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175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tem diary in on-line ga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tem diary in on-line g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3175B1 KR102533175B1 KR1020170168634A KR20170168634A KR102533175B1 KR 102533175 B1 KR102533175 B1 KR 102533175B1 KR 1020170168634 A KR1020170168634 A KR 1020170168634A KR 20170168634 A KR20170168634 A KR 20170168634A KR 102533175 B1 KR102533175 B1 KR 102533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tem
- diary
- user
- online game
- commun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9—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unlocking hidden game elements, e.g. features, item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유저의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유저에 대한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유저의 단말에 제공하고,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통한 편집 결과에 따라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 단계와; 유저의 공개 요청에 따라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의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를 위한 커뮤니티에 게시하여 다른 유저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단계와;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한 다른 유저의 확산 요청에 따라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는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in an online game are disclosed. A method for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tem diary editor capable of editing information about an item-related event and information about a user to a user's terminal when an item-related event occurs during a user's online game play; an item diary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n item diary corresponding to an item-related event according to an editing result through an item diary editor; an item diary publishing step of posting the item diary to a community for disclosing the item diary in the online game according to a user's disclosure request, and controlling it so that other users can view it; and an item diary dissemination step of sharing the item diary with other communities in the online game according to a request for dissemination by other users who have viewed the item diary posted in the item diary public commun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 이용되는 게임 아이템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레이어의 게임 아이템 획득 순간이나 강화 순간에 대한 기록을 저장한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ame items used in online gam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storing a record of a player acquiring a game item or reinforcing a game item.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들의 개인 역량은 게임 플레이시의 조작뿐만 아니라 플레어어들이 소지한 아이템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실시간 롤플레잉 게임(RPG: Role Playing Game)에서는 방대한 아이템을 제공하며, 제작자의 창작에 기초한 아이템의 특성과 종류 역시 거의 무제한이다. Players' personal capabilities in online games are largely influenced not only by operations during game play but also by items possessed by players. In particular, a real-time role-playing game (RPG), which has recently been in the limelight, provides a vast number of item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items based on the creator's creation are also almost unlimited.
게임 아이템은 온라인 게임에서 규정한 하나 이상의 속성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속성 정보가 나타내는 아이템의 성능이나 레벨에 따라 게임 내에서 조작에 적용되는 게임 엔진의 속성이 가변되는바, 플레이어는 착용한 아이템에 따라 게임 엔진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Game items have one or more attribute information specified in online games, and the attribute of the game engine applied to operation in the game vari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r level of the item represented by this attribute information. You can feel the changes in the game engine.
이러한 아이템의 활용은 게임을 수행하는 유저들의 즐거움 및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바, 게임 플레이를 해오면서 자신이 획득하거나 강화시킨 아이템들의 히스토리를 저장하여 보관하고 다른 유저들에게 아이템 관련 소식을 알려 자랑하고 싶은 유저들의 욕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Utilization of these items is positioned as an element that enhances the enjoyment and satisfaction of users who play the game, and stores and stores the history of items that they have acquired or strengthened while playing the game, and provides news about items to other users. The desire of users who want to show off is grow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아이템의 획득이나 강화 등 아이템과 관련된 일련의 이벤트를 기록하고 이를 다른 유저들과 공유할 수 있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tem diary service that can record a series of events related to items, such as acquiring or strengthening items, and share them with other users.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유저의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발생된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유저에 대한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상기 유저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통한 편집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 단계와; 상기 유저의 공개 요청에 따라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의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를 위한 커뮤니티에 게시하여 다른 유저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단계와;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한 다른 유저의 확산 요청에 따라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는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tem-related event occurs during a user's online game play, a server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in an online game, An item diary editor capable of editing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item-related event and information on the user is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an item diary corresponding to the item-related event according to an editing result through the item diary editor. an item diary creation step of generating a; an item diary publishing step of posting the generated item diary to a community for publishing the item diary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the user's disclosure request, and controlling it so that other users can view it; An item diary dissemination step of sharing the item diary with other communities in the online game according to a request for dissemination of another user who has viewed the item diary posted in the item diary open community.
상기 아이템 관련 이벤트는, 상기 유저의 아이템 획득, 상기 유저의 아이템의 소멸, 상기 유저의 아이템 강화 성공 또는 상기 유저의 아이템 강화 실패시 발생될 수 있다.The item-related event may occur when the user obtains an item, the user disappears the item, the user succeeds in strengthening the item, or the user fails to strengthen the item.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는, 상기 유저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형 정보와 상기 유저의 소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정형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tem diary editor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structured information including basic data about the user and unstructured information including social data of the user.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단계는,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다른 유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카드뷰 형태로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에 댓글이 입력되면 해당 아이템 다이어리와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다른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드뷰 형태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상세 정보를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ublishing the item diary, the generated item diary is posted to the item diary open community in the form of a card view that allows interaction with other users, and when a comment is input to the item diary, i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item diary. Furthe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ard view form according to a request of another user.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 단계는, 상기 다른 유저가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면,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와 함께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에 대한 북마크 및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한 유저의 아이템 다이어리 신규 생성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다른 커뮤니티 상에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preading the item diary, when the other user shares the item diary with other communities within the online game, a bookmark for the item diary and a new item diary of the user who created the item diary are created together with the item diar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etting a notification on the other communit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한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복수의 유저 단말과; 상기 유저 단말과 연결되어 온라인 게임 내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An item diar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executing game clients for playing online games; An item diary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in an online game;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제공 서버는, 유저의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유저에 대한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통한 상기 유저의 편집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부와; 상기 유저의 공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의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를 위한 커뮤니티에 게시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부와;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한 다른 유저의 확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는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부와;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 및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를 위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의 목록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tem diary providing server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that analyzes whether an event related to an item occurs during a user's online game play; When the item-related event occurs, generating an item diary corresponding to the item-related event according to the editing result of the user through an item diary editor capable of editing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item-related ev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 item diary generator; an item diary publishing unit for posting the created item diary to a community for publishing an item diary in an online game when the user's disclosure request is received; an item diary dissemination unit for sharing the item diary with other communities within the online game when a request for dissemination from another user who browses the item diary posted in the item diary open community is received;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generated item diary and a list of item diaries posted in a community for disclosing the item diary.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템의 획득이나 강화 등 아이템과 관련된 일련의 이벤트를 기록하고 이를 다른 유저들과 공유할 수 있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tem diary service capable of recording a series of events related to items, such as acquiring or strengthening items, and sharing them with other use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템의 획득이나 강화 성공시뿐만 아니라 아이템의 소멸이나 강화 실패의 순간에 대한 기록까지 아이템 다이어리로 만들어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유저가 원하는 대로 아이템 다이어리를 편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tem diary can be created and automatically stored not only when an item is acquired or strengthened successfully, but also when an item disappears or when strengthening fails, and the item diary can be edited as desir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의 아이템 관련 소식을 다양한 형태로 확산시키고 유저들 간의 교류를 증대시켜 게임에 대한 흥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interest in the game by spreading news related to items of users in various forms and increasing exchanges between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 강화의 실패시 또는 아이템 강화의 성공시 아이템 다이어리의 편집을 요청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중인 아이템 다이어리의 미리보기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가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람중인 아이템 다이어리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람중인 아이템 다이어리를 타 커뮤니티에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item diary service providing system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screen for requesting editing of an item diary when item reinforcement fails or item reinforcement succee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tem diary ed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preview screen of an item diary being edi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screen on which an item diary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ted in an item diary public community.
7 illustrates a screen showing detailed information of an item diary being brow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haring an item diary being browsed to other commun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preced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mean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서, 아이템 다이어리는 아이템의 획득/소멸/강화 성공/강화 실패 등 유저의 플레이 중에 발생된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tem diary is for storing a record of item-related events occurring during a user's play, such as item acquisition/disappearance/enhancement success/enhancement fail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item diary service providing system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게임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유저의 단말(10),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하고 확산시키는 복수의 타 유저의 단말(11), 그리고 유저 단말1(10)에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아이템 다이어리 편집 및 생성을 지원하고 유저 단말2(11)에서 타 유저가 아이템 다이어리를 조회하고 확산시키도록 제어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item diary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es a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서버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서버(20)와 물리적으로 동일 또는 별개의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게임 서버는 유저 단말(10, 11)로 온라인 게임의 실행을 위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동시 접속한 게임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유저들의 온라인 게임 내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타 유저들과 실시간 공유한다.The game server providing the online game service may be physically implemented in the same computing device as the item diary
유저 단말(10, 11)은 게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실행하여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임 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유저는 유저 단말1(10)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서버(20) 및/또는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거나 게임 아이템을 강화한다.The
유저 단말(10, 11)과 연결되어 온라인 게임 내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유저의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 발생 순간의 기록을 아이템 다이어리로 생성하여 보관하고, 타 유저에게 이를 공개하며 다양한 게임 내 커뮤니티를 통해 많은 유저들이 볼 수 있도록 확산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item diary
아이템 다이어리 제공 서버(20)는, 유저의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모니터링부,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유저에 대한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유저 단말1(10)에 제공하고, 이를 통한 유저의 편집 결과에 따라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부, 유저 단말1(10)로부터 공개 요청이 수신되면,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의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를 위한 커뮤니티에 게시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부,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한 다른 유저의 확산 요청이 수신되면, 아이템 다이어리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는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부, 그리고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 및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를 위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의 목록 등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tem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저가 자신의 아이템 다이어리를 원하는대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 편집 완료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플레이어별로 게시하고 공개할 수 있는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용 커뮤니티, 그리고 공개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하는 타 유저가 이를 다른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tem diary editor, which i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users to edit their item diary as desired, and an item diary disclosure community that can post and disclose edited item diaries for each player. ,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other users browsing the open item diary to expand sharing through other communiti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21에서는, 유저 단말1(10)에서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는 유저의 플레이를 모니터링하여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상황을 분석한다. 아이템 관련 이벤트는, 유저의 아이템 획득, 아이템 소멸, 아이템의 강화 성공, 아이템의 강화 실패 등 아이템과 관련한 특정 사건이 발생한 순간을 나타낸다.In step S21, the play of the user playing the online game in the user terminal 1 10 is monitored to analyze whether an event related to an item occurs. An event related to an item indicates a moment when a specific event related to an item occurs, such as a user's acquisition of an item, disappearance of an item, success in strengthening an item, or failure in strengthening an item.
단계 S22에서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3으로 진행하고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한다. 아이템 다이어리를 편집하고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유저에 대한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가 제공될 수 있다. 유저는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만들 수 있으며,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통한 편집 결과에 따라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될 것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 that an event related to an item has occurr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3 and an item diary is created by processing data for the event. A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and creating an item diary is provided, and an item diary editor capable of editing information on item-related events and information on the use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user can create an item diary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event as desired by using the item diary editor, and the item diary will be created according to the editing result through the item diary editor.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에서 편집 가능한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정보에는, 이벤트의 유형, 유저의 코멘트, 메시지 스티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유저에 대한 정보에는 유저의 아이디, 레벨, 혈맹, 보유 장비, 친구 추가 QR 코드, 강화 스토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events related to items that can be edited in the item diary editor may include event types, user comments, message stickers, etc. Information about users includes the user's ID, level, clan, possessed equipment, and friend addition QR code. , reinforcing stories, etc. may be included.
유저에 대한 정보는 아이디, 레벨, 혈맹, 보유 장비 등의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형 정보와 친구 추가 QR 코드, 강화 스토리 등의 소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정형 정보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에 포함될 수 있다.User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into structured information, including basic data such as ID, level, clan, and possessed equipment, and unstructured information, including social data, such as QR codes for adding friends and reinforced stories, and each information can be edited. An available user interface may be included in the item diary editor.
단계 S24는 가공 데이터를 타인이 열람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단계로, 유저의 공개 요청에 따라 상기와 같이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의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를 위한 커뮤니티에 게시하여 다른 유저가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한다.Step S24 is an item diary disclosure step in which the processed data is made available for viewing by others.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for disclosure, the item diary created as described above is posted to a community for disclosing the item diary in the online game so that other users can view it. disclosed so that
아이템 다이어리를 다른 유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카드뷰 형태로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하고, 아이템 다이어리에 댓글이 입력되면 해당 아이템 다이어리와 연관시켜 저장하고, 다른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드뷰 형태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상세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The item diary is posted in the item diary open community in the form of a card view that allows other users to interact, and when a comment is entered in the item diary, i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tem diary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card view at the request of other users You can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단계 S25는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 단계로,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한 다른 유저의 확산 요청에 따라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켜서 공유의 범위를 확산한다.Step S25 is an item diary dissemination step, in which the item diary is shared with other communities within the online game to spread the scope of sharing according to a request for dissemination by other users who have viewed the item diary posted in the item diary open community.
다른 유저가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면, 아이템 다이어리와 함께 아이템 다이어리에 대한 북마크 및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한 유저의 아이템 다이어리 신규 생성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다른 커뮤니티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When another user shares the item diary with another community within the online game, a bookmark for the item diary and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etting a notification when a new item diary is created by the user who created the item diary are displayed on the other community together with the item diary. can provi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 강화의 실패시 또는 아이템 강화의 성공시 아이템 다이어리의 편집을 요청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 screen for requesting editing of an item diary when item reinforcement fails or item reinforcement succee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가 아이템 강화에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강화의 결과 화면의 편집과 공유가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enable editing and sharing of a screen resulting from reinforcement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succeeds or fails in reinforcing the item.
도 3의 (a)를 참조하면, 유저가 아이템의 강화에 실패하여 해당 장비가 증발한 경우에도 아이템 강화 실패의 순간을 기록한 아이템 다이어리를 바로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는 '공유' 버튼과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 전에 유저가 원하는 대로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버튼이 제공된다.Referring to (a) of FIG. 3, even if the user fails to enhance an item and the corresponding equipment evaporates, a 'Share' button and an item diary can be created to immediately create and share an item diary recording the moment of item strengthening failure. Before, an 'Edit' butt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dit as desired.
도 3의 (a) 화면에서 유저가 '공유'를 선택하면, 서버(20)는 강화 실패에 대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기본 정보만을 포함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공개할 것이다.If the user selects 'Share' on the screen (a) of FIG. 3, the
도 3의 (a) 화면에서 유저가 '편집'을 선택하면, 서버(20)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여 공유하기 전에 편집할 수 있도록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제공할 것이다.If the user selects 'edit' on the screen (a) of FIG. 3 , the
도 3의 (b)를 참조하면, 유저가 아이템의 강화에 성공하였으며, 강화된 아이템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아이템 강화 성공의 순간을 기록한 아이템 다이어리를 바로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는 '공유' 버튼과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 전에 유저가 원하는 대로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버튼이 제공된다.Referring to (b) of FIG. 3, the user has succeeded in strengthening the item, and a 'Share' button that allows the user to immediately create and share an item diary recording the moment of item strengthening success along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perties of the reinforced item. and an 'Edit' button that the user can edit as desired before creating the item diary.
도 3의 (b) 화면에서 유저가 '공유'를 선택하면, 서버(20)는 강화 성공에 대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기본 정보만을 포함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여 공개할 것이다.If the user selects 'share' on the screen (b) of FIG. 3, the
도 3의 (b) 화면에서 유저가 '편집'을 선택하면, 서버(20)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여 공유하기 전에 편집할 수 있도록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제공할 것이다.If the user selects 'edit' on the screen (b) of FIG. 3,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의 (b)에서 '편집'을 선택한 경우 유저 단말1(10)의 화면에 제공되는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예시한 것이다.FIG. 4 i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tem diary ed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tem diary editor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10) when 'edit' is selected in FIG. it is foreshadowed
도 4를 참조하면,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는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는 아이템 정보 영역(41)과, 유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유저 정보 중 아이템 다이어리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플레이어 정보 입력 영역(4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어 정보 입력 영역(42)에서 유저는 플레이어 아이디, 레벨, 혈맹명, 착용장비, 강화 아이템, 친구 추가 QR 등의 플레이어 정보 중 어느 것을 아이템 다이어리에 포함시키고 어느 것을 포함시키기 않을지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item diary editor includes an
또한,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는 강화 스토리 코멘트 등 유저의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코멘트 입력 영역(43)과, 메시지 스티커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스티커 입력 영역(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도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는 아이템 강화 성공을 자축하기 위한 인증샷을 삽입하고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tem diary editor may include a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에서 선택 또는 삽입되는 내용에 따라 아이템 다이어리의 포맷은 자동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아이템 다이어리의 레이아웃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저의 편집에 따라 동적으로 디자인이 변경된다.The format of the item diary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selected or inserted in the item diary editor. That is, the layout of the item diary cre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ixed, but the design is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editing.
유저가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에서 아이템 다이어리를 원하는 대로 편집하고 꾸민 후에, '미리보기'(45)를 선택하면 아이템 다이어리 게시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공유'(46)를 선택하면 편집의 결과에 따라 아이템 다이어리가 생성되고 아이템 다이어리를 공개하는 용도의 커뮤니티에 게시된다.After the user edits and decorates the item diary in the item diary editor as desired, if the user selects 'Preview' (45), the item diary can be checked in advance before being posted. A diary is created and posted to the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item diary public.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중인 아이템 다이어리의 미리보기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5 illustrates a preview screen of an item diary being edi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에서 편집되는 아이템 다이어리가 어떤 모습인지 미리 확인하기 위해 '미리보기'(45)를 선택하면, 도 5와 같이 공유하고자 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이미지의 미리보기가 가능하다.If 'Preview' 45 is selected to check in advance what the item diary edited in the item diary editor of FIG. 4 will look like, a preview of the item diary image to be shared is possible as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편집중인 아이템 다이어리는 관련 유저에 대한 정보(51, 53), 유저가 입력한 코멘트(52), 해당 아이템에 대한 정보(54), 친구 추가 QR(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item diary being edited may include information on related users (51, 53), comments input by the user (52),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item (54), friend addition QR (55), and the like. ca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가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 screen on which an item diary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ted in an item diary public community.
도 4의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에서 '공유'(46)를 선택하면 아이템 다이어리가 생성되어 도 6과 같은 마이 아이템 다이어리에 게시된다. 마이 아이템 다이어리는 플레이어별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할 수 있는 전용 커뮤니티로, 아이템 다이어리들이 카드뷰 형태로 게시된다.When 'Share' 46 is selected in the item diary editor of FIG. 4 , an item diary is created and posted in My Item Diary as shown in FIG. 6 . My Item Diary is a dedicated community where each player can browse item diaries, and item diaries are posted in the form of a card view.
일 실시예에서,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유저 단말1(10)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게임 외부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외부 공간에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더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user interface element capable of storing the generated item diary in a local storage of the user terminal 1 10 or sharing it in an external space such as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utside the game may be further provided.
도 6을 참조하면, 해당 유저의 아이템 다이어리 목록에는 기 생성되어 게시된 2개의 아이템 다이어리(60)가 존재하며, 새로이 생성되는 '마족검+6'에 대한 아이템 다이어리(61)가 추가로 게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re are two previously created and posted
유저는 도 6과 같은 플레이어별 아이템 다이어리 목록에서 일자별 아이템 획득/소멸/강화 현황을 열람할 수 있으며, 원하는 아이템 다이어리의 상세 정보를 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람중인 아이템 다이어리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The user can view item acquisition/extinction/enhancement status by date in the item diary list for each player as shown in FIG. 6 and view detailed information of a desired item diary. 7 illustrates a screen showing detailed information of an item diary being brow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유저는 아이템 다이어리에서 유저 정보를 선택하여 아이템 강화 히스토리를 열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view the item reinforcement history by selecting user information in the item diary.
또한, 유저는 도 7과 같은 상세 화면에서 열람중인 아이템 다이어리에 축하나 격려의 댓글을 입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들이 입력한 댓글은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61)에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표시된다.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congratulatory or encouraging comments to the item diary being browsed on the detailed screen as shown in FIG. 7 . As shown in FIGS. 6 and 7 , comments input by users are reflected in real time and displayed in the posted
또한, 유저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하다가 해당 플레이어의 아이템 다이어리가 새로 생성되면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알림 설정은 아이템 다이어리 목록의 '알림' 버튼(62)을 통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ser can set to be notified when an item diary of the corresponding player is newly created while browsing the item diary, and the notification can be set through the 'Notify'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람중인 아이템 다이어리를 타 커뮤니티에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8 and 9 are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haring an item diary being browsed to other commun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저 단말2(20)로부터 열람중인 아이템 다이어리에 대해 소정의 입력을 수신하면, 예를 들어 아이템 다이어리를 길게 터치하면, 도 8과 같이 공유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81)를 제공할 수 있다. 유저는 이를 통해 아이템 다이어리를 공유할 다른 커뮤니티를 선택하거나 소정의 다른 커뮤니티에 바로 아이템 다이어리를 게시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다이어리의 소유자의 다음 강화 소식 알림 받기(82)를 선택하면 해당 유저가 아이템 강화에 성공 또는 실패할 때마다 해당 소식을 푸쉬받을 수 있을 것이다.When receiving a predetermined input on the item diary being viewed from the user terminal 2 20 , for example, if the item diary is touched and held, a
아이템 다이어리 목록으로부터 선택되어 타 커뮤니티에 공유되는 아이템 다이어리는 도 9의 예와 같이 게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렌'이라는 유저가 유저 'ARIA'의 아이템 다이어리(92)를 게임내 대화방에 공유하였으며, 아이템 다이어리(92)의 게시와 함께 해당 유저에 대한 숭배 또는 응원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93)와 해당 유저의 아이템 강화 소식을 받기 위해 알림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94)도 제공되었음을 알 수 있다.An item diary selected from the item diary list and shared with other communities may be posted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9 . Referring to FIG. 9, the user 'Garen' shared the
일 실시예에서, 해당 아이템 다이어리에 대한 북마크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user interface element capable of setting a bookmark for a corresponding item diary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해당 아이템 다이어리의 이미지를 선택하면, 아이템 다이어리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상세 정보 화면에서는 댓글이나 응원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n image of a corresponding item diary is selecte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tem diary is provided, and a user interface element for inputting comments or support may be provided on the detailed information screen.
일 실시예에서, 타 유저가 유저의 아이템 다이어리를 전용 커뮤니티 이외의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면, 서버(20)가 응원/강화부적 메시지를 랜덤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랜덤성 메시지는 이미지, 텍스트,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nother user shares the user's item diary with a community other than the dedicated community, the
이와 같이 유저가 생성하여 공개한 아이템 다이어리는, 아이템 다이어리의 공개를 위한 전용 커뮤니티에서 1차로 다른 유저들에게 공유되며, 여기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한 다른 유저들이 게임내 다른 커뮤니티에도 공유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아이템 다이어리가 많은 유저들에게 확산될 수 있다.The item diary created and published by the user in this way is primarily shared with other users in a dedicated community for the disclosure of the item diary, and a means for other users who have viewed the item diary to share it with other communities within the game is provided. By providing, the corresponding item diary can be spread to many us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0: 유저 단말 1(아이템 다이어리 생성자)
11: 유저 단말 2(아이템 다이어리 확산자)
20: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서버10: User terminal 1 (item diary creator)
11: User terminal 2 (item diary spreader)
20: Server providing item diary service
Claims (11)
유저의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발생된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유저에 대한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상기 유저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통한 편집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 단계와;
상기 유저의 공개 요청에 따라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의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하여 다른 유저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단계와;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한 다른 유저의 확산 요청에 따라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는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단계는,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다른 유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카드뷰 형태로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에 댓글이 입력되면 해당 아이템 다이어리와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다른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드뷰 형태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상세 정보를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A server that provides an item diary service in an online game,
When an item-related event occurs during the user's online game play, an item diary editor capable of editing information about the generated item-related ev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 is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and through the item diary editor an item diary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n item diary corresponding to the item-related event according to an editing result;
an item diary publishing step of posting the generated item diary to an item diary public community in an online game and controlling it so that other users can read it according to the user's disclosure request;
An item diary spreading step of sharing the item diary with other communities in the online game according to a spreading request of another user who has viewed the item diary posted in the item diary public community;
In the step of disclosing the item diary,
The generated item diary is posted in the item diary open community in the form of a card view that allows interaction by other users, and when a comment is entered into the item diary, i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item diary, and at the request of the other user, the item diary is displayed. An item diary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furthe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informa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card view.
상기 아이템 관련 이벤트는, 상기 유저의 아이템 획득, 상기 유저의 아이템의 소멸, 상기 유저의 아이템 강화 성공 또는 상기 유저의 아이템 강화 실패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item diary service providing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event related to the item occurs when the user acquires the item, the user disappears the item, the user succeeds in strengthening the item, or the user fails to strengthen the item.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는, 상기 유저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형 정보와 상기 유저의 소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정형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According to claim 2,
The item diary editor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structured information including basic data of the user and unstructured information including social data of the user.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 단계는,
상기 다른 유저가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면,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와 함께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에 대한 북마크 및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한 유저의 아이템 다이어리 신규 생성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다른 커뮤니티 상에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item diary spreading step,
If the other user shares the item diary with another community within the online gam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etting a bookmark for the item diary together with the item diary and a notification when the user who created the item diary newly creates the item diary. The method of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oviding on the other community.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유저의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발생된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유저에 대한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상기 유저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통한 편집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 단계와;
상기 유저의 공개 요청에 따라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의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하여 다른 유저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단계와;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한 다른 유저의 확산 요청에 따라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는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단계는,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다른 유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카드뷰 형태로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에 댓글이 입력되면 해당 아이템 다이어리와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다른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드뷰 형태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상세 정보를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to perform a method of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in an online game, the method comprising:
A server that provides an item diary service in an online game,
When an item-related event occurs during the user's online game play, an item diary editor capable of editing information about the generated item-related ev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 is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and through the item diary editor an item diary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n item diary corresponding to the item-related event according to an editing result;
an item diary publishing step of posting the generated item diary to an item diary public community in an online game and controlling it so that other users can read it according to the user's disclosure request;
An item diary spreading step of sharing the item diary with other communities in the online game according to a spreading request of another user who has viewed the item diary posted in the item diary public community;
In the step of disclosing the item diary,
The generated item diary is posted in the item diary open community in the form of a card view that allows interaction by other users, and when a comment is entered into the item diary, i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item diary, and at the request of the other user, the item diary is displayed.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the steps of furthe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card view.
상기 유저 단말과 연결되어 온라인 게임 내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제공 서버는,
유저의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유저에 대한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통한 상기 유저의 편집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템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부와;
상기 유저의 공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온라인 게임 내의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부와;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열람한 다른 유저의 확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는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부와;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 및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된 아이템 다이어리의 목록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부는, 상기 생성된 아이템 다이어리를 다른 유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카드뷰 형태로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공개 커뮤니티에 게시하고,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에 댓글이 입력되면 해당 아이템 다이어리와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다른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드뷰 형태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상세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executing game clients for playing online games;
An item diary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an item diary service in an online game;
The item diary providing server,
a monitoring unit that analyzes whether an event related to an item occurs during a user's online game play;
When the item-related event occurs, generating an item diary corresponding to the item-related event according to the editing result of the user through an item diary editor capable of editing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item-related ev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 item diary generator;
an item diary publishing unit for posting the created item diary to an item diary public community in an online game when the user's disclosure request is received;
an item diary dissemination unit for sharing the item diary with other communities within the online game when a request for dissemination from another user who browses the item diary posted in the item diary open community is receive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reated item diary and a list of item diaries posted in the item diary open community;
The item diary disclosure unit posts the created item diary in the form of a card view that allows other users to interact with the item diary public community, and when a comment is input to the item diary, stores it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item diary, and stores the item diary in association with the item diary. An item diary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ard view form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유저의 아이템 획득, 상기 유저의 아이템의 소멸, 상기 유저의 아이템 강화 성공 또는 상기 유저의 아이템 강화 실패시 아이템 관련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monitoring unit determines that an item-related event occurs when the user obtains an item, the user disappears the item, the user succeeds in strengthening the item, or the user fails to strengthen the item.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생성부는, 상기 유저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형 정보와 상기 유저의 소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정형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에디터를 상기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8,
The item diary creation unit provides an item diary editor including a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structured information including basic data of the user and unstructured information including social data of the user to the terminal of the user. An item diary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 확산부는, 상기 다른 유저가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다른 커뮤니티에 공유시키면,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와 함께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에 대한 북마크 및 상기 아이템 다이어리를 생성한 유저의 아이템 다이어리 신규 생성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다른 커뮤니티 상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item diary dissemination unit, when the other user shares the item diary with another community within the online game, notifies when a bookmark for the item diary and a new item diary of the user who created the item diary are created along with the item diary. An item diary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ing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etting on the other communit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68634A KR102533175B1 (en) | 2017-12-08 | 2017-12-08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tem diary in on-line g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68634A KR102533175B1 (en) | 2017-12-08 | 2017-12-08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tem diary in on-line g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68338A KR20190068338A (en) | 2019-06-18 |
| KR102533175B1 true KR102533175B1 (en) | 2023-05-17 |
Family
ID=6710318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68634A Active KR102533175B1 (en) | 2017-12-08 | 2017-12-08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tem diary in on-line g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331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61133B1 (en) * | 2020-09-16 | 2022-10-28 |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that provides item management capabilities based on achievements |
| CN112289092A (en) * | 2020-11-05 | 2021-01-29 | 大连民族大学 | A children's teaching aid that records and plays diaries by clicking and projecting |
-
2017
- 2017-12-08 KR KR1020170168634A patent/KR102533175B1/en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3)
| Title |
|---|
| "게임업계 SNS 활용 마케팅이 대세", 인터넷 데일리e스포츠 뉴스 기사(2010.04.13.)* |
| "나만의 새로운 공간, 아바타북 리뷰", 인터넷 게임메카 사이트 뉴스 기사(2010.02.19.)* |
| "인스타그램, 알림 설정 (무조건 알림 오는 방법!!)",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2017.07.03.)*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68338A (en) | 2019-06-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10245049A1 (en) |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 JP505124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entry creation for blogs, web pages or file sharing sites based on game events | |
| US10549191B2 (en) | Application-centric user interface techniques | |
| JP2022095765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anking of cloud-executed mini-games based on tag content and social network content | |
| US9393489B2 (en) | Game device | |
| JP5158635B2 (en)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ersonal service support | |
| JP2011512172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diting, and sharing video content related to video game events | |
| CN113557748B (en) | Cross-platform blocking of a dramatic pass service | |
| US9182978B2 (en) | Application configuration using binary large objects | |
| CN111867692B (en) | Data in-rush checking and improved execution of game processes | |
| WO2017182642A1 (en) | Gameplay trigger detection | |
| US2022008032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puter implemented game | |
| JP2019155103A (en) | Game replay method and system | |
| KR10253317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tem diary in on-line game | |
| CN109364489B (en) | Dance ac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role playing game | |
| JP7659202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 |
| CN114270348A (en) | Detection of malicious games | |
| KR101289720B1 (en)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online game control service | |
| JP5992085B2 (en) | Construction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 JP5460977B2 (en) |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configuring events during logoff in virtual space without contradiction | |
| KR102551254B1 (en) |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a service of sharing a game | |
| KR102643117B1 (en) |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game contents | |
| WO2014065339A1 (en) | Anticipatory cache method, anticipatory cach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 |
| JP6392818B2 (en) | Construction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 Steinmayr | Designing Image Labeling Games For More Informative Tag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