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265B1 - Photo sensor and display inc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hoto sensor and display inc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2265B1 KR102522265B1 KR1020180147581A KR20180147581A KR102522265B1 KR 102522265 B1 KR102522265 B1 KR 102522265B1 KR 1020180147581 A KR1020180147581 A KR 1020180147581A KR 20180147581 A KR20180147581 A KR 20180147581A KR 102522265 B1 KR102522265 B1 KR 1025222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ng
- sensing signal
- switching transistor
- photosensor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 H01L27/1446—
-
- H01L31/10—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0/00—Individual 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radiation controls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s, e.g. photodetectors
- H10F30/20—Individual 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radiation controls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s, e.g. photodetectors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10—Integrated devices
- H10F39/107—Integrated devices having multiple elements covered by H10F30/00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포토센서유닛과, 상기 포토센서유닛에서 감지된 광에 대응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하는 포토센서에서, 포토센서유닛은, 제1구동전압을 전달받고 빛을 감지하여 제1전류를 생성하는 포토다이오드, 제1전류를 전달받아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1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제2구동전압을 전달받아 제2전류를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2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및 그를 이용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hoto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photosensor units for detecting light and a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light sensed by the photosensor unit, the photosensor unit, A photodiode receiving a first driving voltage and generating a first current by detecting light,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receiving the first current and selectively outputting a first sensing voltage in response to a switch signal, and a second driving volt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sensor including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hat receives the second current and selectively outputs a second sensing voltage in response to a switch signal,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포토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photosenso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lasma display device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OLEDs) are being utilized.
이러한 표시장치는 스마트폰 등에 사용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도록 포토센서, 근조도센서, 중력센서, 터치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들 중에서 일부는 반도체소자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어 센서를 매우 얇게 작은 크기로 구현할 수 있어 표시장치를 얇게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Such a display device may be used in a smart phone or the like. In the smart phone, various sensors such as a photo sensor, a roughness sensor, a gravity sensor, and a touch sensor are used so that various applications can be driven. Some of these sensors can be manufactured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so the sensor can be implemented in a very thin and small size, which is advantageous in implementing a thin display device.
하지만, 반도체소자는 열에 의해 특성이 변화될 수 있어 주위의 온도 또는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센싱이 정확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와 관계없이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구현하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 Howeve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a semiconductor device may be changed by heat,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sensing is not accurately performed due to ambient temperature or heat generated from a smartphon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implementing a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sensing regardless of temperature chan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보다 정확하게 빛을 감지할 수 있는 포토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sensor capable of more accurately detecting ligh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로 구현될 수 있는 포토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sensor tha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izes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포토센서유닛과, 상기 포토센서유닛에서 감지된 광에 대응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하는 포토센서에서, 포토센서유닛은, 제1구동전압을 전달받고 빛을 감지하여 제1전류를 생성하는 포토다이오드, 제1전류를 전달받아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1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제2구동전압을 전달받아 제2전류를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2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포토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side, in a photo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photosensor units for detecting light, and a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light sensed by the photosensor unit, the photosensor The unit includes a photodiode receiving a first driving voltage and generating a first current by sensing light,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receiving the first current and selectively outputting a first sensing voltage in response to a switch signal, and a seco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sensor including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hat receives the driving voltage and selectively outputs the second sensing voltage in response to the second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witch signal.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전극과, 게이트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게이트절연막과, 게이트절연막 상부의 제1영역에 배치되며 게이트전극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1활성층, 게이트절연막 상부의 제2영역에 배치되며 게이트전극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활성층, 제1활성층 상에 배치되는 제1소스전극과 제1드레인전극, 제2활성층 상에 배치되는 제2소스전극과 제2드레인전극, 제1소스전극 및 제2소스전극과 제1드레인전극 및 제2드레인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평탄화막, 제1평탄화막 상에 배치되며 제1드레인전극과 연결되는 제1도전층, 제1평탄화막 상에 배치되며 제2드레인전극과 연결되는 제2도전층, 제1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감광층, 제2도전층 상에 배치되되, 제1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되는 제2평판화막, 감광층과 평탄화막 상부에 배치되되, 감광층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3도전층, 및 제3도전층과 평탄화막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을 포함하는 포토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gate electrode disposed on a substrate, a gate insulating film disposed above the gate electrode, and a first active layer disposed in a first region above the gate insulating film and overlapping the gate electrode. , The second active layer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above the gate insulating film and disposed to overlap the gate electrode, the first source electrode and the first drain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active layer, and the second source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active layer and a second drain electrode, a first source electrode, a first planarization film disposed on the second source electrode, the first drain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and a first planarization film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film a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electrode. A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film and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electrode, a photosensit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except for the first area Provide a photosensor including a second planarization film disposed on, a third conductive layer disposed over the photosensitive layer and the planarization film, disposed to contact the photosensitive layer, and an encap disposed over the third conductive layer and the planarization film. can do.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들은, 표시패널, 표시패널 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고,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센서유닛을 포함하는 포토센서 및 센싱신호에 대응하여 센싱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포토센서유닛은 제1구동전압을 전달받고 빛을 감지하여 제1전류를 생성하는 포토다이오드, 제1전류를 전달받고,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1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제2구동전압을 전달받아 제2전류를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2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display panel, a photo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photosensor units disposed in at least one area below the display panel,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in response to a switch signal, and a sensing signal. Including a controller that outputs sensing data in response, the photosensor unit receives a first driving voltage, receives a photodiode that senses light and generates a first current, receives the first current, and selectively responds to a switch signal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outputting a first sensing voltage and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receiving a second driving voltage and selectively outputting a second sensing voltage in response to a second current in response to a switch signal. ca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보다 정확하게 빛을 감지할 수 있는 포토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sensor capable of more accurately detecting ligh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로 구현될 수 있는 포토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sensor tha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izes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치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신호출력회로의 구성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신호출력회로의 구성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3은 제1기준온도와 대응하는 광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채용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hoto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hoto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witch signal output from a switch dri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a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a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controller i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a corresponding amount of light.
1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ixel employ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the case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it may include the case of including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구성 요소들을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at other element, but intervenes between each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interposed",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on top of', 'on top of', 'at the bottom of', 'next to', etc. Or, unless 'directly' i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Also, component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구성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는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eatures (configura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combin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is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or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together in an association relationship.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과 포토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표시패널(110)은 제1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라인(DL1,…,DLm)과 제2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라인(DL1,…,DLm)과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은 직교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패널(110)에 배치되는 배선은 복수의 데이터라인(DL1,…,DLm)과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GL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L1,…,DLm)이 교차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는 가로 방향의 복수의 화소행과 세로 방향의 복수의 화소열을 포함하는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화소행에 배치되어 있는 화소들은 동일한 게이트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포토센서(120)는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포토센서(120)는 표시패널(110)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10)에 대응하는 것은 표시패널(110)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고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하부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포토센서(120)는 표시패널(110)의 하부에서 표시패널(110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토센서(120)는 표시패널(110)의 하부에서 표시패널(110)을 투과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표시패널(110)에서 발생된 빛은 표시패널(110)의 상부 방향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포토센서(120)로 조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포토센서(120)는 표시패널(110) 외부에서 발생되어 표시패널(110)을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The
또한,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해 데이터드라이버(130), 게이트드라이버(140), 타이밍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데이터드라이버(130)는 데이터신호를 복수의 데이터라인(DL1,…,DLm)에 인가할 수 있다. 데이터신호는 계조에 대응할 수 있고, 대응하는 계조에 따라 데이터신호의 전압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데이터전압이라 칭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드라이버(130)의 수는 한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크기, 해상도에 대응하여 두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드라이버(13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 The
게이트드라이버(140)는 게이트신호를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에 인가할 수 있다. 게이트신호가 인가된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에 대응하는 화소(101)는 데이터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드라이버(140)의 수는 한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40)는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140)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 중 홀수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140)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 중 짝수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게이트신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드라이버(140)는 표시패널(110)에 배치되어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신호발생회로와, 게이트신호발생회로에 전압 및 신호를 공급하는 레벨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signal output from the
타이밍컨트롤러(150)는 데이터드라이버(130)와 게이트드라이버(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컨트롤러(150)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데이터드라이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신호는 디지털신호일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러(150)는 영상신호를 보정하여 데이터드라이버(130)에 전달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hoto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hoto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포토센서(120)는 복수의 포토센서유닛(PUa,PUb)을 포함할 수 있고, 포토센서유닛(PUa,PUb)은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포토센서(120)는 각 포토센서유닛(PUa,PUb)에 스위치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구동부(121a,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토센서(120)는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신호출력회로(SOCa,SOC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토센서유닛(PUa, PUb)이 3*4 개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토센서(120a,120b)가 k 번째 행과 i 번째 열까지 존재하는 경우 스위치신호라인의 수는 k가 될 수 있고 제1센싱신호라인과 제2센싱신호라인의 수는 각각 i개가 될 수 있다. 2 and 3, the
도 2를 참조하면, 포토센서(120a)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센싱신호라인(1SL1a,2SL1a,3SL1a,4SL1a)과, 복수의 제1센싱신호라인 (1SL1a,2SL1a,3SL1a,4SL1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센싱신호라인(1SL2a,2SL2a,3SL2a,4SL2a), 복수의 제2센싱신호라인(1SL2a,2SL2a,3SL2a,4SL2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구동전원라인(1VLa,2VLa,3VLa,4VL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방향으로 스위치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스위치신호라인(SWL1a,SWL2a,SWL3a)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신호라인(SWL1a,SWL2a,SWL3a)은 제1센싱신호라인(1SL1a,2SL1a,3SL1a,4SL1a), 제2센싱신호라인(1SL2a,2SL2a,3SL2a,4SL2a) 및 구동전원라인(1VLa,2VLa,3VLa,4VLa)과 교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토센서(120a)는 가로방향으로 복수의 구동전원라인(1VLa,2VLa,3VLa,4VLa)과 연결되는 구동전원버스(BB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 방향과 세로방향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2 , the
포토센서(120)는 복수의 포토센서유닛(PUa,PUb) 각각에 제1센싱신호라인(1SL1a,2SL1a,3SL1a,4SL1a), 제2센싱신호라인(1SL2a,2SL2a,3SL2a,4SL2a) 및 구동전원라인 (1VLa,2VLa,3VLa,4VLa)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나의 포토센서유닛(PUa)에는 제1센싱신호라인(1SL1a,2SL1a,3SL1a,4SL1a), 제2센싱신호라인(1SL2a,2SL2a,3SL2a,4SL2a) 및 구동전원라인(1VLa,2VLa,3VLa,4VLa)이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포토센서유닛(PUa,PUb)의 특성에 따라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나의 포토센서유닛(PUb)에 제1센싱신호라인(1SL1b,2SL1b,3SL1b,4SL1b), 제2센싱신호라인 (1SL2b,2SL2b,3SL2b,4SL2b)이 하나씩 연결되고 제1구동전원라인 (1VL1b,2VL1b,3VLb,4VL1b)과 제2구동전원라인(1VL1b,2VL1b,3VLb,4VL1b)이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The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토센서유닛(PUa)은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포토센서유닛(PUa)은 구동전원라인(1VLa,2VLa,3VLa,4VLa)으로부터 전달받는 구동전원에 대응하여 감지된 빛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포토센서유닛(PUa)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은 제1센싱신호라인 (1SL1a,2SL1a,3SL1a,4SL1a) 및 제2센싱신호라인(1SL2a,2SL2a,3SL2a,4SL2a)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센싱신호라인(1SL1a,2SL1a,3SL1a,4SL1a)에 전달되는 소정의 전압을 제1센싱전압(V1)이라고 칭하고, 제2센싱신호라인 (1SL2a,2SL2a,3SL2a,4SL2a)에 전달되는 소정의 전압을 제2센싱전압(V2)이라고 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photosensor unit PUa may detect irradiated light. The photosensor unit PUa may output a predetermined voltage corresponding to detected light in response to driving power received from the driving power lines 1VLa, 2VLa, 3VLa, and 4VLa. A predetermined voltage output from the photosensor unit PUa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s 1SL1a, 2SL1a, 3SL1a, and 4SL1a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s 1SL2a, 2SL2a, 3SL2a, and 4SL2a. A predetermined voltage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s 1SL1a, 2SL1a, 3SL1a, and 4SL1a is referred to as a first sensing voltage V1, and a predetermined voltage transmitted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s 1SL2a, 2SL2a, 3SL2a, and 4SL2a is referred to as a first sensing voltage V1. The voltage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sensing voltage V2.
스위치구동부(121a)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스위치신호라인(SWL1a,SWL2a,SWL3a)과 연결되고 복수의 스위치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스위치신호라인(SWL1a,SWL2a,SWL3a) 중 제1스위치신호라인(SWL1a)에 스위치신호가 전달된 후 제2스위치신호라인(SWL2a)에 스위치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스위치신호라인(SWL1a,SWL2a,SWL3a)에 스위치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치구동부(121a)에서 구동된 스위치신호는 포토센서유닛(PUa)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스위치신호를 전달받은 포토센서유닛(PUa)이 소정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The
센싱신호출력회로(SOCa)는 포토센서유닛(PUa)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아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센싱신호출력회로(SOCa)는 제1센싱신호라인(1SL1a,2SL1a,3SL1a,4SL1a)에 전달되는 제1센싱전압(V1)과 제2센싱신호라인(1SL2a,2SL2a,3SL2a,4SL2a)에 전달되는 제2센싱전압(V2)에 대응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센싱신호출력회로(SOCa)는 제1센싱신호라인(1SL1a,2SL1a,3SL1a,4SL1a)에 전달되는 제1센싱전압(V1)과 기준전압(Vref)에 대응하여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고 제2센싱신호라인(1SL2a,2SL2a,3SL2a,4SL2a)에 전달되는 제2센싱전압(V2)과 기준전압(Vref)에 대응하여 제2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a may receive a predetermined voltage from the photosensor unit PUa and output a sensing signal.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a includes the first sensing voltage V1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s 1SL1a, 2SL1a, 3SL1a, and 4SL1a and the voltage V1 transmitted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s 1SL2a, 2SL2a, 3SL2a, and 4SL2a. A sensing signal may be output in response to the second sensing voltage V2. In addition,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a outputs a first sens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sensing voltage V1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s 1SL1a, 2SL1a, 3SL1a, and 4SL1a. A second sensing signal may be output in response to the second sensing voltage V2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transmitted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s 1SL2a, 2SL2a, 3SL2a, and 4SL2a.
도 3에 도시된 센싱신호출력회로(SOCb) 역시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여 포토센서유닛(PUb)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아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센싱신호출력회로(SOCb)는 제1센싱신호라인(1SL1b,2SL1b,3SL1b,4SL1b)에 전달되는 제1센싱전압(V1)과 제2센싱신호라인(1SL2b,2SL2b,3SL2b,4SL2b)에 전달되는 제2센싱전압(V2)에 대응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센싱신호출력회로(SOCa)는 제1센싱신호라인(1SL1b,2SL1b,3SL1b,4SL1b)에 전달되는 제1센싱전압(V1)과 기준전압(Vref)에 대응하여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고 제2센싱신호라인 (1SL2a,2SL2a,3SL2a,4SL2a)에 전달되는 제2센싱전압(V2)과 기준전압(Vref)에 대응하여 제2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센싱신호출력회로(SOCb)는 제1구동전압(Vcc1)을 전달하는 제1전원버스(BBb1)과 제2구동전압(Vcc2)을 전달하는 제2전원버스(BB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전압(Vcc1)의 전압레벨은 제2구동전압(Vcc2)과 다를 수 있다. 제1구동전압(Vcc1)과 제2구동전압(Vcc2)의 전압레벨은 포토센서유닛(PUb)의 특성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b shown in FIG. 3 may also operate in a similar manner to receive a predetermined voltage from the photosensor unit PUb and output a sensing signal.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b includes the first sensing voltage V1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s 1SL1b, 2SL1b, 3SL1b, and 4SL1b and the voltage V1 transmitted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s 1SL2b, 2SL2b, 3SL2b, and 4SL2b. A sensing signal may be output in response to the second sensing voltage V2. In addition,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a outputs a first sens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sensing voltage V1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s 1SL1b, 2SL1b, 3SL1b, and 4SL1b. A second sensing signal may be output in response to the second sensing voltage V2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transmitted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s 1SL2a, 2SL2a, 3SL2a, and 4SL2a. However,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b shown in FIG. 3 includes a first power bus BBb1 transmitting the first driving voltage Vcc1 and a second power bus BBb2 transmitting the second driving voltage Vcc2. can include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driving voltage Vcc1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driving voltage Vcc2. Voltage levels of the first driving voltage Vcc1 and the second driving voltage Vcc2 may be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sensor unit PUb.
또한, 제1전원버스(BBb1)에는 제1구동전원라인(1VL1b,2VL1b,3VL1b,4VL1b)가 연결되고 제2전원버스(BBb2)에는 제2구동전원라인(1VL2b,2VL2b,3VL2b,4VL2b)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power lines 1VL1b, 2VL1b, 3VL1b, and 4VL1b ar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bus BBb1,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lines 1VL2b, 2VL2b, 3VL2b, and 4VL2b ar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bus BBb2. can be connec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치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4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witch signal output from a switch dri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
도 4를 참조하면,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구동부(121a,121b)는 복수의 스위치신호(SSW1,SSW2,SSW3,…,SSWk)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포토센서(120)는 k개의 포토센서 행을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스위치신호는 제1스위치신호 내지 k번째 스위치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여기서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치구동부(121a)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스위치구동부(121b) 역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스위치구동부(121a,121b)의 동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스위치신호(SSW1)가 발생하여 제1스위치신호라인(SWL1a)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스위치신호(SSW2)가 발생하여 제2스위치신호라인(SWL2a)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스위치신호(SSW3)가 발생하여 제3스위치신호라인(SWL3a)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위치신호가 발생하여 제1스위치신호(SSW1)가 가장 먼저 발생한 후 순차적으로 스위치신호들이 발생하고 마지막에는 k 번째 스위치신호(SSWk)가 발생하여 k 번째 스위치신호라인으로 전달될 수 있다. Here, description will be made using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포토센서유닛(PUa)은 애노드전극이 구동전원라인(VLa)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이 제1노드(N1a)에 연결되는 포토다이오드(PDa), 제1전극이 제1노드(N1a)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1센싱신호라인(SL1a)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스위치신호라인(SWLa)에 연결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 및 제1전극이 구동전원라인(VLa)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2센싱신호라인(SL2a)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스위치신호라인(SWLa)에 연결되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싱신호라인(SL1a), 제2센싱신호라인(SL2a)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제1센싱신호라인(1SL1a,2SL1a,3SL1a,4SL1a), 제2센싱신호라인(1SL2a,2SL2a,3SL2a,4SL2a) 중 하나일 수 있다. 구동전원라인(VLa)은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구동전원라인 (1VLa,2VLa,3VLa,4VLa)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치신호라인(SWLa)은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스위치신호라인(SWL1a,SWL2a,SWL3a) 중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5 , the photosensor unit PUa is a photodiode PDa having an an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iving power line VLa and a cath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a, an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a. (N1a), a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a), a gat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witch signal line (SWLa), and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ower line It may include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connected to (VLa),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SL2a, and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witch signal line SWLa. Here,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a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SL2a are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signal lines 1SL1a, 2SL1a, 3SL1a, and 4SL1a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1SL2a shown in FIG. 2, respectively. , 2SL2a, 3SL2a, 4SL2a). The driving power line VLa may be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power lines 1VLa, 2VLa, 3VLa, and 4VLa shown in FIG. 2 . Also, the switch signal line SWLa may be one of the plurality of switch signal lines SWL1a, SWL2a, and SWL3a shown in FIG. 2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포토다이오드(PDa)는 감지한 빛의 세기에 대응하여 애노드전극에서 캐소드전극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PDa)는 구동전압(Vcc)을 전달받고 빛을 감지하여 제1전류(I1a)를 생성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PDa)는 제1구동전압(Vcc)이 애노드전극에 전달되면, 감지한 빛의 세기에 대응하여 제1전류(I1a)를 캐소드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In the photodiode PDa, current may flow from the anode electrode to the cathode electrod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light intensity. The photodiode PDa may generate a first current I1a by receiving the driving voltage Vcc and detecting light. When the first driving voltage Vcc is transmitt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photodiode PDa, the first current I1a may flow in the cathod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sensed intensity of light.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는 제1전류(I1a)를 전달받아,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제1센싱신호라인(SL1a)에 전달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PDa)에서 전달된 제1전류(I1a)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의 제1전극에 전달되고 게이트전극에 전달된 스위치신호(SSW)에 대응하여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의 제2전극과 연결된 제1센싱신호라인(SL1a)에 전달될 수 있다. 제1전류(I1a)가 전달된 제1센싱신호라인(SL1a)을 제1센싱전압(V1)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는 온도에 대응하여 특성이 변화될 수 있어 제2전극으로 전달되는 제1전류(I1a)는 온도에 대응하는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은 소스전극이고 제2전극은 드레인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may receive the first current I1a and transmit the first current I1a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a in response to the switch signal. The first current I1a transferred from the photodiode PDa is transferr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corresponds to the switch signal SSW transferred to the gate electrode.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a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a to which the first current I1a is transferre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ensing voltage V1.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may change in response to temperature, the first current I1a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nois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Here,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drain electr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는 스위치신호(SSW)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동전압(Vcc)을 전달받아 제2전류(I2a)를 제2센싱신호라인(SL2a)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전류(I2a)가 전달된 제2센싱신호라인(SL2a)의 전압을 제2센싱전압(V2)이라고 칭할 수 있다. 구동전압(Vcc)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의 제1전극에 전달되고 스위치신호(SSW)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의 게이트전극에 전달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에 전달되는 스위치신호(SSW)에 대응하여 제2전류(I2a)가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 흐를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은 소스전극이고 제2전극은 드레인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may selectively receive the driving voltage Vcc in response to the switch signal SSW and transfer the second current I2a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SL2a. The voltage of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SL2a to which the second current I2a is transferred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ensing voltage V2. The driving voltage Vcc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and the switch signal SSW may be transmit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In response to the switch signal SSW transmitted to the gate electrode, the second current I2a may flow from the first electrode to the second electrode. Here,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drain electr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는 빛과 온도에 대응하여 특성이 변화될 수 있어 제2전극으로 전달되는 제2전류(I2a)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에 의해 제1전류(I1a)에 포함된 온도에 대응하는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can be changed in response to light and temperature, the second current I2a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ctrode is included in the first current I1a by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Noise corresponding to the set temperature may be included.
또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는 동일한 스위치신호라인에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턴온/턴오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동시는 완전히 동일한 시점에 발생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약간의 시간차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를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에서 발생된 노이즈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포토다이오드(PDa)에서 발생된 전류만으로 센싱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센싱신호는 광량에 보다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Also, since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are connected to the same switch signal line, they can be turned on/off at the same time. Here, simultaneous does not mean that they occur at exactly the same point in time, but may include the existence of a slight time difference. If the noise generated by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is removed us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the sensing signal can be generated only with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photodiode PDa, and the sensing signal is It can respond more accurately to the amount of light.
또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는 동일한 광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동일한 광반응성을 갖는 것은 빛과 열에 의해 변경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의 특성이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은 완전 동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미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광반응성을 갖는 것은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의 활성층이 산화물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may have the same photoreactivity. Having the same photoreactivity may mea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which are changed by light and heat, are the same. Here, the same does not mean exactly the same and may include minor differences. Having the same photoreactivity may be that the active layers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include an oxide semiconducto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는 상이한 광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광반응성을 갖는 것은 빛과 열에 의해 변경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의 특성이 상이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이한 광반응성을 갖는 것은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의 활성층은 산화물반도체를 포함하고,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는 활성층이 비정질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Also,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may have different photoreactivity. Having different photoreactivity may mea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which are changed by light and heat, are different. Different photoreactivity may be that the active laye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includes an oxide semiconductor, and the active layer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includes amorphous silicon.
또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는 게이트전극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전극을 서로 공유하는 것은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a)의 게이트전극과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의 게이트전극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may share a gate electrode. Here, sharing the gate electrode may mean that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a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포토센서유닛(PUb)은 애노드전극이 제1구동전원라인(VL1b)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이 제1노드(N1b)에 연결되는 포토다이오드(PDb), 제1전극이 제1노드(N1b)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1센싱신호라인(SL1b)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스위치신호라인(SWLb)에 연결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 및 제1전극이 제2구동전원라인(VL2b)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2센싱신호라인(SL2b)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스위치신호라인(SWLb)에 연결되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싱신호라인(SL1b), 제2센싱신호라인(SL2b)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제1센싱신호라인(1SL1b,2SL1b,3SL1b,4SL1b), 제2센싱신호라인(1SL2b,2SL2b,3SL2b,4SL2b)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구동전원라인(VL1b)와 제2구동전원라인(VL2b)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제1구동전원라인 (1VL1b,2VL1b,3VL1b,4VL1b) 중 하나이고 제2구동전원라인(1VL2b,2VL2b,3VL2b,4VL2b)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치신호라인(SWLb)은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스위치신호라인(SWL1b,SWL2b,SWL3b) 중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6, the photosensor unit PUb shown in FIG. 3 includes a photodiode PDb having an an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power line VL1b and a cath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b;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hav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b,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b, and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witch signal line SWLb; and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hav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power line VL2b,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SL2b, and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witch signal line SWLb. can include Here,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b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SL2b are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signal lines 1SL1b, 2SL1b, 3SL1b, and 4SL1b shown in FIG. 3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1SL2b, respectively. , 2SL2b, 3SL2b, 4SL2b). The first driving power line VL1b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line VL2b are each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riving power lines 1VL1b, 2VL1b, 3VL1b, and 4VL1b shown in FIG. 3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line 1VL2b , 2VL2b, 3VL2b, 4VL2b). Also, the switch signal line SWLb may be one of the plurality of switch signal lines SWL1b, SWL2b, and SWL3b shown in FIG. 3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포토다이오드(PDb)는 감지한 빛의 세기에 대응하여 애노드전극에서 캐소드전극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PDb)는 제1구동전압(Vcc1)을 전달받고 빛을 감지하여 제1전류(I1b)를 생성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PDb)는 제1구동전압(Vcc1)이 애노드전극에 전달되면, 감지한 빛의 세기에 대응하여 제1전류(I1b)를 애노드전극에서 캐소드전극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In the photodiode PDb, current may flow from the anode electrode to the cathode electrode in response to the sensed intensity of light. The photodiode PDb may generate a first current I1b by receiving the first driving voltage Vcc1 and detecting light. When the first driving voltage Vcc1 is transmitt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photodiode PDb, the first current I1b may flow from the anode electrode to the cathode electrode in response to the sensed intensity of light.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는 제1전류(I1b)를 전달받아,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제1센싱신호라인(SL1b)에 전달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PDb)에서 전달된 제1전류(I1b)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의 제1전극에 전달되고 게이트전극에 전달된 스위치신호(SSW)에 대응하여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의 제2전극과 연결된 제1센싱신호라인(SL1b)에 전달될 수 있다. 제1전류(I1b)가 전달된 제1센싱신호라인(SL1b)을 제1센싱전압(V1)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는 빛과 온도에 대응하여 특성이 변화될 수 있어 제2전극으로 전달되는 제1전류(I1b)는 빛과 온도에 대응하는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은 소스전극이고 제2전극은 드레인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may receive the first current I1b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b in response to the switch signal. The first current I1b transferred from the photodiode PDb is transferr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and the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corresponds to the switch signal SSW transferred to the gate electrode.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b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sensing signal line SL1b to which the first current I1b is transferre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ensing voltage V1.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may be changed in response to light and temperature, the first current I1b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noise corresponding to light and temperature. Here,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drain electr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는 스위치신호(SSW)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2구동전압(Vcc2)을 전달받아 제2전류(I2b)를 제2센싱신호라인(SL2b)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전류(I2b)가 전달된 제2센싱신호라인(SL2b)의 전압을 제2센싱전압(V2)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제2구동전압(Vcc2)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의 제1전극에 전달되고 스위치신호(SSW)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의 게이트전극에 전달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에 전달되는 스위치신호(SSW)에 대응하여 제2전류(I2b)가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 흐를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은 소스전극이고 제2전극은 드레인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may selectively receive the second driving voltage Vcc2 in response to the switch signal SSW and transfer the second current I2b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SL2b. The voltage of the second sensing signal line SL2b to which the second current I2b is transferred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ensing voltage V2. The second driving voltage Vcc2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and the switch signal SSW may be transmit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In response to the switch signal SSW transmitted to the gate electrode, the second current I2b may flow from the first electrode to the second electrode. Here,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drain electr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는 빛과 온도에 대응하여 특성이 변화될 수 있어 제2전극으로 전달되는 제2전류(I2b)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에 의해 제1전류(I1b)에 포함된 빛과 온도에 대응하는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can be changed in response to light and temperature, the second current I2b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ctrode is included in the first current I1b by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It may include noise corresponding to the light and temperature.
또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는 동일한 스위치신호라인에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턴온/턴오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동시는 완전히 동일한 시점에 발생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약간의 시간차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를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에서 발생된 노이즈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포토다이오드(PDb)에서 발생된 전류만으로 센싱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센싱신호는 광량에 보다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Also, since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are connected to the same switch signal line, they can be turned on/off at the same time. Here, simultaneous does not mean that they occur at exactly the same point in time, but may include the existence of a slight time difference. If the noise generated by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is removed us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the sensing signal can be generated only with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photodiode PDb, and the sensing signal is the amount of light. can respond more accurately.
또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는 동일한 광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동일한 광반응성을 갖는 것은 빛과 열에 의해 변경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의 특성이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은 완전동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미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광반응성을 갖는 것은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의 활성층이 산화물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may have the same photoreactivity. Having the same photoreactivity may mea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which are changed by light and heat, are the same. Here, the same does not mean exactly the same and may include minor differences. Having the same photoreactivity may be that the active layers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include an oxide semiconducto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는 상이한 광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광반응성을 갖는 것은 빛과 열에 의해 변경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의 특성이 상이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이한 광반응성을 갖는 것은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의 활성층은 산화물반도체를 포함하고,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는 활성층이 비정질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lso,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may have different photoreactivity. Having different photoreactivity may mea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which are changed by light and heat, are different. Different photoreactivity may be that the active laye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includes an oxide semiconductor, and the active layer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includes amorphous silicon.
또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는 게이트전극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전극을 서로 공유하는 것은 제1스위칭트랜지스터(ST1b)의 게이트전극과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b)의 게이트전극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lso,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may share a gate electrode. Here, sharing the gate electrode may mean that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b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신호출력회로의 구성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a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센싱신호출력회로(SOCa)는 제1입력단이 제1센싱전압(V1)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이 제2센싱전압(V2)을 공급받아 제1센싱전압(V1)과 제2센싱전압(V2)에 대응하여 센싱신호(SS)를 출력하는 제1센싱신호출력회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싱전압(V1)은 도 5에 도시된 제1센싱신호라인(SL1a)를 통해 전달되고 제2센싱전압(V2)은 제2센싱신호라인(SL2a)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a shown in FIG. 2 receives a first sensing voltage V1 from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sensing voltage V2 from a second input terminal, thereby performing first sensing. A first sensing
제1센싱신호출력회로(710)는 앰프(711)와 캐패시터(CFa)를 포함할 수 있고, 앰프(711)의 제1입력단(-)에 제1센싱전압(V1)이 연결되고 제2입력단(+)에 제2센싱전압(V2)이 전달될 수 있다. 앰프(711)의 제1입력단(-)에 제1센싱신호라인(SL1a)이 연결되고 제2입력단(+)에 제2센싱신호라인(SL2a)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CFa)는 앰프(711)의 출력단(out)과 제1입력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센싱신호출력회로(710)는 제1입력단(-)과 제2입력단(+)에 각각 입력되는 제1센싱전압(V1)과 제2센싱전압(V2)을 비교하고 그 차이에 대응하는 전류에 대응하여 센싱신호(SS)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센싱신호(SS)는 앰프(711)의 출력단(out)으로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양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다. 제1센싱신호출력회로(710)는 적분기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sensing
제1센싱전압(V1)은 빛과 열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고 제2센싱전압(V2)은 열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센싱전압(V1)은 빛과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제2센싱전압(V2)은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1센싱전압(V1)과 제2센싱전압(V2)은 동일한 온도 조건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제1센싱신호출력회로(710)가 제1센싱전압(V1)과 제2센싱전압(V2)을 비교하여 센싱신호(SS)를 출력할 수 있어 센싱신호(SS)는 빛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온도에 의한 노이즈가 제거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voltage V1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light and heat, and the second sensing voltage V2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heat. The first sensing voltage V1 includes information about light and temperature, and the second sensing voltage V2 includes information about temperature. Since the first sensing voltage V1 and the second sensing voltage V2 are generated under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 the first sensin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신호출력회로의 구성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a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센싱신호출력회로(SOCa)는 제1입력단(-)에 제1센싱전압(V1)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에 기준전압(Vref)을 공급받아 제1센싱신호(SS1)를 출력하는 제1센싱신호출력회로(811)와, 제1입력단(-)에 제2센싱전압(V2)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에 기준전압(Vref)을 공급받아 제2센싱신호(SS2)를 출력하는 제2센싱신호출력회로(8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싱전압(V1)은 제1센싱신호라인(1SL1a)에 전달되고 제2센싱전압(V2)은 제2센싱신호라인(SL2a)에 전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a shown in FIG. 2 receives a first sensing voltage V1 through a first input terminal (-) and supplies a reference voltage Vref to a second input terminal (+). The first sensing
제1센싱신호출력회로(811)는 제1앰프(811a)와 제1캐패시터(CFa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앰프(811a)의 제1입력단(-)에 제1센싱전압(V1)이 연결되고 제1앰프(811a)의 제2입력단(+)에 기준전압(Vref)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1앰프(811a)의 출력단과 제1입력단(-) 사이에는 제1캐패시터(CFa1)가 연결될 수 있다. 제2센싱신호출력회로는 제2앰프(812a)와 제2캐패시터(CFa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앰프(812a)의 제1입력단(-)에 제2센싱전압(V2)이 연결되고 제2앰프(812a)의 제2입력단(+)에 기준전압(Vref)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앰프(812a)의 출력단과 제1입력단(-) 사이에는 제2캐패시터(CFa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센싱신호출력회로(811)와 제2센싱신호출력회로(812)는 각각 적분기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sensing
제1센싱신호(SS1)와 제2센싱신호(SS2)는 하기의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컨트롤러(1200)에 전달될 수 있고, 컨트롤러(1200)는 제1센싱신호(SS1)와 제2센싱신호(SS2)에 대응하여 센싱데이터(S.D)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센싱신호(SS1)는 빛과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제2센싱신호(SS2)는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1센싱신호(SS1)와 제2센싱신호(SS2)는 동일한 온도 조건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컨트롤러(1200)는 제1센싱신호(SS1)와 제2센싱신호(SS2)를 이용하여 온도에 의한 성분을 제거하여 광에 대한 정보만을 이용하여 센싱데이터(S.D)를 생성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may be transmitted to the
도 7 및 도 8에서 도 2에 도시된 센싱신호출력회로(SOCa)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를 도 3에 도시된 센싱신호출력회로(SCOb)에도 적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OCa shown in FIG. 2 is described in FIGS. 7 and 8,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SCOb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포토센서유닛(PUa,PUb)은 기판(910)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메탈(920)과, 게이트메탈(920) 상부에 배치되는 게이트절연막(930)과, 게이트절연막(930) 상부의 제1영역에 배치되며 게이트메탈(920)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1활성층(940a), 게이트절연막(930) 상부의 제2영역에 배치되며 게이트메탈(920)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활성층(940b), 제1활성층(940a) 상에 배치되는 제1소스전극(941a)과 제1드레인전극(942a), 제2활성층(940b) 상에 배치되는 제2소스전극(941b)과 제2드레인전극(942b), 제1소스전극(941a) 및 제2소스전극(941b)과 제1드레인전극(942a) 및 제2드레인전극(942b) 상에 배치되는 제1평탄화막(950), 제1평탄화막(950) 상에 배치되며 제1드레인전극(942a)과 연결되는 제1도전층(960a), 제1평탄화막(950) 상에 배치되며 제2드레인전극(942b)과 연결되는 제2도전층(960b), 제1도전층(960a) 상에 배치되는 감광층(961), 감광층(961)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제2평탄화막(970), 감광층(961)과 제2평탄화막(970) 상부에 배치되되, 감광층(961)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3도전층(980) 및 제3도전층(980)과 제2평탄화막(970)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99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photosensor units PUa and PUb shown in FIGS. 2 and 3 include a
기판(9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즉, 기판(910)은 휘어질 수 있다. 기판(910)은 PET 및/또는 PI(poly amide)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전층(960a)과, 제1도전층(960a) 상에 배치되는 감광층(961)과, 감광층(961) 상에 배치되는 제3도전층(98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포토다이오드(PDa,PDb)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감광층(961)은 제1도전층(960a) 상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광층(961)은 빛을 감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층일 수 있다. 감광층(961)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활성층(940a)과 제2활성층(940b)은 각각 산화물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활성층(940a)은 산화물반도체를 포함하고 제2활성층(940b)은 비정질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캡(990)은 감광층(961)을 보호할 수 있다. 인캡(990)은 유기막과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게이트메탈(920)이 제1활성층(940a)과 제2활성층(940b)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여기서, 게이트메탈(9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 (ST1a,ST1b)와 제2스위칭트랜지스터(ST2a,ST2b)의 게이트전극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전층(960a) 및 제2도전층(960b)은 각각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센싱신호라인(SL1a,SL1b) 및 제2센싱신호라인(SL2a,SL2b)에 대응할 수 있다. Here,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토센서유닛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hotosens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포토센서유닛의 상면에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대응하여 제1활성층(940a)와 제2활성층(940b)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포토센서유닛의 상면에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대응하여 제1도전층(960a)과 제2도전층(960b)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전층(960a) 상부에는 감광층(96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감광층(961)이 배치되지 않은 제2영역을 포함하는 다른 영역에는 평탄화막(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감광층(940a)의 상부에는 제3도전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전층(960a), 감광층(961) 및 제3도전층에 의해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포토다이오드(PDa,PDb)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감광층(961)이 전체적으로 도포되어 제1도전층(960a)의 상부뿐만 아니라 제2도전층(960b)의 상부를 포함하는 다른 영역들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감광층(961)이 전체적으로 도포되면 도 9에 도시된 제2평탄화막(970)을 도포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도전층(960a)이 배치되어 있는 제1영역에 대응하여 도 9에 도시된 제3도전층(980)이 형성되도록 하여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포토다이오드(PDa,PDb)가 제1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배치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 first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13은 제1기준온도와 대응하는 광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controller i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a corresponding amount of light.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200)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제1기준온도를 저장하는 제1룩업테이블(1210), 제1기준온도(Temp_ref)에 대응하는 광량을 저장하는 제2룩업테이블(1220) 및 전류량에 대응하여 센싱데이터(S.D)를 출력하는 연산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 the
제1룩업테이블(1210)은 복수의 전류량과, 각 전류량에 대응하는 제1기준온도들에 대한 함수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10mA에는 도 13에 도시된 곡선 (a)가 대응되고 0.15mA에는 곡선 (b)가 대응되고 0.20mA에는 곡선(c)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룩업테이블(1220)은 전류량에 대응하는 광량을 저장할 수 있다. The first lookup table 1210 may store a function of a plurality of amounts of current and first reference temperatures corresponding to each amount of current. For example, the curve (a) shown in FIG. 13 may correspond to 0.10 mA, the curve (b) may correspond to 0.15 mA, and the curve (c) may correspond to 0.20 mA. However, this is illustrative and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second lookup table 1220 may store the amount of light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연산부(1230)는 제2센싱신호(SS2)에 포함되어 있는 제1전류량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제1룩업테이블(1210)로부터 함수를 전달받고, 제2룩업테이블(1220)로부터 제1기준온도(Temp_ref)에 대응하여 제1센싱신호(SS1)에 포함되어 있는 제2전류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1230)는 제2전류량에 대응하여 광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센싱데이터(S.D)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룩업테이블(1210)로부터 곡선(b)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제2룩업테이블(1220)로부터 제1기준온도(Temp_ref)로부터 산출된 제2전류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제2전류량에 대한 정보를 곡선 (b)에 대응하여 센싱데이터(S.D)를 출력할 수 있다. The
또한, 연산부(12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센싱신호출력회로 (SOCa,SOCb)로부터 출력되는 제1센싱신호(SS1)와 제2센싱신호(SS2)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전달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컨트롤러(120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00)는 외부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AP(Application processor) 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컨트롤러(120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스위치구동부(121a,121b)를 제어할 수 있다.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채용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1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ixel employ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도 14는 참조하면, 화소(101a)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는 화소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는 제1트랜지스터(M1), 제2트랜지스터(M2) 및 캐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a
제1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전극이 제1노드(N1)에 연결되고 제1전극이 제1화소전원(EVDD)이 전달되는 화소전원라인(VL1)과 연결되는 제2노드(N2)에 연결되며 제2전극이 제3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는 제1노드(N1)에 전달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제3노드(N3)에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의 제1전극은 드레인전극이고, 제2전극은 소스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트랜지스터(M1)을 구동트랜지스터라고 칭할 수 있다. The first transistor M1 ha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node N2 connected to the pixel power line VL1 to which the first pixel power EVDD is delivered.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The first transistor M1 may allow current to flow through the third node N3 in response to the voltage transmitted to the first node N1.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may be a drain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source electr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transistor M1 may be referred to as a driving transistor.
제3노드(N3)로 흐르는 전류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대응할 수 있다.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ird node N3 may correspond to
여기서, Id는 제3노드(N3)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의미하고, k는 트랜지스터의 전자이동도를 의미하며, VGS는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의 전압차이를 의미하며, Vth는 제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을 의미한다. Here, Id means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ird node N3, k means the electron mobility of the transistor, and V GS mean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and Vth means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M1.
제2트랜지스터(M2)는 데이터라인(DL)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게이트라인(GL)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며 제1노드(N1)에 제2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트랜지스터(M2)는 게이트라인(GL)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제1노드(N1)에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Vdata)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의 제1전극은 드레인전극이고, 제2전극은 소스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transistor M2 ha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ccordingly,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transmit the data voltage V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to the first node N1 in response to the gat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gate line GL.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be a drain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source electr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캐패시터(C1)는 제1노드(N1)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제3노드(N3)에 제2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캐패시터(C1)는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의 전압과 소스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e capacitor C1, a first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a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The capacitor C1 may keep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constant.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이 제3노드(N3)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이 제2화소전원(EVSS)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화소전원(EVSS)은 제1화소전원(EVSS) 보다 전압레벨이 낮을 수 있다. 또한, 제2화소전원(EVSS)은 접지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화소전원(EVSS)은 저전원라인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제2화소전원(EVSS)은 적어도 2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공통으로 공급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에서 캐소드전극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의 양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하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발광하는 색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도시된 화소는 예시적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have an an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and a cath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ixel power source EVSS. Here,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pixel power source EVSS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pixel power source EVSS. Also, the second pixel power source EVSS may be a groun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pixel power EVSS may be supplied through a low power line. The second pixel power source EVSS may be commonly supplied to at least tw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an emit light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current when a current flows from an anode electrode to a cathode electr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emit light of any one color among red, green, blue, and white. However, the color emitted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not limited thereto. The pixels shown here are exemplary, and the pixels shown in FIG. 1 are not limited thereto.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ombine the configura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uch as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유기발광표시장치
101: 화소
110: 표시패널
120: 포토센서
130: 데이터드라이버
140: 게이트드라이버
150: 타이밍컨트롤러10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1: pixel
110: display panel
120: photosensor
130: data driver
140: gate driver
150: timing controller
Claims (20)
상기 포토센서유닛은
제1구동전압을 전달받고 빛을 감지하여 제1전류를 생성하는 포토다이오드;
상기 제1전류를 전달받아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1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제2구동전압을 전달받아 제2전류를 상기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2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In a photo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photosensor units that sense light and a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that outputs a sens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light sensed by the photosensor unit,
The photosensor unit is
a photodiode receiving a first driving voltage and sensing light to generate a first current;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that receives the first current and selectively outputs a first sensing voltage in response to a switch signal; and
A photosensor comprising: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hat receives a second driving voltage and selectively outputs a second sensing voltage by generating a second current in response to the switch signal.
상기 센싱신호출력회로는 제1입력단에 상기 제1센싱전압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에 상기 제2센싱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제1센싱전압과 상기 제2센싱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싱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receives the first sensing voltage supplied to a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voltage supplied to a second input terminal, and outputs the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voltage and the second sensing voltage. A photosensor comprising a first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상기 센싱신호출력회로는 제1입력단에 상기 제1센싱전압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에 기준전압을 공급받아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싱신호출력회로와, 제1입력단에 상기 제2센싱전압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에 기준전압을 공급받아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싱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includes a first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for outputting a first sensing signal by receiving the first sensing voltage supplied to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a second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to a first input terminal. A photosensor comprising a second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that receives a voltage and receives a reference voltage from a second input terminal and outputs a second sensing signal.
상기 제1스위칭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는 동일한 광반응성을 갖는 트랜지스터인 포토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re transistors having the same photoreactivity.
상기 제1스위칭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는 상이한 광반응성을 갖는 트랜지스터인 포토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re transistors having different photoreactivity.
상기 복수의 포토센서유닛은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스위치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포토센서유닛 중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되어 있는 포토센서유닛들은 상기 스위치신호를 다른 시간에 전달받는 포토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photosensor unit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he photosensor that sequentially outputs the switch signal and receives the switch signal at different times from the photosensor units arranged in different rows among the plurality of photosensor units.
상기 제1스위칭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는 게이트전극을 공유하는 포토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hare a gate electrode.
상기 포토센서유닛은
애노드전극이 제1구동전원라인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이 제1노드에 연결되는 포토다이오드;
제1전극이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1센싱신호라인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스위치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제1전극이 제2구동전원라인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2센싱신호라인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상기 스위치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sensor unit is
a photodiode having an an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power line and a cath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hav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sensing signal line, and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switch signal line; and
A photosensor comprising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hav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driving power line,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sensing signal line, and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witch signal line.
상기 게이트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게이트절연막과,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부의 제1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전극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1활성층;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부의 제2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전극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활성층;
상기 제1활성층 상에 배치되는 제1소스전극과 제1드레인전극;
상기 제2활성층 상에 배치되는 제2소스전극과 제2드레인전극;
상기 제1소스전극 및 상기 제2소스전극과 상기 제1드레인전극 및 상기 제2드레인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평탄화막;
상기 제1평탄화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드레인전극과 연결되는 제1도전층;
상기 제1평탄화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드레인전극과 연결되는 제2도전층;
상기 제1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감광층;
상기 제2도전층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되는 제2평탄화막;
상기 감광층과 상기 제2평탄화막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감광층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3도전층; 및
상기 제3도전층과 상기 제2평탄화막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을 포함하는 포토센서.
A gate electrod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gate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a first active layer disposed in a first region above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overlapping the gate electrode;
a second active layer disposed in a second region above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overlapping the gate electrode;
a first source electrode and a first drain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active layer;
a second source electrode and a second drain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active layer;
a first planarization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ource electrode, the second source electrode, the first drain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a first conduct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film a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electrode;
a second conduct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film and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electrode;
a photosensit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planarization film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nd disposed in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area;
a third conductive layer disposed over the photosensitive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film, and disposed to contact the photosensitive layer; and
A photosensor comprising an encap disposed on the third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상기 제1활성층과 상기 제2활성층은 산화물반도체인 포토센서.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active layer and the second active layer are oxide semiconductor photosensors.
상기 제1활성층은 산화물반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활성층은 비정질실리콘을 포함하는 포토센서.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active layer includes an oxide semiconductor, and the second active layer includes amorphous silicon.
상기 표시패널 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고, 센싱전압을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센서유닛과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및
상기 센싱신호에 대응하여 센싱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포토센서유닛은
제1구동전압을 전달받고 빛을 감지하여 제1전류를 생성하는 포토다이오드;
상기 제1전류를 전달받고, 상기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1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제2구동전압을 전달받아 제2전류를 상기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2센싱전압을 출력하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isplay panel;
a photosensor disposed in at least one region below the display panel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hotosensor units outputting a sensing voltage and a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outputting a sensing signal in response to a switch signal; and
Including a controller that outputs sensing data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The photosensor unit is
a photodiode receiving a first driving voltage and sensing light to generate a first current;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that receives the first current and selectively outputs a first sensing voltage in response to the switch signal;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driving voltage and selectively output a second sensing voltage by generating a second current in response to the switch signal.
상기 센싱신호출력회로는 제1입력단에 상기 제1센싱전압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에 상기 제2센싱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제1센싱전압과 상기 제2센싱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싱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receives the first sensing voltage supplied to a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voltage supplied to a second input terminal, and outputs the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voltage and the second sensing voltag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상기 센싱신호출력회로는 제1입력단에 상기 제1센싱전압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에 기준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센싱신호에 대응하는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싱신호출력회로와, 제1입력단에 상기 제2센싱전압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에 기준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센싱신호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싱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includes a first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sensing voltage through a first input terminal, receive a reference voltage through a second input terminal, and output a first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ensing signal output circuit that receives the second sensing voltage at an input terminal, receives a reference voltage at a second input terminal, and outputs a second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상기 제1스위칭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는 동일한 광반응성을 갖는 트랜지스터인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re transistors having the same photoreactivity.
상기 제1스위칭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는 상이한 광반응성을 갖는 트랜지스터인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re transistors having different photoreactivity.
상기 복수의 포토센서유닛은 상기 표시패널 상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스위치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포토센서유닛 중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되어 있는 포토센서유닛들은 상기 스위치신호를 다른 시간에 전달받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plurality of photosensor unit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witch signal is sequentially output so that the photo sensor units arranged in different rows among the plurality of photosensor units receive the switch signal at different times.
상기 제1스위칭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는 게이트전극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hare a gate electrode.
상기 컨트롤러는
제1전류량에 대응하는 제1기준온도를 저장하는 제1룩업테이블;
제2전류량에 대응하는 광량을 저장하는 제2룩업테이블;
상기 제1전류량과 상기 제2전류량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데이터를 출력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2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1전류량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룩업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기준온도를 전달받고, 상기 제2룩업테이블로로부터 상기 제1기준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2전류량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광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센싱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controller
a first lookup table storing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 first amount of current;
a second look-up table for storing the amount of ligh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mount of current;
Including a calcul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sensing data in response to the first amount of current and the second amount of current,
The calculation uni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s received from the first look-up table in response to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irst current included in the second sensing signal, and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look-up table in correspondence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ight in response to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second current included in one sensing signal and output the sensing data.
상기 포토센서유닛은
애노드전극이 제1구동전원라인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이 제1노드에 연결되는 포토다이오드;
제1전극이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1센싱신호라인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스위치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제1전극이 제2구동전원라인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2센싱신호라인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상기 스위치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2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photosensor unit is
a photodiode having an an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power line and a cath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hav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sensing signal line, and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switch signal lin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hav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driving power line,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sensing signal line, and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witch signal lin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47581A KR102522265B1 (en) | 2018-11-26 | 2018-11-26 | Photo sensor and display inc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47581A KR102522265B1 (en) | 2018-11-26 | 2018-11-26 | Photo sensor and display inc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61832A KR20200061832A (en) | 2020-06-03 |
| KR102522265B1 true KR102522265B1 (en) | 2023-04-17 |
Family
ID=7108776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47581A Active KR102522265B1 (en) | 2018-11-26 | 2018-11-26 | Photo sensor and display inc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22265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GB2439098A (en) * | 2006-06-12 | 2007-12-19 | Sharp Kk | Image sensor and display |
| KR101481660B1 (en) * | 2007-07-09 | 2015-01-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771082B1 (en) * | 2011-01-17 | 2017-09-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ouch sens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2018
- 2018-11-26 KR KR1020180147581A patent/KR10252226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61832A (en) | 2020-06-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397484B2 (en) |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external object thereby | |
| CN109697956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CN110875000B (en)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US11315990B2 (en) | AMOLED display panel having image scanning function | |
| WO2019218709A1 (en) | Display panel and crack detec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 |
| US9799270B2 (en) | Pixel circuit,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 US20180204516A1 (en) | Oled display device drive system and oled display drive method | |
| WO2018214617A1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CN112215215B (en) | Electronic Devices | |
| KR20230035167A (en) | Display device | |
| CN105609526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with Increased Aperture Ratio | |
| KR20160092590A (en) | Display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thereof | |
| KR102120075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 US11106295B2 (en) | Touch-control pixel-dr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 touch-control display apparatus | |
| CN112673414A (en) | Pixel circuit with light sensing function, driv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 |
| CN108447443A (en) | Pixel circuit, driv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 |
| CN112925435A (en) |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JP2020519918A (en) | Compensation method, compens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 |
| US10074309B2 (en) | AMOLED pixel driving circuit and AMOLED pixel driving method | |
| US8664581B2 (en) | Input/output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2522265B1 (en) | Photo sensor and display incuding the same | |
| CN115552622B (en) |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 |
| CN111477174A (en) | Pixel circuit,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substrate | |
| CN116266453B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US20250318380A1 (en) | Fingerprint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