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728B1 - Sterile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 flow - Google Patents
Sterile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 fl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1728B1 KR102501728B1 KR1020210050917A KR20210050917A KR102501728B1 KR 102501728 B1 KR102501728 B1 KR 102501728B1 KR 1020210050917 A KR1020210050917 A KR 1020210050917A KR 20210050917 A KR20210050917 A KR 20210050917A KR 102501728 B1 KR102501728 B1 KR 102501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stock solution
- branch pipe
- dilution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lass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415 sod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2
- 229910019093 NaOC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FKNQFGJONOIPTF-UHFFFAOYSA-N Sodium cation Chemical compound [Na+] FKNQFGJONOIPT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14 ion exchange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5—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025/91—Direction of flow or arrangement of feed and discharge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소독제, 산화제, 표백제 등으로 사용되는 소독원액과 물을 각종 사용처의 용도에 맞게 정확한 농도로 희석하여 공급함과 더불어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농도 설정값에 따라 RPM을 가변시켜서 펌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량제어펌프를 이용하여 희석기측으로 소독원액을 공급하고, 이와 연계하여 해당 농도에 맞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물 공급기를 통해 희석기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용도별 원하는 농도의 소독원액을 정확하게 계량화하고 희석시켜서 다양한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살균수를 생산할 수 있는 한편,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2개의 분기 배관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함과 더불어 2개의 분기 배관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1개의 분기 배관측 사이에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한 새로운 배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물의 역류에 의한 맥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정확하게 제어된 유량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backflow as well as supplying diluted stock solution of disinfectant and water used as a sterilizing disinfectant, oxidizing agent, bleach, etc. in an accurat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various places of use.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 disinfectant stock solution to the diluter side by using a quantitative control pump capable of adjusting the pumping amount by varying the RPM according to various concentration settings, and in connection with this, water that can be supplied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water suitable for the concentration By adopting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diluter side through a supp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quantify and dilute the disinfectant stock solution of the desired concentration for each purpose to produce the level of sterilization water required in various places of use, while two branch pipes having the same diameter In addition to supplying water using a new piping structure in which a bypass pipe is installed between one branch pipe side at the point where two branch pipes join, it is possible to prevent pulsation caused by reverse flow of water, and thus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with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capable of supplying water at a precisely controlled flow rat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살균수 희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 소독제, 산화제, 표백제 등으로 사용되는 소독원액과 물을 각종 사용처의 용도에 맞게 정확한 농도로 희석하여 공급함과 더불어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provides a disinfectant stock solution and water used as a sterilizing disinfectant, oxidizing agent, bleach, etc. in an accurat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various places of use and supplies them, as well as preventing backflow. It is about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equipped with.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은 정수장, 하수처리장의 살균장치, 일반화학 공장의 냉각용수 보일러, 담수화 공정 처리수, 발전소의 냉각수 처리, 음용수 처리, 식물 및 채소, 육류가공, 수영장의 세탁 및 제지, 가정용 표백제 등으로 사용되는 무색투명 액체형태의 염소계 소독제이다.In general, sodium hypochlorite (NaOCl) is used in water treatment plants, sterilizers in sewage treatment plants, cooling water boilers in general chemical plants, desalination process water, cooling water treatment in power plants,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and vegetables, meat processing, washing and papermaking in swimming pools. It is a chlorine-based disinfectant in the form of a colorless and transparent liquid used as household bleach.
이러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비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일정량 및 압력의 물 속에 대량의 소금을 침전시킨 후, 8시간 이상 24시간 이내를 유지시키면 28∼30%의 소금이 용융되고, 이렇게 소금이 용융되어 있는 일정량 및 압력의 포화 소금물을 펌프 등으로 혼합하여 2.8∼3.0%의 염도가 유지되는 희석염수로 만든 다음, 이것을 격막(이온교환막)이 없는 일련의 전극(양극,음극)을 갖는 전기분해조를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전극 양측에 부가된 직류 전압에 의해 희석염수 중의 소금을 전기 분해한다.In the non-diaphragm type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used to manufacture sodium hypochlorite, after precipitating a large amount of salt in water of a certain amount and pressure, 28 to 30% of the salt is melted when maintained for 8 hours or more and less than 24 hours , The saturated brine in which salt is melted in a certain amount and pressure is mixed with a pump to make diluted brine that maintains a salinity of 2.8 to 3.0%, and then a series of electrodes (anode, cathode) without a diaphragm (ion exchange membrane) The salt in the diluted brine is electrolyzed by the DC voltag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hrough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electrolysis tank having
예를 들면, 전기분해장치 내로 유입된 2.8∼3.0%의 희석염수는 소듐이온(Sodium ion. Na+)과 염소이온(Chloride, Cl-)으로 해리되어 염소이온은 양극에서 산화되어 염소가 되고, 소듐이온은 음극에서 환원되어 소듐이 생성되며, 생성된 소듐은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NaOH과 수소로 된 후, 양극에서 생성된 염소와 상기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생성된다.For example, 2.8-3.0% of diluted brine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sis device is dissociated into sodium ion (Na+) and chloride ion (Cl-), and the chloride ion is oxidized at the anode to become chlorine, and sodium Ions are reduced at the cathode to produce sodium, and the produced sodium reacts with water to form sodium hydroxide (NaOH and hydrogen, and then the chlorine generated at the anode reacts with the sodium hydroxide to produce sodium hypochlorite (NaOCl). .
이렇게 생성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염수의 안전한 형태로서, 소독이나 산화가 필요한 현장에 염소소독이나 산화제로 사용되고,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과 함유농도는 파라데이의 법칙에 따르며, 공급되는 물과 소금물이 혼합된 희석염수에 따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 및 함유농도가 결정된다.Sodium hypochlorite produced in this way is a safe form of brine, and is used as a chlorine disinfection or oxidizing agent in sites that require disinfection or oxidation. Depending on the diluted brine, the production and concentration of sodium hypochlorite are determined.
종래 대부분의 비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기존 수압이 형성되어 있는 수도전 또는 배관과 전기분해조 사이에 연결되는 배관에 전동개폐밸브나 감압밸브 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 인입수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In most conventional non-diaphragm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s, a motorized on/off valve, pressure reducing valve or flow control valve is installed in the pipe connected between the tap or pipe where the existing water pressure is formed and the electrolysis tank to determine the flow rate and A way to control the pressure.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배관 내의 압력이 변동되면 전기분해조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과 압력도 변동되므로, 전기분해조에서 발생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와 생산량이 다르게 되고, 수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될 경우에 과열 인해 전기분해조가 가열되어 손상된다. However, in this method, when the pressure in the pipe fluctuates,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electrolysis tank also fluctuates, so the concentration and production of sodium hypochlorite generated in the electrolysis tank vary, and when the quantity decreases rapidly, overheating occurs. As a result, the electrolyzer is heated and damaged.
또한, 전기분해조의 가동 중 정전이 되면 열려진 전동개폐밸브가 닫치지 않아 가동하지는 않는 전기분해조로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므로, 기 생산되어 저장조에 저장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낮게 하거나, 저장조를 넘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re is a power outag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sis tank, the open electric on-off valve does not close and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operative electrolysis tank, there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sodium hypochlorite already produced and stored in the storage tank or overflowing the storage tank. There is a problem.
또한, 전기분해조에서 배출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일정량의 물을 희석시켜 피세정물의 대상에 부응하여 원하는 농도의 염소소독수를 얻기 위해 물공급펌프의 출구와 소독수 사용처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 및 솔레노이드 타입 전동밸브가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하나씩만 설치되어 있어 소독제의 사용목적에 따라 유량조절벨브를 일일이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ilute a certain amount of water with sodium hypochlorite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sis tank to obtain chlorine disinfection water of a desired concentration in response to the object to be cleaned, a flow control valve installed between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pump and the pipe where the disinfection water is used, and Since only one solenoid-type electric valve is installed in series connection, it is inconvenient to have to adjust the flow control valve one by on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disinfectant.
또한, 전기분해조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배출구가 별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에 연결된 경우, 이때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와 소독수 사용처의 배관 사이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공급용 펌프를 별도로 설치한 후에 물의 인입량 및 압력에 부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의 공급량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별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 및 펌프의 설치에 따른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dium hypochlorite outlet of the electrolysis tank is connected to a separate sodium hypochlorite storage tank, a pump for supplying sodium hypochlorite is separately installed between the sodium hypochlorite storage tank and the piping where the disinfection water is used, and then In respons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adjust the supply of sodium hypochlorite,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sodium hypochlorite storage tank and pump.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5252호에서 용도별 원하는 농도의 소독원액을 정확하게 계량화하고 희석시켜서 다양한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살균수를 생산할 수 있는『살균수 희석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In view of this, the present inventor, in Publication No. 10-2020-0105252, accurately quantifies and dilutes the disinfectant stock solution at the desired concentration for each use, thereby producing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that can produce sterilized water at a level required by various places of use. has presented
그러나, 상기『살균수 희석장치』는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인 관계로 각 배관의 유속 및 유량, 그리고 유압이 서로 다르고, 이 경우 배관 합류 구간측에서 압력이 걸리게 되면, 이때의 물은 직경이 작은 배관쪽으로 역류하면서 맥동 현상을 일으키게 되며, 결국 적정량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희석비율을 정확하게 또 일정하게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However, since the “sterilized water dilution device” is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hrough two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the flow rat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each pipe are different, and in this case, when pressure is applied at the pipe joining section , The water at this time flows back toward the pipe with a small diameter and causes a pulsation phenomeno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nd constantly control the dilution ratio because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annot be suppli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양한 농도 설정값에 따라 RPM을 가변시켜서 펌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량제어펌프를 이용하여 희석기측으로 소독원액을 공급하고, 이와 연계하여 해당 농도에 맞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물 공급기를 통해 희석기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용도별 원하는 농도의 소독원액을 정확하게 계량화하고 희석시켜서 다양한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살균수를 생산할 수 있는 한편,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2개의 분기 배관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함과 더불어 2개의 분기 배관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1개의 분기 배관측 사이에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한 새로운 배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물의 역류에 의한 맥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정확하게 제어된 유량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supplies a disinfectant stock solution to the diluter side by using a quantitative control pump capable of adjusting the pumping amount by varying the RPM according to various concentration settings, and in connection with this By adopting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diluter side through a water supply that can supply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water suitable for the concentra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quantify and dilute the disinfectant stock solution of the desired concentration for each purpose to produce sterilized water at the level required by various places of use.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supplying water using two branch pipes having the same diameter, by applying a new piping structure in which a bypass pipe is installed between one branch pipe side at the point where the two branch pipes joi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pulsation due to backflow and thus supplying water at an accurately controlled flow r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의 공급을 위한 배관 라인 상에 유량의 미세 조절이 가능한 분기 배관 및 수동식 조절밸브를 설치하여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희석 비율을 맞출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초기 세팅 시에 소요되는 수고를 줄이고 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branch pipe and a manual control valve that can finely adjust the flow rate on the pipe line for supplying water to meet the various dilution ratios required by the place of use, and at the same time, the initial setting of the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with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that can reduce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물 유입을 위한 물 유입구 및 소독원액 유입을 위한 소독원액 유입구와 살균수 배출을 위한 살균수 배출구가 갖추어져 있으며 개폐 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사각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희석장치 본체와, 상기 희석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물 유입구와 연결되어 희석기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물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통합 배관과, 상기 제1통합 배관에서 분기되면서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제1분기 배관 및 제2분기 배관과, 상기 제1분기 배관 및 제2분기 배관의 선단 구간에 각각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1분기 배관 및 제2분기 배관의 후단 구간에 각각 설치되되, 희석장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수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의 흐름량을 조절하는 제1수동조작 밸브 및 제2수동조작 밸브와, 상기 제1분기 배관 및 제2분기 배관에서 합류되면서 희석기측으로 연결되는 제2통합 배관과, 상기 제2통합 배관 상에 설치되어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포함하는 물 공급기와, 상기 희석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소독원액 유입구측과 연결되는 소독원액 유입배관 및 희석기측과 연결되는 소독원액 토출배관을 가지면서 소독원액을 희석기로 공급하며 설정값에 따라 RPM을 가변시켜서 펌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정량제어펌프와, 상기 희석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 공급기측과 연결되는 후단의 물 입구 및 정량제어펌프측과 연결되는 상단의 소독원액 입구, 그리고 선단의 살균수 출구를 가지면서 물과 소독원액을 희석하는 희석기와, 상기 희석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정량제어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equipped with a water inlet for water inflow, a sterilizing stock solution inlet for sterilizing stock solution inflow, and a sterilizing water outlet for sterilizing water discharge, and has a rectangular case shape with an openable cover. A main body of the device and a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side of the diluen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while being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dilution device,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as a first integrated pipe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and diverging from the first integrated pipe. A first branch pipe and a second branch pipe formed of, a first solenoid valve and a second solenoid valve installed at the tip sections of the first branch pipe and the second branch pipe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and the first branch pipe and a first manually operated valve and a second manually operated valve installed at the rear section of the second branch pip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ilution device so as to be manually operated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flow, the first branch A water supplier including a second integrated pipe connected to the diluter side while being joined by the pipe and the second branch pipe, and a flowmeter installed on the second integrated pipe to measure the flow rate of water, installed inside the dilution device body Quantitative control pump having a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let side and a disinfection stock solution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luent side, supplying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to the diluter, and adjusting the pumping amount by changing the RPM according to the set value. And, i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dilution device and has a water inlet at the rear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ide, a disinfectant stock solution inlet at the top connected to the metering control pump side, and a sterilizing water outlet at the front end to dilute water and disinfectant stock solution It includes a diluter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dilution device body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etering control pump.
특히,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제2통합 배관과 제2분기 배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2통합 배관이 속해 있는 구간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 역류되는 물을 제2분기 배관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 상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integrated pipe and the second branch pipe, and the water flowing back due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tion to which the second integrated pipe belongs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branch pipe. It may further include a bypass pipe for passing and a bypass valve installed on the bypass pip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제1분기 배관 및 제2분기 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통합 배관에서 분기되어 제2통합 배관으로 연결되는 유량조절용 배관과,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의 선단 구간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량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의 후단 구간에 설치되되, 희석장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수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량의 미세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유량조절용 수동조작 밸브로 구성되는 미세유량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made of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first branch pipe and the second branch pipe and is branched from the first integrated pip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integrated pipe for flow control. A piping, a flow control solenoid valve installed at the front section of the flow control pipe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and a flow control solenoid valve installed at the rear end section of the flow control pipe,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lution device body and is installed to enable manual oper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ine flow control device composed of a manually operated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to enable fine control of the flow rate.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정량제어펌프의 소독원액 유입배관과 소독원액 토출배관에 각각 설치되어 소독원액의 흐름을 감지한 후에 이때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유체흐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installed in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let pipe and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discharge pipe of the quantitative control pump, detecting the flow of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and then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at this time to the controller. Fluid flow detection A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그리고, 상기 정량제어펌프의 소독원액 유입배관과 소독원액 토출배관은 투명한 관으로 제작하여 소독원액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flow pipe and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discharge pipe of the quantitative control pump are made of transparent pipes so that the flow of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with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다양한 농도 설정값에 따라 RPM을 가변시켜서 펌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량제어펌프를 이용하여 희석장치측으로 소독원액을 공급함과 더불어 이와 연계하여 해당 농도에 맞는 물의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물 공급기를 통해 희석기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용도별 원하는 농도의 소독원액을 정확하게 계량화하고 희석시켜서 다양한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살균수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using a quantitative control pump that can adjust the pumping amount by changing the RPM according to various concentration settings,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dilution device,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rough a water supply that can supply the flow rate of water suitable for the concentration. By adopting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diluter side, there is an effect of producing sterilized water at a level required by various places of use by accurately quantifying and diluting the disinfectant stock solution of the desired concentration for each purpose.
둘째,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2개의 분기 배관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함과 더불어 2개의 분기 배관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1개의 분기 배관측 사이에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한 새로운 배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물의 역류에 의한 맥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정확하게 제어된 유량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in addition to supplying water using two branch pipes having the same diameter, by applying a new piping structure in which a bypass pipe is installed between one branch pipe side at the point where the two branch pipes join, It has the effect of supplying water at a precisely controlled flow rate, such as preventing pulsation caused by water flow.
셋째, 물의 공급을 위한 배관 라인 상에 유량의 미세 조절이 가능한 분기 배관 및 수동식 조절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희석 비율을 맞출 수 있고, 장치의 초기 세팅 시에도 세팅 작업에 소요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by installing a branch pipe and a manual control valve that can finely adjust the flow rate on the pipe line for water supply, it is possible to meet various dilution ratios required by the place of use, and the labor required for setting work even during the initial setting of the device ,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ime.
넷째, 사각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희석장치 본체의 내부에 정량제어펌프, 희석기, 제어부, 물 공급기, 각종 배관 등을 설치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는 물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등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의 취급은 물론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현장에서 물 공급용 배관과 소독원액 공급용 배관만 희석장치 본체에 연결하면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희석장치 본체의 외부에 운전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은 물론 작업자의 수동조작이 가능한 수동식 조절밸브를 설치하여 조작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by realizing a structure in which a quantitative control pump, a diluter, a control unit, a water supplier, and various piping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dilution device in the form of a square case, the overall size can be reduced as well as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It is easy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it is very easy to install as well as handling on site (if you connect only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disinfectant stock solution supply pipe to the dilution device body at the site, it can be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and the dilution device body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operability and handling by installing a manual control valve that can be manually operated by the operator as well as a display window that can check the operation status on the outside of the machin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의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계통도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equipp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다양한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농도의 살균수를 정확하게 계량한 후에 희석시켜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사각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희석장치 본체의 내부에 정량제어펌프, 희석기, 제어부, 물 공급기, 각종 배관 등을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는 물론 취급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특히 역류 방지를 위한 바이패스 구조를 채택하여 정확하고 안정된 유량의 공급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can accurately measure and then dilute and supply the sterilizing water at the concentration required for various places of use, as well as having a rectangular case shape. It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 quantitative control pump, diluter, control unit, water supplier, and various piping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dilution device, so installation and handling are simple and efficien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supply accurate and stable flow rate.
이를 위하여,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사각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희석장치 본체(14)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ncludes a dilution device
상기 희석장치 본체(14)의 전면에는 상단부의 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가 가능한 커버(13)가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커버(13)에는 유량, 농도, 전원 ON/OFF, 밸브 작동 상태 등과 같은 장치의 여러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29)이 설치된다. A
이러한 희석장치 본체(14)의 한쪽 측면부에는 물 유입구(10)가 설치되며, 이때의 물 유입구(10)에는 수도 배관(도 4의 도면부호 38)이나 정수 배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A
그리고, 상기 희석장치 본체(14)의 다른 한쪽 측면부 아래쪽에는 소독원액 유입구(11)가 설치되며, 이때의 소독원액 유입구(11)에는 후술하는 소독원액 탱크(도 4의 도면부호 30)측에서 연장되는 소독원액 배관(도 4의 도면부호 31)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disinfection
이와 더불어, 상기 희석장치 본체(14)의 다른 한쪽 측면부 윗쪽에는 살균수 배출구(12)가 설치되며, 이때의 살균수 배출구(12)로부터 배출되는 살균수, 즉 용도별 적절한 농도로 희석된 살균수는 여러 사용처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sterilizing
이와 같은 희석장치 본체(14)는 가로×세로×높이가 약 300∼350mm×150∼200mm×250∼300mm 정도인 사이즈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크기와 부피가 작고 무게도 가볍기 때문에 설치 시에 취급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간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The
또한,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희석장치 본체(14)의 내부에 설치되어 희석기(15)측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물 공급기(1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ncludes a
상기 물 공급기(16)는 듀얼 라인의 배관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 용이하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물 공급기(16)는 물 유입구(10)와 연결되는 제1통합 배관(16a), 상기 제1통합 배관(16a)에서 분기되는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 상기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의 선단 구간에 각각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ON/OFF 단속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6d)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16e), 상기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의 후단 구간에 각각 설치되어 물의 흐름량을 조절하는 제1수동조작 밸브(16f) 및 제2수동조작 밸브(16g), 상기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에서 합류되면서 희석기(15)측으로 연결되는 제2통합 배관(16h), 상기 제2통합 배관(16h) 상에 설치되어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16i)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이에 따라, 상기 물 유입구(10)로부터 들어오는 물은 적절한 경로를 따라 흐름과 더불어 적절한 유량으로 조절되면서 희석기(15)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water entering from the
예를 들면, 상기 희석장치 본체(14)의 물 유입구(10)로부터 제1통합 배관(16a)이 연장되고, 상기 제1통합 배관(16a)으로부터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이 각각 분기되며, 상기 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은 제2통합 배관(16h)으로 합쳐지게 됨과 더불어 이때의 제2통합 배관(16h)은 희석기(15)의 물 입구(20)로 연결된다. For example, a first integrated
그리고, 상기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의 선단 구간에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6d)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16e)가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후단 구간에는 제1수동조작 밸브(16f)와 제2수동조작 밸브(16g)가 설치되고, 상기 제2통합 배관(16h) 상에는 유량계(16i)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제2통합 배관(16h) 상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첵 밸브(32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이와 더불어, 상기 제1분기 배관(16b)에 설치되어 있는 제1수동조작 밸브(16f)의 조절 노브와 제2분기 배관(16b)에 설치되어 있는 제2수동조작 밸브(16g)의 노절 노브는 희석장치 본체(14)의 다른 한쪽 측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knob of the first manually operat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희석장치 본체(14)의 커버(13)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희석장치 본체(14)의 밖으로 나와 있는 제1수동조작 밸브(16f)의 조절 노브와 제2수동조작 밸브(16g)의 조절 노브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각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control knob of the first manually operated
물론, 사용자는 커버(13)의 디스플레이창(29)에 표시되어 있는 유량값과 농도값을 확인하면서 각각의 조절 노브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각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user selectively manipulates each control knob while checking the flow rate value and concentration value displayed on the
이때의 상기 제1수동조작 밸브(16f)와 제2수동조작 밸브(16g)는 사용자가 노브를 돌리면 밸브체(미도시)가 회전되거나 상하로 동작하면서 밸브 유로를 개폐하는 타입으로서, 볼 밸브, 디스크 밸브, 게이트 밸브 등과 같은 타입을 적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manually operated
여기서, 상기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은 동일한 직경의 관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각 배관을 흐르는 물의 유속, 유량, 유압이 같아지게 되므로서, 제2통합 배관(16h)측의 구간에서 압력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에도 어느 한쪽의 배관으로만 압력이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살균수의 다양한 농도 조절을 위해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으로 미세유량조절장치(3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flow includes a fine
상기 미세유량조절장치(36)는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통합 배관(16a)에서 분기되어 제2통합 배관(16h)으로 연결되는 유량조절용 배관(26),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25)의 선단 구간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량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7),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25)의 후단 구간에 설치되되, 희석장치 본체(14)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수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량의 미세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유량조절용 수동조작 밸브(35)로 구성된다. The micro
즉, 상기 희석장치 본체(14)의 물 유입구(10)로부터 제1통합 배관(16a)이 연장되고, 상기 제1통합 배관(16a)으로부터 유량조절용 배관(26)이 분기되며,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26)은 제2통합 배관(16h)으로 합쳐지게 된다. That is, the first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26)의 선단 구간에는 유량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7)가 설치되는 동시에 후단 구간에는 유량조절용 수동조작 밸브(35)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flow
이와 더불어,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26)에 설치되는 유량조절용 수동조작 밸브(35)의 노절 노브는 희석장치 본체(14)의 다른 한쪽 측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In addition, the knob of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희석장치 본체(14)의 커버(13)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희석장치 본체(14)의 밖으로 나와 있는 유량조절용 수동조작 밸브(35)의 조절 노브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유량조절용 배관(26)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selectively operates the control knob of the
물론, 사용자는 커버(13)의 디스플레이창(29)에 표시되어 있는 유량값과 농도값을 확인하면서 제1수동조작 밸브(16f)와 제2수동조작 밸브(16g)의 각 조절 노브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각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수동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유량조절용 수동조작 밸브(35)를 조작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관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이 흐르는 유량조절용 배관(26)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기 설정된 유량(기 설정된 희석수 농도와 연계한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user selectively turns each control knob of the first manually operated
이때의 상기 유량조절용 수동조작 밸브(35)는 사용자가 노브를 돌리면 밸브체(미도시)가 회전되거나 상하로 동작하면서 밸브 유로를 개폐하는 타입으로서, 볼 밸브, 디스크 밸브, 게이트 밸브 등과 같은 타입을 적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nually operated
이와 같이, 살균수 농도 조절 시 미세유량조절장치(36)를 이용하여 해당 농도에 맞는 적절한 물의 양을 손쉽게 또 세분화하여 또 정확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when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terilizing water, it is possible to easily, subdivide, and precisely control and supply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suitable for the concentration using the micro
예를 들면,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26)은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이에 따라, 소독원액의 농도를 10∼500ppm의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소독원액의 농도를 5,000ppm 이상의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유량조절용 배관(26)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ing stock solution is adjusted in the range of 10 to 500 ppm,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이렇게 직경이 다른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과 유량조절용 배관(26)을 병행 운용하여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소독원액의 농도 수치와 연계하여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By adop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flow rate of water by operating the
또한,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물의 역류에 의한 맥동 현상을 방지하여 정확하게 제어된 유량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 바이패스 배관(24)과 바이패스 밸브(25)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ncludes a
상기 바이패스 배관(24)은 제2통합 배관(16h)의 일측, 예를 들면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이 합류되는 지점과 유량계(16i)가 설치되는 지점 사이의 위치와 제2분기 배관(16c)의 소정의 위치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통합 배관(16h)이 속해 있는 구간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 제2통합 배관(16h) 상의 역류되는 물은 바이패스 배관(24)을 통해 제2분기 배관(16c)의 선단 구간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 바이패스 밸브(25)는 바이패스 배관(24)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이패스 밸브(25)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바이패스 배관(24)을 흐르는 물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따라서, 상기 제2통합 배관(16h) 상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경우, 이때의 역류되는 물은 바이패스 배관(24)을 따라 제2분기 배관(16c)측으로 바이패스되면서 제1분기 배관(16b) 구간이나 제2분기 배관(16c) 구간이나 유량조절용 배관(26) 구간,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이 합류되는 구간, 제2통합 배관(16h) 상의 유량조절용 배관(26)이 합류되는 구간 등에서 맥동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 설정 유량으로 적절히 조절된 물이 각 배관에서 원활한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되는 등 결국 적정량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희석수의 희석비율을 정확하게 또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on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용 밸브(26)는 이러한 바이패스 밸브(25)는 제어부(23)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작업자의 수동 조작이 가능한 수동조작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유량조절용 밸브(26)가 수동조작 밸브로 이루어지는 경우, 살균수 희석장치의 초기 세팅 시, 작업자가 수동조작 밸브를 오픈 조작하여 유량의 바이패스가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물 공급기(16)측에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제2통합 배관(16h) 상에서의 압력 변화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물 공급기(16)의 제1분기 배관(16h), 제2분기 배관(16c), 유량조절용 배관(26)을 통해 공급되는 유량을 손쉽게 정확히 맞출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where the
상기 유량조절용 밸브(26)가 제어부(23)에 의한 제어를 받아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 설정된 희석비율로 물의 공급량을 맞춘 상태에서 살균수 희석장치의 운전 시, 제2통합 배관(16h) 상에 기 설정 압력 이상으로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제2통합 배관(16h) 상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미도시)가 감지하게 되고, 이렇게 감지된 센서의 신호가 제어부(23)로 입력됨과 더불어 이때의 제어부(23)의 출력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픈되도록 하여 역류되는 물이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제2통합 배관(16h) 상에서의 압력 변화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물 공급기(16)의 제1분기 배관(16h), 제2분기 배관(16c), 유량조절용 배관(26)을 통해 정확하게 조절된 유량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되며, 결국 기 설정한 살균수 희석 비율이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또한,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소독원액을 희석기(15)측으로 펌핑하는 수단으로 정량제어펌프(19)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ncludes a metering control pump 19 as a means for pumping the disinfectant stock solution toward the
상기 정량제어펌프(19)는 소독원액 탱크(30)측에서 제공되는 소독원액을 펌핑하여 희석기(15)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이러한 정량제어펌프(19)는 희석장치 본체(14)의 내부에 설치되며, 펌프 흡입측에는 소독원액 유입배관(17)이 연결됨과 더불어 펌프 배출측에는 소독원액 토출배관(18)이 연결된다. The
이때의 소독원액 유입배관(17)은 희석장치 본체(14)의 소독원액 유입구(11)와 연결되고, 소독원액 토출배관(18)은 희석기(15)의 소독원액 입구(21)와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disinfection stock
이에 따라, 상기 정량제어펌프(19)의 가동 시 소독원액은 소독원액 유입구(11)를 통해 펌프측으로 흡입된 후, 계속해서 소독원액 토출배관(18)을 통해 희석기(15)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여기서, 상기 정량제어펌프(19)의 소독원액 토출배관(18)에는 소독원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첵 밸브(도 4의 도면부호 32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check valve (reference numeral 32b in FIG. 4 ) for preventing the reverse flow of the disinfecting stock solution to the disinfection stock
특히, 상기 정량제어펌프(19)는 제어부(23)에 의해 제어되어 설정값에 따라 RPM을 가변시키면서 펌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the
예를 들면, 해당 사용처에서 원하는 살균수 농도값(소독원액 농도값)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패널(미도시)을 조작하여 살균수 농도값을 설정하게 되면, 이때의 설정값을 입력으로 하는 제어부(23)의 출력 제어에 의해 정량제어펌프(19)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소독원액의 펌핑속도(공급유량)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sterilizing water concentration value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panel (not shown) according to the sterilizing water concentration valu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concentration value) desired at the place of use, the control unit that inputs the set value at this time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etering control pump 19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23), the pumping speed (supply flow rate) of the disinfectant stock solution can be adjusted.
이와 같은 정량제어펌프(19)는 소독원액의 농도, 예를 들면 10∼500ppm 범위의 농도, 5,000ppm 이상의 농도 등과 연계되면서 펌핑량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게 된다.Such a
그리고, 상기 정량제어펌프(19)의 소독원액 유입배관(17)과 소독원액 토출배관(18)은 투명한 관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창(29)을 통해 소독원액의 공급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사용자는 투명한 관으로 이루어진 소독원액 유입배관(17)과 소독원액 토출배관(18)을 흐르는 소독원액의 공급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disinfection stock
또한,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실질적으로 소독원액과 물을 균일하게 섞어주는 수단으로 희석기(1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ncludes a
상기 희석기(15)는 후단의 물 입구(20) 및 하단의 소독원액 입구(21), 그리고 선단의 살균수 출구(22)를 가지는 중공의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희석장치 본체(14)의 내부에 설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희석기(15)의 내부 공간은 물 입구(20) 및 소독원액 입구(21), 그리고 살균수 출구(22)와 통할 수 있게 된다.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여기서, 상기 희석기(15)에 형성되어 있는 물 입구(20)는 물 공급기(16)의 제2통합 배관(16h)과 연결되고, 소독원액 입구(21)는 정량제어펌프(19)의 소독원액 토출배관(18)과 연결되며, 살균수 출구(22)는 희석장치 본체(14)의 살균수 배출구(12)와 연결된다. 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물 입구(20)와 소독원액 입구(21)를 통해 들어온 물과 소독원액은 희석기(15)의 내부에서 섞이면서 희석되고, 이렇게 희석된 살균수는 살균수 출구(22)를 통해 희석기(15)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water and disinfectant stock solution introduced through the
특히, 상기 희석기(15)는 물과 소독원액의 희석 시에 물과 소독원액이 균일하게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회전형 오리피스(도 4의 도면부호 33)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상기 회전형 오리피스(33)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의 회전형 오리피스(33)에는 원판 중심부와 원판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면서 원판 두께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미도시)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The
이러한 회전형 오리피스(33)는 희석기(15)의 공간 내에 희석기 본체측과 동축 구조로 삽입 설치되면서 희석기(15)의 내부를 흐르는 물과 소독원액의 흐름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e
이렇게 회전형 오리피스(33)가 희석기(15)의 내부에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므로서, 물과 소독원액의 흐름에 와류를 유도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와류 흐름에 의해 물과 소독원액의 교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물과 소독원액이 균일하게 골고루 희석될 수 있게 된다. As the
이와 더불어, 상기 희석기(15)에는 토출측에 압력해제장치(도 4의 도면부호 37)가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압력해제장치(37)는 장치 가동 시에만 계통 내에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장치 가동 정지 시에는 계통 내의 압력이 해제되도록 하여 장치의 내구성 및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a pressure release device (
또한,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희석장치 본체(14)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장치에 속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제어부(23)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어부(23)는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ncludes a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3)는 기 설정되어 있는 농도값에 기초하여 정량제어펌프(23)의 회전수를 제어하거나, 또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6d)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16e), 그리고 유량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7), 바이패스 밸브(25) 등의 ON/OFF 작동을 제어하거나, 또 유체흐름감지센서(28)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장치의 가동 및 경보음 발생을 제어하거나, 또 유량계(16i)로부터 입력받는 수치를 디스플레이창(29)에 표시되도록 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소독원액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유체흐름감지센서(28)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ncludes a
이러한 유체흐름감지센서(28)는 정량제어펌프(19)의 소독원액 유입배관(17) 및/또는 소독원액 토출배관(18)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유체감지센서(28)는 배관을 흐르는 소독원액의 흐름을 감지한 후, 이때의 감지신호를 제어부(23)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The fluid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3)는 유체흐름감지센서(28)로부터의 감지 신호, 예를 들면 소독원액이 정상적으로 흐를 때에는 ON 신호, 소독원액이 흐르지 않을 때에는 OFF 신호를 입력받게 되며, 만약 유체흐름감지센서(28)로부터의 OFF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장치의 가동을 멈추도록 하거나 경보음을 울리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이렇게 유체흐름감지센서(28)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는 물론 상기 투명한 관으로 되어 있는 소독원액 유입배관(17) 및 소독원액 토출배관(18)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소독원액의 흐름과 관련한 이상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소독원액이 전부 소진된 상태에서 장치가 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적절한 시기에 소독원액을 보충할 수 있어 장치 운용의 편리함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detec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fluid
여기서, 상기 유체흐름감지센서(28)는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감지하는 공지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Here, as the flui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의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는 소독원액 탱크(30)측 및 수도 배관(38)측과 각각 연결되어 소독원액과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connected to the disinfection
여기서, 상기 소독원액 탱크(30)는 주기적으로 소독원액을 보충할 수 있고 또 일정량의 소독원액을 저장할 수 있는 일반적인 탱크로서, 탱크 내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소독원액 배관(31)은 희석장치 본체(14)의 소독원액 유입구(11)에 연결된다. Here, the disinfection
그리고, 상기 소독원액 탱크(30)의 내부에는 소독원액 배관(31) 상의 펌프가 갖추어져 있어서 소독원액을 펌핑하여 소독원액 배관(31)을 통해 토출할 수 있게 되고, 또 소독원액 배관(31) 상의 필터가 갖추어져 있어서 소독원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disinfection
한편, 상기 소독원액 탱크(30)에는 브리드 콘트롤장치(34)가 연결 설치되며, 이때의 브리드 콘트롤장치(34)는 공기를 제습 및 제균하는 장치로서, 소독원액 탱크(30)로 투입되는 공기를 선(先) 제습 및 제균 처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
따라서, 상기 소독원액 탱크(30)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원액은 소독원액 배관(31)→소독원액 유입구(11)→소독원액 유입배관(17)→정량제어펌프(19)→소독원액 토출배관(18)→소독원액 입구(21)를 경유한 후, 희석기(15)의 내부로 유입되는 한편, 상기 수도 배관(38)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 유입구(10)→물 공급기(16)→물 입구(20)를 경유한 후, 희석기(15)의 내부로 유입된다. Therefore,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supplied from the disinfection
이때, 상기 희석기 본체(25)의 내부로는 기 설정된 농도에 맞게 조절된 각각의 물 유량과 소독원액 유량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flow rate and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flow rat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et concentration can be introduced into the
계속해서, 상기 희석기(15)의 내부로 유입된 물과 소독원액은 회전형 오리피스(33)의 회전 작동에 의해 와류를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희석기(15)의 내부에서는 물과 소독원액이 신속하고 충분하게 섞일 수 있게 되며, 이렇게 균일하게 혼합된(희석된) 물과 소독원액, 즉 사용처에서 원하는 농도로 맞춰진 살균수는 살균수 배출구(12)를 거쳐 각각의 사용처로 보내져 용도에 맞게 쓰일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the water and disinfectant stock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특히, 상기 유량계(16i) 등이 속해 있는 제2통합 배관(16h) 상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경우, 이때의 압력에 의해 역류되는 유량은 바이패스 배관(24)을 통해 제2분기 배관(16c)측으로 바이패스되므로, 물의 역류에 의한 맥동 현상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되고, 결국 희석수 농도 조절에 필요한 적정량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on the second
한편, 살균수의 희석 비율을 맞추기 위한 살균수 희석기의 초기 세팅 시, 상대적으로 대직경으로 이루어진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은 ON 상태로 둠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소직경으로 이루어진 유량조절용 배관(26)은 OFF 상태로 두고 물 공급량을 세팅할 수 있거나, 제1분기 배관(16b)은 ON 상태로 둠과 더불어 제2분기 배관(16c)과 유량조절용 배관(26)은 OFF 상태로 두고 물 공급량을 세팅할 수 있거나,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은 OFF 상태로 둠과 더불어 유량조절용 배관(26)은 ON 상태로 두고 물 공급량을 세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initial setting of the sterilizing water diluter to adjust the dilution ratio of the sterilizing water, the
이렇게 제1분기 배관(16b), 제2분기 배관(16c) 및 유량조절용 배관(26)의 3개의 배관을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ON/OFF 시키면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하고 폭넓은 범위 대역의 살균수 농도값(소독원액 농도값)을 조절할 수 있고, 또 살균수 농도값(소독원액 농도값)을 미세 단위로 세분화하여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while appropriately and selectively turning ON/OFF the three pipes of the
특히, 상대적으로 가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유량조절용 배관(26)을 이용하여 물의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세팅 시에 유량의 밸런스를 잡는데 매우 유리하다. In particular, since the flow rate of water can be finely adjusted using the flow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농도 설정값에 따라 RPM을 가변시켜서 펌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량제어펌프를 통해 희석기측으로 소독원액을 공급하고, 이와 연계하여 해당 농도에 맞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물 공급기를 통해 희석기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용도별 농도의 소독원액을 정확하게 계량화하고 희석시켜서 각 사용처에서 원하는 농도의 살균수를 생산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2개의 분기 배관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함과 더불어 2개의 분기 배관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1개의 분기 배관측 사이에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물의 역류에 의한 맥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정확하게 제어된 유량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infectant stock solution is supplied to the diluter side through a quantitative control pump capable of adjusting the pumping amount by varying the RPM according to various concentration settings, and in connection with this, the flow rate of water suitable for the concentration can be adjusted and supplied. By adopting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diluter side through a water supply device located insid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quantify and dilute the disinfectant stock solution at the concentration for each purpose to produce sterilized water of the desired concentration at each use point. In addition to supplying water using a pipe, by installing a bypass pipe between the side of one branch pipe at the point where two branch pipes join, it is possible to prevent pulsation caused by reverse flow of water. water can be supplied.
10 : 물 유입구
11 : 소독원액 유입구
12 : 살균수 배출구
13 : 커버
14 : 희석장치 본체
15 : 희석기
16 : 물 공급기
16a : 제1통합 배관 16b : 제1분기 배관
16c : 제2분기 배관 16d : 제1솔레노이드 밸브
16e : 제2솔레노이드 밸브 16f : 제1수동조작 밸브
16g : 제2수동조작 밸브 16h : 제2통합 배관
16i : 유량계
17 : 소독원액 유입배관
18 : 소독원액 토출배관
19 : 정량제어펌프
20 : 물 입구
21 : 소독원액 입구
22 : 살균수 출구
23 : 제어부
24 : 바이패스 배관
25 : 바이패스 밸브
26 : 유량조절용 배관
27 : 유량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28 : 유체흐름감지센서
29 : 디스플레이창
30 : 소독원액 탱크
31 : 소독원액 배관
32a,32b : 첵밸브
33 : 회전형 오리피스
34 : 브리드 콘트롤장치
35 : 유량조절용 수동조작 밸브
36 : 미세유량조절장치
37 : 압력해제장치
38 : 수도 배관10: water inlet
11: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let
12: sterilizing water outlet
13 : cover
14: dilution device body
15: Diluter
16: water supply
16a: first
16c: second branch piping 16d: first solenoid valve
16e:
16g: 2nd manually operated
16i: flow meter
17: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let pipe
18: Disinfection liquid discharge pipe
19: quantitative control pump
20: water inlet
21: disinfection stock solution entrance
22: sterilizing water outlet
23: control unit
24: bypass piping
25: bypass valve
26: piping for flow control
27: solenoid valve for flow control
28: fluid flow sensor
29: display window
30: Disinfection stock solution tank
31: Disinfection stock solution piping
32a, 32b: check valve
33: rotary orifice
34: breath control device
35: Manually operated valve for flow control
36: fine flow control device
37: pressure release device
38: water pipe
Claims (4)
상기 희석장치 본체(14)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물 유입구(10)와 연결되어 희석기(15)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물 유입구(10)와 연결되는 제1통합 배관(16a)과, 상기 제1통합 배관(16a)에서 분기되면서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과, 상기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의 선단 구간에 각각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6d)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16e)와, 상기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의 후단 구간에 각각 설치되되, 희석장치 본체(14)의 외부로 노출되어 수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의 흐름량을 조절하는 제1수동조작 밸브(16f) 및 제2수동조작 밸브(16g)와, 상기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에서 합류되면서 희석기(15)측으로 연결되는 제2통합 배관(16h)과, 상기 제2통합 배관(16h) 상에 설치되어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16i)를 포함하는 물 공급기(16);
상기 희석장치 본체(14)의 내부에 설치되고 소독원액 유입구(11)측과 연결되는 소독원액 유입배관(17) 및 희석기(15)측과 연결되는 소독원액 토출배관(18)을 가지면서 소독원액을 희석기(15)로 공급하며 설정값에 따라 RPM을 가변시켜서 펌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정량제어펌프(19);
상기 희석장치 본체(14)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 공급기(16)측과 연결되는 후단의 물 입구(20) 및 정량제어펌프(19)측과 연결되는 상단의 소독원액 입구(21), 그리고 선단의 살균수 출구(22)를 가지면서 물과 소독원액을 희석하는 희석기(15);
상기 희석장치 본체(14)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정량제어펌프(19)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3);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통합 배관(16h)과 제2분기 배관(16c)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2통합 배관(16h)이 속해 있는 구간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 역류되는 물을 제2분기 배관(16c)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배관(24)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24) 상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분기 배관(16b) 및 제2분기 배관(16c)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통합 배관(16a)에서 분기되어 제2통합 배관(16h)으로 연결되는 유량조절용 배관(26)과,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26)의 선단 구간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량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7)와, 상기 유량조절용 배관(26)의 후단 구간에 설치되되, 희석장치 본체(14)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수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량의 미세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유량조절용 수동조작 밸브(35)로 구성되는 미세유량조절장치(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분기 배관(16b)과 제2분기 배관(16c)은 동일한 직경의 관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각 배관을 흐르는 물의 유속, 유량, 유압이 같아지게 되므로서, 제2통합 배관(16h)측의 구간에서 압력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에도 어느 한쪽의 배관으로만 압력이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
It is equipped with a water inlet (10) for water inflow, a disinfectant stock solution inlet (11) for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flow, and a sterilizing water outlet (12) for sterilizing water discharge, and consists of a square case having an openable cover (13). Dilution device body 14;
A first integrated pipe 16a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10 as a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diluter 15 by being installed inside the dilution device body 14 and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10; The ends of the first branch pipe 16b and the second branch pipe 16c branched from the first integrated pipe 16a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the first branch pipe 16b and the second branch pipe 16c. The first solenoid valve 16d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16e installed in each section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and the rear end sections of the first branch pipe 16b and the second branch pipe 16c are respectively installed. , the first manually operated valve 16f and the second manually operated valve 16g, which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lution device main body 14 and are installed to be manually operat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water, and the first branch pipe 16b ) And a second integrated pipe 16h connected to the diluter 15 side while joining in the second branch pipe 16c, and a flowmeter 16i installed on the second integrated pipe 16h to measure the flow rate of water A water supplier 16 including a;
Disinfection while having a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let pipe 17 installed inside the dilution device body 14 and connected to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let 11 side and a disinfection stock solution discharge pipe 18 connected to the diluter 15 side A constant control pump (19) that supplies the stock solution to the diluter (15) and adjusts the pumping amount by varying the RPM according to the set value;
The water inlet 20 at the rear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ier 16 side installed inside the dilution device body 14 and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let 21 at the top connected to the metering control pump 19 side, and the front end Diluter 15 for diluting water and disinfectant stock solution while having a sterilizing water outlet 22;
A control unit 23 installed inside the dilution device main body 14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etering control pump 19;
Including,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integrated pipe 16h and the second branch pipe 16c, and the water flowing back due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tion to which the second integrated pipe 16h belongs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branch pipe 16c. Further comprising a bypass pipe 24 for passing and a bypass valve 25 installed on the bypass pipe 24,
The flow control pipe 26 branched from the first integrated pipe 16a and connected to the second integrated pipe 16h while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branch pipe 16b and the second branch pipe 16c. ), a flow control solenoid valve 27 installed in the front section of the flow control pipe 26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and a flow control solenoid valve 27 installed in the rear section of the flow control pipe 26, the dilution device main body 14 Further comprising a fine flow control device 36 composed of a manual control valve 35 for flow control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manually operated to enable fine control of the flow rate,
The first branch pipe 16b and the second branch pipe 16c are made of pipes of the same diameter, and accordingly, the flow rat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water flowing through each pipe become the same, so that the second integrated pipe 16h Sterilized water dilution device with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ure from being biased to only one pipe even when pressure changes occur in the section on the ) side.
상기 정량제어펌프(19)의 소독원액 유입배관(17)과 소독원액 토출배관(18)에 각각 설치되어 소독원액의 흐름을 감지한 후에 이때의 감지신호를 제어부(23)로 전송하는 유체흐름감지센서(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The method of claim 1,
Fluid flow detection installed in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inlet pipe 17 and disinfection stock solution discharge pipe 18 of the quantitative control pump 19 to detect the flow of the disinfection stock solution and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 at this time to the control unit 23 A sterilizing water dilution device with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2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50917A KR102501728B1 (en) | 2021-04-20 | 2021-04-20 | Sterile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 fl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50917A KR102501728B1 (en) | 2021-04-20 | 2021-04-20 | Sterile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 flow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44519A KR20220144519A (en) | 2022-10-27 |
| KR102501728B1 true KR102501728B1 (en) | 2023-02-17 |
Family
ID=8381021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50917A Active KR102501728B1 (en) | 2021-04-20 | 2021-04-20 | Sterile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 flow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0172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05802A (en) | 2022-12-29 | 2024-07-08 | 김정남 | Easiness type device for manufactureing sodium hypochlorit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56371B1 (en) * | 2015-03-20 | 2015-09-30 |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127595B2 (en) | 1992-08-27 | 2001-01-29 | 株式会社島津製作所 | Variable displacement pump / motor displacement control device |
| JP2004305813A (en) | 2003-04-02 | 2004-11-04 | Meiwa Kosan Kk | Disinfectant injection device |
| KR100761311B1 (en) | 2005-12-08 | 2007-10-04 | 김건표 | Sterilization Water Automatic Manufacturing Equipment |
| KR100706215B1 (en) | 2006-09-19 | 2007-04-13 | 표수길 | Chlorine Disinfection Water Generator |
| KR20110026075A (en) | 2009-09-07 | 2011-03-15 | 오영한 | Apparatus and method for magnetizing fluid |
| KR102232416B1 (en) * | 2018-03-22 | 2021-03-26 | 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having deionization filter |
| KR20200105252A (en) | 2019-02-28 | 2020-09-07 | 김정남 | Dilution device for sterile water |
-
2021
- 2021-04-20 KR KR1020210050917A patent/KR1025017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56371B1 (en) * | 2015-03-20 | 2015-09-30 |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44519A (en) | 2022-10-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A2315355C (en) |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 |
| KR100802361B1 (en) |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 |
| KR100706215B1 (en) | Chlorine Disinfection Water Generator | |
| CN106715338A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lets and outlets to cell pairs in an electrochemical separation device | |
| CN101360686A (en) | Continuous Hypochlorite Generator | |
| JP201011563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h | |
| EP2361227B1 (en) | Disinfection system | |
| JP4828012B2 (en) | Disinfection water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 |
| EP1878704A1 (en) |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 |
| KR101492879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 KR102501728B1 (en) | Sterile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 flow | |
| KR101439948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 US20120267256A1 (en) | Independent production of electrolyzed acidic water and electrolyzed basic water | |
| KR20200105252A (en) | Dilution device for sterile water | |
| JP4730258B2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and sink equipped with the same | |
| KR101446127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 KR200435320Y1 (en) | Chlorine Disinfection Water Generator | |
| US12084362B2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sinfectant | |
| JP3573185B2 (en) | Method for enhancing the sterilizing power of sodium hypochlorite | |
| KR20190025240A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rilizing water | |
| KR101967799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 JP2008006347A (en) |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and sink equipped with this | |
| JP3766848B2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
| JP3508409B2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
| KR20140086600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