 상기 레버(55)는, 일측 하단에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lever 55, a first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one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ther side.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5)의 우측 하단에 상기 제1 돌출부(59)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55)의 좌측 상단에 상기 제2 돌출부(60)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protrusion 59 is form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lever 55, and the second protrusion 60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lever 55. It can be.

상기 제1 돌출부(59) 및 상기 제2 돌출부(6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된 용기(80, 81)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 the first protrusion 59 and the second protrusion 60 may stably support the inserted containers 80 and 81 .

예를 들어, 도 21에서, 상기 제1 돌출부(59)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종이컵(80) 상단의 돌기를 받쳐주고, 상기 제2 돌출부(60)는 위쪽에 위치하는 종이컵(81) 상단의 돌기를 받쳐줄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21 , the first protrusion 59 supports the protrusion on the top of the paper cup 80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second protrusion 60 supports the protrusion on the top of the paper cup 81 located at the top. can support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에서 용기 또는 컵이 취출되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2 to 24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or cup is taken out from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or a cu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상기 컵 디스펜서(20)로부터 종이컵(80)이 취출되는 경우, 상기 종이컵(80)이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상기 컵 디스펜서(20)를 빠져나오기 위해 상기 종이컵(80)의 상단, 특히 상기 종이컵(80)의 상단 돌기가 상기 제1 돌출부(59)를 밀게 되어 상기 레버(55)가 상기 홀딩 모듈(35)을 향해 최대한 밀리게 된다.22 to 24, when the paper cup 80 is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or the cup dispenser 20, the paper cup 80 is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0 or the above In order to exit the cup dispenser 20, the top of the paper cup 80, especially the top projection of the paper cup 80, pushes the first protrusion 59 so that the lever 55 holds the holding module 35. to be pushed as far as possible.

이때, 상기 제1 탄성 부재(58)의 길이가 제일 짧아지고, 상기 종이컵(80)이 완전히 취출되면 상기 레버(55)는 도 18 또는 도 20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8 becomes the shortest and the paper cup 80 is completely taken out, the lever 55 may be restored to the state shown in FIG. 18 or FIG. 20 .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Reference herein to 'one embodiment'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etc., to various variations of such expression, in connection with that embodiment, indicates that a particular feature, structure, characteristic, etc., is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it means.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Thus, the expression 'in one embodiment' and any other variations disclo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not necessarily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본 명세서에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Where methods are described herein as comprising a series of steps, the order of those steps presented herein is not necessarily the order in which those steps may be performed, and any recited steps may be omitted and/or here Any other step not described may be added to the metho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including' us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device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respect to its preferred embodiments. All embodiments and conditional examples disclo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described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reader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치과용 유니트 체어 11: 폴(pole)
15: 제1 홀(hole) 20: 컵 디스펜서
22: 마개 30: 용기 홀딩 조립 구조
31: 레일 32: 제1 톱니구간
33: 원통형 기어 35: 홀딩 모듈
40: 제1 케이스 41: 제1 수용부
42: 플레이트 43: 제1 고정핀
44: 제2 케이스 45: 결합 수단
53: 제2 톱니구간 55: 레버
56: 제2 고정핀 57: 레버 홀
58: 제1 탄성 부재 59: 제1 돌출부
60: 제2 돌출부 61: 제2 홀
62: 제3 홀 70: 돌기 구간
72: 제2 탄성 부재 80, 81: 컵
10: dental unit chair 11: pole
15: first hole 20: cup dispenser
22: stopper 30: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31: rail 32: first sawtooth section
33: cylindrical gear 35: holding module
40: first case 41: first accommodating part
42: plate 43: first fixing pin
44: second case 45: coupling means
53: second gear section 55: lever
56: second fixing pin 57: lever hole
58: first elastic member 59: first protrusion
60: second protrusion 61: second hole
62: 3rd hole 70: projection section
72: second elastic member 80, 81: cup

Claims (15)

용기를 홀딩하기 위한 용기 홀딩 조립 구조에 있어서,
링(ring)의 형상을 갖고, 외곽의 복수 위치에 소정 길이만큼 제1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 가능한 레일;
상기 제1 톱니 구간과 맞물려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원통형 기어; 및
일 측면에 제2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톱니 구간이 상기 원통형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용기를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상기 레일이 형성하는 원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In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the container,
A rail having a ring shape, having first sawtooth sections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out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ing rotatable;
a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respectively,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tooth section and rotate in place; and
A second tooth section is formed on one side, the second tooth sec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so as to engage with the cylindrical gear, and for holding a container located inside the rai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ail,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rotate,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dv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circle formed by the rail or move backward toward the outsid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홀딩 모듈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홀딩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comprising a lev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lding module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odule, and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le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용기의 존재 여부 및 용기의 취출 여부에 따라 좌우 회전 정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ver,
The container holding assembl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left and right rot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ainer is present and whether the container is taken out by the elastic member.
링(ring) 형상의 제1 홈과, 복수의 제2 홈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링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외곽의 복수 위치에 소정 길이만큼 제1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홈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홈에 안착되는 레일;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제1 톱니 구간과 맞물려 상기 제2 홈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원통형 기어; 및
일 측면에 제2 톱니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톱니 구간이 상기 원통형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컵을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상기 레일이 형성하는 원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A first case having a ring-shaped first groove and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a rail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ng shape, having first sawtooth sections formed at a plurality of outer positions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seated in the first groove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first groove;
a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and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second groov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toothed section; and
A second tooth section is formed on one side, the second tooth sec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so that the second tooth section meshes with the cylindrical gear, and a plurality of holdings for holding cups located therein contains a modu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ail,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rotate,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dv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circle formed by the rail or move backward toward the outside. Dental cup dispens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레일,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 및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4,
A dental cup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so that the rail,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and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치과용 컵 디스펜서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치과용 컵 디스펜서의 상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case constitutes a lower portion of the dental cup dispenser, and the second case constitutes an upper portion of the dental cup dispenser.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6,
The dental cup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plate coupled to the first case, supporting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복수의 원통형 기어의 위치를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위치 고정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5,
And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means for respectively fix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so that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gears can rotate in place. cup dispens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은 각각,
상기 홀딩 모듈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홀딩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 dental cup dispenser comprising a lev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lding module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odule, and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lever.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컵의 존재 여부 및 컵의 취출 여부에 따라 좌우 회전 정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ever,
The dental cup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left and right rot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cup is present and whether the cup is taken out by the elastic member.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1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측 하단에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컵이 취출될 때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홀딩 모듈의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10,
A dental cup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lev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lding module when the cup is taken out.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측 상단에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11,
Dental cup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trusion is formed at the top of the other side of the lever.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레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일정 구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5,
The dental cup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ase is 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rail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rai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상기 원통형 기어 및 상기 홀딩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5,
The dental cup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for temporarily limiting the movement of any one of the rail, the cylindrical gear, and the holding module.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일 하부의 일정 영역에 마련된 돌기 구간에 포함되는 특정 홈과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가능한 탄성부재로서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opper,
The dental cup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first case as an elastic member capable of engaging and disengaging with a specific groove included in a protruding section provided in a certain area under the rail.
KR1020200079916A 2020-06-30 2020-06-30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Active KR102500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916A KR102500874B1 (en) 2020-06-30 2020-06-30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916A KR102500874B1 (en) 2020-06-30 2020-06-30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656A KR20220001656A (en) 2022-01-06
KR102500874B1 true KR102500874B1 (en) 2023-02-16

Family

ID=7934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916A Active KR102500874B1 (en) 2020-06-30 2020-06-30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874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336U (en) * 1997-04-16 1998-11-16 최진호 Cup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KR20080003195U (en) 2007-02-05 2008-08-08 임양래 Dispensing
KR101612843B1 (en) 2014-01-17 2016-04-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onvenience table used in unit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656A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6065B2 (en) Rotating patient chair with ear diagnosis and treatment unit
DK2303128T3 (en) Dental care and imaging apparatus
JP2004344291A (en) Centesis depth adjustable centesis device
US20200121416A1 (en) Medical instrument holder, adapter for medical instrument holder, and instrument holding device
KR102524488B1 (en)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KR102500874B1 (en)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US20240057790A1 (en) Cup holding assembly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same
JP2024120032A (en) Unit Chair
JP3176733U (en) Surgical lamp device and medical lamp device
EP3711738A1 (en) Movable device for rod part supporting instrument hose, and dental care device comprising said movable device for rod part supporting instrument hose
KR102364722B1 (en) Unit Chair
KR20220000234A (en) Balance Arm And Balance Arm System
KR102379526B1 (en) Unit Chair
KR102552952B1 (en) Dental unit chair device that is easy to replace handpiece holder
KR102361807B1 (en) Unit Chair
JP2011224352A (en) Medical lighting device and system therewith
KR102157423B1 (en) Unit Chair
JP7602792B2 (en) Examination table
EP3711737B1 (en) Instrument hose supporting device, and dental treatment apparatus having instrument hose supporting device
JP5567945B2 (en) Eye fixation device for ophthalmic equipment
WO2022074774A1 (en) Dental x-ray device
KR100463368B1 (en) Patient rotating chair
JP2017012364A (en) Dental hospital device
KR20220009236A (en) Balance Arm And Balance Arm System
JP2010119476A (en) Ejaculation assi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