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7297B1 -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297B1
KR102537297B1 KR1020160084717A KR20160084717A KR102537297B1 KR 102537297 B1 KR102537297 B1 KR 102537297B1 KR 1020160084717 A KR1020160084717 A KR 1020160084717A KR 20160084717 A KR20160084717 A KR 20160084717A KR 102537297 B1 KR102537297 B1 KR 10253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e
rollable
attached
magnetic object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299A (ko
Inventor
최진환
서영석
서태안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297B1/ko
Priority to US15/623,748 priority patent/US10073491B2/en
Priority to EP17179245.0A priority patent/EP3267285B1/en
Priority to CN201710537836.9A priority patent/CN107578704B/zh
Publication of KR2018000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2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1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the presence of processing resources, peripherals, I/O links, software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롤러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조물과 롤러블 구조물을 포함한다. 롤러블 구조물은 표시 패널 구조물에 부착되고, 단위 구조물들을 포함하며, 단위 구조물들에 기초하여 감겨지거나 펼쳐진다. 단위 구조물들의 너비들은 롤러블 구조물의 제1 변에서 제1 변이 마주보는 제2 변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지면 단위 구조물들은 제1 내지 제n 사이클들을 구성하고, 제k 사이클은 제k-1 사이클을 둘러싼다.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을 정렬시키는 자성 물체들이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다.

Description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ROLLABL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감겨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롤러블 표시 장치(또는, 롤탑(rolltop) 표시 장치,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플렉시블(flexible) 표시 장치 등으로 명명)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워치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들이 전자 기기를 구매함에 있어 디자인적인 측면을 많이 중시하고 있고, 높은 휴대성을 지니면서도 사용 시에는 큰 사이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요구함에 따라, 전자 기기에 구비될 표시 장치로서 롤러블 표시 장치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롤러블 표시 장치는 휴대 시에는 감겨져서 작은 사이즈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 시에는 펼쳐져서 사용자에게 큰 사이즈의 영상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롤러블 표시 장치는 롤러블 구조물 및 롤러블 구조물에 부착되는 표시 패널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에, 표시 패널 구조물은 롤러블 구조물이 사용자에 의해 감겨지거나 펼쳐짐에 따라 함께 감겨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짐에 따라 복수의 사이클(cycle)들이 만들어지는데, 사이클들 간에 적정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사이클들이 서로 부딪혀서 롤러블 구조물에 부착된 표시 패널 구조물이 손상(예를 들어, 스크래치, 크랙 등)되거나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짐에 따라 만들어지는 사이클들 간에 적정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사이클들이 서로 부딪혀서 롤러블 구조물에 부착된 표시 패널 구조물이 손상(예를 들어, 스크래치, 크랙 등)되거나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롤러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형태의 유려한 디자인을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조물 및 상기 표시 패널 구조물에 부착되고 복수의 단위 구조물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구조물들에 기초하여 감겨지거나 펼쳐지는 롤러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구조물들의 너비(width)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의 제1 변에서 상기 제1 변이 마주보는 제2 변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상기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지면 상기 단위 구조물들은 제1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정수) 사이클들을 구성하며, 제k(단, k는 2이상 n이하의 정수) 사이클은 제k-1 사이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을 정렬시키는 복수의 자성 물체들이 상기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bezel)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상기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보고, 상기 제k 사이클의 상기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들의 제1 극성이 노출되며, 상기 제k-1 사이클의 상기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들의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자성 물체들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자성 물체들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상기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보고, 상기 제k-1 사이클의 상기 제2 면에 상기 자성 물체들이 부착되며, 상기 제k 사이클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자성 물체들에 붙는 금속 물체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금속 물체들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영구자석(permanent magnet)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전자석(electromagnet)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단위 구조물들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단위 구조물들 중에서 일부에만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n 사이클들 각각 내에서, 상기 단위 구조물들 중에서 인접하는 단위 구조물들 사이의 사잇각은 기준 각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롤러블 구조물은 상기 제2 변에 인접하는 회로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구조물을 구동하는 구동 집적 회로가 상기 회로 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회로 구조물의 두께는 상기 단위 구조물들 각각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롤러블 표시 장치, 상기 롤러블 표시 장치가 감겨졌거나 또는 펼쳐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롤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롤링 검출 센서, 및 상기 롤링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롤러블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롤러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조물 및 상기 표시 패널 구조물에 부착되고 복수의 단위 구조물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구조물들에 기초하여 감겨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기 단위 구조물들의 너비(width)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의 제1 변에서 상기 제1 변이 마주보는 제2 변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상기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지면 상기 단위 구조물들은 제1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정수) 사이클들을 구성하며, 제k(단, k는 2이상 n이하의 정수) 사이클은 제k-1 사이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을 정렬시키는 복수의 자성 물체들이 상기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bezel)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상기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보고, 상기 제k 사이클의 상기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들의 제1 극성이 노출되며, 상기 제k-1 사이클의 상기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들의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자성 물체들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자성 물체들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상기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보고, 상기 제k-1 사이클의 상기 제2 면에 상기 자성 물체들이 부착되며, 상기 제k 사이클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자성 물체들에 붙는 금속 물체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금속 물체들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영구자석(permanent magnet)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전자석(electromagnet)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단위 구조물들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물체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단위 구조물들 중에서 일부에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조물 및 롤러블 구조물을 포함하되, 롤러블 구조물이 롤러블 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 구조물들(이 때, 단위 구조물들의 너비들은 롤러블 구조물의 제1 변에서 제1 변이 마주보는 제2 변으로 갈수록 증가함)에 기초하여 감겨질 때,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짐에 따라 만들어지는 사이클들이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에 의해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이클들 간에 적정한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사이클들이 서로 부딪혀서 롤러블 구조물에 부착된 표시 패널 구조물이 손상(예를 들어, 스크래치, 크랙 등)되거나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 롤러블 표시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휴대성, 사용 편의성, 유려한 심미감 등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롤러블 표시 장치 내 표시 패널 구조물의 손상이나 열화를 최소화하여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가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은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자성 물체가 부착된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자성 물체가 부착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 구조물(120) 및 롤러블 구조물(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 구조물(120)을 구동하는 구동 집적 회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 구조물(120)과 롤러블 구조물(140)은 표시 패널(160)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140)은 롤러블 구조물(140)의 제2 변(SS)에 인접하는 회로 구조물(NCR)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표시 패널 구조물(120)을 구동하는 구동 집적 회로(180)는 롤러블 구조물(140)의 회로 구조물(NCR)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구동 집적 회로(180)는 롤러블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롤러블 구조물(140)은 회로 구조물(NCR)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140)은 제1 변(FS)에 인접하는 더미 구조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구조물(140)의 더미 구조물은 사용자 편의(예를 들어, 롤러블 표시 장치(100)를 파지하는데 필요한 영역)나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제품 보호 등을 위한 것으로서, 롤러블 구조물(140)의 더미 구조물 상에는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위치하지 않는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구조물(140)이 회로 구조물(NCR)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롤러블 구조물(140)은 회로 구조물(NCR) 대신에 더미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 구조물(120)은 롤러블 구조물(14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표시 패널 구조물(120)은 플렉시블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롤러블 구조물(140)이 감겨지거나 펼쳐짐에 따라 표시 패널 구조물(120)도 함께 감겨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표시 패널 구조물(120)은 복수의 화소(pixel)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소들은 적색(R) 표시 화소들, 녹색(G) 표시 화소들 및 청색(B) 표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화소들은 적색(R) 표시 화소들, 녹색(G) 표시 화소들, 청색(B) 표시 화소들 및 백색(W) 표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 구조물(120)은 상기 화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표시 장치(1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 구조물(12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 유기 발광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블 표시 장치(100)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 구조물(120)은 액정을 포함한 액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롤러블 표시 장치(100)가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롤러블 구조물(140)은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을 포함하고,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에 기초하여 감겨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의 너비들(W1, W2, ..., Wi)은 롤러블 구조물(140)의 제1 변(FS)에서 제1 변(FS)이 마주보는 제2 변(SS)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FS)에 가장 인접한 제1 단위 구조물(CR1)의 너비(W1)보다 제2 단위 구조물(CR2)의 너비(W2)가 더 크고, 제2 단위 구조물(CR2)의 너비(W2)보다 제3 단위 구조물(CR3)의 너비(W3)가 더 크며, 제3 단위 구조물(CR3)의 너비(W3)보다 제4 단위 구조물(CR4)의 너비(W4)가 더 클 수 있다. 이에, 롤러블 구조물(140)이 제1 방향(FDN)으로 감겨지더라도 롤러블 구조물(140)에 부착된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롤러블 구조물(140)과 분리되거나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 중에서 인접하는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 사이의 사잇각은 기준 각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부착된 롤러블 구조물(140)이 감겨지면,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은 제1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정수) 사이클들을 구성하고, 제k(단, k는 2이상 n이항의 정수) 사이클은 제k-1 사이클을 둘러쌀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부착된 롤러블 구조물(140)이 감겨짐에 따라 제1 내지 제n 사이클들이 만들어지는데, 제1 내지 제n 사이클들 간에 적정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제1 내지 제n 사이클들이 서로 부딪혀서 롤러블 구조물(140)에 부착된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손상(예를 들어, 스크래치, 크랙 등)되거나 열화(즉, 미스얼라인(misalign)에 의한 손상이나 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부착된 롤러블 구조물(140)이 제1 방향(FDN)으로 감겨짐에 따라,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이 제1 내지 제4 사이클들을 순차적으로 구성한다고 가정하면, 제2 사이클은 제1 사이클을 둘러싸고, 제3 사이클은 제2 사이클을 둘러싸며, 제4 사이클은 제3 사이클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제1 사이클과 제1 사이클을 둘러싸는 제2 사이클이 서로 부딪히거나, 제2 사이클과 제2 사이클을 둘러싸는 제3 사이클이 부딪히거나, 제3 사이클과 제3 사이클을 둘러싸는 제4 사이클이 부딪힐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는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을 정렬시키고,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 사이에 적정한 공간을 확보하는 복수의 자성 물체들(또는, 얼라이너(aligner)들로 명명)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은 영구자석(permanent magnet)들일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은 항상 자기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은 전자석(electromagnet)들일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은, 자성 물체들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력을 가질 수 있고, 자성 물체들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기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이 전자석들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자성 물체들로 하여금 자기력을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롤러블 표시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롤러블 표시 장치(100)를 펼칠 때에는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로 하여금 자기력을 갖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롤러블 표시 장치(100)를 휴대하고자 롤러블 표시 장치(100)를 감을 때에는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로 하여금 자기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볼 때, 제k 사이클의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들의 제1 극성(예를 들어, N극 또는 S극)이 노출되고, 제k-1 사이클의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들의 제2 극성(즉, 제1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으로서 S극 또는 N극)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부착된 롤러블 구조물(140)이 감겨짐에 따라, 제k 사이클의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들과 제k-1 사이클의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들이 자기력(즉, 인력)을 발생시켜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이 제1 자성 물체들과 제2 자성 물체들의 붙음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제k 사이클의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들이 제1 두께를 갖고, 제k-1 사이클의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들이 제2 두께를 갖는 경우,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제1 두께와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 사이에 적정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이 서로 부딪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볼 때, 제k-1 사이클의 제2 면에 자성 물체들이 부착되며, 제k 사이클의 제1 면에 상기 자성 물체들에 붙는 금속 물체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부착된 롤러블 구조물(140)이 감겨짐에 따라, 제k 사이클의 제1 면에 부착된 금속 물체들과 제k-1 사이클의 제2 면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이 자기력(즉, 인력)을 발생시켜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이 금속 물체들과 자성 물체들의 붙음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제k-1 사이클의 제2 면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이 제1 두께를 갖고, 제k 사이클의 제1 면에 부착된 금속 물체들이 제2 두께를 갖는 경우,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제1 두께와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 사이에 적정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이 서로 부딪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은 롤러블 구조물(140)에 포함된 단위 구조물(CR1, CR2, ..., CRi)들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이 롤러블 구조물(140)에 포함된 모든 단위 구조물(CR1, CR2, ..., CRi)들에 부착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은 롤러블 구조물(140)에 포함된 단위 구조물(CR1, CR2, ..., CRi)들 중에서 일부에만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140)은 롤러블 구조물(140)의 제2 변(SS)에 인접하는 회로 구조물(NC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블 구조물(140)의 회로 구조물(NCR) 내에는 구동 집적 회로(180)를 비롯한 칩 온 연성 회로 기판(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COF),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파워 커넥터(power connec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140) 내 회로 구조물(NCR)의 두께는 롤러블 구조물(140) 내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 각각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집적 회로(180)는 표시 패널 구조물(120)과 롤러블 구조물(140)로 구성된 표시 패널(16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집적 회로(180)는 스캔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타이밍 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60)은 스캔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구동 집적 회로(180)에 연결될 수 있다. 스캔 드라이버는 스캔 라인들을 통해 표시 패널(160)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표시 패널(160)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스캔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구동 집적 회로(18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 집적 회로(180)는 표시 패널(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러블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 구조물(120) 및 롤러블 구조물(140)을 포함하되, 롤러블 구조물(140)을 구성하는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의 너비들(W1, W2, ..., Wi)을 롤러블 구조물(140)의 제1 변(FS)에서 제1 변(FS)이 마주보는 제2 변(SS)으로 갈수록 증가시킴으로써, 롤러블 구조물(140)이 사용자에 의해 감겨지거나 펼쳐지더라도, 표시 패널 구조물(120)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롤러블 구조물(140)과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롤러블 표시 장치(100)에서는,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의 너비들(W1, W2, ..., Wi)이 롤러블 구조물(140)의 제1 변(FS)에서 제2 변(SS)으로 갈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감기는 출발점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누적되는 응력이 완화되어 표시 패널 구조물(120)에 심각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롤러블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구조물(140)이 롤러블 구조물(140)을 구성하는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에 기초하여 감겨질 때, 롤러블 구조물(140)이 감겨짐에 따라 만들어지는 사이클들이 롤러블 구조물(140)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에 의해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이클들 간에 적정한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사이클들이 서로 부딪혀서 롤러블 구조물(140)에 부착된 표시 패널 구조물(120)이 손상되거나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롤러블 표시 장치(100)가 감겨져 있을 때, 상기 사이클들 사이에 자기력(즉,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롤러블 표시 장치(100)가 감겨진 상태는 사용자가 롤러블 표시 장치(100)를 펼치기 전까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가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 장치(200)는 롤러블 구조물(220)과 표시 패널 구조물(24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구조물(220)은 표시 패널 구조물(240)에 부착되고, 단위 구조물(CR)들을 포함하며, 단위 구조물들(CR)에 기초하여 감겨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구조물(CR)들의 너비들은 롤러블 구조물(220)의 제1 변(FS)에서 제1 변(FS)이 마주보는 제2 변(SS)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220)은 롤러블 구조물(220)의 제2 변(SS)에 인접하는 회로 구조물(NC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롤러블 구조물(220)에 부착된 표시 패널 구조물(240)의 주변 영역 즉, 표시 패널 구조물(240)을 둘러싸는 영역은 롤러블 구조물(220)의 베젤 영역(BZ)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220)이 감겨짐에 따라, 롤러블 구조물(220)의 단위 구조물(CR)들은 제1 내지 제n 사이클들을 구성하고, 제k 사이클은 제k-1 사이클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220)이 감겨짐에 따라 단위 구조물(CR)들은 제1 내지 제3 사이클들(FCY, SCY, TCY)을 구성하고, 제2 사이클(SCY)은 제1 사이클(FCY)을 둘러싸며, 제3 사이클(TCY)은 제2 사이클(SCY)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제1 사이클(FCY)과 제2 사이클(SCY)이 서로 부딪히거나, 제2 사이클(SCY)과 제3 사이클(TCY)이 부딪힐 수 있다. 따라서, 롤러블 구조물(220)의 베젤 영역(BZ)에는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을 정렬시키고, 제k 사이클과 제k-1 사이클 사이에 적정한 공간을 확보하는 자성 물체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22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은 영구자석들일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블 구조물(22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은 항상 자기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22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은 전자석들일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블 구조물(22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은, 자성 물체들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력을 가질 수 있고, 자성 물체들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기력을 상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220)의 베젤 영역(BZ)에 자성 물체들이 부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롤러블 표시 장치(200)를 휴대하기 위해 롤러블 표시 장치(200)를 감고자 할 때, 자성 물체들의 자기력에 의해 롤러블 표시 장치(200)가 수월하게 감겨질 수 있다. 또한, 롤러블 표시 장치(200)가 감겨져 있을 때, 롤러블 표시 장치(200)가 감겨진 상태는 사용자가 롤러블 표시 장치(200)를 펼치기 전까지 자성 물체들의 자기력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롤러블 구조물(22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은 롤러블 구조물(220)에 포함된 모든 단위 구조물(CR)들에 부착되거나 또는 롤러블 구조물(220)에 포함된 단위 구조물(CR)들 중에서 일부에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a은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자성 물체가 부착된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자성 물체가 부착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롤러블 구조물(300)은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을 포함하고,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에 기초하여 감겨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의 너비들은 롤러블 구조물(300)의 제1 변(FS)에서 제1 변(FS)이 마주보는 제2 변(SS)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300)에 표시 패널 구조물이 부착되는데, 표시 패널 구조물의 주변 영역은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자성 물체들(IB, OB)이 부착되는데, 자성 물체들(IB, OB)은 롤러블 구조물(300)에 포함된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의 베젤 영역(BZ)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 구조물이 부착된 롤러블 구조물(300)이 감겨지면,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i)은 제1 내지 제3 사이클들(FCY, SCY, TCY)을 구성하는데, 제2 사이클(SCY)은 제1 사이클(SCY)을 둘러싸며, 제3 사이클(TCY)은 제2 사이클(SCY)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IB, OB)은, 제1 사이클(FCY)와 제2 사이클(SCY)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제1 사이클(FCY)과 제2 사이클(SCY)을 정렬시키고, 제2 사이클(SCY)와 제3 사이클(TCY)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제2 사이클(SCY)과 제3 사이클(TCY)을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IB, OB)은, 제1 사이클(FCY)과 제2 사이클(SCY) 사이에 적정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제2 사이클(SCY)와 제3 사이클(TCY) 사이에 적정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IB, OB)은 제1 내지 제3 사이클들(FCY, SCY, TCY)을 정렬시키고, 제1 내지 제3 사이클들(FCY, SCY, TCY)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롤러블 구조물(300)에 부착된 표시 패널 구조물이 손상되거나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IB, OB)은 영구자석들일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IB, OB)은 항상 자기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IB, OB)은 전자석들일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IB, OB)은, 자성 물체들(IB, OB)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력을 가질 수 있고, 자성 물체들(IB, OB)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기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블 구조물(3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된 자성 물체들(IB, OB)이 전자석들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자성 물체들(IB, OB)로 하여금 자기력을 갖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4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IB, OB)은 롤러블 구조물(400)에 포함된 단위 구조물(CR1, CR2, ..., CRi)들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롤러블 구조물(4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IB, OB)은 롤러블 구조물(400)에 포함된 모든 단위 구조물(CR1, CR2, ..., CRi)들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400)이 제1 내지 제23 단위 구조물들(CR1, ..., CR23)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사이클(FCY)은 제1 내지 제8 단위 구조물들(CR1, ..., CR8)을 포함하고, 제2 사이클(SCY)은 제9 내지 제16 단위 구조물들(CR9, ..., CR16)을 포함하며, 제3 사이클(TCY)은 제17 내지 제23 단위 구조물들(CR17, ..., CR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롤러블 구조물(4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IB, OB)은 제1 내지 제23 단위 구조물들(CR1, ..., CR21)에 모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5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IB, OB)은 롤러블 구조물(500)에 포함된 단위 구조물(CR1, CR2, ..., CRi)들 중에서 일부에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구조물(500)이 제1 내지 제23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23)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사이클(FCY)은 제1 내지 제8 단위 구조물들(CR1, ..., CR8)을 포함하고, 제2 사이클(SCY)은 제9 내지 제16 단위 구조물들(CR9, ..., CR16)을 포함하며, 제3 사이클(TCY)은 제17 내지 제23 단위 구조물들(CR17, ..., CR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롤러블 구조물(500)의 베젤 영역(BZ)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IB, OB)은 제1 단위 구조물(CR1), 제3 단위 구조물(CR3), 제5 단위 구조물(CR5), 제7 단위 구조물(CR7), 제9 단위 구조물(CR9), 제11 단위 구조물(CR11), 제13 단위 구조물(CR13), 제15 단위 구조물(CR15), 제17 단위 구조물(CR17), 제19 단위 구조물(CR19), 제21 단위 구조물(CR21) 및 제23 단위 구조물(CR23)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은 것으로서, 자성 물체들(IB, OB)이 부착되는 단위 구조물들(CR1, CR2, ..., CR23)의 일부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자성 물체들(IB, OB)만을 언급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자성 물체들(IB, OB) 중 하나는 금속 물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부착된 자성 물체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하면,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과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이 마주볼 때,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얼라이너(OB)와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얼라이너(IB) 사이에 자기력(즉, 인력)이 발생됨으로써, 제k 사이클((k)CY)과 제k-1 사이클((k-1)CY)이 상기 얼라이너들(OB, IB)의 붙음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얼라이너(OB)와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얼라이너(IB)는 모두 자성 물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OB)의 제1 극성(예를 들어, N극 또는 S극)이 노출되고,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IB)의 제2 극성(예를 들어, S극 또는 N극)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표시 패널 구조물이 부착된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짐에 따라,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OB)와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IB)가 자기력(즉,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OB)의 형상과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IB)의 형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에서는,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OB)가 제1 두께(또는, 높이)를 갖고,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IB)가 제2 두께를 갖는 경우, 제k 사이클((k)CY)과 제k-1 사이클((k-1)CY) 사이에는 제1 두께와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제k 사이클((k)CY)과 제k-1 사이클((k-1)CY) 사이에 적정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제k 사이클((k)CY)과 제k-1 사이클((k-1)CY)은 서로 부딪히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얼라이너(IB)는 자성 물체이고,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얼라이너(OB)는 상기 자성 물체에 붙는 금속 물체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자성 물체(IB)가 부착되고,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금속 물체(OB)가 부착될 수 있다. 이에, 표시 패널 구조물이 부착된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짐에 따라,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금속 물체(OB)와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자성 물체(IB)가 자기력(즉,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금속 물체(OB)의 형상과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자성 물체(IB)의 형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에서는, 제k 사이클((k)CY)의 제1 면에 부착된 금속 물체(OB)가 제2 두께(또는, 높이)를 갖고, 제k-1 사이클((k-1)CY)의 제2 면에 부착된 자성 물체(IB)가 제1 두께를 갖는 경우, 제k 사이클((k)CY)과 제k-1 사이클((k-1)CY) 사이에는 제1 두께와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제k 사이클((k)CY)과 제k-1 사이클((k-1)CY) 사이에 적정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제k 사이클((k)CY)과 제k-1 사이클((k-1)CY)은 서로 부딪히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얼라이너들(OB, IB)의 형상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얼라이너들(OB, IB)의 형상들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700)는 프로세서(710), 메모리 장치(720), 스토리지 장치(730), 입출력 장치(740), 롤링 검출 센서(750) 및 롤러블 표시 장치(7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롤러블 표시 장치(760)는 도 1의 롤러블 표시 장치(100)에 상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76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700)는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7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비디오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7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롤링 검출 센서(750)로부터 롤러블 표시 장치(760)가 감겨졌거나 또는 펼쳐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롤링 검출 신호가 출력되면, 프로세서(710)는 롤링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롤러블 표시 장치(760)의 표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7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을 통해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710)는 주변 구성 요소 상호 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720)는 전자 기기(7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720)는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장치,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피램(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장치, 알램(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RRAM) 장치, 엔에프지엠(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장치, 폴리머램(Polymer Random Access Memory; PoRAM) 장치, 엠램(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에프램(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장치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장치,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장치, 모바일 DRAM 장치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7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74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기기(700)는 전자 기기(700)의 동작에 필요한 파워를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링 검출 센서(750)는 롤러블 표시 장치(760)가 감겨졌거나 또는 펼쳐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롤링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롤링 검출 신호를 프로세서(7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롤러블 표시 장치(760)는 감겨진 상태에 적합한 표시 동작과 펼쳐진 상태에 적합한 표시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롤러블 표시 장치(760)는 상기 버스들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서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760)는 입출력 장치(7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블 표시 장치(760)는 표시 패널 구조물과 롤러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구조물은 표시 패널 구조물에 부착되고, 단위 구조물들(이 때, 단위 구조물들의 너비들은 롤러블 구조물의 제1 변에서 제1 변이 마주보는 제2 변으로 갈수록 증가함)을 포함하며, 단위 구조물들에 기초하여 감겨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롤러블 표시 장치(760)는 롤러블 구조물이 롤러블 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 구조물들에 기초하여 감기는 경우,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짐에 따라 만들어지는 사이클들을 정렬시킬 수 있고, 상기 사이클들 간에 적정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롤러블 표시 장치(760)는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짐에 따라 만들어지는 사이클들이 서로 부딪혀서 롤러블 구조물에 부착된 표시 패널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롤러블 표시 장치(760)에 포함된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는, 인접하는 사이클들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키고 인접하는 사이클들 사이에 적정한 공간을 만드는 자성 물체들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은 영구자석들 또는 전자석들일 수 있으나, 상기 자성 물체들이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은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단위 구조물들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 영역에 부착되는 자성 물체들은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단위 구조물들 중에서 일부에만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플렉시블 형태의 휴대폰, 스마트폰, 비디오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롤러블 표시 장치 120: 표시 패널 구조물
140: 롤러블 구조물 160: 표시 패널
180: 구동 집적 회로 CR: 단위 구조물
NCR: 회로 구조물 200: 롤러블 표시 장치
220: 롤러블 구조물 240: 표시 패널 구조물
BZ: 베젤 영역 IB, OB: 얼라이너(자성 물체)
300: 롤러블 구조물 400: 롤러블 구조물
500: 롤러블 구조물 700: 전자 기기
710: 프로세서 720: 메모리 장치
730: 스토리지 장치 740: 입출력 장치
750: 롤링 검출 센서 760: 롤러블 표시 장치

Claims (20)

  1. 표시 패널 구조물; 및
    상기 표시 패널 구조물에 부착되고, 복수의 단위 구조물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구조물들에 기초하여 감겨지거나 펼쳐지는 롤러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구조물들의 너비(width)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의 제1 변에서 상기 제1 변이 마주보는 제2 변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상기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지면 상기 단위 구조물들은 제1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정수) 사이클들을 구성하고, 제k(단, k는 2이상 n이하의 정수) 사이클은 제k-1 사이클을 둘러싸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을 정렬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자성 물체들이 상기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bezel) 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상기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보고, 상기 제k 사이클의 상기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들의 제1 극성이 노출되며, 상기 제k-1 사이클의 상기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들의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물체들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자성 물체들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상기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보고, 상기 제k-1 사이클의 상기 제2 면에 상기 자성 물체들이 부착되며, 상기 제k 사이클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자성 물체들에 붙는 금속 물체들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금속 물체들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영구자석(permanent magnet)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전자석(electromagnet)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단위 구조물들 각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단위 구조물들 중에서 일부에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사이클들 각각 내에서, 상기 단위 구조물들 중에서 인접하는 단위 구조물들 사이의 사잇각은 기준 각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 구조물은 상기 제2 변에 인접하는 회로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구조물을 구동하는 구동 집적 회로가 상기 회로 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회로 구조물의 두께는 상기 단위 구조물들 각각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2. 롤러블 표시 장치;
    상기 롤러블 표시 장치가 감겨졌거나 또는 펼쳐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롤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롤링 검출 센서; 및
    상기 롤링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롤러블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조물; 및
    상기 표시 패널 구조물에 부착되고, 복수의 단위 구조물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구조물들에 기초하여 감겨지거나 펼쳐지는 롤러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구조물들의 너비(width)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의 제1 변에서 상기 제1 변이 마주보는 제2 변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상기 롤러블 구조물이 감겨지면 상기 단위 구조물들은 제1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정수) 사이클들을 구성하고, 제k(단, k는 2이상 n이하의 정수) 사이클은 제k-1 사이클을 둘러싸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을 정렬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자성 물체들이 상기 롤러블 구조물의 베젤(bezel) 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상기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보고, 상기 제k 사이클의 상기 제1 면에 부착된 제1 자성 물체들의 제1 극성이 노출되며, 상기 제k-1 사이클의 상기 제2 면에 부착된 제2 자성 물체들의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물체들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자성 물체들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k 사이클의 제1 면과 상기 제k-1 사이클의 제2 면이 마주보고, 상기 제k-1 사이클의 상기 제2 면에 상기 자성 물체들이 부착되며, 상기 제k 사이클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자성 물체들에 붙는 금속 물체들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금속 물체들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k 사이클과 상기 제k-1 사이클 사이에는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를 더한 값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영구자석(permanent magnet)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전자석(electromagnet)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단위 구조물들 각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체들은 상기 롤러블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단위 구조물들 중에서 일부에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60084717A 2016-07-05 2016-07-05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ctive KR10253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17A KR102537297B1 (ko) 2016-07-05 2016-07-05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5/623,748 US10073491B2 (en) 2016-07-05 2017-06-15 Rollabl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7179245.0A EP3267285B1 (en) 2016-07-05 2017-07-03 Rollabl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710537836.9A CN107578704B (zh) 2016-07-05 2017-07-04 可卷曲显示装置及包括可卷曲显示装置的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17A KR102537297B1 (ko) 2016-07-05 2016-07-05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299A KR20180005299A (ko) 2018-01-16
KR102537297B1 true KR102537297B1 (ko) 2023-05-30

Family

ID=5929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717A Active KR102537297B1 (ko) 2016-07-05 2016-07-05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73491B2 (ko)
EP (1) EP3267285B1 (ko)
KR (1) KR102537297B1 (ko)
CN (1) CN1075787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599B1 (ko) * 2016-05-10 2023-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742881B1 (ko) 2018-06-29 2024-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56171A1 (ko) * 2019-06-18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52777B1 (ko) * 2019-07-04 2025-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706592B (zh) * 2019-09-10 2020-12-08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及其显示方法
KR102810387B1 (ko) * 2019-09-27 2025-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변형 액츄에이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0942719A (zh) * 2019-10-15 2020-03-3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可卷绕的显示面板及卷绕式显示终端
CN111642064B (zh) * 2020-06-09 2022-03-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2436041A (zh) * 2020-11-25 2021-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支撑层及柔性显示装置
CN115128861A (zh) * 2021-03-29 2022-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层、柔性显示屏及终端
CN113107957B (zh) * 2021-03-31 2022-07-1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轴体及显示装置
KR20230085995A (ko) * 2021-12-07 2023-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9013714A (zh) * 2022-06-22 2024-1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5354981B (zh) * 2022-08-01 2025-09-02 杰森能源技术有限公司 连续油管的防划伤方法及防划伤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7822A1 (en) * 2008-10-12 2011-09-22 Efrat BARIT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0817A (en) * 1994-08-10 2000-02-01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magnetomechanical EAS markers while preventing formation of demagnetization field
GB0004688D0 (en) * 2000-02-28 2000-04-19 Radley Smith Philip J Bracelet
CN100363960C (zh) * 2002-11-21 2008-01-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器
AU2003272033A1 (en) * 2002-11-21 2004-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display
US7463238B2 (en) * 2003-08-11 2008-12-09 Virtualblue, Llc Re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JP3863172B2 (ja) * 2004-03-09 2006-12-27 千三 小林 情報表示装置
WO2009067010A2 (en) 2007-11-21 2009-05-28 Polymer Vision Limited An electronic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CN101952788A (zh) * 2007-11-23 2011-01-19 聚合物视象有限公司 具有改进功能的电子设备
US8047442B2 (en) * 2007-12-03 2011-11-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8344836B2 (en) * 2010-09-17 2013-01-01 Apple Inc. Protective cover for a tablet computer
KR20130069066A (ko) *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00298B1 (ko) * 2012-06-14 2014-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40073239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퍼터링 장치
KR102038987B1 (ko) * 2013-02-12 2019-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절전형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2163B1 (ko) 2013-04-25 2020-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고정 방법
US9189028B2 (en) * 2013-07-01 2015-11-17 Serguei Nakhimov Portable computer-communicator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CN104378936A (zh) * 2013-08-16 2015-02-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194821B1 (ko) * 2013-10-17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물 증착 장치 및 유기물 증착 방법
CN104715690A (zh) * 2013-12-11 2015-06-17 青岛新动力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卷帘式led显示屏
CN104751739B (zh) * 2013-12-25 2018-06-2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背板及柔性显示装置
US20150227245A1 (en) * 2014-02-10 2015-08-13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KR102178951B1 (ko) * 2014-04-28 2020-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DE112015002144T5 (de) * 2014-05-06 2017-03-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KR102342761B1 (ko) * 2014-12-0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3141B1 (ko) * 2014-12-19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98162B1 (ko) * 2015-02-10 2022-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CN204632261U (zh) * 2015-04-17 2015-09-09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可弯曲智能显示设备
KR102348725B1 (ko) * 2015-04-30 2022-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254795B2 (en) * 2015-05-06 2019-04-09 Flexterra, Inc. Attachable,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tail
KR102383097B1 (ko) * 2015-08-27 2022-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205230513U (zh) * 2015-09-11 2016-05-11 杭州袖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子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7822A1 (en) * 2008-10-12 2011-09-22 Efrat BARIT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7285B1 (en) 2019-11-06
US20180011510A1 (en) 2018-01-11
CN107578704A (zh) 2018-01-12
EP3267285A1 (en) 2018-01-10
CN107578704B (zh) 2022-01-25
KR20180005299A (ko) 2018-01-16
US10073491B2 (en)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297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493527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534599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9666535B2 (en) Flexible display panel
KR102281910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34735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8126680A1 (zh) 驱动电路、驱动方法和显示装置
KR102167504B1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JP2015097083A (ja) 情報処理装置
US10199596B2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80025386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6057087A (zh) 显示模块
KR102225254B1 (ko) 표시 패널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7195265B (zh) 栅极驱动器和包括栅极驱动器的显示设备
WO2012115164A1 (ja) 携帯電子機器
JP6625123B2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サポート
KR20170136033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210048633A (ko) 표시 장치
KR102478374B1 (ko)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40005572A (ko) 표시 패널,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 구동 방법
KR102543479B1 (ko) 터치 스크린
KR10073928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4788125B2 (ja) シフトレジスタ
KR20170079577A (ko)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