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033B1 -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3033B1 KR102513033B1 KR1020200168892A KR20200168892A KR102513033B1 KR 102513033 B1 KR102513033 B1 KR 102513033B1 KR 1020200168892 A KR1020200168892 A KR 1020200168892A KR 20200168892 A KR20200168892 A KR 20200168892A KR 102513033 B1 KR102513033 B1 KR 102513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heat exchanger
- heating
- heat
- coo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5—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safety arrangements, e.g. compressor anti-seizure means or by signall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HVAC 모듈에 설치된 제2열교환기를 통해 히팅 및 쿨링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제1동시 토출 모드를 예시한 예시도.
도 3은 HVAC 모듈에 설치된 제1열교환기를 통해 히팅 및 쿨링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제2동시 토출 모드를 예시한 예시도.
도 4는 HVAC 모듈에 설치된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를 통해 쿨링된 공기가 토출되는 최대 히팅 모드를 예시한 예시도.
도 5는 HVAC 모듈에 설치된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를 통해 히팅된 공기가 토출되는 최대 쿨링 모드를 예시한 예시도.
도 6은 HVAC 모듈에 설치된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를 통해 히팅 및 쿨링된 공기가 믹싱 후 토출되는 제습 모드를 예시한 예시도.
112 : 압축기 114 : 응축기
116 : 팽창밸브 118 : 증발기
120 : 히팅 순환계 130 : 쿨링 순환계
140 : 2차 순환계 150 : HVAC 모듈
151 : 송풍기 152 : 제1열교환기
154 : 제2열교환기 160 : 배터리부
170 : 라디에이터 180 : 전장부
Claims (15)
- 응축기 및 증발기를 거쳐 냉매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1차 순환계;
상기 응축기에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난방수가 생성되어 순환되는 히팅 순환계와, 상기 증발기에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방수가 생성되어 순환되는 쿨링 순환계를 가지는 2차 순환계;
내부가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히팅 순환계에서 생성된 난방수와 상기 쿨링 순환계에서 생성된 냉방수가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동시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난방공기와 냉방공기를 생성하는 2개의 열교환기가 구비된 HVAC 모듈;
상기 히팅 순환계와 쿨링 순환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HVAC 모듈 내에 구비된 상기 각 열교환기의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난방수와 냉방수를 동시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부를 통해 개폐가 제어되는 3방 밸브 방식의 복수의 조절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 순환계 및 쿨링 순환계는 차량용 전장부와 배터리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작동에 따라 상기 전장부와 배터리부의 히팅 또는 쿨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히팅 순환계에 설치되는 조절밸브는,
상기 응축기에서 열교환을 통해 생성된 난방수가 상기 HVAC 모듈 내부의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와, 차량의 라디에이터 측으로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제1밸브와;
상기 제1밸브를 통과한 난방수가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와, 상기 배터리부 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제2밸브; 및
상기 제2밸브를 통과한 난방수가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 측으로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복수의 제3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3밸브는,
상기 제2밸브를 통과한 난방수가 제2열교환기 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제3-1밸브와;
상기 제3-1밸브를 통과한 난방수가 제1열교환기 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제3-2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VAC 모듈 내에는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획된 서로 다른 2개의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구비되되,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보다 열교환 용량이 크고, 상기 HVAC 모듈 내에 구비된 송풍기 측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후 토출되는 난방수 및 냉방수가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 측으로 각각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되는 복수의 제4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밸브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공기와 열교환 후 토출되는 난방수 또는 냉방수가 상기 응축기 또는 증발기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제4-1밸브;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공기와 열교환 후 토출되는 난방수 또는 냉방수가 상기 응축기 또는 증발기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제4-2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냉방수가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 측으로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복수의 제5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밸브는,
상기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냉방수가 제2열교환기 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제5-1밸브와;
상기 제5-1밸브를 통과한 냉방수가 제1열교환기 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제5-2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순환계에 설치되는 조절밸브는,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을 통해 생성된 냉방수가 상기 HVAC 모듈 내부의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와, 차량의 라디에이터 측으로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제6밸브;
상기 제6밸브를 통과한 냉방수가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와, 상기 배터리부 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제7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기에 의한 냉,난방공기의 동시 토출 모드시,
상기 히팅 순환계의 응축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고온의 난방수가 제1밸브와 제2밸브 및 제3-1밸브를 경유하여 제2열교환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한 부분으로 유입된 후 공기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이후 토출되는 난방수가 제4-2밸브를 경유하여 다시 응축기 측으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고,
상기 쿨링 순환계의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저온의 냉방수는 제6밸브와 제7밸브 및 제5-1밸브를 경유하여 제2열교환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다른 한 부분으로 유입된 후 공기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이후 토출되는 냉방수가 상기 배터리부에서 열교환 후 토출되는 냉방수와 합류하여 상기 증발기 측으로 유입되는 냉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에 의한 냉,난방공기의 동시 토출 모드시,
상기 히팅 순환계의 응축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고온의 난방수가 제1밸브, 제2밸브, 제3-1밸브, 및 제3-2밸브를 경유하여 제1열교환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한 부분으로 유입된 후 공기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이후 토출되는 난방수가 상기 전장부에서 열교환 후 토출되는 난방수와 합류되어 다시 응축기 측으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고,
상기 쿨링 순환계의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저온의 냉방수가 제6밸브, 제7밸브, 제5-1밸브, 및 제5-2밸브를 경유하여 제1열교환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다른 한 부분으로 유입된 후 공기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이후 토출되는 냉방수가 상기 제4-1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배터리부에서 열교환 후 토출되는 냉방수와 합류하여 상기 증발기 측으로 유입되는 냉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에 의한 최대 히팅 모드시,
상기 히팅 순환계의 응축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고온의 난방수가 제1밸브, 제2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제3-1밸브를 통해 제2열교환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한 부분으로 유입되는 한편 상기 제3-2밸브를 통해 제1열교환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각각 유입되어 공기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이후 제2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난방수가 제4-2밸브를 통해 상기 응축기 측으로 다시 유입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난방수가 각각 상기 제4-1밸브 및 또 다른 경로를 통해 이동된 후 합류되어 다시 응축기 측으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고,
상기 쿨링 순환계의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저온의 냉방수가 제6밸브에서 분리되어 일부의 냉방수는 상기 제7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배터리부로 유입되어 열교환되고, 열교환 후 상기 배터리부에서 토출되는 냉방수는 상기 증발기 측으로 다시 유입되고, 상기 제6밸브에서 분리된 또 다른 일부의 냉방수는 상기 라디에이터를 거쳐 외기와 열교환 후 상기 전장부로 이동하여 열교환된 후 다시 상기 증발기 측으로 유입되는 냉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에 의한 최대 쿨링 모드시,
상기 히팅 순환계의 응축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고온의 난방수가 제1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라디에이터 및 전장부를 거쳐 다시 상기 응축기 측으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고,
상기 쿨링 순환계의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저온의 냉방수가 제6밸브를 경유하여 제7밸브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일부의 냉방수는 상기 제5-1밸브와 제5-2밸브를 경유하여 제2열교환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과, 제1열교환기의 제1영역 또는 제2영역 중 어느 한 부분으로 각각 유입되어 공기와 열교환된 이후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토출된 냉방수는 제4-1밸브를 경유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토출된 냉방수는 제4-2밸브를 경유하여 합류한 이후 상기 제7밸브에서 분리되어 상기 배터리부로 유입된 후 열교환 후 토출되는 또 다른 냉방수와 합류한 후 상기 증발기 측으로 다시 유입되는 냉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에 의한 제습 모드시,
상기 히팅 순환계의 응축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고온의 난방수가 제1밸브, 제2밸브, 제3-1밸브를 경유하여 제3-2밸브 부분에서 두 경로로 분리된 후 제1열교환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각각 유입되어 공기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이후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난방수는 제4-1밸브를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이동된 후 상기 라디에이터 및 전장부를 거쳐 나온 난방수와 합류한 후 다시 응축기 측으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고,
상기 쿨링 순환계의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후 생성된 저온의 냉방수가 제6밸브를 경유하여 제7밸브에서 두 경로로 분리되고, 분리된 일부의 냉방수는 상기 제5-1밸브와 제5-2밸브를 경유하여 제2열교환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각각 유입되어 공기와 열교환된 이후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토출된 냉방수는 제4-2밸브를 경유하여 합류한 이후 상기 제7밸브에서 분리되어 상기 배터리부로 유입된 후 열교환 후 토출되는 또 다른 냉방수와 합류한 후 상기 증발기 측으로 다시 유입되는 냉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68892A KR102513033B1 (ko) | 2020-12-04 | 2020-12-04 |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68892A KR102513033B1 (ko) | 2020-12-04 | 2020-12-04 |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79278A KR20220079278A (ko) | 2022-06-13 |
| KR102513033B1 true KR102513033B1 (ko) | 2023-03-23 |
Family
ID=8198421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68892A Active KR102513033B1 (ko) | 2020-12-04 | 2020-12-04 |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130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31862B1 (ko) * | 2022-07-22 | 2025-07-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39175B1 (ko) * | 1999-12-30 | 2006-10-27 | 한라공조주식회사 | 일체형 열교환기 |
| KR101384680B1 (ko) | 2011-02-07 | 2014-04-17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자동차용 브라인식 냉난방 시스템 |
| JP2019155930A (ja) | 2018-03-07 | 2019-09-1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用熱循環システム |
| CN109383228B (zh) * | 2018-09-29 | 2020-05-0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热泵空调器及其控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301254A (ja) * | 1998-04-16 | 1999-11-02 | Tgk Co Ltd | 自動車用空調装置 |
| KR102579716B1 (ko) * | 2016-12-07 | 2023-09-18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
| KR102039170B1 (ko) | 2017-06-20 | 2019-11-26 |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 자동차용 히트펌프 |
| KR102474356B1 (ko) * | 2017-11-10 | 2022-12-05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KR102496797B1 (ko) * | 2017-12-11 | 2023-02-0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KR102518597B1 (ko) * | 2018-10-30 | 2023-04-05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쿨링모듈 |
-
2020
- 2020-12-04 KR KR1020200168892A patent/KR10251303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39175B1 (ko) * | 1999-12-30 | 2006-10-27 | 한라공조주식회사 | 일체형 열교환기 |
| KR101384680B1 (ko) | 2011-02-07 | 2014-04-17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자동차용 브라인식 냉난방 시스템 |
| JP2019155930A (ja) | 2018-03-07 | 2019-09-1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用熱循環システム |
| CN109383228B (zh) * | 2018-09-29 | 2020-05-0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热泵空调器及其控制方法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79278A (ko) | 2022-06-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83499B1 (ko) | 자동차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 KR102382721B1 (ko) | 자동차의 통합 열관리 시스템 | |
| KR101637968B1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 CN111231655B (zh) | 车辆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车辆 | |
| KR101313593B1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 KR20180093184A (ko) | 자동차의 통합 열관리 시스템 | |
| KR101669826B1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 CN112498046A (zh) | 热管理系统 | |
| KR20160087001A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 KR101748213B1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 KR102460880B1 (ko) | 단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
| KR20190098068A (ko) |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 |
| KR20220166932A (ko) | 차량용 냉각 시스템 | |
| CN218287365U (zh) | 车辆热管理系统和车辆 | |
| KR102513033B1 (ko) | 듀얼 hvac 열교환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 |
| KR101276225B1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 CN117980167A (zh) | 热泵式温度调节装置 | |
| KR20180114400A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 WO2021261320A1 (ja) | 車両用冷却装置 | |
| KR101622631B1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 JP2022546382A (ja) | 車両内のバッテリー温度制御システム | |
| CN118927945A (zh) | 集成式热管理系统 | |
| KR101578101B1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 KR102843941B1 (ko) | 전기 자동차의 통합 열관리 시스템 | |
| KR20140114471A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