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1947B1 - 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 - Google Patents

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947B1
KR102551947B1 KR1020210020984A KR20210020984A KR102551947B1 KR 102551947 B1 KR102551947 B1 KR 102551947B1 KR 1020210020984 A KR1020210020984 A KR 1020210020984A KR 20210020984 A KR20210020984 A KR 20210020984A KR 102551947 B1 KR102551947 B1 KR 10255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wing arm
swing
arm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9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7527A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21002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947B1/en
Publication of KR2022011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5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94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걷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좌우대칭구비되는 "ㅅ" 형상의 지주(1) 상단에 전후회동가능한 스윙암(2)이 형성되고, 상기 스윙암(2) 하부에 발판(3)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3)에 발을 올려 걷는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스윙암(2)이 전후로 왕복회동하여 공중에서 걷기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한 손잡이(4)가 상기 지주 상측에 형성된 공중걷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윙암(2)은 사용자 무릎을 기준으로 대퇴부와 종아리 부위와 일치되도록 상하 암(100)으로 나뉘어지게 구성되고, 나뉘어져 상하암(100)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 무릎에 대응되는 위치에 링크결합되며, 스윙암(2)의 전후회동 작동간에 후방으로 회동시 사용자의 보행운동에 따라 무릎부위의 접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접히고, 전방으로 회동시 사용자의 보행운동에 따라 무릎부위가 펴지는 위치까지 선회제어되도록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이 상기 스윙암(2)과 지주(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걷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walking exercise device, wherein a swing arm (2)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a "ㅅ" shaped post (1) provided symmetrically, and a footrest (3) is formed under the swing arm (2). When the user walks by putting his/her foot on the footrest 3, the swing arm 2 rotates back and forth to enable walking in the air, and a handle for the user to balance the body In the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st, the swing arm (2)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arms 100 so as to match the thigh and calf regions based on the user's knee, and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arms (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link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knee, and when the swing arm 2 rotates backward between the front and rear rotation operations, it is fol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knee part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and the front In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is coupled to the swing arm (2) and the support (1) so as to control the sw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knee part is spread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when turning. it's about

Description

공중걷기 운동기구{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공중걷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동작과 같이 무릎이 굽혀졌다 펴졌다를 반복하여 무릎관절에 무리없이 공중에서 걷기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체근력의 강화와 함께 운동의 흥미유발과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며, 장소의 제약이 적어 좁은 공간에서 바른 걷기운동이 가능하여 보행습관의 교정과 더블어 보다 안전한 공중걷기운동이 가능한 공중걷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walking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repeating the bending and extension of the knee like a walking motion to enable walking motion in the air without straining the knee joint, thereby strengthening the lower body muscle strength and exercising together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capable of inducing interest in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correct walking exercise in a narrow space with less space restrictions, thereby correcting walking habits and enabling safer air walking exercise.

최근들어 비만 예방 또는 성인병 예방차원과, 방송 매체를 통한 몸짱 열풍으로 인해 남녀노소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양한 운동을 즐겨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을 즐기는 것은 단순히 외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것도 있지만 문명의 이기를 누리고 있는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부분에서는 무엇보다도 건강한 신체를 가꾸어야 하기 때문에 운동을 하는 것이다.Recently, most people of all ages are enjoying various sports due to the prevention of obesity or adult diseases and the craze for body shape through broadcasting media. Enjoying these exercises is not just to show the appearance, but we exercise because we, who are enjoying the benefits of civilization, have to maintain a healthy body above all in order to lead a healthy life in our daily lives.

그러나,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이러한 문명의 이기에 의한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운송수단이나 인체의 활동을 필수적으로 요구해왔던 모든 행위를 기계가 대신함으로써 운동부족을 초래하게 되므로, 문명의 이기를 최대한 누리면서도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육체적인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야만 각종 질병이나 질환 또는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실천에 옮기고 있다.However,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cause a lack of exercise by replacing all the activities that have required the activities of the human body or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automobiles used in life by the selfishness of civilization, resulting in a lack of exercise. In order to lead a healthy and happy life while enjoying it, we are well aware of and put into practice that proper physical exercise can be done regularly to increase various diseases or diseases or immunity.

이러한, 운동은 헬스클럽, 공원, 가정 등에서 널리 행하여지고 있고, 대표적인 것으로 걷기, 달리기, 허리운동, 옆구리운동 등의 하체위주의 운동이 많다. 일반적으로 운동하고자 하는 사람이 헬스클럽에서 보통 제일먼저 하는 것이 간단한 스트레칭 후, 런닝머신 또는 걷기운동기구 등을 이용하고, 그 이후에는 허리운동, 팔 등의 근력운동의 순서로 운동을 하고 있다. 물론, 그 반대로 운동을 하는 사람이나 자신의 능력이나 단련할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행하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공원이나 가정에서도 살펴보면 가장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이 걷기운동기구, 옆구리운동기구, 허리를 비트는 허리운동기구 등이 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대다수이 운동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위와 같은 운동기구를 통해 걷기, 옆구리, 허리 등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수행한다. These exercises are widely performed in health clubs, parks, homes, and the like, an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lower body-oriented exercises such as walking, running, waist exercises, and flank exercises. In general, people who want to exercise usually first do simple stretching in a health club, then use a treadmill or walking exercise equipment, and then exercise in order of strength exercises such as waist exercises and arms. Of course, on the contrary, it is a situation that is per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erson who exercises or his or her ability or the part to be trained. Furthermore, if you look at the park or at home, you can see that the most easily found are walking exercise equipment, side exercise equipment, and waist exercise equipment that twists the waist. Exercises to strengthen muscles such as walking, flanks, and back are performed.

즉, 하체쪽의 운동이 보다 높은 운동효과를 주기 때문임과 동시에 유산소 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이 취하는 운동형태를 기준으로 운동기구들이 배치되어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exercise of the lower body gives a higher exercise effect and at the same time aerobic exercise is possible, the exercise equipment is arranged based on the exercise type taken by many people.

이와 같은 운동기구 중 단연 인기있는 운동기구로 공원과 같은 야외에 주로 설치되는 것으로 공중 걷기운동기구가 그 중 하나로서 이와 같은 공중걷기 운동기구는 보행동작을 통해 하체의 단련과 신체의 수평감각, 하체의 유연성, 심폐기능강화 등을 고려한 것으로 남녀노소한테 인기가 많다. Among these exercise equipment, it is by far the most popular exercise equipment, which is mainly installed outdoors such as parks, and the air walking exercise equipment is one of them. It is popular among men and women of all ages as i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lexibility of the body and strengthens cardiopulmonary function.

하지만, 종래의 공중걷기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가 형성되고, 지주와 지주 사이에 수평봉이 형성된 후, 수평봉 축선상에 결합하여 전후로 스윙동작하거나 지주의 서로마주보는 내측에 전후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 스윙동작하도록 발받침이 구비된 스윙암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공중걷기운동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을 핀 상태에서 좌우측다리가 서로 교차되게 운동하도록 되어 있어 무릎관절이 좋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좋지 못한 운동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air walking exercise equipment, after a support is formed that is fixed to the ground to the left and right, a horizontal bar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and then coupled to the axis of the horizontal bar to swing back and forth, or the support A swing arm equipped with a footres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so as to swivel back and forth so that the user can swing back and forth, so that the left and right legs are b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during the air walking exercise. It is designed to cross-exercise, which can lead to poor exercise results in the case of users with poor knee joints.

즉, 무릎을 핀상태에서 좌우측 다리를 서로 교차하면서 왕복운동하게 되면 과도한 스윙동작에 의해 가랑이 측의 허벅지 근육의 손상이 올 수 있고, 스윙암의 발받침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무릎이 굽혀지지 않기 때문에 왕복운동시 스윙암의 방향전환시점에서 무릎에 과도한 힘이 전가되어 무릎관절 충격으로 인한 무릎손상과 같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left and right legs cross each other while reciprocating with the knees pinned, damage to the thigh muscles on the crotch side may occur due to excessive swing motion, and the knees are not bent while the feet are placed on the footrest of the swing arm. Therefore, excessive force is transferred to the knee at the tim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wing arm during reciprocating motion, and safety accidents such as knee damage due to knee joint impact may occur frequently.

더욱이, 사용자가 과도한 스윙동작을 취하다보면 공중걷기운동기구의 전후방측을 스윙범위를 예측하고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스윙암의 발판에 부딛쳐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Moreover, when the user takes an excessive swinging mo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predict the swing range and cause a safety accident by colliding with the footrest of the swing arm to a passing pedestrian.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8316호, 등록일자 2012년 12월 27일.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18316, registration date December 27, 2012.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3343호, 등록일자 2005년 08월 11일.2)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No. 20-0393343, registration date August 11, 2005.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보행동작과 동일하게 무릎을 굽히면서 공중걷기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단점인 무릎 손상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스윙암의 과도한 선회를 방지하여 지나가는 행인이나 돌발적 상황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안전하게 하체단련 및 신체의 수평감각, 하체의 유연성, 심폐기능강화를 남녀 노소 누구나 가능한 공중걷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s configured to enable air walking while bending the knees in the same way as walking, thereby protecting the knee from damage or impact, which is a disadvantage of conventional air walking exercise equipment. It prevents excessive turning of the swing arm to prevent safety accidents from passers-by or unexpected situations while safely lower body training, horizontal sensation of the body, flexibility of the lower body, and strengthening of cardiorespiratory function. Its purpose is to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는 좌우대칭구비되는 "ㅅ" 형상의 지주(1) 상단에 전후회동가능한 스윙암(2)이 형성되고, 상기 스윙암(2) 하부에 발판(3)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3)에 발을 올려 걷는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스윙암(2)이 전후로 왕복회동하여 공중에서 걷기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한 손잡이(4)가 상기 지주 상측에 형성된 공중걷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윙암(2)은 사용자 무릎을 기준으로 대퇴부와 종아리 부위와 일치되도록 상하 암(100)으로 나뉘어지게 구성되고, 나뉘어져 상하암(100)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 무릎에 대응되는 위치에 링크결합되며, 스윙암(2)의 전후회동 작동간에 후방으로 회동시 사용자의 보행운동에 따라 무릎부위의 접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접히고, 전방으로 회동시 사용자의 보행운동에 따라 무릎부위가 펴지는 위치까지 선회제어되도록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이 상기 스윙암(2)과 지주(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wing arm 2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a symmetrical “ㅅ” shaped post 1, and the swing arm 2 is lowered. As the footrest 3 is coupled to the footrest 3 and the user performs a walking motion by placing his foot on the footrest 3, the swing arm 2 reciprocates back and forth to enable walking in the air. In the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in which the handle 4 for balanc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he swing arm 2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arms 100 so as to match the thigh and calf parts based on the user's knee, , divided,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link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knee, and when the swing arm 2 rotates backwards between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perations, the same direction as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knee part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It is folded to the front, and when turning forw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turning control means 200 is coupled to the swing arm 2 and the support 1 so that the swing control is controlled to the position where the knee part is unfolded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

여기서, 상기 스윙암(2)의 상하암(100)은 사용자의 대퇴부의 전후 교차 움직임에 따라 전후회동가능하게 지주(1) 상단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에 암수링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하단링크부(112)가 마련된 스윙선회암(110)과; 후방 회동시, 링크선회제어수단(200)에 의해 사용자의 무릎 굽힘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작동되고, 전방 회동시, 사용자의 무릎 펴짐 위치까지 선회제어되도록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112)에 링크결합되도록 상부에 암수링크 중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112)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상단링크부(122)가 마련되며, 하부에 사용자 발이 올려져 공중에 뜬 상태에서 보행운동이 가능하도록 발판(3)이 형성된 링크선회암(1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of the swing arm 2 are fixed to the top of the support 1 so as to be able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cross movement of the user's thigh, and the lower link formed by one of male and female links at the bottom. a swing swing arm 110 provided with a portion 112; The lower link part of the swing arm 110 ( 112), an upper link portion 122 corresponding to and coupled to the lower link portion 112 of the swing arm 110 among the male and female links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nd the user's feet are raised and floating in the air at the lowe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link pivot arm 120 on which the footrest 3 is formed so that walking motion is possible.

한편, 상기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은 링크선회암(120)의 지주측 방향의 상단링크부(122)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상측 일면에 상단링크부의 선회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선회결합축(21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ㅅ"자 형상의 지주(1)의 전방측 지주 내측 일면 중앙으로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에 타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암(220);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후방 선회시, 상기 스윙선회암(110)과 링크선회암(120)이 동일 중심에서 후방 선회하고, 스윙선회암과 링크결합된 링크선회암의 상단측 외면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의 선회결합축에 결합된 링크암(220)의 길이에 따라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의 후방 선회각도가 제한되는 위치에서 상기 링크선회암(120)이 원심력과 가속도에 의해 계속해서 후방 선회되려는 힘에 의해 스윙선회암(110)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링크선회암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의 선회결합축을 후방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져 링크선회암(120)의 발판(3)측 하단이 스윙선회암과 링크결합된 위치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더 선회되어 사용자 무릎의 굽힙각도에 대응되게 선회되며,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전방 선회시, 상기 링크암(220)이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을 기준으로 링크암의 길이에 대응되는 전방측 최대 위치 즉, 후방 선회보다 2배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전방 선회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link part 122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of the link swing arm 120, and the swing coupling shaft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wing center of the upper link part on the upper surface ( 212) is formed with the fixing bracket 210; One end of the “ㅅ”-shaped post 1 is pivot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on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ide post and the other end is pivotally coupled to the pivot shaft 212 of the fixing bracket 210. 220; when the swing swing arm 110 rotates backward, the swing swing arm 110 and the link swing arm 120 pivot backward at the same center, and the link coupled with the swing swing arm The link swivel arm 120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swivel angle of the swing arm and the link swivel arm is limi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k arm 220 coupled to the swivel shaft of the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swivel arm. By this centrifugal force and acceleration, the pivot axis of the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link pivot arm is pull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ivot direction of the swing pivot arm 11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ivot direction of the swing pivot arm 110 by the force to be continuously rotated backwar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acceleration, thereby making the link pivot. The lower end of the arm 120 on the side of the footrest 3 is further pivoted rearward based on the link-coupled position with the swing arm, turning to correspond to the bending angle of the user's knee, and when the swing arm 110 rotates forward , The forward swing is controlled until the link arm 220 is at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ink arm, that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wice the backward swing, based on the pivot axis 212 of the fixing bracket 210. characterized by being

여기서,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112) 또는 상기 링크선회암(120)의 상단링크부(122)에 스윙선회암의 전방회동시, 링크선회암이 스윙선회암의 전방측으로 굽혀지지 않고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이 동일선상에서 선회작동되도록 전방굽힘 제한돌기(300)가 더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swing swing arm is forwardly rotated to the lower link part 112 of the swing arm 110 or the upper link part 122 of the link swing arm 120, the link swing arm mov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wing arm. It is also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forward bending limiting projection 300 so that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pivot on the same line without being bent.

나아가, 상기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은 링크선회암(120)의 지주측 방향의 상단링크부(122)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상측 일면에 선회결합축(21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ㅅ"자 형상의 지주(1)의 전방측 지주 내측 일면 중앙으로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암(220)과;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암(220)의 타단에 선회가능하게 링크연결되는 제2링크암(230);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후방 선회시, 상기 스윙선회암(110)과 링크선회암(120)이 링크결합된 링크선회암 상단이 상기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의 제1링크암(220)과 제2링크암(230)이 동일직선상에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 위치되면 스윙선회암(110)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링크선회암의 상단링크부측이 잡아당겨져 스윙선회암의 후방 회동은 제한되고, 링크선회암(120)의 발판(3)측 하단이 링크결합부위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더 선회되어 사용자 무릎의 굽힙각도에 대응되게 선회되며,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전방 선회시, 상기 제2링크암(230)이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을 기준으로 스윙선회암의 전방회전과 반대반향으로 선회작동되면서 제1링크암(220)의 타단과 제2링크암(230)의 타단이 중첩되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부분까지 스윙선회암의 전방 선회가 제어되어 링크선회암의 전방선회가 함께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link portion 122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of the link swing arm 120, and a fixed bracket 210 having a swing coupling shaft 212 formed on one upper surface class; a first link arm 220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side post of the “ㅅ”-shaped post 1; A second link arm 230 having one end pivotably coupled to the pivot coupling shaft 212 of the fixing bracket 210 and the other end pivotally link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rm 220; When the swing arm 110 swings backward, the upper end of the link swing arm to which the swing arm 110 and the link swing arm 120 are linked is the first link of the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When the arm 220 and the second link arm 230 are positioned in a state of maximum spread on the same straight line, the upper link portion of the link swivel arm is pull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wing direction of the swing swivel arm 110, and the swing swivel arm 110 is pulled. The backward rotation of the link swing arm 120 is further rotated rearward based on the link coupling portion, and the swing swing arm 110 rotat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bending angle of the user's knee. When turning forward, the second link arm 230 pivo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swing arm with respect to the pivot shaft 212 of the fixing bracket 210,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arm 2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ward turning of the swing arm is controlled to the part where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rm 230 are overlapped and located on the same line, so that the forward turning of the link arm is controlled together.

본 발명은 수직상의 스윙암의 스윙작동간에 사용자의 무릎높이 부분에 사용자 무릎과 같이 꺽임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보행동작에 따른 보폭에 적합한 스윙각도로 스윙암의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행동작과 동일하게 무릎을 굽히면서 공중걷기 운동이 가능하고, 종래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무릎이 굽혀지지 않고 펴진상태로 공중걷기 운동으로 인한 단점인 무릎 손상이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무릎을 보호하고, 스윙암의 과도한 선회를 방지하여 지나가는 행인이나 돌발적 상황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 주변인을 보다 안전하게 하면서 사용자의 하체단련 및 신체의 수평감각, 하체의 유연성, 심폐기능강화를 남녀 노소 누구나 가능한 공중걷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a bending motion at the knee height of the user between the swing motions of the vertical swing arm, like the user's knee, and to limit the angle of the swing arm to a swing angle suitable for the stride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In the same way as walk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air walking while bending the knee, and protect the knee from damage to the knee or impact applied to the knee, which is a disadvantage caused by the air walking exercise in a state where the knee of the conventional air walking exercise device is not bent but stretched , By preventing excessive turning of the swing arm,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from passing passers-by or unexpected situations, while making the user and those around him more safe while strengthening the user's lower body, body horizontal sense, lower body flexibility,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ossible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도 1은 종래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1의 전방회동시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1의 후방회동시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2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2의 전방회동시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2의 후방회동시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ir walking exercise machine.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air walking exercise device.
Figure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air walking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state of use during forward rotation of Example 1 of an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of Example 1 in use during backward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Example 2 of an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state of use during forward rotation of Example 2 of an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of Example 2 in use during backward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y any means.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lso,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e (or include)'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air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1의 전방회동시 사용상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1의 후방회동시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2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2의 전방회동시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실시예 2의 후방회동시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Figure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front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used state during rear rotation, and Figure 7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of Examp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during forward rota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of Examp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during rear rotation.

본 발명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는 좌우대칭구비되는 "ㅅ" 형상의 지주(1) 상단에 전후회동가능한 스윙암(2)이 형성되고, 상기 스윙암(2) 하부에 발판(3)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3)에 발을 올려 걷는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스윙암(2)이 전후로 왕복회동하여 공중에서 걷기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한 손잡이(4)가 상기 지주 상측에 형성된 통상의 공중걷기 운동기구를 개선하여 수직상의 스윙암의 스윙작동간에 사용자의 무릎높이 부분에 사용자 무릎과 같이 꺽임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보행동작에 따른 보폭에 적합한 스윙각도로 스윙암의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행동작과 동일하게 무릎을 굽히면서 공중걷기 운동이 가능함에 따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하체단련 및 신체의 수평감각, 하체의 유연성, 심폐기능강화를 남녀 노소 누구나 가능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암(2)을 상하로 나눈 상하암(100), 링크선회제어수단(200)으로 구성된다. In the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wing arm 2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a "ㅅ" shaped post 1 equipped with left and right symmetry, and a footrest 3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arm 2. As the user puts his foot on the footrest 3 and performs a walking motion, the swing arm 2 reciprocates back and forth to enable walking in the air. ) improves the general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o enable a bending motion like the user's knee at the user's knee height between swing operations of the vertical swing arm, and suitable for the stride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By configuring the angle of the swing arm to be limited by the swing angle, it is possible to walk in the air while bending the knee in the same way as the walking motion, so it is used more safely while strengthening the user's lower body training, body horizontal sensation, lower body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it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arms 100 dividing the swing arm 2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link turning control means 200.

여기서, 상기 스윙암(2)은 종래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전후왕복이동을 통해 운동하도록 구성되지만 본원 발명의 스윙암(2)은 상하로 나눈 상하암(100)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보행하는 것과 같이 무릎을 굽히면서 전후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상기 스윙암(2)은 사용자 무릎을 기준으로 대퇴부와 종아리 부위와 일치되도록 상하 암(100)으로 나뉘어지게 구성되고, 나뉘어져 상하암(100)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 무릎에 대응되는 위치에 링크결합되며, 스윙암(2)의 전후회동 작동간에 후방으로 회동시 사용자의 보행운동에 따라 무릎부위의 접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접히고, 전방으로 회동시 사용자의 보행운동에 따라 무릎부위가 펴지는 위치까지 선회제어되도록 후술되는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이 상기 스윙암(2)과 지주(1)에 결합된다.Here, the swing arm 2 is conventionally configured to exercise through back-and-forth reciprocation while the user does not bend the knee, but the swing ar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arms 100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so that the user can It is configured to enable back and forth reciprocation while bending the knee as in walking, and the swing ar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arms 100 so as to match the thigh and calf regions based on the user's knee, It is divided, and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link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knee, and when the swing arm 2 rotates backward between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perations, it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knee part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A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described below is coupled to the swing arm 2 and the support 1 so that the swing arm 200 is pivotally controlled to a position where the knee part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walking motion of the user when the link is folded and rotated forward.

이와 같은 상기 스윙암(2)을 구성하는 상하암(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선회암(110), 링크선회암(120)으로 구성된다.The upper and lower arms 100 constituting the swing arm 2 are composed of a swing swing arm 110 and a link swing arm 120, as shown in FIGS. 3 and 4 .

상기 스윙선회암(110)은 사용자의 대퇴부의 전후 교차 움직임에 따라 전후회동가능하게 지주(1) 상단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에 암수링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하단링크부(112)가 마련된다. The upper part of the swing arm 110 is fixed to the top of the support 1 so as to be able to rotate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cross movement of the user's thigh, and the lower link part 112 formed by one of male and female links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

상기 링크선회암(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가 뒤로 빠지는 동작인 후방 회동시, 후술되는 링크선회제어수단(200)에 의해 사용자의 무릎 굽힘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작동되고, 사용자의 다리가 앞으로 전진하는 동작인 전방 회동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릎 펴짐 위치까지 선회제어되도록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112)에 링크결합되도록 상부에 암수링크 중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112)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상단링크부(122)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링크선회암(120)의 하부에 사용자 발이 올려져 공중에 뜬 상태에서 보행운동이 가능하도록 발판(3)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 the link swing arm 120 is operated to pivo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ser's knee bending by the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described below when the user's legs are turned backward, which is an opera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s legs move forward, the upper part is linked to the lower link part 112 of the swing arm 110 so that the swing control is controlled until the user's knee is extended, as shown in FIG. Among the male and female links, an upper link portion 122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link portion 112 of the swing swing arm 110 is provided. In addition, a footrest 3 is formed below the link swing arm 120 so that the user's foot is raised and walking motion is possible while floating in the air.

한편, 상기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암(100)으로 나누어진 하측의 링크선회암(120)이 스윙선회암(110)의 후방선회시 후방측으로 더 선회되어 사용자의 보행과정에서 무릎을 구부리는 것과 같은 선회각도로 선회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사용자의 보행과정에서의 후방회동시, 무릎 구부림 정도의 구부림 각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전방으로 선회시, 스윙선회암(110)의 선회각도보다 링크선회암(120)이 더 선회되지 않도록 제한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link swing control unit 200 further rotates to the rear side when the lower link swing arm 120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arms 100 rotates backward of the swing swing arm 110, so that the user It is provided to control turning at the same turning angle as bending the knee during the walking process of the user, and when turning backward during the walking process of the user, not to deviate from the bending angle of the degree of knee bending, and when turning forward, swing turning The link swing arm 120 is limited so that it does not turn more than the swing angle of the arm 110.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기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10), 제1링크암(220), 제2링크암(230)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링크선회암(120)의 지주측 방향의 상단링크부(122)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상측 일면에 상단링크부의 선회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선회결합축(212)이 형성된다.Accordingly, the link turning control means 200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f a fixing bracket 210, a first link arm 220, and a second link arm 230, as shown in FIG. Here, the fixing bracket 210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link part 122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of the link swing arm 120, and the pivot coupling shaft 212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ivot center of the upper link part 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상기 제1링크암(220)은 "ㅅ" 형상의 지주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되는 제2링크암(230)에 결합되되, 지주의 전방측에 제1링크암(22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시예 1과 제1링크암(220)이 지주의 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시예 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암(220)의 지주의 전후방 결합에 따른 실시예1, 2를 통해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The first link arm 220 has one end coupled to a “ㅅ” shaped pos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second link arm 2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link arm 220 rotates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It can be composed of Example 1 in which it is possible to be coupled and Example 2 in which the first link arm 2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and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coupling of the support of the first link arm 220 The working relationship is explained through Examples 1 and 2.

<실시예 1><Example 1>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의 제1링크암(220)이 지주(1)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은 링크선회암(120)의 지주측 방향의 상단링크부(122)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암(220)은 상기 "ㅅ"자 형상의 지주(1)의 전방측 지주 내측 일면으로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암(220)의 타단은 후술되는 제2링크암(230)의 일단과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링크암(230)의 타단은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회결합축(212)은 상측 일면에 상단링크부의 선회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단링크부의 선회중심보다 선회결합축의 선회중심이 높은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3, 5 and 6, when the first link arm 220 of the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1,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racket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link portion 122 of the link swivel arm 120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column, and the first link arm 220 extends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ide support column of the “ㅅ”-shaped support column 1. One end is pivotably coupled.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rm 220 is pivotably coupled to one end of a second link arm 2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rm 23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210. It is pivotally coupled to the shaft 212. Here, as described above, the pivot shaft 212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ivot center of the upper link part on the upper surface, so the pivot center of the pivot shaft is higher than the pivot center of the upper link part.

상기와 같이 제1링크암(220)이 지주의 전방측에 결합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후방 선회시, 상기 스윙선회암(110)과 링크선회암(120)이 동일 중심에서 후방 선회하고, 스윙선회암과 링크결합된 링크선회암의 상단측 외면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의 선회결합축에 결합된 제2링크암(230)과 제1링크암(220)이 동일선산으로 완전히 펼쳐진 전체의 길이에 따라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의 후방 선회각도가 제한되는 위치에서 상기 링크선회암(120)이 원심력과 가속도에 의해 계속해서 후방 선회되려는 힘에 의해 스윙선회암(110)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링크선회암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의 선회결합축을 후방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져 링크선회암(120)의 발판(3)측 하단이 스윙선회암과 링크결합된 위치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더 선회되어 사용자 무릎의 굽힙각도에 대응되게 선회된다. As the first link arm 220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 when the swing arm 110 swings backward, the swing arm 110 and the link swing arm 120 pivots backward at the same center, and the second link arm 230 and the first link arm ( 220)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turning angle of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is limited accor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fully unfolded same line, the link swing arm 120 is continuously turned backwar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acceleration By the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swing swing arm 110, the swing coupling shaft of the fixed bracket coupled to the link swing arm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ar swing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ink swing arm 120 on the footrest 3 side swings Based on the linked position with the arm, it further pivots backward to correspond to the bending angle of the user's kne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전방 선회시, 상기 제1링크암(220)과 선회되게 결합된 제2링크암(230)의 타단이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을 기준으로 제1링크암의 길이에 대응되는 선회궤적을 따라 전방측 최대 위치 즉, 후방 선회보다 2배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전방 선회가 제어된다. 즉, 제1링크암(220)의 지주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제1링크암(220)의 길이에 대응되는 선회궤적을 따라 전방회동에 따른 선회각도가 결정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when the swing arm 110 pivots forwar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rm 230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link arm 220 is fixed to the bracket 210. Forward swing is controlled up to the maximum position on the front side, that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wice the backward swing, along the swing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arm based on the swing coupling shaft 212 of . That is, a turning angle according to forward rotation is determined along a turning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arm 220 based on one end coupled to the support of the first link arm 220 .

상기 설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는 두 발을 좌우측에 대칭형성된 발판에 발을 올려놓는다. 이후, 보행동작과 같이 먼저 오른쪽발을 전체 대퇴부와 종아리가 일체로 힘으로 주어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으로 구성된 상하암(100)이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한다. Looking at the above description in more detail, first, the user puts both feet on footrests symmetrical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after, as in a walking motion,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composed of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are made to pivot forward by giving the right foot as an integral force to the entire thigh and calf.

이때, 전방 선회시에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 전방에 결합된 후술되는 전방굽힘 제한돌기(300)에 의해 링크선회암(120)의 상단링크부를 기준으로 스윙선회암의 최적 선회각도에서 전방측으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보행동작에 따른 오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동작된다.At this time, the optimum turning angle of the swing arm 120 based on the upper link part of the link swing arm 120 is determined by the forward bending limiting protrusion 3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oupled to the front of the lower link part of the swing swing arm 110 during forward turning. It is operated by preventing mal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walking motion by preventing it from being bent forward.

여기서, 전방 선회시,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의 제1링크암(220)은 전방측 지주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제1링크암(220)의 타단에는 제2링크암(230)의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2링크암(230)의 타단에는 고정브라켓의 선회결합축에 결합되어 있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을 후방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되어 링크선회암의 앞서 상술한 스윙선회암보다 더 돌출되어 선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으로 구성된 전체 상하암의 선회각도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암(220)의 전방 지주에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암이 전방으로 더 선회하게 될 때에는 상기 제1링크암(220)의 선회궤적을 따라 제2링크암(230)이 이동하면서 제2링크암(230)의 타단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을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어 링크선회암이 스윙선회암 전방으로 꺽임을 제한하게 된다. Here, at the time of forward turning, the first link arm 220 of the link turning control means 200 has one end fixed to the front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rm 220 has a second link arm 230. One end is pivotably couple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rm 230 is coupled to the pivot coupling shaft of the fixing bracket, so as shown in the drawing, it serves to push the fixing bracket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link arm 230 It prevents turning by protruding more than the swing swing arm described above, and also limits the turning angle of the entire upper and lower arms composed of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In addition, when the upper and lower arms rotate further forward based on the portion fixed to the front support of the first link arm 220, the second link arm 230 follows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first link arm 220. While moving, it serves to pull the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rm 230, limiting the link swing arm to bend forward.

다음으로, 사용자는 후방으로 발을 구르며 대퇴부와 고관절을 이용하여 발판이 후방으로 선회하도록 힘을 발휘하게 되고, 이 때, 선회기준인 수직선상의 중심부를 지나는 동안에는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은 동일선상에서 이동하게 되지만 계속해서 제1링크암(220)의 선회궤적과 제2링크암(230)의 선회궤적이 일치되어 동일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의 전체 길이에 따른 선회각도의 제한점까지 도달하면 이후에는 제1링크암의 지주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한정된 길이와 제2링크암(230)의 한정된 길이에 의해 스윙선회암은 후방선회가 제한되고, 스윙선회암의 후방선회가 제한됨과 동시에 고정브라켓을 제1링크암과 제2링크암의 제한된 길이의 일단에 의해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링크선회암의 상단링크부를 기준으로 링크선회암의 발판측이 스윙선회암의 회전력과 제1, 2링크암의 당김력에 의해 스윙선회암의 제한 선회각도에서 굽혀지면서 사용자는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을 취하게 되어 무릎에 인가될 충격량을 상쇠하게 되는 보행동작을 완성하게 된다. Next, the user rolls his foot backwards and uses his thigh and hip joints to exert force so that the footrest turns backward. It moves, but when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first link arm 220 and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second link arm 230 continue to match and reach the limit of the turning angle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unfolded state, the first link arm 220 continues to move. Due to the limited length of the second link arm 230 and the limited length of the second link arm 230 in the state of being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of the link arm, backward turning of the swing arm is restricted, backward turning of the swing arm is restri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bracket is installed in the first As one end of the limited length of the link arm and the second link arm plays a role in pulling, the footrest side of the link swivel arm based on the upper link part of the link swivel arm ha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wing arm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arms. As the swing arm is bent at the limited turning angle by the pulling force, the user takes an action to bend the knee, thereby completing a walking action that offsets the amount of impact to be applied to the knee.

<실시예 2><Example 2>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의 제1링크암(220)이 지주(1)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은 링크선회암(120)의 지주측 방향의 상단링크부(122)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암(220)은 상기 "ㅅ"자 형상의 지주(1)의 후방측 지주 내측 일면 중앙으로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링크암(230)의 일단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에 제2링크암(230)의 타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7 to 9, when the first link arm 220 of the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1,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racket rotates the link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link part 122 of the arm 120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column, and the first link arm 220 is once center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ide support column 1 of the "ㅅ" shape. This pivotally coupled, the other end is pivot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arm 23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rm 230 pivots to the pivoting coupling shaft 212 of the fixing bracket 210. possibly combined

상기와 같은 고정브라켓(210)과 제1링크암(220), 제2링크암(230)의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실시예 2의 구성은 후술되는 제2링크암이 제1링크암을 기준으로 선회력에 의해 고정브라켓(210)을 링크선회암(120)의 후방선회방향의 반대방향측의 전방측으로 밀어 링크선회암(120)이 상단링크부를 기준으로 발판측이 스윙선회암(110)보다 더 후방측으로 선회되면서 구부러지는 것과 같은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무릎 굽힘각도에 대응되게 선회되도록 상기 링크선회암(120)의 지주측 방향의 상단링크부(122)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상측 일면에 후술되는 제2링크암(230)의 일단이 축결합하는 선회결합축(2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기어변속을 위한 기어봉을 전후로 밀거나 당겨 조작하는 것과 같이, 고정브라켓이 제2링크암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거나 당겨지게 조작됨에 따라 발판이 구비된 링크선회암(120)이 스윙선회암(110) 기준 후방 선회시, 더 선회되어 무릎이 굽혀지는 것과 같은 보행동작을 사용자가 취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the configuration of Example 2 in which the fixing bracket 210, the first link arm 220, and the second link arm 230 are pivotally linked, the second link arm described later is based on the first link arm. By pushing the fixing bracket 210 to the front side of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ar turning direction of the link swing arm 120 by the swing force, the footrest side of the link swing arm 120 is higher than the swing swing arm 110 based on the upper link part. It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it is bent while turning more rearward,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link portion 122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of the link swing arm 120 so as to turn corresponding to the user's knee bending angle, and the upper side A pivot coupling shaft 212 to which one end of a second link arm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axially coupled is formed on one surface. That is, the fixing bracket 210 is a footrest as the fixing bracket 210 is manipulated to be pushed or pull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second link arm, for example, as in pushing or pulling a gear rod for gear shifting of a car back and forth. When the provided link swing arm 120 pivots backward relative to the swing swing arm 110, it is further turned so that the user can take a walking action such as bending the kne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암(220)은 후술되는 제2링크암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결합된 링크선회암의 보행각도로 스윙선회암보다 더 선회되도록 구성되고,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의 전방 선회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ㅅ"자 형상의 지주(1)의 전방측 지주 내측 일면 중앙으로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자형의 긴 막대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에 의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의 전방 회동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즉, 길이가 현재 도면에 도시된 부분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의 전방 선회각도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방측으로 더 돌출되게 된다. 길이가 도면에 도시된 부분보다 작을 경우에는 돌출되는 선회각도가 작아지게 되며, 이와 같은 각도의 제한은 사용자의 평균적 보행동작을 기준으로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평균적 보행동작은 일반적 성인의 보폭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9, the first link arm 220 is connected to a second link arm to be described later and configured to turn more than a swing swing arm at a walking angle of a link swing arm to which the fixing bracket is coupled. It is configured to limit the forward turning angle of the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and one end is pivotal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ide support of the "ㅅ"-shaped support 1, and is in the shape of a straight long bar. I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length limits the forward rotation angle of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length is formed longer than the portion shown in the current drawing, the forward turning angle of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is formed to be large, so that they protrude more toward the front side. If the length is smaller than the portion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ding turning angle becomes small, and this angle is limited based on the user's average walking motion. Here, the average gait motion is preferably based on the stride length of a general adult.

상기 제2링크암(230)은 제1링크암(220)을 기준으로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의 선회동작에 따라 고정브라켓(210)을 밀고 당기는 작용을 하게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암(220)의 타단에 선회가능하게 링크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암(230)은 제1링크암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을 당기고 미는 작용에 있어 빠르게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즉, 스윙암(2)인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으로 구성된 상하암(100)의 후방 선회작동시에는 제2링크암(230)은 고정브라켓을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고, 이때의 밀어내는 작용을 위한 외력은 상하암(100)의 후방선회작동에 따른 힘에 대하여 제1링크암의 일단이 지주에 고정된 상태에서의 버팀력에 의해 작용된다. 이와 반대로 상하암(100)이 전방으로 선회작동시에는 제2링크암은 잡아당기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제1링크암의 일단이 고정된 부분에 의해 전방으로 선회되면서 작용되는 상하암(100)과는 반대방향측으로 작용되어 제2링크암이 고정브라켓을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second link arm 230 acts to push and pull the fixing bracket 210 according to the turning motion of the swing arm and the link arm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arm 220, and the fixing bracket 210 ), one end is pivotably coupled to the pivot coupling shaft 212, and the other end is pivotally link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rm 220. Here, the second link arm 230 is formed smaller than the first link arm and is configured to operate quickly in pulling and pushing the fixing bracket. That is, when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composed of the swing arm 2, which is the swing arm 2, and the link swing arm rotate backward, the second link arm 230 acts to push the fixed bracket, and the pushing at this time The external force for action is acted on by the holding force in the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link arm is fixed to the support against the force caused by the rearward swinging ope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 Conversely, when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pivot forward, the second link arm acts to pull.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link arm rotates forward by the fixed part and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so that the second link arm serves to pull the fixing bracket.

이를 보행동작을 통한 상하암(100)의 작용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후방 선회시, 상기 스윙선회암(110)과 링크선회암(120)이 링크결합된 링크선회암 상단이 상기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의 제1링크암(220)과 제2링크암(230)이 동일직선상에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 위치되면 스윙선회암(110)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링크선회암의 상단링크부측이 잡아당겨져 스윙선회암의 후방 회동은 제한되고, 링크선회암(120)의 발판(3)측 하단이 링크결합부위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더 선회되어 사용자 무릎의 굽힙각도에 대응되게 선회된다. If this is explained as the ac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through walking motion, when the swing swing arm 110 turns backward, the upper end of the link swing arm in which the swing swing arm 110 and the link swing arm 120 are linked is When the first link arm 220 and the second link arm 230 of the link swing control unit 200 are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maximally spread on the same straight line, they link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swing swing arm 110. The upper link part side of the swing arm is pulled to limit the backward rotation of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ower end of the footrest (3) side of the link swing arm 120 is further turned backward based on the link coupling part to adjust the bending angle of the user's knee. rotated correspondingly.

이와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전방 선회시, 상기 제2링크암(230)이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을 기준으로 스윙선회암의 전방회전과 반대반향으로 선회작동되면서 제1링크암(220)의 타단과 제2링크암(230)의 타단이 중첩되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부분까지 스윙선회암의 전방 선회가 제어되어 링크선회암의 전방선회가 함께 제어된다.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8 , when the swing arm 110 rotates forward, the second link arm 230 moves along the swing arm 212 with respect to the pivot axis 212 of the fixing bracket 210. As the pivot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rotation, the forward turning of the swing arm is controlled until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rm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rm 230 are overlapped and positioned on the same line. Forward turning of the is controlled together.

여기서, 상기 링크선회암(120)이 스윙선회암(110)과 전방 선회시,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선회제어수단(200)에 의해 제어되지 않더라도 스윙선회암(110)의 선회각도에서 전방으로 링크선회암(120)이 상단링크부를 기준으로 더 선회되거나 링크선회암(120)이 스윙선회암의 하단링크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더 꺽임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112) 또는 상기 링크선회암(120)의 상단링크부(122)에 스윙선회암의 전방회동시, 링크선회암이 스윙선회암의 전방측으로 굽혀지지 않고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이 동일선상에서 선회작동되도록 전방굽힘 제한돌기(300)를 실시예 1, 2에 공통으로 더 형성할 수 있다. Here, when the link swing arm 120 swings forward with the swing swing arm 110, as described above, even if it is not controlled by the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the link is forward at the swing angle of the swing swing arm 110. The lower link portion of the swing arm 110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swing arm 120 further pivots based on the upper link portion or the link swing arm 120 further bends forward based on the lower link portion of the swing swing arm (112) or when the swing arm is rotated forward to the upper link part 122 of the link swing arm 120, the link swing arm is not bent forward of the swing arm and the swing arm and the link arm are on the same line. A forward bending limiting protrusion 300 may be further formed in common with Examples 1 and 2 so as to operate in a pivoting manner.

상기 전방굽힘 제한돌기(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측에 판체의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어 링크선회암(120)이 스윙선회암(110) 전방측으로 더 굽혀져 사용자의 보행동작에 방해되는 작용을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인 보행동작 운동을 통한 사용자의 안전성 및 주변 사람에게 보다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전방굽힘 제한돌기(300)는 링크선회암의 상단링크부의 전방측에 결합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orward bending limiting protrusion 300 is coupled to the lower link portion side of the swing swing arm 110 in the shape of a plate body, so that the link swing arm 120 moves further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wing swing arm 110. By preventing an ac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user's walking motion by bending, it is possible to use it more safely for the user's safety and surrounding people through effective walking motion exercise. The forward bending limiting protrusion 300 has the same effect even when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upper link portion of the link swivel arm.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공중걷기 운동기구는 종래 단순하게 발을 발판에 올려놓고, 다리를 전후로 교차하면서 걷는 동작과 같이 운동하도록 구성된 통상의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문제점인 무릎을 구부리는 형태의 실제 보행동작에 따른 운동을 전혀 할 수 없기 때문에 무릎의 손상이나 주변 사람에게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하게 운동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보행동작과 동일한 형태로 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무릎 손상없이 운동이 가능하고, 실제 보행동작에 대응되기 때문에 보다 흥미롭게 운동이 가능하다.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s of the form of bending the knee, which is a problem of conventional air walking exercise devices configured to exercise like a walking motion while simply placing the feet on the footrest and crossing the legs back and forth. It i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knee damage or exercise that does not guarantee safety to people around you because you cannot exercise at all according to the actual walking motion. It is possible to exercise without it, and it is possible to exercise more interestingly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actual walking motion.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는 두 발을 좌우측에 대칭형성된 발판에 발을 올려놓는다. 이후, 보행동작과 같이 먼저 오른쪽발을 전체 대퇴부와 종아리가 일체로 힘으로 주어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으로 구성된 상하암(100)이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first, the user puts both feet on the left and right footrests symmetrically formed. Thereafter, as in a walking motion,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composed of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are made to pivot forward by giving the right foot as an integral force to the entire thigh and calf.

이때, 전방 선회시에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 전방에 결합된 전방굽힘 제한돌기(300)에 의해 링크선회암(120)의 상단링크부를 기준으로 스윙선회암의 최적 선회각도에서 전방측으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보행동작에 따른 오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동작된다. 여기서, 전방굽힘 제한돌기(300)와 맞닿는 링크선회암(120)측이나 링크선회암(120)의 상단링크부측의 전방에 맞닿는 전방굽힘 제한돌기(300)의 후면에 완충패드난 고무패드를 부착하여 접촉에 따른 충격이나 진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At this time, at the time of forward turning, the forward bending limiting protrusion 30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lower link part of the swing swing arm 110 forwards at the optimal turning angle of the swing swing arm with respect to the upper link part of the link swing arm 120. It is operated by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by preventing it from being bent to the side. Here, a buffer pad or rubber pad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forward bending limiting projection 300 that abuts on the side of the link swivel arm 120 in contact with the forward bending limiting projection 300 or the front side of the upper link portion of the link swivel arm 120. It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shock or vibration due to contact.

여기서, 전방 선회시,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의 제1링크암(220)은 전방측 또는 후방측 지주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제1링크암(220)의 타단에 제2링크암(230)이 링크결합되어 있으며, 제2링크암(230)의 일단에는 고정브라켓의 선회결합축에 결합되어 있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어 링크선회암의 앞서 상술한 스윙선회암보다 더 돌출되어 선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으로 구성된 전체 상하암의 선회각도도 제한하게 된다.Here, at the time of forward turning, the first link arm 220 of the link turning control means 200 has one end fixed to the front or rear side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rm 220 has a second link arm ( 230) is linked,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arm 230 is coupled to the pivot coupling shaft of the fixing bracket, so as shown in the drawing, it serves to push or pull the fixing bracket, so that the front of the link swivel arm It prevents turning by protruding more than the swing swing arm described above, and also restricts the turning angle of the entire upper and lower arms composed of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다음으로, 사용자는 후방으로 발을 구르며 대퇴부와 고관절을 이용하여 발판이 후방으로 선회하도록 힘을 발휘하게 되고, 이 때, 선회기준인 수직선상의 중심부를 지나는 동안에는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은 동일선상에서 이동하게 되지만 계속해서 선회각도의 제한점까지 도달하면 이후에는 제1링크암의 지주에 고정결합된 버팀력에 의해 제2링크부가 고정브라켓을 전방측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발판이 구성된 링크선회암(120)은 상단링크부를 기준으로 발판측이 스윙선회암의 제한 선회각도에서 굽혀지면서 사용자는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을 취하게 되어 무릎에 인가될 충격량을 상쇠하게 되는 보행동작을 완성하게 된다. Next, the user rolls his foot backwards and uses his thigh and hip joints to exert force so that the footrest turns backward. It moves, but when it continues to reach the limit of the turning angle, the second link part pulls or pushes the fixing bracket forward by the holding force fixed to the post of the first link arm, and through this, the scaffold In this configured link swing arm 120, the footrest side is bent at the limit turning angle of the swing swing arm based on the upper link part, and the user takes an action to bend the kne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impact to be applied to the knee. will complet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좌우 발을 전후방으로 교차하면서 보행동작을 취하게 됨에 따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며, 단순히 무릎을 편 상태에서 방향전환을 하는 종래 공중걷기 운동기구와 같은 무릎에 방향 전환에 따른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선회각도의 제한을 통해 공중걷기 운동기구의 과도한 선회작용에 의해 주변 사람에게 안전상 피해를 줄 수 있는 요소를 없앨 수 있고,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게 공중걷기 운동기구라는 이름에 적합한 보행동작이 가능한 운동기구의 제공이 가능한 것이다. Therefore, it is self-evident that safer and more effective exercise is possible as the walking motion is taken while crossing the left and right feet forward and backward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a conventional air walking exercise machine that simply changes direction while stretching the knee is performed on the knee It can solve the problem of impact caused by direction change. In addition, by limiting the turning angl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factors that can cause safety damage to nearby people due to the excessive turning action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safely perform a walking motion suitable for the name of the air walking exercise device for anyone, regardless of gender or 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equipm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one embodimen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clear tha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it is included to the embodiment and substantially equivalent scope. Technical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 지주 2 : 스윙암
3 : 발판 4 : 손잡이
100 : 상하암 110 : 스윙선회암
112 : 하단링크부 120 : 링크선회암
122 : 상단링크부
200 : 링크선회제어수단 210 : 고정브라켓
212 : 선회결합축 220 : 제1링크암
230 : 제2링크암 300 : 전방굽힘 제한돌기
1: support 2: swing arm
3: footrest 4: handle
100: upper and lower arms 110: swing swing arms
112: lower link portion 120: link turning arm
122: upper link part
200: link turning control means 210: fixed bracket
212: pivot coupling shaft 220: first link arm
230: second link arm 300: forward bending limit protrusion

Claims (4)

좌우대칭구비되는 "ㅅ" 형상의 지주(1) 상단에 전후회동가능한 스윙암(2)이 형성되고, 상기 스윙암(2) 하부에 발판(3)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3)에 발을 올려 걷는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스윙암(2)이 전후로 왕복회동하여 공중에서 걷기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한 손잡이(4)가 상기 지주 상측에 형성된 공중걷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윙암(2)은 사용자 무릎을 기준으로 대퇴부와 종아리 부위와 일치되도록 상하 암(100)으로 나뉘어지게 구성되고, 나뉘어져 상하암(100)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 무릎에 대응되는 위치에 링크결합되며, 스윙암(2)의 전후회동 작동간에 후방으로 회동시 사용자의 보행운동에 따라 무릎부위의 접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접히고, 전방으로 회동시 사용자의 보행운동에 따라 무릎부위가 펴지는 위치까지 선회제어되도록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이 상기 스윙암(2)과 지주(1)에 결합되되,
상기 스윙암(2)의 상하암(100)은 사용자의 대퇴부의 전후 교차 움직임에 따라 전후회동가능하게 지주(1) 상단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에 암수링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하단링크부(112)가 마련된 스윙선회암(110)과; 후방 회동시, 링크선회제어수단(200)에 의해 사용자의 무릎 굽힘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작동되고, 전방 회동시, 사용자의 무릎 펴짐 위치까지 선회제어되도록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112)에 링크결합되도록 상부에 암수링크 중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112)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상단링크부(122)가 마련되며, 하부에 사용자 발이 올려져 공중에 뜬 상태에서 보행운동이 가능하도록 발판(3)이 형성된 링크선회암(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선회제어수단(200)은 링크선회암(120)의 지주측 방향의 상단링크부(122)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상측 일면에 상단링크부의 선회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선회결합축(21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ㅅ"자 형상의 지주(1)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 지주 내측 일면 중앙으로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암(220)과;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선회결합축(212)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암(220)의 타단에 선회가능하게 링크연결되는 제2링크암(230);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윙선회암(110)의 하단링크부(112) 또는 상기 링크선회암(120)의 상단링크부(122)에 스윙선회암의 전방회동시, 링크선회암이 스윙선회암의 전방측으로 굽혀지지 않고 스윙선회암과 링크선회암이 동일선상에서 선회작동되도록 전방굽힘 제한돌기(30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걷기 운동기구.
A swing arm 2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 “ㅅ” shaped post 1, and a footrest 3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arm 2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footrest 3 As the walking motion is performed by raising the feet, the swing arm 2 reciprocates back and forth to enable walking in the air, and the handle 4 for the user to balance the body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In the exercise device, the swing arm 2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arms 100 so as to match the thigh and calf regions based on the user's knee, and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user's knee It is linked to the position and is fol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knee part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when rotating backward between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perations of the swing arm 2, and when rotating forward, the knee part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The link swing control means 200 is coupled to the swing arm 2 and the support 1 so that the swing control is controlled to the unfolded position,
The upper and lower arms 100 of the swing arm 2 have an upper part fixed to the top of the support 1 so as to be able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cross movement of the user's thigh, and a lower link part formed of one of male and female links at the lower part ( 112) provided with a swing swing arm 110; The lower link part of the swing arm 110 ( 112), an upper link portion 122 corresponding to and coupled to the lower link portion 112 of the swing arm 110 among the male and female links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nd the user's feet are raised and floating in the air at the lower part and the link swing arm 120 on which the footrest 3 is formed so as to enable walking motion in A fixing bracket 210 fixedly coupled to and having a pivot coupling shaft 212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ivot center of the upper link part on the upper surface; a first link arm 220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one inner surface of the "ㅅ"-shaped post 1 at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post; A second link arm 230 having one end pivotably coupled to the pivot coupling shaft 212 of the fixing bracket 210 and the other end pivotally link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rm 220; formed, and when the swing swing arm is forwardly rotated at the lower link part 112 of the swing swing arm 110 or the upper link part 122 of the link swing arm 120, the link swing arm moves forward of the swing swing arm. An aerial walking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orward bending limiting protrusion 300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swing swing arm and the link swing arm pivot on the same line without bending to the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20984A 2021-02-17 2021-02-17 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 Active KR102551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984A KR102551947B1 (en) 2021-02-17 2021-02-17 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984A KR102551947B1 (en) 2021-02-17 2021-02-17 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527A KR20220117527A (en) 2022-08-24
KR102551947B1 true KR102551947B1 (en) 2023-08-11

Family

ID=8311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984A Active KR102551947B1 (en) 2021-02-17 2021-02-17 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9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89708A (en) * 2023-06-14 2023-10-17 南通万达体育用品有限公司 Internal limiting device for swing angle of sports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2489A1 (en) * 2006-08-10 2015-07-23 Exerciting, Llc Exercise device providing user defined pedal movem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43Y1 (en) 2005-06-02 2005-08-18 정길균 A Lower-body exercising machine like a sky walking
KR101218316B1 (en) 2011-05-26 2013-01-09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Sport apparatus of leg walking equiped have safety device
KR101345163B1 (en) * 2012-04-16 2014-01-15 김혜선 Folding multipurpose air walking exercise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2489A1 (en) * 2006-08-10 2015-07-23 Exerciting, Llc Exercise device providing user defined pedal mov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527A (en)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1161B (en) Variable stride fitness device
US7785235B2 (en) Variable stride exercise device
TWI511760B (en) Exercise device with varied gait movements
US20050272562A1 (en) Exercise machine
US20080004163A1 (en) Exercise machine
US11602660B2 (en) Gait pattern training device
MXPA05001955A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TWI681799B (en) Climbing trainer
KR102551947B1 (en) 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
KR102071893B1 (en) Combined fitness equipment for squat and romantic chair exercise
JP2004527338A (en) Handstand exercise device for whole body exercise
CN112774100A (en) Elliptical machine conforming to human factor engineering
EP1190741B1 (en) Positionable-axle bicycle ergometer
CN101134132A (en) Leg Reciprocating Exercise Equipment
KR102560169B1 (en) Sky walking exercise equipment
KR101711208B1 (en) Back for handstand exercise equipment with waist twisting
TWI632936B (en) Squat fitness machine
DK2535253T3 (en) The three dimensional moveable pedal
JP3191272U (en) Standing trunk training machine
KR101347402B1 (en) A exercising machine like a sky walking
CN200998560Y (en) Multifunctional Stretching Walking Machine
CN201164685Y (en) Glissade body-building machine
CN205412070U (en) Upright fitness equipment of squatting
CN207871383U (en) A kind of elliptical machine
CN207871381U (en) A kind of damping elliptical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