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676B1 - Cosmetology soil board - Google Patents
Cosmetology soil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2676B1 KR102502676B1 KR1020220050928A KR20220050928A KR102502676B1 KR 102502676 B1 KR102502676 B1 KR 102502676B1 KR 1020220050928 A KR1020220050928 A KR 1020220050928A KR 20220050928 A KR20220050928 A KR 20220050928A KR 102502676 B1 KR102502676 B1 KR 1025026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handle
- support
- receiving plate
- plaste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장용 흙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판에 구비된 손잡이에 대한 파지 방향이 작업이 이루어지는 주변상황이나 작업방식, 작업자 등에 맞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벽체 등에 대한 미장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장용 흙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y plate for plastering, and more particularly, by allowing the gripping direction of a handle provided on the clay plat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work method, and worker in which the work is performed, smooth plastering work on the wall of a building, etc. It is about a clay plate for plastering so that it can be done.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 등은 벽체를 시멘트로 마감하기 위해 물에 갠 시멘트(이하 "모르타르"라 한다)를 바르는 미장작업을 수행한다.In general, concrete buildings, etc., perform plastering work by applying c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rtar") in water to finish the walls with cement.
이와 같은 미장작업은 미장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 등이 한 손에 지지된 흙판에 모르타르를 올려 놓고 다른 한 손으로 잡은 흙손으로 모르타르를 벽체에 바르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Such a plastering work is performed by putting mortar on a soil plate supported by one hand and applying mortar to a wall with a trowel held by the other han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0679호(2017.01.31.)에는 '미장용 흙판'이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00679 (2017.01.31.) discloses a 'soil plate for plastering'.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흙판은 손잡이가 판형으로 이루어진 본체에 방향조절없이 고정되기 때문에 미장작업으로의 사용시, 주변 여건이나 작업자 등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mud plate is fixed to a main body made of a plate shape without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handle, it is difficult to adjust and use it according to surrounding conditions or workers when used for plastering work.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흙판에 구비된 손잡이에 대한 파지 방향이 작업이 이루어지는 주변상황이나 작업방식, 작업자 등에 맞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벽체 등에 대한 미장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장용 흙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gripping direction for the handle provided on the soil plat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work method, operator, etc. It is to provide a clay plate for plastering so that the plastering work can be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받이판(110); 및 받이판(110)에 구비되는 손잡이(120)를 포함하는 미장용 흙판(100)으로서, 손잡이(120)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장치(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130)는 손잡이(12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회전바(131); 받이판(110)에 고정되는 고정바(132); 및 회전바(131)를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133)은 힌지축(134)으로 이루어지며 회전바(131)의 타단부를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회전바(131)는 타단부에 고정바(132)의 상부로 인입되는 회전돌기(131a)가 형성되면서 힌지축(134)에 의해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돌기(131a)에는 힌지축(134)이 통과하는 가이드공(131b)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고정바(132)는 후면에 접이되는 회전바(131)의 타단부가 인입되는 홈부(132a)가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130)는 방향 조절된 상태의 손잡이(120)를 잠금하는 잠금수단(135)을 더 포함하고, 잠금수단(135)은 회전바(131)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잡이(120)가 펴진 상태에서 회전바(131)의 타단부와 고정바(132)의 하부로 동시에 나사결합되면서 손잡이(120)의 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손잡이(120)가 접힌 상태에서 회전바(131)의 타단부로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바(132)로 밀착되면서 손잡이(120)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절레버(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justing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135)은 고정바(13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접이되는 회전바(131)가 인입되는 인입홈(137a)이 형성되는 한편, 조절레버(136)가 나사결합되는 잠금돌기(1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means 13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또한, 손잡이(12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받이판(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지지수단(140)을 더 포함하며, 보조지지수단(140)은 받이판(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바(141); 지지바(141)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143); 및 지지대(143)를 지지바(141)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바(142)를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upport means 140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141)는 상부가 받이판(11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연결바(142)는 하부가 지지대(1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부가 지지바(141)의 내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지지대(143)는 연결바(142)의 회전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받이판(110)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흙판에 구비된 손잡이에 대한 파지 방향이 작업이 이루어지는 주변상황이나 작업방식, 작업자 등에 맞게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건물의 벽체 등에 대한 미장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ipping direction of the handle provided on the soil plat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work method, operator, etc. in which the work is performed, plastering work on the wall of the building can be smoothly perform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용 흙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장용 흙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용 흙판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장용 흙판에서 조절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장용 흙판에서 손잡이와 함께 회전바가 접이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 손잡이와 함께 회전바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y plate for plas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clay plate for plas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showing a clay plate for plas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djusting device in the clay plate for plas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ar is folded together with the handle in the plastering cla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bar is unfolded together with the handle in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받이판(110) 및 받이판(110)에 구비되는 손잡이(120)를 포함하는 미장용 흙판(100)으로서, 손잡이(120)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장치(130)를 더 포함한다.1 to 6,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stering
미장용 흙판(100)은 미장 작업시, 손잡이(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받이판(110)의 상부로 올려지는 모르타르 등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작업이 이루어지는 주변상황, 작업방식, 작업자 등에 맞게 손잡이(120)의 방향이 적절하게 조절되면서 미장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받이판(110)은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예를 들면, 받이판(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를 이루면서 네 모시리부가 모따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the
손잡이(120)는 양단부가 받이판(11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받이판(11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조절장치(130)에 의해 받이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Both ends of the
조절장치(130)는 손잡이(120)를 받이판(110)에 방향조절 가능하게 연결하여 손잡이(120)가 회전에 따라 접이되면서 받이판(110)의 중앙부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하거나 펴지면서 받이판(110)의 전단부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한다.The
손잡이(120)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접이에 따라 대략 수평을 이루거나 펴지면서 대략 수직을 이룰 수 있다.As shown in FIG. 1 or FIG. 3 , the
즉, 손잡이(120)는 수평으로 접이되는 경우, 받이판(110)과 대략 평행을 이루고, 수직으로 펴지는 경우, 받이판(110)과 대략 직교를 이룬다.That is, the
이에 따라, 미장용 흙판(100)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주변상황이나 작업방식, 작업자 등에 맞게 손잡이(120)의 방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예를 들면, 2인의 작업자가 미장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어느 한 작업자가 흙손(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건물 등의 벽체에 모르타르를 바르고 다른 한 작업자가 미장용 흙판(100)을 들고 있을 수 있다. 이때의 다른 한 작업자는 손잡이(120)의 방향을 수직으로 조절하여 미장용 흙판(100)에 대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받이판(110)의 일측이 벽체로 밀착되도록 하여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모르타르가 받이판(110)으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wo workers perform plastering work, one worker applies mortar to a wall such as a building using a trowel (not shown) and the other worker can hold the plastering
또는, 1인의 작업자가 미장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어느 한 손으로 흙손 등을 파지하고 건물 등의 벽체에 모르타르를 바르고 다른 한 손으로 손잡이(120)를 파지하여 미장용 흙판(100)을 들 수 있다. 이때의 작업자는 손잡이(120)의 방향을 수평으로 조절하여 미장용 흙판(100)에 대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 single worker performs plastering work, the worker grips a trowel with one hand, applies mortar to a wall of a building, etc., and grips the
이를 위해, 조절장치(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회전바(131), 받이판(110)에 고정되는 고정바(132) 및 회전바(131)를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33)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adjusting
손잡이(120)는 받이판(11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연결수단(133)에 의해 받이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회전바(131)는 일단부가 손잡이(1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연결수단(133)에 의해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rotating
고정바(132)는 상부가 받이판(11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연결수단(133)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34)으로 이루어지며 회전바(131)의 타단부를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As shown in FIGS. 3 to 6 , the connecting
회전바(131)는 타단부에 고정바(132)의 상부로 인입되는 회전돌기(131a)가 형성되면서 힌지축(134)에 의해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The rotating
여기서, 회전바(131)의 타단부는 손잡이(120)가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회전바(131)의 상부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other end of the
고정바(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접이되는 회전바(131)의 타단부가 인입되는 홈부(132a)가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고정바(132)는 하부 후면에 홈부(132a)가 형성되면서 회전바(131)가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회전바(131)에 대한 전방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편, 후방으로의 접이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회전돌기(131a)에는 힌지축(134)이 통과하는 가이드공(131b)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A
가이드공(131b)은 손잡이(120)의 접이 또는 펴짐시, 회전바(131)가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일정길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여 손잡이(120)와 함께 회전되는 과정에서 고정바(132)와의 접촉 등에 의한 회전 방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When the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회전바(131)는 접이된 상태로부터 펴짐시,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펴지는 한편, 회전돌기(131a)가 고정바(132)의 전면 내측에 접하면서 회전이 정지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회전바(131)는 펴진 상태로부터 접이시, 일단부가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접이되는 한편, 회전돌기(131a)가 홈부(132a)로 인입되면서 회전이 정지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rotating
손잡이(120)는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회전바(131)와 함께 회전되면서 접이 또는 펴지므로, 본 발명에서의 손잡이(120)의 방향 조절은 회전바(131)가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접이 또는 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Since the
조절장치(130)는 펴진 또는 접힌 상태의 손잡이(120)를 잠금하는 잠금수단(135)을 더 포함한다.The adjusting
즉, 잠금수단(135)은 방향 조절된 손잡이(120)가 움직이지 않도를 잠금한다.That is, the locking means 135 locks the direction-adjusted
잠금수단(135)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131)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잡이(120)가 펴진 상태에서 회전바(131)의 타단부와 고정바(132)의 하부로 동시에 나사결합되면서 손잡이(120)의 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손잡이(120)가 접힌 상태에서 회전바(131)의 타단부로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바(132)로 밀착되면서 손잡이(120)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절레버(13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6, the locking means 135 is mov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회전바(131)는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고정바(132)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조절레버(13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조절레버(136)는 회전바(131)가 펴짐 회전에 의해 고정바(132)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될 때, 회전바(131) 및 고정바(132)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바(131)가 고정바(132)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잠금한다.The
조절레버(136)는 조임 회전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고정바(132)로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회전바(131)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바(131)를 고정바(132)에 고정한다.As the
즉, 조절레버(136)는 손잡이(120)가 펴진 상태에서 회전바(131) 및 고정바(132)로 나사결합되면서 펴진 상태의 회전바(131)가 고정바(132)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잠금한다. 이때의 조절레버(136)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고정바(132)로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회전바(131)로 나사결합된다.That is, the
손잡이(120)는 수직으로 펴짐에 따라 받이판(110)의 전단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동시에 받이판(110)과 대락 수직을 이룰 수 있다.As the
조절레버(136)는 손잡이(120)가 접힌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회전바(131)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는 한편, 고정바(132)로 밀착되면서 접힌 상태의 회전바(131)를 고정바(132)에 잠금한다.The
즉, 조절레버(136)는 손잡이(120)가 펴진 상태에서 고정바(132)로의 조임 회전에 따라 회전바(131) 및 고정바(132)로 나사결합되면서 손잡이(120)의 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풀림 회전에 따라 회전바(131)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손잡이(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the
조절레버(136)는 손잡이(120)가 접힌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회전바(131)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며 고정바(132)로 밀착되면서 손잡이(120)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The
손잡이(120)는 수평으로 접이됨에 따라 받이판(110)의 중앙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동시에 받이판(110)과 대락 평행을 이룰 수 있다.As the
잠금수단(135)은 고정바(13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접이되는 회전바(131)가 인입되는 한편, 조절레버(136)가 나사결합되는 잠금돌기(137)를 더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135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잠금돌기(137)는 홈부(132a)와 연통되는 인입홈(137a)이 형성되면서 접이되는 회전바(131)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locking
잠금돌기(137)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조절레버(136)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locking
조절레버(136)는 손잡이(120)가 접이된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잠금돌기(442)로 나사결합되면서 손잡이(120)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풀림 회전에 따라 잠금돌기(442)로부터 분리되면서 손잡이(1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손잡이(120)는 접이된 상태에서 조절레버(136)가 잠금돌기(137)로 나사결합되면서 보다 안정된 접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조절레버(136)는 손잡이(120)가 펴진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른 승강시, 잠금돌기(137)와 접하면서 승강이 정지될 수 있다.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미장용 흙판(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받이판(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지지수단(140)을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보조지지수단(140)은 작업자가 손으로 손잡이(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팔 등으로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auxiliary support means 140 allows the operator to support the
이는, 미장용 흙판(100)에 대한 파지시, 손잡이(120)가 받이판(110)의 중앙부로부터 전단부 측으로 편향됨으로 인해 받이판(110)에 대한 수평 상태의 유지가 쉽지 않은 것을 해소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solve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receiving
즉, 보조지지수단(140)은 작업자가 손으로 손잡이(120)를 파지함으로 인해 받이판(110)의 전단부 측이 지지되는 것에 맞춰 받이판(110)의 후단부 측이 팔 등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미장용 흙판(110)에 대한 사용시, 받이판(110)에 대한 수평 상태의 유지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in the auxiliary support means 140, the rear end side of the receiving
보조지지수단(140)은 받이판(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바(141), 지지바(141)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143) 및 지지대(143)를 지지바(141)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바(142)를 포함한다.Auxiliary support means 140 is a
지지바(141)는 상부가 받이판(11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연결바(142)의 상부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연결바(14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부가 지지대(1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지지바(14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바(14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지바(141)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된다.The
지지대(143)는 작업자의 팔 등으로 안착될 수 있는 형태를 이루거나 작업자 등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The
예를 들면, 지지대(143)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the
지지대(143)는 연결바(142)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받이판(110)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As the
다시 말하면, 지지대(143)는 연결대(142)의 회전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손잡이(120)와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이에 따라, 미장용 흙판(100)은 지지대(143)가 연결대(142)의 회전을 통해 승,하강되며 손잡이(120)와의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작업자 등에 의한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지지대(143)는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연결바(142)와 함께 지지바(141)로부터 분리 보관되다 필요에 따라 연결바(142)가 지지바(141)로 나사결합됨으로써 받이판(110)에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이는, 미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주변상황, 작업방식, 작업자 등에 맞게 손잡이(120)의 방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과정에서 지지대(143)가 불필요하거나 손잡이(120)의 파지에 방해가 되는 상태가 발생될 때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함이다.This is when the
이로 인해, 미장용 흙판(100)은 조절레버(136)의 조작을 통해 손잡이(120)의 방향이 적절하게 조절될 있음으로써 미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주변상황, 작업방식, 작업자 등에 맞게 손잡이(120)의 방향이 적절하게 조절되면서 미장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direc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용 흙판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lastering soi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100 : 미장용 흙판 110 : 받이판
120 : 손잡이 130 : 조절장치
131 : 회전바 132 : 고정바
133 : 연결수단 135 : 잠금수단
140 : 보조지지수단100: clay plate for plastering 110: receiving plate
120: handle 130: control device
131: rotation bar 132: fixed bar
133: connecting means 135: locking means
140: auxiliary support means
Claims (7)
받이판(110)에 구비되는 손잡이(120); 및
손잡이(120)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장치(130);를 포함하는 미장용 흙판(100)으로서,
상기 조절장치(130)는, 손잡이(12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회전바(131); 받이판(110)에 고정되는 고정바(132); 회전바(131)를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33); 및 방향 조절된 상태의 손잡이(120)를 잠금하는 잠금수단(135)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133)은 힌지축(134)으로 이루어지며 회전바(131)의 타단부를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회전바(131)는 타단부에 고정바(132)의 상부로 인입되는 회전돌기(131a)가 형성되면서 힌지축(134)에 의해 고정바(1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돌기(131a)에는 힌지축(134)이 통과하는 가이드공(131b)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132)는 후면에 접이되는 회전바(131)의 타단부가 인입되는 홈부(132a)가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잠금수단(135)은, 회전바(131)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잡이(120)가 펴진 상태에서 회전바(131)의 타단부와 고정바(132)의 하부로 동시에 나사결합되면서 손잡이(120)의 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손잡이(120)가 접힌 상태에서 회전바(131)의 타단부로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바(132)로 밀착되면서 손잡이(120)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절레버(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판.receiving plate 110;
A handle 120 provided on the receiving plate 110; and
As a plastering mud plate 100 including a; adjusting device 130 that enables direction control of the handle 120,
The adjusting device 130 includes a rotating bar 13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120; A fixing bar 132 fixed to the receiving plate 110; connecting means 133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rotating bar 131 to the fixing bar 132; And a locking means 135 for locking the knob 120 in a direction-adjusted state,
The connecting means 133 is made of a hinge shaft 134 and rotatably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131 to the fixed bar 132,
The rotating bar 131 is rotatably fixed to the fixed bar 132 by the hinge shaft 134 while the rotating protrusion 131a drawn into the top of the fixed bar 132 is formed at the other end,
A guide hole 131b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134 passes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rotrusion 131a,
The fixing bar 132 is formed with a groove 132a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bar 131 folded on the rear side is inserted,
The locking means 135 is mov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bar 131 and is simultaneously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bar 13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ar 132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120 is unfolded. The unfolded state of the handle 120 is maintained, or while the handle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bar 132 by screwing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131 in a folded state, the folded state of the handle 120 Plastering soi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lever 136 to be maintained.
상기 잠금수단(135)은 고정바(13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접이되는 회전바(131)가 인입되는 인입홈(137a)이 형성되는 한편, 조절레버(136)가 나사결합되는 잠금돌기(1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판.According to claim 4,
The locking means 135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ar 132 and has an inlet groove 137a into which the folded rotation bar 131 is inserted, while the control lever 136 is screwed into locking. Plastering cla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jection (137).
손잡이(12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받이판(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지지수단(140)을 더 포함하며,
보조지지수단(140)은
받이판(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바(141);
지지바(141)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143); 및
지지대(143)를 지지바(141)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바(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판.According to claim 4 or 5,
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upport means 14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plate 110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andle 120,
Auxiliary support means 140 is
Support bar 141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110;
Support 143 disposed under the support bar 141; and
Plastering soi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bar 142 for connecting the support 143 to the support bar 141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상기 지지바(141)는 상부가 받이판(11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연결바(142)는 하부가 지지대(1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부가 지지바(141)의 내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기 지지대(143)는 연결바(142)의 회전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받이판(110)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판.According to claim 6,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141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110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bar 142 is rotatably fixed to the support bar 143 and the upper part is screw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bar 141 so as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The support 143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bar 142, and the distance from the receiving plate 110 is adjus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50928A KR102502676B1 (en) | 2022-04-25 | 2022-04-25 | Cosmetology soil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50928A KR102502676B1 (en) | 2022-04-25 | 2022-04-25 | Cosmetology soil boar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502676B1 true KR102502676B1 (en) | 2023-02-21 |
Family
ID=8532812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50928A Active KR102502676B1 (en) | 2022-04-25 | 2022-04-25 | Cosmetology soil boar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02676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622885B1 (en) * | 2001-10-09 | 2003-09-23 | Yury M. Erman | Arm mounted transporting tray for food containers |
| KR20110003704U (en) * | 2009-10-08 | 2011-04-14 | 황규환 | Cosmetology soil board available for both hands |
| KR20130002392U (en) * | 2011-10-12 | 2013-04-22 | 주식회사 영일산업 | Folding type hanger |
| KR101700679B1 (en) | 2014-10-24 | 2017-01-31 | 이대훈 | Cosmetology soil board |
| CN214885240U (en) * | 2021-02-01 | 2021-11-26 | 刘贤章 | Scraper blade for building decoration |
-
2022
- 2022-04-25 KR KR1020220050928A patent/KR1025026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622885B1 (en) * | 2001-10-09 | 2003-09-23 | Yury M. Erman | Arm mounted transporting tray for food containers |
| KR20110003704U (en) * | 2009-10-08 | 2011-04-14 | 황규환 | Cosmetology soil board available for both hands |
| KR20130002392U (en) * | 2011-10-12 | 2013-04-22 | 주식회사 영일산업 | Folding type hanger |
| KR101700679B1 (en) | 2014-10-24 | 2017-01-31 | 이대훈 | Cosmetology soil board |
| CN214885240U (en) * | 2021-02-01 | 2021-11-26 | 刘贤章 | Scraper blade for building decorat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502676B1 (en) | Cosmetology soil board | |
| US12110700B2 (en) | Scaffold support | |
| CN104653127A (en) | Sleeve straightening mechanical arm | |
| CN215807309U (en) | Adjustable cloud platform device of mining appearance of making a video recording | |
| CN107970807A (en) | The mixing plant of coating is used based on wall surface device | |
| CN213268810U (en) | Steel construction operation panel | |
| KR200496200Y1 (en) | Support holder for laser leveler | |
| WO199503359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longitudinal hole in a pipe | |
| US11577377B2 (en) | Mobile inverted drill press | |
| JP7054949B2 (en) | Scaffolding jack rotation aid | |
| JP4168246B2 (en) | Pipe suspension device | |
| US10421132B1 (en) | Drill extension | |
| CN214769148U (en) | Portable auxiliary top plate drilling device | |
| CN213062369U (en) | Vert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fabricated components of assembly type building | |
| JP2006283470A (en) | Positioning guide device of pile and static load type pile press-in device equipped therewith | |
| KR20220000029U (en) | Paint bucket for high place work | |
| US4116287A (en) | Well drilling assembly and method | |
| CN207385298U (en) | Building waterproof construction coating mixed stirring device | |
| KR102405317B1 (en) | Pile cutting apparatus | |
| KR102566599B1 (en) | level adjusting apparatus for swing door | |
| KR102566597B1 (en) | level adjusting apparatus for swing door | |
| KR200189895Y1 (en) | Appartus for rocking a structure assembly | |
| JPH0686771B2 (en) | Construc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partition wall | |
| CN217480741U (en) | Wall whitewashes device with adjustable angle | |
| CN217475899U (en) | Auxiliary mounting device for swivel chair chassi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5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