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6643B1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643B1
KR102546643B1 KR1020170086123A KR20170086123A KR102546643B1 KR 102546643 B1 KR102546643 B1 KR 102546643B1 KR 1020170086123 A KR1020170086123 A KR 1020170086123A KR 20170086123 A KR20170086123 A KR 20170086123A KR 102546643 B1 KR102546643 B1 KR 102546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intelligent
intelligent terminals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5455A (en
Inventor
손단영
김현숙
박수호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8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643B1/en
Publication of KR2019000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64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지능형 단말 각각에 대해, 해당 단말의 고유 정보와 댁내에서 해당 단말을 식별하도록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을 등록하는 단말 등록부; 사용자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를 설정하는 관계 설정부; 및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단말에 전달하는 상호 제어 처리부를 포함하여, 스마트 홈 환경에서 음성을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범위를 댁내의 다양한 장소로 확장시키고, 댁내에 구축된 다양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들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커스터마이징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한다.
A technology related to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s disclosed.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stores uniqu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user-spec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pecified by a user to identify the terminal in the home, and stores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 terminal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relationship setting unit for setting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 to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et to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the user's voice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first terminal When a signal is received,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when a voice signal of a user controlling the first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Including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that transmits to the terminal, the user's voice input range using the smart home service through voice in the smart home environment is expanded to various places in the home, and various smart home service systems built in the home are available for user selectio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customizing according to

Description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본 발명은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댁내 지능형 단말들과 통신하여 댁내 지능형 단말들로 하여금 상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in which intelligent terminals in a hom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perform mutual control.

일반적으로, 댁내 지능형 단말은 인공 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주택 자동화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마트 홈 서비스(smart home service)를 제공하거나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단말을 말한다.In general, an in-home intelligent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that provides a smart home service corresponding to a home automation service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or controls devices providing the smart home servic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5680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801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들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같은 특정 제어 장치를 통해서만 댁내 기기들을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제어 장치의 음성 입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 음성에 의한 댁내 기기들의 제어가 불가능해지고 댁내에 설치된 다수의 지능형 단말들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기술들은 다수의 지능형 단말을 통해 각각 음성 비서 서비스,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 스마트 TV 서비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서비스 등과 같이 다양한 스마트 홈 서비스가 제공되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들을 커스터마이징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5680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8010, etc., existing technologies control in-house devices only through a specific control device such as a user's mobile terminal. In the case where is out of the voice input range of a specific control device, control of in-house devices by user's voice becomes impossibl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installed in the premises cannot be fully utilized. In addition, existing technologies provide user selection in a smart home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smart home services such as voice assistant service, IoT (Internet of Things) service, smart TV service, and smart grid service are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ethod for customizing smart home service systems cannot be propos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음성을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범위를 댁내의 다양한 장소로 확장시키고, 댁내에 구축된 다양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들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커스터마이징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pand the voice input range of a user using a smart home service through voice in a smart home environment to various places in the home, and to provide various smart home service systems built in the hom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t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customiz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은, 댁내에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라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제어하는 댁내 지능형 단말들과 통신하여 댁내 지능형 단말들로 하여금 상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지능형 단말 각각에 대해, 해당 단말의 고유 정보와 댁내에서 해당 단말을 식별하도록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을 등록하는 단말 등록부; 사용자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를 설정하는 관계 설정부; 및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단말에 전달하는 상호 제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home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or communicates with intelligent terminals in the house that control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devices so that the intelligent terminals in the house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control, for each of a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registering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by stor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user-spec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ignated by a user to identify the terminal in the home terminal register; a relationship setting unit for setting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 to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et to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the user's voice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first terminal When a signal is received,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when a voice signal of a user controlling the first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It may include a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that transmits to the termi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지능형 단말들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등록부는, 상기 단말 인증에 성공한 지능형 단말들을 등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receiving unique information of intelligent terminals and performing terminal authentication on the intelligent terminals, and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registers the intelligent terminals that have succeeded in terminal authentication. ca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인증부는, 지능형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통해 해당 지능형 단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may receive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s from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hat has obtain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terminal through pairing with the intelligent termi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등록부는, 상기 시스템과 통신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may receive and store the user-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through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syste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계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의 등록 순서에 따른 요청을 받아 선등록된 지능형 단말과 후등록되는 지능형 단말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요청을 받아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단말들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nd sets a pre-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and a post-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or the user Upon receiving a request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user input,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may be set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제어 처리부는,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상기 음성 신호를 인식 및 분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제어 대상 단말과 제어 내용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과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명령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voice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a terminal receiving a user's voice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recognizing and analyzing the voice signal and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a control target terminal included in the voice signal and control contents; and a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ntents to the control target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input and the control target terminal are set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은,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이, 댁내에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라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제어하는 댁내 지능형 단말들과 통신하여 댁내 지능형 단말들로 하여금 상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복수의 지능형 단말 각각에 대해, 해당 단말의 고유 정보와 댁내에서 해당 단말을 식별하도록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을 등록하는 단말 등록 단계;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를 설정하는 관계 설정 단계; 및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단말에 전달하는 상호 제어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provides a smart home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or communicates with in-house intelligent terminals that control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devices,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method that allows intelligent terminals to perform mutual control, wherein the system stor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uniqu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user-spec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pecified by a user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e home a terminal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 relationship setting step in which the system establishes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 to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et to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the system controls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first terminal. When the user's voice signal is received,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when the system receives the user's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received. A mutual control processing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terminal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시스템이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지능형 단말들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등록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단말 인증에 성공한 지능형 단말들을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terminal authentication step in which the system receives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s and performs terminal authentication for the intelligent terminals, wherein the terminal registration step comprises: It may be a step of registering intelligent terminals that have succeeded in authentic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인증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지능형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통해 해당 지능형 단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authentication step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by the system,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s from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hat has acquired information about the intelligent terminal through pairing with the intelligent terminal. can do.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등록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시스템과 통신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terminal registration step, the system may receive and store the user-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through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syste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계 설정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의 등록 순서에 따른 요청을 받아 선 등록된 지능형 단말과 후 등록되는 지능형 단말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요청을 받아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단말들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setting the relationship, the system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order of registration of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nd establishes a pre-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and a later-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The system may include receiving a request according to user inpu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tting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into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제어 처리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음성 신호를 인식 및 분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제어 대상 단말과 제어 내용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과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명령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step may include: a voice signal receiving step in which the system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a terminal receiving a user's voice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system recognizes and analyzes the voice signal and extracts information about a control target terminal included in the voice signal and control content; and a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by the system,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ntents to the control target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input and the control target terminal are set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동작 또는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program that execute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r method through a computer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에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라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제어하는 댁내 지능형 단말들과 통신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이 댁내 지능형 단말들로 하여금 상호 제어를 수행하도록 관리함으로써, 음성을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범위를 댁내의 다양한 장소로 확장시키고 지능형 단말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ng with in-house intelligent terminals that provide smart home services or control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devices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in the house is to allow the in-house intelligent terminals to perform mutual control By managing,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user's voice input range using the smart home service through voice to various places in the house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intelligent terminals.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댁내에서 지능형 단말들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지정하여 음성 입력시 사용하도록 하고,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댁내에 구축된 다양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커스터마이징하도록 하고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design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intelligent terminals in the home and use it for voice input, and to establish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t terminals, various smart home service systems built in the home can be selec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customize according to the user interface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mart home service system.

또한,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인식 및 분석을 수행하여 지능형 단말 제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댁내 지능형 단말들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댁내 지능형 플랫폼 또는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performs voice recognition and analysis on user voice input and provides intelligent terminal control inform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in-house intelligent terminals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an in-house intelligent platform or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system. can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clearly understan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at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various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되는 스마트 홈 서비스 환경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의 단말 인증 및 등록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의 지능형 단말들 간 상호 제어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mart home service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process of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tual control processing process between intelligent terminals in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solutions to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ke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designers and manufacture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스마트 홈 서비스 환경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 smart home service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은 댁내에 설치되는 지능형 단말(10), 댁내 AP(Access Point)(12)를 통해 지능형 단말들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음성 비서 서비스,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 스마트 TV 서비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서비스 등과 같이 다양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서버들(2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smart home service system generally perform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intelligent terminals through an intelligent terminal 10 installed in the house and an access point (AP) 12 in the house, and provides a voice assistant service , IoT (Internet of Things) service, smart TV service, smart grid (smart grid) service, such as a plurality of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servers 20 that provide.

이 경우, 지능형 단말(10)은 댁내에 설치되는 고정 단말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라 해당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제어하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 또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lligent terminal 10 may be a fixed terminal installed in the house, and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terminals or devices that provide a corresponding smart home service or control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devices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there is.

본 발명의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은, 이러한 스마트 홈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댁내에 설치된 다양한 지능형 단말들을 관리하여 댁내 지능형 단말들로 하여금 상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은 댁내 지능형 단말들은 물론, 모바일 단말(30a)이나 PC(30b) 등과 같은 사용자 통신 단말(3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은 지능형 단말 관리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운영되는 서버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various intelligent terminals installed in a user's home in such a smart home service environment so that the intelligent terminals in the home perform mutual control. To this end,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may perform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user communication terminals 30 such as mobile terminals 30a or PCs 30b as well as in-house intelligent terminals.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or computer system operated by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ervice provider.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이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은 단말 인증부(110), 단말 등록부(120), 관계 설정부(130), 및 상호 제어 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02), 메모리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0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a terminal registration unit 120, a relationship setting unit 130, and a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140, According to an example, a communication unit 102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torage unit 104 for storing data such as a memory,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단말 인증부(110)는, 사용자 댁내에 설치된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지능형 단말들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인증부(110)는 해당 단말의 고유 정보와 미리 저장한 고유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단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인증부(110)는 지능형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통해 해당 지능형 단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사용자 통신 단말(30)로부터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고유 정보는 해당 지능형 단말(10)의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may perform terminal authentication for the intelligent terminals by receiv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s installed in the user's home. For example,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may perform terminal authentication by comparing unique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terminal with previously stored uniqu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may receive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s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that has acquir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terminal through pairing with the intelligent terminal. The unique information may include 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r a serial number of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terminal 10 .

실시예에 따라, 단말 인증부(110)는 별도의 인증 서버로 구현되어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인증부(110)의 단말 인증에는 인증서 방식,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방식 등 다양한 인증 방식들이 적용 또는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authentication server and configured to interwork with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authentication methods such as an authentication method and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method may be applied or applied to the terminal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

상기 단말 등록부(120)는, 복수의 지능형 단말(10) 각각에 대해, 해당 단말의 고유 정보와, 댁내에서 해당 단말을 식별하도록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10)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는 해당 지능형 단말(10)의 설치 장소나 닉네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등록부(120)는 상기 단말 인증에 성공한 지능형 단말들에 대해서만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등록부(120)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과 통신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3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통신부(102)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부(104)에 저장할 수 있다.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120 stor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10, uniqu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user-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user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e house, so that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 10) can be registered. The user-spec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nickname of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terminal 10 . In this case,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120 may perform registration only for intelligent terminals that have succeeded in terminal authentic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120 receives custo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communicating with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2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04. can

상기 관계 설정부(130)는, 사용자 통신 단말(3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계 설정부(130)는 사용자 통신 단말(30)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10)의 등록 순서에 따른 요청을 받아 선등록된 지능형 단말과 후등록되는 지능형 단말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계 설정부(130)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3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요청을 받아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단말들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거나 설정된 상호 제어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 설정 정보는,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 등과 함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30 may establish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30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order of registration of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10 and establishes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and the post-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ca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30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user input and sets th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into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or established mutual control Relationships can chang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setting information between these intelligent terminals may be databased and stored together with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s, user-spec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상호 제어 처리부(140)는, 예컨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는 한편,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호 제어 처리부(140)는 음성 신호 수신부(142), 제어 정보 추출부(144), 및 제어 명령 전송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140, for example,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 to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et to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a voice signal of a use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is received,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when a voice signal of a user controlling the first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received.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voic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To this end,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140 may include a voice signal receiving unit 142, a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4, and a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unit 146.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142)는, 상기 단말 등록부(120)에 의해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댁내 임의의 장소에서 사용자 발화에 의한 음성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장소에 설치된 지능형 단말(1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음성 신호 수신부(142)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 추출부(144)로 전달할 수 있다.The voice signal receiving unit 142 may receive a voice signal from a terminal that has received a user's voice input among intelligent terminals registered by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120 . That is, when a voice input caused by a user's speech occurs at any place in the house, the intelligent terminal 10 installed in the place converts the user's voice input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 the voice signal receiver 142 may receive it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information extractor 144.

상기 제어 정보 추출부(144)는,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인식 및 분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제어 대상 단말과 제어 내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정보 추출부(144)는 해당 제어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The control information extractor 144 may recognize and analyze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extract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a control target terminal and control contents included in the voice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4 may extract the corresponding control information in text form.

상기 제어 명령 전송부(146)는, 상기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과 상기 제어 정보에 나타난 제어 대상 단말이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해당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명령은 제어 대상 단말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transmitter 146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ntents to the control target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input and the control target terminal indicat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are set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 In this case, the control command may be configured in a form recognizable by the control target terminal.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의 단말 인증 및 등록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의 기능과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process of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댁내에 설치되는 지능형 단말(1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의 통신 단말(30)과 무선 페어링을 통해 자신의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하는 고유 정보를 해당 통신 단말(30)로 전송하고(S300), 지능형 단말(10)의 고유 정보를 획득한 사용자 통신 단말(30)은 해당 고유 정보 등을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단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310).As shown in FIG. 3, the intelligent terminal 10 installed in the user's home is wirelessly paired with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30 in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to obtain its own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SSID (Service Set identifier) or serial number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30 (S300), and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acquir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 1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unique information to the intelligent terminal 30.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to request terminal authentication (S310).

그러면,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단말 인증부(110)는, 사용자 댁내에 설치된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 정보 등을 이용하여 지능형 단말들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2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 인증부(110)의 단말 인증에는 인증서 방식,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방식 등 다양한 인증 방식들이 적용 또는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 인증 절차를 수행한 단말 인증부(110)는, 해당 단말 인증 결과를 사용자 통신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S330).Then,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may receive unique information of intelligent terminals installed in the user's home and perform terminal authentication for the intelligent terminals using the received unique information. Yes (S320). As mentioned abov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authentication methods such as an authentication method and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method may be applied or applied to the terminal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that has performed the terminal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terminal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S330).

단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통신 단말(30)은 해당 지능형 단말(10)의 등록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설치 장소나 닉네임 등과 같이 댁내에서 해당 단말을 식별하도록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40).If the terminal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provides a user interface screen requesting input of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terminal 10, and the user designated by the user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e home, such as an installation place or a nickname 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S340).

그 다음, 사용자 통신 단말(30)은 상기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등록 정보를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단말 인증에 성공한 지능형 단말(10)의 등록 및 타 단말들과의 상호 제어 관계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S350).Then,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transmits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pec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to register the intelligent terminal 10 that has succeeded in terminal authentication and interact with other terminals. A control relationship setting may be requested (S350).

그러면,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단말 등록부(120)는, 단말 이증에 성공한 지능형 단말(10)의 고유 정보와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지능형 단말(10)을 등록하고,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관계 설정부(130)는, 사용자 통신 단말(3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S360). 이 경우, 관계 설정부(130)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30)로부터 단말 인증에 성공한 지능형 단말들의 등록 순서에 따른 요청을 받아 선등록된 지능형 단말과 후등록되는 지능형 단말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계 설정부(130)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3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요청을 받아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단말들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거나 설정된 상호 제어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Then,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120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stores the unique information and user-spec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 10 that has succeeded in terminal verification, registers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terminal 10, and manages the intelligent terminal.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30 of the system 100 may set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S360).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30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order of intelligent terminals that have succeeded in terminal authentication, and sets a pre-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and a post-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there i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30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user input and sets th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into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or established mutual control Relationships can change.

그 다음,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지능형 단말에 대한 등록 결과와 타 단말과의 상호 제어 관계 설정 결과를 사용자 통신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S370).Then,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may transmit the registration result for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terminal and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establishment result with other terminals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 (S37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의 지능형 단말들 간 상호 제어 처리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의 기능과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utual control processing process between intelligent terminals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이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것을 전제로, 상기 제1 단말(10a)로부터 상기 제2 단말(10b)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상호 제어 처리부(140)는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단말(10b)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이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것을 전제로, 상기 제2 단말(10b)로부터 상기 제1 단말(10a)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상호 제어 처리부(140)는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단말(10a)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호 제어 처리부(140)는 음성 신호 수신부(142), 제어 정보 추출부(144), 및 제어 명령 전송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terminal 10a and the second terminal 10b correspond to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nd the first terminal 10a and the second terminal 10b have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On the premise that is set to, when a user's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10b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a,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140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performs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10b. On the other hand, on the premise that the first terminal 10a and the second terminal 10b correspond to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nd that the first terminal 10a and the second terminal 10b are set to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When a user's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terminal 10a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10b,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140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issu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t can be delivered to the first terminal 10a. To this end,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140 may include a voice signal receiving unit 142, a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4, and a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unit 146.

예컨대, 댁내의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제1 단말(10a)이 사용자의 발화, 예컨대 “제2 단말에서 음악 틀어”라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면(S400), 제1 단말(10a)은 해당 음성 입력을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로 전송하고,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음성 신호 수신부(142)는 전송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10).For example, when the first terminal 10a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in the home receives a user's speech, for example, a voice input of “play music on the second terminal” (S400), the first terminal 10a receives the corresponding voice input After converting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it is transmitted to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and the voice signal receiving unit 142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may receive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S410).

그 다음,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 정보 추출부(144)는,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인식 및 분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제어 대상 단말(예컨대, 제2 단말)과 제어 내용(예컨대, 음원 재생)에 관한 제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정보 추출부(144)는 해당 제어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정보 추출부(144)는 추출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단말(10a)로 전송할 수 있다(S430).Then, the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4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recognizes and analyzes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control target terminal (eg, second terminal) and control content ( For example,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sound source) may be extracted. In this case, the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4 may extract the corresponding control information in text form. And the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4 may transmit the extrac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a (S430).

제어 정보에 포함된 제어 대상 단말을 확인한 제1 단말(10a)은, 제어 대상 단말에 해당하는 제2 단말(10b)로 제어 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40). 이 경우, 제어 처리 요청 메시지는 텍스트 형태의 제어 내용을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10b)은,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으로 해당 제어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문의 또는 요청할 수 있다(S450).After confirming the control target terminal includ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the first terminal 10a may transmit a control processing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10b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terminal (S440). In this case, the control processing request message may be transmitted as a push message including text-type control content. Upon receiving the control processing request message, the second terminal 10b may inquire or reques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content to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S450).

그 다음,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 명령 전송부(146)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음성 입력을 받은 제1 단말(10a)과 상기 제어 대상 단말에 해당하는 제2 단말(10b)이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제2 단말(10b)로 해당 제어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460). 이 경우, 제어 명령은 제2 단말(10b)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n,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unit 146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searches the database, and the first terminal 10a receiving the voice input and the second terminal 10b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terminal After confirming that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10b (S460). In this case, the control command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the second terminal 10b can recognize.

제어 명령을 수신한 제2 단말(10b)은,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470). 예컨대, 제2 단말(10b)은 직접 음원을 재생하거나 제2 단말(10b)에 의해 제어되는 음원 재생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2 단말(10b)이 음원을 재생하는 동안 제2 단말(10b)로부터 제1 단말(10a)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에 수신되면,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어 명령 전송부(146)는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제1 단말(10a)로 전송하고 제1 단말(10a)은 제어 명령에 ㄸ따른 자신의 스마트 홈 서비스, 예컨대 TV를 동작시켜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the second terminal 10b may perform contro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470).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10b may directly play a sound source or operate a sound source reproducing device controlled by the second terminal 10b. When the second terminal 10b receives a voice signal of the user controlling the first terminal 10a from the second terminal 10b to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while the second terminal 10b reproduces the sound source,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unit 146 of ) transmit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10a, and the first terminal 10a operates its own smart home ser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for example, a TV. to provide IPTV services.

실시예에 따라,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는 도 4의 제어 정보 추출 단계(S420) 이후, 제1 단말(10a)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처리하는 단계들(S430 내지S450)을 생략하고, 추출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제2 단말(10b)로 바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은 제2 단말(10b)로의 제어 명령 전송 결과 또는 제2 단말(10b)의 제어 처리 수행 결과를 제1 단말(10a)로 제공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omits the steps (S430 to S450) of transmitting and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a after the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420) of FIG. 4, It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10b. In this case,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may provide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result to the second terminal 10b or the control processing result of the second terminal 10b to the first terminal 10a.

한편,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단말 인증부(110), 단말 등록부(120), 관계 설정부(130), 및 상호 제어 처리부(140)는 각각 독립된 서버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120,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30, and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140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are each implemented as independent servers or computer systems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can be configured.

또한,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100)의 단말 인증부(110), 단말 등록부(120), 관계 설정부(130), 및 상호 제어 처리부(140)는 서버나 컴퓨터 시스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기능적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은 해당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해당 동작이나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든 종류의 매체가 포함된다. 예컨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다양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 배치되어 프로그램 코드들을 분산 방식으로 저장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10,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120,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30, and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140 of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0 are functionally executed through a microprocessor of a server or computer system. It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module. 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gram code segments that execute a corresponding operation or task through a corresponding computer system. These computer programs or program code segments may be stored in various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media o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recorded. For examp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such a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various networks to store or execute program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에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라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제어하는 댁내 지능형 단말들과 통신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이 댁내 지능형 단말들로 하여금 상호 제어를 수행하도록 관리함으로써, 음성을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범위를 댁내의 다양한 장소로 확장시키고 지능형 단말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댁내에서 지능형 단말들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지정하여 음성 입력시 사용하도록 하고,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댁내에 구축된 다양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커스터마이징하도록 하고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인식 및 분석을 수행하여 지능형 단말 제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댁내 지능형 단말들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댁내 지능형 플랫폼 또는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ng with in-house intelligent terminals that provide smart home services or control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devices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in the premises allows the in-house intelligent terminals to By managing to perform mutual control,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user's voice input range using smart home services through voice to various places in the house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intelligent terminals. 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design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intelligent terminals in the home and use it for voice input, and to establish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t terminals, various smart home service systems built in the home can be selec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customize according to the user interface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mart home service system. In addition,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performs voice recognition and analysis on user voice input and provides intelligent terminal control inform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in-house intelligent terminals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an in-house intelligent platform or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system. can Furthermor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various technical problem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n the related art as well as in the related art.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clear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above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escrip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at is,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102 : 통신부
104 : 저장부 110 : 단말 인증부
120 : 단말 등록부 130 : 관계 설정부
140 : 상호 제어 처리부 142 : 음성 신호 수신부
144 : 제어 정보 추출부 146 : 제어 명령 전송부
100: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102: communication department
104: storage unit 110: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120: terminal registration unit 130: relationship setting unit
140: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142: voice signal receiving unit
144: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6: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unit

Claims (13)

댁내에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라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제어하는 댁내 지능형 단말들과 통신하여 댁내 지능형 단말들로 하여금 상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지능형 단말 각각에 대해, 해당 단말의 고유 정보와 댁내에서 해당 단말을 식별하도록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을 등록하는 단말 등록부;
사용자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를 설정하는 관계 설정부; 및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에 해당하고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단말에 전달하는 상호 제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계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요청을 받아,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smart home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or communicates with intelligent terminals that control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devices at home to allow the intelligent terminals to perform mutual control,
For each of a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 terminal registration unit registering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by stor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user-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pecified by a user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e home;
a relationship setting unit for setting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 to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re set to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When a user's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is received,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when a user's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received. A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terminal;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for receiving the request according to user inpu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t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to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지능형 단말들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등록부는, 상기 단말 인증에 성공한 지능형 단말들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receiving unique information of intelligent terminals and performing terminal authentication for intelligent terminals;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registers intelligent terminals that have succeeded in terminal authent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인증부는, 지능형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통해 해당 지능형 단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receives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s from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hat has acquir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terminal through pairing with the intelligent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등록부는, 상기 시스템과 통신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terminal registration unit receives and stores the user-spec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through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의 등록 순서에 따른 요청을 받아 선등록된 지능형 단말과 후등록되는 지능형 단말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요청을 받아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단말들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nd sets a pre-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and a post-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or receives a user inpu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 receiving a request according to the above, setting th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into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제어 처리부는,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상기 음성 신호를 인식 및 분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제어 대상 단말과 제어 내용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과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명령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unit,
a voice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a terminal receiving a user's voice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recognizing and analyzing the voice signal and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a control target terminal included in the voice signal and control contents; and
and a control comma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ntent to the control target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input and the control target terminal are set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지능형 단말 관리 시스템이, 댁내에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라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제어하는 댁내 지능형 단말들과 통신하여 댁내 지능형 단말들로 하여금 상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복수의 지능형 단말 각각에 대해, 해당 단말의 고유 정보와 댁내에서 해당 단말을 식별하도록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을 등록하는 단말 등록 단계;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간의 상호 제어 관계를 설정하는 관계 설정 단계; 및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에 해당하고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음성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단말에 전달하는 상호 제어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계 설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요청을 받아,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in which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provides a smart home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or communicates with intelligent terminals in the house that control smart home service providing devices so that the intelligent terminals in the house perform mutual control As a method,
a terminal registration step in which the system registers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by stor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uniqu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user-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pecified by a user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e home;
A relationship setting step in which the system establishes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 to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re set to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the system is Upon receiving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ystem receives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controlling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econd terminal. Then, a mutual control processing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relationship setting step,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method for receiving the request according to user inpu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t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to the mutual control relationshi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시스템이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지능형 단말들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등록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단말 인증에 성공한 지능형 단말들을 등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terminal authentication step in which the system receives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s and performs terminal authentication for the intelligent terminals;
The terminal registration step is an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ystem registers the intelligent terminals that have succeeded in the terminal authentic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인증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지능형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통해 해당 지능형 단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지능형 단말들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terminal authentication step includes receiving, by the system,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terminals from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hat has obtain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terminal through pairing with the intelligent terminal. Terminal management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등록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시스템과 통신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사용자 지정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terminal registration step comprises receiving and storing the user-spec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through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system by the system and storing the intelligent terminal management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설정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능형 단말의 등록 순서에 따른 요청을 받아 선 등록된 지능형 단말과 후 등록되는 지능형 단말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요청을 받아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단말들을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relationship setting step may include a step in which the system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terminals and sets a pre-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and a later-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 into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or the system and receiving a request according to user input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tting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into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제어 처리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등록된 지능형 단말들 중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음성 신호를 인식 및 분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제어 대상 단말과 제어 내용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음성 입력을 받은 단말과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상호 제어 관계로 설정된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명령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단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mutual control processing step,
a voice signal receiving step in which the system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a terminal receiving a user's voice input among the registered intelligent terminals;
a control information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system recognizes and analyzes the voice signal and extracts information about a control target terminal included in the voice signal and control content; and
and a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step in which the system transmit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ntents to the control target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input and the control target terminal are set in a mutual control relationship. Terminal management method.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as a computer program that executes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2 through a computer system.
KR1020170086123A 2017-07-06 2017-07-06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Active KR102546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23A KR102546643B1 (en) 2017-07-06 2017-07-06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23A KR102546643B1 (en) 2017-07-06 2017-07-06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55A KR20190005455A (en) 2019-01-16
KR102546643B1 true KR102546643B1 (en) 2023-06-21

Family

ID=6528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123A Active KR102546643B1 (en) 2017-07-06 2017-07-06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6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466B1 (en) * 2014-07-23 2015-06-15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Multi-pai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566339B1 (en) * 2015-01-09 2015-11-05 주식회사 스마트구루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Devices Using Connection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928B1 (en) * 2010-06-24 2014-04-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Home media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it
KR101879762B1 (en) * 2012-08-16 2018-07-19 주식회사 케이티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ppliances of Home Network
WO2014098477A1 (en)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remotely in home network system
KR102109381B1 (en) * 2013-07-11 202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466B1 (en) * 2014-07-23 2015-06-15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Multi-pai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566339B1 (en) * 2015-01-09 2015-11-05 주식회사 스마트구루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Devices Using Connec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55A (en)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0816B2 (en) Performing tasks and returning audio and visual feedbacks based on voice command
JP47083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igital fib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0311877B2 (en) Performing tasks and returning audio and visual answers based on voice command
KR1024176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ick name using a voice recognition
JP7573959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24457A1 (en) Server for grouping devices based on sounds collected and method therefore
US9800996B2 (en) Machine to machine system, method and serve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CN103714816A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86774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etting method, and program
KR201200649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access using phone numbers, and system thereof
KR20150067090A (en)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devices, and system
AU20102855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anagement of device
US11558844B2 (en) Method for registering a target device with a network
JP6072701B2 (en) Device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22548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mart interaction in a multi voice capable device environment
CN104461446B (en) Software run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voice interaction
CN109725543B (en) Equipment control cod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cloud server and network system
CN119964569A (en) Intelligent device access system and access method based on AI big model
CN113300879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zero configuration opening of equipment
US20130166688A1 (en)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storage, server
CN107483993B (en) Voice input method of television, televis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0198533B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BLE Bluetooth device and BLE Bluetooth device
CN102377622A (en) Remote control interface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CN110910541A (en) Access control method, system, network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5466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