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2048B1 - 영아용 구강관리기 - Google Patents

영아용 구강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48B1
KR102542048B1 KR1020210068461A KR20210068461A KR102542048B1 KR 102542048 B1 KR102542048 B1 KR 102542048B1 KR 1020210068461 A KR1020210068461 A KR 1020210068461A KR 20210068461 A KR20210068461 A KR 20210068461A KR 102542048 B1 KR102542048 B1 KR 10254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inger
curved
oral care
car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346A (ko
Inventor
설재호
Original Assignee
설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재호 filed Critical 설재호
Priority to KR102021006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haped as gloves or finger-stalls or other special holding ways, e.g. by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taining only one dose of substance, e.g. single-use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아영 구강관리기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의 헤드부(10), 헤드부(10)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된 텍스처부(20), 및 헤드부(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말단이 헤드부(10)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아용 구강관리기{ORAL CARE IMPLEMENT FOR BABY}
본 발명은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에 끼워서 영아의 구강을 마사지하고 구강 내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는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치태 제거 방법 중 하나인 칫솔질은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치료 후 그 상태를 유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추천되고 있다. 칫솔은 치은의 맛사지, 구강 내의 불쾌감 제거, 심리적 심미적 효과, 구취제거, 국소적인 혈액공급의 증진, 치은 상피의 각화 증가, 치은의 생리적 형태의 수복과 유지, 세포의 대사율 증진, 치은 세포의 성숙 촉진 등의 다양한 부수적인 기능을 한다. 효과적인 치태 제거를 위해 칫솔질 방법, 치약의 성분, 칫솔의 재료 및 형태, 칫솔모의 강도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치아가 많이 없는 유아를 위해서는 칫솔모 대신 스펀지를 이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유치가 맹출하기 시작하는 유아기부터 사용하게 되므로, 치아가 없는 영아의 경우에는 칫솔을 이용한 구강 관리가 불가능하고, 깨끗한 거즈 또는 구강청결 티슈를 사용하여 수유 후 잇몸, 혀 등에 낀 잔여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거즈 또는 구강청결 티슈를 사용하는 경우, 기계적으로 구강 내를 훑어 내기 때문에, 충분하게 잔여물을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구강 내 세균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맹출하는 치아에 충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영아의 구강 내를 직접 느낄 수 없으므로, 제대로 구강을 관리할 수도 없다.
이에 영아용 구강관리를 위한 종래 거즈 또는 구강청결 티슈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20-2013-0004156 U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로 형성되어 보호자가 손가락에 낄 수 있고, 영아의 구강에 접촉되도록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일단이 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만곡된 영아용 구강관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된 텍스처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벗겨지면서 말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상기 헤드부의 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의 표면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압력이 가해질 때에 파열되는 치약수용막;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치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의 일단이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과 분리되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말단과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연결된 때에, 상기 만곡부와 상기 헤드부의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 내에 수용되는 치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말단과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는 탄력돌출부; 및 판(plate)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의 중심부에 탄성돌출부의 말단이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연결되고, 탄성을 가지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다수 개가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 배열되어, 상기 손가락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흡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가 손가락에 끼고, 다수의 표면 돌기를 접촉시켜 영아의 구강 내 잔여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촉감으로 영아의 구강을 느끼면서 구강을 마사지할 수 있다.
또한, 만곡된 타단을 잡아당기거나 밀어내어 용이하게 손가락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이때 내면과 외면이 뒤집히므로 외면에 묻어있는 구강 내 잔여물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A' 라인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A' 라인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영 구강관리기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의 헤드부(10), 헤드부(10)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된 텍스처부(20), 및 헤드부(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말단이 헤드부(10)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손가락에 끼워서 영아의 구강을 마사지하고 구강 내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는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영아의 경우 수유 후 잇몸, 혀 등에 잔여물이 남지만, 일반적으로 칫솔은 유치가 맹출하기 시작하는 유아기부터 사용하게 되므로, 치아가 없는 유아의 구강 관리 도구로 활용하기 곤란하고, 거즈 또는 구강청결 티슈는 구강 내 잔여물의 제거 내지 구강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는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헤드부(10), 텍스처부(20), 및 만곡부(30)를 포함한다.
헤드부(10)는 일단이 개방되고 그 반대쪽 타단이 폐쇄된 골무 형태로서, 영아의 보호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헤드부(10)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보호자의 손가락은 집게손가락(검지)이 적합하지만, 반드시 집게손가락에 한정되어 헤드부(10)의 크기가 정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가운데손가락, 약손가락, 새끼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도록 헤드부(10)의 크기가 정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헤드부(10)는 보호자의 손가락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텍스처부(20)는 헤드부(10)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되어 형성된다. 텍스처부(20)는 헤드부(10)의 표면 전체 또는 일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텍스처부(20)가 형성되는 영역은 손가락의 끝마디 바닥면에 대응되는 위치가 적합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텍스처부(20)는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므로, 영아의 구강 내, 예를 들어 잇몸이나 혀 등에 접촉되어 기계적으로 그곳에 낀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잔여물은 수유 후에 남은 잔존물 등 구강 내 남아있는 모든 이물을 포함한다. 또한, 텍스처부(20)는 구강 내 잔여물 제거 외에, 구강을 마사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구강 내 마사지는 텍스처부(20) 뿐 아니라, 헤드부(10)의 표면으로도 가능하다.
텍스처부(20)를 형성하는 다수의 돌기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호자가 손가락을 펴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쉽게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다수의 돌기가 손가락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텍스처부(20)가 손가락의 끝마디 바닥면 말단부에 하나, 그 끝마디 바닥면 양측부에 하나씩 배치되고, 말단부에는 손가락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측부에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의 돌기가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말단부의 텍스처부(20)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에, 양측부의 텍스처부(20)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거나 손가락이 회전 운동할 때에 각각 구강 내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는 헤드부(10)의 표면에 울퉁불퉁하게 거친 면을 제공하는데, 그 말단은 마찰에 의해 영아의 구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그 말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다만, 돌기의 말단 형상이 반드시 라운드진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뿔, 원뿔, 다면체, 기둥 및 이들의 절두체 등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30)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헤드부(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그 말단이 헤드부(10)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 방향의 반대쪽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헤드부(10)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다가 그 역방향으로 뒤집힌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만곡부(30)의 말단은 제1 방향을 향하고, 그 만곡된 중심부는 제2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만곡부(30)는 헤드부(10)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만곡부(30)에 의해 영아의 보호자는 쉽게 헤드부(10)를 손가락에 끼우고 벗길 수 있으며, 간단하고 위생적으로 헤드부(10) 및/또는 텍스처부(20)에 묻은 잔여물을 처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치약(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치약(40)은 영아의 구강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약으로서, 치아를 닦는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치약(40)은 헤드부(1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10)의 표면에 형성된 텍스처부(20)에 도포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1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치약(40)은 헤드부(10)의 표면에 기 도포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필요한 경우 보호자가 치약(40)을 헤드부(10)의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헤드부(10)의 두께 내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그 수용공간에 치약(40)이 수용되었다가,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에, 헤드부(10)의 외측과 그 공간이 연통되도록 파열되면서 치약(40)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파열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의 헤드부(10) 표면에 절취선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의 표면에 치약(40)을 수용할 수 있는 치약수용막(45)이 마련될 수 있다. 치약수용막(45)은 가장자리가 헤드부(10)의 표면에 결합되되, 그 중심부는 헤드부(10)의 표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치약수용막(45)의 내면과 헤드부(10)의 표면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용공간의 내부에 치약(40)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약수용막(45)은 압력이 가해질 때에 파열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손가락을 낀 채로 헤드부(10)의 일단을 잡아당길 때에 압력이 치약수용막(45)에 가해지므로, 치약수용막(45)이 파열되면서 치약(40)이 헤드부(10)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그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약수용막(45)의 파열이 용이하도록, 치약수용막(45) 표면에 절취선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치약수용막(45)의 가장자리를 잡아당겨 벗겨냄으로써 파열될 수도 있다.
위의 경우에, 헤드부(10)를 따라 흐르는 치약(40)은 헤드부(10)의 일단에 형성된 만곡부(30)에 고이게 되므로, 보호자의 손가락에 묻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보호자의 손가락에서 헤드부(10)가 벗겨지고, 그 손가락에 씌워지는 내용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3을 참고로, 제1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F)이 가해질 때에, 헤드부(10)는 손가락으로부터 벗겨지면서 말릴 수 있다. 여지서, 제1 방향은 헤드부(10)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외력(F)은, 만곡부(30)의 만곡된 중심부를 밀어올리거나, 만곡부(30)의 말단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만곡부(30)에 가해질 수 있다. 일례로,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에 헤드부(10)가 씌워진 경우,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동그랗게 말아서 만곡부(30)의 중심부를 밀어올리거나, 또는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만곡부(30)의 말단을 잡아당겨 헤드부(10)를 벗겨낼 수 있다. 이때, 헤드부(10)가 말리면서 헤드부(10)의 내면과 외면이 뒤집어지고, 이로 인해 헤드부(10) 및/또는 텍스처부(20)에 묻은 잔여물이 자연스럽게 헤드부(10)의 내부에 봉입되므로, 잔여물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한편, 도 4를 참고로, 제2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F)이 가해질 때에, 헤드부(10)가 손가락에 씌워질 수 있다. 최초에 헤드부(10)는 만곡부(30)와 함께 말려있다가, 만곡부(30)에 외력(F)이 가해질 때에 펴지면서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헤드부(10) 및/또는 만곡부(30)의 탄성에 의해 헤드부(10)가 손가락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헤드부(10)의 일단이 향하는 방향, 즉 제1 방향의 반대쪽 방향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가 손가락에 끼고, 다수의 표면 돌기를 접촉시켜 영아의 구강 내 잔여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촉감으로 영아의 구강을 느끼면서 구강을 마사지할 수 있다. 또한, 만곡된 타단을 잡아당기거나 밀어내어 용이하게 손가락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이때 내면과 외면이 뒤집히므로 외면에 묻어있는 구강 내 잔여물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만곡부(30)의 말단이 헤드부(10)의 타단과 분리되면서 헤드부(10)가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다. 즉,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헤드부(10)의 내부로 손가락을 삽입하고, 제2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을 가하면,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분리되면서, 헤드부(10)가 손가락을 감싸면서 씌어진다. 이때, 헤드부(10) 및/또는 만곡부(30)의 탄성에 의해 헤드부(10)가 손가락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연결된 때에, 만곡부(30)와 헤드부(10) 사이에 밀폐 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밀폐 공간(S) 내에 전술한 치약(4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치약(40)은 헤드부(10) 및/또는 텍스처부(20)의 표면에 도포된 상태이거나, 또는 단순히 밀폐 공간(S)에 저장되었다가 사용 전에 보호자가 그 밀폐 공간(S)을 누르거나 문지른 경우에 헤드부(10) 및/또는 텍스처부(2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절취선(50)이 구비될 수 있다. 절취선(50)은 오목하게 함몰된 블라인드 홀(blind hole) 형태의 점선으로 형성되어, 밀폐 공간(S) 내 치약(40)의 누출을 방지하고, 작은 외력에 의해 절취되어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탄력돌출부(60), 및 충격흡수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직접 연결되는 방식인 데 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탄력돌출부(60), 및 충격흡수부(70)를 매개로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탄력돌출부(60)는 헤드부(10)의 타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을 가진다. 충격흡수부(70)는 판(plate)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을 가지는 부재이다. 충격흡수부(70)의 일면의 중심부는 탄력돌출부(60)의 돌출된 말단에 연결되고, 충격흡수부(70)의 가장자리는 만곡부(30)의 말단과 분리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충격흡수부(70)와 만곡부(30)의 말단이 서로 분리되면서, 헤드부(10)가 손가락에 끼워진다.
충격흡수부(70)와 만곡부(30)의 말단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만곡부(30)와 헤드부(10) 사이에 밀폐 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밀폐 공간(S) 내에 치약(40)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70)의 가장자리와 상기 만곡부(30)의 말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절취선(5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밀폐 공간(S) 및 절취선(5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흡수부(70)와 만곡부(30)가 서로 분리된 경우, 헤드부(10)의 타단으로부터 탄력돌출부(60)가 돌출되고, 탄력돌출부(60)의 말단에 플랜지 형태로 충격흡수부(7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은 손가락에 끼워 손가락의 움직임을 이용해 영아의 구강을 관리하는 것이므로, 과도한 힘으로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에, 헤드부(10)의 타단이 입천장이나 잇몸 등 구강 내부와 부딪히면서 손상이나 고통을 줄 수 있는데, 탄성이 있는 탄력돌출부(60)와 충격흡수부(70)가 구비되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흡수부(7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에 의해 중심부를 중심으로 휘어지며, 탄력돌출부(60)도 탄성을 가지므로, 구강 내부와 부딪힐 때에 압력이 특정 지점에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시키고, 충격을 흡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흡착판(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착판(80)은 다수 개로, 헤드부(10)의 내면에 배열되어, 손가락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로써, 헤드부(10)는 손가락에 강력하게 밀착되므로, 사용 중에 헤드부(10)가 벗겨지거나 헛돌지 않고, 손가락의 움직임을 이용해 미세하게 영아의 구강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헤드부 20: 텍스처부
30: 만곡부 4 0: 치약
50: 절취선 60: 탄력돌출부
70: 충격흡수부 80: 흡착판

Claims (10)

  1.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된 텍스처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의 일단이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과 분리되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가락에 끼워지며,
    상기 만곡부의 말단과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연결된 때에, 상기 만곡부와 상기 헤드부의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 내에 수용되는 치약;을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벗겨지면서 말리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말단과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는 탄력돌출부; 및
    판(plate)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의 중심부에 탄성돌출부의 말단이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연결되고, 탄성을 가지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 개가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 배열되어, 상기 손가락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흡착판;을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KR1020210068461A 2021-05-27 2021-05-27 영아용 구강관리기 Active KR102542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61A KR102542048B1 (ko) 2021-05-27 2021-05-27 영아용 구강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61A KR102542048B1 (ko) 2021-05-27 2021-05-27 영아용 구강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46A KR20220160346A (ko) 2022-12-06
KR102542048B1 true KR102542048B1 (ko) 2023-06-12

Family

ID=8440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461A Active KR102542048B1 (ko) 2021-05-27 2021-05-27 영아용 구강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0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830Y1 (ko) * 2002-04-16 2002-07-23 김성환 잇몸 맛사지구가 구비된 유아용 손가락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156U (ko) 2011-12-28 2013-07-08 이중민 유아ㆍ어린이용 칫솔
KR20170016124A (ko) * 2015-08-03 2017-02-13 이지훈 치약캡슐을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칫솔
KR20190088613A (ko) * 2018-01-19 2019-07-29 이훈상 일회용 골무형 휴대용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830Y1 (ko) * 2002-04-16 2002-07-23 김성환 잇몸 맛사지구가 구비된 유아용 손가락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46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8869B1 (en) Finger glove comprising areas prepared for oral hygiene
US5320531A (en) Absorbent finger sleeve for use in dentistry or medicine
US4828113A (en) Dental treatment kit
US6019773A (en) Tongue cleaner
MXPA06003394A (es) Aplicador para limpiarse los dientes.
US4570653A (en) Tooth cleaning and flossing device
US10264875B2 (en) Dental finger gloves
JP2004041260A (ja) ソフト歯間清掃器具
KR20120016380A (ko) 일회용 칫솔
US20160135934A1 (en) Mouth cleaner
US4878508A (en) Dental device for cleaning teeth
KR101833425B1 (ko) 치아 및 잇몸의 예방 및 급성 치료를 위한 장치
US6378698B1 (en) Infant's disposable fluoride tooth wipes
GB2216427A (en) Dental device for cleaning teeth
KR102542048B1 (ko) 영아용 구강관리기
US9032975B2 (en) Dental device
JPS6354111A (ja) 歯の洗浄用具
US6722805B1 (en) Tongue adhered dentifrice apparatus
WO2002069753A1 (en) Oral cleaning device
MXPA04004446A (es) Papel limpiador para los dientes combinado con hilo dental.
KR101865043B1 (ko) 칫솔
KR20200002576U (ko)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KR200348233Y1 (ko) 치아 세정 도구
JP3057920U (ja) 口腔内マッサ−ジ具
KR20040086889A (ko) 구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