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1907B1 -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 Google Patents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907B1
KR102521907B1 KR1020200164740A KR20200164740A KR102521907B1 KR 102521907 B1 KR102521907 B1 KR 102521907B1 KR 1020200164740 A KR1020200164740 A KR 1020200164740A KR 20200164740 A KR20200164740 A KR 20200164740A KR 102521907 B1 KR102521907 B1 KR 10252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reactive
layer
photoreactive material
surface layer
transparent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005A (ko
Inventor
김재영
김바울
최정이
Original Assignee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9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9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Anti-inflammatory agents, e.g. NS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는 투명 표층; 상기 투명 표층의 저면에 부착되고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광반응층; 및 상기 광반응층의 저면에 도포되고, 상기 광반응성 물질에 의해 이온화가 촉진되는 약용물질을 포함하는 약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PATCH INCLUDING PHOTOREACTIVE SUBSTANCE}
본 발명은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적인 패치(patch)는 상처 부위의 습윤 환경 유지, 적절한 흡수성 및 투습성이 있어야 하며, 상처면의 건조를 막고 주변 정상 피부의 침연(짓무름)이 일어나지 않게 제제화 되어야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상처부의의 보호 및 세균 침입 방지 등의 기능성이 갖추어져야되고, 교환 시 상처면에 달라붙어 신생 조직 등에 손상을 입히지 않아야 하며 무자극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조건에 맞추어 최근 하이드로 콜로이드를 사용한 패치가 증가하고 있다.
하이드로 콜로이드 패치는 두께가 얇고 자체 점착력을 가지고 있어 피부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 패치는 약한 화상, 급성, 만성 상처에 상처 보호 및 피부 재생을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근래 들어서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패치의 이면에 약용물질을 도포한 관절염 치료용 패치, 진통 감소 패치 제품이 등장하였다.
다만, 하이드로 콜로이드 패치를 사용한 제품의 경우 폼 타입의 드레싱 밴드에 비해 약용물질의 흡수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하이드로 콜로이드를 사용한 패치의 약용물질 흡수를 증가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약용물질의 피부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광을 통해 자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광 및 집광을 통해 반사 및 난반사로 인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빛의 피부조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는 투명 표층; 상기 투명 표층의 저면에 부착되고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광반응층; 및 상기 광반응층의 저면에 도포되고, 상기 광반응성 물질에 의해 이온화가 촉진되는 약용물질을 포함하는 약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는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표층; 및 상기 투명 표층의 저면에 도포되고, 상기 광반응성 물질에 의해 이온화가 촉진되는 약용물질을 포함하는 약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는 투명 표층; 상기 투명 표층의 저면에 도포되고, 광반응성 물질 및 상기 광반응성 물질에 의해 이온화가 촉진되는 약용물질을 포함하는 약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는 투명 표층; 상기 투명 표층 내부에 분포된 광반응성 물질; 및 상기 투명 표층 내부에 분포된 약용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약용물질은 상기 광반응성 물질에 의해 이온화가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표층은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 폴리머 필름(polymer film),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제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반응성 물질은 660nm 파장의 적색광에 의해 활성화되고 730nm 파장의 근적외선에 의해 비활성화 되는 피토크롬(phytocrom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반응성 물질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광반응성 물질은 상기 약용물질의 이온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용물질은 피록시캄(piroxicam), 디클로페낙(diclofenac), 플루오로프로펜(fluoroprop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표층은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상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표층은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층은 상기 광반응층의 저면에 격자무늬 패턴으로 도포되거나 점상 형태로 흩뿌려져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반응층은 상기 투명 표층의 저면에 일방향으로 복수의 줄무늬가 이격된 패턴으로 도포되고, 상기 약제층은 상기 광반응층을 가로지르도록 복수의 줄무늬가 이격된 패턴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층은 상기 투명 표층의 저면에 격자무늬 패턴으로 도포되거나 점상 형태로 흩뿌려져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는 약용물질의 피부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는 흡광을 통해 자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는 흡광 및 집광을 통해 반사 및 난반사로 인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빛의 피부조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지를 포함하는 패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1)는 투명 표층(100), 투명 표층(100)의 저면에 부착되고 광반응성 물질(210)을 포함하는 광반응층(200) 및 광반응층(200)의 저면에 도포되고, 광반응성 물질(210)에 의해 이온화가 촉진되는 약용물질(310)을 포함하는 약제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표층(100)은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1)의 최상층을 의미할 수 있다. 투명 표층(10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폴리머 필름(polymer film), 폴리 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표층(100)은 100중량부의 소수성 탄성 중합체와 70 내지 150중량부의 하이드로 콜로이드 입자로 구성될 수 있다.
소수성 탄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천연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부틸고무(예를 들어, 이소프렌과 이소부틸렌 공중합체), 또는 할로겐화 부틸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소수성 탄성 중합체는 제안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소수성 탄성 중합체로 대체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친수성 고분자가 물리적 결합 예를 들어, 수소 결합, 반데르발스 힘, 혹은 소수성 상호작용, 또는 화학적 결합 예를 들어, 공유 결합에 의해 3차원의 가교를 형성하고 있는 망상 구조를 갖는 입자로서 높은 함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들을 구성하는 친수성 고분자는 천연 친수성 고분자인, 예를 들어, 펙틴, 젤라틴, 셀룰로오스 구체적으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콜라겐, 덱스트란, 엘라스틴, 키틴, 키토산,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또는 합성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아크릴산 (PAA),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실리콘(Silicon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들은 친수성 고분자를 3차원 망상구조로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가교제는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 황산 칼슘(Calcium Sulfate), 질산 칼슘(Calcium Nitrate), 질산 아연(Zinc Nitrate), 염화 아연(Zinc Chloride), 황산 아연(Zinc Sulfate), 과황산 암모늄(Ammonium Persulfate), 또는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일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친수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에서,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들은 칼슘 이온에 의해 가교된 알지네이트일 수 있다.
또한, 투명 표층(100)은 클로로필(chlorophyll)을 포함할 수 있다. 클로로필은 적층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투명 표층(100)의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하여, 투명 표층(100)은 클로로필(chlorophyll)외에도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표층(100)은 추가적으로 점착제 및/또는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는 페놀-개질된 테르펜; 로진 에스테르, 예를 들어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폴리아이소부틸렌과 같은 탄성중합체성 점착제, 합성 폴리테르펜 점착제를 포함하는 비-탄성중합체성 점착제,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는 습윤 작용 및/또는 점도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가소제는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탄화수소 오일, 액체 탄화수소 수지, 액체 폴리테르펜, 액체 폴리(아이소부틸렌), 예를 들어, 글리소팔(GLISSOPAL) 등을 포함하는 액체 또는 연성 점착제, 왁스, 및 오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가소제는 파라핀 왁스일 수 있다.
또한, 투명 표층(100)은 미량의 기타 성분들, 예를 들어,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산화 방지제, 탈취제, 향료, 항 미생물제, 상처치유촉진인자(healing promoter)등과 같은 약리학적 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한편, 투명 표층(100)은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상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표층(100)을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투명 표층(100)에 빛이 조사되는 경우 투명 표층(100)의 흡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명 표층(100)의 저면에는 광반응층(200)이 구비될 수 있다. 광반응층(200)은 투명 표층(100)을 통해 빛이 조사되는 경우, 약제층(300)에 포함된 약용물질(310)을 이온화시켜 약용물질(310)의 피부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반응층(200)은 이를 위해 내부에 광반응성 물질(210)을 포함할 수 있다. 광반응성 물질(210)은 빛을 흡수하여 약용물질(310)을 이온화 시킬 수 있다. 광반응성 물질(210)은 약용물질(310)을 이온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반응성 물질(210)은 피토크롬(phytochrome)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피토크롬(phytochrome)은 식물체에 있는 빛에 예민한 색소 단백질로서, 종자의 발아, 줄기의 신장, 개화 등 식물 발생에 따른 여러가지 광형태 발생을 조절할 수 있는 단백일에 해당한다. 빛의 유무와 적절한 파장에 따른 변화를 감지하여 이 변화를 이용 그 식물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유발시키는 여러 유전인자들의 형질발현을 조절함을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1)에 포함된 피토크롬(phytochorome)은 660nm 파장의 적색광에 의해 활성화되고 730nm 파장의 근적외선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피토크롬(phytochorome)이 활성화되는 경우 피토크롬(phytochorome)은 약제층(300)에 포함된 약용물질(310)을 이온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피토크롬(phytochorome)이 약용물질(310)을 이온화 시키는 경우, 약용물질(310)이 피부에 흡수되는 흡수율은 향상될 수 있다.
약제층(300)은 광반응층(200)의 저면에 도포될 수 있다. 약제층(300)은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1)가 환자의 환부에 접착되는 경우 환자의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약용물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용물질(310)은 광반응층(200)의 광반응성 물질(210)에 의해 이온화 되어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약용물질(310)은 살균제, 소독제, 소염제, 진통제등 피부에 흡수되어 약효가 발휘하는 다양한 약용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용물질(310)은 피록시캄(piroxicam), 디클로페낙(diclofenac), 플루오로프로펜(fluoroprop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층(300)은 광반응층(200)의 저면에 격자 무늬 패턴으로 도포되거나(도 2(a) 참조), 점상 형태로 흩뿌려져 도포될 수 있다(도 2(b) 참조). 이때, 광반응층(200)은 평판 형상으로 투명 표층(100)에 도포될 수 있다. 다만, 광반응층(200)과 약제층(300)을 각각 격자 무늬 패턴으로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광반응층(200)은 투면 표층(100)의 저면에 일방향으로 복수의 줄무늬가 이격된 패턴으로 도포되고, 약제층(300)은 광반응층을 가로지르도록 복수의 줄무늬가 이격된 패턴으로 도포될 수 있다. 광반응층(200)과 약제층(300)을 도포하는 방법은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1)는 광반응성 물질(210)을 투명 표층(100)에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1)는 광반응성 물질(210)을 포함한 투명 표층(100) 및 투명 표층(100)의 저면에 도포되고 광반응성 물질(210)에 의해 이온화가 촉진되는 약용물질(310)을 포함하는 약제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표층(10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폴리머 필름(polymer film), 폴리 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표층(100)은 100중량부의 소수성 탄성 중합체와 70 내지 150중량부의 하이드로 콜로이드 입자로 구성될 수 있다.
소수성 탄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천연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부틸고무(예를 들어, 이소프렌과 이소부틸렌 공중합체), 또는 할로겐화 부틸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소수성 탄성 중합체는 제안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소수성 탄성 중합체로 대체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친수성 고분자가 물리적 결합 예를 들어, 수소 결합, 반데르발스 힘, 혹은 소수성 상호작용, 또는 화학적 결합 예를 들어, 공유 결합에 의해 3차원의 가교를 형성하고 있는 망상 구조를 갖는 입자로서 높은 함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들을 구성하는 친수성 고분자는 천연 친수성 고분자인, 예를 들어, 펙틴, 젤라틴, 셀룰로오스 구체적으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콜라겐, 덱스트란, 엘라스틴, 키틴, 키토산,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또는 합성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아크릴산 (PAA),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실리콘(Silicon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들은 친수성 고분자를 3차원 망상구조로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가교제는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 황산 칼슘(Calcium Sulfate), 질산 칼슘(Calcium Nitrate), 질산 아연(Zinc Nitrate), 염화 아연(Zinc Chloride), 황산 아연(Zinc Sulfate), 과황산 암모늄(Ammonium Persulfate), 또는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일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친수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에서,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들은 칼슘 이온에 의해 가교된 알지네이트일 수 있다.
투명 표층(100)은 추가적으로 점착제 및/또는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는 페놀-개질된 테르펜; 로진 에스테르, 예를 들어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폴리아이소부틸렌과 같은 탄성중합체성 점착제, 합성 폴리테르펜 점착제를 포함하는 비-탄성중합체성 점착제,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는 습윤 작용 및/또는 점도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가소제는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탄화수소 오일, 액체 탄화수소 수지, 액체 폴리테르펜, 액체 폴리(아이소부틸렌), 예를 들어, 글리소팔(GLISSOPAL) 등을 포함하는 액체 또는 연성 점착제, 왁스, 및 오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가소제는 파라핀 왁스일 수 있다.
또한, 투명 표층(100)은 미량의 기타 성분들, 예를 들어,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산화 방지제, 탈취제, 향료, 항 미생물제, 상처치유촉진인자(healing promoter)등과 같은 약리학적 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투명 표층(100)은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상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표층(100)을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투명 표층(100)에 빛이 조사되는 경우 투명 표층(100)의 흡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투명 표층(100)은 광반응성 물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투명 표층(100) 경화 전 단계에서 광반응성 물질(210)을 혼합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투명 표층(100)에 광반응성 물질을(210)을 분포시킬 수 있다.
약제층(300)은 투명 표층(100)의 저면에 도포될 수 있다. 약제층(300)은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1)가 환자의 환부에 접착되는 경우 환자의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약용물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용물질(310)은 투명 표층(100)의 광반응성 물질(210)에 의해 이온화 되어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약용물질(310)은 살균제, 소독제, 소염제, 진통제등 피부에 흡수되어 약효가 발휘하는 다양한 약용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용물질(310)은 피록시캄(piroxicam), 디클로페낙(diclofenac), 플로어프로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층(300)은 투명 표층(100)의 저면에 격자 무늬 패턴으로 도포되거나(도 4(a) 참조), 점상 형태로 흩뿌려져 도포될 수 있다(도 4(b) 참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1)는 광반응성 물질(210)을 약제층(300)에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는(1)는 투명 표층(100) 및 투명 표층(100)의 저면에 도포되고 광반응성 물질(210) 및 광반응성 물질(210)에 의해 이온화가 촉진되는 약용물질(310)을 포함하는 약제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약체층(300)은 투명 표층(100)의 저면에 도포될 수 있다. 약제층(300)은 광반응성 물질(210) 및 약용물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약제층(300) 경화 전 단계에서 광반응성 물질(210) 및 약용물질(310)을 혼합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약제층(300)에 광반응성 물질(210) 및 약용물질(310)을 분포시킬 수 있다.
약용물질(310)은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1)가 환자의 환부에 접착되는 경우 환자의 피부를 통해 흡수될 수 있다. 이때, 약용물질(310)은 광반응성 물질(210)에 의해 이온화되어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약용물질(310)은 살균제, 소독제, 소염제, 진통제등 피부에 흡수되어 약효가 발휘하는 다양한 약용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용물질(310)은 피록시캄(piroxicam), 디클로페낙(diclofenac), 플로어프로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층(300)은 투명 표층(100)의 저면에 격자 무늬 패턴으로 도포되거나(도 6(a) 참조), 점상 형태로 흩뿌려져 도포될 수 있다(도 6(b) 참조).
한편, 투명 표층(100) 및 광반응성 물질(210)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설명에 갈음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1)는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층을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물질의 특성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물질의 특성과 동일하다.
다시 말해, 도 7에 도시된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는 투명 표층(100), 투명 표층(100) 내부에 분포된 광반응성 물질(210) 및 투명 표층(100) 내부에 분포된 약용물질(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 표층(100), 광반응성 물질(210), 약용물질(310)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도 1에 도시된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한 패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1)는 빛을 흡수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반응성 물질(210)을 포함하는 표층(100) 및 표층(100)의 저면에 도포되고 친수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콜로이드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층(100)은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1)의 외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고분자 화합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층(10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폴리머 필름(polymer film), 폴리 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수성 탄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천연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부틸고무(예를 들어, 이소프렌과 이소부틸렌 공중합체), 또는 할로겐화 부틸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소수성 탄성 중합체는 제안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소수성 탄성 중합체로 대체될 수 있다.
표층(100)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반응성 물질(110)을 포함할 수 있다. 광반응성 물질(110)은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을 흡광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르코늄(zirconium), 게르마늄(germanium) 및 일라이트(illi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여 구비될 수 있다.
표층(100)의 저면에는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콜로이드층(200)이 구비될 수 있다. 콜로이드층(200)은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를 포함한 얇은 막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콜로이드층(200)에는 광반응성 물질(110)이 방출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가열되는 친수성 고분자(210)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친수성 고분자(210)가 포함하는 물분자가 원적외선을 받으면 물분자는 공진되어 발열할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 고분자(210)는 원적외선에 의해 발열하는 다양한 고분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셀룰로스(cellulose)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1)는 표층(100) 및 표층(100)의 저면에 도포되고 친수성 고분자 물질 및 빛을 흡수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반응성 물질(110)을 포함하는 콜로이드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층(100)은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1)의 외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고분자 화합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층(10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폴리머 필름(polymer film), 폴리 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수성 탄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천연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부틸고무(예를 들어, 이소프렌과 이소부틸렌 공중합체), 또는 할로겐화 부틸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소수성 탄성 중합체는 제안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소수성 탄성 중합체로 대체될 수 있다.
콜로이드층(200)은 표층(100)의 저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광반응성 물질(110) 및 친수성 고분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광반응성 물질(110)은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을 흡광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르코늄(zirconium), 게르마늄(germanium) 및 일라이트(illi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여 구비될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210)가 원적외선을 받는 경우, 친수성 고분자(210)가 포함하는 물분잔는 공진되어 발열할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210)는 원적외선에 의해 발열하는 다양한 고분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셀룰로스(cellulose)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100: 투명 표층
200: 광반응층 210: 광반응성 물질
300: 약제층 310: 약용물질

Claims (12)

  1.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상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투명 표층;
    상기 투명 표층의 저면에 구비되고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광반응층; 및
    상기 광반응층의 저면에 도포되고, 상기 광반응성 물질에 의해 이온화가 촉진되는 약용물질을 포함하는 약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표층은 집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클로로필(chlorophyll)을 포함하며,
    상기 광반응성 물질은 660nm 파장의 적색광에 의해 활성화되고 730nm 파장의 근적외선에 의해 비활성화 되는 피토크롬(phytocrome)으로 구비되고,
    상기 약용물질은 피록시캄(piroxicam), 디클로페낙(diclofenac), 플루오로프로펜(fluoroprop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층은 상기 광반응층의 저면에 격자무늬 패턴으로 도포되는,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표층은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 폴리머 필름(polymer film),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제재로 구비되는,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물질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광반응성 물질은 상기 약용물질의 이온화를 촉진시키는,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64740A 2020-11-30 2020-11-30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Active KR10252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740A KR102521907B1 (ko) 2020-11-30 2020-11-30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740A KR102521907B1 (ko) 2020-11-30 2020-11-30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05A KR20220076005A (ko) 2022-06-08
KR102521907B1 true KR102521907B1 (ko) 2023-04-14

Family

ID=8198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740A Active KR102521907B1 (ko) 2020-11-30 2020-11-30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9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4057A1 (en) * 2006-07-24 2009-08-13 Quest Pharmatech Inc. Method and device for photodynamic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726A (en) * 1994-03-21 1996-04-09 Dusa Pharmaceuticals, Inc. Article of manufacture for the photodynamic therapy of dermal lesion
KR20040096288A (ko) * 2003-05-07 2004-11-16 김종훈 기능성 광촉매 파스
KR101667404B1 (ko) * 2014-09-11 2016-10-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젤라틴 유도체에 단백질 약물이 고정되어 있는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4057A1 (en) * 2006-07-24 2009-08-13 Quest Pharmatech Inc. Method and device for photodynamic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05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15475T3 (es) Apósito para heridas
US20220273498A1 (en) Apertured hydrogel compositions and wound dressings
AU2001282707B2 (en) The use of honey in wound dressings
US7619130B2 (en) Multi-layer wound dressing formed as a single unit
AU2009294454B2 (en) Wound care device
US8058499B2 (en) Absorbent wound dressing containing a hydrogel layer
AU2016254448B2 (en) Wound dressing
AU2001282707A1 (en) The use of honey in wound dressings
JPH04220258A (ja) 創傷包帯
AU2002366208A1 (en) A wound dressing
US20060148352A1 (en) Absorbent materials and articles
EP3177244B2 (en) Wound dressing
AU602056B2 (en) Polymeric wound dressings
EP3177245B1 (en) Wound dressing
WO2015119160A1 (ja) 皮膚用粘着剤及び貼付材並びに皮膚用粘着剤の製造方法
KR102212312B1 (ko) 지혈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지혈용품
GB2387331A (en) Absorbent articles.
EP2916879B1 (en) Wound care device
KR102521907B1 (ko)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KR102386028B1 (ko) 전위차 소재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창상피복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6004A (ko)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KR20220076006A (ko) 광반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치
JP2003225298A (ja) 絆創膏
CN102858350B (zh) 指甲变色和真菌治疗
AU2007100007A4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use of Honey in Dress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