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2882B1 - 성인용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성인용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882B1
KR102542882B1 KR1020210057200A KR20210057200A KR102542882B1 KR 102542882 B1 KR102542882 B1 KR 102542882B1 KR 1020210057200 A KR1020210057200 A KR 1020210057200A KR 20210057200 A KR20210057200 A KR 20210057200A KR 102542882 B1 KR102542882 B1 KR 10254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aid
seat plate
main frame
plate
h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0022A (ko
Inventor
박인화
이남희
Original Assignee
박인화
이남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화, 이남희 filed Critical 박인화
Priority to KR102021005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8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이 어려운 성인을 위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보행보조기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부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가능케 함은 물론, 관절이상 및 골절로 인한 수술후, 혼자서 안전하게 하지근력 및 전신근력 회복운동을 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주프레임 상에 좌판을 설치하되, 상기 좌판은 개폐판에 의해 내공간부의 전방 일측이 개폐되는 상판과, 상판 아랫쪽에 에어쿠션을 설치하고, 상기 좌판은 높이조정수단에 의해 높이가 조정되게 하고, 주프레임 아랫쪽에는 이동바퀴와 작동보턴에 의해 승강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보행보조기를 구성하고, 상기 보행보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성인용 보행보조기{WALIKING ASSISTANT DEVICE FOR ADULT}
본 발명은 장기요양 등의 원인으로 하지근력이 저하되어 보행이 어려운 성인을 위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행이 어려운 사용자가 보행보조기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낙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가능하게 함은 물론, 관절이상 및 골절로 인한 수술후 혼자서 안전하게 하지근력 및 전신근력 회복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이 불편하거나 어려운 환자 및 노약자의 경우 보행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상기 보행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스틸파이프를 절곡시켜 몸체 틀을 구성하고, 각 프레임의 하단에는 고무패킹을 끼워 미끄럼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 보행기의 경우 사용자가 이동할때에는 보행기를 들어 앞쪽으로 옮겨놓고, 몸을 지탱하면서 이동하는 수단이다.
또다른 보행기의 경우 몸체 틀의 하단에 캐스트바퀴를 장착하여 보행기의 이동이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상단에 쿠션을 구비하여 몸을 의지할때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보행기의 경우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자력으로 보행기에 의지하면서 걸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행이 어려운 환자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보행기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362325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특허문헌 1)와, 특허 제10-0892621호 "하반신 마비환자용 보행기"(특허문헌 2)와 특허 제10-2102076호 "노약자용 안전보행기"(특허문헌 3)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보행기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 바퀴가 연결되어져 있고, 그 하부는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으며 상부는 지면과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진 전방 다리와, 상기 전방 다리에 힌지결합되고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는 후방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와; 상기 전방 다리의 상단에서 전후방으로 환자의 팔을 걸 수 있게 수평 절곡된 팔걸이부와; 상기 팔걸이부의 전단에 횡측으로 연결된 상부 횡측 연결부와, 상기 전방 다리의 하단부에 횡측으로 연결된 하부 횡측 연결부로 이루어져 보행기의 횡방향 지지력을 부여하는 횡측 연결부와;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에 연결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게 된 안장과; 상기 후방 다리를 전방 다리에 대해 선택적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보행기 사용시에 후방 다리와 전방 다리를 고정시키고, 미사용시 후방 다리가 절첩되게 하는 랙고정부로 구성된 것이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보행기를 의지해서 서있을 수는 있으나, 한걸음도 뗄 수 없는 하체마비환자들이 몸무게 및 팔근육을 이용하여 자력으로 걸을 수 있게 한 하반신 마비환자용 보행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3개 이상의 다수의 세로 지지대와 상단부에 겨드랑이 받침대나 양쪽 손잡이를 갖추고, 전방 세로지지대의 하단부에 원형 앞바퀴가 달려있는 노약자용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후방 세로지지대의 하단부에 편심 회전운동을 하는 편심바퀴가 달려있고; 상기 편심바퀴의 회전축이 편심바퀴의 기하학적 중과 일치하되, 측면에서 본 편심바퀴의 형상이 원형이 아니라 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안전보행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보행기의 경우에도 보행이 불편하거나 하지마비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정형외과나 요양시설 및 요양병원에서와 같이 혼자서는 거동이 불가능한 환자들에게는 적용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62325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특허 제10-0892621호 "하반신 마비환자용 보행기" 특허 제10-2102076호 "노약자용 안전보행기"
본 발명은 보행이 어려운 성인을 위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보행보조기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부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가능케 함은 물론, 관절이상 및 골절로 인한 수술후, 혼자서 안전하게 하지근력 및 전신근력 회복운동을 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주프레임 상에 좌판을 설치하되, 상기 좌판은 개폐판에 의해 내공간부의 전방 일측이 개폐되는 상판과, 상판 아랫쪽에 에어쿠션을 설치하고, 상기 좌판은 높이조정수단에 의해 높이가 조정되게 하고, 주프레임 아랫쪽에는 이동바퀴와 작동보턴에 의해 승강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보행보조기를 구성하고, 상기 보행보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프레임 상에 좌판을 설치하되, 상기 좌판은 개폐판에 의해 내공간부의 전방 일측이 개폐되는 상판과, 상판 아랫쪽에 에어쿠션을 설치하고, 상기 좌판은 높이조정수단에 의해 높이가 조정되게 하고, 주프레임 아랫쪽에는 이동바퀴와 작동보턴에 의해 승강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보행보조기를 구성하고, 상기 보행보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부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가능케 함은 물론, 관절이상 및 골절로 인한 수술후, 혼자서 안전하게 하지근력 및 전신근력 회복운동을 겸할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보행보조기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 보행보조기의 배면사시도
도 3 : 본 발명 보행보조기의 저면사시도
도 4 : 도 1의 상태에서 개폐판을 제거한 상태도
도 5 : 본 발명 보행보조기의 측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보행보조기의 정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 보행보조기의 평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성인용 보행보조기(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주프레임(20)과, 주프레임(20) 상에 높이조정가능케 설치된 좌판(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프레임(20)은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는 작동보턴(31)에 의해 승강하는 스토퍼(30)가 설치되며, 스토퍼(30) 일측에는 이동바퀴(40)가 설치되어, 보행보조기(10)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
상기 스토퍼(30)는, 주프레임(20) 상부에 설치되어 스토퍼(30)와 연결된 작동보턴(31)의 조작에 의해 위치가 높게 혹은 낮게 조정되며, 한번 누르면 스토퍼(30)가 하강하여 이동바퀴(40)가 바닥으로부터 상승하여 보행보조기(10)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한번더 누르면 스토퍼(30)가 상승하여 이동바퀴(40)가 지면에 닿기 때문에 보행보조기(10)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프레임(20) 배면에 이동손잡이(11)가 설치되고, 좌판(6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용 레버(21)와 좌판(60)에 설치된 에어쿠션(61)에 공기를 보충하는 공기주입레버(22)가 설치된다.
주프레임(20) 상부에 설치되는 좌판(6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좌판(60)은 상판(62)과, 에어쿠션(62)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62)과 에어쿠션(61)은 조립구성된다.
좌판(60)을 구성하는 상판(62) 전면에는 개폐판(63)을 장석(64)으로 상향회전가능케 설치하고, 개폐판(63) 단부에는 걸림편(65)을 설치하여, 개폐판(63)이 상판(62)에 걸려 회전이 제어되게 함으로서, 상판(62)과 나란하게 위치되게 한다.
상판(62)과 연결된 에어쿠션(61)은 좌판(60)의 바닥부와 측부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쿠션(61)은 주입호스(25)를 통하여 에어펌프(24)와 연결되고, 에어펌프(24)는 공기주입용 레버(22)의 조작에 의해 에어쿠션(61) 내에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에어쿠션(61) 바닥에는 관통공(69)과 다수개의 돌부(68) 및 요입부(67)가 구성되어 있어 욕창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좌판(60) 뒷쪽에는 등받이(66)가 설치되고, 좌판(60)을 구성하는 상판(62) 모서리 4곳에 연결편(71)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편(71)에 승강지지대(70)를 "X"형으로 교차되게 설치하고, 승강지지대(70) 하단부는 주프레임(20)의 내측면 안내홈(27)에 끼워진 이동편(72)과 연결되게 한다.
또한 주프레임(20) 배면에는 높이조절용 레버(21)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실린더(28)를 설치하여 좌판(60)과 연결되게 함으로서, 높이조절용 레버(21)를 짧게 연속하여 밟으면 승강실린더(28)가 상승하여 좌판(60)의 높이가 높아지고, 지속하여 길게 밟고 있으면 승강실린더(60)가 하강하여 높이가 낮아진다.
주프레임(20) 전방 일측에 수직봉(80)을 설치하고, 수직봉(80) 상부에 걸림고리(81)를 설치하여 링거병이나 필요한 물품들을 걸어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83)은 보조벨트, (84)는 손잡이, (85)는 지지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성인용 보행보조기(10)는 주로 정형외과나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에 비치하여 두었다가 보행이 어려운 환자들이 낙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정형외과의 경우 관절이상이나 골절로 인한 수술후 단독으로 하지근력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치료시 보행연습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 등에서 하지근력이 저하되어 직립보행이 어렵거나, 골다공증 진단으로 골절위험이 높아 낙상의 위험없이 안전한 보행이 필요하거나, 자력보행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으나 타인의 도움없이는 보행이 불가능한 노약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성인용 보행보조기(10)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즉 보행보조기(10)이 사용이 필요한 사용자의 경우 자력으로 보행보조기(10)에 안착할 수 없기 때문에 주변보호자나 도우미들의 도움을 받거나, 별도로 특별제작된 리프트를 이용한다.
사용을 위하여서는 먼저 좌판(60) 전면에 설치된 개폐판(63)을 상향회전시켜 좌판(60)의 내공간부가 개방되게 하고, 동시에 좌판(60) 아랫쪽에 설치된 보조벨트(83)를 개방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세운 다음 신체를 들어 좌판(60)의 내공간부로 이동시키면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이 좌판(60)에 설치된 에어쿠션(61) 바닥에 위치하게 되고, 허리부분은 에어쿠션(61)의 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좌판(60) 상에 안전하게 착석하게 되면 보조벨트(83)를 걸고, 상판(62)에 설치된 개폐판(63)을 역회전시켜 개방되었던 내공간부를 차단시키면 개폐판(63)에 필요한 소품을 얻어둘 수가 있게 되고, 또한 양측에 설치된 손잡이(84)를 잡고 자세를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봉(80)의 걸림고리(81)에는 링거나 간단한 소품을 걸어둘 수 있다.
사용자가 보행보조기(10)를 이용하기 전에 좌판(60)의 높이를 대충 조정하여 두면 편리하지만 높이가 부적절하여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프레임(20) 배면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레버(21)를 이용하면 된다.
즉 좌판(60)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높이조절용 레버(21)를 연속하여 밟으면 에어펌프(24)를 통한 압축공기에 의해 승강실린더(28)가 상승하면서 좌판(6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이때 좌판(60)의 모서리를 지지하고 있던 "X"형 승강지지대(70)는 직립각을 높이면서, 주프레임(20)의 안내홈(27)에 끼워진 이동편(72)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좌판(60)의 높이가 쉽게 조정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좌판(6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높이조절용 레버(21)를 길게 밟고 있으면 승강실린더(28) 내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좌판(6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간편하게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좌판(60)에 설치된 에어쿠션(61)에 공기를 주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기주입용 레버(22)를 연속하여 밟으면 에어펌프(24)와 연결된 주입호스(25)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에어쿠션(61) 내로 주입되므로 에어쿠션(61)의 팽창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보조기(10)에 앉은 상태에서 준비가 완료되면 보호자가 이동손잡이(11)를 잡고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거나, 사용자 혼자서 양손으로 손잡이(84)를 잡고 당기면서, 바닥에 닿은 양측발을 밀면 이동바퀴(40)에 의해 보행보조기(10)가 전진이동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사용자가 양측팔과 다리를 이용하고, 당기고 미는 과정에서 팔다리근력과 전신근력의 가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보행보조기(10)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낙상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판(60)에 구성된 에어쿠션(61)의 경우 중앙부에 관통공(69)을 뚫고, 다수곳에 돌부(68)와 요입부(67)를 구성하여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염려되는 욕창예방에 도움이 된다.
사용중 보행보조기(10)를 특정한 장소에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주프레임(20)에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작동버튼(31)를 발로 밟아누르면 스토퍼(30)가 돌출되면서 주프레임(20)이 바닥으로부터 상승하고, 따라서 이동바퀴(40)도 바닥으로부터 상승하게 되므로 4개의 스토퍼(30)에 의해 보행보조기(10)가 안정된 상태로 멈추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보행보조기는 정형외과나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에 비치하여 두었다가 근력회복을 위한 재활치료나, 보행이 어려운 사용자들이 최소한의 도움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자립활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생활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10)--보행보조기 (11)--이동손잡이
(20)--주프레임 (21)--높이조절용 레버
(22)--공기주입용 레버 (24)--에어펌프
(25)--주입호스 (27)--안내홈
(28)--승강실린더 (30)--스토퍼
(31)--작동버튼 (60)--좌판
(61)--에어쿠션 (62)--상판
(63)--개폐판 (64)--방석
(65)--걸림편 (66)--등받이
(67)--요입부 (68)--돌부
(69)--관통공 (70)--승강지지대
(72)--이동편 (80)--수직봉
(81)--걸림고리 (83)--보조벨트
(84)--손잡이 (85)--지지대

Claims (2)

  1. 주프레임(20) 하단에 이동용 바퀴(40)를 설치하고, 상기 주프레임(20) 상에 상판(62)과 좌판(60)을 설치하고, 상판(62) 양측에 승강지지대(70)를 설치하되, 승강지지대(70) 하단부가 주프레임(20) 내측에 이동가능케 설치함으로서, 승강지지대(70)의 이동에 따라 좌판(60)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고, 상판(62) 전면에는 개폐판(63)을 설치하여 좌판(60)의 내공간부가 개폐되게 한 성인용 보행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주프레임(20)의 각 모서리에 스토퍼(30)를 설치하되, 상기 스토퍼(30)는 작동보턴(31)의 작동으로 승강되게 하여 보행보조기(10)를 안정된 상태로 멈출수 있게 하고, 주프레임(20) 후방에 승강실린더(28)를 설치하여 좌판(60)과 연결하고, 상기 승강실린더(28)는 주프레임(20) 후방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레버(21)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게 함으로서 승강지지대(70)가 이동하면서 좌판(60)의 높이가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보행보조기.
  2. 삭제
KR1020210057200A 2021-05-03 2021-05-03 성인용 보행보조기 Active KR10254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00A KR102542882B1 (ko) 2021-05-03 2021-05-03 성인용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00A KR102542882B1 (ko) 2021-05-03 2021-05-03 성인용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22A KR20220150022A (ko) 2022-11-10
KR102542882B1 true KR102542882B1 (ko) 2023-06-12

Family

ID=8404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200A Active KR102542882B1 (ko) 2021-05-03 2021-05-03 성인용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8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2880A (ja) * 2006-02-03 2007-08-16 Kenji Higashimoto 歩行器
KR101783202B1 (ko) * 2016-04-29 2017-09-29 정종락 스토퍼 어셈블리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732A (ko) * 1999-09-22 2001-04-06 셩청위 유아용 보행기의 링크 승강 장치
KR200362325Y1 (ko) 2004-06-16 2004-09-16 정유진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KR100892621B1 (ko) 2008-12-30 2009-04-14 김용석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KR101485809B1 (ko) * 2013-07-01 2015-01-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KR102102076B1 (ko) 2019-05-07 2020-05-12 주식회사 다지트 노약자용 안전보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2880A (ja) * 2006-02-03 2007-08-16 Kenji Higashimoto 歩行器
KR101783202B1 (ko) * 2016-04-29 2017-09-29 정종락 스토퍼 어셈블리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22A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9187B2 (ja) 患者の搬送および訓練補助器具
US6742523B2 (en) Ambulator and gait harness system
JPH09570A (ja) 姿勢変換装置および姿勢変換方法
JP2008036392A (ja) 介護補助装置
KR20110030460A (ko) 분만 보조용 장치
KR101642442B1 (ko) 기립보조장치가 결합된 변신형 침대
US5836652A (en) Invalid chair with pivotal foot rest
KR20150004470U (ko) 진동 스탠딩 테이블 장치
KR102054767B1 (ko)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KR102542882B1 (ko) 성인용 보행보조기
JP3202436U (ja) 移乗装置
CN108786001A (zh) 一种基于下肢护理康复训练的辅助防护装置
US5953774A (en) Frontally insertable body hoist seat and sling assembly
CN214968653U (zh) 一种icu体位治疗综合复健椅
RU2019165C1 (ru) Медицинская кровать
KR101205094B1 (ko) 하반신 부자유자 이송용 의료보조기
CN215459901U (zh) 一种具有输液功能的骨科康复护理拐杖
CN222899641U (zh) 一种老年病科用辅助行走装置
KR20200052560A (ko) 하지장애인의 신체리프팅 장치
CN205903365U (zh) 移动式脊柱骨折固定椅
CN215229947U (zh) 一种改进型康复训练助行器
JPH04285556A (ja) 起立補助器
CN215425601U (zh) 一种预防老年精神患者跌倒的助行器
JPH0683018U (ja) ベッド等における立上り補助具
JP2012135560A (ja) 移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