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2912B1 - 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 - Google Patents

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912B1
KR102562912B1 KR1020210026015A KR20210026015A KR102562912B1 KR 102562912 B1 KR102562912 B1 KR 102562912B1 KR 1020210026015 A KR1020210026015 A KR 1020210026015A KR 20210026015 A KR20210026015 A KR 20210026015A KR 102562912 B1 KR102562912 B1 KR 10256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ace
fixing
mask
blocking mas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1653A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코리아테크
Priority to KR1020210026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912B1/en
Publication of KR2022012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6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91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종래의 마스크와 달리 귀에 고정하지 않고 안면의 특정 부위에 밀착함으로써 UV 차단 마스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와 사용자의 안면을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코 주변부의 밀폐성을 높인 코 누름부를 구비한 신규한 UV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Unlike the conventional mask,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device having a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the UV blocking mask by adhering to a specific part of the face without fixing it to the ear and a nose pressing part that enhances the airtightness of the area around the nose without pressing the user's face It is about a UV blocking mask.

Description

측면 고정부와 누름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

본원발명은 측면 고정부와 누름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귀에 고정하지 않고 안면의 특정 부위에 밀착함으로써 안면에 고정할 수 있는 측면 고정부 및 코와 접촉하여 UV 차단 마스크를 지지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신규한 UV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V blocking mask including a side fixing part and a pressing part.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novel UV blocking mask including a side fixing part that can be fixed to the face by adhering to a specific part of the face without fixing to the ear, and a pressing part for supporting the UV blocking mask in contact with the nose.

마스크는 질병과 관련된 제품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인의 질병을 남에게 퍼트리지 않거나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황사,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이 또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Masks have been limitedly used as products related to diseases. It was used as an aid to not spreading one's disease to others or to prevent infection from others. Due to the influence of yellow dust and fine dust, many people wear masks, but this is also to prevent diseases.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마스크에 대한 인식이 급변했다. 마스크에 대한 품귀 현상이 발생되었을 만큼 귀한 대접을 받았었고, 마스크만으로 질병 예방 효과가 크다는 것이 사회적으로 학습되었다. 하루 중 대부분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생활을 한 경험도 널리 공유되었다.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얼굴을 가린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동, 서양 구분없이 완화되었다.The pandemic of COVID-19 (coronavirus infection-19) has changed the perception of masks. It was treated as precious enough to cause a shortage of masks, and it was socially learned that only masks had a great effect on preventing diseases. The experience of living in a state of wearing a mask most of the day was also widely shared. The negative view of covering the face by wearing a mask was alleviated regardless of East or West.

한편 비말로 확산되는 질병의 경우, 마스크 착용 후 마스크를 손으로 만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마스크에 침이 묻어 있을 수 있으며, 마스크의 표면이 다른 이물질 등으로 오염이 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의료 종사자들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마스크와 페이스 쉴드를 착용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1은 이와 같이 마스크와 페이스 쉴드를 착용할 경우에 대한 효과를 다룬 논문으로서 페이스 쉴드의 효과가 뛰어남을 보여주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disease spread by droplets, it is desirable not to touch the mask with your hands after wearing it. This is because saliva may already be on the mask, and the surface of the mask may be contaminated with other foreign substances. Medical workers are wearing masks and face shields to fundamentally block these problems. Non-Patent Document 1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face shield is excellent as a paper dealing with the effect of wearing a mask and face shield in this way.

마스크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문화적 환경이 급변한 만큼 현재의 개념을 초월한 신개념 마스크가 필요하다. 상시로 착용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게 됨에 따라, 내구성을 높이면서 착용감을 높이고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신규한 개념의 마스크가 필요하다.As the temporal, spatial, and cultural environment for masks has changed rapidly, a new concept mask that transcends the current concept is needed. As it is not only worn constantly, but also worn for a long time, a mask of a new concept that can increase durability, increase wearing comfort, and reduce discomfort is required.

본원발명은 종래의 마스크와 다른 신규한 개념의 마스크를 개발함과 동시에 UV를 차단할 수 있는 신규한 UV 차단 마스크를 개발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novel UV blocking mask capable of blocking UV at the same time as developing a mask of a new concep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ask.

마스크 또는 UV 차단 마스크(이하 '마스크')는 고정하는 방식과 착용하는 방법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마스크는 끈을 귀에 걸어 마스크를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코와 입 주변을 압박하면서 덮는 전면부로 구성된다.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고정부인 끈 주변을 따라서 얼굴 및 귀에 눌림 자국이 발생한다.Masks or UV blocking mas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sks') need to be fixed and worn. The mask consists of a fixing part that fixes the mask to the face by hanging a string on the ear, and a front part that covers the nose and mouth while compressing it. When the mask is worn for a long time, pressure marks are generated on the face and ears along the periphery of the string, which is the fixing part.

특히 귀에 대한 스트레스가 우선 해결되어야 한다. 마스크는 귀를 가장 중요한 고정부위로 사용하고 있다. 귀를 지지대로 사용해 안면에 착용하는 장치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통적인 안경은 물론, 헤드폰, 이어폰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귀를 지지대로 사용하고 있다. VR 기기도 귀를 지지대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활용도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In particular, stress on the ears should be addressed first. The mask uses the ear as the most important fixing part. Face-worn devices using the ears as support are also on the rise. Traditional glasses, as well as headphones and earphones, are also using ears as support in various ways. VR devices are also increasingly being used as products that use ears as support.

귀를 지지대로 사용하는 장치들을 착용하는 시간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하루 종일 착용하고 있는 안경은 물론 마스크 또한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착용하고 있다. 신규 기술이 적용된 이어폰을 몇 시간씩 사용하는 것은 너무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다.The time spent wearing devices that use the ears as support is also greatly increasing. Glasses worn all day, as well as masks, are also worn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It has become all too natural to spend hours on earphones with the new technology.

이와 같이 귀에 대한 물리적인 스트레스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인 중 50%가 넘어선 안경 착용자들에게는 그 불편함이 가중될 것이다. 코로나 19 및 미세먼지에 따른 마스크 착용의 일상화도 귀에 대한 물리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 중 하나다.As such, it is expected that the physical stress on the ear will greatly increase. The inconvenience will be aggravated for glasses wearers who account for more than 50% of adults. Wearing a mask daily due to COVID-19 and fine dust is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physical burden on the ears.

그러므로 귀에 대한 물리적인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마스크를 얼굴에 고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귀에만 의존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아닌 귀를 보조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제2의 안착지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는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way to fix the mask to the face while reducing the physical stress on the ea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that can be fixed by a second anchorage that can assist or replace the ear, rather than the traditional method that relies only on the ea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의 발명자는 마스크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마스크의 끈 길이에 따른 누설률, 마스크를 착용할 때 느끼는 통증에 대한 사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원발명에서는 사전 연구로 KF94 마스크를 사용하였으며, 9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d the problem of the mask. To this end,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on the leakage rat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ask strap and the pain felt when wearing the mask. In the present invention, a KF94 mask was used as a preliminary stud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9 participants.

우선, 마스크의 기본적인 목적인 낮은 누설률을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끈 길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성인용으로 제작된 마스크를 사용하여 마스크의 끈 길이를 조절하지 않았을 경우, 마스크의 끈을 포함하는 길이를 얼굴 길이의 120%로 조정한 경우의 누설률을 비교하였다. 후자의 경우가 전자의 경우에 대비하여 누설률이 적게는 25%에서 많게는 83%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스크는 끈 길이를 조절해야만 누설률을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irst of all, a study was conducted on an appropriate string length that can achieve a low leak rate, which is the basic purpose of the mask. When the length of the mask strap was not adjusted using a mask made for adults, the leak rate was compared when the length including the mask strap was adjusted to 120% of the face length. In the latter case, the leakage rate was reduced from a minimum of 25% to a maximum of 83% compared to the former cas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leakage rate of the mask can be reduced onl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ing, and through this, the original purpose of wearing the mask can be achieved.

여기서 언급하는 얼굴 길이는 모르페우스를 이용하여 측정한 얼굴 길이로서 사용자의 왼쪽 귀에서 코 밑까지 그리고 코 밑에서 오른쪽 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The face length referred to herein refers to the distance from the user's left ear to the bottom of the nose and from the bottom of the nose to the right ear as the length of the face measured using Morpheus.

마스크의 끈 길이를 줄일 경우 누설률은 낮출 수 있지만, 장시간 착용에 따른 다양한 부위의 통증이 관측되었다. UV 차단 마스크의 경우 누설률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누설률을 낮출 수 있는 끈 길이는 결국 UV 차단 마스크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길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끈 길이를 조절한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에 대한 통증의 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If the length of the mask strap is reduced, the leak rate can be reduced, but pain in various parts has been observed due to long-term wearing. In the case of a UV blocking mask,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leak rate, but the length of the string that can lower the leak rate may eventually correspond to the length that can accurately fix the UV blocking mas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ain when wearing a mask with an adjusted string length.

도 1은 마스크 착용에 따른 통증을 관측한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얼굴의 특정 부분에 대한 통증의 정도를 착용 직후와 8시간 연속적으로 착용한 후에 대한 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스크의 끈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 8시간 연속으로 착용할 경우 6번 부위(귀 뒤)에서만 통증의 정도가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관측이 되었다. 안면에 대한 압박정도가 약할 경우라도 마스크의 끈이 귀에 계속 고정됨으로써 나타나는 통증으로 분석된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ocation where pain due to wearing a mask is observed. A qualit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wearing the degree of pain for a specific part of the face shown in FIG. 1 and after wearing it continuously for 8 hours. When wearing the mask for 8 hours in a row without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ap, it was observed that the degree of pain in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the 6th area (behind the ear). Even when the degree of pressure on the face is weak, it is analyzed as pain caused by the mask string being continuously fixed to the ear.

마스크의 끈 길이를 얼굴 길이의 120%로 조정하여 누설률을 낮춘 상태로 8시간 연속적으로 착용할 경우, 6번 부위를 포함하여 다양한 부위에서 통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와 관련된 4번 부위를 포함하여, 3번 부위, 7번 부위에서도 통증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번 부위와 7번 부위는 근막 압통점의 동통이 발현되는 부위로 두통을 유발하기 쉬우며 3번과 7번의 측두근과 후두부의 상부 경추 폄근의 근육들은 상부 승모근의 근막 압통점의 통증 유발부위로 두통 및 어깨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When worn continuously for 8 hours with the mask strap length adjusted to 120% of the face length and the leakage rate lowered, it was found that pain increas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area 6. It was found that the pai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3rd and 7th areas, including the 4th area related to the ear. Areas 3 and 7 are the areas where pain is expressed at the myofascial tender points, and are easy to cause headaches. It can cause shoulder pain.

본원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사전 연구를 통해서 장기간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귀 외의 다른 근골격계에도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스크의 착용으로 인해서 초래되는 다양한 통증은 또한 집중력을 떨어트려 학업 또는 업무까지 지장을 줄 수 있다. 최근 들어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의 귀의 변형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at wearing a mask for a long time through the above preliminary research can cause pain in other musculoskeletal systems other than the ear. The various pains caused by wearing a mask can also reduce concentration and interfere with study or work. Recently, when a mask is worn for a long time, the problem of deformation of the ears of growing children or teenagers has also emerged.

본원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귀를 제외한 제2의 안착지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는 마스크를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서 본원발명이 도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 mask that can be fixed by the second seating area except for the ears.

특허문헌 1은 착용이 간편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얼굴 전면부의 굴곡부에 걸쳐지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서 연장되어 광대뼈 상단부에 접촉되고 귀 근처 얼굴 측면까지 얼굴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 밀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홀이 구비되고, 얼굴의 코와 입 주변부까지 감싸며, 탄력을 갖는 섬유밴드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이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홀이 구비되고, 콧구멍과 입을 감싸는 필터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상기 탄성 밀착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와 탄성 밀착부가 얼굴에 걸쳐지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의 목적은 귀가 불편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안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고, 본체와 필터의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필터의 교체가 가능하고 사용환경에 따라 본체나 필터를 분리시켜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mask that is easy to wear, including a holding portion spanning the curved portion of the front face, and an elastic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lding portion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cheekbone and extending along the contour of the face to the side of the face near the ear. A frame and a mounting hole into which the frame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inside are provided, and are detachably mounted on a main body made of a fiber band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vering up to the nose and mouth periphery of the face,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detachably inserted therein, and is composed of a filter covering the nostrils and the mouth, so that the holding part and the elastic contact par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contact part of the frame. it's about keeping The purpose of Patent Document 1 is to stably adhere to the user's face without causing discomfort to the ears, an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filter are detachable, so that the filter can be replaced and used independently by separating the main body or filter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It is in providing a mask that can do this.

특허문헌 1의 거치부에서 연장되어 광대뼈 상단부에 접촉되고 귀 근처 얼굴 측면까지 얼굴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 밀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볼 부근을 포함한 부위에 넓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피부가 약한 부위를 계속적으로 자극하고 있어, 장시간 착용을 할 경우 사용자가 안면에 자국이 남게 될 뿐만 아니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가압되는 면과 이를 가압하는 압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일관된 고정력을 담보하기 어렵다.A frame including an elastic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of Patent Document 1,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cheekbone, and extending along the facial contour to the side of the face near the ear is widely disposed in the area including the cheek area. In this case, the weak skin area is continuously stimulated, and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 user not only leaves marks on the face but also feels uncomfortabl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nsure a consistent fixing force because a clear criterion for the surface to be pressed and the pressure to press it is not presented.

특허문헌 2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넥워머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착용시 안면의 눈 아래로부터 목까지 커버하는 넥 커버부; 착용시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부터 일정 공간 이격되어 형성되어 커버하는 실링 커버부; 넥 커버부의 상단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넥 커버부의 상단부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박링부; 및 코와 입에 의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링부를 포함하여, 안면과 목의 보호는 물론 호흡기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넥워머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의 목적은 미세먼지의 차단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되, 목과 안면에 대한 보호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미세먼지 차단의 효용성 확보를 위하여 얼굴의 곡면에 밀착성을 가지며, 활동 중에도 턱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성 넥워머를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neck warmer for blocking fine dust,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neck cover portion covering from under the eyes to the neck of the face when worn; a sealing cover portion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user's nose and mouth to cover when worn; A pressure ring part formed on the rim of the upper end of the neck cover par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neck cove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And it relates to a neck warmer including a filtering unit for filtering air by the nose and mouth, protecting the face and neck as well as blocking fine dust from entering the respiratory system. The purpose of Patent Document 2 is to efficiently block fine dust, to protect the neck and face, and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blocking fine dust. We present a functional neck warmer that prevents

특허문헌 2의 고무밴드를 사용하는 방식의 대표적인 문제점은 1) 탈착과 부착이 매우 불편하다는 점이다. 또한 2) 부착과 탈착 과정 중에 얼굴의 쓸림에 의해서 화장이 지워질 우려가 있다. 3) 장시간 착용을 할 경우 사용자가 안면에 자국이 남게 될 뿐만 아니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A representative problem of the method using the rubber band of Patent Document 2 is that 1) detachment and attachment are very inconvenient. In addition, 2) there is a concern that the makeup may be erased due to chafing of the face during the attaching and detaching process. 3)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 user not only leaves marks on the face, but also feels uncomfortable.

특허문헌 3은 웨어러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 중 입 부위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의 목적은 안면에 착용될 때 오목홈을 통해 안면의 일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마스크에 부가되는 끈과 같은 걸이 도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본체를 일회용품으로 형성하더라도 본체만을 교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Patent Document 3 relates to a wearable mask, a body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mouth of the user's face; and a face fixing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the user's face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mask. The purpose of Patent Document 3 is that when worn on the face, sinc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the face through a concave groov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hanging tool such as a string added to the mask,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even if the main body is formed as a disposable product It is to provide a wearable mask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y replacing only the main body.

특허문헌 3의 경우 1) 계속적인 착용에 의해서 안면에 자국이 남을 우려가 있고, 2 가압되는 면과 이를 가압하는 압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일관된 고정력을 담보하기 어렵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1) there is a risk of leaving marks on the face due to continuous wearing, and 2, it is difficult to ensure a consistent fixing force because a clear criterion for the pressed surface and the pressure to press it is not presented.

특허문헌 4는 마스크에 사용하는 소재의 신축율과 악처에서 이주까지의 길이, 광대뼈의 위치 등을 기초로 한 입체에 대응하는 제도에 의해 성인용에서 소아용으로 도달할 때까지 및 안면, 턱부분, 전두부 등의 각 부에 저스트 피트하는 얼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4의 목적은 안면이나 턱부분 및 전두부에 피트하고 붕대나 반창고 및 안대 등을 대신하는 의료용품 또는 미용 목적으로 적합한 시트형 얼굴 마스크의 입체에 대응하는 제도법 및 상기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Patent Document 4 is a system corresponding to the solid based on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used for the mask, the length from the jaw to the tragus, the position of the cheekbones, etc., from adults to children, and the face, chin, and frontal area It relates to a face mask that just fits each part of the back. The purpose of Patent Document 4 is to provide a drawing method and a mask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a sheet-type face mask suitable for medical supplies or cosmetic purposes that fit the face, chin, and frontal area and replace bandages, bandages, and eye patches.

특허문헌 4는 귀에 걸고 이의 장력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본원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귀에 대한 스트레스를 극도로 높이는 것에 해당한다.Patent Literature 4 corresponds to extremely increasing the stress on the ear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being put on the ear and using the tension thereof.

특허문헌 5는 귀 끈 없이 마스크를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커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5의 목적은 신축성이 우수한 재료를 이용해 안면의 곡면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며, 마스크 커버의 통기성이 양호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Patent Document 5 relates to a mask cover that allows a mask to be worn on the face without ear straps. The purpose of Patent Document 5 is to provide a mask with good ventilation of the mask cover and to enabl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face using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특허문헌 5는 1) 얼굴에 별도의 앵커 부재를 부착해야 하는 점에서 착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2) 앵커가 부착되는 면에 따라서 얼굴에 자국이 남거나 계속적인 자극에 의해서 피부 손상의 우려가 있다. 3) 또한 앵커가 부착되는 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일관된 고정력을 담보하기 어렵다.In Patent Document 5, 1) it is inconvenient to wear in that a separate anchor member must be attached to the face, and 2) there are concerns about skin damage due to scars on the face or continuous stimulation depending on the surface to which the anchor is attached. there is 3)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nsure consistent fixing power because a clear standard for the surface to which the anchor is attached is not presented.

특허문헌 6은 신체용 이완 예방 및 개선구에 관한 것으로 제조 비용의 감소를 도모하고, 머리 부분 및 기타 부위에 장착 가능하게 해, 넓은 범위에서 면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신체용 이완 예방 및 개선구를 제공하며, 상기 이완 예방 및 개선구는 두정부 또는 전두부에서 이하선교근부를 경유하여 턱끝부위 및 턱 하부에 걸친 영역을 덮는 기부에 후두부를 감을 수 있는 분기부가 일체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Patent Document 6 relates to a body loosening prevention and improvement device, which reduces manufacturing cost, enables attachment to the head and other parts, and allows body loosening prevention and An improvement tool is provided, and the relax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tool is formed by integrally connecting a branching portion that can wrap the back of the head to the base covering the area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head or front of the head via the parotid root to the tip of the chin and the lower part of the chin.

특허문헌 6은 안면 전체를 감싸는 인장력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력 자체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본원발명에서 제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아니다.Patent Document 6 is for using the tensile force surrounding the entire face, and is characterized by the tensile force itself, and is not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안면에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고 들뜨는 문제는 마스크를 포함하여 고글, 방독면, VR 헤드셋 등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다. 코를 포함하는 주변부는 안면의 다른 부분에 비해 굴곡이 심하고, 피부가 얇아 완충 작용이 거의 없으며, 높이가 높아 안면과 정확하게 밀착되기 어렵다. 또한, 숨을 쉬거나 말을 할 때 얼굴 근육이 움직임에 따라 더 쉽게 누설이 되는 부위다.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of being lifted without being accurately adhered to the face is a problem commonly found in goggles, gas masks, and VR headsets, including masks.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face, the periphery including the nose is more curved, the skin is thin, so there is almost no buffering effect, and the height is high,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dhere to the face. Also, it is an area that leaks more easily as the facial muscles move when breathing or talking.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마스크의 코를 포함한 주변부에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 등을 삽입하거나 표면에 부착하였지만, 여전히 안면과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마스크에 사용되는 철사 등의 금속을 변형시켜 마스크를 안면과 잠시 밀착시키더라도 지지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얼굴 근육이 움직임에 따라 다시 빈틈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매우 단순하고, 이미 해결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한 미완성의 상태로 남아있는 부분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deformable elastic body or the like is inserted o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ask, including the nose, but it still does not adhere accurately to the face. Even if metal such as wire used in most masks is deformed to make the mask closely adhere to the face for a while, gaps are created again as the facial muscles move because there is no supporting part. This problem is very simple and seems to have already been solved, but in reality it is an unfinished part that has not been solved for a long time.

대화 등에 의한 얼굴 근육의 움직임은 마스크의 움직임을 가져온다. 코로나-19와 같이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할 경우, 콧등과 마스크의 마찰로 인해서 피부 손상이 발생한다.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콧등에 밴드나 반창고를 붙이고 그 위에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이러한 잦은 마찰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함이다.The movement of the facial muscles caused by conversation or the like causes the movement of the mask. When you have to wear a mask for a long time, such as COVID-19, skin damage occurs due to friction between the bridge of the nose and the mask. Medical staff such as nurses put a band or bandage on the bridge of the nose and wear a mask on it to prevent skin damage caused by frequent friction.

방독면은 머리 뒤에 거치되는 밴드 등을 통해서 실리콘 등 탄성있는 실링부가 코를 포함한 주변부를 압박하여 안면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코를 포함한 주변부를 가압하는 힘이 커 장시간 작용이 곤란하다. 또한 안면에 자국이 남아 여성들이 기피하는 문제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The gas mask can increase adhesion with the face by compressing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the nose with an elastic sealing part such as silicone through a band mounted behind the head. In this case, the force to press the peripheral area including the nose is relatively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problem of leaving marks on the face and avoiding women is also a task to be solved.

마스크와 방독면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이지만, VR 헤드셋은 공기의 흐름과 더불어 빛의 차단 또한 동시에 요구된다. VR 헤드셋 착용시 코를 포함한 주변부가 실링되지 않을 경우 빛 노출에 의한 집중도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출시된 모든 제품 또한 이러한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고 방독면과 같이 강하게 압박하는 미완성의 기술을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Masks and gas masks are devices that block air flow, but VR headsets require both air flow and light blocking at the same time. When wearing a VR headset, if the peripheral area including the nose is not sealed, a problem of concentration deterioration due to light exposure occurs. All currently released products also do not seriously consider these problems and present unfinished technology as a solution that presses hard like a gas mask.

특허문헌 7은 호흡기의 누설이 없고 최적의 기공의 필터 부분을 선택할 수 있고 숨막힘을 해소하고 또한 안경의 흘림 방지 기능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저렴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피부 접촉부와의 밀착성이 좋은 고정틀 부분과 분리, 접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필터 부분과 안면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분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부분을 다른 소재로 만들어, 기능을 분담한다. 고정틀 부분의 피부 접촉 부품에는 노치를 넣어 두어 장착부분의 장력에 의해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고 소재로서 피부의 온도로 수축하는 형상 기억 수지나 피부 점착성 수지를 이용한다. 접촉 부품의 상부에는 대화나 표정의 변화 등에서의 안면의 근육, 골격 변형에 대응해 신축하는 탄성체 수지를 이용한다. 필터 부분은 고정틀 부분과 분리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필요한 소재를 선택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Literature 7 relates to an inexpensive mask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no leakage of the respiratory tract, being able to select a filter portion with optimal pores, relieving choking, and also imparting a function to prevent spillage of eyeglasses. It consists of a fixing frame part with good adhesion to the skin contact part, a filter part that can be separated and adhered freely, and a mounting part for fixing to the face. Each part is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and functions are shared. A notch is placed in the skin-contacting part of the fixing frame to expand the contact area by the tension of the mounting part, and a shape-memory resin or skin-adhesive resin that shrinks at the temperature of the skin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part, an elastic resin that expands and contracts in response to facial muscle and skeletal deformation caused by conversation and facial expression changes is used. The filter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frame part and provides a mask capable of selecting a necessary material according to the purpose.

특허문헌 8은 코를 밀폐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양압 하에서 호흡 가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 및 입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개량된 코밀폐 부분을 가지는 마스크를 제공하며, 제1 패들 및 제2 패들을 구비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8 relates to a mask comprising a portion that seals the nose, and provides a mask having an improved nose-close portion that covers at least one of the user's nose and mouth because breathing gas is supplied under positive pressure, and a first paddle and a second paddle.

특허문헌 9는 코패드가 부착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 코패드 및 내층 주름으로 구성되며, 마스크 본체는 외층면, 중간층면 및 내층면을 가지고, 코패드는 외층면에 배치되며, 내층 주름은 내층면에서 연장되어 접혀서 형성되고, 내층 주름 및 외층면은 동시에 코패드를 덮고 코패드에 대응하는 돌기부가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9 relates to a mask with a nose pad attached, and is composed of a mask body, a nose pad, and inner layer pleats, the mask body has an outer layer surface, an intermediate layer surface, and an inner layer surface, the nose pad is disposed on the outer layer surface, and the inner layer The creases are formed by extending and folding the inner layer surface, and the inner layer pleats and the outer layer surface cover the nose pad at the same time, providing a mask in which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nose pads are formed on the mask body.

특허문헌 10은 신축밴드가 구비된 밀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부위를 따라 신축성과 가요성을 갖는 2차 밀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 상부에는 사용자의 콧등을 위에서 감싸서 밀착하는 코 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코 패드의 양측으로부터 하향으로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코와 입 주변을 감싸는 측하부막이 구비되고, 상기 측하부막 테두리부에는 피부와 밀착을 위한 탄성 및 신축성 재질의 1차 밀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2차 밀착부 중 일측으로서 상부 위치에 탄성을 갖는 별도의 신축밴드를 구비시킴으로서 코 패드(40)의 콧등 밀착력을 증대시켜 내부 공기의 상향 유출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tent Document 10 relates to a close-fitting mask equipped with an elastic band, and constitutes a secondary close-fitting part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along the rim of the mask body, and wraps the user's nose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mask body for close contact A nose pad is provided, and a lower side film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nose pad and wraps around the nose and mouth. It is characterized by constituting the close contact part and providing a separate elastic band having elasticity at the upper position as one side of the secondary close contact part to increase the close contact force of the nose pad 40 to prevent upward outflow of internal air. .

특허문헌 11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커버의 내측 상부에 중앙은 콧등이 내입되면서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 안면의 눈 밑으로 콧등과 양측 광대뼈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 피부와 밀착되도록 된 돌출부가 구비된 밀폐수단이 마련된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1 relates to a mask, the center of which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groove i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cover for accommodating the bridge of the nose while being inserted, a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ridge of the nose and the cheekbones on both sides under the eyes of the face 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on groove. It provides a mask provided with a sealing means provided with a protrus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특허문헌 12는 기체가 필터 시트에 여과되지 않고 마스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코 클립 및/또는 코 패드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2 relates to a mask capable of preventing ga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mask without filtering through the filter sheet, and provides a mask including a nose clip and/or a nose pad.

특허문헌 13은 미세먼지가 호흡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상, 하단으로 내측면에 코지지부가 형성된 상부덮개부와 공기배출부가 형성된 턱지지부가 형성된 하부덮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시에 상부덮개부에 형성된 코지지부가 별도의 조작 없이 코에 밀착된 상태로 용이하게 착용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3 relates to a dust mask that prevents fine dust from entering the respiratory system, and forms an upper cover portion with a nose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t the top and bottom and a lower cover portion with a chin support portion formed with an air discharge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ask. Provides a mask that can be easily worn in a state in which the nose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cover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without separate manipulation when worn.

특허문헌 14는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얼굴의 곡률에 맞게 형성되어 입과 코를 차폐하게 되는 마스크 본체(1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 양측에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게 되는 고정끈(200)을 포함하여 한지 고유의 기능을 향유하여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각종 유해 세균등을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걸러주면서도 통기성과 보온성 및 속건성, 향균성이 뛰어나서 쾌적한 상태가 오래도록 유지되며, 특히나 인체에 해가 적어 어린이나 노약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4 relates to an eco-friendly traditional Korean paper mask, a mask body 100 formed to fit the curvature of the face to shield the mouth and nose, and a strap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0 to be worn on the ears. It enjoys the unique functions of Korean paper, including (200), effectively adsorbs and filters fine dust, contaminants, and various harmful bacteria,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state for a long time with excellent breathability, warmth, quick-drying,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especially harmful to the human body. It provides an eco-friendly mask that can be used safely by children and the elderly.

이와 같이 특허문헌 7 내지 14는 마스크와 코를 포함한 주변부의 밀착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공지하고 있다.As such, Patent Documents 7 to 14 disclose various means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mask and the peripheral portion including the nose.

특허문헌 15는 자외선 차단용 인디펜던트 타입 마스킹 칼라이고, 특허문헌 16은 차광모자, 특허문헌 17은 UV 차단 기능을 갖는 1회용 안면 마스크, 특허문헌 18은 UV 차단용 안면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5 내지 18은 모두 안면의 UV를 차단하는 장치이나 고정하는 방법은 종래의 안면에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귀에 고정을 하거나, 모자 형태로 고정하거나, 고무 밴드를 사용하여 머리에 고정하는 방식이다.Patent Document 15 is an independent type masking color for blocking ultraviolet rays, Patent Document 16 is a sun-shielding hat, Patent Document 17 is a disposable face mask having a UV blocking function, and Patent Document 18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a face mask for blocking UV rays. Patent Literatures 15 to 18 all use a device or fixing method for blocking UV on the face using a conventional fixing method on the face. It is fixed to the ear, fixed in the form of a hat, or fixed to the head using a rubber band.

이와 같이 안면에 고정하는 장치들은 여전히 종래의 고정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Devices that are fixed to the face in this way are still unable to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fixing method.

종래의 기술은 1) 착용상태에서 임시로 밀착이 되더라도 밀착 정도가 약하고, 2) 사용자의 근육이 움직일 수 밖에 없는 안면 부위라서 안면 근육 등의 움직임에 의해서 밀착이 쉽게 약해지며, 3) 안면 근육의 움직임이 없어도 마스크 또는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사용자가 움직일 경우 그 진동에 의해서도 밀착 정도가 약해지고, 4) 밀착부위가 코 패드와 같이 코 부위를 강하게 압박하는 형태를 제공하고 있어 여성 사용자의 경우 화장이 지워지고 이로 인해 착용을 기피하게 되며, 5) 일부 방독면의 경우 압박 정도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강한 압박만이 가능하고, 또한 6) 사용자의 숙련의 정도에 따라서 밀착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노약자, 어린이와 같이 장치나 기구의 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불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the prior art, 1) the degree of adhesion is weak even if it is temporarily adhered in the worn state, 2) the user's muscles are inevitably moved, so the adhesion is easily weakened by the movement of the facial muscles, etc., 3) of the facial muscles Even if there is no movement, if the user moves while wearing a mask or VR headset, the degree of adhesion is weakened by the vibration. 5) In the case of some gas masks, the degree of compression cannot be adjusted, so only strong pressure is possible, and 6) The degree of adhesion varies depending on the user's skill level, so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not accustomed to adjusting the device or mechanism, there is a problem that incomplete contact may be made.

이와 같이 귀를 제외한 제2의 안착지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고, 코 주변부에 대한 밀착 방법을 개선한 마스크는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다.In this way, a mask that can be fixed by the second seating area excluding the ears and has improved adhesion to the nose periphery has not yet been present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856호 ('특허문헌 1')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73856 ('Patent Document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4022호 ('특허문헌 2')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54022 ('Patent Document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095호 ('특허문헌 3')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90095 ('Patent Document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67692호 ('특허문헌 4')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4-267692 ('Patent Document 4')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145570호 ('특허문헌 5')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8-145570 ('Patent Document 5')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799884호 ('특허문헌 6')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4799884 ('Patent Document 6')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430호 ('특허문헌 7')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000430 ('Patent Document 7')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030698호 ('특허문헌 8')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9-030698 ('Patent Document 8')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22972호 ('특허문헌 9')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222972 ('Patent Document 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2157호 ('특허문헌 10')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12157 ('Patent Document 1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9652호 ('특허문헌 11')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9652 ('Patent Document 1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0048호 ('특허문헌 12')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7-0000048 ('Patent Document 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72094호 ('특허문헌 1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7-0072094 ('Patent Document 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32897호 ('특허문헌 1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9-0032897 ('Patent Document 1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11190호 ('특허문헌 15')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9-0011190 ('Patent Document 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45285호 ('특허문헌 16')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45285 ('Patent Document 1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3339호 ('특허문헌 17')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23339 ('Patent Document 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3854호 ('특허문헌 1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43854 ('Patent Document 18')

Bandaru SV, Augustine AM, Lepcha A, Sebastian S, Gowri M, Philip A, Mammen MD. The effects of N95 mask and face shield on speech perception among healthcare workers in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scenario. J Laryngol Otol 2020; 134:895 - 898. https://doi.org/10.1017/S0022215120002108 ('비특허문헌 1')Bandaru SV, Augustine AM, Lepcha A, Sebastian S, Gowri M, Philip A, Mammen MD. The effects of N95 mask and face shield on speech perception among healthcare workers in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scenario. J Laryngol Otol 2020; 134:895 - 898. https://doi.org/10.1017/S0022215120002108 ('Non-Patent Document 1')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 탈착과 부착이 용이하고, 2) 탈착과 부착 과정 중 안면을 포함한 피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3) 장시간을 착용하여도 피부에 자극이 적고, 4) 귀를 포함한 다른 근골격계 통증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며, 5) 가압하는 부위를 명확하게 특정할 뿐만 아니라 그 영역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에 상관없이 일관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UV 차단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1)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2) minimization of contact with the skin including the face during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process, and 3) skin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4) Minimizes discomfort such as pain in other musculoskeletal systems, including ears, 5) Not only clearly specifies the area to be pressed, but also optimizes the area to provide consistent fixation regardless of the user UV protection It aims to provide a mask.

또한 본원발명은 1) 안면과의 밀착 정도가 강하고, 2) 안면 근육 등이 움직이더라도 안면과의 밀착을 계속 유지하며, 3) 마스크 등을 착용하고 움직일 경우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안면과의 밀착 정도가 약해지지 않고, 4) 안면과의 밀착을 위한 압박하는 부위를 최소화하며, 5) 압박의 정도가 자신의 코 높이에 따라 쉽게 조절되며, 또한 6) 노약자, 어린이 등의 장치나 기구의 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일정 수준 이상의 밀착을 제공할 수 있는 UV 차단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1) strong adhesion to the face, 2) continuous adhesion to the face even when facial muscles are moved, 3) degree of adhesion to the face even by vibrations generated when moving while wearing a mask, etc. does not weaken, 4) minimizes the area to be compressed for close contact with the face, 5) the degree of pressure is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one's nose, and 6) is suitable for adjusting devices or instruments for the elderly and childre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V blocking mask that can provide a certain level of close contact even to unfamiliar us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1고정부위 중 적어도 일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전면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위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front portion of the user's nose and oral cavity; and a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and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first fixing portion to fix the front portion to the user's face, wherein the first fixing portion is

1)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작은 어금니(premolar)까지를 포함하며,1)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brush protrusion (styloid process) to the user's small molar (premolar) when viewed as a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1고정부위;a 1-1 fixing part, which is a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when viewed in terms of a movement range of a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2)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하선(parotid gland)을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의 두 갈래 중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를 제외한 부위까지이며,2) Among the two branches of the medial pterygoid of the muscles of mastication of the user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parotid gland of the user when viewed from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t extends to the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anterior fibers are located,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2고정부위;1st-2nd fixing parts, which are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in terms of a movement range of a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3)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교근(masseter muscle)까지를 포함하며,3)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styloid process to the masseter muscle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when viewed as a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며,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in terms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상기 교근(masseter muscle)에서 가장 돌출된 근복부(muscle belly)는 제외하는 것인 제1-3고정부위;1-3 fixation sites excluding the most protruding muscle belly from the masseter muscle;

4)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주(tragus)의 전단부부터 상기 사용자의 윗꼬리 올림근(zygomaticus major) 후면부를 압박하지 않는 부위까지를 포함하며,4)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ncl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user's tragus to the part that does not compress the back of the user's zygomaticus major,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4고정부위;first to fourth fixing parts, which are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when viewed in terms of a movement range of a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5)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temple), 턱뼈각(Angle of mandible), 아래턱뼈 아래모서리(inferior border of mandible)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영역인 제1-5고정부위5) First to fifth fixing sites, which are triangular regions with the user's temple, angle of mandible, and inferior border of mandible as vertices

6)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내부인 제1-6고정부위로서,6) As the first to sixth fixing parts that are insid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하는 제1-6고정부위;Her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a square with the user's angle of mandible and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axis (sagittal or zygomatic). Fixation sites 1 to 6 in which the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length of one side is the distance of the vertical axis from the angle of the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

7)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3,1), (4,1), (5,1), (-1,2), (1,2), (2,2), (3,2), (-1,3), (1,3), (2,3), (-1,4), (1,4), (-1,5), (1,5), (2,5)인 제1-7고정부위;7)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 -1), (1, -1), (2, -1), (3, -1), (4, -1), (-1,1), (1,1), (2,1), (3,1), (4,1), (5,1), (-1,2), (1 ,2), (2,2), (3,2), (-1,3), (1,3), (2,3), (-1,4), (1,4), (- 1,5), (1,5), (2,5) fixed sites 1-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가로 및 세로를 5등분했을 때의 소정사각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선정한 것으로서, 상기 5등분은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후면부터 전면에 따라서 상기 x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상면부터 하면에 따라서 상기 y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후면부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상면부 가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의 상면 및 후면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 및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된다.Her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select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a predetermined rectangle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re divided into 5 parts, and the 5 equal parts are the user The x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from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y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user's head, In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rear part of the user's head, which is square with respect to the face of the user, x is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s head is square with respect to the face of the user.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b-horizontal axis has y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and is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rear vertices of the user's head of the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A given rectangle is specified with negative x and y values.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2,1), (3,1), (4,1), (1,2), (2,2), (3,2), (1,3), (1,4), (1,5), (2,5), (1,-1), (-1,1)이고, 바람직하게는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1), (1,-1),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2,2), (1,3), (4,3), (5,3),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2), (1,3), (2,4), (1,5), (2,5), (1,1), (1,-1), (-1,1), 가장 바람직하게는 (2,2), (1,3), (1,-1), (-1,1)을 포함한다.In the first to sixth fixing parts, th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re (1,1), (2,1), (3,1), (4,1), (1 ,2), (2,2), (3,2), (1,3), (1,4), (1,5), (2,5), (1,-1), (-1 ,1), preferably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 ,1), (1,-1), (-1,1), more preferably (2,1), (2,2), (1,3), (4,3), (5,3 ),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 even more preferably (2,2), (1,3), (2,4), (1,5), (2,5), ( 1,1), (1,-1), (-1,1), most preferably including (2,2), (1,3), (1,-1), (-1,1) do.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1,2), (1,2), (-1,3), (1,3)이다.The 1-7 fixing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1,-1), (2,-1), (3,- 1), (4,-1), (-1,1), (1,1), (2,1), (-1,2), (1,2), (-1,3), ( 1,3).

한편,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3), (1,-3), (2,-3), (-1,-2), (1,-2), (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to seventh fixing parts,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 -3), (1, -3), (2, -3), (- 1,-2), (1,-2), and (2,-2) may be further included.

본원발명은 또한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함으로써 상기 전면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사용자의 코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와 밀착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누름부는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ront portion covering the user's nose and oral cavity;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front part to the user's face by engaging with the front part and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face, wherein the front part is at least part of the user's nose and the skin around the user's face. And a pressing part in close contact with, wherein the pressing part

1) 상기 사용자의 비강 주름(nasolabial fold)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인 제1압박부를 압박하거나,1) Pressing the first compression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nasolabial fold area;

2) 상기 사용자의 위입술올림근(evator labii superioris) 또는 위입술콧방울올림근(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2압박부를 압박하거나,2) compressing the second compression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levator labii superioris or 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of the user;

3) 상기 사용자의 콧방울(alar crease)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인 제3압박부를 압박할 수 있다.3) It is possible to press the third compression uni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ser's alar crease.

상기 누름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함과 동시에 상기 UV 차단 마스크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 The pressing unit may adhere to the user's skin and support the UV blocking mask on the user's face.

상기 전면부는 상기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곡면 형태로 배치되는 가림부; 상기 가림부 양측면에 연결되며 말단에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림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The front portion includes a covering portion disposed in a curved sh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s face; It may include a; side parts connect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covering part and to which the fixing part is coupled to an end thereof, and the covering part may not directly contact the user's face.

상기 가림부와 상기 측면부는 분리되지 않는 하나로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면부 자체가 하나의 부품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가림부, 측면부, 고정부까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ing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one that is not separated. That is, the front part itself may be composed of only one part, which may include a covering part, a side part, and even a fixing part.

상기 가림부는 2개 이상으로 나눠줄 수 있으며 이들은 제1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The covering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and they may be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ng part.

상기 가림부와 상기 측면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가림부와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제2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접힐 수 있다.The covering part and the side part may be connected as separate parts by a second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m, and the covering part and the side part may be fold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ng part.

상기 가림부 또는 전면부 상면에 상기 사용자의 코 주변부를 덮는 누름부가 부가되며, 상기 누름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탈착이 가능하여 다른 크기,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누름부는 입으로 숨을 내쉴 때, 공기가 위로 올라오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A pressing part covering the area around the nose of the user is ad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ing part or the front part, and the pressing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pressing part is detachable and can be replaced with a different size and shape. When exhaling through the mouth, the pressing unit may prevent air from rising upward.

상기 가림부 및 상기 측면부는 동일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가림부 및 상기 측면부는 고분자 수지, 금속, 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covering part and the side part may be made of the same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e covering part and the side part may be manufactured using at least one of polymer resin, metal, and cloth.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면부와 하나의 부품으로서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된 것이거나, 상기 측면부와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3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3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측면부와 서로 접히거나, 상기 측면부에 대비해 회전운동을 하거나, 상기 측면부와의 상대적인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상기 측면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조절 또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착용자의 코 또는 턱의 각도에 따라 고정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extend from the side part as one component with the side part, o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ird connection part as a separate part from the side part, and the fixing part may be folded with the side part by the third connection part. Alternatively, a rotational motion may be performed relative to the side portion, or a relative distance with the side portion may be adjusted.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nose or chin of the wearer by adjusting or rotating the fixing part relative to the side part.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돌출된 1개 이상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는 실리콘, TPE, TPU, P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TPE, TPU, P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은 화장 등 오염시에도 쉽게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고정부에 마련된 홈에 의해서 끼움 방식으로 고정이 되거나,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만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include one or more protruding contact parts that directly contact the user's skin, and the contact part is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silicon, TPE, TPU, and PE. It can be. A material includ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ilicone, TPE, TPU, and PE can be easily cleaned even when contaminated, such as makeup. The contact part may be fixed in a fitting manner by a groove provided in the fixing part, or may be fixed in a manner attached to only one side of the fixing part.

상기 제2연결부 또는 제3연결부는 상기 가림부 또는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 부가된 힌지 형태일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or the third connection part may be in the form of a hinge added to a lower end of the covering part or the side part.

본원발명에 UV 차단 마스크는 기존 페이스 쉴드에 UV 차단 기능을 특화시킨 제품으로, 기존 페이스 쉴드가 가진 단점인 착용감을 개선한 것이다. 참고로 종래의 페이스 쉴드는 이마에서 시작돼 얼굴 전체를 덮어주는 플라스틱 시트의 형태로 머리에 고정한다.The UV blocking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that has a specialized UV blocking function in the existing face shield, and improves the wearing comfort,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face shield. For reference, the conventional face shield is fixed to the head in the form of a plastic sheet that starts from the forehead and covers the entire face.

한편 본원발명에 따른 UV 차단 마스크는 종래의 사용하는 비말 차단 마스크와 동시에 착용이 가능한다. 이러한 페이스 쉴드 형태를 종래의 마스크와 동시에 사용할 경우 즉, 이중보호 (double protection)로 사용할 경우, 실제 감염율이 0%에 근접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Meanwhile, the UV block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droplet blocking mask. When such a face shield type is used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mask, that is, when used as double protection, there is a research result that the actual infection rate approaches 0% (see Non-Patent Document 1).

상기 고정부는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더 부가될 수 있다.A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fixing force of the fixing part may be further added.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UV 차단 마스크는 코; 턱; 귀; 유양 골(mastoid bone); 목 뒤; parietal bone 또는 occipital bone의 두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보조고정부위를 이용한 보조고정부가 부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V block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se; chin; ear; mastoid bone; back of the neck; head of parietal bone or occipital bone; An auxiliary fixing portion using an auxiliary fixing portion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m may be added.

상기 누름부가 압박하는 부위가 점, 선, 또는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이고, 상기 누름부가 압박하는 부위가 적어도 1개 이상이며, 상기 누름부가 압박하는 부위가 미세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 형태가 점, 선, 면, 또는 입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일 수 있다.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may have a shape of at least one of a dot, a line, or a plane,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may have at least one or more locations, and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may have a shape of a fine protrusion. Meanwhile, the shape of the pressing part may be at least one of a point, a line, a plane, and a three-dimensional shape.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다양한 해결수단 중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조합으로 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various combinations of possible forms among the various solutions.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안면의 특정 부위만을 가압함으로써 안면에 고정되는 UV 차단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마스크에 대비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UV 차단 마스크는 1) 탈착과 부착이 용이하고, 2) 탈착과 부착 과정 중 안면을 포함한 피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3) 장시간 착용을 하여도 피부에 자극이 적고, 4) 귀를 포함한 다른 근골격계 통증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며, 5) 가압하는 부위를 명확하게 특정할 뿐만 아니라 그 영역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에 상관없이 일관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6) 본원발명에서 가압하는 안면의 특정부위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귀에 대한 물리적 힘이 작용하지 않는바, 장시간 착용에 따른 스트레스, 집중력 약화의 문제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V blocking mask fixed to the face by pressing only a specific part of the face.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mask, the UV block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1) easy to attach and detach, 2) minimizes contact with the skin, including the face, during the desorption and attachment process, and 3) does not affect the skin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4) It minimizes discomfort such as pain in other musculoskeletal systems, including the ear, 5) It not only clearly specifies the area to be pressed, but also optimizes the area to provide consistent fixation regardless of the user, 6 ) As mentioned above, the specific part of the face that is pressur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ert physical force on the ear, so there is no problem of stress or weakening of concentration due to long-time wearing.

또한, 본원발명은 누름부의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코 주변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7) 코와의 밀착 정도가 강하고, 8) 안면 근육 등이 움직이더라도 코와의 밀착을 계속 유지할 뿐만 아니라 마찰을 최소화하며, 9) 마스크를 착용하고 움직일 경우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밀착 정도가 약해지지 않고, 10) 밀착을 위해서 압박하는 부위를 최소화하였으며, 11) 압박의 정도가 자신의 코 높이에 따라 쉽게 조절되고, 또한 12) 노약자, 어린이 등의 장치나 기구의 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일정 수준 이상의 밀착을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nose periphery while minimizing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part. Specifically, 7)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nose is strong, 8) not only maintains close contact with the nose and minimizes friction even when the facial muscles, etc. It is not weakened, 10) The area to be compressed is minimized for close contact, 11) The degree of pressure is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one's nose, and 12) Users who are not accustomed to adjusting devices or instruments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ask that can provide a certain level or more close contact.

도 1은 마스크 착용에 따른 통증을 관측한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두개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관자돌기(temporal process) 및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을 동시에 보여주기 위해서 골격과 근육을 동시에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4는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및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을 동시에 보여주기 위해서 골격과 근육을 동시에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5는 윗꼬리 올림근(zygomaticus major) 및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을 동시에 보여주기 위해서 골격과 근육을 동시에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6은 제1-5고정부위를 도시하기 위한 해부도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안면 중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과 이들 내부를 분할하는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안면 중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을 사람의 안면에 실제 적용한 예시 사진이다.
도 10은 PPT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1-6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PT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12는 제1-6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VAS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13은 제1-6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PT/VAS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도 14는 제1-7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PT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15는 프레임부로서 실제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특정한 압력으로 고정할 경우, 고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6은 누름부를 부가한 프레임부이다.
도 17은 누름부의 위치를 콧볼을 기준으로 위, 중간, 아래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18은 제1-6고정부위 중 (-1,1) 및 (1,-1)을 부가하여 통증을 느끼는 압력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19은 제1-6고정부위 중 (-1,1) 및 (1,-1)을 부가한 verbal에 대한 고정도 실험 결과이다.
도 20은 제1-6고정부위 중 (-1,1) 및 (1,-1)을 부가한 flexion에 대한 고정도 실험 결과이다.
도 21은 제1-6고정부위 중 (-1,1) 및 (1,-1)을 부가한 walking에 대한 고정도 실험 결과이다.
도 22 내지 24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1압박부 내지 제3압박부가 배치될 수 있는 안면을 나타내는 해부학적 모식도이다.
도 25은 본원발명에 따른 코피팅 조절기의 유무에 따른 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안면 좌우에만 고정되는 탄성체를 제작하고 코 주변부에서 상기 탄성체의 위치변화를 모션센서를 이용해 추적하기 위해 사용자가 시착한 사진이다.
도 26은 도 25를 사용하여 위치 변위를 관측한 결과이다.
도 27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상면도이다.
도 29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전면도이다.
도 30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31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2는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측면도로서 고정부가 변이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5는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ocation where pain due to wearing a mask is observed.
2 is a side view of the skull including the Styloid process.
Figure 3 is an anatomical view showing the skeleton and muscles simultaneously to simultaneously show the temporal process and the medial pterygoid.
Figure 4 is an anatomical view showing the skeleton and muscles simultaneously to simultaneously show the muscles of mastication and the medial pterygoid.
5 is an anatomical view showing the skeleton and muscles simultaneously to simultaneously show the zygomaticus major and the medial pterygoid.
6 is an anatomical view for showing first-fifth fixing parts.
FIG. 7 is a view including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with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and predetermined rectangles dividing the interior thereof.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values of (x, y) based on a user's 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ample photo in which a square based on a user's face including a predetermined square among the user's faces is actually applied to a human face in order to perform an experiment.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PPT.
11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PP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ixing sites 1-6.
12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VA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ixing sites 1-6.
13 is an analysis result of PPT/VA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ixing sites 1-6.
14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PP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ixing sites 1-7.
15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ixation when a frame part is fixed to a specific part of an actual user with a specific pressure.
16 is a frame portion to which a pressing portion is added.
1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based on the astrocytes.
FIG. 18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pressure to feel pain by adding (-1,1) and (1,-1) among fixing sites 1-6.
19 is a test result of fixed accuracy for verbals to which (-1,1) and (1,-1) are added among the 1-6 fixed positions.
20 is a test result of fixation accuracy for flexion with (-1,1) and (1,-1) added among fixing sites 1-6.
Fig. 21 shows experimental results of high precision for walking with (-1,1) and (1,-1) added among fixing positions 1-6.
22 to 24 are anatomical schematic diagrams showing faces on which first to third compression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ced.
25 is a user trying on an elastic body fixed on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face in order to check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nose fitting adju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cking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elastic body around the nose using a motion sensor. It is a picture.
26 is a result of observing positional displacement using FIG. 25 .
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top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front view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sid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schematic diagram for a case where a user wears a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sid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ape in which a fixing part is displaced.
3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in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본원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원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이하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내지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고정부위를 도시하기 위한 해부도이다.2 to 8 are anatomical views illustrating a first fix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따른 고정부위는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작은 어금니(premolar)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다.The fixed part according to FIG. 2 includes the user's premolar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styloid process when viewed in terms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vertical axis ( It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that includes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여기서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은 도 2 내지 도 7에서 x축 또는 가로축에 해당하는 것이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은 도 2 내지 도 7에서 y축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예시로 나타난 점선 부위가 본원발명의 제1-1고정부위가 될 수 있다.Here,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corresponds to the x-axis or the horizontal axis in FIGS. 2 to 7 , and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corresponds to the y-axis in FIGS. 2 to 7 . Specifically, the dotted line portion shown as an example in FIG. 2 may be the 1-1 fix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따른 제1-2고정부위는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하선(parotid gland)을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의 두 갈래 중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를 제외한 부위까지이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다. 도 2와 대비하여 볼 때 세로축의 이동 범위는 동일하며, 시상축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하선(parotid gland)을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의 두 갈래 중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를 제외한 부위까지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1-2 fixing sites according to FIG. 3 are the inner wing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parotid gland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Of the two prongs of the medial pterygoid, it extends to the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anterior fiber is located, and it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in terms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2, the movement range of the vertical axis is the same, and when viewed from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axis, the medial pterygoid muscle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parotid gland of the us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extends to the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anterior fiber is located among the two branches of the medial pterygoid.

상기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은 도 3에서 최종적으로 2개를 지칭하고 있으며 얼굴의 전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가 되며 이 부분은 제외한다. 도 3에서 예시로 나타난 점선 부위가 본원발명의 제1-2고정부위가 될 수 있다.The medial pterygoid muscle (medial pterygoid) refers to two finally in FIG. 3,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face is the part where the front fiber is located, and this part is excluded. The dotted line region shown as an example in FIG. 3 may be the first-second fixing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따른 제1-3고정부위는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교근(masseter muscle)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며, 상기 교근(masseter muscle)에서 가장 돌출된 근복부(muscle belly)는 제외하는 것인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to third fixing sites according to FIG. 4 are the masseter muscle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styloid process of the user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t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that includes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in terms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including the masseter muscle, and the muscle that protrudes most from the masseter muscle. A device secured to the face, excluding the muscle belly, is provided.

도 4에서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교근(masseter muscle)까지를 모두 포함하나, 상기 교근(masseter muscle)에서 가장 돌출된 근복부(muscle belly)는 압박을 가할 경우 쉽게 통증이 느껴지는 부분이므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includes all of the masseter muscles of the muscles of mastication, but excludes the muscle belly, which most protrudes from the masseter muscle, because it is a part where pain is easily felt when pressure is applied it is desirable

도 4에서 예시로 나타난 사각형 점선 부위 중 원형의 점선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본원발명의 제1-3고정부위의 바람직한 부위이다.Of the rectangular dotted line are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4 , areas other than the circular dotted line area are preferred as the first to third fixing area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따른 제1-4고정부위는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주(tragus)의 전단부부터 상기 사용자의 윗꼬리 올림근(zygomaticus major) 후면부를 압박하지 않는 부위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다.The first to fourth fixing parts according to FIG. 5 do not compress the back part of the user's zygomaticus major from the front end of the user's tragus when viewed from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t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in terms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도 5에서 예시로 나타난 점선 부위가 본원발명의 제1-4고정부위가 될 수 있다.The dotted line region shown as an example in FIG. 5 may be the first to fourth fixing reg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5고정부위,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6고정부위,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8고정부위를 나타낸다.6 shows fixing parts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fixing parts 1-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shows fixing parts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따른 제1-5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temple), 턱뼈각(Angle of mandible), 아래턱뼈 아래모서리(inferior border of mandible)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영역이다.6 is a triangular region having the user's temple, angle of mandible, and inferior border of mandible as vertices.

도 7은 사용자의 안면 중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과 이들 내부를 분할하는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도면으로서, 25개의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가장 큰 정사각형이 본원발명의 제1-6고정부위가 될 수 있다.7 is a view including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with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of the user's face and a predetermined rectangle dividing the inside of the square, with 25 small The largest square including squares may be the first to sixth fixing sit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7고정부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6고정부위를 확장한 것으로서, 제1-6고정부위 및 제1-7고정부위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8 shows fixing parts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tension of fixing parts 1-6, based on the user's face applied to the 1-6 fixing parts and 1-7 fixing parts. It represents the value of one (x, y).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2,1), (3,1), (4,1), (1,2), (2,2), (3,2), (1,3), (1,4), (1,5), (2,5), (1,-1), (-1,1)이거나,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1), (1,-1), (-1,1)이거나, (2,1), (2,2), (1,3), (4,3), (5,3),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일 수 있다. 상기 제1-6고정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1,3), (2,4), (1,5), (2,5), (1,1), (1,-1),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1,3), (1,-1), (-1,1)일 수 있다.In the first to sixth fixing parts, th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re (1,1), (2,1), (3,1), (4,1), (1 ,2), (2,2), (3,2), (1,3), (1,4), (1,5), (2,5), (1,-1), (-1 ,1), or (2,2), (4,2), (1,3), (3,3), (4,3), (5,3), (1,4), (2, 4), (3,4), (4,4), (5,4), (1,5), (2,5), (4,5), (5,5), (1,1) , (1,-1), (-1,1), or (2,1), (2,2), (1,3), (4,3), (5,3), (1,4 ), (2,4), (4,4), (5,4), (1,5), (2,5), (5,5), (1,1), (1,-1) , (-1,1). The 1-6 fixing parts preferably have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2), (1,3), (2,4), (1,5) , (2,5), (1,1), (1,-1), (-1,1), more preferably (2,2), (1,3), (1,-1), It can be (-1,1).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1,2), (1,2), (-1,3), (1,3)이다.The 1-7 fixing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1,-1), (2,-1), (3,- 1), (4,-1), (-1,1), (1,1), (2,1), (-1,2), (1,2), (-1,3), ( 1,3).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3), (1,-3), (2,-3), (-1,-2), (1,-2), (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1-7 fixing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3), (1,-3), (2,-3), (-1, -2), (1, -2), (2, -2)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하며,Her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a square with the user's angle of mandible and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axis (sagittal or zygomatic). The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distance from the angle of the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is the length of one side,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가로 및 세로를 5등분했을 때의 소정사각형의 위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후면부터 전면에 따라서 상기 x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상면부터 하면에 따라서 상기 y가 1, 2, 3, 4, 5로 지정된다.Her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position of a predetermined rectangle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re divided into 5 parts, and from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user's head The x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and the y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according to the upper to lower surfaces of the user's head.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후면부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상면부 가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의 상면 및 후면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 및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된다.The square upper surface of the user's head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is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and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rear part of the user's head is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b-horizontal axis has y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and is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rear vertices of the user's head of the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A given rectangle is specified with negative x and y values.

도 7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한다. 도 7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가로와 세로를 각각 5등분한 소정사각형을 표시하고 있다.7 shows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with the user's angle of mandible and zygomatic process as one surfac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axis (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distance from the angle of the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is the length of one sid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7 represents a predetermined square divided into 5 equal part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8에서 숫자가 기재되지 않은 사각형 부분은 도 7에 표시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과 동일한 부분이다. 도 8에서 상단의 가로축에 표시된 숫자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 중 x값을 나타내며, 세로축에 표시된 숫자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 중 y값을 나타낸다. -1이 표시된 부분은 x값이 -1, y값이 -1로서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1,-1)이다. 가로축을 따라 -1, 1, 2, 3, 4, 5로 표시된 부분의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값은 (-1,-1), (1,-1), (2,-1), (3,-1), (4,-1), (5,-1)에 해당하며, 세로축을 따라 -1, 1, 2, 3, 4, 5로 표시된 부분의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값은 (-1,-1), (-1,1), (-1,2), (-1,3), (-1,4), (-1,5)에 해당한다. 나머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은 x값과 y값을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색이 칠해진 부분의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값은 (3,2)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values of (x, y) based on a user's 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 the square portion without a number is the same as the square portion based on the face of the user shown in FIG. 7 . In FIG. 8, the number displayed on the horizontal axis at the top represents the x value among th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nd the number displayed on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represents the y-value. The part marked with -1 has an x value of -1 and a y value of -1, and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 -1). The (x, y) values based on the user's face in the parts marked -1, 1, 2, 3, 4, 5 along the horizontal axis are (-1,-1), (1,-1), (2 Corresponds to ,-1), (3,-1), (4,-1), and (5,-1), and the user's The (x, y) values based on the face are (-1,-1), (-1,1), (-1,2), (-1,3), (-1,4), (- 1,5). The remaining unmarked parts are combinations of x and y values. For example, the (x, y) value based on the face of the user of the colored portion in FIG. 8 is (3,2).

상기 고정부위의 구체적인 위치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감, 고정력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present a clear standard of the user's discomfort and fixation force accor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fixing part,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제1실험 : 제1-6고정부위의 고정력 측정><Experiment 1: Fixation force measurement at fixation sites 1-6>

도 7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각각의 좌표에 대해서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PPT),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VAS)을 측정하였다.For each coordinat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7, the user's pain feeling pressure (PPT) and pain feeling under a fixed pressure (VAS) were measured.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을 별도로 측정한 것은 사용자가 안면의 위치에 따른 근육의 여부, 골격의 위치, 피부의 두께에 따라서 압력을 높였을 때 고정력은 담보되나 사용자가 고통을 느낄 수 있거나, 고통을 크게 느끼지 못하나 고정력이 담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The pressure that the user feels pain and the pain felt under the fixed pressure are separately measured. This is because there are cases in which you can feel pain or do not feel much pain, but the fixation power is not guaranteed.

도 7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각각의 좌표에 대해서 사용자의 통증 역치(PPT)를 측정하였다. 통증 역치(Pressure Pain Threshold: PPT)는 통증을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값으로 본 실험에서 정의하였다.The user's pain threshold (PPT) was measured for each coordinat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7 . The Pain Threshold (PPT) was defined in this experiment as the maximum pressure value capable of enduring pain.

도 9는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안면 중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정사각형을 사람의 안면에 실제 적용한 예시 사진이며, 도 10은 PPT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9 is an example photo in which a square including a predetermined square among a user's face is actually applied to a person's face in order to perform an experiment, and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vice for measuring PPT.

통증을 느끼는 압력 분포는 압통기(Algometer)를 이용하여 해당 좌표에서 통증을 느끼는 압력(통증 역치, PPT)을 측정하였다. 대상자 얼굴 표면에 위치한 본원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 각각에 해당하는 소정사각형 영역에 PPT 장비를 이용하여 통증 역치(PPT)를 측정하였다. 통증을 느끼는 압력의 단위는 ㎏/㎠이다. 해당 좌표에 통증이 시작된 압력 값을 입력하고 상기 압력 값을 상대적 색으로 변환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의 결과는 19명의 인원에 대해서 수행한 값의 평균값이다. 도 11, 12, 13에서 상단의 표는 도 7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위치에 따른 측정값이며, 아래 그래프에서 상기 측정값은 색을 달리하여 표시한 것이다. 하단 그래프의 사각형의 세로축에 표시된 1 내지 5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좌표 중 y 값에 해당하는 것이며, 가로축에 표시된 1 내지 5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좌표 중 x값에 해당하는 것이다.For the pressure distribution to feel pain, the pressure to feel pain (pain threshold, PPT) was measured at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using an Algometer. The pain threshold (PPT) was measured in a predetermined rectangular area corresponding to each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on the subject's face surface using PPT equipment. The unit of pressure to feel pain is kg/cm2. 11 shows the result of inputting the pressure value at which the pain started at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and converting the pressure value into a relative color. The result of FIG. 11 is the average value of the values performed for 19 persons. In FIGS. 11, 12, and 13, the tables at the top are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7, and the measured values ar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in the graph below. 1 to 5 displayed on the vertical axis of the rectangle in the lower graph correspond to the y value of the (x, y) coordinates based on the user's face, and 1 to 5 displayed on the horizontal axis are based on the user's face ( x, y) It corresponds to the x value among the coordinates.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소정사각형 각각의 좌표에 용수철이 걸린 압통기(Algometer)를 이용하여 장력을 일정하게 부여한 후 대상자의 불편함 정도 (Discomfort score; VAS)를 조사하였다. 압력은 1㎏/㎠로 고정하였고, 각 좌표에 대해서 불편함 정도 값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상대적 색으로 변환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시각통증척도 (VAS, Visual Analog Scale)는 환자들의 자각하는 통증의 정도를 '없음'과 '극심한 통증'을 0에서 10으로 설정하여, 환자에게 직접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통증에 대한 평가척도로서 사용되고 있는 지표 중 하나이다. 도 12의 결과는 19명의 인원에 대해서 수행한 값의 평균값이다.In order to measure the distribution of pain felt under a fixed pressure, a constant tension was applied using an algometer with a spring applied to the coordinates of each of the predetermined squares, and then the subject's discomfort score (VAS) was examined. The pressure was fixed at 1 kg/cm 2 , the discomfort degree value was input for each coordinate, and the result of converting the color relative to the input value is shown in FIG. 12 . The Visual Analog Scale (VAS) is a method of directly displaying the degree of pain perceived by patients by setting 'none' and 'extreme pain' on a scale of 0 to 10, and is used as an evaluation scale for pain. one of the indicators. The result of FIG. 12 is the average value of the values performed for 19 persons.

한편,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에 대한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신규의 통증 지수를 도출하였다. 상기 신규의 통증 지수는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PPT)을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의 값(VAS)으로 나눈 것에 100을 곱한 값으로 강한 압력을 버틸 수 있으면서 통증을 덜 느낄 수 있는 부위를 선정하기 위한 것이다. 소정사각형 각각의 좌표에 대해서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a new pain index was deriv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pressure that the user feels pain and the pain felt under a fixed pressure. The new pain index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ressure (PPT) at which the user feels pain by the value of pain (VAS) felt under a fixed pressure, multiplied by 100, and selects an area where the user can withstand strong pressure and feel less pain. It is to do. 13 show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ordinates of each of the predetermined squares.

제1-6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1실험에서는 이와 같이 3가지 방법을 통해서 명확한 고정부위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도 11에서는 1.2 이상의 값, 도 12에서는 5.0 이상의 값, 도 13에서는 25 이상의 값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최소하면서 고정력을 담보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In the first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ixation sites 1-6, clear fixation sites could be derived through three methods as described above, with a value of 1.2 or more in FIG. 11, a value of 5.0 or more in FIG. 12, and a value of 25 or more in FIG. 13. When the value was applied, it was evaluated that the fixation force could be secured while minimizing discomfort to the user.

<제2실험 : 제1-7고정부위의 고정력 측정><Experiment 2: Measurement of fixation force at fixation sites 1-7>

상기와 같이 제1실험을 통하여 제1-6고정부위를 선정하였다. 제1-6고정부위는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 내부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first experiment, the 1-6 fixed sites were selected. The first to sixth fixing parts correspond to the inside of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with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of the user as one surface.

본원발명에 따른 연구를 진행하면서, 귓구멍 앞부터 턱관절 뒷부분 사이의 공간도 고정부위로 활용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원발명에 따른 제2실험에서는 이 부위에 대한 추가 평가를 진행하였다. 고정부위의 범위를 안면 뒤쪽으로 확장함에 있어서, 턱관절만 지나지 않으면 활용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확장한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위의 범위를 안면 상부쪽으로 확장하였다.While conducting resear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found that the space between the front of the ear hole and the back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an also be used as a fixing site. In the second exper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evaluation of this area was performed. In extending the range of the fixed part to the back of the face, it was recognized that it could be utilized if only the temporomandibular joint passed, and this was expanded. Similarly, the scope of the fixation area was exte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face.

도 8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각각의 좌표에 대해서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PPT)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제1실험과 동일하다.Pressure (PPT) at which the user feels pain was measured for each coordinat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8 . The measurement method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xperiment.

사용자의 통증 역치(PPT)를 본원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에 따라 측정한 것은 사용자가 안면의 위치에 따른 근육의 여부, 골격의 위치, 피부의 두께에 따라 통증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증 역치가 높을수록 고정력을 담보할 수 있는 압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The pain threshold (PPT) of the user is measured according to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in This is because the degree may var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in threshold, the higher the pressure that can secure fixation.

통증을 느끼는 압력의 단위는 ㎏/㎠이다. 해당 좌표에 대한 통증 역치를 기입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의 결과는 9명에 대해서 수행한 값의 평균값이다. 도 14 상단에는 통증 역치(PPT)에 따라서 색깔을 달리한 기준을 나타냈다. 1.2 이하는 통증 역치가 너무 낮아 고정부위로 사용하기에 적절치 않은 영역이며, 1.4 이상은 통증 역치가 가장 높은 가장 바람직한 영역이다.The unit of pressure to feel pain is kg/cm2. A pain threshold was entered for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and the results thereof are shown in FIG. 14 . The result of FIG. 14 is the average value of the values performed for 9 people. In the upper part of FIG. 14, the criteria with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pain threshold (PPT) are shown. A value of 1.2 or less is an area in which the pain threshold is too low to be used as a fixing site, and a value of 1.4 or more is the most desirable region with the highest pain threshold.

<고정력 실험><Fixing force test>

본원발명의 제1실험에 따라 도출된 부위 중 특히 통증 대비 고정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부위 5곳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고정력을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Among the regions derived according to the first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ve regions evaluated to have particularly high fixation power compared to pain were selected and the fixation force thereof was measured by various methods.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값이 각각 (1,5), (1,3), (2,5), (2,2), (2,4)를 각각 1, 2, 3, 4, 5 부위로 명명하고 이에 대한 고정력 실험을 별도로 진행하였다. 상기 1, 2, 3, 4, 5 부위에 대해서 안면을 감싸면서 소정사각형 해당 좌표만을 압박하는 프레임부 형태의 반원 틀(이하 '프레임부)을 제조한 후 상기 반원 틀이 해당 좌표를 압박하는 압력을 달리한 후 "아에이오우'를 발성을 하거나(Verbal), 반원 틀 수평으로 거치 후 목을 30도로 굽힌 후 다시 원복했을 때 수평 틀의 원위치 유지 여부 (Flexion), 시속 3km/h 및 5km/h의 걷기를 통해서 상기 반원 틀이 정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 (Walking)를 관측하였다. 각각에 대한 실험결과를 표 1, 표 2,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는 3명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의 평균값이다.The (x, y) values based on the user's face are (1,5), (1,3), (2,5), (2,2), (2,4) respectively 1, 2, Sites 3, 4, and 5 were named, and a fixation force test was conducted separately. After manufacturing a semicircular fr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ame unit') in the form of a frame unit that presses only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of a predetermined square while covering the face for the 1, 2, 3, 4, and 5 regions, the pressure with which the semicircular frame presses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Whether or not to vocalize "A.Ou" after changing the frame (Verbal), or maintain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when the neck is bent at 30 degrees after placing it horizontally (Flexion), 3km/h and 5km/h It was observed whether the semicircular frame was out of position (Walking) through the walking of h.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each are shown in Table 1, Table 2, and Table 3. This i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on 3 people. is the average value of

도 15는 프레임부로서 실제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특정한 압력으로 고정할 경우, 고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장치의 탄성력을 10g, 30g, 50g으로 차별을 두어 사용자의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달리한 것을 도식화하여 부가하였다.15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ixation when a frame part is fixed to a specific part of an actual user with a specific pressure. The elastic force of the device was differentiated into 10g, 30g, and 50g,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face was different and added.

표 1에서 말하는 압력은 상기 프레임부가 사용자에게 가하는 탄성력 또는 압력으로서 g이 단위이다. 표 1은 발성 (Verbal), 구부리기 (Flexion), 걷기 (Walking)의 실험에서 프레임부가 제자리에 위치하기 위한 최소한의 압력을 나타낸 것으로서 2번, 4번 위치는 낮은 압력으로서 제자리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The pressure referred to in Table 1 is an elastic force or pressure applied to the user by the frame unit, and has a unit of g. Table 1 shows the minimum pressure for the frame to be placed in place in the Verbal, Flexion, and Walking experiments, and it can be seen that positions 2 and 4 are in place with low pressure. there is.

표 2는 발성 (Verbal), 구부리기 (Flexion), 걷기 (Walking)의 실험 중 고정압력에 따라서 프레임부가 자리를 이탈한 인원수를 나타낸다. 표 1과 유사하게 2번과 4번 위치에서는 프레임부가 이탈을 하지 않았다.Table 2 shows the number of people whose frame part moved out of its seat according to the fixing pressure during the Verbal, Flexion, and Walking experiments. Similar to Table 1, the frame part did not break away at positions 2 and 4.

표 3은 프레임부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은 구역을 프레임부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서 나타낸 결과이다. 2번과 4번 위치는 낮은 압력에서도 프레임부가 이동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Table 3 shows the results of regions in which movement of the frame does not occur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frame.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part does not move at positions 2 and 4 even at low pressure.

상기 5개의 위치에 대해서 프레임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를 매달은 후에 상기 프레임부의 고정여부를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Table 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whether or not the frame part is fixed after hanging a weight of a certain weight on the frame part for the above five positions.

표 4에서도 알 수 있듯이 2번과 4번 위치는 낮은 압력에서도 무게가 무거운 추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험을 통해서 2, 4의 위치가 가장 우수한 고정력을 담보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able 4, positions 2 and 4 can fix heavy weights even at low pressure. Through the above experiments,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s 2 and 4 ensure the best fixing force.

<누름부의 부가에 따른 고정력 측정><Measurement of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pressing part>

본원발명에 따른 누름부가 부가됨에 따른 고정력을 측정하였다. 본원발명에 따른 누름부는 누름부 자체가 고정력을 부가할 수 있다. 누름부의 부가에 따른 고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도 15의 프레임부에 본원발명에 따른 누름부와 같은 형태(이하 '누름부')를 부가하였다. 도 16은 누름부의 부가에 따른 고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프레임부에 누름부를 부가한 것이다. Fixing forc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press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a fixing force to the pressing unit itself. In order to measure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pressing part, the same shape as the press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ssing part') was added to the frame of FIG. 15. 16 shows that a pressing part is added to the frame part in order to measure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pressing part.

제1고정부위를 상기 고정력 실험에서의 2번 및 4번 위치가 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를 고정한 후 누름부의 여부 및 누름부의 위치를 콧볼을 기준으로 위, 중간, 아래로 바꾸어 고정력을 관측하였다.After fixing the frame part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could be the 2nd and 4th positions in the fixing force experiment, the fixing force was observed by changing the presence of the pressing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to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based on the astril.

도 17은 누름부의 위치를 콧볼을 기준으로 위, 중간, 아래로 나타낸 사진이다.1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based on the astrocytes.

고정력은 프레임부만을 가지고 수행한 경우와 같이 '아에이오우'를 발성을 하거나(Verbal), 시속 3km/h 및 5km/h의 걷기를 통해서 상기 반원 틀이 정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Walking), 프레임부에 10, 20, 30, 40, 50g의 별도의 추를 부가한 경우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3명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의 평균값이다.The fixing force is whether the semicircular frame deviates from its normal position by voicing 'A.O' as in the case of performing with only the frame (Verbal) or walking at 3 km/h and 5 km/h per hour (Walking), The process was divided into cases in which separate weights of 10, 20, 30, 40, and 50 g were added to the frame part. This experiment is the average value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n three people.

표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프레임부의 고정력을 30g으로 할 경우, 누름부의 부가여부에 관계없이 발성 (Verbal), 걷기 (Walking)에 대해서 고정위치를 벗어나지 않았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Table 2, when the fixing force of the frame part is 30 g,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pressing part is added,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fixed position for verbal and walking.

누름부에 따른 효과를 관측하기 위해서 프레임부의 지지압력을 최소화하여 프레임부의 압력을 10g 이하로 줄여서 관측하였다. 이 경우 2번, 4번 위치에서도 최소한의 무게추인 10g을 지지하지 못한다. 아래 표5는 이에 따른 실험결과이다. 추의 무게와 누름부의 위치에 따라서 프레임부가 본래 위치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O로 표시하였다.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pressing part, the support pressure of the frame part was minimized and the pressure of the frame part was reduced to 10 g or less. In this case, even at positions 2 and 4, the minimum weight of 10g cannot be supported. Table 5 below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accordingly. The case where the frame part does not deviate from its original positio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and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is marked as O.

표 5를 참조하면 누름부가 없는 프레임부의 경우 2번, 4번 위치에서 모두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누름부 또한 그 위치에 따라서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정도가 상이하였으며, 콧볼을 중심으로 아래에 위치할 경우 가장 강한 고정력을 담보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Referring to Table 5, in the case of the frame part without the pressing part, it was found that both positions 2 and 4 were out of position. The degree of deviation from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wa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its location,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strongest fixing force was ensured when it was located below the astril.

<(-1,1), (1,-1)의 고정력 측정><(-1,1), (1,-1) fixed force measurement>

본원발명은 또한 일회용 또는 보급형 마스크가 일반 방독면 등에 비해서 매우 가볍기 때문에 상기 <고정력 측정>에 사용된 프레임부의 고정력보다 훨씬 낮은 값에서도 마스크가 충분히 얼굴에 고정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종래의 통증이 높지만 고정력이 높은 부위만을 별도로 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번 실험은 제1-6고정부위에 상기 부위를 부가한 것이지만, 결국 제1-7고정부위에 해당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disposable or popular mask is very light compared to a general gas mask, etc., the mask can be sufficiently fixed to the face even at a value much lower than the fixing force of the frame used in the <fixing force measurement>, although the conventional pain is high, but the fixing force is high. Only this high area was selected separately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is experiment, the above sites were added to the 1-6 fixation sites, but they eventually correspond to the 1-7 fixation sites.

실험은 앞에서 설명한 <제1실험 : 제1-6고정부위의 고정력 측정> 및 <고정력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 1: Measurement of fixation force at fixation sites 1-6> and <Experiment of fixation force> described above.

도 18은 제1-6고정부위에 (-1,1) 및 (1,-1)을 부가하여 VAS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8에서 1번이 (1,-1)에 해당하며 6번이 (-1,1)에 해당한다. 도 18의 그래프는 1번부터 6번에 대한 VAS를 측정한 것이다. 1번 위치와 6번 위치는 30g의 압력일 경우 통증이 큰 부위로 나타나서 고정부위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10g의 압력일 경우에는 고정부위로 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5명에 대한 실험 결과의 평균 값이다.18 is a result of measuring VAS by adding (-1,1) and (1,-1) to the 1-6 fixing sites. In FIG. 18, number 1 corresponds to (1, -1) and number 6 corresponds to (-1, 1). The graph of FIG. 18 measures the VAS for Nos. 1 to 6. Positions 1 and 6 are undesirable as fixing parts because they appear as areas with great pain when the pressure is 30 g, but they can be used as fixing parts when the pressure is 10 g. 18 is the average value of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5 people.

도 19 내지 도 21은 상기 도 18의 실험 결과 중 통증이 적었던 1, 6, 2, 4에 대해서 verbal, flexion, walking에 고정도를 실험한 결과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 3번은 도 18의 6번에 해당한다. 도 19 내지 도 21의 결과를 보면 실험을 수행한 4곳 모두 고정력을 충분히 담보할 수 있는 유력한 고정부위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번은 모든 경우에 대해서 가장 우수한 고정도를 나타내었다.19 to 21 show the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accuracy of verbal, flexion, and walking for 1, 6, 2, and 4, which had less pain among the test results of FIG. 18. Number 3 in FIGS. 19 to 21 corresponds to number 6 in FIG. 18 . Looking at the results of FIGS. 19 to 21, it can be seen that all four places wher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can be powerful fixing parts that can sufficiently secure fixing force. In particular, No. 1 showed the best fixation accuracy in all cases.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해부학적으로 구체적인 위치를 명확히 설정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해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소한의 힘만으로도 높은 고정력을 담보할 수 있는 특정한 부위를 도출함으로써, 장시간 착용을 하여도 피부에 자극이 적고, 가압하는 부위를 명확하게 특정할 뿐만 아니라 그 영역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 상관없이 일관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learly set an anatomically specific location, and performed various experiments for each region. By deriving a specific area that can ensure high fixation with minimal force, there is little irritation to the skin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and not only clearly specifies the area to be pressed, but also minimizes the area to ensure consistent fixation regardless of the user. A mask that can be provided can be provided.

<변위 실험><Displacement experiment>

본원발명에 따른 누름부의 유무에 따른 안면에 고정하는 장치의 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안면 좌우에만 고정되는 탄성체를 제작하고 코 주변부에서 상기 탄성체의 위치변화를 모션센서를 사용하여 관측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displacement of the device fixed to the fa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ess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body fixed on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user's face was manufactured, and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elastic body around the nose was observed using a motion sensor.

도 25는 변위 실험을 하기 위해서 도 16의 누름부를 부가한 탄성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사진이다. 도 25에서 검은점으로 표시한 부분의 변위를 관측하였다. 누름부를 부가하거나(도 15) 부가하지 않은 탄성체(도 16)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 "아에이오우"의 말하기를 하면서 상기 검은점의 변위를 관측하였다. 기준점으로부터 좌표를 구한 후 이들의 거리를 측정한 후 시간에 따라서 이를 도 26에 나타내었다.FIG. 25 is a photograph of a user wearing the elastic body to which the pressing portion of FIG. 16 is added in order to perform a displacement experiment. In FIG. 25, the displacement of the part indicated by the black dot was observed. After the user wore the elastic body with or without a presser (FIG. 15) (FIG. 16), the displacement of the black dot was observed while saying "Aoiow". After obtaining the coordinates from the reference point and measuring their distance, it is shown in FIG. 26 according to time.

종래의 마스크는 사용자가 코 주변의 철사를 구부려 밀착을 하더라도 사용자가 말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안면 근육의 수축 이완으로 인해서 밀착도가 떨어진다. 도 26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것은 누름부를 부가하지 않은 탄성체를 시착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누름부를 부가할 경우 사용자가 대화를 할 경우라도 해당 부위의 변위(도 26의 실선 참조)가 적어 밀착도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을 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mask, even if the user bends the wire around the nose to make close contact, the degree of adhesion is poor due to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facial muscles caused by the user talking. In FIG. 26, the dotted line shows the result of trying on the elastic body without adding a pressing part. When the press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even when the user has a conversation, it can be indirectly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closeness can be maintained due to a small dis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part (see the solid line in FIG. 26).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7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100)에 따른 마스크 사시도, 도 28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100)에 따른 마스크의 상면도, 도 29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100)에 따른 마스크의 전면도이다. 도 30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200)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도이며, 도 31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200)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2는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300)에 따른 마스크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400)에 따른 마스크 사시도이며, 도 34는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400)에 따른 마스크 측면도로서 고정부가 변이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5는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500)에 따른 마스크 사시도이다.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8 is a top view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is the first embodi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front view of the mask according to. 30 is a sid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se in which a user wears the mas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4 is a side view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fixing part is displaced. 3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6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실시예 1 내지 5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1 to 5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6 to 35 .

본원발명에 따른 UV 차단 마스크(100, 200, 300, 400, 500)는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전면부(110, 210, 310, 410, 510); 및 상기 전면부(110, 210, 310, 410, 510)와 결합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1고정부위 중 적어도 일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전면부(110, 210, 310, 410, 510)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120, 220, 320, 420, 520);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위는The UV blocking mask (100, 200, 300, 400,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110, 210, 310, 410, 510) cov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nd by combining with the front part (110, 210, 310, 410, 510) and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first fixing part, the front part (110, 210, 310, 410, 510) is attached to the user's face. In the UV blocking mask comprising a fixing part (120, 220, 320, 420, 520) fixed to the fixing part, the first fixing part is

1)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작은 어금니(premolar)까지를 포함하며,1)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brush protrusion (styloid process) to the user's small molar (premolar) when viewed as a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1고정부위;a 1-1 fixing part, which is a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when viewed in terms of a movement range of a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2)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하선(parotid gland)을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의 두 갈래 중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를 제외한 부위까지이며,2) Among the two branches of the medial pterygoid of the muscles of mastication of the user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parotid gland of the user when viewed from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t extends to the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anterior fibers are located,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2고정부위;1st-2nd fixing parts, which are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in terms of a movement range of a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3)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교근(masseter muscle)까지를 포함하며,3)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styloid process to the masseter muscle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when viewed as a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며,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in terms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상기 교근(masseter muscle)에서 가장 돌출된 근복부(muscle belly)는 제외하는 것인 제1-3고정부위;1-3 fixation sites excluding the most protruding muscle belly from the masseter muscle;

4)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주(tragus)의 전단부부터 상기 사용자의 윗꼬리 올림근(zygomaticus major) 후면부를 압박하지 않는 부위까지를 포함하며,4)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ncl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user's tragus to the part that does not compress the back of the user's zygomaticus major,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4고정부위;first to fourth fixing parts, which are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when viewed in terms of a movement range of a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5)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temple), 턱뼈각(Angle of mandible), 아래턱뼈 아래모서리(inferior border of mandible)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영역인 제1-5고정부위5) First to fifth fixing sites, which are triangular regions with the user's temple, angle of mandible, and inferior border of mandible as vertices

6)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내부인 제1-6고정부위로서,6) As the first to sixth fixing parts that are insid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하는 제1-6고정부위;Her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a square with the user's angle of mandible and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axis (sagittal or zygomatic). Fixation sites 1 to 6 in which the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length of one side is the distance of the vertical axis from the angle of the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

7)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3,1), (4,1), (5,1), (-1,2), (1,2), (2,2), (3,2), (-1,3), (1,3), (2,3), (-1,4), (1,4), (-1,5), (1,5), (2,5)인 제1-7고정부위;7)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 -1), (1, -1), (2, -1), (3, -1), (4, -1), (-1,1), (1,1), (2,1), (3,1), (4,1), (5,1), (-1,2), (1 ,2), (2,2), (3,2), (-1,3), (1,3), (2,3), (-1,4), (1,4), (- 1,5), (1,5), (2,5) fixed sites 1-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가로 및 세로를 5등분했을 때의 소정사각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선정한 것으로서, 상기 5등분은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후면부터 전면에 따라서 상기 x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상면부터 하면에 따라서 상기 y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후면부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상면부 가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의 상면 및 후면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 및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된다.Her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select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a predetermined rectangle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re divided into 5 parts, and the 5 equal parts are the user The x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from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y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user's head, In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rear part of the user's head, which is square with respect to the face of the user, x is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s head is square with respect to the face of the user.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b-horizontal axis has y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and is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rear vertices of the user's head of the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A given rectangle is specified with negative x and y values.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2,1), (3,1), (4,1), (1,2), (2,2), (3,2), (1,3), (1,4), (1,5), (2,5), (1,-1), (-1,1)이고, 바람직하게는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1), (1,-1),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2,2), (1,3), (4,3), (5,3),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2), (1,3), (2,4), (1,5), (2,5), (1,1), (1,-1), (-1,1), 가장 바람직하게는 (2,2), (1,3), (1,-1), (-1,1)을 포함한다.In the first to sixth fixing parts, th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re (1,1), (2,1), (3,1), (4,1), (1 ,2), (2,2), (3,2), (1,3), (1,4), (1,5), (2,5), (1,-1), (-1 ,1), preferably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 ,1), (1,-1), (-1,1), more preferably (2,1), (2,2), (1,3), (4,3), (5,3 ),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 even more preferably (2,2), (1,3), (2,4), (1,5), (2,5), ( 1,1), (1,-1), (-1,1), most preferably including (2,2), (1,3), (1,-1), (-1,1) do.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1,2), (1,2), (-1,3), (1,3)이다.The 1-7 fixing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1,-1), (2,-1), (3,- 1), (4,-1), (-1,1), (1,1), (2,1), (-1,2), (1,2), (-1,3), ( 1,3).

한편,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3), (1,-3), (2,-3), (-1,-2), (1,-2), (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to seventh fixing parts,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 -3), (1, -3), (2, -3), (- 1,-2), (1,-2), and (2,-2)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1-1고정부위 내지 제1-7고정부위는 앞의 <제1실험>, <제2실험>, <고정력 실험>을 통해서 효과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상기 제1-1고정부위 내지 제1-7고정부위는 고정부(120, 220, 320, 420, 520)가 구체적으로 접하면서 압박하는 부위에 해당한다.The fixation sites 1-1 to 1-7 proved the superiority of the effect through the <First Experiment>, <Second Experiment>, and <Fixing Force Experiment>. The fixing parts 1-1 to 1-7 correspond to parts that the fixing parts 120 , 220 , 320 , 420 , and 520 specifically contact and press.

본원발명은 또한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전면부(110, 210, 310, 410, 510); 및 상기 전면부(110, 210, 310, 410, 510)와 결합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함으로써 상기 전면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120, 220, 320, 420, 520);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0, 210, 310, 410, 510)는 사용자의 코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와 밀착하는 누름부(112, 212, 312, 412, 512)를 포함하고, 여기서 누름부(112, 212, 312, 412, 512)는The present invention also covers the user's nose and mouth around the front portion (110, 210, 310, 410, 510); And a fixing part (120, 220, 320, 420, 520) for fixing the front part to the user's face by engaging with the front part (110, 210, 310, 410, 510) and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face. ); In the mask comprising a, the front part (110, 210, 310, 410, 510) is a pressing part (112, 212, 312, 412, 512)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nose and the skin around it Including, where the pressing parts (112, 212, 312, 412, 512)

1) 상기 사용자의 비강 주름(nasolabial fold)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인 제1압박부를 압박하거나,1) Pressing the first compression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nasolabial fold area;

2) 상기 사용자의 위입술올림근(evator labii superioris) 또는 위입술콧방울올림근(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2압박부를 압박하거나,2) compressing the second compression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evator labii superioris or 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3) 상기 사용자의 콧방울(alar crease)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인 제3압박부를 압박할 수 있다.3) It is possible to press the third compression uni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ser's alar crease.

상기 누름부(112, 212, 312, 412, 512)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함과 동시에 상기 UV 차단 마스크(100, 200, 300, 400, 500)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The pressing parts 112, 212, 312, 412, and 512 may adhere to the user's skin and support the UV blocking mask 100, 200, 300, 400, and 500 on the user's face.

상기 전면부(110, 210, 310, 410)는 상기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곡면 형태로 배치되는 가림부(114, 214, 314, 414); 상기 가림부(114, 214, 314, 414) 양측면에 연결되며 말단에 상기 고정부(120, 220, 320, 420)가 결합되는 측면부(116, 216, 316, 4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림부(114, 214, 314, 414)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The front part (110, 210, 310, 410) includes a shielding part (114, 214, 314, 414) disposed in a curved sh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s face; Side parts 116, 216, 316, 416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ver parts 114, 214, 314, 414 and to which the fixing parts 120, 220, 320, 420 are coupled to the ends; may include, The covering parts 114, 214, 314, and 414 may not directly contact the user's face.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500)에 따른 UV 차단 마스크는 상기 가림부와 상기 측면부는 분리되지 않는 하나로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면부(510) 자체가 하나의 부품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가림부, 측면부, 고정부까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UV blocking mask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ing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one inseparable one. That is, the front part 510 itself may be composed of only one part, which may include a covering part, a side part, and even a fixing part.

상기 가림부(114, 214, 314, 414)는 2개 이상으로 나눠져 있으며 이들은 제1연결부(115, 215, 315, 415)에 의해서 연결된다.The shielding parts 114, 214, 314, and 414 are divided into two or more, and they are connected by first connection parts 115, 215, 315, and 415.

상기 가림부(114, 214, 314, 414)와 상기 측면부(116, 216, 316, 416)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118, 218, 318, 418)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가림부(114, 214, 314, 414)와 상기 측면부(116, 216, 316, 416)는 상기 제2연결부(118, 218, 318, 418)에 의해서 서로 접힐 수 있다.The cover parts 114, 214, 314, 414 and the side parts 116, 216, 316, 416 may be connected as separate parts by a second connection part 118, 218, 318, 418 connecting them, The shielding parts 114, 214, 314, and 414 and the side parts 116, 216, 316, and 416 may be fold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ng parts 118, 218, 318, and 418.

상기 가림부(114, 214, 314, 414) 또는 상기 전면부(510) 상면에 상기 사용자의 코 주변부를 덮는 누름부(112, 212, 312, 412, 512)가 부가되며, 상기 누름부(112, 212, 312, 412, 512)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112, 212, 312, 412, 512)는 탈착이 가능하여 다른 크기,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누름부(112, 212, 312, 412, 512)는 입으로 숨을 내쉴 때, 공기가 위로 올라오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A pressing part 112, 212, 312, 412, 512 covering the area around the nose of the user is ad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ing part 114, 214, 314, 414 or the front part 510, and the pressing part 112 , 212, 312, 412, 512)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pressing parts 112, 212, 312, 412, and 512 are detachable and can be replaced with other sizes and shapes. The pressing parts 112, 212, 312, 412, and 512 may prevent air from rising upward when exhaling through the mouth.

상기 가림부(114, 214, 314, 414) 및 상기 측면부(116, 216, 316, 416)는 동일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가림부(114, 214, 314, 414) 및 상기 측면부(116, 216, 316, 416)는 고분자 수지, 금속, 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covering parts 114, 214, 314, and 414 and the side parts 116, 216, 316, and 416 may be made of the same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e covering parts 114, 214, 314, and 414 and the side parts 116, 216, 316, and 416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polymer resin, metal, and cloth.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500)에 따른 UV 차단 마스크의 전면부(510) 또한 자체가 하나의 부품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 금속, 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front part 510 of the UV blocking mask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composed of only one part, and may be manufactured using at least one of polymer resin, metal, and fabric. there is.

상기 고정부(120, 220, 320, 420)는, 상기 측면부(116, 216, 316)와 하나의 부품으로서 상기 측면부(116, 216, 316)에서 연장된 것이거나, 상기 측면부(416)와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3연결부(42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제3연결부(425)에 의해서 상기 측면부(416)와 서로 접히거나, 상기 측면부(416)에 대비해 회전운동을 하거나, 상기 측면부(416)와의 상대적인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The fixing parts 120, 220, 320, and 420 may extend from the side parts 116, 216, and 316 as one part, or may be separate from the side parts 416. As a part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425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xing part 420 may be folded with the side part 416 by the third connection part 425, rotated in relation to the side part 416, or the relative distance with the side part 416 may be adjusted. .

본원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는 예시로서 회전운동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대한 A각도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420)은 측면부(416)에 부착된 홈(도면 번호 미도시) 등에 의해서 움직이는 각도마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상기 측면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조절 또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착용자의 코 또는 턱의 각도에 따라 고정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rotational movement as an example, and the angle A for this can be modified. In addition, the fixing part 420 may be fixed at each moving angle by a groove (not shown) attached to the side part 416 .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nose or chin of the wearer by adjusting or rotating the fixing part relative to the side part.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500)는 고정부(520)가 전면부(510)와 하나의 부품으로만 구성된 것이다.In the fifth embodimen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520 is composed of only the front part 510 and one part.

상기 고정부(120, 220, 320, 420, 520)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돌출된 1개 이상의 접촉부(122, 222, 322, 422, 5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122, 222, 322, 422, 522)는 실리콘, TPE, TPU, P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TPE, TPU, P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은 화장 등 오염시에도 쉽게 세척할 수 있다.The fixing parts 120, 220, 320, 420, and 520 may include one or more protruding contact parts 122, 222, 322, 422, and 522 that directly contact the user's skin, and the contact part 122 , 222, 322, 422, 522)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includ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silicon, TPE, TPU, and PE. The elastic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silicone, TPE, TPU, and PE can be easily cleaned even when contaminated with makeup.

상기 접촉부(122, 222, 322, 522)는 상기 고정부(120, 220, 320, 520)에 마련된 홈에 의해서 끼움 방식으로 고정이 되거나, 상기 접촉부(422)는 상기 고정부(420)의 일측면에만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contact parts 122, 222, 322, and 522 are fixed in a fitting manner by grooves provided in the fixing parts 120, 220, 320, and 520, or the contact parts 422 are part of the fixing part 420. It can be fixed in such a way that it is attached only to the side.

상기 제2연결부(118, 218, 318, 418) 또는 제3연결부(425)는 상기 가림부(114, 214, 314, 414) 또는 상기 측면부(116, 216, 316, 416)의 하단에 부가된 힌지 형태일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18, 218, 318, 418) or the third connection part 425 is add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part (114, 214, 314, 414) or the side part (116, 216, 316, 416) It may be in the form of a hinge.

본원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가림부(114, 214)와 측면부(116, 216) 형태에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서 가림부(214)의 일부가 더 돌출되어 측면부(216) 일부와 겹치는 것을 도 30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hape of the cover parts 114 and 214 and the side parts 116 and 216. In the second embodiment, it can be confirmed through FIG. 30 that a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214 protrudes further and overlaps a portion of the side portion 216 .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접촉부(222, 322)가 외부로 돌출될 것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s 222 and 322 will protrude to the outside.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가림부(414)의 전면에 추가 커버(430)이 더 부가된 것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430)는 상기 가림부(414)와 측면부(416)을 덮는다. 또한 제4실시예에는 고정부(420)의 회전운동을 위해서 제3연결부(425)가 더 부가되었다.In the fourth embodiment, an additional cover 430 is further added to the front of the shield 414 in the firs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3 , the cover 430 covers the covering portion 414 and the side portion 416 . Also, in the fourth embodiment, a third connection part 425 is further added f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xing part 420 .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전면부 및 고정부가 일체로 구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The fif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ront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integrally formed.

본원발명에 UV 차단 마스크는 기존 페이스 쉴드에 UV 차단 기능을 특화시킨 제품으로, 기존 페이스 쉴드가 가진 단점인 착용감을 개선한 것이다. 참고로 종래의 페이스 쉴드는 이마에서 시작돼 얼굴 전체를 덮어주는 플라스틱 시트의 형태로 머리에 고정한다.The UV blocking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that has a specialized UV blocking function in the existing face shield, and improves the wearing comfort,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face shield. For reference, the conventional face shield is fixed to the head in the form of a plastic sheet that starts from the forehead and covers the entire face.

한편 본원발명에 따른 UV 차단 마스크는 종래의 사용하는 비말 차단 마스크와 동시에 착용이 가능한다. 이러한 페이스 쉴드 형태를 종래의 마스크와 동시에 사용할 경우 즉, 이중보호 (double protection)로 사용할 경우, 실제 감염율이 0%에 근접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Meanwhile, the UV block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droplet blocking mask. When such a face shield type is used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mask, that is, when used as double protection, there is a research result that the actual infection rate approaches 0% (see Non-Patent Document 1).

상기 고정부(120, 220, 320, 420)는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더 부가될 수 있다(도면 미도시).The fixing parts 120, 220, 320, and 42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fixing force (not shown).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UV 차단 마스크는 코; 턱; 귀; 유양 골(mastoid bone); 목 뒤; parietal bone 또는 occipital bone의 두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보조고정부위를 이용한 보조고정부(도면 미도시)가 부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V block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se; chin; ear; mastoid bone; back of the neck; head of parietal bone or occipital bone; An auxiliary fixing part (not shown) using an auxiliary fixing part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m may be added.

본원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누름부(112, 212, 312, 412)는 동일한 형태로서 누름부 자체가 3차원 형태로서 압박하면 부위가 면인 형태를 예시로 나타냈다. 상기 누름부(112, 212, 312, 412)가 압박하는 부위가 점, 선, 또는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이고, 상기 누름부(112, 212, 312, 412)가 압박하는 부위가 적어도 1개 이상이며, 상기 누름부(112, 212, 312, 412)가 압박하는 부위가 미세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112, 212, 312, 412) 형태가 점, 선, 면, 또는 입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일 수 있다.The pressing parts 112, 212, 312, and 412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shape, and the pressing part itself is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when pressed, the portion is a surface.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parts 112, 212, 312, and 412 is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dot, a line, or a plane, and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parts 112, 212, 312, and 412 is at least one In the above, the pressing portion 112, 212, 312, 41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ine protrusion. Meanwhile, the shape of the pressing parts 112, 212, 312, and 412 may be at least one of a point, a line, a plane, and a three-dimensional shape.

100, 200, 300, 400, 500 : UV 차단 마스크
110, 210, 310, 410, 510 : 전면부
112, 212, 312, 412, 512 : 누름부
114, 214, 314, 414 : 가림부
115, 215, 315, 415 : 제1연결부
116, 216, 316, 416 : 측면부
118, 218, 318, 418 : 제2연결부
120, 220, 320, 420, 520 : 고정부
122, 222, 322, 422 : 접촉부
430 : 커버
425 : 제3연결부
100, 200, 300, 400, 500: UV blocking mask
110, 210, 310, 410, 510: front part
112, 212, 312, 412, 512: pressing unit
114, 214, 314, 414: blocking part
115, 215, 315, 415: first connection
116, 216, 316, 416: side part
118, 218, 318, 418: second connection part
120, 220, 320, 420, 520: fixed part
122, 222, 322, 422: contact part
430: cover
425: third connection part

Claims (23)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1고정부위 중 적어도 일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전면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3,1), (4,1), (5,1), (-1,2), (1,2), (2,2), (3,2), (-1,3), (1,3), (2,3), (-1,4), (1,4), (-1,5), (1,5), (2,5)인 제1-7고정부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가로 및 세로를 5등분했을 때의 소정사각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선정한 것으로서, 상기 5등분은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후면부터 전면에 따라서 상기 x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상면부터 하면에 따라서 상기 y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후면부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상면부 가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의 상면 및 후면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 및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하며,
상기 전면부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누름부는
1) 상기 사용자의 비강 주름(nasolabial fold)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인 제1압박부를 압박하거나,
2) 상기 사용자의 위입술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또는 위입술콧방울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2압박부를 압박하거나,
3) 상기 사용자의 콧방울(alar crease)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인 제3압박부를 압박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함과 동시에 상기 UV 차단 마스크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시키며,
상기 전면부는,
상기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곡면 형태로 배치되는 가림부;
상기 가림부 양측면에 연결되며 말단에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측면부;
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
a front portion cov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front portion to the user's face by being coupled with the front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first fixing portion;
In the UV blocking mask comprising a,
The first fixing part is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 -1), (1, -1), (2, -1), (3, -1), (4, -1 ), (-1,1), (1,1), (2,1), (3,1), (4,1), (5,1), (-1,2), (1,2 ), (2,2), (3,2), (-1,3), (1,3), (2,3), (-1,4), (1,4), (-1, 5), (1,5), (2,5) including the 1-7 fixed sites,
Her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select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a predetermined rectangle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re divided into 5 parts, and the 5 equal parts are the user The x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from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y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user's head,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back of the user's head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of the upper face of the user's head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designated with a negative value of y;
x and y of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based on the top and back vertices of the user's head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re designated as negative values;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a square with the user's angle of mandible and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axis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and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distance of the vertical axis from the Angle of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is the length of one side,
The front part includes a pressing part,
The pressing part here
1) Pressing the first compression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nasolabial fold area;
2) compressing the second compression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levator labii superioris or 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3) Pressing the third compression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ser's alar crease,
The pressing unit adheres to the user's skin and simultaneously supports the UV blocking mask on the user's face,
the front part,
a shield disposed in a curved shape o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a side portion connect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cover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t an end thereof;
A UV blocking mask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2,1), (3,1), (4,1), (1,2), (2,2), (3,2), (1,3), (1,4), (1,5), (2,5), (1,-1), (-1,1)이거나,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1,2), (1,2), (-1,3), (1,3)인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1-7 fixed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2,1), (3,1), (4,1), (1 ,2), (2,2), (3,2), (1,3), (1,4), (1,5), (2,5), (1,-1), (-1 ,1) or
The 1-7 fixing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1,-1), (2,-1), (3,- 1), (4,-1), (-1,1), (1,1), (2,1), (-1,2), (1,2), (-1,3), ( 1,3) UV blocking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1), (1,-1), (-1,1)인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1-7 fixed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2), (4,2), (1,3), (3,3), (4 ,3), (5,3), (1,4), (2,4), (3,4), (4,4), (5,4), (1,5), (2,5 ), (4,5), (5,5), (1,1), (1,-1), (-1,1) UV blocking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1), (2,2), (1,3), (4,3), (5,3),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인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1-7 fixed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1), (2,2), (1,3), (4,3), (5 ,3), (1,4), (2,4), (4,4), (5,4), (1,5), (2,5), (5,5), (1,1 ), (1,-1), (-1,1) UV blocking mas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1,3), (2,4), (1,5), (2,5), (1,1), (1,-1), (-1,1)인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4,
In the first to seventh fixing parts, th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re (2,2), (1,3), (2,4), (1,5), (2 ,5), (1,1), (1,-1), (-1,1) UV blocking mas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1,3), (1,-1), (-1,1)인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4,
The 1-7 fixed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2), (1,3), (1,-1), (-1,1) UV protection mask.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3), (1,-3), (2,-3), (-1,-2), (1,-2), (2,-2)를 더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1-7 fixing parts have values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3), (1,-3), (2,-3), (-1, A UV blocking mask further comprising -2), (1, -2), and (2, -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와 상기 측면부는 분리되지 않는 하나로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UV blocking mask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one in which the covering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re not sepa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2개 이상으로 나눠줄 수 있으며 이들은 제1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된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UV blocking mask can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vering parts, which are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와 상기 측면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로 연결된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re separate parts, and the UV blocking mask is connected to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와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제2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접힐 수 있는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3,
The UV blocking mask wherein the covering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can be fold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 또는 상기 전면부 상면에 상기 사용자의 코 주변부를 덮는 상기 누름부가 부가된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UV blocking mask in which the pressing part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nose of the user is ad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ing part or the front par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된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5,
The pressing portion is a UV blocking mask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 및 상기 측면부는 동일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인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ing part and the side part are made of the same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면부와 하나의 부품으로서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된 것이거나,
상기 측면부와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3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It extends from the side part as one part with the side part,
A UV blocking mask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ird connection part as a separate part from the side par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3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측면부와 서로 접히거나, 상기 측면부에 대비해 회전운동을 하거나, 상기 측면부와의 상대적인 거리가 조정되는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8,
The UV blocking mask in which the fixing part is folded with the side part by the third connection part, rotates relative to the side part, or adjusts a relative distance from the sid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돌출된 1개 이상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A UV blocking mask comprising at least one protruding contact portion that directly contacts the user's ski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실리콘, TPE, TPU, P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된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20,
The contact portion is a UV blocking mask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silicone, TPE, TPU, and P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고정부에 마련된 홈에 의해서 끼움 방식으로 고정이 되거나,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만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20,
The UV blocking mask wherein the contact part is fixed in a fitting manner by a groove provided in the fixing part or fixed in a manner attached to only one side of the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필터가 더 부가된 UV 차단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UV blocking mask in which a filter is further added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user's face.
KR1020210026015A 2021-02-25 2021-02-25 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 Active KR102562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15A KR102562912B1 (en) 2021-02-25 2021-02-25 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15A KR102562912B1 (en) 2021-02-25 2021-02-25 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653A KR20220121653A (en) 2022-09-01
KR102562912B1 true KR102562912B1 (en) 2023-08-04

Family

ID=8328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015A Active KR102562912B1 (en) 2021-02-25 2021-02-25 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91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566A (en) * 1999-06-21 2001-01-09 Kiyoshi Takamoto mask
KR200292141Y1 (en) * 2002-05-28 2002-10-14 이부경 A health mask
JP2004329951A (en) * 2003-04-16 2004-11-25 Chizuko Sakaguchi Multiple-purpose mask which does not come into tight contact with nose and mouth
KR101773856B1 (en) * 2015-06-24 2017-09-01 임욱 Mask
KR200490095Y1 (en) * 2018-06-07 2019-09-24 방기태 Wearable mask
JP6821223B1 (en) * 2020-05-28 2021-01-27 株式会社スペースファクトリー Combination mas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7098B2 (en) 1997-09-30 2004-04-05 株式会社東芝 Fluid compressor
KR100345285B1 (en) 1999-08-07 2002-07-25 한국과학기술원 Digital driving circuit for LCD
JP2004267692A (en) 2003-03-04 2004-09-30 Suzuko Sato Face mask having sheet form for corresponding to three dimensional shape, and method of drafting the mask
KR20030043854A (en) 2003-05-02 2003-06-02 정순률 Manufacturing process of face mask for uv incerception
JP4799884B2 (en) 2005-03-11 2011-10-26 恩翔株式会社 Body relax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tool
KR20090011190A (en) 2007-07-25 2009-02-02 박석철 Electrohydraulic motor generator
EP2275083B1 (en) 2008-05-16 2013-08-21 Nichirei Biosciences Inc. Extract produced from orchid family plant,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epara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skin comprising extract produced from orchid family plant
JP2011000430A (en) 2009-05-21 2011-01-06 Haruo Watanabe Perfect protection mask
KR20110009652U (en) * 2010-04-05 2011-10-12 강복용 A mask of steam up Prevention
KR101250421B1 (en) * 2011-07-28 2013-04-08 심규성 A sanitary mask for others
AU2012331716B2 (en) 2011-10-31 2017-06-29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Interface comprising a nasal sealing portion
KR101785093B1 (en) 2015-06-22 2017-10-13 대한민국 Sterilizer
KR101985567B1 (en) 2015-12-16 2019-06-03 안철 A filter mask
JP2018145570A (en) 2017-03-07 2018-09-20 株式会社ボックス Mask cover
KR20190032897A (en) 2017-09-20 2019-03-28 박태준 Hanji mask
KR101954022B1 (en) 2018-06-21 2019-05-22 방병주 Neck warmer with function of seal for blocking fine dust
KR102012157B1 (en) 2019-04-16 2019-08-19 김강권 Adhesive type mask with elasticity band
KR20200140549A (en) * 2019-06-07 2020-12-16 주식회사 베이스1 Mas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566A (en) * 1999-06-21 2001-01-09 Kiyoshi Takamoto mask
KR200292141Y1 (en) * 2002-05-28 2002-10-14 이부경 A health mask
JP2004329951A (en) * 2003-04-16 2004-11-25 Chizuko Sakaguchi Multiple-purpose mask which does not come into tight contact with nose and mouth
KR101773856B1 (en) * 2015-06-24 2017-09-01 임욱 Mask
KR200490095Y1 (en) * 2018-06-07 2019-09-24 방기태 Wearable mask
JP6821223B1 (en) * 2020-05-28 2021-01-27 株式会社スペースファクトリー Combination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653A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52594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CA2963061A1 (en) Smartmask for health management service
US12292577B2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20180058604A (en) Breathing frame of mask with holder device
JP7147104B1 (en) Positioning structure, stabilizing structure and interfacing structure and system using the same
EP4176939A1 (en) Mask comprising side fixing parts
KR102562912B1 (en) 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
KR102389015B1 (e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KR102389033B1 (en) a face mounted device
US20250190017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102389024B1 (en) Filter replaceable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nose cover
JP3229013U (en) Face shield that does not use rubber bands etc. for mounting
KR102389025B1 (en) nose fitting modulator
KR102676086B1 (en) Mask comprising control unit
CN111317210A (en) Face support for preventing damage caused by wearing mask and eyeshade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250180915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20250306386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CN212014558U (en) Prevent to wear gauze mask and eye-shade and cause facial support of damage
EP4082628A1 (en) Nose-fitting adjuster
WO2024221056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20230124392A (en) Mask comprising pocket unit
CN120813887A (en) Positioning, stabilizing and interfacing structur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2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5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2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