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기술 [1]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탈곡 장치는, 그 내부에 구비한 급동이나 요동 선별 기구 등의 각종 구동 기기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분배 공급하는 전동계를, 탈곡 프레임에 있어서의 기체의 가로 외측 단부측의 횡측부(좌측부)에, 그 횡측부(좌측부)의 전단 부분과 하반 부분에 걸쳐서, 전술한 개구를 우회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동계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와 함께, 개구를 이용한 급동 및 수망의 메인터넌스 등을, 기체의 가로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탈곡 장치에 있어서, 보유 지지 기구(가스 스프링)를 탈곡 프레임에 있어서의 기체의 가로 외측 단부측의 횡측부(좌측부)의 전단 부분에 배치하면, 그 전단 부분이 복잡하게 얽힌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보유 지지 기구 및 전동계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가 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보유 지지 기구 및 전동계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탈곡 장치가 요망되었다.
[2] 배경기술 [2]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입력용의 벨트 전동 기구가 출력용 벨트 전동 기구보다도 축단측에 위치하게 된다. 입력용의 벨트 전동 기구는, 엔진의 동력을 급동 및 예취부의 각각에 전달하기 위해 큰 구동 부하가 걸리는 것이기 때문에, 대형의 전동 벨트를 복수 병렬 상태에서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출력용 벨트 전동 기구는, 예취부만으로 동력 전달하는 것이며, 입력용의 벨트 전동 기구에 비하면 구동 부하는 작다. 게다가, 기체 전방부의 좁은 영역에 그들 전동 기구를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1개의 소형의 전동 벨트로 동력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취부는, 양호한 예취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는, 구동 부하는 작지만, 예취 작업에 수반하여, 작물의 반송 막힘 등에 기인해서 구동 부하가 일시적으로 과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작업 상황에 따라서는, 이러한 큰 구동 부하가 출력용 벨트 전동 기구에 걸리는 경우가 있어, 출력용 벨트 전동 기구에 있어서, 수리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의 빈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구성에서는, 출력용 벨트 전동 기구는, 입력용의 벨트 전동 기구보다도 축심 방향의 안쪽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 그때마다, 대형의 입력용의 벨트 전동 기구도 동시에 떼어내지 않으면 안 되어, 번거로운 작업으로 되는 불리함이 있었다.
따라서,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를 통해 예취부에 동력이 전달되는 전동 기구에 있어서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1] 과제 [1]에 대응하는 과제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탈곡 장치에서는,
급동 및 수망을 지지하는 탈곡 프레임과, 상기 급동 및 상기 수망을 기체의 가로 외측에 면하게 하는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개폐식의 측벽체를 구비하고,
상기 탈곡 프레임은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체는, 전후 방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하방의 폐쇄 위치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상방의 개방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하고,
상기 측벽체의 상기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보유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 기구를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보유 지지 기구는, 탈곡 장치의 내부에 구비한 급동이나 요동 선별 기구 등에 전동하는 전동계를 배치하고 있는 프레임부의 전방 에지 부분이 아니라, 전동계를 배치하지 않는 프레임부의 후측 에지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전동계와 보유 지지 기구를, 탈곡 프레임에 있어서의 개구의 주변에 있어서 적절하게 분산 배치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개구를 이용한 급동 및 수망의 메인터넌스 등을 행하는 경우에 전동계 또는 보유 지지 기구가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동계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경우에 보유 지지 기구가 방해되거나, 혹은, 보유 지지 기구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경우에 전동계가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를 이용한 급동 및 수망의 메인터넌스 등과 함께, 전동계 및 보유 지지 기구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를, 기체의 가로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측벽체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수망에 인접하는 내벽판과, 상기 내벽판의 기체의 가로 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외벽판과, 상기 내벽판의 전단부와 상기 외벽판의 전단부에 걸치는 전방 벽판과, 상기 내벽판의 후단부와 상기 외벽판의 후단부에 걸치는 후방 벽판을 구비하여, 상기 폐쇄 위치에서의 횡단면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측벽체는, 보유 지지 기구용 설치부를 상기 후방 벽판에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측벽체는, 그 개방 위치에 있어서는,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종단면을 갖게 된다. 이에 의해, 측벽체에 대한 보유 지지 기구의 작용 위치가 측벽체의 후단부에 치우쳐 있어도,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의 자세를,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 기구용 설치부를 구비하는 후방 벽판은, 측벽체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내벽판과 외벽판에 걸치는 것이면, 측벽체의 개폐 방향의 부하에 대하여 강한 항력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해 측벽체를 개방 위치에 보유 지지함으로써, 측벽체의 중량이 후방 벽판에 작용하여도, 그 중량에 의한 후방 벽판의 변형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계 및 보유 지지 기구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보유 지지 기구를 프레임부의 후측 에지 부분에 배치하면서도,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측벽체는, 상기 측벽체의 상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판과 상기 후방 벽판에 걸쳐 상기 전방 벽판과 상기 후방 벽판을 연결하는 상측 연결 부재와, 상기 측벽체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판과 상기 후방 벽판에 걸쳐 상기 전방 벽판과 상기 후방 벽판을 연결하는 하측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상측 연결 부재 및 하측 연결 부재에 의해 측벽체의 보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의 자세를, 보다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유 지지 기구를 프레임부의 후측 에지 부분에 배치하면서도,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상측 연결 부재를, 상기 지지축을 통해 상기 탈곡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측벽체의 보형성을 높이는 상측 연결 부재를, 탈곡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하는 부재에 겸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부재의 겸용화에 의한 구성의 간소화나 비용의 삭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측벽체는, 상기 전방 벽판과 상기 후방 벽판에 걸치고, 또한, 상기 외벽판과 상기 상측 연결 부재에 걸치는 천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천장판을, 상기 전방 벽판과 상기 후방 벽판과 상기 외벽판과 상기 상측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천장판에 의해 측벽체의 보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의 자세를, 보다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유 지지 기구를 프레임부의 후측 에지 부분에 배치하면서도,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하측 연결 부재는, 상기 외벽판의 하단부에 대향하는 외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연결 부재를, 상기 전방 벽판 및 상기 후방 벽판에 있어서의 외벽판측의 단부에 배치하여, 상기 외측면을 상기 외벽판의 하단부에 면 접촉시키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측벽체의 개방 위치에 있어서는, 측벽체의 요동 지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왜곡이 발생하기 쉬운 외벽판의 하단부(헐거운 단부)를, 하측 연결 부재가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의 자세를, 보다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유 지지 기구를 프레임부의 후측 에지 부분에 배치하면서도,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프레임부에 있어서의 측벽체측의 측면과, 상기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내벽판의 프레임형상 면부를, 상기 측벽체의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밀접시키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탈곡 장치에서의 ?f기 처리에 의해 얻은 곡립이, 프레임부의 측면과 내벽판의 프레임형상 면부와의 간극으로부터 누출되는 문제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누출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내벽판은, 그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내벽판의 전후 양단부에 걸치는 보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부재는, 상기 프레임형상 면부 중 상기 측면의 하측면부에 대응하는 하측면 부분을 형성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보조 부재에 의해, 측벽체의 요동 지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왜곡이 발생하기 쉬운 내벽판의 하단부(헐거운 단부)에서의 보형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의 자세를, 보다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벽판의 하단부에서의 보형성을 높이는 보조 부재의 측면을 프레임형상 면부의 하측면 부분으로서 사용하는 점에서, 측벽체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시일 부재를 통해 밀접한 프레임부의 측면과 내벽판의 프레임형상 면부와의 하부측에서의 밀접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부의 측면과 내벽판의 프레임형상 면부와의 간극으로부터의 곡립의 누출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측벽체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망의 하방으로 들어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의 상기 수망의 하방으로의 들어감 양이 하방측일수록 커지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내벽판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상기 내벽판에 걸치는 전방면과 후방면을 구비하여, 상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수망으로부터 누하한 곡립 등을,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에 의해, 수망의 하방에 배치하는 요동 선별 기구의 좌우 중앙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망으로부터 누하한 곡립 등이, 요동 선별 기구의 좌우 일단부측에 집중해서 공급되는 것에 기인한 요동 선별 기구에서의 선별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를 상자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측벽체의 보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의 자세를, 보다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상기 내벽판에 걸침과 함께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에 걸치는 저면을 구비하여, 상기 내벽판과의 사이에 폐색 공간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가이드부를 보다 보형성이 높은 상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측벽체의 보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의 자세를, 보다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개방 위치로의 보유 지지를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는, 내벽판과의 사이에 폐색 공간을 형성하는 점에서, 수망으로부터 누하한 곡간 부스러기 등이 내벽판과 가이드부의 사이에 들어가 내벽판 및 가이드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의 내부를 청소할 때 요하는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측벽체의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승 요동과 함께 신장하는 가스 댐퍼를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측벽체에 걸쳐 가설해서 구성하고,
상기 가스 댐퍼의 피스톤 로드를 상기 프레임부 또는 상기 측벽체에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지지점으로서 요동하는 요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부재를,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가스 댐퍼의 사이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측벽체의 상기 개방 위치로의 도달에 수반하여 상기 가스 댐퍼의 실린더 튜브와 상기 연결축의 중간에 들어가는 길이로 설정하여, 상기 측벽체의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의 하강을 저지하는 하강 저지 기구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가스 댐퍼의 작용에 의해, 측벽체의 개방 위치로의 요동 조작에 요하는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측벽체를 개방 위치에 요동 조작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측벽체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가스 댐퍼의 상측에 위치하는 요동 부재가, 가스 댐퍼의 실린더 튜브와 연결축의 사이에 자동으로 들어가, 가스 댐퍼의 수축 작동을 저지함과 함께 측벽체의 개방 위치로부터의 하강을 저지한다. 이에 의해, 가스 댐퍼에 있어서 가스 누설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가스 누설에 기인해서 측벽체가 개방 위치로부터 예측할 수 없이 하강하는 문제의 발생을, 그 문제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한 전용의 조작을 요하지 않고,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측벽체의 상기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보유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 에지 부분에 구비한 피걸림 결합구와, 상기 측벽체의 하단부에 구비한 걸림 결합구로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측벽체의 요동 지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프레임부로부터 이격되기 쉬운 측벽체의 하단부에 대하여 로크 기구를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크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보유 지지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피걸림 결합구의 기체의 가로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탈곡 프레임이나 측벽체의 제조 오차 등에 기인하여, 측벽체의 개폐 방향에 있어서, 측벽체의 폐쇄 위치와 로크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고정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위치 어긋남을 위치 조절 기구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곡 프레임이나 측벽체의 제조 오차 등에 관계 없이, 측벽체의 폐쇄 위치와 로크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고정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탈곡 프레임이나 측벽체의 제조에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것에 기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로크 기구에 의한 측벽체의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보유 지지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하부 에지 부분에 고정하는 제1 부재와, 상기 피걸림 결합구를 지지하는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한쪽에, 기체의 가로 방향으로 긴 2개의 긴 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다른 쪽에, 상기 2개의 긴 구멍 중 한쪽의 긴 구멍을 이용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와, 다른 쪽의 긴 구멍에 기체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림 삽입하는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2개의 긴 구멍과 상기 연결부와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위치 조절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한쪽의 긴 구멍과 연결부를 이용해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볼트로 임시 고정하고, 또한, 다른 쪽의 긴 구멍에 돌기를 걸림 삽입함으로써, 제1 부재에 대한 제2 부재의 기체의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제1 부재에 대한 제2 부재의 요동 변위를 저지할 수 있다. 즉,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볼트 연결 개소를 적게 하면서, 제1 부재에 대한 제2 부재의 회전 방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체의 가로 방향에서의 피걸림 결합구의 위치 조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피걸림 결합구의 위치 조절 후에 임시 고정 상태의 볼트를 본 체결해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볼트 연결함으로써, 피걸림 결합구를 적정 위치에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조절 기구에 의한 피걸림 결합구의 위치 조절 고정을, 간단하고 또한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2] 과제 [2]에 대응하는 과제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는 중계 전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중계 전동축에, 상기 엔진의 동력이 입력용의 무단 회동체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회전체와, 입력되는 동력을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를 통해 예취부에 전달하는 예취 출력 회전체가 구비되고,
상기 예취 출력 회전체가, 상기 입력 회전체보다도 상기 중계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 출력 회전체가 입력 회전체보다도 중계 전동축의 축단측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가 입력용의 무단 회동체보다도 중계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 즉, 기체 외측에 면하는 개소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예취부에 대하여 동력 전달이 행해지는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에는, 입력용의 무단 회동체는 떼어내지 않고 장착한 채, 번거로움 없이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만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를 통해 예취부에 동력이 전달되는 전동 기구에 있어서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예취 출력 회전체와 상기 입력 회전체가 1개의 전동 회전체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예취 출력 회전체와 입력 회전체가 1개의 전동 회전체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취 출력 회전체와 입력 회전체를 별체에서 각각 별도로 작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작의 수고가 적어지고, 게다가, 중계 전동축에 대한 조립 작업도 간단해져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계 전동축이 통형상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전동 회전체가 상기 중계 전동축에 있어서의 상기 통형상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축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 회전체에 축심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외측 단부가 상기 요입부에 들어가는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전동 회전체는, 통형상 케이스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중계 전동축의 축 단부에 설치된다. 통형상 케이스의 외측 단부가, 전동 회전체에 축심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상태에서 형성된 요입부 내에 들어가고, 전동 회동체에서 통형상 케이스의 단부측을 덮는 상태에서, 전동 회전체가 통형상 케이스에 대하여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중계 전동축의 축 단부에 설치되는 전동 회전체가, 중계 전동축에 대하여 축심 방향을 따라서 중첩된 상태에서 위치하게 되어, 그 직경 방향에 겹친 분만큼, 축심 방향을 따르는 전동 구조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전동 회전체는, 복수의 전동 벨트가 배열되는 상태에서 권회되는 폭이 넓은 다연형의 벨트 권회부를 구비함과 함께, 이 다연형의 벨트 권회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전동 회전체는, 복수의 전동 벨트가 배열되는 상태에서 권회되는 폭이 넓은 다연형의 벨트 권회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입력용의 무단 회동체는, 예취부에 전달되는 동력 외에도, 다른 장치, 예를 들어 탈곡 장치의 급동 등에 전달되는 동력도 함께 전달되는 것이기 때문에, 큰 구동 부하에 견디도록, 입력용의 무단 회동체로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동 벨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수의 전동 벨트가 배열되는 상태에서 권회되는 폭이 넓은 다연형의 벨트 권회부의 내부에 요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요입부의 들어감 깊이를 크게 하여, 축심 방향을 따르는 전동 구조의 더 한층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계 전동축의 축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예취 출력 회전체보다도 외측 단부측 개소에, 상기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전동 입력 상태와 부여를 해제하는 전동 단절 상태로 전환 가능한 텐션 클러치 기구가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중계 전동축의 축 단부에 있어서의 예취 출력 회전체보다도 외측 단부측 개소에, 텐션 클러치 기구가 지지되므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에는, 외측으로부터 간단하게 중계 전동축의 단부측 개소에 구비된 텐션 클러치 기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텐션 클러치 기구를 제거함으로써,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가 장력 부여가 해제된 상태로 되고, 그대로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를 제거하면 되어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텐션 클러치 기구가, 상기 중계 전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외측 끼움 지지되는 텐션 아암과, 그 텐션 아암에 지지되어 상기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에 작용하는 텐션륜체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텐션륜체를 지지하기 위한 텐션 아암이, 중계 전동축을 이용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예를 들어 고정부에 전용의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등의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간이한 지지 구조로 텐션 클러치 기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텐션륜체가 상기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상기 텐션 아암을 회동 가압하는 가압 기구와,
운전부에 구비된 클러치 레버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가압 기구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기 텐션륜체가 상기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에 작용해서 긴장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텐션 아암을 회동 조작하는 연계 조작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텐션 아암 중 상기 중계 전동축보다도 하방측 개소에 상기 텐션륜체가 지지되고,
상기 텐션 아암 중 상기 중계 전동축보다도 상방측 개소에 상기 가압 기구가 연결되고,
상기 텐션 아암 중 상기 중계 전동축보다도 하방측 개소에 상기 연계 조작 기구가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운전부에 구비된 클러치 레버가 조작되지 않으면, 가압 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텐션륜체가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로 이격하는 상태로 되어, 예취부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된다. 한편, 클러치 레버가 조작되면, 연계 조작 기구의 조작에 의해 텐션륜체가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에 작용해서 긴장력을 부여하는 상태로 되어, 예취부에 대한 동력 전달이 행해진다.
클러치 레버가 조작되어 있지 않고,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가 회동 구동되고 있을 때에는, 가압 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텐션륜체는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로 확실하게 이격하므로, 텐션륜체가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에 근접하여,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에 접촉하거나 이격하거나 하는 것을 반복하여, 텐션 아암이 불안정하게 진동하는 등의 불리함이 없는 상태에서,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텐션 아암 중 중계 전동축보다도 하방측 개소에 텐션륜체가 지지되어 있으며, 텐션 아암 중 중계 전동축보다도 상방측 개소에 가압 기구가 연결되고, 또한, 텐션 아암 중 중계 전동축보다도 하방측 개소에 연계 조작 기구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텐션륜체, 가압 기구, 연계 조작 기구를, 중계 전동축의 상하 양측에 적절하게 할당해서 배치함으로써, 클러치 접속 단절 조작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텐션 클러치 기구를 가로 폭을 작게 해서 콤팩트한 형상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계 전동축에 있어서, 입력되는 동력이 상기 예취부에 전달하는 동력과 급동에 전달하는 동력으로 분배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입력용의 무단 회동체에 의해 입력 회전체를 통해 중계 전동축에 입력된 동력이, 예취 출력 회전체로부터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를 통해 예취부에 동력이 전달되고, 또한, 그 중계 전동축으로부터 급동용 전동 기구를 통해 급동에 동력 전달된다. 이와 같이 중계 전동축에 있어서 동력이 분배되어 급동과 예취부에 각각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는 중계 전동축(171)이 구비되고, 상기 중계 전동축(171)에, 상기 엔진의 동력이 입력용의 무단 회동체(17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회전체(235a)와, 입력되는 동력을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173)를 통해 예취부에 전달하는 예취 출력 회전체(235b)가 구비되고, 상기 예취 출력 회전체(235b)가, 상기 입력 회전체(235a)보다도 상기 중계 전동축(171)의 외측 단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중계 전동축(171)의 축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예취 출력 회전체(235b)보다도 외측 단부측 개소에, 상기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173)에 장력을 부여하는 전동 입력 상태와 부여를 해제하는 전동 단절 상태로 전환 가능한 텐션 클러치 기구(240)가 지지되고, 상기 텐션 클러치 기구(240)가, 상기 중계 전동축(171)으로 회동 가능하게 외측 끼움 지지되는 텐션 아암(242)과, 그 텐션 아암(242)에 지지되어서 상기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173)에 작용하는 텐션륜체(243)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아암(242)이, 상기 예취 출력 회전체(235b)에 대하여 상기 중계 전동축(171)의 외측 단부측에 인접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텐션 아암(242)으로부터 상기 중계 전동축(171)의 상기 외측 단부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지지축이 설치되고, 그 지지축에 상기 텐션륜체(243)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이것으로부터 발휘되는 유리한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 내지 12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전간 투입형 (보통형)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에, 좌우 한 쌍의 크롤러(2), 탑승 운전부(3), 예취 반송 장치(4), 탈곡 장치(5), 및 곡립 탱크(6) 등을 구비하여, 크롤러 주행식의 곡립 탱크 사양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간 투입형 콤바인은, 주행 장치로서, 좌우 한 쌍의 크롤러(2) 대신에 좌우 한 쌍의 전륜과 좌우 한 쌍의 후륜을 구비하는 휠 주행식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곡립 탱크(6) 대신에 주머니 충전 장치를 구비하는 주머니 충전 사양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탑승 운전용의 공간을 형성하는 캐빈을 구비하는 캐빈 사양으로 구성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반송 장치(4)는, 좌우의 디바이더(7), 회전 릴(8), 바리캉형의 절단 기구(9), 스크루 반송식의 오거(10), 및 긁어올림 반송식의 피더(11) 등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디바이더(7)는, 예취 반송 장치(4)에 있어서의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기체 전방의 미 예취 곡간을 수확 대상의 곡간과 수확 대상 외의 곡간으로 골라서 나눈다. 회전 릴(8)은, 예취 반송 장치(4)의 전방부 상방에 배치되어있다. 그리고, 기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수확 대상 곡간의 이삭끝 측을 후방으로 긁어 넣는다. 절단 기구(9)는, 예취 반송 장치(4)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수확 대상 곡간의 밑동측을 절단한다. 오거(10)는, 회전 릴(8) 및 절단 기구(9)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릴(8)에 의한 긁어들임과 절단 기구(9)에 의한 절단에 의해 보내지는 절단 후의 수확 대상 곡간(이하, '예취 곡간'이라고 칭함)을, 좌우 방향의 소정 위치로 긁어모아 반송하고, 그 소정 위치로부터 후방의 피더(11)의 연통 개소로 송출한다. 피더(11)는, 오거(10)와의 연통 개소로부터 탈곡 장치(5)와의 연통 개소에 후방 상승 자세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오거(10)가 송출한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5)를 향해서 공급 반송한다.
예취 반송 장치(4)는, 피더(11)의 반송 종단부에 구비한 좌우 방향의 피더 구동축(12)을 지지점으로 하여 승강 요동한다. 예취 반송 장치(4)의 승강 구동은, 기체 프레임(1)과 피더(11)에 걸쳐 가설한 유압식 승강 실린더(13)의 신축 작동에 의해 행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5)는, 기체 프레임(1)의 좌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프레임(1)에 연결하는 탈곡 프레임(14), 개폐식의 상부 커버체(15), 개폐식의 측벽체(16), 바 타입의 급동(17), 전후 방향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의 수망(18), 요동 선별 기구(19), 풍구(20), 1번물 회수부(21), 2번물 회수부(22), 및 세단 배출 기구(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프레임(14)은, 그 상반부에 의해, 상부 커버체(15), 측벽체(16), 급동(17), 및 수망(18) 등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그 하반부에 의해, 요동 선별 기구(19), 풍구(20), 및 세단 배출 기구(23) 등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 상반부에 있어서 기체의 좌외측 단부측에 위치하는 좌측 단부에, 메인터넌스용의 개구(24)를 형성하는 측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부(14A)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24)는, 급동(17) 및 수망(18)을 기체의 좌외측에 면하게 하는 측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전후 길이 및 상하 길이를, 수망(18)의 대략 전체를 기체의 좌측 왼쪽에 면하게 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상부 커버체(15)는, 그 좌측 단부를 탈곡 프레임(14)의 좌측 상단부에 5개의 힌지(25)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이에 의해, 급동(17)의 상부를 덮는 폐쇄 위치와, 급동(17)의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한다. 즉, 급동(17)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고 있다.
측벽체(16)는, 그 상단부에, 4개의 지지축(26)을, 그것들의 축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들의 지지축(26)을 지지점으로 하여, 개구(24)를 폐쇄하는 하방의 폐쇄 위치와, 개구(24)를 개방하는 상방의 개방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한다. 이에 의해, 개구(24)를 개폐 가능하게 막고 있다.
급동(17)은, 전후 방향의 급동축(17A)을 중심으로 해서 정면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회전에 의해, 전단부의 긁어들임부(17B)가 피더(11)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후방으로 보내온다. 또한, 후부측의 ?f기 처리부(17C)가 예취 곡간에 대하여 ?f기 처리를 실시한다.
수망(18)은, 급동(17)의 ?f기 처리부(17C)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상태에서 장비하고 있다. 그리고, 급동(17)의 회전에 의한 ?f기 처리에서 얻은 곡립 등의 선별 대상물을 누하시킨다. 한편, 수망(18)으로부터 누하하지 않은 긴 탈립 곡간 등은 후방의 세단 배출 기구(23)에 안내한다. 또한, 수망(18)은, 앞 수망(18A)과 중간 수망(18B)과 뒤 수망(18C)을 구비하는 전후 3분할 구조이며, 그들이 좌우로 2분할 가능한 6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동(17)을 조립한 상태에서의 전술한 개구(24)로부터의 수망(18)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요동 선별 기구(19)는, 수망(18)의 하방에 위치하고, 그 후단 하부에 구비한 편심 캠식의 구동부(19A)의 작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체로 쳐 요동한다. 이에 의해, 수망(18)으로부터 누하한 선별 대상물에 대하여 체 선별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이 체 선별 처리에 의해, 선별 대상물 중 비중이 큰 곡립 등을 누하시킨다. 또한, 비중이 작은 곡간 부스러기 등을 후방의 세단 배출 기구(23)로 이송한다.
풍구(20)는, 요동 선별 기구(19)의 앞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의 풍구축(20A)을 중심이도록 해서 좌측면에서 볼 때 좌측 둘레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요동 선별 기구(19)를 향하는 선별풍을 발생시켜서, 선별 대상물에 대하여 풍력 선별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이 풍력 선별 처리에 의해, 미세한 곡간 부스러기 등의 요동 선별 기구(19)로부터의 누하를 억제한다. 또한, 요동 선별 기구(19)로부터 누하한 미세한 곡간 부스러기 등을 후방의 세단 배출 기구(23)로 풍력 반송한다.
1번물 회수부(21) 및 2번물 회수부(22)는, 그 순서대로 전후로 배열된 상태에서 요동 선별 기구(19)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1번물 회수부(21)는, 요동 선별 기구(19)의 전방부측에서 1번물으로서 누하하는 단립화 곡립을, 그 저부에 구비한 1번 스크루(27)로 유하 안내한다. 2번물 회수부(22)는, 요동 선별 기구(19)의 후부측으로부터 2번물로서 누하하는 지경 부착 곡립 및 두 갈래 입자 등을, 그 저부에 구비한 2번 스크루(28)로 유하 안내한다.
1번 스크루(27)는, 그 우측 단부에 연접한 스크루 반송식의 리프팅 컨베이어(29)로 단립화 곡립을 공급 반송한다. 리프팅 컨베이어(29)는, 단립화 곡립을 리프팅해서 인접하는 곡립 탱크(6)에 공급한다. 2번 스크루(28)는, 그 우측 단부에 연접한 2번 환원 기구(30)에 지경 부착 곡립 및 두 갈래 입자 등을 공급 반송한다. 2번 환원 기구(30)는, 2번 스크루(28)로부터의 지경 부착 곡립 및 두 갈래 입자 등에 대하여 ?f기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f기 처리 후의 지경 부착 곡립 및 두 갈래 입자 등을 선별 대상물로서 요동 선별 기구(19)의 선별 시단부로 환원 반송한다.
세단 배출 기구(23)는, 탈곡 프레임(14)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 구비한 복수의 고정날(31) 및 좌우 방향의 회전축(32)과 일체 회전 하는 복수의 회전 날(33) 등에 의해, ?f기 처리 후의 탈립 곡간 및 선별 처리 후의 긴 곡간 부스러기 등을 세단해서 기외로 배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6)는, 탑승 운전부(3)와 함께 기체 프레임(1)의 우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좌측 상단부에 리프팅 컨베이어(29)의 반송 종단부를 연통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리프팅 컨베이어(29)로부터의 단립화 곡립을 저류한다. 또한, 그 내부에 저류한 단립화 곡립의 외부로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스크루 반송식의 곡립 배출부(6A)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프레임(14)은, 그 하반부의 전단 부분에 있어서 풍구축(20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반부의 전단 부분에 있어서, 예취 반송 장치(4)의 피더 구동축(12)과 함께 급동용의 입력축(35)을 좌우 방향의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기체의 좌외측 단부측에 위치하는 좌측부에, 풍구축(20A)을 경유한 엔진 동력을, 피더 구동축(12) 및 탈곡 장치(5)에 구비한 급동(17)이나 요동 선별 기구(19) 등의 각종 구동 기기에 전달하는 전동계 A를 배치하고 있다.
전동계 A는, 풍구축(20A)으로부터 급동용의 입력축(35)으로 전동하는 벨트식의 제1 전동 기구(36), 급동용의 입력축(35)으로부터 피더 구동축(12)으로 전동하는 벨트식의 제2 전동 기구(37), 풍구축(20A)으로부터 1번 스크루(27)와 2번 스크루(28)로 전동하는 벨트식의 제3 전동 기구(38), 2번 스크루(28)로부터 요동 선별 기구(19)의 구동부(19A)로 전동하는 벨트식의 제4 전동 기구(39) 및 제3 전동 기구(38)로부터 세단 배출 기구(23)의 회전축(32)으로 전동하는 벨트식의 제5 전동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중, 제1 전동 기구(36)와 제2 전동 기구(37)를, 탈곡 프레임(14)에 있어서의 좌측부의 전단 부분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3 전동 기구(38)와 제4 전동 기구(39)와 제5 전동 기구(40)를, 탈곡 프레임(14)에 있어서의 좌측부의 하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동계 A를, 탈곡 프레임(14)의 좌측부에, 좌측부의 전단 부분과 하반 부분에 걸치는 측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전술한 개구(24)를 우회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결과, 전동계 A에 있어서의 각 전동 기구(36 내지 40)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와 함께, 개구(24)를 이용한 급동(17) 및 수망(18)에 대한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나 수망(18)의 착탈 등을, 기체의 좌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탈곡 장치(5)는, 전동계 A를 덮는 수지제의 제1 커버체(41)와 제2 커버체(42)와 제3 커버체(43)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제1 커버체(41)는, 탈곡 프레임(14)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상반부의 전단 부분에 위치하고, 전동계 A에 있어서의 급동용의 입력축(35) 및 피더 구동축(12) 등에 대한 전동 개소를 덮고 있다. 제2 커버체(42)는, 탈곡 프레임(14)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하반부의 전반 부분에 위치하고, 전동계 A에 있어서의 풍구(20) 및 1번 스크루(27) 등에 대한 전동 개소를 덮고 있다. 제3 커버체(43)는, 탈곡 프레임(14)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하반부의 후반 부분에 위치하고, 전동계 A에 있어서의 요동 선별 기구(19)의 구동부(19A) 및 2번 스크루(28) 등에 대한 전동 개소를 덮고 있다.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5)는, 측벽체(16)의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보유 지지 기구 B로서, 가스 댐퍼(4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스 댐퍼(44)를, 개구(24)를 형성하는 프레임부(14A)의 후측 에지 부분(14Aa)에 배치하여, 측벽체(16)의 후단부에 작용시키고 있다.
즉, 가스 댐퍼(44)를, 전동계 A가 인접하는 프레임부(14A)의 전방 에지 부분(14Ab)이 아니라, 전동계 A로부터 이격되는 프레임부의 후측 에지 부분(14Aa)에 배치하고, 전동계 A와 가스 댐퍼(44)를, 탈곡 프레임(14)에 있어서의 개구(24)의 주변에 있어서 적절하게 분산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개구(24)를 이용한 급동(17) 및 수망(18)에 대한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나 수망(18)의 착탈 등을 행하는 경우에, 전동계 A 및 가스 댐퍼(44)가 방해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동계 A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경우에 가스 댐퍼(44)가 방해되거나, 혹은, 가스 댐퍼(44)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경우에 전동계 A가 방해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도 4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체(16)는, 그 폐쇄 위치에서 수망(18)에 인접하는 측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내벽판(45), 내벽판(45)의 좌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측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외벽판(46), 내벽판(45)의 전단부와 외벽판(46)의 전단부에 걸치는 전방 벽판(47), 및 내벽판(45)의 후단부와 외벽판(46)의 후단부에 걸치는 후방 벽판(48)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벽판(45 내지 48)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의 횡단면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측벽체(16)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내벽판(45)과 외벽판(46)에 걸치는 후방 벽판(48)에, 가스 댐퍼용의 설치부(16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측벽체(16)는, 그 개방 위치에 있어서는,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종단면을 갖게 된다. 이에 의해, 측벽체(16)에 대한 가스 댐퍼(44)의 작용 위치가 측벽체(16)의 후단부에 치우쳐 있어도,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16)의 자세를,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댐퍼(44)가 작용하는 후방 벽판(48)은, 측벽체(16)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내벽판(45)과 외벽판(46)에 걸침으로써, 측벽체(16)의 개폐 방향의 부하에 대하여 강한 항력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가스 댐퍼(44)에서 측벽체(16)를 개방 위치에 보유 지지함으로써, 측벽체(16)의 중량이 후방 벽판(48)에 작용해도, 그 중량에 의한 후방 벽판(48)의 변형을 회피할 수 있다.
도 7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체(16)의 내벽판(45)은, 그 보형성 및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그 4변을 따르는 무단 띠 형상으로 4변으로부터 외벽판측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45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주위벽부(45A)에, 외벽판(46)에 용접한 전방 벽판(47) 및 후방 벽판(48)을 볼트 연결되어 있다.
도 5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체(16)는, 측벽체(16)의 상단부에 있어서 전방 벽판(47)과 후방 벽판(48)에 걸쳐 전방 벽판(47)과 후방 벽판(48)을 연결하는 상측 연결 부재(49) 및 측벽체(16)의 하단부에 있어서 전방 벽판(47)과 후방 벽판(48)에 걸쳐 전방 벽판(47)과 후방 벽판(48)을 연결하는 하측 연결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측 연결 부재(49) 및 하측 연결 부재(50)는, 그들 자체가 높은 보형성 및 강도를 갖도록, 전후 방향 시의 형상을 대략 횡방향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측벽체(16)는, 전방 벽판(47)과 후방 벽판(48)에 걸치고, 또한, 외벽판(46)과 상측 연결 부재(49)에 걸치는 천장판(51)을 구비하고 있다. 천장판(51)은, 외벽판(46)의 일체 형성에 의해 외벽판(4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벽판(47)과 후방 벽판(48)과 상측 연결 부재(49)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벽체(16)의 보형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어,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16)의 자세를, 보다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연결 부재(50)는, 전후의 벽판(47, 48)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벽판(46)의 하단부(46A)에 대향하는 외측면(50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측 연결 부재(50)를, 전방 벽판(47) 및 후방 벽판(48)에 있어서의 외벽판측의 단부에 배치하여, 하측 연결 부재(50)의 외측면(50A)을 외벽판(46)의 하단부(46A)에 면 접촉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측벽체(16)의 개방 위치에 있어서는, 측벽체(16)의 요동 지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왜곡이 발생하기 쉬운 외벽판(46)의 하단부(헐거운 단부)(46A)를, 하측 연결 부재(50)가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게 된다. 그 결과,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16)의 자세를, 보다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체(16)의 상측 연결 부재(49)는, 그 홈 형상의 오목부(49A)에 4개의 브래킷(52)을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용접하고 있다. 각 브래킷(52)은, 보스(5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안에서 끼운 지지축(26)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각 보스(53)는, 그 외주부를 L자 형상의 연결 부재(54)의 일단부에 용접하고 있다. 각 연결 부재(54)는, 그 타단부를 탈곡 프레임(14)과의 볼트 연결부에 구성하고 있다. 탈곡 프레임(14)은, 그 전후 양단부에 걸치는 길이를 갖고 탈곡 프레임(14)의 상단부로부터 좌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연장부(14B)에 각 연결 부재(54)와의 볼트 연결부를 구비하고, 그 연장부(14B)가, 측벽체(16)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측벽체(16)의 보형성을 높이고, 또한, 그 자체가 높은 보형성 및 강도를 갖는 상측 연결 부재(49)를, 지지축(26) 등을 통해 탈곡 프레임(14)의 상단부에 연결하는 부재에 겸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측벽체(16)에 있어서의 탈곡 프레임(14)과의 연결 개소를, 그 연결 개소에 새로운 보강 부재 등을 형성하지 않고, 측벽체(16)의 개폐 조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높은 보형성 및 강도를 갖는 왜곡이 적은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5)는, 탈곡 프레임(14)의 프레임부(14A)에 있어서의 측벽체측의 측면(14Ac)[이하, 좌측면(14Ac)이라고 칭함]과, 측벽체(16)에 있어서 프레임부(14A)의 좌측면(14Ac)에 대응하는 내벽판(45)의 프레임형상 면부(45B)를,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밀접시키는 시일 부재(55)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5)에서의 급동(17)에 의한 ?f기 처리에서 얻은 곡립이, 프레임부(14A)의 좌측면(14Ac)과 내벽판(45)의 프레임형상 면부(45B)와의 간극으로부터 누출되는 문제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14A)는, 그 좌측면(14Ac) 중 전방측 면부(14a)와 후방측 면부(14b)와 상측 면부(14c)가 동일면 위에 위치하고, 하측면부(14d)만이 다른 측면부(14a 내지 14c)보다도 좌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측벽체(16)의 내벽판(45)은, 그 하단부에 있어서 내벽판(45)의 전후 양단부에 걸치는 보조 부재(56)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부재(56)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이 하향의 L자형이며, 그 상면을 내벽판(45)에 있어서의 주위벽부(45A)의 저면에 용접함으로써,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프레임부(14A)의 하측면부(14d)에 대향하는 측면(56a)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측면(56a)에 의해, 내벽판(45)의 프레임형상 면부(45B) 중, 프레임부(14A)에 있어서의 좌측면(14Ac)의 하측면부(14d)에 대응하는 하측면 부분(45Ba)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측벽체(16)의 요동 지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왜곡이 발생하기 쉬운 내벽판(45)의 하단부(헐거운 단부)에서의 보형성을, 보조 부재(56)에 의해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그 보조 부재(56)의 측면(56a)을 프레임형상 면부(45B)의 하측면 부분(45Ba)으로서 사용하는 점에서,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시일 부재(55)를 통해 밀접한 프레임부(14A)의 좌측면(14Ac)과 내벽판(45)의 프레임형상 면부(45B)와의 하부측에서의 밀접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55)는, 탈곡 프레임(14)의 프레임부(14A)에 있어서의 좌측면(14Ac)의 전방측 면부(14a)에 접착하는 세로로 긴 전방측 시일부(55A), 좌측면(14Ac)의 후방측 면부(14b)에 접착하는 세로로 긴 후방측 시일부(55B), 좌측면(14Ac)의 상측 면부(14c)에 접착하는 가로로 긴 상측 시일부(55C) 및 측벽체(16)의 내벽판(45)에 있어서의 프레임형상 면부(45B)의 하측면 부분(45Ba)[보조 부재(56)의 측면(56a)]에 접착하는 가로로 긴 하측 시일부(55D)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및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체(16)는, 내벽판(45)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각에,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수망(18)의 하방으로 들어가는 가이드부(57)를 구비하고 있다. 각 가이드부(57)는, 폐쇄 위치에서의 수망(18)의 하방으로 들어감 양이 하방측일수록 커지는 상태에서 내벽판(45)의 상하 중간부로부터 우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57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면(57A)으로부터 내벽판(45)에 걸치는 전방면(57B)과 후방면(57C)과 저면(57D)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각 면(57A 내지 57D)을 구비함으로써, 내벽판(45)과의 사이에 폐색 공간(58)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그것들의 전후 폭을, 내벽판(45)의 전후 폭의 절반보다도 조금 좁은 전후 폭으로 설정함으로써, 전후의 가이드부(57)의 사이에, 수망(18)의 좌측 단부로부터 요동 선별 기구(19)의 좌측 단부로의 선별 대상물의 누하를 허용하는 간극(59)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급동(17)의 회전 방향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누하량이 많아지는 수망(18)의 좌측 단부로부터 여과한 선별 대상물의 대부분을, 각 가이드부(57)의 가이드면(57A)에 의해, 요동 선별 기구(19)의 좌우 중앙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망(18)으로부터 누하한 선별 대상물이, 요동 선별 기구(19)의 좌측 단부측에 집중해서 공급되는 것에 기인한 요동 선별 기구(19)에서의 선별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부(57)를 상자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측벽체(16)의 보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의 측벽체(16)의 자세를, 보다 왜곡이 적은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부(57)는, 내벽판(45)과의 사이에 폐색 공간(58)을 형성하는 점에서, 수망(18)으로부터 누하한 선별 대상물이 내벽판(45)과 각 가이드부(57)의 중간에 들어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곡립이 내벽판(45)과 각 가이드부(57)의 중간에 들어가는 것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곡간 부스러기 등이 내벽판(45)과 가이드부(57)의 중간에 들어가 내벽판(45) 및 가이드부(57)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탈곡 장치(5)의 내부를 청소할 때 요하는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각 가이드부(57)에 있어서, 가이드면(57A) 및 저면(57D)은, 그것들이 연결되도록 제1 강판(60)을 굴곡해서 형성하고 있다. 전방면(57B)은 제2 강판(61)에 의해, 또한, 후방면(57C)은 제3 강판(62)에 의해, 측벽체(16)의 내벽판(45)과 제1 강판(60)의 중간에 들어가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강판(60)의 전단부에 제2 강판(61)을 용접하고, 제1 강판(60)의 후단부에 제3 강판(62)을 용접하고, 가이드부(57)를 구성하고 있다. 각 가이드부(57)는, 측벽체(16)의 내벽판(45)의 용접에 의해, 내벽판(45)과의 사이에 폐색 공간(58)을 형성하고 있다.
도 4, 도 5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프레임(14)의 프레임부(14A)는, 그 후측 에지 부분(14Aa)의 하단부에 가스 댐퍼(44)의 피스톤 로드(44A)를 연결하는 제1 연결축(63)과, 제1 연결축(63)을 지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는 요동 부재(64)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체(16)는, 그 설치부(16A)에 가스 댐퍼(44)의 실린더 튜브(44B)를 연결하는 제2 연결축(65)을 구비하고 있다. 가스 댐퍼(44)는, 측벽체(16)의 개방 위치로의 상승 요동과 함께 신장하도록, 프레임부(14A)의 제1 연결축(63)과 측벽체(16)의 제2 연결축(65)에 걸쳐 가설되어 있다.
요동 부재(64)는, 프레임부(14A)와 가스 댐퍼(4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을,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가스 댐퍼(44)의 실린더 튜브(44B)에 외측에서 끼우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그 상하 길이를, 측벽체(16)의 개방 위치로의 도달에 수반하여, 가스 댐퍼(44)의 실린더 튜브(44B)와 프레임부(14A)의 제1 연결축(63)과의 중간에 들어가는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요동 부재(64)를, 측벽체(16)의 개방 위치로부터의 하강을 저지하는 하강 저지 기구 C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측벽체(16)의 개방 위치로의 요동 조작에 요하는 조작력을, 가스 댐퍼(44)의 작용에 의해 경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측벽체(16)를 개방 위치에 요동 조작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측벽체(16)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이때에 가스 댐퍼(44)의 상측에 위치하는 요동 부재(64)가, 가스 댐퍼(44)의 실린더 튜브(44B)와 프레임부(14A)의 제1 연결축(63)과의 사이에 자동으로 들어가서, 가스 댐퍼(44)의 수축 작동을 저지함과 함께 측벽체(16)의 개방 위치로부터의 하강을 저지한다. 이에 의해, 가스 댐퍼(44)에 있어서 가스 누설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가스 누설에 기인해서 측벽체(16)가 개방 위치로부터 예측할 수 없이 하강하는 문제의 발생을, 그 문제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한 전용 조작을 요하지 않고,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5)는,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보유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로크 기구(66)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기구(66)는, 탈곡 프레임(14)에 있어서의 프레임부(14A)의 하부 에지 부분(14Ad)에 구비한 전후 한 쌍의 피걸림 결합구(67)과, 측벽체(16)의 하단부에 구비한 전후 한 쌍의 걸림 결합구(68)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측벽체(16)의 요동 지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프레임부(14A)로부터 이격되기 쉬운 측벽체(16)의 하단부에 대하여 로크 기구(66)를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로크 기구(66)에 의한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보유 지지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각 피걸림 결합구(67)는, 전후 방향의 축 부재(69)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4A)의 하부 에지 부분(14Ad)으로부터 좌외측으로 연장되는 전후의 지지 아암(70)의 연장 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각 걸림 결합구(68)는, 측벽체(16)의 하단부에 고정한 수지제의 고정 부재(71)와, 고정 부재(71)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 연결한 수지제의 가동 부재(72)로 구성하고 있다. 각 고정 부재(71)는, 축 부재(69)의 걸림 삽입을 허용하는 오목부(71A)와, 가동 부재(72)를 하강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각 가동 부재(72)는, 고정 부재(71)의 오목부(71A)에 걸림 삽입한 축 부재(69)에 대하여 하강 요동에 의해 걸림 결합하는 훅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고정 부재(71)의 오목부(71A)에 걸림 삽입한 축 부재(69)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위치와, 축 부재(69)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상방의 해제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한다. 그리고, 그것들의 좌측 단부에, 수동에 의한 탄성 가압부의 작용에 저항한 상방으로의 요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7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것들의 우측 단부에, 측벽체(16)의 폐쇄 위치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한 축 부재(69)와의 접촉에 의한 탄성 가압부의 작용에 저항한 상방으로의 요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연동부(72B)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측벽체(16)를 폐쇄 위치에 요동 조작하면, 로크 기구(66)에 있어서의 각 탄성 가압부의 작용과 각 연동부(72B)의 작용에 의해, 측벽체(16)의 폐쇄 위치로의 도달에 연동해서 측벽체(16)를 자동으로 폐쇄 위치에서 고정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로크 기구(66)에 의한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보유 지지는, 로크 기구(66)에 있어서의 각 가동 부재(72)의 조작부(72A)를 수동 조작함으로써,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프레임(14)의 프레임부(14A)는, 전술한 전후의 지지 아암(7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후의 지지 아암(70)에, 각 지지 아암(70)의 좌측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 축 부재(69)의 기체의 가로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조절 기구 D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탈곡 프레임(14)이나 측벽체(16)의 제조 오차 등에 기인하여 측벽체(16)의 개폐 방향에 있어서,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와 로크 기구(66)에 의한 측벽체(16)의 고정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위치 어긋남을 위치 조절 기구 D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그 결과, 탈곡 프레임(14)이나 측벽체(16)의 제조 오차 등에 관계없이, 측벽체(16)의 폐쇄 위치와 로크 기구(66)에 의한 측벽체(16)의 고정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어, 로크 기구(66)에 의한 측벽체의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보유 지지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각 지지 아암(70)은, 프레임부(14A)의 하부 에지 부분(14Ad)에 고정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의 제1 부재(73)와, 축 부재(69)를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제2 부재(7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제2 부재(74)에, 기체의 가로 방향으로 긴 2개의 긴 구멍 Da, Db를 기체의 가로 방향으로 배열해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1 부재(73)에 있어서의 전후의 양쪽 부분에, 각 제2 부재(74)에 있어서의 탈곡 프레임측의 긴 구멍 Da를 이용한 제1 부재(73)와 제2 부재(74)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 Dc와, 각 제2 부재(74)에 있어서의 측벽체측의 긴 구멍 Db에 기체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림 삽입하는 돌기 Dd를, 기체의 가로 방향에 배열해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2개의 긴 구멍 Da, Db와 연결부 Dc와 돌기 Dd로부터, 각 지지 아암(70)에 구비한 위치 조절 기구 D를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지지 아암(70)에 있어서, 제1 부재(73)의 각 연결부 Dc와 각 제2 부재(74)의 탈곡 프레임측의 긴 구멍 Da를 이용해서 제1 부재(73)와 제2 부재(74)를 볼트(75)에 의해 임시 고정하고, 또한, 제1 부재(73)의 각 돌기 Dd를 각 제2 부재(74)의 측벽체측의 긴 구멍 Db에 걸림 삽입함으로써, 제1 부재(73)에 대한 각 제2 부재(74)의 기체의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제1 부재(73)에 대한 각 제2 부재(74)의 요동 변위를 저지할 수 있다. 즉, 제1 부재(73)와 각 제2 부재(74)의 볼트 연결 개소를 적게 하면서, 제1 부재(73)에 대한 각 제2 부재(74)의 회전 방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체의 가로 방향에서의 축 부재(69)의 위치 조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축 부재(69)의 위치 조절 후에 임시 고정 상태의 볼트(75)를 본 체결해서 제1 부재(73)와 각 제2 부재(74)를 볼트 연결함으로써, 축 부재(69)를 적정 위치에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각 위치 조절 기구 D에 의한 축 부재(69)의 위치 조절 고정을, 간단하게 또한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1〕전간 투입형 콤바인은, 탈곡 장치(5)를 기체 프레임(1)의 우반부에 배치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개구(24) 및 측벽체(16)가 탈곡 장치(5)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여, 급동(17) 및 수망(18)을 기체의 우 외측에 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2〕탈곡 장치는, 급동(17)을 드럼식으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수망(18)을, 전후 2분할 구조로 좌우로 2분할 가능한 4분할 구조 등으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3〕측벽체(16)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 방향의 지지축(26)의 개수는, 측벽체(16)의 전후 길이 또는 중량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측벽체(16)의 전후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나, 측벽체(16)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의 지지축(26)의 개수를 5개 이상으로 증가시켜도 된다. 반대로, 측벽체(16)의 전후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나, 측벽체(16)의 중량이 가벼워지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의 지지축(26)의 개수를 3개 이하로 적게 해도 된다.
〔4〕보유 지지 기구 B를, 예를 들어 측벽체(16)를 개방 위치 또는 개방 위치보다도 상방의 위치까지 상승 요동시킴으로써, 탈곡 프레임(14)의 프레임부(14A)와 측벽체(16)와 걸쳐서 가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프레임부(14A)의 후측 에지 부분(14Aa)에 배치한 요동식이나 착탈식의 버팀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측벽체(16)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굴곡 상태로부터 신장 상태로 전환되도록, 프레임부(14A)의 후측 에지 부분(14Aa)에 배치한 굴신식의 버팀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5〕측벽체(16)는, 천장판(51)을 전용 부재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천장판(51)을 내벽판(45) 또는 상측 연결 부재(49)와 일체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천장판(51)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6〕측벽체(16)는, 내벽판(45) 또는 외벽판(46)에, 전방 벽판(47)과 후방 벽판(48)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일체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7〕측벽체(16)는, 저판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8〕측벽체(16)는, 보유 지지 기구용 설치부(16A)를, 내벽판(45) 또는 외벽판(46)에 있어서의 후방 벽판(48)의 근방 개소에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9〕측벽체(16)는, 상측 연결 부재(49)와 하측 연결 부재(50)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측 연결 부재(49)와 하측 연결 부재(50)의 양쪽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10〕측벽체(16)는, 하측 연결 부재(50)의 외측면(50A)을 외벽판(46)의 하단부(46A)에 면 접촉시키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11〕측벽체(16)는, 지지축(26)을 통한 탈곡 프레임(14)의 상단부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12〕측벽체(16)는, 내벽판(45)의 전후 양단부에 걸치는 단일의 가이드부(57)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내벽판(45)의 전후 폭 내에서 3개 이상의 가이드부(57)를 전후 방향으로 배열해서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13〕측벽체(16)의 내벽판(45)은, 주위벽부(45A)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주위벽부(45A) 대신에 전방 벽판(47) 또는 후방 벽판(48)과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 벽부와 후방 벽부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14〕측벽체(16)의 내벽판(45)은, 보조 부재(56)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그 하단부에 보조 부재(56)에 상당하는 부분을 굴곡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15〕측벽체(16)의 상측 연결 부재(49)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을 L자 형상 또는 C자 형상 등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16〕측벽체(16)의 하측 연결 부재(50)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을 L자 형상 또는 C자 형상 등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17〕측벽체(16)의 가이드부(57)는, 그 저면(57D)에 개구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저면(57D)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18〕탈곡 프레임(14)의 프레임부(14A)에 있어서의 측벽체측의 측면(14Ac)을, 그 전체가 동일면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그 측면(14Ac)에 대응하는 측벽체(16)에 있어서의 내벽판(45)의 프레임형상 면부(45B)를, 그 전체가 동일면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19〕가스 댐퍼(44)의 피스톤 로드(44A)를, 측벽체(16)에 제2 연결축(65)을 통해 연결하고, 요동 부재(64)를, 제2 연결축(65)을 지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는 상태에서, 탈곡 프레임(14)의 프레임부(14A)와 가스 댐퍼(44)의 사이에 배치하고, 측벽체(16)의 개방 위치로의 도달에 수반하여, 요동 부재(64)가, 가스 댐퍼(44)의 실린더 튜브(44B)와 측벽체(16)의 제2 연결축(65)의 중간에 들어가서, 측벽체(16)의 개방 위치로부터의 하강을 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20〕로크 기구(66)를, 예를 들어 프레임부(14A)의 하부 에지 부분(14Ad)에 피걸림 결합구(67)로서 구비한 걸림 결합 구멍과, 측벽체(16)의 하단부에 걸림 결합구(68)로서 구비한 걸림 결합 핀으로 구성해도 된다.
〔21〕위치 조절 기구 D는, 프레임부(14A)의 하부 에지 부분(14Ad)에 고정하는 제1 부재(73)에 기체의 가로 방향으로 긴 2개의 긴 구멍 Da, Db를 형성하고, 또한, 피걸림 결합구(67)를 지지하는 제2 부재(74)에 볼트 연결용의 연결부 Dc와 걸림 삽입용의 돌기 Dd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1 부재(73)와 제2 부재(74) 중 어느 한쪽에, 2개의 긴 구멍 Da, Db를 상하로 배열해서 형성하고, 또한, 다른 쪽에, 볼트 연결용의 연결부 Dc와 걸림 삽입용의 돌기 Dd를 상하로 배열해서 형성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를, 콤바인의 일례로서의 보통형(전간 투입형)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3, 도 14에, 벼나 보리 등을 수확 대상으로 하는 보통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다. 이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01)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2)를 장비한 주행 기체를 구비하고, 그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수확 대상의 식립 곡간을 예취해서 후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예취부로서의 예취 반송부(103)가 횡축심 둘레에서 요동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프레임(101) 위에 예취 반송부(103)로부터의 예취 곡간에 대하여 ?f기 처리를 실시함과 함께, 그 ?f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탈곡 처리물에 대하여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장치(104), 탈곡 장치(104)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05), 곡립 탱크(105)에 저류되는 곡립을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곡립 배출 장치(106), 조종자가 탑승해서 운전 조작을 행하는 운전부(107) 등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107)는 기체 전방부 우측에 위치하고, 운전부(107)의 후방에 곡립 탱크(105)가 위치하고 있다. 탈곡 장치(104)가 좌측에 위치하고, 곡립 탱크(105)가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탈곡 장치(104)와 곡립 탱크(105)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부(107)의 하방측에는, 구동용의 엔진(108)이 구비되고, 엔진(108)의 동력이 각 부에 전달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정의할 때는, 기체 진행 방향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좌우를 정의한다.
예취 반송부(103)는, 기체 주행에 수반하여, 식립 곡간을 수확 대상의 식립 곡간과 수확 대상 외의 식립 곡간으로 골라서 나누는 분풀구(109), 수확 대상의 식립 곡간을 후방을 향해서 긁어 넣는 회전 릴(110), 수확 대상의 식립 곡간의 밑동측을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111), 절단 후의 예취 곡간을 좌우 방향의 중앙측의 소정 개소에 긁어모아 후방을 향해서 송출하는 가로 이송 오거(112),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104)를 향해서 반송하는 피더(113)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 반송부(103)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실린더에 의해 횡축심 P1 둘레에서 승강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탈곡 장치(104)는, 상세히 기술은 하지 않았지만, 좌우 양측의 측벽과 상부의 천장판에 의해 둘러싸진 내부 공간의 상부측에, 전후 축심 둘레에서 회전하는 급동(115)(도 21 참조)에 의해, 피더(113)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예취 곡간의 ?f기 처리한 다음, ?f기 처리물을 곡립, 2번물, 배출 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은 1번 회수 스크루(116)(도 21 참조)에 의해 가로 일측으로 반송된 다음, 세로 반송 장치(117)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어서 곡립 탱크(105)에 저류된다. 2번물은 이번 회수 스크루(118)(도 21 참조)에 의해 가로 일측에 반송된 다음, 2번물 환원 장치(119)에 의해 탈곡 장치(104) 내부로 환원되어, 배출 짚 부스러기 등은 기체 후방측 외측으로 배출된다. 예취 작업 종료 후에, 곡립 탱크(105)에 저류되는 곡립은, 곡립 배출 장치(106)에 의해 기외로 배출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5)의 저부에는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후방측 외측으로 송출하는 바닥 스크루(105a)가 구비되어 있다. 바닥 스크루(105a)에 의해 곡립 탱크(105)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송출된 곡립을 반송해서 기체 외부가 도시하지 않은 배출 개소에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06)가 구비되어 있다.
곡립 배출 장치(106)는, 주지 구조의 스크루식 반송 장치이며, 곡립 탱크(105)의 하부에 구비된 바닥 스크루(105a)에 의해 횡방향으로 외측으로 송출된 곡립을 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세로 스크루 컨베이어(106a)와, 세로 스크루 컨베이어(106a)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곡립을 반송하는 가로 스크루 컨베이어(10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로 스크루 컨베이어(106a)의 하부와 탈곡 장치(104)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스(106c)와, 세로 스크루 컨베이어(106a)와 가로 스크루 컨베이어(106b)를, 곡립 반송 가능하게 연통하는 상태에서 또한 도중부에서 횡축심 둘레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부(106d)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곡립 배출 장치(106)는, 곡립을 반송한 다음 가로 스크루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형성된 배출구(106e)로부터 곡립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108)으로부터의 동력이 벨트 텐션식의 배출 클러치(120)를 통해 바닥 스크루(105a)에 전달된 다음, 그 동력이 곡립 배출 장치에 전달되어 회전 구동되고, 곡립 배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곡립 배출 장치(106)는, 선회 모터 M의 구동에 의해, 세로 스크루 컨베이어(106a)의 중심의 상하 축심 Y 둘레에서 전체가 선회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 스크루 컨베이어(106b)는 승강 실린더 CY의 구동에 의해 횡축심 X둘레에서 요동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7)의 운전 좌석(107A)의 하방에는 원동부(12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원동부(127)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8)과, 엔진 냉각용의 라디에이터(121)와, 라디에이터(121)에 냉각풍을 통풍하는 회전 팬(이하, '팬'이라 약칭함)(122)과, 이 팬(122)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팬 회전 전환 기구(123)(통풍 상태 전환 기구의 일례)가 구비된다. 또한, 라디에이터(121)에 공급하는 냉각풍으로 진애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제진구의 일례인 방진망(124)이 구비된다.
또한, 엔진(108)에 청정화한 연료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클리너(125)와, 외기로부터 미리 큰 진애를 제거한 공기를 에어 클리너(125)에 공급하기 위한 프레 클리너(126)가 구비되어 있다.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125)는, 엔진(108)의 상방측에서 또한 운전 좌석(107A)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프레 클리너(126)는, 운전부(107)의 좌측 후방쪽 측단부이며 또한 운전부(107)에 구비된 캐노피(107B)보다도 높은 개소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곡립 탱크를 외측의 메인터넌스 위치로 돌출되어 조작할 때, 그것과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캐노피(107B)가 프레 클리너(126)에 간섭하는 일이 없다.
즉, 곡립 탱크(105)는, 세로 스크루 컨베이어(106a)에 있어서의 상하 축심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체 내측 측으로 물러나는 작용 위치와 기체의 가로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메인터넌스 위치로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곡립 탱크(105)의 자세 변경에 수반하여, 캐노피(107B)가 프레 클리너(126)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팬 회전 전환 기구〕
다음으로, 팬 회전 전환 기구(123)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8)의 출력축(108a)에 장착한 출력 풀리(128)와, 엔진(108)의 측면에 지지된 회전축(12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공회전 풀리(130)와, 얼터네이터(131)의 입력 풀리(132)에 걸쳐서 제1 팬 벨트(133)가 권회되어 있다. 텐션 풀리(134)는 항상 제1 팬 벨트(133)에 대하여 전동용의 긴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29)에 팬(122)과 일체로 회전하는 팬 풀리(122a)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밖에서 끼움 장착되고, 회전축(129)에 전환 요동체(13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밖에서 끼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축심 방향으로 2개의 풀리(136a, 136b)를 일체로 중첩해서 형성한 정회전 풀리(136)와, 축심 방향으로 2개의 풀리(137a, 137b)를 일체로 중첩해서 형성한 역회전 풀리(137)가 전환 요동체(13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팬 풀리(122a)와, 정회전 풀리(136)의 한쪽의 풀리(136a)와, 역회전 풀리(137)의 한쪽의 풀리(137a)에 걸쳐서 제2 팬 벨트(138)가 권회되어 있다.
전환 요동체(135)를 도 19에 도시한 냉각 위치에 전환 조작하면, 엔진(108)의 출력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출력 풀리(128)에 의해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항상 회전하고 있는 제1 팬 벨트(133)의 내면에 정회전 풀리(136)의 다른 쪽 풀리(136b)가 가압된다. 이 정회전 풀리(136)의 2개의 풀리(136a, 136b)를 개재시킴으로써 제1 팬 벨트(133)의 회전을 제2 팬 벨트(138)에 전달하고, 이 제2 팬 벨트(138)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시킨 제2 팬 벨트(138)의 동력은 정회전 구동으로서, 팬(122)과 회전 방향이 일체로 되어 있는 팬 풀리(122a)에 전달되고, 팬(122)은 정회전 구동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팬(122)은, 엔진 냉각풍을 원동부(127)의 외부로부터 방진망(124)을 통해서 라디에이터(121)에 공급한다. 즉, 방진망(124)을 통해 외기를 흡인해서 라디에이터(121)에 바람을 통풍하는 정류 상태이다.
전환 요동체(135)를 도 18에 도시한 제진 위치로 전환 조작하면, 엔진(108)의 출력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출력 풀리(128)에 의해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항상 회전하고 있는 제1 팬 벨트(133)의 외면에 역회전 풀리(137)의 다른 쪽 풀리(137b)가 가압된다. 역회전 풀리(137)에 2개의 풀리(137a, 137b)를 개재시킴으로써 제1 팬 벨트(133)의 회전을 제2 팬 벨트(138)에 전달하고, 이 제2 팬 벨트(138)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반전 회전시킨 제2 팬 벨트(138)의 동력은 역회전 구동으로서, 팬(122)과 회전 방향이 일체로 되어 있는 팬 풀리(122a)에 전달되고, 팬(122)은 역회전 구동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팬(122)은, 라디에이터(121)를 통해서 방진망(124)을 향해서 송풍하고, 방진망(124)에 부착되어 있는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외측으로 날려버려서 청소한다. 즉, 라디에이터(121)로부터 방진망(124)을 향해서 바람을 통풍하는 역류 상태이다.
다음으로, 팬 회전 전환 기구(123)를 전환 조작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회전 전환 기구(123)는, 운전부(107)의 사이드 패널(140)에 구비된 전환 조작구로서의 전환 조작 레버(141)에 의한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정류 상태와 역류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요동체(135)가, 전환 조작 레버(141)의 조작에 기초하여,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팬 벨트(133)에 정회전 풀리(136)를 가압하는 냉각 위치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팬 벨트(133)에 역회전 풀리(137)를 가압하는 제진 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조작 레버(141)는, 운전 좌석(107A)의 좌 후방측이며 사이드 패널(140)의 후부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체(142)에 횡축심 P2 둘레에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환 조작 레버(141)의 기단부에는, 전환 조작 레버(14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채기 요동 아암(143)이 일체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실채기 요동 아암(143)의 후단부측의 도중부와 하방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수용부(144)에 걸쳐 코일 스프링(가압 기구의 일례)(145)가 연결되고, 전환 조작 레버(141)가 도 16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 즉, 정류 상태를 향해서 요동 가압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프레임체(142)는 기체 프레임(101)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지주(146) 및 그 밖의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전후 방향 프레임체(142)에는, 작업 클러치로서의 배출 클러치(120)의 접속 전환을 행하는 배출 클러치 레버(147)가, 상기 횡축심 P2 위치와 근접하는 개소에 설치된 횡축심 P3 둘레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6,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요동체(135)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기체측에 고정된 지지판(148)에 횡축심 P4 둘레에서 요동 가능하게 회동 조작체(149)가 지지되어 있다. 이 회동 조작체(149)는, 대략 삼각 형상의 판체로 구성되고, 이 회동 조작체(149)의 삼각형 한 변의 대략 중간부가 지지판(148)에 피봇되어 있다. 지지판(148)에는, 회동 조작체(149)에 맞닿음 작용해서 요동 한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150)가 구비되어 있다.
회동 조작체(149)의 회동 지지점(149a)에 대향하는 코너부(149b)와 전환 요동체(135)의 요동 방향 일단부측 개소(135a)가 스프링(151)을 통해 접속되고, 회동 조작체(149)의 회동 지지점(149a)가 위치하는 1변 중 한쪽의 코너부(149c)와 전환 요동체(135)의 요동 방향 타단부측 개소(135b)가 제1 조작 와이어(15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채기 요동 아암(143)의 일단부와, 회동 조작체(149)의 회동 지지점(149a)이 위치하는 1변 중 다른 쪽의 코너부(149d)가 제2 조작 와이어(153)를 통해 접속되고, 실채기 요동 아암(143)의 타단부와, 회동 조작체(149)의 회동 지지점(149a)이 위치하는 1변 중 한쪽의 코너부(149c)의 근방 위치가 제3 조작 와이어(154)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151), 3개의 조작 와이어(152, 153, 154), 회동 조작체(149)등에 의해, 전환 조작 레버(141)와 팬 회전 전환 기구(123)를 연동 연계하는 연계 기구 R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팬 회전 전환 기구(123)는, 전환 조작 레버(141)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45)의 인장 가압력에 의해, 전환 조작 레버(141)가 도 19의 반시계 방향(좌측 둘레 방향)으로 요동 가압되므로, 제2 조작 와이어(153)가 당김 조작되어서, 전환 요동체(135)가 도 19의 시계 방향(우회전 방향)으로 요동 가압된다. 전환 요동체(135)가 규제 부재(150)에 맞닿아서 그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면, 그 위치(정회전 위치)에서 보유 지지된다(도 19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전환 요동체(135)가 냉각 위치이며, 팬(122)이 정회전 상태가 된다. 이때, 전환 조작 레버(141)는, 상방을 향해서 기립한 기립 자세가 된다.
전환 조작 레버(141)를 수동 조작해서 도 18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제3 조작 와이어(154)가 당김 조작되어, 전환 요동체(135)가 도 18의 반시계 방향에 요동 조작된다. 전환 요동체(135)가 규제 부재(150)에 맞닿아서 그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면, 그 위치(역회전 위치)에서 조작은 정지한다(도 18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전환 요동체(135)가 제진 위치이며, 팬(122)이 역회전 상태가 된다. 이때, 전환 조작 레버(141)는, 기체 전방부측을 향해서 엎드리는 도복 자세가 된다. 조작자가, 이 도복 자세의 전환 조작 레버(141)로부터 손을 떼면, 전환 조작 레버(141)는 코일 스프링(145)의 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기립 자세(정회전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전환 조작 레버(141)가, 기립 자세와 도복 자세에 걸쳐 전환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환 조작 레버(141)가 기립 자세로 전환 조작되면 팬 회전 전환 기구(123)가 정류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 조작 레버(141)가 도복 자세로 전환 조작되면 팬 회전 전환 기구(123)가 역류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조작 레버(141)의 이동 조작 경로의 도중부에는, 전환 조작 레버(141)의 전환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작용 상태와 전환 조작을 허용하는 비작용 상태로 전환 가능한 견제 부재(155)가 구비되어 있다. 견제 부재 (155)는, 전환 조작 레버(141)를 맞닿음 규제하는 견제 작용 상태와 전환 조작 레버(141)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비작용 상태와의 자세 변경 자재이며, 각각의 상태에서 노브 볼트(156)를 체결함으로써 위치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견제 부재(155)는, 견제 작용 상태에서는, 전환 조작 레버(141)의 전후 요동 조작 영역 내에 진입하고, 맞닿음 규제에 의해 전환 조작 레버(141)가 도복 자세로 전환되는 것을 견제한다. 또한, 비작용 상태에서는, 전환 조작 레버(141)의 전후 요동 조작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고, 전환 조작 레버(141)가 도복 자세로 전환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수동 조작에 의해 팬 회전 전환 기구(123)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작자는 수확 작업이 행해지는 것에 수반하여, 방진망(124)에서의 눈막힘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 팬 회전 전환 기구(123)를 역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팬 회전 전환 기구(123)를 역류 상태로 전환하는 데 적합한 타이밍인 것을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엔진(108)의 냉각수 온도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진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으면, 운전부(107)에 구비된 통지 수단으로서의 표시 패널(157)에 의해 그것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때, 버저를 울려서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전동 구조〕
다음으로, 전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8)의 동력이, 제1 전동 벨트(158)를 구비한 벨트 전달 기구(159)를 통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로 이루어지는 주 변속 장치(161)에 전달되고, 그 주 변속 장치(161)에 의해 변속된 다음 엔진(108)의 기체 전방측에 구비된 미션 케이스(162)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62)에는, 기어 교합식의 부 변속 장치(163)나 도시하지 않은 선회용 조작 기구 등의 전동 기구가 구비되고, 미션 케이스(162)에 전달된 동력은, 미션 케이스(162) 내부의 전동 기구를 통해 좌우의 주행 장치(102)에 전달된다.
또한, 엔진(108)의 동력이, 제2 전동 벨트(164)를 구비한 벨트 텐션식의 탈곡 클러치(165)를 통해 단속 가능하게 풍구(166)의 풍구 회전축(167)에 전달된다. 또한, 그 풍구 회전축(167)의 좌측 단부로부터 제3 전동 벨트(168)를 개재하고, 탈곡 장치(104)에 있어서의 각 부의 장치, 즉, 가장 회수 스크루(116), 이번 회수 스크루(118), 선별용의 요동 구동 기구(169) 등에 동력이 전달된다.
한편, 풍구 회전축(167)의 좌측 단부로부터 입력용의 무단 회동체로서의 제4 전동 벨트(170), 좌우 방향의 중계 전동축(171) 및 베벨 기어 전동 기구(172)를 통해 탈곡 장치(104)의 급동(115)에 동력이 전달된다. 중계 전동축(171)으로부터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로서의 제5 전동 벨트173을 구비한 벨트 텐션식의 예취 클러치(174)를 통해 예취용 입력축(175)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 예취용 입력축(175)로부터 예취 반송부(103)의 각 부에 동력이 전달된다.
베벨 기어 전동 기구(172)의 우측에는 좌우 방향의 역회전축(176)이 설치되고, 역회전축(176)으로부터 예취용 입력축(175)에 역회전 동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 단속 가능한 역회전용의 전동 기구(177)가 구비되어 있다. 상세히 기술은 하지 않았지만, 예취 클러치(174)를 전동 단절 상태로 하고, 역회전용의 전동 기구(177)를 일시적으로 전동 단절 상태로부터 전동 입력 상태로 해서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예취 반송부(103)에 있어서 곡간이 혼입되어 막힘이 발생했을 때, 그 막힘 곡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취용 입력축(175)은, 피더(113)의 구동측의 회전축을 겸하는 구성으로 되고 있으며, 또한, 예취용 입력축(175)으로부터 체인 전동 기구(178)를 통해, 피더(113)의 반송 시단부의 우측 가로 측방에 구비된 횡방향의 중계축(179)에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중계축(179)으로부터 동력이 가로 이송 오거(112)과 회전 릴(110)에 전달됨과 함께, 회전 동력이 좌우 방향의 왕복 이동력으로 변환되는 동력 변환 기구(180)를 통해 예취 장치(111)에 전달된다. 또한, 엔진(108)의 동력이, 제6 전동 벨트(181)를 구비한 벨트 텐션식의 배출 클러치(120)를 통해 곡립 배출 장치(106)에 전달된다.
〔운전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7)에는, 운전 좌석(107A)의 전방에 프론트 패널(182)이 구비되고, 프론트 패널(182)에는, 스티어링 조작과 예취 반송부(103)의 승강 조작을 행하는 십자 요동 가능한 조작 레버(183)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157) 등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107A)의 가로측에 사이드 패널(14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사이드 패널(140)에는, 탈곡 클러치(165)를 접속 단절 조작하는 탈곡 클러치 레버(184), 예취 클러치(174)를 접속 단절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185), 주 변속 장치(161)를 조작하는 주 변속 레버(186), 부변속 장치(163)를 조작하는 부변속 레버(187), 액셀러레이터 레버(188)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패널(140)의 후부측에는, 곡립 배출 장치(106)를 곡립 배출 상태로 전환하는 배출 클러치 레버(189), 전술한 팬 회전 방향 전환용의 전환 조작 레버(141) 등이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40)의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 도 27,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체(19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체(190)는, 상부 패널면을 형성하는 상부 평면부(190a)를 구비함과 함께, 상부 평면부(190a)의 좌우 양측부에 세로면부(190b, 190c)가 일련으로 이어지는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6,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체(190)는, 가장 조작 반력이 발생하는 개소, 즉, 주 변속 레버(186)의 요동 지지점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가, 기체 프레임(101)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패널 지지 프레임(19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체(190)의 후부측 개소는, 기체 프레임(101)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별도의 세로 방향 프레임(도시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26, 도 27,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지지 프레임(191)은, 엔진(108)과 미션 케이스(162)의 전후 중간부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101)으로부터 기립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프레임(101)으로부터 기립 설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A)와, 하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A)에 연결됨과 함께, 미션 케이스(162)의 상방을 따라 기체 전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된 전후 방향 연장 설치부(191B)와, 전후 방향 연장 설치부(191B)의 전방부측 개소에 연결됨과 함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C)를 구비하고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평면에서 볼 때, 사이드 패널(140)의 전방부측 개소의 하방측에는, 미션 케이스(162)가 구비되므로, 그 개소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서 직선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태에서 프레임을 기립 설치하면, 미션 케이스(162)의 외표면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미션 케이스(162)에 프레임을 지지하면, 구동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사이드 패널(140)에 전달되는 불리함이 있다.
따라서, 엔진(108)과 미션 케이스(162)의 전후 중간부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101)으로부터 기립 설치시켜서, 미션 케이스(162)의 상방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시키고, 거기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C)를 구비하고, 사이드 패널(140)을 지지하고 있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A)는, 평면에서 볼 때 후 방향으로 개구된 상태에서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A)의 상단부에 정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의 제1 연결 부재(192)가 연결되고, 이 제1 연결 부재(192)의 세로면부(192a)의 외측에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역L자형의 제2 연결 부재(193)의 세로면부(193a)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 부재(192)의 세로면부(192a)와 수평면부(192b)의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 리브(192c)가 구비되고, 제2 연결 부재(193)의 세로면부(193a)와 수평면부(193b)의 사이에도 복수의 보강 리브(193c)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연결 부재(192) 및 제 2 연결 부재(193)에 의해 전후 방향 연장 설치부(191B)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 부재(193)의 수평면부(193b)의 상부측에, 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C)가 고정되어 상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192) 및 제 2 연결 부재(193)에는 각각, 세로면부(192a, 193a)에 절결 오목부(192d, 193d)가 형성되고, 그들이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이 관통하는 전후 방향으로 긴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 오목부(192d, 193d)의 전후 양측부에 볼트 장착 구멍(192e, 193e)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결 오목부(192d, 193d) 및 볼트 장착 구멍(192e, 193e)은, 운전부(107)에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194)의 회동축(195)을 지지하는 회동 보스부(196)를 전후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보스부(196)가 긴 구멍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에서 전후 방향 연장 설치부(191B)의 가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가로 외측 개소에 플랜지부(197)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97)는 볼트 장착 구멍(192e, 193e)에 장착하는 볼트(198)에 의해 연결되지만, 플랜지부(197)에 형성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199)은 전후 방향으로 긴 긴 구멍으로 형성되고, 플랜지부(197)의 전후 위치를 긴 구멍의 범위 내에서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94)의 회동축(195)은, 운전부 스텝(200)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의 하부에 구비된 우측의 회동 보스부(201)와,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 지지 프레임(191)에 구비된 좌측의 회동 보스부(19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우측의 회동 보스부(201)가 지지되는 운전부(107)측의 프레임체(202)와, 좌측의 회동 보스부(196)가 지지되는 패널 지지 프레임(191)이란, 기체 프레임(101)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기립 설치 고정되는 것이며, 제조의 과정에서 조립 정밀도에 개체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그와 같은 치수 오차에 기인해서 좌우 양측의 회동 보스부(196, 201)에 의해 회동축(195)을 양호하게 조립할 수 없을 우려가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 지지 프레임(191)에 회동 보스부(196)를 전후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립 시의 제작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축(195)에 있어서의 우측의 회동 보스부(201)와 좌측의 회동 보스부(196)의 사이에, 브레이크 페달(194)의 기단부(194a) 및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작동부와 연동 연계하는 연계 기구로서의 링크기구(203)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우측의 회동 보스부(201)와 좌측의 회동 보스부(196)의 사이에서 끼워진 개소로 구동 반력이 걸리는 부재가 연결됨으로써, 회동축 (195)의 휨 변형 등이 적은 상태에서 회동 지지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94)의 기단부(194a)는, 회동축(195) 중 운전부측의 개소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A)는, 전후 방향 연장 설치부(191B)에 있어서의 제1 연결 부재(192)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C)는, 전후 방향 연장 설치부(191B)에 있어서의 제2 연결 부재(193)의 상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연결 부재(192)와 제2 연결 부재(193)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에서 구비되므로, 상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 (191C)는, 하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A)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패널 지지 프레임(191)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정면에서 볼 때, 상측부가 하측부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연장 설치부(191B)와 하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A)의 사이에 기울기 자세의 보강 리브(204)가 형성되고, 전후 방향 연장 설치부(191B)와 상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C)의 사이에 기울기 자세의 보강 리브(20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6,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A)의 상하 중간 위치에는, 엔진(108)으로부터 미션 케이스(162)에 동력 전달하는 제1 전동 벨트(158)에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 기구(206)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텐션 기구(206)는, 평면에서 볼 때 채널형의 하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A)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가로 외측에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되는 횡방향 축부(207)와, 그 횡방향 축부(207)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후방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조작 아암(208)과, 그 조작 아암(208)의 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텐션륜체(20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단부가 기체 프레임(101)에 피봇되어서 상하로 연장되는 막대체(210)에 코일 스프링(211)을 지지시켜서, 텐션륜체(209)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항상, 텐션륜체(209)를 제1 전동 벨트(158)에 긴장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6, 도 27,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40)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체(190)의 좌측 세로면부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사이드 패널(140)의 전단부터 후단부에 걸쳐 연장되는 각통 형상의 전후 방향 보강 프레임체(212)와, 이 전후 방향 보강 프레임체(212)의 전후 중간부보다도 뒤쪽 부분의 개소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고정 연장 설치된 세로 방향 보강 프레임체(213)가 구비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보강 프레임체(212)는, 패널 지지 프레임(191)에 고정된 정면에서 볼 때 채널형의 브래킷(214)을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전후 방향 보강 프레임체(212)의 후방측부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세로 방향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후 방향 보강 프레임체(212)의 전후 중간부보다도 조금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일체로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태에서, 단면 형상이 채널형의 세로 방향 보강 프레임체(213)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 보강 프레임체(213)의 하단부는, 전후 방향 보강 프레임체(212)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단부는, 지지 프레임체(190)의 세로면부(190b)에 대하여 후술하는 축 지지용의 지지 브래킷(215)을 끼워 넣고 있기 모두 체결하는 상태에서 볼트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40)에는, 지지 프레임체(190)의 상부 평면부(190a)를 상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탈곡 클러치 레버(184) 및 예취 클러치 레버(185)가 삽입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216)이 형성된 레버 가이드(217)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 가이드(217)는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고,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가이드(217)는, 가이드 구멍(216)이 형성된 횡방향 자세의 가이드부(217A)와, 그 가이드부(217A)의 외측부에 하방을 향해서 이어지는 세로 방향 자세의 내측 세로면부(217B)와, 그 내측 세로면부(217B)의 외측부로 이어져서 지지 프레임체(190)의 상부 평면부(190a)에 적재 지지되는 횡방향 자세의 적재부(217C)와, 그 적재부(217C)의 외측부에 하방을 향해서 이어져서 지지 프레임체(190)의 세로면부(190c)보다도 가로측 외측에 위치하는 세로 방향 자세의 외측 세로면부(217D)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레버 가이드(217)가 형성됨으로써, 사이드 패널(140)의 상부면의 전체와 좌우 양측의 단부 코너부를 원활하게 덮을 수 있어, 운전 좌석(107A)에 앉아 있는 운전자가 신체가 접촉해도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적다.
다음으로, 탈곡 클러치 레버(184) 및 예취 클러치 레버(185)의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클러치 레버(184)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탈곡용 회동 지지축(218)과, 예취 클러치 레버(185)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형상의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이, 동일 축심 둘레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감합 장착되는 상태에서, 또한, 운전부(107)의 내측측에서 외측에 걸쳐서 기체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체(190)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세로면부(190b, 190c)의 중간 위치보다도 우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있어서, 상부 평면부(190a)의 하면에 중계용 세로면부(190d)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구비되고, 그 중계용 세로면부(190d)에 우측의 피봇 보스부(2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체(190)에 있어서의 피더측(좌측)의 세로면부(190b)에 볼트 고정된 지지 브래킷(215)에 일체적으로 좌측의 피봇 보스부(22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피봇 보스부(220, 221)에 의해 탈곡용 회동 지지축(218)과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탈곡용 회동 지지축(218)과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은, 피더측의 세로면부(190b)보다도 좌측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215)은, 지지 프레임체(190)에 있어서의 피더측의 세로면부(190b)와 세로 방향 보강 프레임체(213)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 고정되어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용 회동 지지축(218)의 내측 측단부에,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에 있어서의 내측 측단부보다도 내측측을 향해서 돌출된 내측 전부 장축부(218a)가 형성되고, 내측 전부 장축부(218a)에 탈곡 클러치 레버(184)의 기단부측 보스부(222)가 일체 회동하도록 연동 연결하는 상태에서 밖에서 끼움 장착되어 있다. 기단부측 보스부(222)의 일단부측은 좌측의 피봇 보스부(221)에 맞닿아 있고, 기단부측 보스부(222)의 타단부측은, 핀(223)에 의해 빠짐 방지해서 위치 결정됨과 함께 빠짐 방지되어 있다.
탈곡용 회동 지지축(218)의 외측 단부에,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외측을 향해서 돌출된 외측 전부 장축부(218b)가 형성되고, 외측 전부 장축부(218b)에 탈곡 클러치(165)용의 연동 조작 부재(224)가 연결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클러(165)용의 연동 조작 부재(224)는, 직사각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외측 전부 장축부(218b)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탈곡 클러(165)용의 연동 조작 부재(224)의 요동 단부에 횡방향의 연결축부(225)를 통해 중계 조작 부재(226)가 피봇 연결되어 있다. 이 중계 조작 부재(226)는, 연결 로드(227) 및 스프링(228)을 통해 탈곡 클러(165)에 연동 연계되어 있다.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의 내측측 개소에 예취 클러치 레버(185)가 연결되고,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의 외측 개소에 예취 클러치용의 연동 조작 부재(229)가 연결되어 있다. 즉, 탈곡 클러치 레버(184)보다도 운전부(107) 외측에 조금 들른 위치에 있어서,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의 외주부에 예취 클러치 레버(185)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그 외주부에 요동 아암(230)이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그 요동 아암(230)의 요동 단부에 측면에서 볼 때 궁형으로 만곡한 외형 형상의 연동 조작 부재(229)의 일단부가 피봇 연결되어 있다. 연동 조작 부재(229)의 타단부가, 조작 와이어(231) 및 스프링(232)을 통해 예취 클러치(174)에 연동 연계되어 있다. 이 연동 조작 부재(229)의 궁형으로 만곡한 외형 형상에 의한 오목부 부분에 의해,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의 축심 방향에서 볼 때 예취용 회동 지지축(219)을 우회하기 위한 요입부 Q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9에서는,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탈곡 클러(165)용의 연동 조작 부재(224)와 예취 클러치용의 연동 조작 부재(229)를 위치를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기재하고 있다.
예취 클러치(17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8)의 동력이 제4 전동 벨트(17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회전체로서의 입력 풀리부(235a)와, 입력되는 동력을 제5 전동 벨트(173)를 통해 예취 반송부(103)에 전달하는 예취 출력 회전체로서의 출력 풀리부(235b)가 1개의 전동 회전체로서의 전동용 풀리(235)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전동용 풀리(235)가 중계 전동축(17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출력 풀리부(235b)는 입력 풀리부(235a)보다도 중계 전동축(171)의 축단측에 구비되어 있다.
전동용 풀리(235)의 축심 방향 일방측에 축심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요입부(236)가 형성되어 있다. 중계 전동축(171)은 통형상 케이스(237)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으며, 전동용 풀리(235)가 중계 전동축(171)에 있어서의 통형상 케이스(237)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축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용 풀리(235)에 있어서의 입력 풀리부(235a)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제4 전동 벨트(170)가 배열되는 상태에서 권회되는 폭이 넓은 다연형의 벨트 권회부로서 구성됨과 함께, 이 다연형의 벨트 권회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요입부(2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계 전동축(171)이 내장되는 통형상 케이스(237)는 요입부(236)에 들어가는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
전동용 풀리(235)의 입력 풀리부(235a)보다도 축단측에 위치하는 출력 풀리부(235b)는, 입력 풀리부(235a)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예취용 입력축(175)에 장착되어서 입력 풀리부(235a) 사이에서 제5 전동 벨트(173)가 권회되는 예취 입력용 풀리(238)는, 입력 풀리부(235a)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5 전동 벨트(173)는, 급동(115)에 공급하는 동력보다도 예취 반송부(103)에 대한 동력을 감속시키는 형태에서 동력 전달한다.
출력 풀리(235b)의 직경 방향 내측측에 중계 전동축(171)에 밖에서 끼움 장착되는 보스부(235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스부(235c)의 축단측에는, 중계 전동축(171)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림 결합하는 동시에, 소직경 축부(171a)에 밖에서 끼움되는 소직경 통부(235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235c)와 중계 전동축(171)이 키(239)에 의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동 연결되어 있다.
도 24 및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 전동축(171)의 축 단부에 있어서의 출력 풀리부(235b)보다도 단부측 개소에, 제5 전동 벨트(173)에 장력을 부여하는 전동 입력 상태와 장력 부여를 해제하는 전동 단절 상태로 전환 가능한 텐션 클러치 기구(240)가 구비되어 있다.
텐션 클러치 기구(240)는, 중계 전동축(171)에 베어링(24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외측 끼움 지지되는 텐션 아암(242)과, 그 텐션 아암(242)에 지지되어 제5 전동 벨트(173)에 작용하는 텐션륜체(243)와, 텐션 아암(242)을 텐션륜체(243)가 제5 전동 벨트(17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압하는 가압 기구로서의 코일 스프링(244)과, 운전부(107)에 구비된 예취 클러치 레버(185)의 조작에 기초하여 코일 스프링(244)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텐션륜체(243)가 제5 전동 벨트(173)에 작용해서 긴장력을 부여하게 텐션 아암(242)을 회동 조작하는 연계 조작 기구로서의 조작 와이어(245)를 구비하고 있다.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241)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축심 방향으로 이격된 2군데에 각각, 서클립(246)이 장착되어 있으며, 텐션 아암(242)의 회동 기단부는, 한 쌍의 서클립(246)으로 끼워져서 축심 방향의 빠짐 벗어남이 저지된 상태에서 베어링(241)의 외주부에 밖에서 끼움 장착되어 있다. 중계 전동축(171)의 축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71b)에 너트(247)가 장착되고, 이 너트(247)에 의해, 전동용 풀리(235)의 소직경 통부(235d)와 베어링(241)의 이너 링이 체결 고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44)은, 텐션 아암(242)으로부터 고정 연장 설치된 연장 아암(242a)과 탈곡 장치(104)의 측부에 형성된 걸림 부재(248)로부터 연장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249)에 걸쳐 장설되어 있다. 걸림 부재(248)는, 탈곡 장치(104)의 가로 측방을 덮는 개폐 가능한 덮개(도시생략)를 위치 보유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취 클러치 레버(185)가 단절 위치로 조작되면, 조작 와이어(245)가 느슨해지고, 코일 스프링(244)의 가압력에 의해 텐션륜체(243)가 제5 전동 벨트(173)로부터 이격해서 전동 차단 상태(클러치 전환 상태)로 전환된다. 예취 클러치 레버(185)가 접속 위치로 조작되면, 코일 스프링(244)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조작 와이어(245)에 의해 텐션 아암(242)이 당김 조작되어, 텐션륜체(243)가 제5 전동 벨트(173)에 작용해서 긴장력을 부여해서 전동 상태(클러치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제5 전동 벨트(173)와 텐션 클러치 기구(240)에 의해 예취 클러치(174)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 횡방향의 중계 전동축(171)과 기체 전후 방향의 급동축(115a)이 베벨 기어 전동 기구(172)를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으며, 중계 전동축(171)에 있어서, 입력되는 동력이 예취 클러치(174)를 통해 예취 반송부(103)에 전달하는 동력과, 탈곡 장치(104)의 급동(115)에 전달하는 동력으로 분배된다.
다음으로, 주행용의 변속 조작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 도 31,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지지 프레임(191)에 있어서의 상부측의 세로 방향 연장 설치부(191C)의 횡측부에 정면에서 볼 때 채널형의 지지 브래킷(250)이 연결되고, 이 지지 브래킷(250)으로부터 운전 좌석(107A) 측을 향해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지지점 핀(251)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주 변속 레버(186)의 기단부측에 연동 연계된 회동 조작 부재(252)가, 지지점 핀(251)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마찰 보유 지지 기구(253)에 의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서 보유 지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 조작 부재(252)는, 일련에 이어지는 판체로 형성되고, 전후 중간 위치에 그 내부에 마찰 보유 지지 기구(253)를 위치시키는 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채널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 지지부(252a)와, 그 중앙 지지부(252a)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는 조작 연결부(252b)를 구비하고 있다. 주 변속 레버(186)의 하단부가, 중앙 지지부(252a)의 내부에, 전후 방향의 축심 X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또한 복귀 스프링(254)에 의해 좌우 중앙측에 요동 가압되는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주 변속 레버(186)의 전후 방향 조작에 의해, 회동 조작 부재(252)가 일체적으로 지지점 핀(251)의 횡방향 축심 P5 둘레에서 요동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측의 조작 연결부(252b)에 있어서의 전방부 측단부의 좌측면에, 주 변속 조작 로드(255)의 상단부가 볼 조인트(256)를 통해 피봇 연결되어 있다. 주 변속 조작 로드(255)의 하단부는 주 변속 장치(161)의 변속 조작 아암(257)과 연동 연계되어 있다.
주 변속 레버(186)를 전후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립 위치에서 전방부측으로 조작하면, 주 변속 조작 로드(255)에 의해 연동 연계된 변속 조작 아암(257)이 조작되고, 주 변속 장치(161)가 전진 방향으로 증속된다. 또한, 주 변속 레버(186)를 중립 위치로부터 후부측으로 조작하면, 주 변속 장치(161)가 후진 방향에서 증속하도록 변속 조작된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측의 조작 연결부(252b)의 주 변속 조작 로드(255)가 연결되는 개소의 우측면에는,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림부(258)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258)를 구비함으로써, 주 변속 조작 로드(255)의 상단부를 전방부측의 조작 연결부(252b)에 있어서의 좌측면에서만 설치할 수 있고, 우측면에서 잘못 설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우측면에서 설치하면, 변속 조작 아암(257)의 연결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26,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94)의 회동축(195)에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아암(259)이 연결되고, 이 회동 아암(259)에 횡방향의 걸림 핀(26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194)과 주 변속 레버(186)를 연계하는 한 쌍의 중립 복귀용의 조작 링크(261)가 구비되어 있다. 각 조작 링크(261)의 하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긴 긴 구멍(262)을 통해 걸림 핀(260)에 걸림 결합 연계되고, 상단부가 전방부측 및 후부측의 조작 연결부(252b)에 각각 피봇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94)이 밟기 조작되지 않았을 때에는, 한 쌍의 조작 링크(261)는 긴 구멍(262)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주 변속 레버(186)에 의한 변속 조작을 허용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194)이 밟기 조작되면, 주 변속 레버(186)가 전진 조작 영역 및 후진 조작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조작되어서 마찰 보유 지지 기구(253)에 의해 위치 보유 지지되어 있어도, 어느 쪽인가의 중립 복귀용의 조작 링크(261)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동 조작 부재 252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켜서 주 변속 장치(161)를 중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40)의 하방측에는, 다양한 연계용의 조작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들 조작 기구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사이드 패널(140)의 하방측 좌우 양측부에는 차폐판이 구비되어 있다. 즉,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107A) 측의 측면에는, 측면 전역을 덮는 우측 차폐판(263)이 구비되어 있으며, 운전 좌석(107A)과는 반대측의 측면에는, 상부측이 지지 프레임체(190)의 세로면부(190b)에 연결되고, 하부측이 전후 방향 보강 프레임체(212)에 연결된 좌측 차폐판(264)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 출력 회전체(235b)와 입력 회전체(235a)가 1개의 전동 회전체(235)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예취 출력 회전체(235b)와 입력 회전체(235a)가 별체의 회전체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회전체(235)에 축심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요입부(236)가 형성되고, 중계 전동축(171)을 내장하는 통형상 케이스(237)가 요입부(236)에 들어가는 상태에서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전동 회전체(235)가, 통형상 케이스(237)가 직경 방향으로 중복되지 않도록, 통형상 케이스(237)의 단부보다도 축심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구비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회전체(235a)로서 2개의 전동 벨트가 배열되는 상태에서 권회되는 폭이 넓은 다연형의 벨트 권회부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입력 회전체로서는, 1개의 전동 벨트가 권회되는 것이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 횡방향의 중계 전동축(171)과 기체 전방부 방향의 급동축(115a)이 베벨 기어 전동 기구(172)를 통해 연동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중계 전동축(171)과는 별도로 기체 횡방향의 급동용 전동축을 구비하고, 중계 전동축(171)으로부터 벨트 전동 기구를 통해 급동용 전동축에 동력 전달되고, 또한, 이 급동용 전동축과 기체 전방부 방향의 급동축이 베벨 기어 기구를 통해 연동 연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 전동축(171)의 단부측 개소에 텐션 클러치 기구(240)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출력용의 무단 회동체(173)에 의해 동력 전달되는 전동 아래쪽의 예취부측의 회동축으로, 텐션 클러치 기구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부(107)의 상방을 덮는 캐노피(107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캐노피(107B) 대신에,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운전부(107) 전체를 덮는 캐빈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이러한 캐빈을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프레 클리너(126)를 캐빈의 천장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콤바인으로서 보통형 콤바인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 실시 형태에 의한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