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0318B1 -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318B1
KR102520318B1 KR1020217014906A KR20217014906A KR102520318B1 KR 102520318 B1 KR102520318 B1 KR 102520318B1 KR 1020217014906 A KR1020217014906 A KR 1020217014906A KR 20217014906 A KR20217014906 A KR 20217014906A KR 102520318 B1 KR102520318 B1 KR 10252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ruptor
taper
flap
length
deformable fl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376A (ko
Inventor
스티븐 개씬
제이슨 비. 손
아담 우디
찰스 에스. 브루너
새비어 에프. 컬러
니콜라스 사다르
오그옌 브르돌작
다니엘 알. 델 마데로시안
안드레 디. 브라운
다니엘 제이. 인네스
Original Assignee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filed Critical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3701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21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3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1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icking up threads, hair or the like, e.g. brushes, combs, lint pickers or bristles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용 교란기의 예시는 몸체, 및 몸체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플랩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청소 에지를 몸체에 접근시킨다.

Description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Hair Cutting Brushroll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18년 10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제62/747,991호, Hair Cutting Brushroll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19년 6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제62/862,425호, Surface Treatment Apparatus configured to urge Fibrous Debris along an Agitator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18년 10월 2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제62/751,015호, Hair Cutting Brushroll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19년 8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제62/887,30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각각은 본원에 참조로서 완전히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란기로부터 부스러기를 이동 및/또는 제거하는 시스템을 포함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가 다양한 표면을 청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진공 청소기는 회전 교란기(예, 브러시 롤)를 포함한다. 공지된 진공 청소기가 일반적으로 부스러기를 수집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일부 부스러기(예, 머리카락, 모피 등과 같은 세장형 부스러기)가 교란기 내에 엉킬 수 있다. 엉킨 부스러기는 교란기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교란기를 회전시키는 모터, 베어링, 지지 구조, 및/또는 구동 트레인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교란기로부터 엉킨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브리슬에서 엉키기 때문이다.
구현예는 첨부된 도면에 예시로서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고, 도면 중,
도 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 구현예의 하부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라인 II-II를 따라 취한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모발 이동 시스템의 일례를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일반적으로 도 1의 라인 IV-IV를 따라 취한 빗질 장치의 일 구현예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반적으로 도 1의 라인 IV-IV를 따라 취한 도 4의 빗질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반적으로 도 2의 라인 VI-VI를 따라 취한 도 4의 빗질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일반적으로 도 2의 라인 VI-VI를 따라 취한 빗질 장치의 다른 구현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측방향(또는 말단) 영역의 치형부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중심 영역의 치형부를 갖는, 빗질 장치의 일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일반적으로 II-II 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복수의 절단된 교란기 챔버의 일 구현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의 진공 청소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교란기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9의 교란기와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리브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교란기와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리브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표면 청소 헤드의 개략적인 말단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2의 표면 청소 헤드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a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교란기 커버의 일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b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교란기 커버(도 14a)가 결합된 로봇 청소기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4의 표면 청소 헤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교란기 커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5의 교란기 커버의 하부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4의 표면 청소 헤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교란기 커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7의 교란기 커버의 하부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리브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플랩과 브리슬을 갖는 교란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브리슬을 갖는 교란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말단 캡을 갖는 교란기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2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교란기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말단 캡 사이에 배치된, 리브를 갖는 22의 교란기의 일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교란기용 말단 캡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도 24의 말단 캡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말단 캡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도 26의 말단 캡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7a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말단 캡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7b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이는 이에 결합된 도 27a의 말단 캡을 갖는다.
도 28은 본 개시와 일치하는 교란기의 다른 예시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라인 29-29를 따라 취한 도 29의 교란기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플랩이 없는 도 29의 교란기의 세장형 본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1a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30의 교란기의 세장형 본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31b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31a의 플랩 말단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세장형 본체가 없는 도 29의 플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도 32의 플랩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34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테이퍼를 형성하기 위해 제거된 부분을 갖는 플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5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테이퍼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를 갖는 플랩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36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교란기 몸체에 대해 비-수직 각도로 배치된 플랩을 갖는 교란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7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플랩의 원위 말단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를 갖는, 말단 캡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37a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교란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8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39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트리거를 포함한 도 38의 핸드 진공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이를 통해 연장된 공기 흐름 경로를 포함한 도 38의 핸드 진공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1은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핸드 진공의 본체에 고정된 부스러기 수집 챔버를 확대한 것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2는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핸드 진공의 본체에 미고정된 부스러기 수집 챔버를 확대한 것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3은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부스러기 수집 챔버 및 일차 필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4는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뚜겅이 열린 도 43의 부스러기 수집 챔버 및 일차 필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5는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이차 스테이지 필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6은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모터전 필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7은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모터후 필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8은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로봇 진공 청소기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다양한 구현예의 제조 및 사용이 이하에서 상세히 논의되지만, 본 개시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특정 맥락에서 구현될 수 있는 많은 적용 가능한 발명 개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논의된 특정 구현예는 본 개시를 만들고 사용하는 특정 방법을 단지 예시하고, 본 개시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에 관한 것이다. 교란기는 몸체, 및 몸체로부터 연장된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한다.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은,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의 대응하는 말단 영역 내에서 연장된 하나 이상의 테이퍼를 포함한다. 교란기는, 교란기가 교란기 챔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표면 처리 장치의 교란기 챔버 내에 수용되게 구성된다. 교란기의 회전은 변형 가능한 플랩을 청소될 표면(예, 바닥)과 체결시켜 그 위에 침착된 부스러기가 변형 가능한 플랩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작동 시, 하나 이상의 테이퍼는 공통 위치(예, 제거 위치)를 향해서 몸체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섬유성 부스러기(예, 모발)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이제 도 1도 2를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0)의 일 구현예가 일반적으로 나타나 있다. 진공 청소기(10)라는 용어는, 수동식 진공 청소기 및 로봇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진공 청소기를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수동식 진공 청소기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직립형 진공 청소기, 캐니스터 진공 청소기, 스틱형 진공 청소기, 및 중앙 진공 시스템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가 수동식 진공 청소기 또는 로봇 진공 청소기의 맥락에서 예시 및/또는 설명될 수 있지만,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특징부는 수동식 진공 청소기 및 로봇 진공 청소기 모두에 적용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도 1은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10)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일반적으로 도 1의 라인 II-II를 따라 취한 진공 청소기(1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도 2에 타낸나 진공 청소기(10)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와 일치하는 진공 청소기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모든 특징부를 포함할 수 없고/없거나 도 1 도 2에 나타내지 않은 추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진공 청소기(10)는 청소 헤드(노즐 및/또는 청소 노즐로도 지칭될 수 있음)(12) 및 선택적으로 핸들(14)을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핸들(14)은 청소 헤드(12)에 피봇식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휠(16)을 사용하여 청소 헤드(12)를 청소될 표면(114)(예, 바닥)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서 있는 동안에 핸들(14)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청소 헤드(12) 및 핸들(14)은 일체형 또는 단일 구조(예, 휴대용 진공 청소기)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핸들(14)은 (예를 들어, 로봇 진공 청소기에서) 제거될 수 있다.
청소 헤드(12)는, 하나 이상의 교란기 챔버(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포함하는 청소 헤드 몸체 또는 하우징(13)을 포함한다. 교란기 챔버(22)는, 청소 헤드(12)/청소 헤드 몸체(13)의 바닥 표면/플레이트(25)의 일부 내에 및/또는 이에 의해 정의된 하나 이상의 개구(또는 공기 유입구)(23)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교란기 또는 브러시 롤(18)은 청소 헤드(12)에 결합되도록(영구적으로 또는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회전 시스템(24)에 의해 교란기 챔버(22) 내에서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도 2의 화살표 A의 방향 및/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시스템(24)은 진공 헤드(12) 및/또는 핸들(1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교란기(18)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벨트 및/또는 기어 트레인(28)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모터(26)(AC 및/또는 DC 모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는, 회전 교란기(18)에 의해 수집된 부스러기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교란기 챔버(22)와 유체 연통하는 부스러기 수집 챔버(30)를 포함한다. 교란기 챔버(22) 및 부스러기 챔버(30)는, 교란기 챔버(22) 및 부스러기 수집 챔버(30)에서 기류(예, 부분 진공)를 생성하고 교란기 챔버(22) 및/또는 교란기(18)에 근접한 부스러기를 빨아들이기 위해, 진공원(32)(예, 흡입 모터 등)에 유체 결합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란기(18)의 회전은 청소 표면으로부터 부스러기를 교란/느슨하게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필터(34)가 제공되어 진공 기류에 연행된 임의의 부스러기(예, 먼지 입자 등)를 제거할 수 있다. 부스러기 챔버(30), 진공원(32), 및/또는 필터(34)는 청소 헤드(12) 및/또는 핸들(1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흡입 튜브, 덕트 등(36)이 부스러기 챔버(30), 진공원(32), 및/또는 필터(34)를 유체 결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튜브(36)는 흡입 튜브(36)를 교란 챔버(22)로부터 분리하는(예를 들어, 교란 챔버(22)로부터의 흡입 튜브(36)의 입구인) 흡입 유입구 및/또는 흡입 개구(33, 도 2)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는, 예컨대 전기 코드/플러그, 배터리(예, 충전식 및/또는 비-충전식 배터리), 및/또는 회로(예, AC/DC 변환기, 전압 조절기, 스텝-업/다운 변환기 등)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고/포함하거나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회전 시스템(24) 및/또는 진공원(32)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진공 청소기(10)의 다양한 부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교란기(18)는, 길이 방향/피봇 축(20)을 따라 연장되고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교란기 몸체(40)를 포함한다. 교란기(18)(예, 교란기(18)의 말단 중 하나 이상에 제한되지 않음)는 진공 헤드(12)에 영구적으로 또는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회전 시스템(24)에 의해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세장형 교란기 몸체(4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단면을 갖지만, 다른 단면 형상(예컨대, 타원형, 육각형, 직사각형, 팔각형, 오목형, 볼록형 등, 이에 제한되지 않음)도 가능하다. 교란기(18)는 브리슬, 직물, 펠트, 냅, 파일 또는 다른 청소 요소(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42)를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바깥쪽 주위에 가질 수 있다. 브러시 롤 및 다른 교란기(18)의 예시는, 미국 특허 제9,456,723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6/0220082호에 상세히 나타나고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교란기(18)가 교란 챔버(22)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교란기(18)는 머리카락, 실 등과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세장형(또는 섬유성) 부스러기와 접촉할 수 있다. 섬유성 부스러기(44)는, 교란기(18)의 직경보다 훨씬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섬유성 부스러기(44)는 교란기(18)의 직경보다 2-10배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섬유성 부스러기(44)의 길이 및 유연성뿐만 아니라 교란기(18)의 회전으로 인해, 섬유성 부스러기(44)는 교란기(18)의 직경 주위를 둘러싸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란기(18) 상에 축적된 과도한 양의 섬유성 부스러기(44)는 교란기(18)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있거나 진공 청소기(10)(예, 회전 시스템(24) 등)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교란기(18) 주위를 둘러싸는 섬유성 부스러기(44)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10)는 교란 챔버(2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모발 이동 시스템(49) 및/또는 하나 이상의 빗질 장치(50)(또한 디브라이더(debrider)로도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교란기(18)가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교란기(18) 주위에 감겨진 섬유성 부스러기(44) 중 적어도 일부를 교란기(18)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그리고 선택적으로 교란기(18)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모발 이동 시스템(49)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빗질 장치(50)는 교란기(18) 주위에 둘러싸인 섬유성 부스러기(44)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제거된 섬유성 부스러기(44)는 흡입 튜브(36)를 통해 흡입 기류 내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부스러기 수집 챔버(30)로 연행될 수 있다.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하나 이상의 리브(116),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예,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측벽/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116)(점선으로 나타냄)는 표면 청소 헤드(12) 내에서 연장될 수 있고, 교란기(18)와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섬유성 부스러기가 교란기(18) 상의 하나 이상의 소정의 위치를 향해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리브(116)는, 섬유성 부스러기가 교란기(18) 주위에 엉키게 될 시 섬유성 부스러기는 리브(116)와 체결하고(예, 접촉하고), 교란기(18)를 따라 소정의 위치를 향해 가압되도록, 교란기(18)의 길이 방향 축(L)까지 (예를 들어, 비-수직 각도로) 횡방향 연장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는 모발 이동 시스템(49) 및 빗질 장치(50) 둘 다로 예시되지만, 진공 청소기(10)의 일부 예시는 모발 이동 시스템(49) 또는 빗질 장치(50)만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모발 이동 시스템(49)의 일례가 일반적으로 나타나 있다.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하나 이상의 행 또는 스트립으로 정렬된 교란기(18) 상에 복수의 브리슬(6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60)의 행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측벽 및/또는 연속적인 측벽(일부 예시에서, 플랩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랩으로 지칭될 수 있음)(6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슬(60) 및/또는 연속 측벽(62)의 행은, 모발이 교란기(18)의 브리슬(60)에 엉키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브리슬과 측벽(62)의 조합은, 모발을 교란기(18)의 하나 이상의 수집 영역(예, 교란기(18)의 중심 영역(41),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향해 이동시키는/가압하는, 아르키메데스 나선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리슬(60)은 행 및/또는 하나 이상의 행의 연속 브리슬(60)로 배열된 복수의 브리슬(60) 터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브리슬(60)은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예, 베이스부)로부터 바깥쪽으로(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하나 이상의 연속 행을 정의한다. 브리슬(60)의 연속 행 중 하나 이상은, (텅 및 홈 연결, T-홈 연결 등과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형태 잠금 연결, 간섭 연결(예, 간섭 끼워 맞춤, 가압 끼워 맞춤, 마찰 끼워 맞춤, 모스 테이퍼 등), 접착제, 패스너, 오버몰딩 등을 사용하여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에 결합될(영구적으로 또는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브리슬의 행(60)은 교란기(18)의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길이 방향 축/피봇 축(20)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고 이를 따라 연장된다.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연속 행의 브리슬(60)은 복수의 브리슬(60)로서 정의되며, 여기서 회전축(20)을 따라 인접한 브리슬(60) 사이의 간격은 브리슬(60)의 최대 단면 치수(예, 직경)의 3배 이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브리슬(60)은 적어도 한 행에 배열되고/배열되거나 이를 정의하고, 이는 교란기(18)의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길이 방향 축/피봇 축(20)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고 이를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어, 브리슬(60)의 행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적으로 나선형, 아치형, 및/또는 갈매기형 구성/패턴/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브리슬(60)의 행 중 하나 이상(예, 전체 행 또는 이의 일부)은 일정한 피치(예, 일정한 나선형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브리슬(60)의 행 중 하나 이상(예, 전체 행 또는 그의 일부)은 가변 피치(예, 가변 나선형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슬(60)의 행 중 적어도 일부는, 모발의 이동을 가속하고/가속하거나 원하는 위치(예, 교란기(18)의 중심 영역(41) 및/또는 흡입 튜브(36)의 일차 유입구(33))를 향해 일반적으로 부스러기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가변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60)의 행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62)에 근접하게(예, 바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측벽(62)은, 브리슬(60)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게 하면서, 가능한 한 가장 가까운 행의 브리슬(6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측벽(62)은 브리슬(60)의 행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 연장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측벽(62)은 적어도 브리슬(60)의 인접한 행의 길이만큼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측벽(62)은 브리슬(60)의 행 중 적어도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으로 평행한"은 측벽(62)과 브리슬(60)의 행 사이의 분리 거리가 브리슬(60)의 행의 전체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최대 분리 거리의 25% 이내로, 예를 들어 브리슬(60) 행의 전체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최대 분리 거리의 20% 이내 및/또는 브리슬(60) 행의 전체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최대 분리 거리의 15% 이내로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즉시 인접한"은 측벽(62)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는 다른 구조적 특징부 또는 요소가 측벽(62)과 가장 가까운 행의 브리슬(60) 사이에 배치되지 않음을 의미하도록 의도되며, 측벽(62)과 브리슬(60)의 가장 가까운 행 사이의 이격 거리(D)는 5 mm 이하(예를 들어, 3 mm 이하, 2.5 mm 이하, 1.5 mm 이하, 및/또는 1.5 mm 내지 3 mm 사이의 임의 범위)이다.
따라서 측벽(62) 중 하나 이상은, 교란기(18)의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길이 방향 축/피봇 축(20)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고 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62)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적으로 나선형, 아치형, 및/또는 갈매기형 구성/패턴/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벽(62)의 행 중 하나 이상(예, 전체 행 또는 이의 일부)은 일정한 피치(예, 일정한 나선형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측벽(62) 중 하나 이상(예, 전체 행 또는 그의 일부)은 가변 피치(예, 가변 나선형 피치)를 가질 수 있다.
교란기(18)가 피봇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측벽(62)이 브리슬(60)의 행 뒤에 배열된 브리슬(60)의 행을 갖는 교란기(18)가 나타나 있지만, 교란기(18)는 브리슬(60)의 행 앞, 브리슬(60)의 행 뒤로 모두 하나 이상의 측벽(62)을 포함하고/포함하거나 브리슬(60)의 행이 없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측벽(62)은 도 3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일부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62) 중 하나 이상은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베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로부터 브리슬(60)의 행은 결합되고/결합되거나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외부 주변부의 일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측벽(62)은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일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62)의 반경 방향 최원위 부분은,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인접하고 감싸는 주변부의 반경 방향 거리의 20% 이내에 있는,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피봇 축(20)으로부터 반경 방향 거리에 배치될 수 있고, 측벽(62)의 최근접 부분(즉,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측벽(62)의 부분)은,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인접하고 감싸는 주변부의 반경 방향 거리 미만인 반경 방향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인접하고 둘러싸는 주변부"는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세장형 교란기 몸체(40)의 주변부의 일부분을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일부 예시에서, 교란기(18)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6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적어도 한 행의 브리슬(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라, 한 행에서 브리슬(60)의 적어도 일부(예, 모두)는 인접한 측벽(62)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 높이 Hs(예, 피봇 축(20)으로부터 측정된 높이)보다 더 긴 전체 높이 Hb(예, 피봇 축(20)으로부터 측정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한 행에서 브리슬(60)의 적어도 일부(예, 전부)는 인접한 측벽(6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 Hs보다 2-3 mm(예, 2.5 mm) 더 긴 높이 Hb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인접한 측벽(6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 Hs는 한 행에서 브리슬(60)의 적어도 일부(예, 전부)의 높이 Hb의 60 내지 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슬(60)은 12 내지 32 mm 범위(예, 18 내지 20.5 mm 범위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의 높이 Hb를 가질 수 있고, 인접한 측벽(62)은 10 내지 29 mm 범위(예, 15 내지 18 mm 범위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의 높이 Hs를 가질 수 있다.
브리슬(60)은, 측벽(62)의 최원위 말단 위로 적어도 2 mm 연장된 높이 Hb를 가질 수 있다. 측벽(62)은 베이스로부터 적어도 2 mm의 높이 Hs를 가질 수 있고, 브리슬(60)의 높이 Hb의 50% 이하인 높이 Hs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측벽(62)은, 정상적인 사용 동안에 교란기(18)가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진-후진 방향으로 브리슬(60)의 강성을 증가(예를 들어, 범위 또는 움직임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한 행의 브리슬(60)에 충분히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62)은, 브리슬(60)로 하여금 전진-후진 방향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측면-대-측면 방향으로 훨씬 더 자유롭게 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슬(60)은 측면 대 측면 방향에 비해 전진 대 후진 방향으로 25% 내지 40%(이 사이의 모든 값 및 범위 포함) 더 강성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라, 측벽(62)은 브리슬(60)의 행에 인접하게(예를 들어, 바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62)의 최원위 말단(즉, 회전 중심 PA로부터 가장 먼 측벽(62)의 말단)은 브리슬(60)의 행으로부터 0-10 mm, 예컨대 브리슬(60)의 행으로부터 1-9 mm, 브리슬(60)의 행으로부터 2-7 mm, 및/또는 브리슬(60)의 행으로부터 1-5 mm일 수 있으며, 그 안에 모든 범위 및 값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에서, 한 행에서 브리슬(60)의 적어도 일부분(예, 전부)은 인접한 측벽(62)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 높이 Hs보다 더 짧은 전체 높이 Hb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한 행에서 브리슬(60)의 적어도 일부(예, 전부)는 인접한 측벽(6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 Hs보다 2-3 mm(예, 2.5 mm) 더 짧은 높이 Hb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한 행에서 브리슬(60) 중 적어도 하나(예, 전부)의 높이 Hb는 인접한 측벽(62)의 적어도 일부의 높이 Hs의 60 내지 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슬(60)은 10 내지 29 mm 범위(예, 15 내지 18 mm 범위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의 높이 Hb를 가질 수 있고, 인접한 측벽(62)은 12 내지 32 mm 범위(예, 18 내지 20.5 mm 범위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의 높이 Hs를 가질 수 있다. 측벽(62)은, 브리슬(60)의 최원위 말단 위로 적어도 2 mm 연장된 높이 Hs를 가질 수 있다. 브리슬은 베이스로부터 적어도 2 mm의 높이 Hb를 가질 수 있고, 측벽(62)의 높이 Hb의 50% 이하인 높이 Hs까지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라, 측벽(62)은 가요성 및/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플랩 및/또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랩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가요성 및/또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예시는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측벽(62)은 가요성 재료 및 직물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재료 및 직물의 조합은 측벽(62)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측벽(62)의 수명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청소 및 교란을 위한 추가 방법을 제공한다. 고무는 천연 및/또는 합성을 포함할 수 있고,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고무 및/또는 실리콘은 폴리에스테르 직물 및/또는 나일론 직물(예, PA66)과 조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측벽(62)은 주조 고무 및 직물(예,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주조 고무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갖는 천연 고무 주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주조 고무는 폴리우레탄(예컨대, PU 45 Shore A와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및 폴리에스테르 직물로 주조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62)이 나선형 경로 상에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측벽(62)의 상단 에지 및 하단 에지가 각각 상이한 나선형 반경을 갖는 상이한 나선을 따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보강재를 갖는 가요성 재료가 수명 요건을 통과하도록 선택되는 경우에, 조립 상태의 측벽(62) 위치가 각 에지의 상이한 나선형 반경 및 나선형 경로와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이들 에지를 따라 요구되는 신장을 책임져야 한다(이유는 복합재 측벽(62)의 섬유 재료가 측벽(62)의 가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충족되지 않으면, 측벽(62)의 원위 말단은 브리슬(60)로부터 일정 거리(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10 mm 이내)로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측벽(62)의 기하 구조와 재료의 선택은, 측벽(62)의 공간/위치 요건, 감쌈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유연성, 및 진공 청소기에서의 정상적인 사용을 견디기 위한 내구성을 만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직물의 첨가는, 더 높은 교란기 회전 속도의 응용(이에 제한되지 않음, 예를 들어 직립형 진공 응용)에 유용할 수 있다.
교란기(18)(예,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는 교란기 챔버(22) 내에서 정렬될 수 있어서,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이 청소될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은 원치 않는 휨 없이(예를 들어, 카펫으로부터 부스러기를 교란시키기에 충분히 강성으로) 그러나 측면-대 측면 휨을 허용할 만큼 가용성으로 청소될 표면(예, 카펫 섬유, 이에 제한되지 않음)과 체결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충분히 강성이어야 한다. 브리슬(60)의 행에 대한 측벽(62)의 크기(예, 높이 Hs) 및 위치 둘 모두는, 일반적으로 브리슬(60)의 베이스 또는 바닥 주위로 모발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방지하거나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리슬(60)은, 딱딱한 바닥에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 중 바닥에서 제거되도록,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표면 청소 장치(10)가 카펫 상에 있을 경우에, 휠은 가라앉고,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은 카펫을 관통할 것이다.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의 길이는, 바닥면에 관계없이 항상 바닥과 접촉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교란기(18)의 추가 상세 부분(예컨대,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과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2017년 9월 8일에 출원된 "Agitator with Hair Removal"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8/0070785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서 완전히 포함된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모발 이동 시스템(49)(예,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의 조합)은 섬유성 부스러기(44)를 원하는 방향 및/또는 목표 방향 및/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라,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섬유성 부스러기(44)를 빗질 장치(50)를 향해 그리고/또는 교란 챔버(22)에 유체 결합된 흡입 튜브(36)의 유입구에 근접한 교란기(18)의 영역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교란기(18)가 교란 챔버(22) 내에서 회전하는 경우에 교란기(18)의 중심 영역(41)(예, 빗질 장치(50)에 근접할 수 있음)과 흡입 튜브(36)(도 4-6)의 일차 유입구(33)를 향해 섬유성 부스러기(4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빗질 장치(50)로 하여금 교란기(18)로부터 섬유성 부스러기(44)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교란기(18)를 따라 섬유성 부스러기(44)를 빗질 장치(50)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섬유성 부스러기(44)는 흡입 튜브(36) 내로 흡입 기류에 연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제1 및 적어도 제2(예, 좌측 및 우측) 모발 이동 섹션(66, 67)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발 이동 섹션(66, 67)은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측벽(62) 및/또는 브리슬(6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발 이동 섹션(66, 67) 중 하나 이상의 측벽(62) 및/또는 브리슬(60)은 일반적으로 나선형 패턴 및/또는 일반적으로 갈매기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라, 모발 이동 섹션(66, 67)의 적어도 일부는 중첩 영역(69)에서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나타낸 예시에서, 측벽(62)만이 중첩하나, 브리슬(60)만이 중첩할 수 있고/있거나 측벽(62)과 브리슬(60) 둘 모두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발 이동 섹션(66, 67)은, 교란기(18)가 교란기 챔버(22) 내에서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인접한 모발 이동 섹션(66, 67)의 측벽(62) 및/또는 브리슬(60)이 반경 방향 단면 섹션을 통과하면, 중첩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중첩의 양 및/또는 정도(즉, 중첩 영역(69)의 크기)는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 영역(69)의 크기는 빗질 장치(50)의 길이, 교란기(18)의 전체 길이, 교란기(18)의 회전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라, 중첩 영역(69)의 크기는 10-30 mm일 수 있고, 교란기(18)는 225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 중첩 영역(69)의 크기는 교란기(18) 길이의 4-20%일 수 있다. 물론, 이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선택적으로, 측벽(62) 및/또는 브리슬(60) 중 하나 이상의 높이는 중첩 영역(69)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테이퍼가 질 수 있다. 중첩 영역(69)에서 측벽(62) 및/또는 브리슬(60)의 높이의 감소는, 섬유성 부스러기(44)가 교란기(18)에 인가하는 압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교란기(18)로부터 섬유성 부스러기(44)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교란기(18)의 길이의 일부만을 가로질러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인접한 모발 이동 섹션(66, 67)을 갖는 모발 이동 시스템(49)이 나타나 있지만,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두 개 초과 또는 두 개 미만의 이동 섹션(66, 67)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발 이동 시스템(49)은, 실질적으로 교란기(18)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모발 이동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세장형 모발 이동 섹션은, 교란기(18)의 양 말단으로부터 타겟 위치를 향해 이동하기 위해 타겟 위치에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일반적인 나선형 및/또는 일반적인 갈매기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빗질 장치(50)의 일례가 일반적으로 나타나 있다. 특히, 도 4는 명확성을 위해 교란기(18)가 없는 도 1의 IV-IV 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를 일반적으로 나타내고, 도 5도 1의 IV-IV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일반적으로 나타내고, 도 6은 명확성을 위해 교란기(18)가 없는 도 2의 VI-V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단지 하나의 빗질 장치(50)만이 나타나 있지만, 진공 청소기(10)는 복수의 빗질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결합 유닛(50)은 교란기 챔버(2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교란기(18)의 길이의 일부분(예, 본원에서 설명된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빗형 구조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핑거, 리브 및/또는 치형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핑거(52)는, 핑거(52)의 적어도 일부가 브리슬(60)의 말단 및/또는 하나 이상의 측벽(62)과 접촉하도록,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10)의 일부(예컨대, 몸체(13), 교란기 챔버(22), 하단 표면(25), 및/또는 부스러기 수집 챔버(30)와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부터 교란기(18)를 향해 연장(예,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교란기(18)의 회전은, 빗질 장치(50)의 핑거(52)로 하여금 복수의 브리슬(60) 사이를 통과시키고/통과시키거나 측벽(62) 중 하나 이상과 접촉시킴으로써, 모발이 교란기(18) 상에 엉키지 않게 한다. 형상부 또는 핑거, 리브 및/또는 치형부(52)는, 구체적으로 청구되지 않는 한, 본 출원에서 나타내고/나타내거나 설명된 것들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 구현예에 따라, 핑거(52)의 적어도 일부(예, 모든 핑거(52))는 일반적으로 교란기(18)를 향해 연장되어, 측벽(62)이 핑거(52)를 지나 회전함에 따라 핑거(52)의 최원위 말단이 측벽(62)의 2 mm 이내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핑거(52)는 측벽(62)과 접촉할 수 있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핑거(52)의 적어도 일부(예, 모든 핑거(52))는 일반적으로 교란기(18)를 향해 연장되어, 측벽(62)이 핑거(52)를 지나 회전함에 따라 핑거(52)의 최원위 말단이 측벽(62)과 접촉(예, 중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핑거(52)의 최원위 말단은, 측벽(62)의 최원위 말단의 3 mm까지, 예를 들어 측벽(62)의 최원위 말단의 1-3 mm, 측벽(62)의 최원위 말단의 0.5-3 mm, 측벽(62)의 최원위 말단의 2 mm까지, 및/또는 측벽(62)의 2 mm까지, 그 안의 모든 범위 및 값을 포함하여, 접촉할 수 있다.
핑거(52)는 빗질 장치(50)의 길이 방향 길이(L)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길이 방향 길이(L)을 따라 균일하게 또는 무작위로 이격된다. 일 구현예에 따라, 핑거(52)의 밀도(예, 인치당 핑거(52)의 수)는 인치당 0.5-16개의 핑거(52)일 수 있고, 예컨대, 인치당 1-16개의 핑거(52), 인치당 2-16개의 핑거(52), 인치당 4 내지 16개의 핑거(52) 및/또는 인치당 7-9개의 핑거(52)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범위 및 값을 그 안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핑거(52)는 2-5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3-4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3.25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1-26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최대 127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최대 102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최대 76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최대 50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2-26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2-50.8 mm의 중심 대 중심 간격, 및/또는 1.58-25.4 mm 중심 대 중심 간격을 가질 수 있고 모든 범위 및 값을 그 안에 포함한다.
핑거(52)(예를 들어, 치형부로도 지칭됨)의 폭은 제조 및 강도 요건에 따라 최소 폭을 차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핑거(52)의 감소된 폭은, 교란기(18) 상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모발의 제거를 위해 핑거(52) 사이의 기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핑거(52)의 집합 폭은, 특히 결합 유닛(50)이 플라스틱일 경우에 빗질 장치(50)의 총 폭보다 30% 이하일 수 있다.
프로파일 및 브러시 롤 축(20)을 따른 핑거(52)의 폭은, 구조 및 몰딩 요건에 기초할 수 있다. 핑거(52)의 원위 말단의 프로파일은 아치형(예, 둥근형)일 수 있거나 날카로운 팁을 형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는 변곡점에서 교차하여 예각을 형성할 수 있음). 일 구현예에 따라, 핑거(52)의 원위 말단의 프로파일은 재료 및 제조 인자에 기초하여 둥글고 매끄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핑거(52)의 원위 말단의 프로파일은 28 mm 직경의 교란기(18)에 대해 직경이 0.6-2.5 mm(예컨대, 1-2 mm 직경 및/또는 1.6 mm 직경과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일 수 있다.
핑거(52)의 루트 갭(예, 인접한 핑거(52) 사이의 전이부)은 교란기(18)의 주 직경의 0 내지 25%인 반경 방향 갭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핑거(52)의 루트 갭은 교란기(18)의 주 직경의 2-7%일 수 있고, 예컨대 교란기(18)의 주 직경의 3-6% 및/또는 교란기(18)의 주 직경의 5.4%와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핑거(52)의 루트 갭은 28 mm 교란기(18)에 대해 1.5 mm 갭일 수 있다.
핑거(52)는, 교란기(18)의 피봇 축(20)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빗질 장치(50)의 길이 방향 길이(L)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핑거(52)의 전부 또는 일부는 피봇 축(20)에 대해 횡방향인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예를 들어, V 형상, 이에에 제한되지 않음) 하나 이상의 축(예, 복수의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빗질 장치(들)(50)는, 교란 챔버(22)의 길이의 일부만을, 예를 들어 흡입 튜브(36)의 일차 흡입 유입구(33)에 대응하는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빗질 장치(50)는 흡입 튜브(36)의 일차 흡입 유입구(33)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구 "흡입 유브(36)의 일차 흡입 유입구(33)에 근접하는" 등은, 빗질 장치(50)가 흡입 튜브(36)의 일차 흡입 유입구(33)의 단면적의 20% 미만의 거리에서 일차 흡입 유입구(33)의 내부 및/또는 상류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나타낸 예시에서, 진공 청소기(10)는 일차 흡입 유입구(33)(도 6에서 가장 잘 보임), 및 교란 챔버(22)의 길이를 따라 일차 흡입구(33)로부터 측방향으로(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 연장된 두 개의 인접한 이차 흡입 유입구(71)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흡입 튜브(36)의 일차 흡입 유입구(33) 및 이차 흡입 유입구(71)는, 교란 챔버(22)로부터 흡입 경로의 시작을 정의한 흡입 튜브(36)와 교란 챔버(22) 사이의 전이 영역으로서 정의된다. 진공 청소기(10)는, 단일 일차 흡입 유입구(33) 및 두 개의 인접한 이차 흡입 유입구(71)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진공 청소기(10)는 두 개 미만 또는 초과의 이차 흡입 유입구(71) 및/또는 한 개 초과의 일차 흡입 유입구(33)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한 개 초과의 일차 흡입 유입구(33)를 갖는 구현예에서, 진공 청소기(10)는 선택적으로 한 개 초과의 빗질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10)는 임의의 이차 흡입 유입구(71)를 갖지 않을 수 있다.
흡입 튜브(36)의 일차 흡입 유입구(33)는, 인접한 이차 흡입 유입구(71)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일차 흡입 유입구(33)는 이차 흡입 유입구(71)에 비해 더 큰 압력(그러나 더 낮은 속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흡입 유입구(71)는 일차 흡입 유입구(33)의 높이의 25% 미만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차 흡입 유입구(71)는 일차 흡입 유입구(33)의 높이의 20% 미만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이차 흡입 유입구(71)는 일차 흡입 유입구(33)의 높이의 15% 미만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있거나 이차 흡입 유입구(71)는 일차 흡입 유입구(33)의 높이의 10% 미만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그 안에 모든 값과 범위를 포함한다. 일차 흡입 유입구(들)(33)는 집합적으로 교란 챔버(22)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일차 흡입 유입구(들)(33)의 집합 길이는 교란 챔버(22)의 길이의 80% 미만이고, 예를 들어 일차 흡입 유입구(들)(33)의 집합 길이는 교란 챔버(22)의 길이의 60% 미만일 수 있고, 일차 흡입 유입구(들)(33)의 집합 길이는 교란 챔버(22)의 길이의 50% 미만일 수 있고, 일차 흡입 유입구(들)(33)의 집합 길이는 교란 챔버(22)의 길이의 40% 미만일 수 있고/있거나, 일차 흡입 유입구(들)(33)의 집합 길이는 교란 챔버(22)의 길이의 30% 미만일 수 있고, 그 안에 모든 값과 범위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라, 진공 청소기(10)가 청소될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이차 흡입 유입구(71)의 상부 표면은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3-5 mm에 배치될 수 있다. 이차 흡입구(71)는, 교란 챔버(22)의 실질적인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일차 흡입 유입구(33)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류가 너무 낮아서 부스러기를 연행할 수 없는 교란 챔버(22) 내의 데드 스폿을 감소 및/또는 제거함으로써, 진공 청소기(10)의 흡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차 흡입구(33)의 상부 표면은 이차 흡입 유입구(71)의 상부 표면(예, 바닥으로부터 15-21 mm)으로부터 12-18 mm(예, 15 mm)일 수 있다.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빗질 장치(50)의 핑거(52)는 교란기(18), 예를 들어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라, 빗질 장치(50)의 핑거(52)는 모두 도 4 내지 도 6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라, 핑거(52)는 8-10 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빗질 장치(50)는 30-40 mm의 전체 길이(예, 35 mm, 이에 제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빗질 장치(50)의 복수의 핑거(52)는, 일차 흡입 유입구(33)의 상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52)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방향 영역(73) 상의 하나 이상의 핑거(52')는 도 7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측방향 영역(73)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핑거(52')는, 중심 영역(77)에 대응하는 치형부(52)보다 더 길게 측정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측방향 영역(73) 내의 하나 이상의 핑거(52')는, 중심 영역(77) 내의 하나 이상의 핑거(52)보다 더 작게 측정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빗질 장치(93)의 예시는 복수의 핑거(94)를 갖되, 빗질 장치(93)의 중심 영역(95)에 대응하는 복수의 핑거(94)의 부분은, 측방향 영역(97)에 대응하는 복수의 핑거(94)의 부분의 길이(96)보다 더 길게 측정되는 길이(96)를 갖고, 도 7a에 나타나 있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영역(95)은 측방향 영역(97)의 각각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심 영역(95)의 길이(98)는, 빗질 장치(93)의 길이(99)의 20% 내지 60%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이제 도 8로 돌아가면, 본 개시는 또한 복수의 절단된 교란기 챔버(80)를 특징부로 할 수 있다. 특히, 절단된 교란기 챔버(80)는, 교란 챔버(22)를 정의한 내벽(82)과 교란기(1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절단된 교란기 챔버(80) 내의 압력은, 교란 챔버(22)의 나머지 섹션 내의 압력(예, 개구부(23)에 근접한 교란 챔버(22)의 압력) 및/또는 흡입 튜브(36)에 비해 더 높고/높거나 낮을 수 있다. 절단된 교란기 챔버(80)는, 교란기 몸체(40)로부터 연장되고 교란 챔버(22)의 내벽(82)에 대해 접촉하는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특히,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은, 내벽(82)과 국부적인 밀폐를 생성할 수 있다. 브리슬(60) 및/또는 측벽(62)의 형상, 크기 및 패턴은, 교란기(18)가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절단된 교란기 챔버(80)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나타낸 예시가 네 개의 절단된 교란기 챔버(80)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진공 청소기(10)는 절단된 교란기 챔버(80)를 네 개 초과 또는 미만으로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 9로 돌아가면, 도 1의 교란기(18)의 예일 수 있는 교란기(200)의 개략도가 일반적으로 나타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교란기(200)는, 교란기(200)의 길이 방향 축(204)을 따르는 방향으로 교란기(200)의 세장형 본체(203) 주위로 나선형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 가능한 플랩(202)(측벽(62)의 예시일 수 있음)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교란기(200)는 임의의 브리슬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지만, 교란기(200)가 플랩(202)에 더하여(또는 플랩 없이) 선택적으로 브리슬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플랩(202)은, 일반적으로 교란기(200)의 세장형 본체(203)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그리고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속 스트립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플랩(202)은, 세장형 본체(203)의 길이(205)의 실질적인 부분(예,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9%)을 위해 세장형 본체(203)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랩(202)은, 예를 들어 도 1의 진공 청소기(10)의 개구/공기 유입구(23)의 방향으로 부스러기가 가압되도록, 교란기(200)가 회전하면서 청소될 표면과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 플랩(202)은 제1 방향에 따라 교란기(200)의 본체(203) 주위로 나선형 연장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플랩(202)은 제1 및 제2 방향에 따라 교란기(200)의 본체(203) 주위로 나선형 연장될 수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갈매기형 형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플랩(202)이 교란기(200)의 세장형 본체(203) 주위로 연장됨에 따라, 플랩(202)의 나선형 형상은, 교란기(200)를 따라 하나 이상의 소정의 위치를 향해 섬유성 부스러기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발과 같은 섬유성 부스러기가 교란기(200) 주위에 엉키게 되는 경우에, 플랩(202)이 청소될 표면 및/또는 도 1의 리브(116)와 체결하면 섬유성 부스러기를 플랩(202)의 나선형 형상에 따라 교란기(200)를 따라서 가압시킬 수 있다.
도 10은, 교란기(200)와 체결(예, 접촉)하는, 리브(116)의 예시일 수 있는 복수의 리브(300)의 개략적인 예시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리브(300)는 비-수직 각도로 교란기(200)의 길이 방향 축(204)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플랩(202)의 적어도 일부와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축(204)과 하나 이상의 리브(300) 각각 사이에 형성된 리브 각도(α)는 약 30° 내지 약 60°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리브(300)의 수가 증가하고 리브 각도(α)가 감소함에 따라, 교란기(200)를 따라 섬유질 부스러기가 가압되는 속도는 증가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리브(300)는 교란기(200)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브(300)는 아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플랩(202)과 리브(300) 사이의 체결(예, 접촉)하는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리브(300)는, 리브(300)와 체결(예, 접촉)하는 플랩(202)에 반응하여 플랩(202)을 변형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리브(300)는 플라스틱(예,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금속(예, 알루미늄 또는 스틸 합금),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플랩(202)은 고무(예,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각각의 리브(30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리브(300) 중 하나 이상은 리브(300)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예, 적어도 하나의 리브(30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브(3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음).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각각의 리브(300)는 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리브(300)는 균일하게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300) 사이에서 연장된 분리 거리(301)는, 교란기(200)의 길이 방향 축(204)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 방향(304)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이동 방향(304)은, 일반적으로 섬유성 부스러기가 가압되는 방향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3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300)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다른 하나의 리브(30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리브를 따르는 길이 방향 위치는 인접한 리브를 따르는 길이 방향 위치에 대응함). 결과적으로, 중첩 영역(303)은 두 개의 인접한 리브(30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중첩 영역(303)은, 이동 방향(304)을 따라 섬유성 부스러기를 실질적으로 연속 가압할 수 있다.
교란기(200)가 회전 방향(302)에 따라 회전하면서, 플랩(202)은 리브(30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과 체결(예, 접촉)하고 리브(300)의 주변부 에지를 따라 이동한다. 리브(300)와 플랩(202) 사이의 상호 체결은, 이동 방향(304)으로 섬유성 부스러기를 밀어낸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이동 방향(304)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란기(200)는, 섬유성 부스러기를 교란기(200)의 대향 말단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방향(30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랩(202)의 나선형 피치, 회전 방향(302), 및/또는 리브 각도(α)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교란기(200) 예시일 수 있는 교란기(401)와 체결(예, 접촉)하는, 리브(116)의 예시일 수 있는 복수의 리브(400)의 개략적인 예시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방향(402) 및 이동 방향(404)은 도 10의 것과 반대 방향이다. 이와 같이, 이동 방향(304 및 404)은 일반적으로 리브(300 및 400)의 배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500)의 개략적인 단면 말단 도면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500)는, 도 9의 교란기(200) 예시일 수 있는 교란기(50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란기 챔버(502)를 포함한다. 교란기(504)는 복수의 플랩(506)을 포함하고, 표면 청소 헤드(500)는 복수의 플랩(506)과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508)를 포함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브(508)는 교란기 챔버(502)의 내부 표면(501)으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리브(508)는 표면 청소 헤드(500)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형성되거나 이에 결합될 수 있다.
리브(508)와 플랩(506) 사이의 중첩 거리(512)는, 플랩(506)이 적어도 하나의 리브(508)와 체결(예, 접촉)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508)의 체결 표면(516)으로부터 리브(508)에 인접한 플랩(506)의 최원위부까지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 거리(512)는 최대로 약 1 밀리미터(mm) 내지 약 3 mm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중첩 거리(512)는 최대로 약 1 mm 내지 약 2 mm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508)를 갖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리브(508)의 높이(514)의 측정 값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브(508)와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첩 거리(512)는 리브(508) 사이에서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체결 표면(516)의 길이(510)의 측정 값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브(508)와 상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높이(514)의 측정 값 및/또는 체결 표면(516)의 길이(510)의 측정 값은 각각의 리브(508)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마찰 증가 재료는 체결 표면(516)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예, 천연 또는 합성 고무)는 체결 표면(516)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섬유성 재료가 교란기(504)를 따라 가압되는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3은 표면 청소 헤드(500)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500)는 각각 플랩(506)과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리브(508)를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08)는 교란기(504)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7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표면 청소 헤드(700)는, 이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리브(704)(점선으로 나타냄)를 갖는 교란기 커버(702)를 포함할 수 있다. 교란기 커버(702)는, 교란기(예, 교란기(18))가 회전하는 교란기 챔버의 적어도 일부분을 교란기 커버(702)가 정의하도록, 표면 청소 헤드(700)에 결합되거나 이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교란기 커버(702)는 표면 청소 헤드(700)의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을 수 있고, 교란기의 길이 미만으로 측정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청소 헤드(700)는 복수의 교란기 커버(7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교란기 커버(702)는 교란기의 각각의 원위 말단에 대응하고, 교란기 커버(702)의 결합된 길이는 교란기의 총 길이 미만으로 측정된다. 도 14a는 교란기의 총 길이 미만으로 측정된 길이를 갖는 교란기 커버(710)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4b는 교란기 챔버(712)의 대향하는 원위 말단에서 그 안에 배치된 복수의 교란기 커버(710)를 갖는 로봇 청소기의 교란기 챔버(712)의 일례를 나타낸다. 교란기 커버(710)는 리브(714)를 포함하고 교란기 챔버(712)에 결합되거나 이로부터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어, 리브(714)가 교란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체결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즉, 교란기 챔버(712)는 교란기 챔버(712)의 대향하는 원위 말단에 리브를 포함한다. 교란기 챔버(712)의 대향하는 원위 말단에 교란기 커버(710)를 위치시킴으로써, 교란기에 대한 마모를 완화시키면서 (예를 들어, 베어링 및/또는 액슬 내로) 교란기의 말단에 걸친 섬유성 부스러기의 이동이 감소되고/감소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리브(704)는 표면 청소 헤드(700) 내에 배치된 교란기(예, 교란기(18))와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브(704)에 의해 교란기를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를 향해 교란기 주위에 엉킨 섬유성 부스러기(예, 모발)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경우에, 리브(704)는 교란기 커버(702)의 일부만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704)는 교란기 커버(702)의 중심 부분(예, 교란기 커버(702)의 원위 말단 사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위치하는 교란기 커버(702)의 길이의 20% 내지 60%에 대응하는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리브(704)는 교란기 커버(702)의 하나 이상의 원위 말단 부분(예를 들어, 교란기 커버(702)의 원위 말단에 근접하거나 이로부터 연장되는 교란기 커버(702)의 길이의 15% 내지 40%에 대응하는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브(704)가 교란기 커버(702)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리브(704)는 표면 청소 헤드(700) 내의 다른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브(704)는, 교란기가 회전하는 경우에 리브(704)가 교란기에 대해 고정되도록, 표면 청소 헤드(700)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704)는 표면 청소 헤드(700)의 측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리브(704)는, 교란기 커버(702)가 투명하고 사용자에게 보이는 경우에 교란기 커버(702)를 통한 교란기의 시야를 모호하게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도 16은, 도 14의 교란기 커버(702)의 하부 사시도 및 하부도를 각각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704)는 각각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교란기 커버(702)의 길이 방향 축(800)에 대해 (예를 들어, 비-수직 각도로) 횡단한다. 리브(704)는, 일반적으로 교란기의 단일 원위 말단을 향해 섬유성 부스러기를 가압하도록 배향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도 17도 18은, 도 14의 표면 청소 헤드(700)를 이용해 사용될 수 있는 교란기 커버(1000)의 사시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교란기 커버(1000)는 복수의 리브(1002)를 포함한다. 리브(1002)는 교란기(예, 교란기(18))와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섬유성 부스러기가 교란기의 원위 말단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위치를 향해(예, 교란기의 중심을 향해) 가압되도록 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1002) 중 적어도 하나는 리브(1002)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이와 같이, 가로 방향 리브(1002)는 일반적으로 갈매기 형상을 집합적으로 정의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교란기는, 하나 이상의 플랩이 갈매기 형상을 정의하도록, 제1 및 제2 방향에 따라 교란기의 세장형 본체 주위로 나선형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19는, 도 1의 리브(116)의 예시일 수 있는, 리브(1200)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리브(116)는, 교란기(예, 교란기(18))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란기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예, 비-수직 각도로)으로 연장되는,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브(1200)는 일반적으로 교란기의 세장형 본체 주위로 나선형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리브(1200)는 표면 청소 헤드(예, 표면 청소 헤드(12))에 결합될 수 있어서, 리브(1200)가 교란기에 대해 고정되고 섬유성 부스러기를 소정의 위치를 향해 가압시키도록 한다.
도 20은, 도 1의 교란기(18)의 예시일 수 있는, 교란기(1300)의 개략적인 예시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교란기(1300)는, 복수의 플랩(1302)과 대응하는 플랩(1302)에 실질적으로 평행 연장되는 복수의 브리슬 스트립(1304)을 포함한다. 브리슬 스트립(1304)은, 교란기(1300)의 세장형 본체(1305)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개별 브리슬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슬 높이(1306)는 플랩 높이(1308) 미만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슬 높이(1306)는, 교란기(1300)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2)와 같은 표면 청소 헤드 내에서 회전하는 경우에 브리슬 스트립(1304)은 교란기(1300)를 따라 섬유성 부스러기를 가압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리브와 체결(예,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일부 경우에, 브리슬 스트립 높이(1306)는, 하나 이상의 리브와 체결(예, 접촉)하는 브리슬의 부분이 하나 이상의 리브와 체결(예, 접촉)하는 플랩(1302)의 부분 미만으로 측정되도록, 측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브리슬 높이(1306)는 플랩 높이(1308)보다 크게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리슬 스트립(1304)은, 교란기(1300)를 따라 섬유성 부스러기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리브와 체결(예,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브리슬 높이(1306)는, 플랩 높이(130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리슬 스트립(1304)과 플랩(1302) 모두는, 교란기(1300)를 따라 섬유성 부스러기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리브와 체결(예,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교란기(1300)는 브리슬 스트립(1304)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음). 일부 예시에서, 브리슬 높이(1306) 및/또는 플랩 높이(1308)는 교란기(1300)의 회전 축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의 교란기(18)의 예시일 수 있는, 교란기(1500)의 개략적인 예시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교란기(1500)는, 교란기(1500)의 세장형 본체(1504) 주위로 나선형 연장되는 복수의 브리슬 스트립(1502)을 포함한다. 브리슬 스트립(1502)은, 교란기(1500)의 세장형 본체(1504)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개별 브리슬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도 1의 교란기(18)의 예시일 수 있는, 교란기(16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교란기(1600)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을 갖는 세장형 본체(1602)를 포함한다. 플랩(1604)은, 청소될 표면(예, 바닥)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세장형 본체(1602)는, 세장형 본체(1602)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1606)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액슬(1608)은 회전 축(1606)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세장형 본체(160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액슬(1608)은 본체(1602)의 대향 말단에서 세장형 본체(160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말단 캡(1610 및 1612)은 세장형 본체(1602)의 대향하는 원위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말단 캡(1610 및 1612)은 일반적으로 교란기 커버로서 설명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 교란기 커버는 교란기의 회전 축 주위로 완전히 연장된다. 제1 및 제2 말단 캡(1610 및 1612)은 세장형 본체(1602)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세장형 본체(1602)가 제1 및 제2 말단 캡(1610 및 1612)에 대해 회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말단 캡(1610 및 1612)은 표면 청소 헤드(예,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2))의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말단 캡(1610 및 1612)은 공동 측벽(1615 및 1617)을 갖는 각각의 말단 캡 공동(1614 및 1616)을 정의할 수 있다. 세장형 본체(1602)의 적어도 일부 및 플랩(1604)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는, 말단 캡 공동(1614 및 1616) 중 각각의 하나 내에 수용된다. 세장형 본체(1602) 및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이 각각의 말단 캡 공동(1614 및 1616)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공동 측벽(1615 및 1617)은 세장형 본체(1602)와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을 따라 연장 거리(1619 및 1621)만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 거리(1619 및 1621)는, 예를 들어 세장형 본체(1602)의 총 길이(1623)의 1% 내지 25%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연장 거리(1619 및 1621)는, 세장형 본체(1602)의 총 길이(1623)의 5% 내지 15%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연장 거리(1619 및 1621)는, 세장형 본체(1602)의 총 길이(1623)의 10%로 측정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연장 거리(1619 및 1621)는, 1.3 센티미터(cm) 내지 5 cm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장 거리(1619 및 1621)는 제1 및 제2 말단 캡(1610, 1612)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각각의 말단 캡(1610 및 1612)은 말단 캡 공동(1614 및 1616) 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1618 및 1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브(1618 및 1620)는, 하나 이상의 리브(1618 및 1620)가 플랩(1604) 중 하나 이상과 체결(예, 접촉)하도록 세장형 본체(1602)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리브(1618 및 1620)와 중첩한다. 예를 들어, 리브(1618, 1620)와 하나 이상의 플랩(1604) 사이의 중첩의 측정 값은 리브 두께(1625)의 1% 및 99%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리브(1618, 1620)와 하나 이상의 플랩(1604) 사이의 중첩의 측정 값은 리브 두께(1625)의 10% 및 75%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리브(1618, 1620)와 하나 이상의 플랩(1604) 사이의 중첩의 측정 값은 리브 두께(1625)의 0% 초과 99% 미만의 범위로 측정될 수 있다. 리브(1618, 1620)와 하나 이상의 플랩(1604) 중 하나 이상 사이의 중첩의 양을 감소시키면, 하나 이상의 플랩(1604)에 의해 경험되는 마모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브(1618, 1620)는 세장형 본체(1602)의 원위 말단로부터 먼 방향으로(예를 들어, 세장형 본체(1602)의 중심 부분의 방향으로) 섬유성 부스러기(예, 모발)를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브(1618, 1620)와 플랩(1604) 사이의 상호 작용은, 섬유성 부스러기가 하나 이상의 액슬(1608)에 대하여 엉키고/엉키거나 하나 이상의 액슬(1608)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내에 포획되는 것을 완화 및/또는 방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은, 하나 이상의 리브(1618, 1620)와 상호 작용하여 세장형 본체(1602)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섬유성 부스러기를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은 세장형 본체(1602)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나선형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은, 하나 이상의 갈매기 형상이 형성되도록, 둘 이상의 방향에 따라 세장형 본체(1602)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나선형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은, 섬유성 부스러기가 말단 캡(1610 및 1612)으로부터 이격된 후에 세장형 본체(1602)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섬유성 부스러기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하나 이상의 플랩(1604)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플랩(1604)과 체결하고 세장형 본체(1602)의 회전의 결과로서 이로부터 섬유성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빗질 장치/디브라이딩 리브를 사용하여) 섬유성 부스러기가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섬유성 부스러기를 세장형 본체(1602)를 따라 공통 위치로 밀어낼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리브(1700)는 말단 캡(1610 및 161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리브(1700)는, 예를 들어 표면 청소 헤드(예,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2)) 및/또는 말단 캡(1610 및 1612)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고/되거나 그 일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1700)는, 말단 캡(1610 및 1612)의 리브(1618 및 1620)와 협력하여 세장형 본체(1602)를 따라 하나 이상의 공통 위치를 향해 섬유성 부스러기(예, 모발)를 밀어낼 수 있다. 세장형 본체(1602)가 하나 이상의 브리슬을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플랩(1604)에 더하여 또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리브(1700)는 세장형 본체(1602)를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를 향해 섬유성 부스러기의 이동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2의 말단 캡(1610)의 예시일 수 있는, 말단 캡(18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 캡(1800)은 교란기(예, 도 1의 교란기(18))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1802)을 정의한다. 공동(1802)은, 공동 베이스(1806)로부터 연장된 공동 측벽(1804)에 의해 정의된다. 공동 측벽(1804)은, 연장 거리(1805)만큼 공동 베이스(180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장 거리(1805)는 공동 베이스(1806)로부터 공동 측벽(1804)의 원위 표면(1810)까지 연장되고, 원위 표면(1810)은 공동 베이스(180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연장 거리(1805)의 측정 값은 공동 베이스(1806)의 주변부를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단 캡(1800)은, 말단 캡(1800)이 표면 청소 헤드(예,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2))에 결합되는 경우에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하면서 연장 거리(1805)의 측정 값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 캡(1800)의 바닥 대향 부분(1807)에 대응하는 연장 거리(1805)의 측정 값은, 말단 캡(1800)의 표면 청소 헤드 대향 부분(1809)에 대응하는 연장 거리(1805)의 측정 값 미만으로 측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표면 청소 헤드 대향부(1809)와 비교하면, 바닥 대향부(1807) 상에 노출된 교란기의 더 큰 부분을 남김으로써, 여전히 액슬 및/또는 베어링 내로 모발 이동을 완화 및/또는 방지하면서, 교란기의 유효 청소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동 측벽(1804)은, 공동 측벽(1804)으로부터 공동(1802) 내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리브(1808)를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1808)는, 공동 측벽(1804)의 원위 표면(1810)의 방향으로 공동 측벽(1804)을 따라 공동 베이스(180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리브(1808)는, 공동 베이스(1806)와 함께 리브 각도(β)를 형성할 수 있다. 리브 각도(β)는 90° 초과 또는 미만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리브(1808)는 공동 측벽(1804)을 따라 나선형 연장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1808)는, 공동 베이스(1806)에서 공동 측벽(1804)의 원위 표면(1810)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리브(1808)는 공동 측벽(1804)으로부터 연장된다. 복수의 리브(1808)가 공동 측벽(1804)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우에, 각각의 리브(1808)에 대응하는 리브 길이(1812)의 측정 값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 길이(1812)의 측정 값은, 대응하는 리브(1808)가 종료되는 공동 베이스(1806)의 주변부를 따르는 위치에서, 공동 측벽(1804)의 연장 거리(1805)의 측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 캡(1800)의 바닥 대향 부분(1807)에 근접한 리브(1808)에 대응하는 리브 거리(1812)의 측정 값은, 말단 캡(1800)의 표면 청소 헤드 대향 부분(1809)에 근접한 리브(1808)에 대응하는 리브 거리(1812)의 측정 값보다 작은 것으로 측정된다.
도 25는 말단 캡(1800)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 캡(1800)은 액슬 개구(190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액슬의 적어도 일부(예, 도 22의 액슬(1608))가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903)는 공동 베이스(1806)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액슬 개구(1902)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리브 개구(1904)는 공동 베이스(1806)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브 개구(1904)는, 대응하는 리브(1808)가 공동 베이스(1806)를 따라 연장되는 거리의 측정 값에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리브 개구 길이(1906)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브 개구 길이(1906)의 측정 값은 대응하는 리브(1808)에 대한 리브 길이(1812)의 측정 값 미만일 수 있다.
공동 측벽(1804)은 또한, 공동 측벽(1804)의 외부 표면(1910) 상에서 연장된 체결 영역(1908)을 정의할 수 있다. 외부 표면(1910)은, 공동(180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대면한다. 체결 영역(1908)은, 예를 들어 말단 캡(1800)이 표면 청소 헤드 내에 유지되도록, 표면 청소 헤드(예,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2))의 적어도 일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체결 영역(1908)은, 스냅-핏 연결부의 일부분을 집합적으로 정의하는 상승부(1911)와 오목부(19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도 27은, 도 22의 말단 캡(1612)의 예시일 수 있는, 말단 캡(20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 캡(2000)은 공동 베이스(2004)에 의해 정의된 공동(2002), 및 공동 측벽(2004)으로부터 연장된 공동 측벽(2006)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리브(2008)는, 공동 측벽(2006)으로부터 공동(2002)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리브(2008)는 나선형 형상을 갖는다. 즉, 공동 베이스(2004), 공동 측벽(2006), 및 리브(2008)는 공동 베이스(1806), 공동 측벽(1804), 및 리브(1808)와 유사할 수 있고 도 24도 25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 캡(2000)은 체결 영역(2010)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영역(2010)은, 예를 들어 말단 캡(2000)이 표면 청소 헤드 내에 유지되도록, 표면 청소 헤드(예,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2))의 적어도 일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영역(2010)은 스냅-핏 연결부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공동 베이스(1806)는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리브 개구(2012), 및 액슬의 적어도 일부분(예, 도 22의 액슬(1608) 참조)을 수용하기 위한 액슬 개구(2014)를 포함한다.
말단 캡(1800 및 2000)은 진공 청소기(10)의 하우징/몸체와 별개인 구성 요소인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본원에 설명된 말단 캡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진공 청소기(10)의 하우징/몸체의 일부로서 일체식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설명된 말단 캡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교란기(18)로부터 분리된 구성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어서, 교란기(18)의 제거는 말단 캡을 제거하지 않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말단 캡 중 하나 이상은 교란기 어셈블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교란기(18)의 제거는 말단 캡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한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개구는 공동 측벽(1804 및 2006)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a는 공동 측벽(2754)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2752)를 갖는 말단 캡(2750)의 예시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개구(2752)는 인접한 리브(2756)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그리고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개구(2752) 각각의 집합적 면적은, 공동 측벽(2754)의 표면적 초과로 측정될 수 있다. 말단 캡(2750)이 표면 청소 헤드에 결합되는 경우에, 표면 청소 헤드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개구(2752) 위로 연장된다. 표면 청소 헤드(2758) 내의 말단 캡(2750)의 예시가 도 27b에 나타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 캡(2750)은 표면 청소 헤드(2758)의 내부 표면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말단 캡(2750)은 표면 청소 헤드(2758)에 결합될 수 있어서, 말단 캡(2750)이 교란기(2760)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연장되도록 한다. 일부 경우에, 표면 청소 헤드(2758)의 적어도 일부는, 교란기(2760) 및/또는 말단 캡(2750)의 적어도 일부가 보일 수 있도록 가시광에 투명할 수 있다.
이제 도 28도 29로 돌아가면, 도 1의 교란기(18)의 예시일 수 있는 교란기(2800)의 다른 예시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특히, 도 28은 교란기(2800)의 정면도이고, 도 29는 29-29 라인을 따라 취한 도 29의 교란기(2800)의 단면도이다. 교란기(2800)는, 교란기(2800)의 길이 방향 축(2806)을 따르는 방향으로 교란기(2800)의 세장형 본체(2804)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나선형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 가능한 플랩(2802)(측벽(62)의 예시일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란기(2800)는 복수의 변형 가능한 플랩(28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변형 가능한 플랩(2802)의 길이는 본체(2804)의 길이 미만으로 측정된다. 나타낸 바와 같이, 교란기(2800)는, 본체(2804)의 말단 영역(3000, 3002)으로부터 본체(2804)의 중심 영역(3004)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변형 가능한 플랩(2802)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교란기(2800)는 임의의 브리슬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지만, 교란기(2800)가 플랩(2802)에 더하여(또는 플랩 없이) 선택적으로 브리슬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30은 플랩(2802) 및/또는 브리슬이 없는 도 29의 교란기(2800)의 세장형 본체(2804)의 일례를 나타낸다. 교란기(2800)의 세장형 본체(2804)는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 축(2806)을 일반적으로 가로지르는 단면을 따라 취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구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은, 원형 단면 내의 임의의 지점에서 세장형 본체(2804)의 반경(R)이 원형 단면 내의 세장형 본체(2804)의 최대 반경의 25% 이내인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나타낸 예시에서, 세장형 본체(2804)의 원형 단면은, 중심 영역(3004)에서보다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에서 더 크다. 이와 같이, 세장형 본체(2804)의 원형 단면은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에서 중심 영역(3004)으로 테이퍼가 진다고 말할 수 있다.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의 테이퍼는 일정(예, 선형임)하고/하거나 비선형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세장형 본체(2804)의 중간(3008)은 최소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근접 말단 영역(3000)의 테이퍼는, 제2 말단 영역(3002)의 테이퍼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세장형 본체(2804)의 테이퍼는, 중심 영역(3004)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랩(2802)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면서,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랩(2802)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중심 영역(3004)의 감소된 단면은 또한, 빗질 장치(50)(예, 치형부(52))를 탄성 변형 가능한 플랩(2802) 및/또는 브리슬 내로 더 연장시킬 수 있음(예를 들어, 교란기(2800)의 중심을 향해 더 연장됨)으로써, 빗질 장치(50)와 탄성 변형 가능한 플랩(2802) 및/또는 브리슬 사이의 접촉을 증가시켜, 부스러기(예, 모발) 제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치형부(52)는 중심 영역(3004)의 외부에 위치한 치형부(52)와 비교하면, 중심 영역(3004)에서 더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1a 도 31b를 참조하면, 도 30의 교란기(2800)의 세장형 본체(2804)의 다른 예시가 나타나 있다. 도 30과 유사하게, 세장형 본체(2804)는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의 원형 단면은 중심 영역(3004)에서보다 크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예에서, 제1 말단 영역(3000)은, 세장형 본체(2804)의 총 길이(3100)의 10% 내지 40%로 길이 방향 축(2806)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말단 영역(3000)의 길이는 세장형 본체(2804)의 총 길이(3100)의 25% 내지 30% 및/또는 세장형 본체(2804)의 총 길이(3100)의 20%일 수 있다.
길이 방향 축(2806)을 따르는 제2 말단 영역(3002)의 길이는, 제1 말단 영역(3000)과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말단 영역(3002)의 길이는 제1 말단 영역(3000)보다 짧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제2 말단 영역(3002)은, 세장형 본체(2804)의 총 길이(3100)의 8% 내지 30%로 길이 방향 축(2806)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말단 영역(3002)의 길이는 세장형 본체(2804)의 총 길이(3100)의 10% 내지 20%, 예를 들어 세장형 본체(2804)의 총 길이(3100)의 17%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세장형 본체(2804)의 전체 길이(3100)는 222.2 mm일 수 있고, 제1 말단 영역(3000)은 45.7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2 말단 영역(3002)은 36.9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은 테이퍼가 있는 반경(R)을 가질 수 있다. 테이퍼는 선형 또는 비선형(예, 곡선형)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예에서,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의 내부 말단 영역(3102)(예, 중심 영역(3004)에 인접한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의 영역(3102))의 반경(R)은,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의 원위 말단 영역(3104)(예, 말단 캡에 인접한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의 영역(3104))의 반경(R)보다 3-15%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말단 영역(3102)의 반경(R)은 원위 말단 영역(3104)의 반경(R)보다 5-10% 더 작을 수 있고/있거나 원위 말단 영역(3104)의 반경(R)보다 8.6% 더 작을 수 있다. 제1 근접 말단 영역(3000)의 말단 영역의 반경의 차이는, 제2 근접 말단 영역(3002)의 말단 영역의 반경의 차이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내부 말단 영역(3102)의 반경(R)은 21.25 mm일 수 있고, 원위 말단 영역(3104)의 반경(R)은 23.25 mm일 수 있다. 말단 영역(3000, 3002)의 테이퍼는, 리브/플랩 및/또는 브리슬의 강성을 테이퍼링함으로써 모발 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브/플랩 및/또는 브리슬의 자유/미지지 부분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리브/플랩 및/또는 브리슬의 유효 강성이 감소됨으로써 모발 이동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제 도 32 도 33을 참조하면, 세장형 본체(2804)가 없는 도 29의 플랩(2802)의 일례가 일반적으로 나타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랩(2802)은 세장형 본체(2804)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나선형 연장될 수 있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랩(2802)의 말단 영역(3200, 3202) 중 하나 이상은 모따기 또는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플랩은 하나 또는 각각의 말단 영역(3200, 3202)에만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음). 이와 같이, 말단 영역(3200, 3202)의 적어도 일부분에서의 플랩(2802)의 높이(3204)는, 중심 영역(3206)에서의 플랩(2802)의 높이(3204)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테이퍼는 플랩(2802)의 청소 에지(3201)를 세장형 본체(2804)에 접근시킬 수 있다. 일례에 따라, 플랩(2802)의 높이(3204)는, 플랩(2802)의 베이스(3208)로부터 플랩(2802)의 청소 에지(3201)까지 측정될 수 있고, 베이스(3208)는, 교란기(2800)(예, 세장형 본체(280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플랩(2802)의 높이(3204)는, 교란기(2800)의 회전 축으로부터 플랩(2802)의 청소 에지(3201)까지 측정될 수 있다. 말단 영역(3200, 3202)의 테이퍼는 일정(예, 선형)하고/일정하거나 비선형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플랩(2802)의 중간(3210)은 가장 큰 높이(3204)를 가질 수 있다.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는 제2 말단 영역(3202)의 테이퍼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28을 추가로 참조하면, 제1 말단 영역(3200)은 세장형 본체(2804)의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 중 하나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제2 말단 영역(3202)은 세장형 본체(2804)의 중심 영역(3004)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는 말단 캡, 예를 들어 도 22 내지 도 27에 설명된 말단 캡과 같은 이동 모발 말단 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는 플랩(2802)과 말단 캡 사이의 마모 및/또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랩(2802)과 말단 캡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적어도 일부 예시에서, 플랩(2802)이 말단 캡 내에서 회전할 시,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는 (말단 캡과 말단 캡에 근접하여 바깥쪽에 배치된 플랩(2802)의 부분 모두의 안에서) 플랩(2802)의 접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플랩(2802)의 접힘을 감소시키면, 플랩(2802)과 청소될 표면 사이의 접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는 길이(3304)와 높이(3306)를 가질 수 있다. 길이(3304)는, 그것이 수용되는 말단 캡의 치수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3304)는 말단 캡에서의 플랩(2802)의 삽입 거리와 동일할 수 있고, 말단 캡에서의 플랩(2802)의 삽입 거리보다 짧을 수 있거나, 말단 캡에서의 플랩(2802)의 삽입 거리보다 더 길 수 있다.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는, 플랩이 말단 캡 내로 끼워질 때 플랩(2802)의 휨을 완화시키는 것을 돕는다. 예시로서,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는 5-9 mm의 길이(3304), 및 1-3 mm의 높이(3306) 및/또는 7 mm의 길이(3304) 및 2 mm의 높이(3306)를 가질 수 있다.
제2 말단 영역(3202)의 테이퍼는, 교란기(2800)를 따라 모발 이동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모발이 가장 작은 직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테이퍼는 모발 이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말단 영역(3202)의 테이퍼는, 모발을 특정 위치를 향해 더욱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말단 영역(3202)의 테이퍼는 모발 저장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란기(2800)의 중심 영역(3004)은, 근접 말단 영역(3000, 3002)의 전체 직경에 비해 더 작은 전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발은 교란기(2800)의 중심 영역(3004) 주위에 쌓여서 감길 수 있다. 도 29 도 30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랩(2802)의 제2 말단 영역(3202)의 테이퍼는, 중심 영역(3004) 내에서 인접한 플랩(2802)의 제2 말단 영역(3202)의 테이퍼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플랩(2802)이 디브라이더 장치(50) 및/또는 리브(116)와 조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디브라이더 장치(50) 및/또는 리브(116)의 치형부는 선택적으로 플랩(2802)의 제2 말단 영역(3202)에 근접한 영역에서 더 길 수 있다.
도 33으로 돌아가면, 플랩(2802)의 테이퍼의 치수는 플랩(2802)의 성능 및/또는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테이퍼(예, 길이(3300) 및/또는 높이(3302))를 증가시키면, 모발 이동을 개선할 수 있지만, 너무 큰 테이퍼는 청소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너무 큰 제2 말단 영역(3202)의 테이퍼는, 플랩(2802)이 청소될 표면과 충분히 접촉하지 않는 갭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제2 말단 영역(3202)에서 너무 작은 테이퍼(예, 길이(3300) 및/또는 높이(3302))는 충분한 모발 이동을 초래하지 않을 수 있다.
실험에 따르면, 내부 모따기를 제거하면(예를 들어, 제2 말단 영역(3202)의 테이퍼를 제거하면) 중간 갭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는 개선된 청소 성능 및 미적 외관(꼬임이 있는 모따기 없음)을 초래할 수 있지만, 중간 갭을 제거하면 불충분한 모발 이동으로 인해 교란기(2800) 상에 모발이 쌓이게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너무 짧은 길이(3300)를 갖는 제2 말단 영역(3202)에서의 테이퍼는, 중간 갭에 의해 야기되는 해로운 효과를 완화 및/또는 제거할 수 있고, 모발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너무 가파른 모따기가 될 수 있고, 나쁜 꼬인 상태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험은, 5 mm의 길이(3300) 및 7 mm의 높이(3302)를 갖는 제2 말단 영역(3202)에서의 테이퍼가 테이퍼를 초래하여, 사용자에게 심미적으로 외관이 만족스럽지 않은 꼬임을 야기하고 플랩(2802)을 후방으로 접히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청소/모발 제거를 손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너무 긴 길이(3300)를 갖는 제2 말단 영역(3202)에서의 테이퍼는, 모발의 이동을 개선할 수 있고 플랩(2802)을 꼬지 않을 수 있지만, 이는 큰 중간 갭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험은 30 mm의 길이(3300) 및 7 mm의 높이(3302)를 갖는 제2 말단 영역(3202)에서의 테이퍼가 전체 청소 성능에 잠재적으로 해로운 큰 청소 갭을 갖는 테이퍼를 야기함을 보여주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15-25 mm의 길이(3300) 및 5-12 mm의 높이(3302)를 갖는 제2 말단 영역(3202)에서의 테이퍼가, 중간 청소 갭 및 임의의 결과적인 꼬임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모발을 이동시킬 수 있음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였다(예를 들어, 생성된 꼬임은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고 성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2 말단 영역(3202)에서의 테이퍼는 17-23 mm의 길이(3300) 및 6-10 mm의 높이(3302), 예를 들어 20 mm의 길이(3300) 및 7 mm의 높이(3302)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제2 말단 영역(3202)에서의 테이퍼는, 1 내지 0.3의 기울기, 예를 들어, 0.28 내지 0.42의 기울기, 0.315 내지 0.0385의 기울기, 및/또는 0.35의 기울기를 갖는, 길이(3300) 및 높이(3302)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말단 영역(3200, 3202)에서의 테이퍼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랩(2802)의 바깥 쪽 청소 에지(3201)의 일부(3400)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플랩(2802)이 부직포 재료(예,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등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형성될 때에 특히 유용하다.
플랩(280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조 재료로 형성되는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말단 영역(3200, 3202) 중 하나 이상에서 변폭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변폭은 플랩(2802)의 청소 에지(3201)를 따라 연장되고, 변폭은, (예를 들어, 플랩(2802)의 일부가 테이퍼를 생성하기 위해 제거되는 경우에) 변폭을 포함하지 않는 플랩(2802)의 청소 에지(3201)의 일부에 대해 변폭(2802)의 내마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제조사의 변폭이 유지되고, 제1 및/또는 제2 말단 영역(3300, 3202)에서 테이퍼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플랩(2802)의 장착 에지를 변형시킬 수 있다. 변폭(3500)의 일례는 일반적으로 도 35에 나타나 있다. 특히, 플랩(2802)의 청소 에지(3201)는 교란기에 장착되기 전에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고, 제1 및/또는 제2 말단 영역(3200, 3202)의 영역에서 플랩(2802)의 (또한 베이스(3208)일 수 있는) 장착 에지(3402)는 중심 영역(3206)(예, 중간(3210))에서 플랩(2802)의 길이(3504)와 비교하면 감소된 길이(3502)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장착 에지(3402)는, 플랩(2802)이 교란기 몸체(2804)에 설치되는 경우에 직선형으로 나오는 복수의 세그먼트(3506)(예, 몰드에서 생성된 복수의 윤곽형 "T"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말단 영역(3200, 3202) 내에 윤곽형(예, 테이퍼형) 변폭(3500)이 생성된다. 즉, 플랩(2802)은 일반적으로 장착 에지(3402)를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3506)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본체(2804)에 장착되는 경우에 테이퍼가 플랩(2802) 내에 형성되게 한다.
이제 도 36을 보면, 도 1의 교란기(18)의 예시일 수 있는, 교란기(3600)의 다른 예시가 일반적으로 나타나 있다. 교란기(3600)는, 예를 들어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랩(3608)의 장착 에지(360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채널(3604)을 포함한 교란기 몸체(360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3608)의 복수의 채널(3604) 및/또는 장착 에지(3606)는 플랩(3608)을 장착 각도(3610)로 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각도(3610)는, 교란기 몸체(3602)의 반경을 따라 연장된 라인(3612)과 플랩(3608)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 라인(3614) 사이의 각도로서 정의될 수 있다. 라인(3612, 3614)은 교란기 몸체(3602)의 외부 에지(3615)에서 교차할 수 있다. 장착 각도(3610)는 회전 방향을 향해 각을 이룰 수 있다(예를 들어, 라인(3614)은 교란기(3600)가 회전하는 경우에 라인(3612) 이전에 청소될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장착 각도(3610)는 10-45도, 예를 들어 15-30도, 30-25도, 및/또는 22.53도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다. 공격적인 장착 각도(3610)는 청소를 개선할 수 있고, 모발이, 플랩(3608)을 뒤로 구부리고 교란기(3600) 주위를 둘러싸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장착 각도(3610)가 너무 공격적인 경우에, 과도한 노이즈 및/또는 마모가 생성될 수 있다.
이제 도 37을 참조하면, 말단 캡(3700)의 다른 예시의 단면도가 일반적으로 나타나 있다. 말단 캡(3700)은 도 22의 말단 캡(1610)과 유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사한 참조 번호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유사한 특징부를 지칭하며, 간결함을 위해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말단 캡(1610)과 유사하게, 말단 캡(3700)은 복수의 리브(3702-37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리브(3702-3708)는 말단 캡(3700)의 내부 표면(3714)으로부터, 예를 들어 말단 캡(3700)의 상단 영역(3716)에 근접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3702-3708)는 상이한 높이(3718)를 가질 수 있다. 리브(3702-3708)의 상이한 높이는 플랩(2802) 상의 노이즈 및/또는 마모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복수의 리브(3702-3708)의 높이(3718)는, 일반적으로 플랩(2802)의 테이퍼(예,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에 역으로 대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복수의 리브(3702-3708) 중 상이한 높이(3718)는, 상이한 양의 리브/플랩 체결부(372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란기(2800)의 최원위 말단(3722)에 가장 가까운 리브(예, 리브(3702), 이에 제한되지 않음)는, 교란기(2800)의 말단(3722)(예, 리브(3708)에 제한되지 않음)으로부터 가장 먼 리브에 비해 더 큰 리브/플랩 체결부(3720)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말단 캡(3700)은, 플랩(2802)과 체결하고/체결하거나 이에 가깝지만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 내에 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가장 가까운 리브(예, 리브(3702)로 제한되지 않음) 및 추가 리브(예, 리브(3708)로 제한되지 않음)의 리브/플랩 체결부(3720)는, 2.0 mm 내지 0 mm, 예를 들어 1.5 mm 내지 0 mm로 테이퍼가 질 수 있다. 인접한 리브(3702-3712)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거나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리브(3702-3712) 사이의 간격은 2-4 mm, 예를 들어 2-3 mm, 2.5-2.75 mm, 및/또는 2.75 mm일 수 있다. 리브/치형부(3702-3712)의 근접성은, 두 개의 인접한 리브/치형부 사이에서 모발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치형부(3702-3712)는 1-3 mm, 예를 들어 1-2 mm, 1.5-1.75 mm, 및/또는 1.75 mm의 치형부 폭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말단 캡(3700)의 하단 영역(3724)(예, 청소될 표면에 가장 가까운 말단 캡(3700)의 영역)은 상부 말단 영역(3716)과 비교하여 상이한 구성의 리브(3710-371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단 캡(3700)의 하단 영역(3724)은 상부 말단 영역(3716)에 비해 더 적은 리브를 가질 수 있다. 리브(3710-3712)는 또한 플랩(2802)의 더 작은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3710-3712)는 제1 말단 영역(3200)의 테이퍼에만 배치될 수 있다.
도 37a는, 복수의 변형 가능한 플랩(3752)(측벽(62)의 예일 수 있음) 및 복수의 브리슬 스트립(3754)을 갖는, 교란기(3750)의 예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브리슬 스트립(3754)은,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나타낸 바와 같이, 브리슬 스트립(3754)의 길이는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의 길이 미만으로 측정된다. 즉, 브리슬 스트립(3754)은,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의 일부분만을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어, 브리슬 스트립(3754)의 길이의 측정 값은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의 길이의 측정 값의 절반 미만일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은 각각 중심 말단 영역(3756)에서 테이퍼(3753)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3752)에 대한 중심 말단 영역(3756)의 테이퍼(3753)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변형 가능한 플랩(3752)에 대한 중심 말단 영역(3756)의 테이퍼(3753)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의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은 제1 기울기를 갖는 제1 테이퍼(3753a)를 가질 수 있고, 제2 그룹의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은 제2 기울기를 갖는 제2 테이퍼(3753b)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기울기는 제1 기울기와 상이하게 측정된다. 일부 경우에, 제1 및 제2 그룹의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은 일반적으로 교번하는 방식으로 교란기(3750)의 몸체(3758)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테이퍼(3753a)를 갖는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은, 일측에 있는 다음 즉각적인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이 제2 테이퍼(3753b)를 갖고 다른 측에 있는 다음 즉각적인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이 제1 테이퍼(3753a)를 포함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1 테이퍼(3753a)를 갖는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은, 어느 한 측면 상의 다음의 즉각적인 변형 가능한 플랩(3752)이 제2 테이퍼(3753b)를 갖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교란기(3750)의 몸체(3758)는 몸체(3758)의 중심 부분을 향해 좁아지고/좁아지거나 테이퍼가 질 수 있다. 테이퍼는 몸체(3758)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테이퍼는, 테이퍼가 몸체(3758)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하도록, 몸체(3758)의 말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3800)의 다른 예시가 일반적으로 나타나 있다. 진공 청소기(3800)는, 헤드(3802)(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교란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음), 완드(3804)(임의로, 예를 들어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구부림 위치 사이에서 완드(3804)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접합부(3806)를 포함할 수 있음), 및 핸드 진공(3808)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 진공(3808)은, 헤드(3802), 완드(3804), 및 부스러기 수집 챔버(3810)의 기류(예, 부분 진공)가 헤드(3802)에 근접한 부스러기를 빨아들이기 위해, 진공원(3812)(예, 흡입 모터 등)과 부스러기 수집 챔버(3810)를 포함할 수 있다. 완드(3804)는, 헤드(38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말단(3816)과 핸드 진공(3808)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말단(3818) 사이에서 연장되는, 완드 길이 방향 축(3814)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말단(3816, 3818) 중 하나 이상은, 헤드(3802) 및 핸드 진공(3808)에 각각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제 도 39로 돌아가면, 도 38의 핸드 진공(3808)이 보다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특히, 핸드 진공(3808)은, 완드(3804)의 제2 말단(3818)에 유체 결합되는 제1 말단 영역(3902), 및 핸드 진공(3808)의 본체(3908)의 일부를 형성하는 핸들 몸체(3906)에 결합된 제2 말단 영역(3904)을 갖는 완드 커넥터(3900)를 포함할 수 있다. 완드 커넥터(3900)는, 제1 말단 영역(3902)을 통해 제2 말단 영역(3904)까지 그리고 핸들 몸체(3906)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길이 방향 완드 축(3910)을 포함한다. 길이 방향 완드 축(3910)은 완드 길이 방향 축(3814)에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완드 축(3910)은 길이 방향 완드 축(3814)과 동일 선형일 수 있다.
핸들 몸체(3906)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드 진공(3808)을 조작하기 위해 잡을 수 있는, 권총 그립 등의 형태로 핸들(391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핸들 몸체(3906)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예, 버튼)(3914)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3914)는 (예컨대, 핸들 몸체(3906) 상에서와 같이,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핸드 진공(3808) 상의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3914)는 핸드 진공(3808) 및/또는 헤드(3802)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3914)는 흡입 모터(3812) 및/또는 헤드(3802)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회전 가능한 교란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3914)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핸들 몸체(3906)는, 핸드 진공(3808) 및/또는 헤드(3802)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트리거(391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3916)는, 핸들(3912)과 완드 커넥터(3900)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트리거 방향(391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트리거 방향(3918)은 선형 또는 비선형(예, 아치형 등)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트리거 방향(3918)은 길이 방향 완드 축(3910) 및/또는 완드 길이 방향 축(3814)에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방향(3918)은 길이 방향 완드 축(3910) 및/또는 완드 길이 방향 축(3814)에 평행할 수 있다. 트리거 방향(3918)은, 완드 커넥터(3900) 및/또는 완드(3804)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트리거(3916)는, 흡입 모터(3812)의 흡입력을 조절하고/조절하거나 헤드(3802)에 위치한 회전 가능한 교란기 중 하나 이상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트리거(3916)의 위치 설정은, 진공 청소기(3800)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친화적인 설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47을 참조하면, 도 38 내지 도 39의 핸드 진공(3808)의 일례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이 나타나 있다. 특히, 공기 경로(4000)는 완드 커넥터(3900)를 통해(예, 제1 말단 영역(3902)을 통해) 완드(3804)(미도시)로부터 부스러기 수집 챔버(381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부스러기는, 예를 들어 완드 커넥터(3900)의 제2 말단 영역(3904)에 결합되는 부스러기 수집 챔버(3810)의 유입구(4001)(도 43 도 44)를 통해 부스러기 수집 챔버(3810) 내에 수집될 수 있다. 공기 통로(4000)는, 부스러기 수집 챔버(38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일차 필터(400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3 도44 참조).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일차 필터(4002)는 일반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사이클론 필터(4004)를 포함할 수 있지만, 임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공기 통로(4000)는 하나 이상의 이차(예, 제2 스테이지) 필터(4006)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5 참조). 이차 필터(4006)는,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복수의 사이클론(4008)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스테이지 사이클론(4008)은 일차 필터(4002)보다 작을 수 있고, 일차 필터(4002)보다 작은 부스러기 입자를 공기 통로(4000)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차 필터(4006)는, 일차 필터(4002)와 진공원(3812) 사이의 공기 통로(40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모터전 필터(4010)가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6 참조). 모터전 필터(4010)는, 일차 필터(4002)와 진공원(3812) 사이, 예를 들어 이차 필터(4006)와 진공원(3812) 사이의 공기 통로(4000)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전 필터(4010)는, 일차 필터(4002) 및/또는 이차 필터(4006)보다 더 작은 부스러기 입자를 공기 경로(4000)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모터전 필터(4010)는, 하나 이상의 발포체 층, 천 및/또는 직조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기 통로(4000) 내의 배기 공기는, 하나 이상의 모터후 필터(4012)를 통해 진공원(3812)을 빠져나갈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7 참조). 모터후 필터(4012)는 고효율 미립자 공기(HEPA) 필터 등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부가 수동식 진공 청소기와 조합하여 예시되었지만, 이들 특징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도 48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로봇 진공 청소기에 포함될 수 있다. 나타낸 로봇 진공 청소기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로봇 진공 청소기는 도 48에 나타낸 모든 특징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있거나 도 48에 나타내지 않은 추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로봇 진공 청소기는, 부스러기 구획부(30) 및 흡입 모터(32)에 유체 결합된 공기 유입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모터(32)는, 부스러기를 공기 유입구(23) 내로 흡입시키고, 나중에 폐기하기 위해 부스러기 구획부(30) 내로 침착시킨다. 로봇 진공 청소기는, 공기 유입구(2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교란기(1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교란기(18)는, 로봇 진공 청소기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교란기(18)는, 복수의 브리슬 및/또는 측벽(62)(예,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랩)을 갖는 회전 가능한 부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진공 청소기는, 각각의 구동 모터(910)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휠(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휠(16)은 독립 구동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로봇 진공 청소기는, 복수의 휠(16) 중 하나의 회전 속도를 복수의 휠(16) 중 다른 하나에 대해 조절함으로써, 운전이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이드 브러쉬(918)는, 사이드 브러쉬(918)의 일부분이 로봇 진공 청소기의 진공 하우징(13)에 의해 정의된 주변부에 적어도(예, 그 너머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브러쉬(918)는, 진공 하우징(13)의 주변부를 지나서 위치한 부스러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23)의 방향으로 부스러기를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브러쉬(918)는, 사이드 브러쉬 모터(920)의 활성화에 반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22)는, 사용자가 로봇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922)는, 로봇 진공 청소기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푸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진공 청소기는, 선택적으로 전원(예컨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및/또는 로봇 진공 청소기의 진공 하우징(13)에 의해 정의된 주변부의 일부분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변위 가능한 범퍼(912)를 포함할 수 있다. 변위성 범퍼(912)는,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장애물의 적어도 일부분과 체결(예, 접촉)하는 것에 반응하여 변위된다. 따라서, 로봇 진공 청소기는 장애물과 청소될 표면 사이에 갇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로봇 진공 청소기는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진공 청소기용 교란기의 예시는, 몸체와 몸체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플랩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청소 에지를 몸체에 접근시킨다.
일부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의 말단 영역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제1 테이퍼와 제2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테이퍼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대응하는 말단 영역에서 연장된다. 일부 경우에, 제1 테이퍼는 제1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제2 테이퍼는 제2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기울기는 제2 기울기와 상이하게 측정된다. 일부 경우에, 변형 가능한 플랩은 직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변형 가능한 플랩은 청소 에지를 따라 변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변형 가능한 플랩은 장착 에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착 에지는 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 테이퍼를 변형 가능한 플랩 내에 형성시킬 수 있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갖는다. 일부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은 복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변형 가능한 플랩은 몸체 주위로 나선형 연장되고, 각각의 변형 가능한 플랩의 길이는 몸체의 길이 미만으로 측정된다. 일부 경우에, 각각의 변형 가능한 플랩은, 몸체의 말단 영역으로부터 몸체의 중심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교란기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은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부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의 길이는,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길이 미만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진공 청소기의 예시는, 교란기의 적어도 일부가 하나 이상의 리브와 체결하도록, 교란기 챔버 내에 배치된 교란기 및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한 교란기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교란기는, 몸체와 몸체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플랩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청소 에지를 몸체에 접근시킨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리브는 교란기 챔버의 대향하는 원위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제1 테이퍼와 제2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테이퍼는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대향 말단 영역 내에서 연장된다. 일부 경우에, 리브는 교란기 커버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교란기 커버는 말단 캡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교란기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은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부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의 길이는,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길이 미만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제1 테이퍼와 제2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테이퍼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대응하는 말단 영역에서 연장된다. 일부 경우에, 제1 테이퍼는 제1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제2 테이퍼는 제2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기울기는 제2 기울기와 상이하게 측정된다. 일부 경우에, 몸체는, 몸체의 중심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이 설명이 단지 예시로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 나타내고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 이외에 다른 구현예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표면 청소 장치 및/또는 교란기가 본원에 포함된 특징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고, 특징부가 임의의 특정 조합 또는 하위 조합에 사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에 의한 변형 및 대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청구범위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진공 청소기용 교란기로서,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하되,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의 청소 에지를 상기 몸체에 접근시키고,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은 직조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은 상기 청소 에지를 따라 변폭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은 장착 에지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 에지는,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테이퍼를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 내에 형성시키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갖는, 교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의 말단 영역에서 연장되는, 교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제1 테이퍼와 제2 테이퍼를 포함하되, 각각의 테이퍼는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의 대응하는 말단 영역에서 연장되는, 교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는 제1 기울기를 갖고 상기 제2 테이퍼는 제2 기울기를 갖되,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와 상이하게 측정되는, 교란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은 복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하고, 각각의 변형 가능한 플랩은 상기 몸체 주위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변형 가능한 플랩의 길이는 상기 몸체의 길이 미만으로 측정되는, 교란기.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변형 가능한 플랩은 상기 몸체의 말단 영역에서 상기 몸체의 중심 영역으로 연장되는, 교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은,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교란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의 길이는 상기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길이 미만으로 측정되는, 교란기.
  12. 진공 청소기로서,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한 교란기 챔버; 및
    상기 교란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와 체결하도록 상기 교란기 챔버 내에 배치된 교란기를 포함하되, 상기 교란기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하되,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의 청소 에지를 상기 몸체에 접근시키고,
    상기 리브는 교란기 커버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교란기 커버는 말단 캡인, 진공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는 상기 교란기 챔버의 대향하는 원위 말단에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제1 테이퍼와 제2 테이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는,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대향 말단 영역에서 연장되는, 진공 청소기.
  15. 삭제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란기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은,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진공 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슬 스트립의 길이는 상기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의 길이 미만으로 측정되는, 진공 청소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는 제1 테이퍼와 제2 테이퍼를 포함하되, 각각의 테이퍼는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의 대응하는 말단 영역에서 연장되는, 진공 청소기.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중심 영역을 향해 연장된 테이퍼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217014906A 2018-10-19 2019-10-18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Active KR10252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1563A KR102742105B1 (ko) 2018-10-19 2019-10-18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7991P 2018-10-19 2018-10-19
US62/747,991 2018-10-19
US201862751015P 2018-10-26 2018-10-26
US62/751,015 2018-10-26
US201962862425P 2019-06-17 2019-06-17
US62/862,425 2019-06-17
US201962887306P 2019-08-15 2019-08-15
US62/887,306 2019-08-15
PCT/US2019/056931 WO2020081931A1 (en) 2018-10-19 2019-10-18 Agitator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563A Division KR102742105B1 (ko) 2018-10-19 2019-10-18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376A KR20210074376A (ko) 2021-06-21
KR102520318B1 true KR102520318B1 (ko) 2023-04-10

Family

ID=702810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563A Active KR102742105B1 (ko) 2018-10-19 2019-10-18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KR1020217014906A Active KR102520318B1 (ko) 2018-10-19 2019-10-18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KR1020247040761A Pending KR20250002800A (ko) 2018-10-19 2019-10-18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563A Active KR102742105B1 (ko) 2018-10-19 2019-10-18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40761A Pending KR20250002800A (ko) 2018-10-19 2019-10-18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759069B2 (ko)
EP (2) EP4371457A3 (ko)
JP (1) JP7152837B2 (ko)
KR (3) KR102742105B1 (ko)
CN (5) CN112888352B (ko)
AU (1) AU2019362030B2 (ko)
CA (1) CA3117040C (ko)
ES (1) ES2974836T3 (ko)
WO (1) WO2020081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2172B2 (en) 2018-10-19 2024-05-28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647881B2 (en) 2015-10-21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apparatus with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AU2018230518B2 (en) 2017-03-10 2021-05-27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with debrider and hair removal
US11202542B2 (en) 2017-05-25 2021-12-21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with dual cleaning rollers
CA3076636C (en) 2017-09-22 2021-10-12 Sharkninja Operating Llc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US11399675B2 (en) 2018-07-31 2022-08-02 Sharkninja Operating Llc Upright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removable pod
KR102742105B1 (ko) 2018-10-19 2024-12-16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WO2021007568A1 (en) 2019-07-11 2021-01-14 Sharkninja Operating Llc Smart nozzle and a surface cleaning device implementing same
US12121201B2 (en) 2019-10-18 2024-10-22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16754344U (zh) 2019-12-17 2022-06-17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与真空吸尘器一起使用的抽吸管嘴
WO2021207139A1 (en) 2020-04-06 2021-10-14 Sharkninja Operating Llc Allergen reduction device
DE102020115217A1 (de) * 2020-06-09 2021-12-09 Miele & Cie. Kg Saugroboter und Reinigungsstation
JP7462505B2 (ja) * 2020-07-22 2024-04-05 株式会社ツインバード 吸引ノズル装置
US11832778B2 (en) * 2020-07-29 2023-12-05 Sharkninja Operating Llc Nozzle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4098563A (zh) * 2020-09-01 2022-03-01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刷、智能清洁设备和用于制备清洁刷的制备方法
WO2022051635A1 (en) * 2020-09-04 2022-03-10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EP4225115A4 (en) * 2020-10-08 2025-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Stirrer for a surface treatment device and surface treatment device therewith
EP4059397A1 (en) * 2021-03-17 2022-09-21 Koninklijke Philips N.V. Transport of dirt in a suction head for use in a vacuum cleaner
JP7424332B2 (ja) * 2021-03-18 2024-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掃除機用収納装置
WO2022221274A1 (en) 2021-04-12 2022-10-20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WO2022226256A1 (en) 2021-04-23 2022-10-27 Sharkninja Operating Llc Determining state of charge for battery powered devices including battery powered surface treatment apparatuses
US12433461B2 (en) 2022-07-05 2025-10-07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EP4384056A4 (en) 2021-08-13 2024-11-27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 CLEANER
EP4398781A4 (en) 2021-09-07 2025-10-1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 CLEANER
JP2023047629A (ja) * 2021-09-27 2023-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220144215U (zh) 2021-11-05 2023-12-08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表面清洁装置
US20230355055A1 (en) * 2022-05-03 2023-11-09 Bissell Inc. Brushroll for vacuum cleaner
CN218009532U (zh) * 2022-05-06 2022-12-13 深圳市巴爪科技有限公司 吸尘器地刷
US12329350B2 (en) 2022-05-09 2025-06-17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GB2620119B (en) * 2022-06-27 2024-09-25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head having agitator element and rib
US20250261812A1 (en) * 2022-09-23 2025-08-21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Cord saver rib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351A (ja) * 2006-07-18 2008-02-2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10246848A (ja) * 2009-04-20 2010-11-04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掃除機
JP2011188951A (ja) * 2010-03-12 2011-09-29 Toshiba Corp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2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6039A (en) 1922-10-26 1929-03-19 Bissell Carpet Sweeper Co Carpet sweeper with brush-cleaning device
GB360577A (en) 1930-09-23 1931-11-12 William Bland A spring wheel for baby cars and the like
US2032345A (en) 1933-12-18 1936-03-03 Earl Callan Carpet sweeper comb
US2411488A (en) 1943-04-19 1946-11-19 Hoover Co Suction cleaner
GB583738A (en) 1944-11-24 1946-12-30 William Robert Oyston Improvements relating to carpet sweepers
US2607062A (en) 1946-11-08 1952-08-19 Fuller Brush Co Carpet sweeper
US2785431A (en) 1953-09-22 1957-03-19 Scott & Fetzer Co Removable brush roll for vacuum cleaners
GB877778A (en) 1959-07-01 1961-09-20 Cimex Ltd Improvements in vacuum floor-cleaning machines
JPS507359A (ko) 1973-05-24 1975-01-25
DE2530126C3 (de) 1975-07-05 1979-03-01 Theodor Stein Am Rhein Jost (Schweiz) Fahrbare Vorrichtung zum Aufsaugen von trockenen oder feuchten Verunreinigungen von einem Boden
DE2729266A1 (de) 1977-06-29 1979-01-18 Duepro Ag Reinigungsgeraet
US4384386A (en) * 1978-09-22 1983-05-24 The Scott & Fetzer Company Motor for rotating brush
US4333205A (en) 1979-11-14 1982-06-08 Robert E. Robbins Vacuum cleaner with soil agitator and compressed air means
US4334337A (en) 1980-03-28 1982-06-15 Shop-Vac Corporation Compact wet-dry electric vacuum cleaner
EP0042370A1 (de) 1980-06-18 1981-12-23 Franz Lex Bürstabdeckung für rotierend angetriebene walzenförmige Reinigungsbürsten
US4372004A (en) 1981-04-03 1983-02-08 The Singer Company Wide-sweep carpet cleaner bristle strip and brush roll
SE442815B (sv) 1981-11-03 1986-02-03 Electrolux Ab Dammsugningsmunstycke
US4403372A (en) 1982-02-22 1983-09-13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cleaner brush having string guard means
JPS59174143U (ja) 1983-05-06 1984-11-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
US4627127A (en) 1985-02-13 1986-12-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ylindrical brush
US4662027A (en) 1985-10-21 1987-05-05 Parker Winfred C Brush roller attachment kit
US4912805A (en) 1988-07-13 1990-04-03 Black & Decker Inc. Dual-purpose rotating brush for vacuum cleaner
US4847944A (en) 1988-09-30 1989-07-18 The Scott Fetzer Company Vacuum cleaning with powered brush roll
JPH0375885U (ko) * 1989-11-21 1991-07-30
US5193243A (en) 1989-12-26 1993-03-16 The Scott Fetzer Company Brushroll
US5465451A (en) 1989-12-26 1995-11-14 The Scott Fetzer Company Brushroll
US5272785A (en) 1989-12-26 1993-12-28 The Scott Fetzer Company Brushroll
JP2639155B2 (ja) 1990-02-02 1997-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K167423B1 (da) 1990-12-20 1993-11-01 Joergen Sjoegreen Universalmundstykke til stoevsugere
JPH05228083A (ja) 1992-02-20 1993-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床ノズル
USD348548S (en) 1992-08-07 1994-07-05 Giovanni Pino Vacuum cleaner
JP2954806B2 (ja) 1993-03-31 1999-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US5452490A (en) 1993-07-02 1995-09-26 Royal Appliance Mfg. Co. Brushroll with dual row of bristles
JPH0739488A (ja) 1993-07-29 1995-02-10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GB2285777A (en) 1994-01-25 1995-07-26 Bride David James Mc Spring wheel
JPH07322981A (ja) 1994-06-0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US5495634A (en) 1994-06-30 1996-03-05 Bruns Brush Inc. (Ohio Corporation) Vacuum sweeper roller brush
DE19505787C2 (de) 1995-02-20 1998-01-29 Fedag Romanshorn Fa Reinigungswalze für die Saugdüse eines Saugreinigungsgerätes
US5632060A (en) 1995-08-04 1997-05-27 Bissell Inc. Vacuum cleaner with agitation member drive belt access panel
US5671499A (en) 1996-01-11 1997-09-30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with all components in floor traveling head
US6012200A (en) 1997-01-10 2000-01-11 Royal Appliance Mfg. Co. Upright vacuum cleaner
JPH10201682A (ja) 1997-01-23 1998-08-04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3540552B2 (ja) 1997-07-14 2004-07-0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
EP0909547A3 (en) 1997-10-14 1999-07-28 Oreck Holdings, LLC Vacuum cleaner having top access brush panel
US5960514A (en) 1997-11-10 1999-10-05 The Hoover Company Wheel driven suction nozzle
JP2823013B2 (ja) 1997-11-21 1998-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体
USD440019S1 (en) 1997-12-10 2001-04-03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Canister vacuum power head
JPH11187997A (ja) 1997-12-26 1999-07-13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3381695B2 (ja) 1997-12-26 2003-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TW475894B (en) 1997-12-26 2002-02-11 Tec Corp Suction port body for vacuum-cleaner and vacuum-cleaner having the same
US6226832B1 (en) 1998-04-23 2001-05-08 Matsushita Home Appliance Corporation Of America Easy maintenance vacuum cleaner
JP2000033059A (ja) 1998-07-17 2000-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0166826A (ja) 1998-12-10 2000-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120473A (ja) 1999-10-25 2001-05-0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IT1310795B1 (it) 1999-12-10 2002-02-22 Vidoni Mario Apparecchio di pulizia con spazzola intercambiabile
DE10001467B4 (de) 2000-01-15 2004-04-08 Düpro AG Saugreinigungswerkzeug
US6367781B1 (en) * 2000-02-10 2002-04-09 Plaspack Usa, Inc. Barrier material, apparatus, and method
US6314611B1 (en) 2000-03-24 2001-11-13 Baker Mcmillen Co. Bladed disk brush roll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sweeper
US6513190B1 (en) 2000-04-21 2003-02-04 The Hoover Company Turbine powered vacuum cleaner nozzle
US6883201B2 (en) 2002-01-03 2005-04-26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DE10110767A1 (de) 2001-03-07 2002-09-19 Duepro Ag Romanshorn Reinigungsvorrichtung für Glattböden
WO2003026474A2 (en) 2001-09-26 2003-04-03 Friendly Robotics Ltd. Robotic vacuum cleaner
US6591441B2 (en) 2001-10-10 2003-07-15 The Scott Fetzer Company Brushroll having improved cleaning capability
USD473687S1 (en) 2001-12-07 2003-04-22 Wessel-Werk Gmbh Vacuum cleaner nozzle
US7013528B2 (en) 2002-01-28 2006-03-21 Bissell Homecare, Inc. Floor cleaner with dusting
US20030145424A1 (en) 2002-02-01 2003-08-07 Royal Appliance Mfg. Co. Two-piece brushroll
US6810559B2 (en) 2002-02-27 2004-11-02 Superior Brush Company Agitato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JP2003339589A (ja) 2002-05-22 2003-12-02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US7150068B1 (en) 2002-08-12 2006-12-19 Gary Dean Ragner Light-weight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100466320B1 (ko) 2002-09-10 2005-01-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회전 브러시
KR100492577B1 (ko) 2002-10-22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흡입헤드
JP3970154B2 (ja) 2002-10-28 2007-09-05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用吸込具
DE10256029A1 (de) 2002-11-30 2004-06-09 Düpro AG Saugreinigungswerkzeug mit einer Wechseleinheit
AU2003288429B2 (en) 2002-12-06 2008-01-10 Techtronic Industries Company Limited Head for a suction cleaner
KR100517918B1 (ko) 2002-12-13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브러시먼지 탈거장치
US7200893B2 (en) 2003-01-10 2007-04-10 The Hoover Company Brush assembly for a floor cleaning unit
JP3937405B2 (ja) 2003-01-22 2007-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5046262A (ja) 2003-07-31 2005-02-24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US7329294B2 (en) 2003-10-23 2008-02-12 Polar Light Limited Dirt container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050172447A1 (en) 2004-02-05 2005-08-11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twin agitato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JP2005224263A (ja) 2004-02-10 2005-08-25 Funai Electric Co Ltd 自走式掃除機
KR20050099416A (ko) 2004-04-10 2005-10-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US20060191097A1 (en) 2004-05-11 2006-08-31 Baumhakel Alexander J Transport cleaning device
GB2413942B (en) 2004-05-13 2007-07-18 Dyson Ltd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20060042042A1 (en) 2004-08-26 2006-03-02 Mertes Richard H Hair ingestion device and dust prot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588061B1 (ko) 2004-12-22 2006-06-09 주식회사유진로보틱스 이중흡입장치가 구비된 청소용 로봇
US8117714B2 (en) 2005-03-09 2012-02-21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hair collection element
JP2006247229A (ja) 2005-03-14 2006-09-21 Funai Electric Co Ltd Av装置を備えた電気掃除機
USD524498S1 (en) 2005-03-21 2006-07-04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North America Vacuum cleaner base
KR100593324B1 (ko) 2005-03-24 2006-06-28 강대식 자동차 매트 세척기
US20060272122A1 (en) 2005-06-07 2006-12-07 Dennis Butler Vacuum brushroll edge cleaner
JP2007068835A (ja) 2005-09-08 2007-03-22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EP2007662B1 (en) 2006-03-31 2013-10-23 Jean-Pierre Gagnon Cellular encasement protection system for roller assembly
US7328479B2 (en) 2006-04-13 2008-02-12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Ltd. Ligh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EP2548489B1 (en) 2006-05-19 2016-03-09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JP4801516B2 (ja) 2006-06-23 2011-10-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6312066A (ja) 2006-07-11 2006-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USD569564S1 (en) 2006-07-24 2008-05-20 Labarbera John F Multi-perforated nozzle head for carpet and floor cleaners
WO2008074014A2 (en) 2006-12-13 2008-06-19 Ab Electrolux Wet/dry floor cleaning device
CA2615181A1 (en) 2006-12-18 2008-06-18 James R. Alton Roller brush assembly for vacuum nozzle
EP2106231B1 (en) 2007-01-23 2018-08-22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nozzle
US20090000057A1 (en) 2007-01-24 2009-01-0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having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hair by using the same
US9119511B2 (en) 2007-03-02 2015-09-01 Carl L. C. Kah, Jr. Centrifugal dirt separation configurations for household-type and shop-type vacuum cleaners
USD566356S1 (en) 2007-03-09 2008-04-08 Bissell Homecare, Inc. Floor cleaning tool
KR101031560B1 (ko) 2007-05-21 201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흡입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401512B1 (ko) 2007-07-20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USD594612S1 (en) 2008-03-11 2009-06-16 Panasonic Corporation Electric vacuum cleaner nozzle
USD597268S1 (en) 2008-03-11 2009-07-28 Bissell Homecare, Inc. Floor cleaner base portion
WO2013060365A1 (en) 2011-10-26 2013-05-02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9820626B2 (en) * 2008-03-17 2017-11-21 Aktiebolaget Electrolux Actuator mechanism for a brushroll cleaner
US8601643B2 (en) * 2008-03-17 2013-12-10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Agitator with cleaning features
JP2010063624A (ja) 2008-09-10 2010-03-25 Toshiba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み具
USD635728S1 (en) 2008-10-21 2011-04-05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KR101525597B1 (ko) 2008-11-03 201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노즐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JP5241458B2 (ja) 2008-12-05 2013-07-1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D619315S1 (en) 2009-02-06 2010-07-06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Floor nozzle for canister vacuum cleaner
KR20100093325A (ko) 2009-02-16 2010-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CA2674761C (en) 2009-03-13 2016-10-04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ifferent cleaning configurations
EP2253258B1 (en) 2009-05-15 2016-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nomous cleaning machine
GB2470918A (en) 2009-06-09 2010-12-15 Dyson Technology Ltd Agitating means for a cleaning head
GB2470919A (en) 2009-06-09 2010-12-15 Dyson Technology Ltd Agitating means for a cleaning head
GB2470917A (en) 2009-06-09 2010-12-15 Dyson Technology Ltd Agitating means for cleaning head
GB2470920A (en) 2009-06-09 2010-12-15 Dyson Technology Ltd Agitating menas for a cleaning head
JP5366719B2 (ja) 2009-08-31 2013-12-11 株式会社東芝 回転清掃体、吸込口体
US8037571B2 (en) 2009-09-01 2011-10-1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accessory tool having a removable brush
US8726441B1 (en) 2009-09-28 2014-05-20 Bissell Homecare, Inc. Floor sweeper with split brush assembly
GB2476810B (en) * 2010-01-08 2014-01-08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476811B (en) 2010-01-08 2014-01-08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WO2011083294A1 (en) 2010-01-08 2011-07-14 Dyson Technology Limited A cleaner head
CN105147193B (zh) 2010-02-16 2018-06-12 艾罗伯特公司 真空吸尘器毛刷
GB2478599B (en) 2010-03-12 2014-07-16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rrangement
USD655468S1 (en) 2010-04-26 2012-03-06 Aqua Lotus Marketing GmbH Brush head for a vacuum cleaner
DE102010017211B4 (de) 2010-06-02 2024-12-19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 selbsttätig verfahrbares Bodenreinigungsgerät sowie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Bodens mittels eines solchen Bodenreinigungsgerätes
DE102010017258A1 (de) 2010-06-07 2011-12-0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 selbsttätig verfahrbares Gerät
KR101483541B1 (ko) 2010-07-15 2015-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GB2482026B (en) 2010-07-16 2015-06-17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ppliance
AU335365S (en) 2010-08-27 2011-03-09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CN201861563U (zh) 2010-11-23 2011-06-15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器的风动地刷
CN103443612B (zh) 2010-12-30 2016-04-20 美国iRobot公司 碎屑监视
GB2487920B (en) 2011-02-08 2013-01-09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US8826493B2 (en) 2011-02-15 2014-09-09 The Scott-Fetzer Company Vacuum cleaner brushroll
CN102727136A (zh) 2011-04-06 2012-10-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带螺旋状叶片的滚刷结构
EP2713844B1 (en) 2011-04-29 2019-03-27 iRobot Corporation Resilient and compressible roller and autonomous coverage robot
US20120311802A1 (en) 2011-06-10 2012-12-13 Hinnant Andre Lagary Vacuum cleaner multi-directional brushroll/agitator
KR20130005135A (ko) 2011-07-05 2013-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 청소기
JP5250084B2 (ja) 2011-07-05 2013-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D681291S1 (en) 2011-08-17 2013-04-30 Oreck Holdings, Llc Vacuum cleaner beater bar
US8631541B2 (en) 2011-08-23 2014-01-21 Bissell Homecare, Inc. Auxiliary brush for vacuum cleaner
EP2570067A1 (en) 2011-09-01 2013-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nomous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GB2498351B (en) 2012-01-10 2014-06-18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US10111564B2 (en) 2012-08-06 2018-10-30 Thomas K. Schultheis Upward and radial floor cleaning apparatus
JP2014033738A (ja) 2012-08-07 2014-02-24 Toshiba Corp 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US9351622B2 (en) 2012-09-04 2016-05-31 Sapphire Scientific Inc. Fluid extracting device with shaped head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5609947B2 (ja) 2012-10-29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GB2525107B (en) 2012-11-26 2015-11-25 Bissell Homecare Inc Agitato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USD720506S1 (en) 2012-11-28 2014-12-30 Classic Brands, LLC Seed reservoir bottle for a wild bird feeder
WO2014095604A1 (en) 2012-12-18 2014-06-26 Koninklijke Philips N.V. Nozzle arrangement for a cleaning device
WO2014095614A1 (en) 2012-12-20 2014-06-26 Koninklijke Philips N.V.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USD731724S1 (en) 2012-12-28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AU2014100004A4 (en) 2013-01-11 2014-01-30 Bissell Inc. Vacuum cleaner
GB2509925B (en) 2013-01-17 2015-05-27 Dyson Technology Ltd Agitator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D720104S1 (en) 2013-01-18 2014-12-23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base
AU350963S (en) 2013-02-18 2013-09-2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50966S (en) 2013-02-18 2013-09-24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a vacuum cleaner
KR20150122755A (ko) 2013-02-27 2015-11-02 오마크론 인텔렉튜얼 프로퍼티 아이엔씨. 표면 클리닝 장치
US9027198B2 (en) 2013-02-27 2015-05-12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899518C (en) 2013-02-28 2018-12-1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26654B2 (en) 2013-03-15 2016-05-03 Irobot Corporation Roller brush for surface cleaning robots
US9072416B2 (en) 2013-03-15 2015-07-07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gitator cleaner with brushroll lifting mechanism
EP2991532B1 (en) 2013-05-02 2017-08-30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CN104138238B (zh) 2013-05-08 2017-07-04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清扫机器人和地面处理装置
JP6204080B2 (ja) 2013-06-17 2017-09-2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525350B (en) 2013-07-31 2015-12-02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01313707D0 (en) 2013-07-31 2013-09-11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USD731136S1 (en) 2013-09-02 2015-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D761507S1 (en) 2013-10-10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CN104605789A (zh) 2013-11-01 2015-05-13 苏州市伟克斯电器有限公司 吸尘器吸嘴以及吸尘器具
USD731720S1 (en) 2013-11-11 2015-06-09 Euro-Pro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USD738583S1 (en) 2013-11-11 2015-09-08 Euro-Pro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GB2520549B (en) 2013-11-25 2017-06-14 Hoover Ltd Vacuum cleaner head
JP6178231B2 (ja) 2013-12-19 2017-08-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吸込具
CN203662686U (zh) 2014-01-13 2014-06-25 苏州爱普电器有限公司 立式真空吸尘器
USD774260S1 (en) 2014-01-29 2016-12-1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steam cleaning device
GB2522668B (en) 2014-01-31 2017-05-17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357468S (en) 2014-02-21 2014-09-18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57474S (en) 2014-02-21 2014-09-18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57472S (en) 2014-02-21 2014-09-18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01404917D0 (en) 2014-03-19 2014-04-30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KR101556177B1 (ko) 2014-05-07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D762031S1 (en) 2014-08-08 2016-07-19 Sharkninja Operating Llc Nozzle
USD745231S1 (en) 2014-07-17 2015-12-08 Euro-Pro Operating Llc Hand carriable vacuum cleaner
US9451853B2 (en) 2014-07-18 2016-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D770111S1 (en) 2014-07-25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USD771890S1 (en) 2014-08-14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USD790785S1 (en) 2014-08-21 2017-06-27 Dyson Technology Limited Part of a vacuum cleaner
USD772512S1 (en) 2014-09-01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GB2529819B (en) 2014-09-02 2017-06-14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GB2534983B (en) 2014-12-12 2019-10-30 Bissell Homecare Inc Brushroll for vacuum cleaner
US9955832B2 (en) 2015-01-30 2018-05-01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with removable non-driven agitator having cleaning pad
US9456723B2 (en) 2015-01-30 2016-10-04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including openable agitator chamber and a removable rotatable agitator
USD774264S1 (en) 2015-02-03 2016-12-13 Sharkninja Operating Llc Floor cleaner apparatus
USD738584S1 (en) 2015-02-19 2015-09-08 Euro-Pro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USD743123S1 (en) 2015-02-26 2015-11-10 Bissell Homecare, Inc. Body of a hand-held vacuum cleaner
USD779751S1 (en) 2015-02-26 2017-02-21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base
USD789007S1 (en) 2015-03-12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ake for cleaner
KR101644887B1 (ko) 2015-03-24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지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USD792665S1 (en) 2015-04-20 2017-07-18 Rowenta France Vacuum cleaner handle
USD779752S1 (en) 2015-05-14 2017-02-21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head
USD773139S1 (en) 2015-05-15 2016-11-29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head
US20160345792A1 (en) 2015-05-28 2016-12-01 Neato Robotics, Inc. Brush entanglement prevention apparatus in autonomous robotic vacuums
USD796136S1 (en) 2015-06-03 2017-08-29 Ac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Floorhead
CN104939750A (zh) * 2015-06-23 2015-09-30 苏州德易仕清洁科技有限公司 一种能切除毛发的吸尘器地刷
US9468346B1 (en) 2015-09-11 2016-10-18 Gary Rzepka Vacuum cleaner nozzle with a roller attachment
GB2542420B (en) 2015-09-21 2018-01-10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USD781014S1 (en) 2015-10-14 2017-03-07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er base
JP2017074258A (ja) 2015-10-15 2017-04-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吸口及びそれを用いた自律走行型掃除機
CN108135409B (zh) 2015-10-21 2022-03-11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具有前导辊的表面清洁头
US11647881B2 (en) 2015-10-21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apparatus with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CN205181249U (zh) 2015-11-18 2016-04-27 小狗电器(北京)有限公司 一种边刷防毛发缠绕扫地机
WO2017117897A1 (zh) 2016-01-04 2017-07-13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地刷及具有其的吸尘器
GB2546540B (en) * 2016-01-22 2018-07-18 Dyson Technology Ltd Brushbar, cleaner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a brushbar
CN205625807U (zh) 2016-02-25 2016-10-12 飞利浦(中国)投资有限公司 刷子、用于吸尘器的吸嘴以及吸尘器
KR102426086B1 (ko) * 2016-03-29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흡입노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US10258212B2 (en) 2016-05-20 2019-04-16 Lg Electronics Inc. Cleaner
CN206080407U (zh) 2016-06-21 2017-04-12 宁波菜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
USD796134S1 (en) 2016-08-30 2017-08-29 Rugged Industries, Inc. Suction head
CN109715022A (zh) 2016-09-09 2019-05-03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除毛搅拌器
KR102665907B1 (ko) 2017-01-03 202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AU2018230518B2 (en) * 2017-03-10 2021-05-27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with debrider and hair removal
CN108078491B (zh) 2017-12-04 2020-10-13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地刷的滚刷及具有其的地刷和吸尘器
CN108185908B (zh) 2017-12-19 2020-11-24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滚刷和具有该滚刷的吸尘器
KR102742105B1 (ko) 2018-10-19 2024-12-16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KR102093144B1 (ko) 2019-02-11 2020-03-25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청소기 헤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351A (ja) * 2006-07-18 2008-02-2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10246848A (ja) * 2009-04-20 2010-11-04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掃除機
JP2011188951A (ja) * 2010-03-12 2011-09-29 Toshiba Corp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59069B2 (en) 2023-09-19
KR102742105B1 (ko) 2024-12-16
AU2019362030B2 (en) 2023-03-30
CA3117040A1 (en) 2020-04-23
CN116158688A (zh) 2023-05-26
EP3866659A1 (en) 2021-08-25
JP2022505409A (ja) 2022-01-14
CA3117040C (en) 2024-02-20
WO2020081931A1 (en) 2020-04-23
EP4371457A2 (en) 2024-05-22
EP3866659A4 (en) 2022-07-20
CN212307708U (zh) 2021-01-08
KR20250002800A (ko) 2025-01-07
ES2974836T3 (es) 2024-07-01
CN216439098U (zh) 2022-05-06
CN116687259A (zh) 2023-09-05
US20200121144A1 (en) 2020-04-23
EP3866659B1 (en) 2023-12-27
EP4371457A3 (en) 2024-09-04
JP7152837B2 (ja) 2022-10-13
US20230363598A1 (en) 2023-11-16
AU2019362030A1 (en) 2021-05-20
KR20210074376A (ko) 2021-06-21
CN112888352A (zh) 2021-06-01
KR20230051612A (ko) 2023-04-18
CN112888352B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318B1 (ko) 표면 처리 장치용 교란기 및 이를 갖는 표면 장치
US11992172B2 (en) Agitator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20095864A1 (en) Agitator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25011279A (ja) 表面処理装置ための撹拌器およびそれを有する表面処理装置
CN216704230U (zh) 用于真空清洁器的搅拌器和具有该搅拌器的表面清洁头
CN222622860U (zh) 用于真空清洁器的搅拌器
CN118369027A (zh) 用于表面处理设备的搅拌器和具有该搅拌器的表面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