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507B1 - Back rest for motorcycle - Google Patents
Back rest for motorcy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1507B1 KR102551507B1 KR1020220185436A KR20220185436A KR102551507B1 KR 102551507 B1 KR102551507 B1 KR 102551507B1 KR 1020220185436 A KR1020220185436 A KR 1020220185436A KR 20220185436 A KR20220185436 A KR 20220185436A KR 102551507 B1 KR102551507 B1 KR 1025515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cycle
- bar
- backrest
- couplings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오토바이 후방에 상호 평행하게 탈장착 가능하게 배치된 2개의 지지 바아와; 지지 바아 사이에 개재되는 한쌍의 커플링; 및 한쌍의 커플링 외주면에 결합 배치된 쿠션부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지지 바아는 오토바이 차체의 전장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for a motorcycle, comprising: two support bars detachably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 rear of the motorcycle; A pair of coupling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ars; and a cushion member coupled to and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r of couplings, wherein the support bar is configured to be tiltable in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가능하도록 구성된 오토바이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for a motor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rest for a motorcycle configured to be tiltable.
일반적으로, 오토바이는 개인의 이동 수단 또는 물건의 운송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motorcycles are widely used as means of personal transportation or transportation of goods.
이러한 오토바이는 탑승자 모두에게 편안한 승차감과 착석감을 제공하기 위해 쿠션 소재의 안장을 구비하고 있지만, 탑승자의 후방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대가 없는 실정이다. Although these motorcycles are provided with a saddle made of a cushion material to provide comfortable riding and seating comfort to all occupants, there is no separate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occupants.
이러한 선행기술의 일환으로, 특허문헌 1에서 오토바이 운전시 탑승자의 등을 지지해 주는 '이륜차용 등받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등받이는 탑승자의 체격 조건에 맞춰 높낮이 및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탑승자의 기호에 맞춰 등받이의 경사각도 등을 제어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는 없다. As part of such prior art,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탑승자의 신체 조건과 기호에 맞춰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오토바이용 등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rest for a motorcycle capable of adjust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s and preferences of the occupa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오토바이 후방에 상호 평행하게 탈장착 가능하게 배치된 2개의 지지 바아와; 지지 바아 사이에 개재되는 한쌍의 커플링; 및 한쌍의 커플링 외주면에 결합 배치된 쿠션부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지지 바아는 오토바이 차체의 전장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wo support bars disposed detachably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the rear of the motorcycle; A pair of coupling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ars; and a cushion member coupled to and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r of couplings, wherein the support bar is configured to be tiltable in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 바아는 오토바이의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바아와 고정 바아의 상측 단부에 틸팅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바아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ar may be composed of a fixed bar coupled to a rear frame of a motorcycle and a pivoting ba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xed bar to be tilta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바아는 오토바이의 리어 프레임을 따라 길이연장된 제1 수평부와 제1 수평부에서 상방으로 길이연장된 제1 기립부로 이루어지는데, 제1 내측면 중심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 배치된 숫나사부와; 제1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형 돌기; 및 숫나사부 외주면 둘레에 삽입 배치된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 관절부를 고정 바아의 상측 단부에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ar is composed of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length along the rear frame of the motorcycle and a first standing portion extending in length up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rotatably at the center of the first inner surface a coupled male screw portion; Sawtooth projection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inner side edge; and a spring inser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le threaded portion.
덧붙여서, 고정 바아는 상측 단부에서 전장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ar may have two stoppers disposed opposi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동 바아는 고정 바아의 상측 단부에 틸팅가능하게 결합된 제2 기립부와 제2 기립부의 상측 단부에서 오토바이 차체의 전폭방향에 대해 중심부로 길이연장된 제2 수평부로 이루어지는데, 고정 관절부의 제1 내측면과 대면하는 제2 내측면 중심을 천공하는 암나사공과; 제2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형 돌기;를 구비한 회동 관절부를 제2 기립부의 하측 단부에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ing bar is composed of a second standing part til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and a second horizontal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anding part to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full width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A female screw hole drilling the center of the second inner surface facing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fixed joint part; A rotation joint having a serrated protrusion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inner surface may be inclu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tanding part.
덧붙여서, 회동 바아는 제2 수평부 자유단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걸림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voting bar may have two locking protrusions disposed diametrically opposed arou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플링은 내부 접촉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과, 수용홈 내에 오토바이 차체의 전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장홀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ontact surface, and two lo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within the accommodation groove.
더욱이, 본 발명은 한쌍의 커플링 양단에 위치고정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end plates fixed in position at both ends of the pair of coupl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엔드 플레이트는 이의 내부 영역에 관통공을 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late may have a through hole drilled in its inner region.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오토바이에 탑승하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등받이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ting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to comfortably support the back of a driver or passenger riding a motorcycle.
특히, 본 발명은 등받이를 오토바이 차제의 전장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구성되어 탑승자의 기호에 맞춰 조절가능할 수 있으며, 1인 승차 혹은 2인 승차에 상관없이 탑승자의 뒤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is configured to be tiltable in the entire length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so that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ider's preference, and the back of the rider can be comfortably supported regardless of whether one person is riding or two people are riding.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를 오토바이 차체의 전폭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탑승자의 신체 조건, 즉 탑승자의 몸통 너비에 맞춰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오토바이에 쉽게 탈장착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xpand or contract the backrest in the full width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so that it can be supported according to the rider's physical condition, that is, the rider's torso width, and is designed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motorcycles of various specifications.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등받이의 사용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등받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등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등받이를 구성하는 지지바아와 커플링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원호부에 도시된 틸팅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등받이의 다른 사용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backres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of a support bar and a coupling constituting a backres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lting portion shown in the arc portion of FIG. 2 .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state of use of a backres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용 등받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바이 안장의 양측에서 차체 후위로 탈장착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오토바이에 탑승하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등받이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본 발명의 등받이는 오토바이에 국한되지 않고, 이륜차, 자전거, 스쿠터 등에도 적용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As shown in FIG. 1,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등받이(1;이하 등받이)는 오토바이 차체의 전장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backrest for a motorcycle (1; hereafter referred to as a back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tiltable in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오토바이 안장의 후방으로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 배치된 2개의 지지 바아(11)와, 지지 바아(11) 사이에 개재되는 한쌍의 커플링(12), 한쌍의 커플링(12) 양단에 위치고정되는 엔드 플레이트(13), 및 한쌍의 커플링(12) 외주면에 결합된 쿠션부재(14)로 이루어진다.1 to 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wo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인 승차, 즉 운전자의 착석 위치에 맞춰 오토바이의 안장 후방에서 위치 선정되고 운전자에게 적합하도록 등받이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addl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 single person riding, that is, the driver's seating position, and the tilting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to suit the driver.
2개의 지지 바아(11)는 앞서 기술되었듯이 오토바이 안장의 후방 양측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리어 프레임에 개별적으로 탈장착가능하게 결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2개의 지지 바아(11)는 오토바이 차체의 전폭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장방향은 오토바이 차체의 길이방향을 의미하며, 전폭방향은 오토바이 차체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wo
더욱이, 2개의 지지 바아(11)는 오토바이를 중심으로 하여 거울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Moreover, the two
구체적으로, 지지 바아(11)는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바아(111)와, 고정 바아(111)의 상측 단부에 틸팅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바아(112)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지지 바아의 하측 부위에서 틸팅되지 않고 소정의 높이에서 틸팅 동작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만곡된 신체 형상에 대응되게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회동 바아의 길이를 연장시켜 탑승자의 상부 흉추 혹은 후두부까지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고정 바아(111)는 리어 프레임과의 결속을 돕도록 이의 하부에 고정된 브래킷(161,bracket)을 구비할 수 있고, 그 하부에 형성된 통공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죄어서 리어 프레임과 결속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고정 바아(111)는 이의 상측 단부에 고정 관절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도시되었듯이, 고정 바아(111)는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데, 리어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되는 제1 수평부(111a)와 제1 수평부(111a)에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1 기립부(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래킷(161)은 제1 수평부(111a)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the
회동 바아(112)는 역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데, 제1 기립부(111b)에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기립부(112b)와, 제2 기립부(112b)의 상측 단부에서 오토바이 차체의 전폭방향에 대해 중심부로 길이연장된 제2 수평부(11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수평부(112a)는 이의 자유단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된 2개의 걸림 돌기(171)를 구비한다. 다시 말하자면, 2개의 걸림 돌기(171)는 제2 수평부의 자유단 둘레에서 직경방향으로 대향 배치된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동 바아(112)는 고정 바아의 상측 단부에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되, 이를 위해 회동 바아의 하측 단부, 구체적으로 제2 기립부(112b)의 하측 단부에 회동 관절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1)는 오타바이 차체의 전장방향을 따라 전후로 틸팅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를 위해서, 고정 바아(111)의 제1 기립부(111b)는 이의 상측 단부에 고정 관절부(151)를 구비하는 한편 회동 바아(112)의 제2 기립부(112b)는 이의 하측 단부에 회동 관절부(152)를 구비한다. 고정 관절부(151)는 회동 관절부와 대면하는 제1 내측면 중심에서 두께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 배치된 숫나사부(151a)와 제1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형 돌기(151b)를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게, 회동 관절부(152)는 고정 관절부의 제1 내측면과 대면하는 제2 내측면 중심을 천공하는 암나사공(152a)과 제2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형 돌기(152b)를 구비한다. 이에, 본 발명은 회동 관절부의 암나사공(152a)에 고정 관절부의 숫나사부(151a)를 볼팅 체결하여 고정 관절부(151)의 제1 내측면과 회동 관절부(152)의 제2 내측면 사이에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standing
선택가능하기로, 고정 관절부(151)는 제1 내측면에서 숫나사부(151a)를 회전가능하게 결합 배치할 수 있다. 숫나사부가 제1 내측면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Optionally, the fixed
고정 관절부(151)의 제1 내측면과 이와 대면 접촉하는 회동 관절부(152)의 제2 내측면 사이에 스프링(153)을 개재하는데, 스프링(15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숫나사부(151a) 외주면 둘레에 삽입 배치되어 틸팅 부위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게 한다. A
또한, 본 발명은 고정 바아의 상측 단부인 제1 기립부(111b) 자유단 근방에서 대향 배치된 2개의 스토퍼(154;stopper)를 구비한다. 2개의 스토퍼는 도시되었듯이 전장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회동 바아의 전후 틸팅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작업자가 드라이버, 육각 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숫나사부(151a)를 조임 회전하면 회동 관절부의 톱니형 돌기(152b)와 고정 관절부의 톱니형 돌기(151b)를 상호 치합되도록 근접 배치함으로써 회동 바아(112)의 틸팅 이동을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or tightens and rotates the
물론, 작업자는 숫나사부(151a)의 풀림 회전을 통해 고정 관절부(151)와 회동 관절부(152)를 상호 이완되게 하여, 숫나사부를 중심으로 회동 바아(112)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Of course, the operator can mutually relax the fixed joint 151 and the pivot joint 152 through the loosening rotation of the
본 발명은 2개의 지지 바아(11) 사이에 쿠션부재(14)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는 2개의 지지 바아(11) 사이, 구체적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회동 바아(112)의 제2 수평부(112a)들 사이를 감싸는 한쌍의 커플링(12) 외주면에 쿠션부재(14)를 장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쿠션부재(14)는 벨크로, 스트랩, 버클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커플링과 인접 쿠션부재와 결착될 수 있다. As i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한쌍의 커플링을 수단으로 하여 2개의 지지 바아(11) 사이의 폭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일측 지지 바아(11)의 제2 수평부(112a)와 타측 지지 바아(11)의 제2 수평부(112a) 사이에 한쌍의 커플링(12)가 상호 결합되어 2개의 제2 수평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전폭방향으로의 활주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the width spacing between the two
이를 위해서 커플링(12)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평면인 내부 접촉면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수용홈(121)을 형성한다. 수용홈(121)은 커플링의 길이방향, 구체적으로 오토바이 자체의 전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전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제2 수평부(112a)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쌍의 커플링(12)은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일측 제2 수평부(112a)과 함께 타측 제2 수평부를 감싸하면서 지지할 수 있는 중공부를 제공할 수 있다. 중공부는 한쌍의 커플링(12)에 각각 구비된 반원형상의 수용홈(121)으로 한정되며, 제2 수평부를 전폭방향으로 따라 활주가능한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더욱이, 커플링(12)은 수용홈(121) 내에 전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장홀(122)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장홀(122)은 커플링의 길이방향, 다시 말하자면 오토바이 자체의 전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회동 바아의 제2 수평부(112a)가 한쌍의 커플링으로 규정된 중공부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2 수평부(112a)의 자유단에 구비된 걸림 돌기(171)를 장홀(122)에 삽입된다. 본 발명은 장홀의 길이에 상응하게 제2 수평부(112a)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한쌍의 커플링(12)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2개의 지지 바아(11) 사이에 간격을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한쌍의 커플링(12)은 제2 수평부의 외주면에서 구비된 걸림 돌기(171)를 장홀(122) 내로 삽입하여 장홀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2 수평부의 활주이동을 보장하는 반면에 제2 수평부의 둘레방향으로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본 발명은 탑승자의 몸통 너비에 맞춰 2개의 지지 바아(11) 사이의 폭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토바이 후방에 구비된 한쌍의 리어 프레임 간격에 맞춰 2개의 지지 바아 사이의 폭 간격을 가변시켜 용이한 장착을 도울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gap between the two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한쌍의 커플링(12)을 예컨대 볼팅 체결방식 등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Op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또한, 본 발명은 한쌍의 커플링 양단을 엔드 플레이트(13)로 마감처리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커플링(12) 양단에 맞댄 상태로 볼팅 체결방식으로 한쌍의 커플링을 단일체의 통형상 부재로 조립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pair of couplings may be finished with the
엔드 플레이트는 한쌍의 커플링 양단에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의 내부 영역에 관통공(131)을 천공하여 회동 바아(112)의 제2 수평부(112a) 자유단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관통공(131)은 제2 수평부 자유단의 출입시 자유단에 구비된 2개의 걸림 돌기(171)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2 수평부 자유단과 자유단 외주면에서 직경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걸림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천공될 수 있다. The end plate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couplings, and a through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등받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인 승차, 즉 오토바이의 뒷좌석에 탑승한 동승자의 착석 위치에 맞춰 오토바이의 안장 후방에서 위치를 재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동승자에게 적합하도록 등받이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backres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addl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seating position of a passenger riding in the rear seat of a motorcycle, that is, two-person riding. The tilt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to suit the passenger.
이와 같은 작용은 고정 바아(111)의 수직방향 중간부분에 회동 바아(112)를 틸팅가능하게 결합함으로서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고, 부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나 선택에 따라 오토바이의 리어 프레임에 전후 대칭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such an action is made possible by tiltably coupling the pivoting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용 등받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backres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ntional knowledge in the art It will be said that it is clear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ose who have i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등받이,
11 ----- 지지 바아,
111 ----- 고정 바아, 111a ----- 제1 수평부, 111b ----- 제1 기립부,
112 ----- 회동 바아, 112a ----- 제2 수평부, 112b ----- 제2 기립부,
12 ----- 커플링, 121 ----- 수용홈, 122 ----- 장홀,
13 ----- 엔드 플레이트,
14 ----- 쿠션부재,
151 ----- 고정 관절부, 151a ----- 숫나사부,
151b ----- 고정 관절부 톱니형 돌기,
152 ----- 회동 관절부, 152a ----- 암나사공,
152b ----- 회동 관절부 톱니형 돌기,
153 ----- 스프링,
154 ----- 스토퍼,
161 ----- 브래킷,
171 ----- 걸림돌기.1 ----- backrest;
11 ----- support bar;
111 ----- fixed bar, 111a ----- first horizontal part, 111b ----- first standing part,
112 ----- rotation bar, 112a ----- second horizontal part, 112b ----- second upright part,
12 ----- coupling, 121 ----- receiving groove, 122 ----- long hole,
13 ----- end plate;
14 ----- Cushion member,
151 ----- fixed joint, 151a ----- male screw,
151b ----- fixed joint serrated protrusion,
152 ----- rotation joint, 152a ----- female threaded hole,
152b ----- rotational joint serrated projection,
153 ----- spring,
154 ----- stopper,
161 ----- Bracket,
171 ----- Stumbling block.
Claims (9)
상기 지지 바아(11) 사이에 개재되는 한쌍의 커플링(12); 및
상기 한쌍의 커플링(12) 외주면에 결합 배치된 쿠션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아(11)는 상기 오토바이의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바아(111)와 상기 고정 바아(111)의 상측 단부에 틸팅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바아(112)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 바아(111)는 상기 오토바이의 리어 프레임을 따라 길이연장된 제1 수평부(111a)와 상기 제1 수평부(111a)에서 상방으로 길이연장된 제1 기립부(1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 바아(112)는 상기 고정 바아(111)의 상측 단부에 틸팅가능하게 결합된 제2 기립부(112b)와 상기 제2 기립부의 상측 단부에서 오토바이 차체의 전폭방향에 대해 중심부로 길이연장된 제2 수평부(112a)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 바아(11)가 오토바이 차체의 전장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오토바이용 등받이.
two support bars 11 disposed detachably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 rear of the motorcycle;
a pair of couplings 12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ars 11; and
Including; a cushion member 14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r of couplings 12;
The support bar 11 is composed of a fixed bar 111 coupled to the rear frame of the motorcycle and a pivoting bar 112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bar 111 to be tiltable, and the fixed bar 111 ) is composed of a first horizontal portion 111a extending along the rear frame of the motorcycle and a first standing portion 111b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a, and the rotation bar 112 ) is a second standing portion 112b til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111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anding portion to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full width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 112a),
The backrest for a motorcycle, wherein the support bar (11) is configured to be tiltable in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제1 내측면 중심에서 관통 배치된 숫나사부(151a)와;
상기 제1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형 돌기(151b); 및
상기 숫나사부(151a) 외주면 둘레에 삽입 배치된 스프링(153);을 구비한 고정 관절부(151)를 상기 고정 바아(111)의 상측 단부에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등받이.
The method of claim 1,
a male screw portion 151a disposed penetrat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inner surface;
saw-toothed protrusions 151b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inner side edge; and
A backrest for a motorcycle, comprising a fixed joint portion 151 having a spring 153 insert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le screw portion 151a at an upper end of the fixing bar 111.
상기 고정 바아(111)는 상측 단부에서 전장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스토퍼(154)를 구비하는, 오토바이용 등받이.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bar 111 has two stoppers 154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backrest for a motorcycle.
상기 고정 관절부(151)의 상기 제1 내측면과 대면하는 제2 내측면 중심을 천공하는 암나사공(152a)과;
상기 제2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형 돌기(152b);를 구비한 회동 관절부(152)를 상기 제2 기립부(112b)의 하측 단부에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등받이.
The method of claim 3,
a female threaded hole 152a drilling a center of a second inner surface facing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fixed joint part 151;
A backrest for a motorcycle, comprising a pivoting joint portion 152 having a sawtooth protrusion 152b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inner side edge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tanding portion 112b.
상기 회동 바아(112)는 상기 제2 수평부(112a) 자유단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걸림 돌기(171)를 구비하는, 오토바이용 등받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 bar (112) has two hooking protrusions (171) arranged diametrically opposite to each other arou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12a).
상기 한쌍의 커플링(12)은 내부 접촉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121)과, 상기 수용홈(121) 내에 오토바이 차체의 전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장홀(122)을 구비하는, 오토바이용 등받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couplings 12 ar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groove 12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ontact surface and two long holes 122 spaced apart in the full width direction of the motorcycle body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21, motorcycle dragon backrest.
상기 한쌍의 커플링(12) 양단에 위치고정되는 엔드 플레이트(13)를 추가로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등받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rest for a motorcycle further comprising an end plate 13 fixed in position at both ends of the pair of couplings 12.
상기 엔드 플레이트(13)는 엔드 플레이트의 내부 영역에 관통공(131)을 천공하는, 오토바이용 등받이.The method of claim 8,
In the end plate (13), a through hole (131) is bored in an inner region of the end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85436A KR102551507B1 (en) | 2022-12-27 | 2022-12-27 | Back rest for motorcy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85436A KR102551507B1 (en) | 2022-12-27 | 2022-12-27 | Back rest for motorcyc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551507B1 true KR102551507B1 (en) | 2023-07-04 |
Family
ID=8715666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85436A Active KR102551507B1 (en) | 2022-12-27 | 2022-12-27 | Back rest for motorcy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51507B1 (en) |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313639A (en) * | 1979-05-29 | 1982-02-02 | Ware Manufacturing, Incorporated | Motorcycle backrest |
| KR900009392U (en) * | 1988-10-06 | 1990-05-04 | 금성계전 주식회사 |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
| JP2001270694A (en) * | 2000-03-28 | 2001-10-02 | Nippon Yusoki Co Ltd | Fork lift |
| KR20030080662A (en) * | 2002-04-10 | 2003-10-17 | 박태근 | Foam-massage roller |
| KR100809545B1 (en) * | 2007-09-07 | 2008-03-04 | 최종환 | Self-illuminating device |
| KR200491093Y1 (en) | 2018-09-20 | 2020-02-19 | 이효성 | A backrest for a motorcycle |
| CN216761991U (en) * | 2021-11-17 | 2022-06-17 | 胡廷刚 | Portable motorcycle backrest |
| CN216777841U (en) * | 2021-11-16 | 2022-06-21 | 东部原木市场海安有限公司 | A auxiliary device for dance is study at waist down |
-
2022
- 2022-12-27 KR KR1020220185436A patent/KR10255150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313639A (en) * | 1979-05-29 | 1982-02-02 | Ware Manufacturing, Incorporated | Motorcycle backrest |
| KR900009392U (en) * | 1988-10-06 | 1990-05-04 | 금성계전 주식회사 |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
| JP2001270694A (en) * | 2000-03-28 | 2001-10-02 | Nippon Yusoki Co Ltd | Fork lift |
| KR20030080662A (en) * | 2002-04-10 | 2003-10-17 | 박태근 | Foam-massage roller |
| KR100809545B1 (en) * | 2007-09-07 | 2008-03-04 | 최종환 | Self-illuminating device |
| KR200491093Y1 (en) | 2018-09-20 | 2020-02-19 | 이효성 | A backrest for a motorcycle |
| CN216777841U (en) * | 2021-11-16 | 2022-06-21 | 东部原木市场海安有限公司 | A auxiliary device for dance is study at waist down |
| CN216761991U (en) * | 2021-11-17 | 2022-06-17 | 胡廷刚 | Portable motorcycle backres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019422A (en) | Laterally pivoting bicycle saddle mount with shock absorber | |
| US7891739B2 (en) | Apparatus for mounting a wheelchair back | |
| US7144029B1 (en) | Bicycle seat attachment | |
| US20080084097A1 (en) | Support for a backrest | |
| US7775588B2 (en) | Seat structure, particularly for cycle and human body support frames | |
| KR20050009705A (en) | Adjustable attachment and tensioning assembly for the suspension of a seat assembly | |
| JP5164242B2 (en) | Children's seat and telescopic adjustable foot support | |
| KR102551507B1 (en) | Back rest for motorcycle | |
| US4502727A (en) | Pivot mounted cycle seat with spring cradle | |
| US4950004A (en) | Bicycle chair | |
| US20070215661A1 (en) | Utility system for motorized wheelchairs and scooters | |
| US20060290179A1 (en) | Saddle seat assembly | |
| JP2000005236A (en) | Device for supporting head or the like for wheelchair | |
| US6755464B2 (en) | Bicycle seat | |
| JP2021534031A (en) | Adjustable lumbar support for vehicle seats | |
| JP4214504B2 (en) | Wheelchair legrest | |
| JP3194036U (en) | Backrest for seat | |
| JPS6313112Y2 (en) | ||
| CN215205203U (en) | Seat adjusting device for motorcycle | |
| JP4202691B2 (en) | Chair headrest device | |
| JP2004042689A (en) | Monitor mounting device on automobile seat | |
| JPH11244336A (en) | Heard rest for vehicle | |
| US20180009495A1 (en) | Motorcycle child safety grips | |
| KR102170934B1 (en) | head rest for vehicle | |
| KR100284699B1 (en) | Rear seat headrest feeder of ca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