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6502B1 - 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502B1
KR102556502B1 KR1020180036604A KR20180036604A KR102556502B1 KR 102556502 B1 KR102556502 B1 KR 102556502B1 KR 1020180036604 A KR1020180036604 A KR 1020180036604A KR 20180036604 A KR20180036604 A KR 20180036604A KR 102556502 B1 KR102556502 B1 KR 102556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rap
disposed
induction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4222A (en
Inventor
임동훈
김광우
Original Assignee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502B1/en
Publication of KR2019011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50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F16N203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2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4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6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26Spinning spi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회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오일이 회수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유입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오일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저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일부와 연결되 다른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 스텝부와, 상기 유도 스텝부의 다른 일부에서 연장되는 유도 슬랜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il recover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il tank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oil is recovered and storing the inflowed oil, and disposed inside the oil tank to face the inlet and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il tank. A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oil tank, a portion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portion ben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t includes at least one induction step part and an induction slant extending from another part of the induction step part.

Description

오일회수장치{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Oil recovery device {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il recovery apparatus.

일반적으로 압축기와 같은 회전 기계에는 회전체나 회전체를 지지하는 베어링 등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회전 기계의 작동 시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기계에 공급되는 오일의 경우 회전 기계의 외부에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회전 기계의 작동에 따라 오일의 비산 등이 발생함으로써 회전 기계에는 오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한다. In general, by supplying oil to a rotating machine such as a compressor or a rotating body or a bearing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fric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machine can be reduced. At this time, in the case of oil supplied to the rotating machine, it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rotating machine. However, in the above case, oil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otating machine because oil scattering occu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achin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 기계는 회전 기계로 오일을 공급함과 동시에 회전 기계의 사용 시 비산하는 오일을 다시 모와 회전 기계로 공급하는 오일회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rotary machine may be provided with an oil recovery device that supplies oil to the rotary machine and collects oil scattered when the rotary machine is used and supplies it to the rotary machine.

이러한 오일회수장치는 회전 기계로 오일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회전 기계의 사용 시 비산하는 오일을 수납한 후 지속적으로 회전 기계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Such an oil recovery device not only supplies oil to the rotating machine, but also can continuously supply oil to the rotating machine after receiving the oil that scatters when the rotating machine is used.

상기와 같은 경우 오일회수장치와 회전 기계는 오일이 이동하는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 기계의 작동, 오일회수장치로부터 회전 기계로 오일을 공급할 때 등 오일 내부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포는 오일회수장치 뿐만 아니라 회전 기계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the oil recovery device and the rotary machine may be connected through a pipe through which the oil moves. At this time, air bubbles may be generated in the oil during operation of the rotary machine or when oil is supplied from the oil recovery device to the rotary machine, and these air bubbles may affect the operation of the rotary machine as well as the oil recovery device.

상기와 같은 오일회수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7209호(발명의 명칭: 압축기용 오일회수장치, 출원인: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The oil recovery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specifically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107209 (Title of Invention: Oil Recovery Device for Compressor, Applicant: Hanwha Power Systems Co., Lt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720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1072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일회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oil recovery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일이 회수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유입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오일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저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일부와 연결되 다른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 스텝부와, 상기 유도 스텝부의 다른 일부에서 연장되는 유도 슬랜트를 포함하는 오일 회수 장치를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il tank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oil is recovered and storing the inflowed oil, disposed inside the oil tank to face the inlet, and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il tank. A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oil tank, a portion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Disclosed is an oil recovery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induction step portion bent in an induction step portion and an induction slant extending from another part of the induction step portion.

또한,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의 흐름속도를 저감시키는 트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trap part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art, the induction step part, and the induction slant to reduce the flow rate of the oil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홈 및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격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p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roov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 the induction step portion, and the induction slant, and a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 the induction step portion, and the induction slant. can include

또한, 상기 트랩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트랩부 중 일부가 상기 오일의 흐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rap parts may be provided,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trap parts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a flow direction of the oil.

또한, 상기 트랩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트랩부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트랩부와, 상기 제1 트랩부와 다른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트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rap unit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trap uni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rap units disposed in a line and a plurality of second trap units disposed to form a column different from the first trap unit. .

또한, 상기 각 제2 트랩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트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second trap units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first trap uni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일 회수 시 오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일 회수 시 오일의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오일에 기포가 포함되어 오일의 순환 시 배관의 진동 및 소음 등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air bubbles contained in oil during oil recovery.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vibration and noise in the pipe when the oil is circulated due to air bubbles in the oil by reducing the speed of the oil when recovering the o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부, 유도 스텝부, 유도 스랜트 및 트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부, 유도 스텝부, 유도 스랜트 및 트랩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트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oil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an induction step portion, an induction thrust, and a trap portion shown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orting portion, an induction step portion, an induction thrust, and a trap portion shown in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trap part shown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3 .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present in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부, 유도 스텝부, 유도 스랜트 및 트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부, 유도 스텝부, 유도 스랜트 및 트랩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트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oil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an induction step portion, an induction thrust, and a trap portion shown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orting part, an induction step part, an induction thrust, and a trap part shown in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trap part shown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3 .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오일회수장치(100)는 다양한 유체 기계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일회수장치(100)는 압축기, 터빈 등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일회수장치(100)는 압축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oil recovery device 100 may be used in various fluid machines. For example, the oil recovery device 100 may be used by being connected to a compressor, a turbine, or the lik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il recover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a case in which it i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compressor .

오일회수장치(100)는 오일탱크(110), 받침부(120), 유도 스텝부(130), 유도 스랜트(140) 및 트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il recovery device 100 may include an oil tank 110, a support part 120, an induction step part 130, an induction slant 140, and a trap part 150.

오일탱크(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오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오일탱크(110)는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외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유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11)는 외부의 기어박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는 상기 기어박스 또는 상기 기어박스 내부의 회전축(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일탱크(110)는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등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오일탱크(110)는 공급된 오일을 다시 회수하여 오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오일탱크(110)에는 일정량의 오일이 항상 저장될 수 있으며, 압축기를 구동시킬 때 최소 필요한 운용오일라인(112) 이상의 오일이 수납될 수 있다.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oil tank 110 and oil may be stored. At this time, the oil tank 110 may include an inlet 111 through which oil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not shown) through which oil is guided to the outside. This inlet 111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gearbox (not shown). In addition, the outlet may be connected to the gearbox or a rotating shaft (not shown) inside the gearbox. The oil tank 110 as described above may supply oil to the rotating shaft and a bearing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At this time, the oil tank 110 may store the oil by recovering the supplied oil again. At this time, a certain amount of oil may always be stored in the oil tank 110, and oil more than the minimum required operating oil line 112 may be stored when driving the compressor.

받침부(120)는 유입구(111)와 대응되도록 오일탱크(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1)는 오일탱크(110)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오일을 오일탱크(110)의 저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유입구(111)는 하중 방향으로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part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il tank 110 to correspond to the inlet 111 . At this time, the inlet 111 may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oil tank 110 to guide oi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il tank 110 . In particular, the inlet 111 may guide oil in a load direction.

상기와 같은 받침부(120)는 받침플레이트(121), 연결플레이트(122)와 차단플레이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받침플레이트(121)는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하중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하중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받침플레이트(121)는 하중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받침플레이트(121)는 오일탱크(110)의 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받침플레이트(121)는 유입구(111)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하중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방향은 오일탱크(110)의 저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특히 제1 방향은 오일의 흐름 방향일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122)는 받침플레이트(121)로부터 제2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방향은 하중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으며, 제1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즉, 제2 방향은 받침플레이트(121)로부터 오일탱크(110)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차단플레이트(123)는 받침플레이트(121) 및 연결플레이트(122)의 측면에 배치되어 오일이 받침플레이트(121)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차단플레이트(123)는 받침플레이트(121) 및 연결플레이트(122)의 일면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플레이트(123)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차단플레이트(123)는 받침플레이트(121)의 양 측면 및 연결플레이트(122)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플레이트(123)는 받침플레이트(121) 및 연결플레이트(122)를 이동하는 오일이 받침플레이트(121)의 측면 및 연결플레이트(122)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support plate 121, a connection plate 122 and a blocking plate 123.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121 may be disposed flat,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inclined in the load direction or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ad direc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in which the support plate 121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ad dire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is case, the support plate 12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il tank 110.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121 may guide the oil supplied from the inlet 111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load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il tank 110 . In particular,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flow direction of oil. The connection plate 122 may be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upport plate 121 . In this cas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the load direction and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supporting plate 121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oil tank 110 . The blocking plate 123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121 and the connection plate 122 to block oil from moving to th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121 . In this case, the blocking plate 123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121 and the connecting plate 122 . For example, the blocking plate 123 may b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e blocking plate 123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121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late 122 . The blocking plate 123 may prevent oil moving between the supporting plate 121 and the connecting plate 122 from moving to th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121 and the connecting plate 122 .

유도 스텝부(130)는 받침부(120)와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유도 스텝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유도 스텝부(13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유도 스텝부(130)는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도 스텝부(130)가 2개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guide step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20 to guide oil. At this time, at least one induction step unit 130 may be provided. When a plurality of induction step units 130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induction step units 130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wo induction step units 130 are provi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유도 스텝부(130)는 서로 연결되는 제1 유도 스텝부(131)와 제2 유도 스텝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도 스텝부(131)와 제2 유도 스텝부(132)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유도 스텝부(131)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induction step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induction step unit 131 and a second induction step unit 132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induction step part 131 and the second induction step part 132 are form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each other, hereinafter, the first induction step part 13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유도 스텝부(131)는 제1 방향으로 평평하게 배치되는 제1 이동플레이트(131a), 제1 이동플레이트(131a)로부터 제2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플레이트(131b) 및 제1 이동플레이트(131a)와 제1 절곡플레이트(131b)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플레이트(131a)는 연결플레이트(12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플레이트(131a)는 오일탱크(110)의 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이동플레이트(131a)는 받침플레이트(121)와 상이한 면에 배치되어 받침플레이트(121)와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곡플레이트(131b)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이동플레이트(131a)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31c)는 제1 이동플레이트(131a)와 제1 절곡플레이트(131b)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131c)의 상면은 제1 이동플레이트(131a)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절곡플레이트(131b)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induction step unit 131 includes a first moving plate 131a flatly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bending plate 131b bent in a second direction from the first moving plate 131a, and a first moving plate 131b. A first guide 131c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plate 131a and the first bent plate 131b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first movable plate 131a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ate 122 . Also, the first movable plate 131a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il tank 110 and may have a flat shape. The first movable plate 131a may be disposed on a different surface from the support plate 121 and may be disposed with a step difference from the support plate 121 . The first bending plate 131b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late 131a. The first guide 131c may be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first moving plate 131a and the first bending plate 131b.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131c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late 131a and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ending plate 131b.

제2 유도 스텝부(132)는 제1 유도 스텝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받침부(120), 제1 유도 스텝부(131) 및 제2 유도 스텝부(132)는 서로 연결되어 계단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일은 받침부(120), 제1 유도 스텝부(131) 및 제2 유도 스텝부(1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The second induction step unit 13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ion step unit 131 . 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120, the first induction step part 131 and the second induction step part 13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taircase shape. In this case, the speed of the oil may decrease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art 120, the first induction step part 131, and the second induction step part 132.

유도 스랜트(140)는 유도 스텝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유도 스랜트(1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 유도 스랜트(140)는 유도 스텝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유도 스랜트(140)는 오일탱크(110)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플레이트(141)와 경사플레이트(141) 측면에 배치된 경사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도 스랜트(140)가 경사플레이트(141)와 경사가이드(142)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induction thrus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induction step unit 130 . The induction thrust 14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induction slant 140 may be formed in a stair shape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at of the induction step unit 130 . As another embodiment, the induction slant 140 may include an inclined plate 141 disposed inclinedly inside the oil tank 110 and an inclined guide 142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clined plate 141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induction slant 140 includes the inclined plate 141 and the inclined guide 14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경사플레이트(141)는 평평하게 배치되어 오일탱크(110)의 저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플레이트(141)의 일단은 유도 스텝부(130)와 연결되며, 경사플레이트(141)의 타단은 경사플레이트(141)의 일단보다 오일탱크(110)의 저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경사플레이트(141)의 타단은 운용오일라인(1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사플레이트(141)의 타단은 오일에 잠긴 상태일 수 있다. 경사가이드(142)는 경사플레이트(141)의 측면에 배치되어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경사가이드(142)는 제2 가이드(132c)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nclined plate 141 may be disposed flat and inclined toward the bottom of the oil tank 110 . At this time, one end of the inclined plate 141 is connected to the induction step portion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plate 14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of the oil tank 110 than one end of the inclined plate 141. .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plate 141 may be disposed below the operating oil line 112 .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plate 141 may be submerged in oil. The inclined guide 142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clined plate 141 to guide oil. At this time, the inclined guide 14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132c.

트랩부(150)는 받침부(120), 유도 스텝부(130) 및 유도 스랜트(14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트랩부(150)는 받침부(120), 유도 스텝부(130) 및 유도 스랜트(140)를 이동하는 오일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랩부(150)가 유도 스텝부(130)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trap part 15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art 120 , the induction step part 130 and the induction slant 140 . At this time, the trap part 150 can reduce the moving speed of the oil moving the support part 120, the induction step part 130, and the induction thrust 14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trap unit 150 is disposed in the induction step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트랩부(15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트랩부(150)는 일렬로 배열되는 제1 트랩부(151)와 제1 트랩부(151)와 서로 다른 열에 배열되는 제2 트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트랩부(151)와 제2 트랩부(152)는 오일의 흐름 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트랩부(150)는 제1 트랩부(151) 및 제2 트랩부(152)와 각각 다른 열에 배치되는 제3 트랩부(15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복수개의 트랩부(15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열에 배치되는 트랩부(15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트랩부(150)가 제1 트랩부(151) 내지 제6 트랩부(156)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 plurality of trap units 150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trap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trap unit 151 arranged in one line and a second trap unit 152 arranged in a different column from the first trap unit 151 . In this case, the first trap unit 151 and the second trap unit 15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low direction of oil.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rap units 150 may include third trap units 153 disposed in different columns from the first trap unit 151 and the second trap unit 152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rap units 15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arranged to form a plurality of columns, and the number of trap units 150 disposed in each column may be plural.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trap units 150 includes the first trap unit 151 to the sixth trap unit 15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트랩부(151), 제2 트랩부(152) 및 제3 트랩부(153)는 제1 유도 스텝부(13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트랩부(154), 제5 트랩부(155) 및 제6 트랩부(156)는 제2 유도 스텝부(13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트랩부(151) 내지 제6 트랩부(156) 각각은 홈 또는 돌기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트랩부(151), 제2 트랩부(152), 제4 트랩부(154) 및 제5 트랩부(155)는 돌기이고, 제3 트랩부(153) 및 제6 트랩부(156)는 홈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trap part 151 , the second trap part 152 , and the third trap part 153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induction step part 131 . In addition, the fourth trap part 154 , the fifth trap part 155 , and the sixth trap part 156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induction step part 132 . Each of the first trap part 151 to the sixth trap part 156 may be either a groove or a protrus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trap part 151, the second trap part 152, the fourth trap part 154, and the fifth trap part 155 are projections, and the third trap part 153 and The sixth trap unit 15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case of a groove.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는 제1 이동플레이트(131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트랩부(151)는 복수개의 제1 돌기(151a)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151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돌기(151a)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151a)는 아치형이나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돌기(151a)는 일부분이 가장 높게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제1 돌기(151a)의 양단이 가장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1 돌기(151a)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1 돌기(151a)는 서로 인접함으로써 가장 낮게 형성된 부분이 서로 인접할 수 있다. The first trap part 151 to the third trap part 153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moving plate 131a. At this time, in the first trap part 151,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51a may be arranged in a line. At this time, the first protrusion 151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51a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151a may be formed in an arcuate or semicircular shape.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51a is formed to be the highest, and the other portion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from the highest portion,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151a may be formed to be the lowest.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51a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since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51a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lowest portions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제2 트랩부(152)는 복수개 구비되어 제1 트랩부(151)와 다른 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트랩부(151)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트랩부(152)는 제1 트랩부(151)에 비하여 오일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트랩부(152)는 제2 돌기(15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트랩부(152)의 제2 돌기(152a)와 제1 트랩부(151)의 제1 돌기(151a)는 서로 형상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2 돌기(152a)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제1 돌기(151a)와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돌기(152a)는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돌기(151a)는 인접하는 제2 돌기(15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돌기(151a)에서 나눠진 오일은 제2 트랩부(152)를 바로 통과하지 못하고 제2 돌기(152a)에 충돌하여 다시 갈릴 수 있으며, 오일의 이동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152a)는 오일과 충돌함으로써 오일 내부의 기포를 압축하여 기포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The second trap unit 15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form a different row from the first trap unit 151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p unit 151 . For example, the second trap unit 152 may be disposed on a downstream side of the oil flow direction compared to the first trap unit 151 . In this case, the second trap part 152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52a. 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sion 152a of the second trap part 152 and the first protrusion 151a of the first trap part 151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s. The second protrusion 152a may be arranged in a zigzag form with the first protrusion 151a along the oil flow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152a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first protrusions 151a, and the first protrusion 151a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second protrusions 152a. In this case, the oil divided by the first protrusion 151a does not directly pass through the second trap part 152 and may collide with the second protrusion 152a to be ground agai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oil may increase.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152a may compress air bubbles inside the oil by colliding with oil to discharge gas inside the air bubbles to the outside or remove air bubbles.

제3 트랩부(153)는 제1 트랩부(151) 및 제2 트랩부(152)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3 트랩부(153)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하는 오일을 일부 저장함으로써 오일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거나 오일 내부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트랩부(153)는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 및 인접하는 제2 돌기(152a)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트랩부(153)는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 및 인접하는 제2 돌기(152a) 사이 중 하나를 유동하는 오일의 속도를 저감시키거나 오일 내부의 기포를 저감시킬 수 있다. The third trap unit 15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p unit 151 and the second trap unit 152 . In particular, the third trap unit 153 is formed in a groove shape to store some of the moving oil, thereby reducing the moving speed of the oil or removing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oil. The third trap part 153 may be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of adjacent first protrusions 151a and between adjacent second protrusions 152a. In this case, the third trap unit 153 may reduce the speed of oil flowing between the adjacent first protrusions 151a or between the adjacent second protrusions 152a or reduce air bubbles inside the oil. .

상기와 같은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는 제1 유도 스텝부(131)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는 제1 이동플레이트(131a)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는 오일의 흐름방향을 따라 제1 트랩부(151), 제3 트랩부(153) 및 제2 트랩부(152)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first trap part 151 to the third trap part 153 as described above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induction step part 131 . At this time, the first trap part 151 to the third trap part 153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first moving plate 131a. In particular, in the first trap unit 151 to the third trap unit 153, the first trap unit 151, the third trap unit 153, and the second trap unit 152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oil flow direction. It can be.

제4 트랩부(154), 제5 트랩부(155) 및 제6 트랩부(156)는 각각 제1 트랩부(151), 제2 트랩부(152) 및 제3 트랩부(153)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트랩부(154) 내지 제6 트랩부(156)는 제2 유도 스텝부(132)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 트랩부(154), 제6 트랩부(156) 및 제5 트랩부(155)는 오일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2 이동플레이트(132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ourth trap unit 154, the fifth trap unit 155, and the sixth trap unit 156 are the same as the first trap unit 151, the second trap unit 152, and the third trap unit 153, respectively.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fourth trap part 154 to the sixth trap part 156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induction step part 132 . In this case, the fourth trap unit 154, the sixth trap unit 156, and the fifth trap unit 155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second moving plate 132a in the oil flow direction.

한편, 상기와 같은 오일회수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압축기가 작동하는 경우 오일회수장치(100)는 오일을 압축기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배관(미도시)에 설치된 펌프(미도시)를 통하여 압축기로 이동할 수 있다. Meanwhile,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oil recovery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ressor is operating, the oil recovery device 100 can supply oil to the compressor. At this time, the oil supplied through the outlet may move to the compressor through a pump (not shown) installed in a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outlet.

압축기에 공급된 오일은 사용 후 일부가 오일회수장치(100)로 되돌아올 수 있다. 이때, 오일은 유입구(111)를 통하여 오일탱크(1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오일에는 압축기의 작동에 따라서 기포를 내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기의 작동에 따라 압축 기체가 오일에 힘을 가하면 오일은 이동하면서 뭉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오일 내부에 기체가 포함되어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포는 오일탱크(110) 내부로 진입한 후에도 오일 내부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기포가 많아지는 경우 오일이 압축기로 다시 순환할 때 기포로 인하여 배관 등에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Some of the oil supplied to the compressor may be returned to the oil recovery device 100 after use. At this time, oil may enter the inside of the oil tank 110 through the inlet 111 . These oils may contain bubbles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For example, when compressed gas applies force to oi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compressor, the oil moves and aggregates. These air bubbles may remain in the oil even after entering the oil tank 110, and if there are many air bubbles, when the oil is circulated back to the compressor, vibration or noise may occur in the pipe or the like due to the air bubbles.

상기와 같이 기포가 내포된 오일은 유입구(111)를 통하여 받침부(1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받침플레이트(121)는 오일탱크(110)의 저면과 평행하므로 오일은 받침플레이트(121)의 상면에 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일이 받침플레이트(121)에 일정 정도 쌓이게 되면, 오일은 한 방향으로 점차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일은 받침플레이트(121)로부터 제1 유도 스텝부(13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il containing bubbles may be supplied to the support part 120 through the inlet 111 . 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plate 121 i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il tank 110, oil may accumu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1. In this case, when oil is accumulated to a certain extent on the support plate 121, the oil may gradually mov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oil may move from the support plate 121 to the first induction step portion 131 side.

오일은 연결플레이트(122)를 통하여 제1 이동플레이트(131a)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받침플레이트(121)로부터 낙하하여 제1 이동플레이트(131a)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함으로써 오일이 제1 이동플레이트(131a) 상에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오일이 공급되는 경우 제1 이동플레이트(131a) 상의 오일은 받침플레이트(121) 상의 오일과 같이 제1 이동플레이트(131a) 상에 일정 정도 쌓이면서 제1 절곡플레이트(131b)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Oil may not only move to the first moving plate 131a through the connecting plate 122, but may also fall from the support plate 121 and move to the first moving plate 131a. In this case, potential energy is converted into kinetic energy, so that the oil can move a certain distance on the first moving plate 131a. In addition, when oil is continuously supplied, the oil on the first moving plate 131a, like the oil on the support plate 121, can move toward the first bending plate 131b while being piled up to a certain extent on the first moving plate 131a. there is.

상기와 같이 오일이 이동하는 경우 오일은 제1 트랩부(151)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일은 제1 돌기(151a)에 충돌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1 돌기(151a)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오일은 제1 돌기(151a)에 충돌하면서 압축될 수 있으며, 오일이 압축되면서 오일 내부의 기포는 파괴되거나 여러 개로 나뉠 수 있고, 일부는 기포 내부의 기체가 오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oil moves as described above, the oil may reach the first trap part 151 . In this case, the oil may collide with the first protrusion 151a and move to a space between adjacent first protrusions 151a. At this time, the oil may be compressed while colliding with the first protrusion 151a, and as the oil is compressed, bubbles inside the oil may be destroyed or divided into several, and some of the gas inside the bubble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oil.

제1 트랩부(151)를 통과한 오일은 제2 트랩부(152)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152a)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의 공간에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를 통과한 오일이 제2 돌기(152a)에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152a)의 가장 높은 부분은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오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제2 돌기(152a)에 충돌한 오일은 제2 돌기(152a)의 양단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Oil passing through the first trap part 151 may move to the second trap part 152 . 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sion 152a is arranged to face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first protrusions 151a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oil passing between the adjacent first protrusions 151a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protrusion 152a. can collide with At this time, the highest part of the second protrusion 152a is disposed between adjacent first protrusions 151a, thereby blocking the flow of oil. In particular, oil colliding with the second protrusion 152a may move to both ends of the second protrusion 152a, thereby increasing the moving distance.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오일은 제2 돌기(152a)에 충돌하여 제3 트랩부(153)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3 트랩부(153)는 인접하는 제2 돌기(152a)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3 트랩부(15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 형태로 형성되어 오일을 일시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오일은 상기와 같이 제3 트랩부(153)를 통과하면서 일부가 홈 내부로 진입하여 속도가 저감될 뿐만 아니라 홈 내부로 진입하면서 홈에서 오일이 혼합됨으로써 오일 내부의 기포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트랩부(153)로 이동한 오일은 제2 돌기(152a) 사이로 진입하여 제2 트랩부(152)를 통과할 수 있다. The oil moving as described above may collide with the second protrusion 152a and move to the third trap part 153 . In this case, the third trap part 153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second protrusions 152a. In particular, the third trap part 15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as described above to temporarily contain oil. As the oil passes through the third trap part 153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oil enters the inside of the groove and the speed is reduced, and air bubbles inside the oil can be removed by mixing the oil in the groove while entering the inside of the groove. The oil that has moved to the third trap part 153 as described above may enter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s 152a and pass through the second trap part 152 .

상기와 같이 오일이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를 통과하면서 오일의 이동 속도는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오일은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를 통과하면서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oil passes through the first trap part 151 to the third trap part 153, the moving speed of the oil may decrease. In addition, while the oil passes through the first trap part 151 to the third trap part 153, air bubbles inside may be removed or reduced.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오일은 제1 이동플레이트(131a)로부터 제1 절곡플레이트(131b)를 따라 제2 이동플레이트(132a)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제3 트랩부(153) 내지 제6 트랩부(156)를 통과하면서 상기에서 설명한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를 통과할 때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오일이 움직일 수 있다. When the above process is completed, the oil may move from the first moving plate 131a to the second moving plate 132a along the first bent plate 131b. Thereaf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trap unit 153 to the sixth trap unit 156, the oil may move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when passing through the first trap unit 151 to the third trap unit 153 described above. there is.

상기와 같이 유도 스텝부(130)를 통과한 오일은 제2 절곡플레이트(132b)를 따라 유도 스랜트(140)으로 이동하고 유도 스랜트(140)를 통하여 오일탱크(110)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도 스랜트(140)의 끝단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용오일라인(112)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오일이 오일탱크(110) 내의 오일표면으로 낙하하지 않음으로써 오일탱크(110) 내에 저장된 오일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il passing through the induction step portion 130 moves along the second bent plate 132b to the induction slant 140 and can mo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il tank 110 through the induction slant 140. there is. At this time, as the tip of the induction slant 140 is disposed below the operating oil line 112 as described above, the oil does not fall to the surface of the oil in the oil tank 110, so that the oil stored in the oil tank 110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can be minimized.

따라서 오일회수장치(100)는 오일을 회수하여 공급할 때 오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어 오일로 인한 배관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oil recovery device 100 can remove or minimiz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oil when recovering and supplying the oil, thereby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of the pipe due to the oil.

오일회수장치(100)는 오일탱크(110) 내에서 오일을 오일 표면으로 낙하시키지 않음으로써 오일탱크(110) 내부의 오일에 기포가 발생시키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 oil recovery device 100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bubbles in the oil inside the oil tank 110 by not allowing the oil to fall to the surface of the oil within the oil tank 110 .

오일회수장치(100)는 유입구(111)에서 공급되는 오일의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오일의 유동속도를 최소화하여 오일탱크(110) 내의 오일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oil recovery device 100 can minimize the flow of oil in the oil tank 110 by reducing the speed of the oil supplied from the inlet 111 to minimize the flow speed of the oil.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오일회수장치 140: 유도 스랜트
110: 오일탱크 141: 경사플레이트
111: 유입구 142: 경사가이드
112: 운용오일라인 150: 트랩부
120: 받침부 151: 제1 트랩부
121: 받침플레이트 152: 제2 트랩부
122: 연결플레이트 153: 제3 트랩부
123: 차단플레이트 154: 제4 트랩부
130: 유도 스텝부 155: 제5 트랩부
131: 제1 유도 스텝부 156: 제6 트랩부
132: 제2 유도 스텝부
100: oil recovery device 140: induction thrust
110: oil tank 141: inclined plate
111: inlet 142: inclined guide
112: operating oil line 150: trap part
120: supporting part 151: first trap part
121: supporting plate 152: second trap part
122: connecting plate 153: third trap part
123: blocking plate 154: fourth trap part
130: induction step unit 155: fifth trap unit
131: first induction step unit 156: sixth trap unit
132: second induction step unit

Claims (6)

오일이 회수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유입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오일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저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일부와 연결되 다른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 스텝부;
상기 유도 스텝부의 다른 일부에서 연장되는 유도 슬랜트; 및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의 흐름속도를 저감시키는 트랩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랩부는,
일렬로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복수개의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트랩부; 및
상기 제1 트랩부와 다른 열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복수개의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제2 트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돌기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돌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각 제1 돌기의 높이와 상기 각 제2 돌기의 높이 각각은 일 부분이 가장 높고,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각 제1돌기의 끝단 및 상기 각 제2 돌기의 끝단 각각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오일회수장치.
an oil tank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oil is recovered and storing the introduced oil;
a support portion disposed inside the oil tank to face the inlet and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a bottom surface of the oil tank;
At least one guide disposed on the support and connected to the oil tank, a part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part connected to the other part ben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step part;
an induction slant extending from another part of the induction step portion; and
A trap part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art, the induction step part, and the induction slant to reduce the flow rate of the oil;
The trap part,
A first trap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disposed in a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hange a flow direction of the oil; and
A second trap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disposed in a different row from the first trap uni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hange a flow direction of the oil;
Each of the second projections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jections adjacent to each other,
The height of each of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height of each of the second projection is the highest at one part,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part to the end of each of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end of each of the second projection. .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홈을 더 포함하는 오일회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il recove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trap unit further includes a groov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unit, the induction step unit, and the induction sla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36604A 2018-03-29 2018-03-29 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 Active KR102556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04A KR102556502B1 (en) 2018-03-29 2018-03-29 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04A KR102556502B1 (en) 2018-03-29 2018-03-29 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22A KR20190114222A (en) 2019-10-10
KR102556502B1 true KR102556502B1 (en) 2023-07-17

Family

ID=6820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604A Active KR102556502B1 (en) 2018-03-29 2018-03-29 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50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6958A1 (en) * 2004-06-29 2006-03-16 Gaines Louie T Accessory lubrication system for a turbine pla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270U (en) * 1998-05-15 1999-12-15 이구택 Bubble generation prevention device of circulating lubricating oil for bearing supply
KR101883482B1 (en) 2014-03-13 2018-07-30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Oil recovery device for compres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6958A1 (en) * 2004-06-29 2006-03-16 Gaines Louie T Accessory lubrication system for a turbine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22A (en)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106B1 (en) Moisture separation device
EP1510242B1 (en) Exhaust gas treating tower
US9878414B2 (en) Cutting fluid tank
CN111836674A (en) Separation unit comprising an impact surface
KR102556502B1 (en) 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
JP4596478B2 (en) Defoaming device
KR101227026B1 (en) Strainer for sea water
KR100992223B1 (en) Absorption well of underwater cargo pump system
US9873173B2 (en) Cutting fluid tank
WO2012073725A1 (en) Oil recovery structure for engines
WO2005037407A1 (en) Demisting chamber with elbow strainer
EP4364886A1 (en) Coolant treatment device and machine tool
CA2398351C (en) Operations building for a plant, and method of operating an operations building
US20230175508A1 (en) Compressor element with improved oil injector
JP5842189B2 (en) Hot rolled steel plate manufacturing equipment
JP6817137B2 (en) Vortex generation prevention device and pump equipment
JP6394658B2 (en) Hydraulic oil tank
TWI799060B (en) filter
RU2209347C2 (en) Dispersing stage of submersible multistage centrifugal pump
EP1556616B1 (en) Rotor for a centrifugal pump
KR101883482B1 (en) Oil recovery device for compressor
JP4641002B2 (en) Weir structure
JP2013189818A (en) Straightening structure of surge tank
JP5000165B2 (en) Eddy current water pipe and design method thereof
RU28379U1 (en) Turbine lubrication system oil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