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896B1 - Vibration part assembly for speaker - Google Patents
Vibration part assembly for sp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7896B1 KR102517896B1 KR1020210050999A KR20210050999A KR102517896B1 KR 102517896 B1 KR102517896 B1 KR 102517896B1 KR 1020210050999 A KR1020210050999 A KR 1020210050999A KR 20210050999 A KR20210050999 A KR 20210050999A KR 102517896 B1 KR102517896 B1 KR 102517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hragm
- attached
- voice coil
- speaker
- magn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 엣지의 설치로 더스트캡을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되면서 상측 진폭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고 진동판과 보이스코일의 접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접착 부위의 손상에 따른 수명의 단축이 적절히 방지되도록 하는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진동부 어셈블리는 보이스코일(50)과, 상기 보이스코일(50)이 끼워져 부착되는 진동판(60)과, 상기 진동판(60)의 외측단에 부착되는 엣지(70)와, 상기 진동판(60)의 내측 상면에 외측 하면이 부착되는 이너 엣지(8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that removes the dust cap by installing the inner edge to make the overall slimmer, secures a sufficient upper amplitude space, and easily attaches the diaphragm and voice coil while properly preventing shortening of life due to damage to the adhesive part. This vibration unit assembly includes a voice coil 50, a diaphragm 60 to which the voice coil 50 is fitted and attached, and an edge 70 attached to an outer end of the diaphragm 60. ) and an inner edge 80 to which an outer lower surface is attached to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60.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너 엣지의 설치로 더스트캡을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되면서 상측 진폭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고 진동판과 보이스코일의 접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접착 부위의 손상에 따른 수명의 단축이 적절히 방지되도록 하는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ng unit assembly for a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by removing a dust cap by installing an inner edge to slim down the whole, ensure a sufficient upper amplitude space, and easily bond the diaphragm and voice coil to the bonding area. It relates to a vibration unit assembly for a speaker that properly prevents shortening of life due to damage to the speaker.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磁界)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공극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스코일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신호가 보이스코일에 인가되면 보이스코일은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보이스코일에 부착되어 있는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켜 궁극적으로 인간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음압(音壓)을 발생시키게 된다.In general, a speaker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by a voice coil existing between air gaps according to Fleming's left-hand rule, in which a current-carrying conductor receives force when it is in a magnetic field. That is, when a current signal containing various frequencies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the voice coil generates mechanical energy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nd the size of the frequency, and generates vibration in the diaphragm attached to the voice coil, ultimately being perceived by the human ear. It generates a sound pressure of a predetermined size that can be generated.
이와 같은 스피커는 고음용, 중음용 및 저음용, 그리고 전 대역용으로 나눠지고, 고음용은 트위터(Tweeter)로 출력 파장이 짧은 것을 말하고, 중음용은 미드레인지(Midranger) 또는 스퀘커(Squaker)라고 하며, 저음용은 우퍼(Woofer)로 출력 파장이 긴 것을 말한다.Such speakers are divided into high-pitched, mid-pitched and low-pitched, and full-band, high-pitched tweeters with a short output wavelength, and mid-range midrangers or squakers. For low sound, it means a woofer with a long output wavelength.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는 프레임(200)과, 이 프레임(200) 내부의 빈 공간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요크(120), 마그네트(130), 및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와 요크(120) 사이에 설치된 보이스코일(190)과, 상기 보이스코일(190)의 외주면에 설치된 댐퍼(150)와, 상기 프레임(200)의 빈 공간을 커버하는 동시에 댐퍼(150)의 상면을 커버하며 설치된 진동판(160)과, 상기 보이스코일(190)의 상면을 커버하며 설치된 더스트캡(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a conventional speaker includes a
특히 상기 더스트캡(170)은 댐퍼(150) 및 진동판(160)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진동판(160)의 외곽 가장자리 끝단부에는 엣지(180)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댐퍼(150)는 보이스코일(190)의 측면과 프레임(200)의 바닥에 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스피커는 진동판의 상부로 더스트캡이 돌출되게 부착되어 전체적으로 슬림화하기 어렵고 상측 진폭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speakers have a problem in that the dust cap protrudes from the top of the diaphragm, making it difficult to slim down the entire speaker and limiting the upper amplitude.
종래의 스피커는 더스트캡, 진동판, 보이스코일 및 댐퍼의 상호 접착 공정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접착된 부위가 잘 손상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speakers have a problem in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ime and manpower is required for mutual bonding of the dust cap, diaphragm, voice coil, and damper, resulting in reduced productivity and a shortened lifespan due to easily damaged adhered part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이너 엣지의 설치로 더스트캡을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되면서 상측 진폭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고 진동판과 보이스코일의 접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접착 부위의 손상에 따른 수명의 단축이 적절히 방지되도록 하는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dust cap by installing the inner edge to make the overall slimmer, ensure a sufficient upper amplitude space, and to easily bond the diaphragm and voice coil, while properly preventing the shortening of life due to damage to the bonding area. It is to provide a vibration unit assembly for a speaker to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는,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상단이 끼워져 부착되도록 중앙에 부착통공이 형성되는 진동판과; 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프레임의 상면에 외측 둘레가 부착되며, 내측 둘레가 상기 진동판의 외측 상면에 부착되는 엣지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의 내측 둘레에 외측 하면이 부착되며, 내측 하면이 상부플레이트 또는 제2 마그넷의 상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너 엣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peaker vibration uni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coil; a diaphragm having an attachment hole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voice coil is inserted and attached thereto; an edge formed in a plate-like ring shape, an outer circumferenc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n inner circumference attached to an outer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an inner edg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 outer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iaphragm, and an inner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second magne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의 상기 이너 엣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제2 마그넷의 상면에 내측 하면이 부착되고 외측 하면이 상기 진동판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도록 기역자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너 엣지의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앙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edge of the "vibration unit assembly for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 a shape of a ruler so that the inner low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second magnet and the outer low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and a central through hol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ed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의 상기 진동판은, 상기 보이스코일의 외주면이 접착되도록 상기 부착통공의 둘레로 상기 진동판의 내측이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형연장턱과, 상기 이너 엣지의 외측 하면이 접착되도록 상기 원형연장턱의 외측으로 상기 진동판의 내측 상면 둘레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접착평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aphragm of the "vibration unit assembly for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lar extension jaw formed by extending the inner side of the diaphragm downward around the attachment hol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oice coil is bonded, and the inner side of the diaphrag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plane portion formed flat aroun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to the outside of the circular extension jaw so that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edge is adhe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의 상기 진동판은, 그 상면에 다수개가 연속하여 호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aphragm of the "vibration unit assembly for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ding reinforcing parts formed to continuously protrude in an arc shap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너 엣지의 설치로 더스트캡을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되면서 상측 진폭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고 진동판과 보이스코일의 접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접착 부위의 손상에 따른 수명의 단축이 적절히 방지되며, 그에 따라 제작 시간과 인력이 절감되면서 스피커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장수명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dust cap by installing the inner edge to slim down the whole, secures a sufficient upper amplitude space, easily attaches the diaphragm and the voice coil, and properly shortens the life due to damage to the attached part. As a result, production time and manpower are reduc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of the speaker and ensuring a long lifesp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 어셈블리를 보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 어셈블리를 보인 개략적인 결합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 어셈블리가 설치된 스피커를 보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 어셈블리가 설치된 스피커를 보인 개략적인 결합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스피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uni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ibration uni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2;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aker in which a vibration uni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aker in which a vibration uni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5;
7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peak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는 보이스코일(50)과, 상기 보이스코일(50)이 끼워져 부착되는 진동판(60)과, 상기 진동판(60)의 외측단에 부착되는 엣지(70)와, 상기 진동판(60)의 내측 상면에 외측 하면이 부착되는 이너 엣지(80)를 포함한다.1 to 5 are schematic views of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the vibration unit assembly for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진동부 어셈블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부착되는 요크(20)와, 상기 요크(2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 마그넷(30)과, 상기 제1 마그넷(30)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플레이트(4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4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마그넷(30a)을 가지는 스피커의 내측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vibrating unit assemb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 어셈블리가 설치된 스피커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부착되는 요크(20)와, 상기 요크(20)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는 제1 마그넷(30)과, 상기 제1 마그넷(30)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플레이트(4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4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마그넷(30a)과, 상기 상부플레이트(40)를 둘러싸는 보이스코일(5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이스코일(50)이 끼워져 부착되는 진동판(6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면과 진동판(60)의 사이에 부착되는 엣지(70)와, 상기 진동판(60)과 제2 마그넷(30a) 사이에 부착되는 이너 엣지(80)를 포함한다.The speaker with the vibration uni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프레임(1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원판형으로 구비되고 내측 하면 중앙에 원형통공(11)이 형성되며 상면 둘레에 원형홈(12)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면으로 상기 엣지(70)가 부착되면서 상기 진동판(6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그 내부에 상기 요크(20)와 보이스코일(50)이 손쉽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원형통공(11)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요크(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원형홈(12)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둘레로 상기 엣지(70)가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circular through
이와 같은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원형통공(11)의 둘레로 하면에 형성되는 요크안착홈(13)과, 외측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14)와, 상기 돌출부(14)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자설치홈(15)을 더 포함한다.The
상기 요크안착홈(13)은 상기 요크(20)가 정밀하게 결합되어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단자설치홈(15)이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단자설치홈(15)은 전원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요크(20)는 상기 원형통공(11)을 폐쇄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금속과 같은 유전체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마그넷(30)으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의 흐름을 제어함과 동시에 자기장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상기 요크(20)는 그 하단 외측 둘레에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돌출턱(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원형돌출턱(21)은 상기 요크안착홈(13)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상기 요크(20)가 정밀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제1 마그넷(30)은 상기 요크(20)의 내부 하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보이스코일(50)에 발생된 자기장에 대응하여 인력 및 척력과 같은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보이스코일(50)이 상하로 진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상부플레이트(40)는 상기 제1 마그넷(3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마그넷(30)의 자력을 수직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2 마그넷(30a)으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의 흐름을 제어함과 동시에 자기장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제2 마그넷(30a)은 상기 상부플레이트(4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마그넷(30)의 자력을 보완하여 전체적으로 자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이너 엣지(80)의 내측 하면이 부착되어 지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상기 제2 마그넷(30a)이 본 스피커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이너 엣지(80)의 내측 하면이 상기 상부플레이트(40)의 상면에 부착되어 지지된다.When the
상기 보이스코일(5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40)의 둘레로 끼워지는 것으로, +/-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전자석이 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 마그넷(30) 및 제2 마그넷(30a)과 상호 작용으로 상하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진동판(60)은 상기 보이스코일(50)의 상단이 끼워져 부착되도록 중앙에 부착통공(6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이스코일(50)에 의해 상하로 진동되면서 상면 외측에 있는 공기를 압축하거나 팽창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보이스코일(50)이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착통공(61)은 상기 보이스코일(50)이 끼워진 상태로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상기 진동판(60)은 상기 보이스코일(50)의 외주면이 접착되도록 상기 부착통공(61)의 둘레로 내측이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형연장턱(62)과, 상기 이너 엣지(80)의 외측 하면이 접착되도록 상기 원형연장턱(62)의 외측으로 내측 상면 둘레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접착평면부(63)와, 상면에 다수개가 연속하여 호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보강부(64)를 더 포함한다.The
상기 원형연장턱(62)은 상기 보이스코일(50)의 외주면이 끼워져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여 상기 보이스코일(50)이 보다 긴밀하면서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접착평면부(63)는 상기 이너 엣지(80)의 외측 하면이 긴밀하게 접착되어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돌출보강부(64)는 상기 진동판(60)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엣지(70)는 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홈(12)의 상면에 외측 둘레가 부착되며 내측 둘레가 상기 진동판(60)의 외측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판(60)의 상하 왕복운동을 유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이너 엣지(80)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60)의 내측 둘레에 외측 하면이 부착되며 내측 하면이 상기 상부플레이트(40)의 상부로 상기 제2 마그넷(30a)의 상면 둘레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마그넷(30a)의 상면으로 상기 진동판(60)이 밀폐되게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진동판(60)의 상하 왕복운동을 유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60)의 내측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이 상기 이너 엣지(80)에 의해 상기 진동판(60)의 내측단이 견고히 고정되면 상기 진동판(6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할공진이 적절히 방지된다.In this way, when the inner end of the
이와 같은 상기 이너 엣지(80)는 상기 제2 마그넷(30a)의 상면에 내측 하면이 부착되고 외측 하면이 상기 진동판(60)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도록 기역자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아울러, 상기 이너 엣지(80)는 그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앙통공(8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중앙통공(81)은 상기 이너 엣지(80)에서 불필요한 부위가 제거되어 전체적으로 소재가 절감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진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이너 엣지(80)가 설치됨으로써, 종래의 더스트캡과 댐퍼를 제거하는 상태로 상기 진동판(6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동시에 전체적으로 상하 폭이 슬림화되면서 상측 진폭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This vibrating unit assemb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프레임
11 : 원형통공 12 : 원형홈
13 : 요크안착홈 14 : 돌출부
15 : 단자설치홈
20 : 요크
21 : 원형돌출턱
30 : 제1 마그넷
30a : 제2 마그넷
40 : 상부플레이트
50 : 보이스코일
60 : 진동판
61 : 부착통공 62 : 원형연장턱
63 : 접착평면부 64 : 돌출보강부
70 : 엣지
80 : 이너 엣지
81 : 중앙통공10 : frame
11: circular through hole 12: circular groove
13: yoke seating groove 14: protrusion
15: terminal installation groove
20: York
21: circular protruding jaw
30: first magnet
30a: second magnet
40: upper plate
50: voice coil
60: diaphragm
61: attachment through hole 62: circular extension jaw
63: adhesive plane portion 64: protruding reinforcement portion
70: Edge
80: inner edge
81: central through hole
Claims (4)
상기 보이스코일(50)의 상단이 끼워져 부착되도록 중앙에 부착통공(61)이 형성되는 진동판(60)과;
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프레임의 상면에 외측 둘레가 부착되며, 내측 둘레가 상기 진동판(60)의 외측 상면에 부착되는 엣지(70)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60)의 내측 둘레에 외측 하면이 부착되며, 내측 하면이 상부플레이트 또는 제2 마그넷의 상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너 엣지(80)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엣지(8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제2 마그넷의 상면에 내측 하면이 부착되고 외측 하면이 상기 진동판(60)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도록 기역자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너 엣지(80)의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앙통공(8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판(60)은,
상기 보이스코일(50)의 외주면이 접착되도록 상기 부착통공(61)의 둘레로 상기 진동판(60)의 내측이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형연장턱(62)과,
상기 이너 엣지(80)의 외측 하면이 접착되도록 상기 원형연장턱(62)의 외측으로 상기 진동판(60)의 내측 상면 둘레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접착평면부(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
a voice coil 50;
a diaphragm 60 in which an attachment hole 61 is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voice coil 50 is inserted and attached;
an edge 70 formed in a plate-like ring shape, having an outer circumferenc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n inner circumference attached to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60;
an inner edge 80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 outer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iaphragm 60, and an inner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second magnet; include,
The inner edge 80,
The inner low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second magnet and the outer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 bent in a shape of a ruler so that it is attach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60,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through hole 81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edge 80,
The diaphragm 60,
A circular extension jaw 62 formed by extending the inner side of the diaphragm 60 downward around the attachment hole 61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oice coil 50 is bonded;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plane portion 63 formed flat aroun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60 to the outside of the circular extension jaw 62 so that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inner edge 80 is adhered. Vibration part assembly for a speaker that does.
상기 진동판(60)은,
그 상면에 다수개가 연속하여 호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보강부(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According to claim 1,
The diaphragm 60,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protruding reinforcement parts 64 are formed to continuously protrude in an arc shape,
Vibration unit assembly for a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50999A KR102517896B1 (en) | 2021-04-20 | 2021-04-20 | Vibration part assembly for sp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50999A KR102517896B1 (en) | 2021-04-20 | 2021-04-20 | Vibration part assembly for speak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44546A KR20220144546A (en) | 2022-10-27 |
| KR102517896B1 true KR102517896B1 (en) | 2023-04-04 |
Family
ID=838102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50999A Active KR102517896B1 (en) | 2021-04-20 | 2021-04-20 | Vibration part assembly for speak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17896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62597B1 (en) | 2008-03-27 | 2010-06-11 | 에스텍 주식회사 | speaker |
| KR101586766B1 (en) | 2014-09-18 | 2016-01-19 |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 A speaker |
| KR101900072B1 (en) | 2017-06-12 | 2018-09-18 | 주식회사 슬리비스 | Speake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2021
- 2021-04-20 KR KR1020210050999A patent/KR1025178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62597B1 (en) | 2008-03-27 | 2010-06-11 | 에스텍 주식회사 | speaker |
| KR101586766B1 (en) | 2014-09-18 | 2016-01-19 |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 A speaker |
| KR101900072B1 (en) | 2017-06-12 | 2018-09-18 | 주식회사 슬리비스 | Speake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44546A (en) | 2022-10-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99514B1 (en) | Rectangular, integrated two way speaker | |
| CN104010254A (en) | Inner ring magnet type microspeaker | |
| CN103167374A (en) | High Power Micro Speaker | |
| KR102023681B1 (en) | Speaker | |
| KR101788112B1 (en) | High-pressure water resist microspeaker with improved coil structure | |
| KR101116307B1 (en) | Slim speaker | |
| US20100002901A1 (en) | Speaker | |
| KR102023685B1 (en) | Slim type speaker | |
| JP2019201426A (en) | Speaker curved diaphragm | |
| KR101222282B1 (en) | Speaker | |
| KR101997688B1 (en) | Speaker | |
| KR101222416B1 (en) | Speaker with dual suspension | |
| KR101052825B1 (en) | Ultra slim speaker | |
| KR102517896B1 (en) | Vibration part assembly for speaker | |
| KR101101696B1 (en) | Dual suspension micro speakers | |
| KR101040310B1 (en) | Multifunction micro speaker | |
| KR102510712B1 (en) | Inner edge type speaker | |
| KR102346606B1 (en) | Dynamic speaker | |
| KR101186727B1 (en) | Speaker | |
| CN219181668U (en) | High-performance thin loudspeaker | |
| KR20050075789A (en) | Speaker | |
| KR100503006B1 (en) | Small sp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102722868B1 (en) | Speaker | |
| KR101997690B1 (en) | Copper plate damper for a speaker | |
| KR102796271B1 (en) | Diaphragm and microspeaker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