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055B1 -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 Google Patents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1055B1 KR102531055B1 KR1020210066386A KR20210066386A KR102531055B1 KR 102531055 B1 KR102531055 B1 KR 102531055B1 KR 1020210066386 A KR1020210066386 A KR 1020210066386A KR 20210066386 A KR20210066386 A KR 20210066386A KR 102531055 B1 KR102531055 B1 KR 1025310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bio
- living space
- senso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 A61B5/7257—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using Fourier transfo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Pulmo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생활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 및 상기 신호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변화 추이 정보를 이용하여, 시설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사람들 각각의 건강 상태와 관련한 위험성을 알람으로 경보하는 알람 경보부를 포함한다.A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measuring bio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installed in a living space and sensing a biosignal of each person in the living space; a signal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the bio-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generate change trend information of the bio-signal; and an alarm alarm unit for alerting a facility manager terminal of a risk associated with the health condition of each person by using the change tren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ignal analysis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체 신호 측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교정시설의 생활공간 내의 수용자들에 대해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 하거나, 노인 보호시설의 생활공간 내의 노인들에 대해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bio-signal measur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onitoring vital signals of prisoners in a living space of a correctional facility or monitoring vital signals of elderly people in a living space of an elderly care facility.
최근 근무시간 단축이나 인구 고령화 등의 사회적 변화에 따른 여가의 증가로 중장년 이상 연령대의 등산 등 야외 레저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와 생활 습관 요인 등으로 인해 만성 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중장년 및 노령 인구의 상당수가 여가를 활용하여 등산 등의 레저 활동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고 있다.Recently, outdo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are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leisure due to social changes such as shortened working hours and aging population. Due to population aging and lifestyle factors, chronic diseas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many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manage their health through leisure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using their leisure time.
이렇게 건강을 유지하거나 증진하기 위해 산이나 야외에서 등산 등의 레저 활동을 하는 중에 갑작스러운 신체의 변화로 인해 위험에 처하거나, 추락 및 낙오, 조난 등으로 인해 위험에 처하거나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으로 독립된 고령자가 증가하면서, 실버 관광이 활성화되어 노령층을 중심으로 구성된 관광 상품의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외국의 환자나 노령 인구가 국내에 입국하여 치료나 요양, 관광을 함께 즐기는 의료 관광 분야 또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During leisure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in the mountains or outdoors to maintain or improve health, if you are in danger due to a sudden change in your body, or if you are in danger or have an accident due to a fall, fall, or distress, etc. It is increasing.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economically independent elderly increases, silver tourism is activated, and the proportion of tourism products centered on the elderly is increasing. It is also growing rapidly.
이처럼 고령자나 만성 질환자, 신체 허약자 등이 야외에서 레저를 즐기거나 관광, 여행을 목적으로 활동할 때 신체상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사고의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도소나 구치소 등의 교정시설에 수용된 수용자들이나, 일상생활 중에도 주위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장소나 홀로 사는 만성 질환자 및 노령자에게 갑작스러운 신체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히 조치를 받지 못하여 사망에 이르거나, 조기에 발견하여 조치하지 못해 합병증으로 악화되는 사례가 빈번하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rapid changes in the body always exists when the elderly, chronically ill, physically weak, etc. enjoy outdoor leisure, tourism, or travel. In addition, when a sudden physical abnormality occurs to prisoners confined to correctional facilities such as prisons or detention centers, to places where they cannot get help from their surroundings during daily life, or to chronically ill patients and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y cannot receive prompt action and cause death. There are frequent cases of worsening complications due to early detection or failure to take action.
따라서, 각종 질병을 진단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체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병원과 같은 의료 전문 시설에 구비되는 것으로, 질병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생체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diagnose and manage various diseases, a process of measuring and analyzing bio-signals is required. However, general bio-signal measuring devices are provided in specialized medical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and it is inconvenient to visit a hospital to diagnose a disease. In addition,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monitor vital signs.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603호(발명의 명칭: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공개일자: 2011.10.06.)가 있다.Related prior art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9603 (title of invention: bio-signal measuring devic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 date: 2011.10.06.)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활공간 내 구획된 다수의 방에 각각 비접촉식 센서를 설치하여 생활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현재의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변화된 정도에 따라 건강 상태의 위험을 알려줄 수 있는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non-contact sensors in a plurality of partitioned rooms in the living space, measures the biosignal of each person in the living space, stores it, compares the stored data with the current biosignal,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change. To provide a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that can inform health ris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생활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 및 상기 신호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변화 추이 정보를 이용하여, 시설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사람들 각각의 건강 상태와 관련한 위험성을 알람으로 경보하는 알람 경보부를 포함한다.A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measuring bio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installed in a living space and sensing a biosignal of each person in the living space; a signal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the bio-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generate change trend information of the bio-signal; and an alarm alarm unit for alerting a facility manager terminal of a risk associated with the health condition of each person by using the change tren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ignal analysis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생체 신호와 노이즈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값(nFactor)을 설정하는 센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reference value (nFactor) for distinguishing the biosignal from noise in the sensor unit.
상기 센서 설정부는 상기 생활공간 내 빈 방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한 후, 상기 기초 데이터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상기 기초 데이터의 개수에 대한 하프(Half)값을 구하며, 상기 기초 데이터의 최소값을 구한 후, 상기 평균값, 상기 하프값 및 상기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nFactor를 설정할 수 있다.After the sensor setting unit obtains basic data for empty rooms in the living space, obtains an average value for the basic data, obtains a half value for the number of the basic data, and obtains a minimum value of the basic data, , the nFactor may be set using the average value, the half value, and the minimum value.
상기 센서 설정부는 하기 수학식 1에 상기 평균값, 상기 하프값 및 상기 최소값을 적용하여 산출된 값으로 상기 nFactor를 설정할 수 있다.The sensor setting unit may set the nFactor to a value calculated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the half value, and the minimum value to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nFactor = Max(평균값,Half값) + Min(평균값,Half값) - 최소값nFactor = Max(average value, half value) + Min(average value, half value) - minimum value
상기 알람 경보부는 상기 평균값과 상기 하프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노이즈에 해당하는 허상(ghost)의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nFactor의 설정을 다시 수행하도록 알리기 위한 알림을 발생시켜 상기 시설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and the half value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alarm war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ghost corresponding to the noise is high, and generates a notification to inform the nFactor to be set again. and transmit it to the facility manag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주파수 검출 방식으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bio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biosignals sensed by the sensor unit into a frequency detection method.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time-domain)의 파형 데이터를 추출하고,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추출된 시간 영역의 파형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의 파형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의 파형 데이터로부터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상기 생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ignal conversion unit extracts time-domain waveform data from the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transforms the extracted time-domain waveform data into a frequency-domain waveform through a Fourier transform. data, and the biosignal may be generated by extracting a feature vector from the waveform data in the frequency domain.
상기 센서부는 레이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람들 각각의 심박수, 호흡수, 움직임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더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심박수, 상기 호흡수, 상기 움직임 및 상기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생체 신호로서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radar sensor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heart rate, respiration rate, movement, and blood pressure of each person using a radar principle, and the heart rate, the respiration rate, the movement, and the At least one of blood pressure may be detected as the biosignal.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사람들 각각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열화상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람들 각각의 체온 변화를 통해 상기 사람들 각각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사람들 각각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상기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further includes a thermal image sensor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each of the people,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each of the people through a change in the body temperature of each of the people measured by the thermal image sensor, and The bio-signal can be sensed only when it is recognized as being pres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는 센서부가 상기 생활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신호 분석부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알람 경보부가 상기 신호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변화 추이 정보를 이용하여, 시설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사람들 각각의 건강 상태와 관련한 위험성을 알람으로 경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Living space monitoring method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biosignals of each person in the living space by a sensor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generating change trend information of the biosignal by a signal analysis unit by analyzing the bio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alerting, by an alarm warning unit, a risk associated with the health status of each person to a facility manager terminal by using the change tren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ignal analysis uni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활공간 내 구획된 다수의 방에 각각 비접촉식 센서를 설치하여 사람들 각각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현재의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변화된 정도에 따라 건강 상태의 위험을 알려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n-contact sensors are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divided rooms in the living space to measure and store the bio-signals of each person, compare the stored data with the current bio-signals, and measure health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It can tell you the danger of the cond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 센서의 자동 튜닝 설정을 통해 측정 대상의 미감지 오류 또는 노이즈에 해당하는 허상(ghost)이 감지되는 오류를 개선하여 생활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의 생체 신호 측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rror in which a ghost corresponding to noise or an undetected error of a measurement target is detected through automatic tuning setting of a radar sensor is improved to measure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efficiency of each person in a living space. can impro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부의 일례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부에서 생체 신호와 노이즈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값(nFactor)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reference value (nFactor) for distinguishing a biological signal from noise in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living space monitoring method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arried out below are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al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system functions common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ne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conventionally used components among the omitted functional configurations not shown below, and also the omitted configur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and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ption" and other similar terms of signals or information refer to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as well as passing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as a component indicat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does not mean a direct destination. The same is true for "recept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센서부(110), 센서 설정부(120), 신호 변환부(130), 신호 분석부(140), 알람 경보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활공간은 교정시설, 노인 보호시설, 댁내 등과 같이 다양한 생활공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생활공간을 상기 교정시설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 및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이 아님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1 , a living
상기 센서부(110)는 교정시설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교정시설 내에 수용된 수용자들 각각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교정시설 내 구획된 다수의 공간(방) 각각에 설치되되, 상기 수용된 수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센서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심박수, 호흡수, 움직임, 혈압 등을 측정하는 레이더 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레이더 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심박수, 상기 호흡수, 상기 움직임, 혈압 등을 상기 생체 신호로서 감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상기 센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열화상 센서(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화상 센서(112)는 상기 레이더 센서(111)에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열화상 센서(112)는 상기 레이더 센서(111)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열화상 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체온 변화를 통해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수용자들 각각이 상기 교정시설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상기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The
즉,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열화상 센서(112)를 통해 상기 수용자들 각각이 상기 교정시설 내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자들 각각이 상기 교정시설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해서 상기 레이더 센서(111)를 동작시켜 상기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더 센서(111)의 부하를 줄여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교정시설 내에 수용된 수용자들 각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상기 생체 신호의 감시 시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센서부(110)에서 상기 생체 신호와 노이즈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값(nFactor)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에 포함된 상기 레이더 센서(111)는 그 방식에 있어서 측정하려는 대상 이외에 허상(ghost)을 감지할 수 있다.The
이는 상기 교정시설 내 빈 방에 사람(수용자)이 없을 때도 있는 것처럼 나타나기도 하고, 사람이 있을 때에도 없는 것처럼 미감지되는 현상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미감지 현상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 설정부(120)를 통해 알고리즘이 추가된 레이더 센서(111)를 제공할 수 있다.This causes a phenomenon that sometimes appears as if there are no people (prisoners) in an empty room in the correctional facility, or is not detected even when there are people.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먼저 상기 교정시설 내 빈 방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기초 데이터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기초 데이터의 개수에 대한 하프(Half)값을 구한다. 이후,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기초 데이터의 최소값을 구한다.To this end, referring to FIG. 4 , the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 상기 평균값, 상기 하프값 및 상기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nFactor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하기 수학식 1에 상기 평균값, 상기 하프값 및 상기 최소값을 적용하여 산출된 값으로 상기 nFactor를 설정할 수 있다.The
[수학식 1][Equation 1]
nFactor = Max(평균값,Half값) + Min(평균값,Half값) - 최소값nFactor = Max(average value, half value) + Min(average value, half value) - minimum value
여기서, 상기 하프(Half)값은 입력된 신호의 개수가 50:50으로 구분될 수 있는 값을 나타내며, 상기 평균값은 입력된 모든 신호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더 센서(111) 설치 후 자동 튜닝(알고리즘 추가)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half value represents a value in which the number of input signals can be divided into 50:50, and the average value represents the average value of all input signals. As mentioned above, Equation 1 may be used for automatic tuning (algorithm addition) after installing the
상기 신호 변환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주파수 검출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파형 검출 방식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보다 주파수 검출 방식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기 때문이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검출 방식으로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 변환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파형 검출 방식의 생체 신호를 상기 주파수 검출 방식의 생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signal of the waveform detection method is converted into the biosignal of the frequency detection method by using the
즉, 상기 신호 변환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센싱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time-domain)의 파형 데이터를 추출하고,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추출된 시간 영역의 파형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의 파형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신호 변환부(130)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파형 데이터로부터 특징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 변환부(130)는 고역 통과 필터(HPF: High Pass Filter)를 통해 저주파 대역의 신호는 제거하고 고주파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상기 특징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변환부(130)는 상기 추출된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검출 방식의 생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상기 교정시설 내 특정 방에 있는 어떤 수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수용자의 생체 신호를 상기 주파수 검출 방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heart rate of an inmate in a specific room in the correctional facility, a method of converting the biosignal of the inmate to the frequency det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레이더 센서(도 2의 "111" 참조)를 통해 동물의 심박 파형을 추출한다. 이어서, 상기 추출한 파형 데이터는 시간 축(time-domain)의 파형으로 이를 주파수 축(frequency-domain) 파형으로 변환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필터링을 할 수도 있다. 이론적으로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통해 변환한다.First, the animal's heartbeat waveform is extra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refer to 111 in FIG. 2 ). Next, the extracted waveform data is a time-domain waveform and converted into a frequency-domain waveform. At this time, filtering may be performed as necessary. Theoretically transform through Fourier Transform.
상기 주파수 축 파형으로 변환하는 이유는 frequency-domain에서 파형의 크기가 time-domain에서 파형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노이즈와 신호를 구분하기 더욱 용이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상기 레이더 센서의 특성상, 측정 대상의 크기에 따라 심박 파형의 크기가 비례한다.The reason for converting to the frequency domain waveform is that it is easier to distinguish between noise and signal because the amplitude of the waveform in the frequency-domain is greater than the amplitude of the waveform in the time-domain. For refere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ar sensor, the size of the heartbeat waveform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measurement target.
다음으로, frequency-domain에서 심박 파형으로 주파수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에는 이렇게 얻어진 주파수를 파형의 주기로 환산한 후 심박수를 계산한다.Next, the frequency is extracted as a heartbeat waveform in the frequency-domain. Then, the frequency obtained in this way is converted into the period of the waveform, and then the heart rate is calculated.
상기 신호 분석부(14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신호 분석부(140)는 상기 신호 변환부(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주파수 검출 방식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예컨대, 상기 신호 분석부(140)는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심박수와 호흡수가 측정되면 이를 분석하여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심박수와 호흡수 각각의 변화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심박수와 호흡수 각각의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또한, 상기 신호 분석부(140)는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움직임(모션)이 측정되면 이를 분석하여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모션 변화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모션 변화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모션에 관한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tion (motion) of each of the audience is measured through the
상기 알람 경보부(150)는 상기 신호 분석부(140)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변화 추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건강 상태와 관련한 위험성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험성 지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The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산출된 위험성 지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알람 경보부(150)는 시설 관리자 단말기(시설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건강 상태와 관련한 위험성을 알람으로 경보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calculated risk index is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상기 알람 경보부(150)는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건강 상태와 관련한 위험성을 알람으로 경보할 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센서부(110)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함께 상기 시설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한편, 상기 알람 경보부(150)는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평균값과 상기 하프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노이즈에 해당하는 허상(ghost)의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and the half value in Equation 1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이에 따라, 상기 알람 경보부(150)는 상기 nFactor의 설정을 다시 수행하도록 알리기 위한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생된 알림을 상기 시설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100), 즉 상기 센서부(110), 상기 센서 설정부(120), 상기 신호 변환부(130), 상기 신호 분석부(140), 상기 알람 경보부(15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기 교정시설 내에 설치된 모니터링 단말기(미도시)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서 해당 생체 신호를 전달하여 데이터베이스(DB)(610)에 저장함으로써 생체 신호 관련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빅데이터에 기반한 딥러닝(Deep-Learning)을 통해 동물의 건강 관리 관련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즈니스 모델은 동물병원, 보험사, 연구소 등과 같이 건강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업체나 기관 등에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ving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The device can be commanded.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tended to be interpreted by or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5 to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living space monitoring method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설명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아래와 같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thod described here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than that, various steps may be added as follows, and the following steps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order,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each step described and its order.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센서부(110)에서 상기 생체 신호와 노이즈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값(nFactor)을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5 , in
이에 대해 도 6을 더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610)에서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교정시설 내 빈 방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6 . First, in
이후, 단계(620)에서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기초 데이터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한다.Then, in
이후, 단계(630)에서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기초 데이터의 개수에 대한 하프(Half)값을 구한다.Then, in
이후, 단계(640)에서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기초 데이터의 최소값을 구한다.Then, in
이후, 단계(650)에서 상기 센서 설정부(120)는 상기 평균값, 상기 하프값 및 상기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nFactor를 설정할 수 있다.Then, in
다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20)에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교정시설 내에 수용된 수용자들 각각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센서 설정부(120)에 의해 자동 튜닝됨으로써 미감지 및 허상(ghost)의 오류를 개선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5 , in
다음으로, 단계(530)에서 상기 신호 변환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주파수 검출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Next, in
이에 대해 도 7을 더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710)에서 상기 신호 변환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센싱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time-domain)의 파형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7 . First, in
이후, 단계(720)에서 상기 신호 변환부(130)는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추출된 시간 영역의 파형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의 파형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n, in
이후, 단계(730)에서 상기 신호 변환부(130)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파형 데이터로부터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상기 생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n, in
다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40)에서 상기 신호 분석부(14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분석부(140)는 상기 신호 변환부(130)에 의해 상기 주파수 검출 방식으로 변환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5 , in
다음으로, 단계(550)에서 상기 알람 경보부(150)는 상기 신호 분석부(140)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변화 추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수용자들 각각의 건강 상태와 관련한 위험성을 알람으로 경보할 수 있다.Next, in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d ar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10: 센서부
111: 레이더 센서
112: 열화상 센서
120: 센서 설정부
130: 신호 변환부
140: 신호 분석부
150: 알람 경보부
160: 제어부110: sensor unit
111: radar sensor
112: thermal image sensor
120: sensor setting unit
130: signal converter
140: signal analysis unit
150: alarm warning unit
160: control unit
Claims (10)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변화 추이 정보를 이용하여, 시설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사람들 각각의 건강 상태와 관련한 위험성을 알람으로 경보하는 알람 경보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생체 신호와 노이즈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값(nFactor)을 설정하는 센서 설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설정부는
상기 생활공간 내 빈 방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한 후, 상기 기초 데이터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상기 기초 데이터의 개수에 대한 하프(Half)값을 구하며, 상기 기초 데이터의 최소값을 구한 후, 상기 평균값, 상기 하프값 및 상기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nFactor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and detecting bio signals of each person in the living space;
a signal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the bio-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generate change trend information of the bio-signal;
an alarm alarm unit for alerting a facility manager terminal of a risk related to the health status of each person by using the change tren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ignal analyzer; and
A sensor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reference value (nFactor) for distinguishing the biological signal from the noise in the sensor unit.
including,
The sensor setting unit
After obtaining basic data for empty rooms in the living space, obtaining an average value for the basic data, obtaining a half value for the number of the basic data, and obtaining a minimum value of the basic data, the average value,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nFactor using the half value and the minimum value.
상기 센서 설정부는
하기 수학식 1에 상기 평균값, 상기 하프값 및 상기 최소값을 적용하여 산출된 값으로 상기 nFactor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수학식 1]
nFactor = Max(평균값,Half값) + Min(평균값,Half값) - 최소값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setting unit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nFactor is set to a value calculated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the half value, and the minimum value to Equation 1 below.
[Equation 1]
nFactor = Max(average value, half value) + Min(average value, half value) - minimum value
상기 알람 경보부는
상기 평균값과 상기 하프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노이즈에 해당하는 허상(ghost)의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nFactor의 설정을 다시 수행하도록 알리기 위한 알림을 발생시켜 상기 시설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larm warning unit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and the half value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ghost corresponding to the noise is high, and a notification is generated to notify the facility manager to re-set the nFactor.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생체 신호를 주파수 검출 방식으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bio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into a frequency detection method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time-domain)의 파형 데이터를 추출하고,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추출된 시간 영역의 파형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의 파형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의 파형 데이터로부터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상기 생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signal converter
Extracting time-domain waveform data from the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converting the extracted time-domain waveform data into frequency-domain waveform data through Fourier transform, ,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biosignal by extracting a feature vector from the waveform data in the frequency domain.
상기 센서부는
레이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람들 각각의 심박수, 호흡수, 움직임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더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심박수, 상기 호흡수, 상기 움직임 및 상기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생체 신호로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part
A radar sensor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 breathing rate, movement, and blood pressure of each person using a radar principl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 the breathing rate, the movement, and the blood pressure measured by the radar sensor is included. A bio-signal measurement-based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one as the bio-signal.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사람들 각각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열화상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람들 각각의 체온 변화를 통해 상기 사람들 각각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사람들 각각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상기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기반의 생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sensor part
Further comprising a thermal image sensor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each of the people,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each of the people through a change in the body temperature of each of the people measured by the thermal image sensor, and determining that each of the people exists.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bio-signal only when recogniz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66386A KR102531055B1 (en) | 2021-05-24 | 2021-05-24 |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66386A KR102531055B1 (en) | 2021-05-24 | 2021-05-24 |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58498A KR20220158498A (en) | 2022-12-01 |
| KR102531055B1 true KR102531055B1 (en) | 2023-05-10 |
Family
ID=844405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66386A Active KR102531055B1 (en) | 2021-05-24 | 2021-05-24 |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3105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62057B1 (en) | 2024-03-20 | 2025-02-03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through public digital healthcare multi-measurement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60102B1 (en) * | 2018-08-17 | 2019-12-30 | 주식회사 이에스피 | Method for managing aging and vulnerability behaviors using ultra wide band |
| KR102139048B1 (en) * | 2020-01-22 | 2020-07-30 | 주식회사 피플멀티 |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of pregnancy animal using smart health care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48083A (en) * | 2007-11-09 | 2009-05-13 | 주식회사 휴민텍 | Multi-User Based Health Care Services |
| KR101866517B1 (en) * | 2016-11-03 | 2018-06-12 | 비아이에스웍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sleep apnea using UWB radar |
| KR102354642B1 (en) * | 2019-09-18 | 2022-01-27 | 김지민 |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reof |
-
2021
- 2021-05-24 KR KR1020210066386A patent/KR1025310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60102B1 (en) * | 2018-08-17 | 2019-12-30 | 주식회사 이에스피 | Method for managing aging and vulnerability behaviors using ultra wide band |
| KR102139048B1 (en) * | 2020-01-22 | 2020-07-30 | 주식회사 피플멀티 |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of pregnancy animal using smart health care apparatu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62057B1 (en) | 2024-03-20 | 2025-02-03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through public digital healthcare multi-measurement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58498A (en) | 2022-12-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1563028B (en) | Patie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
| US20210063214A1 (en) | Activit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
| US11051768B1 (en) | Determining when to emit an alarm | |
| US20210065891A1 (en) | Privacy-Preserving Activit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
| US20200178903A1 (en) | Pati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having severity prediction and visualization for a medical condition | |
| KR20180136770A (en) | remote management and monitering system for old and infirm | |
| KR20210154675A (en) | System of providing complex living support solution by monitoring and analyzing biosigna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US1049004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patient distress | |
| Gahane et al. | An analytical review of heart failure detection based on IoT and machine learning | |
| US20210177300A1 (en) | Monitoring abnormal respiratory events | |
| CN117174311A (en) | Post-traumatic sepsis cours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method and application | |
| KR102531055B1 (en) |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 |
| WO2021207138A1 (en) | Contactless vital sign monitoring of multiple subjects in real-time | |
| KR102547874B1 (en) | Bed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nd bio-signal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 |
| US1241784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monitoring and early prediction of a person | |
| US10354512B2 (en) | Peripheral alarm devices for generating alarms and monitoring systems including alarm devices | |
| KR102593851B1 (en) | System for monitoring vital signs of animal in shelter | |
| Panagiotou et al. | A multi: modal decision making system for an ambient assisted living environment | |
| KR10215743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mergency with wearable devices | |
| KR102641249B1 (en) | Multi radar sendor-based biosignal measurement system | |
| JP7639274B2 (en) |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rained model generation device, and program | |
| KR102331753B1 (en) | Smart stethoscopes and control method for animals | |
| KR102527271B1 (en) |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 using radar sensor | |
| KR101589281B1 (en) | System for management of information | |
| US20230073613A1 (en) | Automatic classification of heart sounds on an embedded diagnostic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