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0475B1 - 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475B1
KR102510475B1 KR1020200173321A KR20200173321A KR102510475B1 KR 102510475 B1 KR102510475 B1 KR 102510475B1 KR 1020200173321 A KR1020200173321 A KR 1020200173321A KR 20200173321 A KR20200173321 A KR 20200173321A KR 102510475 B1 KR102510475 B1 KR 10251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re catcher
plate
cladding
cent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3258A (en
Inventor
한승주
김광홍
임상규
강덕지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75B1/en
Publication of KR2022008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2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7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16Core catc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코어캐처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코어캐처 조립체는 바디플레이트;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인 코어캐처바디가 상부에 설치되는 통형상체의 워터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A core catcher assembly is provided. The core catcher assembly includes a body plate; a subplate coupled to the body plate; and a tubular water box in which a core catche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late and the sub plate are coupled is installed thereon.

Description

코어캐처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자로용기 공동구역에서 설치 및 검사가 용이한 모듈형 코어캐처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core catcher assembly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inspected in a common area of a reactor vess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원자로의 중대사고시 격납건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대처설비 중 코어캐처(Core catcher)가 필요하다. 병류 유동형 코어캐처는 원자로용기 파손 시점에 방출되는 노심용융물의 제트분출 효과, 열적 침식효과 및 퍼짐성(spreadability)과 냉각능력을 고려하여 경사를 가지는 직사각형 받침대 형태로 설계된다.A core catcher is required among the handling facilitie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containment building in the event of a major nuclear reactor accident. The co-current flow type core catcher is design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edestal with an incl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jet ejection effect, thermal erosion effect, spreadability and cooling capacity of the core melt released at the time of reactor vessel failure.

사고발생시 원자로 용기로부터 방출된 용융물은 코어캐처에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그 후, 재장전수 저장탱크(IRWST)에 저장된 냉각수를 코어캐처 하부의 워터박스(Water box) 및 다운코머에 공급하고, 하부 냉각채널에서 열전달에 의해 냉각수가 증발되면 재장전수 저장탱크 및 다운코머의 수두압에 의해 자연력으로 하부 냉각채널로 공급되도록 설계된다.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melt discharged from the reactor vessel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core catcher. After that, the cooling water stored in the reload water storage tank (IRWST) is supplied to the water box and the downcomer under the core catcher, and when the coolant is evaporated by heat transfer in the lower cooling channel, the reload water storage tank and the downcomer It is designed to be supplied to the lower cooling channel by natural force by the head pressure.

이러한 코어캐처는 원자로용기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작 및 설치를 위한 기술적 제약사항이 존재한다. 예컨데, 코어캐처를 분리된 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에 공급되면, 코어캐처가 설치되는 원자로 공동지역은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용접하여 설치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Since this core catcher is disposed under the reactor vessel, there are technical limitations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For example, when the core catcher is manufactured in a separate form and supplied to the site, it is very difficult to weld and install the core catcher at the site because the common area of the reactor where the core catcher is installed is very narrow.

또한, 설치 후에도 비파괴(NDE) 검사 및 용접후 열처리(PWHT)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검사와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코어캐처 현장설치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지므로 원자력 발전소의 경제성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non-destructive (NDE) inspection and post-weld heat treatment (PWHT) work must be performed after installation, but these inspections and work are very difficult. In addition, since the period required for on-site installation of the core catcher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affects the economics of the nuclear power plant.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613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613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장 용접 및 설치 방법을 개선하여 모듈형 코어캐처를 모듈형으로 제작, 후열처리 및 검사를 하여 현장에 설치함으로써 건설공기 단축과, 제작/설치비용의 감소가 가능한 코어캐처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on-site welding and installation method, manufacture the modular core catcher in a modular form, post-heat treatment and inspection, and install it on the site,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manufacturing / installation costs. It is to provide a catcher assembl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코어캐처조립체는 바디플레이트;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인 코어캐처바디가 상부에 설치되는 통형상체의 워터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A core catcher assemb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ody plate; a subplate coupled to the body plate; and a tubular water box in which a core catche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late and the sub plate are coupled is installed thereon.

또한, 상기 워터박스의 측면 둘레부에는 상방을 향하는 다운코머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downcomer pipe facing upward may be installed on a sid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x.

또한, 상기 워터박스를 거치하는 거치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워터박스 하부에 구비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둘레부에서 상방으로 구비되는 수직바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unting frame for holding the water box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mounting frame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provided under the water box and a vertical bar provided upward from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또한, 상기 바디플레이트는, 중앙바디와, 상기 중앙바디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바디는, 중앙베이스의 상부면에 클래딩이 수행된 것이며, 상기 서브측면바디는, 측면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이 수행된 후, 밴딩 처리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late includes a central body and side bodie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The central body has cladding per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ase, and the sub-side body comprises: After cladd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it may be subjected to a bending process.

또한, 상기 측면바디는, 상기 중앙바디를 기준으로, 저면부가 측면 상부로 적어도 일부 들려지도록 절곡되며, 측면부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body, based on the center body, the bottom portion is bent so that at least partially lifted to the upper side, the side portion may be bent to form a wall from the bottom portion toward the top.

또한,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서브중앙바디와, 상기 서브중앙바디의 측면에 설치되는 서브측면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중앙바디는, 서브중앙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이 수행된 것이며, 상기 서브측면바디는, 서브측면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이 수행된 후, 밴딩처리된 것이며, 상기 서브중앙바디와 상기 서브측면바디의 외곽에는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Further, the sub-plate includes a sub-central body and a sub-side body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b-central body, wherein the sub-central body has a cladding per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central body, and the sub-central body is The body is bent after cladd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ide body, and cover plates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ides of the sub-central body and the sub-side body.

또한, 상기 서브측면바디는, 상기 서브중앙바디를 기준으로, 저면부가 측면 상부로 일정 각도로 들려지도록 절곡되며, 측면부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ide body may be bent so that the bottom part is lifted upwards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b-central body, and the side part may be bent from the bottom part toward the top to form a wall.

또한 상기 바디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사전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되어 설치현장에 이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late and the sub plate may be previously welded together and transported to an installation site.

또한, 상기 바디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플레이트의 용접부위는, 국부열처리 방식의 후열처리와, 비파괴검사가 수행된 후, 설치현장에 이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ded parts of the body plate and the subplate may be transported to an installation site after post-heat treatment of a local heat treatment method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are performed.

또한, 상기 코어캐처바디는 상부면에 희생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In addition, a sacrificial material may be appli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re catcher body.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코어캐처조립체 제작방법은, 바디플레이트에 서브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코어캐처바디를 획득하는 코어캐처바디 획득단계; 및 상기 코어캐처바디를 통형상의 워터박스에 설치하여 코어캐처조립체를 획득하는 코어캐처조립체 획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e catcher assembl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obtaining a core catcher body by combining a sub plate with a body plate to obtain a core catcher body; and obtaining a core catcher assembly by installing the core catcher body in a tubular water box to obtain a core catcher assembly.

또한, 상기 코어캐처바디와 상기 워터박스는 각각 사전 제작된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이송된 후 결합되어 원자로 공동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catcher body and the water box may be transported to an installation site in a prefabricated state, and then combined and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ctor cavity.

또한, 상기 워터박스의 측면 둘레부에는 상방을 향하는 다운코머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downcomer pipe facing upward may be installed on a sid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x.

또한, 상기 워터박스를 거치하는 거치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워터박스 하부에 구비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둘레부에서 상방으로 수직바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frame 150 for holding the water box is provided, and the support frame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provided under the water box and a vertical bar extending upward from a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ortion.

또한, 중앙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cladding)을 수행하는 중앙바디 가공단계와, 측면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하며, 클래딩된 상기 측면바디를 밴딩(bending) 하는 측면바디 가공단계와, 상기 중앙바디, 상기 측면바디를 서로 설치하여 상기 바디플레이트를 획득하는 바디플레이트 획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entral body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clad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ody, a side body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clad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and bending the cladding side body, A body plate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the body plate by installing the central body and the side body to each oth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측면바디는, 상기 중앙바디를 기준으로, 저면부가 측면 상부로 적어도 일부 들려지도록 절곡되며, 측면부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body, based on the center body, the bottom portion is bent so that at least partially lifted to the upper side, the side portion may be bent to form a wall from the bottom portion toward the top.

또한, 상기 클래딩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을 포함하는 재질로 수행될 수 있다.Also, the cladding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stainless steel.

또한, 상기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카본 스틸(Carbon Steel)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late and the sub plate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carbon steel.

또한, 서브중앙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cladding)을 수행하는 서브중앙바디 가공단계와, 서브측면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하며, 클래딩된 상기 서브측면바디를 밴딩하는 서브측면바디가공단계와, 상기 서브중앙바디와 상기 서브측면바디를 결합하여 상기 서브플레이트를 획득하는 서브플레이트 획득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브중앙바디와 상기 서브측면바디는 상부 외측을 마감하는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b-central body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clad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central body, a sub-side body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clad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ide body and bending the cladding of the sub-side body, , Further comprising a sub-plate obtaining step of obtaining the sub-plate by combining the sub-central body and the sub-side body, wherein a cover plate for closing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ub-central body and the sub-side body may be installed. .

또한, 상기 서브측면바디는, 상기 중앙바디를 기준으로, 저면부가 측면 상부로 일정 각도로 들려지도록 절곡되며, 측면부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ide body may be bent so that the bottom part is lifted upwards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and the side part may be bent from the bottom part toward the top to form a wall.

또한, 상기 바디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사전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되어 현장에 이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late and the sub plate may be previously welded together and transported to a site.

또한, 상기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플레이트의 용접부위가 국부열처리 방식으로 후열처리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late and the subplate are coupled, a post-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a welded portion of the body plate and the subplate using a local heat treatment metho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코어캐처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 용접 및 설치 방법을 개선하여 모듈형 코어캐처를 모듈형으로 제작, 후열처리 및 검사를 하여 현장에 설치함으로써 건설공기 단축과, 제작/설치비용의 감소가 가능한 코어캐처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re catcher assembly capable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manufacturing/installation costs by manufacturing a modular core catcher in a modular form by improving the on-site welding and installation method, performing post-heat treatment and inspection, and installing the core catcher in the fiel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처 조립체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e catch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ure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according to FIG.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ure 1;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according to FIG. 5;
Figure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ure 1;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according to FIG. 7 .
9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e catch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elements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ther elements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first element, or first section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a second element, second element, or second section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present in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e catch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코어캐처 조립체(100)는 바디플레이트(110), 서브플레이트(120), 워터박스(Water box)(140), 거치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플레이트(110)는, 중앙바디(111), 측면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core catcher assembly 100 may include a body plate 110, a sub plate 120, a water box 140, and a mounting frame 150. The body plate 110 may include a central body 111 and a side body 112 .

여기서 서브플레이트(120)는, 서브중앙바디(121), 서브측면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박스(140)는 다운코머(down comer)배관(141)이 구비될 수 있다. 거치프레임(150)은 거치부(151), 수직바(152)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sub plate 120 may include a sub-center body 121 and a sub-side body 122 . The water box 140 may be provided with a down comer pipe 141. The mounting frame 15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151 and a vertical bar 152 .

바디플레이트(110)는 소정형상의 통형상체로 내부가 절곡되어 경사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플레이트(120)는 바디플레이트(110)에 결합되 코어캐쳐바디(130)를 이룰 수 있다. The body plate 110 is a tubular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n inside of the body plate 110 may be bent to form an inclined receiving space. The sub plate 1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plate 110 to form the core catcher body 130 .

여기서 바디플레이트(110) 및 서브플레이트(120)는 사전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되어 설치현장에 이송되는 것일 수 있다. 바디플레이트(110) 및 서브플레이트(120)의 용접부위는, 국부열처리 방식의 후열처리와, 비파괴검사가 수행된 후, 설치현장에 이송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body plate 110 and the sub plate 120 may be previously welded and transported to an installation site. The welded parts of the body plate 110 and the subplate 120 may be transported to an installation site after post-heat treatment in a local heat treatment method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are performed.

바디플레이트(110)의 중앙바디(111)는 예컨데 보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디플레이트(110)의 측면바디(112)는 중앙바디(111)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entral body 111 of the body plate 1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oard, for example. The side body 112 of the body plate 11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central body 111.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ure 1;

도 2를 참조하면, 중앙바디(111)는, 상부면에 클래딩(cladding)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측면바디(112), 서브중앙바디(121), 서브측면바디(122)의 상부면에도 클래딩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cladding may be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11 . In addition, cladding may also be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ide body 112, the sub-central body 121, and the sub-side body 122.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ure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according to FIG. 3;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코어캐처 조립체(100)는 구획된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크게 중앙의 바디플레이트(110)와, 이러한 바디플레이트(110)의 측면으로 위치되는 서브플레이트(120)로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3 to 4, the core catcher assembly 100 may be made of a partitioned structure. For example, it may be largely provided with a central body plate 110 and a sub plate 12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body plate 110.

여기서 서브플레이트(120)는 이러한 바디플레이트(110)의 양측으로도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컨데, 바디플레이트(110) 하나에 서브프레이트(120) 두개로 구성되도록 하는 경우, 이들 세개의 부분품을 공장에서 하나의 모듈로 용접하고, 최종 후열처리는 전기로의 크기를 감안하여 국부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subplate 12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late 110,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one body plate 110 is composed of two subplates 120, these three parts are welded into one module in a factory, and the final post-heat treatment is to perform local heat treat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electric furnace. can

도 5는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ure 4;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ure 1;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중앙바디(111)는, 상부면에 클래딩이 수행된 후 밴딩이 수행될 수 있다. 측면바디(112)는, 중앙바디(111)를 기준으로, 저면부(1121)가 측면 상부로 일정 각도로 들려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측면바디(122)의 측면부(1122)는 저면부(1121)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after cladd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11, bending may be performed. The side body 112 may be bent so that the bottom portion 1121 is lifted at a certain angle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11. The side portion 1122 of the side body 122 may be bent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1121 to form a wall.

도 7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ure 1;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according to FIG. 7 .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서브측면바디(122)는, 측면바디(112)의 상부면에 클래딩이 수행된 후, 밴딩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측면바디(122)는, 서브측면바디(122)의 서브중앙바디(121)를 기준으로, 서브측면바디(122)의 제2 저면부(1221)가 측면 상부로 일정 각도로 들려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to 8 , the sub-side body 122 may be subjected to bending after cladd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112 . More specifically, in the sub-side body 122, based on the sub-central body 121 of the sub-side body 122, the second bottom part 1221 of the sub-side body 122 is at a certain angle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It can be bent to be heard.

서브측면바디(122)의 제2 측면부(1222)는 서브측면바디(122)의 제2 저면부(1221)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중앙바디(121)와 서브측면바디(122)의 외곽에는 커버플레이트(135)가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portion 1222 of the sub-side body 122 may be bent upward from the second bottom portion 1221 of the sub-side body 122 to form a wall. Here, a cover plate 135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ub-central body 121 and the sub-side body 122 .

워터박스(140)는 바디플레이트(110)와 서브플레이트(120)가 결합된 상태, 즉, 코어캐처바디(130)가 상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워터박스(140)는 통형상체로서 바디플레이트(110)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water box 140, the body plate 110 and the sub plate 120 are coupled, that is, the core catcher body 130 may be installed upward. The water box 14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plate 110 as a tubular body.

이러한 워터박스(140)도 바디플레이트(110)와 서브플레이트(120) 와 동일한 제작방법으로 공장에서 하나의 모듈로 제작, 후열처리 및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The water box 140 can also be manufactured as one module in a factory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s the body plate 110 and the sub plate 120, and post-heat treatment and inspection can be performed.

여기서 코어캐처바디(130)는 상부면에 심층적인 방어를 위한 희생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데, 이러한 희생물질은 라임스톤(Lime Stone)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희생물질과 다운코머배관(141)은 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다.Here, a sacrificial material for in-depth defens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catcher body 130 . For example, such a sacrificial material may be installed with Lime Stone or the like. Meanwhile, the sacrificial material and the downcomer pipe 141 may be installed on site.

다운코머배관(141)은 워터박스(140)의 측면 둘레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나 다운코머배관은 측면 둘레부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거치프레임(150)은 워터박스(140)를 거치할 수 있다. The downcomer pipe 141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x 140. In this way, the downcomer pipe may be installed to face upward from the side circumference. The mounting frame 150 may mount the water box 140 .

이러한 거치프레임(150)의 거치부(151)는 워터박스(14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거치프레임(150)의 수직바(152)는 이러한 거치부(151)의 둘레부에서 상방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151 of the mounting frame 150 may be provided below the water box 140 . The vertical bar 152 of the mounting frame 150 may be provided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151 .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코어캐처 조립체 제작방법(S100)을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e catcher assembly (S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oregoing.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어캐처 조립체 제작방법(S100)은 중앙바디 가공단계(S110), 측면바디 가공단계(S120), 바디플레이트 획득단계(S130), 서브중앙바디 가공단계(S140), 서브측면바디 가공단계(S150), 서브플레이트 획득단계(S160), 코어캐처바디 획득단계(S170), 코어캐처 조립체 획득단계(S18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core catcher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S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body processing step (S110), a side body processing step (S120), a body plate acquisition step (S130), and a sub-central body processing step. (S140), a sub-side body processing step (S150), a sub-plate acquisition step (S160), a core catcher body acquisition step (S170), and a core catcher assembly acquisition step (S180) may be included.

먼저, 중앙바디 가공단계(S110)에서는 중앙바디(111)의 상부면에 클래딩(cladding)을 수행하는 측면바디(112)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할 수 있다(도 2 및 도 9 참조).First, in the central body processing step (S110), cladding may be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112, which performs clad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11 (see FIGS. 2 and 9).

측면바디 가공단계(S120)에서는 클래딩된 측면바디(112)를 밴딩(bending)할 수 있다. 바디플레이트 획득단계(S130)에서는 중앙바디(111), 측면바디(112)를 서로 설치하여 바디플레이트(110)를 획득할 수 있다(도 5, 6 및 도 9 참조).In the side body processing step (S120), the cladding side body 112 may be bent. In the body plate acquisition step (S130), the body plate 110 may be obtained by installing the central body 111 and the side body 112 to each other (see FIGS. 5, 6 and 9).

서브중앙바디 가공단계(S140)에서는 서브중앙바디(121)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할 수 있다(도 2 및 도 9 참조).In the sub-central body processing step (S140), cladding may be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central body 121 (see FIGS. 2 and 9).

서브측면바디 가공단계(S150)에서는 서브측면바디(122)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할 수 있다(도 2 및 도 9 참조). 서브측면바디 가공단계(S150)에서는 서브측면바디(122)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하며, 클래딩된 서브측면바디(122)를 밴딩할 수 있다(도 2, 도 7, 도 8 및 도 9 참조). In the sub-side body processing step (S150), cladding may be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ide body 122 (see FIGS. 2 and 9). In the sub-side body processing step (S150), cladd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ide body 122, and the clad sub-side body 122 may be bent (see FIGS. 2, 7, 8, and 9 ).

서브플레이트 획득단계(S160)에서는 서브중앙바디(121)와 서브측면바디(122)를 결합하여 서브플레이트(12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중앙바디(121)와 서브측면바디(122)는 상부 외측을 마감하는 커버플레이트(135)가 설치될 수 있다(도 7, 도 8 및 도 9 참조).In the sub-plate obtaining step (S160), the sub-plate 120 may be obtained by combining the sub-central body 121 and the sub-side body 122. Here, the sub-central body 121 and the sub-side body 122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plate 135 that closes the upper outside (see FIGS. 7, 8 and 9).

코어캐처바디 획득단계(S170)는 바디플레이트(110)에 서브플레이트(120)를 결합하여 코어캐처바디(130)를 획득할 수 있다(도 3, 도 4 및 도 9 참조).In the core catcher body acquisition step (S170), the core catcher body 130 may be obtained by combining the subplate 120 with the body plate 110 (see FIGS. 3, 4, and 9).

코어캐처 조립체 획득단계는 코어캐처바디(130)를 통형상의 워터박스(140)에 설치하여 코어캐처 조립체(10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캐처바디(130)와 워터박스(140)는 각각 사전 제작된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이송된 후 결합되어 원자로 공동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도 1 및 도 9 참조). In the step of acquiring the core catcher assembly, the core catcher assembly 100 may be obtained by installing the core catcher body 130 in the tubular water box 140 . Here, the core catcher body 130 and the water box 140 may be respectively prefabricated, transported to an installation site, and then combined and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ctor cavity (see FIGS. 1 and 9 ).

워터박스(140)의 측면 둘레부에는 상방을 향하는 다운코머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워터박스(140)를 거치하는 거치프레임(150)(150)이 구비될 수 있다. A downcomer pipe facing upward may be installed on a sid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x 140 . Here, mounting frames 150 and 150 for holding the water box 140 may be provided.

거치프레임(150)은, 워터박스(140) 하부에 구비되는 거치부(151)와, 거치부(151)의 둘레부에서 상방으로 수직바(152)가 구비될 수 있다(도 1 및 도 9 참조).The mounting frame 15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151 provided under the water box 140 and a vertical bar 152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151 (FIGS. 1 and 9). reference).

측면바디(112)는, 중앙바디(111)를 기준으로, 저면부(1121)가 측면 상부로 적어도 일부 들려지도록 절곡되며, 측면부(1122)는 저면부(1121)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도 5, 도 6 및 도 9 참조). The side body 112 is bent so that the bottom part 1121 is at least partially lifted upwards on the side, based on the central body 111, and the side part 1122 is bent from the bottom part 1121 toward the top to form a wall. It can be (see FIGS. 5, 6 and 9).

한편, 클래딩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을 포함하는 재질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바디플레이트(110)와 서브플레이트(120)는 카본 스틸(Carbon Steel)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Meanwhile, the cladding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stainless steel. The body plate 110 and the sub plate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carbon steel.

바디플레이트(110) 및 서브플레이트(120)는 사전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되어 현장에 이송될 수 있다. 바디플레이트(110)와 서브플레이트(120)는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플레이트(110) 및 서브플레이트(120)의 용접부위가 국부열처리 방식으로 후열처리 될 수 있다. The body plate 110 and the sub plate 120 may be previously welded together and transported to a site.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late 110 and the subplate 120 are coupled, the welded portion of the body plate 110 and the subplate 120 may be subjected to post-heat treatment using a local heat treatment method.

이상에서의 기술한 내용을 통하면, 부분적으로 제작하여 현장 용접 및 설치 방법에 대비하여, 공장에서 모듈형으로 제작, 후열처리 및 검사를 하여 현장에 설치되므로, 건설공기를 단축함은 물론 제작/설치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수 있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in preparation for partial fabrication and on-site welding and installation methods, it is manufactured in a modular form at the factory, post-heat treatment and inspection, and installed on the site,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s well as reducing the manufacturing /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derive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10: 바디플레이트
120: 서브플레이트
130: 코어개처바디
140: 워터박스
150: 거치프레임
110: body plate
120: subplate
130: core gatcher body
140: water box
150: mounting frame

Claims (10)

바디플레이트;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인 코어캐처바디가 상부에 설치되는 통형상체의 워터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워터박스의 측면 둘레부에는 상방을 향하는 다운코머배관이 설치되는, 코어캐처 조립체.
body plate;
a subplate coupled to the body plate; and
Including a tubular water box in which a core catche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late and the sub plate are coupled is installed on the top,
A core catcher assembly in which a downcomer pipe facing upward is installed on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x.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박스를 거치하는 거치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워터박스 하부에 구비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둘레부에서 상방으로 구비되는 수직바가 구비되는, 코어캐처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frame for mounting the water box,
The mounting frame,
A core catcher assembly comprising a holder provided under the water box and a vertical bar provided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는,
중앙바디와, 상기 중앙바디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바디는, 중앙베이스의 상부면에 클래딩(cladding)이 수행된 것이며,
서브측면바디는, 측면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이 수행된 후, 밴딩 처리된 것인, 코어캐처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late,
It includes a central body and a side bod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body,
The central body has cladding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ase,
The core catcher assembly, wherein the sub-side body is subjected to bending after cladd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바디는,
상기 중앙바디를 기준으로, 저면부가 측면 상부로 적어도 일부 들려지도록 절곡되며, 측면부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절곡되는 것인, 코어캐처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4,
The side body,
Based on the central body, the bottom portion is bent so as to be lifted at least partially to the upper side, and the side portion is bent from the bottom portion toward the top to form a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서브중앙바디와, 상기 서브중앙바디의 측면에 설치되는 서브측면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중앙바디는, 서브중앙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이 수행된 것이며,
상기 서브측면바디는, 서브측면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이 수행된 후, 밴딩처리된 것이며,
상기 서브중앙바디와 상기 서브측면바디의 외곽에는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코어캐처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ubplate,
It includes a sub-center body and a sub-side bod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ub-center body,
In the sub-central body, cladd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central body,
The sub-side body is bent after cladd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ide body,
A core catcher assembly, wherein cover plates are installed outside the sub-central body and the sub-side body.
바디플레이트에 서브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코어캐처바디를 획득하는 코어캐처바디 획득단계; 및
상기 코어캐처바디를 통형상의 워터박스에 설치하여 코어캐처 조립체를 획득하는 코어캐처 조립체 획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워터박스의 측면 둘레부에는 상방을 향하는 다운코머배관이 설치되는, 코어캐처 조립체 제작방법.
A core catcher body acquisition step of obtaining a core catcher body by combining the subplate with the body plate; and
A core catcher assembly obtaining step of obtaining a core catcher assembly by installing the core catcher body in a tubular water box,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re catcher assembly, wherein a downcomer pipe facing upward is installed on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x.
제7항에 있어서,
중앙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하는 중앙바디 가공단계와,
측면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하며, 클래딩된 상기 측면바디를 밴딩(bending) 하는 측면바디 가공단계와,
상기 중앙바디, 상기 측면바디를 서로 설치하여 상기 바디플레이트를 획득하는 바디플레이트 획득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어캐처 조립체 제작방법.
According to claim 7,
A central body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clad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ody;
A side body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clad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and bending the cladding side body;
Further comprising a body plate obtaining step of obtaining the body plate by installing the central body and the side body to each other, the core catcher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바디는,
상기 중앙바디를 기준으로, 저면부가 측면 상부로 적어도 일부 들려지도록 절곡되며, 측면부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절곡되는 것인, 코어캐처 조립체 제작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ide body,
Based on the central body, the bottom portion is bent so as to be lifted at least partially to the upper side, and the side portion is bent from the bottom portion toward the top to form a wall.
제7항에 있어서,
서브중앙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하는 서브중앙바디 가공단계와,
서브측면바디의 상부면에 클래딩을 수행하며, 클래딩된 상기 서브측면바디를 밴딩하는 서브측면바디가공단계와,
상기 서브중앙바디와 상기 서브측면바디를 결합하여 상기 서브플레이트를 획득하는 서브플레이트 획득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브중앙바디와 상기 서브측면바디는 상부 외측을 마감하는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코어캐처 조립체 제작방법.
According to claim 7,
A sub-central body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clad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central body;
A sub-side body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clad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ide body and bending the cladding of the sub-side body;
Further comprising a sub-plate acquiring step of obtaining the sub-plate by combining the sub-central body and the sub-side body;
The core catcher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wherein the sub-central body and the sub-side body are provided with a cover plate that closes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art.
KR1020200173321A 2020-12-11 2020-12-11 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tive KR1025104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321A KR102510475B1 (en) 2020-12-11 2020-12-11 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321A KR102510475B1 (en) 2020-12-11 2020-12-11 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58A KR20220083258A (en) 2022-06-20
KR102510475B1 true KR102510475B1 (en) 2023-03-14

Family

ID=8225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321A Active KR102510475B1 (en) 2020-12-11 2020-12-11 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47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1726A (en) * 2009-04-30 2010-11-18 Toshiba Corp Core melt holding device and nuclear power plant
KR101585841B1 (en) * 2014-10-20 2016-01-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Core catcher having enhanced core cooling performan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866B1 (en) 2014-10-20 2016-09-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ylindrical corer catcher and deposit sampler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1726A (en) * 2009-04-30 2010-11-18 Toshiba Corp Core melt holding device and nuclear power plant
KR101585841B1 (en) * 2014-10-20 2016-01-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Core catcher having enhanced core cooling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58A (en)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7028B2 (en) Vertical wafer support jig
JP5411412B2 (en) How to create a dry environment for underwater repair of reactor bottom heads using segmented caisson
JP20051955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racks in welds
CN111441637A (en) A large-scale storage tank of stainless steel composite plate made on sit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H02196997A (en) Exchange of defective fuel rod for fuel assembly of light water reactor
US9739695B2 (en) Water jet peening compressive residual stress test method, test device, and test facility
KR102510475B1 (en) Core catch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052991A (en) Method for large pressure vessel assembly
US10024346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ructurally replacing cracked welds in nuclear power plants
US79688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strap connections between inner grid straps of spacer grid using laser tool, and spacer grid manufactured using the same
EP2940694A1 (en) Pipe base repair method and nuclear reactor vessel
KR100770944B1 (en) Welding apparatus and welding method of internal lattice of support lattice using laser mechanism and support lattice manufactured accordingly
KR970004418B1 (en) Light-water nuclear reactor vessel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4410487A (en) Core baffle or enclos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6010167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re barrel and core barrel
JP2020011265A (en) Weld repair device and weld repair method
JP2011064288A (en) Piping restricted support
JP2014037957A (en) Tube sheet of steam generator having anticorrosiv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448222B2 (en) Shroud for nuclear reactor
Tamura et al. Development of underwater laser cladding and underwater laser seal welding techniques for reactor components (II)
JP2012110899A (en) Joint structure
Branchu et al. Superphenix 1 reactor block fabrication
KR100906719B1 (en) Welding rod for laser welding device and laser welding device between inner lattice of nuclear fuel rod support grid using same
US5920603A (en) Forged core plate for a boiling water reactor
JPH021631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