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519B1 - Froze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refrigerating vehicle - Google Patents
Froze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refrigerating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7519B1 KR102537519B1 KR1020210105642A KR20210105642A KR102537519B1 KR 102537519 B1 KR102537519 B1 KR 102537519B1 KR 1020210105642 A KR1020210105642 A KR 1020210105642A KR 20210105642 A KR20210105642 A KR 20210105642A KR 102537519 B1 KR102537519 B1 KR 1025375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heating
- refrigeration
- solenoid valve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4—Arrangement of shut-off valves for disconnecting a part of the refrigerant cycle, e.g. an outdoor pa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압축기, 배터리, 메인응축기, 제1증발유닛, 제2증발유닛, 난방용 응축기,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냉동실은 제2증발유닛을 통해 냉동용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냉장실은 제1증발유닛 또는 난방용 응축기를 통해 선택적으로 동절기에도 냉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냉장 또는 난방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장실에 대해 하절기나 동절기에 냉장 시스템 또는 난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하절기나 동절기에 상관없이 항시 냉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터리 및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별도의 배터리로 적용됨에 따라 종래에 차량의 엔진과 연결을 통한 구조에서와 달리 차량의 엔진 정지시에도 제어컨트롤러를 통해 구동수단인 배터리를 통해 제어시스템에 대해 구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시 냉동, 냉장 또는 난방을 위한 시스템을 구동시켜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한 정온관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송 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ion truck,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or, a battery, a main condenser, a first evaporation unit, a second evaporation unit, a condenser for heating, and a control controller, so that the freezer compartment is operated by the second evaporation. At the same time as controlling for freezing through the uni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evaporation unit or condenser for heating so that the refrigeration or heating system is operat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even in winter. B. By driving the refrigeration system or heating system during the winter season, it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summer season or winter season. On the other hand, as the battery and control controller are applied,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control system is applied as a separate battery. Unlike conventional structures connected to the engine of a vehicle, even 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opped, the control system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through the battery, which is a driving means, through the control controller, and through this, the system for always refrigerating, refrigerating, or heating is driven to facilitate constant temperature management for the freezing and refrigerating chamber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ncrease delivery effici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 배터리, 메인응축기, 제1증발유닛, 제2증발유닛, 난방용 응축기,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냉동실은 제2증발유닛을 통해 냉동용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냉장실은 제1증발유닛 또는 난방용 응축기를 통해 선택적으로 동절기에도 냉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냉장 또는 난방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장실에 대해 하절기나 동절기에 냉장 시스템 또는 난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하절기나 동절기에 상관없이 항시 냉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터리 및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별도의 배터리로 적용됨에 따라 종래에 차량의 엔진과 연결을 통한 구조에서와 달리 차량의 엔진 정지시에도 제어컨트롤러를 통해 구동수단인 배터리를 통해 제어시스템에 대해 구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시 냉동, 냉장 또는 난방을 위한 시스템을 구동시켜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한 정온관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송 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ion truck,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 compressor, a battery, a main condenser, a first evaporation unit, a second evaporation unit, a condenser for heating, and a control controller, the freezing compartment operates in a second At the same time as controlling for freezing through the evaporation uni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evaporation unit or condenser for heating so that the refrigeration or heating system is operat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even in winter. By driving the refrigeration system or heating system in summer or winter, it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at all times regardless of summer or winter.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structure connected to the engine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opped, the control system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through the battery, which is the driving means, through the control controll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a freezer truck, which enables the system to easily manage the constan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significantly increases delivery efficiency.
일반적으로, 냉동탑차는 고온의 환경에서 적재물이 상하거나 상태가 훼손 또는 변형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재 공간의 환경을 저온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적재물의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특수 차량이다.In general, a refrigerated truck is a special vehicle prepared to transport loads while continuously maintaining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in a loading space in order to solve a problem in which loads are damaged or damaged or deformed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이러한 냉동탑차는 별도로 마련된 적재공간 내부의 저온 환경 구축을 위한 냉각 시스템에 대해, 냉각효율 및 성능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적재물의 목적을 구분하여 구획된 각각의 적재공간을 마련하고, 구획된 적재 공간의 상호 내부 온도 수준을 달리 구축하도록 하여 적재물의 목적에 따라 냉장 또는 냉동을 위한 적재가 구분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cooling system for building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inside the separately prepared loading space of these refrigerated truck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a load for refrigeration or freez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load by establishing different internal temperature levels of the partitioned loading space.
하지만, 종래의 냉동을 위한 적재공간과 냉장을 위한 적재공간을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는 냉동탑차는 차량의 적재공간 내에 저온 환경 구축을 위해 마련되어진 냉각시스템이 생성하는 냉기의 공급이 냉동을 위한 적재공간과 냉장을 위한 적재공간에 순차적으로 제공됐으며, 이를 위해 두 구획된 공간 사이에는 소정의 개방공간이 형성되어 상호 냉기가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ion truck, which provides a loading space for refrigeration and a loading space for refrigeration, the supply of cold air generated by the cooling system provided to build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in the loading space of the vehicle is the loading space for refrigeration. It was provided sequentially to the loading space for over-refrigeration, and for this purpose, a predetermined open space was formed between the two partitioned spaces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cold air could move to each other.
이로 인해, 종래의 냉동탑차는 냉기의 상호 교환뿐만 아니라 적재물의 적재 또는 양하(Unloading) 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층이 모든 적재공간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더 나아가 일정 공간을 공유하고 있도록 구획된 2개의 적재공간이 상호 내부 저온 환경의 상태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conventional refrigeration trucks have problems in that not only the mutual exchange of cold air, but also the high-temperature air lay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during loading or unloading affects all loading spaces, and furthermore, sharing a certain spa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wo loading spaces partitioned so as to affect the state of the low-temperature environment inside each other.
이를 고려하여 최근에는 적재함 내부의 구획공간을 목적에 따라 냉장과 냉동용 공간으로 구분하여 별개의 공간으로 마련하고, 이와 같이 상호 단절된 각각의 구획공간 내에 각각 별도의 증발기를 개별 설치하여 냉매 순환경로를 분할시켜 개별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93303호 2016.12.30. 등록.)이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recently, the compartment space inside the loading box has been divided into refrigerating and freezing spac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repared as separate spaces, and separate evaporators are installed in each of these mutually disconnected compartments to improve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ath. Technology for individual control by division is being developed, and 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this, there is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693303, registered on December 30, 2016.)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93303호 2016.12.30. 등록.)에 개시된 냉동탑차용 냉동 및 냉장 개별 제어시스템은 동절기에 냉장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난방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아 동절기에 냉장용으로의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refrigeration and refrigeration individual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ion truck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Registered on December 30, 2016,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693303) does not apply a heating system for use for refrigeration in the winter seaso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for refrigeration.
더욱이, 냉동 및 냉장을 위한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으로서의,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차량의 엔진과 연결되어 구동되는 구조로 적용됨으로써 차량의 엔진 정지시에는 시스템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적재된 식재료 등을 별도의 냉동/냉장 창고로 반품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해 상시 정온관리가 어려움과 동시에 배송 효율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since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compressor, as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ion and refrigeration, is appli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compressor is connected to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driven, power for driving the system is not supplied 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opp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constant temperature in the freezing and refrigerating chambers, and at the same time, the delivery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그러므로 냉동실은 냉동용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냉장실은 선택적으로 동절기에도 냉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냉장 또는 난방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장실에 대해 하절기나 동절기에 냉장 시스템 또는 난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하절기나 동절기에 상관없이 항시 냉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터리 및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별도의 배터리로 적용됨에 따라 종래에 차량의 엔진과 연결을 통한 구조에서와 달리 차량의 엔진 정지시에도 제어컨트롤러를 통해 구동수단인 배터리를 통해 제어시스템에 대해 구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시 냉동, 냉장 또는 난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한 정온관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송 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에 대해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freezing chamber is controlled for freezing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selectively controlled to be used for refrigeration even in the winter. Regardless, it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at all times, while the battery and control controller are applied, so that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control system is applied as a separate battery, unlike the conventional structure connected to the engine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engine is stopped, the control system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through the battery, which is the driving means, through the control controlle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s of refrigerated trucks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delivery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기, 배터리, 메인응축기, 제1증발유닛, 제2증발유닛, 난방용 응축기,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냉동실은 제2증발유닛을 통해 냉동용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냉장실은 제1증발유닛 또는 난방용 응축기를 통해 선택적으로 동절기에도 냉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냉장 또는 난방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장실에 대해 하절기나 동절기에 냉장 시스템 또는 난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하절기나 동절기에 상관없이 항시 냉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ressor, a battery, a main condenser, a first evaporation unit, a second evaporation unit, a heating condenser, and a control controller are applied, so that the freezer compartment is controlled for freezing through the second evaporation unit. At the same tim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evaporation unit or the condenser for heating so that the refrigeration or heating system can be operat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even in the winter seas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a refrigeration truck that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at all times regardless of summer or winter by driving the.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및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별도의 배터리로 적용됨에 따라 종래에 차량의 엔진과 연결을 통한 구조에서와 달리 차량의 엔진 정지시에도 제어컨트롤러를 통해 구동수단인 배터리를 통해 제어시스템에 대해 구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시 냉동, 냉장 또는 난방을 위한 시스템을 구동시켜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한 정온관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송 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attery and the control controller are applied so that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control system is applied as a separate battery, unlike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rough connection with the engin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engine is stopped Through the Edo control controller, the control system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through the battery, which is the driving means, and through this, the system for freezing, refrigerating or heating is driven at all times to facilitate constant temperature management of the freezing and refrigerating chambers, and at the same time, delivery efficiency is to be a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은 냉동탑차의 냉동 탑에 대해 냉동 또는 냉장을 위한 설정된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배출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어 제1냉매이동관을 통해 이동한 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저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시키는 메인응축기; 상기 메인응축기를 통해 응축된 저온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는 제2냉매이동관으로부터 분기된 제1냉매분기관에 연결되는 제1팽창변 및 제1증발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냉매분기관의 상기 제1팽창변 설치위치 이전 일 측에 설치되어 제2냉매이동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냉매분기관을 이동하는 냉매를 이용해 냉동 탑의 냉장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제1증발유닛; 상기 제2냉매이동관으로부터 분기된 제2냉매분기관에 연결되는 제2팽창변 및 제2증발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냉매분기관의 상기 제2팽창변 설치위치 이전 일 측에 설치되어 제2냉매이동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냉매분기관을 이동하는 냉매를 이용해 냉동 탑의 냉동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제2증발유닛;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어 제1냉매이동관으로부터 분기된 난방용냉매분기관을 통해 이동한 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저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시키고, 응축된 냉매를 난방용냉매이동관을 통해 제1냉매이동관을 거쳐 메인응축기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난방용냉매이동관을 이동하는 냉매를 이용해 냉동 탑의 냉장실에 온기를 제공하는 난방용 응축기; 상기 난방용냉매분기관의 제1냉매이동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측에 설치되어 난방용냉매분기관으로부터 상기 난방용 응축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ion vehicle for maintaining the refrigeration tower of the refrigeration vehicle at a set low temperature for freezing or refrigeration.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and discharges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a battery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compressor; a main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moving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transfer pipe into a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A first expansion valve and a first evaporator connected to a first refrigerant branch pipe branched from a second refrigerant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condensed through the main condenser is discharged, and a first evaporator of the first refrigerant branch pipe.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olenoid valve installed on one side b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xpansion valve to adjust the flow rate of refrigerant flowing in from the second refrigerant pipe, and providing cold air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of the freezing tower using the refrigerant moving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branch pipe. A first evaporation unit to; A second expansion valve and a second evaporator connected to a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second refrigerant pipe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b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expansion valve, and the second refrigerant pipe is installed. a second evaporation unit that further includes a second solenoid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refrigerant branch, and supplies cold air to the freezing chamber of the freezing tower using the refrigerant moving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moving through the refrigerant branch pipe for heating branched from the first refrigerant pipe,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inside is condensed into a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for heating to the first refrigerant pipe. a condenser for heating to be transferred to the main condenser through the main condenser, and to provide warmth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of the refrigerating tower by using the refrigerant moving through the refrigerant transfer pipe for heating; a solenoid valve for heating installed on a side of the refrigerant branch pipe for heating branching from the first refrigerant transfer pipe to control a flow rate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ndenser for heating from the refrigerant branch pipe for heating; and a control controller controlling open/close states of the first solenoid valve, the second solenoid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for heating.
이때, 상기 제어컨트롤러는 상기 제2냉매이동관으로부터 상기 제2냉매분기관으로 분기 이동되는 냉매 유량이 상기 제1냉매분기관으로 분기 이동되는 냉매 유량에 비해 많도록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정도를 달리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제1팽창변 내 설치되는 제1오리피스의 정격용량은 상기 제2팽창변 내 설치되는 제2오리피스의 정격용량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trol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olenoid valve and the second solenoid so that the flow rate of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second refrigerant transfer pipe to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is greater than the flow rate of refrigerant branched to the first refrigerant branch pipe. While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s controlled different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ed capacity of the first orifice installed in the first expansion valve is smaller than the rated capacity of the second orifice installed in the second expansion valve.
또한, 상기 제2증발유닛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설치 위치와 상기 제2팽창변 설치 위치 사이의 상기 제2냉매분기관 일 측에 설치되어, 개방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상기 제2냉매분기관 내로 유입되는 저온 고압의 응축된 냉매를 더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팽창변은 상기 열교환기를 거치며 상기 메인응축기를 통해 응축되어 배출되는 저온 고압의 냉매에 비해 더 낮은 온도를 갖춘 저온 고압의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냉매가 상기 제2증발기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다.In addition, the second evaporation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betwe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solenoid valve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expansion valve, and the second refrigerant through the opened second solenoid valve.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condensed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ngine to a lower temperature, wherein the second expansion valve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is condensed through the main condenser and discharged through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It is preferable to expand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having a low temperature so that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evaporator.
그리고 상기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은 상기 냉장실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냉동실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컨트롤러는 상기 제1온도센서 및 제2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rigerat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freezer vehicle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wherein the control controller operates the first solenoid valve and the second solenoid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s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for heating.
이때, 상기 제어컨트롤러는 상기 제1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제1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동실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제2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모두 열림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기준온도범위의 최댓값은 상기 제1기준온도범위의 최솟값에 비해 낮은 온도로 설정되는 것이 양호하다.At this time, the control controller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s being higher than the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not withi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at the same time detected through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is higher than the preset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does not fall withi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both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 valves are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and the Preferably, the maximum value of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is set to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더욱이, 상기 제어컨트롤러는 상기 제1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 내로 판단되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닫힘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메인응축기로부터 상기 제2냉매이동관으로 배출된 냉매가 상기 제2냉매분기관으로만 분기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control controller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olenoid valve in a closed stat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sens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determined to be within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so that the second solenoid valve is removed from the main condenser. Preferably,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transfer pipe is branched and moved only to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또한, 상기 제어컨트롤러는 상기 제1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로 제1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동실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제2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닫힘상태로 제어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열림상태로 제어하며,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열림상태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제2기준온도범위의 최댓값은 상기 제1기준온도범위의 최솟값에 비해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controller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when it is lower than the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does not fall withi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does not fall withi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olenoid valve is controlled to be clos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solenoid valve is controlled. While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eating solenoid valve in the open state, the maximum value of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may be set to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이때, 상기 제어컨트롤러는 상기 제1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 내로 판단되면 상기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닫힘상태로 제어하여 제1냉매이동관으로부터 난방용냉매분기관을 통해 분기되어 난방용 응축기로 유입되는 냉매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trol controller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enoid valve for heating in a closed stat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sens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determined to be within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so that the refrigerant content for heating is removed from the first refrigerant transfer pipe.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refrigerant branched through the engine and flowing into the condenser for heating.
더욱이, 상기 제어컨트롤러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설되어 스마트폰 전용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조작될 수도 있다.Moreover, the control controller may be operat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olenoid valve, the second solenoid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for heating through a dedicated smartphone applica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therein.
아울러, 상기 제어컨트롤러는 타이머 예약모듈이 내설되어 선택적으로 예약설정된 시간에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면서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에 대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controller has a timer reservation module installed therein to selectiv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olenoid valve, the second solenoid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for heating at a pre-set time to drive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s of the refrigeration truck. can also be controlled.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ion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첫째, 압축기, 배터리, 메인응축기, 제1증발유닛, 제2증발유닛, 난방용 응축기,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냉동실은 제2증발유닛을 통해 냉동용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냉장실은 제1증발유닛 또는 난방용 응축기를 통해 선택적으로 동절기에도 냉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냉장 또는 난방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장실에 대해 하절기나 동절기에 냉장 시스템 또는 난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하절기나 동절기에 상관없이 항시 냉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First, as the compressor, battery, main condenser, first evaporation unit, second evaporation unit, condenser for heating, and control controller are applied, the freezing compartment is controlled for freezing through the second evaporation uni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s controlled for either the first evaporation unit or heating. Through the condenser,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trol the refrigeration or heating system to operate so that it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even in the winter season, and through this, the refrigeration system or heating system is driven for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uring the summer or winter season,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둘째, 배터리 및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별도의 배터리로 적용됨에 따라 종래에 차량의 엔진과 연결을 통한 구조에서와 달리 차량의 엔진 정지시에도 제어컨트롤러를 통해 구동수단인 배터리를 통해 제어시스템에 대해 구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시 냉동, 냉장 또는 난방을 위한 시스템을 구동시켜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한 정온관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송 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다.Second, as the battery and the control controller are applied, the drive means for driving the control system is applied as a separate battery, so unlike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connected to the vehicle engine, the drive means through the control controller even when the vehicle engine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drive and control the control system through the phosphorus battery,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rive the system for constant freezing, refrigeration, or heating to facilitate constant temperature management of the freezing and refrigerating chambers,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increase delivery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의 하절기 사용시, 냉동실의 냉동과 냉장실의 냉장을 위한 구동에 따른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의 동절기 사용시, 냉동실의 냉동과 냉장실의 난방을 위한 구동에 따른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a refriger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according to driving for freezing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refrigera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when the freez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freez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summer.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according to driving for freezing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heating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when the freez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freez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win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for a freez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frigerat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a freez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의 하절기 사용시, 냉동실의 냉동과 냉장실의 냉장을 위한 구동에 따른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according to driving for freezing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refrigera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when the freez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freez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summer seas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의 동절기 사용시, 냉동실의 냉동과 냉장실의 난방을 위한 구동에 따른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according to driving for freezing of a freezing compartment and heating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when the freez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a freez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winter.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은 냉동탑차의 냉동 탑에 대해 냉동 또는 냉장을 위한 설정된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압축기(100), 배터리(200), 메인응축기(300), 제1증발유닛(400), 제2증발유닛(500), 난방용 응축기(600),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 및 제어컨트롤러(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of the refriger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intaining the refrigeration tower of the refrigeration vehicle at a set low temperature for freezing or refrigeration. , Largely classified, the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기(100)는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배출시키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압축기(100)는 특히, 직류 압축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배터리(200)로부터 구동 전력을 공급받아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든 후에 고온 고압의 냉매를 메인응축기(300)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The
더욱이, 상기와 같은 압축기(10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전기차량으로서의 냉동탑차의 냉장실(R1) 및 냉동실(F1) 각각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의 압축기로서, 전기차량으로서의 냉동탑차의 운전석에 에어컨을 통해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압축기를 겸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냉동탑차에는 냉동 탑 부분에 달리 연결되어 가동 가능한 에어컨용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100)가 각각 설치되는 트윈콤프 시스템을 갖춤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따라서, 각각의 압축기 가동 여부 및 가동 시간에 따라 상호 간에 냉각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을 가지게 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the advantage of not affecting the cooling performance mutually depending on whether each compressor is operated or not and the operating time.
또한, 상기 배터리(200)는 상기 압축기(100)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기차량으로서의 냉동탑차에서 메인배터리와 별도로 설치되는 별도의 배터리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배터리(200)는 외부로부터 충전라인을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것이다.This
한편, 상기 메인응축기(300)는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배출되어 제1냉매이동관(L1)을 통해 이동한 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저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시키는 것이다.Meanwhile, the
다시 말해서, 상기 메인응축기(300)는 압축기(100)로부터 배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제1냉매이동관(L1)을 통해 이동되어 내부로 유입되면, 내부를 거치는 과정에서 액화되어 저온 고압의 상태를 가지도록 냉각시켜 냉매를 응축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메인응축기(300)를 거친 냉매는 제1증발유닛(400) 및 제2증발유닛(50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동된다.In other words, i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메인응축기(300)를 통해 배출된 저온 고압 상태의 냉매는 제2냉매이동관(L2)를 통해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2냉매이동관(L2)에는 액화된 냉매의 일시적 저장을 위한 리시버탱크(310)와, 리시버탱크(310)로부터 이동되어 제1 또는 제2증발유닛(400, 500)을 전달될 냉매에 혼합된 수분 및 각종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필터드라이어(320)가 추가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또한, 상기와 같이 메인응축기(300)를 통해 배출되어 제2냉매이동관(L2)을 이동하는 저온 고압 상태의 냉매는 제어 형태에 따라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분기되어지는 제1냉매분기관(L3) 및 제2냉매분기관(L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로 이동된다.In addition,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여기서, 메인응축기(300)를 통해 배출되어 제2냉매이동관(L2)을 이동하는 저온 고압 상태의 냉매가 제1냉매분기관(L3)으로 이동되면 제1증발유닛(400)을 통해 냉동탑의 냉장실(R1)에 냉기가 제공되며, 제2냉매분기관(L4)으로 이동되면 제2증발유닛(500)을 통해 냉동탑의 냉동실(F1)에 냉기가 제공된다.Here, when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증발유닛(400)은 상기 메인응축기(300)를 통해 응축된 저온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는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분기된 제1냉매분기관(L3)에 연결되는 제1팽창변(420) 및 제1증발기(4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냉매분기관(L3)의 상기 제1팽창변(420) 설치위치 이전 일 측에 설치되어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냉매분기관(L3)을 이동하는 냉매를 이용해 냉동 탑의 냉장실(R1)에 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이때, 상기 제1팽창변(420)은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분기되어지는 제1냉매분기관(L3)에 설치되어 제1냉매분기관(L3)을 이동해 온 저온 고압 상태의 냉매를 교축(Throttling)을 통해 압력이 낮아지게 하여 저온 저압의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제1증발기(430)는 제1팽창변(420)을 통해 교축된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가 증발 배관 내에서 팬에 의해 발생하는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 과정을 거침으로써 주변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냉장실(R1) 내에 냉기를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한편, 상기 제2증발유닛(500)은 상기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분기된 제2냉매분기관(L4)에 연결되는 제2팽창변(520) 및 제2증발기(53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냉매분기관(L4)의 상기 제2팽창변(520) 설치위치 이전 일 측에 설치되어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5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냉매분기관(L4)을 이동하는 냉매를 이용해 냉동 탑의 냉동실(F1)에 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제2팽창변(520)은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분기되어지는 제2냉매분기관(L4)에 설치되어 제2냉매분기관(L4)을 이동해 온 저온 고압 상태의 냉매를 교축(Throttling)을 통해 압력이 낮아지게 하여 저온 저압의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2증발기(530)는 제2팽창변(520)을 통해 교축된 저온저압상태의 냉매가 증발 배관 내에서 팬에 의해 발생하는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 과정을 거침으로써 주변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냉동실(F1) 내에 냉기를 형성하는 것이다.And, in the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증발유닛(500)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설치 위치와 상기 제2팽창변(520) 설치 위치 사이의 상기 제2냉매분기관(L4) 일 측에 설치되어, 개방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10)를 통해 상기 제2냉매분기관(L4) 내로 유입되는 저온 고압의 응축된 냉매를 더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 열교환기(540)를 더 포함한다.Moreover, the
즉, 상기와 같은 제2증발유닛(500)에 대해 열교환기(54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팽창변(520)은 상기 열교환기(540)를 거치며 상기 메인응축기(300)를 통해 응축되어 배출되는 저온 고압의 냉매에 비해 더 낮은 온도를 갖춘 저온 고압의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냉매가 상기 제2증발기(53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증발기(530)의 냉기 형성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by further including a
한편, 상기 난방용 응축기(600)는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배출되어 제1냉매이동관(L1)으로부터 분기된 난방용냉매분기관(L7)을 통해 이동한 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저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시키고, 응축된 냉매를 난방용냉매이동관(L8)을 통해 제1냉매이동관(L1)을 거쳐 메인응축기(300)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난방용냉매이동관(L8)을 이동하는 냉매를 이용해 냉동 탑의 냉장실(R1)에 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다시 말해서, 상기 난방용 응축기(600)는 동절기 사용시에 냉장실(R1) 내부에 적재된 냉장이 요구되는 물품에 대해 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어컨트롤러(800)를 통해 구동됨이 바람직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상기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는 상기 난방용냉매분기관(L7)의 제1냉매이동관(L1)으로부터 분기되는 측에 설치되어 난방용냉매분기관(L7)으로부터 상기 난방용 응축기(60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다.The
상기와 같은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는 동절기에 난방용 응축기(600)의 구동을 통한 냉장실(R1) 내부로 온기를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컨트롤러(800)를 통해 개폐가 제어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한편,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및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더욱이,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1온도센서(T1) 및 제2온도센서(T2)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및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은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T1) 및 상기 냉동실(F1)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T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efrigerat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easures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1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1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F1.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T2) for sensing.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에서, 특히 제1증발기(430)에서 증발 사용된 냉매는 제3냉매이동관(L5)을 통해 이동되고, 제2증발기(530)에서 증발 사용된 냉매는 제4냉매이동관(L6)을 통해 이동된다.In the refrigerat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of a freezer ca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refrigerant evaporated and used in the
여기서, 제4냉매이동관(L6)은 냉매 순환 경로의 형성을 위해 제2증발기(530)와 압축기(100)를 연결하고, 제3냉매이동관(L5)은 제4냉매이동관(L6)의 일 측에 합류 되어진다.Here, the fourth refrigerant transfer pipe (L6) connects the
더욱이,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4냉매이동관(L6)의 제3냉매이동관(L5)이 합류되는 위치 이후 일 측에는 열교환을 거친 냉매가 압축기(100)로 다시 이동되어 흡입되기 전, 냉매 중 일부를 기체화시키기 위한 액분리기(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Moreover,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the refrigerant that has undergone heat exchange is moved back to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에서의,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하절기에 냉장실(R1)은 통상의 냉장고에서의 냉장온도범위와 대응되는 제1기준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냉동실(F1)은 통상의 냉장고에서의 냉동온도범위와 대응되는 제2기준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refrigerat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of a freezer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상기 제2냉매분기관(L4)으로 분기 이동되는 냉매 유량이 상기 제1냉매분기관(L3)으로 분기 이동되는 냉매 유량에 비해 많도록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폐 정도를 달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아울러, 제어컨트롤러(800)를 통해 하절기에 냉장실(R1)은 통상의 냉장고에서의 냉장온도범위와 대응되는 제1기준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냉동실(F1)은 통상의 냉장고에서의 냉동온도범위와 대응되는 제2기준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팽창변(420) 내 설치되는 제1오리피스의 정격용량은 상기 제2팽창변(520) 내 설치되는 제2오리피스의 정격용량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팽창변(420) 내 설치되는 제1오리피스의 정격용량이 증발온도 -10℃, 응축온도 32℃ 및 팽창밸브 직전의 냉매액 온도 28℃를 기준으로 1 내지 3kW(바람직하게는 2kW)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제2팽창변(520)내 설치되는 제2오리피스의 정격용량이 증발온도 -30℃, 응축온도 32℃ 및 팽창밸브 직전의 냉매액 온도 28℃를 기준으로 2 내지 4kW(바람직하게는 3kW)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rated capacity of the first orifice installed in the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제1팽창변(420) 내에 설치되는 제1오리피스의 실시예로서는 T2-No2가 해당되며, 제2팽창변(420) 내에 설치되는 제2오리피스의 실시예로서는 T2-No3가 해당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embodiment of the first orifice installed in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의 하절기 사용예시로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압축기(100)의 최초 구동시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제1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온도센서(T2)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동실(F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제2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을 제어컨트롤러(800)를 통해 판단하여, 제어컨트롤러(800)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폐 상태를 열림으로 유지하되, 제2솔레노이드 밸브(410)의 개폐 정도를 상대적으로 더 열리게 하여 제1증발유닛(400)에 제공되는 냉매 유량에 비해 제2증발유닛(500)에 제공되는 냉매유량이 더 많도록 유지되게 한다.As an example of using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for a refriger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summer season, referring to FIG. 2, first, the first temperature when the
여기서, 제어컨트롤러(800)를 통해 설정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폐 정도는 제1증발유닛(400)에 제공되는 냉매 유량과 제2증발유닛(500)에 제공되는 냉매 유량의 비가 4:6 내지 3:7의 비율을 이루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이후, 상대적으로 제2기준온도범위의 최댓값이 제1기준온도범위의 최솟값에 비해 낮은 온도로 설정되기 때문에 냉장실(R1)의 내부 온도는 먼저 제1기준온도범위 내에 도달하게 되고, 이를 제어컨트롤러(800)가 판단하고 나면 제어컨트롤러(800)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10)의 개폐 상태를 닫힘으로 변경하여 제2냉매이동관(L2)으로 배출되어 응축된 상태의 냉매가 모두 제2냉매분기관(L4)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Then, since the maximum value of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is relatively set to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1 first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controller ( 800) after the decision is made, the
그리고 제어컨트롤러(800)는 냉장실(R1) 및 냉동실(F1)의 내부온도가 모두 기준온도범위 도달하고 나면, 냉각효율을 고려하여 온도 수준의 유지를 위해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폐 상태를 닫힘 혹은 미세한 열림 상태로 함과 동시에 압축기(100)의 회전수를 저속으로 제어한다.In addition, the
이후, 제어컨트롤러(800)는 실시간으로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냉장실(R1)의 내부 온도와 제2온도센서(T2)를 통해 감지되는 냉동실(F1)의 내부 온도를 지속 판단하여, 혹 기준온도범위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적재공간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적재공간에 구축된 제1증발유닛(400) 또는 제2증발유닛(500)으로의 냉매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 개폐 상태를 열림으로 재 조정함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의 동절기 사용예시로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압축기(100)의 최초 구동시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로 제1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온도센서(T2)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동실(F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제2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을 제어컨트롤러(800)를 통해 판단하여, 제어컨트롤러(800)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10)의 개폐를 닫힘상태로 제어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폐를 열림상태로 제어하며,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열림상태로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of winter use of the freez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of the refrigeration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referring to FIG. 3, first, when the
그리고 제어컨트롤러(800)는 냉동실(F1)의 내부온도가 제2기준온도범위 내로 도달하고 나면, 냉각효율을 고려하여 온도 수준의 유지를 위해 제2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폐 상태를 닫힘 혹은 미세한 열림 상태로 함과 동시에 압축기(100)의 회전수를 저속으로 제어한다.And, aft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hamber (F1) reaches withi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아울러,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 내로 도달한 것을 판단하게 되면, 상기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닫힘상태로 제어하여 제1냉매이동관(L1)으로부터 난방용냉매분기관(L7)을 통해 분기되어 난방용 응축기(600)로 유입되는 냉매가 차단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물론,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 내로 도달한 것을 판단하게 될 경우에, 상기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닫힘상태가 아닌 미세한 열림상태로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Of course, when the
이후, 제어컨트롤러(800)는 실시간으로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냉장실(R1)의 내부 온도와 제2온도센서(T2)를 통해 감지되는 냉동실(F1)의 내부 온도를 지속 판단하여, 혹 제1기준온도범위 또는 제2기준온도범위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적재공간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적재공간에 구축된 제1증발유닛(400) 또는 난방용 응축기(600)로의 냉매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및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 개폐 상태를 열림으로 재 조정함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에서,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조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무선통신모듈이 내설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통신모듈이 내설될 경우에는 스마트폰 전용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freez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of the refriger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더욱이,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타이머 예약모듈이 내설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타이머 예약모듈이 내설될 경우에는 예약설정시간을 맞춘 후, 선택적으로 예약설정된 시간에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 및 압축기(100)를 제어하면서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에 대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Furthermore,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압축기, 배터리, 메인응축기, 제1증발유닛, 제2증발유닛, 난방용 응축기,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냉동실은 제2증발유닛을 통해 냉동용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냉장실은 제1증발유닛 또는 난방용 응축기를 통해 선택적으로 동절기에도 냉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냉장 또는 난방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장실에 대해 하절기나 동절기에 냉장 시스템 또는 난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하절기나 동절기에 상관없이 항시 냉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ion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or, the battery, the main condenser, the first evaporation unit, the second evaporation unit, the condenser for heating, and the control controller are appli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It is controlled for freezing through the second evaporation unit, and at the same time, the refrigerating chamber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evaporation unit or the condenser for heating so that the refrigeration or heating system can be operat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refrigeration even in the winter season. The refrigerating system or the heating system may be driven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uring the summer or winter season, so that it may be used for refrigeration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summer season or winter season.
더욱이, 배터리 및 제어컨트롤러가 적용됨으로써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별도의 배터리로 적용됨에 따라 종래에 차량의 엔진과 연결을 통한 구조에서와 달리 차량의 엔진 정지시에도 제어컨트롤러를 통해 구동수단인 배터리를 통해 제어시스템에 대해 구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시 냉동, 냉장 또는 난방을 위한 시스템을 구동시켜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한 정온관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송 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since the battery and the control controller are applied,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control system is applied as a separate battery, so that the driving means is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controller even when the vehicle engine is stopped, unlike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connected to the engine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drive and control the control system through the phosphorus battery,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rive the system for refrigeration, refrigeration or heating at all times to facilitate constant temperature management of the freezing and refrigerating chambers,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increase delivery efficiency. .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압축기 200: 배터리
300: 메인응축기 310: 리시버탱크
320: 필터드라이어 400: 제1증발유닛
410: 제1솔레노이드밸브 420: 제1팽창변
430: 제1증발기 500: 제2증발유닛
510: 제2솔레노이드밸브 520: 제2팽창변
530: 제2증발기 540: 열교환기
600: 난방용 응축기 700: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
800: 제어컨트롤러
L1: 제1냉매이동관 L2: 제2냉매이동관
L3: 제1냉매분기관 L4: 제2냉매분기관
L5: 제3냉매이동관 L6: 제4냉매이동관
L7: 난방용냉매분기관 L8: 난방용냉매이동관
F1: 냉동실 R1: 냉장실
T1: 제1온도센서 T2: 제2온도센서100: compressor 200: battery
300: main condenser 310: receiver tank
320: filter dryer 400: first evaporation unit
410: first solenoid valve 420: first expansion valve
430: first evaporator 500: second evaporation unit
510: second solenoid valve 520: second expansion valve
530: second evaporator 540: heat exchanger
600: condenser for heating 700: solenoid valve for heating
800: control controller
L1: 1st refrigerant transfer pipe L2: 2nd refrigerant transfer pipe
L3: 1st refrigerant branch L4: 2nd refrigerant branch
L5: 3rd refrigerant transfer pipe L6: 4th refrigerant transfer pipe
L7: Refrigerant branch pipe for heating L8: Refrigerant transfer pipe for heating
F1: freezer compartment R1: refrigerator compartment
T1: first temperature sensor T2: second temperature sensor
Claims (10)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배출시키는 압축기(100); 상기 압축기(100)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00);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배출되어 제1냉매이동관(L1)을 통해 이동한 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저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시키는 메인응축기(300); 상기 메인응축기(300)를 통해 응축된 저온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는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분기된 제1냉매분기관(L3)에 연결되는 제1팽창변(420) 및 제1증발기(4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냉매분기관(L3)의 상기 제1팽창변(420) 설치위치 이전 일 측에 설치되어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냉매분기관(L3)을 이동하는 냉매를 이용해 냉동 탑의 냉장실(R1)에 냉기를 제공하는 제1증발유닛(400); 상기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분기된 제2냉매분기관(L4)에 연결되는 제2팽창변(520) 및 제2증발기(53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냉매분기관(L4)의 상기 제2팽창변(520) 설치위치 이전 일 측에 설치되어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5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냉매분기관(L4)을 이동하는 냉매를 이용해 냉동 탑의 냉동실(F1)에 냉기를 제공하는 제2증발유닛(500);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배출되어 제1냉매이동관(L1)으로부터 분기된 난방용냉매분기관(L7)을 통해 이동한 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저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시키고, 응축된 냉매를 난방용냉매이동관(L8)을 통해 제1냉매이동관(L1)을 거쳐 메인응축기(300)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난방용냉매이동관(L8)을 이동하는 냉매를 이용해 냉동 탑의 냉장실(R1)에 온기를 제공하는 난방용 응축기(600); 상기 난방용냉매분기관(L7)의 제1냉매이동관(L1)으로부터 분기되는 측에 설치되어 난방용냉매분기관(L7)으로부터 상기 난방용 응축기(60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 및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및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컨트롤러(800)를 포함하되,
상기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은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T1); 및
상기 냉동실(F1)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T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1온도센서(T1) 및 제2온도센서(T2)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및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로 제1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온도센서(T2)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동실(F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제2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10)의 개폐를 닫힘상태로 제어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폐를 열림상태로 제어하며,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열림상태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제2기준온도범위의 최댓값은 상기 제1기준온도범위의 최솟값에 비해 낮은 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
In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of a refrigeration tower vehicle for maintaining the refrigeration tower of the refrigeration tower vehicle at a set low temperature for freezing or refrigeration,
A compressor 100 that compresses the sucked refrigerant and discharges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a battery 200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compressor 100; a main condenser (300)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moving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transfer pipe (L1), and flowing into the inside into a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The first expansion valve 420 and the first evaporator 430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branch pipe L3 branched from the second refrigerant transfer pipe L2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condensed through the main condenser 300 is discharged. ), bu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expansion valve 420 b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refrigerant branch pipe L3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second refrigerant transfer pipe L2. A first solenoid valve ( 410), the first evaporation unit 400 providing cold air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R1 of the freezing tower using the refrigerant moving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branch pipe L3; A second expansion valve 520 and a second evaporator 530 connected to a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L4 branched from the second refrigerant pipe L2, wherein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L4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solenoid valve 510 installed on one side b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expansion valve 520 to adjust the flow rate of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second refrigerant transfer pipe L2, and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L4 a second evaporation unit (500) providing cold air to the freezing chamber (F1) of the refrigerating tower by using the refrigerant moving therebetween;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and moving through the heating refrigerant branch pipe L7 branched from the first refrigerant transfer pipe L1,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side is condensed into a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used for heating. The refrigerant is moved to the main condenser 300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transfer tube (L1) through the refrigerant transfer tube (L8), and provides warmth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R1) of the freezing tower by using the refrigerant moving through the refrigerant transfer tube (L8) for heating. A condenser for heating (600); A solenoid valve for heating installed on a side branching from the first refrigerant transfer pipe (L1) of the heating refrigerant branch pipe (L7)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heating condenser (600) from the heating refrigerant branch pipe (L7) ( 700); And a control controller 80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s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10, the second solenoid valve 510 and the heating solenoid valve 700,
The refrigerat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of the freezer car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T1 for sen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1;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emperature sensor (T2) for sen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hamber (F1),
The control controller 800 controls the first solenoid valve 410, the second solenoid valve 510 and heating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s sens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1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T2.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enoid valve 700,
The control controller 800 determines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1 sens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1 is lower than the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does not fall withi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F1)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T2)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does not fall withi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first solenoid valve (41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losed state,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solenoid valve 510 to an open state,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eating solenoid valve 700 to an open state,
A maximum value of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is set to a lower temperature than a minimum value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2냉매이동관(L2)으로부터 상기 제2냉매분기관(L4)으로 분기 이동되는 냉매 유량이 상기 제1냉매분기관(L3)으로 분기 이동되는 냉매 유량에 비해 많도록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폐 정도를 달리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제1팽창변(420) 내 설치되는 제1오리피스의 정격용량은 상기 제2팽창변(520) 내 설치되는 제2오리피스의 정격용량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ontroller 800 determines that the flow rate of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second refrigerant pipe L2 to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L4 is greater than the flow rate of refrigerant branched to the first refrigerant branch pipe L3. While differentl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10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10,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a refrigerat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ed capacity of the first orifice installed in the first expansion valve 420 is smaller than the rated capacity of the second orifice installed in the second expansion valve 520 .
상기 제2증발유닛(500)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설치 위치와 상기 제2팽창변(520) 설치 위치 사이의 상기 제2냉매분기관(L4) 일 측에 설치되어, 개방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10)를 통해 상기 제2냉매분기관(L4) 내로 유입되는 저온 고압의 응축된 냉매를 더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 열교환기(5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팽창변(520)은 상기 열교환기(540)를 거치며 상기 메인응축기(300)를 통해 응축되어 배출되는 저온 고압의 냉매에 비해 더 낮은 온도를 갖춘 저온 고압의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냉매가 상기 제2증발기(530)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vaporation unit 5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L4) betwe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solenoid valve 51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expansion valve 520, and the open first A heat exchanger 540 for cooling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condensed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L4 through the two solenoid valves 510 to a lower temperature; further comprising,
The second expansion valve 520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540 and expands the low-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having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low-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that is condens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main condenser 300 to expand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freezer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o the second evaporator (530).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제1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온도센서(T2)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동실(F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제2기준온도범위 내에 미치지 못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폐를 모두 열림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기준온도범위의 최댓값은 상기 제1기준온도범위의 최솟값에 비해 낮은 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ontroller 800 determines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1 sens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1 is higher than the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does not fall withi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F1)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T2)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does not fall withi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first solenoid valve (4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solenoid valve 510 is controlled in an open state,
A maximum value of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is set to a lower temperature than a minimum value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 내로 판단되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10)의 개폐를 닫힘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메인응축기(300)로부터 상기 제2냉매이동관(L2)으로 배출된 냉매가 상기 제2냉매분기관(L4)으로만 분기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controller 800 opens and closes the first solenoid valve 4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1 detect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1 is within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main condenser (300) to the second refrigerant transfer pipe (L2) is branched and moved only to the second refrigerant branch pipe (L4) by controlling with control system.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상기 제1온도센서(T1)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장실(R1)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범위 내로 판단되면 상기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닫힘상태로 제어하여 제1냉매이동관(L1)으로부터 난방용냉매분기관(L7)을 통해 분기되어 난방용 응축기(600)로 유입되는 냉매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rol controller 800 determines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1 detect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1 is within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heating solenoid valve 700 is opened and closed in a closed state. A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of a refrigeration truc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first refrigerant transfer pipe (L1) through the refrigerant branch pipe (L7) for heating and flowing into the condenser (600) for heating is blocked.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설되어 스마트폰 전용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ontroller 800 has a built-i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is operat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10, the second solenoid valve 510, and the heating solenoid valve 700 through a dedicated smartphone application.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ed trucks.
상기 제어컨트롤러(800)는 타이머 예약모듈이 내설되어 선택적으로 예약설정된 시간에 제1솔레노이드밸브(410), 제2솔레노이드밸브(510), 난방용솔레노이드밸브(700)의 개폐를 제어하면서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1000)에 대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냉동, 냉장 및 난방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ontroller 800 has a timer reservation module installed therein so as to selectiv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10, the second solenoid valve 510, and the solenoid valve 700 for heating at a pre-set time to freeze the refrigeration truck. A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ion tru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be driven for the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100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05642A KR102537519B1 (en) | 2021-08-10 | 2021-08-10 | Froze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refrigerating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05642A KR102537519B1 (en) | 2021-08-10 | 2021-08-10 | Froze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refrigerating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23484A KR20230023484A (en) | 2023-02-17 |
| KR102537519B1 true KR102537519B1 (en) | 2023-05-30 |
Family
ID=8532762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05642A Active KR102537519B1 (en) | 2021-08-10 | 2021-08-10 | Froze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refrigerating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3751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31840A (en) | 2023-08-29 | 2025-03-07 | 주식회사 코뱃 | Battery system for refrigerated vehicl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61563A (en) * | 2001-11-22 | 2003-06-06 | Nippon Kentetsu Co Ltd | Operatio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ed reach-in showcase |
| KR101693303B1 (en) * | 2016-06-27 | 2017-01-17 | 주식회사 이에스티 | Refrigeration and freezing individual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ing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83259B1 (en) | 2010-01-05 | 2010-09-20 | 주식회사 써모렉스 | Refrig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top car |
| KR101180899B1 (en) | 2010-05-31 | 2012-09-07 | 에이텍써모 주식회사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refrigeration top car and thereof control method |
| KR102020944B1 (en) * | 2013-04-16 | 2019-1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1917750B1 (en) | 2018-06-15 | 2019-01-29 | 대지정공주식회사 | A refrigeration vehicle having a refrigerator separated from a vehicle engine |
| KR20200031359A (en) | 2018-09-14 | 2020-03-24 | 김용호 | Refrigerating system for loading box of refrigerator truck |
-
2021
- 2021-08-10 KR KR1020210105642A patent/KR1025375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61563A (en) * | 2001-11-22 | 2003-06-06 | Nippon Kentetsu Co Ltd | Operatio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ed reach-in showcase |
| KR101693303B1 (en) * | 2016-06-27 | 2017-01-17 | 주식회사 이에스티 | Refrigeration and freezing individual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ing vehicl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31840A (en) | 2023-08-29 | 2025-03-07 | 주식회사 코뱃 | Battery system for refrigerated vehic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23484A (en) | 2023-02-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20134842A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US10737552B2 (en) | Vapor injection heat pump and control method | |
| US11179994B2 (en) | Heat pump for automobile | |
| US6708510B2 (en) | Advanced refrigeration system | |
| CN102725597B (en) | Container refrigeration apparatus | |
| KR101917750B1 (en) | A refrigeration vehicle having a refrigerator separated from a vehicle engine | |
| KR100539406B1 (en) | Freezer | |
| US11179999B2 (en) | Heat pump system | |
| US7003975B2 (en) | Heating/cooling circuit for an air-condition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US6679074B2 (en) | Automatic switching refrigeration system | |
| EP2397782A2 (en) | Hot water supply device associated with heat pump | |
| KR101693303B1 (en) | Refrigeration and freezing individual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ing vehicle | |
| KR20190057769A (en) | Heat Pump For a Vehicle | |
| US8522564B2 (en) |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refrigerant recovery arrangement | |
| KR102111322B1 (en) |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 |
| KR102170462B1 (en) |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 |
| CN109855351A (en)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 KR20190032072A (en) | Heat Pump For a Vehicle | |
| KR102537519B1 (en) | Frozen, refrigeration and heating control system of refrigerating vehicle | |
| KR20100064751A (en) | Heat pump system of two step compression type | |
| JP2000304397A (en) | Cold and warm storage cabinet | |
| CN108700348A (en) |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freezing cell compartment and refrigerant-cycle systems and the method for running refrigerating appliance | |
| JP5039504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for land transportatio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ion equipment for land transportation | |
| JP2010076587A (en) | Cabin air-conditioner of transport vehicle | |
| JPH0328672A (en) | Thermal accumulation type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