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8667B1 -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smart tag - Google Patents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smart t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667B1
KR102558667B1 KR1020210063847A KR20210063847A KR102558667B1 KR 102558667 B1 KR102558667 B1 KR 102558667B1 KR 1020210063847 A KR1020210063847 A KR 1020210063847A KR 20210063847 A KR20210063847 A KR 20210063847A KR 102558667 B1 KR102558667 B1 KR 102558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facility
pen
smart t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6684A (en
Inventor
이상종
최근의
Original Assignee
(주)디엑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엑스테크 filed Critical (주)디엑스테크
Priority to KR102021006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667B1/en
Publication of KR2022015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66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펜과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시스템과 그 방법을 개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시설물의 점검 결과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전자장치에 입력하여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표면에는 특정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와 사용자 기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 패턴이 형성되는 스마트 태그,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스마트 태그에 점검 결과를 기록하고, 동시에 상기 코드 패턴에 기초한 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자 펜, 및,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펜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태그 파일에 사용자 기록에 따른 점검 결과를 재현하는 관리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and a smart tag.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records facility inspection results and inputs the record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for management. A smart tag having a code pattern for identifying ta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facility and user record information is formed on a surface, an electronic pen that records inspection results on the smart tag through user manipulation and simultaneously collects pen data based on the code pattern, and the electronic pen. and a management terminal that receives and analyzes pen data from the smart tag, extracts a tag file corresponding to the smart tag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reproduces the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user record in the tag file.

Description

전자 펜과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smart tag}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smart tag

본 발명은 전자 펜과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시스템과 그 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and a smart tag.

공장이나 플랜트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설비나 장치 등의 시설물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은 주기적으로 점검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시설물의 유지관리란 완성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할 수 있도록 취하는 제반 조치를 일컫는 것으로, 시설물의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시설물의 상태 및 노후 정도를 파악하여 필요시에 보수공사를 실시하거나 해당 시설물의 교체를 하는 형태로 관리가 이루어진다. 시설물들은 각 해당분야 관련법규에 따라 주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게 되어 있으며, 시설물의 위치나 설치환경에 따라 수시적으로 긴급점검이나 상시점검을 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점검의 목적은 시설물의 손상 및 결함을 조기에 발견하여 손상의 확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In a factory or plant, facilities such as various types of facilities or devic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and these facilities must be periodically inspected and managed. Facility maintenance refers to various measures taken to preserve the function of a completed facility. Management is carried out in the form of performing repair work or replacing the facility when necessary by identifying the state and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facility through periodic inspection of the facility. Facilities are subject to periodic inspections in accordance with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emergency inspections or regular inspections are conducted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the location or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inspection is to detect damage and defects in facilities at an early stage to prevent the expansion of damage and accidents.

이러한 시설물의 유지 관리는 관리자가 직접 현장을 순회하면서 시설물의 구동 상태를 확인하여 소정의 양식을 갖는 기록지에 확인 결과를 기록하고, 관리실로 복귀한 후 기록지에 기록된 내용을 다시 서버 또는 단말기와 같은 전자장치에 입력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시설물 관리방법은 관리자가 점검 내용을 다시 전자장치에 직접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입력시 자칫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Maintenance of these facilities is carried out by a manager directly touring the site, check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recording the confirmation result on a recording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returning to the management room, and then inputting the contents recorded on the recording sheet back in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erver or terminal.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facility management metho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manager has to directly input the inspection details again into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re is a risk of causing an incorrect result if an error occurs during input.

한편, 최근에는 전자 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내용을 디지털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술 및 제품들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6-0045535호(선행문헌)는 '전자 펜, 전자 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소개하고 있다.Meanwhile, technologies and products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handwriting using an electronic pen and digitizing and storing the recognized contents have recently been commercialized.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5535 (prior literature) introduces 'an electronic pen, an electronic device interlocking with the electronic pe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선행문헌은 사용자의 필기를 인식하여 전자기기에 재현하는 구성으로, 전자 펜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면(surface)을 제공하는 기록지, 필기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자 펜, 전자 펜으로부터 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석 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필기를 재현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ior docu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user's handwriting is recognized and reproduc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 recording paper that provides a surface for recording desired information using an electronic pen, an electronic pen that detects information about handwriting and generates pen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and interprets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and reproduces the handwriting through a display.

선행문헌에서 필기를 인식하여 재현하는 원리는 기록지가 정형화된 양식으로 그 표면에는 필기의 방향, 위치, 문서 코드 등의 필기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패턴이 미리 생성되어 있고, 전자기기에도 해당 기록지의 문서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식의 정형화된 문서파일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전자 펜은 기록지의 패턴을 수집하여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1a와 같이 전자 펜으로 기록지에 필기를 할 때 전자 펜에서는 위치, 방향, 문서 코드를 포함하는 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전자기기는 전자 펜으로부터 펜 데이터를 수신한 후 도 1b와 같이 기록지에 대응하는 문서파일을 불러와 위치 정보, 방향 정보를 분석하여 문서파일에 필기를 재현하게 된다. The principle of recognizing and reproducing handwriting in the prior literature is that the recording paper is a standardized form, and patterns capable of recognizing writing information such as the direction, position, and document code of the writing are created in advance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paper, and a standardized document file of the same format corresponding to the document of the corresponding recording paper is stored in advance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pen is configured to collect the pattern of the recording paper and transmit it to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writing on a recording paper with an electronic pen as shown in FIG. 1A, the electronic pen generates pen data including position, direction, and document code, and after receiving the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reads a document file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paper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선행문헌의 필기 인식 및 재현 시스템은, 사용자가 문서(기록지)에 기록한 정보가 자동으로 전자기기 내의 파일로 데이터베이스화됨으로써, 사용자가 문서에 기록한 정보를 다시 전자기기에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필기 인식 및 재현 시스템은 특정 양식으로 정형화된 문서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비정형화 된 일반 문서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I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and reproduction system of the prior literature, information recorded by a user on a document (recording paper) is automatically databased as a file in an electronic devic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manually input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ocument into the electronic device. However, the handwriting recognition and reproduction system of the prior literature only targets standardized documents in a specific format, and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unstructured general documents.

또한, 선행문헌의 필기 인식 및 재현 시스템은 기록지와 동일한 정형화된 문서에서만 필기 내용이 재현되는 것으로, 필기 인식 및 재현 시스템을 시설물 관리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전자장치를 통한 문서파일로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히 확인하는데 부족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and reproduction system in the prior literature reproduces the writing content only in the same standardized document as the recording paper. Whe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and reproduction system is applied to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it can only be checked through a document file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sufficient to quickly and accurately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한국공개특허 10-2016-0045535호(2016.04.27,출원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5535 (2016.04.27, application publication) 한국공개특허 10-2019-0029115호(2019.03.20,출원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29115 (2019.03.20, application publi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장이나 플랜트 내부의 각종 시설물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시설물 점검 결과가 자동으로 관리 단말기에 입력되어 재현됨으로써, 점검 결과 관리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시설물 관리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errors in management of inspection results by automatically inputting and reproducing a facility inspection result in a management terminal in managing various facilities inside a factory or plant.

또한, 본 발명은 시설물 점검 결과를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쉽게 재현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그 결과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 관리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easily reproduces facility inspection results on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llows a user to accurate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results through the displa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시설물의 점검 결과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전자장치에 입력하여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표면에는 특정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와 사용자 기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 패턴이 형성되는 스마트 태그,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스마트 태그에 점검 결과를 기록하고, 동시에 상기 코드 패턴에 기초한 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자 펜, 및,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펜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태그 파일에 사용자 기록에 따른 점검 결과를 재현하는 관리 단말기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records facility inspection results and inputs and manages the record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A smart tag having a code pattern capable of identifying ta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facility and user record information is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 electronic pen that records inspection results in the smart tag by a user's operation and collects pen data based on the code pattern at the same time, and receives and analyzes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nd a management terminal extracting a tag file corresponding to the smart tag and reproducing an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a user record in the tag file.

또한,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펜 데이터를 수신하는 펜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한 펜 데이터에 근거하여 태그 정보 및 사용자 기록 정보를 분석하는 펜 데이터 분석부와, 분석된 태그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파일을 DB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태그 파일 추출부와, 추출한 태그 파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표시된 상기 태그 파일에 사용자 기록 정보를 재현하는 펜 데이터 재현부와, 상기 스마트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파일을 저장하여 상기 태그 파일 추출부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DB 저장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terminal includes a pen data receiver that receives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a pen data analyzer that analyzes tag information and user record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pen data, a tag file extractor that extracts a tag file corresponding to the smart tag from a DB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analyzed tag information,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extracted tag file, a pen data reproducer that reproduces user record information in the displayed tag file, and a DB storage that stores the tag file corresponding to the smart tag and provides i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ag file extractor. includes wealth

또한, 상기 태그 파일은, 상기 시설물의 사진을 재현하는 사진 템플릿과, 상기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그래픽으로 재현하는 그래픽 템플릿과, 상기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문서로 재현하는 문서 템플릿을 포함한다.Also, the tag file includes a photo template for reproducing a photo of the facility, a graphic template for graphically reproduc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and a document template for reproduc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as a document.

또한, 상기 코드 패턴은, 다수의 셀 영역으로 구획되고, 각 셀 영역에는 상기 스마트 태그 정보, 셀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식별하는 2차원 구조의 미세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de patter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ell areas, and each cell area may be composed of a two-dimensional micro pattern for identifying the smart tag information, cel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시설물 관리방법은, 시설물의 점검 결과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전자장치에 입력하여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방법에 있어서, (a) 태그 정보 및 사용자 기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 패턴이 인쇄된 스마트 태그에 점검 결과를 기록할 때, 상기 코드 패턴을 기초로 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수집한 코드 패턴으로부터 태그 정보 및 사용자 기록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분석한 상기 태그 정보로부터 태그 파일을 추출하여 관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단계에서 분석한 상기 사용자 기록정보를 상기 태그 파일에 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facilit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facility management method of recording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facility and inputting the record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for management, (a) when recording the inspection result on a smart tag printed with a code pattern capable of identifying tag information and user record information, collecting pen data based on the code pattern, (b) analyzing tag information and user record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ode pattern, (c) analyzing tag information and user record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ode pattern, (c) tagging from the tag information analyzed in step (b) Extracting the file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area of the management terminal, and (d) reproducing the user record information analyzed in step (b) in the tag file.

또한, 본 실시예의 시설물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그 파일은 사진 템플릿과, 상기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그래픽으로 재현하는 그래픽 템플릿과, 상기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문서로 재현하는 문서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진 템플릿에 시설물의 사진을 표시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그래픽 템플릿에 상기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그래픽으로 재현하고, 상기 문서 템플릿에 상기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문서로 재현한다.Further, in the facilit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g file includes a photo template, a graphic template for graphically reproduc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and a document template for reproduc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as a document.

본 발명은 시설물 점검 결과가 자동으로 관리 단말기에 입력되어 입력 과정에서의 오류를 차단하여, 입력 오류에 의한 시설물의 손상이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y inspection results are automatically input to a management terminal to prevent errors in the input process,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facilities or accidents caused by input errors.

또한, 본 발명은 시설물 점검 결과가 다양한 형식의 템플릿으로 재현되어 사용자가 상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점검 결과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y inspection results are reproduced in various types of templat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inspection results through a user's terminal.

도 1a 및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기 인식 시스템의 기록지와 문서파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과 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recording sheet and a document file of a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termi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anagement terminal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facility inspection and the resul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e technical problem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practice will be clarified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전, 후,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지 않는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at i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and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cross several aspects, and the length,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expressions such as up, down, before, after, first, and second indicate relative positions, directions, and orders, and their technical significance is not limited to dictionary meanings.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과 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termi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of a management termi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facility inspection and its resul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시설물의 점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스마트 태그(Smart Tag, 100)와, 스마트 태그(100)에 기록을 하기 위한 도구인 전자 펜(200)과, 스마트 태그(100)에 기록되는 정보를 재현하는 관리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2 ,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mart tag 100 for recording facility inspection information, an electronic pen 200 as a tool for recording on the smart tag 100, and a management terminal 300 for reproducing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smart tag 10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마트 태그(100)는 사용자가 시설물을 점검한 후 점검 내용을 기록하는 오프라인 상의 기록지로서,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시설물에 부착되는 태그 형태의 문서일 수 있다. 스마트 태그(100)는 해당 시설물에 대하여 점검을 요하는 사항이 다수의 컨텐츠로 분류되어 표시되며, 일 예로, 가동 상태, 부하율 등의 정보를 점검할 수 있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mart tag 100 is an off-line recording sheet on which a user inspects a facility and then records the inspection details, and may be a document in the form of a tag carried by the user or attached to the facility. In the smart tag 100, matters requiring inspec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ontents and displayed. For example, contents capable of checking information such as an operating state and a load factor may be displayed.

또한, 스마트 태그(100)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점검 내용을 기록할 때 기록되는 정보를 전자 펜(200)에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표면에는 전자 펜(200)이 인식할 수 있는 코드 패턴이 형성된다. 코드 패턴은 다수의 단위 셀로 구획되고, 각 단위 셀 내에는 스마트 태그 정보, 셀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2차원 구조로 인쇄되는 미세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드 패턴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펜(200)이 필기를 인식하여 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패턴이라면 다양한 종류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태그 정보에는 해당 스마트 태그(100)가 부착되는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mart tag 100 is configur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recorded when the inspection details are recorded using the electronic pen 200 from the electronic pen 200, and for this purpose, the electronic pen 200 can recognize the code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The code patter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within each unit cell, it may be composed of fine patterns printed in a two-dimensional structure so as to identify smart tag information, cel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The code patter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patterns as long as the electronic pen 200 recognizes handwriting and generates pen data. The smart ta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facility to which the corresponding smart tag 100 is attached.

전자 펜(200)은 스마트 태그(100)에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이다. 전자 펜(200)은 사용자 조작을 위한 입력모듈과, 스마트 태그(100)의 코드 패턴을 인식하여 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센서모듈과, 생성된 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구비된다. 센서모듈은 코드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모듈은 UCB 단자와 같은 유선 통신유닛이나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펜(200)은 코드 패턴을 인식하여 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electronic pen 200 is a component that records information on the smart tag 100 . The electronic pen 200 includes an input module for user manipulation, a sensor module capable of generating pen data by recognizing a code pattern of the smart tag 100, and a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he generated pen data to a management terminal. The sensor module may be composed of a camera unit for obtaining an image of a code pattern,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mposed of a wired communication unit such as a UCB termina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Wi-Fi or Bluetooth. The type of the electronic pen 20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pen data by recognizing a code pattern.

관리 단말기(300)는 스마트 태그(100)에 기록된 정보를 전자 펜(200)으로부터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시 재현하는 구성이다. 관리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서 일 예로,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장이나 플랜트 내의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서버 또는 장치일 수 있다. 관리 단말기(300)는 전자 펜(200)의 펜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재현하여 표시하거나, 저장모듈에 저장하여 추후에 리플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management terminal 300 is a component that collects information recorded on the smart tag 100 from the electronic pen 200, analyzes it, and reproduces it again through a display. The management terminal 300 is a terminal having a display func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computer, laptop, smart phon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types of servers or devices capable of managing factories or facilities in a plant. The management terminal 300 may receive and analyze the pen data of the electronic pen 200 to reproduce and display the data in real time, or may store the data in a storage module and replay the data later.

이를 위한 관리 단말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 데이터 수신부(310), 펜 데이터 분석부(320), 태그 파일 추출부(330), 디스플레이부(340), 펜 데이터 재현부(350) 및 DB 저장부(360)를 포함하고,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management terminal 300 for this purpose includes a pen data receiving unit 310, a pen data analyzing unit 320, a tag file extracting unit 330, a display unit 340, a pen data reproducing unit 350, and a DB storage unit 36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driving thereof.

펜 데이터 수신부(31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사용자 기록 정보인 펜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전자 펜(200)과 정보 전송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통신모듈은 전자 펜(200)의 통신모듈에 대응하는 UCB 단자와 같은 유선 통신유닛이나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펜 데이터 수신부(31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펜(200)은 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The pen data receiver 31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pen data, which is user record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pen 200,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with the electronic pen 200.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mposed of a wired communication unit such as a UCB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electronic pen 200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Wi-Fi or Bluetooth. The pen data receiving unit 310 may receive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200 in real time o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o this end, the electronic pen 200 may include a memory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pen data.

펜 데이터 분석부(32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수신한 펜 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전자 펜(200)으로부터 제공받은 펜 데이터를 기초로 스마트 태그 정보, 셀 정보, 위치 정보 및 경고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기록 정보를 생성한다. 스마트 태그 정보에는 시설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스마트 태그 정보를 통하여 시설물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셀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태그에 기록한 위치와 내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The pen data analyzer 320 is a component that analyzes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 and generates user record information by analyzing smart tag information, cel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warning information based on the pen data provid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 Since the smart tag information includes facility information, the facility can be specified through the smart ta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location and content recorded in the smart tag by the user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through cel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태그 파일 추출부(330)는 펜 데이터 분석부(320)에서 분석된 스마트 태그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태그(100)에 대응하는 태그 파일(도 4의 100')을 추출한다. 이를 위하여 DB 저장부(360)에는 각 시설물에 대응하는 다수의 태그 파일(100')이 미리 저장되고, 태그 파일 추출부(330)는 스마트 태그 정보에 포함된 시설물 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시설물의 태그 파일(100')을 추출한다. 태그 파일(100')은 스마트 태그(100)에 기록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 시설물의 점검 및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로 재현하기 위한 파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설물에 대한 사진 템플릿(110), 해당 시설물의 동작을 그래픽화한 그래픽 템플릿(120) 및 기록 정보를 재현하는 문서 템플릿(130)을 포함한다. 사진 템플릿(110), 그래픽 템플릿(120) 및 문서 템플릿(130)은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의 템플릿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ag file extractor 330 extracts a tag file (100' in FIG. 4) corresponding to the smart tag 100 based on the smart tag information analyzed by the pen data analyzer 320. To this end, a plurality of tag files 100'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are stored in advance in the DB storage unit 360, and the tag file extraction unit 330 extracts the tag file 100'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mart tag information. The tag file 100' is a file for reproducing inspec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facility on a display according to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mart tag 100, and as shown in FIG. The photo template 110, the graphic template 120, and the document template 13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templates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y.

디스플레이부(340)는 태그 파일 추출부(330)에서 추출한 태그 파일(100')을 관리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40)는 모니터, 터치 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영상을 구현하며, 영상 구현을 위한 비디오 모듈을 포함한다. 태그 파일(100')은 사진 템플릿(110), 그래픽 템플릿(120) 및 문서 템플릿(13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관리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The display unit 340 displays the tag file 100' extracted by the tag file extraction unit 330 on the management terminal 300. The display unit 340 implements an image on a display means such as a monitor or touch screen, and includes a video module for implementing the image. Since the tag file 100' includes a photo template 110, a graphic template 120, and a document template 130, as shown in FIG. 4, they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management terminal 300.

펜 데이터 재현부(350)는 펜 데이터 분석부(320)에서 분석된 사용자 기록 정보를 관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기록하고 재현하는 구성이다. 펜 데이터 재현부(350)는 분석된 사용자 기록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된 태그 파일(100')의 그래픽 템플릿(120) 및 문서 템플릿(130)에 사용자 기록 정보를 재현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 데이터 재현부(350)는 사용자 기록 정보를 기초로 그래픽 템플릿(120)에는 시설물 상태의 안전, 경계, 위험 등을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문서 템플릿(130)에는 스마트 태그(100)에 기록된 내용을 문서 형식으로 기록하여 표시한다. 이때, 사진 템플릿(110)에는 해당 시설물의 실물 사진이 함께 표시된다. The pen data reproduction unit 350 is a component that records and reproduces the user record information analyzed by the pen data analysis unit 320 in the display area of the management terminal. The pen data reproduction unit 350 reproduces user record information in the graphic template 120 and document template 130 of the displayed tag file 100' based on the analyzed user record information.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pen data reproducing unit 350 graphically displays the safety, boundary, danger, etc. of the facility state in the graphic template 120 based on the user record information, and records and displays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smart tag 100 in document form in the document template 130. At this time, the photo template 110 displays a real photo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together.

따라서, 사용자는 관리 단말기(300)를 통하여 시설물 점검 결과를 단순한 문서 형식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시설물의 사진 이미지를 보면서 그래픽 형식으로도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시설물 점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facility inspection result in a simple document format through the management terminal 300, and also check the facility status in a graphic format while viewing a photo image of the actual facility, so that the facility inspection result can b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checked.

DB 저장부(360)는 펜 데이터, 원본의 태그 파일 및 펜 데이터가 재현된 태그 파일 등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디스플레이부(340)로 제공한다.The DB storage unit 360 stores pen data, an original tag file, and a tag file in which the pen data is reproduced, and provides the stored database to the display unit 34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시설물 관리시스템에서, 공장이나 플랜트 내부의 시설물을 점검할 때 사용자(점검자)는 시설물을 직접 확인하고 각 시설물에 부착된 스마트 태그(100)에 시설물의 가동 상태와 부하율 등의 점검 결과를 전자 펜(200)으로 입력한다. 이때, 점검 결과의 입력은 스마트 태그(100)에 표시된 특정 컨텐츠를 체크하거나 컨텐츠에 내용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태그(100)는 가동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STOP, PAUSE, RUN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부하율을 점검하기 위하여 게이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5 , i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inspecting a factory or a facility inside a plant, a user (inspector) directly checks the facility and inputs inspection results such as the operating state and load factor of the facility into the smart tag 100 attached to each facility with the electronic pen 200. At this time, the input of the check result may be performed by checking specific content displayed on the smart tag 100 or recording the content in the content. For example, the smart tag 100 may provide STOP, PAUSE, and RUN contents to check an operating state, and gauge contents to check a load factor.

이와 같이 스마트 태그(100)에 시설물의 점검 결과가 입력된 후 입력되는 기록 정보는 전자 펜(200)에서 수집되어 관리 단말기(300)로 전달되고, 관리 단말기(3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태그 파일(100')에 점검 결과를 재현하게 된다. 이때, 관리 단말기(300)는 시설물 사진 템플릿(110), 그래픽 템플릿(120) 및 문서 템플릿(130)을 통한 다양한 방식으로 점검 결과를 재현한다.In this way, after the facility inspection result is input to the smart tag 100, the input record information is collected by the electronic pen 200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300, and the management terminal 300 analyzes the pen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 and reproduces the inspection result in the tag file 100'. At this time, the management terminal 300 reproduces the inspection result in various ways through the facility photo template 110 , the graphic template 120 and the document template 130 .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관리 단말기 내에서 이루어지는 시설물 관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facility management process performed in the management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펜 데이터 수신부(310)는 전자 펜(200)에서 전송되는 펜 데이터를 수집한다(S11). 펜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 펜(200)에서 관리 단말기(300)로 전송되며, 이를 위하여 전자 펜(200)과 관리 단말기(300)는 유무선의 통신모듈로 연결된다. 또한, 전자 펜(200)과 관리 단말기(300) 사이의 펜 데이터 전송은 사용자가 스마트 태그(100)에 시설물 점검 결과를 기록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 first, the pen data receiving unit 310 collects pen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 (S11). P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 to the management terminal 30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o this end, the electronic pen 200 and the management terminal 30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pen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onic pen 200 and the management terminal 300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as the user records the facility inspection result in the smart tag 100 .

그리고 펜 데이터 분석부(320)는 수집된 펜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마트 태그 및 시설물을 특정하고, 사용자 기록 내용도 특정한다(S12). 펜 데이터에는 스마트 태그 정보, 셀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펜 데이터 분석부(320)는 이들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태그, 시설물 및 사용자 기록 내용을 특정할 수 있다.The pen data analyzer 320 analyzes the collected pen data to specify smart tags and facilities, as well as user record contents (S12). Since the pen data includes smart tag information, cel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the pen data analyzer 320 can specify the smart tag, facility, and user record contents based on these information.

또한, 태그 파일 추출부(330)는 펜 데이터 분석부(320)에서 특정되는 시설물에 대응하는 태그 파일(100')을 DB 저장부(360)에서 추출하고(S13), 디스플레이부(340)는 추출된 태그 파일(100')을 관리 단말기에 표시한다(S14). 이때, 태그 파일(100')은 사진 템플릿(110), 그래픽 템플릿(120) 및 문서 템플릿(130)이 포함되므로, 이들 템플릿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tag file extraction unit 330 extracts the tag file 100'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specified by the pen data analysis unit 320 from the DB storage unit 360 (S13), and the display unit 340 displays the extracted tag file 100' on the management terminal (S14). At this time, since the tag file 100' includes a photo template 110, a graphic template 120, and a document template 130, these template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태그 파일(100')이 디스플레이되면 펜 데이터 재현부(350)는 분석된 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기록 정보를 태그 파일에 기록하여 표시한다(S15). 이때, 문서 템플릿(130)에는 스마트 태그(100)에 기록되는 내용과 동일한 정보를 문서 형식으로 기록하고, 그래픽 템플릿(120)에는 해당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진 템플릿(110), 그래픽 템플릿(120) 및 문서 템플릿(130)을 통하여 동시에 시설물 점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tag file 100' is displayed, the pen data reproduction unit 350 records and displays user record information in the tag file based on the analyzed pen data (S15). At this time, the same information as the content recorded in the smart tag 100 is recorded in the document template 130 in a document format, and the graphic template 120 displays sta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graphically. Therefore, the user can simultaneously check the facility inspection result through the photo template 110 , the graphic template 120 and the document template 130 .

그리고 펜 데이터가 재현된 태그 파일(100')은 별도로 DB 파일로 저장된다(S16). The tag file 100' in which the pen data is reproduced is separately stored as a DB file (S16).

이와 같이, 전자 펜과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여 공장, 플랜트 내의 시설물 점검 결과를 자동으로 저장 및 관리하고 관리 단말기에 재현함으로써, 점검 결과를 직접 입력하고 관리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입력 과정에서 오류 발생하지 않아 오류에 의한 시설물의 오동작, 손상 및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using an electronic pen and a smart tag to automatically store and manage the facility inspection results in the plant and reproduce them in the management terminal,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of directly inputting and managing the inspection results, and since errors do not occur during the input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damage, and accidents of facilities due to error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Althoug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of these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마트 태그
100' : 태그 파일
200 : 전자 펜
300 : 관리 단말기
310 : 펜 데이터 수신부 320 : 펜 데이터 분석부
330 : 태그 파일 추출부 340 : 디스플레이부
350 : 펜 데이터 재현부 360 : DB 저장부
100: smart tag
100' : tag file
200: electronic pen
300: management terminal
310: pen data receiver 320: pen data analyzer
330: tag file extraction unit 340: display unit
350: pen data reproduction unit 360: DB storage unit

Claims (6)

시설물의 점검 결과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전자장치에 입력하여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표면에는 특정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와 사용자 기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 패턴이 형성되는 스마트 태그;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스마트 태그에 점검 결과를 기록하고, 동시에 상기 코드 패턴에 기초한 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자 펜; 및,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펜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태그 파일에 사용자 기록에 따른 점검 결과를 재현하는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펜 데이터를 수신하는 펜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한 펜 데이터에 근거하여 태그 정보 및 사용자 기록 정보를 분석하는 펜 데이터 분석부와, 분석된 태그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파일을 DB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태그 파일 추출부와, 추출한 태그 파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표시된 상기 태그 파일에 사용자 기록 정보를 재현하는 펜 데이터 재현부와, 상기 스마트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파일을 저장하여 상기 태그 파일 추출부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DB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그 파일은, 상기 시설물의 사진을 재현하는 사진 템플릿과, 상기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그래픽으로 재현하는 그래픽 템플릿과, 상기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문서로 재현하는 문서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펜 데이터 재현부는 상기 펜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태그 정보 및 사용자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진 템플릿에 해당 시설물의 사진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템플릿에 해당 시설물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으로 재현하며, 상기 문서 템플릿에 해당 시설물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문서로 재현하는, 전자 펜과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시스템.
I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recording the inspection results of facilities and inputting the record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for management,
A smart tag having a code pattern capable of identifying ta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facility and user record information on a surface thereof;
an electronic pen that records an inspection result in the smart tag by a user's operation and simultaneously collects pen data based on the code pattern; and,
A management terminal that receives and analyzes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extracts a tag file corresponding to the smart tag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reproduces the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user record in the tag file;
The management terminal includes a pen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a pen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ag information and user record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pen data, a tag file extractor that extracts a tag file corresponding to the smart tag from a DB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analyzed tag information,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extracted tag file, a pen data reproducing unit that reproduces user record information in the displayed tag file, and a DB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tag file corresponding to the smart tag and provides i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ag file extractor. and
The tag file includes a photo template for reproducing a photo of the facility, a graphic template for graphically reproduc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and a document template for reproduc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as a document;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and user record information analyzed by the pen data analyzer, the pen data reproducing unit displays a photo image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on the photo template, reproduce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on the graphic template as a graphic, and reproduces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on the document template as a document.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n electronic pen and a smart ta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패턴은,
다수의 셀 영역으로 구획되고, 각 셀 영역에는 상기 스마트 태그 정보, 셀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식별하는 2차원 구조의 미세 패턴으로 구성되는, 전자 펜과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de pattern,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n electronic pen and a smart tag,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cell areas, and each cell area composed of a two-dimensional micropattern for identifying the smart tag information, cel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63847A 2021-05-18 2021-05-18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smart tag Active KR1025586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47A KR102558667B1 (en) 2021-05-18 2021-05-18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smart t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47A KR102558667B1 (en) 2021-05-18 2021-05-18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smart t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684A KR20220156684A (en) 2022-11-28
KR102558667B1 true KR102558667B1 (en) 2023-07-26

Family

ID=8423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847A Active KR102558667B1 (en) 2021-05-18 2021-05-18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smart t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66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8761A (en) 2012-02-10 2013-09-09 Ricoh Co Ltd Data input system and data input method
JP2018037033A (en) 2016-09-02 2018-03-08 株式会社ワコム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5013098A2 (en) * 2012-12-05 2017-07-11 Yoshida Kenji control system, printed matter, remote control device, and interface device.
KR102359139B1 (en) 2014-10-17 2022-02-08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1861207B1 (en) * 2016-07-08 2018-05-28 주식회사 쏠리드에듀 Method and system of operating 3d contents using electronic pen
KR20190029115A (en) 2017-09-12 2019-03-20 계명문화대학 산학협력단 Method of Data Gahtering Environmental Data Using Tag and Smart Device Integrated Sensors For Management of Multiple Types Of Installations
KR102594106B1 (en) * 2017-12-28 2023-10-25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Control method of application for recording data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8761A (en) 2012-02-10 2013-09-09 Ricoh Co Ltd Data input system and data input method
JP2018037033A (en) 2016-09-02 2018-03-08 株式会社ワコム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간행물
게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684A (en)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28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ata collection
CN111260325A (en) Bridge construction progr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US83962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ssets in a processing or other environment
CN1013396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nformation during asset inspections in a processing or other environment
CN108711152B (en) Image analysis method and device based on AI technology and user terminal
CN114297792B (en) Automated sheet metal design and processing methods, devices, control equipment and systems
Lisanti et al. A multi-camera image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system for train safety assessment
CN109242119A (en) A kind of secondary equipment of intelligent converting station automatic detecting method and system
US10417323B2 (en) Dynamic annotation in user information system of IR camera
US202302900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558667B1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smart tag
CN113435433B (en) A job site-based audio and video data extraction and processing system
US20190286112A1 (en) Manufacturing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CN114444856A (en) Auxiliary assembly system
CN118333561A (en)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lligent two-dimension code
JP2009182870A (en) Form description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form description history monitoring program
KR102544533B1 (en) Object management system through electronic pen record information and photo image information matching
CN116073520A (en) Power grid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242071A (en) A kind of mobile input device of electric power equipment on-site test data and method
RU2702965C1 (e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railway number parts on the image of their surfaces with stamps and marking signs
CN114581917A (en) Insurance claim settlement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bining RPA and AI and electronic equipment
RU2770940C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rmination of position of bridge crane along path of movement
JP7595551B2 (en) Parts replacement work registration system and part replacement work registration method
CN118968536B (en) Inspection work order generation metho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7148880A (en) Insp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