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937B1 - Shift register - Google Patents
Shift regi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1937B1 KR102541937B1 KR1020150188416A KR20150188416A KR102541937B1 KR 102541937 B1 KR102541937 B1 KR 102541937B1 KR 1020150188416 A KR1020150188416 A KR 1020150188416A KR 20150188416 A KR20150188416 A KR 20150188416A KR 102541937 B1 KR102541937 B1 KR 102541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rned
- voltage
- node
- pulse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09G2320/0214—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with crosstalk due to leakage current of pixel switch in active matrix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Shift Register Typ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럭의 제한 조건을 줄이고 동작 마진을 크게하여 회로의 동작 범위를 넓히는 쉬프트 레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하여 스캔 펄스를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 각 스테이지는, 세트 개시 신호를 사용하여 세트 노드(Q)를 세트용 전압으로 세트시키는 세트부와, 리셋 개시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리셋용 전압으로 리셋시키는 리셋부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상태에 따라 다수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입력된 어느 하나의 클럭 신호를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클리어용 클럭펄스를 전송하는 클럭전송라인과 리세트 노드(QB)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클리어 클럭펄스를 상기 리세트 노드(QB)에 인가하는 커패시터(C)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리세트 노드(QB)로 공급하는 제 1 스위칭소자(Tr1)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3 방전용전압 또는 다른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를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클리어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클리어 스위칭부는, 상기 세트 노드(Q)와 상기 제 3 방전용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3 방전용전압 또는 다른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를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를 공급하는 제 3 클리어 스위칭소자(T3c)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ft register that expands the operating range of a circuit by reducing limiting conditions of a clock and increasing an operating margin. In a shift register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and outputting a scan pulse, each stage includes a set start signal. A set unit that sets the set node (Q) to the set voltage using a reset unit that resets the set node (Q) to the reset voltage using a reset start signal, and a state of the set node (Q) It is connected between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as a scan pulse or a carry pulse, a clock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a clear clock pulse, and a reset node (QB). The capacitor C, which applies the clear clock pulse to the reset node QB,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supplying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and when turned on, the third discharge voltage or another stage and a clear switching unit for supplying a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the terminal to a set node Q, wherein the clear switching unit is serially connected between the set node Q and the third voltage terminal for discharging.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and supplying the third discharge voltage or a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another stage to the set node Q when turned on A clear switching element and a third clear switching element (T3c) which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ies a second charging voltage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clear switching elements when turned on. ) is composed of.
Description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게이트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럭의 제한 조건을 줄이고 동작 마진을 크게하여 회로의 동작 범위를 넓히는 쉬프트 레지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 driver of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ft register that widens the operating range of a circuit by reducing limiting conditions of a clock and increasing an operating margin.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A typic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by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of liquid crystal using an electric field. To this e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pixel region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panel.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구성 회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circuit diagram showing a driving device of a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2)과, 상기 액정패널(2)의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6)와, 상기 액정패널(2)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4)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RGB)를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에 공급함과 아울러,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신호(GCS,DCS)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6,4)를 각각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8)를 구비한다. Generally, as shown in FIG. 1,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액정패널(2)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에 의해 정의되는 각 화소 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속된 액정 커패시터(Clc)를 구비한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속된 화소전극, 화소전극과 액정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공통전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으로부터의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각각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화소 전극에 공급한다. The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는 화소 전극에 공급된 영상신호와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전압(SVcom)과의 차 전압을 충전하고, 그 차 전압에 따라 액정 분자들의 배열을 가변시켜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계조를 구현한다. 이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화소전극이 스토리지 라인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게이트 라인(GL) 간에는 기생 커패시터(Cgs)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The liquid crystal capacitor Clc charges the difference voltage between the image signal su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voltage SVcom a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and adjusts the light transmittance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voltage. Implement gradation. In this case,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the pixel electrode with the storage line and the insulating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rasitic capacitor Cgs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gate line GL.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4)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DCS), 예를 들어, 소스 스타트 신호(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쉬프트 클럭(SSC; Source Shift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SOE; Source Output Enable) 신호 및 인버젼 신호(Pol Signal) 등을 이용하여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 정렬된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전압 즉,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드라이버(4)는 SSC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8)를 통해 정렬된 데이터(Data)를 래치한 후, SOE 신호에 응답하여 각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스캔펄스가 공급되는 1수평 주기마다 1수평 라인 분의 영상신호를 각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에 공급한다. The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6)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의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따라 각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을 순차 구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드라이버(4)는 게이트 제어신호(GCS)인 게이트 스타트 신호(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GOE; Gate Output Enable) 신호 등을 이용하여 각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게이트 하이 전압(VGH) 레벨의 스캔 펄스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스캔 펄스가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기간에는 게이트 로우 전압 공급되도록 한다.The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8)는 외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RGB) 및 복수의 동기신호들(DCLK, Hsync, Vsync, DE)에 따라 데이터 드라이버(4)와 게이트 드라이버(6)를 각각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8)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액정패널(2)의 구동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에 공급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기신호 즉, 도트클럭(D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Vsyn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 드라이버(6)와 데이터 드라이버(4)에 각각 공급한다. The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6)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스캔 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The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복수개의 클럭 펄스들을 근거로 상기 각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한다. The shift register includes a plurality of stages that sequentially output scan pulses to each of the gate lines GL1 to GLn based on a plurality of clock pulses provided from a timing controller.
종래의 스테이지는 세트 노드 및 리세트 노드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노드 제어부와, 세트 노드의 신호상태에 따라 스캔펄스를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소자와, 그리고, 리세트 노드의 신호상태에 따라 방전용전압을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한다.A conventional stage includes a node controller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s of a set node and a reset node, a pull-up switching element outputting a scan pulse according to the signal state of the set node, and a signal state of the reset node.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outputting a discharge voltage is provided.
여기서, 세트 노드와 리세트 노드는 서로 교번적으로 충전 및 방전되는데, 구체적으로 세트 노드가 충전된 상태일 때에는 리세트 노드가 방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리세트 노드가 충전된 상태일 때에는 세트 노드가 방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Here, the set node and the reset node are alternately charged and discharged. Specifically, when the set node is in a charged state, the reset node maintains a discharged state, and when the reset node is in a charged state, the set node will remain discharged.
이때, 세트 노드가 충전상태 일 때는 풀업 스위칭소자로부터는 스캔펄스(가 출력되고, 리세트 노드가 충전상태 일 때는 출력부의 풀다운 스위칭소자로부터 방전용전압이 출력된다.At this time, when the set node is in a charged state, a scan pulse is output from the pull-up switching device, and when the reset node is in a charged state, a discharge voltage is output from 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of the output unit.
풀업 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된 스캔펄스 및 풀다운 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된 방전용전압은 해당 게이트 라인에 공급된다.The scan pulse output from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discharge voltage output from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gate line.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의 게이트전극은 세트 노드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클럭펄스가 인가되는 클럭라인에 접속되며, 소스단자는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다. 클럭펄스는 주기적으로 하이 상태 및 로우 상태를 가지며 풀업 스위칭소자의 드레인단자에 공급된다. 이때, 풀업 스위칭소자는 매 주기마다 입력되는 하이 상태의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를 특정 시점에서 출력하게 된다. 이 특정 시점에 출력된 클럭펄스가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스캔펄스이다.Here, the gate electrode of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set node, the drain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lock line to which the clock pulse is applied, and the sourc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gate line. The clock pulse periodically has a high state and a low state and is suppli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pull-up switching device. At this time, the pull-up switching device outputs one of high-state clock pulses input every cycle at a specific time point. The clock pulse output at this specific point in time is the scan pulse for driving the gate line.
이 특정 시점이란, 세트 노드가 충전된 이후의 시점을 말한다. 즉,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는 자신의 드레인단자에 주기적으로 계속해서 입력되는 클럭펄스들 중, 상기 특정 시점(즉, 상기 세트 노드가 충전된 상태의 시점)에 입력된 하이 상태의 클럭펄스를 스캔펄스로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스캔펄스의 출력 이후 세트 노드가 다음 프레임 기간이 시작될 때까지 방전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풀업 스위칭소자는 한 프레임에 한 번의 스캔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클럭펄스는 한 프레임 기간동안 여러 번 출력되기 때문에, 풀업 스위칭소자가 턴-오프된 상태에서도, 즉 상기 세트 노드가 방전된 상태에서도 클럭펄스는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의 드레인전극에 계속해서 입력되게 된다.This specific point in time refers to the point in time after the set node is charged. That is,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scans a high-state clock pulse input at the specific time point (ie, the time point when the set node is charged) among clock pulses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input to its own drain terminal. will be output as And, as the set node is maintained in a discharge state until the next frame period starts after outputting the scan pulse, the pull-up switching device outputs a scan pulse once per frame. However, since the clock pulse is output several times during one frame period, even whe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that is, even when the set node is discharged, the clock pulse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drain electrode of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do.
다시 말하면, 풀업 스위칭소자는 한 프레임 동안 단 한 번 턴-온되며, 이 턴-온되는 기간에 자신의 드레인전극에 입력되는 클럭펄스를 스캔펄스로 출력한다.In other words,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only once during one frame, and outputs a clock pulse input to its drain electrode as a scan pulse during this turn-on period.
이후, 풀업 스위칭소자는 다음 프레임 기간이 시작될 때까지 턴-오프되며, 이에 따라, 이 풀업 스위칭소자는 이 턴-오프된 기간에는 아무리 자신의 드레인전극에 클럭펄스가 입력되어도, 이를 스캔펄스로 출력할 수 없다. 그런데, 이와 같이, 풀업 스위칭소자의 드레인전극에 주기적으로 클럭펄스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의 게이트전극이 접속된 세트 노드와 풀업 스위칭소자의 드레인전극간에 커플링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커플링현상에 의해, 세트 노드에는 클럭펄스에 따른 소정의 전압이 계속해서 충전되게 된다.The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until the start of the next frame period. Accordingly, during this turned-off perio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outputs it as a scan pulse no matter how much a clock pulse is input to its drain electrode. Can not. However, as a clock pulse is periodically applied to the drain electrode of the pull-up switching device, a coupling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set node to which the gate electrode of the pull-up switching device is connected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pull-up switching device. Due to this coupling phenomenon, the set node is continuously charged with a predetermined voltage according to the clock pulse.
그러면, 세트 노드가 어느 순간 충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세트 노드가 원치 않는 타이밍에 충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세트 노드가 한 프레임 기간동안에 두 번 이상 충전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가 한 프레임 기간 동안에 두 번 이상 턴-온될 수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은 커플링현상에 의해 하나의 스테이지가 한 프레임 기간 동안 두 번 이상의 스캔펄스를 출력하는 멀티 출력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n, the set node can be maintained in a charged state at any moment. That is, the set node may be maintained in a charged state at an undesirable timing. In this case, the set node may be maintained in a charged state twice or more during one frame period, and thereby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may be turned on two or more times during one frame period. As a result, a multi-output phenomenon in which one stage outputs two or more scan pulses during one frame period may occur due to the coupling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하나의 스테이지가 한 프레임 기간 동안 두 번 이상의 스캔펄스를 출력하게 되면,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In this way, when one stage outputs two or more scan pulses during one frame period, the quality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is degraded.
따라서, 최근에는, 클럭펄스의 주기에 맞춰 세트 노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방전시켜 그 세트 노드에 원치 않는 전압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멀티 출력을 방지할 수 있는 쉬프트 레지스터가 개발되었다 (특허출원 10-2013-0089997호 참조).Therefore, recently, a shift register capable of preventing multiple outputs has been developed by periodically discharging the voltage of the set node according to the cycle of the clock pulse to prevent accumulation of unwanted voltage at the set node (Patent Application 10- 2013-0089997).
상기와 같은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escription of the conventional shift register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2는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각 스테이지에 공급 또는 출력되는 각종 신호들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shift register,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timing diagram of various signals supplied or output to each stage of FIG. 2 .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테이지들(ST_n-2 내지 ST_n+4)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스테이지들(ST_n-2 내지 ST_n+4)은 쉬프트 레지스터에 구비된 전체 스테이지들 중 일부에 해당한다.As shown in FIG. 2, a conventional shift register includes a number of stages (ST_n-2 to ST_n+4). The stages ST_n−2 to ST_n+4 shown in FIG. 2 correspond to some of the entire stages included in the shift register.
각 스테이지들(ST_n-2 내지 ST_n+4)은 출력단자(OT)를 포함하는 바, 이들 스테이지들(ST_n-2 내지 ST_n+4) 각각은 자신의 출력단자(OT)를 통해 한 프레임기간 동안 한 번의 스캔펄스(SP_n-2 내지 SP_n+4)를 출력한다.Each of the stages ST_n-2 to ST_n+4 includes an output terminal OT, and each of these stages ST_n-2 to ST_n+4 uses its own output terminal OT for one frame period. It outputs one scan pulse (SP_n-2 to SP_n+4).
각 스테이지(ST_n-2 내지 ST_n+4)는 스캔펄스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게이트 라인을 구동함과 아울러, 자신으로부터 전단 및 후단에 위치한 스테이지의 동작을 제어한다.Each stage (ST_n-2 to ST_n+4) uses a scan pulse to drive a gate line connected thereto,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stages located before and after it.
스테이지들은 빠른 번호를 부여를 받은 스테이지부터 차례로 스캔펄스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n-2번째 스테이지가 n-2번째 스캔펄스를 출력하고, 이어서 n-1번째 스테이지(ST_n-1)가 n-1번째 스캔펄스(SP_n-1)를 출력하고, 다음으로 n번째 스테이지(ST_n)가 n번째 스캔펄스(SP_n)를 출력한다.The stages output scan pulses sequentially, starting with the stage assigned the fastest number. For example, the n-2 th stage outputs the n-2 th scan pulse, then the n-1 th stage (ST_n-1) outputs the n-1 th scan pulse (SP_n-1), and then n The stage ST_n outputs the nth scan pulse SP_n.
이러한 쉬프트 레지스터는 액정패널에 내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패널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둘러싸는 비표시부를 갖는데,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상기 비표시부에 내장된다.Such a shift register may be embedded in a liquid crystal panel. That is, the liquid crystal panel has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non-display portion surrounding the display portion, and the shift register is embedded in the non-display por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는 서로 순차적인 위상차를 갖고 순환하는 제 1 내지 제 8 클럭펄스(CLK1 내지 CLK4)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받는다.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eighth clock pulses CLK1 to CLK4 circulating with a sequential phase difference from each other.
각 스테이지(ST_n-2 내지 ST_n+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제 1 내지 제 8 클럭펄스(CLK1 내지 CLK8)들 중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2개의 클럭펄스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각 스테이지(ST_n-2 내지 ST_n+4)는 이들 2개 중 하나를 세트 노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방전시켜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클리어 클럭펄스로 사용하고, 그리고 다른 하나를 스캔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출력 클럭펄스로 사용한다. 즉, 2개의 클럭 펄스 중 위상이 빠른 클럭 펄스를 상기 세트 노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방전시켜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클리어 클럭펄스로 사용하고, 위상이 상대적으로 늦은 클럭 펄스를 스캔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출력 클럭 펄스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8k+1번째 스테이지는 제 7 클럭펄스(CLK_7)를 클리어 클럭펄스로 사용하고 제 1 클럭펄스(CLK_1)를 출력 클럭펄스로 사용한다.As shown in FIG. 2, each stage (ST_n−2 to ST_n+4) may be supplied with two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among the first to eighth clock pulses CLK1 to CLK8. . At this time, each stage (ST_n-2 to ST_n+4) uses one of these two as a clear clock pulse to stabilize the output by periodically discharging the voltage of the set node, and uses the other one for generating a scan pulse. Used as output clock pulse. That is, among two clock pulses, a clock pulse with a faster phase is used as a clear clock pulse to stabilize the output by periodically discharging the voltage of the set node, and a clock pulse with a relatively late phase is used as an output for generating a scan pulse. used as a clock pulse. For example, the 8k+1th stage uses the seventh clock pulse (CLK_7) as a clear clock pulse and uses the first clock pulse (CLK_1) as an output clock pulse.
각 스테이지는 자신으로부터 전단에 위치한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를 공급받아 세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n번째 스테이지(ST_n)는 n-p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를 공급받아 세트 되는 바, 여기서 p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이 될 수 있다.Each stage performs a set operation by receiving a scan pulse from the stage located in the previous stage from itself. For example, the n-th stage ST_n is set by receiving scan pulses from the n-p-th stage, where p may be 1 as shown in FIG. 2 .
단, 도시되지 않은 첫 번째 및 두 번째 스테이지의 바로 전단에는 스테이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들 첫 번째 및 두 번째 스테이지는 스타트 펄스(Vst)에 응답하여 세트 된다.However, since no stage exists immediately before the first and second stages (not show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are set in response to the start pulse Vst.
각 스테이지는 다음단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리세트 동작을 수행한다. 스테이지가 리세트 된다는 것은, 이 스테이지가 출력이 불가능한 상태, 즉 자신에게 공급되는 클럭펄스를 스캔펄스로서 출력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n번째 스테이지는 n+q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리세트 되는 바, 여기서 q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이 될 수 있다.Each stage performs a reset operation in response to a scan pulse from the next stage. That the stage is reset means that the stage is in a state in which output is impossibl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tage cannot output the clock pulse supplied to itself as a scan pulse. For example, the nth stage is reset in response to a scan pulse from the n+qth stage, where q may be 3 as shown in FIG. 2 .
한편, 상술된 더미 스테이지들의 후단에는 스테이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들 더미 스테이지들 역시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의 스타트 펄스에 응답하여 리세트 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no stage exists after the aforementioned dummy stages, these dummy stages may also be reset in response to a start pulse from the timing controller.
이와 같이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에서 각 스테이지(ST_n-2 내지 ST_n+2)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each stage (ST_n-2 to ST_n+2) in the shift regis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4는 종래의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는 도 2에서의 어느 하나의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tage,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y one stage in FIG. 2 .
n번째 스테이지(ST_n)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개시 스위칭소자(Tr_S), 리세트개시 스위칭소자(Tr_R), 풀업 스위칭소자(Tr_U1), 풀다운 스위칭소자(Tr_D1), 커패시터(C), 클리어 스위칭소자(Tr_C) 및 제 1 스위칭소자(Tr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nth stage ST_n includes a set start switching element Tr_S, a reset start switching element Tr_R, a pull-up switching element Tr_U1,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r_D1, and a capacitor C ), a clear switching element Tr_C and a first switching element Tr1.
상기 세트개시 스위칭소자(Tr_S)는 세트개시 신호(STS)인 n-1번째 스테이지(ST_n-1)로부터의 스캔펄스(SP_n-1)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VDD)을 세트 노드(Q)로 공급한다.The set start switching element Tr_S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scan pulse (SP_n-1) from the n-1st stage (ST_n-1), which is the set start signal (STS), and is charged when turned on. The supply voltage (VDD)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상기 리세트개시 스위칭소자(Tr_R)는 리세트개시 신호(RTS)인 n+3번째 스테이지(ST_n+3)로부터의 스캔펄스(SP_n+3)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세트 노드(Q)로 공급한다.The reset start switching element Tr_R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can pulse (SP_n + 3) from the n + 3 th stage (ST_n + 3), which is the reset start signal (RTS). When turned on,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Tr_U1)는 세트 노드(Q)의 전압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출력 클럭펄스(O-CLK)를 출력단자(OT)로 공급한다.The pull-up switching device Tr_U1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ies the output clock pulse O-CLK to the output terminal OT when it is turned on.
상기 풀다운 스위칭소자(Tr_D1)는 리세트 노드(QB)의 전압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4 방전용전압(VSS4)을 출력단자(OT)로 공급한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Tr_D1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and supplies the fourth discharge voltage VSS4 to the output terminal OT when it is turned on.
상기 커패시터(C)는 클리어 클럭펄스(C-CLK)를 리세트 노드(QB)에 인가한다. 여기서, 클리어 클럭펄스(C-CLK)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8 클럭펄스(CLK_1 내지 CLK_8)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는 바, 상기 출력 클럭펄스(O-CLK)가 제 3 클럭펄스(CLK_3)일 때 상기 클리어 클럭펄스(C-CLK)는 제 1 클럭펄스(CLK_1)가 될 수 있다.The capacitor C applies the clear clock pulse C-CLK to the reset node QB. Here, the clear clock pulse (C-CLK) can be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clock pulses (CLK_1 to CLK_8) shown in FIG. 3, and the output clock pulse (O-CLK) is the third clock pulse. When the pulse CLK_3, the clear clock pulse C-CLK may become the first clock pulse CLK_1.
상기 클리어 스위칭소자(Tr_C)는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세트 노드(Q)로 공급한다. The clear switching element Tr_C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and supplies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to the set node Q when it is turned on.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리세트 노드(QB)로 공급한다.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supplies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to the reset node QB.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세트개시 신호(STS), 상기 출력 클럭펄스(O-CLK) 및 상기 클리어 클럭펄스(C-CLK)에 있어서, 상기 세트개시 신호(STS)의 발생 시점은 상기 클리어 클럭펄스(C-CLK)의 발생 시점보다 늦거나 같고, 상기 출력 클럭펄스(O-CLK)의 발생 시점보다 빠르거나 같다. In the set start signal STS, the output clock pulse O-CLK, and the clear clock pulse C-CLK described above, the generation time of the set start signal STS is the clear clock pulse C -CLK) and earlier than or equal to the output clock pulse O-CLK.
따라서,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는, 상기 클리어 스위칭소자(Tr_C)는 상기 커패시터(C)를 통해 주기적으로 리세트 노드(QB)에 공급되는 클리어 클럭펄스(C-CLK)에 따라 주기적으로 턴-온되는 바, 그 턴-온 기간 마다 세트 노드(Q)의 전압을 제 1 방전용전압(VSS1)으로 방전시킨다. 따라서, 커플링 현상에 의해 세트 노드(Q)의 전압이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shift register, the clear switching device Tr_C is periodically turned on according to the clear clock pulse C-CLK periodically supplied to the reset node QB through the capacitor C. As such,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i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in each turn-on period. Therefore,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is prevented from rising due to the coupling phenomenon.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테이지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려면, 상기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각 스위칭소자들의 문턱 전압(Vth)은 양(+)으로 적당한 큰 값을 가져야 한다 (P타입의 스위칭소자일 경우는 음(-)). 그런데, 상기 각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들의 특성은 편차가 존재하고, 온도가 증가하거나 온도 이외의 다른 원인에 의해, 그 중 일부 스위칭소자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for the conventional stage to operate normally, the threshold voltage (Vth) of each switching element constituting the stage must have a positive (+) appropriately large value (in the case of a P-type switching element, a negative (-) )). However, there are variation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each stage, and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threshold voltage of some of the switching elements is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due to an increase in temperature or a cause other than temperature. can
이와 같이, 상기 각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N 타입 스위칭소자의 문턱 전압(Vth)가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거나 P 타입 스위칭소자의 문턱 전압(Vth)가 양(+)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면, 스캔 펄스의 멀티 출력 불량이 발생하거나, 스캔 펄스의 미출력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threshold voltage (Vth) of the N-type switching element constituting each stage is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or the threshold voltage (Vth) of the P-type switching element is bias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A multi-output defect of a scan pulse may occur or a non-output defect of a scan pulse may occur.
즉, 상기 클리어 스위칭소자(Tr_C)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면, 세트 기간에 상기 클리어 스위칭소자(Tr_C)가 완전하게 턴 오프되지 않아, 상기 세트 노드(Q)에 충전된 전압(VDD)이 누설되어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클럭 펄스의 커플링으로 높아진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이 빨리 감쇠하지 않으면 더욱 심해진다.That is, whe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clear switching element Tr_C is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the clear switching element Tr_C is not completely turned off during the set period, so that the set node Q is charged. A scan pulse may not be output due to leakage of the voltage VDD. This phenomenon becomes more severe if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which is raised due to the coupling of the clock pulse, does not decay quickly.
또한, 상기 클럭 펄스의 커플링에 의해 세드 노드(Q)의 전압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이 일정 시간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면, 리세트 기간에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가 완전하게 턴 오프되지 않아, 상기 리세트 노드(Qb) 전압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due to the coupling of the clock pulse,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needs to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whe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not completely turned off during the reset period, and the reset node Qb ) The voltage cannot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스위칭소자에 인가되는 방전용 전압이 리세트부 인가되는 방전용 전압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여 클리어 스위칭부 및 제 1 스위칭소자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편향되더라도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거나 리세트 노드 전압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하여 회로의 동작 범위가 넓은 쉬프트 레지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and the discharg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charg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unit, so that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clear switching unit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 object of the shift register is to provide a shift register with a wide operation range of a circuit by not outputting a scan pulse or maintaining a reset node volt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when the shift register is deflect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는,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하여 스캔 펄스를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 각 스테이지는, 세트 개시 신호를 사용하여 세트 노드(Q)를 세트용 전압으로 세트시키는 세트부와, 리셋 개시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리셋용 전압으로 리셋시키는 리셋부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상태에 따라 다수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입력된 어느 하나의 클럭 신호를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클리어용 클럭펄스를 전송하는 클럭전송라인과 리세트 노드(QB)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클리어 클럭펄스를 상기 리세트 노드(QB)에 인가하는 커패시터(C)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2 방전용전압을 리세트 노드(QB)로 공급하는 제 1 스위칭소자(Tr1)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3 방전용전압 또는 다른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를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클리어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클리어 스위칭부는, 상기 세트 노드(Q)와 상기 제 3 방전용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3 방전용전압 또는 다른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를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를 공급하는 제 3 클리어 스위칭소자(T3c)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hift register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and outputting a scan pulse, each stage for setting a set node (Q) using a set start signal. A set unit for setting a voltage, a reset unit for resetting the set node (Q) to a reset voltage using a reset start signal, and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inpu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et node (Q). It is connected between an output unit that outputs one clock signal as a scan pulse or a carry pulse, a clock transmission line that transmits a clock pulse for clearing, and a reset node (QB) to transmit the clear clock pulse to the reset node (QB). A capacitor (C) applied to the capacitor (C) and a first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ies a second discharge voltage to the reset node (QB) when turned on. (Tr1)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and when turned on, the third discharge voltage or a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another stage is transmitted to the set node (Q). The clear switching uni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t node Q and the third voltage terminal for discharging, and the clear switching unit is turned on or turned o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First and second clear switching elements supplying the third discharge voltage or the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another stage to the set node Q when turned off and turned on, and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clear switching element (T3c)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turn-on state to supply a second charging voltage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clear switching elements.
여기서, 상기 세트부는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제 1 충전용 전압을 세트 노드(Q)에 공급하는 스위칭소자(Tr_S)를 구비하고, 상기 리셋부는 리셋 펄스 또는 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세트 노드(Q)에 제 1 방전용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소자(TR_R)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세트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갖는 스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함에 특징이 있다.Here, the se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tart pulse Vst or the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the previous stage, and when turned on, the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the previous stage, the start pulse ( Vst) or a switching element (Tr_S) supplying the first charging voltage to the set node (Q), and the reset unit is turned on or turned on according to a reset pulse or a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a later stage. and a switching element (TR_R) for applying a first discharge voltage to the set node (Q) when it is turned off and turned on, and th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 A pull-up switching element that receives one of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and outputs it as a scan pulse when turned on,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when turned on, a fourth discharge voltage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can pulse output unit having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outputting as .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세트 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또는 복수개의 캐리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5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한 캐리 신호 출력부를 더 구비함에 특징이 있다.Th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receives one of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or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carry and outputs it as a carry pulse.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arry signal output unit having a switching element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outputs a fif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상기 제 2 방전용 전압은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은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보다 크거나 같음에 특징이 있다.The second voltage for dischar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voltage for discharge, and the first voltage for dischar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voltage for discharge.
상기 세트부는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제 1 충전용 전압을 세트 노드(Q)에 공급하는 스위칭소자(Tr_S)를 구비하고, 상기 리셋부는 리셋 펄스 또는 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세트 노드(Q)에 제 1 방전용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소자(TR_R)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세트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갖는 스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함에 특징이 있다.The se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tart pulse Vst or the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the previous stage, and when turned on, the scan pulse, carry pulse, or start pulse Vst output from the previous stage or a switching element (Tr_S) for supplying the first charging voltage to the set node (Q), and the rese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reset pulse or a scan pulse or a carry pulse output from a later stage A switching element (TR_R) for applying a first discharge voltage to the set node (Q) when turned on is provided, and th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is turned on a pull-up switching element that receives one of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and outputs it as a scan pulse,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and when turned on, a fourth discharge voltage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can pulse output unit having a pull-down switching device for outputting.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과 상기 제 2 방전용 전압은 서로 같고,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과 상기 제 4 방전용 전압은 서로 같음에 특징이 있다.The first discharge voltage and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third discharge voltage and the fourth discharge voltage are equal to each other.
상기 리셋부의 스위칭소자(Tr_R)의 소오스 단자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의 소오스 단자가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 또는 상기 제 2 방전용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클리어 스위칭부의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T3b)의 소오스 단자와, 상기 캐리 펄스 출력부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의 소오스 단자는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에 연결됨에 특징이 있다. A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r_R of the reset unit and a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are connected to the first voltage for discharging or the second voltage for discharging, and the second clear switching of the clear switching unit The source terminal of the element T3b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of the carry pulse output unit are connected to the third voltage for discharge or the fifth voltage for discharge.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세트 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또는 복수개의 캐리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5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한 캐리 신호 출력부를 더 구비함에 특징이 있다.Th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receives one of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or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carry and outputs it as a carry pulse.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arry signal output unit having a switching element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and outputs a fif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의 상승 에지에서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는 하이 상태를 갖거나 상승 에지이고,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의 두티 비는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의 두티 비와 같거나 다름에 특징이 있다.At a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the clear clock pulse has a high state or is a rising edge, and a duty ratio of the clear clock pulse is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output clock pulse.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의 하이 구간 폭을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의 하이 구간의 폭보다 작음에 특징이 있다.The high section width of the clear clock puls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상기 출력부는, 캐리 신호 출력부,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 및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 신호 출력부는, 상기 세트 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5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는, 상기 세트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제 1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제 1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는, 상기 세트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상기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의 클럭 신호와 다른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제 2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제 2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함에 특징이 있다.The output unit includes a carry signal output unit, a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and a second scan signal output unit, and the carry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is turned on. a pull-up switching element that receives one clock signal from among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and outputs it as a carry pulse,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Qb, and when turned on, a fifth discharge voltage is provided with a pull-down switching device that outputs to an output terminal, and the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one clock signal among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is provided. A first pull-up switching element that receives and outputs a scan pulse,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Qb, and outputs a four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device, wherein the second scan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among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a clock sign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A second pull-up switching element that receives a clock signal and outputs it as a scan pulse,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Qb, and outputs a four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상기 복수개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 대신에, 상기 출력단과 상기 제 4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제어신호 신호 또는 리세트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4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을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제 3 및 제 4 풀 다운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3 및 제 4 풀 다운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5 풀 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Instead of at least one pull-down switching element among the plurality of pull-down switching elements, the external control signal or reset node Qb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fourth or fifth voltage terminal for discharging. third and fourth pull-down switching elements that turn on or turn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and supply the fourth or fifth discharge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and tur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fth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nd supplies a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third and fourth pull-down switching elements when turned on.
상기 복수개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의 게이트 단자에 인버터를 통해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이 반전되어 인가됨에 특징이 있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is inverted and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at least one pull-down switching element among the plurality of pull-down switching elements through an inverter.
상기 세트부는 상기 세트용 전압 입력단과 상기 세트 노드(Q)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세트 개시 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세트용 전압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세트 스위칭소자와, The set uni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t voltage input terminal and the set node Q and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et start signal to supply the set voltage to the set node Q when turned on. and a second set of switching elements;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를 공급하는 제 3 세트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hird set of switching elements that are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y a second charging voltage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set switching elements when turned on. there is.
상기 리셋부는 상기 세트노드(Q)와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리셋 개시 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방전시키는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3 리셋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The reset uni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t node Q and the first voltage terminal for discharge,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reset start signal, so that when turned on, the first discharge voltage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Connecting first and second reset switching elements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set node Q, and turning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to turn on the first and second reset switching elemen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with a third reset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the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the node.
외부의 초기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세트 노드(Q)를 초기화 하는 초기화부를 더 구비함에 특징이 있다.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n initialization unit that initializes the set node (Q) by an external initialization control signal.
상기 초기화부는 상기 외부의 최기화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을 상기 세트 노드에 공급하여 상기 세트 노드를 방전시키는 초기화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The initialization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external initialization control signal to supply the first discharge voltage to the set node to discharge the set node when turned on. .
상기 초기화부는, 상기 세트 노드(Q)와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초기화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방전시키는 제 1 및 제 2 초기화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초기화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3 초기화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The initialization uni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e voltage terminal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external initialization control signal to generate the first discharge voltage at the set node ( first and second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s supplying power to Q) and discharging the set node Q, and turning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to turn on the first and second initialization switching devic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with a third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the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element.
상기 세트부와 상기 리셋부 사이에 상기 제 1 충전용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세트 노드와 상기 리셋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소자를 더 구비함에 특징이 있다.A second switching elemen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t unit and the reset unit to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first charging voltage and to connect the set node and the reset unit when turned on. there is.
상기 출력부는 클럭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턴 온시 출력단에 방전용 전압을 공급하는 풀 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controlled by a clock signal to supply a voltage for discharging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N형 스위칭소자의 문턱전압이 음(-)의 방향(P형 스위칭소자의 경우 문턱전압이 양(+)의 방항)으로 편향되더라도 이로 인한 출력 발생 기간 동안 Q 노드의 누설 전류를 방지하므로 스캔 펄스의 미출원 불량 및 멀티 출력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First, even if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N-type switching element constituting the shift register is deflect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in the case of a P-type switching element, the threshold voltage is in the positive (+) direction), the Q node Since leakage current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non-patent defects and multi-output defects of scan pulses.
둘째, 상기와 같이 미출력 및 멀티 출력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회로의 동작 범위를 넓힐 수 있다. Second, since no output and multi-output failures can be prevent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range of the circuit can be widened.
셋째,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의 하이 구간 폭을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의 하이 구간의 폭보다 작게할 수 있으므로 스위칭소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Third, since the width of the high section of the clear clock puls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stress of the switching device may be reduced.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구성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각 스테이지에 공급 또는 출력되는 각종 신호들의 타이밍도
도 4는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개념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각 스테이지에 공급 또는 출력되는 각종 신호들의 제 1 실시예의 타이밍도
도 8은 도 6의 각 스테이지에 공급 또는 출력되는 각종 신호들의 제 2 실시예의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세트부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리셋부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출력부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출력부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21a 내지 도 21b는 도 20의 인버터의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 추가되는 초기화부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22b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 추가되는 초기화부의 제 2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circuit diagram showing a driving device of a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shift register
3 is a timing diagram of various signals supplied or output to each stage of FIG. 2
4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conventional shift register.
5 is a conceptu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iming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various signals supplied or output to each stage of FIG. 6;
8 is a timing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various signals supplied or output to each stage of FIG. 6;
9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ircuit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t unit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ircuit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reset unit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ircuit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of the output unit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ircuit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put unit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A to 21B are circuit diagrams of an embodiment of the inverter of FIG. 20
22A is a circuit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itialization unit added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B is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nitialization unit added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개념 구성도이다.5 is a conceptual configuration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세트 개시 신호(스타트 펄스 또는 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를 사용하여 세트 노드(Q)를 세트용 전압 (스타트 펄스, 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 또는 제 1 충전용 전압(VH))으로 세트시키는 세트부(1)와, 리셋 개시 신호 (리셋 펄스 또는 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를 사용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리셋용 전압(제 1 방전용 전압(VSS1) 또는 상기 제 1 충전용 전압(VH)와 상반된 전압(VL))으로 리셋시키는 리셋부(2)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상태에 따라 다수의 클럭 신호 중 입력된 어느 하나의 클럭 신호를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출력부(3)와, 클리어 클럭펄스(C-CLK)를 전송하는 클럭전송라인과 리세트 노드(QB)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클리어 클럭펄스(C-CLK)를 리세트 노드(QB)에 인가하는 커패시터(C)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리세트 노드(QB)로 공급하는 제 1 스위칭소자(Tr1)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클리어 스위칭부(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uses a set start signal (start pulse or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the previous stage) to set the set node Q to the set voltage (start pulse). , the
여기서, 상기 클리어 스위칭부(4)는, 상기 세트 노드(Q)와 상기 제 3 방전용전압(VSS3)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T3a, T3b)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T3a, T3b)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3 클리어 스위칭소자(T3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Here, the
상기에서, 상기 스타트 펄스 및 상기 리셋 펄스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펄스 신호이고, 상기 스타트 펄스는 첫번째 스테이지 및 클럭 펄스가 중첩되는 경우 처음 스테이지부터 중첩되는 기간에 상응하는 다음 단 스테이지까지 인가되고, 상기 리셋 신호는 마지막 스테이지 및 상기 클럭 펄스가 중첩되는 경우 마지막 스테이지부터 중첩되는 기간에 상응하는 이전단 스테이지까지 인가된다.In the above, the start pulse and the reset pulse are pulse signal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first stage and the clock pulse overlap, the start pulse is applie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next stage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period, and the reset pulse When the last stage and the clock pulses overlap, the signal is applied from the last stage to the previous stage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period.
또한, 본 발명의 쉬프트 레지스터가 양방향 구동용 쉬프트 레지스터일 경우, 상기 제 1 충전용 전압(VH)과 상기 제 1 충전용 전압(VH)에 상반된 전압(VL)이 사용되고, 프레임별로 바뀔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hift regi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ift register for bidirectional driving, the first charging voltage VH and the voltage VL opposite to the first charging voltage VH are used and can be changed for each frame.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이다. 6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은 도 6과 같다.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즉, 도 5에서, 상기 세트부(1)는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Prev)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Prev),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제 1 충전용 전압(VH)을 세트 노드(Q)에 공급하는 스위칭소자(Tr_S)를 구비한다.That is, in FIG. 5 , the
상기 리셋부(2)는 리셋 펄스 또는 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Next)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세트 노드(Q)에 제 1 방전용 전압(VSS1)을 인가하는 스위칭소자(Tr_R)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출력부(3)는 상기 Q노드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O_CLK)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Tu)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VD)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VSS4)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Td)를 구비한 스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한 것이다.The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VD)는 펄스 신호로서 출력 펄스와 하이 구간이 겹치지 않으면 가능하다. 즉, 인버터 출력 또는 클럭 펄스를 사용 가능하다.Here, the control signal (VD) is a pulse signal, and it is possible as long as the output pulse and the high period do not overlap. That is, an inverter output or clock pulse can be used.
그리고, 나머지 구성은 도 5와 같다.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FIG.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C)에 인가되는 클리어 클럭 펄스(C-CLK)는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와 같을 수 있고, 다를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는 제 1 클럭 펄스(CLK-1)이고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는 제 3 클럭 펄스(CLK-3)임을 도시하였다.Here, the clear clock pulse C-CLK applied to the capacitor C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output clock pulse. 6 illustrates that the clear clock pulse C-CLK is the first clock pulse CLK-1 and the output clock pulse O-CLK is the third clock pulse CLK-3.
또한,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와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가 다른 경우, 다른 스테이지의 출력용 클럭 펄스이거나, 위상 또는 펄스폭 등이 다른 클럭 펄스 일 수 있다.Also, when the clear clock pulse C-CLK and the output clock pulse O-CLK are different, they may be output clock pulses of different stages or may have different phases or pulse widths.
예를들면,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는 4상 이상의 순환 클럭 펄스이고,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는 4상 이상으로 한 주기 동안 2개 이상의 펄스를 가지는 순환 클럭 펄스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clock pulse may be a 4-phase or more cyclic clock pulse, and the clear clock pulse may be a 4-phase or more cyclic clock pulse having two or more pulses during one period.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개념의 클럭 펄스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clock pulse of the same concept as described in FIG. 3 may be used.
도 7은 도 6의 각 스테이지에 공급 또는 출력되는 각종 신호들의 제 1 실시예의 타이밍도이다.FIG. 7 is a timing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various signals supplied or output to each stage of FIG. 6 .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와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는 2상 이상의 클럭 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도 7에서는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와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로 8상의 클럭 펄스를 이용한 예를 도시하였다.The clear clock pulse C-CLK and the output clock pulse O-CLK may use two or more phase clock pulses, and in FIG. 7 , the clear clock pulse C-CLK and the output clock pulse O-CLK CLK) shows an example using an 8-phase clock pulse.
도 7에서,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로 제 1 클럭 펄스(CLK1)를 이용하고, 상기 세트부(1)의 세트 개시 신호로 제 2 클럭 펄스(CLK2) 또는 상기 제 2 클럭 펄스를 출력용 클럭 펄스로 이용한 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를 이용하며,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로 제 3 클럭 펄스(CLK3)를 이용함을 도시하였다.7, the first clock pulse CLK1 is used as the clear clock pulse C-CLK, and the second clock pulse CLK2 or the second clock pulse is used as the set start signal of the
여기서,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는 상기 제 1 클럭 펄스(CLK1)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클럭 펄스(CLK2) 또는 제 3 클럭 펄스를 이용하여도 된다.Here, the clear clock pulse C-CLK may use not only the first clock pulse CLK1 but also the second clock pulse CLK2 or the third clock pulse.
도 8은 도 6의 각 스테이지에 공급 또는 출력되는 각종 신호들의 제 2 실시예의 타이밍도이다.FIG. 8 is a timing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various signals supplied or output to each stage of FIG. 6 .
도 8에서는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와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를 각각 별도로 사용하고, 각각 4상의 클럭 펄스를 이용함을 도시하였다.8 shows that the clear clock pulse (C-CLK) and the output clock pulse (O-CLK) are separately used and four-phase clock pulses are respectively used.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서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는 하이 상태를 갖거나 상승 에지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의 위치가 종래 기술과 달리 제약이 없다. 즉,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는 세트 신호(세트 노드(Q)가 로우에서 하이로 전환되는 시점)보다 빠를 수 있고 늦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at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O-CLK, the clear clock pulse C-CLK has a high state or has a rising edge.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position of the clear clock pulse is not limited. That is, the clear clock pulse C-CLK may be earlier or later than the set signal (time point when the set node Q is switched from low to high).
즉, 도 5의 상기 세트부(1)의 세트 개시 신호로 제 1 클럭 펄스(()-CLK1) 또는 상기 제 1 클럭 펄스를 출력용 클럭 펄스로 이용한 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를 이용하며,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로 제 2 클럭 펄스(O-CLK2)를 이용하고, 상기 클리어 클럭 펄스(C-CLK)로 제 1 클럭 펄스(C-CLK1)을 이용함을 도시하였다.That is, a first clock pulse (()-CLK1) or a scan pulse output from a previous stage using the first clock pulse as an output clock pulse is used as the set start signal of the
여기서, 상기 각 클리어 클럭 펄스(C-CLK1 - C-CLK-4)의 두티 비는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1 - O-CLK4)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클리어 클럭 펄스(C-CLK1 - C-CLK-4)의 하이 구간 폭을 상기 출력용 클럭 펄스(O-CLK1 - O-CLK4)의 하이 구간의 폭보다 작게하여 각 스테이지의 스위칭소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Here, the duty ratio of each of the clear clock pulses C-CLK1 to C-CLK-4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utput clock pulses O-CLK1 to O-CLK4. That is, the width of the high section of each clear clock pulse (C-CLK1 - C-CLK-4)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O-CLK1 - O-CLK4), so that the switching element of each stage can reduce stress
상기 도 6에서, 상기 제 1 충전용 전압(VH)은 상시 하이인 전압일 수 있고 적어도 한 프레임 동안 DC 전원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충전용 전압(VC)은 상시 하이인 전압일 수 있고, 상기 세트노드(Q)가 하이인 동안 하이 전압을 갖는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제 1 충전용 전압(VH)과 상기 제 2 충전용 전압(VC)은 같을 수 있다In FIG. 6 , the first charging voltage VH may be a always high voltage and may be DC power for at least one frame, and the second charging voltage VC may be a always high voltage. It may be a voltage having a high voltage while the set node Q is high. The first charging voltage VH and the second charging voltage VC may be the same.
또한,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VSS1), 제 2 방전용 전압(VSS2), 제 3 방전용 전압(VSS3) 및 제 4 방전용 전압(VSS4)은 서로 같은 전압일 수 있고 다른 전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and the fourth discharge voltage VSS4 may be the same voltage or different voltages.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방전용 전압(VSS2)은 제 1 방전용 전압(VSS1)보다 크거나 같고(VSS2 ≥ VSS1),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VSS1)은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VSS3)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VSS1 ≥ VSS3).Preferably,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VSS2 ≥ VSS1), and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is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 can be greater than or equal to (VSS1 ≥ VSS3).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는 클리어 스위칭부 및 제 1 스위칭소자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편향되더라도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거나 스캔 펄스가 멀티 출력됨을 방지할 수 있다.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can pulses from not being output or multi-outputting of scan pulses even when the threshold voltages of the clear switching unit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re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can do.
즉, 도 6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T3a, T3b)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더라도,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의해 상기 제 3 클리어 스위칭소자(T3c)가 턴 온하여 제 2 충전용 전압(VC)를 상기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T3a, T3b)의 연결 노드에 공급하므로, 상기 세트 노드(Q)에 충전된 전압이 상기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T3a, T3b)를 통해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음을 방지한다.That is, in FIG. 6, even if the threshold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clear switching elements T3a and T3b are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the third clear switching element is moved by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Since (T3c) is turned on and supplies the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clear switching elements (T3a, T3b), the voltage charged in the set node (Q) is the first. It does not leak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lear switching devices T3a and T3b. Therefore, it is prevented that the scan pulse is not output.
또한,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어, 리세트 기간(세트 노드(Q)가 로우 상태인 기간)에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가 완전하게 턴 오프되지 않아, 상기 리세트 노드(Qb) 전압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2 방전용 전압(VSS2)을 제 1 방전용 전압(VSS1)보다 높거나 같게하므로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이 일정 시간 유지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fully is not turned off, the voltage at the reset node Qb may not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the voltage at the reset node Qb can be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이다. 9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풀다운 스위칭소자(Td)가 게이트 전극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VD)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4 방전용 전압(VSS4)을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나머지 회로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다.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Td is input to the gate electrode from the outside. It is not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VD), bu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and outputs the fourth discharge voltage (VSS4) to the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 The rest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VSS3)은 어느 한 스테이지의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일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may be a scan pulse (or carry pulse) of any one stag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이다. 10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VSS1)과 상기 제 2 방전용 전압(VSS2)이 같고,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VSS3)과 상기 제 4 방전용 전압(VSS4)이 같은 경우이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and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This is a case where the dedicated voltage VSS2 is the same and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and the fourth discharge voltage VSS4 are the same.
즉, 상기 리셋부(2)의 스위칭소자(Tr_R)의 소오스 단자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의 소오스 단자가 모두 제 1 방전용 전압(VSS1)에 연결되고, 상기 클리어 스위칭부(4)의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T3b)의 소오스 단자와, 상기 출력부(3)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Td)의 소오스 단자가 모두 제 4 방전용 전압(VSS4)에 연결된 것이다. That is, the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r_R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나머지 회로 구성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다. The rest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이다. 11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은, 도 5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출력부(3)가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스캔 신호 출력부와, 캐리 신호를 출력하는 캐리 신호 출력부를 모두 구비한 것이다.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5, the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캐리 신호 출력부가 더 구비된 것이다.That is,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ry signal output unit is further provided.
상기 캐리 신호 출력부는 상기 세트 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O_CLK)를 공급받아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Tuc)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VD2)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5 방전용 전압(VSS5)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Td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carry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a pull-up switching element receiving one clock signal (O_CLK) among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and outputting it as a carry pulse ( Tuc)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c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VD2 input from the outside and outputs the fifth discharge voltage VSS5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VD1, VD2)는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과 상반된 신호이면 가능하다.Here, the control signals VD1 and VD2 may be signals that are opposite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그리고, 나머지 구성은 도 6과 같다.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이다. 12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스캔 펄스 출력부의 풀다운 스위칭소자(Td) 및 상기 캐리 펄스 출력부의 풀다운 스위칭소자(Tdc)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VD1, VD2)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4 방전용 전압(VSS4) 및 제 5 방전용 전압(VSS5)을 각각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나머지 회로 구성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다.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 of the scan pulse output unit and the carry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c of the pulse output unit is not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VD1 and VD2 input from the outside, bu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When turned on, the fourth discharge voltage VSS4 and the fifth discharge voltage VSS5 are output to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The rest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이다. 13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리셋부(2)의 스위칭소자(Tr_R)의 소오스 단자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의 소오스 단자가 모두 제 1 방전용 전압(VSS1) 또는 제 2 방전용 전압(VSS2)에 연결되고, 상기 클리어 스위칭부(4)의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T3b)의 소오스 단자와, 상기 캐리 펄스 출력부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Tdc)의 소오스 단자가 모두 제 3 방전용 전압(VSS3)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Vss5)에 연결된 것이다.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urce of the switching element Tr_R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스캔 펄스 출력부의 풀다운 스위칭소자(Td)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VD)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4 방전용 전압(VSS4)을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캐리 펄스 출력부의 풀다운 스위칭소자(Tdc)는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VSS3)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VSS5)을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In addi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 of the scan puls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VD input from the outside, and when turned on The fourth discharge voltage (VSS4) is output to an output terminal, and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c) of the carry puls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and when turned on,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4) is turned on. The dedicated voltage VSS3 or the fifth discharge voltage VSS5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나머지 회로 구성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다. The rest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이다. 14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은, 도 5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출력부(3)가 캐리 신호를 출력하는 캐리 신호 출력부와 상기 캐리 신호 출력부와 동일한 클럭 펄스에 의해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의 클럭 펄스와 다른 클럭 펄스에 의해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한 것이다.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arry signal output unit and the carry signal output unit where the
즉,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가 더 구비된 것이다.That is,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scan signal output unit is further provided.
즉, 상기 출력부(3)는, 캐리 신호 출력부,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 및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한다. That is, the
상기 캐리 신호 출력부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트 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O_CLK)를 공급받아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Tuc)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5 방전용 전압(VSS5)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Td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4, the carry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receives one clock signal O_CLK from among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A pull-up switching element (Tuc) that outputs a carry pulse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Qb) and outputs the fifth discharge voltage (VSS5)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Tdc).
상기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는, 상기 Q노드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O_CLK)(상기 캐리 신호 출력부의 클럭 신호와 동일한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Tu1)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VSS4)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Td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Q node, and when turned on, one clock signal (O_CLK) among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the same clock signal as the clock signal of the carry signal output unit) ) is supplied and output as a scan pulse,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al state of the reset node Qb, and when turned on, the fourth discharge voltage VSS4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It is configured with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1) to.
상기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는, 상기 Q노드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O_CLK)(상기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의 클럭 신호와 다른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Tu2)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VSS4)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Td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scan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Q node, and when turned on, one clock signal (O_CLK) among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different from the clock signal of the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clock signal) is supplied and outputs as a scan pulse,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al state of the reset node Qb, and outputs the fourth discharge voltage VSS4 when turned on. It is configured with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2) outputting to.
여기서, 상기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에 사용된 클럭 신호는 상기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에 사용된 클럭 신호보다 위상이 늦은 클럭 신호이다. 예를 들면, 도 7또는 도 8에서, 상기 캐리 신호 출력부 및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에서 사용된 클럭 신호가 CLK_3이라면, 상기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에 사용된 클럭 신호는 CLK_4이다.Here, the clock signal used in the second scan signal output unit is a clock signal having a later phase than the clock signal used in the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For example, in FIG. 7 or 8, if the clock signal used in the carry signal output unit and the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is CLK_3, the clock signal used in the second scan signal output unit is CLK_4.
그리고,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나머지 회로 구성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다. The rest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이다. 15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은, 도 5에서, 상기 세트부(1)와 상기 리셋부(2) 사이에 상기 제 1 충전용 전압(VH)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세트 노드(Q)와 상기 리셋부(2)의 스위칭소자(Tr_R)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소자(Tr2)를 더 구비한 것이다.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FIG. 5, turned between the
즉, 도 15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인 도 6에서, 상기 세트 노드(Q)와 상기 리셋부(2)의 스위칭소자(Tr_R) 사이에 상기 제 2 스위칭소자(Tr2)를 더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That is, in FIG. 15, in FIG. 6, which is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switching element Tr2 is further provided,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al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상기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는, 하나의 노드를 2개의 노드로 구성한 것이다.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one node and two nodes.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도이다. 16 is a circuit diagram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 출력부(3)에 클럭신호(CLK6)에 의해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출력단에 방전용 전압(VSS1 내지 VSS5 중 하나)를 공급하는 풀 다운 스위칭소자(Tda)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ac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turned on or off by the clock signal CLK6 i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세트부, 리셋부 및 출력부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s of the set unit, the reset unit, and the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세트부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이다.17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t unit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각 실시예의 세트부(1)의 스위칭소자(Tr-S) 대신에, 상기 세트용 전압 (스타트 펄스, 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 또는 제 1 충전용 전압(VH)) 입력단과 상기 세트 노드(Q)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세트 개시 신호(스타트 펄스 또는 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세트용 전압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세트 스위칭소자(T4a, T4b)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 스위칭소자(T4a, T4b)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3 세트 스위칭소자(T4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at is, instead of the switching element Tr-S of the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세트부(1)를 하나의 스위칭소자(Tr-S)로 구성하고, 상기 세트용 전압으로 스타트 펄스, 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를 이용할 경우,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Tr_S)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편향될 경우, 세트 기간 후 상기 스위칭소자(Tr_S)가 완전하게 턴 오프되지 않아, 상기 세트 노드(Q)에 충전된 전압(VDD)이 누설되어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when the
그러나, 도 17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 스위칭소자(T4a, T4b)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더라도,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의해 상기 제 3 세트 스위칭소자(T4c)가 턴 온하여 상기 제 2 충전용 전압(VC)를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 스위칭소자(T4a, T4b)의 연결 노드에 공급하므로, 상기 세트 노드(Q)에 충전된 전압이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 스위칭소자(T4a, T4b)를 통해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음을 방지한다.However, in FIG. 17, even if the threshold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set of switching elements T4a and T4b are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the third set of switching elements is affected by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Since (T4c) turns on and supplies the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set switching elements (T4a, T4b), the voltage charged in the set node (Q) is It does not leak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t of switching elements T4a and T4b. Therefore, it is prevented that the scan pulse is not output.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리셋부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이다. 18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reset unit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각 실시예의 리셋부(2)의 스위칭소자(Tr-R) 대신에, 상기 세트노드(Q)와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VSS1)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리셋 개시 신호 (리셋 펄스 또는 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VSS1)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방전시키는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T5a, T5b)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T5a, T5b)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3 리셋 스위칭소자(T5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at is, instead of the switching element Tr-R of the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리셋부(2)를 하나의 스위칭소자(Tr-R)로 구성하고, 상기 스위칭소자(Tr_R)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편향될 경우, 세트 기간에 상기 스위칭소자(Tr_R)가 완전하게 턴 오프되지 않아, 상기 세트 노드(Q)에 충전된 전압이 누설되어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그러나, 도 18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T5a, T5b)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더라도,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의해 상기 제 3 리셋 스위칭소자(T5c)가 턴 온하여 상기 제 2 충전용 전압(VC)를 상기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T5a, T5b)의 연결 노드에 공급하므로, 상기 세트 노드(Q)에 충전된 전압이 상기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T5a, T5b)를 통해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음을 방지한다.However, in FIG. 18, even if the threshold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reset switching devices T5a and T5b are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the third reset switching device is affected by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Since (T5c) is turned on to supply the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reset switching elements (T5a, T5b), the voltage charged in the set node (Q) is It does not leak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set switching devices T5a and T5b. Therefore, it is prevented that the scan pulse is not output.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출력부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이다. 19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of the output unit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각 실시예의 출력부(3)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Td, Tdc, Td1 또는 Td2) 대신에, 상기 출력단(SP_n, CP_N, SP_n+1)과 상기 제 4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VSS4 또는 VSS5)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제어신호 신호(VD, VD1 또는 VD2) 또는 리셋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4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VSS4 또는 VSS5)을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풀 다운 스위칭소자(T6a, T6b)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풀 다운 스위칭소자(T6a, T6b)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3 풀 다운 스위칭소자(T6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at is, instead of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 Tdc, Td1 or Td2) of the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3)를 하나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Td, Tdc, Td1 또는 Td2)로 구성하고, 상기 스위칭소자(Td, Tdc, Td1 또는 Td2)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편향될 경우, 세트 기간에 상기 스위칭소자(Tr_R)가 완전하게 턴 오프되지 않아, 상기 출력단의 전압이 누설되어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그러나, 도 19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T6a, T6b)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더라도,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의해 상기 제 3 풀 다운 스위칭소자(T6c)가 턴 온하여 상기 제 2 충전용 전압(VC)를 상기 제 1 및 제 2 풀 다운 스위칭소자(T6a, T6b)의 연결 노드에 공급하므로, 상기 출력단의 전압이 상기 제 1 및 제 2 풀 다운 스위칭소자(T6a, T6b)를 통해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음을 방지한다.However, in FIG. 19, even if the threshold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reset switching devices T6a and T6b are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the third pull-down switching is performed by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Since the device T6c is turned on and supplies the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pull-down switching devices T6a and T6b,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is 2 There is no leakage through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s (T6a, T6b). Therefore, it is prevented that the scan pulse is not output.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3)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Td, Tdc, Td1 또는 Td2)의 게이트 단자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VD, VD1 또는 VD2) 대신에, 인버터(inverter)를 이용하여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을 상기 출력부(3)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Td, Tdc, Td1 또는 Td2)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nstead of the control signal (VD, VD1 or VD2)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gate terminal of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 Tdc, Td1 or Td2) of the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출력부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21a 내지 도 21b는 도 20의 인버터의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이다.20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put unit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the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1A and 21B are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embodiment of the inverter shown in FIG.
즉, 도 20과 같이,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이 인버터(inverter)를 통해 상기 출력부(3)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Td, Tdc, Td1 또는 Td2)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되게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0,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is su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 Tdc, Td1 or Td2 of the
상기 인버터의 구성은, 도 21a와 같이, 정전압(Vdd)단 또는 클럭 펄스(CLK(n))단과 접지단(Vssb)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인버터 스위칭소자(Ia, Ib)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인버터 스위칭소자(Ia)의 게이트 단자 및 소오스 단자는 상기 정전압(VDD) 또는 클럭 펄스(CLK(n))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인버터 스위칭소자(Ib)의 게이트 단자는 상기 세트 노드(Q)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버터 스위칭소자(Ia, Ib)의 연결 로드는 상기 풀 다운 스위칭 소자(Td, Tdc, Td1 또는 Td2)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21A, the inverter includes first and second inverter switching elements Ia and Ib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constant voltage (Vdd) terminal or a clock pulse (CLK(n))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Vssb). The gate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switching element (Ia) are connected to the constant voltage (VDD) or clock pulse (CLK (n))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second inverter switching element (Ib) is It is connected to the set node Q, and the connecting rods of the first and second inverter switching devices Ia and Ib are connected to gate terminals of the pull-down switching devices Td, Tdc, Td1 or Td2.
또한, 상기 인버터의 구성은, 도 21b와 같이, 정전압(Vdd)단 또는 클럭 펄스(CLK(n))단과 A 노드(A node)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정전압(Vdd) 또는 클럭 펄스(CLK(n))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정전압(Vdd) 또는 클럭 펄스(CLK(n))를 상기 A 노드에 공급하는 제 1 인버터 스위칭소자(Ia)와, 상기 A 노드와 상기 접지단(Vssb)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접지 전압(Vssb)을 상기 A 노드에 공급하는 제 2 인버터 스위칭소자(Ib)와, 상기 정전압(Vdd)단 또는 클럭 펄스(CLK(n))단과 출력단(Vout)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A 노드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정전압(Vdd) 또는 클럭 펄스(CLK(n))를 상기 출력단(Vout)에 공급하는 제 3 인버터 스위칭소자(Ic)와, 상기 출력단(Vout)과 상기 접지단(Vssb)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접지 전압(Vssb)을 상기 출력단(Vout)에 공급하는 제 4 인버터 스위칭소자(Id)를 구비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rter is connected between the constant voltage (Vdd) terminal or clock pulse (CLK(n)) terminal and the A node (A node) as shown in FIG. )), a first inverter switching element Ia which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urn-on and supplies the constant voltage Vdd or clock pulse CLK(n) to the A node, and the A node and the ground terminal A second inverter switching element (Ib) connected between (Vssb) and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to supply the ground voltage (Vssb) to the A node when turned on; and the constant voltage It is connected between the (Vdd) terminal or the clock pulse (CLK(n))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Vout)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node A. When turned on, the constant voltage (Vdd) or the clock pulse (CLK(n)) ) to the output terminal Vout,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Vout and the ground terminal Vssb to turn on or turn o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urth inverter switching element (Id) for supplying the ground voltage (Vssb) to the output terminal (Vout) when turned off and turned on.
여기서, 상기 출력단(Vout)은 상기 풀 다운 스위칭 소자(Td, Tdc, Td1 또는 Td2)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된다. Here, the output terminal Vout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Td, Tdc, Td1 or Td2.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외부의 제어 신호(Init)에 의해 상기 세트 노드(Q)를 초기화 하는 초기화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itialization unit that initializes the set node Q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Init.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 추가되는 초기화부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이다.22A is a circuit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itialization unit added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부는, 외부의 제어 신호(Init)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VSS1)을 상기 세트 노드(Q)에 공급하여 상기 세트 노드를 방전시키는 초기화 스위칭소자(T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initializ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Init) and supplies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to the set node (Q) when it is turned on. and an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 T0 for discharging the set node.
도 22b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에 추가되는 초기화부의 제 2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이다.22B is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nitialization unit added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each stage of a shift register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부는, 상기 세트 노드(Q)와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VSS1)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제어신호 신호(Init)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VSS1)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방전시키는 제 1 및 제 2 초기화 스위칭소자(T0a, T0b)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초기화 스위칭소자(T0a, T0b)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3 초기화 스위칭소자(T0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initializati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and turned on or turned on according to the external control signal Init. first and second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s T0a and T0b for discharging the set node Q by supplying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to the set node Q when turned off and turned on; A third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node Q and supplies a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s T0a and T0b when turned on. (T0c).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2a와 같이 하나의 스위칭소자(T0)로 구성될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T0)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편향될 경우, 세트 기간에 상기 스위칭소자(T0)가 완전하게 턴 오프되지 않아,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이 누설되어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나, 도 22b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초기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초기화 스위칭소자(T0a, T0b)의 문턱 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더라도,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의해 상기 제 3 초기화 스위칭소자(T0c)가 턴 온하여 상기 제 2 충전용 전압(VC)를 상기 제 1 및 제 2 풀 초기화 스위칭소자(T0a, T0b)의 연결 노드에 공급하므로,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이 상기 제 1 및 제 2 초기화 스위칭소자(T0a, T0b)를 통해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캔 펄스가 출력되지 않음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composed of one switching element T0 as shown in FIG. 22A, whe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switching element T0 is deflect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the switching element T0 during the set period. ) is not completely turned off,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leaks and a scan pulse may not be output. However, as shown in FIG. Even if the threshold voltages of the second initialization switching devices T0a and T0b are bi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the third initialization switching device T0c is turned on by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the second initialization switching device T0c is turned on. Since the charging voltage VC is suppli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full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s T0a and T0b,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s T0a and T0b. There is no leakage through T0b). Therefore, it is prevented that the scan pulse is not output.
상기 초기화부는 스타트 신호에 의해 세팅되는 스테이지에는 적용하지 않고, 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의해 세팅되는 스테이지에 적용할 수 있다.The initialization unit may not be applied to a stage set by a start signal, but may be applied to a stage set by a scan pulse or a carry pulse output from a previous stag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 세트부 2: 리셋부
3: 출력부 4: 클리어 스위칭부 1: set part 2: reset part
3: output unit 4: clear switching unit
Claims (20)
세트 개시 신호를 사용하여 세트 노드(Q)를 세트용 전압으로 세트시키는 세트부와,
리셋 개시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리셋용 전압으로 리셋시키는 리셋부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상태에 따라 다수의 출력용 클럭 신호 또는 다수의 캐리용 클럭 신호 중 입력된 어느 하나의 클럭 신호를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클리어용 클럭펄스를 전송하는 클럭전송라인과 리세트 노드(QB)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클리어용 클럭펄스를 상기 리세트 노드(QB)에 인가하는 커패시터(C)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2 방전용전압을 상기 리세트 노드(QB)로 공급하는 제 1 스위칭소자(Tr1)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제 3 방전용전압 또는 임의의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를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클리어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클리어 스위칭부는, 상기 세트 노드(Q)와 상기 제3 방전용전압을 공급하는 제 3 방전용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3 방전용전압 또는 다른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를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를 공급하는 제 3 클리어 스위칭소자(T3c)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쉬프트 레지스터. In a shift register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and outputting scan pulses, each stage comprises:
a set unit for setting a set node Q to a set voltage using a set start signal;
A reset unit resetting the set node Q to a reset voltage using a reset start signal;
an output unit outputting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or a plurality of carry clock signals as a scan pulse or a carry puls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et node Q;
a capacitor (C) connected between a clock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a clear clock pulse and a reset node (QB) and applying the clear clock pulse to the reset node (QB);
a first switching element (Tr1)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ies a second discharge voltage to the reset node (QB) when turned on;
I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and when it is turned on, a third discharge voltage or a scan pulse or a carry pulse output from an arbitrary stage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It is configured with a clear switching unit,
The clear switching uni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t node Q and a third voltage for discharge supplying the third voltage for discharge,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to be turned on. first and second clear switching elements supplying the third discharge voltage or a scan pulse or a carry pulse output from another stage to the set node Q when turned on;
A third clear switching element (T3c)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ies a second charging voltage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clear switching elements when turned on. shift register.
상기 세트부는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제 1 충전용 전압을 세트 노드(Q)에 공급하는 스위칭소자(Tr_S)를 구비하고,
상기 리셋부는 리셋 펄스 또는 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세트 노드(Q)에 제 1 방전용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소자(TR_R)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세트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갖는 스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1,
The se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tart pulse Vst or the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the previous stage, and when turned on, the scan pulse, carry pulse, or start pulse Vst output from the previous stage Or a switching element (Tr_S) for supplying the first charging voltage to the set node (Q),
The rese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reset pulse or a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a later stage, and when turned on, a switching element (TR_R) for applying a first discharge voltage to the set node (Q) to provide,
Th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a pull-up switching element receiving one of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and outputting it as a scan pulse, and A shift register having a scan pulse output unit having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outputs a four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세트 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또는 복수개의 캐리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5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한 캐리 신호 출력부를 더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2,
Th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receives one of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or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carry and outputs it as a carry pulse. A shift register further comprising a carry signal output unit having a switching element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outputs a fif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상기 제 2 방전용 전압은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은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econd voltage for dischar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voltage for discharge, and the first voltage for dischar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voltage for discharge.
상기 세트부는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 스타트 펄스(Vst) 또는 제 1 충전용 전압을 세트 노드(Q)에 공급하는 스위칭소자(Tr_S)를 구비하고,
상기 리셋부는 리셋 펄스 또는 후단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캔 펄스 또는 캐리 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세트 노드(Q)에 제 1 방전용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소자(TR_R)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세트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갖는 스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1,
The se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tart pulse Vst or the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the previous stage, and when turned on, the scan pulse, carry pulse, or start pulse Vst output from the previous stage Or a switching element (Tr_S) for supplying the first charging voltage to the set node (Q),
The rese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reset pulse or a scan pulse or carry pulse output from a later stage, and when turned on, a switching element (TR_R) for applying a first discharge voltage to the set node (Q) to provide,
Th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a pull-up switching element receiving one clock signal from among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and outputting it as a scan pulse, and the reset node A shift register having a scan pulse output unit having a pull-down switching device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logic state of the and outputs a four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과 상기 제 2 방전용 전압은 서로 같고,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과 상기 제 4 방전용 전압은 서로 같은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voltage for discharge and the second voltage for discharge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third voltage for discharge and the fourth voltage for discharge are equal to each other.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세트 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또는 복수개의 캐리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5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한 캐리 펄스 출력부를 더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5,
The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receives one of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or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carry and outputs it as a carry pulse. A shift register further comprising a carry pulse output unit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and outputs a fif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상기 리셋부의 스위칭소자(Tr_R)의 소오스 단자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의 소오스 단자가 상기 제 1 방전용 전압 또는 상기 제 2 방전용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클리어 스위칭부의 제 2 클리어 스위칭소자(T3b)의 소오스 단자와, 상기 캐리 펄스 출력부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의 소오스 단자는 상기 제 3 방전용 전압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에 연결되는 쉬프트 레지스터. According to claim 7,
A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r_R of the reset unit and a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ar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or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A source terminal of the second clear switching element T3b of the clear switching unit and a source terminal of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of the carry pulse output unit are connected to the third voltage for discharge or the fifth voltage for discharge.
상기 출력용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상기 클리어용 클럭 펄스는 하이 상태를 갖거나 상승 에지이고, 상기 클리어용 클럭 펄스의 두티 비는 상기 출력용 클럭 신호의 두티 비와 같거나 다른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1,
At a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signal, the clearing clock pulse has a high state or is a rising edge, and a duty ratio of the clearing clock pulse is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output clock signal.
상기 클리어용 클럭 펄스의 하이 구간 폭을 상기 출력용 클럭 신호의 하이 구간의 폭보다 작은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9,
A shift register in which a width of a high section of the clearing clock pulse is smaller than a width of a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signal.
상기 출력부는, 캐리 신호 출력부,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 및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 신호 출력부는, 상기 세트 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캐리 펄스로 출력하는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5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는, 상기 세트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제 1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제 1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는, 상기 세트노드(Q)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복수개의 출력용 클럭 신호 중 상기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의 클럭 신호와 다른 클럭 신호를 공급받아 스캔 펄스로 출력하는 제 2 풀업 스위칭 소자와, 상기 리세트 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며, 턴온 시 제 4 방전용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제 2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unit includes a carry signal output unit, a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and a second scan signal output unit,
The carry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when turned on, a pull-up switching element receiving one of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and outputting it as a carry pulse;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Qb) and outputs a fif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The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receives one clock signal from among a plurality of output clock signals when turned on and outputs it as a scan pulse. device, and a first pull-down switching device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Qb) and outputs a four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The second scan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set node Q, and receives a clock sign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can signal output unit among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or output when turned on. A second pull-up switching element outputting scan pulses and a second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Qb and outputs a fourth discharge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One shift register.
상기 풀 다운 스위칭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 대신에, 상기 출력단과 제 4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외부의 제어신호 신호 또는 리세트노드(Qb)의 논리 상태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4 또는 제 5 방전용 전압을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제 3 및 제 4 풀 다운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3 및 제 4 풀 다운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5 풀 다운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and 7,
Instead of at least one pull-down switching element among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s, it is serially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fourth or fifth voltage terminal for discharg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or a logic state of the reset node Qb. third and fourth pull-down switching elements that ar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turn-on state to supply the fourth or fifth discharge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A fifth pull-down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ies a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the connection nodes of the third and fourth pull-down switching elements when turned on. A shift register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풀 다운 스위칭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풀 다운 스위칭소자의 게이트 단자에 인버터를 통해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이 반전되어 인가되는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and 7,
A shift register in which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is inverted and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at least one of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s through an inverter.
상기 세트부는 세트용 전압 입력단과 상기 세트 노드(Q)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세트 개시 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세트용 전압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세트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를 공급하는 제 3 세트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1,
The set uni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set voltage input terminal and the set node Q and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et start signal to supply a set voltage to the set node Q when turned on. 2 sets of switching elements;
A shift register comprising a third set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ies a second charging voltage to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set switching elements when turned on. .
상기 리셋부는 상기 세트노드(Q)와 제 1 방전용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리셋 개시 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제 1 방전용 전압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방전시키는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리셋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3 리셋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쉬프트 레지스터. According to claim 1,
The reset uni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e voltage terminal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reset start signal to supply the first discharge voltage to the set node Q when turned on. first and second reset switching elements for discharging the set node Q;
A third reset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ies a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reset switching elements when turned on Configured shift register.
외부의 초기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세트 노드(Q)를 초기화 하는 초기화부를 더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1,
A shift register further comprising an initialization unit that initializes the set node (Q) by an external initialization control signal.
상기 초기화부는 상기 외부의 최기화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제 1 방전용 전압을 상기 세트 노드에 공급하여 상기 세트 노드를 방전시키는 초기화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쉬프트 레지스터.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hift register comprising an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external initialization control signal and supplies a first discharge voltage to the set node to discharge the set node when turned on.
상기 초기화부는, 상기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초기화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제 1 방전용 전압을 상기 세트 노드(Q)로 공급하여 상기 세트 노드(Q)를 방전시키는 제 1 및 제 2 초기화 스위칭소자와,
상기 세트 노드(Q)의 전압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턴 온시 상기 제 1 및 제 2 초기화 스위칭소자의 연결 노드에 제 2 충전용 전압(VC)를 공급하는 제 3 초기화 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쉬프트 레지스터.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itialization uni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e voltage terminal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external initialization control signal, and when turned on, the first discharge voltage is applied to the set node Q First and second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s supplying to and discharging the set node (Q);
A third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t node Q and supplies a second charging voltage VC to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initialization switching elements when turned on Configured shift register.
상기 세트부와 상기 리셋부 사이에 제 1 충전용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턴-온 시 상기 세트 노드와 상기 리셋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소자를 더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claim 1,
The shift regist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witching element between the set unit and the reset uni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first charging voltage and connects the set node and the reset unit when turned on.
상기 출력부는 클럭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턴 온시 출력단에 방전용 전압을 공급하는 풀 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8, 11,
The output unit further includes a pull-down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 clock signal to supply a voltage for discharging to an output terminal when turned 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8416A KR102541937B1 (en) | 2015-12-29 | 2015-12-29 | Shift regi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8416A KR102541937B1 (en) | 2015-12-29 | 2015-12-29 | Shift regist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8165A KR20170078165A (en) | 2017-07-07 |
| KR102541937B1 true KR102541937B1 (en) | 2023-06-09 |
Family
ID=593537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88416A Active KR102541937B1 (en) | 2015-12-29 | 2015-12-29 | Shift regis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4193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633829B (en) * | 2017-09-27 | 2020-03-10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Reset circuit, shift register, driving method of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
| CN109801577B (en) * | 2017-11-16 | 2022-07-1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Gate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08109667B (en) | 2017-12-15 | 2021-01-15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Shift register unit, scanning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
| CN108257568B (en) | 2018-02-01 | 2020-06-1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Shift register, gate integrated driving circuit,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CN108564930B (en) * | 2018-05-04 | 2020-03-1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Shift regis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grid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
| CN109036252B (en) * | 2018-09-11 | 2021-08-20 |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 A shift register, its driving method, and gate driving circuit |
| TWI681378B (en) * | 2018-11-15 | 2020-01-0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Display panel |
| CN111627402B (en) * | 2020-06-01 | 2021-09-24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GOA circuit,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CN211529585U (en) * | 2020-08-17 | 2020-09-18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Grid driving circuit and display panel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41909B1 (en) | 2009-02-25 | 2013-12-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hift register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58153B1 (en) * | 2009-12-31 | 2016-09-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hift register |
| KR102340936B1 (en) * | 2014-04-29 | 2021-12-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hift register using oxide transist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385624B1 (en) * | 2014-05-02 | 2022-04-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2015
- 2015-12-29 KR KR1020150188416A patent/KR1025419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41909B1 (en) | 2009-02-25 | 2013-12-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hift regist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8165A (en) | 2017-07-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541937B1 (en) | Shift register | |
| US10872578B2 (en) | Shift register unit, gat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US9620240B2 (en) | Shift register | |
| US8953737B2 (en) | Shift register | |
| KR102167138B1 (en) |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ne | |
| US7873140B2 (en) | Shift register | |
| TWI445309B (en) | Gate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US8259895B2 (en) | Bidirectional shifter register and method of driving same | |
| US9928794B2 (en) | Shift register and display apparatus | |
| US20130235026A1 (en) | Scanning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same | |
| US20170372654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 US20140093027A1 (en) | Shift register | |
| US10943553B2 (en) | Shift register unit, gate lin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20100071387A (en) | Gate driver | |
| KR102264274B1 (en) | Inverter,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KR20110102627A (en) |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using it | |
| KR101980754B1 (en) | Gate shift register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 |
| US9117512B2 (en) | Gate shift register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 |
| WO2012169590A1 (en) |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same | |
| KR20130110306A (en) | Shift register | |
| KR102135928B1 (en) | A shift regis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hift register | |
| KR102056675B1 (en) | Shift register | |
| KR20230083393A (en) |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KR101926522B1 (en) | Gate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KR20080086617A (en) | LCD and its driv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