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462B1 - Cat toilet - Google Patents
Cat toi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4462B1 KR102534462B1 KR1020220081734A KR20220081734A KR102534462B1 KR 102534462 B1 KR102534462 B1 KR 102534462B1 KR 1020220081734 A KR1020220081734 A KR 1020220081734A KR 20220081734 A KR20220081734 A KR 20220081734A KR 102534462 B1 KR102534462 B1 KR 102534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unit
- filter unit
- cat
- inner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 Removal of manure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8—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일 측벽에는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홈 형상의 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환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inner space, on one side wall of which a groove-shaped inlet is formed to open the inner space; and a ventilation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ventilate air inside the hou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 litter box.
고양이 화장실은 내부에 고양이가 사용할 수 있는 모래를 채워놓고 고양이가 배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t is common for cat litter boxes to be filled with cat-friendly sand and let the cat defecate.
고양이 화장실은 일정 높이를 갖는 하우징에 고양이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입구를 형성하고, 내부에 모래를 채워놓고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일정량의 모래를 수용해야 하고, 고양이가 배변 후에 모래를 파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고양이가 모래를 팔 때 모래가 바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은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우징 내외부로으로 고양이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고양이 화장실은, 입구 부분을 제외한 영역은 차폐된 형태로 형성된다. The cat toilet is used by forming an entrance in a housing having a certain height so that cats can enter and exit, and filling the inside with sand. Specifically, since a certain amount of sand must be accommodated and cats have a habit of digging sand after defecation, the housing is formed to have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sand can be prevented from bouncing outward when the cat digs the sand. An entrance is formed so that the cat can enter and exit, and generally, the cat toilet is formed in a shielded form except for the entrance.
이에, 고양이 화장실 내부의 공기 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고양이가 배변 후에, 고양이 화장실 내부에 배변 냄새가 장시간 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since it is difficult to ventilate the air inside the cat toil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mell of defecation spreads inside the cat toilet for a long time after the cat defecates.
이에, 고양이 화장실 내부에 악취가 장시간 퍼지면서, 고양이들의 화장실 이용이 감소하고, 고양이 화장실 내부에 세균 번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s a result, as the odor spreads inside the cat toilet for a long time, the use of the toilet by cats decreases, and problems such as bacterial propagation in the cat toilet may occur.
본 발명은, 고양이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 toilet capable of ventilating the air inside the cat toilet.
또한, 고양이 화장실 내부에 배변 냄새와 같은 악취를 환기시켜, 고양이 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하고, 고양이들의 화장실 이용을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 toilet that can maintain cleanliness of the cat toilet and not reduce the use of the cat toilet by ventilating an odor such as the smell of excretion inside the cat toilet.
또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고양이 화장실에도 편리하게 장착 가능하며, 복수의 필터 각각마다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각 필터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 toilet tha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 cat toilet that has been used previously, is formed to be fastened and detachable for each of a plurality of filters, and each filter part can be replaced as necessa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일 측벽에는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홈 형상의 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환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ncluding an inner space, one side wall is formed with a groove-shaped inlet to open the inner space; and a ventilation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ventilate air inside the housing.
또한, 상기 환풍부는, 종이 필터로 구성되는 제1 필터부; 숯 필터로 구성되는 제2 필터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제3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한 브라켓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unit, a first filter unit consisting of a paper filter; A second filter unit composed of a charcoal filter; a third filter unit generating negative ions; a blower unit discharging air from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the outsid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cket portion that can be fastened to and detached from the housing.
또한, 상기 제1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상기 제3 필터부 및 상기 송풍부는 각각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각각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lter unit, the second filter unit, the third filter unit, and the blower unit are formed to be fastened and separated, respectively, and can provide a ca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replaceable.
또한, 상기 환풍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고, 악취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a 이후에 작동이 시작되고, 기 설정된 시간b 동안 작동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ntilation unit senses that an odor is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starts operating after a predetermined time a from the time when the odor occurs, and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b to ventilate the air inside the housing. cat toilets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에 모래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및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 둘레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 측벽에는 상기 입구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lower housing in which s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upper housing including an inner spac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 lower surface open, formed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around an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and having the inlet formed on one side wall; A cat litter box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양이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side the cat toilet can be ventilated.
또한, 고양이 화장실 내부에 배변 냄새와 같은 악취를 환기시켜, 고양이 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하고, 고양이들의 화장실 이용을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cat toilet and not reduce the use of the cat toilet by ventilating odors such as the smell of excretion inside the cat toilet.
또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고양이 화장실에도 편리하게 장착 가능하며, 복수의 필터 각각마다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각 필터 부분을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 cat toilet that has been used in the past, and each of a plurality of filters is formed to be fastened and separated, so that each filter part can be replaced if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작동컨트롤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수집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개방부 및 도어부가 설치된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에 배변배출부가 더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에 따른 배변배출부의 이동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2에 따른 배변배출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a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ca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ca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ca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of the ca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a sand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housing in which an opening and a door are installed;
Figure 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tate in which the defecation discharge unit is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unit of the bowel discharge unit according to Figure 12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fecation discharge unit according to FIG. 12 is oper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의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은 하우징(10) 및 환풍부(20)를 포함한다.1 to 6, a
하우징(10)은 내부공간(13)을 포함하며, 일 측벽에는 내부공간(13)이 개방되도록 홈 형상의 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은 내부공간(13)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하우징(10)은 하부하우징(11) 및 상부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은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The
하부하우징(11)은 내부공간(13)에 모래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1)의 소정 높이에는 고양이 배변 시 사용되는 모래가 수용될 수 있다.S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상부하우징(12)은 내부공간(13)을 포함하며,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의 하단 둘레는 하부하우징(11)의 상단 둘레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부하우징(12)의 일 측벽에는 고양이가 출입할 수 있는 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하우징(12)에 입구(121)가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구(121)는 상부하우징(12)과 하부하우징(1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구(121)는가 고양이의 체형이나 체구와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소형묘, 대형묘 등의 고양이가 입출입이 용이한 높이 및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환풍부(20)는 하우징(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하우징(10) 내부공간(13)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환풍부(20)는 제1 필터부(21), 제2 필터부(22), 제3 필터부(23), 송풍부(24) 및 브라켓부(25)를 포함한다.The
제1 필터부(21)는 종이 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필터부(22)는 숯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필터부(23)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3 필터부(23)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동부(823)를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거나 충전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The
다만, 제1 필터부(21), 제2 필터부(22) 및 제3 필터부(23)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필터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types of the
송풍부(24)는 팬을 포함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1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따. 송풍부(24)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거나, 충전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브라켓부(25)는 환풍부(20)를 하우징(10)에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하우징(12)에는 필터부의 직경이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홀이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2)에 형성된 홀이 필터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부(25)는 최하단에서 상부하우징(12)에 결합되는 필터부의 하단 둘레면에 고정되어, 상부하우징(12)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볼트 체결에 의해 브라켓부(25)가 상부하우징(12)에 체결될 수 있다. The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필터부(21), 제2 필터부(22), 제3 필터부(23) 및 송풍부(24)는 각각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각각 교체 가능하다. 필터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리브(201), 결합돌부(202) 및 결합홈(203)이 형성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리브(201)와 결합돌부(202)는 필터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결합홈(203)은 필터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5 ,
구체적으로, 제1 필터부(21)는 브라켓에 의해 상부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필터부(21)와 체결되는 제2 필터부(22)의 하부에는 결합리브(20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결합리브(201)는 제2 필터부(22)의 하단에서 제1 필터부(21)의 내주면과 맞닿으며 제1 필터부(21)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결합돌부(202)는 결합리브(201)의 외주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돌부(202)는 결합리브(201)의 둘레를 따라 서로 반대측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결합홈(203)은 제2 필터부(22)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홈(203)은 제1 필터부(21)에서 돌출된 결합리브(201)가 삽입되어, 결합리브(201)와 맞닿는 영역의 제2 필터부(22)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03)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03)은 결합돌부(202)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제2 필터부(22)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리브(201)가 제1 필터부(21)의 내주면으로 삽입될 때, 제2 필터부(22)의 결합돌부(202)가 제1 필터부(21)에 형성된 결합홈(203)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이후, 제2 필터부(22)를 결합홈(203)의 "L"형상을 따라서 결합홈(203)이 연장 형성된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결합돌부(202)가 결합홈(203)에 끼워지면서, 제1 필터부(21)와 제2 필터부(22)가 체결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제1 필터부(21)와 제2 필터부(22)를 분리할 때는, 제2 필터부(2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후에 결합돌부(202)를 결합홈(203)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When the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필터부(22)와 제3 필터부(23)를 체결 및 분리할 수 있고, 제3 필터부(23)와 송풍부(24)를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Similarly, the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리브(201)와 결합홈(203)이 필터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결합돌부(202)가 필터부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구체적으로, 제1 필터부(21)는 브라켓에 의해 상부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필터부(21)와 체결되는 제2 필터부(22)의 하부 내주면에는 결합돌부(202)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결합리브(201)는 제1 필터부(21)의 상단에서 제2 필터부(22)의 내주면과 맞닿으며 제2 필터부(22)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결합홈(203)은 결합리브(201)의 외주면에서 결합리브(201)의 둘레를 따라 서로 반대측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03)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03)은 결합돌부(202)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Two
결합돌부(202)는 제2 필터부(22)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제1 필터부(21)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리브(201)가 제2 필터부(22)의 내주면으로 삽입될 때, 제2 필터부(22)의 결합돌부(202)가 제1 필터부(21)에 형성된 결합홈(203)으로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이후, 제2 필터부(22)를 결합홈(203)의 "L"형상을 따라서 결합홈(203)이 연장 형성된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결합돌부(202)가 결합홈(203)에 끼워지면서, 제1 필터부(21)와 제2 필터부(22)가 체결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제1 필터부(21)와 제2 필터부(22)를 분리할 때는, 제2 필터부(2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후에 결합돌부(202)를 결합홈(203)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When the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필터부(22)와 제3 필터부(23)를 체결 및 분리할 수 있고, 제3 필터부(23)와 송풍부(24)를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Similarly,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의 작동컨트롤부(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은 작동컨트롤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작동컨트롤부(30)는 환풍부(20)의 작동 시점 및 작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The
작동컨트롤부(30)는 하우징(10) 내부에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여, 환풍부(20)가 악취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a 이후에 작동이 시작되도록 제어하고, 기 설정된 시간b 동안 작동되도록 하여, 하우징(10)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The
작동컨트롤부(30)는 움직임감지센서(31), 소리감지센서(32), 악취감지센서(33) 및 제어부(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움직임감지센서(31)는 하우징(10)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 내부에 고양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The
소리감지센서(32)는 하우징(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하우징(10) 내부에 고양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The
악취감지센서(33)는 하우징(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배변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미세 물질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제어부(34)는 움직임감지센서(31), 소리감지센서(32), 악취감지센서(33)에서 감지한 데이터에 따라 환풍부(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제어부(34)는, 움직임감지센서(31)나 소리감지센서(32)를 통해 고양이가 하우징(10)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고양이가 하우징(10) 내부에서 화장실을 이용하고 있을 때는, 환풍부(2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에 고양이가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환풍부(20)를 작동시키면, 송풍부(24)나 필터의 작동 소리에 의해 고양이가 놀랄 수 있기 때문에, 고양이가 하우징(10) 내부에 있을 때는 환풍부(2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For example, the
움직임감지센서(31)나 소리감지센서(32)에서 물체의 움직임이나 소리가 감지된 후에,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다시 움직임이나 소리가 없어지는 경우, 움직임 및 소리가 없어진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a 동안 움직임이나 소리가 없는 상태가 유지되면, 고양이의 화장실 이용이 끝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34)는 환풍부(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환풍부(20)는 움직임 및 소리가 없어진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a(예를 들어, 15초) 이후에 작동이 시작되고, 기 설정된 시간b(예를 들어, 5분 ~ 15분) 동안 작동되어, 하우징(10)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After motion or sound of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또는, 제어부(34)는 악취감지센서(33)에서 하우징(10) 내부에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고, 움직임감지센서(31)나 소리감지센서(32)에서 감지하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소리가 기 설정된 시간 a 동안 없어지는 경우, 환풍부(20)를 작동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즉, 제어부(34)는 악취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움직임이나 소리가 감지되지 않는 기 설정된 시간a 이후에, 환풍부(20)가 작동이 시작되도록 제어하고, 기 설정된 시간b 동안 작동되도록하여, 하우징(10)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That is, the
도 8은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수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a sand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양이 화장실(1)은 모래수집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래수집부(40)는 고양이가 배변 후에 하우징(10) 외부로 나올 때, 고양이 발바닥에 붙어있는 모래들을 수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모래수집부(40)는 발판(41) 및 배출판(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발판(41)은 복수개의 수집홀(411)이 형성된 판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배출판(42)이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배출판(42)은 발판(4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배출판(42)은 상면이 개방되며 수용부(421)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수집홀(411)을 통해 유입되는 모래를 수집할 수 있다.The
즉, 고양이가 하우징(10)에서 나올 때, 하우징(10) 주변의 모래수집부(40)를 먼저 밟게 됨으로써, 고양이 발바닥의 모래를 털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at comes out of the
모래수집부(40)는 하우징(10)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의 입구(121)가 형성된 일 측벽과 입구(121)가 형성된 일 측벽의 양 측벽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이때, 입구(121)가 형성된 일 측벽에 설치될 때는, 하우징(10)의 입구(121)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installed on one side wall where the
또한, 입구(121)가 형성된 일 측벽의 양 측벽에 설치될 때는, 연결부(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0)는 양 측벽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고, 힌지(51)에 의해 모래수집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모래수집부(40)가 힌지(51)에 의해 측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one side wall in which the
따라서, 필요에 따라, 입구(121) 측의 모래수집부(4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하고, 양 측의 모래수집부(40)는 힌지(51)를 기준으로 회동시켜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if necessary, the
도 10 및 도 11은 개방부(122) 및 도어부(84)가 설치된 하우징(10)을 나타낸 도면면이다.10 and 11 are views showing th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측벽에는 윈도우부(60) 및 도어부(7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 a
고양이 중 높이가 높은 하우징(10)에서 배변 보는 것을 무서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시야가 차단되어 높이가 높은 하우징(10) 내부에 들어가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는 고양이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10) 높이를 높여서 모래를 많이 수용하는 동시에 고양이가 두려움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하우징(10)을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10)에 윈도우부(60) 또는 도어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하우징(11)에 윈도우부(60) 또는 도어부(70)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하우징(12)에 윈도우부(60) 또는 도어부(70)가 형성될 수도 있다.Some cats feel afraid to defecate in the
하우징(10)의 측벽 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윈도우부(60)와 도어부(70)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둘 중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It may be formed at one height of the sidewall of the
윈도우부(60)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측벽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 내부로 들어온 고양이에게 외부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The
도어부(70)는 개방이 가능하도록 측벽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하우징(10)의 일 영역을 개방할 수 있다.The
도어부(70)는 제1 도어(71), 제2 도어(72), 제3 도어(73) 및 가이드부(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도어(71)의 외측면에 가이드부(74)가 형성되고, 제1 도어(71)에 형성된 가이드부(74)에 제2 도어(7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도어(72)의 외측면에 가이드부(74)가 형성되고, 제2 도어(72)에 형성된 가이드부(74)에 제3 도어(7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A
이처럼, 제1 도어(71), 제2 도어(72) 및 제3 도어(73)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내부공간(13)이 개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따라서, 고양이에 따라서 도어부(70) 또는 윈도우부(60)를 통해 하우징(10)(10) 내에서 시야가 차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c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ew from being blocked within the housing 10 (10) through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 내부에 배변배출부(80)가 더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배변배출부(80)의 이동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에 따른 배변배출부(80)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tate in which the defecation discharge unit 80 is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싱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은 배변배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2 to 14, the
배변배출부(80)는 이동축(81), 회전부(82), 수거판(83), 개폐부(84) 및 수거박스(85)를 포함한다.The defecation discharge unit 80 includes a moving
이동축(81)은 하우징(10)의 좌우 양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축(81)은 하부하우징(11)의 하부에서부터 상부하우징(12)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2)과 하부하우징(11)이 결합되면, 상부하우징(12)에 형성된 이동축(81)과 하부하우징(11)에 형성된 이동축(81)은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동축(81)에는 회전부(82)를 상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8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811)에는 회전부(82)의 가이드돌부(822)가 체결되어, 가이드홈(811)을 따라 가이드돌부(822)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The moving
회전부(82)는 이동축(81)을 따라 상하이동하되, 수거판(83)을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82)는 연결판(821), 가이드돌부(822), 구동부(823) 및 샤프트(824)를 포함한다.The
연결판(821)은 소정 크기 원형의 판 형태의 블록 또는 사각형의 판 형태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판(821)의 일 측면에는 가이드돌부(822)가 돌출 형성되어, 이동축(8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판(821)의 타 측면에는 구동부(823) 및 샤프트(8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구동부(823)는 가이드돌부(822)가 가이드홈(811)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작동과, 샤프트(824)의 축회전을 각각 제어하도록 2개의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수거판(83)은 하우징(10)의 양 측벽에 각각 서로 마주보며 설치된 회전부(8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수거판(83)의 양 측면에는 회전부(82)의 샤프트(824)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수거판(83)은 샤프트(824)가 회전됨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수거판(83)에는 복수의 통공(831)이 이격 형성되어, 수거판(83) 상측에 위치한 모래가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The collecting
개폐부(84)는 상부하우징(12)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122)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도록, 상부하우징(12)에 설치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수거박스(85)는 개방부(122)를 포함하는 영역의 상부하우징(12) 상부에 설치되어, 개방부(122)를 통해 배출되는 배변이 수거될 수 있다. 수거박스(85)는 상부하우징(12)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배변배출부(80)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수거판(83)이 이동축(81)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11)에는 모래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수거판(83) 상측에 소정 높이로 모래가 쌓일 수 있다.Specifically, describ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bowel discharge unit 80, s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이후 고양이가 다수회의 배변을 보거나, 화장실 이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감지센서(31) 또는 소리감지센서(32)를 통해 이용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After that, you can see that the cat has defecation multiple times or uses the toilet. For example, the number of uses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기 설정된 횟수 이상 화장실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기 설정된 횟수 이상 환풍부(20)가 작동되면, 배변배출부(80)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ilet is us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or when the
회전부(82)가 이동축(81)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즉, 가이드돌부(822)가 가이드홈(811)을 따라 상승하여, 회전부(82)와 수거판(83)이 상부하우징(12)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수거판(83)이 상승함에 따라, 수거판(83)에 형성된 통공(831)을 통해 모래가 빠져나가 하부하우징(11)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배변만 수거판(83) 위에 놓여진 상태가 될 수 있다.The
이 후, 수거박스(85)의 개폐부(84)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이 개방된 후에, 회전부(82)의 샤프트(824)가 회전되어, 수거판(83)의 단부가 수거박스(85)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n, after the inner space of the
따라서, 수거판(83) 위의 배변이 수거판(83)의 기울기를 따라 하강하여 수거박스(85)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개폐부(84)가 수거박스(85)를 차폐하여 수거박스(85)의 배변 냄새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feces on the
이후, 관리자에 의해 모래를 교체하거나, 하우징(10) 내부를 정비할 때 하부하우징(11)이 비워진 상태에서 이동축(81)을 따라 회전부(82)가 하강하여, 하부하우징(11) 하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sand is replaced by a manager or the inside of the
따라서, 반려인이 장시간 배변을 치워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와 악취를 환기시킬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배변을 수거할 수 있다.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the companion cannot clean up the bowel movements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llect the bowel movements as well as ventilate the air and odor insid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 고양이 화장실
10: 하우징 11: 하부하우징
12: 상부하우징 121: 입구
122: 개방부 13: 내부공간
20: 환풍부 21: 제1 필터부
22: 제2 필터부 23: 제3 필터부
24: 송풍부 25: 브라켓부
201: 결합리브 202: 결합돌부
203: 결합홈 30: 작동컨트롤부
31: 움직임감지센서 32: 소리감지센서
33: 악취감지센서 34: 제어부
40: 모래수집부 41: 발판
411: 수집홀 42: 배출판
421: 수용부 50: 체결부
51: 힌지축 60: 윈도우부
70: 도어부 71: 제1 도어
72: 제2 도어 73: 제3 도어
74: 가이드부 80: 배변배출부
81: 이동축 811: 가이드홈
82: 회전부 821: 연결판
822: 가이드돌부 823: 구동부
824: 샤프트 83: 수거판
831: 통공 84: 개폐부
85: 수거박스1: cat toilet
10: housing 11: lower housing
12: upper housing 121: entrance
122: opening 13: inner space
20: ventilation unit 21: first filter unit
22: second filter unit 23: third filter unit
24: blower part 25: bracket part
201: coupling rib 202: coupling protrusion
203: coupling groove 30: operation control unit
31: motion sensor 32: sound sensor
33: odor detection sensor 34: control unit
40: sand collector 41: scaffolding
411: collection hole 42: discharge plate
421: receiving part 50: fastening part
51: hinge axis 60: window part
70: door unit 71: first door
72: second door 73: third door
74: guide unit 80: defecation discharge unit
81: moving axis 811: guide groove
82: rotating part 821: connecting plate
822: guide protrusion 823: driving unit
824: shaft 83: collection plate
831: through hole 84: opening and closing part
85: collection box
Claims (5)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환풍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배변을 수거할 수 있는 배변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변배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 측벽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을 따라 상하이동되되, 회전 가능한 회전부;
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에 위치한 모래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이동축을 따라 상하 이동됨에 의해 함께 상하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소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는 수거판;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는 개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변이 수거되는 수거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A housing includ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 groove-shaped inlet formed on one side wall to open the inner space;
a ventilation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ventilate air inside the housing; and
A defecation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defecation;
The bowel discharge unit,
moving shafts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housing;
Doedo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shaft, a rotatable rotating part;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paced apart so that sand located on the upper side can flow down, installed in the rotating part, and moved up and down together as the rotating par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shaft, an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a collection plate that can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apable of opening or shielding an open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ca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llection box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in which the fece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are collected.
상기 환풍부는,
종이 필터로 구성되는 제1 필터부;
숯 필터로 구성되는 제2 필터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제3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한 브라켓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1,
The ventilation unit,
A first filter unit composed of a paper filter;
A second filter unit composed of a charcoal filter;
a third filter unit generating negative ions;
a blower unit discharging air from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the outside; and
A cat litter box comprising a bracket part that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상기 제1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상기 제3 필터부 및 상기 송풍부는 각각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각각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filter unit, the second filter unit, the third filter unit, and the blowing unit are formed to be fastened and separated, respectively, and are respectively replaceable.
상기 환풍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고, 악취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a 이후에 작동이 시작되고, 기 설정된 시간b 동안 작동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1,
The ventilation unit,
The ca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occurrence of the odor inside the housing is sensed, the operation starts after a predetermined time a from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odor, and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 to ventilate the air inside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에 모래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및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 둘레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 측벽에는 상기 입구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S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the lower housing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upper housing comprising an inner space, form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open lower surface, formed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arou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and having the inlet formed on one side wall; c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troo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81734A KR102534462B1 (en) | 2022-07-04 | 2022-07-04 | Cat toi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81734A KR102534462B1 (en) | 2022-07-04 | 2022-07-04 | Cat toile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534462B1 true KR102534462B1 (en) | 2023-05-18 |
Family
ID=8654519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81734A Active KR102534462B1 (en) | 2022-07-04 | 2022-07-04 | Cat toil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34462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29497A (en) | 2023-08-23 | 2025-03-05 | 윤윤석 | Automatic defecation cat toilet |
Citations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64696A (en) * | 1996-12-27 | 1998-10-07 | 이데이노부유끼 | Magnetron Sputte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 JP2001258417A (en) * | 2000-03-17 | 2001-09-25 | New Cosmos Electric Corp | Animal incubator |
| JP2003259753A (en) * | 2002-03-08 | 2003-09-16 | Asahi Kasei Corp | Pet toilet cleaning equipment |
| JP2004024180A (en) * | 2002-06-28 | 2004-01-29 | Hitachi Hometec Ltd | Pet box with deodorizing function |
| KR101126418B1 (en) | 2003-06-20 | 2012-03-28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Animal toilet |
| JP2014166174A (en) * | 2013-01-31 | 2014-09-11 | Riso Kagaku Corp | Toilet for pet |
| KR20180000317U (en) * | 2016-07-22 | 2018-01-31 | 편시진 | Ventillation device for cats toilet |
| KR101901425B1 (en) * | 2018-05-10 | 2018-09-21 | 최광종 | Cage for pet |
| KR102125307B1 (en) * | 2020-03-23 | 2020-06-22 |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 Dust collection and deodorization apparatus for a painting booth |
| KR20210068856A (en) * | 2019-12-02 | 2021-06-10 | 주식회사 아로펫 | Air purifier of toilet for cats |
| KR20210074666A (en) * | 2019-12-12 | 2021-06-22 | 김정곤 | Pet bowel cage equipped with air purifier and dust collector operated by sensor detection |
-
2022
- 2022-07-04 KR KR1020220081734A patent/KR1025344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64696A (en) * | 1996-12-27 | 1998-10-07 | 이데이노부유끼 | Magnetron Sputte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 JP2001258417A (en) * | 2000-03-17 | 2001-09-25 | New Cosmos Electric Corp | Animal incubator |
| JP2003259753A (en) * | 2002-03-08 | 2003-09-16 | Asahi Kasei Corp | Pet toilet cleaning equipment |
| JP2004024180A (en) * | 2002-06-28 | 2004-01-29 | Hitachi Hometec Ltd | Pet box with deodorizing function |
| KR101126418B1 (en) | 2003-06-20 | 2012-03-28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Animal toilet |
| JP2014166174A (en) * | 2013-01-31 | 2014-09-11 | Riso Kagaku Corp | Toilet for pet |
| KR20180000317U (en) * | 2016-07-22 | 2018-01-31 | 편시진 | Ventillation device for cats toilet |
| KR101901425B1 (en) * | 2018-05-10 | 2018-09-21 | 최광종 | Cage for pet |
| KR20210068856A (en) * | 2019-12-02 | 2021-06-10 | 주식회사 아로펫 | Air purifier of toilet for cats |
| KR20220035903A (en) * | 2019-12-02 | 2022-03-22 | 주식회사 아로펫 | cat toilet air purifier |
| KR20210074666A (en) * | 2019-12-12 | 2021-06-22 | 김정곤 | Pet bowel cage equipped with air purifier and dust collector operated by sensor detection |
| KR102125307B1 (en) * | 2020-03-23 | 2020-06-22 |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 Dust collection and deodorization apparatus for a painting booth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29497A (en) | 2023-08-23 | 2025-03-05 | 윤윤석 | Automatic defecation cat toilet |
| KR102837113B1 (en) | 2023-08-23 | 2025-07-23 | 윤윤석 | Automatic defecation cat toile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10161096A1 (en) | Litter collection device for efficient animal waste removal and method thereof | |
| JP6265972B2 (en) | Animal toilet box | |
| JP5362966B2 (en) | Animal toilet | |
| KR102311177B1 (en) | Modular bowel excrement machine for companion animals | |
| KR102401045B1 (en) | Pet bowel cage equipped with air purifier and dust collector operated by sensor detection | |
| US6295949B1 (en) | Litter box | |
| KR102534462B1 (en) | Cat toilet | |
| JP7275073B2 (en) | animal toilet | |
| KR20190073048A (en) | Apparatus for automatic treatment of companion animal defecation | |
| KR102200703B1 (en) | Smart toilet for cat | |
| KR102308187B1 (en) | Poop disposal apparatus for pets | |
| KR20230000035U (en) | Pet toilet | |
| KR101910519B1 (en) | Device for treating animal waste | |
| KR20190109986A (en) | be sealed structure Built-in wardrobe | |
| KR101855966B1 (en) |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 |
| CN113973732B (en) | Animal Sheltering Facilities | |
| KR101959717B1 (en) | Cat Toilet | |
| KR102747611B1 (en) | Automatic ventilation toilet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combined cat tower | |
| CN218527171U (en) | Novel full-automatic cat litter basin | |
| CN212487838U (en) | A device for cleaning pet excrement | |
| CN115589952A (en) | A new type of fully automatic cat litter box | |
| CN209897924U (en) | Cat litter basin | |
| CN219288410U (en) | Automatic clean cat litter basin | |
| CN115885866B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and separator for animal excrement | |
| RU182676U1 (en) | WC FOR ROOM ANIMAL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7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