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7873B1 - 도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873B1
KR102557873B1 KR1020210046575A KR20210046575A KR102557873B1 KR 102557873 B1 KR102557873 B1 KR 102557873B1 KR 1020210046575 A KR1020210046575 A KR 1020210046575A KR 20210046575 A KR20210046575 A KR 20210046575A KR 102557873 B1 KR102557873 B1 KR 10255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wer generating
generating means
curved guide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276A (ko
Inventor
백진기
박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인
Priority to KR102021004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873B1/ko
Priority to PCT/KR2022/003299 priority patent/WO2022215875A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8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0Control un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 개폐를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도어 또는 도어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곡면의 길이방향에는 체결수단이 끼움결합되는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홀을 형성한 곡면 가이드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도어틀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으로 곡면 가이드링크가 회전할 때, 곡면 가이드링크와 체결수단의 연결지점(작용점)이 도어를 당기거나 미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으로 곡면 가이드링크가 회전할 때 곡면 가이드링크와 체결수단의 연결지점(작용점)은 도어를 당기거나 미는 방향에 따라 힘을 전달하는 위치가 가변되어 도어의 개폐 작용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발생수단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고장 및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구동장치{Driving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발생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원호형 가이드링크의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자동 개폐를 스무스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동력발생수단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 및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큐비클은 빌딩이나 상가 건물의 실내 공간을 다시 한번 특정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경량의 조립식 패널들을 조합하여 제작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큐비클은 내부 공간이 좌,우측면 및 후면 패널에 의해 구획되며, 전면에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여닫이 구조의 도어가 설치된다.
그런데, 공중 화장실에 적용된 큐비클 도어의 경우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도어를 열고 닫는 다양한 힘에 의해 도어의 경첩부가 쉽게 파손되는 등의 고장율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을 이용한 이후 대부분의 도어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 구동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문틀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동력을발생시키는 모터와, 일단이 모터의 동력전달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도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바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의 동력전달축에 연결된 링크바가 회전하면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도어 구동장치에 적용된 링크바는 직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어를 열거나 닫기 위한 초기 구동시 모터에 많은 과부하가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에는 링크바의 피로도 증가에 따른 내구성이 취약해져 파손 또는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도어 구동장치는 사람이 출입하는 문틀 하부에 설치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출입공간이 줄어들어 통행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쉽게 노출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971956호(2019.04.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력발생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원호형 가이드링크의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자동 개폐를 스무스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동력발생수단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 및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수동형 큐비클 도어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어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기존의 수동형 큐비클 도어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어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도어 개폐를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도어 또는 도어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곡면의 길이방향에는 체결수단이 끼움결합되는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홀을 형성한 곡면 가이드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도어틀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으로 곡면 가이드링크가 회전할 때, 곡면 가이드링크와 체결수단의 연결지점(작용점)이 도어를 당기거나 미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도어 개폐를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도어 또는 도어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곡면의 길이방향에는 체결수단이 끼움결합되는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홀을 형성한 곡면 가이드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도어틀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으로 곡면 가이드링크가 회전할 때, 곡면 가이드링크와 체결수단의 연결지점(작용점)이 도어를 당기거나 미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도어 개폐를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곡면의 길이방향에는 체결수단이 끼움결합되는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홀을 형성한 곡면 가이드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접철이 가능한 제1 도어와 제2 도어로 이루어진 접이식 도어이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제1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제2 도어에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으로 곡면 가이드링크가 회전할 때, 곡면 가이드링크와 체결수단의 연결지점(작용점)이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접철되거나 전개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전달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체결되는 축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 결합홈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양측에는 동력발생수단과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도어 또는 도어틀에 설치되는 채널형 가이드 고정대, 상기 가이드 고정대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고정너트, 상기 상부 고정너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의 가이드홀에 끼워지는 가이드 부싱, 상기 가이드 고정대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고정너트, 상기 하부 고정너트로부터 상부 고정너트 및 가이드 부싱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싱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내면과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롤러 또는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발생수단과 체결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링크를 구성함으로써,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으로 곡면 가이드링크가 회전할 때 곡면 가이드링크와 체결수단의 연결지점(작용점)은 도어를 당기거나 미는 방향에 따라 힘을 전달하는 위치가 가변되어 도어의 개폐 작용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발생수단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고장 및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의 구성은 도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최소의 구동력을 가지는 동력발생수단을 적용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전체적인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 및 전력소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력발생수단, 체결수단 및 곡면 가이드링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체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곡면 가이드링크가 체결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작용 순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작용 순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작용 순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2, 3>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빌딩이나 상가 건물 등에 경량의 조립식 패널들을 조합한 큐비클 구조물에 대하여 실시예를 적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큐비클 외에 다양한 종류의 여닫이식 도어에 설치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혀 둔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도어(10) 개폐를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100), 상기 도어(10) 또는 도어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200)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내측에는 체결수단(200)이 끼움결합되는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홀(310)을 형성한 곡면 가이드링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은 도어(10)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모터(110)와, 상기 모터(110)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증대시키는 감속기어를 구비한 동력전달축(12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의 모터(110)가 회전하면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어의 동력전달축(120)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적용된 동력발생수단(100)은 도어틀(20)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는 상기 도어(10)를 도어틀(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첩(R)이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틀(20)에는 동력발생수단(100)을 도어틀(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30)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 브라켓(130)은 내측에 설치되는 모터(110)와 감속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이 쉽게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200)은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으로터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10) 또는 도어틀(20)의 상부에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체결수단(200)은 도어(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체결수단(200)은 상기 도어(10) 또는 도어틀(20)에 설치되는 채널형 가이드 고정대(210), 상기 가이드 고정대(2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고정너트(220), 상기 상부 고정너트(220)의 상부에 설치되며 후술할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가이드홀(310)에 끼워지는 가이드 부싱(230), 상기 가이드 고정대(210)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고정너트(240), 상기 하부 고정너트(240)로부터 상부 고정너트(220) 및 가이드 부싱(230)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체결볼트(2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수단(200)은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에 결합되어 가이드홀(3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어(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홀(310)의 내면과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롤러 또는 베어링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 또는 베어링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200)이 가이드홀(310)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동작의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는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곡면의 길이방향에는 체결수단(200)이 끼움결합되는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홀(310)을 형성한 부재이다.
즉,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는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 단부가 원호방향으로 굴곡된 곡형의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의 동력전달축(1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체결되는 축 결합홈(320)이 형성되며, 상기 축 결합홈(32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양측에는 동력발생수단(100)과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체결홈(321)이 형성되고,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체결수단(200)이 결합되는 곡면의 가이드홀(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회전방향에 대해 상기 체결수단(200)에 전달하는 힘은 곡면 접촉점의 법선방향(P)으로 전달되며, 분력으로서 수평방향(X)과 수직방향(Y)으로 분리되는 도어(10)를 회전시키는 수직과 수평방향력으로 분배되어 전달된다.
또한, 상기 도어(10) 또는 문틀(20)에는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미도시) 또는 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은 상기 도어틀(2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200)은 도어(10)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는 상기 동력발생수단(100)과 체결수단(200)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00), 체결수단(200) 및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가이드홀(310)에 체결된 체결수단(200)이 가이드홀(3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어(10)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와 체결수단(200)의 연결지점(작용점)은 도어(10)를 당기거나 미는 방향에 따라 힘을 전달하는 위치가 가변되어 도어(10)의 개폐 작용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발생수단(100)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고장 및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도어(10)를 당기는 방향(열림)으로 회전할 때, 상기 체결수단(200)이 가이드홀(310)의 곡면방향을 따라 동력발생수단(100) 쪽으로 자연스럽게 미끄럼 이동하며, 도어(10)를 미는 방향(열림)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100) 쪽에 근접한 체결수단(200)이 동력발생수단(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곡면 가이드링크(300)를 구성함으로써, 도어(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최소의 구동력을 가지는 동력발생수단(100)을 적용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전체적인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 및 유지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도어(10) 개폐를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100), 상기 도어(10) 또는 도어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200)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내측에는 체결수단(200)이 끼움결합되는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홀(310)을 형성한 곡면 가이드링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00), 체결수단(200) 및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구성은 앞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동력발생수단(100)은 개폐가 이루어지는 도어(10)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200)이 도어틀(20)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즉,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동력발생수단(100)과 체결수단(200)의 설치대상의 위치가 서로 바뀐 것으로,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의 구동으로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회전할 때, 상기 체결수단(200)에 대하여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상대 이동하여 도어(10)를 당기거나 미는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작용 역시 곡면 가이드링크(300)와 체결수단(200)의 연결지점(작용점)이 도어(10)를 당기거나 미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가변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은 상기 도어(10)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200)은 도어틀(20)에 고정설된다.
그리고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는 상기 동력발생수단(100)과 체결수단(200)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00), 체결수단(200) 및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가이드홀(310)에 결합된 체결수단(20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체결수단(200)에 대해 상대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어(1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와 체결수단(200)의 연결지점(작용점)은 도어(10)를 당기거나 미는 방향에 따라 힘을 전달하는 위치가 가변되어 도어(10)의 개폐 작용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발생수단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고장 및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도어(10)를 당기는 방향(열림)으로 회전할 때, 상기 체결수단(200)을 기준으로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가이드홀(310)이 곡면방향을 따라 상대이동하여 동력발생수단(100)이 체결수단(200) 쪽으로 자연스럽게 미끄럼 이동하며, 도어(10)를 미는 방향(열림)으로 곡면 가이드링크(300)를 회전시킬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이 체결수단(2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곡면 가이드링크(300)를 구성함으로써, 도어(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최소의 구동력을 가지는 동력발생수단(100)을 적용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전체적인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 및 유지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3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도어(10) 개폐를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100), 상기 도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200)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내측에는 체결수단(200)이 끼움결합되는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홀(310)을 형성한 곡면 가이드링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발생수단(100), 체결수단(200) 및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구성은 앞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에 적용된 도어(10)는 접철이 가능한 제1 도어(10a)와 제2 도어(10b)로 이루어진 접이식 미닫이 도어이다.
즉, 접이식 미닫이 도어는 장애인 화장실 등과 같이 최소한 휠체어가 출입할 수 있도록 넓은 출입구를 가지는 도어틀(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도어(10)가 도어틀(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호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에 의해 출입구를 개폐단속한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은 상기 제1 도어(10a)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200)은 제2 도어(10b)에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100)의 구동으로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회전할 때, 곡면 가이드링크(300)와 체결수단(200)의 연결지점(작용점)이 제1 도어(10a)와 제2 도어(10b)가 접히거나 전개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여 가변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경첩(R)으로 연결된 상기 제1 도어(10a)와 제2 도어(10b)에 동력발생수단(100)과 체결수단(200)을 각각 설치하고 그 사이를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를 연결한 상태에서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에 연결된 체결수단(200)이 가이드홀(3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도어(10a)와 제2 도어(10b)를 접거나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호 작용하는 힘을 부여하여 도어(10)를 접이식 구조로 개폐단속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은 상기 제1 도어(10a)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수단(200)은 제2 도어(10b)에 설치되며,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는 상기 동력발생수단(100)과 체결수단(200)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동력발생수단(100), 체결수단(200) 및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300)의 가이드홀(310)에 체결된 체결수단(200)이 가이드홀(3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도어(10a)와 제2 도어(10b)가 상호 접히거나 전개되는 방향으로 접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곡면 가이드링크(300)를 구성함으로써, 도어(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최소의 구동력을 가지는 동력발생수단(100)을 적용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전체적인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 및 유지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동력발생수단
110 : 모터
120 : 동력전달축
200 : 체결수단
300 : 곡면 가이드링크
310 : 곡면 가이드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도어 개폐를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곡면의 길이방향에는 체결수단이 끼움결합되는 호형상의 곡면 가이드홀을 형성한 곡면 가이드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접철이 가능한 제1 도어와 제2 도어로 이루어진 접이식 미닫이 도어이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제1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제2 도어에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으로 곡면 가이드링크가 회전할 때, 곡면 가이드링크와 체결수단의 연결지점(작용점)이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접철되거나 전개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가변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는 채널형 가이드 고정대, 상기 가이드 고정대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의 가이드홀에 끼워지는 가이드 부싱을 구비한 상부 고정너트, 상기 가이드 고정대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고정너트, 상기 하부 고정너트로부터 상부 고정너트 및 가이드 부싱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체결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는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의 상단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에 간섭되지 않고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가이드링크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전달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체결되는 축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 결합홈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양측에는 동력발생수단과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도어 구동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10046575A 2021-04-09 2021-04-09 도어 구동장치 Active KR10255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75A KR102557873B1 (ko) 2021-04-09 2021-04-09 도어 구동장치
PCT/KR2022/003299 WO2022215875A1 (ko) 2021-04-09 2022-03-08 도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75A KR102557873B1 (ko) 2021-04-09 2021-04-09 도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76A KR20220140276A (ko) 2022-10-18
KR102557873B1 true KR102557873B1 (ko) 2023-07-21

Family

ID=8354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75A Active KR102557873B1 (ko) 2021-04-09 2021-04-09 도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7873B1 (ko)
WO (1) WO20222158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917B1 (ko) 2024-05-30 2025-01-09 이수미 오토 밸런스 도어의 자동 복귀 모션 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7160A1 (en) * 2013-02-27 2016-02-18 Nam Duc HUYNH Enclosure access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5374A (en) * 1993-12-06 1994-12-27 Rohraff, Sr.; Harry Combination manual and electric door opener
KR100489704B1 (ko) * 2002-11-16 2005-05-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드 도어용 롤러브라켓트
DE202004015472U1 (de) * 2004-10-04 2004-12-09 Rademacher, Wilhelm Türantrieb
KR101326363B1 (ko) * 2012-04-19 2013-11-11 윤정식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971956B1 (ko) 2018-05-30 2019-04-25 최용환 여닫이식 도어의 개방 조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7160A1 (en) * 2013-02-27 2016-02-18 Nam Duc HUYNH Enclosure access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917B1 (ko) 2024-05-30 2025-01-09 이수미 오토 밸런스 도어의 자동 복귀 모션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76A (ko) 2022-10-18
WO2022215875A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7813B (zh) 滑动门结构
WO2008151503A1 (fr) Vitre à commande électrique
KR102015421B1 (ko)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KR101874013B1 (ko) 접이식 도어 장치
US20140020298A1 (en) Bi-parting, bi-directional door system
KR101588379B1 (ko) 전동 폴딩 도어 개폐장치
JP2009503296A (ja) 自動回転ドアのウイング自動折りたたみシステム
KR102557873B1 (ko) 도어 구동장치
KR20230032504A (ko) 도어용 손끼임방지 경첩
WO2010055536A1 (en) Motor-driven mechanical device for moving the wings of doors, in particular those of the inner door for closing an elevator cabin
US20190242173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CN108394798A (zh) 一种厢门及基于该厢门的电梯轿厢
KR102453024B1 (ko) 조립 및 현장시공이 용이한 댐핑장치를 갖는 동시 개폐형 여닫이 도어
KR200440296Y1 (ko) 접이문용 주행체
KR102112164B1 (ko) 보조문 자동 개폐장치
KR102101494B1 (ko) 접이식 도어
KR20180003773A (ko)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KR102477595B1 (ko) 폴딩도어용 커버
KR102800678B1 (ko) 댐퍼가 부착된 접이식 스윙 중문
KR102757424B1 (ko) 전동식 폴딩 도어
KR102750917B1 (ko) 오토 밸런스 도어의 자동 복귀 모션 제어 장치
KR100712316B1 (ko) 장애인용 화장실 도어
GB2396658A (en) Automated door opener including pivoting lever or track mechanism
KR102246407B1 (ko) 이동식 도어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CN210564132U (zh) 一种带平开扇的折叠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